KR19980027916U - 누설액체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누설액체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7916U
KR19980027916U KR2019960040900U KR19960040900U KR19980027916U KR 19980027916 U KR19980027916 U KR 19980027916U KR 2019960040900 U KR2019960040900 U KR 2019960040900U KR 19960040900 U KR19960040900 U KR 19960040900U KR 19980027916 U KR19980027916 U KR 199800279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ance value
predetermined
detecting
sensor unit
sensing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09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기남
Original Assignee
문정환
엘지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환, 엘지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문정환
Priority to KR20199600409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7916U/ko
Publication of KR199800279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916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정의 저장탱크 등으로부터 누설되는 액체물질을 감지하기 위한 누설액체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두 가닥의 제 1 도체와 제 2 도체가 소정의 저항체(R)를 통해 연결된 센서부와; 그 센서부에 소정의 전원을 인가함과 아울러 그에 따라 센서부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함으로써 그 센서부의 저항을 검출하는 것으로, 누설액체에 의한 상기 센서부의 저항값 변화 뿐만 아니라 그 센서부의 불량에 따른 저항값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리크감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리크감지부는, 액체가 누설됨에 따라 정상적인 저항값(R) 보다 낮아지게 되는 센서부의 저항값(R1)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정상적인 저항값(R) 보다 작은 소정의 제 1 기준저항값(RDS1)으로 설정/셋팅된 제 1 리크감지기와, 제 1 센싱도체 또는 제 2 센싱도체가 단선됨에 따라 무한대(∞)로 증가하게 되는 센서부의 저항값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정상적인 저항값(R) 보다 큰 소정의 제 2 기준저항값(RDS2)으로 설정/셋팅된 제 2 리크감지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액체가 누설된 경우 뿐만 아니라 그 누설을 감지하는 센서부의 불량을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누설액체 감지장치
본 고안은 소정의 저장탱크 등으로부터 누설되는 액체물질을 감지하기 위한 누설액체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누설된 액체에 의하여 그의 저항이 변함에 따라 그 액체의 누설여부를 감지하게 되는 센서부를 통해 액체물질의 누설여부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센서부의 불량(단선)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 누설액체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대해서 상세히 설면한다.
도 1은 수용액이나 화학물질 등을 사용하는 반도체소자 제조장치에서 상기 수용액이나 화학물질이 저장탱크로부터 누설되는지를 감시하도록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누설액체 감지장치의 구성회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 블럭으로 도시된 리크감지기의 출력을 나타낸 파형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구성과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두 가닥의 제 1 센싱도체(21)와 제 2 센싱도체(22)가 개방되어 있는 센서부와; 그 센서부에 소정의 전원을 인가함과 아울러 그에 따른 전류를 검출하여 액체물질의 누설여부를 간단히 판단할 수 있는 신호(저항값)로 출력하는 리크감지기(LEAK DETECTER) (10)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리크감지기(10)의 출력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상황에 따른 제 1 센싱도체(21)와 제 2 센싱도체(22) 사이의 저항값으로 누설여부를 표시하는데, 액체가 누설되지 않은 경우(T1이전)에는 무한대(∞)를 출력하고, 액체(60)가 누설됨으로써 제 1 센싱도체(21)와 제 2 센싱도체(22)가 연결된 경우(T1이후)에는 그 액체(60)의 저항에 따른 값(R1)을 출력한다. 이때, 상기 리크감지기(10)에는 액체(60)의 누설여부의 판단하기 위한 소정의 기준저항값(DETECTER SETPOINT;RDS)이 셋팅되어 있는데, 그 기준저항값(RDS)은 상기 리크감지기(10)의 출력이 그 보다 작은 경우(RDSR1)에 액체가 누설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적절한 값으로 설정/세팅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누설액체 감지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리크감지기(10)가 제 1 센싱도체(21)와 제 2 센싱도체(22) 사이에 소정의 전위차(V)를 형성시킴과 아울러 그 제 1 센싱도체(21)와 제 2 센싱도체(22)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그에 대응하는 저항을 출력하는데, 그 출력은 제 1 센싱도체(21)와 제 2 센싱도체(22) 사이에 절연물질만이 있으면 무한대(∞)가 되고, 소정의 전도성 물질이 그들을 연결하면 그 전동성 물질의 저항(R1)이 된다.
일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음에는 무한대를 출력하다가,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액체물질(60)이 제 1 센싱도체(21)와 제 2 센싱도체(22)를 연결하게 되면, 그 액체물질(60)을 통해 제 1 센싱도체(21)와 제 2 센싱도체(22) 사이를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상기 액체물질(60)의 저항(R1)을 출력한다. 따라서, 조작자는 상기와 같은 출력(R1)과 세팅된 기준저항값(RDS)을 통해 액체의 누설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출력저항값(R1)이 기준저항값(RDS) 보다 작은 경우에는 액체가 누설되었음을 쉽게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장비에 대한 조치를 취하여 액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센싱도체나 제 2 센싱도체가 단선됨과 아울러 누설된 액체가 단선된 부분을 연결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크감지기가 무한대를 출력하게 되므로 액체의 누설여부를 감지해 내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액체물질의 누설을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누설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의 불량(단선)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액체물질의 누설과 장치의 불량(단선)을 구분하여 감지할 수 있도록 한 누설액체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누설액체 감지장치에 대략적인 구성회로도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누설액체 감지장치의 출력신호 파형도
도 3과 상기 도 1에 도시된 센서부의 제 1 도체가 단선된 경우의 회로도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회로의 출력신호 파형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누설액체 감지장치의 대략적인 구성회로도
도 6은 상기 도 5에 도시된 누설액체 감지장치의 출력신호 파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 : 제 1 리크감지기10b : 제 2 리크감지기
21, 22 : 센싱도체RDS1: 제 1 기준저항값
RDS2: 제 2 기준저항값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두 가닥의 제 1 센싱도체와 제 2 센싱도체가 소정의 저항체(R)를 통해 연결된 센서부와; 그 센서부에 소정의 전원을 인가함과 아울러 그에 따라 센서부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함으로써 그 센서부의 저항을 검출하는 것으로, 누설액체에 의한 상기 센서부의 저항값 변화 뿐만 아니라 그 센서부의 불량(제 1 센싱도체나 제 2 센싱도체의 단선)에 따른 저항값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리크감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리크감지부는 소정의 물질의 센서부의 제 1 센싱도체와 제 2 센싱도체를 연결하는 경우에 그 소정의 물질에 따른 센서부의 저항값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제 1 리크감지기(LEAK DETECTER)와, 상기 센서부의 불량(단선)에 따른 저항값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제 2 리크감지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른 누설액체 감지장치의 대략적인 구성회로도이고, 도 6은 상기 누설액체 감지장치의 출력신호를 나타낸 파형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두 가닥의 제 1 센싱도체(21)와 제 2 센싱도체(22)가 소정의 저항체(R)를 통해 연결된 센서부와; 그 센서부와 병렬로 연결된 것으로, 누설액체를 감지하기 위한 제 1 리크감지기(10a) 및 상기 센서부의 불량(단선)을 감지할 수 있는 제 2 리크감지기(10b)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센서부에 소정의 전원을 인가함과 아울러 그에 따라 센서부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함으로써 그 센서부의 저항을 검출하게 되는 상기 제1,2 리크감지기(10a, 10b)는, 그들이 감지하는 대상에 따라 설정된 소정의 기준저항값이 셋팅되어 있다. 즉, 누설액체를 감지하기 위한 제 1 리크감지기(10a)는, 액체가 누설됨에 따라 정상적인 저항값(R) 보다 낮아지게 되는 센서부의 저항값(R1)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정상적인 저항값(R) 보다 작은 소정의 제 1 기준저항값(DETECTER SETPOINT) (RDS1)으로 설정/셋팅되고, 센서부의 불량를 감지하기 위한 제 2 리크감지기(10b)는, 제 1 센싱도체(21) 또는 제 2 센싱도체(22)가 단선됨에 따라 무한대(∞)로 증가하게 되는 센서부의 저항값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정상적인 저항값(R) 보다 큰 소정의 제 2 기준저항값(RDS2)으로 설정/셋팅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누설액체 감지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액체물질이 누설되지도 않고 센서부의 제 1 센싱도체(21)나 제 2 센싱도체(22)가 단선되지 않은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제 1,2 리크감지기(10a, 10b)가 센서부의 고유저항(R)을 출력하게 된다.
이후, 소정의 원인이 누설된 액체가 제 1 센싱도체(21)와 제 2 센싱도체(22)를 연결하게 됨으로써 그 센서부를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게 되면, 그 전류를 검출하여 센서부의 저항을 검출하는 제 1 리크감지기(10a)가 그 검출저항(R1)이 센서부의 고유저항(R) 보다 낮아지는 시점(T1)에서 액체의 누설을 알려주는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소정의 원인으로 제 1 센싱도체(21)나 제 2 센싱도체가 단선됨으로써 그 센서부를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게 되면, 그 전류를 검출하여 센서부의 저항을 검출하는 제 2 리크감지기(10b)가 그 검출저항이 센서부의 고유저항(R) 보다 높아지는 시점(T2)에서 센서부의 불량(단선)을 알려주는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액체가 누설된 경우 뿐만 아니라 그 누설을 감지하는 센서부의 불량를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특히 반도체 제조장비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그 장비에 의하여 제조되는 제품의 특성 열화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준다.

Claims (3)

  1.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두 가닥의 제 1 센싱도체와 제 2 센싱도체가 소정의 저항체(R)를 통해 연결된 센서부와; 그 센서부에 소정의 전원을 인가함과 아울러 그에 따라 센서부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함으로써 그 센서부의 저항을 검출하는 것으로, 누설액체에 의한 상기 센서부의 저항값 변화 뿐만 아니라 그 센서부의 불량(제 1 센싱도체나 제 2 센싱도체의 단선)에 따른 저항값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리크감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액체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크감지부는 소정의 물질의 센서부의 제 1 센싱도체와 제 2 센싱도체를 연결하는 경우에 그 소정의 물질에 따른 센서부의 저항값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제 1 리크감지기와, 상기 센서부의 불량(단선)에 따른 저항값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제 2 리크감지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액체 감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 소정의 전원을 인가함과 아울러 그에 따라 센서부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함으로써 그 센서부의 저항을 검출하게 되는 상기 제 1,2 리크감지기는, 그들이 감지하는 대상에 따라 설정된 소정의 기준저항값이 설정/셋팅되는데, 누설액체를 감지하기 위한 제 1 리크감지기는, 액체가 누설됨에 따라 정상적인 저항값(R) 보다 낮아지게 되는 센서부의 저항값(R1)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정상적인 저항값(R) 보다 작은 소정의 제 1 기준저항값(RDS1)으로 설정/셋팅되고, 센서부의 불량를 감지하기 위한 제 2 리크감지기는, 제 1 센싱도체(21) 또는 제 2 센싱도체(22)가 단선됨에 따라 무한대(∞)로 증가하게 되는 센서부의 저항값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정상적인 저항값(R) 보다 큰 소정의 제 2 기준저항값(RDS2)으로 설정/셋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액체 감지장치.
KR2019960040900U 1996-11-20 1996-11-20 누설액체 감지장치 KR1998002791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900U KR19980027916U (ko) 1996-11-20 1996-11-20 누설액체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900U KR19980027916U (ko) 1996-11-20 1996-11-20 누설액체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916U true KR19980027916U (ko) 1998-08-05

Family

ID=53983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0900U KR19980027916U (ko) 1996-11-20 1996-11-20 누설액체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791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63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ical leakage detection and compensation
CN101191811B (zh) 基板检查装置和基板检查方法
US8766661B2 (en) Malfunction detecting device for solar cell panel
US8096178B2 (en) Apparatus for capacitive ascertaining and/or monitoring of fill level
US200801293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ical leakage detection
JPH06503178A (ja) 電気容量測定回路と液体漏洩検出方法
US527914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locating leaks and loose couplings in conduits for liquids
US20060043977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touching points on rotating machines
US5276401A (en) Method for diagnosing an insulation deterioration of an electric apparatus
JPH03229170A (ja) 耐圧検査方法及び装置
KR19980027916U (ko) 누설액체 감지장치
KR102086975B1 (ko) 케이블타입 센서를 이용한 화학물질 누액감지장치
JP2992955B2 (ja) センサ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JP3486401B2 (ja) 埋立地における遮水膜の破損を検知する外部測定感知機
CN110940463B (zh) 一种漏水检测方法及漏水检测装置
CN209027738U (zh) 一种漏水检测装置
JP3019128B2 (ja) 流体漏洩検知装置
JPH0243130B2 (ko)
JP3266502B2 (ja) 液晶表示装置の検査方法
KR100428761B1 (ko) 가스 누출 판단 장치
KR20170053529A (ko) 배터리 팩 내부 커패시터 크랙 검출 방법 및 시스템
KR200342560Y1 (ko) 절연저항 간접측정에 의한 열배관누수감지장치
US7233152B2 (en) Short detection circuit and short detection method
KR910007537Y1 (ko) 칼라브라운관의 전극간 불량 검출장치
JP2798205B2 (ja) 廃棄物処分場の漏水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