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7035A - 자동변속기 차량의 운전 조건에 따라 가변되는 냉각수온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 차량의 운전 조건에 따라 가변되는 냉각수온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7035A
KR19980027035A KR1019960045692A KR19960045692A KR19980027035A KR 19980027035 A KR19980027035 A KR 19980027035A KR 1019960045692 A KR1019960045692 A KR 1019960045692A KR 19960045692 A KR19960045692 A KR 19960045692A KR 19980027035 A KR19980027035 A KR 19980027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water temperature
automatic transmission
control device
power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5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정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45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7035A/ko
Publication of KR19980027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035A/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변속기 장착 차량에서 파워모드 운전 조건에서는 엔진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온을 낮게 설정하며 이코노믹모드에서는 냉각수온을 높게 유지하는 냉각수온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자동변속기와 자동변속기를 제어하기 위한 변속제어장치(TCU)와 전자제어장치(ECU)를 구비한 자동변속기 장착 차량에 있어서,
라디에이터(5)에서 냉각된 냉각수를 실린더블록에 공급해주는 인렛파이프(3)상에 설치되어 그의 개도량이 조정되는 유량조절밸브(6)와;
상기 인렛파이프(3)를 통과하여 실린더블록에 공급되는 냉각수온을 검출하는 냉각수온센서(9)와;
파워모드 스위치(10) 또는 이코노믹모드 스위치(11)의 접속에 따라 트랜스미션의 기어비를 제어하는 변속제어장치(TCU,7)와;
상기 변속제어장치의 변속제어상황에 따라 파워모드시 상기 냉각수온 센서(9)로 부터 감지되는 냉각수온이 설정된 하한값을 유지하도록 상기 유량조절밸브(6)의 열림량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장치(ECU,8)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변속기 차량의 운전 조건에 따라 가변되는 냉각수온 조절장치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 차량에서 운전 조건에 따라 가변되는 냉각수온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변속기(Auto transmission)장착 차량에서는 출력을 중시하여 기어비를 제어하는 파워모드(Power mode)기능과 연비를 중시하여 기어비를 제어하는 이코노믹모드(Economic mode)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파워모드로 자동변속기의 기능이 설정되면 연료공급량이 증대되고 출력이 증대되어지게 때문에 엔진의 과부하가 발생하여 엔진으로부터 열의 방출량이 증대되어지는 반면 엔진 냉각 계통은 엔진 회전수 증대에 따른 팬의 구동만으로 라디에이터의 방열 냉각만을 행하고 있어 효율적인 엔진 냉각이 어려워 엔진 과열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자동변속기 장착 차량에서 파워모드 운전 조건에서는 엔진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온을 낮게 설정하며 이코노믹모드에서는 냉각수온을 높게 유지하는 냉각수온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자동변속기와 자동변속기를 제어하기 위한 변속제어장치(TCU)와 전자제어장치(ECU)를 구비한 자동변속기 장착 차량에 있어서,
라디에이터에서 냉각된 냉각수를 실린더블록에 공급해주는 인렛파이프상에 설치되어 그의 개도량이 조정되는 유량조절밸브와;
상기 인렛파이프를 통과하여 실린더블록에 공급되는 냉각수온을 검출하는 냉각수온센서와;
파워모드 스위치 또는 이코노믹모드 스위치의 접속에 따라 트랜스미션의 기어비를 제어하는 변속제어장치(TCU)와;
상기 변속제어장치의 변속제어상황에 따라 파워모드시 상기 냉각수온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냉각수온이 설정된 하한값을 유지하도록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열림량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장치(ECU)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자동변속기 차량의 운전 조건에 따라 가변되는 냉각수온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동작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엔진 2 : 자동변속기
3 : 인렛파이프 4 : 아웃렛파이프
5 : 라디에이터 6 : 유량조절밸브
7 : 변속제어장치 8 : 전자제어장치
9 : 냉각수온센서 10 : 파워모드 스위치
11 : 이코노믹모드 스위치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변속기 차량의 운전 조건에 따라 가변되는 냉각수온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면에 있어서 부호 1은 엔진이며, 부호 2는 자동변속기이다.
엔진(1)에는 인렛파이프(3)와 아웃렛파이프(4)를 통해 라디에이터(5)를 순환하는 냉각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라디에이터(5)를 통해 냉각된 냉각수는 인렛파이프(3)를 통해 엔진(1)의 실린더블록에 들어가서 실린더헤드와 아웃렛파이프(4)를 거쳐 다시 라디에이터(5)로 유입되어 냉각되는 순환과정을 반복한다.
상기 인렛파이프(3)의 도중에는 실린더블록에 공급되는 냉각수의 공급량을 조정하기 위한 유량조절밸브(6)가 마련되어 있으며 유량조절밸브(6)는 변속제어장치(7, TCU)로부터의 정보에 의한 전자제어장치(8)의 제어에 의해 그의 열림량이 조정된다.
다시 전자제어장치(8)는 인렛파이프(3)상에 설치되어 실린더블록에 공급되는 냉각수온을 검출하는 냉각수온센서(9)로부터의 냉각수온 정보에 기초하여 유량조절밸브(6)의 열림량을 제어하게되며 변속제어장치(7)는 운전자가 파워모드스위치(10) 또는 이코노믹 스위치(11)를 선택하게 되면 그에 맞추어 자동변속기(2)의 기어비를 설정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작동을 도 2의 동작흐름도에 의해 설명한다.
엔진의 구동되어 주행상태에 돌입하면 모드상태를 확인하여 파워모드를 할 것인가 아니면 이코노믹모드로 할 것인가를 선택한다(단계(가),(나)).
운전자가 엔진 출력을 높이기 위해 파워모드로 설정하였다면(단계(다), 변속제어장치(7)는 이에 맞추어 기어비를 설정하게 되며 전자제어장치(8)는 냉각수온센서(9)로부터 검출되는 냉각수온이 파워모드시에 설정된 하한값, 예를 들어 85℃ 이하인가 이상인가를 판단하여(단계 (라)) 냉각수온이 85℃를 초과하면 엔진(1)이 과열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유량제어밸브(6)의 열림량을 증가시켜 보다 많은 냉각수가 실린더블록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며(단계 (마)), 하한값 이하일 때는 엔진이 과냉되는 것을 방지코저 유량제어밸브(6)를 조르게 된다(단계 (바)).
만일 단계(나)에서 운전자가 파워모드가 아닌 이코노믹모드로 설정하였다면(단계 (사)) 변속기의 기어비는 변속제어장치(7)에 의해 그에 맞게 조정되며 전자제어장치(8)는 냉각수온센서(9)로부터 검출되는 냉각수온이 이코노믹모드시에 설정된 상한값, 예를 들어 95℃ 이하인가 또는 이상인가를 판단한다(단계 (아)).
이때 냉각수온이 95℃이하로 검출되면 전자제어장치(8)는 엔진(1)의 과냉을 방지하기 위해 유량조절밸브(6)를 조르도록 제어하며(단계 (자)), 95℃이상으로 검출되면 유량조절밸브(6)의 열림량을 증가시켜 보다 많은 냉각수가 실린더블록에 유입되도록 하므로써 엔진의 과열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변속기 차량의 운전 조건에 따라 가변되는 냉각수온 조절장치에 의하면 실린더블록에 공급되는 냉각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를 인렛파이프상에 설치하고 변속기의 기어비를 결정하는 파워모드 또는 이코노믹모드의 운전조건에 따라 엔진 출력을 높이는 파워모드의 경우에는 엔진의 과열을 방지하고 효율적인 냉각을 위해 냉각수온을 낮게 유지하도록 유량조절밸브의 열림량을 제어하며 이코노믹모드에서는 엔진의 출력이 낮게 유지되므로 엔진 과열의 위험성이 그만큼 낮기 때문에 엔진 과냉을 피하기 위해 냉각수온을 높게 유지하도록 유량조절밸브를 제어하게 되므로써 엔진의 운전 조건에 따라 냉각수온을 가변적으로 유지하는 것에 의해 엔진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워터펌프의 손실을 줄이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라디에이터에서 냉각된 냉각수를 실린더블록에 공급해주는 인렛파이프상에 설치되어 그의 개도량이 조정되는 유량조절밸브와;
    상기 인렛파이프를 통과하여 실린더블록에 공급되는 냉각수온을 검출하는 냉각수온센서와;
    파워모드 스위치 또는 이코노믹모드 스위치의 접속에 따라 트랜스미션의 기어비를 제어하는 변속제어장치(TCU)와;
    상기 변속제어장치의 변속제어상황에 따라 파워모드시 상기 냉각수온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냉각수온이 설정된 하한값을 유지하도록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열림량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장치(ECU)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차량의 운전조건에 따라 가변되는 냉각수온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파워모드 운전시의 냉각수 유지 온도(설정된 하한값)는 8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자동 변속기 차량의 운전조건에 따라 가변되는 냉각수온 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장치는 이코노믹모드의 운전시 냉각수온센서로부터 감지되는 냉각수온이 설정된 상한값을 유지하도록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열림량을 제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차량의 운전조건에 따라 가변되는 냉각수온 조절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코노믹모드의 운전시 냉각수 유지 온도는 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차량의 운전조건에 따라 가변되는 냉각수온 조절장치.
KR1019960045692A 1996-10-14 1996-10-14 자동변속기 차량의 운전 조건에 따라 가변되는 냉각수온 조절장치 KR199800270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692A KR19980027035A (ko) 1996-10-14 1996-10-14 자동변속기 차량의 운전 조건에 따라 가변되는 냉각수온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692A KR19980027035A (ko) 1996-10-14 1996-10-14 자동변속기 차량의 운전 조건에 따라 가변되는 냉각수온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035A true KR19980027035A (ko) 1998-07-15

Family

ID=66288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5692A KR19980027035A (ko) 1996-10-14 1996-10-14 자동변속기 차량의 운전 조건에 따라 가변되는 냉각수온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70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1305B1 (ko) * 2000-11-30 2002-1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냉각수 온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1305B1 (ko) * 2000-11-30 2002-1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냉각수 온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5620B1 (ko) 엔진 냉각 시스템과 전자식 서모스탯 제어장치 및 방법
US6745726B2 (en) Engine thermal management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955141B2 (en) Engine cooling system
US5724924A (en) Method for controlling a cooling circuit for an internal-combustion engine using a coolant temperature difference value
US6374780B1 (en) Electric waterpump, fluid control valve and electric cooling fan strategy
US5960872A (en) Device for stabilizing the temperature of the transmission oil of a motor vehicle
US6352055B1 (en) Engine water pump control system
WO2013095262A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oling of coolant in a cooling system in a vehicle
KR20180012692A (ko) 선박의 쿨링 시스템의 작동 방법
US20040103862A1 (en) Engine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7455618B2 (en) Fluid level regulating method and fluid temperature regulator for automatic transmission
JP7206757B2 (ja) 車両用の冷却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9980027035A (ko) 자동변속기 차량의 운전 조건에 따라 가변되는 냉각수온 조절장치
CN114763761B (zh) 一种发动机水温的控制方法、冷却系统和车辆
JP2002340161A (ja) 油温制御装置
KR100727165B1 (ko) 전자 제어식 서머스탯을 적용한 냉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1411215A1 (en) Engine oil cooling
JP2006161745A (ja) 車両の制御装置
JP2005533223A (ja) 内燃機関冷却媒体温度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S61265320A (ja) 車両用エンジン冷却装置
KR100435369B1 (ko) 냉각팬 작동 제어방법
KR19990057236A (ko) 냉각장치의 라디에이터 모터 제어방법
GB2319095A (en) Heating a vehicle interior by controlling fuel injection timing
KR100507184B1 (ko) 차량의 냉각수 과열 방지장치
KR100249245B1 (ko) 가변 순환식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