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4639A - 핀형 동기장치 - Google Patents

핀형 동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4639A
KR19980024639A KR1019970047243A KR19970047243A KR19980024639A KR 19980024639 A KR19980024639 A KR 19980024639A KR 1019970047243 A KR1019970047243 A KR 1019970047243A KR 19970047243 A KR19970047243 A KR 19970047243A KR 19980024639 A KR19980024639 A KR 19980024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friction
shaft
axially
friction r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7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얼 서보스 로버트
Original Assignee
레슬리 제이 카스퍼
이턴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슬리 제이 카스퍼, 이턴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레슬리 제이 카스퍼
Publication of KR19980024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63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02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 F16D23/04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 F16D23/06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and a blocking mechanism preventing the engagement of the main clutch prior to synchronisation
    • F16D23/0606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and a blocking mechanism preventing the engagement of the main clutch prior to synchronisation the blocking mechanism comprising an axially-extending shouldered pin passing through a hole in a radial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02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 F16D23/04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 F16D23/06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and a blocking mechanism preventing the engagement of the main clutch prior to synchronisation
    • F16D2023/065Means to provide additional axial force for self-energising, e.g. by using torque from the friction clu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핀형 이중작용 동기장치(10)는 마찰링(26, 46 및 28, 48), 리테이너(44)에 의해 축방향으로 함께 고정된 죠우부재(30, 38 및 32, 40), 죠우 클러치의 비동기 맞물림을 방지하기 위해 블록커 쇼울더를 포함하는 3개의 원주로 이격된 핀(50), 시프트 플렌지(42)의 초기 맞물림 운동에 응답하여 마찰링과 블록커 쇼울더의 초기 맞물림을 보장하는 프리 에너자이저 어샘블리(52) 및 셀프 에너자이저 램프(20a-20d, 62a-62d)를 구비한다. 동기장치는 개량된 죠우부재 및 자기 에너자이징 램프, 개량된 시프트 플렌지, 개량된 프리 에너자이저 및 개량된 죠우부재 리테이너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핀형 동기장치
본 발명은 변속기용 핀형 동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속비 변속기술에서, 동기 메카니즘이 변속기어비의 시프트 시간을 감소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차량 운전자가 필요한 시프트 노력, 즉 시프트 레버에 가해진 힘이 자기 통전형의 동기 메카니즘의 이용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운전자의 시프트 노력이 차량의 크기와 함께 증가하기 때문에, 자기 통전형의 동기 메카니즘은 중형 트럭에 중요하다. 여기의 동기장치와 관련된 동기장치의 선행기술의 예는 미합중국 특허 5,078,244; 5,092,439 및 5,339,936에 개시되어 있고 이를 참고로 여기에 포함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량된 프리 에너자이저 수단을 지닌 핀형 동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미합중국 5,339,936에 개재되어 있듯이, 그리고 선행 기술을 청구항 1로 나타난 핀형 동기장치는 샤프트의 축주위로 상대회전을 위해 설치된 제1 및 제2드라이브중 하나를 마찰적으로 동기하여 이를 확동 연결시키기 위해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핀형 동기장치를 포함한다. 동기장치는 제1 및 제2리드이브에 각각 고정되고 드라이브 사이에 위치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3 및 제4죠우부재와 각각 맞물릴 수 있는 제1 및 제2죠우부재를 포함한다. 제3 및 제4 죠우부재는 샤프트에 고정된 외부 스플라인과 비상대회전을 위해 요동할 수 있게 정합하는 내부 스플라인을 지닌다. 제1 및 제2콘 마찰클러치는 제1 및 제2드라이브와 회전할 수 있게 각각 고정되어 있다. 제3 및 제4콘 마찰링은 샤프트에 동심이고 드라이브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므로써 제1 및 제2마찰링과 마찰 맞물림을 하게 하여 동기 토오크를 제공하여 드라이브를 샤프트와 동기시킨다.
방사상으로 연장한 플렌지는 플렌지에 가해진 축양방향 시프트힘(F0)에 응답하여 죠우수단과 링을 상기 맞물림으로 축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제3 및 제3죠우부재 사이 및 제3 및 제4마찰링 사이에 위치한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측을 지닌다. 블록커 수단은 동기전 죠우부재의 맞물림을 방지하기 위해 맞물릴 때 작동한다.
블록커수단은 제3 및 제4마찰링 사이 및 플렌지의 제1세트의 개구부로 축방향으로 연장한 다수의 원주로 이격된 핀을 포함한다. 프리 에너자이저 수단은 중립위치로 부터 드라이브 중 하나쪽으로 시프트힘(F0)에 의해 플렌지의 초기 축방향 운동에 응답하여 제3 및 제4마찰링의 초기 맞물림힘을 발생시킨다. 프리 엔자이저 수단은 플렌지의 한세트의 개구부를 포함하고 제1세트의 개구부와 각각의 개구부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한 스프링 어샘블리 사이 및 제3 및 제4마찰링 사이에서 서로 이격되어 초기 맞물림힘을 발생시킨다. 각각의 스프링 어샘블리는 제3 및 제4마찰링 리세스에 수용되는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단을 지닌다.
본 발명은 리세스에 배설되고 스프링 어샘블리의 관련된 단을 수용하는 컴모양의 부재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컴모양의 부재는 마찰링의 재료보다 손상저항이 큰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은 중립위치의 다소 개략적으로 도시한 이중작용 동기 메카니즘의 단면도.
도 2는 오른쪽으로 맞물린 도 1의 동기장치.
도 3은 도 1의 동기장치의 부분의 확대도.
도 4는 도 1의 샤프트의 부분의 상세도.
도 5는 도 5의 샤프트 및 도 4의 선 5-5의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3의 정합 자기 에너자이징 램프를 지니도 도 4의 선 6-6의 도 4의 샤프트의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동기장치의 시프트 플렌지에 작용하는 축방향 힘 및 통크의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샤프트12b,12c:제1 및 제2원통형면
12d:환상면12e,12f:쇼울더
30,32:제1 및 제2죠우부재38,40:내부 스플라인
42:플렌지42a:축방향으로 마주한 측
42e:환상 스티퍼링
여기서 사용한 동기 클러치 메카니즘이라는 용어는 확동 클러치와 관련된 동기 마찰 클러치에 의해 확동 클러치의 부재가 동기회전으로 될 때까지 확동 클러치의 시도된 맞물림이 방지되는 확동 클러치에 의해 선택된 기어비를 샤프트에 회전할 수 없게 커플하는데, 이용되는 클러치 메카니즘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한 자기통전이란 마찰클러치의 동기 토오크에 비례하게 동기 클러치의 맞물림 힘을 증가하도록 램프 또는 캠을 포함하는 동기장치 클러치를 의미한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기어 및 동기 어샘블리(10) 축(12a) 주위로 변속시 회전하기 위해 설치된 샤프트(12), 축방향으로 멀리 이격된 드라이브 또는 기어(14,16) 및 이중작용 동기장치(22)를 구비하고 있다.
샤프트(12)는 기어를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12a,12c), 원통형면의 직경보다 직경이 큰 외부 원주를 지닌 환상부재(12)를 포함한다. 환상부재는 서로쪽으로 기어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축방향으로 대향하여 마주한 쇼울더(12e,12f)를 경유하여 기어를 분리하는 축방향 길이를 지닌다. 서로로부터 먼 기어의 축방향 이동은 여러 공지된 방식으로 제한된다. 환상부재는 샤프트에 고정된 링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여기서 처럼 샤프트와 일체가 되어 형성되어 있다.
환상부재의 외부 원주는 이에 형성된 외부 스플라인(12g)과 환상부재(12d) 및 자기 통전 램프(20a,20b,20c,20d)를 포함한다. 이 리세스는 여러 인접한 스플라인(12g)을 전체적으로 제거하여 자기 통전램프의 기계가공을 간단히 한다.
동기 메카니즘(22)은 마찰링(26,28) 및 기어(14,16)와 일체가 되어 형성된 죠우부재(30,32), 환상부재(12d)의 외부 원주에 형성된 외부 스플라인 이빨(12g)과 용도할 수 있게 정합하는 내부 스플라인 이빨(38,40)을 지닌 죠우부재(34,36), 죠우부재(34,36)의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면(34a,36a) 사이에서 샌드위치된 축방향으로 대향하게 마주하는 측(42a,42b)을 지닌 방사상으로 연장한 시프트 플렌지(42), 축방향 이동에 대해 플렌지와 죠우 클러치를 고정하는 3개의 축방향으로 연장한 리테이터(44), 플렌지의 각각의 마찰부재와 관통 개구부(42c)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한 3개의 원주로 이격된 핀(50)에 의해 함께 단단히 고정된 환상 마찰링(46,48) 및 3개의 프리 에너자이저 어샘블리(52)를 구비한다. 어샘블리(52)는 도 3에서만 도시되어 있다.
이 마찰링은 죠우부재의 맞물림전에 샤프트에 기어를 마찰적으로 동기화 하기 위해 맞물리는 콘 마찰면(26a,46a, 28a, 48a)을 지닌다. 링(46,48)은 원주 방향으로 새장된 3개의 원주로 이격되어 축방향으로 개방하는 리세스(46b,48b)와 마찰링(46,48)을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한 6개의 원주로 이격되고 방사상 안쪽으로 개방하는 리세스(46c,48c)를 포함한다. 나머지 리세스(46c,48c)는 마찰링(46,48)을 상호 교환하는데 이용된다. 후술되어 있듯이, 리세스(46b,48b)는 프리 에너자이저 어샘블리의 단을 수용하고 리세스(46c,48c)는 리테이너(44)를 수용한다. 매우 넓은 콘의 각이 이용된다. 즉, 7 또는 1/2의 콘의 각이 이용된다. 마찰면(46a,48a) 및/또는 (26a,28a)가 베이스부재에 고정된 여러 공지된 재료, 즉 열탄소 마찰재료가 이용되는데 이 재료는 미합중국 특허 제 4,700,218; 4,844,218; 4,778,548호에 개재되어 있다. 또한, 이들 특허가 여기에 개재되어 있다.
각각의 핀(50)은 플렌지 개구부(42c)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한 주직경부(50a), 마찰링(46,48) 사이(여기서 중간)에서 이격된 감소한 직경 또는 홈부(50b) 및 핀축에 수직인 평면에 대한 각으로 서로로부터 연장되고 핀축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방사상으로 연장한 원주 블록커 쇼울더 또는 면(50c,50d)을 포함한다.
각각의 플렌지 개구부내에 위치될 때, 홈 부분에 의해 플렌지에 대한 강철 마찰링과 핀 어샘블리가 플렌지 개구부(42c) 주위에 형성된 챔프된 블록커 쇼울더와 핀 블록커 쇼울더를 맞물리게 한다. 이들 핀은 공지된 방식으로 마찰링(46,48)에 고정되어 있다.
프리 에너자이저 어샘블리(52)는 스플릿 핀형이고, 앞에서 언급한 미합중국 특허 제5,339,936호에 자세히 설명되었다. 각각의 프리 에너자이저 어샘블리 개구부(42c) 사이에서 교대로 이격되고 개구부(42d)를 통해 마찰링(46,48) 사이에 축방향으로연장해 있다. 도 3에만 도시된 두 개의 동일한 쉘(54), 이 쉘 사이에서 샌드위치되어 이를 바이어싱하는 두 개 이상의 동일한 리프 스프링(56), 스프링의 단(56a)에 끼어 넣어진 두 개의 리테이너(58) 및 각각의 마찰링(46,48)의 직사각형 리세스(46b,48b)에 배설된 직사각형의 컵모양의 부재(60)를 포함한다. 직사각형의 컵모양의 부재(60)와 리세스(46b,48b)는 마찰링의 원주 방향으로 새장되어 있고, 마찰링의 방사상 방향으로 길이가 충분하여서 쉘(54)의 대향단(54a)의 요동 운동을 허여한다. 각각의 쉘(54)은 챔프된 단면(54c)의 대향단(54a)의 요동 운동을 허여한다. 각각의 쉘(54)은 챔프된 단면(54c)을 지닌 반 환상 홈(54b) 및 이의 단(54a)과 함께 스퀴즈될 때, 관련 개구부(42d)의 직경보다 작은 주직경을 지닌다. 공지되어 있듯이, 단(54a)은 마찰링(46,48)에 대해 반작용하고 챔프(54c)는 플렌지(42)의 초기 맞물림 운동에 응답하여 플렌지(42)의 개구부(42d) 주위로 챔퍼에 대해 반작용한다. 컵모양의 부재(60)는 마모 방지 재료를 제공하기 위해 마찰링(46,48)과 단(54a) 사이를 단단히 인터패이스한다.
예를 들어, 컵모양의 부재는 강철로 만들어지고 마찰링은 알루미늄 또는 기타의 연질 재료로 되어 있다.
전에 언급했듯이, 죠우부재(34,36)는 샤프트에 고정된 외부 스플라인 이빨(12d)과 요동할 수 있게 정합하는 내부 스플라인 이빨(38,40)을 포함한다.
외부 스플라인은 샤프트 측에 평행하게 연장한 플랭크면을 지니고 죠우부재 스플라인의 플랭크면과의 정합이 이들 사이의 상대 회전을 방지한다.
또한, 플렌지(42)는 이의 대향측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한 스티퍼링(42e,24f)과 샤프트 환상부재(12d)의 외부 원주의 리세스(18)안으로 방사상으로 돌출한 자기통전 이빨(62)을 포함한다. 각각의 이빨(62)은 자기통전 램프면(20a,20b,20c,20d)과 협동하거나 반작용하는 자기통전면(62a,62b,62c,62d)을 포함한다.
각각의 스퍼터링은 죠우부재(34,36)의 방사상 바깥쪽으로 대면하는 환상면(34c,36c)을 수용하는 방사상 안쪽으로 대면하는 면(42h)을 포함한다. 스티퍼링은 제조 및 사용중 플렌지(42)의 축방향으로의 비틀어짐을 감소시킨다. 램프면에 의해 죠우부재(34,36) 및 샤프트(12)에 대한 플런지가 이동이 제한되고 부가적인 축방향 힘을 제공함으로써 플렌지(42)에 가해진 시프트 힘에 의해 맞물린 콘클러치의 맞물림 힘을 증가시키기 위해 콘 클러치와 샤프트사이의 동기 토오크를 작용시킴으로써 콘 클러치에 의해 제공된 동기 토오크를 증대시킨다. 램프면은 업, 다운 시프트 중, 양방향의 토오크에 응답하여 기어에 대한 동기힘을 증대시키거나 동기 힘을 증대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리테이너(44)는 죠우부재(34,36)의 방사상 바깥으로 연장한 부분(34b,36b) 주위에 위치하고 축방향으로 멀리 이격된 축방향으로 연장한 부분(44a) 및 죠우부재(34,36)의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부분(34b',36b')을 포함하는 방사상 안쪽으로 연장한 부분(44b)을 포함한다. 리테이너는 이들 사이에서 상대적인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플렌지(42)의 관통구멍(42e)에 느슨하게 연장되어 있다.
각각의 축방향으로 연장한 부분은 마찰링 리세스(46c,48c)에 수용되어 리세스의 방사상 안쪽으로 대향하는 관계로 축방향으로 멀리 이격되고 방사상 바깥으로 마주한 부분(44c)을 지닌다. 부분(44c)은 리세스의 안쪽으로 대향하는 부분과 매우 근접한 관계를 유지하도록 매우 길다. 기어(14,16)는 죠우부재가 맞물릴 때 리테이너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축방향으로 연장한 리세스(14a,16a)를 포함한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리세스(46c,48c)의 축방향으로 연장한 측이 리테이너의 원주 공간을 유지한다. 샤프트(12)에 고정된 램프면(20a,20b)은 플렌지 이빨(62)상의 램프면(62a,62b)에 반작용하여 양방향의 토오크에 응답하여 동기 및/또는 기어(16)의 시프트량을 증대시키거나 도와 준다. 램프면(20c,20d)은 부가적인 축방향 힘을 제공하여 양방향으로의 동기 토오크의 응답을 위해 플렌지 이빨(62)상의 램프면(62a,62b)에 대하여 반작용한다. 램프면의 각도는 업 및 다움 시프 중 및 고, 저 소비도안 부가적인 축방향 힘의 상이한 량을 제공하기 위해 변할 수 있다. 또한 부가적인 축방향 힘이 하나 이상의 기어에 대해 한쪽 방향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면, 램프면이 샤프트 축에 평행할 수 있다. 즉 효과적인 램프면이 제공되지 않는다. 후술되어 있듯이, 축방향의 부가적인 힘의 크기 또는 양이 마찰클러치 및 자기통전 램프의 평균 반경비의 기능이다. 따라서, 시프트에 의해 시프트 플렌지(42)에 공급된 소정의 시프트 힘에 대한 부가적인 힘의 크기는 램프각 및/또는 평균 반경비를 변경시킴으로써 변할 수 있다.
플렌지(42)가 도 1의 중립위치에 있을 때, 핀(50)의 검소한 직경부분(50b)이 이와 관련된 플렌지 개구부(42c)와 방사상으로 일치되어 있고, 콘클러치의 마찰면이 약간 이격되고 스프링(56) 힘에 플렌지 개구부(42d) 주위의 프리 에너자이저 면에 작용하는 프리 에너자이저(52)의 각이진 프리 에너자이저면(54c)에 의해 이격된 관계로 유지된다. 프리 에너자이저면에 의해 제공된 축방향 힘이 콘 클러치면사이의 오일의 점성쉬어로 인해 자기통전 램프에 의해 플렌지(42)상의 부가적인 축방향 힘을 역작용하는데 충분하다. 기어를 샤프트에 커플하는 것이 바람직할 때, 미합중국 특허 제4,920,815호에 개시되어 있듯이, 사프트(12)의 축을 따라 축방향으로 플렌지를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기어(14)를 커플하여 왼쪽으로 이동시키거나 기어(16)를 커플하기 위해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공지된 방식으로 플렌지(42)의 외주변에 연결되어 있다. 시프트 메카니즘은 링케이지 시스템을 통해 오퍼레이터에 의해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고, 액츄에이터에 의해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거나 메카니즘 이동을 자동으로 개시하고 시프트 메카니즘에 의해 가해진 힘의 크기를 제어하는 수단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시프트 메카니즘이 수동으로 이동될 때, 이 힘은 오퍼레이터에 의해 시프트 레버에 가해진 힘에 비례한다. 수동으로 가해지든 자동으로 가해지든, 힘이 축방향으로 플렌지(42)에 가해지고 도 8에서 화살표 F0로 표시하였다.
오퍼레이터 시프트 힘 F0에 의한 플렌지(42)의 초기의 오른쪽의 운동은 프리 에너자이저면(54c)에 의해 핀(50)에 전달되어 콘면(28a)과 콘면(48a)의 초기 마찰 맞물림을 실행한다. 콘면의 초기 맞물림 힘은 스프링(56)의 힘 및 프리 에너자이저면의 각도의 기능이다. (비동기 상태가 존재하고 자기 통전 램프의 효과를 일시적으로 무시하면) 초기 마찰 맞물림은 초기 콘 클러치 맞물림 힘과 동기 토오크 T0을 발생하여 플렌지(42)와 맞물림 마찰링 사이의 제한된 상대회전을 보장하여 플렌지 개구부(42c)의 적절한 측으로의 감소한 직경의 핀부분(50b)의 운동을 보장함으로써 개구부(42c) 주위에 배설된 블록커 쇼울더와 핀 블록커 쇼울더(50d)의 맞물림을 제공한다. 블록커 쇼울더가 맞물릴 때, 플렌지(42)상의 전체 오퍼레이터 시프트 힘 F0가 블록커 쇼울터를 경유하여 마찰링(48)에 전달되어 콘 클러치가 오퍼레이터 시프트 힘 F0의 전에 힘에 의해 맞물리게 되어 오퍼레이터 동기 토오크 T0을 제공한다. 이 오퍼레이터 동기 토오크 T0는 도 8에서 화살표 T0로 표시되어 있다. 블록커 쇼울더가 오퍼레이터 시프트 힘 F0의 축방향에 대해 각을 지어 배설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은 콘 클러치로부터의 동기 토오크에 반대인 역힘 또는 언블록킹 토오크를 발생시키지 않은 동기 상태중 가장 크기가 작다. 실질적인 동기 메카니즘이 도달하기 때문에, 동기 토오크가 언 블록킹 토오크 이하로 강하됨으로써 블록커가 쇼울더 개구부(42c)와의 동심관계로 이동함으로써 플렌지의 연소된 축방향 이동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외부 스플라인/죠우부재의 죠우이빨(40)과의 죠우부재(36)의 내부 스플라인/죠우이빨의 맞물림을 허락한다. 스플라인/죠우 이빨이 여기에 참고로 포함한 미합중국 특허 제3,265,173호 및 제4,264,993호에 도시되어 있다.
자기 통전램프의 효과를 무시하면, 힘 F0에 의해 제공된 콘 클러치는 식 (1)로 나타난다.
T0=F0RCμC/sinα(1)
여기서,
RC=콘 마찰면의 평균 반경
μC=콘 마찰면의 마찰계수
α=콘 마찰면의 각
자기 램프의 효과에서도 도 6 및 도 7에 대하여 오퍼레이터 작용 축방향 시프트힘 F0로 인한 동기 통크 T0가 핀(50)에 의해 플렌지(42)에 전달되고 자기 통전 램프면을 따라 샤프트(12)에 반작용한다. 맞물리는 경우, 자기통전 램프면이 샤프트 및 죠우부재(34,36)에 대한 플렌지의 회전을 제한하고 시프트 힘 F0와 동일한 방향으로 플렌지에 작용하는 축방향 힘성분 또는 축방향 부가적인 힘 Fa을 발생시키어 이 힘이 전체힘 Fb을 제공하도록 합해져서 전체 토오크 Tb을 제공하도록 토오크 Ta을 더하는 부가적인 동기 토오브 Ta을 제공하도록 콘 클러치의 맞물림 힘을 증가시킨다. 도 6은 플렌지(42)가 도 1의 위치에 해당하는 중립위치에 있는 동안 도 6은 자기통전 램프면의 위치를 도시한다. 기어(16)가 맞물린 콘 클러치(28a,48a)에 의해 동기되는 동안 도 7은 램프 및 스플라인의 위치를 도시한다.
맞물린 콘면은 샤프트 램프면(20a)과의 플렌지 램프면(62a)의 맞물림을 행하는 방향으로 동기 토오크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콘 클러치를 맞물리는 축방향 힘의 합은 F0+Fa이고 동기 토오크의 합은 도8에 그래프로 도시되어 있듯이, 콘 클러치에 의해 발생하는 이는 T0+Ta이다. 소정의 오퍼레이터 시프트 힘 F0및 오퍼레이터 동기 토오크 T0에 대하여 축방향 부가적인 힘의 크기는 맞물린 자기통전 램프면의 각의 함수이다. 이 각은 동기 토오크를 충분히 증가시키기 위해 충분한 크기의 부가적인 힘 Fa을 발생하는데 충분한 것이 바람직하고 오퍼레이터에 의한 소정의 중간의 시프트 노력에 응답하여 동기시간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이 각은 제어된 부가적인 힘 Fa을 발생하도록 충분히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Fa는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힘 F0에 응답하여 증가 또는 감소되어야 한다. 램프각이 매우 크면, 램프는 자기통전이 아니라 자기 록킹이어서, 콘 클러치의 초기 맞물림이 수행될 때 F0는 이 힘에 관계없이 제어할 수 없게 신속히 증가한다. 자기 통전이 아니라 자기 록킹이 시프트 특성과 시프트 감을 감소시키는데 이는 응력 동기장치 부품위에서 있을 수 있고, 시프트 레버의 오퍼레이터의 운동을 오버라이드한다.
자기통전 램프각을 산출하는 주요식이 위에서 언급한 미합중국 특허 제5,092,439호에 개시되어 있다.
편형 동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개재되어 있고, 본 발명의 청구범위내에서 여러 수정과 변경이 가능하다.
내용없음

Claims (2)

  1. 샤프트(12)의 축(12a) 주위로 상대회전을 위해 설치된 제1 또는 제2드라이브(14,16)를 마찰적으로 동기화하여 확동 연결하도록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편형 동기장치(22)는,
    제1 및 제2드라이브(14,16)에 각각 고정되고 드라이브 사이에 위치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3 및 제4죠우부재(34,36)와 각각 맞물릴 수 있고 이 드라이브와 제3 및 제4죠우부재(34,36)는 샤프트(12)에 고정된 외부 스플라인(12g)과의 비상대회전을 위해 요동할 수 있게 정합하는 내부 스플라인(38,40)을 지닌 제1 및 제2죠우 클러치 부재(30,32);
    제1 및 제2드라이브(14,16)와 회전하기 위해 고정된 제1 및 제2콘 마찰링(26,28)과 샤프트에 동심이고, 드라이브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제1 및 제2마찰링과의 마찰맞물림을 하여 동기 토오크를 제공함으로써 드라이브를 샤프트와 동기하는 제3 및 제4마찰링(46,48);
    제3 및 제4죠우부재(34,36) 사이 및 제3 및 제4마찰링(46,48) 사이에 배설된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측(42a,42b)을 지니고 플렌지에 가해진 축 양방향 시프트 힘(F0)의 응답에 따라 죠우부재와 링을 상기 맞물림으로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축방향으로 연장한 플렌지(42);
    동기전에 죠우부재(30,38 및 32,40)의 맞물림을 방지하기 위해 맞물릴 때 작동하고 제3 및 제4마찰링(46,48) 사이 및 플렌지의 제1세트의 개구부(42c)로 축 방향으로 연장하고 관련된 개구부(42c) 주위에 형성된 블록키 쇼울더와 맞물릴 수 있는 다수의 원주로 이격된 핀(50)을 포함하는 블록커수단(50c,50d);
    중립위치로부터 드라이브(14,16)쪽으로 시프트힘(F0)에 의해 플렌지(42)의 초기 축방향 운동에 응답하여 제3 및 제4마찰링(46,48)의 초기 맞물림힘을 발생하고 플렌지의 제2세트의 개구부(42d)를 포함하고 제1세트의 개구부(42c) 사이에 배설되고 스프링 어샘블링(54)는 상기 초기 맞물림힘을 발생하기 위해 제2세트의 각각의 개구부(42d)를 통해 그리고 제3 및 제4마찰링(46,48) 사이에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각각의 스프링 어샘블리는 제3 및 제4마찰링(46,48)의 리세스(46b,48b)에 수용된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단(54a)을 지닌 프리 에너자이저 수단(52)을 구비한 핀형 동기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리세스(46b,48b)에 배설되고 스프링 어샘블리의 관련된 단(54a)을 수용하고 마찰링의 재료보다 손상 저항이 큰 재료로 된 컴형상의 부재(60)를 특징으로 하는 핀형 동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각각의 스프링 어샘블리는 샌드위치되고 쉘을 머리 바이어싱하는 제1 및 제2대향하는 립 스프링(56)을 지닌 한쌍의 강철 쉘(54)을 포함하고 각각의 한쌍의 쉘은 원통형 외면을 형성하고 방사상 바깥으로 개방된 환상 디텐트 홈(54b)의 제2세트의 개구부(42d)중 하나의 주변면을 수용하고;
    각각의 리세스(46b,48b) 및 컴모양의 부재(60)은 원주방향으로 쉘의 대향단(54a)의 요동운동을 허락하기 위해 마찰링의 방사상 방향으로 충분한 두께와 마찰링의 원주방향으로 새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형 동기장치.
KR1019970047243A 1996-09-16 1997-09-12 핀형 동기장치 KR199800246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714,730 US5865287A (en) 1996-09-16 1996-09-16 Pin-type synchronizer
US714,730 1996-09-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639A true KR19980024639A (ko) 1998-07-06

Family

ID=24871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7243A KR19980024639A (ko) 1996-09-16 1997-09-12 핀형 동기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865287A (ko)
EP (1) EP0836025A1 (ko)
JP (1) JPH10103376A (ko)
KR (1) KR19980024639A (ko)
CN (1) CN1180797A (ko)
BR (1) BR970287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4535A (en) * 1997-08-11 1999-07-20 Eaton Corporation Pin-type synchronizer with self-energizing ramp means providing force for maintaining engagement of jaw members
DE10109653B4 (de) * 2001-02-28 2012-05-03 Volkswagen Ag Sperrsynchronisiervorrichtung
US7306216B2 (en) * 2002-12-30 2007-1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power switching apparatus, and driving apparatus of multi-function machine using the same
US20050050707A1 (en) * 2003-09-05 2005-03-10 Scott Joshua Lynn Tip tool
EP2478242B1 (de) * 2009-09-14 2018-08-22 Hoerbiger Antriebstechnik Holding GmbH Baugruppe mit zwei synchronringen
CN104179822B (zh) * 2014-08-29 2017-05-10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同步器
WO2017013621A1 (en) * 2015-07-22 2017-01-26 Eaton Corporation Boosted synchronizer pack with reduced axial length
US10323720B2 (en) 2016-06-20 2019-06-18 Deere & Company Hydraulic synchronizer
FR3060078B1 (fr) * 2016-12-08 2019-01-25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ysteme de synchronisation pour boite de vitesses comprenant un manchon avec flasque central
KR101950092B1 (ko) * 2017-06-22 2019-02-19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핀형 싱크로나이저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65173A (en) 1961-12-18 1966-08-09 Eaton Mfg Co Sliding clutch gear
FR1555576A (ko) * 1967-07-21 1969-01-31
US4018319A (en) * 1976-01-28 1977-04-19 Clark Equipment Company Synchronizer assembly
US4246993A (en) 1978-05-01 1981-01-27 Eaton Corporation Synchronizer for transmissions
JPS54165667U (ko) * 1978-05-13 1979-11-20
US4700823A (en) 1980-03-28 1987-10-20 Eaton Corporation Clutch with pyrolytic carbon friction material
US4462489A (en) * 1981-07-31 1984-07-31 Eaton Corporation Synchronizer spring pin
EP0071362B1 (en) * 1981-07-31 1985-10-02 Eaton Corporation Synchronizer spring pin
US4624352A (en) * 1985-07-29 1986-11-25 Dana Corporation Synchronizer spring pin
US4778548A (en) 1987-07-24 1988-10-18 Fox Joseph R Bonding woven carbon fabric friction materials
US4844218A (en) 1988-03-28 1989-07-04 Eaton Corporation Friction material configuration
US4920815A (en) 1989-04-24 1990-05-01 Eaton Corporation Single shaft shifting mechanism
US5092439A (en) * 1990-12-24 1992-03-03 Eaton Corporation Synchronizer with deep splines & improved boost ramps
US5078244A (en) * 1990-12-24 1992-01-07 Eaton Corporation Self-energizing synchronizer
US5339936A (en) * 1993-05-24 1994-08-23 Eaton Corporation Synchronizer pre-energizer spring system
US5544727A (en) * 1993-12-27 1996-08-13 Eaton Corporation Synchronizer with self-energiz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65287A (en) 1999-02-02
JPH10103376A (ja) 1998-04-21
CN1180797A (zh) 1998-05-06
MX9707044A (es) 1998-05-31
BR9702873A (pt) 1998-12-22
EP0836025A1 (en) 1998-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5756B1 (ko) 자기 에너자이징 동기장치
KR19980024640A (ko) 핀형 동기장치
KR19980024639A (ko) 핀형 동기장치
KR19980024642A (ko) 핀형 동기장치
KR19980024641A (ko) 핀형 동기장치
US6419063B1 (en) Self-energizing synchronizer
US6102180A (en) Pin-type synchronizer
US5957257A (en) Self-energizing synchronizer including force limiting
US5819900A (en) Pin-type synchronizer
EP0059601A1 (en) Rotary high power transmission arrangement
US5924535A (en) Pin-type synchronizer with self-energizing ramp means providing force for maintaining engagement of jaw members
USRE35796E (en) Self-energizing synchron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