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4135A - Brackets used to make the vertical frame horizontal and a method of leveling - Google Patents

Brackets used to make the vertical frame horizontal and a method of level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4135A
KR19980024135A KR1019970037816A KR19970037816A KR19980024135A KR 19980024135 A KR19980024135 A KR 19980024135A KR 1019970037816 A KR1019970037816 A KR 1019970037816A KR 19970037816 A KR19970037816 A KR 19970037816A KR 19980024135 A KR19980024135 A KR 19980024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rame
nail
brackets
vertical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78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228511B1 (en
Inventor
신이찌 노가미
Original Assignee
신이찌 노가미
박준욱
주식회사 세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이찌 노가미, 박준욱, 주식회사 세양 filed Critical 신이찌 노가미
Publication of KR19980024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1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8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8511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2011/067Integrated forms comprising shuttering skin, 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workplatforms and railings

Abstract

본 발명은, 요철(凹凸)이 있는 콘크리트 마루면상에 벽체 등을 타설하는 수직형틀구을 동일수준면으로 정돈하여 입설(立設)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수직형틀이 수평이 되도록 하는데 쓰이는 금구 및 수평이 되도록 하는 공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vertically frame the vertical frame for placing walls and the like on the concrete floor surface with unevenness to the same level surface for easy and quick work, the vertical frame is horizontal Provide brackets and leveling techniques for use.

콘크리트 마루면상에 수직형틀을 재치(載置)하는 잔목(棧木)(B)을 수직형틀군의 설치 라인을 따라서 종열상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놓고, 그 윗면에 수직형틀의 밑면을 받아 지지할만한 크기의 판자편형상(板片狀)의 본체부(1)의 하측에 손톱 모양 다리부(2)(2A, 2B)가 돌설된 수평이 되도록 하는데 쓰이는 금구(A)를, 수직형틀의 폭 치수보다도 좁은 간격을 두고 적당히 박아 넣으면서, 각 수평이 되도록 하는데 쓰이는 금구의 상단면이 수평이 되도록 하고, 이들의 금구 사이에 걸치게 하여 수직형틀군을 옆으로 늘어서게 입설한다.On the concrete floor surface, the remnants of the vertical frame (B) are placed so that they do not move vertically along the installation line of the vertical frame group, and the size of the vertical fram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is supported. The metal bracket A used to make the nail-shaped legs 2 (2A, 2B) protrude horizontally below the main body portion 1 of the board piece shape of the board piece, rather than the width of the vertical frame. Put a small gap and put it in the right place,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s used to make each horizontal level, and the vertical frame group is placed side by side across the brackets.

Description

수직형틀이 수평이 되도록 하는데 쓰이는 금구 및 수평이 되도록 하는 공법Brackets used to make the vertical frame horizontal and a method of leveling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수평이 되도록 하는데 쓰이는 금구가 옆으로 길게 쓰러진 상태에서 안쪽에서 본 사시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inside in a state where the bracket used to be horizontally collapsed to the side.

제2도는 전술한 바와 같고, 수평이 되도록 하는데 쓰이는 금구의 종단면도이다.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bracket as described above and used to be horizontal.

제3도는 전술한 바와 같도, 수평이 되도록 하는데 쓰이는 금구를 평탄하게 전개한 상태의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metal fittings used for making it horizontal are unfolded as mentioned above.

제4도는 전술한 바와 같고, 수평이 되도록 하는 공법을 설명한 부분확대 종단면도이다.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method as described above and explaining a method of making horizontal.

제5도는 수평이 되도록 하는 공법을 설명한 부분 정면도이다.5 is a partial front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making horizontal.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의 수평이 되도록 하는데 쓰이는 금구를 나타내는 제3도 상당도(相當圖)이다.FIG. 6 is a diagram corresponding to FIG. 3 showing the bracket used for leveling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3실시예의 수평이 되도록 하는데 쓰이는 금구를 나타내는 제3도 상당도이다.FIG. 7 is a diagram corresponding to FIG. 3 showing the bracket used for leveling 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8도는 종래예를 나타내는 제5도 상당도이다.8 is a diagram corresponding to FIG. 5 showing a conventional example.

제9도는 전술한 바와 같고, 제4도 상당도이다.9 is as described above, and FIG. 4 is also equivalent.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Brief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A1~A3:수평이 되도록 하는데 쓰이는 금구B:잔목(棧木)A1 to A3: Brackets used to level the surface B: Twigs

F: 콘크리트를 타설한후의 콘크리트 마루면1:본체부F: Concrete floor surface after pouring concrete 1: Main body

2(2A, 2B):손톱모양 다리부3:수직하부편2 (2A, 2B): Nail-shaped leg part 3: Vertical lower part

4:못구멍5:못4: nail hole 5: nail

a, c:잘린 곳b, d, e:접은 금a, c: cut b, d, e: folded gold

g:틈50:수직형틀g: gap 50: vertical mold

51:쐐기52:목편51: wedge 52: neck piece

본 발명은,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요철이 있는 콘크리트 마루면상에 벽체등을 타설하는 수직형틀군을 각각의 밑면이 동일수준면으로 정돈된 상태에서 옆으로 늘어서게 입설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수직 형틀이 수평이 되도록 하는데 쓰이는 금구 및 수평이 되도록 하는 공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and quick to place the vertical frame group for placing walls on the concrete floor surface with unevenness after pouring concrete side by side in a state where each base is arranged to the same level surface easily and quickly It is related to the tool used to make the vertical mold horizontal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o make it horizontal.

제8도, 9도에 거칠게 친 콘크리트 마루면상에 벽체 타설용의 형틀을 구축할때의, 종래의 수평이 되도록 하는 공법을 도식적으로 나타냈다.8 and 9, a conventional method for leveling the wall when constructing a wall casting mold on a concrete floor surface roughly shown is shown schematically.

콘크리트를 타설한 그대로의 콘크리트 마루면(F)은 마루면 전체로서는 물론 수평이 유지되어 있기는 하지만, 부분적으로 보면 요철이 꽤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Although the concrete floor surface F, as it is, is horizontally maintained as a whole of the floor surface, it is common that there are quite some irregularities.

제8도에 과장하여 나타냈듯이, 이 요철이 있는 콘크리트 마루면(F)상에 벽체를 타설하기 위한 수직형틀(50)군을 동일수주면으로 정돈하여 옆으로 늘어서게 정렬상태로 입설하는데에, 종래에는 목제의 쐐기(51)나 목편(52)을 사용하고 있었다.As exaggerated in FIG. 8, the group of vertical molds 50 for placing walls on this uneven concrete floor surface F is arranged in the same order surface and placed side by side, Conventionally, the wooden wedge 51 and the wood piece 52 were used.

그 방법은, 장소마다 상이한 콘크리트 마루면의 요철 정도에 대응하기 위하여 높이 치수나 경사각이 다른 다수의 쐐기(51)를 미리 만들어 둔다.In this method, a plurality of wedges 51 having different height dimensions or inclination angles are made in advance in order to correspond to the degree of irregularities of the concrete floor surface that varies from place to place.

또한, 형틀의 구축현장에서는 제8도에 나타냈듯이, 필요에 따라서 하나 하나의 수직형틀(50)의 동일 높이 위치에 표시 마크(v)를 표시한 뒤에 수평이 되도록 하는데 쓰이는 수준사(水準絲)(w)를 장설(張設)해 둔다.Also, in the construction site of the mold, as shown in FIG. 8, the level yarn used for leveling the display mark v at the same height position of one vertical mold 50 as necessary, and then leveling it. (w) is installed.

그리고, 작업자는 준비된 여러 종류의 쐐기(51) 다수개를 갖고 걸어다니면서, 요철이 있는 콘크리트 마루면(F)상에 세워 놓은 수직형틀(50)의 표시 마크(v)가 수준사(w)와 일치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조사한다.Then, the worker walks with a plurality of prepared wedges (51), while the marking mark (v) of the vertical frame (50) standing on the uneven concrete floor surface (F) is the level yarn (w) Check if there is a match.

그리고, 표시 마크(v)의 위치가 수준사(w)보다 낮은 곳에서는 그 어긋난 치수에 대응한 사이즈의 쐐기(51)를 골라쓰거나, 또는 작업현장에서 이곳에 적합한 사이즈의 쐐기(51)나 목편(52)을 잘라서 수직형틀(50)의 밑면과 콘크리트 마루면(F)의 사이에 쐐기(51)를 박아 넣어, 표시 마크(v)와 수준사(w)가 일치할때까지 수직형 틀(50)을 들어 올리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었다.Where the position of the marking mark v is lower than the level yarns w, the wedge 51 of the size corresponding to the shifted dimension is selected, or the wedge 51 or the neck piece of the size suitable for this at the work site. (52) and cut the wedge 51 between the bottom of the vertical mold 50 and the concrete floor surface F, until the mark mark (v) and the level yarn (w) coincide with each other. 50) was adopted to lift.

또한, 틈이 큰 곳 등에는 복수개의 쐐기(51)나 목편(52)을 겹쳐 쌓아 끼워 넣는 번잡한 방법도 채택하고 있었다.In addition, in a large space and the like, a complicated method of stacking and inserting a plurality of wedges 51 and a piece of wood 52 has also been adopted.

또는, 수직형틀(50)을 콘크리트 마루면에 직접 놓지 않고, 마루면에 종열상으로 잔목을 놓고 움직이지 않도록 놓고 못을 박아 고정하고 그 잔목위에 열을지어 설치(列設)하는 공법도 채택되고 있었다.Alternatively, the vertical frame 50 is not directly placed on the concrete floor surface, but the vertically laid twigs on the floor surface are placed so as not to move, and the nails are fixed by fixing them, and a row is installed on the twigs. there was.

그러나, 상기 종래 공법에는 이하에 열거한 것과 같은 많은 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 conventional methods have many difficulties as listed below.

(a) 여러 가지 사이즈의 다수개의 쐐기나 목편을 준비하는데에 많은 노력과 시간을 요한다.(a) It takes a lot of effort and time to prepare several wedges or pieces of wood of various sizes.

(b) 콘크리트면의 요철 상태에 따라서 최적의 쐐기나 목편을 골라내기 위한 수고와 경험을 요한다.(b) It takes effort and experience to select the best wedge or wood piece depending on the unevenness of the concrete surface.

(c) 수직형틀과 쐐기의 닿는면은 경사져 있기 때문에 이 경사분 만큼 여분으로 형틀을 들러 올림으로써, 그 만큼 콘크리트 마루면과 수지형틀의 밑면 사이의 틈이 벌어진다.(c) Since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vertical mold and the wedge is inclined, the space between the concrete floor and the bottom of the resin mold is opened by lifting the mold extra by this slope.

(d) 그 때문에, 이 틈으로부터 유출되어 경화된 콘크리트의 제거작업에 여분의노력과, 시간이 걸린다.(d) Therefore, extra effort and time are required for the removal of the hardened concrete that flows out of this gap.

(e) 콘크리트 타설후에 쐐기나 목편을 제거하는 작업도 번잡하다.(e) Removing wedges or wood chips after concrete casting is cumbersome.

(f) 쐬기나 목편은 재사용이 거의 불가능하다.(f) It is almost impossible to reuse or recycle wood.

본 발명의 목적은, 틀을 떼어낸 요철이 있는 콘크리트 마루면상에 벽체 등을 타설하는 수직형틀군을 동일수준면을 입설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수직형틀이 수평이 되도록 하는데 쓰이는 금구 및 수평이 되도록 하는 공법을 제공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the vertical frame horizontal to make the work of laying the same level easily and quickly in the vertical frame group for placing walls and the like on the concrete floor surface with the unevenness removed. Provide the tooling and leveling techniques use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수직형틀이 수평이 되도록 하는데 쓰이는 금구는, 요철이 있는 틀을 떼어낸 콘크리트 마루면상에 벽체 등을 타설하는 수직형틀군을 동일수준면으로 가지런히 정리하여 옆으로 늘어서게 배설(配設)하는 작업이 타설후의 후처리 작업을 포함하여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직형틀의 밑면을 받아 충분히 지지할만한 크기의 판자편형상(板片狀)의 본체부(1)와, 그 본체부(1)의 하측에 돌설된 손톱모양 다리부(2)를 갖춘 구성으로 하였다.Brackets used to make the vertical m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horizontal to achieve the above object, by arranging the vertical mold group for placing walls and the like on the concrete floor surface from which the irregularities are removed, The side-by-side excavation work is to be done easily and quickly, including post-working post-casting work. It was set as the structure provided with the main-body part 1 and the nail-shaped leg part 2 which protruded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body part 1.

그리고, 손톱모양 다리부(2)는 절기(切起) 가공에 의해 본체부(1)와 일체로 형성되었다.And the nail-shaped leg part 2 was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body part 1 by seasoning process.

또한, 본체부(1)의 한변에 수직하부편(垂下片)(3) 연설(連設)하고, 이 수직하부편(3)에는 수직형틀의 받침대가 되는 잔목의 측면에 서로 맞대어 고정시키는 못 구멍(4)을 설치하면 된다.In addition, the vertical lower piece 3 is exten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 and the vertical lower piece 3 is nailed to face each other on the side of the remnant that becomes the base of the vertical mold.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provide the hole 4.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수평이 되도록 하는 공법은, 콘크리트 마루면상에 수직형틀을 재치(載置)하는 잔목(B)을 수직형틀군의 설치 라인을 따라서 종열상으로 거치(据置)하는 공법과, 수직형틀의 밑면을 받아 지지할만한 크기의 판편상의 본체부(1)의 하측에 손톱모양 다리부(2)를 돌설한 수평이 되도록 하는데 쓰이는 금구(A)를 복수개 준비하고, 이들 금구를 수직형틀의 폭 치수보다는 좁은 간격을 두고 각각의 손톱모양 다리부(2)를 상기 잔목(B)에 윗면에 박아 넣는 공법과, 각 수평이 되도록 하는데 쓰이는 금구(A)를 박아 넣는 정도를 조절하여 각 금구의 상단면을 동일수준면으로 정돈한 뒤에, 이들 금구 사이에 수직형틀을 걸터앉은 모양으로 입설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였다.In addition, the method of making it horizontal b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thod of placing a remnant B on which a vertical mold is placed on a concrete floor surface in a vertical row along an installation line of a vertical mold group; A plurality of metal brackets (A) used to level the nail-shaped legs (2)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 on the plate piece of a size that can support the bottom of the vertical mold is prepared. The method of driving each nail-shaped leg part 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mnant B at a narrower interval than the width dimension, and adjusting the degree of injecting the metal fittings A used to be horizontal, are adjusted. After the top surface was trimmed to the same level surface, a vertical mold was placed between these brackets in a sitting shape.

이하에, 제1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제1도 및 제2도에 이 실시예의 수평이 되도록 하는데 쓰이는 금구(A1)가 옆으로 길게 쓰러진 상태에서 안쪽에서 본 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나타냈다.1 and 2 are shown as a perspective view, and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viewed from the inside in the state in which the metal fitting A1 used for leveling this embodiment is horizontally collapsed laterally.

또한, 제4도에 요철이 있는 콘크리트 마루면(F)상에 벽체를 타설하는 수직형틀(50)군을 동일수준면으로 정리하여 입설하는 작업에, 본 발명 공법을 적용한 상태를 부분 종단면도로서 나타냈다. 도면중의 50a 및 50b는 수직형틀(50)을 구성하는 합판제 패널 및 그 보강잔목이다.In addition, as a partial longitudinal sectional view,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ethod is applied to the work of arranging and placing the group of vertical molds 50 for placing walls on the concrete floor surface F with irregularities in FIG. Indicated. 50a and 50b in the figure are the plywood panels constituting the vertical mold 50 and its reinforcement twigs.

수평이 되도록 하는데 쓰이는 금구(A1)는 수직형틀(50)의 밑면을 받아 지지할만한 크기, 이 실시예에서는 60mm×40mm각의 판편상의 본체부(1)와, 본체부(1)의 하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돌설한 두 개의 손톱모양 다리부(2A), (2B)와, 본체부의 긴쪽 방향의 한변에 연설한 수직하부면(3)을 갖추고 있다.The metal fitting A1 used to be horizontal is size enough to receive and support the bottom of the vertical mold 50. In this embodiment, the main body 1 on the plate piece of 60 mm x 40 mm angle and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 are predetermined. Two nail-shaped legs 2A and 2B protruded at intervals, and a vertical lower surface 3 address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이 수평이 되도록 하는데 쓰이는 금구(A1)는 제3도에 나타낸 직사각형 금속판(10)에, 타발(打拔) 및 굽힘 가공을 행하는 것 만으로 매우 능률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The metal fitting A1 used to make this horizontal can be produced very efficiently only by punching and bending the rectangular metal plate 10 shown in FIG.

즉, 직사각형 금속판(10)의 접은 금(e)의 우측 부분을 차지하는 본체부(1)에는 그 좌측 부분에 손톱모양 다리부(2A)를 절기(切起)상으로 절곡(折曲)성형 시키기 위한, 거의 V형인 잘린 곳(a)을 설치하고, 이 잘린 곳(a)의 양끝 사이를 접은 금(b)으로 하고 있다. 잘린 곳(a)의 뾰족한 끝은 작업 안전을 위해 둥그스름한 모양을 갖게 하고 있다.In other words, the main body portion 1, which occupies the right side portion of the folded gold e of the rectangular metal plate 10, is bent into a nail shape leg portion 2A on its left side. The cutout (a) which is almost V-shaped is provided, and it is set as the folded gold (b) between the both ends of this cutout (a). The pointed end of the cut (a) has a rounded shape for safety.

또한, 본체부(1)의 우측 부분에는 손톱모양 다리부(2B)를 절기상으로 절곡 성형 시키기 위해 거의 W형인 잘린 곳(c)을 설치하고, 이 잘린 곳(c)의 양끝 사이를 접은 금(d)으로 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right part of the main body 1, an almost W-shaped cutout c is provided in order to bend and shape the nail-shaped leg 2B in a season shape, and the gold folded between both ends of the cutout c is provided. (d).

또한, 양 잘린 곳(a), (c)은 각각의 선단 부분에 있어서 잘린 곳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손톱모양 다리부(2A)의 선단의 첨단부는 하나인 것에 대하여 손톱 모양 다리부(2B)의 첨단부는 두 개로 나뉘어 있다.In addition, since both the cut portions (a) and (c) share the cut portions in the respective tip portions, the tip portion of the tip of the nail-shaped leg portion 2A is one nail-shaped leg portion 2B. The tip of the is divided into two.

그래서, 수평이 되도록 하는데 쓰이는 금구(A1)의 고정과, 그 보강 역할을 겸하는 수하편(3)의 하단 가까이에는 못 구멍(4)을 설치하고 있다.Therefore, the nail hole 4 is provided near the lower end of the drooping piece 3 which serves as the fixing of the metal fitting A1 used to make it horizontal, and its reinforcing role.

다음에, 상기 구성의 작용을 제4도, 5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Next, the effect | action of the said structure is demonstrated, referring FIG. 4, FIG.

우선, 틀을 떼어낸 요철이 있는 콘크리트 마루면(F)애는 수직형틀(50)을 열설(列設)할 곳에 일정한 길이의 잔목(B)의 소요 개수를 종열상으로 거친한 후 못을 박는 등 하여 마루면에 고정시킨다.First, the concrete floor surface (F) with the unevenness to which the mold is detached is subjected to the roughing of the required number of the remnants of a certain length in a vertical position in the vertical frame 50, and then nailed. Secure it to the floor.

이 상태에서, 개개의 잔목(B)은 제5도에 나타냈듯이 콘크리트 마루면(F)의 요철 정도에 따라서 수평면(X-X)에 대하여 각각 어느 정도씩 경사져 있는 것이 통상적인 예이다.In this state, the individual twigs B are inclined to some extent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X-X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irregularities of the concrete floor surface F, as shown in FIG.

따라서, 이 상태에서 수직형틀(50)군을 순차적으로 옆으로 늘어서게 입설해간 것에서는, 각 수직형틀(50)을 동일수준면상으로 정돈하여 정렬시키는 것은 물론 불가능하다.Therefore, in this state, in which the vertical mold 50 groups are placed side by side in sequence, it is impossible to arrange and arrange each vertical mold 50 on the same level plane.

그래서, 종래 기술에 따라, 수준사(w)를 의지하여 수평이 되도록 행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horizontally relying on the level yarn w.

이를 행하는데에는 우선, 종열상으로 나열된 잔목(B)군의 전 길이에 걸쳐서 잔목(B)의 윗면을 다르게 하여 수준사(w)를 가능한 한 낮은 위치에 장설(張設)한다(도시 생략).To do this, first, the level yarn w is laid at a position as low as possible by varying the top surface of the twigs B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groups of twigs B arranged in a columnar phase (not shown).

이것은 각 수직형틀(50)의 밑면과 잔목(B) 사이의 틈(g)(제4도, 5도 참조)을 극히 적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 틈(g)은 약 13mm 이하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is is to minimize the gap g (see FIGS. 4 and 5)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each vertical mold 50 and the twig B. FIG. It is preferable to suppress this clearance g to about 13 mm or less.

다음에, 종렬시킨 잔목(B)의 윗면에 수평이 되도록 하는데 쓰이는 금구(A1)를 수직형틀(50)의 횡폭보다는 좁은 간격을 두고 임시 배치한다. 이것은 하나의 수직형틀(50)을 수평이 되도록 하는데 쓰이는 두개의 금구(A1), (A1)로 받아 지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Next, the bracket A1, which is used to be horizonta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twig B, is temporarily arranged at a narrower interval than the width of the vertical mold 50. As shown in FIG. This is to be supported by two brackets (A1), (A1) used to level one vertical frame (50) horizontal.

이 배치 간격은 수직형틀(50)이 규칙 치수이면, 그에 적합한 간격으로 정해 두면 된다.This arrangement | positioning space should just be set to the space | interval suitable for the vertical frame 50 as long as it is a regular dimension.

임시 배치를 끝내고서, 또는 수평이 되도록 하는데 쓰이는 금구(A1)를 소정 간격으로 배치하면서, 각 수평이 되도록 하는데 쓰이는 금구(A1)를 순차적으로 해머로 잔목(B)의 윗면에 박아 넣어서 각각의 상단(上端)면이 수준사(w)의 높이 위치에 합치할때까지 손톱모양 다리부(2A), (2B)를 잔목(B)에 박히게 된다.After finishing the temporary arrangement or placing the brackets A1, which are used to be horizontal,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brackets A1, which are used to be horizontal, are sequentially hammer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twigs B by using a hammer. The nail-shaped legs (2A) and (2B) are nailed into the twigs (B) until the upper surface matches the level of the level yarn (w).

수평이 되도록 하는데 쓰이는 금구(A1)를 박아 넣는 깊이가 너무 얕거나, 잔목(B)의 재질이 너무 연한 경우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그 무게가 형틀의 조립용 금구를 통하여 수직형틀(50)에도 전달되므로, 손톱모양 다리부(2A), (2B)가 이 무게에 의해 잔목(B)에 박힐 우려가 있다.If the depth to insert the bracket (A1) used to be horizontal or too shallow, or the material of the remnant (B) is too light, when the concrete is placed, the weight of the bracket through the mounting bracket of the mold to the frame 50 Since it is transmitted, the nail-shaped legs 2A and 2B may get stuck in the remnant B by this weight.

이 우려를 없애는 데에는 제4도에 나타냈듯이 수직편(3)의 못 구멍(4)을 통하여 고정못(5)을 잔목(B)에 박아 넣으면 된다.In order to eliminate this concern, as shown in FIG. 4, the fixing nail 5 may be driven into the twig B through the nail hole 4 of the vertical piece 3.

이 일련의 작업에는 아무런 숙련된 기술도 요하지 않고, 각 수평이 되도록 하는데 쓰이는 금구(A1)의 상단면이 수평이 되게 하는 것도 매우 간단하고 신속하게 끝낼 수 있다.This series of tasks do not require any skilled skills, and it is very simple and quick to make the top surface of the metal fitting A1 used to be horizontal.

그리고, 수평이 되도록 하는 작업을 끝낸 수평이 되도록 하는데 쓰이는 금구(A1)군의 윗면에는 제5도에 나타냈듯이, 수직형틀(50)을 순차적으로 옆으로 늘어서게 입설한 뒤에 소요 지지보관공정을 행하면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의 조립은 완료한다.And, as shown in FIG. 5,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A1) group, which is used to make the horizontal work after the work to be horizontal, is placed vertically in a row next to the frame 50, and then the necessary support storage process is performed. If done, the assembly of the concrete casting mold is completed.

수직형틀(50)이 기둥 타설용인 경우에는 수준사를 띠울 필요 조차 없이, 배치 간격이 좁은 두 개의 수평이 되도록 하는데 쓰이는 금구(A1), (A1) 사이에 직접 또는 건너지른 나무를 통하여 수준기를 대는 방법으로, 수평이 되도록 하는 작업을 행하여도 된다.If the vertical frame 50 is for pillar casting, it is not necessary to have a level thread, but the level is applied directly or across the tree between the brackets (A1) and (A1), which are used to make the two horizontal gaps narrow. You may perform the operation to make it horizontal.

형틀을 쌓아 올린 상태에서, 수평이 되도록 하는데 쓰이는 금구(A1)의 윗면은 종래의 쐐기(51)와는 달리 수평이므로(제7도 참조), 수직형틀(50)의 밑면과 콘크리트 마루면(F)의 사이의 틈(g)을 약 13mm 이하의 필요 최소한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metal fittings A1 used to be horizontal in the stacked form of the mold is horizontal unlike the conventional wedge 51 (see FIG. 7), the bottom of the vertical mold 50 and the concrete floor surface F The gap g between the can be fixed to a minimum required of about 13 mm or less.

그 때문에, 형틀에 콘크리트를 주입했을때에 그 골재가 틈(g)을 막도록 작용하는 일에도 도움이 되어, 종래 기술과 같이 이 틈(g)으로부터 콘크리트가 다량 누출될 우려는 거의 해소된다.Therefore, when the concrete is injected into the mold, the aggregate also helps to prevent the gap g, and as in the prior art, there is almost no possibility that a large amount of concrete leaks from this gap g.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필요했던 누출 콘크리트 덩어리의 번잡한 따내기 작업은 거의 불필요해진다.Therefore, the troublesome plucking of the leaked concrete mass required in the prior art is almost unnecessary.

또한, 골재를 포함하지 않는 소위 시멘트몰탈이 틈(g)에 침입하여 고화되어도 잔목(B)에 부착상태인 이 콘크리트는 수직형틀(50)과 잔목(B)을 철거할 때에 잔목(B)과 함께 자연히 벗겨져 떨어진다.In addition, even if the so-called cement mortar that does not contain aggregates enters the gap g and solidifies, this concrete, which is attached to the remnant B, remains unchanged when the vertical mold 50 and the remnant B are demolished. It comes off naturally together.

제6도에, 제2실시예의 수평이 되도록 하는데 쓰이는 금구(A2)를 직사각형 금속판에 전개한 상태로 나타냈다.In FIG. 6, the metal fitting A2 used to make it horizontal in the 2nd Example was shown in the state which developed on the rectangular metal plate.

제1실시예와의 상이점은 손톱모양 다리부(2A)의 형상이 조금 다른데에 있다.The difference from the first embodiment is that the shape of the nail leg portion 2A is slightly different.

제7도는, 제3실시예의 수평이 되도록 하는데 쓰이는 금구(A3)를 직사각형 금속판에 전개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FIG. 7 shows the bracket A3 used to level the third embodiment in a state where the rectangular metal plate is developed.

제1, 2실시예와의 상이점은 손톱모양 다리부(2A), (2B)가 삼각형을 이루고 있는데에 있다.The difference from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s that the nail-shaped legs 2A and 2B form a triangle.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세부 구조는 적당히 설계 변경하여도 본 발명의 목적은 달성된다.Moreover, in the said structure, even if the detailed structure is changed suitably, the objective of this invention is achieved.

예를 들어, 손톱모양 다리부(2A), (2B)의 형상은 물론 도시에 한정되지 않고, 박아 넣는 저항을 적당히 받으면서도 비교적 용이하게 잔목(B)에 박아 넣을 수 있는 형상이면 충분하다.For example, the shape of the nail-shaped legs 2A and 2B is, of course, not limited to the illustration, and a shape that can be relatively easily driven into the twigs B while receiving the resistance to drive is adequate.

이상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듯이, 본 발명에 의한 수직형틀의 수평이 되도록 하는데 쓰이는 금구 및 수평이 되도록 하는 공법에 의하면, 이하에 열거한 것과 같은 실용상의 여러 가지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수평이 되도록 하는데에 쐐기를 사용하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벽체나 기둥 등의 타설에 요하는 공비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다.As is clear from the above description, according to the bracke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for leveling the vertical m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xcellent effects in practical use as listed below can be obtained, Compared to the prior art using the wedge to reduce the cost of laying a wall or column, etc.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a) 수평이 되도록 하는데 쓰이는 금구는 매우 값싸게 대량생산할 수 있다.(a) Brackets used to level them can be mass produced at very low cost.

(b) 수평이 되도록 하는 작업은 초보자여도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b) The leveling work can be done easily and quickly even by beginners.

(c) 여러 가지 사이즈의 쐐기를 준비하기 위한 많은 노력과 시간이 불필요해진다.(c) Much effort and time is required to prepare wedges of various sizes.

(d) 콘크리트면의 요철상태에 따라서 각 수직형틀마다 최적의 쐐기를 골라내기 위한 수고와 경험이 불필요해진다.(d) The effort and experience to select the best wedge for each vertical mold is unnecessary according to the irregularities of the concrete surface.

(e) 작업자는 부피가 큰 쐐기를 들고 걸어다니지 않아도 된다.(e) Workers do not have to walk around with bulky wedges.

(f) 콘크리트 마루면과 수직형틀의 밑면의 틈을 최소로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 틈으로부터 유출된 콘크리트를 따내는 번잡한 작업은 거의 불필요해진다.(f) Since the gap between the concrete floor and the bottom of the vertical frame can be fixed to a minimum, troublesome work of extracting concrete spilled from this gap is almost unnecessary.

(g) 콘크리트 타설후의 쐐기의 제거 작업도 불필요해진다.(g) The removal of wedges after concrete pouring is also unnecessary.

Claims (4)

요철(凹凸)이 있는 콘크리트 마루면상에 벽체 등을 타설하는 수직형틀군을 동일수준면으로 정돈하여 옆으로 늘어서게 입설하는 작업이, 타설후의 후처리 작업도 포함하여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In order to make the vertical frame group for placing walls on the concrete floor surface with irregularities in the same level, and to lay them side by side, including post-treatment work after pouring, to be done easily and quickly. As, 수직형틀의 밑면을 받아 지지할만한 크기의 판자편형상의 본체부(1)와, 그 본체부(1)의 하측에 돌설된 손톱모양 다리부(2)를 갖추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틀을 수평이 되도록 하는데 쓰는 금구.The vertical frame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board-shaped main body portion 1 of a size that is capable of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vertical frame, and a nail-shaped leg portion 2 protrud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 Brackets used to b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톱모양 다리부(2)는 절기(切起) 가공에 의해 상기 본체부(1)와 일체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틀을 수평이 되도록 하는데 쓰이는 금구.The too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ail-shaped leg portion (2)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portion (1) by a seasoning process.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의 한변에 수직하부편(3)을 연설하고, 그 수직하부편(3)에는 수직형틀의 받침대가 되는 잔목의 측면에 맞대어 부친상태를 고정시키는 못 구멍(4)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틀이 수평이 되도록 하는데 쓰이는 금구.The vertical lower piece 3 is present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part 1, and the vertical lower piece 3 is attached to the side face of the remnant which becomes a base of the vertical frame. Brackets used to level the vertical frame, characterized by the provision of nail holes (4) for fixing. 콘크리트 마루면상에 수직형틀을 올려놓게하는 잔목(B)을, 수직형틀군의 설치 라인을 따라서 종열상으로 거치(据置)하는 공정과,A process of placing the remnants B on the concrete floor surface vertically along the installation line of the vertical frame group, 수직형틀의 밑면을 받아 지지할만한 크기의 판자편형상의 본체부(1)의 하측에 손톱모양 다리부(2)를 돌설한 수평이 되도록 하는데 쓰이는 금구(A)를 복수개 준비하고, 이들 금구를 수직형틀의 폭 치수보다는 좁은 간격을 두고 각각의 손톱모양 다리부(2)를 상기 잔목(B)의 윗면에 박아 넣는 공정과,A plurality of brackets (A) used to level the nail-shaped legs (2)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 of the board piece shape that can receive the bottom of the vertical frame is prepared, and the brackets are vertically A step of driving each nail-shaped leg 2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mnant B at a narrower interval than the width of the mold; 각 수평이 되도록 하는데 쓰이는 금구(A)를 박아 넣는 정도를 조절하여 각 금구의 상단면을 동일수준면을 정돈한 뒤, 이들 금구 사이에 수직형틀을 걸터앉은 모양으로 입설하는 공정을 포함한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틀을 수평이 되도록 하는 공법.Adjusting the degree of injecting the metal fittings (A) used to be horizontal, the top surface of each bracket is trimmed to the same level, and then the vertical frame is placed between them. Method to make the vertical frame to be horizontal.
KR1019970037816A 1996-09-30 1997-08-07 Method and device for leveling wall forms KR10022851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258667A JPH10102770A (en) 1996-09-30 1996-09-30 Leveling metal fixture and leveling construction method of perpendicular form
JP8-258667 1996-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135A true KR19980024135A (en) 1998-07-06
KR100228511B1 KR100228511B1 (en) 1999-11-01

Family

ID=17323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7816A KR100228511B1 (en) 1996-09-30 1997-08-07 Method and device for leveling wall form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0102770A (en)
KR (1) KR10022851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512B1 (en) * 2002-11-12 2005-04-20 (주)거혁건설 The constructing and dismantling method of concrete forms constructed for wall and slab
KR100484513B1 (en) * 2002-11-12 2005-04-20 (주)거혁건설 The structure of concrete forms constructed for wall and slab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436Y1 (en) 2008-06-30 2010-07-09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Come off preventing device for slab-plywood
JP6438515B2 (en) * 2017-03-24 2018-12-12 株式会社フォービル Laying fix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512B1 (en) * 2002-11-12 2005-04-20 (주)거혁건설 The constructing and dismantling method of concrete forms constructed for wall and slab
KR100484513B1 (en) * 2002-11-12 2005-04-20 (주)거혁건설 The structure of concrete forms constructed for wall and sla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8511B1 (en) 1999-11-01
JPH10102770A (en) 1998-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8804A (en) Anchor bolt holder-spacer
US6761345B1 (en) Concrete form
US20210164189A1 (en) Cement form with breakaway portion
US20060230696A1 (en) Tendon-identifying, post tensioned concrete flat plate slab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same
US10036180B1 (en) Fence post anchor installation system
US20220025604A1 (en) Cement Form
KR100228511B1 (en) Method and device for leveling wall forms
US4836487A (en) Concrete curb form hanger
US4875801A (en) Expansion joint brace and aligner
JP4385127B2 (en) Slope protection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and retaining wall building unit
US3454255A (en) Bulkhead construction for concrete structures having continuous reinforcements
CN220486917U (en) Reinforcing bar split heads of ability control protective layer thickness and floor thickness
KR200241818Y1 (en) Supporting Device for Wall Concrete form Panel
JP2000320035A (en) Form-cum-thermal insulating material,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skeleton having the form-cum-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structure provided with the concrete skeleton
KR200249907Y1 (en) Device for adjusting level of a concrete form
KR200143182Y1 (en) Horizontality mediation plate for executing concrete slabs
KR100559149B1 (en) Block for stair
JPH01278620A (en) Installation method for anchor bolt and anchor bolt supporting device used therefor
JP4423390B2 (en) Construction method of slope protection retaining wall
JP3035385U (en) Foundation reinforcement
JPH0673923A (en) Concrete fen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0303810Y1 (en) A sight rail for a concrete mold form
KR200201558Y1 (en) Horizontal controlled member for bottom surface in a structure
KR200141835Y1 (en) Fixture for tying concrete slab forms
JP2003253683A (en) Planting base structural body and its constru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