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3585A - 광 픽-업장치 - Google Patents

광 픽-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3585A
KR19980023585A KR1019960043083A KR19960043083A KR19980023585A KR 19980023585 A KR19980023585 A KR 19980023585A KR 1019960043083 A KR1019960043083 A KR 1019960043083A KR 19960043083 A KR19960043083 A KR 19960043083A KR 19980023585 A KR19980023585 A KR 19980023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sm
light
incident
predetermined
photo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3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양오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60043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3585A/ko
Priority to US08/939,885 priority patent/US5939710A/en
Priority to NL1007172A priority patent/NL1007172C2/nl
Priority to FR9712153A priority patent/FR2754097B1/fr
Priority to JP9265281A priority patent/JPH10112053A/ja
Priority to CN97122589A priority patent/CN1181585A/zh
Publication of KR19980023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585A/ko

Links

Landscapes

  • Optical Head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픽-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정의 기울기를 갖고 다수의 광학소자가 형성된 프리즘과, 이 프리즘의 상면 중앙부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어 입사빔의 위상에 따라 회절작용을 하는 위상홀로그램격자와, 상기 프리즘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측에 형성되어 입사빔을 파장변환하는 λ/4파장판을 구비함으로서 각 광학소자들간의 기구적인 오차를 줄임은 물론 각 구성요소 들간에 정밀성이 요구되지 않음에 따른 조립성이 향상되어 광 픽-업장치를 소형화 할수 있으며 이상광선으로 편광된 빔을 이용함으로서 광효율이 향상된다.

Description

광 픽-업장치
본 발명은 광 픽-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정의 기울기를 갖고 다수의 광학소자가 형성된 프리즘과 위상홀로그램격자 및 λ/4파장판을 구비함으로서 기기의 경박단소화는 물론 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광 픽-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록된 정보를 픽업하는 장치는 디스크 면의 정보를 접촉 침을 이용한 기계적인 변화량으로 검출하는 방식 및 디스크에 파인 홈의 정전 용량의 변화로 정보를 검출하는 방식등이 사용되었으나 현재에는 대물렌즈, 빔스플리터, 회절격자, 레이저 다이오드, 광검출기 등의 개개부품의 조립된 광 픽-업장치를 사용하여 스포트 사이즈 직경이 1.6μm인 디지탈 오디오 디스크(DAD) 또는 스포트 사이즈 직경이 0.8μm인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DVD)에 기록된 정보를 전기신호로 재생시키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디지탈 오디오 또는 비디오 디스크에 사용되는 광 픽-업(OPTICAL PICK-UP)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파장의 레이저 빔을 발생하는 레이저 다이오드(71)와, 이 레이저 다이오드(71)의 일측에 형성되어 입사되는 레이저 빔을 0차광 및 ±1차광 즉, 쓰리 빔으로 분리하는 회절격자(72)와, 이 회절격자(72)의 일측에 소정의 기울기로 형성되어 입사되는 광을 일정 비율로 반사 및 투과하는 빔스플리터(73)와, 이 빔스플리터(73)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일정 파장의 회절 한계로 인해 입사되는 레이저 광을 집광하여 디스크(75)상에 포커싱시켜 기록된 정보의 광 신호를 읽는 대물렌즈(74)와, 상기 빔스플리터(73)의 하부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대물렌즈(74) 및 빔스플리터(73)를 경유해 입사된 디스크(75)상에 기록된 광정보 신호를 일정한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광검출기(76)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종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광 픽-업장치에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레이저 다이오드(71)에서는 소정의 발진파장 즉, 약 780㎚의 레이저 빔을 방사하게 되며, 이때 이 레이저 빔은 방사 방향 일측에 형성된 회절격자(72)로 입사된다. 그러면 이 회절격자(72)로 입사된 광은 회절 현상으로 인해 0차광 및 ±1차광으로 분리 방사된다. 이때, 회절격자(72)를 경유해 분리되는 0차광 및 ±1차광은 포커스 및 트랙킹 에러 검출용으로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 쓰리 빔(THREE BEAM : 0차광, ±1차광)이라 한다.
즉, 상기 회절격자(72)에 의해 쓰리 빔으로 분리된 광은 소정의 기울기로 일정한 반사율과 투과율을 갖는 빔스플리터(73)로 입사된다. 그러면 이 빔스플리터(73)로 입사된 광은 일정한 비율로 반사 및 투과하며 이 중 반사된 빔은 대물렌즈(74)로 입사되어 일정 파장 이하의 회절 현상에 의해 빔이 집광된다. 그러므로 이 대물렌즈(74)로 집광된 빔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 디스크(75)상에 보내어져 디스크(75)상에 촛점이 맺히게 되며 이로 인해 디스크(75)에 기록된 정보는 일정한 광으로 반사되어 대물렌즈(74)에 입사되는 것이다. 즉, 대물렌즈(74)로 입사된 광은 수 μm 정도의 에어리 형태로 집광되어 디스크(75)의 신호면에 조사되는데 이 조사된 광은 데이터가 기록된 피트(75a)가 없는 곳에서 전부 반사되어 대물렌즈(74)의 개구로 거의 그대로 돌아오게 되나, 피트(75a)가 있는 곳에서는 광이 피트(75a)에 의해 회절이 생겨 일부의 빔은 대물렌즈(74)의 범위 밖으로 방출되고, 이로 인하여 조사된 광 가운데 그 일부만이 대물렌즈(74)로 되돌아오게 됨으로서 광검출기(76)에 광량차이를 발생시킨다.
한편, 오디오 또는 비디오 디스크(75)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광의 강도는 피트(75a)에 의해 변조되며, 이 변조된 광정보는 대물렌즈(74)와 빔스플리터(73)를 경유해 광검출기(76)로 보내어져 해당하는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되며, 이 출력된 전기적인 신호는 디지탈신호처리부(도시안됨)에 의해 원래의 신호가 복조됨으로서 디스크(75)상에 기록된 오디오신호인 알.에프(RF)신호와, 서보신호인 에러 검출용 포커스신호 및 트랙킹신호가 출력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광 픽-업장치는 빔스플리터, 회절격자, 레이저 다이오드, 광검출기의 광학부품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제작되어 조립에 의해 광 픽-업장치가 구성됨에 따라 조립시 발생되는 기구적인 오차에 의해 동작시 에러 발생률이 높으며 또한,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방사된 광이 최종적으로는 광검출기에 미약하게 입사되어 광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수의 광학소자로 구성되어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프리즘과 , 이 프리즘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상측에 형성된 λ/4파장판을 구비함으로서 각 광학소자의 기구적인 오차를 줄이며 광 픽-업장치의 경박단소화에 기여함은 물론 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 픽-업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소정의 기울기를 갖고 이상광선으로 편광된 빔을 반사 및 회절을 통해 방사하는 프리즘과, 이 프리즘의 상면 중앙부에 소정의 두께를 갖고 형성되어 입사된 이상광선의 빔을 그대로 투과시키며 정상광선으로 입사되는 빔을 쓰리빔으로 회절시키는 위상홀로그램격자와, 상기 프리즘의 상면 일측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어 입사되는 광정보를 소정의 각으로 회절시키는 홀로그램격자와, 상기 프리즘의 상측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형성되어 입사된 이상광선은 원편광으로 원편광은 정상광선으로 파장변환하는 λ/4파장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광 픽-업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 픽-업장치의 구성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포커싱 및 트래킹 에러 검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리즘 2 : 레이저 다이오드
3 : 제 1광검출기 4 : 제 2광검출기
5 : 홀로그램격자 6 : 위상홀로그램격자
7 : 코팅반사판 8 : λ/4파장판
9 : 대물렌즈 10 : 디스크
본 발명에 따른 광 픽-업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소정의 기울기를 갖고 다수의 광학소자가 형성되어 입사되는 빔을 반사 및 투과하는 프리즘(1)과, 이 프리즘(1)의 상면 중앙부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어 위상에 따라 입사빔을 회절시키는 위상홀로그램격자(6)와, 상기 프리즘(1)과 일정거리를 두고 상측에 형성되어 입사빔의 이상광선(S파)은 원편광으로 원편광은 정상광선으로 파장변환하는 λ/4파장판(8)과, 이 λ/4파장판(8)의 상부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입사빔을 집속하여 디스크(10)의 면에 조사함으로서 광정보를 검출하는 대물렌즈(9)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프리즘(1)의 일측면 중앙부에는 이상광선(P파)으로 편광된 빔을 방사하는 레이저다이오드(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레이저다이오드(2)와 소정거리를 두고 좌우측에는 각각 입사되는 광정보의 빔을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제 1광검출기(3) 및 제 2광검출기(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리즘(1)의 상면 일측에는 입사빔을 소정의 각으로 회절 및 반사하는 홀로그램격자(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리즘(1)의 하면에는 입사되는 빔을 일정한 각으로 전반사하는 코팅반사판(7)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와같은 구성으로 된 광 픽-업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프리즘(1)내 일측면 중앙부에 형성된 레이저다이오드(2)에서 이상광선으로 편광된 빔은 일정한 각으로 방사되어 홀로그램격자(5)로 입사된다. 그러면 이 홀로그램격자(5)로 입사된 이상광선의 빔은 소정의 각으로 반사가 일어나며 또한, 이 빔은 프리즘(1)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코팅반사판(7)을 경유함으로서 전반사가 일어나 프리즘(1)의 상면 중앙부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위상홀로그램격자(6)로 입사된다. 이때 이 위상홀로그램격자(6)는 빔의 위상에 따라 회절을 일으키는 격자로 작용하는데 즉, 정상광선(P파)에 대해서는 회절작용을 하며 이상광선(S파)에 대해서는 빔이 그대로 투과시키는 성질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위상홀로그램격자(6)로 입사된 빔 즉, 이상광선(6)으로 편광된 빔은 그대로 투과하여 λ/4파장판(8)으로 입사되어 900의 위상이 변환된다. 이때 이 λ/4파장판(8)을 투과한 빔은 원편광의 형태로 대물렌즈(9)로 집광되고 이 집광된 빔은 디스크(10)상에 촛점이 맺히게 되며 이로 인해 디스크(10)에 기록된 정보는 일정한 광으로 반사되어 대물렌즈(9)에 입사되는 것이다.
이때, 이 대물렌즈(8)의 영역으로 입사된 광정보의 빔은 λ/4파장판(7)으로 입사되어 원편광의 광정보는 이상광선(S파)으로 파장 변환되며 이 파장 변환된 빔은 위상홀로그램격자(6)를 경유함으로서 0차광 및 ±1차광으로 회절되어 프리즘(1)의 하면에 형성된 코팅반사판(7)에서 일정한 각으로 반사되어 프리즘(1)의 상면 일측면에 형성된 홀로그램격자(5)로 입사된다. 그러면 이 홀로그램격자(5)로 입사된 광정보의 빔은 소정의 각으로 회절을 일으키는데 이때 +1차광은 제 1광검출기(3)로 입사되며 -1차광은 제 2광검출기(4)로 입사되어 해당하는 광정보 신호는 각각의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되어 미도시된 신호처리부로 인가됨으로서 광정보 및 트랙킹 에러및 포커스 에러를 검출하고 제어를 통해 광 픽-업 장치가 안정적으로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제 1광검출기(3) 및 제 2광검출기(4)는 4분활된 광검출기로 트랙킹 에러 검출은 원빔법을 이용하여 검출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에러를 검출하기 위해 광검출기에 조사되는 광의 영역을 수식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수식 1]
T.E.S = (D1+D2)-(D3+D4)
( 이때 T.E.S는 트래킹 에러신호)
즉, 4분활된 광검출기의 각 영역에 조사되는 광량의 차이를 이용해 후단에 있는 차동증폭기의 출력으로 에러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포커스 에러는 포컬트 법을 이용하여 검출하고 있는데 보통의 4분할 광검출기로 입사되는 광의 영역으로 에러를 검출하는데 수식은 다음과 같다.
[수식 2]
F.E.S = (D1+D4)-(D2+D3)
( 이때 F.E.S는 포커킹 에러신호)
즉, 빔의 포커스가 광검출기의 뒤에 맺힐 경우에는 도 3가에 도시 된 바와같은 형상으로 빔이 광검출기에 맺혀 후단에 있는 차동증폭기의 출력값은 플러스가 되고 또한, 입사되는 빔의 포커스가 광검출기의 앞에 맺힐 경우에는 도 3다에 도시 된 바와같은 형상으로 빔이 광검출기에 맺혀 후단에 있는 차동증폭기의 출력값은 마이너스가 된다. 그리고 입사되는 빔의 포커스가 정확히 광검출기에 맺히면 도 3나에 도시 된 바와같은 형상으로 빔이 나타나 차동증폭기의 출력값은 제로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와같이 광검출기에 맺히는 빔의 형상을 통해 에러의 검출 및 제어를 통해 에러를 보정하는 것이다.
한편,이와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상광선(S파)으로 편광된 빔을 방사하는 레이저다이오드(2)를 이용하였는데, 다른 실시예로서 정상광선(P파)으로 편광된 레이저다이오드를 이용할 수도있다. 이때에는 빔의 경로는 동일하나 트래킹 및 포커싱 에러의 검출은 하나의 주빔과 두개의 빔을 이용하는 쓰리빔법과 빔의 비점수차를 이용한 비점수차법을 이용하여 검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소정의 기울기를 갖고 다수의 광학소자로 구성된 프리즘을 형성하며 , 이 프리즘의 상면 중앙부에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위상차에 따라 회절하는 위상홀로그램격자를 형성되며, 상기 프리즘과 일정거리를 두고 상측에는 이상광선은 원편광으로 원편광은 정상광선으로 파장 변환하는 λ/4파장판을 형성함으로서 각 광학소자들간의 기구적인 오차를 줄여 기기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며 편광된 빔을 사용함으로서 제품의 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

  1. 소정의 기울기를 갖고 여러 광학소자를 포함하여 편광된 빔을 반사 및 투과하는 프리즘(1)과, 이 프리즘(1)의 일측면 중앙부에 형성되어 이상광선으로 편광된 빔을 방사하는 레이저다이오드(2)와, 이 프리즘(1)의 상면 일측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어 입사되는 빔을 반사 및 회절시키는 홀로그램격자(5)와, 상기 프리즘(1)의 하면에 형성되어 입사되는 광정보 빔을 소정의 각으로 전반사하는 코팅반사판(7)과, 상기 프리즘(1)의 상면 중앙부에 소정의 두께를 입사되는 이상광선은 그대로 투과하며 정상광선으로 편광된 빔은 회절시키는 위상홀로그램격자(6)와, 상기 프리즘(1)과 일정 거리를 두고 상측에 형성되어 입사되는 이상광선(S파)은 원편광으로 원편광은 정상광선으로 파장변환하는 λ/4파장판(8)과, 이 λ/4파장판(8)의 상측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원편광의 입사빔을 디스크(10)의 피트(10a)에 집속하는 대물렌즈(9)와, 상기 레이저다이오드(2)와 일정거리를 두고 좌우측에 형성되어 입사되는 광정보를 해당하는 전기적인 신호로 각각 검출하는 제 1광검출기(3) 및 제 2광검출기(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장치.
KR1019960043083A 1996-09-30 1996-09-30 광 픽-업장치 KR19980023585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083A KR19980023585A (ko) 1996-09-30 1996-09-30 광 픽-업장치
US08/939,885 US5939710A (en) 1996-09-30 1997-09-29 Optical pickup system incorporating therein a beam splitter having a phase layer
NL1007172A NL1007172C2 (nl) 1996-09-30 1997-09-30 Optisch opneemstelsel.
FR9712153A FR2754097B1 (fr) 1996-09-30 1997-09-30 Dispositif a capteur optique
JP9265281A JPH10112053A (ja) 1996-09-30 1997-09-30 光ピックアップシステム
CN97122589A CN1181585A (zh) 1996-09-30 1997-09-30 光学拾取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083A KR19980023585A (ko) 1996-09-30 1996-09-30 광 픽-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585A true KR19980023585A (ko) 1998-07-06

Family

ID=66325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3083A KR19980023585A (ko) 1996-09-30 1996-09-30 광 픽-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35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3487B1 (ko) * 1999-12-04 2001-11-15 손동준 홀로그래픽 광학소자를 사용하는 광픽업 헤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3487B1 (ko) * 1999-12-04 2001-11-15 손동준 홀로그래픽 광학소자를 사용하는 광픽업 헤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5092B1 (ko) 광 픽업 장치
KR19980023585A (ko) 광 픽-업장치
KR100211819B1 (ko) 광 픽업 장치
KR100211820B1 (ko) 광 픽업 장치
KR0155089B1 (ko) 나이프 에지를 이용한 광픽업 장치
KR19980029872A (ko) 광 픽-업장치
KR19980023586A (ko) 광 픽-업장치
KR19990049998A (ko) 광량조절형 액정판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KR0137246B1 (ko)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광 픽업장치 (optical pick-up device of compact disc player)
JP2655747B2 (ja) 光ピックアップ
KR19980057997A (ko) 광 픽-업장치
KR19980058055A (ko) 광 픽업 장치
KR19980058054A (ko) 광 픽업 장치
KR19980029873A (ko) 광 픽-업장치
KR19980029874A (ko) 광 픽-업장치
KR19990049993A (ko) 광량조절을 이용한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KR100245242B1 (ko) 듀얼 포커스 광 픽업장치
KR19980057998A (ko) 광 픽-업장치
KR19980057996A (ko) 광 픽-업장치
KR19990050025A (ko) 광 픽-업장치
US20030043724A1 (en) Optical pickup apparatus having beam splitter on which hologram is formed and method of compensating for deviation between optical axes using the optical pickup apparatus
KR980011137A (ko) 광 픽-업장치
KR980011177A (ko) 광 픽-업장치
KR980011116A (ko) 광 픽-업장치
KR19990050013A (ko) 반사형 액정소자를 이용한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