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3399A -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 Google Patents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3399A
KR19980023399A KR1019960042884A KR19960042884A KR19980023399A KR 19980023399 A KR19980023399 A KR 19980023399A KR 1019960042884 A KR1019960042884 A KR 1019960042884A KR 19960042884 A KR19960042884 A KR 19960042884A KR 19980023399 A KR19980023399 A KR 19980023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efficient
encoding
prediction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2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수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60042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3399A/ko
Publication of KR19980023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399A/ko

Links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시 휘도,색채값들의 공간적 상관도가 비교적 높은 인트라 프레임의 경우 이웃하는 하나의 블록만을 고려하여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므로서 발생하는 예측 부호화 이득의 저하현상을 해결하고자 한 것임.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블록 지향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부호화하고자 하는 블록에 이웃하는 적어도 2개 이상 블록의 부호화된 직류(DC)계수와 이미 부호화된 상단블록 및 좌측블록과 상기 현재 부호화하고자 하는 블록의 교류(AC)계수들간의 절대치 차의 총합에 따른 교류(AC)계수를 선택하여 상기 부후화하고자 하는 블록을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DCT를 바탕으로 하는 블록 지향 부호화 방식에서 인트라 블록 부호화시에 적용되는 것임.

Description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본 발명은 물체 모양 정보 부호화에서의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미 부호화된 이웃하는 다수개 블록의 직류(DC)기울기로 부호화할 블록을 직류(DC)계수 예측 부호화를 하거나 이미 부호화된 상단/좌측블록들과 현재 블록의 계수들 간의 절대치 차의 총합(SAD)으로 부호화할 블록을 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하여 부호화 효율을 높이도록 한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록 저항 부호화를 사용하는 MPEG-1, JPEG, H.261, H.263등 기존의 표준화 방식에서는 시간 방향 예측을 이용하지 않는 인트라-모드(Intra-mode) 블록(이하, 인트라 블록이라 함)은 8*8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 이산 코사인 변환)를 이용한 텍스처 코팅(Texture Coding)을 한다.
텍스처 코팅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양은 복호기에 전송해야할 전체 데이터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따라서 텍스처 코딩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부호화하는 것은 부호기의 부호화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상기한 H.263에서는 시간 방향 예측을 이용하지 않은 인트라 블록의 경우, 8*8 DCT를 한후 직류(DC)계수를 8비트로 양자화하고, 펄스 부호 변조(PCM;Pulse Code Modulation)하여 전송하고, MPEG2에서는 DC계수의 부호화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도2와 같이 이미 전송된 이웃하는 블록들의 DC값을 지그-재그 스켄(휘도 블록 : Luminance블록)과 순차 스켄(색체 블록 : Chrominance 블록) 순서에 따라 DPCM(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예측 부호화)하여 전송한다(MPEG2 비디오 권고안, MPEG4 VM2.X이상, DC Prediction of DC coefficients in Intra Macroblocks).
그리고 영상을 X, Y축으로 16*16화소, 즉 매크로블록(Macroblock)크기로 분할했을 때, 만약 부호화할 매크로블록의 X축 좌표가 0일 경우, 매크로블록내의 첫 번째 휘도 성분 블록(도4의 L1블록)은 도2에서와 같이 예측 부호화 값을 128로 하고, 색체블록(도4의 C1,C2블록)들은 모두 예측 부호화값을 128로 한다.
전술한 바와같은 8*8DCT는 인코더에서 하기한 식(1)과 같이 수행되고, IDCT(Inverse DCT)는 디코더에서 하기한 식(2)와 같이 수행된다. DCT후 DC 및 AC계수들은 도1과 같이 배열된다.
여기서 DC는 하기한 식(1)의 F(0,0)에 해당하고, AC는 상기한 F(0,0)을 제외한 나머지 계수(Coefficient)들에 해당한다.
상기에서, u, v, x, y=0, 1, 2,..., 7, x, y=pixel domain에서 공간적 위치이고, u, v=transform domain에서 공간적 위치이며 u, x는 수평방향, v, y는 수직방향의 인덱스이다.
그리고, C(u), C(v)-1/, for u, v=0, otherwise 1이다(참조 : ITU-T RECOMMENDATION H.263 Annex A: Inverse transform accuracy sepification, 6.2.4 : Inverse transform).
또한, f(x, y)는 8*8블록내의 밝기값이고, F(u, v)는 식(1)을 사용하여 계산된 DC 및 AC계수들이다.
아울러 식(2)의 F(u, v)는 인코더에서 부호화된 DC 및 AC계수이다.
여기서 밝기(휘도, 색채)값들의 공간적 상관도(Spatial Correlation)가 비교적 높은 인트라 프레임(I-Frame : First Frame of Image Sequence, I-VOP(Video Object Plane) : First VOP of VOP Sequence와 동일 개념) 부호화의 경우, MPEG2와 같이 이웃한 하나의 블록만을 고려하여 부호화를 수행한다.
상기에서, VOP란 영상을 물체 단위로 분할하여 각기 부호화라는 단위이다. 일예로, 한 영상에 어린이와 고양이가 있다면 배경은 VOP0, 어린이는 VOP1, 고양이는 VOP2로 분할할 수 있다.
따라서 VOP별로 부호화가 가능한데, 이를 위해서는 각 물체를 서로 구별해줄 수 있는 모양 정보가 필요하며, 모양 정보는 VOP별로 각기 다른 값을 갖고, 이 값에 따라 서로 다른 VOP를 구별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블록 지향 부호화방법은 부호화시 휘도, 색채값들의 공간적 상관도가 비교적 높은 인트라 프레임의 경우 이웃하는 하나의 블록만을 고려하여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므로서 높은 예측 부호화 이득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블록 지향 부호화시 발생하는 예측 부호화 이득 저하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 부호화된 이웃하는 다수개 블록의 직류(DC)기울기로 부호화할 블록을 직류(DC)계수 예측 부호화를 하거나 이미 부호화된 상단/좌측블록들과 현재 블록의 계수들 간의 절대치 차의 총합(SAD)으로 부호화할 블록을 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하여 부호화 효율을 높이도록한 물체 모양부화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블록 지향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부호화하고자 하는 블록에 이웃하는 적어도 2개 이상 블록의 부호화된 직류(DC) 기울기(계수)로 상기 부호화하고자 하는 블록을 직류(DC)예측하여 부호화하고, 상기 이미 부호화된 상단블록및 좌측블록과 상기 현재 부호화하고자 하는 블록의 교류(AC)계수들간의 절대치 차의 총합에 따라 상기 부호화하고자 하는 블록을 교류(AC)예측하여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종래 이산 코사인 변환후 직류(DC) 및 교류(AC) 계수들의 위치도,
도2는 종래 교류(DC)예측 부호화 순서도,
도3은 4:2:0 영상 포맷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매크로블록(MB)의 구성도,
도5는 부호화할 블록(B)과 이웃하는 블록(B1,B2,B3)들의 위치도,
도6은 본 발명에서 직류(DC)/교류(AC)예측 부호화를 위한 이웃하는 블록의 위치 설명도.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은 일반적인 블록 지향 부호화 시스템이며, 특징적으로 종래와 같이 영상입력수단으로 입력된 영상을 물체 단위로 분할하고, 이를 DCT한후 양자화된 직류(DC)계수의 부호화 효율을 높이기 위해 부호하하고자하는 블록의 이웃하는 3개의 블록의 부호화된 직류(DC)기울기를 사용하여 직류(DC)계수를 예측 부호화하고, 교류(AC)의 경우 이미 부호화된 상단블록및 좌측블록과 상기 현재 부호화하고자 하는 블록의 교류(AC)계수들간의 절대치 차의 총합(Sum of Absolute Difference ; 이하 SAD라 약칭함)에 따라 상기 부호화하고자 하는 블록을 교류(AC)예측하여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DCT를 기반으로 하는 블록 지향 부호화 방식에서 매트로블럭(이하 MB라 약칭함)은 도4와 같이 구성된다.
여기서, MB는 수평, 수직 각각 16화소로 구성되며, L1(Block1 of Luminance), L2(Block2 of Luminance), L3(Block3 of Luminance), L4(Block4 of Luminance)로 구성되는 4개의 휘도(Luminance)성분 블록들과 Cb, Cr로 구성되는 2개의 색채(Chrominance)성분 블록으로 대별된다.
이때, C1=Cb, C2=Cr의 각 화소들은 휘도 성분들의 수평, 수직으로 직각 2:1로 서브샘플링된 위치에 대응되며, 이를 4:2:0 영상 포맷이라하고 도3처럼 도시화된다.
시간 방향 예측을 이용하는 블록을 인터-모드(Inter-mode)블록(이하, Inter블록이라 칭함)이라고, 시간 방향 예측을 이용하지 않은 블록을 인트라 블록이라 한다. DCT는 MB의 6개 8*8블록내의 밝기값들에 대해 행해지며, 이때 블록당 하나의 DC계수와 63개의 AC계수가 계산되어 나온다(도1참조).
인터 블록은 프레임간 시간 방향의 상관도를 이용하여 부후화 효율을 향상시키는 인터프레임 코딩(Interframe Coding)기법에서 한 프레임을 8*8 화소로 분할된 크기를 말하며, 움직임 추정(ITU-T RECOMMENDATION H.263 Advanced Prediction Mode참조)과 DCT를 이용한 텍스처 코딩의 단위 화소수이다.
인터 블록에서 DCT는 움직임 추정후 보상 에러에 대하여 수행된다.
통상적으로, 인트라 블록은 인터 프레임 코딩에서 상기한 인트라 프레임을 구성하는 블록들을 말하며, 인터 프레임에서는 MB단위로 움직임 추정후 보상 에러(SAD로 추정)가 미리 정의된 크기보다 큰 경우 DCT를 사용하여 부호화한다.
본 발명은 인트라 블록을 DCT로 텍스처 코딩한후 양자화된 AC/DC계수의 DPCM(예측부호화)에 관한 것으로, MB당 휘도(L1, L2, L3, L4)에 대해서 4번, 색체(C1, C2)에 대해서 2번, 총 6번의 AC/DC계수 예측 부호화 수행된다. 그리고 4:2:0 영상 포맷에서 색채의 경우 MB당 각각 하나의 Cb, Cr이 존재하므로 예측 부호화의 단위는 도2와 같이 MB가 된다.
DC/AC계수의 부호화를 위해서 현재 부호화할 블록B에 대한 이웃한 3개의 블록 B1, B2, B3를 도5와 같이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4와 같이 임의의 한 MB내의 6개의 블록(L1, L2, L3, L4, C1, C2)을 도2의 지그-재그 스캔(L1, L2, L3, L4)과 순차 스캔(C1, C2)순서에 따라 부호화되는데, 편의상 부호화할 블록을 B, 이미 부호화된 좌상단 블록을 B1, 상단 블록을 B2, 좌측 블록을 B3이라고 도시하였다.
이때, 블록B의 양자화된 AC/DC계수를 AC/DC B(Qunatized AC/DC of Block B), 블록B1의 양자화된 AC/DC계수를 AC/DC B1(Qunatized AC/DC of Block B1), 블록B2의 양자화된 AC/DC계수를 AC/DC B2(Qunatized AC/DC of Block B2), 블록B3의 양자화된 AC/DC계수를 AC/DC B3(Qunatized AC/DC of Block B3), 블록B의 양자화된 AC/DC계수인 AC/DC B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값을 AC/DC P(AC/DC Predictor of a Qunatized Block B)라 하고, 복호기에 전송되는 현재 블록B에 대한 예측 부호화된 AC/DC값을 AC/DCT(Predictive Differential Vaule of a Qunantized Block B to transmit on the Decoder)라 하면, AC/DC T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AC/DC T=(AC/DC P-AC/DC B) ................식(3)
상기한 식(3)에서 AC/DC T는 AC T와 DC T를 의미하며, AC/DC P는 AC P 와 DC P를 의미하고, AC/DC B는 AC B와 DC B를 의미한다. DC의 경우 블록당 1개가 존재하므로 DC T도 역시 1개가 존재하는 반면, AC T는 블록당 63개의 AC가 존재하므로 63개의 AC T가 존재한다.
그리고 MPEG2와 동일하게 영상을 X, Y축으로 16*16화소, 즉 매크로블록 크기로 분할했을때 그 매크로블록의 X축 좌표가 0(프레임의 왼쪽 경계)일 경우 매트로블록내의 첫번째 휘도 성분 블록(도4의 L1, L3)은 예측부호화 값을 128로 하고, 색채 블록(C1, C2)들은 모두 예측 부호화값을 128로 한다.
아울러 Y축 좌표가 0(프레임의 오른쪽 경계)일 경우, 매크로블록내의 첫번째 휘도 성분 블록(도4의 L1, L2)은 도2처럼 예측 부호화값을 128로 하고, 색체 블록(도4의 C1, C2)들은 모두 예측 부호화값을 128로 한다.
이러한 조건으로 실제 모양 정보를 이용한 부호화(VOP Based Coding)의 경우 AC/DC예측 부호화는 다음과 같다.
즉, AC계수만을 예측 부호화하는 경우, 첫번째 모드(model)로 현재 부호화하고자 하는 블록B의 위쪽 블록B2로부터 AC예측 부호화하는 경우, 상기한 블록B2로부터 예측 부호화에 따른 에러 E1(u, v)을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E1(0, v)=B(0, v)-B2(0, v)v=1,...,7
E1(u, v)=B(u, v)v=1,...,7, u=0,...,7 .....식(4).
상기에서 u, v는 교류(AC)계수의 열과 행에 대한 인덱스이다.
두번째 모드(mode2)로 현재 부호화하고자 하는 블록B의 왼쪽 블록B3로부터 교류(AC)예측 부호화 하는 경우, 상기한 블록B3로부터 예측 부호화에 따른 에러 E2(u, v)를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E2(u, 0)=B(u, 0)-B3(u, 0)u=1,...,7
E2(u, v)=B(u, v)u=0,...,7, v=1,...,7 .... 식(5).
만약, 상기한 블록B2, B3가 물체의 밖에 있는 경우, 해당 블록의 AC는 0으로 대치한다. 모드의 선택은 MB단위로 예측 부호화에 따른 에러를 SAD를 사용하여 계산하며, 그 중 SAD가 가장 작은 모드를 선택하여 교류(AC)계수들의 AC T를 계산한다.
여기서 상기한 SAD를 계산하는 수식은 다음과 같다.
상기한 식(6)에서 b는 MB내의 블록 인덱스이며, mode1은 mode1, mlode2에 대한 인덱스이다. 그리고, u, v는 transform domain에서 공간적 인덱스이다. 다음으로, DC/AC를 예측 부호화하는 경우, 첫번째 모드(mode3)로 DC만을 예측 부호화 하는 경우, 블록B에 이웃하는 블록 B1, B2, B3이 모두 인트라 블록이고, 블록B1의 양자화된 DC계수 DC B1에서 블록B2의 양자화된 DC계수인 DC B2를 감산한 결과치의 절대치(|DC B1-DC B2|)와 불록B1의 양자화된 DC계수인 DC B1에서 블록B3의 양자화된 DC계수인 DC B3를 감산한 결과치의 절대치(|DC B1-DC B3|)를 비교하여, |DC B1-DC B2| |DC B1-DC B3|이면 블록 B의 DC B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값(DC P)을 블록B3의 양자화된 직류(DC)계수로 하여 직류(DC)예측 부호화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즉 |DC B1-DC B2| |DC B1-DC B3|이면 블록B의 DC B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값(DC P)을 블록B2의 양자화된 DC계수(DC-B2)로 하여 직류(DC)예측 부호화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부호화할 블록B의 이웃하는 블록 B2, B3가 모두 존재하지 않으면(모양정보 밖에 존재하는 블록), 블록B의 DC B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값(DC P)을 128로 하여 직류(DC)예측 부호화를 수행한다. 또한, 부호화할 블록B의 이웃하는 블록 B2, B3중 블록B3만 존재하면 블록B의 DC B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값(DC P)을 블록B3의 양자화된 직류(DC)계수(DC B3)로하여 직류(DC)예측 부호화를 수행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부호화할 블록B의 이웃하는 블록 B2, B3중 블록B2만 존재하면 블록B의 DC B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값(DC P)을 블록B2의 양자화된 DC계수(DC B2)로하여 직류(DC)예측 부호화를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블록B의 이웃블록인 B2, B3가 존재하지만 블록B1이 존재하지 않으면 블록B의 DC B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값(DC P)을 블록B3로 설정하여 블록B3와 이웃하는 블록과의 상호 연관성이 있는 직류(DC)계수로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직류(DC)계수와 교류(AC)계수를 병합하여 예측 부호화하는 경우, 첫번째 모드(mode4)로는 상기 직류(DC)계수만을 이용하여 예측 부호화하는 경우인 mode3과 상기한 교류(AC)계수만을 이용하여 예측 부호화하는 모드중 첫번째 모드인 mode1을 병합하여 AC/DC계수 예측 부호화를 수행한다. 또한, 직류(DC)계수와 교류(AC)계수를 병합하여 예측 부호화하는 경우의 두번째 모드(mode5)로는 상기한 직류(DC)계수만을 이용하여 예측 부호화하는 경우인 mode3과 상기한 교류(AC)계수만을 이용하여 예측 부호화하는 모드중 두번째 모드인 mode2를 병합하여 AC/DC계수 예측 부호화를 수행한다.
이때, 부호화하고자 하는 블록B의 이웃블록인 블록B2, B3가 물체의 밖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블록의 DC는 모드3(mode3)의 상기한 DC계수만을 이용하여 예측 부호화하는 경우에는 블록B2, B3가 모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얻어지는 DC계수와, 블록B3만 존재하는 경우에 얻어지는 DC계수와, 블록B2만 존재하는 경우에 얻어지는 DC계수 및 블록B2, B3가 존재하지만 블록B1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얻어지는 DC계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DC계수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고, AC계수는 0으로 대치한다.
여기서, 모드의 선택은 MB단위로 AC계수 예측 부호화에 따른 에러를 SAD를 사용하여 계산하며, 그 중 SAD가 가장 작은 모드를 선택하여 AC들의 DC T를 계산하며, 상기한 SAD를 계산하는 방법은 전술한 식(6)에 의해 계산한다.
다음으로, DC/AC계수를 예측 부호화 하는 경우에서 예외 상황이 발생하며, 이렇게 발생하는 예외 상황시의 부호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번째 모드(mode6)로 DC만을 예측 부호화하는 경우에서, 부호화할 블록B에 이웃하는 블록B2, B3가 모두 존재하지 않고 블록B1만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블록B의 DC B의 예측 부호화하를 위한 예측값(DC P)을 블록B1의 양자화된 DC계수(DC B1)로 하여 DC예측 부호화를 수행하게 되며, 다른 경우인 블록B2, B3가 존재하지만 블록B1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블록B1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값(DC B1)을 128로 하고, 이웃하는 블록이 모두 인트라 블록이라 가정하고 블록B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값(DC P)를 구한다. 즉, 블록B1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값(128)에서 블록B2의 양자화된 DC계수(DC B2)를 감산한 결과치의 절대치(|128-DC B2|)와 블록B1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값(128)에서 블록B3의 양자화된 DC계수(DC B3)를 감산한 결과치의 절대치(|128-DC B3|)를 비교하여, |128-DC B2| |128-DC B3|이면 블록B의 DC B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값(DC P)을 블록B3의 양자화된 DC계수(DC B3)로 하여 DC예측 부호화를 수행하게 되며, 이와는 달리 |128-DC B2| |128-DC B3|이면 블록B의 DC B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값(DC P)을 블록B2의 양자화된 DC계수(DC B3)로 하여 DC예측 부호화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에서 DC/AC를 병합하여 예측 부호화를 하는 경우, 첫번째 모드(mode7)에서 DC는 상기한 mode6과 동일한 방법으로 DC계수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고, AC는 상기한 mode1과 동일한 방법으로 AC계수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다.
또한, DC/AC를 병합하여 예측 부호화 하는 경우, 두번째 모드(mode8)에서 DC는 전술한 mode6과 동일한 방법으로 DC계수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고, AC는 전술한 mode2와 동일한 방법으로 AC계수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다.
이때, 부호화하고자 하는 블록B의 이웃블록인 블록B2, B3가 물체의 밖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블록의 DC는 모드6(mode6)의 상기한 DC계수만을 이용하여 예측 부호화하는 경우에서 블록B2, B3가 모두 존재하지 않고 블록B1만이 존재할때 얻어지는 DC계수와 블록B2, B3가 존재하지만 블록B1이 존재하지 않을때 얻어지는 DC계수로 DC계수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고, AC계수는 0으로 대치한다.
여기서, 모드의 선택은 MB단위로 AC계수 예측 부호화에 따른 에러를 SAD를 사용하여 계산하며, 그 중 SAD가 가장 작은 모드를 선택하여 AC들의 DC T를 계산하며, 상기한 SAD를 계산하는 방법은 전술한 식(6)에 의해 계산한다.
다음으로, 상기한 AC/DC계수 예측 부호화시 발생 가능한 예외 상황에 대해서 다른 부호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즉, 첫번째 모드(mode9)로는 DC만을 예측 부호화 하는 경우에서, 블록B2, B3가 모두 존재하지 않고 블록B1만이 존재하는 경우, 블록B의 DC B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값(DC P)을 블록B1의 양자화된 DC계수(DC B1)에 128을 가산(DC B1+128)하고 그 결과치를 2로 나누어( DC B1+128)/2 소수점이하의 값을 fnt(반올림 또는 내림)하여 DC계수로 설정하고 DC예측 부호화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블록B3만 존재한다면, 블록B의 DC B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값(DC P)을 블록B3의 양자화된 DC계수(DC B3)에 128을 가산(DC B3+128)하고 그 결과치를 2로 나누어(DC B3+128)/2 소수점이하의 값을 fnt(반올림 또는 내림)하여 DC계수로 설정하고 DC예측 부호화를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블록B2만 존재한다면, 블록B의 DC B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값(DC P)을 블록B2의 양자화된 DC계수(DC B2)에 128을 가산(DC B2+128)하고 그 결과치를 2로 나누어(DC B2+128)/2 소수점이하의 값을 fnt(반올림 또는 내림)하여 DC계수로 설정하고 DC예측 부호화를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블록B2, B3가 존재하지만 블록B1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블록B의 DC B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값(DC P)을 블록B2의 양자화된 DC계수(DC-B2)에 블록B3의 양자화된 DC계수(DC B3)를 가산(DC B2+DC B3)하고, 그 결과치를 2로 나누어(DC B2+DC B3)/2 소수점이하의 값을 fnt(반올림 또는 내림)하여 DC계수로 설정하고 DC예측 부호화를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전술한 경우에서 DC계수와 AC계수를 병합하여 부호화 하는 경우, 첫번째 모드(mode10)로 DC는 전술한 mode9와 동일한 방법으로 DC계수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고, AC는 전술한 mode1과 동일한 방법으로 AC계수 예측 부호화를 수행한다.
또한, 전술한 경우에서 DC계수와 AC계수를 병합하여 부호화 하는 경우, 두번째 모드(mode11)로 DC는 전술한 mode9와 동일한 방법으로 DC계수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고, AC는 전술한 mode2와 동일한 방법으로 AC계수 예측 부호화를 수행한다.
전술한 mode10, mode11에서 블록B2, B3가 물체의 밖에 있는 경우, 해당 블록의 DC는 전술한 mode9와 동일한 방법으로 DC계수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고, AC는 0으로 대치한다.
상기에서 모드의 선택은 MB단위로 AC계수 예측 부호화에 따른 에러를 SAD를 사용하여 계산하며, 그 중 SAD가 가장 작은 모드를 선택하여 AC들의 DC T를 계산하며, 상기한 SAD를 계산하는 방법은 전술한 식(6)에 의해 계산한다.
지금까지 전술한 바는 부호화할 블록B와 이웃하는 3블록(B1, B2, B3)의 양자화 스탭 크기가 동일할 경우의 부호화 방법에 대한 설명이며, 만약 부호화할 블록B와 이웃하는 3블록(B1, B2, B3)의 양자화 스탭 크기(이하 Q Step라 칭함)가 다를 경우에는, 4개의 블록(B, B1, B2, B3)의 AC/DC값은 해당 블록의 양자화 스탭 크기로 정규화한후 전술한 부호화 방법을 적용하여 AC/DC B를 예측 부호화 한다.
여기서, 각 블록의 양자화 스탭 크기를 블록B는 AC/DC Q B라 하고, 블록1은 AC/DC Q B1이라 하며, 블록2는 AC/DC Q B2라 하고, 블록B3는 AC/DC Q B3라 하며, 정규화된 AC/DC를 N AC/DC Cof B, N AC/DC Cof B1, N AC/DC Cof B2, N AC/DC Cof B3라 하고, 양자화된 계수들을 AC/DC Cof B, AC/DC Cof B1, AC/DC Cof B2, AC/DC Cof B3라 하면 AC/DC에 대해서 정규화 방법은 다음과 같다. N AC/DC Cof B=AC/DC Cof B*AC/DC Q B, N AC/DC Cof B1=AC/DC Cof B1*AC/DC Q B1, N AC/DC Cof B2=AC/DC Cof B2*AC/DC Q B2, N AC/DC Cof B3=AC/DC Cof B*AC/DC Q B3로 정규화한후 보호화할 블록B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값(DC P)을 구하여 부호화를 수행한다.
즉, AC경우 전술한 식(6)에 의해 구해진 블록B2와 블록B의 SAD가 블록B3와 블록B의 SAD보다 작다면 블록B의 예측 부호화하는 블록B2의 AC계수들을 사용하여 부호화하고, 블록B3와의 SAD가 블록B2보다 자으면 블록B의 예측 부호화하는 블록B2와 동일한 AC계수로 부호화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DC의 경우, DC P가 AC/DC Cof B2와 동일하면 블록B에 대한 예측 부호화된 DC값인 DC T는 N DC Cof B2/DC Q B이고, DC P가 N DC Cof B3와 동일하면 블록B에 대한 예측 부호화된 DC값인 DC T는 (N DC Cof B3/DC Q B) DC B가 되어 직류(DC)예측 부호화를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모드 결정은 MB 그리고 블럭 단위로 수행되고, Fixed Length Code(FLC)로 하기한 표(1-1)과 같이 정의한다.
[표 1-1]
AC/DC모드 선택을 위한 FLC Code Table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부호화할 블록과 아웃하는 이미 부호화된 3개의 블록의 직류(DC)기울기를 사용하여 부호화할 블록을 직류(DC)계수 예측 부호화하는 방법과 이미 부호화된 상단/좌측블록들과 현재 블록의 계수들 간의 절대치 차의 총합(SAD)으로 부호화할 블록을 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하는 방법을 적절히 병합 또는 택일하여 부호화를 수행하므로써 부호화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3)

  1. 한 프레임의 영상을 매크로단위 블록으로 분할하여 부호화를 수행하는 블록 지향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부호화하고자 하는 블록에 이웃하는 적어도 2개 이상 블록의 부호화된 직류(DC)계수와 이미 부호화된 상단블록및 좌측블록과 상기 현재 부호화하고자 하는 블록의 교류(AC)계수들간의 절대치 차의 총합에 따른 교류(AC)계수를 선택하여 상기 부호화하고자 하는 블록을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AC)계수만을 선택하여 예측 부호화시, 현재 부호화하고자 하는 블록B와 이웃하는 블록B1, B2, B3가 모두 인트라 블록이면 상기 블록B2, B3의 부호화된 교류(AC)계수와 현재 블록B의 부호화된 교류(AC)계수간의 절대치 차의 총합(SAD)이 가장 작은 이웃하는 블록의 교류(AC)계수로 상기 부호화하고자 하는 블록B을 교류계수 예측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치 차의 총합(SAD)은 하기한 수식에 의해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상기에서 b는 MB내의 블록 인덱스이며, mode1은 상단블록B2로부터 AC예측 부호화하는 경우(mode1)와 현재 부호화하고자 하는 블록B의 왼쪽블록B3로부터 AC예측 부호화 하는 경우(mode2)에 대한 인덱스이고, u, v는 transform domain에서 공간적 인덱스이며, E1은 상단블록B2로부터 예측 부호화에 따른 에러E1(u, v)과 좌측블록B3로부터 예측 부호화에 따른 에러E2(u, v)에 대한 인덱스이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블록B2로부터 예측 부호화에 따른 에러E1(u, v)은 하기한 수식에 의해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E1(0, v)=B(0, v)-B2(0, v)v=1,...,7
    E1(u, v)=B(u, v)u=1,...,7, u=0,...,7
    상기에서 u, v는 AC계수의 열과 행에 대한 인덱스이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블록B3로부터 예측 부호화에 따른 에러 E2(u, v)는 하기한 수식에 의해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E2(u, 0)=B(u, 0)-B3(u, 0)u=1,...,7
    E2(u, v)=B(u, v)u=0,...,7, v=1,...,7
    상기에서 u, v는 AC계수의 열과 행에 대한 인덱스이다.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B2, B3가 물체의 밖에 있는 경우 해당 블록의 교류계수(AC)는 0으로 대치하여 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할 블록(B)에 이웃하는 블록(B1, B2, B3)이 모두 인트라 블록이고, 블록B1의 양자화된 직류(DC)계수인 DC B1에서 블록B2의 양자화된 직류(DC)계수인 DC B2를 감산한 결과치의 절대치(|DC B1-DC B2|)와 블록B1의 양자화된 직류(DC)계수인 DC B1에서 블록B3의 양자화된 직류(DC)계수인 DC B3를 감산한 결과치의 절대치(|DC B1-DC B3|)를 비교하여, |DC B1-DC B2| |DC B1-DC B3|이면 블록 B의 DC B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값(DC P)을 블록B3의 양자화된 직류(DC)계수로 하여 직류(DC)예측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할 블록(B)에 이웃하는 블록(B1, B2, B3)이 모두 인트라 블록이고, 블록B1의 양자화된 직류(DC)계수인 DC B1에서 블록B2의 양자화된 직류(DC)계수인 DC B2를 감산한 결과치의 절대치(|DC B1-DC B2|)와 블록B1의 양자화된 직류(DC)계수인 DC B1에서 블록B3의 양자화된 직류(DC)계수인 DC B3를 감산한 결과치의 절대치(|DC B1-DC B3|)를 비교하여, |DC B1-DC B2| |DC B1-DC B3|이면 블록 B의 DC B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값(DC P)을 블록B2의 양자화된 직류계수(DC-B2)로 하여 직류(DC)예측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할 블록(B)의 이웃하는 블록(B2, B3)이 모두 존재하지 않으면, 블록B의 DC B의 예측 부호화를 위하 예측값(DC P)을 128로 하여 직류(DC)예측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할 블록(B)의 이웃하는 블록 B2, B3중 블록B2만 존재하면 블록B의 DC B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값(DC P)을 블록B3의 양자화된 직류(DC)계수(DC B3)로 하여 직류(DC)예측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할 블록(B)의 이웃하는 블록 B2, B3중 블록B2만 존재하면 블록B의 DC B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값(DC P)을 블록B2의 양자화된 직류(DC)계수(DC B2)로 하여 직류(DC)예측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할 블록(B)의 이웃블록인 B2, B3가 존재하지만 블록B1이 존재하지 않으면 블록B의 DC B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값(DC P)을 블록B3로 설정하여 블록B3와 이웃하는 블록과의 상호 연관성이 있는 직류(DC)계수로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DC)/교류(AC)계수를 병합하여 예측 부호화시 이웃하는 블록(B1, B2, B3)이 이 모두 인트라 블록이며, 블록B2, B3가 모두 존재하지 않을 경우의 직류(D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과 블록B3만 존재할 경우의 직류(DC)계수 예측 부호화 방법과 블록B2만 존재할 경우 직류(D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및 블록B2, B3가 존재하지만 블록B1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의 직류(D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중 택일하여 직류(DC)계수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고, 현재 블럭(B)의 상단블록(B2)으로부터 얻어지는 교류(AC)계수로 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DC)/교류(AC)계수를 병합하여 에측 부호화시 이웃하는 블록(B1, B2, B3)이 모드 인트라 블록이면, 블록B2, B3가 모두 존재하지 않을 경우의 직류(D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과 블록B3만 존재할 경우의 직류(DC)계수 예측 부호화 방법과 블록B2만 존재할 경우 직류(D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및 블록B2, B3가 존재하지만 블록B1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의 직류(D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중 택일하여 직류(DC)계수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고, 현재 블럭(B)의 좌측블록(B3)으로부터 얻어지는 교류(AC)계수로 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직류(DC)/교류(AC)계수를 병합하여 예측 부호화하는 경우 부호화하고자 하는 블록B의 이웃블록인 블록B2, B3가 물체의 밖에 존재하면 해당 블록의 직류(DC)계수는 블록B2, B3가 모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얻어지는 직류(DC)계수와 블록B3만 존재하는 경우에 얻어지는 직류(DC)계수와 블록B2만 존재하는 경우에 얻어지는 직류(DC)계수와 블록B2, B3가 존재하지만 블록B1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얻어지는 직류(DC)계수중 택일하여 설정하고, 교류(AC)계수는 0으로 설정하여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할 블록(B)에 이웃하는 블록B2, B3가 모두 존재하지 않고 블록B1만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블록B의 DC B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값(DC P)을 블록B1의 양자화된 직류(DC)계수(DC B1)로 하여 직류(DC)계수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할 블록(B)에 이웃하는 블록B2, B3가 존재하지만 블록B1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블록B1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값(DC B1)을 128로 하고, 블록B1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값(128)에서 블록B2의 양자화된 직류(DC)계수(DC B2)를 감산한 결과치의 절대치(|128-DC B2|)와 블록B1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값(128)에서 블록B3의 양자화된 직류(DC)계수(DC B3)를 감산한 결과치의 절대치(|128-DC B3|)를 비교하여, |128-DC B2| |128-DC B3|이면 블록B의 DC B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값(DC P)을 블록B3의 양자화된 직류(DC)계수(DC B3)로 하여 직류(DC)계수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할 블록(B)에 이웃하는 블록B2, B3가 존재하지만 블록B1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블록B1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값(DC B1)을 128로 하고, 블록B1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값(128)에서 블록B2의 양자화된 직류(DC)계수(DC B2)를 감산한 결과치의 절대치(|128-DC B2|)와 블록B1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값(128)에서 블록B3의 양자화된 직류(DC)계수(DC B3)를 감산한 결과치의 절대치(|128-DC B3|)를 비교하여, |128-DC B2| |128-DC B3|이면 블록B의 DC B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값(DC P)을 블록B2의 양자화된 직류(DC)계수(DC B3)로 하여 직류(DC)계수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DC)/교류(AC)계수를 병합하여 예측 부호화시, 직류(DC)계수는 상기 블록B2, B3가 모두 존재하지 않고 블록B1만이 존재할 경우에 얻어지는 직류(DC)계수와 상기 블록B2, B3가 존재하지만 블록B1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얻어지는 직류(DC)계수를 택일하여 직류(DC)계수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고, 현재 블럭(B)의 상단블록(B2)으로부터 얻어지는 교류(AC)계수로 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DC)/교류(AC)계수를 병합하여 예측 부호화시, 직류(DC)계수는 상기 블록B2, B3가 모두 존재하지 않고 블록B1만이 존재할 경우에 얻어지는 직류(DC)계수와 상기 블록B2, B3가 존재하지만 블록B1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얻어지는 직류(DC)계수를 택일하여 직류(DC)계수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고, 현재 블럭(B)의 좌측블록(B3)으로부터 얻어지는 교류(AC)계수로 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DC)/교류(AC)계수를 병합하여 예측 부호화 수행시 블록B2, B3가 물체의 밖에 존재하는 경우에 직류(DC)계수는 상기 블록B2, B3가 모두 존재하지 않고 블록B1만이 존재할 경우에 얻어지는 직류(DC)계수와 상기 블록B2, B3가 존재하지만 블록B1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얻어지는 직류(DC)계수를 택일하여 직류(DC)계수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고, 교류(AC)계수는 0으로 설정하여 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할 블록(B)에 이웃하는 블록B2, B3가 모두 존재하지 않고 블록B1만이 존재하는 경우, 블록B의 DC B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값(DC P)을 블록B1의 양자화된 직류(DC)계수(DC B1)에 128을 가산(DC B+128)하고 그 결과치를 2로 나눈후(DC B1+128)/2 소수점이하의 값을 반올림 또는 내림하여 직류(DC)계수로 설정하고 직류(DC)예측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할 블록(B)에 이웃하는 블록B3만 존재하면, 블록B의 DC B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값(DC P)을 블록B3의 양자화된 직류(DC)계수(DC B3)에 128을 가산(DC B3+128)하고 그 결과치를 2로 나눈후(DC B3+128)/2 소수점이하의 값을 반올림 또는 내림하여 직류(DC)계수로 설정하고 직류(DC)예측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할 블록(B)에 이웃하는 블록B2만 존재하면, 블록B의 DC B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값(DC P)을 블록B2의 양자화된 직류(DC)계수(DC B2)에 128을 가산(DC B2+DC 128)하고 그 결과치를 2로 나눈후(DC B2+128)/2 소수점이하의 값을 반올림 또는 내림하여 직류(DC)계수로 설정하고 직류(DC)예측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할 블록(B)에 이웃하는 블록B2, B3가 존재하지만 블록B1의 존재하지 않을 경우, 블록B의 DC B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값(DC P)을 블록B2의 양자화된 직류(DC)계수(DC B2)와 블록B3의 양자화된 직류(DC)계수(DC-B3)를 가산(DC B2+DC B3)하고, 그 결과치를 2로 나눈후(DC B2+DC B3)/2 소수점이하의 값을 반올림 또는 내림하여 직류(DC)계수로 설정하고 직류(DC)예측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DC)/교류(AC)계수를 병합하여 에측 부호화시 블록B2, B3가 모두 존재하지 않고 블록B1만이 존재할때 얻어지는 직류(DC)계수와 블록B3만 존재할 경우에 얻어지는 직류(DC)계수와 블록B2만 존재할 경우에 얻어지는 직류(DC)계수 및 블록B2, B3가 존재하지만 블록B1이 존재하지 않을때 얻어지는 직류(DC)계수중 택일하여 직류(DC)계수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고, 현재 블록(B)의 상단블록(B2)으로부터 얻어지는 교류(AC)계수로 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DC)/교류(AC)계수를 병합하여 에측 부호화시 블록B2, B3가 모두 존재하지 않고 블록B1만이 존재할때 얻어지는 직류(DC)계수와 블록B3만 존재할 경우에 얻어지는 직류(DC)계수와 블록B2만 존재할 경우에 얻어지는 직류(DC)계수 및 블록B2, B3가 존재하지만 블록B1이 존재하지 않을때 얻어지는 직류(DC)계수중 택일하여 직류(DC)계수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고, 현재 블록(B)의 좌측블록(B2)으로부터 얻어지는 교류(AC)계수로 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DC)/교류(AC)계수를 병합하여 예측 부호화 수행시 블록B2, B3가 물체의 밖에 존재하는 경우에 직류(DC)계수는 블록B2, B3가 모두 존재하지 않고 블록B1만이 존재할때 얻어지는 직류(DC)계수와 블록B3만 존재할 경우에 얻어지는 직류(DC)계수와 블록B2만 존재할 경우에 얻어지는 직류(DC)계수 및 블록B2, B3가 존재하지만 블록B1이 존재하지 않을때 얻어지는 직류(DC)계수중 택일하여 설정하고, 교류(AC)계수는 0으로 설정하여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할 블록(B)와 이웃하는 3블록(B1, B2, B3)의 양자화 스탭 크기가 다를 경우, 상기 4개블록(B, B1, B2, B3)의 직류(DC)/교류(AC)값을 해당 블록의 양자화 스탭 크기로 정규화한후 상기 블록B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값(DC P)을 산출하여 직류(DC)/교류(AC)예측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정규화방법은,
    N AC/DC Cof B=AC/DC Cof B*AC/DC Q B,
    N AC/DC Cof B1=AC/DC Cof B1*AC/DC Q B1,
    N AC/DC Cof B2=AC/DC Cof B2*AC/DC Q B2,
    N AC/DC Cof B3=AC/DC Cof B*AC/DC Q B3로 정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상기에서, AC/DC Q B는 블록B의 양자화 스탭 크기,
    AC/DC Q B1는 블록B1의 양자화 스탭 크기,
    AC/DC Q B2는 블록B2의 양자화 스탭 크기,
    AC/DC Q B3는 블록B3의 양자화 스탭 크기,
    N AC/DC Cof B는 블록B의 정규화된 AC/DC계수,
    N AC/DC Cof B1는 블록B1의 정규화된 AC/DC계수,
    N AC/DC Cof B2는 블록B2의 정규화된 AC/DC계수,
    N AC/DC Cof B3는 블록B3의 정규화된 AC/DC계수,
    AC/DC Cof B는 블록B의 양자화된 계수,
    AC/DC Cof B1는 블록B1의 양자화된 계수,
    AC/DC Cof B2는 블록B2의 양자화된 계수,
    AC/DC Cof B3는 블록B3의 양자화된 계수를 각각 나타낸다.
  31.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DC P가 N DC Cof B2와 동일하면 블록B에 대한 예측 부호화된 직류(DC)값인 DC T는 N DC Cof B2/DC Q B-DC B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32.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DC P가 N DC Cof B3와 동일하면 블록B에 대한 예측 부호화된 직류(DC)값인 DC T는 N DC Cof B3/DC Q B-DC B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33. 제1항에 있어서,
    부호화시 직류(DC)계수 예측모드와 교류(AC)계수 예측모드의 선택과 Fixed Length Code(FLC)의 정의는 하기한 표에 의해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KR1019960042884A 1996-09-30 1996-09-30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KR199800233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2884A KR19980023399A (ko) 1996-09-30 1996-09-30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2884A KR19980023399A (ko) 1996-09-30 1996-09-30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399A true KR19980023399A (ko) 1998-07-06

Family

ID=66325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2884A KR19980023399A (ko) 1996-09-30 1996-09-30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33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419B1 (ko) * 1996-09-30 2004-08-3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물체모양정보부호화에서교류(ac)계수예측부호화방법
KR101108681B1 (ko) * 2005-01-19 2012-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 코덱에서의 주파수 변환 계수 예측 방법 및 장치,이를 구비한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와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419B1 (ko) * 1996-09-30 2004-08-3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물체모양정보부호화에서교류(ac)계수예측부호화방법
KR101108681B1 (ko) * 2005-01-19 2012-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 코덱에서의 주파수 변환 계수 예측 방법 및 장치,이를 구비한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와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4306C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дирования движущихся изображений, устройство декодирования движущихся изображений, способ кодирования движущихся изображений и способ декодирования движущихся изображений
EP199217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intraprediction encoding/decoding
KR101192026B1 (ko) 소스 픽쳐의 시퀀스를 코딩하는 방법 또는 장치
KR101291196B1 (ko) 영상의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EP1582063B1 (en) Mixed inter/intra video coding of macroblock partitions
KR100739714B1 (ko) 인트라 예측 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
US9232223B2 (en) Method for decoding a stream representative of a sequence of pictures, method for coding a sequence of pictures and coded data structure
US8204136B2 (en) Image encoding apparatus
US20080084929A1 (en) Method for video coding a sequence of digitized images
KR100727990B1 (ko)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및 그 방법을 사용하는부호화 장치
KR19980025035A (ko) 영상 예측부호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1394209B1 (ko)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KR100845303B1 (ko) 고속 부호화를 위한 되먹임 구조를 가진 동영상 압축부호화 장치 및 최적 모드 결정 방법
WO2015015436A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optimal temporal predictive mode decision in h.264 video coding
KR20070077609A (ko) 인트라 예측 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
KR100727991B1 (ko)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및 그 방법을 사용하는부호화 장치
EP0982951B1 (en) Picture compression process
KR20060085004A (ko) H.264/avc에서의 고속 매크로블록 모드 선택 방법
KR100807330B1 (ko) H.264/avc 인코더의 인트라 매크로블록 모드 스킵 방법
KR100785773B1 (ko) 동영상 부호화기를 위한 부호 블록 패턴 예측 방법과 그를적용한 블록 모드 결정 방법
KR19980023399A (ko) 물체 모양정보 부호화에서 직류(dc)/교류(ac)계수 예측 부호화방법
KR100771641B1 (ko) H.264 고속 모드 결정 방법
KR100413979B1 (ko) 예측부호화방법및장치
KR20010045132A (ko) 인트라 프레임 부호화 방법
KR100529783B1 (ko) 영상신호 예측 부호화시 예측 방향 선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