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1733A - Disc Chucking Device for Disc Player - Google Patents

Disc Chucking Device for Disc Pla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1733A
KR19980021733A KR1019960040680A KR19960040680A KR19980021733A KR 19980021733 A KR19980021733 A KR 19980021733A KR 1019960040680 A KR1019960040680 A KR 1019960040680A KR 19960040680 A KR19960040680 A KR 19960040680A KR 19980021733 A KR19980021733 A KR 19980021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table
disc
holders
disk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06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207748B1 (en
Inventor
이헌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40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7748B1/en
Publication of KR19980021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17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7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7748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means provided on the turntabl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4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clampers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척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척킹장치는, 턴테이블에 힌지 결합된 홀더들을 구비하며 그 홀더의 회전위치에 따라 디스크의 척킹 및 척킹해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디스크 척킹장치를 채용하게 되면 척킹된 디스크를 분리해 내는 작업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으며 디스크의 휨에 따른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c chucking apparatus for a disc player. The disc chucking apparatus of the disc p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holders coupled to the turntable and is configured to chuck and release the chuck according to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holder, thereby employing the disc chuc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n, the chucked disk can be easily removed and the damage caused by the bending of the disk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척킹장치Disc Chucking Device for Disc Player

본 발명은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척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그 척킹구조가 개선된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척킹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c chucking apparatus for a disc play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c chucking apparatus for a disc player having improved chucking structure.

디스크플레이어에는 스핀들모터에 의해 디스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그 디스크를 척킹하는 디스크 척킹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디스크 척킹장치의 일 예를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이 디스크 척킹장치(1)는 스핀들모터(5)의 출력축에 고정되는 턴테이블(2)과, 턴테이블(2)에 결합되는 복수의 볼(3)을 구비하고 있다. 턴테이블(2)은 디스크(9)의 중앙홀(9a)에 끼워지는 몸체부(2a)와, 몸체부(2a) 하부에 마련되어 디스크(9)의 하면을 접촉 지지하는 베이스부(2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각 볼(4)은 턴테이블(2)의 몸체부(2a)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일부가 스프링(4)에 의해 몸체부(2a)의 외주면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있다.The disc player is provided with a disc chucking device for chucking the disc so that the disc can be rotated by the spindle motor. An example of such a disk chucking device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FIG. 1. The disk chucking apparatus 1 includes a turntable 2 fixed to an output shaft of the spindle motor 5 and a plurality of balls 3 coupled to the turntable 2. The turntable 2 has a body portion 2a fitted into the central hole 9a of the disk 9 and a base portion 2b provided below the body portion 2a to support and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disk 9. Doing. Each said ball 4 is provided in the body part 2a of the turntable 2, and one part is elastically biased by the spring 4 in the direction which protrudes with respect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art 2a.

상기 디스크 척킹장치(1)에 의해 디스크(9)가 척킹되도록 하기 위하여는, 디스크(9)를 턴테이블(2)의 상방으로부터 하강시켜 그 중앙홀(9a)이 턴테이블(2)의 몸체부(2a)에 끼워지도록 한다. 디스크(9)가 끼워지는 과정에서 디스크(9)의 중앙홀(9a)의 테두리부가 턴테이블의 몸체부(2a)에 대해 돌출된 볼(3)에 접촉되고 디스크(9)를 계속 하강시키게 되면, 볼(3)들이 스프링(4)들을 압축시키면서 턴테이블의 몸체부(2a) 외주면에 대해 몰입되면서 디스크(9)의 하강을 허용하게 된다. 그 후 디스크(9)의 하면이 턴테이블(2)의 베이스부(2b)에 접촉되면서 디스크(9)의 하강이 완료되면, 턴테이블의 몸체부(2a) 외주면에 대해 몰입되어 있던 볼(3)들은 스프링(4)들의 복원력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가 턴테이블의 몸체부(2a) 외주면에 대해 돌출되면서 디스크(9)의 상측을 압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턴테이블(2)에 끼워진 디스크(9)는 상방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면서 척킹이 완료된다.In order for the disc 9 to be chucked by the disc chucking device 1, the disc 9 is lowered from above the turntable 2 so that the central hole 9a is the body portion 2a of the turntable 2. ) Into the If the edge of the central hole 9a of the disk 9 is in contact with the ball 3 protruding from the body portion 2a of the turntable while the disk 9 is fitted, and the disk 9 continues to be lowered, The balls 3 are immersed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a of the turntable while compressing the springs 4 to allow the disc 9 to descend. Then, when the lower surface of the disk 9 is in contact with the base portion 2b of the turntable 2 and the lowering of the disk 9 is completed, the balls 3 immersed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a of the turntable are released. As shown in FIG. 1,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s 4 protrudes agains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a of the turntable, thereby pressing the upper side of the disk 9. As a result, the disk 9 fitted to the turntable 2 is chucked while preventing the upward movement of the disk 9.

한편, 척킹된 디스크(9)를 턴테이블(2)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디스크(9)를 상방으로 잡아당겨서, 그 디스크(9)에 의해 볼(3)들이 턴테이블의 몸체부(2a)에 대해 몰입되도록 하면서 분리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hucked disk 9 is to be separated from the turntable 2, the disk 9 is pulled upward, and the balls 9 are driven by the disk 9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2a of the turntable. Isolate while being immersed.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디스크 척킹장치에 있어서는, 디스크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볼들과 접촉되는 디스크의 중앙홀의 테두리부가 볼에 간섭되게 되므로 디스크는 결국 휘어지면서 분리되게 된다. 따라서, 디스크에 휨에 의한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또한, 디스크의 분리시에 디스크에 상방향으로 가해져야 하는 외력에는 그 디스크를 통해 스프링들을 압축시키면서 볼들을 턴테이블의 몸체부 외주면에 대해 몰입되도록 하기 위한 힘이 포함되어야 하므로, 디스크의 분리시에 비교적 큰 힘을 가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By the way, in the conventional disk chuck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edge portion of the center hole of the disk in contact with the balls interfere with the ball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disk, the disk is eventually bent while being separated. Therefore, there is a fear that damage to the disk due to bending occurs. In addition, the external force that must be applied upwards to the disc upon removal of the disc must include a force to compress the springs through the disc while immersing the ball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turntable. There is a discomfort to apply great force.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척킹되어 있는 디스크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리작업시에 발생될 수도 있는 디스크의 손상이 억제될 수 있도록 개선된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척킹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problem, and the disk chucking device of the disk player is improved so that not only the disk which is chucked can be easily separated but also the damage of the disk which may occur during the separating operation can be suppressed. The purpose is to provide.

도 1은 종래 디스크 척킹장치의 구조적 단면도이다.1 is a structur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disk chucking apparatu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척킹장치의 구조적 단면도이다.2 is a structur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k chu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크 척킹장치의 개략적 평면도이다.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disk chucking apparatus shown in FIG. 2.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홀더가 제1위치로 회전된 상태를 보이는 디스크 척킹장치의 구조적 단면도이다.4 is a structur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k chucking device showing the holder shown in FIG. 2 rotated to a first position.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홀더가 제2위치로 회전된 상태를 보이는 디스크 척킹장치의 구조적 단면도이다.5 is a structur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k chucking device showing the holder shown in FIG. 4 rotated to a second posi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디스크 척킹장치20...턴테이블100 Disc chucking device 20 Turntable

21...몸체부30...홀더21 Body part 30 Holder

31...제1돌출부32...제2돌출부31 The first protrusion 32 The second protrusion

40...스프링부재50...버튼40 ... spring member 50 ... button

60...압축코일스프링60 ... Compression Coil Spring

9...디스크9a...중앙홀9 ... disc 9a ... central hol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척킹장치는, 디스크의 중앙홀에 삽입되는 통형의 몸체부를 가지는 텐테이블과;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1돌출부가 상기 턴테이블의 몸체부 외주면에 대해 돌출되고 상기 제2돌출부가 상기 턴테이블의 몸체부 외주면에 대해 돌출 및 몰입 가능하게 상기 턴테이블에 힌지결합되는 복수의 홀더와; 상기 각 홀더를 상기 제2돌출부가 상기 턴테이블의 몸체부에 대해 몰입되는 제1위치 및 돌출되는 제2위치에서 각각 위치고정하기 위한 홀더위치고정수단과; 상기 제2위치에 위치고정된 홀더들을 상기 제1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한 홀더회전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디스크는 상기 홀더들이 상기 제1위치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턴테이블의 몸체부 상방으로부터 그 몸체부에 삽입되며, 상기 각 홀더는 상기 제1돌출부가 상기 턴테이블의 몸체부에 삽입되는 디스크에 의해 압압됨으로써 상기 제2위치로 회전되고; 상기 홀더들이 상기 제2위치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디스크는 그 중앙홀의 테두리부가 상기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도록 구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Disc disk chucking device of a disc p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table has a cylindrical body that is inserted into the central hole of the disk; A plurality of protrusions having a first protrusion and a second protrusion, wherein the first protrusion protrudes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art of the turntable, and the second protrusion protrudes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face of the body part of the turntable and is hinged to the turntable. With a holder of; Holder position fixing means for fixing each of the holders in a first position in which the second protrusion is immersed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of the turntable and in a second position in which it protrudes; A holder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holders fixed in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The disc is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from above the body portion of the turntable while the holders are rotated to the first position, and each holder is pressed by a disc in which the first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of the turntable. Thereby rotate to the second position; When the holders are rotated to the second position, the disc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dge portion of the central hole is configured to be sandwiched and supported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척킹장치의 일 예의 구조적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크 척킹장치의 개략적 평면도이다.2 is a structural cross-sectional view of an example of a disk chucking apparatus of a disc p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disk chucking apparatus shown in FIG.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디스크 척킹장치(100)는 턴테이블(20)과, 이 턴테이블(20)에 설치된 복수의 홀더(3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턴테이블(20)은 디스크(9)의 중앙홀(9a)에 삽입되는 통형의 몸체부(21)를 가지고 있다. 상기 각 홀더(30)는 제1돌출부(31)와, 이 제1돌출부(31)와의 사이에 디스크(9)의 중앙홀(9a)의 테두리부가 끼워지도록 된 제2돌출부(32)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돌출부(31)가 턴테이블의 몸체부(21) 외주면에 대해 돌출되는 상태로 턴테이블의 몸체부(21)에 힌지(33)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턴테이블(20)에 힌지결합된 홀더(30)들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돌출부(32)가 턴테이블(20)의 몸체부(21) 외주면에 대해 몰입되는 위치(이하 제1위치라 함)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돌출부(32)가 턴테이블의 몸체부(21) 외주면에 대해 돌출되는 위치(이하 제2위치라 함)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다.2 and 3, the disk chuck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turntable 20 and a plurality of holders 30 provided on the turntable 20. As shown in FIG. The turntable 20 has a cylindrical body portion 21 inserted into the central hole 9a of the disk 9. Each of the holders 30 has a first protrusion 31 and a second protrusion 32 in which the edge portion of the central hole 9a of the disc 9 is fitted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31 and the first protrusion 31. The first protrusion 31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21 of the turntable by a hinge 33 in a state of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1 of the turntable. As shown in FIG. 2, the holders 30 hinged to the turntable 20 are immersed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1 of the turntable 2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position). Position) and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protrusion 32 is projected relativ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1 of the turntab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cond position) is rotatable.

디스크 척킹장치(100)는 또한, 각 홀더(30)를 상기 제1위치 및 제2위치에서 각각 위치고정하기 위한 홀더위치고정수단과, 제2위치에 위치고정된 홀더(30)들을 제1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한 홀더회전수단을 구비하고 있다.The disc chucking apparatus 100 further includes holder position fixing means for fixing each holder 30 at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respectively, and the holders 30 fixed at the second position at the first position. And holder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furnace.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홀더위치고정수단으로서, 턴테이블(20)과 동축적으로 배치된 상태로 홀더(30)들 사이에 끼워져 지지된 O링 형상의 스프링부재(40)가 마련되어 있다. 이 스프링부재(40)는 홀더(30)들에 끼워지는 부분이 그 스프링부재(40)의 중심방향으로 탄성변형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홀더(30)들에 끼워진 부분이 그 스프링부재(4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원되려는 복원력을 지니게 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스프링부재(40)는 홀더(30)들이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결합부 즉 힌지(33)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여 그 홀더(30)들에 제2위치로의 회전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30)들이 제2위치로 회전된 상태에서 스프링부재(40)는 힌지(31)보다 높게 위치하여 그 홀더(30)들에 제1위치로의 회전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In this embodiment, as the holder position fixing means, there is provided an O-ring spring member 40 which is sandwiched and supported between the holders 30 while being disposed coaxially with the turntable 20. The spring member 40 is coupled to the holder 30, the portion fitted in the elastically deformed state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spring member 40, whereby the portion fitted to the holder 30 is the spring member It has a restoring force to be restor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of 40. The spring member 40 coupled as described above is positioned at a height lower than the hinge coupling portion, that is, the hinge 33, as shown in FIG. The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of suppressing rotation to the second position. 4, the spring member 40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hinge 31 in the state in which the holders 30 are rotated to the second position, thereby rotating the holders 30 to the first position. The elastic force is provided in the direction of suppression.

또한, 상기 홀더회전수단으로서 턴테이블의 몸체부(21)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버튼(50)이 마련되어 있다. 이 버튼(50)의 승강경로상에는 홀더(30)들이 위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버튼(50)이 하강하게 되면 제1위치에 위치된 홀더(30)들은 그 버튼(50)에 의해 압압되어 제2위치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As the holder rotating means, a button 50 is provided which can be lifted up and down on the body portion 21 of the turntable. The holders 30 are positioned on the lifting path of the button 50. Accordingly, when the button 50 is lowered, the holders 30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are pressed by the button 50 to be pressed. It is intended to rotate to position.

한편, 버튼(50)을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기 위한 탄성수단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탄성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압축코일스프링(60)이 구비되어 있다. 이 압축코일스프링(60)은 그 상단부가 버튼(50)의 하면에 접촉되고 하단부는 턴테이블(20)에 접촉되어, 버튼(50)을 상승된 상태로 위치고정시키도록 탄력을 제공하게 된다. 참조부호 5는 그 출력축이 턴테이블(20)에 고정된 스핀들모터로서, 이 스핀들모터(5) 디스크(9)의 회전을 위해 턴테이블(20)에 회전력을 제공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n elastic means for elastically biasing the button 50 in the upward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a compression coil spring 60 is provided as the elastic means. The compression coil spring 60 has an upper end thereof in contact with a lower surface of the button 50 and a lower end thereof in contact with the turntable 20 to provide elasticity to fix the button 50 in an elevated state. Reference numeral 5 denotes a spindle motor whose output shaft is fixed to the turntable 20, which provides a rotational force to the turntable 20 for rotation of the disk 9 of the spindle motor 5.

이와 같이 구성된 디스크 척킹장치(100)에 의해 디스크(9)를 척킹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30)들이 제1위치에 위치되어 제2돌출부(32)가 턴테이블의 몸체부(21) 외주면에 대해 몰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디스크(9)를 턴테이블(20)의 상방으로부터 그 중앙홀(9a)이 턴테이블의 몸체부(21)에 삽입되도록 하강시킨다. 이와 같이 디스크(9)를 하강시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의 몸체부(21) 외주면에 대해 돌출되어 있는 홀더의 제1돌출부(31)에 디스크(9)의 하면이 접촉되게 된다. 그 후, 디스크(9)를 계속 하강시키면 그 디스크(9)에 의해 제1돌출부(31)가 압압되게 된다. 이에 따라, 홀더(30)는 힌지(32)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2돌출부(32)가 턴테이블의 몸체부(21) 외주면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홀더(30)들 사이에 끼워진 스프링부재(40)는 그 홀더(30)들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승되는 스프링부재(40)는, 그 높이가 힌지(33)의 높이보다 높아지게 되면, 상기 복원력에 의해 홀더(30)들을 제2위치로 회전되는 방향으로 압압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위치에 위치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홀더(30)들이 제2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그 홀더(30)들은 스프링부재(40)에 의해 제공되는 복원력 즉 탄성력에 의해 제1위치로의 회전이 억제되고, 이 때 제2돌출부(32)는 디스크(9)의 상방에 위치되면서 제1돌출부(31)와 함께 디스크(9)의 중앙홀(9a) 테두리부를 끼워 지지하게 되어 디스크(9)의 척킹이 완료된다.In the case where the disk 9 is to be chucked by the disk chucking device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In the state immersed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1, the disk 9 is lower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turntable 20 so that the center hole 9a is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21 of the turntable. When the disk 9 is lowered in this manner, as shown in FIG. 2, the lower surface of the disk 9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protrusion 31 of the holder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1 of the turntable. Thereafter, when the disk 9 is continuously lowered, the first protrusion 31 is pressed by the disk 9. Accordingly, the holder 30 is rota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protrusion 32 protrudes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1 of the turntable with the hinge 32 as the center and is fitted between the holders 30. The member 40 is raised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holders 30. When the spring member 40 which is raised in this way become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hinge 33, it presses the holder 30 in the direction which rotates to a 2nd position by the said restoring force, as shown in FIG. It is located in the second position. When the holders 30 are positioned in the second position in this way, the holders 30 are prevented from being rotated to the first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provided by the spring member 40, that is, the elastic force. The protruding portion 32 is positioned above the disk 9 to hold the edge of the central hole 9a of the disk 9 together with the first protrusion 31 to complete the chucking of the disk 9.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척킹된 디스크(9)를 그 척킹장치(100)로부터 분리해 내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버튼(50)을 눌러서 그 버튼(50)을 통해 홀더(30)들을 압압하여 그 홀더(30)들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디스크(9)의 상방에 위치되어 제1돌출부(31)와 함께 디스크(9)를 끼워 지지하고 있던 제2돌출부(32)는 턴테이블의 몸체부(21) 외주면에 대해 몰입되고, 디스크(9)는 단지 각 홀더(30)의 제1돌출부(31) 위에 올려져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디스크(9)를 들어 올리게 되면, 제2돌출부(32)에 의한 간섭이 없으므로, 디스크(9)는 턴테이블(20)의 몸체부(21)로부터 쉽게 빠져 나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척킹장치(100)에 의해 척킹된 디스크(9)를 분리해 내는 도중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디스크 척킹장치(1)에 의해 척킹된 디스크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디스크의 휨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척킹장치(100)를 채용하게 되면, 그 척킹장치로(100)부터 디스크(9)를 분리해 낼 때 디스크(9)의 휨에 따른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없으며 그 디스크(9)를 용이하게 분리해 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chucked disk 9 is to be separated from the chucking device 100 as described above, first press the button 50 to press the holders 30 through the button 50 and press the holder. 30 are rotated to the first position as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second projection 32 positioned above the disk 9 and holding the disk 9 together with the first projection 31 is immersed with respect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1 of the turntable. (9) is only in the state mounted on the 1st protrusion part 31 of each holder 30. As shown in FIG. When the disk 9 is lifted in such a state, since there is no interference by the second protrusion 32, the disk 9 is easily pulled out of the body 21 of the turntable 20. Therefore,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disk 9 chucked by the disk chuck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disk chucked by the conventional disk chucking apparatus 1 as shown in FIG. The disk warpage does not occur. Therefore, when the disk chuck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opted, there is no fear that damage due to the bending of the disk 9 may occur when the disk 9 is separated from the chucking device 100. The disk 9 can be easily removed.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버튼(50)이 하강되면 압축코일스프링(6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되면서 복원력을 지니게 되고, 그 상태에서 버튼(50)에 가해지는 외부의 압압력을 제거하게 되면, 압축코일스프링(60)의 복원력에 의해 버튼(5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상승하고 그 위치에서 위치고정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utton 50 is lowered, the compression coil spring 60 has a restoring force while being compressed as shown in FIG. 5, and removes the external pressure applied to the button 50 in the state. In this cas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60, the button 50 is raised again as shown in FIG. 1 and fixed in position.

상술한 압축코일스프링(60)을 마련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히 달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있어서와 같이 압축코일스프링(60)을 설치하여 두게 되면 그 압축코일스프링(60)에 의해 버튼(50)의 위치고정이 행해질 수 있게 되므로, 턴테이블(20)의 회전시에 버튼(50)이 상하로 진동되면서 소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Even if the above-described compression coil spring 60 is not provide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achieved. I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60 is provided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mpression coil spring 60 is provided. Since the position fixing of the button 50 can be perform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ress the noise generated while the button 50 vibrates up and down during the rotation of the turntable 20.

상기 탄성수단으로서 압축코일스프링(60) 대신에 판스프링 등과 같은 다른 형태의 스프링수단이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As the elastic means, instead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60, another form of spring means such as a leaf spring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홀더위치고정수단으로서 O링 형상의 스프링부재가 마련되어 있으나, 이 스프링부재의 반드시 O링 형상일 필요는 없으며 기타 다른 형태의 스프링부재가 채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O-ring-shaped spring member is provided as the holder position fixing means, it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the O-ring shape of the spring member, and other types of spring members may be employ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척킹장치는, 턴테이블에 힌지 결합된 홀더들을 구비하며 그 홀더의 회전위치에 따라 디스크의 척킹 및 척킹해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디스크 척킹장치를 채용하게 되면 척킹된 디스크를 분리해 내는 작업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으며 디스크의 휨에 따른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isc chucking apparatus of the disc p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der hinged to the turntable and is configured to chuck and release the chuck according to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holder. When the chucking device is employed, the chucked disk can be easily removed and the damage caused by the bending of the disk can be prevented.

Claims (4)

디스크의 중앙홀에 삽입되는 통형의 몸체부를 가지는 텐테이블과;A tentable having a cylindrical body portion inserted into the central hole of the disk;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1돌출부가 상기 턴테이블의 몸체부 외주면에 대해 돌출되며 상기 제2돌출부가 상기 턴테이블의 몸체부 외주면에 대해 돌출 및 몰입 가능하게 상기 턴테이블에 힌지결합되는 복수의 홀더와;A plurality of protrusions having a first protrusion and a second protrusion, the first protrusion protrud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art of the turntable and the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and immersed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art of the turntable; With a holder of; 상기 각 홀더를 상기 제2돌출부가 상기 턴테이블의 몸체부에 대해 몰입되는 제1위치 및 돌출되는 제2위치에서 각각 위치고정하기 위한 홀더위치고정수단과;Holder position fixing means for fixing each of the holders in a first position in which the second protrusion is immersed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of the turntable and in a second position in which it protrudes; 상기 제2위치에 위치고정된 홀더들을 상기 제1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한 홀더회전수단을 구비하며;A holder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holders fixed in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상기 디스크는 상기 홀더들이 상기 제1위치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턴테이블의 몸체부 상방으로부터 그 몸체부에 삽입되며, 상기 각 홀더는 상기 제1돌출부가 상기 턴테이블의 몸체부에 삽입되는 디스크에 의해 압압됨으로써 상기 제2위치로 회전되고;The disc is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from above the body portion of the turntable while the holders are rotated to the first position, and each holder is pressed by a disc in which the first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of the turntable. Thereby rotate to the second position; 상기 홀더들이 상기 제2위치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디스크는 그 중앙홀의 테두리부가 상기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척킹장치.And the disc is configured such that the edge portion of the central hole is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when the holders are rotated to the second position to support the disc.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홀더위치고정수단은, 상기 홀더들이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그 홀더들에 상기 제2위치로의 회전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며 홀더들이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그 홀더들에 상기 제1위치로의 회전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홀더들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척킹장치.The holder position fixing means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holders in a direction of suppressing rotation to the second position when the holders are located in the first position and in a state where the holders are located in the second position. And a spr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holders to provide the holders with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of inhibiting rotation to the first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홀더회전수단은 상기 턴테이블의 몸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하강시에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된 홀더들을 압압하여 상기 제1위치로 회전시키는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척킹장치.The holder rotating means is mounted to the body portion of the turntable, the disc of the disc play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utton for pressing the holders located in the second position to rotate to the first position when lowered Chucking devic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버튼을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수단을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척킹장치.And a resilient means for elastically biasing the button in a rising direction.
KR1019960040680A 1996-09-18 1996-09-18 Disk chucking apparatus of diskplayer KR1002077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0680A KR100207748B1 (en) 1996-09-18 1996-09-18 Disk chucking apparatus of diskpla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0680A KR100207748B1 (en) 1996-09-18 1996-09-18 Disk chucking apparatus of diskplay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733A true KR19980021733A (en) 1998-06-25
KR100207748B1 KR100207748B1 (en) 1999-07-15

Family

ID=19474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0680A KR100207748B1 (en) 1996-09-18 1996-09-18 Disk chucking apparatus of diskplay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774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3002A (en) * 1999-12-21 2001-07-09 이형도 Disc player of chucking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3002A (en) * 1999-12-21 2001-07-09 이형도 Disc player of chucking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7748B1 (en)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6863B1 (en) A device for chucking the disk in disk drive
KR100207748B1 (en) Disk chucking apparatus of diskplayer
US6697321B2 (en) Disc apparatus
KR100816233B1 (en) Disk Clamping Device
JP3817307B2 (en) Disk centering device for compact disk drive
JPH10308047A (en) Disk clamper
JP3812383B2 (en) Motor with disc clamp mechanism
JPH10199081A (en) Turntable device for disk medium
JP2002352497A (en) Disk device
JP4297470B2 (en) Chucking device
KR100261100B1 (en) Disk chucking apparatus for disk player
KR100258929B1 (en) Disk clamping apparatus
KR100628858B1 (en) Optical disc apparatus
JP3672097B2 (en) Disk unit
KR100266367B1 (en) Disk unclamping apparatus of disk drive
JP3011843B2 (en) Disk clamp mechanism of optical disk device
KR100297750B1 (en) Disc clamping device for disc player
JP3945990B2 (en) Disk drive
KR100700611B1 (en) Disc player having apparatus for clamping disc
JPS62271244A (en) Disk chucking device
JPH10302359A (en) Clamp device for optical disk player
KR19990081558A (en) CD player disc clamping device
JPH1139757A (en) Disk chucking device
KR19990000237A (en) Clamping Device for Optical Disc
JPH0612761A (en) Disk clamp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