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9957A -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원격알람패널장치 - Google Patents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원격알람패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9957A
KR19980019957A KR1019960038259A KR19960038259A KR19980019957A KR 19980019957 A KR19980019957 A KR 19980019957A KR 1019960038259 A KR1019960038259 A KR 1019960038259A KR 19960038259 A KR19960038259 A KR 19960038259A KR 19980019957 A KR19980019957 A KR 19980019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ass
panel device
rasm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8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대운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60038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9957A/ko
Publication of KR19980019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95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8Indicating faults in circuits o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42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 H04Q3/54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 H04Q3/545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using a stored programme
    • H04Q3/54575Software application
    • H04Q3/54591Supervision, e.g. fault localisation, traffic measurements, avoiding errors, failure recovery, monitoring, statistical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0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OA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63Fault al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전전자 교환기의 ASS에 접속된 RASM과 SRASM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장애가 발생된 ASS나 RASM 및 SRASM의 위치와 장애발생영역 및 경보등급을 표시할 수 있도록 된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원격알람패널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각 프로세서간의 IPC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CI(20)와, 상기 CI(20)를 매개로 전송된 각 프로세서에서 발생된 경보를 취합하여 그에 따른 경보 신호정보를 출력하는 CCP(21), 상기 CCP(21)와 원격알람패널장치(24)를 정합하기 위한 정합단(22), 상기 CCP(21)로 부터 출력된 경보 신호정보에 기초하여 경보등급을 판정한 다음 판정된 경보에 따른 가시경보와 가청경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원격알람패널장치(2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원격알람패널장치(24)는 장애가 발생된 ASS나 RASM 및 SRASM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세그먼트패널(42a)과 장애발생영역을 나타내기 위한 H/W램프,S/W램프 및, 장애등급을 나타내기 위한 긴급/주요/일반경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운용자가 전전자 교환기의 ASS에 접속된 RASM과 SRASM에 발생된 장애를 해소하기 위한 일련의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음으로써 수리소요시간이 단축되어 통신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원격알람패널장치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원격알람패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전자 교환기의 ASS(Acess Switching Sybsystem)이나 그 ASS에 접속된 RASM(Remote Access Switching Modual) 또는 SRASM(Small RASM)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장애가 발생된 ASS나 RASM 및 SRASM의 위치와 장애발생영역 및 경보등급을 표시할 수 있도록 된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원격알람패널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TDX-10교환기에서의 경보장치는 각 하드웨어 유니트에서 발생되는 하드웨어 경보를 취합하여 이를 제어 프로세서로 전송하는 경보 취합장치(FI) 및 제어 프로세서로부터 경보신호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가시 및 가청경보로 변환시켜 주는 이중화 구조의 경보 구동장치(APC:Alarm Panel Control)블럭으로 구성된다.
FI블럭은 각 서브시스템 즉, ASS,INS 및 CCS별로 각 유니트에서 발생되는 하드웨어 경보 상태 정보를 취합하고 이를 각 서브시스템별 제어 프로세서인 ASMP(Access Switching Maintenance Proccessor), INMP(Interconnection Network Maintenance Proccessor) 및, CCMP(Central Control Maintenance Processor)로 보고하는 역할을 하는 FIA(Fault Interface in ASS), FII(Falut Interface in INS) 및, FIC(Fault Interface in CCS)로 나룰 수 있다. APC블럭은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경보 신호정보를 CCS내의 CCMP로 부터 수신하여 이를 가시 및 가청형태로 변환하고 원격경보패널을 구동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APC내의 경보발생시에는 FIC로 경보신호를 송신하며, 타 유니트와의 독립성을 가지기 위하여 자체 전원 공급 장치를 갖고 있다.
경보 구동장치인 APC블럭은 APCA(Alarm Panel Control board Assembly)와 APBB(Alarm Panel Back Board) 및 RAPU(Remote Alarm Panel Unit aeeembly)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APCA는 상기 APC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세서인 CCMP와 정합하고, CCMP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경보 신호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RS-232C 형태로 RAPU로 송신하며 APBB백 보드에 실장된다. 상기 APCA의 주요 부분은 신뢰도를 위하여 이중화되어 있으며, 최대 3개의 RAPU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RAPU는 상기 APCA에서 전송되는 경보 신호정보를 가시 및 가청경보로 변환, 그 중요도에 따라 가청경보는 긴급경보(critical alarm), 주요경보(major alarm)와 일반경보(minor alarm)의 3등급으로 구분 구동하고, 가시경보는 이 3등급외 경보의 원인에 따른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전원 및 환경 관련 경보, CCMP 경보 등을 추가로 구분하여 구동한다.
그리고, 상기 TDX-10교환기에는 교환기 본체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가입자군을 효과적, 경제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RASM을 접속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첨부되어진 도 1은 종래의 TDX-10교환기에서의 원격알람패널장치의 외관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격알람패널장치는 상기 TDX-10교환기에 접속되어 국부화된 호처리의 전반적 기능을 수행하는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의 경보발생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ASS상태표시부(1)와, 집중화된 호처리의 전반적 기능을 수행하는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의 경보발생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INS상태표시부(2), 집중화된 운용 및 유지보수 기능을 수행하는 CCS(Central Control Subsystem)의 경보발생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CCS상태표시부(3), 경보해제후 경보를 다시 리셋(RESET)하기 위한 경보리셋버튼(4), 가청경보의 송출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가청경보버튼(5), 상기 원격알람패널장치의 동작상태를 테스트하기 위한 경보시험버튼(6), 상기 ASS상태표시부(1)에서 ASS의 경보상태가 표시되는 경우 경보가 발생된 ASS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Search버튼(7), HOST의 전원/환경상태나 RASM 전원/환경상태, OMP Down상태 및, Link Fail상태에 따른 경보발생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상태표시부(8), 상기 Search버튼(7)의 조작에 의해 검출되어진 경보가 발생한 ASS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LCD패널(9), 가청경보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0) 및, 상기 원격알람패널의 동작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동작버튼(ACT)(11)을 갖추어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TDX-10교환기에서의 원격알람패널장치에서는 CCMP로부터 소정의 경보 신호정보가 전송되면 그 경보 신호정보에 해당하는 램프(LED)가 점등되어 운용자가 각각의 램프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TDX-10교환기의 동작상태를 감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으로 된 TDX-10교환기에서의 원격알람패널장치에서는 RASM에 장애가 발생되면 상기 알람패널상에 구성된 RASM전원/환경의 장애상태를 나타내는 램프가 점등되어 운용자에게 임의의 RASM에서 장애가 발생된 상태를 통보하는데, 이때 상기 TDX-10교환기에 접속된 RASM이 단수(單數)인 경우에는 장애가 발생된 RASM의 위치를 용이하게 알수 있지만 상기 TDX-10교환기에 다수(多數)의 RASM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운용자가 상기 원격알람패널장치상의 출력만으로는 장애가 발생된 RASM을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기존의 TDX-10교환기는 성능과 용량에 중점을 두어 개발하였기 때문에 회선당 가격이 상당히 고가이며 용량증설시 신축성이 부족하여 소용량 구성시 가격경쟁력이 없을 뿐 아니라 응용 분야별로 시스템이 별도로 개발되어 있어 기능 추가에 어려움을 해소함과 더불어 서비스 제공자에게 장래 광대역 망의 도래에도 대비할 수 있는 기능을 보장하여 당면한 영업 이득은 물론 장래 통신망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전자 교환기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전전자 교환기는 그 교환기의 ASS에 다수개의 RASM을 접속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ASS나 상기 RASM에 다수의 SRASM을 접속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그 전전자 교환기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가입자군을 효율적, 경제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전전자 교환기에서는 상기 RASM이나 상기 SRASM에서의 장애발생시 장애가 발생된 RASM이나 SRASM의 위치와 장애발생영역 및 경보등급을 나타낼 수 있는 원격알람패널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되어진 것으로, 전전자 교환기의 ASS에 접속된 RASM과 SRASM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장애가 발생된 ASS나 RASM 및 SRASM의 위치와 장애발생영역 및 경보등급을 표시할 수 있도록 된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원격알람패널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각 프로세서간의 IPC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CI와, 상기 CI를 매개로 전송된 각 프로세서에서 발생된 경보를 취합하여 그에 따른 경보 신호정보를 출력하는 CCP, 상기 CCP와 원격알람패널장치를 정합하기 위한 정합단, 상기 CCP로 부터 출력된 경보 신호정보에 기초하여 경보등급을 판정한 다음 판정된 경보에 따른 가시경보와 가청경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원격알람패널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원격알람패널장치는 장애가 발생된 ASS나 RASM 및 SRASM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세그먼트패널과 장애발생영역을 나타내기 위한 H/W램프,S/W램프 및, 장애등급을 나타내기 위한 긴급/주요/일반경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원격알람패널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원격알람패널장치는 정합단을 통해 전송된 ASS나 RASM 및 SRASM에서 발생된 장애에 따른 경보 신호정보에 기초하여 장애가 발생된 ASS나 RASM 및 SRASM의 위치와 장애발생영역 및 경보등급이 표시되도록 LED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세그먼트패널과 H/W램프, S/W램프 및 긴급/주요/일반경보램프를 구동제어하는 LED구동부 및, 상기 세트먼트패널과 H/W램프, S/W램프 및 긴급/주요/일반경보램프로 구성된 LED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세그먼트패널은 다수의 LED를 갖추어 구성된 LED세그먼트패널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전자 교환기의 ASS에 접속된 RASM이나 상기 ASS나 상기 RASM에 접속된 SRASM에 장애가 발생되면 그에 따른 경보 신호정보가 CI(20)를 통해 전송된 다음 CCP(21)에서 취합 및 처리되어 정합단(22)을 매개로 원격알람패널장치(24)로 인가되어, 상기 원격알람패널장치(24)에 구성된 LED표시부(42)를 통해 장애가 발생된 ASS나 RASM 및 SRASM의 위치나 장애발생영역 및 경보등급이 표시됨으로써 운용자가 전전자 교환기에 발생된 장애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TDX-10교환기에서의 원격알람패널장치의 외관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원격알람패널장치의 블럭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원격알람패널장치의 블럭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원격알람패널장치의 외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ASS상태표시부,2,18:INS상태표시부,
3,40:CCS상태표시부,4,30:경보리셋버튼,
5,31:가청경보버튼,6,32:경보시험버튼,
7:Search버튼,8,36:상태표시부,
9:LCD패널,10,44:스피커,
11,33:동작버튼,
20:CI(Control Interworking Block;통신 제어기 블럭),
21:CCP(Central Control Processor;중앙 제어 프로세서),
22:정합단,23:프린터,
24:원격알람패널장치,34:제어부,
35:상태표시구동부,37:INS상태표시구동부,
39:CCS상태표시구동부,41:LED구동부,
42:LED표시부,43:스피커구동부.
이하, 첨부되어진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원격알람패널장치의 블럭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동 도면에서 참조번호 20은 각각의 서브시스템에 구성된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각 프로세서간의 IPC(Inter Processor Communication;프로세서간 통신)를 제어하는 CI이고, 21은 상기 CI(20)를 통해 전송되는 각 하드웨어 유니트에서 발생되어진 경보를 취합 및 처리하여 원격알람패널장치(24)를 구동함과 더불어 해당 경보가 프린터(23)를 통해 서면(書面)출력되도록 하는 CCP이다.
또, 참조번호 22은 상기 CCP(21)에 접속된 원격알람패널장치(24)나 프린터(23)를 상기 CCP(21)와 정합하기 위한 정합단(Interface)이고, 23은 상기 CCP(21)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정합단(22)을 매개로 인가되는 경보 신호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전전자 교환기의 경보발생에 따른 데이터를 서면상으로 출력하는 프린터이며, 24는 상기 CCP(21)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정합단(22)을 매개로 인가되는 경보 신호정보를 근거로 하여 경보등급을 나타내기 위한 가시경보와 가청경보를 출력하는 원격알람패널장치이다.
상기 원격알람패널장치(24)의 블럭구성은 첨부되어진 도 3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는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원격알람패널장치의 블럭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원격알람패널장치의 외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참조번호 30은 경보해제후 경보를 다시 리셋(RESET)하기 위한 경보리셋버튼이고, 31은 가청경보의 송출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가청경보버튼이며, 32는 상기 원격알람패널장치의 동작상태를 테스트하기 위한 경보시험버튼이고, 33은 상기 원격알람패널의 동작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동작버튼(ACT)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34는 상기 경보리셋버튼(30), 가청경보버튼(31), 경보시험버튼(32), 동작버튼(33)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상기 정합단(22)을 통해 전송된 상기 경보 신호정보에 기초하여 경보등급을 판정한 다음 판정된 경보에 해당하는 가시경보와 가청경보가 상태표시부(26), INS상태표시부(38), CCS상태표시부(40), ASS상태표시부(42), 스피커(44)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34)는 CCP(21)에서 ASS나 RASM 및 SRASM에서 발생된 장애에 대한 경보가 취합되어 그에 따른 경보 신호정보가 정합단(22)을 통해 전송되면, 그 경보 신호정보에 기초하여 장애가 발생된 ASS나 RASM 및 SRASM의 위치나 장애발생영역 및 경보등급이 알람패널(24)상에 표시되도록 LED구동부(41)를 제어한다.
참조번호 35는 HOST의 전원/환경상태램프(36a), RASM 전원/환경램프(36b), OMP Down램프(36c) 및, Link Fail램프(36d)로 구성된 상태표시부(36)를 상기 제어부(34)의 제어하에 구동제어하는 상태표시구동부이고, 37은 INS의 하드웨어(H/W)나 소프트웨어(S/W)에 발생된 긴급경보/주요경보/일반경보상태를 표시하는 INS상태표시부(38)를 구동제어하는 INS상태표시구동부이며, 39는 CCS의 하드웨어(H/W)나 소프트웨어(S/W)에 발생된 긴급경보/주요경보/일반경보상태를 표시하는 CCS상태표시부(40)를 구동제어하는 CCS상태표시구동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40은 상기 전전자 교환기에 접속되어 있는 ASS나 RASM 및 SRASM에서 발생되는 장애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ED표시부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LED구동부이고, 42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LED로 구성되어 장애가 발생된 ASS와 RASM 및 SRASM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세그먼트패널(42a)와, 장애가 발생된 영역 즉, 하드웨어적 장애인지 소프트웨어적 장애인지를 나타내기 위한 H/W램프, S/W램프 및, 발생된 장애의 등급을 나타내기 위한 긴급정보램프, 주요경보램프, 일반경보램프로 구성되어 진다.
한편, 상술되어진 경보리셋버튼(30), 가청경보버튼(31), 경보시험버튼(32), 동작버튼(33), 상태표시부(36), INS상태표시부(38), CCS상태표시부(40), LED표시부(42), 스피커(4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원격알람패널장치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ASS(도시되지 않음)내에 있는 ASP(Analog Subscriber Processor;도시되지 않음)는 DTI/DCI(Digital CEPT1 Interface Block/Digital T1 Interface Block;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그 DTI/DCI에 접속되어 있는 RASM이나 SRASM의 장애상태를 감시함과 더불어 상기 ASS의 장애상태를 감시하는데, 이때 상기 ASP에서 상기 RASM이나 SRASM 및 ASS에서의 장애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ASP는 CI(20)를 통해 상기 CCP(21)로 경보를 전송한다.
이에, 상기 CCP(21)는 상기 CI(20)를 통해 전송되어진 경보를 취합한 다음 그 경보를 처리하여 그에 따른 경보 신호정보를 출력하게 되는데, 그 경보 신호정보는 정합단(22)을 매개하여 원격알람패널장치(24)와 상기 프린터(23)로 전송되어 진다.
한편, 이때 ASS나 RASM 및 SRASM에 장애가 발생되어 그에 따른 경보가 상기 CCP(21)에서 취합되어지면 상기 CCP(21)는 해당 경보로부터 장애가 발생된 위치나 장애발생영역 및 장애등급에 따른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보 신호정보를 출력하여 해당 경보 신호정보를 상기 원격알람패널장치(24)로 전송한다.
그 경보 신호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원격알람패널장치(24)의 제어부(34)는 해당 경보 신호정보에 기초하여 장애가 발생된 ASS나 RASM 및 SRASM의 위치와 장애발생영역 및 경보등급이 LED표시부(42)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LED구동부(41)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정합단(22)을 매개로 'ASS 7'의 '하드웨어'에서 발생한 '긴급경보'에 해당하는 장애 경보신호가 상기 제어부(34)로 전송되면, 상기 제어부(34)는 해당 LED구동부(41)로 소정의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LED표시부(42)에 구성된 세그먼트 패널(42a)의 ASS영역에 '07'이 표시되도록 함과 더불어 H/W램프와 긴급경보램프가 상기 LED구동부(41)에 의해 점등되도록 한다.
또다른 경우로, 'ASS 3'에 접속된 'RASM 2'에 접속된 'SRASM 5'의 '소프트웨어'에서 '주요경보'가 발생되어 그에 따른 경보가 상기 CCP(21)에서 취합되어지면, 상기 CCP(21)는 해당 경보에 따른 경보 신호정보를 상기 정합단(22)을 매개하여 상기 원격제어패널장치(24)의 제어부(34)로 전송한다.
그 경보 신호정보를 인가받은 상기 제어부(34)는 상기 LED구동부(41)로 소정의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LED표시부(42)에 구성된 세그먼트패널(42a)의 ASS영역에서는 '03'이 표시하고, RASM영역에서는 '02'가 표시하며, SRASM영역에서는 '05'가 표시하기 위한 LED가 상기 LED구동부(41)에 의해 점등되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어부(34)는 상기 LED구동부(41)로 소정의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LED표시부(42)에 구성된 S/W램프와 주요경보램프가 상기 LED구동부(41)에 의해 점등되도록 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상기 원격알람패널장치(24)상의 상기 LED표시부(42)에 구성된 세그먼트패널(42a)의 ASS영역에서는 '03', RASM영역에서는 '02', SRASM영역에서는 '05'가 표시되고 S/W램프가 점등됨과 동시에 주요경보램프가 점등되면 운용자는 그 상태를 통해 'ASS 3'에 접속된 'RASM 2'에 접속된 'SRASM'의 '소프트웨어'에서 주요장애가 발생된 상태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원격알람패널장치에 의하면, 전전자 교환기의 ASS에 접속된 RASM과 SRASM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장애가 발생된 RASM과 SRASM의 위치와 장애발생영역 및 경보등급이 원격알람패널장치상으로 표시됨으로써 운용자가 용이하게 전전자 교환기의 ASS에 접속된 RASM과 SRASM에 발생된 장애상태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운용자가 전전자 교환기의 ASS에 접속된 RASM과 SRASM에 발생된 장애를 해소하기 위한 일련의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음으로써 수리소요시간이 단축되어 통신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각 프로세서간의 IPC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CI(20)와,
    상기 CI(20)를 매개로 전송된 각 프로세서에서 발생된 경보를 취합하여 그에 따른 경보 신호정보를 출력하는 CCP(21),
    상기 CCP(21)와 원격알람패널장치(24)를 정합하기 위한 정합단(22),
    상기 CCP(21)로 부터 출력된 경보 신호정보에 기초하여 경보등급을 판정한 다음 판정된 경보에 따른 가시경보와 가청경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원격알람패널장치(2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원격알람패널장치(24)는 장애가 발생된 ASS나 RASM 및 SRASM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세그먼트패널(42a)과 장애발생영역을 나타내기 위한 H/W램프,S/W램프 및, 장애등급을 나타내기 위한 긴급/주요/일반경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원격알람패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알람패널장치(24)는 정합단(22)을 통해 전송된 ASS나 RASM 및 SRASM에서 발생된 장애에 따른 경보 신호정보에 기초하여 장애가 발생된 ASS나 RASM 및 SRASM의 위치와 장애발생영역 및 경보등급이 표시되도록 LED구동부(41)를 제어하는 제어부(34)와, 상기 제어부(34)의 제어하에 상기 세그먼트패널(42a)과 H/W램프, S/W램프 및 긴급/주요/일반경보램프를 구동제어하는 LED구동부(41) 및, 상기 세트먼트패널(42a)과 H/W램프, S/W램프 및 긴급/주요/일반경보램프로 구성된 LED표시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원격알람패널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패널(42a)은 다수의 LED를 갖추어 구성된 LED세그먼트패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원격알람패널장치.
KR1019960038259A 1996-09-04 1996-09-04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원격알람패널장치 KR199800199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8259A KR19980019957A (ko) 1996-09-04 1996-09-04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원격알람패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8259A KR19980019957A (ko) 1996-09-04 1996-09-04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원격알람패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957A true KR19980019957A (ko) 1998-06-25

Family

ID=41259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8259A KR19980019957A (ko) 1996-09-04 1996-09-04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원격알람패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99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8182B1 (ko) * 1999-12-17 2002-03-16 박종섭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원격 경보 구동 패널 유닛의 링크경보 검출방법
WO2009107890A1 (en) * 2008-02-26 2009-09-03 Chang-Gil Park Screwing type coupling struc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8182B1 (ko) * 1999-12-17 2002-03-16 박종섭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원격 경보 구동 패널 유닛의 링크경보 검출방법
WO2009107890A1 (en) * 2008-02-26 2009-09-03 Chang-Gil Park Screwing type coupling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27981A1 (en) Computer diagnostic system
EP0574439A1 (en) MONITORING APPARATUS AND SYSTEM.
CN100351806C (zh) 具有专用系统管理总线的计算机系统
KR19980019957A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원격알람패널장치
KR19980019956A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원격알람패널장치
JPH0223120B2 (ko)
KR100440588B1 (ko) 계층적 구조를 지원하는 직렬 버스형 형상 인식 및 경보장치
CN111338911A (zh) 服务器硬盘指示灯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554249B1 (ko) 단위 관제점별 이상감지를 포함한 전 이중화방식의 자동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970006946B1 (ko) 신호 중계 교환기에서 고장허용 구조를 갖는 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71302B1 (ko) 광선로 감시 장치의 경보 집중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JPH10116211A (ja) システムコンソール故障通知方式
KR0174406B1 (ko) 비동기전달모드 전전자 교환기의 경보취합장치 및 그 운용방법
CN218825797U (zh) 一种用于强弱电监测设备运行状态的监测预警装置
JPH09259008A (ja) アラーム監視システム
JP2012126295A (ja) 進路表示装置とその制御方法
KR100286352B1 (ko) 엘리베이터의원격감시장치및방법
JPH1011322A (ja) 遠隔保守システム
KR100202979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프로세서간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엠버스 절제 장치
JP2699904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0202990B1 (ko)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에 있어서 경보 판별 장치
KR0175453B1 (ko) 비동기 전달모드 교환기에서의 경보 처리 방법
JP2022147306A (ja) 監視システムおよび入出力ユニット
JPH01211099A (ja) ガス検知警報装置
JPH0239664A (ja) 遠隔監視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