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9136U - 자궁내경조직 절제기구 - Google Patents

자궁내경조직 절제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9136U
KR19980019136U KR2019980005331U KR19980005331U KR19980019136U KR 19980019136 U KR19980019136 U KR 19980019136U KR 2019980005331 U KR2019980005331 U KR 2019980005331U KR 19980005331 U KR19980005331 U KR 19980005331U KR 19980019136 U KR19980019136 U KR 1998001913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connecting rod
cervix
resection
surg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53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74443Y1 (ko
Inventor
두재균
Original Assignee
두재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재균 filed Critical 두재균
Priority to KR20199800053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4443Y1/ko
Publication of KR199800191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1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44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44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7Atherectomy devices working by cutting or abrading; Simila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non-vascular obstructions
    • A61B17/320758Atherectomy devices working by cutting or abrading; Simila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non-vascular obstructions with a rotating cutting instrument, e.g. motor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42Gynaecological or obstetrical instrument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42Gynaecological or obstetrical instruments or methods
    • A61B2017/4216Operations on uterus, e.g. endometriu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궁 내경조직절제기구에 관한 것으로 전동드릴에 의해 회전하는 커터에 의해 기계적 방법으로 병소를 절제하도록 함으로서 정밀하고 신속한 수술을 할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본 고안은 원주형 몸체(1a)의 저면부로부터 일정 깊이로 원주상의 중공부(1b)가 형성되고 중공부의 상단 중심부에 나사공(1c)이 형성되며 하단테두리에 톱니형 칼날(1d)이 형성되는 구조의 커터(1)와, 일단에 나사부(2a)가 형성되어 상기 커터에 결합되는 봉상의 커터연결봉(2)과, 상기 커터연결봉(2)을 결합하여 커터(1)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전동드릴(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절제시술이 매우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 져 수술에 걸리는 시간과 노력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정밀한 절제시술이 가능하며, 커터의 적절한 외경을 선택하여 병소부위만 효과적으로 절제제거함으로서 수술 후 자궁경부암의 재발이 적게 하는 효과와 부분자궁적출술의 용이한 시행을 통하여 자궁 경부를 남겨둠으로서 부부간 성생활에 있어 성감을 저하시키지 않고 여성들에게 자궁의 일부조직을 갖고 있다는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자궁내경조직 절제기구
본 고안은 자궁 내경조직절제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경복부 부분자궁적출술을 시행한 후 자궁경부의 편평원주 상피 결합부를 포함하는 이형대와 자궁내경관의 원주상피세포층을 기계적으로 회전시킨 커터에 의해 원통형으로 용이하게 제거 할 수 있도록 구성한 부분자궁적출술용 수술기구에 관한 것이다.
자궁적출술은 자궁전체를 제거하는 전자궁적출술과,자궁경부를 일부 남겨놓고 자궁을 제거하는 부분자궁 적출술로 구분되어 실시되고 있는데, 부분자궁 적출술은 남아 있는 자궁경부에서 암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전자궁적출술이 불가능한 경우, 예를 들면 폐쇄된 더글라스, 골반염증 및 자궁내막증등으로 해부학적 구조가 변형된 경우 및 전자궁 적출술법이 보급되지 않아서 어쩔 수 없이 부분자궁적출술을 할 수 밖에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시행되고 있지 않고 있으며, 이를 복강경하에서 실시할 경우 고도의 수술기술을 요하고 수술기구가 값비싸며 다루기 힘든 점도 부분자궁적출술을 기피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그러나 부분자궁적출술에 대한 이와 같은 우려는 편평원주상피결합부(squamocolumnar junction)를 포함하여 내자궁경 상피(endocervical columnar cell)를 제거하게 되면 수술 후 자궁경부암의 예방이 충분하다는 것이 입증되고 있고,자궁 경부를 남겨두는 부분적출술은 부부간 성생활에 있어 성감을 저하시키지 않고 여성들에게 자궁의 일부조직을 갖고 있다는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장점을 갖고 있음으로 부분자궁적출술이 가능한 경우에는 이와 같은 부분자궁적출술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더욱 값싸고 다루기 쉬운 절제기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 부분자궁적출술을 시행하기 위한 자궁 내경조직절제 기구로 길잡이 막대와 길잡이관 및 절제관을 세트로 한 절제기구가 공지되고 있다.
이것은 질을 통하여 길잡이 막대를 자궁벽에 박고, 길잡이 막대에 길잡이관과 절제관을 삽입하여 절제관을 손으로 서서히 돌려주면서 진입시켜 자궁경부의 편평원주 상피 결합부를 포함하는 이형대와 자궁내경관의 원주상피세포층을 원통형으로 절제하도록 된 것으로 부분자궁적출술에 있어서 필수적인 시술기구이나 손으로 절제관을 돌려가면서 절제하도록 됨으로서 절제수술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고도의 숙련된 기술을 요하며, 안내막대를 자궁벽에 박고 질쪽으로부터 관입하여 자궁내부로 파고들면서 절제하도록 됨으로서 절제과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시야확보도 곤란하고 절제시작 후 지혈처리시 까지 소요되는 시간도 길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고안은 부분자궁적출술 시행시 일반수술기술을 익힌 자라면 누구나 쉽게 자궁경부의 편평원주 상피 결합부를 포함하는 이형대와 자궁내경관의 원주상피세포층을 절제할 수 있도록 하고, 회전하는 커터에 의해 기계적 방법으로 절제하도록 하여 정밀하고 신속하게 수술을 종료할 수 있는 구조의 자궁내경조직절제기구를 새로이 제시함으로서 부분자궁적출술의 확산보급을 꾀하고, 수술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를 높일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구성도
도2는 본 고안의 결합 상태도
도3a내지 도3c는 본 고안에 의한 수술과정도
*주요부호의 설명
1.커터 2.연결봉 3.전동드릴
도1 및 도2는 본 고안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은 원주형 몸체(1a)의 저면부로부터 일정 깊이로 원주상의 중공부(1b)가 형성되고 중공부의 상단 중심부에 나사공(1c)이 형성되며 하단테두리에 톱니형 칼날(1d)이 형성되는 구조의 커터(1)와, 일단에 나사부(2a)가 형성되어 상기 커터에 결합되는 봉상의 커터연결봉(2)과, 상기 커터연결봉(2)을 결합하여 커터(1)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전동드릴(3)로 구성된다.
커터는 자궁경부의 편평원주 상피 결합부를 포함하는 이형대와 자궁내경관의 원주상피세포층을 도넛형상으로 절제하기 위한 것으로, 병소상태에 따라 절제범위가 달라지기 때문에 커터의 외경은 18-22mm범위에서 결정되고, 실제 절제시의 선택의 용이하도록 18mm,20mm,22mm로 각각의 외경을 달리하는 3개의 커터를 한 세트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터몸체의 길이는 대략 70mm 범위가 되도록 하며, 절제시 절제된 조직이 채워지는 부분인 중공부의 깊이는 40mm범위가 되도록 한다.
칼날은 중공부에 의해 형성된 테두리에 톱니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칼날의 두께는 0.3-1mm범위에서 결정되며, 커터 회전시 칼날이 신체조직과 접촉하여 병소를 환형으로 절제하게 된다.
커터내부에 형성된 나사공은 연결봉을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결합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20mm이상의 깊이로 형성한다.
연결봉은 전동드릴로 부터의 회전력을 커터에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봉의 직경은 자궁경부로의 삽입시 자연스럽게 삽입할 수 있고 커팅시 자궁경부가 가이드역활을 할 수 있도록 대략 5-7mm범위의 직경을 갖도록 하며,가장 바람직한 직경은 6mm가 된다.
연결봉의 길이는 자궁으로 부터의 질까지의 길이를 고려하여 그 길이 이상으로 하고 대략 150mm-200mm 범위에서 결정된다.
전동드릴(3)은 커터에 기계적인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저속의 속도를 단계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된 구조의 의료용으로 사용하는 드릴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연결봉을 척(3a)에 삽입한 후 스위치(3b)를 누르면 드릴의 회전력이 연결봉을 통하여 커터에 전달되며, 스위치를 단계적으로 누르면 저속에서 차츰속도를 증가시킨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커터,연결봉 및 전동드릴를 결합한 상태에서 작동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커터가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도3a 내지 도3c 은 상기 구성에 의한 수술과정을 도시하기 위한 것으로 먼저,질입구를 적당한 형상으로 디자인한 후 개복을 하여 병소가 되는 자궁체부(10)를 제거하고 자궁경부(11)에 커터(1)를 위치시킨 후 연결봉의 나사부가 커터로 향하도록 연결봉을 질(12)로부터 삽입하여 커터와 연결봉을 결합한다.
커터와 연결봉의 결합이 종료되면 질밖으로 노출된 연결봉의 단부에 전동드릴(3)을 결합한다.
커터,연결봉 및 전동드릴가 결합된 후 작동스위치를 켜면 커터가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면서 칼날에 접촉된 조직이 절제되며, 전동드릴을 서서히 당겨주면 병소 부위가 환형으로 잘리면서 잘린 부위가 커터의 중공부에 채워지고, 커터가 질박으로 완전히 빠져나오면 절제가 종료된다.
절제가 종료된 후 지혈과 후처리를 시행함으로서 부분자궁적출술을 종료하고, 절제기구는 분리하여 소독처리함으로서 재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준비한다.
개복 후 병소의 상태에 따라 커터의 적정한 크기를 선택하며, 대개의 경우 절제할 자궁경부의 길이는 40mm이내가 됨으로 절제된 환부가 커터 내부의 중공부에 채워진 상태로 배출된다.
자궁경부의 내경은 5-7mm범위 임으로 자궁경부에 삽입되는 연결봉이 자궁경부에 꽉 끼워진 상태로 절제가 이루어 지고, 이때 자궁경부의 내경이 가이드역활을 함으로서 절제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정확한 절제가 가능하게 된다.
절제종료후 커터와 연결봉의 분리시 전동드릴의 역회전 스위치를 역회전 위치로 한 상태에서 커터 몸체를 손으로 잡고 작동스위치를 켜면 나사가 풀리면서 커터와 연결봉의 분리가 이루어 진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C1은 자궁체부의 절취선이며,C2는 본고안에 의하여 절취하는 절취선을 표시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전동 커터를 편평원주상피결합부(squamocolumnar junction)를 포함하여 내자궁경 상피(endocervical columnar cell)를 제거함으로서 절제시술이 매우 신속.간편하게 이루어 져 수술에 걸리는 시간과 노력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정밀한 절제시술이 가능하며, 커터의 적절한 외경을 선택하여 병소부위만 효과적으로 절제제거함으로서 수술 후 자궁경부암의 재발이 적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부분자궁적출술의 용이한 시행을 통하여 자궁 경부를 남겨둠으로서 부부간 성생활에 있어 성감을 저하시키지 않고 여성들에게 자궁의 일부조직을 갖고 있다는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원주형 몸체(1a)의 저면부로부터 일정 깊이로 원주상의 중공부(1b)가 형성되고 중공부의 상단 중심부에 나사공(1c)이 형성되며 하단테두리에 톱니형 칼날(1d)이 형성되는 구조의 커터(1)와, 일단에 나사부(2a)가 형성되어 상기 커터에 결합되는 봉상의 커터연결봉(2)과, 상기 커터연결봉(2)을 결합하여 커터(1)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전동드릴(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내경조직 절제기구.
KR2019980005331U 1998-04-02 1998-04-02 자궁내경조직 절제기구 KR2001744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331U KR200174443Y1 (ko) 1998-04-02 1998-04-02 자궁내경조직 절제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331U KR200174443Y1 (ko) 1998-04-02 1998-04-02 자궁내경조직 절제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136U true KR19980019136U (ko) 1998-07-06
KR200174443Y1 KR200174443Y1 (ko) 2000-05-01

Family

ID=19533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5331U KR200174443Y1 (ko) 1998-04-02 1998-04-02 자궁내경조직 절제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44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6531A (zh) * 2019-02-26 2019-06-07 河南亚都实业有限公司 子宫肌瘤切除术用吸引导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6531A (zh) * 2019-02-26 2019-06-07 河南亚都实业有限公司 子宫肌瘤切除术用吸引导管
CN109846531B (zh) * 2019-02-26 2023-11-21 河南亚都实业有限公司 子宫肌瘤切除术用吸引导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4443Y1 (ko) 2000-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68323B1 (en) Electrosurgical colpotomy device
US6589240B2 (en) Tissue biopsy apparatus with collapsible cutter
RU216629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сечения свища
US6623437B2 (en) Tissue biopsy apparatus
US20120316572A1 (en) Transcervical excision and removal of tissue
US20010027317A1 (en) Method of treatment of prostatic adenoma
US5951550A (en) Endocervical conization electrode apparatus
US5676663A (en) Cone biopsy instrument
US20080009858A1 (en) Laparoscopic instrument tip and method of specimen collection
EP2210567B1 (en) A bipolar electrosurgical instrument
US8454626B2 (en) Hysterectomy ring
JP2003502094A (ja) 侵害を最小限にした組織採取のための外科用ゾンデ
KR200174443Y1 (ko) 자궁내경조직 절제기구
US2007022574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eating Uterine Fibroids
BAGGISH et al. Hysteroscopic treatment of symptomatic submucous myomata uteri with the Nd: YAG laser
US20050113854A1 (en) Cervical conization device
CN210408369U (zh) 一种宫腔检查镜附加装置
US11559326B2 (en) Disposable circumcis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e of this apparatus
Wortman et al. Hysteroscopic endocervical resection
KR200145990Y1 (ko) 일렉트로드를 이용한 자궁내경조직 절제기구
EP1420699A1 (en) Tissue biopsy apparatus
JPH02500416A (ja) 子宮摘出装置
RU220560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сечения и измельчения матки при ее лапароскопической ампутации
Sardo et al. Basic Hysteroscopy
CN115553829A (zh) 一种宫颈病变切除工具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