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8983A -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 Google Patents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8983A
KR19980018983A KR1019970040725A KR19970040725A KR19980018983A KR 19980018983 A KR19980018983 A KR 19980018983A KR 1019970040725 A KR1019970040725 A KR 1019970040725A KR 19970040725 A KR19970040725 A KR 19970040725A KR 19980018983 A KR19980018983 A KR 19980018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ransmission
transmission target
receiving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07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타츠요시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사와무라 시코우
오끼뎅끼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26636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457808B2/en
Priority claimed from JP8226624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70530A/en
Application filed by 사와무라 시코우, 오끼뎅끼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사와무라 시코우
Publication of KR19980018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983A/en

Link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정보축적제공장치 및 복수의 정보수신장치의 사이에서 전송대상정보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송수신할 수 있는 정보전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전송 시스템에 있어서의 상기 정보축적제공장치는 종별정보, 계약정보 및 전송대상정보와 관련된 시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동보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복수의 정보장치 각각은 전송대상정보가 필요한지, 이용가능한지, 최신의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capable of efficiently and smooth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between an information storage providing apparatus and a plurality of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e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formation accumulation providing apparatus i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eans for broadcast transmission of at least one of category information, contract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Each of the information apparatuses of the apparatus is provided with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is necessary, available or up to date.

Description

정보전송 시스템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본 발명은 정보축적제공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정보를 정보수신장치에 전송하는 정보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in which an information storage providing apparatus transmits information to an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 via a network.

사용자가 정보수신장치(이하, 사용자 단말이라고 칭함)를 사용하여 정보축적제공장치(이하, 서버라고 칭함)에 축적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서 추출하는 정보전송 시스템이 다수 존재하는데, 그것의 일부는 인터넷에도 존재한다.Many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s exist in which a user extracts information accumulated in an information storage providing apparatu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rver) through a network by using an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user terminal). Even exists.

이러한 인터넷 상의 정보전송서비스에서는, 우선 사용자측이 자기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축적하는 서버에 액세스하고, 메인 데이터{홈페이지(Home Page)}를 송신하라고 서버에게 요구한다. 그 액세스에 의해, 서버측은 사용자를 인식하여 사용자에게 메인 데이터를 송신한다. 사용자가 서버로부터의 메인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서, 필요하면, 메인 데이터가 가진 리스트를 참조하여 상세 데이터를 선택하며, 사용자에 대한 상세 데이터를 공급하라고 서버에게 요구한다. 이 요구에 응답하여, 서버는 요구된 상세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공급한다. 이러한 수법에 의해 인터넷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가 성립된다. 유사하게, 인터넷 이외의 전용 또는 범용의 다른 네트워크에서의 정보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서버는 사용자의 요구에 응답하여 정보를 사용자에게 공급해 왔다.In such an information transmission service on the Internet, a user first requests a server to access a server that stores data necessary for the user, and to transmit main data (Home Page). By the access, the server side recognizes the user and transmits main data to the user. In the case where the user has received the main data from the server, if necessary, the server selects the detailed data by referring to the list of the main data and supplies the detailed data about the user. In response to this request, the server supplies the requested detailed data to the user. By this technique, a data transmission service on the Internet is established. Similarly, in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s in other dedicated or general purpose networks other than the Internet, servers have supplied information to users in response to user requests.

상기 종래의 정보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는 액세스한 시점에서 이미 축적된 정보만을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그 후에 수신된 정보의 어떠한 갱신도 포착할 수 없다.In the conventi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the user can receive only the information already accumulated at the time of access. Thus, the user cannot then capture any updates of the received information.

예를 들어, 만약 어떤 변화가 있다면, 일부 정보제공자 또는 일부 서버측은 프로야구의 시합경과정보와 경마의 승산에 대한 정보를 빈번하게 갱신한다. 따라서, 종래의 정보시스템은, 갱신된 정보를 요구하는 사용자에게 서버에 빈번하게 액세스하라고 요구한다. 그렇지만, 이 정보는 항상 갱신되지 않는다. 그 결과, 그들의 반복적인 액세스가 때때로 쓸데없는 노력으로 끝나는 일도 많다. 네트워크의 트래픽량을 고려할 경우에, 그러한 불필요한 액세스는 효율적인 정보전송 시스템에 해를 끼친다. 특히, 많은 사용자의 단말을 수용하는 정보전송 시스템의 경우, 빈번한 액세스는 폭주 등을 유발할 우려가 크다.For example, if there is any change, some information providers or some server side frequently update the game's game history information and the horse's odds. Therefore, the conventional information system requires users who request updated information to frequently access the server. However, this information is not always updated. As a result, their repetitive access often ends up in unnecessary effort. Given the amount of traffic in the network, such unnecessary access harms an efficient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n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ccommodating the terminals of many users, frequent access is likely to cause congestion.

또한, 문자 동보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갱신된 정보를 포착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 즉 서버측이 최신의 정보를 통신망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사용자가 자신에게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정보를 파악하는 방법도 있었다. 그렇지만, 이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측이 자신에게 불필요한 많은 정보를 받아들이게 되어, 사용자는 오직 자신에게 필요한 다소의 정보만을 얻을 수 있다. 사용자에게 필요한 약간의 정보에도 불구하고, 많은 정보를 공급하기 때문에, 이 방법은 효율적인 정보전송 시스템이라고는 말하기 어렵다.In addition, there was another method for capturing updated information used in the text broadcasting system, that is, a method in which the server side continuously supplied the latest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grasped the information that the user considered necessary. However, according to this method, the user side accepts a lot of information unnecessary to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obtain only som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user. Despite the small amount of information needed by the user, this method is difficult to say as an efficient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또한, 이 정보는 항상 교정수 및 갱신 시간을 포함했는데, 그것은 그들 자신의 교정수 및 갱신시간으로서만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is information always included corrections and renewal times, which are only available as their own corrections and renewal times.

정확한 갱신시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단말의 시계가 정확하지 않으면, 갱신시간에 근거하여 어떤 처리를 수행하려고 하는 단말은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일으킬 것이다. 즉, 그것의 시계에 의하여 앞으로의 갱신시각을 포함하는 어떤 정보를 파기하도록 단말이 설계되면, 정확하지 않은 시계 때문에, 그 단말은 서버에 의해 전송된 모든 정보를 파기해야 한다.In spite of the correct update time, if the clock of the user's terminal is not correct, the terminal which attempts to perform some processing based on the update time will cause the following problems. That is, if a terminal is designed to destroy some information including its future update time by its clock, because of the incorrect clock, the terminal must discard all information sent by the server.

또한, 전송대상의 정보량은 대단히 많다. 이러한 경우에, 그 정보는 다수의 부분으로 분할되어야 한다. 그러나, 그러한 부분들은 네트워크 조건에 의존하는 원래의 순서와 다른 순서로 사용자에게 도달하는 일이 있다. 패킷통신으로, 패킷의 시퀀스 번호를 참조하여 수신된 부분들의 순서를 확인한다. 그 순서가 원래의 순서와 다르다고 판명되면, 그 부분들은 정보를 재생할 수 없게 되고, 즉 상기 확인절차로 그러한 불규칙한 순서를 보정할 수 없다.Also, the amount of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is very large.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must be divided into multiple parts. However, such parts may reach the user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original order depending on the network conditions. In packet communication, the order of the received parts is ascertained with reference to the sequence number of the packet. If the order is found to be different from the original order, the parts cannot reproduce information, i.e., the irregular procedure cannot correct such an irregular order.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확한 시간에 근거하며 일련의 정보의 불규칙한 순서에 관계없이, 전송대상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또는 원활하게 송수신할 수 있는 정보전송 시스템, 정보축적제공장치 및 정보수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n information storage providing apparatus, and an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 that can transmit or receive information of a transmission target efficiently or smoothly based on a precise time and irrespective of an irregular order of a series of information. It is in doing it.

도 1은 제 1 실시예의 정보전송 시스템에 있어서의 서버를 나타내는 기능블록도Fig. 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a server i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of the first embodiment.

도 2는 정보전송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network configuration of an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도 3a∼도 3d는 제 1 실시예의 정보전송패킷의 형식을 나타내는 도면3A to 3D are diagrams showing the format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packet of the first embodiment.

도 4는 제 1 실시예의 정보전송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블록도4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i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of the first embodiment;

도 5는 제 1 실시예의 암호화키 생성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Fig. 5 is a flowchart showing the encryption key generation processing of the first embodiment.

도 6은 제 2 실시예의 정보전송 시스템에 있어서의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블록도Fig. 6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rver i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of the second embodiment.

도 7a∼도 7e는 제 2 실시예의 정보전송패킷의 형식을 나타내는 도면7A to 7E are diagrams showing the format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packet of the second embodiment.

도 8은 제 2 실시예의 정보전송 시스템에 있어서의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블록도Fig. 8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i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of the second embodiment.

도 9는 제 2 실시예의 정보전송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간 시퀀스9 is a time sequence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of the second embodiment.

*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important parts of drawing

1-1∼1-m : 사용자 단말(정보수신장치)1-1 to 1-m: user terminal (information receiving device)

2-1∼2-n : 서버(정보축적제공장치)2-1 to 2-n: Server (information accumulation provision device)

3 : 네트워크10 : 단말 송수신부3: network 10: terminal transceiver

11 : 정보종별 식별부12 : 시간정보 식별부11: information type identification unit 12: time information identification unit

13 : 복호화부14 : 복호화키 기억부13 decryption unit 14 decryption key storage unit

15 : 정보처리부16 : 정보 축적부15: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6: information storage unit

17 : 정보 입출력부20 : 정보 입출력부17: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20: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21 : 정보검색 관리부22 : 정보축적부21: information retrieval management unit 22: information accumulation unit

23 : 암호화부24 : 암호화키 생성부23: encryption unit 24: encryption key generation unit

25 : 시간정보 생성부26 : 정보종별 생성부25: tim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6: information type generation unit

27 : 서버 송수신부27: server transceiver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전송대상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축적제공장치 및 전송대상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정보수신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근거한 정보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정보축적제공장치는, 전송대상정보의 종별을 표시하는 제 1 종별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과, 네트워크를 통해서 종별정보를 동보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정보장치의 각각은 필요한 전송대상정보에 대하여 제 2 종별정보를 축적하기 위한 수단과, 제 1 종별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과, 제 2 종별정보와 제 1 종별정보를 비교하여 정보축적제공장치로부터 전송대상정보가 필요한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과, 전송대상정보가 필요하다고 결정할 때 정보축적제공장치로부터 전송대상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based on a network comprising an information accumulation providing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a transmission target and a plurality of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es for receiving information of a transmission target, And means for generating first category information indicating the type of transfer target information, and means for broadcast transmission of the category information over a network,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apparatuses is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required transfer target information. Means for accumulating the category information, means for receiving the first category information, and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is needed from the information accumulation providing apparatus by comparing the second category information with the first category information. And means for receiving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accumulation providing apparatus when determining that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is necessary.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르면, 전송대상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축적제공장치 및 전송대상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정보수신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근거한 정보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정보축적제공장치는 전송대상정보의 요금을 나타내는 계약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과, 네트워크를 통해서 계약정보를 동보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복수의 정보장치 각각은 계약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과, 계약정보에 대응하는 전송대상정보가 수신가능한지의 여부를 계약정보에 근거하여 결정하기 위한 수단과, 전송대상정보가 수신가능하다는 것을 결정할 때 전송대상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network based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including an information accumulation providing apparatus for providing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and a plurality of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 for receiving information of the transmission target, the information accumulation providing apparatus is Means for generating contract information indicative of charges for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and means for broadcasting and transmitting contract information through a network,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apparatuses includes means for receiving contract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contract information. Means for determining, based on the contract information, whether or not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is receivable, and means for receiving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when determining that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is receivabl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전송대상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축적제공장치 및 전송대상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정보수신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근거한 정보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정보축적제공장치는, 전송대상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수단과, 전송대상정보의 갱신에 대하여 시간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과, 네트워크를 통해서 시간정보를 동보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복수의 정보장치의 각각은, 시간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과, 전송대상정보가 가장 최근의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과, 전송대상정보가 가장 최근의 것이라고 결정할 때 전송대상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network based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including an information accumulation providing apparatus for providing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and a plurality of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 for receiving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the information accumulation providing apparatus is Means for updating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means for generating time information for updating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and means for broadcasting the time information via a network,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apparatuses includes: Means for receiving time information,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transmission object information is the most recent, and means for receiving the transmission object information when determining that the transmission object information is the most recent.

제 1 실시예First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정보전송 시스템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 1 실시예의 정보전송 시스템은 정보를 갱신할 때 서버가 갱신정보 및 종별정보를 네트워크 상에 송신하고, 사용자측 단말이 종별정보를 포착하며, 종별정보를 참조하여 갱신된 정보를 구분하여, 많은 갱신된 정보 중 사용자측에서 필요한 갱신된 정보만을 취득하도록 하는 실시간 정보 전송 서비스 동작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of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information is updated, the server transmits the update information and the category information on the network, the user terminal captures the category information, classifies the updated information with reference to the category information, and updates a lot. A real-time information transmission service operation for acquiring only updated information required by the user side of the obtained information.

도 2는 이 제 1 실시예의 정보전송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다. 도 2에서, 정보전송 시스템은 정보를 수신하는 몇몇 사용자 단말(정보수신장치)(1-1∼1-m)과, 정보를 제공하는 적어도 1 이상의 서버(정보축적제공장치)(2-1∼2-n)를 구비하는데, 그것의 모두는 네트워크(3)를 통해 접속된다.Fig. 2 shows a network configuratio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of this first embodiment. In Fig. 2,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includes several user terminals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es) 1-1 to 1-m for receiving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server (information storage providing apparatus) 2-1 to 1 for providing information. 2-n), all of which are connected via a network 3.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네트워크(3)에는 동보기능이 제공되어야 한다. 그러나, 그것은 개인망 또는 공중망일 수도 있다. 또한, 그것의 형태는 버스형상, 링형상 또는 메쉬형상일 수 있고, 그것의 형태에 의존하는 집선국 또는 중계국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각 서버(2-1∼2-n)는 대용량의 하드디스크장치와, 모뎀 및 이더네트 인터페이스부와 같은 통신장치를 포함하는 슈퍼컴퓨터 또는 워크스테이션으로 구성된다. 도 1은 서버의 동작구성을 나타낸다. 각 서버{2-j(j:1∼n)}는 정보 입출력부(20), 정보검색 관리부(21), 정보축적부(22), 암호화부(23), 암호화키 생성부(24), 시간정보 생성부(25), 정보종별 생성부(26) 및 서버 송수신부(27)로 구성되어 있다.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 3 should be provided with a broadcast function. However, it may be a private or public network. Its shape may also be bus-shaped, ring-shaped or mesh-shaped, and may include a central station or relay station depending on its shape. Each server 2-1 to 2-n is composed of a supercomputer or workstation including a large capacity hard disk device and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modem and an Ethernet interface unit. 1 shows an operation configuration of a server. Each server {2-j (j: 1 to n)} includes an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20, an information retrieval manager 21, an information accumulator 22, an encryption unit 23, an encryption key generator 24, It is composed of a time information generator 25, an information type generator 26, and a server transceiver 27.

정보 입출력부(20)는 전송대상의 신규 또는 갱신된 정보를 입력하고, 해당 정보전송 시스템에 의해 공급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허용되는 계약자의 신규 또는 갱신된 정보를 입력한다. 또한, 정보 입출력부(20)는 갱신된 정보의 확인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금부과정보의 출력을 요청하거나 할 때, 정보검색 관리부(21)로부터 주어진 전송대상의 정보를 출력한다.The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20 inputs new or updated information of a transmission target, and inputs new or updated information of a contractor who is allowed to receive information supplied by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In addition, the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20 outputs the information of the transmission target given from the information retrieval management unit 21 when checking the updated information and requesting the output of the charging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여기서, 전송대상의 정보(도 3a에 도시)는 그 정보의 특성을 지시하는 종별정보(도 3b에 도시)를 포함한다. 그 종별정보는 장르종별 및 정보종별(도 3d에 도시)을 갖는 이 장르정보는 대분류를 지시하고, 정보종별은 소분류와 세분류를 지시한다. 예를 들면, 야구경기에 관해서, 대분류는 '스포츠', 소분류는 '야구', 세분류는 '팀명'의 형태로 특정된다.Here, th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shown in FIG. 3A) includes category information (shown in FIG. 3B) indic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on. The genre information, which has a genre type and an information type (shown in FIG. 3D), indicates a major classification, and the information type indicates a subclass and a subclass. For example, in terms of baseball games, the major category is 'sports', the minor category is 'baseball', and the subdivision is 'team name'.

계약자 정보는 계약자와 계약자의 단말 ID를 특정하는 정보와, 사용자가 수신하도록 허용되는 전송대상 정보의 장르종별과 정보종별을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계약기간과 서비스실행시간의 정보를 포함한다.The contractor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specifying the contractor and the terminal ID of the contractor, information specifying the genre type and information type of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that the user is allowed to receive, and also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ontract period and service execution time. .

정보축적부(22)는 축적부(22a, 22b)로 이루어진다. 전송대상정보의 축적부(22a)는 장르종별과 정보종별과 같은 키를 사용하여 정보가 액세스할 수 있는 형식으로 전송대상정보를 저장한다. 축적부(22b)는 장르종별과 정보종별과 같은 키를 사용하여 정보가 액세스할 수 있는 형식으로 계약자 정보를 저장하고, 또한 각 계약자에 관한 요금부과정보도 저장한다.The information accumulating part 22 consists of accumulating parts 22a and 22b. The storage unit 22a of the transfer target information stores the transfer target information in a format that can be accessed by using keys such as the genre type and the information type. The storage unit 22b stores the contractor information in a format that information can be accessed by using keys such as the genre type and the information type, and also stores charging information about each contractor.

정보검색 관리부(21)는 신규 계약자의 가입 정보를 포함하며, 축적부(22b) 내의 정보를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명령을 수신할 때 축적부(22b)에 저장된 계약자 정보를 갱신한다.The information retrieval management unit 21 includes subscription information of the new contractor and updates the contractor information stored in the accumulator 22b when receiving a command instructing to change the information in the accumulator 22b.

또한, 정보 입출력부(20)로부터 전송대상의 신규정보 및 전송대상의 갱신정보를 수신할 때, 정보검색 관리부(21)는 축적부(22a)에 저장된 전송대상의 정보를 갱신하고, 전송대상의 수신된 정보의 송신을 준비한다. 이 송신처리의 기동시에는 정보검색 관리부(21)는 정보 축적부(22)에 저장되며 전송대상의 수신된 정보에 대응하는 요금부과정보도 갱신한다.In addition, when receiving new information of the transfer target and update information of the transfer target from the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20, the information retrieval management unit 21 updates the transfer target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a, Prepare to send the received information. At the start of this transmission process, the information retrieval management section 21 is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section 22 and also updates the charg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information as the transmission target.

네트워크(3)에서의 서버(2-j) 및 사용자 단말{1-I(I:1∼m)} 사이에서,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ATM 통신으로 패킷을 송수신하고, 정보검색 관리부(21)는, 전송대상정보를 패킷에 대응하는 복수의 정보량(이하, 전송단위의 정보라고 칭함, 즉 도 3b의 전송정보 본체)으로 분할하여, 암호화부(23)에 그들을 전송하도록 준비한다.Between the server 2-j in the network 3 and the user terminals {1-I (I: 1 to m)}, as shown in FIG. 3A, for example, an ATM communication is used to transmit and receive a packet, The retrieval management unit 21 divides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into a plurality of information amoun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ransmission unit information, that is, transmission unit information in FIG. 3B) corresponding to the packet, and prepares to transmit them to the encryption unit 23. do.

여기서, 사용자 단말(1-i)에 송신하는 정보는 정보 입출력부(20)으로부터 수신된 모든 정보 또는 갱신된 부분의 정보일 수 있다. 전송대상의 정보를 처음 입력할 때, 모든 정보를 송신한다. 반대로, 갱신된 정보를 입력할 때에는, 정보량은 제 1 임계치와 비교된다. 제 1 임계치보다 적으면, 모든 정보(I)를 송신한다. 제 1 임계치보다 크면, 입력된 정보는 입력된 정보와 정보축적부(22)에 이미 축적되어 있는 아직 갱신되지 않은 정보의 차를 구하고, 또 그 차를 제 2 임계치와 비교한다. 제 2 임계치보다 크면, 입력된 정보의 전부를 송신하고, 제 2 임계치보다 작으면, 차이를 나타내는 정보만을 송신한다.Here,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i may be al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20 or information of an updated part. The first time you enter the information to be sent, all information is sent. In contrast, when inputting updated information, the information amount is compared with the first threshold. If less than the first threshold, all information I is transmitted. If it is larger than the first threshold, the inputted information obtai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putted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not yet updat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2, and compares the difference with the second threshold. If larger than the second threshold, all of the input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If smaller than the second threshold, only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difference is transmitted.

또한, 정보검색 관리부(21)는 서버 송수신부(27)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1-i)로부터 복호화 키의 수신응답이 주어질 때, 정보검색 관리부(21)는 정보축적부(22)내의 계약자 정보가 유효하다고 가정한다. 그렇지 않으면, 정보검색 관리부(21)는 계약자의 정보가 무효라고 가정하지만, 요금부과와의 문제점을 피하기 위해, 정보를 소거하지 않는다.Further, when the information retrieval management unit 21 is given a response of the decryption key from the user terminal 1-i via the server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7, the information retrieval management unit 21 stores the contractor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2. Assume that is valid. Otherwise, the information retrieval management section 21 assumes that the information of the contractor is invalid, but does not erase the information in order to avoid problems with charging.

암호화부(23)는 암호화키 생성부(24)에서 생성된 전송대상의 정보에 대응하는 암호화키를 사용하여 정보검색 관리부(21)로부터 수신된 정보의 전송단위를 암호화하여, 시간정보 생성부(25)에 전송한다. 여기서, 암호화키는 사용자 단말(1-i)에 복호화 키로서 전송되는 것이며, 이러한 암호화 절차의 목적은 계약자가 전송대상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어떤 암호화 방법은 본 발명에 적합하지만, 암호화 절차는 중요하지 않다.The encryption unit 23 encrypts the transmission unit of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retrieval management unit 21 by using the encryption key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transmission target generated by the encryption key generation unit 24, and generates a tim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 25). Here, the encryption key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i as a decryption key, and the purpose of this encryption procedure is to enable the contractor to receive the information of the transmission target. Some encryption methods are suitable for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encryption procedure is not critical.

암호화키 생성부(24)는 계약 최단기간과 같은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1개월, 1주간 또는 1일)마다, 난수 등을 이용하여 암호화키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또한, 암호화키 생성부(24)는 각 사용자 단말(1-i)에 복호화키로서 송신하는 것이다. 따라서, 암호화키와 복호화키는 동일하다. 이 때문에, 정보 송신자와 정보 수신자간의 계약이 갱신되어, 복호화키를 사용하여 정보 송신자에 의해 송신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encryption key generator 24 generates and stores an encryption key using a random number or the like every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one month, one week, or one day) such as the shortest period of the contract. The encryption key generator 24 transmits the decryption key to each user terminal 1-i. Therefore, the encryption key and the decryption key are the same. For this reason, the contract between the information sender and the information receiver is updated, so that th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information sender can be received using the decryption key.

여기서, 암호화키는 장르종별과 정보종별과 같은 계약의 내용에 따라, 특히 계약 최소단위에 따라 서로 다른 것이 생성된다. 또한, 암호화키의 송신은 그 암호화키에 관한 계약 최소단위의 계약자의 정보를 축적부(22b)에서 추출하여, 각 계약자{사용자 단말(1-i)}에게 차례로 송신하도록 처리된다. 암호화키가 송신되면, 장르종별과 정보종별의 정보(예를 들면, 식별번호)도 암호화키로 송신된다.Here, the encryption key is gener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contract such as the genre type and the information type,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minimum unit of the contract. Further, the transmission of the encryption key is processed to extract the contractor's information of the contract minimum unit related to the encryption key from the storage unit 22b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to each contractor (user terminal 1-i) in turn. When the encryption key is transmitted, information of the genre type and information type (for example, an identification number) is also transmitted as the encryption key.

또한, 전송대상의 정보를 동보통신에 의해 송신하는데, 그것은 암호화키(복호화키)의 송신과는 다르다. 또한, 네트워크(3)가 정보전송 서비스용 기밀 또는 폐쇄된 시스템이면, 동보통신에 의해서 암호화키(복호화키)를 네트워크(3)에 송신해도 된다.Also, th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is transmitted by broadcast communic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transmission of an encryption key (decryption key). If the network 3 is a confidential or closed system for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service, the encryption key (decryption key) may be transmitted to the network 3 by broadcast communication.

또한, 암호화키 생성부(24)는 암호화부(23)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요구에 해당하는 암호화키를 암호화부(23)에 송신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encryption key generation unit 24 transmits the encryption key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to the encryption unit 23 in response to the request from the encryption unit 23.

시간정보 생성부(25)는 시계(25a), 예를 들면, 표준 전파 시계를 내장하고 있다. 암호화처리된 정보가 송신될 때에, 시간정보 생성부(25)는 시계(25a)로부터 현재의 실시간을 추출하며, 추출한 현재의 실시간을 패킷에 삽입할 수 있는 형식으로 처리하고, 암호화처리된 전송단위의 정보에 부가하여 정보종별 생성부(26)에 송신한다.The time information generator 25 has a clock 25a, for example, a standard radio clock. When the encryp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e tim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5 extracts the current real time from the clock 25a, processes the extracted current real time in a format that can be inserted into a packet, and encrypts the transmission unit.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the information is sent to the information type generating unit 26.

도 3c는 패킷에 삽입되는 시간정보의 포맷 예를 나타내는데, 각 부분에 대한 비트의 수는 괄호의 첨부숫자로 표시되어 있다.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정보는, 적어도 '일자'(5비트), '시'(5비트), '분'(6비트), '초'(6비트), '밀리초'(10비트), '마이크로초'(10비트), '순환 여유 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 CRC)'(α 비트)를 갖는다. 그 밖의 정보(β 비트)는, '월'과 '시간정보의 변동유무를 나타내는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Fig. 3C shows an example of the format of time information inserted into a packet, in which the number of bits for each part is indicated by an appended number in parentheses. As shown in FIG. 3C, the tim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date' (5 bits), 'hour' (5 bits), 'minute' (6 bits), 'second' (6 bits), and 'millisecond' (10). Bit), 'microsecond' (10 bits), and 'Cyclic Redundancy Check (CRC)' (α bits). The other information (β bits) may include a 'month' and a 'bit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 time information changes.'

여기서, '시간정보의 변동유무를 나타내는 비트'란, 동일한 전송대상의 정보를 구성하는 패킷마다 서로 다른 시간정보를 삽입하는 것과, 전송대상의 정보의 종류 또는 그것의 정보량에 따라 선택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 1 실시예에 있어서는, 패킷마다 서로 다른 시간정보를 삽입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Here, the "bit indicating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time information" means inserting different time information for each packet constituting the sam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and selecting it according to the type of information or the amount of information thereof. . In the first embodiment, it is based on inserting different time information for each packet.

시간정보의 송신에는 이하의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시간정보에 근거하여, 계약자는 최신의 정보와 옛날의 정보를 구별할 수 있다. 즉, 일단 전송대상의 정보가 서버(2-j)에서 갱신되면, 사용자 단말(1-i)은 갱신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계약자가 항상 갱신된 정보를 보지는 못한다. 그것을 보는 경우에는, 계약자는 갱신되지 않은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그것이 최신의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of time information includes the following functions. Based on the time information, the contractor can distinguish the latest information from the old information. That is, once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is updated in the server 2-j, the user terminal 1-i may receive the updated information. However, the contractor does not always see the updated information. When viewing it, the contractor can use the time information that has not been updated to determine whether it is the latest information.

또한, 사용자 단말(1-i)은 약간의 전파지연은 있지만, 시간정보를 참조하여 시계를, 정확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패킷마다 서로 다른 시간정보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1-i)은 각 패킷의 시퀀스 번호를 참조하여 순서성을 판단할 뿐만 아니라, 시간정보에 따라 패킷의 순서성을 판단하여, 패킷의 순서성을 2중으로 체크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user terminal 1-i has a slight propagation delay, the clock can be made accurate with reference to time information. In addition, when different time information is transmitted for each packet, the user terminal 1-i not only determines the ordering with reference to the sequence number of each packet, but also determines the ordering of the packets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You can double check the ordering of packets.

또한, 시계(25a)의 시간은 암호화키 생성부(24)에 제공되고, 암호화키 생성부(24)는 이 시간을 참조하여 암호화키의 생성 타이밍을 포착한다.The time of the clock 25a is provided to the encryption key generation unit 24, and the encryption key generation unit 24 refers to this time to capture the timing of generation of the encryption key.

정보종별 생성부(26)는 시간정보 생성부(25)로부터 제공된 정보에, 전송대상정보의 종별을 나타내는 종별정보를 부여하여, 패킷의 정보부에 삽입되는 정보를 준비하여, 서버 송수신부(27)에 준비된 정보를 송신한다.The information type generating section 26 assigns the type information indicating the type of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time information generating section 25, prepares the information to be inserted into the information section of the packet, and the serve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ction 27 Send the prepared information to.

여기서, 종별정보는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2-j)를 특정하는 ID 번호로 이루어진 '서버종별'(8∼12비트중 어느 하나), 상술한 '장르종별'(4∼12비트중 어느 하나), 상술한 '정보종별'(4∼12비트중 어느 하나) 및, '순환 여유 검사(CRC)'(γ비트)로 이루어진다. 또한, 장르종별 및 정보종별은, 정보검색 관리부(21)에 의해서, 축적부(22a)에서 추출되고, 정보종별 생성부(26)에 제공된다. 또한, 서버종별에는 전송서비스의 제공회사를 특정하는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Here, the category information is referred to as "server type" (any one of 8 to 12 bits) consisting of an ID number for identifying the server 2-j, and the above-mentioned "genre type" (4 to 12). Any one of the bits), the above-mentioned "information type" (any one of 4 to 12 bits), and a "cyclic redundancy check (CRC)" (γ bits). In addition, the genre type and the information type are extracted by the information retrieval management unit 21 from the accumulation unit 22a and provided to the information type generation unit 26. In addition, the server type may include information specifying the provider of the delivery service.

이러한 종별정보는 사용자 단말(1-i)측에서 전송대상의 정보가 유용하거나 중요한가의 여부를 판단(심사)하기 위해 사용된다.This type of information is used by the user terminal 1-i to determine whether the information of the transmission target is useful or important.

서버 송수신부(27)는 암호화키 생성부(24)로부터 계약자 또는 사용자 단말과 복호화키(암호화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때, 복호화 키를 정보부에 삽입하며 헤더부의 어드레스 필드에 계약자 또는 사용자 단말에 관한 정보가 삽입되는 복호화키 통지 패킷을 준비하여, 네트워크(3)에 그것을 송신한다.When the server transceiver 27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contractor or user terminal and the decryption key (encryption key) from the encryption key generation unit 24, the server transceiver 27 inserts the decryption key into the information field and the contractor or user terminal in the address field of the header portion. A decryption key notification packet into which information about the data is inserted is prepared, and it is transmitted to the network 3.

또한, 서버 송수신부(27)는 네트워크(3)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1-i)로부터, 복호화키의 수신응답 패킷이 제공될 때에, 그 취지를 정보검색 관리부(21)에 통지한다.The server transceiver 27 notifies the information retrieval management section 21 when the reception response packet of the decryption key is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1-i via the network 3.

또, 서버 송수신부(27)는 정보종별 생성부(26)로부터 전송대상의 정보가 수신될 때에, 그 정보를 패킷의 정보부에 삽입하며, 동보통신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부를 부여하여 정보전송패킷을 완성시켜서, 네트워크(3)에 송신한다.When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type generation section 26, the server transmission / reception section 27 inserts the information into the information section of the packet, and gives the header section including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broadcast communication. The transmission packet is completed and transmitted to the network 3.

여기서, 서버(2-j)로부터 송신되는 전 종류의 패킷의 헤더부에는 계약자 대상의 패킷(이하, 계약형 정보 패킷이라고 칭함)을 표시하는 계약형 정보 라벨이 삽입된다. 이 계약형 정보 라벨은 계약형 정보 패킷과 그 이외의 패킷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서버(2-j)로부터 송신되는 패킷의 헤더부에는 정보부의 내용이 전송대상의 정보인지 암호화키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부 식별 라벨이 삽입된다. 이 정보부 식별 라벨은 사용자 단말(1-i)에서 전송대상정보의 패킷인지 암호화키 통지 패킷인지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종래의 패킷 포맷에서는, 사용방법이 아직 정해져 있지 않은 미정의 비트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이들의 미정의 비트를 라벨로서 사용할 수 있다.Here, a contract type information label indicating a packet of the contrac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ntract type information packet) is inserted into the header portion of all kinds of packets transmitted from the server 2-j. This contractual information label is used to identify contractual information packets and others. In the header portion of the packet transmitted from the server 2-j, an information portion identification label indicating whether the information portion is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or an encryption key is inserted. This information part identification label is used by the user terminal 1-i to identify whether it is a packet of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or an encryption key notification packet. In the conventional packet format, since there are undefined bits that have not yet been determined for use, these undefined bits can be used as labels, for example.

각 사용자 단말(1-i)은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모뎀과 이더네트 인터페이스부와 같은 통신장치를 갖는 워크스테이션 및, 퍼스널 컴퓨터로 구성된다. 기능블록도로 나타낸 그것의 구성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Each user terminal 1-i is composed of a hard disk, a workstation having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modem and an Ethernet interface unit, and a personal computer, for example. Its configuration, shown in the functional block diagram, is shown in FIG.

각 사용자 단말(1-i)은 단말 송수신부(10), 정보종별 식별부(11), 시간정보 식별부(12), 복호화부(13), 복호화키 기억부(14), 정보처리부(15), 정보축적부(16) 및 정보 입출력부(17)를 갖는다. 전송대상의 정보의 부정검색을 방지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 단말 송수신부(10), 정보종별 식별부(11), 시간정보 식별부(12), 복호화부(13) 및 복호화키 기억부(14)는 워크스테이션과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정보처리장치의 외부장치, 또는, 정보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용 주변장치(어댑터)로서 실현된다.Each user terminal 1-i includes a terminal transceiver 10, an information type identification unit 11, a time information identification unit 12, a decoding unit 13, a decryption key storage unit 14,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5. ), An information storage unit 16 and an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17. In order to prevent unauthorized retrieval of th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preferably, the terminal transceiver 10, the information type identification unit 11, the time information identification unit 12, the decoding unit 13, and the decryption key storage unit 14 are preferred. Is realized as an external device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uch as a workstation and a personal computer, or a dedicated peripheral device (adapter) for providing an information transmission service.

단말 송수신부(10)는 네트워크(3)를 통해서 서버(2-j)와의 패킷의 송수신을 실행한다. 수신된 패킷은 패킷 헤더부를 해독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송신패킷은 패킷 헤더부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다.The terminal transceiver 10 perform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packets with the server 2-j via the network 3. The received packet is used to decrypt the packet header portion, while the transmit packet is used to generate the packet header portion.

단말 송수신부(10)는 수신된 패킷의 계약형 정보 라벨을 판정한다. 그 라벨이 정보 전송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계약형 정보 패킷 이외의 패킷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그 패킷을 패킷 처리 장치(미도시)에 전송하거나, 그 패킷처리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파기한다. 그 라벨이 계약형 정보 패킷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정보부 식별 라벨에 따라서, 전송대상의 정보패킷인지 복호화키 통지 패킷인지를 판정한다.The terminal transceiver 10 determines a contract type information label of the received packet. When the label indicates a packet other than the contract type information packet for identifying the information transfer service, the packet is transmitted to a packet processing apparatus (not shown) or discarded when the packet processing is not available. When the label indicates a contract type information packet, i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portion identification label whether it is an information packet or a decryption key notification packet to be transmitted.

전송대상의 정보패킷일 때에는, 패킷의 정보부의 내용을 정보종별 식별부(11)에 송신한다. 복호화키 통지패킷일 때에는, 정보부의 내용(복호화키, 장르종별 및 정보종별)을 복호화키 기억부(14)에 송신한다. 또, 복호화키 통지 패킷에 있어서는, 동보통신에 상관없이 사용자 단말(1-i)의 식별번호를 어드레스 필드에 삽입하기 때문에, 이것에 따라서 패킷을 구별할 수 있다. 또, 전송대상의 정보패킷인 경우에는, 그 헤더부 내의 패킷 시퀀스 번호를 결정하여 패킷순서를 조정한 후, 그 패킷을 정보종별 식별부(11)에 제공한다.When the information packet is a transmission target, the contents of the packet's information section are transmitted to the information type identification section 11. In the case of the decryption key notification packet, the contents (decryption key, genre type, and information type) of the information unit are transmitted to the decryption key storage unit 14. In the decryption key notification packet, since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user terminal 1-i is inserted into the address field irrespective of broadcast communication, the packet can be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is. In the case of an information packet to be transmitted, the packet sequence number in the header portion is determined to adjust the packet order, and the packet is provided to the information type identification section 11.

단말 송수신부(10)는, 복호화키의 수신응답을 서버(2-j)에 송신하는 것을 요청해 왔을 때, 복호화키의 수신응답 패킷을 복호화키의 송신원의 서버(2-j)에 송신한다.When the terminal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10 has requested to transmit the reception response of the decryption key to the server 2-j, it transmits the reception response packet of the decryption key to the server 2-j of the source of the decryption key. .

복호화키 기억부(14)는 단말 송수신부(10)로부터 복호화키, 장르종별 및 정보종별을 수신하는 경우에, 장르종별 및 정보종별에 대응하는 형식으로, 복호화키를 저장한 후, 단말 송수신부(10)에 복호화키의 수신응답을 서버(2-j)에 송신하라고 지시한다.When the decryption key storage unit 14 receives the decryption key, the genre type, and the information type from the terminal transceiver unit 10, the decryption key storage unit stores the decryption key in a format corresponding to the genre type and the information type, and then the terminal transceiver unit. Instructing (10) to transmit the reception response of the decryption key to the server 2-j.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2-j)는, 계약에 관한 사용자 단말(1-i)에만 복호화키를 송신하기 때문에, 복호화키 기억부(14)는 수신된 복호화키를 해당 사용자 단말(1-i)이 수신해야 하는가의 여부를 결정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안전성을 고려하여, 복호화키 기억부(14)는 후술하는 정보 축적부(16)에 저장되어 있는 계약된 장르종별 및 정보종별과, 수신된 복호화키의 장르종별 및 정보종별을 비교한 후에, 자체 내부에 그 키를 저장해야 한다. 또, 복호화키 기억부(14)는 복호화부(13)로부터 복호화키의 요구에 응답하여 그 복호화키를 반송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erver 2-j transmits the decryption key only to the user terminal 1-i related to the contract, the decryption key storage unit 14 sends the received decryption key to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1- 1. There is no need to determine whether i) should receive. However, in consideration of safety, the decryption key storage unit 14 compares the genre type and information type of the received decryption key with the contracted genre type and information type stored in the information accumulator 16 described later. The key must be stored inside itself. The decryption key storage unit 14 also returns the decryption key from the decryption unit 13 in response to the request for the decryption key.

정보종별 식별부(11)는 계약의 내용에 따르며 서버종별, 장르종별과 같은 종별정보를 축적하고 있는 종별정보 축적부(11a)를 내장하는데, 그 종별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1-i)은 전송대상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type identifying unit 11 has a type information accumulating unit 11a which stores type information such as server type and genre type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contract, and based on the type information, the user terminal 1-i. Can receive the information of the transmission target.

정보종별 식별부(11)는 단말 송수신부(10)로부터 패킷정보부의 내용을 수신하는 경우에, 종별정보 축적부(11a)에 축적된 내용이, 해당 단말(1-i)이 수신할 수 있는 전송대상의 정보의 종별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데, 그것은 도 3d에 나타낸 종별정보 필드의 내용, 즉 서버종별, 장르종별 및 정보종별을 각각 식별함으로써(CRC에 근거한 오류검출 및 오류정정) 실행된다. 이것은, 종별정보가, 계약에 적합한가를 판별한다. 식별된 종별정보가, 계약에 적합하면, 패킷정보부의 내용은 시간정보 식별부(12)에 전송된다. 한편, 정보종별 식별부(11)는, 식별된 종별정보가, 계약에 적합하지 않으면, 패킷을 파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별정보에 근거하여 패킷이 선발된다.When the information type identification section 11 receives the contents of the packet information section from the terminal transmission / reception section 10, the contents accumulated in the category information storage section 11a can be received by the terminal 1-i.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is classified by type, which is executed by identifying the contents of the category information field shown in FIG. 3D, that is, server type, genre type, and information type, respectively (error detection and error correction based on CRC). . This determines whether the type information is suitable for the contract. If the identified category information satisfies the contract, the contents of the packet information section are transmitted to the time information identification section 12. On the other hand, the information type identification unit 11 discards the packet if the identified type information does not conform to the contract. As described above, a packet is selected based on the category information.

암호화 및 복호화 처리를 이용함으로써 위반한 계약자가 정보종별 식별부(11)에서 선발동작을 조작하여 전송대상의 정보를 부당하게 추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By using encryption and decryption processing, the violating contractor can be prevented from unjustly extracting th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by operating the selection operation in the information type identification unit 11.

시간정보 식별부(12)는 정보종별 식별부(11)로부터 처리된 정보가 주어지면,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시간정보 필드의 내용을 식별하고(예를 들면, 오류검출 및 오류정정을 통해서), 그 정보의 시간과 정보 축적부(16)에 축적되기 직전에 수신된 동일 종별을 가진 정보 시간을 비교하여, 처리된 정보가 더 최신의 것이라는 것을 확인한다.Given the information processed from the information type identification section 11, the time information identification section 12 identifies the contents of the time information field as shown in FIG. 3C (e.g., error detection and error correction). Through) the information time and the information time having the same type received immediately before being accumulated in the information storing section 16, and confirming that the processed information is more recent.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2-j)는 정보가 갱신되거나 신규입력될 때에 전송대상의 정보를 송신한다. 따라서, 이전의 정보가 네트워크(3)의 조건 때문에 발생하는 신규정보 다음에 오면, 시간정보 식별부(12)는 신규패킷이 도달한 후에 그곳에 도착한 옛날의 패킷을 파기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erver 2-j transmits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when the information is updated or newly input. Therefore, when the previous information comes after the new information generated due to the condition of the network 3, the time information identifying unit 12 discards the old packet arriving there after the new packet arrives.

시간정보 식별부(12)는 시간정보의 타당성을 확인한 경우에, 정보처리부(15)에 시간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사용자 단말(1-i) 내부의 시계의 시간을 수정시킨다. 또한, 패킷마다 다른 시간정보가 삽입되는 일련의 정보전송패킷의 경우에, 시간정보 식별부(12)는 해당 사용자 단말(1-i)에 도착한 일련의 패킷의 순서를 확인한다. 역전한 경우에는 일련의 패킷이 배열된다. 이상과 같은 처리를 종료하면, 시간정보 식별부(12)는 패킷정보부의 내용(적어도, 전송정보 본체)을 복호화부(13)에 제공한다.When the time information identifying unit 12 confirms the validity of the time information, the time information identifying unit 12 provides time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5, and corrects the time of the clock inside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1-i. Further, in the case of a series of information transmission packets in which different time information is inserted for each packet, the time information identifying unit 12 checks the order of the series of packets arriving at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1-i. In case of inversion, a series of packets are arranged. Upon completion of the above processing, the time information identifying unit 12 provides the decoding unit 13 with the contents (at least, the transmission information main body) of the packet information unit.

복호화부(13)는, 시간정보 식별부(12)로부터 패킷정보부의 내용을 수신하는 경우에, 전송대상의 정보의 종별에 대응하는 복호화키를 복호화키 기억부(14)로부터 추출하고,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호화처리되어 있는 전송정보 본체를 복호화하여, 복호화된 전송대상의 정보를 정보처리부(15)에 제공한다.When the decryption unit 13 receives the contents of the packet information unit from the time information identification unit 12, the decryption unit 13 extracts a decryption key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from the decryption key storage unit 14, and FIG. 3B. As shown in Fig. 6, the encrypted transmission information main unit is decrypted, and the decrypted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5.

정보 축적부(16)는 서버종별, 장르종별 및 정보종별을 갖는 전송대상의 정보를 시간정보와 함께 축적한다.The information accumulator 16 accumulates the information of the transmission object having the server type, the genre type, and the information type together with the time information.

정보처리부(15)는 정보 입출력부(17)로부터 정보종별, 보다 명확히 서버종별, 장르종별 및 계약의 내용에 따르며, 수신된 해당 사용자 단말(1-i)의 조건을 조정하는 정보종별을 수신하고, 또한 그들을 종별정보 축적부(11a)에 제공하여, 그들을 축적시킨다.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5 receives from the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17 the information type, more clearly the server type, the genre type, and the contents of the contract, and receives the received information type to adjust the conditions of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1-i. They are also provided to the classification information accumulator 11a to accumulate them.

또한, 정보처리부(15)는 시간정보 식별부(12)에 정보 축적부(16)로부터 추출한 직전의 전송시의 시간정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5 provides the time information identifying unit 12 with time information at the time of immediately preceding transmission extracted from the information storing unit 16.

또한, 정보처리부(15)는 복호화부(13)로부터 복호화된 전송대상의 정보가 주어지는 경우, 정보처리부(15)는 시간정보 식별부(12)로부터 제공된 시간정보와 함께, 상기 정보를 정보 축적부(16)에 축적한다. 따라서, 일련의 전송대상 정보의 축적 종료시, 정보처리부(15)는 정보 입출력부(17)에 갱신된 정보 또는 새롭게 수신된 정보가 있다는 것을 통지한다. 정보 축적부(16)에 축적된 시간정보에 대해서는, 일련의 정보전송패킷에 배치된 선두의 정보전송패킷에 삽입된 시간정보도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일련의 정보전송패킷에 배치된 선두 또는 최종의 정보전송패킷에 삽입된 시간정보도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5 is given the information of the transmission target decoded from the decoding unit 13,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5, together with the tim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time information identification unit 12,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Accumulate at 16. Therefore, at the end of the accumulation of the series of transfer target informati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5 notifies the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17 that there is updated information or newly received information. As the time information accumulat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6, time information inserted into the first information transmission packet arranged in the series of information transmission packets can also be used, and the first or last information arranged in the series of information transmission packets can also be used. Time information embedded i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packet can also be used.

또한, 정보처리부(15)는 정보 입출력부(17)에 의해 서버종별, 장르종별 및 정보종별이 특정된 상태로 전송대상의 정보의 추출이 요구된 경우에, 정보 축적부(16)로부터 그것에 해당하는 전송대상의 정보를 추출하여, 정보 입출력부(17)에 제공한다.In addition, when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5 requests the extraction of th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with the server type, the genre type, and the information type specified by the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17,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6 corresponds to it. Th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is extracted and provided to the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17.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의 정보 입출력부(17)는 서버종별, 장르종별 및 정보종별과 같은 계약에 관한 종별정보를 입력하고, 새롭게 수신된 전송대상의 정보의 존재를 통보한다. 또한, 정보 입출력부(17)는 서버종별, 장르종별 및 정보종별을 특정한 전송대상의 정보를 추출하라고 정보처리부(15)에게 요구하여, 반송된 전송대상의 정보를 표시한다.The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17 as a user interface inputs category information regarding a contract such as a server type, a genre type, and an information type, and notifies the existence of newly received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In addition, the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17 requests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5 to extract the information of the transmission target specified by the server type, the genre type, and the information type, and displays the returned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i) 및 서버(2-j)를 구비한 제 1 정보전송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한다.Next,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including the user terminal 1-i and the server 2-j will be described.

우선, 정보전송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또는 계약자에 전달되는 암호화키를 생성한다. 이 동작은 암호화키 생성부(24)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할 것이다. 여기서, 도 5는 암호화키 생성부(24)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First,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generates an encryption key delivered to a user terminal or a contractor. This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of the encryption key generator 24. 5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encryption key generator 24. As shown in FIG.

암호화키 생성부(24)는 키생성 시각이 될 때까지 기다린다(스텝100). 키생성 시각이 되면, 계약최소 단위의 종별을 특정하는 종별 파라미터 N을 초기화한다(스텝101). 그후, 난수 등을 사용하여 제 N 종별의 키를 생성하여 축적한다(스텝102). 다음에, 계약자 정보 축적부(22b)를 통해서 제 N 종별의 1 계약자 또는 사용자 단말을 선택한다(스텝103). 또, 암호화키 생성부(24)는 그 계약자에게 복호화키(종별정보를 포함하는)를 송신하는 것을 서버 송수신부(27)에 의뢰한다(스텝104).The encryption key generation unit 24 waits until the key generation time is reached (step 100). When the key generation time comes, the type parameter N for specifying the type of contract minimum unit is initialized (step 101). Thereafter, the N-th type key is generated and accumulated using a random number or the like (step 102). Next, the first contractor or user terminal of the Nth type is selected through the contractor information storing unit 22b (step 103). The encryption key generation unit 24 also requests the server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7 to transmit the decryption key (including the type information) to the contractor (step 104).

따라서, 그 복호화키는 사용자 단말(1-i)에 송신되고, 그 복호화키 기억부(14)에 저장된다. 그후, 수신응답이 복호화키 기억부(14)에 반송되어 계약의 성립이 완료한다.Therefore, the decryption key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i and stored in the decryption key storage unit 14. Thereafter, the reception response is returned to the decryption key storage unit 14 to complete the contract.

암호화키 생성부(24)는 복호화키의 송신 의뢰 후에는 제 N 종별의 전계약자에게 송신의뢰를 발행했는가를 확인한다(스텝105). 발행하지 않았으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처리는, 계약자가 선택되는 스텝 103으로 되돌아간다. 발행했을 때에는, 모든 종별에 대한 암호화키의 생성처리가 종료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106).After requesting the transmission of the decryption key, the encryption key generation unit 24 confirms whether or not a transmission request has been issued to all the contractors of the Nth type (step 105). If not, 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ing returns to step 103 in which the contractor is selected. When issuing,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rocess of generating encryption keys for all types is finished (step 106).

모든 종별에 대한 처리가 종료하지 않고 있으면, 종별 파라미터를 다음 종별을 지시하는 것으로 갱신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암호화키의 생성스텝 102로 되돌아간다(스텝107). 전종별에 대한 처리가 종료하면,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If the processing for all types has not finished, the type parameter is updated to indicate the next type, an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102 of generating an encryption key as described above (step 107). When the processing for all kinds ends, a series of processing is complete | finished.

다음에, 전송대상 정보의 처음 입력 및 갱신된 전송대상 정보의 입력에 대해서는, 동작을 플로우챠트를 도시한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서, 서버(2-j)측의 동작과 사용자 단말(1-i 측)의 동작을 이 순서로 상세하게 기술한다.Next, with respect to the first input of the transfer target information and the input of the updated transfer target information, the operation on the server 2-j side and the user terminal 1,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4 showing a flowchart of the operation. The operation of -i side) is described in detail in this order.

정보 입출력부(20)에 의해서 전송대상 정보가 새롭게 입력되거나, 갱신된 전송대상 정보가 입력되면, 정보검색 관리부(21)는 전송대상정보의 축적부(22a)의 내용을 갱신하여, 수신된 전송대상정보의 송신처리를 시작한다. 이때, 그 전송대상정보에 대응하는 계약자의 요금부과 정보가 갱신된다.When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is newly inputted by the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20 or the updated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is input, the information retrieval management unit 21 updates the contents of the storage unit 22a of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and receives the received transmission. The transmission process of the target information is started. At this time, the charging information of the contractor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is updated.

여기서, 입력된 전송대상의 정보량과, 갱신되기 전의 전송대상의 정보량에 근거하여, 정보검색 관리부(21)는 입력된 전송대상정보의 모두를 송신하거나, 갱신된 정보와 갱신 전의 정보 사이에서 서로 다른 정보부분을 송신하는 것을 결정한다. 또한, 송신대상의 정보는 정보전송패킷에 삽입되는 전송단위로 분리되어, 암호화부(23)에 제공된다.Here, the information retrieval management unit 21 transmits all of the input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or differs between the updated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before the update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of the transmission target and the information amount of the transmission target before being updated. Determine to send the information part. In addition, th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is divided into transmission units inserted into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packet and provided to the encryption unit 23.

암호화부(23)는 암호화키 생성부(24) 내의 전송대상 정보의 종별에 의해서 정해진 암호화키를 사용하여, 상기 정보단위의 형식으로 정보를 암호화하여, 시간정보 생성부(25)에 그들을 전송한다.The encryption unit 23 encrypts the information in the form of the information unit by using an encryption key determined by the type of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in the encryption key generation unit 24, and transmits them to the tim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5. .

시간정보 생성부(25)는 현재의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정보 또는 최초의 패킷과 관련된 시간정보를 정보단위의 형식으로 암호화된 정보에 부가하고, 그것을 정보종별 생성부(26)에 송신한다. 그 후, 정보종별 생성부(26)에 의해서 전송할 정보의 종별을 나타내는 종별정보가 부가되어, 정보전송패킷의 정보부에 삽입되는 정보가 완성되어 서버 송수신부(27)에 송신된다.The tim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5 adds time information indicating the current time or tim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first packet to the encrypted information in the form of information units, and transmits it to the information type generation unit 26. Thereafter, the type information indicating the type of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is added by the information type generating section 26, and the information inserted into the information sectio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packet is completed and transmitted to the server transceiver 27.

다음에, 서버 송수신부(27)는 정보종별 생성부(26)에 의해 주어진 송신대상의 정보를 정보전송패킷의 정보부에 삽입하고, 동보통신을 지시하는 정보, 계약형 정보 라벨 및, 정보부의 내용이 전송대상정보라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부 식별 라벨을 포함하는 헤더부를 부가하여, 완성된 정보전송패킷을 네트워크(3)에 송신한다. 그러한 정보전송패킷은 네트워크(3)의 동보기능에 의해 각 사용자 단말(1-i)에 분배된다.Next, the server transceiver 27 inserts the information of the transmission target given by the information type generation section 26 into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packet information section, instructs broadcast communication, information of the contract type information label, and the contents of the information section. A header portion including an information portion identification label indicating that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is added, and the completed information transmission packet is transmitted to the network 3. Such information transmission packet is distributed to each user terminal 1-i by the broadcasting function of the network 3.

다음에, 이러한 정보전송패킷을 수신하는 경우의 사용자 단말(1-i)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그 동작은 제 1 실시예의 특징동작이다.Next, an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1-i in the case of receiving such an information transmission packet will be described, which operation is a featur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단말 송수신부(10)에 전송패킷이 도달하면, 그 내부의 계약형 정보 라벨이 판정된다. 그 라벨이 계약된 정보전송 서비스에 관한 계약정보형 패킷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또한, 정보부 식별 라벨을 이용하여, 정보전송인지 또는 복호화키 통지 패킷인지를 판정한다. 정보전송 패킷일 때에는, 패킷의 정보부의 내용이 정보종별 식별부(11)에 제공된다. 또한, 반대로, 라벨이 계약 정보형 패킷을 표시하지 않으면, 단말 송수신부(10)는 다른 장치(미도시)에 각 처리를 경험하거나 파기되는 패킷을 전송한다.When the transmission packet arrives at the terminal transmission / reception section 10, the contract information label therein is determined. When the label indicates a contract information type packet relating to the contracted information transmission service, it is also determined whether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or the decryption key notification packet is made using the information portion identification label. In the case of an information transmission packet, the information section of the packet is provided to the information type identification section 11. In addition, on the contrary, if the label does not indicate the contract information type packet, the terminal transceiver 10 transmits a packet that experiences or discards each process to another device (not shown).

정보종별 식별부(11)는 서버종별, 장르종별 및 정보부에 있는 정보종별을 식별하여 사용자 단말(1-i)이 수신할 수 있는 전송대상의 종별을 나타내는 종별정보 축적부(11a)에 축적된 계약의 종별을 그들과 비교한다. 동일하면, 정보부의 내용이 시간정보 식별부(12)에 송신되고, 동일하지 않으면, 정보전송패킷이 파기된다.The information type identification unit 11 identifies the server type, the genre type, and the information type in the information unit and accumulates in the type information accumulating unit 11a indicating the type of transmission target that the user terminal 1-i can receive. Compare the type of contract with them. If the same, the contents of the information section are transmitted to the time information identifying section 12, and if not identical,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packet is discarded.

시간정보 식별부(12)는, 정보부의 내용으로부터 시간정보를 식별하고, 또 시간정보와 정보 축적부(16)에 축적된 앞서 수신된 동일종별의 전송대상정보의 시간정보를 비교한다. 시간정보가 전송대상정보의 적합한 순서를 표시하면, 시간정보는 사용자 단말(1-i) 내부의 시계의 시간을 수정할 수 있다. 반대로, 시간정보가 전송대상정보의 무질서한 순서를 표시하면, 즉, 일찍 도달해야 하는 정보가 일찍 도달하지 않았다는 것을 표시하면, 이 정보는 파기된다. 또한, 복수의 정보전송패킷 각각이 복수의 시간정보의 각각을 갖는 경우, 어떤 무질서한 순서를 이들 시간정보의 검색을 통해서 찾으면, 복수의 정보전송패킷에 대응하는 복수의 시간정보는 그것의 무질서한 순서를 수정한다.The time information identifying section 12 identifies time information from the contents of the information section, and compares the time information with the time information of the previously received same kind of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accumulated in the information storing section 16. FIG. If the time information indicates an appropriate order of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the time information can correct the time of the clock inside the user terminal 1-i. On the contrary, if the time information indicates the disordered order of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that is, indicates that the information that should arrive early has not arrived early, this information is discarded. In addition, when each of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transmission packets has each of a plurality of time information, if any disordered order is found through the search of these time information, the plurality of ti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transmission packets is displayed in its disordered order. Correct it.

다음에, 정보부의 계약내용, 즉 전송정보본체가 현재의 전송대상정보의 종별에 대응하는 복호화키를 사용하여 복호화되어, 정보처리부(15)에 복호화된 정보를 제공한다. 정보처리부(15)는 정보 축적부(16)에 복호화부(13)로부터 복호화된 정보와 시간정보 식별부(12)로부터의 시간정보를 축적한다. 전송대상정보의 축적 종료시에, 정보 입출력부(17)는 갱신된 전송대상의 정보 또는 신규로 수신된 전송대상의 정보가 송신되었다는 것을 통지한다.Next, the contract details of the information section, that is, the transmission information main body are decrypted using the decryption key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current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and the decrypted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section 15.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5 accumulates the information decoded from the decoding unit 13 and the time information from the time information identifying unit 12 in the information storing unit 16. At the end of accumulation of the transfer target information, the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17 notifies that the updated transfer target information or the newly received transfer target information has been transmitted.

마지막으로, 서버종별, 장르종별 및 정보종별이 특정된 상태로 정보 입출력부(17)를 통해서 사용자로부터 전송대상정보의 추출이 요구되는 경우에, 정보처리부(15)는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해당 전송대상정보를 추출하여, 정보 입출력부(17)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Finally, when the server type, the genre type, and the information type are specified and the extraction of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is required from the user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17,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5 transmit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time information. The target information is extracted and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17.

제 1 실시예의 정보전송 시스템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of the first embodiment,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1) 신규로 전송대상정보가 입력된 경우 또는 전송대상정보가 갱신된 경우에, 그러한 정보가 서버(2-j)로부터 사용자 단말(1-i)에 분배되어, 사용자 단말(1-i)에는 최신의 정보가 도달한다. 사용자 단말은 수신된 정보가 최신의 정보인가 아닌가를 확인하기 위해 서버에 자주 액세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1) When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is newly input or when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is updated, such information is distributed from the server 2-j to the user terminal 1-i, and the user terminal 1-i. The latest information is reached. Since the user terminal does not need to frequently access the server to check whether the received information is the latest information, the user terminal can transmit the information efficiently.

(2) 신규로 전송대상정보가 입력된 경우 또는 전송대상정보가 갱신된 경우에만, 그 정보가 종래의 송신기의 반복전송과 비교하여 전송트래픽을 감소시키는 서버(2-j)로부터 송신된다.(2) Only when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is newly input or when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is updated,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server 2-j which reduces the transmission traffic in comparison with the repetitive transmission of the conventional transmitter.

(3) 계약형 정보 라벨을 포함하는 정보전송패킷을 송수신하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은 정보전송패킷이 이용가능한지의 여부를 조기에 결정할 수 있어, 쓸데 없는 수신처리를 피할 수 있다.(3) Sin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packet including the contract type information label, the user terminal can determine early whether or not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packet is available, thereby avoiding useless reception processing.

(4) 사용자 단말(1-i)은 정보에 삽입된 종별정보를 사용하여 전송대상정보를 심사하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1-i)은 쓸데없는 정보를 나타내는 소정의 종별을 참조하여 불필요한 정보를 파기할 수 있다. 요약하면, 사용자 단말(1-ii)은 최신의 정보 및 필요한 정보만 수신할 수 있다.(4) Since the user terminal 1-i examines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by using the category information inserted in the information, the user terminal 1-i refers to a predetermined type representing unnecessary information, and thus unnecessary information is received. You can destroy it. In summary, the user terminal 1-ii may receive only the latest information and necessary information.

(5) 서버와 사용자 단말 사이에 시간정보를 송신하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은 정보의 송신과 수신 사이의 시간을 정확하게 인식할 뿐만 아니라, 정확한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5) Since time information is transmitted between the server and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can not only accurately recognize the time between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but can also confirm the correct time.

(6) 서버와 사용자 단말 사이에 시간정보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의 고장 등에 의해서 신구의 정보가 역으로 도착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도착한 이전의 정보를 파기할 수 있고,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정보전송패킷의 순서를 확인할 수 있다.(6) Since time information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server and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can detect that new and old information arrives in reverse due to a breakdown of the network or the like.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can discard the previous information that has arrived, and can confirm the order of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transmission packets using the time information.

제 2 실시예Second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정보전송 시스템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술한다. 제 1 실시예의 정보시스템과 비슷하게, 제 2 실시예의 정보시스템의 특징은 종별정보를 동보전송하고 송신하며 심사하는 것이다. 이 특징에 덧붙여, 이 정보전송 시스템은 상세 종별정보를 송신하는 특징을 갖는다.Hereinafter,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imilar to the information system of the first embodiment, the characteristic of the information system of the second embodiment is to broadcast, transmit and examine the category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is feature, this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has a feature of transmitting detailed category information.

이 정보전송 시스템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몇개의 사용자 단말(1-1∼1-m)과, 1 이상의 서버(정보축적제공장치)(2-1∼2-n)가 네트워크(3)를 통해 서로 접속되도록 구성된다.In this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s shown in Fig. 2, several user terminals 1-1 to 1-m and one or more servers (information storage providing apparatuses) 2-1 to 2-n have a network (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3).

도 6은 서버(2-j)의 기능구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1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착하여 나타내고 있다.6 shows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server 2-j.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the same parts as in FIG. 1.

각 서버(2-j)는 정보 입출력부(20), 정보검색 관리부(21), 정보축적부(22), 암호화부(23), 암호화키 생성부(24), 시간정보 생성부(25), 정보종별 생성부(26) 및 서버 송수신부(27)로 구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일부기능은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의 시스템은 서로 다르다. 이하, 이 차이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고, 반대로, 비슷한 기능, 예를 들어 정보 입출력부(20), 정보축적부(22), 암호화부(23) 및 시간정보 생성부(25)의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Each server 2-j includes an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20, an information retrieval management unit 21, an information storage unit 22, an encryption unit 23, an encryption key generator 24, and a time information generator 25. And an information type generating unit 26 and a serve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27. However, some function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Hereinafter, the differen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on the contrary, a description of similar functions, for example, the functions of the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20,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2, the encryption unit 23, and the tim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5 will be described. Will be omitted.

도 7은 서버와 사용자 단말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다양한 패킷을 나타낸다. 특히, 도 7a는 서버로부터 유전단말에 송신되는 패킷을 나타낸다. 도 7b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서버에 송신되는 송신요구패킷을 나타낸다. 도 7c는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에 송신되는 복호화키 통지 패킷을 나타낸다. 도 7d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서버에 송신되는 복호화키 수신응답 패킷을 나타낸다. 도 7e는 서버로부터 유전단말에 송신되는 정보송신패킷을 나타낸다. 패킷의 각각에 대해서는 후술한다.7 shows various packets used for communication between a server and a user terminal. In particular, FIG. 7A shows a packet transmitted from a server to a genetic terminal. 7B shows a transmission request packet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server. 7C shows a decryption key notification packet transmitted from a server to a user terminal. 7D illustrates a decryption key reception response packet transmitted from a user terminal to a server. 7E shows an information transmission packet transmitted from the server to the genetic terminal. Each of the packets will be described later.

정보검색 관리부(21)는 신규가입 및 해제와 계약내용의 변경을 지시하는 계약자정보가 정보 입출력부(20)로부터 주어질 때에, 계약자 정보축적부(22b)에 축적된 내용을 갱신한다. 정보검색 관리부(21)는 신규의 전송대상정보와 갱신된 전송대상정보가 정보 입출력부(20)로부터 주어질 때에, 전송대상정보의 축적부(22a)에 축적된 내용을 갱신한다.The information retrieval management unit 21 updates the contents accumulated in the contractor information storage unit 22b when the contractor information instructing new subscription and release and change of the contract contents is given from the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20. The information retrieval management unit 21 updates the contents accumulated in the storage unit 22a of the transfer target information when the new transfer target information and the updated transfer target information are given from the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20.

이상의 기능은 제 1 실시예와 비슷하지만, 전송대상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송신기능은 제 1 실시예와 다르다.The above functions are similar to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but the transmission function for transmitting the transfer targe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정보검색 관리부(21)는 신규 전송대상의 정보 또는 갱신된 정보와 관련하여 종별정보를 정보종별 생성부(26)에 제공함으로써, 정보종별만을 생성, 송신하도록 정보종별 생성부(26)를 기동시킨다.The information retrieval management unit 21 activates the information type generation unit 26 so as to generate and transmit only the information type by providing the type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type generation unit 26 in association with the new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or the updated information. .

이 송신기동에 의해, 각 사용자 단말(1-i)을 통해서 동보송신되는 패킷의 정보부의 내용은 도 7a에 나타나 있다. 즉,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서버종별, 장르종별 및 정보종별 뿐만 아니라 상세종별 및 종별식별번호(이하, 종별 ID라고 칭함)를 포함하고 있다. 상세한 종별은 예를 들면, 정보종별보다 더 자세하게 분류되고, 또한 계약의 최소단위보다 자세하게 분류된 종별이다. 즉, 사용자 단말(1-i)은, 계약의 최소단위보다 자세한 분류에 근거하여, 신규 전송대상정보 또는 갱신된 전송대상정보의 필요성을 판정할 수 있다. 이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서버(2-j) 및 사용자 단말(1-i) 사이에서, 각종의 패킷을 송수신한다. 여기서, 그 각종 패킷에는 이 종별 ID가 삽입되는데, 그것은 비트수가 적은 상태로 종별을 특정할 수 있다.The contents of the information part of the packet broadcasted through each user terminal 1-i by this transmitter operation are shown in Fig. 7A. That is, not only the server type, genre type, and information type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but also the detailed type and type identification numb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ype ID) are included. The detailed category is, for example, a category classified in more detail than the information category, and also classified in more detail than the minimum unit of the contract. That is, the user terminal 1-i can determine the necessity of the new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or the updated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based on the classification more detailed than the minimum unit of the contract. In this second embodiment, various packets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server 2-j and the user terminal 1-i. Here, the type ID is inserted into the various packets, which can specify the type with a small number of bits.

정보검색 관리부(21)는 서버 송수신부(27)를 통해, 사용자 단말(1-i)로부터 신규 전송대상정보 또는 갱신된 전송대상정보의 송신요구가 주어질 때에, 그 사용자 단말(1-i)이 그 정보종별에 대응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것인가를, 계약자 정보의 축적부(22b)에 축적된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한다. 그후, 정보검색 관리부(21)는 그 정보종별에 대응하는 암호화키를 복호화키로서 그 사용자 단말(1-i)에 송신하라고 암호화키 생성부(24)에게 지시한다.The information retrieval management unit 21 receives the new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or the updated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i via the server transceiver 27, and when the user terminal 1-i receives the request. Wheth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type can be received is checked using the information accumulated in the contractor information storage section 22b. Thereafter, the information retrieval management unit 21 instructs the encryption key generation unit 24 to transmit the encryption key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type to the user terminal 1-i as the decryption key.

여기서, 사용자 단말(1-i)로부터 제공되는 송신요구패킷의 정보부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요구를 지시하는 메시지와 종별 ID를 포함한다. 또, 사용자 단말(1-i)의 특정정보는 헤더부 내의 송신원 정보로부터 얻을 수 있다. 복호화 키 통지 패킷은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호화키 뿐만 아니라 종별 ID를 포함한다.Here, the information unit of the transmission request packet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1-i includes a message indicating the information request and a type ID as shown in FIG. 7B. In addition, the specific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i can be obtained from the source information in the header portion. The decryption key notification packet includes not only the encryption key but also the type ID, as shown in Fig. 7C.

정보검색 관리부(21)는 서버 송수신부(27)를 통해 사용자 단말(1-i)로부터 복호화키의 수신응답이 주어지는 경우에는 계약자 정보의 축적부(22b)의 요금부과 정보를 갱신하고, 신규 전송대상정보 또는 갱신된 전송대상정보(직전의 정보와 비교하여 다를 수도 있다)를 패킷에 적당한 양으로 나눠서, 암호화부(23)에 제공한다.The information retrieval management unit 21 updates the charging information of the accumulator 22b of the contractor information when the response of the decryption key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i via the server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7, and transmits the new information. The target information or the updated transfer target information (which may be different compared to the previous information) is divided into appropriate amounts in the packet and provided to the encryption unit 23.

정보종별 생성부(26)는 정보검색 관리부(21)로부터 수신된 종별정보의 송신이 요청된 경우에,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별정보를 생성하여, 서버 송수신부(27)에 제공한다.When the type information generation section 26 is requested to transmit the typ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retrieval management section 21, as shown in Fig. 7A, the type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server transmission / reception section 27.

암호화키 생성부(24)는 제 1 실시예와 같이, 소정의 주기로 각 종별의 암호화키를 생성한다. 그러나, 그것과는 다르게, 암호화키(복호화 키)는 그것의 생성시에는 전송되지 않고, 정보검색 관리부(21)로부터의 명령에 응답하여, 암호화키 생성부(24)는 명령에 의해 특정된 각 사용자 단말에 그 키를 전송하는데, 그것을 원칙적으로 제 1 실시예와 다르다.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encryption key generation unit 24 generates encryption keys for each type at predetermined intervals. However, unlike that, the encryption key (decryption key) is not transmitted at the time of its generation, and in response to the command from the information retrieval management unit 21, the encryption key generation unit 24 determines the angle specified by the command. The key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which differs in principle from the first embodiment.

서버 송수신부(27)는 종별정보패킷, 암호화키 통지패킷 및 정보전송패킷를 송신할 뿐만 아니라 정보요구패킷 및 복호화키 수신응답패킷을 수신하는데, 종별정보패킷만이 동보통신을 한다. 또, 각 패킷은 정보부의 내용을 참조할 뿐만 아니라, 헤더부 내의 정보부 식별 라벨(도 3a)을 참조하여 구별될 수도 있다. 또, 해당 서버(2-j)로부터 송신된 패킷에는, 제 1 실시예와 비슷하게, 계약형 정보 라벨이 부가된다.The server transceiver 27 not only transmits the type information packet, the encryption key notification packet and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packet, but also receives the information request packet and the decryption key reception response packet, and only the type information packet performs broadcast communication. In addition, each packet may be distinguished not only by referring to the contents of the information section, but also by referring to the information section identification label (FIG. 3A) in the header section. In addition,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the contract type information label is added to the packet transmitted from the server 2-j.

정보전송패킷의 정보부의 구성은 도 7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별 ID, 시간정보 및 전송정보 본체로 이루어진다. 갱신 전송대상정보 또는 신규 전송대상정보의 종별정보는, 종별정보패킷을 이용하여 미리 송신되어 왔기 때문에, 전송정보 본체의 정보량을 증가시킨 상태로 종별 ID만이 삽입된다.The configuration of the information unit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packet is composed of a type ID, time information, and a transmission information main body, as shown in FIG. 7E. Since the type information of the update transfer target information or the new transfer target information has been transmitted in advance using the type information packet, only the type ID is inser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information amount of the transfer information main body is increased.

도 8은 사용자 단말(1-i)의 기능구성을 나타낸다. 도 4에서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부호가 부착되어 있다. 게다가, 일부기능, 예를 들어 시간정보 식별부(12), 복호화부(13), 복호화키 기억부(14), 정보처리부(15), 정보 축적부(16) 및 정보 입출력부(17)의 기능은 제 1 실시예의 것과 비슷한데, 그것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8 shows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1-i.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the same parts as in FIG. In addition, some functions such as the time information identifying unit 12, the decoding unit 13, the decryption key storage unit 14,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5, the information storing unit 16 and the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17 The function is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각 사용자 단말(1-i)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 송수신부(10), 정보종별 식별부(11), 시간정보 식별부(12), 복호화부(13), 복호화키 기억부(14), 정보처리부(15), 정보 축적부(16) 및 정보 입출력부(17)로 이루어져 있다.As illustrated in FIG. 8, each user terminal 1-i includes a terminal transceiver 10, an information type identification unit 11, a time information identification unit 12, a decoding unit 13, and a decryption key storage unit ( 14),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5, an information storing unit 16, and an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17.

단말 송수신부(10)는 종별정보패킷, 복호화키 통지패킷 및 정보전송패킷을 수신하고, 정보요구패킷 및 복호화키 수신응답 패킷을 송신한다.The terminal transceiver 10 receives the type information packet, the decryption key notification packet, and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packet,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request packet and the decryption key reception response packet.

단말 송수신부(10)는 계약형 정보 라벨로 수신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여 종별정보패킷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그 종별정보패킷(도 7a)을 정보종별 식별부(11)에 제공한다. 또, 정보종별 식별부(11)로부터 정보를 전송하라는 요구에 응답하여, 단말 송수신기(10)는 정보부의 내용이 도 7b에 나타나 있는 정보요구패킷을 종별정보패킷의 송신원인 서버(2-j)에 송신한다.When the terminal transceiver 10 confirms that it can be received by the contract type information label and receives the category information packet, it provides the category information packet (FIG. 7A) to the information type identification unit 11. Further, in response to the request to transmit the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type identification unit 11, the terminal transceiver 10 transmits the information request packet whose contents are shown in Fig. 7B to the server 2-j which is the source of the type information packet. Send to

또한, 단말 송수신부(10)는 계약형 정보 라벨로 수신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여 복호화키 통지패킷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복호화키 정보(도 7c)를 복호화키 기억부(14)에 제공한다. 또, 복호화키 기억부(14)로부터 축적종료가 통지된 경우에, 정보부의 내용이 도 7d에 나타나 있는 복호화키 수신응답패킷을 복호화키 통지패킷의 송신원인 서버(2-j)에 송신한다.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transceiver 10 confirms that it can be received by the contract type information label and receives the decryption key notification packet, it provides the decryption key information (FIG. 7C) to the decryption key storage unit 14. When the accumulation end is notified from the decryption key storage unit 14, the decryption key reception response packet whose contents of the information unit is shown in Fig. 7D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2-j which is the transmission source of the decryption key notification packet.

또한, 단말 송수신부(10)는 계약형 정보라벨로 수신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여 정보전송패킷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그 패킷정보부의 내용(도 7e)을 시간정보 식별부(12)에 제공한다.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transceiver 10 confirms that it can be received by the contract type information label and receives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packet, the terminal transceiver 10 provides the contents of the packet information unit (FIG. 7E) to the time information identification unit 12.

단말 송수신부(10)는 정보패킷의 송신시에 그 종별 ID를 내부에 버퍼링하고, 또한 복호화키 통지패킷 또는 정보전송패킷의 수신시에 그것이 필요한 종별에 관한 것인가를 확인하는데, 그것에 의해 몇몇 서버에 동시에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다.The terminal transceiver 10 buffers the type ID therein at the time of transmission of the information packet, and also checks whether it is related to the type required when receiving the decryption key notification packet or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packet. You can send and receive packets at the same time.

정보종별 식별부(11)는 정보 입출력부(17)를 사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 단말(1-i)에 이용가능한 전송대상정보를 나타내는 종별정보를 축적부(11a)에 축적한다. 이러한 종별정보는 계약최소단위보다 작은 종별인 상세종별을 나타내어도 되고, 즉, 계약에 대응하는 종별을 자세하게 나타내어도 된다.The information type identifying unit 11 accumulates, in the storing unit 11a, the type information indicating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available to the user terminal 1-i input by the user using the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17. Such category information may represent a detailed category, which is a category smaller than the contract minimum unit, that is, the category corresponding to the contract may be described in detail.

정보종별 식별부(11)는 단말 송수신부(10)로부터 종별정보가 주어질 때에, 축적부(11a)에 축적된 내용과 종별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단말 송수신부(10)에게 정보전송 요구패킷을 송신하라고 지시한다.When the type information is given from the termin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0, the information type identification unit 11 compares the contents accumulated in the storage unit 11a with the type information, and if so, requests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request from the termin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0. Instructs to send a packet.

다음에, 정보전송 시스템의 동작을 동작시퀀스를 나타내는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복호화키의 전송동작은 그 외의 동작에 의존하기 때문에, 입력된 전송대상정보와 갱신된 전송대상정보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showing an operation sequence. Here, since the operation of transmitting the decryption key depends on other operations, the operation of the input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and the updated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정보 입출력부(20)에 의해서 신규 전송대상정보가 제공되거나, 갱신된 전송대상정보가 입력되면, 정보검색 관리부(21)는, 제공된 전송대상정보에 따라 전송대상정보의 축적부(22a)에 축적된 내용을 갱신하고, 주어진 전송대상정보에 대응하는 종별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정보종별 생성부(26)에게 그것의 전송을 준비하고 요청한다.When new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is provided by the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20 or updated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is input, the information retrieval management unit 21 accumulates in the storage target information storage unit 22a in accordance with the provided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By updating the contents and providing the categor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iven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the information category generating unit 26 prepares and requests its transmission.

이때, 정보종별 생성부(26)는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별정보를 생성하여, 서버 송수신부(27)에 그것을 제공하고, 헤더부가 부가되어 네트워크(3)를 통해서 모든 사용자 단말에 동보송신되는 종별정보패킷을 완성한다(도 9에서의 T1).At this time, the information type generating unit 26 generates the type information as shown in FIG. 7A, provides it to the serve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27, and the header unit is added to be broadcasted to all the user terminals through the network 3. The type information packet is completed (T1 in Fig. 9).

이 수신된 종별정보패킷의 계약과 무관계한 사용자 단말(도 9에서는 1-b로서 표시된)은 헤더부 내의 계약형 정보 라벨에 관하여 해당 종별정보패킷을 파기하여, 더 이상의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다(도 9에서의 T2).The user terminal (indicated as 1-b in FIG. 9) irrelevant to the contract of the received category information packet discards the category information packet with respect to the contract type information label in the header portion and does not perform any further processing (Fig. T2 at 9).

반대로, 계약에 관한 사용자 단말의 단말 송수신부(10)는 종별정보패킷을 인식하여, 그 정보부에 삽입되어 있는 도 7a에 나타낸 종별정보를 정보종별 식별부(11)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정보종별 식별부(11)는 종별정보를 인식하여, 그것이 필요한 전송대상정보를 표시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On the contrary, the termin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0 of the user terminal related to the contract recognizes the category information packet and provides the category information shown in FIG. 7A inserted into the information unit to the information type identification unit 11. Accordingly, the information type identification section 11 recognizes the type information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it displays the necessary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필요한 전송대상정보의 종별 이외의 종별정보 패킷을 수신하였다고 판정할 때, 사용자 단말(도 9에서 1-c로서 표시됨)은 그 수신된 종별정보패킷을 파기하여, 더 이상의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다(도 9에서의 T3).Upon determining that a category information packet other than the category of the required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has been received, the user terminal (indicated as 1-c in FIG. 9) discards the received category information packet and does not perform any further processing (Fig. 9). T3 at 9).

한편, 필요한 전송대상정보의 종별에 관련된 종별정보패킷을 수신하였다고 판정할 때, 사용자 단말(도 9에서 1-a로서 표시됨)의 정보종별 식별부(11)는 전송요구패킷을 송신하라고 단말 송수신부(10)에게 지시한다. 그후, 단말 송수신부(10)는 종별정보패킷을 송신한 사용자(2-j)에 도 7b에 나타낸 정보부의 내용의 정보요구패킷을 송신한다(도 9에서의 T4).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ype information packet related to the type of the required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has been received, the information type identification unit 11 of the user terminal (indicated as 1-a in FIG. 9) transmits the request packet to the terminal. Instruct (10). Thereafter, the terminal transmission / reception section 10 transmits an information request packet of the contents of the information section shown in Fig. 7B to the user 2-j who sent the category information packet (T4 in Fig. 9).

이러한 정보요구패킷에 응답하여, 서버(2-j)의 서버 송수신부(27)는 그것을 정보검색 관리부(21)에 통지하고, 정보검색 관리부(21)는 그 송신원의 사용자 단말(1-a)이 계약자인 것을 확인한 후, 암호화키 생성부(24)에게 복호화키를 송신원의 사용자 단말(1-a)에 송신하라고 지시한다.In response to this information request packet, the server transceiving unit 27 of the server 2-j notifies it to the information retrieval management unit 21, and the information retrieval management unit 21 transmits the user terminal 1-a of the sender. After confirming this contractor, the encryption key generation unit 24 is instructed to transmit the decryption key to the user terminal 1-a of the transmission source.

암호화키 생성부(24)는 정보검색 관리부(21)에 의해 지령된 사용자 단말(1-a)에 그 정보종별에 대응하는 복호화키를 송신하라고 서버 송수신부(27)에 요청한다. 따라서, 도 7(c)에 나타내는 내용이 정보부에 삽입되어 있는 복호화 키 통지 패킷이, 서버 송수신부(27)에 의해서 사용자 단말(1-a)을 향하여 송신된다(도 9순서 T5).The encryption key generation unit 24 requests the server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7 to transmit the decryption key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type to the user terminal 1-a commanded by the information retrieval management unit 21. Therefore, the decryption key notification packet in which the content shown in FIG.7 (c) is inserted in the information part is transmitted by the server transceiving part 27 toward the user terminal 1-a (FIG. 9 procedure T5).

사용자 단말(1-a)의 단말 송수신부(10)는 수신된 패킷의 계약형 정보 라벨에 관하여 수신의 허용을 확인한 후, 암호화키 통지패킷을 인식하고, 그후, 그 정보부의 내용을, 복호화키를 축적하는 복호화키 기억부(14)에 제공하고, 복호화키는 그 대응하는 종별과 결합된다. 이러한 축적동작 후에, 단말 송수신부(10)는 복호화키의 수신응답을 서버(2-j)에 송신하라고 명령하여, 도 7d에 나타낸 내용이 정보부에 삽입되는 복호화키 수신응답패킷을, 복호화키 통지패킷의 송신원의 서버(2-j)에 반송한다(도 9에서의 T6). 이러한 반송동작에 의해, 계약이 재성립된다.The terminal transceiver 10 of the user terminal 1-a confirms the acceptance of the received information about the contract type information label of the received packet, recognizes the encryption key notification packet, and then decodes the contents of the information portion. Is provided to the decryption key storage unit 14 that stores the decryption key, and the decryption key is associated with the corresponding type. After this accumulation operation, the termin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0 instructs the server 2-j to transmit the reception response of the decryption key, and notifies the decryption key of the decryption key reception response packet in which the contents shown in Fig. 7D are inserted into the information unit. The packet is returned to the server 2-j of the sender of the packet (T6 in FIG. 9). By this conveyance operation, the contract is reestablished.

정보검색 관리부(21)는 서버 송수신부(27)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1-a)로부터 복호화키의 수신응답이 있다는 것이 통지되면, 축적부(22b)의 사용자 단말(계약자)(1-a)의 요금부과정보를 갱신하고, 또한 현재의 신규 전송대상정보 또는 갱신된 전송대상정보(직전의 정보와 현재의 정보가 달라도 된다)를 1 패킷에 적당한 량으로 나누어, 암호화부(23)에 송신한다.If the information retrieval management unit 21 is notified of the reception response of the decryption key from the user terminal 1-a through the server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7, the user terminal (contractor) 1-a of the storage unit 22b. The charging information is updated, and the current new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or updated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the previous information and the current information may be different) are divided into an appropriate amount in one packet and transmitted to the encryption unit 23. .

이후에는, 어떠한 종별정보도 생성되지 않지만, 제 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처리에 의해, 도 7e에 나타낸 내용이 정보부에 삽입되는 정보전송패킷이 사용자 단말(1-a)에 송신된다(도 9에서의 T7).Thereafter, no classific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but by the same processing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 information transmission packet in which the contents shown in Fig. 7E is inserted into the information por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a (Fig. 9). T7).

사용자 단말(1-a)에 의한 정보전송패킷의 수신처리는 정보종별의 식별동작이 없는 점을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의 것과 비슷하며, 정보 축적부(16)는 그것에 송신된 정보(전송정보 본체)를 축적한다. 게다가, 이 축적된 전송대상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처리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The reception processing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packet by the user terminal 1-a is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re is no identification operation of the information type, and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6 transmits information (transmission information) to it. Body). In addition,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accumulated transfer target information to the user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제 1 실시예의 효과에 덧붙여,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이하의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o the effects of the first embodiment, the second embodiment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l) 종별정보만을 송신하기 때문에, 상세정보를 종별정보에 부가할 수 있어, 한층 더 유사하고 또는 정확한 심사를 행할 수 있다.(l) Since only the category information is transmitted, detailed information can be added to the category information, so that similar or accurate examination can be performed.

(2) 사용자의 정보요구전송에 의해 사용자는 필요한 정보 또는 적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는 계약만 할 수 있는 계약을 성립시킨다.(2) By sending the user's request for information, he establishes a contract that can only be made for contracts that are expected to provide the necessary or appropriate information.

변형예Variant

이하에, 상기 2개의 실시예와 관련된 일부 변형예에 관해서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some modifications related to the above two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1) 이 통신방법은 상기 패킷통신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패킷통신은 고정길이 패킷, 가변길이 패킷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 재송신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법을 이용할 수 있다.(1) This communication metho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packet communication. The packet communication may be either a fixed length packet or a variable length packet. In addition, a general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retransmission can be used.

(2) 암호화 및 복호화 처리는 네트워크(30)가 개방되어 있지 않고, 닫혀 있으며, 또는 공용이 아닌 전용으로 있는 한, 정보전송 시스템에 필수적인 것이 아니다. 또한, 암호화처리는 전송대상정보의 종별 사이에서는 공통적인 것일 수도 있다.(2) The encryption and decryption processing is not essential to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s long as the network 30 is not open, closed, or dedicated rather than shared. In addition, the encryption process may be common among the types of transfer target information.

(3) 이 시스템에 있어서는 종별정보에만 근거한 심사를 잘 행할 수 있다. 또, 종별정보와 시간정보의 조합에 근거한 심사가 이용가능할 수도 있고,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이 종별정보에 있는 시간을 참조하여 처리하는 것을 허용하거나, 시간정보 식별부가 심사하는 것을 허용하는 야구의 결과 및 경마의 승산에 필요한 시간은 정해져 있다.(3) In this system, screening based only on the classification information can be performed well. In addition, the examination based on the combination of the category information and the time information may be available, for example, the baseball which allows the user terminal to process with reference to the time in the category information or allows the time information identification unit to judge. The time required for the results and the odds of horse racing is determined.

(4)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 정보종별 식별부에 의해 그 내부에 설정될 수 있는 계약자 정보를 송신한다.(4) The server transmits the contractor information that can be set therein by the information type identification unit to the user terminal.

(5) 사용자 단말은 일련의 전송대상정보의 수신종료시 서버에 수신응답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요금부과 정보의 갱신을 이 수신응답시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5) The user terminal may transmit a reception response to the server when the reception of the series of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ends.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update the charging information at this reception response.

(6) 사용자 단말이 수신되어 축적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은 상술한 실시예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함축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6) It can be implicitly understood that the method for providing the user with the information received and accumulated by the user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7) 전송대상정보의 종별의 계층수가 상술한 실시예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함축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7) It can be implicitly understood that the number of hierarchies of the type of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is not limited to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8) 시간정보도 헤더부(라벨부)에 삽입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할 경우에는 패킷의 순서성의 판단을 이른 단계에서 행할 수 있다. 비슷하게, 종별정보는 헤더부(라벨부)에 삽입될 수 있다.(8) The time information can also be inserted into the header portion (label portion). In this case, the order of the packets can be judged at an early stage. Similarly, the category information can be inserted in the header portion (label portion).

(9) ID의 전송만 정보전송 시스템에 이용할 수 있다.(9) Only ID transmission can be used for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10) 보조서버는 이 시스템에서 잘 작동한다. 즉, 서버와 보조서버 사이의 통신은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 이용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과 보조서버 사이의 통신은 비슷하게 이용될 수 있다.(10) The secondary server works well on this system. That i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erver and the secondary server can be used using the above method,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secondary server can be similarly used.

(11) 소정주기마다, 신규 전송대상정보 또는 갱신된 전송대상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만약 있다면 전송동작을 기동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중의 하나는 심사이지, 정보의 송신타이밍이 아니다.(11) At every predetermined period, it is checked whether there is new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or updated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and if so, the transfer operation can be started. That is, one of the present inventions is an examination, not a transmission timing of information.

(12) 종별정보와 복호화키를 동시에 송신할 수도 있는데, 이것은 복호화키의 은닉성의 점에서 보면 폐쇄된 네트워크에 적합하다.(12)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decryption key may be transmitted simultaneously, which is suitable for a closed network in view of the concealment of the decryption key.

(13) 제 2 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 복호화키는 전송요구에 응답하여 전송되는데, 그것은 제 1 실시예와 같이 주기적으로 전송되어도 된다.(13) In the system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decryption key is transmitted in response to a transmission request, which may be transmitted periodically as in the first embodimen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보전송 시스템, 정보축적제공장치 및 정보수신장치에 따르면, 전송대상정보의 송신시간(갱신시간이 아닌)을 나타내는 시간정보의 송수신에 의해, 정보수신장치는, 이 정보가 최신의 것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정보, 즉 패킷의 순서가 올바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게다가, 시간정보를 사용하여 내부시계를 조정함으로써 정보전송 시스템 전체의 시간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the information storage providing apparatus and the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 transmits and receives time information indicating the transmission time (not the update time) of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information is up-to-date, and it is also possible to confirm whether or not a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that is, the order of packets are correct. In addition, by using the time information to adjust the internal clock,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time the entir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또한, 종별정보의 송수신 기능으로, 신규 전송대상정보 또는 갱신된 전송대상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을 이용하여, 정보수신장치는 신규 또는 갱신된 전송대상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송대상정보가 수신장치에 필요한 종별정보에 따라서, 그것의 필요성을 확인함으로써 획득되기 때문에, 빈번하게 갱신된 각종 정보는 실시간에서 확득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of the category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new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or updated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Further, by us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e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 can check whether there is new or updated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In addition, since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is obtained by confirming its necessity according to the typ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reception apparatus, various kinds of frequently updated information can be obtained in real time. Thus, the load on the network can be reduced.

Claims (9)

전송대상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정보축적제공장치 및 전송대상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정보수신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근거한 정보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보축적제공장치는, 전송대상정보의 내용에 대하여 인덱스를 갖는 종별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수단과,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송대상정보 및 종별정보를 복수의 정보수신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정보수신장치의 각각은, 전송대상정보 및 종별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과, 상기 종별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정보수신장치 각각에 대해 전송대상정보가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수단과, 필요하다고 판단된 전송대상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전송 시스템.In an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based on a network comprising an information accumulation providing apparatus for transmitting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and a plurality of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es for receiving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the information accumulation provid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contents of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type information having an index, and transmitting means for transmitting the transfer target information and the type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es via a network, each of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es being a transfer target;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the information and the category information, judgment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is necessary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e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information, and identifying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determined to be necessary.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dentification means for. 전송대상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축적제공장치 및 전송대상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정보수신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근거한 정보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보축적제공장치는, 전송대상정보의 내용에 대하여 인덱스를 갖는 종별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수단과, 복수의 수신장치 각각이 전송대상정보를 요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종별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정보수신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수단과, 전송대상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정보수신장치의 각각은, 전송대상정보 및 종별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과, 수신된 종별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정보수신장치 각각에 대해 전송대상정보가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수단과, 상기 판단수단의 결과에 응답하기 위한 응답수단과, 전송대상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전송수단은 전송대상정보를 요구하는 정보수신장치에만 전송대상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전송 시스템.In an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based on a network comprising an information accumulation providing device for providing transfer target information and a plurality of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 for receiving transfer target information, the information accumulation provid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contents of the transfer target information.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category information having an index, delivery means for delivering category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es over a network to confirm whether each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apparatuses requires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And a transmitting means for transmitting the target information,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es comprises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and the category information,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es based on the received category information. Judging means for judging whether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is required for the mobile terminal; By having an identification means for identifying a response means, and the transfer destination information, wherein the transmitting means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only to the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 to request the transfer destination informa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축적제공장치는 복수의 정보수신장치 각각이 식별한 전송대상정보의 각각에 해당하는 요금을 복수의 정보수신장치 각각에 부과하기 위한 요금부과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전송 시스템.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information storage provid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charging means for charging a plurality of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es with a charg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identifi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es.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수단은 상기 복수의 정보수신장치로부터의 응답에 응답하여 전송대상정보를 동보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전송 시스템.Th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said transmission means broadcast-transmits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in response to responses from said plurality of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수단은 복수의 정보수신장치로부터의 응답에 응답하여 전송대상정보를 다중 동보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전송 시스템.3. An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said transmission means transmits multiple broadcast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in response to a response from a plurality of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종별정보의 인덱스는 계층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판단수단은 상부 인덱스에서 하부 인덱스까지 순서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전송 시스템.Th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index of the category information forms a hierarchical structure, and the determination means determines the order from the upper index to the lower index.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축적제공장치는, 전송대상정보를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수단과, 암호화된 전송대상정보를 복호화하는 복호화키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전송수단은 암호화된 전송대상정보와 복호화키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전송 시스템.3. The information storag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encryption means for encrypting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and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decryption key for decrypting the encrypted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wherein the transmission means is encrypted.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and the decryption key. 전송대상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축적제공장치 및 전송대상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정보수신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근거한 정보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보축적제공장치는, 전송대상정보의 내용에 대하여 인덱스를 갖는 종별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수단과, 전송대상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갱신수단과, 전송대상정보의 갱신과 관련된 시간정보를 전송대상정보에 부가하기 위한 부가수단과, 종별정보 및 전송대상정보를 복수의 정보수신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정보수신장치는, 종별정보 및 전송대상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과, 수신된 전송대상정보 중 어느 것이 그것에 대응하는 시간정보에 근거하여 최신의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수단과, 최신의 전송대상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전송 시스템.In an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based on a network comprising an information accumulation providing device for providing transfer target information and a plurality of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 for receiving transfer target information, the information accumulation provid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contents of the transfer target information.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category information having an index, updating means for updating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additional means for adding time information related to the update of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to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class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transmission target And a transmitting mean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es, wherein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es include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the category information and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and any one of the received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Judging means for judging whether it is up-to-date based on time information, and formula for identifying the latest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In that it includes a means of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전송대상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축적제공장치 및 전송대상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정보수신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근거한 정보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보축적제공장치는, 전송대상정보의 내용에 대하여 인덱스를 갖는 종별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수단과, 전송대상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갱신수단과, 전송대상정보의 갱신과 관련된 시간정보를 전송대상정보에 부가하기 위한 부가수단과, 종별정보 및 전송대상정보를 복수의 정보수신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정보수신장치 각각은, 종별정보 및 전송대상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과, 수신된 전송대상정보 중 어느 것이 그것에 대응하는 시간정보에 근거하여 최신의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수단과, 수신된 전송대상정보를 그것에 대응하는 시간정보를 참조하여 재배열하기 위한 재배열수단과, 상기 재배열된 전송대상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전송 시스템.In an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based on a network comprising an information accumulation providing device for providing transfer target information and a plurality of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 for receiving transfer target information, the information accumulation provid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contents of the transfer target information.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category information having an index, updating means for updating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additional means for adding time information related to the update of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to the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class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transmission target A transmitting mean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es, each of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es comprising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type information and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and which of the received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corresponds thereto; Judging means for judging whether or not it is up-to-date based on the time information and the received transfer target informatio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identification means for identifying the rearrangement means, the rearranged transmission target information to the rearrangement with reference to the time information.
KR1019970040725A 1996-08-28 1997-08-25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KR1998001898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663696A JP3457808B2 (en) 1996-08-28 1996-08-28 Information transfer system and information provided device
JP8226624A JPH1070530A (en) 1996-08-28 1996-08-28 Information transfer system, information storage providing device and information device to be provided
JP226624 1996-08-28
JP226636 1996-08-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983A true KR19980018983A (en) 1998-06-05

Family

ID=66046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0725A KR19980018983A (en) 1996-08-28 1997-08-25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898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188B1 (en) * 2000-09-09 2004-08-16 주식회사 마켓포인트 A real-time incorporated financial information service and multiple trading system based upon intern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188B1 (en) * 2000-09-09 2004-08-16 주식회사 마켓포인트 A real-time incorporated financial information service and multiple trading system based upon intern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910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rypting and transferring electronic mails
JP4895190B2 (en) System for identification management related to authentication of electronic devices
EP1463260A2 (en) Data use management system, transmitting apparatus having data use management function and data use management method
US6085225A (en)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information storing and provi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
US20050289337A1 (en) Electronic mail server device and electronic mail processing method
US20040139339A1 (en) Data encryption and decryption method and apparatus
CN1739076A (en) Method for transmitting encrypted user data objects
JPH11150518A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plurality of programs
US6611194B1 (en) Method for inserting a service key in a terminal and devices for implementing said method
CN1134943C (en) Secure packet radio network
CN108599939A (en) a kind of authentication method and device
CN108509799A (en) A kind of template document acquisitio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
JPWO2004081800A1 (en) Message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 system and program thereof
KR19980018983A (en)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JP3565663B2 (en) Information transfer system, information storage and provision device, and information provided device
KR101547141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keys
US20090097648A1 (en) Content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uthentication method between devices using broadcast encryption, display device, and resource-constrained device
JP2004180318A (en) Data encryption and decryption method and apparatus
JP3457808B2 (en) Information transfer system and information provided device
CN114615354A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message
EP0827093A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information storing and provi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
JP4631423B2 (en) Message authentication method, message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message authentication system using the authentication method
KR101971428B1 (en) Contents exchange method based on interaction between users and system performing the same
US9137031B2 (en) Method and transmitter for producing a data stream, method and receiver for calling at least one data segment in a data stream
JP2020187247A (en) Data management device, user information notification device, user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nd program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