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8669A - Air purifier - Google Patents

Air purif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8669A
KR19980018669A KR1019970038778A KR19970038778A KR19980018669A KR 19980018669 A KR19980018669 A KR 19980018669A KR 1019970038778 A KR1019970038778 A KR 1019970038778A KR 19970038778 A KR19970038778 A KR 19970038778A KR 19980018669 A KR19980018669 A KR 19980018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electrode
dust
collecting electrode
ion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87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234846B1 (en
Inventor
데루오 시모다
Original Assignee
다무라 노리오
티악크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무라 노리오, 티악크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무라 노리오
Publication of KR19980018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6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4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4846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2Transportable units, e.g. for cleaning room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1Ionising-electrode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전자식 공기 청정 장치에 있어서, 집진 효과를 저하시키지 않고 오존의 발생을 억제한다.In the electronic air purifier, generation of ozone is suppressed without lowering the dust collection effect.

이온화 전극(1)을 설치함과 동시에, 원통형 지지체(4)의 외주면에 제 1 및 제 2 집진 전극(2, 3)을 배치한다. 이온화 전극(1)에 -4kV를 인가한다. 제 1 집진 전극(2)에 +2kV를 인가한다. 제 2 집진 전극(3)에 +8kV를 인가한다. 이온화 전극(1)과 제 2 집진 전극(3)에 오프셋 상태로 전압을 인가하고, 이온화 전극(1)의 음전압의 절대치를 제 2 집진 전극(3)의 양전압의 절대치보다 낮춘다.At the same time as the ionization electrode 1 is provided, 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s 2 and 3 are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support 4. -4 kV is applied to the ionization electrode 1. +2 kV is applied to the first dust collecting electrode 2. +8 kV is applied to the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 3. Voltage is applied to the ionization electrode 1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 in an offset state, and the absolute value of the negative voltage of the ionization electrode 1 is lower than the absolute value of the positive voltage of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

Description

공기 청정 장치Air purifier

본 발명은, 먼지를 이온화하여 집진하는 형식의 공기 청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of a type in which dust is ionized and collected.

종래의 공기 청정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6kV가 인가된 이온화 전극(음극;1)과, 예를 들면 접지 전위인 제 1 집진 전극(2)과, 예를 들면 6kV가 인가된 제 2 집진 전극(3)을 구비하고 있다. 이온화 전극(1)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바늘형상의 돌출부(1a)를 다수 가지고 있다. 또한, 돌출부(1a)의 표면적은 제 1 및 제 2 집진 전극(2, 3)의 표면적보다 작다. 제 1 및 제 2 집진 전극(2, 3)은, 띠형상의 금속판으로서, 이온화 전극(1)의 원통보다도 직경이 작고 원통 형상인 절연성 지지체(4) 표면에 둥근 고리 형상으로 감겨져 있다. 제 1 집진 전극(2)은 이온화 전극(1) 부근에 배치되어 있고, 제 2 집진 전극(3)은 이온화 전극(1)에 대하여 제 1 집진 전극(2)보다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A conventional air purifier includes an ionization electrode (cathode) 1 to which -6 kV is applied, as shown in FIGS. 1 and 2, for example, a first dust collecting electrode 2 that is a ground potential, and an example. For example, the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 3 to which 6 kV is applied is provided. The ionization electrode 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 plurality of needle-like protrusions 1a. In addition, the surface area of the protrusion 1a is smaller than the surface areas of 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s 2, 3. The 1st and 2nd dust collecting electrodes 2 and 3 are strip | belt-shaped metal plates, and are wound in the round ring shape on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pport body 4 whose diameter is smaller than the cylinder of the ionization electrode 1, and is cylindrical. The first dust collecting electrode 2 is disposed near the ionization electrode 1,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 3 is dispos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first dust collecting electrode 2 with respect to the ionizing electrode 1.

원통형 지지체(4)의 중공부(中空部;5)에는 절연성 및 유연성을 가지며 집진용 시트로서 기능하는 집진지(6)가 롤형상으로 감겨져 수용되어 있다. 또한, 롤형상의 집진지(6)가 회전될 수 있도록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축(7)이 설치되어 있고, 원통형 지지체(4)의 벽면에 집진지(6)를 중공부(5)로부터 잡아당기기 위한 홈(8)이 설치되어 있다. 집진지(6)는 홈(8)으로부터 나와 제 1 및 제 2 집진 전극(2, 3)을 덮도록 원통형 지지체(4)의 외주면 전체에 감겨지고, 고정부재(도시 생략)에 의해 원통형 지지체(4)에 고정된다. 이온화 전극(1)은 테이블 형상의 절연성 지지체(9)에 고정부착되어 있다. 상기 테이블 형상의 지지체(9)에는 공기통로로서 기능하는 다수의 슬릿이 구비된 커버(도시생략)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기둥(10)이 다수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테이블 형상의 지지체(9)는 원통형 지지체(4)를 지지하고 있다.In the hollow part 5 of the cylindrical support body 4, the dust collecting paper 6 which has insulation and flexibility, and functions as a dust collecting sheet is wound and accommodated in roll shape. In addition, a shaft 7 for determining a position so that the roll-shaped dust collector 6 can be rotated is provided, and the dust collector 6 is held on the wall surface of the cylindrical support 4 from the hollow portion 5. The groove 8 for pulling is provided. The dust collecting paper 6 is wound around the entir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support 4 so as to cover 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s 2, 3 coming out of the groove 8, and the cylindrical support (not shown). 4) is fixed. The ionization electrode 1 is fixedly attached to the table-like insulating support 9. A plurality of pillars 10 are provided on the table-like support 9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a cover (not shown)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lits serving as air passages. In addition, the table-like support 9 supports the cylindrical support 4.

이온화 전극(1), 제 1 및 제 2 집진 전극(2,3)은 도 2에 도시된 전원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전원회로는 링잉·초크·컨버터(Ring Choke Conveter)로서, 예를 들면 상용 교류 전원에 접속된 정류평활회로로 이루어진 직류전원(11), 상기 직류전원(11)의 한쌍의 출력단자간에 접속된 트랜스(12)의 1차 코일(13), 상기 1차 코일(13)에 직렬로 접속되어 스위칭 소자로서 기능하는 트랜지스터(14), 트랜스(12)의 2차 코일(15)에 접속된 다배압 정류회로(16), 트랜스(12)의 3차 코일(17) 및 제어 회로(26)로 이루어진다. 다배압 정류 회로(16)는 6개의 다이오드(D1∼D6), 6개의 콘덴서(C1∼C6) 및 5개의 저항(R1∼R5)으로 이루어진다. 저항(R3)의 출력 라인(18)은 제 2 집진 전극(3)에 접속되고, 저항(R 4)의 출력 라인(19)은 제 1 집진 전극(2)에 접속되며, 저항(R5)의 출력 라인(20)은 이온화 전극(1)에 접속되어 있다.The ionization electrode 1 and 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s 2, 3 ar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circuit shown in FIG. The power supply circuit is a ring choke converter, for example, a DC power supply 11 consisting of a rectifying smoothing circuit connected to a commercial AC power supply and a pair of output terminals of the DC power supply 11. Multiple back pressure connected to the primary coil 13 of the transformer 12, the transistor 14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primary coil 13, and functions as a switching element, and the secondary coil 15 of the transformer 12 It consists of the rectifier circuit 16, the tertiary coil 17 of the transformer 12, and the control circuit 26. As shown in FIG. The multi-back voltage rectifying circuit 16 consists of six diodes D1 to D6, six capacitors C1 to C6, and five resistors R1 to R5. The output line 18 of the resistor R3 is connected to the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 3, the output line 19 of the resistor R 4 is connected to the first dust collecting electrode 2, and the The output line 20 is connected to the ionization electrode 1.

제어 회로(26)는 3차 코일(17)의 전압에 따라 정전압화(定電壓化)된 출력 전압을 얻을 수 있도록 트랜지스터(14)의 베이스 전류를 제어한다. 트랜지스터(14)는 주지의 링잉·초크·컨버터와 마찬가지로 온·오프한다.The control circuit 26 controls the base current of the transistor 14 so as to obtain a constant voltag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tertiary coil 17. The transistor 14 is turned on and off similarly to the well-known ring choke converter.

이온화 전극(1)에 가령 -6kV, 제 1 집진 전극(2)에 0V, 제 2 집진 전극(3)에 +6kV를 인가하면, 음극으로서 작용하는 이온화 전극(1)과 제 1 및 제 2 집진 전극(2, 3)간에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고, 이온화 전극(1)으로부터 제 1 및 제 2 집진 전극(2, 3)을 향하여 대량의 전자가 방출된다. 상기 코로나 방전에 의해 방출된 전자는 공기 분자(특히, 산소 분자)를 음이온화한다. 공기중에 부유하는 먼지(예를 들면, 티끌, 박테리아, 바이러스, 집진드기의 분비물, 꽃가루 등)는 음이온으로부터 전자를 받아 음전하를 띤 입자, 즉 음이온화된 먼지가 된다. 제 1 및 제 2 집진 전극(2, 3)은 이온화 전극(1)을 기준으로 했을 때, 높은 전위를 가지기 때문에, 양으로 대전된 상태에 있으며, 음이온화된 먼지와 집진 전극(2, 3)의 양전하간에 쿨롬력이 작용하여, 음이온화된 먼지는 집진 전극(2, 3)을 향해 이동하고, 원통형 지지체(4)의 외주면에 감겨진 집진 시트(6)에 흡착된다. 또한, 직류전계(直流電界)하의 단극성 이온이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현상, 즉 이온풍이 발생한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의 장치에서는, 이온화 전극(1)으로부터 제 1 및 제 2 집진 전극(2, 3)을 향하여 이온풍이 발생한다. 즉, 원통형 지지체(4)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이온풍이 발생한다. 또, 이온화 전극(1)과 제 2 집진 전극(3)의 중간부에 배치된 제 1 집진 전극(2)은 전위분포의 균일화를 도모할 뿐만 아니라, 이온풍을 양호하게 발생시키는 작용도 한다.When -6 kV is applied to the ionization electrode 1, 0 V is applied to the first dust collecting electrode 2, and +6 kV is applied to the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 3, the ionizing electrode 1 and 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s acting as cathodes. Corona discharge occurs between (2, 3), and a large amount of electrons are emitted from the ionization electrode 1 toward 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s 2,3. Electrons emitted by the corona discharge anionize air molecules (particularly oxygen molecules). Dust suspended in air (eg, dust, bacteria, viruses, dust mites secretions, pollen, etc.) receives electrons from negative ions and becomes negatively charged particles, ie anionized dust. Since 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s 2 and 3 have a high potential when the ionizing electrode 1 is a reference, they are in a positively charged state, and the anionized dust and the collecting electrodes 2 and 3 are negative. The Coulomb force acts between the positive charges of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anionized dust moves toward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2 and 3 and is adsorbed by the dust collecting sheet 6 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support 4. In addition, a phenomenon in which unipolar ions move under a direct current field in a specific direction, that is, ion wind occurs. Therefore, in the apparatus of FIGS. 1 and 2, ion wind is generated from the ionization electrode 1 toward 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s 2 and 3. That is, ion wind is generated from below the cylindrical support body 4 upward. In addition, the first dust collecting electrode 2 disposed in the middle portion between the ionizing electrode 1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 3 not only achieves uniform distribution of electric potential, but also serves to generate ionic wind satisfactorily.

그런데, 공기 청정 장치에 있어서, 이온화 전극(1) 및 집진 전극(2, 3)의 전압을 높이면, 코로나 방전이 양호하게 발생하고, 먼지의 이온화는 촉진되지만, 오존이 필요이상으로 발생하고, 오존냄새가 문제가 된다. 또한, 이온화 전극(1)과 제 2 집진 전극(3)간의 전압을 높이면, 전기회로부분에 고도의 내압이 필요해지고, 장치에 드는 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By the way, in the air cleaner, when the voltage of the ionization electrode 1 and the dust collection electrodes 2 and 3 is raised, corona discharge will generate | occur | produce well and ionization of dust will be promoted, but ozone will generate | occur | produce more than necessary, and ozone Odor is a problem. In addition, when the voltage between the ionization electrode 1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 3 is increased, a high breakdown voltage is required for the electric circuit portion,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cost for the apparatus.

또한, 정전식 공기 청정 장치에서, 이온풍에 따라 이온화된 먼지가 운반되므로, 이온풍을 양호하게 발생시키고, 집진능력을 높이는 작업이 중요하다.In addition, in the electrostatic air purifier, since ionized dust is transported according to the ion wind, it is important to generate the ion wind satisfactorily and to increase the dust collecting capabilit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온화 전극과 집진 전극간의 전압을 상승시키지 않고 집진 능력을 향상시키고, 집진 능력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도 오존 발생량을 억제할 수 있는 공기 청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leaning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the dust collecting capability without raising the voltage between the ionizing electrode and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and suppressing the amount of ozone generation without causing a decrease in the dust collecting capability.

도 1은 종래의 공기 청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ir cleaning device.

도 2는 도 1의 일부에 대한 종단면도와 함께 종래의 공기 청정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FIG. 2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air cleaning device together with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FIG. 1.

도 3은 제 1 실시예의 공기 청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ir cleaning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도 4는 도 3의 일부에 대한 종단면도와 함께 제 1 실시예의 공기 청정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FIG. 4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air cleaning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with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FIG. 3.

도 5는 제 2 실시예의 공기 청정 장치를 도시한 도 6의 선 A-A를 따라 자른 도면이다.FIG. 5 is a view cut along the line A-A of FIG. 6 showing the air cleaning apparatus of the second embodiment.

도 6은 도 5의 공기 청정 장치의 평면도이다.FIG. 6 is a plan view of the air cleaning device of FIG. 5.

도 7은 도 3의 일부에 대한 종단면도와 함께 제 3 실시예의 공기 청정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FIG. 7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air cleaning device of the third embodiment with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FIG. 3.

도 8은 도 3의 일부에 대한 종단면도와 함께 제 4 실시예의 공기 청정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FIG. 8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air cleaning device of the fourth embodiment with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FIG. 3.

도 9는 도 3의 일부에 대한 종단면도와 함께 제 5 실시예의 공기 청정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FIG. 9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air cleaning apparatus of a fifth embodiment with a longitudinal cross section of a portion of FIG. 3.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 이온화 전극 2 : 제 1 집진 전극1: ionization electrode 2: first dust collecting electrode

3 : 제 2 집진 전극 4 : 지지체3: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 4: support

6 : 집진지6: dust collecto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온화 전극, 집진 전극, 상기 이온화 전극 및 집진 전극의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집진 전극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집진용 시트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집진용 시트상에 먼지를 흡착시키는 구성의 공기 청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온화 전극의 음전압의 절대치와 상기 집진 전극의 양전압의 절대치가 서로 다른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upport of an ionizing electrode, a dust collecting electrode, the ionizing electrode and a dust collecting electrode, and dust is placed on the dust collecting sheet by arranging the dust collecting sheet to b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An air purifier having an adsorption structure, wherein the absolute value of the negative voltage of the ionization electrode and the absolute value of the positive voltage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have different values.

또한, 청구 제 2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집진 전극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s as described in claim 2.

또한, 청구 제 3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 2 집진 전극의 양전압의 절대치가 이온화 전극의 음전압의 절대치보다 높아지도록 오프셋하고, 제 1 집진 전극에 양전압을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described in claim 3, it is preferable to offset so that the absolute value of the positive voltage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 becomes higher than the absolute value of the negative voltage of the ionizing electrode, and apply a positive voltage to the first dust collecting electrode.

또한, 이온풍을 양호하게 발생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청구 제 4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이온화 전극의 음전압의 절대치를 제 2 집진 전극의 양전압의 절대치보다 크게 할 수 있다.Further, for the purpose of generating the ion wind satisfactorily, as described in claim 4, the absolute value of the negative voltage of the ionization electrode can be made larger than the absolute value of the positive voltage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

또한, 청구 제 5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이온화 전극과 제 1 집진 전극간의 전위차를 제 1 및 제 2 집진 전극간의 전위차보다 크게 하고, 제 2 집진 전극의 표면적을 제 1 집진 전극의 표면적보다 크게 제작할 수 있다.Further, as described in claim 5,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ionization electrode and the first dust collecting electrode is made larger than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s, and the surface area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 is made larger than the surface area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electrode. Can be.

제 1 실시예First embodiment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제 1 실시예의 전자식 공기 청정 장치를 설명한다. 단,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Next, the electronic air clean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However, in FIG.3 and FIG.4, about the part which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FIG.1 and FIG.2, the same code | symbol is used and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도 3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공기 청정 장치가 가지는 기계적 구성은 제 2 집진 전극(3)의 면적 및 수직 길이를 도 1보다 크게 제작한 것 외에는 도 1과 동일하므로, 공기 청정 장치의 기계적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집진 전극(3)의 표면적은 제 1 집진 전극(2)의 3배 이상인 약 7배이며, 제 1 및 제 2 집진 전극(2, 3)의 표면적 합계는 지지체(4)의 외부표면적의 50%이상이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정류회로(16a)이외의 부분은 도 2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도 4에 도시된 대부분의 정류회로(16a)는 도 2의 정류회로(16)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도 4의 정류회로(16a)는, 도 2의 정류회로(16)에서 콘덴서(C5)와 다이오드(D6)를 생략하고, 콘덴서(C7)와 다이오드(D7)를 부가한 것 외에는 도 2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도 4에서 다이오드(D5)의 양극은 저항(R5)의 좌단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 새로운 콘덴서(C7)는 콘덴서(C1)의 우단에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D7)는 다이오드(D3)의 음극과 콘덴서(C7)의 우단 간에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D7)의 음극은 저항(R3 및 R4)의 좌단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Since the mechanical configuration of the air cleaner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3 is the same as that of FIG. 1 except that the area and vertical length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 3 are larger than that of FIG. 1, the mechanical configuration of the air cleaner is shown in FIG. Description of the description is omitted. The surface area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 3 is about 7 times, which is at least three times that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electrode 2, and the sum of the surface areas of 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s 2, 3 is equal to the outer surface area of the support 4. More than 50%. In addition, in FIG. 4, the parts other than the rectifier circuit 16a are comprised similarly to FIG. 2, and most of the rectifier circuits 16a shown in FIG. 4 are comprised identically to the rectifier circuit 16 of FIG. have. That is, the rectifier circuit 16a of FIG. 4 omits the capacitor C5 and the diode D6 from the rectifier circuit 16 of FIG. 2, except that the capacitor C7 and the diode D7 are added. It is configured in the same way. For this reason, in FIG. 4, the anode of the diode D5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left end of the resistor R5. The new capacitor C7 is connected to the right end of the capacitor C1. The diode D7 is connected between the cathode of the diode D3 and the right end of the capacitor C7. The cathode of the diode D7 is connected to the left ends of the resistors R3 and R4, respectively.

본 실시예에서는 접지를 기준으로 하여 이온화 전극(1)에 -4kV가 공급되고, 제 1 집진 전극(2)에는 +2kV가 공급되며, 제 2 집진 전극(3)에는 +8kV가 공급된다. 따라서, 이온화 전극(1)과 제 2 집진 전극(3)간의 전압은 12kV로서, 도 2와 동일하지만, 이온화 전극(1)의 음전압 -4kV의 절대치와 제 2 집진 전극(3)의 +8kV의 절대치가 다른 값이 되고, 오프셋 상태 즉 편심(偏心) 상태로 전압이 공급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4 kV is supplied to the ionization electrode 1 based on the ground, +2 kV is supplied to the first dust collecting electrode 2, and +8 kV is supplied to the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 3. Therefore, the voltage between the ionization electrode 1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 is 12 kV, which is the same as that of FIG. 2, but the absolute value of negative voltage −4 kV of the ionization electrode 1 and the +8 kV of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 The absolute value becomes a different value, and a voltage is supplied in an offset state, that is, an eccentric state.

본 실시예의 공기 청정 장치는 다음과 같은 잇점을 가진다.The air purifier of this embodiment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1) 이온화 전극(1)과 제 2 집진 전극(3)간의 전압차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14kV이지만, 접지에 대한 이온화 전극(1)의 전압을 종래보다도 2kV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오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1)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ionization electrode 1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 is 14 kV as in the prior art, but since the voltage of the ionization electrode 1 with respect to the ground can be lowered by 2 kV than before, the generation of ozone is suppressed. can do.

(2) 오프셋 상태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제 1 집진 전극(2)의 전압이 +2kV가 된다. 따라서, 이온화된 먼지가 분포되는 영역에 이온화 전극(1)의 -4kV, 접지 전위와, 제 1 및 제 2 집진 전극(2, 3)의 +2kV, +8kV와 같은 4단계의 전위가 존재하게 되고, 전위의 구배(勾配)가 양호해지고, 이온풍의 유통이 원활해진다.(2) In order to supply the voltage in the offset state, the voltage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electrode 2 becomes + 2kV. Therefore, in the region where the ionized dust is distributed, there are four potentials such as -4 kV and ground potential of the ionization electrode 1 and +2 kV and +8 kV of 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s 2 and 3, The potential gradient becomes good, and the ion wind flows smoothly.

(3) 이온화 전극(1)과 제 2 집진 전극(3)간의 전압차는 종래와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제 2 집진 전극(3)의 전압이 종래보다도 높은 +8kV로 되어 있기 때문에, 집진력이 높아진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쿠킹 페이퍼와 같은 털이 길고 두꺼운 종이를 집진지(6)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털의 길이를 이용하여 먼지를 양호하게 모을 수 있게 된다.(3) Although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ionization electrode 1 and the 2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 is the same as before, since the voltage of the 2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 is + 8kV higher than the prior art, dust collection force becomes high. This makes it possible to use, for example, long, thick paper such as cooking paper as the dust collecting paper 6, and makes it possible to collect dust well using the length of the hair.

(4) 제 2 집진 전극(3)의 표면적 및 수직 길이가 제 1 집진 전극(2)의 표면적 및 수직 길이의 3배 이상인 약 7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쿨롬력에 의한 집진범위가 확대되고, 집진효율이 향상된다.(4) Since the surface area and the vertical length of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 are formed at about seven times that of three times or more of the surface area and the vertical length of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2, the dust collection range by the coulomb force is expanded, Dust collection efficiency is improved.

제 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인 전자식 공기 청정 장치를 설명한다. 단,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도 1∼도 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공기 청정 장치는 이온화 전극(1), 제 1 및 제 2 집진 전극(2, 3), 이들의 지지체(4), 이온화 전극지지체(9)의 형상에 있어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다르다. 그러나,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각 부의 기능은 도 1 및 도 3에서 동일한 부호로 도시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5 및 도 6에 있어서는, 이온화 전극(1)은 2개의 선형상의 도체로 이루어지고, 제 1 및 제 2 집진 전극(2, 3)은 직선 형상으로 연장된 띠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절연성 지지체(4)는 표면이 원호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선형상 이온화 전극(1)은 서로 대향된 한 쌍의 판형상 지지체(9)에 지지되어 있다. 2개의 제 1 집진 전극(2) 중 한쪽은 지지체(4)의 한쪽 경사면상에 배설되어 있고, 2개의 제 1 집진 전극(2) 중 다른 한쪽은 지지체(4)의 다른 한쪽 경사면상에 배설되어 있다. 2개의 제 2 집진 전극(3) 중 한쪽은 지지체(4)의 한쪽 경사면상에 배설되어 있고, 2개의 제 2 집진 전극(3)중 다른 한쪽은 지지체(4)의 다른 한쪽 경사면상에 배설되어 있다. 제 2 집진 전극(3)은 제 1 집진 전극(2)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작은 구멍(24)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의 이온화 전극(1)에는 -4kV, 제 1 집진 전극(2)에는 +2kV, 제 2 집진 전극(3)에는 +8kV가 인가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집진 전극(2, 3)의 표면적합계는 집진지가 원호형상의 지지체(4) 표면에 배치되는 면적의 약 50%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Next, an electronic air cleaning apparatus as a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However, in FIG. 5 and FIG. 6,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ubstantially same part as FIGS. 1-4, and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5 and 6 show the ionizing electrode 1, 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s 2 and 3, the support 4, and the ionizing electrode support 9 in the shape of FIG. And those shown in FIG. 3. However, the functions of the respective parts shown in FIGS. 5 and 6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shown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FIGS. 1 and 3. 5 and 6, the ionization electrode 1 is composed of two linear conductors, and 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s 2, 3 are made of a strip-shaped metal plate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shape and insulating. The support body 4 is formed so that the surface may become circular arc shape. The pair of linear ionization electrodes 1 are supported by a pair of plate-like supports 9 opposed to each other. One of the two first dust collecting electrodes 2 is disposed on one inclined surface of the support 4, and the other of the two first dust collecting electrodes 2 is disposed on the other inclined surface of the support 4. have. One of the two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s 3 is disposed on one inclined surface of the support 4, and the other of the two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s 3 is disposed on the other inclined surface of the support 4. have. The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 3 is formed with a larger area than the first dust collecting electrode 2 and has a small hole 24. In addition, -4 kV is applied to the ionization electrode 1 of FIG. 5 and FIG. 6, +2 kV is applied to the 1st dust collecting electrode 2, and +8 kV is applied to the 2nd dust collecting electrode 3. As shown in FIG. The surface fitting system of 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s 2 and 3 is set to about 50% or more of the area where the dust collecting paper i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arc-shaped support 4.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도 이온화 전극(1)과 제 2 집진 전극(3)에 전압이 오프셋 상태로 인가되기 때문에,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Also in the second embodiment, since the voltage is applied to the ionization electrode 1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 3 in an offset state, the same effect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can be obtained.

또한, 작은구멍(24)을 설치하면, 페이퍼 타올과 같은 유연성을 가지는 집진지의 일부가 작은 구멍(24) 내에 파고 든 상태가 되므로, 집진가능한 표면적이 증대되는 작용이 생기고 집진 효과가 높아지며, 흡착된 먼지가 집진지로부터 박리되기 어려워진다.In addition, when the small hole 24 is provided, a part of the dust collecting paper having a flexibility such as a paper towel is dug into the small hole 24, so that the surface area capable of collecting dust is increased and the dust collecting effect is increased, and adsorption is performed. The dust becomes difficult to peel off from the dust collecting paper.

또한, 제 2 집진 전극(3)의 면적이 크고, 전압이 오프셋에 의해 높아져 있기 때문에, 쿨롬력에 의한 먼지의 흡착영역이 증대되고, 먼지가 강력하게 흡착된다. 또한, 집진지에 있어서 먼지의 분포가 균일하게 확대되기 때문에, 흡착된 먼지가 박리되기 어렵다.In addition, since the area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 3 is large and the voltage is increased by the offset, the adsorption area of the dust due to the coulomb force is increased, and the dust is strongly adsorbed. In addition, since the distribution of dust is uniformly expanded in the dust collecting place, the adsorbed dust is hard to peel off.

제 3실시예Third embodiment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제 3 실시예의 공기 청정 장치를 설명한다. 단, 도 7에 있어서 도 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의 공기 청정 장치는 도 4와 다른 정류회로(16b)를 가지고, 이온화 전극(1)의 전압을 -8kV, 제 1 집진 전극(2)의 전압을 -1kV, 제 2 집진 전극(3)의 전압을 +6kV로 변경한 것외에는 도 4와 동일하게 구성된 것이다.Next, the air cleaning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However, in FIG. 7, the same code | symbol is used for the substantially same part as FIG. 4, and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The air purifier of FIG. 7 has a rectifier circuit 16b different from that of FIG. 4, the voltage of the ionizing electrode 1 is -8 kV, the voltage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electrode 2 is -1 kV,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 3. It is configured similarly to FIG. 4 except for changing the voltage of + 6kV.

도 7의 공기 청정 장치와 같이 이온화 전극(1)의 전압의 절대치를 제 2 집진 전극(3)의 전압의 절대치보다 높아지도록 오프셋하여도, 이온풍을 양호하게 발생하고, 집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온화 전극(1)의 음전압의 절대치가 높아지기 때문에 오존이 발생되기 쉬워지고, 따라서, 오존이 요구되는 경우에 활용하면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온화 전극(1)과 제 1 집진 전극(2)간의 전위차가 도 4보다도 높아져 있으며, 제 2 집진 전극(3)의 전위는 도 4보다도 낮아져 있다. 이로 인해, 이온화 전극(1)과 제 1 집진 전극(2)간에 강한 이온풍이 발생하고, 먼지를 지지체(4)의 상방까지 운반할 수 있게 되어, 집진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제 2 집진 전극(3)의 전위를 도 4보다 낮추었기 때문에 그 부근의 벽등에 대한 먼지의 부착을 줄일 수 있다.Even 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voltage of the ionization electrode 1 is offset to be higher than the absolute value of the voltage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 3 as in the air cleaning device of FIG. 7, ion wind can be generated satisfactorily and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 Moreover, since the absolute value of the negative voltage of the ionization electrode 1 becomes high, it will become easy to generate | occur | produce ozone, and therefore may be utilized when ozone is requir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ionization electrode 1 and the first dust collecting electrode 2 is higher than that of FIG. 4, and the potential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 3 is lower than that of FIG. 4. For this reason, strong ion wind is generated between the ionization electrode 1 and the 1st dust collection electrode 2, and dust can be conveyed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body 4, and dust collection efficiency improves. In addition, since the potential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 3 is lower than that in FIG. 4, adhesion of dust to a wall or the like in the vicinity thereof can be reduced.

제 4 실시예Fourth embodiment

도 8의 공기 청정 장치는, 이온화 전극(1)에 -6kV, 제 1 집진 전극(2)에 +1kV, 제 2 집진 전극(3)에 +6kV를 인가하도록 정류회로(16c)를 구성한 것외에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The air purifying device of FIG. 8 includes the rectifier circuit 16c configured to apply -6 kV to the ionization electrode 1, +1 kV to the first dust collecting electrode 2, and +6 kV to the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 3, except that the rectifier circuit 16c is applied. It is comprised similarly to 1st Example.

도 8에서는 이온화 전극(1)과 제 2 집진 전극(2)간의 전위차가 제 1 및 제 2 집진 전극(2, 3)의 전위차보다 크다. 따라서, 이온화 전극(1)과 제 1 집진 전극(2)간에 강한 이온풍을 발생시키고, 지지체(4)의 상방까지 이온풍의 작용을 파급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2 집진 전극(3)의 전위를 높이지 않고도 집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집진 전극(3)의 전위가 낮기 때문에, 부근의 벽등에 대한 먼지의 부착을 저감시킬 수 있다.In FIG. 8,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ionization electrode 1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2 is greater than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s 2 and 3. Therefore, strong ion wind can be generated between the ionization electrode 1 and the 1st dust collection electrode 2, and the effect | action of an ion wind can be propaga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body 4. As shown in FIG. Thus,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without increasing the potential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 3.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potential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 3 is low, adhesion of dust to a wall or the like in the vicinity can be reduced.

제 5 실시예Fifth Embodiment

도 9의 공기 청정 장치는, 이온화 전극(1)에 -8kV, 제 1 집진 전극(2)에 0V(접지), 제 2 집진 전극(3)에 +6kV를 인가하도록 정류회로(전압회로;16d)를 형성한 것외에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제 5 실시예는 제 4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오존의 발생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air purifier of FIG. 9 is a rectifier circuit (voltage circuit) 16d to apply -8 kV to the ionization electrode 1, 0 V (ground) to the first dust collecting electrode 2, and +6 kV to the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 3. The same configuration as in the first embodiment is carried out except that This fifth embodiment has the same effects as the fourth embodimen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mount of ozone generated.

변형예Variant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e following modif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1) 이온화 전극(1)에 -6kV, 제 2 집진 전극(3)에 +9kV를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이온화 전극(1)에 -5kV, 제 1 집진 전극(2)에 +2kV, 제 2 집진 전극(3)에 +10kV를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이온화 전극(1)에 -10kV, 제 1 집진 전극(2)에 -2kV, 제 2 집진 전극(3)에 +5kV 인가할 수 있다.(1) -6 kV can be applied to the ionization electrode 1 and +9 kV can be applied to the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 3. In addition, -5 kV can be applied to the ionization electrode 1, +2 kV can be applied to the first dust collecting electrode 2, and +10 kV can be applied to the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 3. Furthermore, -10 kV can be applied to the ionization electrode 1, -2 kV can be applied to the first dust collecting electrode 2, and +5 kV can be applied to the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 3.

(2) 도 1에 도시된 통형상의 제 2 집진 전극(3)을 도 4 및 도 5의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게 면적이 크고 작은 구멍(24)을 가지도록 제작할 수 있다.(2) The cylindrical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 3 shown in FIG. 1 can be manufactured to have holes 24 having a large area and a small area as in the second embodiment of FIGS. 4 and 5.

(3) 제 1 집진 전극(2)을 생략할 수도 있다.(3) The first dust collecting electrode 2 may be omitted.

청구 제 1항 내지 4항의 발명에 따르면, 이온화 전극과 집진 전극에 오프셋 상태로 전압이 인가되므로, 이온풍이 양호하게 발생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s 1 to 4, since the voltage is applied to the ionization electrode and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in an offset state, ion wind is generated satisfactorily.

또한, 청구 제 3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이온화 전극의 음전압의 절대치를 낮추고, 그 만큼 제 2 집진 전극의 양전압의 절대치를 높이면, 접지에 대해 이온화 전극의 전위가 낮아지므로, 오존 발생량이 적어진다. 또한, 이온화 전극과 제 2 집진 전극간의 전위차를 종래와 동일하게 유지하여, 제 2 집진 전극에 따른 집진성능을 높일 수 있다. 즉, 제 2 집진 전극의 접지에 대한 전위가 종래보다 높아지므로, 이온화된 먼지의 흡인력이 높아지고, 집진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쿨롬력을 강하게 작용시킬 수 있기 때문에 털길이가 길고 두꺼운 종이(예를 들면 쿠킹 페이퍼)를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집진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제 1 집진 전극이 접지가 아닌 양전위가 되므로, 이온화 전극과 제 2 집진 전극간에 접지전위와 제 1 집진 전극의 전위모두가 존재하게 되어, 이온풍을 양호하게 유통시킬 수 있게 된다.Further, as described in claim 3, 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negative voltage of the ionization electrode is lowered and the absolute value of the positive voltage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 is increased by that amount, the potential of the ionization electrode is lower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so that the amount of ozone is reduced. . In addition, by maintaining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ionizing electrode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 as in the related ar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ust collecting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 That is, since the potential with respect to the ground of the 2nd dust collecting electrode becomes higher than before, the suction force of ionized dust becomes high, and dust collection performance improves. In addition, since the coulomb force can be strongly applied, a long hair and a thick paper (for example, cooking paper) can be used, and dust collection performance is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becomes a positive potential instead of the ground, both the ground potential and the potential of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exist between the ionization electrode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thereby allowing the ion wind to flow well.

청구 제 4항의 발명에 따르면, 청구 제 3항의 발명과 마찬가지로 전압오프셋의 효과에 의해 이온풍의 흐름을 양호하게 발생시키는 효과가 얻어지는 외에, 오존 발생량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살균효과가 요구되는 장소에서는 오존 발생량이 많은 것이 좋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4, similarly to the invention of claim 3, the effect of generating a good flow of ion wind is obtained by the effect of voltage offset, and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amount of ozone is obtained. In addition, in the place where a sterilization effect is required, it is good that a large amount of ozone is generated.

또한, 청구 제 5항의 발명에 따르면, 이온화 전극과 제 1 집진 전극간의 전위차가 높아지기 때문에 강한 이온풍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고, 이온풍의 작용범위를 넓힐 수 있게 되며, 제 2 집진 전극의 면적의 증대와 함께 집진효율을 높일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5, since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ionization electrode and the first dust collecting electrode becomes high, it is possible to generate strong ion wind, widen the working range of the ion wind, and increase the area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 In addition,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Claims (5)

이온화 전극, 집진 전극, 상기 이온화 전극 및 집진 전극의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집진 전극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집진용 시트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집진용 시트상에 먼지를 흡착시키는 구성의 공기 청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온화 전극의 음전압의 절대치와 상기 집진 전극의 양전압의 절대치가 서로 다른 값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 장치.An air cleaning apparatus having an ionizing electrode, a dust collecting electrode, a support of the ionizing electrode, and a dust collecting electrode, and configured to adsorb dust on the dust collecting sheet by arranging the dust collecting sheet so as to contact th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The absolute value of the negative voltage of the ionization electrode and the absolute value of the positive voltage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has a different value. 이온화 전극, 집진 전극, 상기 이온화 전극 및 집진 전극의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집진 전극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집진용 시트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집진용 시트상에 먼지를 흡착시키는 구성의 공기 청정장치에 있어서,An air purifier having an ionizing electrode, a dust collecting electrode, a support of the ionizing electrode and a dust collecting electrode, and arranged to adsorb dust on the dust collecting sheet by arranging the dust collecting sheet to b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상기 집진 전극은, 상기 이온화 전극 부근에 배치된 제 1 집진 전극과, 상기 이온화 전극에 대해 상기 제 1 집진 전극보다 떨어져 배치된 제 2 집진 전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온화 전극의 음전압의 절대치와 상기 제 2 집진 전극의 양전압의 절대치가 서로 다른 값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 장치.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may include a first dust collecting electrode disposed near the ionizing electrode, and a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 disposed farther from the first dust collecting electrode with respect to the ionizing electrode, and the absolute value of the negative voltage of the ionizing electrode and the The absolute value of the positive voltage of a 2nd dust collection electrode has a different value, The air clean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집진 전극의 양전압의 절대치가 상기 이온화 전극의 음전압의 절대치보다 크고, 상기 제 1 집진 전극에 양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 장치.The air purifier of claim 2, wherein an absolute value of the positive voltage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 is greater than an absolute value of the negative voltage of the ionizing electrode, and a positive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dust collecting electrod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화 전극의 음전압의 절대치가 상기 제 2 집진 전극의 양전압의 절대치보다 크고, 상기 제 1 집진 전극에 음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 장치.The air purifier of claim 2, wherein an absolute value of the negative voltage of the ionizing electrode is greater than an absolute value of the positive voltage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 and a negative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dust collecting electrode. 이온화 전극, 집진 전극, 상기 이온화 전극 및 집진 전극의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집진 전극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집진용 시트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집진용 시트상에 먼지를 흡착시키는 구성의 공기 청정 장치에 있어서,An air cleaning apparatus having an ionizing electrode, a dust collecting electrode, a support of the ionizing electrode, and a dust collecting electrode, and configured to adsorb dust on the dust collecting sheet by arranging the dust collecting sheet so as to contact th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상기 집진 전극은, 상기 이온화 전극 부근에 배치된 제 1 집진 전극과, 상기 이온화 전극에 대해 상기 제 1 집진 전극보다 떨어져 배치된 제 2 집진 전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온화 전극과 상기 제 1 집진 전극간의 전위차가, 상기 제 1 및 제 2 집진 전극의 전위차보다도 크게 설정되고, 상기 제 2 집진 전극의 표면적이 상기 제 1 집진 전극의 표면적의 3배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includes a first dust collecting electrode disposed near the ionizing electrode, and a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 disposed farther from the first dust collecting electrode with respect to the ionizing electrode, and between the ionizing electrode and the first dust collecting electrode. The potential difference is set larger than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s, and the surface area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 is set to three times or more of the surface area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electrode. 공기 청정 장치.Air cleaning device.
KR1019970038778A 1996-08-21 1997-08-14 Air cleaning device KR10023484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975996A JPH1057837A (en) 1996-08-21 1996-08-21 Air cleaner
JP1996-239759 1996-08-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669A true KR19980018669A (en) 1998-06-05
KR100234846B1 KR100234846B1 (en) 1999-12-15

Family

ID=17049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8778A KR100234846B1 (en) 1996-08-21 1997-08-14 Air cleaning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1057837A (en)
KR (1) KR100234846B1 (en)
CN (1) CN1174431A (en)
TW (1) TW333720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72681B2 (en) * 2015-09-09 2021-05-19 株式会社クリエイティブテクノロジー Air cleaner
CN105703625A (en) * 2016-03-04 2016-06-22 陈宥余 Negative oxygen ion emitter power supply
CN105826818A (en) * 2016-03-04 2016-08-03 陈宥余 Distributed negative ion emission instrument
CN105617439A (en) * 2016-03-04 2016-06-01 陈宥余 Negative ion emission instr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57837A (en) 1998-03-03
TW333720B (en) 1998-06-11
KR100234846B1 (en) 1999-12-15
CN1174431A (en) 1998-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07074B (en) Electrostatic dust collector
US20050082160A1 (en) Electro-kinetic air transporter and conditioner devices with a mesh collector electrode
DE60216261T8 (en) ION GENERATOR AND AIR CONDITIONING DEVICE
CN100420111C (en) Ceramic electrode structure for generating ions, and ion genera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60076452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0234846B1 (en) Air cleaning device
JP2009021110A (en) High voltage generating circuit, ion generating device, and electric equipment
KR100281240B1 (en) Air purifier
KR100229368B1 (en) Air cleaning apparatus
KR20170053980A (en) Anion generation module for prevention of fading phenomena of electrode or discharging pin
JPH0935890A (en)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static electricity
JPH09232068A (en) Negative ion generator
KR100206774B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JP2004349145A (en) Ion generator and electric apparatus with ion generator
KR0184228B1 (en) Deodorizing apparatus of electrostatic collector
JP2536134B2 (en) Electrostatic air purifier
KR920009015Y1 (en) Dust collector
CN114728293B (en) Particle eliminator
CN219850132U (en) High-voltage electrostatic dust-removing sterilizing air purifying device
WO2016120416A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JPS6323090Y2 (en)
KR19990001066A (en) Deodorizing combined air purifier
CN215585946U (en) Ionic wind driven catalytic purification device
JPH05299191A (en) Dc eliminator
RU18846U1 (en) OZON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