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8370U - 컴퓨터의 모니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컴퓨터의 모니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8370U
KR19980018370U KR2019960031775U KR19960031775U KR19980018370U KR 19980018370 U KR19980018370 U KR 19980018370U KR 2019960031775 U KR2019960031775 U KR 2019960031775U KR 19960031775 U KR19960031775 U KR 19960031775U KR 19980018370 U KR19980018370 U KR 199800183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plate
desk
monitor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17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영
Original Assignee
엄길용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길용,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엄길용
Priority to KR20199600317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8370U/ko
Publication of KR199800183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370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07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under-desk displays, e.g. displays being viewable through a transparent working surface of the table or des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07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under-desk displays, e.g. displays being viewable through a transparent working surface of the table or desk
    • A47B2021/007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under-desk displays, e.g. displays being viewable through a transparent working surface of the table or desk the screen being incorporated in the desk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상에 거치되는 데스크탑 컴퓨터에 적용되기 적합한 신규의 모니터 시스템을 개시한다.
책상의 상판 면적 점유에 의한 서류작업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본 고안의 모니터 시스템은 상판에 대해 힌지 개폐되는 지지판에 평판모니터를 부착하고, 특히 캠판에 의해 지지판을 사용자에게 끌어당기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컴퓨터의 모니터 시스템
제1도는 일반적인 컴퓨터가 설치된 책상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모니터 시스템이 설치된 책상의 사시도,
제3도는 그 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분해사시도,
제5도 (a) 내지 (d)는 그 작동상태를 보이는 순차적 측단면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T : 책상
P : 상판(床板)
1 : 지지판
2 : 인입부
4, 4a : 힌지축 (hinge shaft)
4b : 안내축
5 : 캠판(cam plate)
5a, 5b : 제1 및 제2캠홈
본 고안은 컴퓨터의 사용환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니터(monitor)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입출력기기와 중앙처리장치를 기본 구성요소로 하는 컴퓨터는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데스크탑(desktop) 컴퓨터를 예로 살펴보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F)와 모니터(M), 그리고 키보드(keyboard ; K)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컴퓨터는 적절한 테이블(table)상에 배치되는데, 컴퓨터 작업을 주로 하는 사용자가 아닌 경우에는 컴퓨터가 책상(T)의 상당한 면적을 차지하게 되므로 다른 서류 작업 등의 진행이 곤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컴퓨터를 별도의 전용테이블상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비용과 점유공간이 필요하게 되며, 사용자의 진입 등 동선도 곤란하게 된다.
한편 최근의 사무용 책상에는 키보드(K) 수납용의 설합이 구비되기도 하고 본체(F)는 타워(tower)형으로 구성하여 책상(T)의 측방으로 내려놓을 수도 있다.
그러나 모니터(M)는 책상(T)의 상판(床板 ; P)위에 그대로 거치될 수 밖에 없는 바, 특히 최근의 멀터미디어화에 수반하여 17 이상의 대형 모니터가 주종을 이루게 됨에 따라 모니터(M)는 수십 ㎝ 사방의 크기를 가져 상판(P) 면적의 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해 버리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 책상(T)의 상판(P)을 파내고 모니터(M)를 그 내부에 설치하고자 하는 구성도 제안된 바 있으나, 이 경우 모니터(M)의 관찰이 불편하고 상판(P)의 모니터(M) 부분은 사용이 불가능하며, 모니터(M)가 사용자의 다리와 간섭될 뿐아니라 모니터(M)에서 발생된 열과 전자파가 사용자의 다리에 그대로 전달되는 등의 문제가 수반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를 감안하여 책상으로서의 사용에 지장없이 책상에 모니터를 설치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고안 시스템은 책상의 상판일부에 인입부를 형성하여, 이 인입부의 크기에 대응하며 상판에 대해 힌지(hinge) 개폐되는 지지판을 설치하고, 이 지지판의 배면에 평판 모니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면 지지판을 닫은 상태에서는 지지판이 상판의 일부가 되므로 일반 책상과 같이 사용할 수 있으며 지지판의 힌지 개방으로 평판모니터가 관찰에 적절하게 전방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과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제2도 및 제3도에서, 책상(T)은 예를 들어 상판(P)의 양측에 설합박스(B)를 각각 구비한 양수(兩手)형 등 상판(P)의 크기가 작은 책상에 더욱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컴퓨터의 본체(F)는 상판(P) 사용의 효율을 위해 타워형으로 구성되어 일측의 설합박스(B)옆에 거치되고, 키보드(K) 역시 설합형식의 지지대(3) 상에 설치되어 상판(P) 하부로 인입 및 인출된다.
본 고안 특징에 따라 상판(P)의 일부에는 예를 들어 도시된 ㄷ자형이나 ㅁ 자형으로 인입부(2)가 형성되고, 이 인입부(2)에 들어 맞는 크기의 지지판(1)이 힌지축(4)으로 결합되어 상판(P)에 대해 힌지개폐된다.
지지판(1)의 하면에는 LCD나 PDP 등 평판표시소자로 구성된 평판모니터(M')가 부착되어 지지판(1)의 개방시 이 평판모니터(M')가 사용자의 전방에서 관찰될 수 있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지지판(1)을 상판(P)의 인입부(2)에 들어맞도록 밀폐시킨 상태에서는 지지판(1)이 상판(P)의 일부가 되어 사용자는 책상(T)의 전 상판(P) 면적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지지판(1)을 개방시키면 평판모니터(M')가 회전인출하므로 사용자는 이를 전방으로 관찰하며 용이하게 컴퓨터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지지판(1)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노브(knob)나 홈 또는 구멍 등을 별도로 도시하지 않는 바, 이들을 형성하면 책상(T) 자체의 목적으로 사용할 때 불편을 줄 우려가 있기 때문이며, 개방시에는 지지판(1)의 후단을 눌러 그 선단을 상판(P)에서 약간 들어 올린 뒤 그 틈새에 손을 넣어 개방하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은 평판모니터(M')의 크기에 따라 인입부(2)의 상당부분이 빈 공간으로 남게 되므로 이 공간부로 필기구나 서류 등이 빠질 우려가 있을 뿐아니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나 라이트펜(light pen) 등의 입력수단을 사용하는 경우 화면과 사용자의 거리가 상당히 멀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제4도의 실시예에서는 인입부(2)의 양측면에 캠판(5)을 설치하여 이 캠판(5)이 지지판(1)의 개폐를 안내하도록 함으로써 개방시 평판모니터(M')의 화면이 사용자에게 바로 근접되도록 하고 있다.
제4도에서, 인입부(2)의 양측에 설치되는 캠판(5)은 지지판(1)의 측면을 따라 그 길이방향과 수평연장되는 제1캠홀(5a)과, 그 하부에서 곡선으로 연장되는 제2캠홈(5b)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는 지지판(1)의 양측면에는 제1캠홀(5a)에 안내되는 힌지축(4a)과 제2캠홈(5b)에 안내되는 안내축(4b)이 구비되는데, 바람직하기로 양 축(4a, 4b)은 원활한 유동을 위해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4c)의 외주에 회전롤러(4d)가 설치된 구성을 가진다.
여기서 캠판(5)의 제1캠홀(5a)과 제2캠홈(5b)간의 관계는 시점(始點)에서 힌지축(4a)과 안내축(4b)이 상판(P)과 평행하게 수평이며 종점(終點), 즉 인입부(2)의 전단에서 지지판(1)이 사용에 적절한 경사각을 유지하도록 하며, 시점과 종점 사이에서 두 캠홈(5a, 5b)간의 상대거리는 항상 힌지축(4a)과 안내축(4b)간의 거리가 된다.
즉 캠판(5)의 두 캠홈(5a, 5b)은 수평으로 위치하던 지지판(1)을 개방시 인입부(2)의 전단으로 끌어당겨 사용에 적절한 각도로 세워주는 역할을 하는것이다.
이와 같은 작용은 제5도를 통해 살펴보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제5도 (a)에서 지지판(1)이 상판(P)과 평행할 때는 힌지축(4a)과 안내축(4b)은 각각 제1 및 제2 캠홈(5a, 5b)의 시점에 위치한다.
사용자가 지지판(1)의 후단을 눌러 개방을 개시하면, 안내축(4b)은 (b)와 같이 제2 캠홈(5b)의 곡선을 따라 도면의 우하단으로 이동하고 이때 두 축(4a, 4b)의 상대거리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힌지축(4a)은 제1캠홀(5a)을 따라 도면의 우측으로 이동한다.
지지판(1)이 계속 개방되면 (c)와 같이 두 축(4a, 4b)는 제1 및 제2 캠홈(5a, 5b)을 따라 계속 도면의 우측으로 이동되고 지지판(1)의 개방각은 더욱 커지게 된다.
(d)와 같이 지지판(1)의 두 축(4a, 4b)이 각 캠홈(5a, 5b)의 종점에 도달하면 지지판(1)은 사용에 가장 적절한 각도로 인입부(2)의 전단에 밀착한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책상으로서의 사용에 불편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모니터를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는 서류작업과 컴퓨터작업을 필요에 따라 효율적으로 병행할 수 있는 매우 큰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본체와 모니터, 그리고 키보드를 포함하는 컴퓨터를 책상에 설치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책상(T)의 상판(P)의 일부에 인입부(2)를 형성하고,
    상기 인입부(2)에 대응하는 크기의 지지판(1)을 상기 상판(P)에 대해 힌지 개폐되도록 상기 인입부(2)에 설치하며,
    상기 지지판(1)의 배면에 평판모니터(M')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의 모니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2)의 양 측면에 수평연장되는 제1캠홀(5a)과 그 하부에 곡선연장되는 제2캠홈(5b)를 가지는 캠판(5)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지지판(1)의 양측에 상기 캠판(5)의 각 캠홈(5a, 5b)에 안내되는 힌지축(4a)과 안내축(4b)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의 모니터 시스템.
KR2019960031775U 1996-09-30 1996-09-30 컴퓨터의 모니터 시스템 KR1998001837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1775U KR19980018370U (ko) 1996-09-30 1996-09-30 컴퓨터의 모니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1775U KR19980018370U (ko) 1996-09-30 1996-09-30 컴퓨터의 모니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370U true KR19980018370U (ko) 1998-07-06

Family

ID=53977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1775U KR19980018370U (ko) 1996-09-30 1996-09-30 컴퓨터의 모니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837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8862A (en) Computer configuration which allows conversion between multiple operative positions
CN2745099Y (zh) 具有滑动防偏倾设计的电子设备
KR100256971B1 (ko) 노트북 퍼스날컴퓨터의 액정표시모듈 고정방법 및 장치
TW393597B (en) Portable computer having articulated display
US6064373A (en) Desktop computer with adjustable flat panel screen
US20010054986A1 (en) Pen-based split computer display
US7447007B2 (en) Portable computer
US5341929A (en) Keyboard tray assembly
KR20220088919A (ko) 전자기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060039104A1 (en) Notebook computer with adjustable monitor
WO2000050979A1 (en) Supplemental touch screen lcd panel
US20020011032A1 (en) Computer-mountable wall assembly
KR19980018370U (ko) 컴퓨터의 모니터 시스템
CN107368148A (zh) 支撑机构及可携式电子装置
US4882471A (en) Electronic equipment using a cover
EP0836896A3 (de) Computersteuerbare Schwenkbiegemaschine
CN106886248A (zh) 携带式电子装置
KR100427191B1 (ko)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US20220397933A1 (en) Computing device mechanisms
JPH0784677A (ja) 座標入力機能付き携帯用コンピュータ
KR200390085Y1 (ko) 컴퓨터의 키보드 수납장치
US7240444B1 (en) Computer typing aid
CN210843146U (zh) 屏幕翻转结构以及超声诊断设备
CN216901498U (zh) 一体式平板电脑
CN201122271Y (zh) 带屏幕的键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