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8316U - 배기가이드를 갖는 전자렌지 - Google Patents

배기가이드를 갖는 전자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8316U
KR19980018316U KR2019960031717U KR19960031717U KR19980018316U KR 19980018316 U KR19980018316 U KR 19980018316U KR 2019960031717 U KR2019960031717 U KR 2019960031717U KR 19960031717 U KR19960031717 U KR 19960031717U KR 19980018316 U KR19980018316 U KR 199800183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cooking chamber
main body
air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17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철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600317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8316U/ko
Publication of KR199800183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316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6Aspects relating to the exteri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e.g. metal casing, power cor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리실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면을 덮는 외부케이싱을 가지고, 상기 조리실내의 공기를 상기 조리실의 측벽에 형성된 배기공을 통해 상기 조리실과 상기 외부케이싱의 공간을 향해 배출시키며, 상기 배출공기를, 상기 본체에 외부와 연통하도록 마련된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전자렌지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배기공으로 부터의 배출공기가 상기 배기공의 방향과 다른방향을 향하여 유출되도록 안내하는 배기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이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공기의 온도가 저하되어, 환경오염 및 사용자의 욕구불만의 문제가 해결된다.

Description

배기가이드를 갖는 전자렌지
본 고안은 전자렌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리실내로 부터 배출되는 배출공기의 유로를 안내하는 배기가이드를 갖는 전자렌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렌지는, 음식물을 수용하여 조리하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본체와, 본체의 외면을 덮는 외부케이싱을 가지고 있다. 조리실의 측벽에는, 조리실내의 공기를 본체와 외부케이싱의 공간사이로 배출시키는 배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배기공을 통하여, 음식물의 조리시 발생하는 고온다습한 공기가 유출되게 된다.
도 3은 종래의 전자렌지의 측단면도이다. 종래의 전자렌지는, 조리실의 측벽(33)에 배기공(35)이 형성되어 있고, 배면판(37)과 저면판(39)에 각각 외부와 연통하는 배출공(38, 4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기공(35)의 전면에는, 배기공(35)을 통해 유출되는 배출공기를 배면판(37) 및 저면판(39)에 각각 형성된 배출공(38, 40)으로 안내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가이드(41)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조리실내의 고온다습한 공기는,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전자렌지에서는, 본체의 배면판에 형성된 배출공에 배기가이드의 유출구가 대면하고 있어서, 조리실내로 부터 배기공을 통하여 유출되는 공기가 그대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배출공기는, 약 120℃ 정도의 비교적 고온의 공기이기 때문에, 배기기준에 위배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환경공해 및 사용자의 욕구불만의 문제를 야기시킬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조리실내의 배출공기의 온도를 저하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전자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렌지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전자렌지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7:메인프레임9:배면판
10:저면판15:배기수용부
17a, 17b : 배출공21:배기가이드
23:배기공25:유출구
상기 목적은, 조리실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면을 덮는 외부케이싱을 가지고, 상기 조리실내의 공기를 상기 조리실의 측벽에 형성된 배기공을 통해 상기 조리실과 상기 외부케이싱의 공간을 향해 배출시키며, 상기 배출공기를, 상기 본체에 외부와 연통하도록 마련된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기 배기공으로 부터의 배출공기가 상기 배기공의 방향과 다른방향을 향하여 유출되도록 안내하는 배기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공은, 상기 본체의 배면판 및 저면판에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배기가이드에는 거의 전방을 향하여 개구된 유출구를 형성하여, 배기공으로 부터의 배출공기를, 본체와 외부케이싱 사이의 공간에서 우회시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배기가이드는, 거의 사각통형상을 가지도록 간단히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렌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전자렌지는, 음식물이 수용되어 조리되는 조리실 및 조리실내에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는 기기부품이 내장된 기기부품실이 좌우로 구획되어 있는 본체(1)와, 본체(1)의 외면을 일체로 덮는 외부케이싱(19)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1)의 전면에는, 조리실의 개구를 회동개폐하는 도어(3)와, 기기부품실의 전면을 차단하는 기기조작용 조작패널(5)이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체(1)는, 거의 ㄷ자 형상의 메인프레임(7)과, 메인프레임(7)의 하부개구에 부착되며 상부에 음식물조리용 회전트레이가 안치되는 도시않은 저부판 및, 메인프레임(7)의 배면에 설치되는 배면판(9)으로 조리실을 형성하며, 저부판의 하부에는, 회전트레이를 회전시키는 역시 도시않은 구동모터가 고정설치된 저면판(10)이 더 부착되어 있다. 저면판(10)과 배면판(9)은, 각각 메인프레임(7)의 길이보다 보다 크게 제작되며,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면상 좌측의 각 연장부(11, 13)에는, 각각 배출공(17a, 17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연장부(11, 13)에 의하여, 외부케이싱(19)과 본체(1)의 사이에는, 소정 면적을 가지는 배기수용부(15)가 형성되게 된다.
한편, 메인프레임(7)의 양 측벽 중, 기기부품실에 인접한 측벽에는, 외부로 부터 기기부품실내로 흡인되어 기기부품을 냉각시킨 후, 조리실내로 흡입되는 흡입공기를 위한 다수의 흡기공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타측의 측벽(8)에는, 본체(1)와 외부케이싱(19) 사이에 마련된 배기수용부(15)로 배출공기를 배출시키는 역시 다수의 배기공(23)이 형성되어 있다. 조리실내의 고온다습한 공기는 배기공(23)을 통하여 배기수용부내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배기수용부내의 배기공(23)이 형성된 본체(1)의 측벽(8)에는, 거의 사각통형상의 배기가이드(25)가 설치되어 있다. 배기가이드(25)는, 측벽(8)의 상부영역에서 일체로 체결되는 스크류(18)에 의하여 배기공(23)의 전면에 고정부착되어 있으며, 배기공(23)에 연통하도록 유입공을 마련하고, 이에 대응하는 유출구(25)를 전방을 향하여 마련하고 있다. 이에 의해, 조리실내로 부터의 배출공기는, 배기가이드(25)에 전방을 향해 마련된 유출구(25)를 통해 배기수용부내로 배출되게 된다. 배기수용부내의 공기는, 이후 배면판(9) 및 저면판(39)에 각각 마련된 배출공(17a, 17b)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전자렌지의 작동이 개시되면, 조리실내에 수용된 음식물이 마이크로파에 의하여 조리되게 된다. 이 때, 조리되는 음식물로 부터는, 다량의 습도를 갖는 고온의 공기가 발생하게 되며, 이 고온다습한 공기는, 조리실의 측벽(8)에 마련된 배기공(23)을 통하여, 배기수용부내에 설치되어 있는 배기가이드(25)로 공급되게 된다.
이렇게 배기가이드(25)로 유입된 고온의 배출공기는, 전방을 향하여 마련된 유출구(25)를 통하여 배기수용부내로 배출되게 되고, 배기수용부(15)에 수용된 공기는, 배기수용부(15)를 형성하는 각 벽면(8, 9, 10) 등에 접촉 또는 반사되어, 소정의 온도가 저하되어, 배면판(9) 및 저면판(10)에 형성된 배출공(17a, 17b)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렌지는,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공기의 온도가 저하되어, 환경오염 및 사용자의 욕구불만의 문제가 해결된다.

Claims (3)

  1. 조리실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면을 덮는 외부케이싱을 가지고, 상기 조리실내의 공기를 상기 조리실의 측벽에 형성된 배기공을 통해 상기 조리실과 상기 외부케이싱의 공간을 향해 배출시키며, 상기 배출공기를, 상기 본체에 외부와 연통하도록 마련된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기 배기공으로 부터의 배출공기가 상기 배기공의 방향과 다른방향을 향하여 유출되도록 안내하는 배기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은, 상기 본체의 배면판 및 저면판에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배기가이드에는 거의 전방을 향하여 개구된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이드는, 거의 사각통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KR2019960031717U 1996-09-25 1996-09-25 배기가이드를 갖는 전자렌지 KR1998001831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1717U KR19980018316U (ko) 1996-09-25 1996-09-25 배기가이드를 갖는 전자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1717U KR19980018316U (ko) 1996-09-25 1996-09-25 배기가이드를 갖는 전자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316U true KR19980018316U (ko) 1998-07-06

Family

ID=41129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1717U KR19980018316U (ko) 1996-09-25 1996-09-25 배기가이드를 갖는 전자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831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38354A1 (en) * 2003-10-16 2005-04-28 Lg Electronics, Inc. Air flow passage of microwave ov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38354A1 (en) * 2003-10-16 2005-04-28 Lg Electronics, Inc. Air flow passage of microwave oven
US7692124B2 (en) 2003-10-16 2010-04-06 Lg Electronics Inc. Air flow passage of microwave ov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55515B1 (en) Microwave Oven with Humidity Sensor
RU2139644C1 (ru) Микроволновая печь
US5726429A (en) Protective cover for a convection microwave oven
KR20030092149A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KR19980018316U (ko) 배기가이드를 갖는 전자렌지
KR19990062782A (ko) 가스 배출용 가이드부를 갖는 전자렌지
KR100560206B1 (ko) 전자레인지
KR20050030374A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100286026B1 (ko) 전자렌지
KR100284683B1 (ko) 벽부착형 전자렌지
KR19980058169U (ko) 후드겸용 전자렌지
KR100609850B1 (ko) 전자렌지
KR100487310B1 (ko) 컨벡션 가스오븐레인지의 조리실 배기장치
KR100373091B1 (ko) 전자렌지
KR980008922U (ko) 전자레인지
KR100210063B1 (ko) 전자렌지
KR20030057833A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냉각구조
KR200154065Y1 (ko) 전자렌지
KR100635661B1 (ko) 전자레인지 케비티의 하부공기유로
KR100197705B1 (ko) 전자렌지의 온도감지기 커버장치
KR100518442B1 (ko) 전자레인지의 에어안내구조
KR20020041865A (ko)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흡기구 커버
KR101012354B1 (ko) 전자 레인지
KR20040061355A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19990017495A (ko) 전자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19990712

Effective date: 2000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