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7225U - 면봉보관함 - Google Patents

면봉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7225U
KR19980017225U KR2019960030596U KR19960030596U KR19980017225U KR 19980017225 U KR19980017225 U KR 19980017225U KR 2019960030596 U KR2019960030596 U KR 2019960030596U KR 19960030596 U KR19960030596 U KR 19960030596U KR 19980017225 U KR19980017225 U KR 199800172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tton swab
disinfectant
storage box
swab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05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29838Y1 (ko
Inventor
전귀성
Original Assignee
전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귀성 filed Critical 전귀성
Priority to KR20199600305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838Y1/ko
Publication of KR199800172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72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8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8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5/00Auxiliary appliances for wound dressings; Dispensing containers for dressings or band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귀지를 파낼때 안전하게 파낼수 있으면서 이를 효과적으로 파낼수 있도록 하고, 또한 별도로 판매되는 면봉과 소독약을 일체로 수납하여 면봉의 사용 및 보관을 간편하게 한 면봉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면봉보관함은 면봉과 소독약을 각각 수납할수 있도록 된 수납함체(10)와, 상기 수납함체(10)를 밀폐보관할수 있도록 된 케이스(20)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수납함체(10)는 몸체의 상면에 면봉(30)과 소독약(40)이 각각 수납되도록하는 면봉수납부(12)와 소독약수납부(14)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소독약수납부(14)의 상부 테두리 양측에는 수납되어진 소독약(40)을 효과적으로 인출시킬수 있도록 측면요홈(16)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수납함체(10)를 밀폐시키기 위한 케이스(20)는 몸체의 중앙이 공간을 이루어 그 양측에 마련된 삽입부(22)를 통하여 수납함체(10)가 끼워지도록 하고, 그 상면에는 상기 수납함체(10)의 면봉수납부(12)에 수납된 면봉(30)의 수납량과 소독약(40)의 양을 케이스(20)을 열어보지 않고도 외부에서 쉽게 인지할수 있도록 투시부(2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면봉보관함
본 고안은 면봉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상세하게는 하나의 면봉보관함내에 면봉과 소독약을 각각 수납할수 있도록 하여 면봉의 사용효율을 극대화 시킬수 있도록 한 면봉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귀속에 있는 귀지(귀밥)나 기타 이물질을 끄집어낼 때 사용되는 귀휘비게는 통상적으로 그 재질이 단단한 것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사용할 때 매우조심해야 할뿐더러 사용할 때 자칫 부주의 하다보면 귀속에 상처를 남기게 되어 귓병을 일으키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귀속에 있는 귀지를 파낼 때 면봉이 널리 사용되어지는데 이는 상기 면봉의 양단에는 부드러운 솜이 부착되어있어 사용할 때 일반 귀휘비게 보다 위험성이 없는 것이며 사용후에는 귀속에 상처를 남기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면봉은 그 양단의 면취부가 부드러운 솜으로 구성되어 사용상의 안전성은 있으나 효율적으로 귀지를 제거시켜주는 기능성면에서는 불합리한 단점이 있었는데 이는 상기 면봉의 면취부에 부착되는 솜이 건조한 것이기 때문에 귀속에 있는 귀지를 파낼 때 상기 면봉의 면취부에 귀지가 달라붙지를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대개 면봉을 귀속에 삽입시킨후 이를 회전시켜 귀속에 달라붙은 귀지를 탈리시킨후 탈리되어 분해되어진 귀지가루를 손가락을 이용하여 배출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같이 면봉을 통하여 떨어져 나온 귀지를 손가락으로 후벼파다보면 면봉에 의해 잘게부셔진 귀지가 손가락에 뭍어나오는 과정에서 바람에 의해 날리게 되어 옷으로 떨어지게 되어 위생적으로도 좋지 않으며 또한, 귀를 후벼판 손가락이 지저분해 지므로 이를 물로 세척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면봉의 사용용도는 상기와 같이 귀지를 제거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외에도 상처를 소독하는 용도와, 코속을 소독하거나 코 속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경우와 같이 신체의 사람손길이 미치기 어려운 곳에 널리 사용되는데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는 상기 면봉과 소독약은 별도로 구입되고 또한, 이들은 별도로 보관하여 사용되기 때문에 면봉을 급하게 사용할 필요가 있을 때 면봉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사용을 못하게 된다던지 또는, 신체의 상처부위를 급히 소독할 경우가 있을때 면봉이 없어서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문제점을 해소 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귀지를 파낼때 안전하게 파낼수 있으면서 이를 효과적으로 파낼수 있도록 하고 또한, 별도로 판매되는 면봉과 소독약을 일체로 수납하여 면봉의 사용효율을 극대화 시킬수 있도록 한 면봉보관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면봉보관함은 면봉과 소독약을 각각 일체로 수납할수 있도록 된 수납함체와, 상기 수납함체를 밀폐 보관할수 있도록 된 케이스로 구성 한것에 그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면봉보관함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면봉보관함의 결합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면봉보관함10:수납함체
12:면봉수납부14:소독약수납부
16:측면요홈20:케이스
22:삽입부24:투시부
30:면봉32:면취부
40:소독약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면봉수납함의 구조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면봉보관함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면봉보관함의 결합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면봉보관함(A)은 면봉과 소독약을 각각 수납할수 있도록 된 수납함체(10)와, 상기 수납함체(10)를 밀폐보관할수 있도록된 케이스(20)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수납함체(10)는 몸체의 상면에 면봉수납부(12)와 소독약수납부(14)가 각각 형성되어 이들 면봉수납부(12)와 소독약수납부(14)내에 면봉(30)과 소독약(40)이 각각 수납되는 것이며 상기 소독약수납부(14)의 입구 양측에는 수납되어진 소독약을 효과적으로 인출시킬수 있도록 측면요홈(16)이 각각 형성되어진 구조이다.
상기 수납함체(10)를 밀폐시키기 위한 케이스(20)는 몸체의 중앙이 공간을 이루어 수납함체(10)가 수용되는 것이며 그 양측에 마련된 삽입부(22)를 통하여 수납함체(10)가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20)의 상면에는 상기 수납함체(10)의 면봉수납부(12)에 수납된 명봉(30)의 수납량을 케이스(20)를 열어보지 않고도 외부에서 쉽게 인지할수 있도록 투시부(24)가 구비된 구조이다.
상기 수납함체(10)와 케이스(20)는 합성수지로 제작하여 형태성을 유지할수 있도록 하고 상기 소독약(40)의 용기는 투명체로 하여 상기 투시부(24)를 통하여 소독약의 양을 인지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고안은 수납함체(10)내의 면봉수납부(12)와 소독약수납부(14)내에 면봉(30)과 소독약(40)이 각각 수납되는 것이며 상기 면봉(30)을 사용할 때에 우선적으로 면봉수납부(12)내에서 면봉(30)을 인출시킨후 소독약수납부(14)의 측면요홈(16)을 통하여 소독약수납부(14)내에 수납된 소독약(40)을 간편하게 인출시켜 면봉을(30)의 면취부(32)에 소독액을 뭍혀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면봉(30)의 면취부(32)에 소독약을 뭍힌 상태에서 예컨데, 귀지를 파낼경우에는 건조된 상태로 귀속에 붙어있는 귀지가 면봉(30)의 면취부(32)에 잘달라붙게 되어 효과적으로 귀지를 배출시킬수가 있는데, 이는 면봉(30)의 면취부(32)는 건조한 솜으로 된 것이어서 이에 소독약이 뭍혀지게 되면 면봉(30)의 면취부(32)에 소독약이 흡수되면서 면취부(32)가 촉촉 하게되어 건조한 상태의 귀지가 상기 면취부(32)에 쉽게 달라붙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귀지를 파내는 과정에서 면봉(30)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아도 귀지를 용이하게 배출시킬수 있어 귀지를 파내다가 귀속을 다치는 일이 발생하지가 않는 것이며, 또한 귀지를 파내는 과정에서 면봉(30)의 면취부(32)에 뭍은 소독약이 귀속에 자연스럽게 뭍게 되므로 귀속을 소독시킬수 있게 된다.
또한, 신체의 코속이나 상처부위를 소독할 경우에도 본 고안은 면봉(30)과 소독약(40)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어 사용하기가 매우 편리하고 또한, 사용후에도 보관이 용이한 것이며, 특히. 케이스(20)의 상면에는 투시부(24)가 구비되어 상기 투시부(24)를 통하여 외부에서 수납함체(10)내에 수용된 면봉(30)과 소독약(40)의 양을 쉽게 인지할수 있어 이들을 즉시 보충시켜 사용할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면봉(30)이 소정의 용도로 사용되어진 후에는 케이스(20)내에 수납함체(10)를 끼워넣게되면 수납함체(10)가 밀폐되는 것이며 이렇게 외부와 밀폐되어진 면봉(30)은 그 면취부(32)의 표면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뭍지 않게 되므로 면봉(30)을 사용할 때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면봉과 소독약을 각각 수납할수 있도록 된 수납함체(10)와, 상기 수납함체(10)를 밀폐보관할수 있도록 된 케이스(20)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수납함체(10)는 몸체의 상면에 면봉(30)과 소독약(40)이 각각 수납되도록 하는 면봉수납부(12)와 소독약수납부(14)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소독약수납부(14)의 상부 테두리 양측에는 수납되어진 소독약(40)을 효과적으로 인출시킬수 있도록 하는 측면요홈(16)이 각각 형성되어 면봉의 사용시 소독약을 면봉의 면취부에 뭍혀 사용할수 있어 귀지를 효과적으로 파낼수가 있으면서 귀속을 소독할 수 있고, 또한 소독약과 면봉이 하나의 케이스내에 일체로 수납됨으로서 사용 및 보관이 편리한 것이며, 케이스의 상부에 투시부가 구비되어 수납함체를 열어보지 않고도 수납함체에 수납되어 있는 면봉과 소독약의 잔류량을 외부에서 쉽게 인지할수 있어 이들을 즉시 재보충하여 거의 반영구적으로 사용할수 있는 것임.

Claims (1)

  1. 면봉과 소독약을 각각 수납할수 있도록 된 수납함체(10)와, 상기 수납함체(10)를 밀폐보관할수 있도록 된 케이스(20)로 구성되는 면봉보관함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체(10)는 몸체의 상면에 면봉(30)과 소독약(40)이 각각 수납되도록하는 면봉수납부(12)와 소독약수납부(14)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소독약수납부(14)의 상부 테두리 양측에는 수납되어진 소독약(40)을 효과적으로 인출시킬수 있도록 측면요홈(16)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수납함체(10)를 밀폐시키기 위한 케이스(20)는 몸체의 중앙이 공간을 이루어 그 양측에 마련된 삽입부(22)를 통하여 수납함체(10)가 끼워지도록 하고, 그 상면에는 상기 수납함체(10)의 면봉수납부(12)에 수납된 면봉(30)의 수납량과 소독약(40)의 양을 케이스(20)를 열어보지 않고도 외부에서 쉽게 인지할수 있도록 투시부(24)가 구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봉보관함.
KR2019960030596U 1996-09-23 1996-09-23 면봉보관함 KR01298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596U KR0129838Y1 (ko) 1996-09-23 1996-09-23 면봉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596U KR0129838Y1 (ko) 1996-09-23 1996-09-23 면봉보관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225U true KR19980017225U (ko) 1998-07-06
KR0129838Y1 KR0129838Y1 (ko) 1998-12-15

Family

ID=19467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0596U KR0129838Y1 (ko) 1996-09-23 1996-09-23 면봉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8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01151B2 (en) 2013-03-15 2019-05-28 Otis Elevator Company Traction sheave for elevator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472B1 (ko) * 2020-09-17 2022-11-23 이혁주 마스크 살균 보관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01151B2 (en) 2013-03-15 2019-05-28 Otis Elevator Company Traction sheave for elevat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29838Y1 (ko) 1998-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19761T3 (es) Cepillo de limpieza microbiana
ES2927650T3 (es) Dispositivo de desinfección para conectores
US4446970A (en) Diabetic set
US5261531A (en) Feminine hygiene package
ES2753974T3 (es) Método de almacenamiento de instrumentos médicos
US6350931B1 (en) Tampon assembly with detachable cleansing towelette packet
KR101901532B1 (ko) 착용이 용이하고 위생적인 사후처리가 가능한 실리콘 생리 컵
KR0129838Y1 (ko) 면봉보관함
US20150040943A1 (en) Scrub for inhibiting catheter 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CN215156773U (zh) 一种用于皮肤清洁的抑菌除汗湿巾
CN210697579U (zh) 一种内窥镜无菌保护套
JP3566557B2 (ja) 水入り小袋とオキシドール含有脱脂綿付き救急絆創膏セット
KR20180074787A (ko) 물티슈 용기
JP4054442B2 (ja) ドライアイ眼鏡用加湿具
KR200269513Y1 (ko) 수지침 보관함
CN213385667U (zh) 用于消毒件的包装机构
CN216855304U (zh) 一种一次性使用体温计消毒储存袋
KR102368463B1 (ko) 항균 물티슈
CN216444164U (zh) 一种用于眼部湿巾的可重复利用包装盒
CN211339371U (zh) 一种无菌隔离垫
KR20220069226A (ko) 마스크 보관함
KR200186549Y1 (ko) 포장지에 밀봉하여 멸균한 소독면봉
KR910006112Y1 (ko) 변기 시트 케이스
FR2781145A1 (fr) Ensemble kit destine a pratiquer une injection de medicament et a collecter les elements du kit apres leur utilisation
KR20100009404U (ko) 양쪽 분리사용이 가능한 면봉 보관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