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7158U - 자동차의 도어힌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힌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7158U
KR19980017158U KR2019960030526U KR19960030526U KR19980017158U KR 19980017158 U KR19980017158 U KR 19980017158U KR 2019960030526 U KR2019960030526 U KR 2019960030526U KR 19960030526 U KR19960030526 U KR 19960030526U KR 19980017158 U KR19980017158 U KR 1998001715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door hinge
vehicle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05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호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305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7158U/ko
Publication of KR199800171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7158U/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05D3/04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engaging three or more parts, e.g. sleeves, movable relatively to one another for connecting two or more wings to another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07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8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자동차의 도어를 열거나 닫을때 사람에 의해서 도어에 가해지는 힘이 초기에는 크고 이후 점점 감소됨으로서 도어 힌지의 모양을 아래로 블록하게 함으로서 초기에는 도어 힌지에 큰 힘이 필요하나 점점 필요한 힘을 작게함으로서 도어의 개폐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힌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도어(10)에 취부되는 도어 힌지편(20)과 상기 도어 힌지편(20)의 내부에 관통한 브이자 형상의 힌지 가이드홈(21)이 구성되며 상기 힌지 가이드홈에는 차체(30)에 구성되는 베어링(40)이 삽입되어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힌지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힌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도어를 열거나 닫을때 사람에 의해서 도어에 가해지는 힘이 초기에는 크고 이후 점점 감소됨으로서 도어 힌지의 모양을 아래로 블록하게 함으로서 초기에는 도어 힌지에 큰 힘이 필요하나 점점 필요한 힘을 작게함으로서 도어의 개폐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힌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도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자동차(1)의 양측에 도어(2)가 구비되어 있는바, 상기 도어(2)에는 도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어(2)의 개폐에 중요한 역활을 하는 도어힌지(3)가 구성되며 상기 도어힌지(3)는 힌지편(4)에 의해서 차체(5)에 취부되는 고정용 경첩(6)과 연결되어 취부됨으로서 도어 유지의 기능도 같이 겸비한 구조를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도어힌지(3)는 도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어(2)에 구성되는 도어힌지(3)와 차체(5)에 구성되는 경첩(6)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 힌지편(4)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도어(2)를 회동시키는 힌지편(4)은 고정형으로 구성되어 있음으로서 상대적인 회전운동과 도어(2)를 지지하는 기능만으로 구성되어 있음으로서 자동차의 도어(2)를 열고 닫을때 도어에 가해지는 힘이 초기와 완전히 개폐시 똑같은 힘을 전달받음으로서 장기간 사용시 도어힌지(3)가 원활하게 개폐되지 않음으로서 도어를 닫을때 무리하게 힘을 가하여 닫어야 함으로 도어힌지(3)가 쉽게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도어를 닫을때 적은힘으로도 도어가 완전히 닫히게 함으로서 노약자나 신체가 불편한 사람이나 어린이들도 쉽게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베어링에 의해서 도어가 개폐되도록 구성하여 사람에 의해서 도어에 가해지는 힘의 분포에 부합되게 설계하여 도어의 개폐를 부드럽게 할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힌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사시도
도2는 자동차의 도어에 힌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도2의 a부분 확대도
도4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5의 (a), (b), (c)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어20 : 도어 힌지편
21 : 힌지 가이드홈30 : 차체
40 : 베어링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구성은 도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자동차의 도어(10)에 취부되는 도어 힌지편(20)과 상기 도어 힌지편(20)의 내부에 관통한 브이자 형상의 힌지 가이드홈(21)이 구성되며 상기 힌지 가이드홈에는 차체(30)에 구성되는 베어링(40)이 삽입되어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자동차에 탑승하려는 승원이나 승객이 자동차의 도어(10)에 문을 개폐하게 되면은 도5의 (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어(10)의 일측에 구성되는 도어 힌지편(20)의 내부에 관통된 브이자 형상의 힌지 가이드홈(21)에 차체(30)에 취부되는 베어링(40)이 삽입되어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도5의 (a)에서 (b)로 전환 되기까지는 도어(10)가 위로 움직이는 힘이 작용되어야 하므로 소요되는 힘이 크다.
또한, 도5의 (b)에서 (c)로 전환 되기까지는 도어(10)가 아래로 움직이는 힘이 작용되므로 적은 힘으로도 도어가 쉽게 움직이는 것이다.
여기서 반대로 열려있는 도어를 닫을때에는 마찬가지로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반대로 작동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도어(10)를 닫을때 적은 힘으로도 도어(10)가 완전히 닫히게 된다 이는 도어(10)의 닫힘 종료직전에는 도어(10)가 아랫쪽으로 움직이므로 도어(10)의 무게가 닫히는 힘으로 작용함으로서 원활하게 도어(10)가 개폐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사람에 의해서 도어를 개폐할때 가해지는 힘의 분포에 부합되게 도어 힌지편의 힌지 가이드홈을 설계하여 도어의 개폐를 부드럽게 할 수 있음으로서 노약자나 어린아이들도 쉽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어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도어(10)에 취부되는 도어 힌지편(20)과 상기 도어 힌지편(20)의 내부에 관통한 브이자 형상의 힌지 가이드홈(21)이 구성되며 상기 힌지 가이드홈에는 차체(30)에 구성되는 베어링(40)이 삽입되어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힌지구조.
KR2019960030526U 1996-09-23 1996-09-23 자동차의 도어힌지구조 KR1998001715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526U KR19980017158U (ko) 1996-09-23 1996-09-23 자동차의 도어힌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526U KR19980017158U (ko) 1996-09-23 1996-09-23 자동차의 도어힌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158U true KR19980017158U (ko) 1998-07-06

Family

ID=53976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0526U KR19980017158U (ko) 1996-09-23 1996-09-23 자동차의 도어힌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715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17158U (ko) 자동차의 도어힌지구조
DE50104107D1 (de) Beschlagseinheit für ein fenster oder eine tür
PL346233A1 (en) Door hinge for vehicle doors with an integrated door opening movement limiter
JPH0532617Y2 (ko)
ATE346212T1 (de) Türbefestigung
JPH0256714U (ko)
KR960006418Y1 (ko) 도어의 개폐장치
KR200252498Y1 (ko) 다목적 수납장
KR0115802Y1 (ko) 차량의 도어포켓 개폐장치
JPS6385781U (ko)
KR19980037823U (ko) 2단식 선반문
JPH01177588U (ko)
JPS61261589A (ja) ドア−クロ−ザ−
KR970051956U (ko) 개폐문이 있는 남자용 소변기
JPH0412405U (ko)
KR970021615A (ko) 도어의 좌우개폐장치
KR970066462A (ko) 냉장고의 도어 열림장치
KR970043927A (ko) 도어 체커
JPH0418178U (ko)
KR960020896A (ko) 식품 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
JPH0276879U (ko)
KR970022153A (ko) 냉장고의 도어 좌우개폐장치
SE9203664L (sv) Skjutfönsterkonstruktion
JPS63119283U (ko)
JPS6278807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