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6443U - 방수형 플러그/커넥터 - Google Patents

방수형 플러그/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6443U
KR19980016443U KR2019960029760U KR19960029760U KR19980016443U KR 19980016443 U KR19980016443 U KR 19980016443U KR 2019960029760 U KR2019960029760 U KR 2019960029760U KR 19960029760 U KR19960029760 U KR 19960029760U KR 19980016443 U KR19980016443 U KR 199800164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wire
pin
connecto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97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61440Y1 (ko
Inventor
김만석
Original Assignee
김만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석 filed Critical 김만석
Priority to KR20199600297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1440Y1/ko
Publication of KR199800164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4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14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14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우천시에도 물이 침투하여 단락될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케이블의 굵기에 맞추어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전선이 유입되는 전선 유입부의 내면이 다단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커넥터에 삽입되는 커넥터 삽입부가 앞쪽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소정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케이스 내부에 삽입되고 전선을 안내하는 전선 안내홈과 플러그 핀 및 어스 연결핀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는 제 1 플러그 몸체 및 플러그 핀이 통과하는 한 쌍의 관통구를 구비하고 제 1 플러그 몸체의 전면에 결합되는 제 2 플러그 몸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플러그와 이에 대응되는 커넥터에 관한 고안.

Description

방수형 플러그/커넥터
본 고안은 필요에 따라 전원을 연결 또는 차단하기 위한 플러그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수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굵기의 케이블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플러그/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을 임시로 연결하여 필요한 전기기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는 플러그와 플러그에 대응되는 커넥터가 사용된다. 산업현장에서 고압용으로 사용되는 플러그와 커넥터에는 내부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 캡이 사용된다.
고무 캡은 전체적으로 원뿔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케이블이 유입되는 케이블 유입구를 구비하고 있는 데, 종래의 고무 캡의 케이블 유입구는 그 고무 캡에 맞는 한 종류의 케이블 만을 연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물론, 케이블 유입구보다 직경이 작은 케이블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그렇게 하는 경우 틈새가 커져 우천시 내부로 물이 유입될 가능성이 많다.
또한, 플러그는 크게 구분해서 보면 위에서 설명한 형태의 고무 캡과 고무 캡 선단에 결합되고 플러그 핀이 설치되는 플러그 몸체로 구성되어 있는 데, 플러그 몸체의 일측 외주면으로는 단이 형성되어 있어 고무 캡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과 바깥으로 돌출되는 부분으로 구분되도록 되어 있다. 즉, 고무 캡과 플러그 몸체간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틈새가 생기게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플러그는 우천시 물이 그 틈새로 새어 들어가 합선을 일으킬 우려를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우천시에도 물이 침투하여 단락될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케이블의 굵기에 맞추어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플러그와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의 분해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 케이스의 단면도,
제 3 도는 제 1 도 플러그의 내부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4 도는 제 1 도 제 2 플러그 몸체의 안쪽면 모습을 나타낸 도면,
제 5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제 6 도는 제 5 도 캡의 단면도,
제 7 도는 제 5 도 뚜껑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케이스111,211 : 전선 유입부
112 : 커넥터 삽입부120,220 : 전선
122 : 플러그 핀124 : 어스 연결핀
130 : 제 1 플러그 몸체140 : 제 2 플러그 몸체
210 : 캡222 : 도전단자 연결핀
223 : 도전단자224 : 어스단자
225 : 어스 핀230 : 커넥터 몸체
240 : 안전판250 : 뚜껑
본 고안의 목적은 전선에 연결되는 플러그 핀을 구비하고 필요에 따라 커넥터에 결합되어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에 있어서, 전선이 유입되는 전선 유입부의 내면이 다단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커넥터에 삽입되는 커넥터 삽입부가 앞쪽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소정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케이스 내부에 삽입되고 전선을 안내하는 전선 안내홈과 플러그 핀 및 어스 연결핀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는 제 1 플러그 몸체 및 플러그 핀이 통과되는 한 쌍의 관통구를 구비하고 제 1 플러그 몸체의 전면에 결합되는 제 2 플러그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와, 전선에 연결되고 필요에 따라 플러그와 결합되어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에 있어서, 전선이 유입되는 전선유입부 내면이 다단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소정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캡, 전선에 연결되고 플러그 핀이 삽입될 수 있는 핀 삽입부를 갖는 한 쌍의 도전단자, 전선에 연결된 어스단자와 어스 핀, 도전단자와 어스단자가 안착될 수 있는 나란하게 형성된 안착홈, 안착홈 앞쪽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플러그 핀이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삽입공과 어스 핀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장자리를 따라 앞쪽으로 돌출된 원판부를 갖는 커넥터 몸체, 플러그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플러그 핀의 통과를 허용하는 한 쌍의 관통구를 갖는 용기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커넥터 몸체 앞쪽에 결합되어 플러그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 1 도에는 케이스(1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케이스(110)는 고무로 만들어지며 전선(120)이 유입되는 전선 유입부(11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전선 유입부(111)의 내면은 다단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데, 이는 제 2 도를 보면 알 수 있다. 이 전선 유입부(111)에 관해서는 제 2 도 설명시 상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케이스(110)에는 커넥터에 삽입되는 커넥터 삽입부(112)가 앞쪽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소정 형상의 공간(1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커넥터 삽입부(112)는 종래에서와는 달리 케이스(1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 측면으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제 1 도 플러그는 케이스(110) 내부에 삽입 결합되는 제 1 플러그 몸체(130)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플러그 몸체(130)는 전체적으로 반원통형 형태를 하고 있다. 이 제 1 플러그 몸체(130)에는 전선(120)을 안내하는 전선 안내홈(132)과 플러그 핀(122) 및 어스 연결핀(124)이 안착되는 안착홈(134)이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안내홈(134)의 앞쪽 전면에는 H자형태의 결합돌기(136)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홈(136)의 뒤쪽 측면에는 나사공(138)이 형성되어 있고 그 옆쪽으로 전선을 고정하기 위한 클립(139)이 도시되어 있다. 이 클립(139)은 전선(120)을 제 1 플러그 몸체(130)에 단단히 고정하여 주기 위한 것이다.
제 1 플러그 몸체(130) 앞쪽으로는 제 2 플러그 몸체(140)가 도시되어 있다. 제 2 플러그 몸체(14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하고 있으며 플러그 핀(122)이 통과되는 한 쌍의 관통구(14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2 플러그 몸체(140) 전면에 1자 형태의 홈(144)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144)에 어스 연결핀(124)과 결합되는 접지단자(146)가 결합되어 있다. 이 제 2 플러그 몸체(140)는 제 1 플러그 몸체(130)의 전면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뒷면에는 제 1 플러그 몸체(130)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H자 형태의 돌기(136)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제 4 도에 나타내었다.
위에서 설명한 제 1 플러그 몸체(130)와 제 2 플러그 몸체(140)는 케이스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스 측면으로는 틈새가 존재치 않는다.
제 2 도는 제 1 도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는 전선이 유입되는 전선 유입부(11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전선 유입부(111)의 내면은 다단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경사면(111a)을 이루고 있다. 전선 유입부(111)의 내면을 경사지게 형성한 것은 여기에 결합되는 전선이 틈새 없이 꽉 끼일 수 있도록 하므로써 물 등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전선 유입부(111)를 다단으로 형성한 것은 사용되는 전선의 크기에 맞추어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 2 도 상태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전선의 지름이 너무 크다면 바깥쪽 일부를 잘라낸 다음 결합하면 된다.
이러한 케이스(110)의 전단부에는 커넥터에 삽입되는 커넥터 삽입부(112)가 앞쪽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있다. 즉, 케이스의 측방향으로는 틈새가 존재치 않아 방수에 유리하다. 케이스(110)의 일측면에는 제 1 플러그 몸체(130)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구멍(114)이 설치되어 있다.
제 3 도는 제 1 도 플러그의 내부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 2 도 케이스의 전선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전선(120)은 제 1 플러그 몸체(130)에 안착되어 있다. 이 전선(120)은 그 앞쪽으로 배치되는 플러그 핀과 어스 연결핀(124)과 연결된다. 제 1 플러그 몸체(130)에 결합된 상태에서 플러그 핀과 어스 연결핀(124)은 제 1 플러그 몸체(130) 전면에 배치되는 제 2 플러그 몸체(140) 쪽으로 돌출되게 되는데 제 3 도에서는 플러그 핀은 나타나 있지 않다. 물론, 플러그 핀은 어스 연결핀(124)에 비해 훨씬 앞쪽으로 돌출된다.
제 1 플러그 몸체(130) 앞쪽으로 제 2 플러그 몸체(140)와 접지단자(146) 및 스크류(147)가 도시되어 있다. 스크류(147)는 어스 연결핀(124)에 결합되는 것으로 접지단자(146)와 제 2 플러그 몸체(140)를 제 1 플러그 몸체(130)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해준다. 물론, 제 1 플러그 몸체(130)에 형성된 H자 형태의 돌기(136)와 제 2 플러그 몸체(140)에 형성된 H자 형태의 돌기에 대응되는 홈(148)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된다.
제 4 도는 제 1 도 제 2 플러그 몸체의 안쪽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 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플러그 몸체(140)에는 플러그 핀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한 쌍의 관통구(142)가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앙에 어스 연결핀이 결합되는 구멍(149)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149) 주위로 제 1 플러그 몸체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H자 형태의 돌기(136)와 결합되는 홈(148)이 형성되어 있다.
제 5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다. 제 5 도 커넥터는 캡(21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캡(210)은 고무로 만들어지며 전선이 유입되는 전선 유입부(211) 내면이 다단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데, 이는 제 6 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캡(210)의 내부에는 소정 형상의 공간(2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캡(210)은 뒤에서 설명되는 각종 부품들을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하고 물이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 5 도에는 전선(220)이 도시되어 있다. 이 전선(220) 앞쪽으로 한 쌍의 도전단자 연결핀(222)과 도전단자(223)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전단자(223)는 제 1 도에 도시되어 있는 플러그 핀(122)이 삽입될 수 있는 핀 삽입부(223a)를 구비하고 있으며, 핀 삽입부(223a) 상·하 양측면으로는 위치결정홈(223b)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도전단자(223) 사이로 어스 단자(224)가 도시되어 있으며 그 앞쪽으로 어스 핀(225)이 배치되어 있다.
캡(210) 앞쪽으로 커넥터 몸체(23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커넥터 몸체(230)는 캡(210)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도전단자 연결핀(222), 도전단자(223), 어스단자(224) 및 어스 핀(225)를 안정되게 지지하여 주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몸체(230)에는 도전단자(223)와 어스단자(224)가 안착될 수 있게 나란하게 안착홈(232)이 형성되어 있고 그 앞쪽으로 원판부(234)가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 양측 가장자리의 두 안착홈(232)에는 도전단자(223)의 위치결정홈(223b)과 결합되는 단턱(235)이 형성되어 있다. 이 단턱(235)은 도전단자(223)의 위치를 결정하여 준다.
원판부(234)에는 플러그 핀(223)이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삽입공(236)과 1자 형태의 어스 핀 결합부(237)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장자리를 따라 앞쪽으로 돌출된 돌출턱(238)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턱(238) 안쪽 가장자리 부근에는 원주를 따라 스프링 홈(239)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 스프링(239a)이 결합되어 있다.
커넥터 몸체(230) 앞쪽으로 안전판(240)이 배치되어 있다. 이 안전판(240)은 커넥터 몸체(230)의 전면에 소정 각도까지 탄성적으로 회전 가능케 설치되어 플러그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삽입공(236)을 막고 있도록 하므로써 안전을 기할 수 있도록 해주고 또한 플러그와 결합시에는 플러그 핀에 의해 필요한 각도까지 회전되어 플러그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안전판(240)은 홈(239)에 삽입되는 한 쌍의 돌기(242)가 뒤쪽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안전판(240)에는 플러그 핀의 통과를 허용하는 관통공(244)과 스크류 등을 결합하기 위한 나사 구멍(245) 및 뒤에서 설명되는 뚜껑(250)의 돌기가 결합되는 돌기 결합구(246)들이 형성되어 있다.
안전판(240) 앞쪽으로 뚜껑(250)이 도시되어 있다. 이 뚜껑(250)은 플러그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용이하게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뚜껑(250)의 내주면에는 플러그 삽입시 플러그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252)이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에는 플러그 핀의 통과를 허용하는 한 쌍의 관통구(25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뚜껑(250)은 전체적으로 용기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커넥터 몸체(230)와 안전판(240) 앞쪽에 결합되어 플러그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해준다. 이 뚜껑(250)의 단면모습은 제 7 도를 참고하면 알 수 있다.
제 6 도는 제 5 도 캡의 단면도이다.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210)은 전선이 유입되는 전선 유입부(21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전선 유입부(211)의 내면은 다단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경사면(211a)이 형성되어 있다. 전선 유입부(211)의 내면을 경사지게 형성한 것은 플러그에서와 마찬가지로 여기에 결합되는 전선이 틈새 없이 꽉 끼울수 있도록 하므로써 물 등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전선 유입부(211)를 다단으로 형성한 것은 사용되는 전선의 크기에 맞추어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 6 도 상태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전선의 지름이 너무 크다면 바깥쪽 일부를 잘라낸 다음 결합하면 된다.
이러한 캡(210)의 내부에는 위에서 설명한 커넥터 몸체, 안전판, 뚜껑 등이 설치될 수 있는 내부 공간(213)이 형성되어 있다. 캡(210) 일 측면에는 내부에 삽입되는 커넥터 몸체 등을 고정할 수 있도록 나사구멍(214)이 설치되어 있다.
제 7 도는 제 5 도 뚜껑의 단면도이다. 제 7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250)의 뒷면에는 안전판(240)의 돌기결합구(246)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돌기(255)가 뒤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바닥면에는 스크류 등으로 안전판(240)과 커넥터 몸체(230)에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구멍(256)이 형성되어 있다. 이 뚜껑(250)의 내면으로는 위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플러그의 앞쪽 일부분이 삽입되며, 플러그 삽입시 플러그의 삽입을 도와주는 안내홈(252)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커넥터는 방수 효과가 뛰어나 우천시에도 단락의 염려가 거의 없으며 전선의 두께에 맞추어 적응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2)

  1. 전선에 연결되는 플러그 핀을 구비하고 필요에 따라 커넥터에 결합되어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전선이 유입되는 전선 유입부(111)의 내면이 다단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에 삽입되는 커넥터 삽입부(112)가 앞쪽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소정 형상의 공간(113)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10) ;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전선(120)을 안내하는 전선 안내홈(132)과 상기 플러그 핀(122) 및 어스 연결핀(124)이 안착되는 안착홈(134)이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는 제 1 플러그 몸체(130) ; 및
    상기 플러그 핀(122)이 통과되는 한 쌍의 관통구(142)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플러그 몸체(130)의 전면에 결합되는 제 2 플러그 몸체(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2. 전선에 연결되고 필요에 따라 플러그와 결합되어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전선(220)이 유입되는 전선 유입부(211) 내면이 다단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소정 형상의 공간(213)이 형성되어 있는 캡(210) ;
    상기 전선(220)에 연결되고 플러그 핀이 삽입될 수 있는 핀 삽입부(223a)를 갖는 한 쌍의 도전단자(223) ;
    상기 전선(220)에 연결된 어스단자(224)와 어스 핀(225) ;
    상기 도전단자(223)와 어스단자(224)가 안착될 수 있는 나란하게 형성된 안착홈(232), 상기 안착홈(232) 앞쪽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플러그 핀이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삽입공(236)과 상기 어스 핀(225) 결합부(237)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장자리를 따라 앞쪽으로 돌출된 원판부(234)를 갖는 커넥터 몸체(230) ;
    상기 플러그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 핀의 통과를 허용하는 한 쌍의 관통구(254)를 갖는 용기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커넥터 몸체(230) 앞쪽에 결합되어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뚜껑(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2019960029760U 1996-09-18 1996-09-18 방수형 플러그/커넥터 KR2001614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760U KR200161440Y1 (ko) 1996-09-18 1996-09-18 방수형 플러그/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760U KR200161440Y1 (ko) 1996-09-18 1996-09-18 방수형 플러그/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443U true KR19980016443U (ko) 1998-06-25
KR200161440Y1 KR200161440Y1 (ko) 1999-11-15

Family

ID=19467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9760U KR200161440Y1 (ko) 1996-09-18 1996-09-18 방수형 플러그/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144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241Y1 (ko) * 2009-11-19 2011-06-23 주식회사 태건상사 방수 전원 커넥터
WO2017034120A1 (ko) * 2015-08-21 2017-03-02 은성균 방수 가능한 전기 접속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241Y1 (ko) * 2009-11-19 2011-06-23 주식회사 태건상사 방수 전원 커넥터
WO2017034120A1 (ko) * 2015-08-21 2017-03-02 은성균 방수 가능한 전기 접속구
US10256566B2 (en) 2015-08-21 2019-04-09 Sung-guen EUN Waterproof electric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1440Y1 (ko) 199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12202C (en) Connector for pre-fabricated electric cables
KR101463132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US7033216B2 (en) Watertight connector
US8177584B2 (en) Connector with wire sealing resilient plug
US8231408B2 (en) Connector
US7507125B2 (en) Connector and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US9106066B2 (en) Wire fixing member
JP4976738B2 (ja) アース構造及び該アース構造と用いた電気コネクタ
US4768970A (en) Electrical connector plug assembly for sealed electrical connection
JP2007234600A (ja) 電気的なコンタクト
EP3732752A1 (en) Pin and sleeve device with contact carrier for capturing set screws
CN204885584U (zh) 连接器壳体、电连接器及自行车用的照明装置
US7338306B1 (en) Electric connector having power cable retaining structure
US3141720A (en) Connector for printed or etched flat conductor cables
JP6408780B2 (ja) コネクタ嵌合構造
US7201590B1 (en) Water-resistant electric connector assembly
KR200161440Y1 (ko) 방수형 플러그/커넥터
KR200209229Y1 (ko) 저압선로형 분기접속장치
CN213151206U (zh) 弯头连接器
CN204927572U (zh) 具扁平缆线的电连接器
CN109273917B (zh) 防水连接器母头和防水连接器
KR200312367Y1 (ko) 조인트 커넥터
US5842878A (en) Sealing structure of an electrical connector
AU2007202757A1 (en) Seal for electrical connector block
CN217545104U (zh) 一种内置锁紧结构的电连接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