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5141U - 평판디스플레이 모듈용 수납케이스 - Google Patents

평판디스플레이 모듈용 수납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5141U
KR19980015141U KR2019960028347U KR19960028347U KR19980015141U KR 19980015141 U KR19980015141 U KR 19980015141U KR 2019960028347 U KR2019960028347 U KR 2019960028347U KR 19960028347 U KR19960028347 U KR 19960028347U KR 19980015141 U KR19980015141 U KR 199800151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panel
panel display
display module
storage cas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83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현철
Original Assignee
엄길용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길용,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엄길용
Priority to KR20199600283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5141U/ko
Publication of KR199800151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5141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23Integral elements for containers of other type, e.g. formed by folding a blank to U-shape
    • B65D5/5026Hollow frame-like elements surrounding the obj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평판디스플레이, 예로써, 액정디스플레이 모듈을 낱개로 보관 및 이송하기에 편리하게 고안된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용 수납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주요 구성은, 대향하는 1 쌍의 절개부(11, 11)를 가지고 제 1 접힘부(12)를 기준으로 접힘이 가능하게 구성한 저면부(10)와, 저면부(10)의 상하로 일체로 형성한 상,하커버(20, 30)와, 저면부(10)의 양측으로 일체로 형성한 제 1 및 제 2 덮개부(40, 50)로 이루어지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용 수납케이스
본 고안은 평판디스플레이, 예로써, 액정디스플레이 모듈을 보관 및 이송하기에 편리하게 고안된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용 수납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STN 등의 액정디스플레이 모듈을 출하할 경우에는 골판지 박스에 여러개 실어 이송시켜 왔었다. 즉, 골판지 박스내부는 여러개의 칸막이 형태의 격벽이 형성되어 있어서, 각각의 격벽 사이에 액정디스플레이 모듈을 끼우고 그리고 각각의 격벽 골판지를 다시 고정하기위해 격벽 골판지의 배열과 수직한 배열로 상부에서 각각의 격벽을 홈으로써 끼워서 각각의 격벽을 십자 형태로 고정함으로서 액정디스플레이 모듈을 고정, 이송하여 왔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평판디스플레이 모듈의 보관 및 이송을 위한 포장 방법에 의하면, 그의 포장 및 보관이 완벽한 것이라 할수 없어 그의 안전한 보관 및 이송에 있어 많은 염려가 되고, 또한 실제로 평판디스플레이 모듈에 손상이 자주 발생하여 왔었다.
또한 별도의 단위 평판디스플레이 모듈을 포장하는 포장구가 없어, 낱개 또는 몇개 아니되는 평판디스플레이 모듈을 포장 및 이송할 경우에는 상술한 박스에 평판디스플레이 모듈 몇개만을 담아 이송하므로 불필요한 자재 낭비를 초래하고 또한 그 박스를 운반하는데에도 많은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평판디스플레이 모듈의 크기가 각각 다를 경우에는 규격이 다른 또다른 박스를 각각 이용하여야 하기때문에 이들의 관리 또한 더욱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액정디스플레이 등의 평판디스플레이 모듈의 크기가 다소 차이가 있어도 하나의 케이스로 포장이 가능하고 또한 평판디스플레이 모듈을 낱개로 각각 포장할수 있으며, 평판디스플레이 모듈을 안전하게 효과적으로 보관하고 또한 자재의 절감과 운반도 매우 편리하게 한 것으로 이하, 첨부도면과 함께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수납케이스의 전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수납케이스의 접은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저면부 11: 절개부
12, 13, 14: 제 1 , 제 2 , 및 제 3 접힘부 15: 상접힘부
20, 30: 상, 하커버 21, 22: 제 1 및 제 2 절취부
23: 개구부 40, 50: 제 1 , 제 2 덮개부
41, 51: 반홈부 42: 측개구부
43: 인출홈 44, 55: 측접힘부
52: 돌출부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평판디스플레이 모듈용 수납케이스의 전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평판디스플레이 모듈용 케이스는 골판지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골판지 재질에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평판디스플레이 모듈을 안전하게 수용, 보관함에 지장이 없는 다른 어떠한 연성의 재질을 사용할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의 전개도에서 보듯이, 가운데 양쪽으로는 대칭으로 절개부(11)를 형성한다. 절개부(11)의 3면은 절개되고 나머지 1면은 접힘부(12)가 형성되도록 한다. 그의 안쪽으로는 제 2, 제 3 접힘부((13, 14)가 더 형성된다. 상기한 접힘부들은 잘 접혀지도록 하기위해 두께의 일부만 절개된 형태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개의 절개부(11, 11)는 좌우 양측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껴질수 있다.
그 중심선의 약간 위에는 상접힘부(15)를 형성시켜 마찬가지로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안쪽으로 접혀질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상접힘부(15)는 생략할수도 있다. 그리고 그의 상면쪽에는 상커버(20)를 형성시킨다. 상커버(20)는 그 상단쪽에 제 1 및 제 2 절취부(21, 22)를 형성시킨다. 이 절취부들은 필요에 따라 절취해 버릴수 있다. 그리고 그의 상단부의 중심부 쪽에는 길이로 일부 절취하여 버린 개구부(23)를 형성한다. 개구부(23)의 가장 아래쪽 개구 부위는 상커버(20)를 안쪽으로 접었을 경우, 상접힘부(15)의 절개하는 부위와 일치하는 위치에 놓이게 한다.
상커버(20)와 대향하는 하커버(30)는 상기한 상커버(20)와 거의 동일한 형태로 형성시키나, 단 개구부는 형성시키지 않는다.
또한, 양 측면으로는 제 1 덮개부(40)와 제 2 덮개부(50)를 형성시킨다.
제 1 덮개부(40)는 그의 죄측 끝단 상측에 반홈부(41)를 형성시켰다. 그리고 좌측의 중앙쪽엔 일부를 절취해 버려서 측개구부(42)가 형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그의 우측 중안쪽엔 예로써, 반달형의 인출홈(43)을 형성시켰다. 그리고 우측 안쪽으로는 두개의 측접힘부(44, 44)를 형성시켜 접혀질수 있는 부위가 되도록 하였다.
대향하는 우측에는 제 2 덮개부(50)를 일체로 형성한다. 제 2 덮개부(50) 역시 반홈부(51)를 앞선 제 1 덮개부(40)와 대칭으로 형성시키고, 또한 제 1 덮개부(40)의 측개구부(42)와 동일한 형상의 돌출부(52)를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1 덮개부(40)와 마찬가지로 측접힘부(55)를 동일하게 대칭으로 형성시킨다. 제 1 및 제 2 덮개부(40, 50)의 측접힘부(44, 55)는 양측에서 접을때 접힘의 상태가 최적으로 되도록 해준다. 즉, 예로써, LCD 모듈은 그 자체가 두께를 가지기 때문에 또한 LCD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의 크기에 따라 융통성있게 적용할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덮개부를 접었을 경우, 도 2 에서 보듯이, 두 덮개부의 양끝단이 일치하게 하도록 하는데 유리하게 작용한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사용방법을 이하 설명한다.
먼저 절개부(11)를 좌우 양측으로 제낀후, 도 1 에 예시한 바와 같은 예로써 LCD 모듈(1)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절개부(11)를 다시 원 위치로 접으면 제 2 및 제 3 접힘부(13, 14)가 접혀진다. 이 제 2 및 제 3 접힘부(13, 14)는 LCD 모듈(1)의 두께부에 상응하는 것이다. 한편 LCD 모듈(1)이 예시한 것보다 더 큰 가로 사이즈일 경우에는 절개부(11)의 절개 라인이 더 연장되게 한다. 즉, 제 1 접힘부(12)가 있는 곳까지 가로로 더 절개하면 LCD 모듈(1)의 크기에 따라 융통성 있게 사용할수 있다. 여기서 세로로의 길이 역시 조절 가능하게 구성할수 있다. 즉, 비록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접힘부(15)에도 LCD 모듈의 상하 길이에 따라 맞출수 있게 가로로 여러개의 접힘부를 구성할수도 있다.
그런후, 상커버(20)와 하커버(30)를 안쪽으로 접는다. 이 상, 하커버(20, 30)에서도 역시 그의 접혀지는 길이 또는 크기를 조절할수 있는바, 바로 상,하커버(20, 30)의 상, 하단에 형성한 제 1 절취부(21)와 제 2 절취부(22)을 원하는 길이로 절취하여 버리면 된다. 이렁게 절취하는 이유는 LCD 모듈이 내부에서 가장 안전하게 보호될수 있는 최적의 상태로 함과 동시에 LCD 모듈의 크기에 무관하게 융통성 있게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좌우 양측의 제 1 및 제 2 덮개부(40, 50)를 덮는다. 그러면 도 2 와 같은 상태가 된다. 제 1 덮개부(40)의 인출홈(43)은 도 2 와 같은 접힘 상태에서 다시 이 포장을 해체할 경우에 편리하다. 즉, 이 인출홈(43)에 손가락을 넣어서 제 2 덮개부(50)의 돌출부(52)를 제끼기에 편리함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단쪽에는 통공이 형성된다. 이 통공은 일차로 상접힘부(15)가 안쪽으로 접혀지고, 또 상커버(20)를 접었을때, 개구부(23)에 의하여 동일한 통공에 배열 위치되고, 또한 제 1 및 제 2 덮개(40, 50)를 덮었을 경우, 반홈부(41, 51)의 동일한 위치에서의 대향하는 배열로 인해 도 2 와 같은 통공이 나타나게 된다. 이것은 운반시 편리함을 제공한다. 즉, 소정의 다른 운반을 위한 끈, 고리등의 연결시 이 통공을 이용할수 있고 또한 사람의 손가락을 이곳에 넣어서 운반 및 다루게에도 편리함을 제공한다. 또한 이 포장을 더욱 안전하게 하기위해 이 통공에 끈등을 통과 시켜 이포장 자체를 묶어 둘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통공을 굳이 이용할 필요가 없고 통공을 만들고 싶지 않을 경우에는 최초에 LCD 모듈(1)을 놓고 접을때, 상접힘부(15)를 접지 않고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상접힘부(15)를 굳이 접지 않고 사용할 경우에는 세로로 더 큰 사이즈의 LCD 모듈도 수용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평판 디스플레이 예로써, LCD 모듈을 낱개로 각각 포장이 가능하여 운송, 운반 및 취급이 매우 편리하고 매우 안전하게 제품을 이동 및 보관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품을 이동시킬때 별도의 포장체 및 포장 박스가 불필요하므로 포장에 드는 시간, 물류비등을 절감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평판디스플레이 모듈의 규격에 따라 융통성있게 이 하나의 포장체로써 사용가능하므로 더욱 편리한 효과가 있고, 평판디스플레이 모듈의 크기에 따라 별도의 여러 종류의 포장체가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Claims (8)

  1. 대향하는 1 쌍의 절개부(11, 11)를 가지고 제 1 접힘부(12)를 기준으로 접힘이 가능하게 구성한 저면부(10)와, 저면부(10)의 상하로 일체로 형성한 상,하커버(20, 30)와, 저면부(10)의 양측으로 일체로 형성한 제 1 및 제 2 덮개부(40, 50)로 이루어지는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용 수납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저면부(10)는 그의 상측에 상접힘부(15)를 더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용 수납케이스.
  3. 제 1 항 에 있어서, 절개부(11, 11)는 접힘이 가능한 제 2 및 제 3 접힘부(13, 14)를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용 수납케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 하커버(20, 30)의 끝단부측에는 제 1 및 제 2 절취부(21, 22)를 형성한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용 수납케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커버(20)의 상단 중앙부 쪽에는 개구부(23)를 형성한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용 수납케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덮개부(40)의 단부쪽 중앙에는 인출홈(43)을 포함하는 측개구부(42)와, 끝단의 외측으로 형성한 반홈부(41)를 포함하도록 구성한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용 수납케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덮개부(50)에는 상기한 제 1 덮개부(40)의 반홈부(41)와 대응하는 대칭형의 반홈부(51)를 형성시키고, 또한 제 1 덮개부(40)의 측개구부(42)의 형상과 대응하는 돌출부(52)를 형성한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용 수납케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덮개부(40, 50)에는 저면부(10)쪽으로 접힘이 용이한 측접힘부(44, 55)를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용 수납케이스.
KR2019960028347U 1996-09-05 1996-09-05 평판디스플레이 모듈용 수납케이스 KR1998001514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347U KR19980015141U (ko) 1996-09-05 1996-09-05 평판디스플레이 모듈용 수납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347U KR19980015141U (ko) 1996-09-05 1996-09-05 평판디스플레이 모듈용 수납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141U true KR19980015141U (ko) 1998-06-25

Family

ID=53975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8347U KR19980015141U (ko) 1996-09-05 1996-09-05 평판디스플레이 모듈용 수납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514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7150A1 (en) * 2005-04-06 2006-10-12 Shin Jeon A packing box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7150A1 (en) * 2005-04-06 2006-10-12 Shin Jeon A packing bo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1692A (en) Open-sided container apparatus
KR100907977B1 (ko) 포장용 카톤 블랭크
US6079563A (en) Container for compressors and other goods
US5372259A (en) Packing box for shipping protection
US4330059A (en) Plant shipping and display container
US5277310A (en) Composite appliance package
KR960704483A (ko) 음료수 카톤용 롤-아웃형 분배기(roll-out dispenser for a beverage carton)
US4976353A (en) Pallet box container
KR100246474B1 (ko) 액정표시모듈용 패킹 장치
US4451001A (en) Wrap around sleeve for tapered tub
US3616989A (en) Telescoping carton assembly
US5332149A (en) Glued flap partition for visible container
US4260059A (en) Container having an internal support for fragile articles and blank therefor
US5786580A (en) Packaging holder for positioning and protecting microwave oven internal elements such as a glass tray and a rotating ring within an oven cavity for handling and shipping
US5884767A (en) Keypad packing box
US2474968A (en) Shipping package
US5458237A (en) Packaging assembly for products of small thickness
US4583677A (en) Box inner partition providing four cells
US4903892A (en) Fragile article carton
KR19980015141U (ko) 평판디스플레이 모듈용 수납케이스
KR20210089972A (ko) 포장용 상자
US3437198A (en) Cushioning package
KR900014215A (ko) 다수의 육면체 상자용 패키지 및 그 블랭크
GB2184999A (en) A transportation and packaging box
US4068793A (en) Cushioning inse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