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4642A - Drinking device of vending machine - Google Patents

Drinking device of vend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4642A
KR19980014642A KR1019960033704A KR19960033704A KR19980014642A KR 19980014642 A KR19980014642 A KR 19980014642A KR 1019960033704 A KR1019960033704 A KR 1019960033704A KR 19960033704 A KR19960033704 A KR 19960033704A KR 19980014642 A KR19980014642 A KR 19980014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beverage
door
support
diaphrag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37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우곤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1019960033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4642A/en
Publication of KR19980014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4642A/en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의 신규한 음료 배출장치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new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for a vending machine.

종래에는 도어를 음료배출구에 폐쇄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켰었는 바, 음료의 취출작업이 매우 번잡한 문제가 있었다.Conventionally, the door is elastically biased toward the closing direction by the beverage outlet,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for taking out the beverage is very troublesome.

본 발명에서는 음료배출구에 그 일단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컵도어와, 이 컵도어의 내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컵을 지지하는 대략 부채꼴형태의 컵받침과, 이 컵받침에 설치되어 컵에의 음료 충진여부를 갑지하는 음료충진 감지수단과,이 감지수단의 감지결과에 따라 컵도어를 개폐시키는 컵도어 개폐수단을 구비하여, 음료의 충진 여부에 따라 컵도어가 자동으로 개폐됨과 함께 컵이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cup door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beverage discharge port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axis of the beverage outlet, a generally fan-shaped cup-shaped bearing extending horizontall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up door to support the cup, And a cup door opening / clos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up door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ing means. The cup door is automatically opened or closed depending on whether the beverage is filled or not The cup was automatic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Description

자동판매기의 음료 배출장치Drinking device of vending machine

제1도는 종래의 음료 배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단면도,FIG. 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beverage discharging device,

제2도는 그 측단면도,2 is a side sectional view thereof,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음료 배출를 보인 측단면도,FIG. 3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drink dischar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그 평단면도,4 is a plan sectional view thereof,

제5도는 본 발명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들이다.FIG. 5 shows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equenc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자동판매기의) 전면도어(front door)1: (front door of vending machine)

1a:(전면도어의) 음료 배출구1a: beverage outlet (of the front door)

2:컵 하우징(cup housing)2: cup housing

3:컵 홀더(cup holder)3: cup holder

4:노즐(nozzle)4: nozzle

5:동작표시 램프(lamp)5: Operation indicator lamp

6:컵 도어6: Cup door

8:(컵 도어의) 컵받침8: (cup door) coasters

9:(컵받침의) 지지통9: Support tube (of the coasters)

10:다이어프램(diaphragm)10: diaphragm

12:터치 스위치(touch switch)12: Touch switch

14:안테나 모터(antena motor)14: Antenna motor

본 발명은 음료용 자동판매기(automatic vending machine)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음료를 배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vend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discharging a beverage.

음료용 자동판매기는 커피 등의 음료를 복수종류 수납하여 일정한 금액을 투입한 뒤 필요품을 선택하면 선택된 음료가 자동으로 배출되는 장치로서, 설치공간이 작고 설치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며 무인판매 할 수 있는 장점 등에 의해 점차 그 사용영역이 확대되어 가고 있다.A beverage vending machine stores a plurality of kinds of beverages such as coffee, a certain amount of money is put into it, and then the selected beverage is automatically discharged when a necessary product is selected. It is a device which has a small installation space, The use area is gradually expanding due to its advantages.

이에 따라 자동판매기에는 음료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음료 배출장치가 구비되는데, 이 음료 배출장치는 외부와 노출되는 것이므로 먼지 등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Accordingly, the vending machine is provided with a beverage discharging device for discharging the beverage to the outside. Since the beverage discharging device is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generally configured to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such as dust.

제1도 및 제2도에는 이러한 음료용 자동판매기의 종래 음료 배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판매대금을 투입하고 선택버튼(도시하지 않음)을 누르면 동작표시 램프(lamp:L)가 점등됨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컵 공급장치로부터 컵하우징(cup housing:S)내의 컵홀더(cup holder:H)로 컵(C)이 배출된다. 이어서 노즐(nozzle:N)로부터 컵홀더(H)상의 컵(C)에 음료가 소정 시간동안 배출되고, 음료의 배출이 완료되면 램프(L)가 소등된다. 그러면 사용자(user:U)가 가상선과 같이 전면도어(front door:D)의 컵도어(cup door:Dc)를 회전시킨 뒤 컵(C)을 꺼내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컵도어(Dc)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도시하지 않은 토오션스프링(torsion spring)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컵도어(Dc)가 초기상태로 복원되어 전면도어(D)의 음료 배출구(R)를 폐쇄시킨다.FIGS. 1 and 2 schematically show a conventional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for such a beverage dispensing machine. The operation indicator lamp L is turned on and at the same time a cup holder H in a cup housing S is fed from a cup feeding device not shown, The cup C is discharged. Subsequently, the beverage is discharged from the nozzle (N) to the cup (C) on the cup holder (H)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lamp (L) is turned off when the discharge of the beverage is completed. Then, the user (user: U) rotates the cup door (Dc) of the front door (D) like the virtual line and takes out the cup (C).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cup door Dc is removed, the cup door Dc is restored to the initial state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a torsion spring (not shown) Lt; / RTI >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음료 배출장치는 컵(C)의 취출시 사용자(U)가 한손으로는 컵도어(Dc)을 열고 다른 손으로 컵(C)을 꺼내야 하므로 사용이 상당히 번잡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컵도어(Dc)가 수동으로 조작되는 것이므로 자칫 음료의 배출도중에 컵(C)을 꺼내게 될 우려도 매우 많았으며, 이에 따라 동작표시 램프(L) 등을 통해 음료의 배출완료 여부를 일일이 확인하고 나서 컵(C)을 꺼내야 하는 문제도 있었다. 뿐만 아니라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U)가 컵(C)을 집는 위치가 제품의 내부에 위치되므로 제품에 가려 사용자(U)가 컵(C)을 정확히 인식하지 못하고 감각에 의해 컵(C)을 집어 꺼내게 되는 바, 자칫 취출불량이 발생될 우려 또한 매우 많았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beverage discharging apparatus has a problem that the user U needs to open the cup door Dc with one hand and take out the cup C with the other hand at the time of taking out the cup C, which is troublesome to use. Also, since the cup door Dc is manually operated, there is a great possibility that the cup C will be taken out during the discharge of the beverage. Accordingly, whether or not the beverage is completely discharged is confirmed through the operation indicator lamp L or the like There was also a problem of taking out the cup (C).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since the position where the user U picks up the cup C is located inside the product, the user U does not recognize the cup C correctly, (C), and there was a great possibility that a failure to take out would occur.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들을 감안하여 음료의 배출 완료에 따라 컵도어의 개방과 동시에 컵을 본체의 외부로 자동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자동판매기의 음료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for a vending machine capable of automatically discharging a cup to the outside of a main body at the same time when a cup door is opened according to completion of discharge of a beverage in view of the abov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자동판매기의 음료 배출장치는, 본체 전면도어의 음료배출구 내측에 설치되는 컵하우징과, 이 컵하우징내에 설치되며 판매신호에 따라 컵이 공급되는 컵홀더와, 이 컵홀더상의 컵에 음료를 배출하는 노즐과,컵에 대한 음료의 배출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동작표시 램프를 구비하는 자동판매기의 음료 배출장치에 있어서, 전면도어의 음료 배출에 그 일단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음료 배출를 개폐하는 컵도어와, 이 컵도어의 내측면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되어 컵을 지지하는 대략 부채꼴형태의 컵받침과, 이 컵받침에 설치되어 컵에의 음료 충진여부를 감지하는 음료 충진 감지수단과, 이 감지수단의 감지결과에 따라 컵도어를 개폐시키는 컵도어 개폐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there is provided a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for a vending machine, comprising: a cup housing installed inside a beverage outlet of a front door of a main body; a cup holder installed in the cup housing, , A nozzle for discharging a beverage to the cup on the cup holder, and an operation display lamp for indicating a discharge operation state of the beverage to the cup, wherein the beverage discharge device comprises: A substantially cup-shaped coasters which are horizontally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up door to open and close the beverage discharges and are rotatably install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cup, And a cup door opening / closing means for opening / closing the cup door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ing means. .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여, 음료충진 감지수단이, 컵받침의 상면으로 돌출하는 실린더(cylinder)형의 지지통과, 이 지지통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방으로 탄성 바이어스(elastic bias)되며 컵의 하면을 접촉 지지하는 다이어프램(diaphrame)과, 컵받침에 다이어프램과 일정간격 이력되게 고정되며 다이어프램과의 접촉여부에 의해 온(ON)/오프(OFF) 되는 터치스위치(touch switch)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rage filling detecting means includes a cylinder-shaped support passage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up-shaped cup, a movable support member movably coupled to the support cup and elastically biased upward, And a touch switch which is fixed to the diaphragm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s turned on / off by the contact of the diaphragm with the diaphragm.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컵도어 개폐수단이, 본체에 지지되는 안테나 모터(antena motor)로 구성되고, 그 안테나의 선단에 컵받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핀(hinge pin)이 구비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p door opening / closing means comprises an antenna motor supported by the main body, and a hinge pin rotatably coupled to the cup base at the tip of the antenna is provided do.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컵에 대한 음료의 배출이 완료되면 컵도어의 개방과 함께 컵이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사용자가 음료배출 완료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컵을 직접 꺼낼 필요도 없게 되는 바, 자동판매기의 사용의 편의성과 신뢰성 향상 등에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Th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scharge of the beverage to the cup is completed, the cup is automatic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along with the opening of the cup door, so that it is not necessary for the user to check whether the beverage is discharged or not, It is not necessary to use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and the convenience and reliability of the use of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can be greatly enhanced.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Thes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3도 내지 제4도에서, 본 발명에 의한 자동판매기의 음료 배출장치는 본체(도시하지 않음) 전면도어(1)의 음료배출구(1a) 내측으로 컵(C)에 음료가 충진되는 컵 하우징(2)이 설치된다. 이 컵 하우징(2)의 상판에는 판매신호에 따라 컵 공급장치로부터 낱개의 컵(C)이 공급되는 컵 홀더(3)가 설치되고, 그 후판에는 음료 공급장치로부터 컵 홀더(3)상의 컵(C)에 음료를 공급하는 복수의 노즐(4)이 설치된다. 또한 전면도어(1)의 일측에는 외부로부터의 판매신호에 따라 점등되어 컵(C)에 음료가 배출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동작표시 동작표시 램프(5)가 구비된다.3 to 4, the beverage discharging device of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p housing (not shown) in which a beverage is filled into a beverage outlet (1a) of a front door (1) (2). A cup holder 3 is provided on the top plate of the cup housing 2 to supply a single cup C from the cup supplying device in accordance with a sales signal. C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nozzles 4 for supplying drinks. Further, an operation display operation indicator lamp 5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ront door 1 to indicate a state in which the beverage is discharged to the cup C according to a sales signal from the outside.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전면도어(1)의 음료배출구(1a)에는 이를 개폐하는 컵 도어(6)가 그 일단의 상하측으로 돌출한 힌지핀(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컵 도어(6)의 내측면 하측에는 컵(C)을 지지하는 컵받침(8)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이 컵받침(8)은 컵 도어(6)의 개방에 따라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꼴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rage outlet (1a) of the front door (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up door (6) by means of a hinge pin (7) projecting upward and downward at one end thereof. A cup support 8 for supporting the cup C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low the inner surface of the cup door 6. The cup support 8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opening of the cup door 6, So that it is preferable to have a fan shape as shown in FIG.

컵받침(8)상의 소정 위치, 즉 컵 홀더(3)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컵(C)에 대한 음료의 충진여부를 감지하는 수단으로서 실린더형의 지지통(9)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이 지지통(9)내에는 컵(C)의 하면을 접촉 지지하는 다이어프램(10)이 스프링(11)에 의해 상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된다. 여기서 스프링(11)의 탄성은 음료가 충진된 상태의 컵(C)의 중량보다 작게 구성된다. 다이어프램(10)의 하측으로 컵받침(8)에는 다이어프램(10)과의 접촉여부에 따라 온/오프 되는 터치 스위치(12)가 다이어프램(10)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이 터치 스위치(12)는 자자동판매기의 제어부에 회로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감지수단은 컵(C)의 중량을 감지할 수만 있으면 어떠한 형태라도 좋은바,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예를들어 중량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A cylindrical support tube 9 is formed as a means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beverage is filled in the cup C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cup holder 8, that is,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cup holder 3, A diaphragm 10 for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cup C is elastically biased in the upward direction by a spring 11 in the support tube 9. [ Here,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11 is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weight of the cup C filled with the beverage. A touch switch 12 which is turned on and off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diaphragm 10 is in contact with the diaphragm 10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diaphragm 1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iaphragm 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Is connected in a circuit to the control unit of the child vending machine. The sens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f any type as long as it can sense the weight of the cup (C), and may be a weight sensor, 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separately.

한편 본체의 일측에는 지지블록(support block:13)이 구비되고, 이 지지블록(13)에는 컵 도어(6)를 개폐하는 수단으로서 소위 안테나 모터(14)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안테나 모터(14)의 안테나(15) 선단에는 컵받침(8)의 하면으로 돌출한 보스(boss:8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핀(16)이 구비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안테나 모터(14)는 터치 스위치(12)의 감지결과에 따라 작동되어 컵 도어(6)를 개폐하는데, 바람직하기로는 음료의 배출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동작표시 램프(5)에 연결되어 동작 표시 램프(5)의 동작중에는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된다. 즉 컵(C)에 공급되는 음료의 양은 판매시마다 근소하게 달라질 수 있는 바, 컵(C)에 음료가 공급되는 도중에 그 중량차에 의해 자칫 발생될 수 있는 안테나 모터(14)의 오동작을 방지하여 안정된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A support block 13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a so-called antenna motor 14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support block 13 as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up door 6. [ A hinge pin 16 rotatably coupled to a boss 8a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asters 8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antenna 15 of the antenna motor 14. [ The antenna motor 1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touch switch 12 to open and close the cup door 6 and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operation indicator lamp 5 And is not op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display lamp 5. That is, the amount of the beverage to be supplied to the cup C can be slightly changed at each sale, and the malfunction of the antenna motor 14, which may be caused by the difference in weight during the supply of the beverage to the cup C, Thereby enabling stable operatio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자동판매기의 음료 배출장치의 작동을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of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제5도에서, 외부로부터 판매신호가 입력되면 (가)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작표시 램프(5)가 점등됨과 동시에 컵 공급장치로부터 다이어프램(10) 상으로 낱개의 컵(C)이 공급되는데, 이때 공급되는 컵(C)은 컵 홀더(3)에 의해 안정되게 안내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컵(C)에 음료가 없으므로 스프링(11)의 탄성에 의해 다이어프램(10)은 움직이지 않는다. 이에 따라 안테나 모터(14)는 작동되지 않는다.5, when a sales signal is inputted from the outside, the operation indicator lamp 5 is turned on and a single cup C is supplied from the cup feeding device onto the diaphragm 10, as shown in (A) At this time, the cup (C) to be supplied is stably guided by the cup holder (3). In this state, since there is no beverage in the cup (C), the diaphragm (10) does not move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11). Accordingly, the antenna motor 14 is not operated.

이어서 노즐(4)로부터 소정시간 동안 컵(C)에 음료가 공급된다. 그러면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컵(C)의 중량이 증가하게 됨으로써 다이어프램(10)이 스프링(11)을 압축하면서 하방으로 이동되어 터치 스위치(12)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터치 스위치(12)가 온 되고, 그 신호가 안테나 모터(14)에 전달된다. 그러면 안테나 모터(14)가 동작을 개시하게 되는데, 이때 컵(C)에 음료가 공급되는 상태이면, 즉 동작표시 램프(5)의 소등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안테나 모터(14)는 터치스위치(12)가 온 된다하더라도 작동되지 않는다.Then, the beverage is supplied to the cup C from the nozzle 4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weight of the cup C increases so that the diaphragm 10 moves downward while compressing the spring 11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ouch switch 12 as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touch switch 12 is turned on, and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antenna motor 14. When the beverage is supplied to the cup C, that is, when the light-off signal of the operation indicator lamp 5 is not transmitted, the antenna motor 14 starts the operation of the touch switch 12 ) Is turned on.

이어서 컵(C)에 대한 음료의 공급이 완료되어 동작표시 램프(5)가 소등되면, (다)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 모터(14)가 동작되어 그 안테나(15)가 전진하게 된다. 그러면 컵 도어(6)가 그 힌지핀(7)을 축으로 회전하여 개방됨으로써 컵받침(8)상에 재치된 컵(C)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beverage supply to the cup C is completed and the operation indicator lamp 5 is turned off, the antenna motor 14 is operated and the antenna 15 is advanced as shown in (c). As a result, the cup door 6 rotates about the hinge pin 7 and opens, so that the cup C placed on the cup holder 8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어서 사용자가 컵받침(8)상의 컵(C)을 집어들게 되면, 다이어프램(10)이 스프링(11)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초기상태로 복귀됨으로써 터치 스위치(12)가 오프된다. 그러면 그 신호에 따라 안테나 모터(14)가 오프되어 (라)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15)가 초기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컵 도어(6)가 역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전면도어(1)의 음료배출구(1a)을 폐쇄하게 되며, 음료의 배출동작이 완료된다.Then, when the user picks up the cup C on the coasters 8, the diaphragm 10 is returned to the initial state by the resilient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11, so that the touch switch 12 is turned off. Then, the antenna motor 14 is turned off according to the signal, and the antenna 15 returns to the initial state as shown in (D). Accordingly, the cup door 6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o close the beverage discharge opening 1a of the front door 1, and the beverage discharge operation is complet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컵에 대한 음료의 충진여부에 따라 컵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음료가 충진된 컵을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종래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음료배출구를 개방시킬 필요가 없음은 물론 음료의 배출도중 컵을 취출할 우려도 근본적으로 방지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p door can be automatically opened or closed depending on whether the beverage is filled in the cup, and the cup filled with the beverage can be automatic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for the user to open the beverage outlet directly as in the prior art, and the concern of taking out the beverage during the discharge of the beverage is also fundamentally prevented.

따라서 본 발명은, 음료용 자동판매기의 사용의 편의성과 안전성 및 신뢰성 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greatly improving convenience, safety, and reliability of use of the vending machine for beverage.

Claims (5)

본체 전면도어의 음료배출구 내측에 설치되는 컵하우징과, 상기 컵하우징내에 설치되며 판매신호에 따라 컵이 공급되는 컵홀더와, 상기 컵홀더상의 컵에 음료를 배출하는 노즐과, 상기 컵에 대한 음료의 배출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동작표시 램프를 구비하는 자동판매기의 음료 배출장치에 있어서,A cup holder installed in the cup housing and provided with a cup according to a sales signal; a nozzle for discharging the beverage to the cup on the cup holder; And an operation display lamp for indicating a discharge operation state of the drink dispensing apparatus, 상기 전면도어(1)의 음료배출구(1a)에 그 일단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음료배출구(1a)를 개폐하는 컵도어(6)와,A cup door 6 installed on the beverage outlet 1a of the front door 1 so as to be rotatable around one end thereof to open and close the beverage outlet 1a, 상기 컵도어(6)의 내측면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되어 컵(C)을 지지하는 대략 부채꼴형태의 컵받침(8)과,An approximately fan-shaped coasters 8 which ar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up door 6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support the cups C, 상기 컵받침(8)에 설치되어 상기 컵(C)에의 음료 충진여부를 감지하는 음료 충진 감지수단과,A beverage filling detecting means installed in the cup cage 8 for detecting whether the beverage is filled in the cup C,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컵도어(6)를 개폐시키는 컵도어 개폐수단,을And a cup door opening / closing means for opening / closing the cup door (6)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ing means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음료배출장치.Wherein the beverage dispensing device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음료충진 감지수단이,Wherein the beverage filling detecting means comprises: 상기 컵받침(8)의 상면으로 돌출하는 실린더형의 지지통(9)과,A cylindrical support cylinder 9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asters 8, 상기 지지통(9)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방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며 상기 컵(C)의 하면을 접촉 지지하는 다이어프램(10)과,A diaphragm 10 movably coupled in the support tube 9 and elastically biased upward to contact and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cup C, 상기 컵받침(8)에 상기 다이어프램(10)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고정되며 상기 다이어프램(10)과의 접촉여부에 의해 온/오프 되는 터치스위치(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음료배출장치.And a touch switch (12) fixed to the diaphragm (1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being turned on / off by contact with the diaphragm (10) Discharge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컵도어 개폐수단이,Wherein the cup door opening / 상기 본체에 지지되는 안테나 모터(14)로 구성되고, 그 안테나(15)의 선단에 컵받침(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핀(1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음료 배출장치.And an antenna motor (14) supported by the main body and a hinge pin (16) rotatably coupled to the cup support (8) at the tip of the antenna (15) Devic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안테나 모터(14)가 상기 동작표시 램프(5)의 점등 중에는 동작되지 않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음료 배출장치.Wherein the antenna motor (14) is controlled so as not to be operated during lighting of the operation display lamp (5).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컵받침(8)이 상기 컵도어(6)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음료 배출장치.Characterized in that the cup support (8)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up door (6).
KR1019960033704A 1996-08-14 1996-08-14 Drinking device of vending machine KR1998001464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3704A KR19980014642A (en) 1996-08-14 1996-08-14 Drinking device of vend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3704A KR19980014642A (en) 1996-08-14 1996-08-14 Drinking device of vending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642A true KR19980014642A (en) 1998-05-25

Family

ID=66250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3704A KR19980014642A (en) 1996-08-14 1996-08-14 Drinking device of vend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464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8735A (en) Dispensing arrangement for a beverage such as a milkshake
JPH0710190A (en) Drink feeder
KR19990007036A (en) vending machine
JP6141404B2 (en) Dispenser with retention system for receptacles of different sizes
US4872402A (en) Carafe-operated coffee brewing system
AU2018276338B2 (en) System for detecting a filter holder in a dispensing assembly of a coffee machine.
JPS61244794A (en) Drink distribu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9980014642A (en) Drinking device of vending machine
GB2271048A (en) Revolving dispenser of vending machine
US2810407A (en) Non-foaming self-cleaning automatic beverage dispenser
US4610375A (en) Refrigerator door with drink dispenser
US2754081A (en) Coffee dispensers
KR20030060379A (en) Vending machine
KR0170159B1 (en) Icecream selling machine
KR100346401B1 (en) The regulatory structure and method of the amount of storaged ice for refrigerators
KR200162569Y1 (en) Ejecting device of assembly rack in the vending machine
KR200360786Y1 (en) apparatus of sensing cup in a automatic vending machine
JP2003162766A (en) Beverage dispenser
CN116250724B (en) Beverage preparation device
JPS589346Y2 (en) Vending machine product delivery device
KR0138265Y1 (en) Cup Dispenser Support Structure of Vending Machine
JP2002279520A (en) Cup type automatic vending machine
KR200205131Y1 (en) Sales apparatus of a noddle and coffee vending machine
KR200245351Y1 (en) A cup weight detecting device of ball type ice-cream vending machine
JP2596904Y2 (en) Coin remaining amount det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