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0113U - 차단기의 안전셔터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차단기의 안전셔터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0113U
KR19980010113U KR2019960023450U KR19960023450U KR19980010113U KR 19980010113 U KR19980010113 U KR 19980010113U KR 2019960023450 U KR2019960023450 U KR 2019960023450U KR 19960023450 U KR19960023450 U KR 19960023450U KR 19980010113 U KR19980010113 U KR 199800101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shutter
breaker
rotatably fixed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34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37961Y1 (ko
Inventor
김규환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20199600234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961Y1/ko
Publication of KR199800101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01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9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9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01H71/52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comprising a cradle-mechanism

Landscapes

  • Trip Switchboards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차단기의 안전셔터 개폐장치는 차단기가 투입되면서 본체 양측에 형성된 롤러에 의해 눌러지도록 크레들의 하부 양측에 설치한 누름대와, 그 누름대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제1링크와, 그 제1링크의 단부에 설치되며 일측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아래로 회전하며 열리도록 한 하부셔터와, 상기 제1링크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제2링크와, 그 제2링크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중심에 회전축을 형성한 제3링크와, 그 제3링크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4링크와, 그 제4링크의 단부에 설치되며 일측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위로 회전하며 열리도록 한 상부셔터로 구성되어, 안전셔터를 회전식으로 개폐함으로써 공간상의 제약을 해결하며, 동작의 확실성을 기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차단기의 안전셔터 개폐장치
본 고안은 진공 차단기(VCB; Vacuum Circuit Breaker)의 안전셔터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공차단기는 정상부하 개폐 및 사고전류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Arc)를 진공 용기(Vauum Interrupter) 내에서 소호시켜 신속하게 회로를 분리시키는 회로 및 기기보호용 기기이다. 이때 아크소호를 밀폐된 용기내의 진공중에서 실행하므로 진공차단기라 한다. 이 진공차단기는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고압 교류차단기 중의 하나이며 미주 및 동남아, 일본등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정격전압별로 3kV에서 36kV 까지의 다양한 기종을 갖고 있으며, 본 고안의 진공차단기는 세계 특허기술인 2절링크 개페장치를 이용한 진공차단기로써 개폐조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차단성능 및 개폐수명을 대폭 증강시킨 차단기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차단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능에 따라 크게 주회로부(10)와, 기구부(20)와, 보조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주회로부는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우선 전류 차단부가 있다. 차단기의 구성 요소중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써 접점을 구성하는 주변 요소이다. 접점은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으로 구성되며 가동접점은 차단기의 기계가동부와 연동되어 차단기가 '온' 상태일 때에는 가동접점은 고정접점과 접촉되어 있고 접촉저항에 의해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억제하지 않도록 가동접점면에 충분한 압력이 걸리도록 하고 있다. 한편, 차단시에는 가동접점은 적당한 속도로 적당한 차단거리까지 분리된다. 다음으로 절연부가 있다. 고압전류가 흐르는 도전부는 전기적으로 대지와 절연되어야 하며 가동접점이 열려 있을 때에는 동상(同相) 극간도 절연되어 있어야 하며 특히 상간의 절연이 필요하다. 이러한 절연기능을 갖고 있는 것이 절연부로써 통상 에폭시 몰드(Epoxy Mold) 또는 비엠시(BMC) 수지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소호장치가 있다. 차단기의 접점개폐 및 사고전류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Arc)를 소호하는 부분으로 진공차단기의 경우 진공 인터럽터(Vacuum Interrupter)를 말한다.
다음으로 기구부(20)가 있다. 차단기의 접점을 여닫는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기계적인 메카니즘을 말하며 차단기 전면에 구성되어 있는 모든 작동장치를 말한다.
마지막으로 보조장치가 있다. 차단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하여 필요한 부속장치로써 제어장치, 인터록(Interlock) 장치, 인출장치, 안전셔터 개폐장치(30) 등을 말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은 접속단자를 나타내고, 50은 크레들을 나타낸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차단기의 안전셔터 개폐장치는 기구부의 하단부에 설치한 걸림턱(34)과, 그 걸림턱에 의해 차단기가 전진할때 들어 올려지는 작동바(35)와, 그 작동바의 단부에 설치된 힌지(36)와, 그 힌지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바의 동작으로 상, 하부셔터(31)(32)를 동시에 위로 올리게 되는 셔터지지대(3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안전셔터 개폐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차단기의 투입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 1에 보인 바와, 부싱(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이 상부셔터(31)와 하부셔터(32)에 의해 가려져 있는 상태이고, 상기 상부셔터와 하부셔터는 셔터지지대(33)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셔터지지대의 하단부는 힌지(36)로 형성되어 작동바(35)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때 차단기가 투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차단기가 전진을 하게 되면 기구부의 하단부 일측에 설치한 걸림턱(34)이 작동바(35)를 밀면서 들어올리게 되어, 그 작동바의 단부에 설치된 힌지(36)에 의해 셔터지지대(33)가 올려지게 되고, 셔터지지대가 올려짐으로써 부싱을 막고 있던 상,하부셔터(31)(32)가 동시에 위로 올려지게 되어, 셔터가 열린상태에서 주회로부(10)의 부스바(12)의 단부에 설치한 접속단자(11)가 부싱내에 삽입되게 된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차단기의 안전셔터 개폐장치는 안전셔터(31)(32)의 개폐경로가 수직으로 이루어져 있어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는 바, 본 고안의 목적은 안전셔터를 회전식으로 개폐함으로써 공간상의 제약을 해결하며, 동작의 확실성을 기하도록 한 차단기의 안전셔터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차단기의 안전셔터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은 안전셔터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안전셔터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차단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차단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차단기의 안전셔터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차단기의 안전셔터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일측 정면도.
도 7은 도 6의 'A'부 확대도.
도 8은 도 6의 'B'부 확대도.
도 9은 도 6의 'C'부 확대도.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차단기의 안전셔터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0은 안전셔터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안전셔터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 상부셔터 42; 하부셔터
43; 누름대44; 지지축
46; 제1링크 48; 제1힌지
49; 제2링크61; 제1힌지
63; 제3링크64; 제3힌지
65; 제4링크66; 제4힌지
71, 72; 코일스프링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단기가 투입되면서 본체 양측에 형성된 롤러에 의해 눌러지도록 크레들의 하부 양측에 설치한 누름대와, 그 누름대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제1링크와, 그 제1링크의 단부에 설치되며 일측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아래로 회전하며 열리도록 한 하부셔터와, 상기 제1링크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제2링크와, 그 제2링크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중심에 회전축을 형성한 제3링크와, 그 제3링크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4링크와, 그 제4링크의 단부에 설치되며 일측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위로 회전하며 열리도록 한 상부셔터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차단기의 안전셔터 개폐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차단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차단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차단기의 안전셔터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차단기의 안전셔터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일측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A'부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6의 'B'부 확대도이며, 도 9은 도 6의 'C'부 확대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차단기의 안전셔터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0은 안전셔터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1은 안전셔터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를 각각 보인 것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단기의 안전셔터 개폐장치는 부싱(52)을 구비한 크레들(50)과, 차단기가 투입되면서 기구부(20)의 본체 양측에 형성된 롤러(21)에 의해 눌러지도록 크레들의 하판(53) 양측에 설치한 누름대(43)와, 그 누름대의 단부에 설치한 누름대 힌지(45)와, 그 힌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제1링크(46)와, 그 제1링크의 단부에 설치되며 일측의 제1회전축(47)을 중심으로 아래로 회전하며 열리도록 한 하부셔터(42)와, 상기 제1링크(46)의 단부에 설치한 제1힌지(48)와, 그 제1힌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제2링크(49)와, 그 제2링크의 단부에 설치한 제2힌지(61)와, 그 제2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중심에 제2회전축(62)을 형성한 제3링크(63)와, 그 제3링크의 단부에 설치한 제3힌지(64)와, 그 제3힌지(6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4링크(65)와, 그 제4링크의 단부에 설치한 제4힌지(66)와, 그 제4힌지에 설치되며 일측의 제3회전축(67)을 중심으로 위로 회전하며 열리도록 한 상부셔터(41)로 구성된다.
상기 제2회전축(62)과 제3링크에 탄성부재인 코일스프링(71)을 개재하여 제3링크(63)에 복원력을 갖도록 한다.
상기 상부셔터(41)와 일측의 제3회전축(67)에 탄성부재인 코일스프링(72)으 개재하여 상부셔터(41)에 복원력을 갖도록 한다.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 하였으며, 도면중 미설명 부호 54는 크레들의 측판을 나타내고, 73은 상부셔터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축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차단기의 안전셔터 개폐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단기의 바퀴(95)를 크레들(50)의 바퀴 가이드에 일치시킨후 차단기 전면의 손잡이를 이용하여 차단기를 천천히 이동시킨다. 차단기의 상태를 확인한 후 인터록을 해제한 후 차단기를 운전위치로 이동할때 안전셔터가 열린다. 안전셔터의 개페동작을 상술하면, 기구부 본체의 하부 양측에 설치한 롤러(21)에 의해 지지축(44)을 중심으로 크레들의 하판에 고정된 누름대(43)를 누르게 된다. 눌려진 누름대에 의해 제1링크(46)가 아래로 이동하고, 이 제1링크가 이동하므로 하부셔터(42)가 제1회전축(47)을 중심으로 아래로 회전하면서 열리게 되고, 상기 하부셔터(42)와 연결된 제2링크(49)의 동작으로 제3링크(63)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이 제3링크의 회전으로 제4링크(65)를 밀어 올려 상부셔터(41)를 제3회전축(67)을 중심으로 위로 회전시키면서 열게 된다. 한편 차단기를 후진하여 누름대(43)에서 제거하였을 때는 제2회전축(62) 및 제3회전축(67)에 개재된 코일스프링(71)(72)의 복원력에 의해 상부셔터(41) 및 제3링크(63)를 복원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링크연결된 모든 부재가 원위치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단기의 안전셔터 개폐장치는 차단기가 투입되면서 본체 양측에 형성된 롤러에 의해 눌러지도록 크레들의 하부 양측에 설치한 누름대와, 그 누름대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제1링크와, 그 제1링크의 단부에 설치되며 일측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아래로 회전하며 열리도록 한 하부셔터와, 상기 제1링크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제2링크와, 그 제2링크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중심에 회전축을 형성한 제3링크와, 그 제3링크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4링크와, 그 제4링크의 단부에 설치되며 일측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위로 회전하며 열리도록 한 상부셔터로 구성되어, 안전셔터를 회전식으로 개폐함으로써 공간상의 제약을 해결하며, 동작의 확실성을 기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크레들의 하부에 설치한 누름대와, 상기 누름대의 일측에 설치하여 누름대와 연동하도록 한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의 동작에 의해 상, 하부로 회전하면서 개폐하도록 한 상부셔터와, 하부 셔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안전셔터 개폐장치.
  2. 차단기의 본체 양측에 형성된 롤러에 의해 눌러지도록 크레들의 하부 양측에 설치한 누름대와, 그 누름대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한 제1링크와, 그 제1링크의 단부에 설치되며 일측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아래로 회전하며 열리도록 한 하부셔터와, 상기 제1링크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한 제2링크와, 그 제2링크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중심에 회전축을 구비한 제3링크와, 그 제3링크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제4링크와, 그 제4링크의 단부에 설치되며 일측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위로 회전하며 열리도록 한 상부셔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안전셔터 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링크와 중심의 회전축에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제3링크에 복원력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안전셔터 개폐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셔터와 일측의 회전축에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상부셔터에 복원력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안전셔터 개폐장치.
KR2019960023450U 1996-08-01 1996-08-01 차단기의 안전셔터 개폐장치 KR01379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3450U KR0137961Y1 (ko) 1996-08-01 1996-08-01 차단기의 안전셔터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3450U KR0137961Y1 (ko) 1996-08-01 1996-08-01 차단기의 안전셔터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0113U true KR19980010113U (ko) 1998-05-15
KR0137961Y1 KR0137961Y1 (ko) 1999-04-01

Family

ID=19463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3450U KR0137961Y1 (ko) 1996-08-01 1996-08-01 차단기의 안전셔터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96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3112A1 (ko) * 2021-07-22 2023-01-26 엘에스일렉트릭 (주) 셔터 어셈블리, 락킹장치, 배전반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KR20230015154A (ko) * 2021-07-22 2023-01-31 엘에스일렉트릭(주) 셔터 어셈블리, 락킹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3112A1 (ko) * 2021-07-22 2023-01-26 엘에스일렉트릭 (주) 셔터 어셈블리, 락킹장치, 배전반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KR20230015154A (ko) * 2021-07-22 2023-01-31 엘에스일렉트릭(주) 셔터 어셈블리, 락킹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7961Y1 (ko) 199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4203B1 (ko) 컨택트 온 기구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KR100996806B1 (ko) 모터 보호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JPH0119313Y2 (ko)
KR0137961Y1 (ko) 차단기의 안전셔터 개폐장치
US6653918B1 (en) Operating mechanism for autorecloser with series disconnector
KR100885849B1 (ko) 컨택트 온 기구를 가지는 배선용 차단기
KR900006125Y1 (ko) 다극회로 차단기
US5864109A (en) Terminal connection locking apparatus for vacuum circuit breaker
KR200148664Y1 (ko) 차단기의 인출방지장치
KR20130094779A (ko) 개폐 스위칭 기능을 포함한 스위치 차단기용 드라이브
KR100480389B1 (ko) 인출형 회로차단기의 인터록장치
KR19990055497A (ko) 진공차단기용 포지션 스위치
CA2255391C (en) Disconnect feature for interrupter
CA1251496A (en) Circuit breaker contact arm with variable force pivot
KR200224238Y1 (ko) 진공차단기의재투입방지장치
US4614851A (en) Contact sequencing arrangement for rotary double break switch
KR200152575Y1 (ko) 고압전류 차단기의 마이크로 스위치 작동 장치
KR100732508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압트립장치
JPH0220741Y2 (ko)
KR870001297Y1 (ko) 진공 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GB2380859A (en) Mechanical actuator for switches
RU2346351C2 (ru) Дифференциальный переключатель, содержащий испытательную схему
KR200224239Y1 (ko) 배선용차단기의가동접촉자회동범위제한장치
KR200377717Y1 (ko) 1상용 전압 변압기에 내장된 단로기 구조
KR200156758Y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