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63534B1 - Smart-charging and expandable using dispenser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 Google Patents
Smart-charging and expandable using dispenser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63534B1 KR102763534B1 KR1020240023752A KR20240023752A KR102763534B1 KR 102763534 B1 KR102763534 B1 KR 102763534B1 KR 1020240023752 A KR1020240023752 A KR 1020240023752A KR 20240023752 A KR20240023752 A KR 20240023752A KR 102763534 B1 KR102763534 B1 KR 1027635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rging
- dispenser
- electric vehicle
- mode
- main charg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60 trigge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2—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 response to charging parameters, e.g. current, voltage or electrical char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7—Controlling two or more charging st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외부에서 동작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복수의 동작 모드 간을 전환 조작가능한 디스플레이부, 전기차에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채널, 전체 충전 과정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 외부와 충전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는 메인 통신부, 전력계통으로부터 메인 충전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전기차에 공급되는 충전 전력으로 변환하는 파워 모듈, 을 포함하는 메인 충전기를 포함할 수 있고, 메인 충전기는 상기 채널에 연결된 전기차의 배터리 충전상태(SOC)에 기초해 충전 속도를 조절하는 일체 모드로 충전될 수 있다.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charger including a display unit that can be operated to switch between a plurality of operation modes by selecting one of the operation modes from the outside, a channel that supplies charging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a main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entire charging process, a main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and receives charging-related information with the outside, and a power module that converts power supplied to the main charger from a power system into charging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main charger may be charged in an integrated mode that controls a charging speed based on a state of charge (SOC) of a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connected to the channel.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차의 SOC에 기초한 스마트 출력이 가능하며, 디스펜서를 이용해 복수의 전기차 충전으로 확장가능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capable of smart output based on the SOC of the electric vehicle and expandable to charge multiple electric vehicles using a dispenser.
기존에는 전기차의 배터리 충전상태(SOC)에 따라 전기차의 충전 전력을 조절하거나, 디스펜서를 이용해 메인 충전기의 채널수 이상의 복수의 전기차를 충전하는 각각에 대한 전기차 충전기에 대한 것이 기존 문헌의 대다수이다. Most of the existing literature has been about individual electric vehicle chargers that control the charging power of electric vehicles according to the state of charge (SOC) of the electric vehicle's battery or charge multiple electric vehicles using a dispenser more than the number of channels of the main charger.
예를 들어, 1대 N 방식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주차면에 위치한 전기차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충전을 수행하는 N개의 디스펜서, N개의 디스펜서에 각각 직류 전압 및 불연성 냉매가스를 공급하는 전기 공급 장치, 그리고 상기 N개의 디스펜서 및 상기 전기 공급 장치와 네트워크 연결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 대한 출원번호 10-2020-0188771 건 등과 같이 복수의 디스펜서를 이용한 건들이나, 충전되는 전기차의 SOC 정보를 제공받아 이상 전압을 보정하거나 완속 충전시간을 단축하려는 출원번호 1020210074874, 출원번호 1020200127832, 등과 같이 전기차 SOC 정보를 이용해 제어/충전 방법 등에 이용하려는 특허는 각각 다수 개시된 상태이다. For example, in a 1:N typ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there are many patents that utilize multiple dispensers, such as application number 10-2020-0188771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including N dispensers individually connected to electric vehicles located in multiple parking spaces to perform electric charging, an electric supply device that supplies DC voltage and non-flammable refrigerant gas to each of the N dispensers, and a control server connected to the N dispensers and the electric supply device through a network, or application numbers 1020210074874 and 1020200127832 that attempt to use electric vehicle SOC information for control/charging methods, etc., by receiving SOC information of an electric vehicle to correct abnormal voltage or shorten a slow charging time.
본 발명은 충전되는 전기차의 SOC 정보에 기초해 충전 전력을 조정하는 스마트 충전하면서도, 메인 충전기로부터 연결되는 디스펜서를 이용해 충전되는 전기차의 대수를 확장가능한 전기차 충전기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electric vehicle charger that can adjust charging power based on SOC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being charged, while being capable of expanding the number of electric vehicles being charged using a dispenser connected from a main charger.
본 발명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외부에서 동작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복수의 동작 모드 간을 전환 조작가능한 디스플레이부, 전기차에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채널, 전체 충전 과정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 외부와 충전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는 메인 통신부, 전력계통으로부터 메인 충전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전기차에 공급되는 충전 전력으로 변환하는 파워 모듈, 을 포함하는 메인 충전기를 포함할 수 있고, 메인 충전기는 상기 채널에 연결된 전기차의 배터리 충전상태(SOC)에 기초해 충전 속도를 조절하는 일체 모드로 충전될 수 있다.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charger including a display unit that can be operated to switch between a plurality of operation modes by selecting one of the operation modes from the outside, a channel that supplies charging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a main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entire charging process, a main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and receives charging-related information with the outside, and a power module that converts power supplied to the main charger from a power system into charging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main charger may be charged in an integrated mode that controls a charging speed based on a state of charge (SOC) of a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connected to the channel.
본 발명은 충전 상황에 따라, 전기차 SOC에 기초해 스마트 충전하는 일체 모드 및 디스펜서를 이용해 충전되는 전기차 대수를 늘리거나 충전되는 시간대를 지연가능한 확장 모드 간을 전환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switch between an integrated mode for smart charging based on the SOC of an electric vehicle and an extended mode for increasing the number of electric vehicles being charged using a dispenser or delaying the charging time period, depending on the charging situ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SOC 정보 기초 충전 방법과 디스펜서를 이용한 충전 대수 확장을 조합해, 메인 충전기의 채널을 이용한 일체 모드, 메인 충전기와 디스펜서를 이용한 동시 모드, 복수의 디스펜서를 이용한 순차 모드 등을 전환하며 개선된 충전 효율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improved charging efficiency by combining the existing SOC information-based charging method with the expansion of the charging number using a dispenser, thereby switching between an integrated mode using the channel of the main charger, a simultaneous mode using the main charger and the dispenser, and a sequential mode using multiple dispensers.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의 전체적인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운영 서버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마트 충전을 이용한 일체 모드의 실시 예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마트 충전을 이용한 일체 모드의 충전속도 분류에 대한 일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체 모드 및 확장 모드에 대한 실시 예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메인 충전기와 디스펜서들을 이용한 모드 설명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1대의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의 일 실시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2대의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의 일 실시 예이다. Figure 1 is a general description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including an operating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examples of an integrated mode using smart charg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ample of classification of charging speed in an integrated mode using smart charg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shows examples of the integrated mode and extended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mode using the main charger and dispenser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mbodiment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including one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mbodiment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including two dispenser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8을 이용해, 본 발명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Using FIGS. 1 to 8,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본 발명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메인 충전기(100), 디스펜서(200), 또는 운영 서버(9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charger (100), a dispenser (200), or an operation server (90).
메인 충전기(100)와 디스펜서(200)는 전력계통으로부터 공급된 메인 충전기(100)에 공급된 전력을 전기차(10:11,12,13,14)에 공급되는 충전 전력으로 변환하는 파워 모듈(160) 유무에 따라 분별될 수 있고, 나머지 구성요소는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The main charger (100) and the dispenser (200) can be distinguished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ower module (160) that converts the power supplied to the main charger (100) from the power grid into charging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10:11,12,13,14), and the remaining components can be configured identically or similarly.
도 1에 따르면, 예를 들어, 메인 충전기(100)와 디스펜서(200)는 디스플레이부, 채널, 제어부, 통신부 등을 공통적인 구성 요소로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상태부(140), 모드 선택부(150) 또는 충전속도 분류부(180) 등은 메인 충전기(100)에 포함되는 것으로 편의상 설명하나, 이들 중 적어도 일부만 디스펜서(200)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본 명세서 설명하는 내용이 확장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충전기(100)와 디스펜서(200)의 가장 큰 차이는 파워 모듈(160)의 존재로 인한 종속성이다. According to FIG. 1, for example, the main charger (100) and the dispenser (200) may include a display unit, a channel, a control unit, a communication unit, etc. as common components. The charging status unit (140), the mode selection unit (150), or the charging speed classification unit (180) are conveniently described as being included in the main charger (100), but even if at least some of them are installed in the dispenser (200), 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expanded and applied. Therefore,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the main charger (100) and the dispenser (200) is the dependency due to the existence of the power module (160).
메인 충전기(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채널(120), 메인 제어부(130), 메인 통신부(170), 충전 상태부(140), 모드 선택부(150), 파워 모듈(160), 및 충전속도 분류부(18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charger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isplay unit (110), a channel (120), a main control unit (130), a main communication unit (170), a charging status unit (140), a mode selection unit (150), a power module (160), and a charging speed classification unit (180).
디스펜서(200)는 메인 충전기(100)로부터 충전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가능한 전기차(10)의 대수를 확장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 편의상 메인 충전기(100)와 디스펜서(200) 모두 2개의 채널이 마련된 경우로 설명하나, 메인 충전기(100)와 디스펜서(200)의 채널수가 달라지는 경우로도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기(100)의 채널수는 2개로 2구의 충전 케이블이 마련되며, 디스펜서(200)의 채널수는 4개로 4개의 충전 케이블이 구비될 수 있다. The dispenser (200) can receive charging power from the main charger (100) and can have a function of expanding the number of electric vehicles (10) that can be charged. In this specifica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described that both the main charger (100) and the dispenser (200) are provided with two channels, but the number of channels of the main charger (100) and the dispenser (200) can also be expanded to a case where they are different. For example, the number of channels of the charger (100) is two, and two charging cables are provided, and the number of channels of the dispenser (200) is four, and four charging cables are provided.
디스플레이부(110)는 충전기 사용자 또는 충전기 운영자가 외부에서 터치패널 등을 통해 조작가능하며, 충전기 사용자나 운영자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동작 모드 또는 충전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설정하는 등의 방식으로 복수의 동작 모드 간, 또는 충전 모드 간을 전환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10) can be operated externally by a charger user or charger operator through a touch panel, etc., and the charger user or operator can switch between multiple operation modes or charging modes by selecting or setting one of the operation modes or charging modes through the display unit (110).
채널(120)은 전기차(10)에 연결되어 충전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채널(120)은 충전 케이블(350), 충전 케이블(350)이 메인 충전기(100)의 본체와 연결되는 인렛과 아울렛, 충전 케이블(350)의 전력을 개폐하는 딜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충전기(100)의 제1 채널(121), 제1 디스펜서(201)의 제1 채널(221a), 및 제2 디스펜서(202)의 제1 채널(222a) 등은 A 그룹으로 분류되는 등, 메인 충전기(100)와 디스펜서(200) 간의 전력 전송 관계에서 채널과 충전 케이블은 상황에 따라 혼용될 수 있다. The channel (120) can be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10) to supply charging power. The channel (120) can include a charging cable (350), an inlet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charging cable (35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of the main charger (100), a delay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ower of the charging cable (350), etc. The first channel (121) of the main charger (100), the first channel (221a) of the first dispenser (201), and the first channel (222a) of the second dispenser (202) are classified as group A, and thus, in the power transmission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charger (100) and the dispenser (200), the channel and the charging cable can be used interchangeably depending on the situation.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 편의상, 메인 충전기(100) 및 디스펜서(200)에 각각 2개의 채널이 마련되는 경우를 예로드나, 채널의 개수가 1개인 경우나 3개 이상으로 확장되는 경우에도 확장적용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 example is given where two channels are provided for each of the main charger (100) and the dispenser (200), but the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cases where the number of channels is one or expanded to three or more.
메인 제어부(130)는 본 발명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의 전체 충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30)는 외부의 운영 서버(90)로부터 충전기 제어 관련 지령을 하달받을 수 있고, 운영 서버(90)의 지령에 따라 모드 간을 전환할 수 있다. The main control unit (130) can control the entire charging ope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control unit (130) can receive commands related to charger control from an external operation server (90) and can switch between modes according to the commands of the operation server (90).
도 2로부터, 운영 서버(90)는 물론 하나의 메인 충전기(100)가 설치된 충전 스팟을 관리할 수 있으나 이격된 복수의 충전 스팟의 복수의 메인 충전기(100)를 관리하는데 효과적이다. 운영 서버(90)가 없는 경우는 물론 운영 서버(90)가 구비된 경우에도 자체적으로 전기차 충전 시스템 전체를 제어가능한 메인 제어부(130)가 요구될 수 있다. 통신 두절 등의 이유로 메인 충전기(100)와 운영 서버(90) 간의 통신이 원할치 않게되면 로컬 자동 운전 모드로 전환되며, 메인 제어부(130)는 통신 두절동안 기존에 운영된 충전 로직(충전 방식, 충전 모드 등)에 따라 자체적으로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다. From Fig. 2, the operation server (90) can manage a charging spot where one main charger (100) is installed, but it is also effective in managing multiple main chargers (100) of multiple charging spots that are spaced apart. Even when the operation server (90) is not present, a main control unit (130) that can control the entir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by itself may be required. If communication between the main charger (100) and the operation server (90) becomes unsatisfactory due to reasons such as communication failure, the system switches to a local automatic driving mode, and the main control unit (130) can operate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by itself according to the charging logic (charging method, charging mode, etc.) that was previously operated during the communication failure.
메인 통신부(170)는 외부의 운영 서버(90) 또는 디스펜서 통신부(140) 등과 통신선(330)을 통해 정보를 상호 송수신할 수 있다. The main communication unit (170) can exchange information with an external operation server (90) or dispenser communication unit (140) through a communication line (330).
통신선(330)은, 메인 충전기(100)와 선순위 디스펜서(201) 간의 제1 통신선(331), 메인 충전기(100)와 후순위 디스펜서(202) 간의 제2 통신선(332), 디스펜서(201,201) 간의 제3 통신선(333), 메인 충전기(100)와 운영 서버(90) 간의 제4 통신선(33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메인 통신부(170)는 LAN 케이블을 통한 RS485, CAN, Modbus, Ethernet 등의 유무선 통신을 통해 운영 서버(90)와 통신하거나(334), 디스펜서 통신부(140)와 통신할 수 있다(331,332). The communication line (3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irst communication line (331) between the main charger (100) and the first-priority dispenser (201), a second communication line (332) between the main charger (100) and the second-priority dispenser (202), a third communication line (333) between the dispensers (201, 201), and a fourth communication line (334) between the main charger (100) and the operation server (90). That is, the main communication unit (170) may communicate with the operation server (90) (334) or communicate with the dispenser communication unit (140) vi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RS485, CAN, Modbus, or Ethernet via a LAN cable (331, 332).
메인 충전기(100)의 디스플레이부(110)나 디스펜서(200)의 디스플레이부(210)에 모드 선택 등의 조작이 이루어지면, 메인 통신부(170), 디스펜서 통신부(240) 등 간에 정보 송수신에 의해 어떤 모드로 할지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를 통한 조작이 없더라도 충전 케이블(350)을 전기차(10)에 연결하면 그 상황에 맞게 설정된 모드로 충전됨을 해당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알리거나, 그 상황에 맞는 충전 케이블 또는 채널 연결 방법을 공지해주고 그대로 충전할지 여부를 제시할 수 있다. When a mode selection operation, etc. is performed on the display unit (110) of the main charger (100) or the display unit (210) of the dispenser (200), the mode to be used can be determined by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main communication unit (170), the dispenser communication unit (240), etc. In addition, even if there is no oper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when the charging cable (350)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10), the display unit can notify that charging is performed in a mode set according to the situation, or the charging cable or channel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ituation can be notified and a suggestion can be made as to whether to charge as is.
일 실시 예로, 본 발명은 디스펜서(200)에 연결된 전기차(10)가 없고 메인 충전기(100)로만 충전되는 경우 해당 전기차(10)의 배터리 충전상태(SOC, State Of Charging)에 기초해 스마트 충전하는 일체 모드(S100)로 충전될 수 있는데, 메인 충전기(100)와 디스펜서(200)가 구비된 충전 스팟에서 사용자가 메인 충전기(100)에 충전하는 전기차(10)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디스펜서(200)에 충전을 시도하는 경우, 메인 제어부(130), 디스펜서 제어부(230), 또는 운영 서버(90)는 일체 모드(S100) 대신에 확장 모드(S200)로 충전이 진행되며, 이 경우 일체 모드(S100)와 비교해 충전 전력이 낮아 충전 완료 예상 시간이 다소 지연될 수 있다는 점을 비교 제시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rged in an integrated mode (S100) that is based on the battery state of charge (SOC, State Of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10) when there is no electric vehicle (10) connected to the dispenser (200) and charging is performed only with the main charger (100). However, when a user attempts to charge the dispenser (200) at a charging spot equipped with the main charger (100) and the main charger (100), even though there is no electric vehicle (10) to be charged with the main charger (100), the main control unit (130), the dispenser control unit (230), or the operation server (90) proceeds with charging in an extended mode (S200) instead of the integrated mode (S100). In this case, it can be compared that the charging power is lower compared to the integrated mode (S100), and thus the expected charging completion time may be somewhat delayed.
즉, 디스플레이부(110,210)를 통한 조작이 없더라도 메인 충전기(100) 또는 디스펜서(200)의 채널(120,220)에 전기차(10)가 연결되면, 그 연결 상황에 따른 기설정된 동작 모드로 충전됨을 디스플레이부(110,2210)를 통해 표시하거나, 그 연결 상황에 따른 채널 연결 방법을 고지하거나 추천할 수 있다. That is, even if there is no oper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110, 210), when the electric vehicle (10) is connected to the channel (120, 220) of the main charger (100) or dispenser (200), charging in a preset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tatus can be indicated through the display unit (110, 2210), or a channel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tatus can be notified or recommended.
순차 모드(S220) 또는 순차 충전의 경우, 그룹핑된 채널(120,220) 그룹 내에서 적어도 하나가 충전중인 상태이면, 디스플레이부(110,210)를 통한 설정변경은 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10,210)를 통한 설정변경은 그룹핑된 채널(120,220) 그룹 내 모든 충전기의 상태가 충전 대기 상태인 경우에만 가능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sequential mode (S220) or sequential charging, if at least one of the grouped channels (120, 220) is in a charging state, the setting change through the display unit (110, 210) may not be made. In other words, the setting change through the display unit (110, 210) may be possible only when the status of all chargers in the grouped channel (120, 220) is in a charging standby state.
한편 동시 모드(S210) 또는 동시 충전의 경우, 그룹핑된 제1 채널 그룹 또는 제2 채널 그룹 내 적어도 어느하나가 충전중인 상태이면 120kW(메인 충전기(100)의 총 충전 용량을 채널수로 나눈 값)로 충전될 수 있고, 제1 채널 그룹 또는 제2 채널 그룹 내 적어도 2대가 충전 중이면 메인 충전기(100)와 디스펜서(200)(또는 선순위 디스펜서(201))는 각각 80kW(최고충전속도와 최저충전속도 사이) 및 40kW(각 채널 충전 속도중 최저충전속도)로 충전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case of simultaneous mode (S210) or simultaneous charging, if at least one of the grouped first channel group or second channel group is being charged, it can be charged at 120 kW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total charging capacity of the main charger (100) by the number of channels), and if at least two units in the first channel group or second channel group are being charged, the main charger (100) and the dispenser (200) (or the priority dispenser (201)) can be charged at 80 kW (between the highest charging speed and the lowest charging speed) and 40 kW (the lowest charging speed among the charging speeds of each channel), respectively.
또한, 동시 모드(S210) 또는 동시 충전의 경우, 메인 충전기(100)의 디스플레이부(110) 및 디스펜서(200)의 디스플레이부(200) 중에서 어느 하나에서 동시 충전 모드 선택이 이루어지면, 자동적으로 나머지도 동시 모드로 전환되며, 나머지의 디스플레이부에서도 동시 충전 또는 동시 모드로 충전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simultaneous mode (S210) or simultaneous charging, if simultaneous charging mode selection is made on one of the display unit (110) of the main charger (100) and the display unit (200) of the dispenser (200), the remaining ones are automatically switched to simultaneous mode, and the remaining display units can also display that they are being charged in simultaneous charging or simultaneous mode.
순차 충전으로 설정된 디스펜서들(201,202)의 디스플레이부(211,212) 중에서 어느 하나(201)의 디스플레이부(211)에서 순차 충전 조작이 이루어지면, 자동적으로 나머지 디스펜서(202)도 순차 모드로 전환되며, 나머지 디스펜서(202)의 디스플레이부(212)에서도 순차 충전 또는 순차 모드로 충전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When a sequential charging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display unit (211) of one (201) among the display units (211, 212) of the dispensers (201, 202) set to sequential charging, the remaining dispensers (202) are also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sequential mode, and the display units (212) of the remaining dispensers (202) can also display that they are being charged in sequential charging or sequential mode.
충전 상태부(140)는 메인 충전기(100) 또는 디스펜서(200)에 연결된 전기차(10)의 배터리 충전상태(SOC)를 수집하여 메인 제어부(130) 또는 디스펜서 제어부(230)로 전송할 수 있다. SOC 정보 교환은 충전 케이블(350)의 연결과 함께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무선 통신 장비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harging status unit (140) can collect the battery state of charge (SOC) of an electric vehicle (10) connected to the main charger (100) or dispenser (200) and transmit it to the main control unit (130) or dispenser control unit (230). The SOC information exchange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connection of the charging cable (350) or through separate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충전 방법의 일 실시 예로, 일체 모드(S100)는 SOC 정보에 기초한 스마트 충전을 하나, 확장 모드(S200)는 SOC 정보에 기초한 스마트 충전을 하지 않고 별도의 충전 방식을 이용하므로, 충전 상태부(140)는 일체 모드(S100)에서만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버스 회사의 충전 스팟에서 전기 버스를 밤새도록 충전하는 경우, 일반적인 전기차 충전 스팟의 급속 충전과 같이 빠른 충전이 대다수인 것과 비교해 전기 버스 충전의 경우 밤새도록 충전되어 다음날 오전까지만 충전완료되면 충분하므로, 디스펜서(200)에 의해 확장된 복수의 전기 버스마다 충전 상태부(140)가 동작하며 정보를 교환하는데 들어가는 전력을 줄이거나 시간 지연도 방지할 수 있다. As an example of a charging method, the integrated mode (S100) performs smart charging based on SOC information, while the extended mode (S200) does not perform smart charging based on SOC information but uses a separate charging method, so that the charging status unit (140) can only operate in the integrated mode (S100). For example, in the case of charging an electric bus overnight at a charging spot of an electric bus company, compared to rapid charging at general electric vehicle charging spots, which are mostly fast charging, in the case of electric bus charging, it is sufficient to charge overnight and complete charging by the next morning, so that the charging status unit (140) operates for each of a plurality of electric buses extended by the dispenser (200), and the power required to exchange information can be reduced or time delays can be prevented.
유사한 이유로, 본 발명은 복수의 디스펜서(200) 간에 병렬로 동급 충전을 하는것이 아니라 설정된 디스펜서(200) 순서대로 순차로 충전을 하는데, 이때도 연결된 전기차(10)의 SOC 정보에 기초하는 것이 아니라 선순위 전기차(10)의 충전 완료를 트리거로하여 선순위 전기차(10)가 충전 완료되면 그다음 후순위 전기차(10) 또는 디스펜서(200)의 충전이 시작될 수 있다. For similar reasons,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harge in parallel between multiple dispensers (200) but sequentially charges the dispensers (200) in the set order. At this time, it is not based on the SOC information of the connected electric vehicle (10), but rather, when the charging comple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0) with a higher priority is triggered, and when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10) with a higher priority is completed,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10) with a lower priority or the dispenser (200) can begin.
파워 모듈(160)은 메인 충전기(100)에 포함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 등의 본 발명의 모드들에 대한 실시 예들에서, 개당 40kW 용량의 파워 모듈(160)이 6개 마련된 경우로 편의상 설명하나, 파워 모듈(160)의 용량이나 개수가 변경되어도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내용은 확장적용될 수 있다. The power module (160) may be included in the main charger (100). In the embodiments of the modes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those of FIGS. 3 and 5, it is convenient to explain that six power modules (160) with a capacity of 40 kW each are provided, but 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expanded and applied even if the capacity or number of the power modules (160) is changed.
모드 선택부(150)는 충전기 사용자나 운영자가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모드 중 하나를 설정하면, 일체 모드(S100), 확장 모드(S200), 동시 모드(S210), 순차 모드(S220) 등의 본 발명의 충전 모드 간을 그 충전 상황에 적절하게 전환할 수 있고,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충전기 사용자나 운영자에게 나타낼 수 있다. When a user or operator of a charger sets one of the modes through the display unit (110), the mode selection unit (150) can switch between charging modes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an integrated mode (S100), an extended mode (S200), a simultaneous mode (S210), and a sequential mode (S220), appropriately depending on the charging situation, and can display the result to the user or operator of the charger through the display unit (110).
또한, 충전기 사용자나 운영자가 직접 모드를 선택하지 않더라도, 사용자 편의를 위해 충전기 사용자가 메인 충전기(100)의 채널(120) 또는 디스펜서(200)의 채널(220) 중 하나에 자신의 전기차(10)를 충전을 위해 연결하면, 메인 제어부(130), 디스펜서 제어부(230), 또는 운영 서버(90) 등은 자동적으로 그 충전 상황에 맞는 모드로 설정하여 충전을 진행하며,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충전기 사용자에게 나타낼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f the charger user or operator does not directly select the mode, when the charger user connects his or her electric vehicle (10) to one of the channels (120) of the main charger (100) or the channel (220) of the dispenser (200) for charging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the main control unit (130), the dispenser control unit (230), or the operation server (90) automatically sets the charging to a mode appropriate for the charging situation and proceeds with charging, and the result can be displayed to the charger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110).
전기차 충전 시스템의 충전 모드는 일체 모드(S100) 또는 확장 모드(S200)를 포함할 수 있고, 확장 모드(S200)는 동시 모드(S210) 또는 순차 모드(S2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harging mode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may include an integrated mode (S100) or an extended mode (S200), and the extended mode (S200) may include a simultaneous mode (S210) or a sequential mode (S220).
일체 모드(S100)는 디스펜서(200)가 마련되지 않고 메인 충전기(100)만 구비된 경우이거나, 디스펜서(200)가 마련되었으나 디스펜서(200)에 충전하려는 전기차(10)가 연결되지 않아 메인 충전기(100)로만 충전기 이루어지는 경우일 수 있다. The integrated mode (S100) may be a case where only the main charger (100) is provided and no dispenser (200) is provided, or a case where the dispenser (200) is provided but the electric vehicle (10) to be charged is not connected to the dispenser (200), so that only the main charger (100) is used as a charger.
한편 디스펜서 확장 모드(S200)는 디스펜서(200)가 구비되거나, 디스펜서(200)에 충전하려는 전기차(10)가 연결되어 메인 충전기(100)로부터 충전 전력이 디스펜서(200)로 공급되는 경우일 수 있다. Meanwhile, the dispenser expansion mode (S200) may be a case where a dispenser (200) is provided or an electric vehicle (10) to be charged is connected to the dispenser (200) and charging power is supplied to the dispenser (200) from the main charger (100).
일체 모드(S100)에서는 전기차(10)의 SOC 정보에 기초해 스마트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고, 확장 모드(S200)에서는 연결된 전기차(10)의 SOC 정보와 무관하게 기설정된 충전 전력이 디스펜서(200) 또는 전기차(10)로 공급될 수 있으며, 동시 모드(S210)는 메인 충전기(100)와 선순위로 지정된 디스펜서(201) 간의 충전 방식일 수 있고, 순차 모드(S220)는 메인 충전기(100), 선순위 디스펜서(201) 및 후순위 디스펜서(202) 간의 충전 방식일 수 있다. 즉, 순차 모드(S220)에서는 복수의 디스펜서 간에 시계열적 충전 순위가 설정될 수 있다. In the integrated mode (S100), smart charging can be performed based on the SOC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0), in the extended mode (S200), preset charging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dispenser (200) or the electric vehicle (10) regardless of the SOC information of the connected electric vehicle (10), the simultaneous mode (S210) can be a charging method between the main charger (100) and a dispenser (201) designated as a priority, and the sequential mode (S220) can be a charging method between the main charger (100), a priority dispenser (201), and a lower priority dispenser (202). That is, in the sequential mode (S220), a time-series charging priority can be set between a plurality of dispensers.
도 3 및 도 4에 따라 스마트 충전을 이용한 일체 모드(S100)에 대해 설명한다. An integrated mode (S100) using smart charging is described according to FIGS. 3 and 4.
충전 상태부(140)는 전기차(10)의 SOC를 기준치를 이용해 복수의 SOC 구간으로 분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0%, 80%의 2개 기준치를 이용하면 40%이하, 40 내지 80%, 80% 이상의 3구간으로 분별될 수 있고, 메인 충전기(100)에 2개의 충전 채널(120)이 설치된 경우 2개 채널의 각 3구간에 따라, 9가지의 실시 예로 분별될 수 있다. 확장하면, 메인 충전기(100)에 2개의 채널(120)별로 각각 N-1 개의 기준치와 M-1 개의 기준치로 분별되는 경우, 각각 N 개의 구간과 M 개의 구간으로 분별될 수 있고, N * M 개의 실시 예로 분별될 수 있다. 메인 충전기(100)의 채널도 L개로 확장될 수 있다.)N,M,L은 자연수) 이러한 실시예들 각각을 채널 동작 모드라고 할 수 있다. 즉, 메인 제어부(130)는 메인 충전기(110)의 채널별(120)로 연결된 전기차(10)의 SOC 구간을 상호 비교하여 각 채널(120)에 공급되는 충전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The charging status unit (140) can divide the SOC of the electric vehicle (10) into multiple SOC sections using a reference value. For example, if two reference values of 40% and 80% are used, the SOC can be divided into three sections of 40% or less, 40 to 80%, and 80% or more, and if two charging channels (120) are installed in the main charger (100), the SOC can be divided into nin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three sections of the two channels, respectively. In expanded form, if the main charger (100) is divided into N-1 reference values and M-1 reference values for each of the two channels (120), the SOC can be divided into N sections and M sections, respectively, and can be divided into N * M embodiments. The number of channels of the main charger (100) can also be expanded to L. (N, M, L are natural numbers.) Each of these embodiments can be referred to as a channel operation mode. That is, the main control unit (130) can compare the SOC sections of electric vehicles (10) connected to each channel (120) of the main charger (110) to determine the charging power supplied to each channel (120).
도 3의 표 내부의 각 실시 예들의 숫자는 도 4에 따른 충전속도일 수 있다. 표의 첫번째 줄의 (a),(b),(c)은 도 2의 (a),(b),(c)에 대응할 수 있다. The numbers of each embodiment in the table of Fig. 3 may be the charging speed according to Fig. 4. (a), (b), and (c) in the first row of the table may correspond to (a), (b), and (c) of Fig. 2.
충전속도 분류부(180)는 메인 충전기(100)의 파워 모듈(160)의 구성에 따라 충전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0kW 용량의 파워 모듈(160)이 6개 마련된 경우, 충전속도 분류부(180)는 각 파워 모듈(160)의 용량별로 충전 속도를 소정의 단위시간에 따라 제1 단계(저속,40kW), 제2 단계(중속,80kW), 제3 단계(표준,120kW), 제4 단계(고속,160kW), 제5 단계(초고속,200kW) 등으로 분별할 수 있다. 여기서 파워 모듈(160) 전부가 모두 on되는 240kW의 속도(*)는 제외될 수 있다.The charging speed classification unit (180) can determine the charging spe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ower module (160) of the main charger (100). For example, if six power modules (160) with a capacity of 40 kW are provided, the charging speed classification unit (180) can classify the charging speed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each power module (160) into a first stage (low speed, 40 kW), a second stage (medium speed, 80 kW), a third stage (standard, 120 kW), a fourth stage (high speed, 160 kW), a fifth stage (ultra high speed, 200 kW), etc., based on a predetermined unit time. Here, the speed of 240 kW (*) in which all power modules (160) are turned on can be excluded.
이와 같이, 하나의 채널(120)에만 전기차(10)가 연결되는 경우에도 메인 충전기(100)의 전체 충전 용량을 전부 사용치 않고, 그 전 단계(예를 들어 제5 단계)의 충전 속도로만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 전기차(10)의 SOC 구간에 따라 충전 전력이 전혀 공급되지 않는 경우를 상정하지 않고 최소한 가장 낮은 단계(제1 단계)이상의 충전 속도로 충전할 수 있다. 즉, 충전속도 분류부(180)는 충전 속도 설정시 파워 모듈(160) 전부가 ON되는 경우는 제외시킬 수 있고, 적어도 1개 이상의 상기 파워 모듈(160)이 ON되는 경우를 최저 충전 속도로 설정할 수 있다. 메인 충전기(100)의 채널(120)에 공급되는 충전 전력은 적어도 최저 충전 속도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In this way, even when the electric vehicle (10) is connected to only one channel (120), the entire charging capacity of the main charger (100) may not be fully used, and charging may be performed only at the charging speed of the previous stage (e.g., stage 5).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assume a case in which no charging power is supplied at all according to the SOC section of each electric vehicle (10), and can charge at a charging speed of at least the lowest stage (stage 1). That is, the charging speed classification unit (180) may exclude a case in which all of the power modules (160) are turned ON when setting the charging speed, and may set a case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power modules (160) is turned ON as the lowest charging speed. The charging power supplied to the channel (120) of the main charger (100) may be set to at least the lowest charging speed or higher.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전기차(11)의 충전중 제2 전기차(12)가 충전하려는 경우, 복수의 전기차(11,12 etc.)의 SOC를 상호 비교하여 저속, 고속 등의 충전 속도를 결정하는 특징을 가질 수 있고, 파워 모듈(160) 전체가 off되는 충전 속도 0인 단계 및 파워 모듈(160) 전체가 on되는 충전 속도 최대인 단계로는 충전하지 않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a feature of determining a charging speed such as low speed or high speed by comparing the SOCs of multiple electric vehicles (11, 12, etc.) when a second electric vehicle (12) is to be charged while the first electric vehicle (11) is being charged, and can have a feature of not charging at a stage where the charging speed is 0 and the charging speed is maximum and the power modules (160) are all turned on.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충전속도 분류부(180)는 파워 모듈(160) 1개 단위별로 충전 속도를 결정한 것이나, 파워 모듈(160) 2개 이상 단위 등으로 충전 속도를 분별하는 기준은 달라질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harging speed classification unit (180) determines the charging speed for each unit of power module (160), but the standard for distinguishing the charging speed for units of two or more power modules (160) may be different.
채널(121,122)에 연결된 전기차(10) 간의 SOC 를 비교해, 상대적으로 SOC가 낮을수록 상대적으로 더 높은 충전 속도로 충전될 수 있고, 즉 상대적으로 높은 SOC의 전기차는 상대적으로 더 낮은 충전 속도로 충전될 수 있다. By comparing the SOC between electric vehicles (10) connected to channels (121, 122), an electric vehicle with a relatively lower SOC can be charged at a relatively higher charging speed, i.e., an electric vehicle with a relatively higher SOC can be charged at a relatively lower charging speed.
각 채널별 SOC 별 구간의 개수가 동일하다면, SOC 구간의 일치하는 전기차 간에는 동일한 충전 속도로 충전될 수 있다. 이때의 동일한 충전 속도는 메인 충전기(100)의 파워 모듈(160)을 전부 합친 전체 용량(240kW)의 절반(120kW)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절반은 L개의 채널로 구성되는 경우 전체 용량을 L로 나눈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If the number of sections for each SOC channel is the same, electric vehicles with matching SOC sections can be charged at the same charging speed. At this time, the same charging speed can be set to half (120 kW) of the total capacity (240 kW) of all power modules (160) of the main charger (100). Half can be set to the total capacity divided by L if it consists of L channels.
정리하면, 메인 제어부(130)는 메인 충전기(100)의 채널별(120)로 연결된 전기차(100의 SOC 구간을 상호 비교하여 각 채널(120)에 공급되는 충전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SOC 구간이 상대적으로 낮은 채널은 상대적으로 더 높은 충전 속도로 충전될 수 있고, SOC 구간이 상대적으로 높은 채널은 상대적으로 더 낮은 충전 속도로 충전될 수 있으며, SOC 구간이 서로 일치하는 채널은 동일한 충전 속도로 충전될 수 있다. In summary, the main control unit (130) can compare the SOC sections of electric vehicles (100) connected to each channel (120) of the main charger (100) with each other to determine the charging power supplied to each channel (120). A channel with a relatively lower SOC section can be charged at a relatively higher charging speed, a channel with a relatively higher SOC section can be charged at a relatively lower charging speed, and channels with matching SOC sections can be charged at the same charging speed.
도 5는 2개의 디스펜서(201,202)가 구비된 본 발명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 모드 또는 충전 모드(150)를 나타낸다. 확장 모드(S200)의 실시 예들(E1 내지 E10)을 이용해, 동시 모드(S210)와 순차 모드(S220)에 대해 설명한다. Fig. 5 shows the overall operation mode or charging mode (150)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equipped with two dispensers (201, 202). Using examples (E1 to E10) of the extended mode (S200), the simultaneous mode (S210) and the sequential mode (S220) are described.
실시 예 E1 내지 E8은 동시 모드(S210)의 설명에 이용될 수 있고, 실시 예 E8 내지 E10은 순차 모드(S220)의 설명에 이용될 수 있다. Embodiments E1 to E8 can be used to describe the simultaneous mode (S210), and embodiments E8 to E10 can be used to describe the sequential mode (S220).
동시 모드(S210)는 메인 충전기(100)와 디스펜서(200) 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동시이나 동시 충전(power sharing)의 의미는 순차 모드와 비교해 선순위로 설정된 것의 충전 완료 이후에 충전되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충전 전력이 분배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Simultaneous mode (S210) can be implemented between the main charger (100) and the dispenser (200). Simultaneous charging (power sharing) may mean that charging is performed by distributing charging power simultaneously rather than charging after the charging of the one set to priority is completed compared to sequential mode.
반면 순차 모드(S220)는 기설정된 순위를 가지는 복수의 디스펜서(200) 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순차의 의미는 동시 모드와 비교해 선순위로 설정된 제1 디스펜서(201)에 연결된 제1 전기차(11)의 충전이 완전히 완료되면, 후순위로 설정된 제2 디스펜서(202)에 연결된 제2 전기차(12)의 충전이 시작된다는 것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quential mode (S220) can be implemented between multiple dispensers (200) having preset priorities. The meaning of the sequential mode may be that when the charging of the first electric vehicle (11) connected to the first dispenser (201) set to a higher priority is completely completed compared to the simultaneous mode, the charging of the second electric vehicle (12) connected to the second dispenser (202) set to a lower priority begins.
1개의 디스펜서(200)가 마련되는 경우, 메인 충전기(100)와 디스펜서(200) 간의 동시 모드(S210)만 수행될 수 있다.(E1 내지 E10)When one dispenser (200) is provided, only the simultaneous mode (S210) between the main charger (100) and the dispenser (200) can be performed. (E1 to E10)
복수의 디스펜서(200)가 구비되는 경우, 동시 모드(S210)와 순차 모드(S220)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E8 내지 E10). 동시 모드(S210)는 메인 충전기(100)와 선순위로 설정된 제1 디스펜서(201) 간에 이루어질 수 있고(E8), 상대적으로 후순위로 설정된 제2 디스펜서(202)는 충전되지 않고 대기할 수 있다. 선순위 제1 디스펜서(201)에 연결된 제1 전기차(11)의 충전이 완료되면, 후순위 제2 디스펜서(202)에 연결된 제2 전기차(12)의 충전이 시작될 수 있다(E9). 실시 예 E10은 E9에서 메인 충전기(100)에 연결된 전기차들의 충전이 모두 완료되거나, 후순위인 제2 디스펜서(202)에만 전기차가 충전하는 경우일 수 있다. When a plurality of dispensers (200) are provided, the simultaneous mode (S210) and the sequential mode (S220)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E8 to E10). The simultaneous mode (S210) can be performed between the main charger (100) and the first dispenser (201) set as a priority (E8), and the second dispenser (202) set as a relatively lower priority can stand by without being charged. When the charging of the first electric vehicle (11) connected to the first dispenser (201) of the higher priority is completed, the charging of the second electric vehicle (12) connected to the second dispenser (202) of the lower priority can start (E9). Embodiment E10 can be a case where the charging of all electric vehicles connected to the main charger (100) is completed at E9, or the electric vehicle is charged only by the second dispenser (202) of the lower priority.
도 5로부터 디스펜서(201,202)가 구비되지 않거나, 디스펜서(201,202)로 충전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메인 충전기(100)만으로 SOC 정보에 기초해 스마트 충전되는 일체 모드(S100)가 동작될 수 있다. From Fig. 5, if the dispenser (201, 202) is not provided or charging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dispenser (201, 202), an integrated mode (S100) that is smartly charged based on SOC information using only the main charger (100) can be operated.
디스펜서(200)에 전기차(10)가 연결되면, 디스펜서 확장 모드(S200)로 전환되며, 스마트 충전의 일체 모드(S100)는 중단될 수 있다. When an electric vehicle (10) is connected to the dispenser (200), it switches to the dispenser expansion mode (S200) and the integrated mode (S100) of smart charging can be stopped.
E1은 메인 충전기(100)에만 전기차(10)가 연결된 경우로, 디스펜서(200)가 연결된 경우에도 메인 충전기(100)에만 충전이 이루어지는 경우 스마트 충전의 일체 모드(S100)가 진행될 수 있으나, 운영자 설정에 따라서는 디스펜서(200)의 충전이 예상되는 경우 등에서 메인 충전기(100)에만 충전이 진행되더라도 일체 모드(S100)가 아니라 확장 모드(S200)가 수행되도록 메인 제어부(130) 또는 디스펜서 제어부(230)를 설정할 수 있다. E1 is when the electric vehicle (10) is connected only to the main charger (100). Even when the dispenser (200) is connected, if charging is performed only at the main charger (100), the integrated mode (S100) of smart charging can be performed. However, depending on the operator settings, the main control unit (130) or the dispenser control unit (230) can be set so that the extended mode (S200) is performed instead of the integrated mode (S100) even if charging is performed only at the main charger (100), such as when charging of the dispenser (200) is expected.
상기 실시 예도 개당 40kW의 충전 용량을 가지는 파워 모듈(160) 6개가 구비된 경우일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충전기(100)의 전체 용량은 240 kW이며, 메인 충전기(100)만 충전이 되거나(E1), 디스펜서(201)만 충전이 되는 경우 메인 충전기(100)의 총 용량(240kW)의 절반(120kW)의 충전 속도로 충전될 수 있다. The above embodiment may also be a case where six power modules (160) each having a charging capacity of 40 kW are provided. In this case, the total capacity of the main charger (100) is 240 kW, and when only the main charger (100) is charged (E1), or when only the dispenser (201) is charged, charging can be performed at a charging speed of half (120 kW) of the total capacity (240 kW) of the main charger (100).
확장 모드(S200)로 운영되도록 설정된 경우가 아니라면, 확장 모드(S200)가 기본 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메인 충전기(100)만 충전되는 경우, 메인 제어부(130)는 자동적으로 스마트 충전의 일체 모드(S100)로 전환하여 충전할 수 있다. If only the main charger (100) is charged while the extended mode (S200) is set to the default state, the main control unit (130) can automatically switch to the integrated mode (S100) of smart charging to charge, unless it is set to operate in the extended mode (S200).
반면 확장 모드(S200)로 운영되도록 설정된 경우라면, 메인 제어부(130)는 해당 메인 충전기(100)는 현재 확장 모드(S200)로 설정되어 있음을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지하거나, 모드 선택을 통해 스마트 충전을 이용한 일체 모드(S100)로 전환가능함을 공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set to operate in the extended mode (S200), the main control unit (130) can notify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110) that the main charger (100) is currently set to the extended mode (S200), or can notify that it can be switched to the integrated mode (S100) using smart charging through mode selection.
이는 1대만 충전되는 경우에도 일체 모드(S100)의 경우와 확장 모드(S200)의 경우 충전 속도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the charging speed may be set differently in integrated mode (S100) and extended mode (S200) even when only one device is being charged.
예를 들어, 1대만 충전되더라도 일체 모드(S100)의 경우, 파워 모듈(160)이 모두 ON 출력되는 것을 최고 충전 속도로하지 않으며, 파워 모듈(160)이 모두 ON되는 가능한 최대 충전 속도(또는 최대 충전 용량)를 제외한 그 이전 단계(예를 들어 제5 단계,초고속,200kW)를 최대 충전 속도 단계로 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integrated mode (S100), even if only one unit is charged, the maximum charging speed is not set when all power modules (160) are turned ON, and the previous stage (e.g., stage 5, ultra-high speed, 200 kW) excluding the maximum possible charging speed (or maximum charging capacity) when all power modules (160) are turned ON can be set as the maximum charging speed stage.
반면, 1대만 충전되더라도 확장 모드(S200)의 경우, 각 채널별로 메인 충전기(100)의 최대 충전 용량(최대 충전 속도)(240kW)의 절반(120kW)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절반은 L개의 채널로 구성되는 경우 전체 용량을 L로 나눈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extended mode (S200), even if only one unit is charged, the maximum charging capacity (maximum charging speed) (240 kW) of the main charger (100) for each channel can be set to half (120 kW). Here, half can be set to the total capacity divided by L if it consists of L channels.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해, 확장 모드(S200)와 각 채널별로 그룹핑에 대해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S. 6 to 8, the extended mode (S200) and grouping for each channel are described.
도 6은 각 채널별 그루핑(A그룹, B그룹 등)에 대한 것이고, 도 7은 1대의 디스펜서(200)가 마련된 경우이며, 도 8은 2대의 디스펜서(201,202)가 구비된 경우를 나타낸다. Figure 6 shows grouping by channel (group A, group B, etc.), Figure 7 shows a case where one dispenser (200) is provided, and Figure 8 shows a case where two dispensers (201, 202) are provided.
도 7의 (a)는 도 5의 실시예 중 E6에 대응하며(도 5는 디스펜서 2대인 경우를 전체적으로 표로 정리한 것으로 1대인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E6'은 1대만 구비된 경우란 의미로 사용), (b)는 E8에 대응할 수 있다. Figure 7 (a) corresponds to E6 in the embodiment of Figure 5 (Figure 5 is a table that summarizes the case of two dispensers as a whole, and may also include the case of one dispenser. E6' is used to mean the case of only one dispenser), and (b) may correspond to E8.
도 8은 전기 버스와 같이 충전 용량이 높아 충전 케이블(350) 2구를 필요로 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도 5의 실시예 E8에서 E9로 넘어가는 순차 모드(S220)에 대응할 수 있다. Fig. 8 shows a case where two charging cables (350) are required due to a high charging capacity, such as an electric bus, and can correspond to the sequential mode (S220) moving from embodiment E8 to E9 of Fig. 5.
본 발명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메인 충전기(100)와 디스펜서(200) 간의 각 채널별로 그룹핑을 할 수 있고, 각 그룹별로만 충전 전력이 분배되도록 할 수 있다.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group each channel between the main charger (100) and the dispenser (200), and distribute charging power only to each group.
예를 들어, 메인 충전기(100)와 디스펜서(201,202)에 2개의 채널이 구비된 경우, 메인 충전기(100)의 제1 채널(121), 제1 디스펜서(201)의 제1 채널(221a), 및 제2 디스펜서(202)의 제1 채널(222a)는 제1 그룹 또는 A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메인 충전기(100)의 제2 채널(122), 제1 디스펜서(201)의 제2 채널(221b), 및 제2 디스펜서(202)의 제2 채널(222b)는 제2 그룹 또는 B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main charger (100) and the dispensers (201, 202) are equipped with two channels, the first channel (121) of the main charger (100), the first channel (221a) of the first dispenser (201), and the first channel (222a) of the second dispenser (202) may form a first group or group A. Similarly, the second channel (122) of the main charger (100), the second channel (221b) of the first dispenser (201), and the second channel (222b) of the second dispenser (202) may form a second group or group B.
즉, A 그룹은 A 그룹을 이루는 채널끼리만 충전 전력을 분배하며, B 그룹은 B 그룹을 이루는 채널끼리만 충전 전력을 분배할 수 있다.That is, group A can distribute charging power only between the channels forming group A, and group B can distribute charging power only between the channels forming group B.
각 채널 그룹(A,B)은 연결부(310)에 의해 그룹 내부적으로 충전 전력이 분배될 수 있다. 즉, 각 디스펜서들(201,202)은 병렬로 동등하게 연결되어 딜레이에 의해 그 충전 전력 전송이 조절될 수도 있지만, 각 채널 그룹(A,B)별로 구비된 연결부(311,312)에 의해 충전 전력이 조절될 수 있다. Each channel group (A, B) can distribute charging power internally by the connection part (310). That is, each dispenser (201, 202) can be equally connected in parallel so that the charging power transmission can be controlled by delay, but the charging power can be controlled by the connection part (311, 312) provided for each channel group (A, B).
전력선(320)은 메인 충전기(100)와 충전 선순위인 제1 디스펜서(201)를 연결하는 전력선(321,323), 또는 연결부(311,312) 등을 통해 상기 전력선(321,323)으로부터 분기되어 충전 후순위인 제2 디스펜서(202)에 연결되는 전력선(322,32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ower line (320) may include a power line (321, 323) connecting the main charger (100) and the first dispenser (201) with the charging priority, or a power line (322, 324) branched from the power line (321, 323) through a connection part (311, 312) and connected to the second dispenser (202) with the charging priority.
연결부(310)는 전력선(320) 또는 통신선(330) 연결에 이용될 수 있다. The connecting portion (310) can be used to connect a power line (320) or a communication line (330).
연결부(310)는 일 실시 예로, 데이지 체인 연결(daisy chain connection) 방식으로 복수의 디스펜서(200) 간의 충전 전력을 분배할 수 있다. 제1 디스펜서와 제2 디스펜서를 연결하고, 제2 디스펜서와 제3 디스펜서를 연속하여 연결하는 버스 결선 방식일 수 있다. 이 경우 입력 커넥터와 출력 커넥터의 구분없이 전력망 또는 통신망을 구축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각 구성요소의 추가 및 해체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으며, 복수의 디스펜서를 메인 충전기의 단일 이더넷 잭에 연결할 수 있고, 각 디스펜서 간의 거리가 먼 경우에도 활용가능하며, 경제적인 RS485 통신을 이용하는 대부분의 Modbus 장비에 적합할 수 있고, 신호왜곡 등의 통신불량을 일어키는 반사파 또는 노이즈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The connection part (310) can distribute charging power between a plurality of dispensers (200) in a daisy chain connection, as an example. It can be a bus connection method that connects a first dispenser and a second dispenser, and connects the second dispenser and a third dispenser in series. In this case, energy can be saved by constructing a power grid or a communication network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input connectors and output connectors, and the addition and disassembly work of each component can be facilitated, a plurality of dispensers can be connected to a single Ethernet jack of the main charger, and can be utilized even when the distance between each dispenser is far, and can be suitable for most Modbus equipment that uses economical RS485 communication, and can reduce the occurrence of reflected waves or noise that cause communication failures such as signal distortion.
제1 디스펜서(201)의 제1 채널(221a)과 제2 디스펜서(202)의 제1 채널(222a)에 전기차(10)가 충전을 위해 연결되며 제1 디스펜서(201)가 제2 디스펜서(202)보다 충전 선순위로 설정된 경우, 메인 충전기(100)의 제1 채널(121)로 공급된 충전 전력은 제1 전력선(321)을 따라 선순위 제1 디스펜서(201)의 제1 채널(221a)로 공급될 수 있다. 제1 채널(221a)에 연결된 전기차(10)의 충전이 완료되면 제1 전력선(321)에서 공급되는 충전 전력은 제2 전력선(322)을 통해 후순위 제2 디스펜서(202)의 제1 채널(222a)로 공급될 수 있다. When an electric vehicle (10) is connected to the first channel (221a) of the first dispenser (201) and the first channel (222a) of the second dispenser (202) for charging and the first dispenser (201) is set to have a charging priority over the second dispenser (202), the charging power supplied to the first channel (121) of the main charger (100) can be supplied to the first channel (221a) of the first dispenser (201) with a higher priority along the first power line (321). When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10) connected to the first channel (221a) is completed, the charging power supplied from the first power line (321) can be supplied to the first channel (222a) of the second dispenser (202) with a lower priority through the second power line (322).
마찬가지로, 제1 디스펜서(201)의 제2 채널(221b)과 제2 디스펜서(202)의 제2 채널(222b)에 전기차(10)가 충전을 위해 연결되며 제1 디스펜서(201)가 제2 디스펜서(202)보다 충전 선순위로 설정된 경우, 메인 충전기(100)의 제2 채널(122)로 공급된 충전 전력은 제3 전력선(323)을 따라 선순위 제1 디스펜서(201)의 제2 채널(221b)로 공급될 수 있다. 제2 채널(221b)에 연결된 전기차(10)의 충전이 완료되면 제3 전력선(323)에서 공급되는 충전 전력은 제4 전력선(324)을 통해 후순위 제2 디스펜서(202)의 제2 채널(222b)로 공급될 수 있다. Similarly, when an electric vehicle (10) is connected for charging to the second channel (221b) of the first dispenser (201) and the second channel (222b) of the second dispenser (202), and the first dispenser (201) is set to have a charging priority over the second dispenser (202), the charging power supplied to the second channel (122) of the main charger (100) can be supplied to the second channel (221b) of the first dispenser (201) with a higher priority along the third power line (323). When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10) connected to the second channel (221b) is completed, the charging power supplied from the third power line (323) can be supplied to the second channel (222b) of the second dispenser (202) with a lower priority through the fourth power line (324).
이와 같이, 메인 충전기(100)의 채널(120) 및 디스펜서(200)의 채널(220)은 그룹핑될 수 있고, 그룹핑된 채널 간에는 충전 전력을 상호 분배하지 않고 각 채널 그룹에 속한 채널끼리만 충전 전력을 상호 분배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channel (120) of the main charger (100) and the channel (220) of the dispenser (200) can be grouped, and the charging power can be set to be mutually distributed only between the channels belonging to each channel group without mutually distributing the charging power between the grouped channels.
확장 모드(S200)의 충전 속도와 일체 모드(S100)의 충전 속도 비교를 위해, 도 5 내지 도 8에서 편의상 파워 모듈(160)별로 충전 속도를 분별할 수 있다. 1개 파워 모듈(160)이 ON된 경우를 가장 낮은 충전 속도인 제1 단계(40kW)라 할 수 있고, 총 6개의 파워 모듈(160) 중 절반인 3개가 각 채널로 나뉘며, 2개의 파워 모듈(160)의 ON되는 경우를 제2 단계(80kW)라 할 수 있고, 3개의 파워 모듈(160)이 모두 ON 되는 최대 충전 속도인 제3 단계(120kW)라 할 수 있다. In order to compare the charging speed of the extended mode (S200) with the charging speed of the integrated mode (S100), the charging speed can be conveniently distinguished for each power module (160) in FIGS. 5 to 8. The case where one power module (160) is turned on can be referred to as the first stage (40 kW), which is the lowest charging speed, and the case where half of the total six power modules (160), three, are divided into each channel and two power modules (160) are turned on can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stage (80 kW), and the case where all three power modules (160) are turned on can be referred to as the third stage (120 kW), which is the maximum charging speed.
SOC 정보에 기초한 일체 모드(S1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충전 속도의 분류 개수나 파워 모듈(160) 간의 연동은 1개 단위가 아닌 복수 파워 모듈(160) 단위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As in the case of the integrated mode (S100) based on SOC information, the number of classifications of charging speeds or the linkage between power modules (160) can be performed in units of multiple power modules (160) rather than in a single unit.
이와 같이, 확장 모드(S200)의 충전 속도는 일체 모드(S100)와 비교해, 파워 모듈(160)이 전부 OFF되는 0의 충전 속도를 상정하지 않는 점은 동일하다. 즉, 실시 예 E6와 같이 메인 충전기(100)와 선순위 디스펜서(201)가 동시에 충전되는 경우(S210), 메인 충전기(100)의 제1 채널(121)은 제2 단계(80kW)로 충전되며 제1 디스펜서(201)의 제1 채널(221a)는 제1 단계(40kW)로 충전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charging speed of the extended mode (S200) is the same as that of the integrated mode (S100) in that it does not assume a charging speed of 0 in which all power modules (160) are turned off. That is, in the case where the main charger (100) and the priority dispenser (201) are charged simultaneously (S210) as in Example E6, the first channel (121) of the main charger (100) can be charged in the second stage (80 kW) and the first channel (221a) of the first dispenser (201) can be charged in the first stage (40 kW).
여기서 동시 모드(S210)의 경우에도 메인 충전기(100)의 충전 속도가 디스펜서(201)의 충전 속도보다 빠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전기 버스 충전 스팟과 같이 당장 급속 충전이 필요하지 않고, 밤새 주차해두는 전기 버스(10)의 특성상 디스펜서(200)를 이용해 확장 충전되는 전기 버스(10)는 충전이 더 지연되어도 상관없는 경우에 더 바람직할 수 있다. Here, even in the case of simultaneous mode (S210), the charging speed of the main charger (100) can be set faster than the charging speed of the dispenser (201). This may be more desirable in cases where rapid charging is not required immediately, such as at an electric bus charging spot, and where the electric bus (10) is parked overnight and extended charging using the dispenser (200) is acceptable even if the charging is delayed further.
각 채널별로 메인 충전기(100)의 전체 충전 용량을 채널 개수로 나눈 충전 전력만 공급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고, 각 채널에 분배된 파워 모듈(160)을 전부 ON한 가능한 최대/최고 충전 속도(최대/최고 충전 용량)을 충전 속도 최대치로 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확장 모드(S200)에서는 채널별로 파워 모듈(160)을 분배하므로, 일체 모드(S100)와 같이 다른 채널에 추가로 충전하려는 전기차가 0의 속도로 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1대만 충전하는 경우에도 가능한 최대 충전 속도보다 한단계 낮은 충전 속도로 충전할 필요가 없기 때문일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 E6 및 E7으로부터, 메인 충전기(100)가 디스펜서(200)에 무조건 우선하는 것이 아니라 채널별로 충전 전력이 별개로 분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only the charging power which is the total charging capacity of the main charger (100) divided by the number of channels is supplied for each channel, and the maximum/highest charging speed (maximum/highest charging capacity) possible when all the power modules (160) distributed to each channel are turned ON is set as the maximum charging speed. In the expansion mode (S200), the power modules (160) are distributed for each channel, so that, like in the integrated mode (S100), there is no need to charge at a charging speed that is one step lower than the maximum possible charging speed even when only one vehicle is charged, in order to prevent an electric vehicle that is to be additionally charged in another channel from being charged at a speed of 0. From the embodiments E6 and E7 of FIG. 5, it can be seen that the main charger (100) does not unconditionally take priority over the dispenser (200), but that the charging power is distributed separately for each channel.
10,11,12,13,14... 전기차 90... 운영 서버
100... 메인 충전기 110... 디스플레이부
120... 채널 121... 제1 채널
122... 제2 채널 130... 메인 제어부
140... 충전 상태부 150... 모드 선택부
160... 파워 모듈 170... 메인 통신부
180... 충전속도 분류부 200... 디스펜서
201... 제1 디스펜서 202... 제2 디스펜서
210,211,212... 디스플레이부 220... 채널
221a,221b... 제1 채널 222a,222b... 제2 채널
230... 디스펜서 제어부 240... 디스펜서 통신부
310,311,312... 연결부 320,321,322,323,324... 전력선
330,331,332,333,340... 통신선
350,351,352,353,354,355,356... 충전 케이블
S100... 일체 모드 S200... 확장 모드
S210... 동시 모드 S220... 순차 모드10,11,12,13,14... Electric car 90... Operating server
100... Main charger 110... Display part
120... Channel 121... Channel 1
122... 2nd channel 130... Main control unit
140... Charging status section 150... Mode selection section
160... Power module 170... Main communication unit
180... Charging speed classification 200... Dispenser
201... 1st dispenser 202... 2nd dispenser
210,211,212... Display section 220... Channel
221a,221b... Channel 1 222a,222b... Channel 2
230... Dispenser control unit 240... Dispenser communication unit
310,311,312... connector 320,321,322,323,324... power line
330,331,332,333,340... communication lines
350,351,352,353,354,355,356... charging cable
S100... All-in-one mode S200... Extended mode
S210... Simultaneous mode S220... Sequential mode
Claims (19)
상기 메인 충전기로부터 충전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가능한 전기차의 대수를 확장하는 디스펜서;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에 연결된 전기차가 없고 상기 메인 충전기로만 충전되는 경우, 상기 메인 충전기에 연결된 전기차의 배터리 충전상태(SOC)에 기초해 충전 전력을 조절하는 일체 모드로 충전되며,
상기 디스펜서에서 충전이 시작되면, 전기차의 SOC와 무관하게 기설정된 충전 전력으로 상기 메인 충전기 및 디스펜서에 연결된 전기차를 충전하는 확장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메인 충전기에 충전하는 전기차가 없음에도 상기 디스펜서에 충전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일체 모드로부터 확장 모드로 전환되며, 상기 일체 모드와 비교해 충전 전력이 낮거나 충전 완료 예상 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비교 제시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A main charger including a channel for supplying charging power to an electric vehicle and a power module for converting power supplied from a power grid into charging power supplied to an electric vehicle;
A dispenser that supplies charging power from the main charger to expand the number of electric vehicles that can be charged;
If there is no electric vehicle connected to the above dispenser and charging is only done with the main charger, charging is done in an integrated mode that adjusts the charging power based on the battery state of charge (SOC) of the electric vehicle connected to the main charger.
When charging starts from the above dispenser, it switches to an extended mode that charges the electric vehicle connected to the main charger and dispenser with a preset charging power regardless of the SOC of the electric vehicle.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that switches from the integrated mode to the extended mode when charging is attempted at the dispenser even though there is no electric vehicle to be charged at the main charger, and provides a comparison that the charging power is lower or the expected charging completion time is delayed compared to the integrated mode.
상기 확장 모드는 상기 메인 충전기와 디스펜서 간의 동시 충전되는 동시 모드 또는 복수의 디스펜서 간에 순차로 충전되는 순차 모드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extended mode i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including a simultaneous mode in which charging is performed simultaneously between the main charger and the dispenser, or a sequential mode in which charging is performed sequentially between multiple dispensers.
상기 메인 충전기의 채널 및 상기 디스펜서의 채널은 그룹핑되며,
그룹핑된 채널 그룹 간에는 충전 전력을 상호 분배하지 않고, 각 채널 그룹에 속한 채널끼리만 충전 전력을 상호 분배하도록 설정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The channels of the above main charger and the channels of the above dispenser are grouped,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in which charging power is not mutually distributed between grouped channel groups, but is set to mutually distribute charging power only between the channels belonging to each channel group.
상기 일체 모드로부터 상기 메인 충전기와 디스펜서 간의 동시 충전되는 동시 모드를 포함하는 확장 모드로 전환되며,
상기 동시 모드에서, 상기 메인 충전기의 충전 속도가 상기 디스펜서의 충전 속도보다 빠르게 설정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From the above integrated mode, it switches to an extended mode including a simultaneous mode of charging between the main charger and the dispense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wherein, in the above simultaneous mode, the charging speed of the main charger is set faster than the charging speed of the dispenser.
상기 메인 충전기에 연결된 전기차의 SOC를 수집하여 전체 충전 과정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로 전송하는 충전 상태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상태부는 전기차의 SOC를 기준치에 의해 복수의 SOC 구간으로 분별하며,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메인 충전기의 채널별로 연결된 전기차의 SOC 구간을 상호 비교하여 각 채널에 공급되는 충전 전력을 결정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Includes a charging status unit that collects the SOC of an electric vehicle connected to the main charger and transmits it to a main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entire charging process.
The above charging status section divides the SOC of the electric vehicle into multiple SOC sections based on a reference value.
The above main control unit i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that compares the SOC sections of electric vehicles connected to each channel of the main charger to determine the charging power supplied to each channel.
상기 메인 충전기에 연결된 전기차의 SOC를 수집하여 전체 충전 과정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로 전송하는 충전 상태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상태부는 전기차의 SOC를 기준치에 의해 복수의 SOC 구간으로 분별하며,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메인 충전기의 채널별로 연결된 전기차의 SOC 구간을 상호 비교하여 각 채널에 공급되는 충전 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SOC 구간이 상대적으로 낮은 채널은 상대적으로 더 높은 충전 속도로 충전되며, 상기 SOC 구간이 상대적으로 높은 채널은 상대적으로 더 낮은 충전 속도로 충전되고, 상기 SOC 구간이 서로 일치하는 채널은 동일한 충전 속도로 충전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Includes a charging status unit that collects the SOC of an electric vehicle connected to the main charger and transmits it to a main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entire charging process.
The above charging status section divides the SOC of the electric vehicle into multiple SOC sections based on a reference value.
The above main control unit compares the SOC sections of electric vehicles connected to each channel of the main charger to determine the charging power supplied to each channel.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in which a channel with a relatively low SOC section is charged at a relatively high charging rate, a channel with a relatively high SOC section is charged at a relatively low charging rate, and channels with matching SOC sections are charged at the same charging rate.
복수의 상기 디스펜서 간에는 시계열적 충전 순위가 설정되며,
상기 확장 모드는 상기 메인 충전기와 디스펜서 간의 동시 충전되는 동시 모드 또는 복수의 디스펜서 간에 순차로 충전되는 순차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동시 모드는 상기 메인 충전기와 선순위 디스펜서 간의 충전 방식이며,
상기 순차 모드는 상기 선순위 디스펜서 및 후순위 디스펜서 간의 충전 방식인 전기차 충전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A time-series charging priority is set between the plurality of above dispensers,
The above extended mode includes a simultaneous mode in which charging is performed simultaneously between the main charger and the dispenser, or a sequential mode in which charging is performed sequentially between multiple dispensers.
The above simultaneous mode is a charging method between the main charger and the priority dispenser,
The above sequential mode i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that is a charging method between the above first-priority dispenser and the second-priority dispenser.
상기 확장 모드는 상기 메인 충전기와 디스펜서 간의 동시 충전되는 동시 모드 또는 복수의 디스펜서 간에 순차로 충전되는 순차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순차 모드는 충전하는 전기차의 SOC 정보에 기초하지 않으며, 선순위로 설정된 디스펜서에 연결된 전기차의 충전 완료되면, 후순위로 설정된 디스펜서에 연결된 전기차의 충전이 시작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extended mode includes a simultaneous mode in which charging is performed simultaneously between the main charger and the dispenser, or a sequential mode in which charging is performed sequentially between multiple dispensers.
The above sequential mode is not based on the SOC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being charged, and i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in which, when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connected to the dispenser set with the highest priority is completed,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connected to the dispenser set with the lowest priority begins.
상기 메인 충전기에 연결된 전기차의 SOC를 수집하여 메인 제어부로 전송하는 충전 상태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상태부는 전기차의 SOC를 기준치에 의해 복수의 SOC 구간으로 분별하며,
상기 메인 제어부는 채널별 SOC 구간을 조합해 채널 동작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메인 충전기의 채널은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채널은 N개의 구간으로 제2 채널은 M개의 구간으로 분별되는 경우, N * M 개의 채널 동작 모드가 설정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Includes a charging status unit that collects the SOC of an electric vehicle connected to the main charger and transmits it to the main control unit,
The above charging status section divides the SOC of the electric vehicle into multiple SOC sections based on a reference value.
The above main control unit sets the channel operation mode by combining the SOC sections for each channel,
The channels of the above main charger include the first channel and the second channel,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in which N * M channel operation modes are set, when the first channel is divided into N sections and the second channel is divided into M sections.
상기 메인 충전기에 마련되는 파워 모듈의 구성에 따라 각 채널의 충전 속도를 결정하는 충전속도 분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속도 분류부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상기 파워 모듈이 ON되는 경우를 최저 충전 속도로 설정하고,
상기 메인 충전기의 채널에 공급되는 충전 전력은 적어도 최저 충전 속도 이상으로 설정되며,
상기 충전속도 분류부는 상기 파워 모듈 전부가 ON되는 경우의 충전 속도를 충전 속도 분류에서 제외시키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Includes a charging speed classification unit that determines the charging speed of each channel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ower module provided in the main charger.
The above charging speed classification unit sets the lowest charging speed when at least one of the above power modules is turned on.
The charging power supplied to the channel of the above main charger is set at least higher than the minimum charging speed,
The above charging speed classification unit i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that excludes the charging speed when all of the power modules are turned on from the charging speed classification.
상기 메인 통신부와 정보를 송수신하며 상기 메인 제어부에 지령을 하달하는 운영 서버를 포함하고,
통신 두절 등의 이유로 상기 메인 충전기와 상기 운영 서버 간의 통신이 원할치 않은 경우, 상기 메인 충전기는 로컬 자동 운전 모드로 전환되며,
통신 두절동안 이전 운영된 충전 방식에 따라 자체적으로 상기 메인 충전기를 운영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Includes an operation server that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main communication unit and issues commands to the main control unit,
If communication between the main charger and the operating server is not smooth due to reasons such as communication failure, the main charger switches to local automatic driving mode.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including a main control unit that operates the main charger independently according to the charging method previously operated during a communication outage.
상기 확장 모드에서, 상기 메인 충전기 또는 디스펜서 중 어느 하나의 채널로만 충전되는 경우, 그 채널은 상기 메인 충전기의 총 충전 용량을 채널수로 나눈 값으로 충전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in which, in the above expansion mode, when charging is performed only through one channel of the main charger or the dispenser, the channel is charged by dividing the total charging capacity of the main charger by the number of channels.
상기 확장 모드는 상기 메인 충전기와 디스펜서 간의 동시 충전되는 동시 모드 또는 복수의 디스펜서 간에 순차로 충전되는 순차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충전기의 채널과 디스펜서의 채널이 그룹핑된 채널 그룹이 설정되며,
상기 동시 모드에서, 그룹핑된 채널 그룹 내 어느 하나가 충전중이면 메인 충전기의 총 충전 용량을 채널수로 나눈 값으로 충전되고,
상기 메인 충전기와 디스펜서가 모두 충전중이면 상기 메인 충전기는 최고충전속도와 최저충전속도 사이의 속도로 충전되며 상기 디스펜서는 최저충전속도로 충전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extended mode includes a simultaneous mode in which charging is performed simultaneously between the main charger and the dispenser, or a sequential mode in which charging is performed sequentially between multiple dispensers.
A channel group is set in which the channels of the above main charger and the channels of the dispenser are grouped.
In the above simultaneous mode, if any one of the grouped channel groups is charging, the total charging capacity of the main charger is divided by the number of channels, and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in which, when both the main charger and the dispenser are charging, the main charger is charged at a speed between the maximum charging speed and the minimum charging speed, and the dispenser is charged at the minimum charging speed.
상기 디스펜서는 상호 시계열적 충전 순위가 설정되도록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메인 충전기와 충전 선순위인 제1 디스펜서를 연결하는 제1 전력선, 및 상기 제1 전력선으로부터 분기되어 충전 후순위인 제2 디스펜서에 연결되는 제2 전력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력선으로부터 상기 제2 전력선을 분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데이지 체인 연결(daisy chain connection) 방식으로 복수의 디스펜서 간의 충전 전력을 분배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dispensers are provided in multiple units so that the sequential charging order is set.
It includes a first power line connecting the main charger and the first dispenser with the charging priority, and a second power line branched from the first power line and connected to the second dispenser with the charging priority.
It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for branching the second power line from the first power line,
The above connection part i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that distributes charging power between multiple dispensers in a daisy chain connection manner.
상기 확장 모드에서는 상기 메인 충전기의 채널별로 상기 파워 모듈을 분배하고,
상기 메인 충전기의 각 채널은 상기 파워 모듈이 전부 ON되는 것을 최고 충전 속도로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In the above expansion mode, the power modules are distributed to each channel of the main charge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in which each channel of the above main charger is turned on to charge at the highest speed when all of the above power modules are turned on.
상기 메인 충전기의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디스펜서의 디스플레이부에 동작 모드 선택을 포함하는 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메인 통신부나 디스펜서 통신부 간에 정보 송수신에 의해 어떤 동작 모드로 할지가 결정되며,
디스플레이부를 통한 조작이 없더라도 상기 메인 충전기 또는 디스펜서의 채널에 전기차가 연결되면, 그 연결 상황에 따른 기설정된 동작 모드로 충전됨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거나, 그 연결 상황에 따른 채널 연결 방법을 고지하거나 추천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When an operation including selection of an operation mode is perform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main charger or the display unit of the dispenser, the operation mode to be used is determined by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main communication unit or the dispenser communication unit.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that displays through a display unit that charging is performed in a preset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tatus when an electric vehicle is connected to a channel of the main charger or dispenser even without any oper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or notifies or recommends a channel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tatus.
상기 확장 모드는 상기 메인 충전기와 디스펜서 간의 동시 충전되는 동시 모드 또는 복수의 디스펜서 간에 순차로 충전되는 순차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충전기의 채널과 디스펜서의 채널이 그룹핑된 채널 그룹이 설정되며,
상기 순차 모드에서, 그룹핑된 채널 그룹 내에서 적어도 하나가 충전중인 상태이면, 상기 메인 충전기의 디스플레이부나 디스펜서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한 설정변경은 되지 않으며, 그룹핑된 채널 그룹 내 모든 충전기가 충전 대기인 경우에만 설정변경 가능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extended mode includes a simultaneous mode in which charging is performed simultaneously between the main charger and the dispenser, or a sequential mode in which charging is performed sequentially between multiple dispensers.
A channel group is set in which the channels of the above main charger and the channels of the dispenser are grouped.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in which, in the above sequential mode, if at least one of the grouped channel groups is in a charging state, the settings cannot be changed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main charger or the display unit of the dispenser, and the settings can be changed only when all chargers in the grouped channel group are in a charging standby state.
상기 확장 모드는 상기 메인 충전기와 디스펜서 간의 동시 충전되는 동시 모드 또는 복수의 디스펜서 간에 순차로 충전되는 순차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충전기의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펜서의 디스플레이부 중 어느 하나에서 동시 모드가 선택되면, 자동적으로 나머지도 동시 모드로 전환되며, 나머지의 디스플레이부에서도 동시 모드로 충전됨을 표시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extended mode includes a simultaneous mode in which charging is performed simultaneously between the main charger and the dispenser, or a sequential mode in which charging is performed sequentially between multiple dispenser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in which, when the simultaneous mode is selected on either the display section of the main charger or the display section of the dispenser, the remaining ones are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simultaneous mode, and the remaining display sections also indicate that charging is being done in the simultaneous mode.
상기 확장 모드는 상기 메인 충전기와 디스펜서 간의 동시 충전되는 동시 모드 또는 복수의 디스펜서 간에 순차로 충전되는 순차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순차 모드로 설정된 복수의 디스펜서의 디스플레이부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순차 모드가 선택되면, 자동적으로 나머지 디스펜서도 순차 모드로 전환되며, 나머지 디스펜서의 디스플레이부에서도 순차 모드로 충전됨이 표시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extended mode includes a simultaneous mode in which charging is performed simultaneously between the main charger and the dispenser, or a sequential mode in which charging is performed sequentially between multiple dispenser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in which, when the sequential mode is selected on one of the display units of a plurality of dispensers set to the sequential mode, the remaining dispensers are also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sequential mode, and the display units of the remaining dispensers also display that they are being charged in the sequential mod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023752A KR102763534B1 (en) | 2024-02-19 | 2024-02-19 | Smart-charging and expandable using dispenser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023752A KR102763534B1 (en) | 2024-02-19 | 2024-02-19 | Smart-charging and expandable using dispenser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63534B1 true KR102763534B1 (en) | 2025-02-07 |
Family
ID=94630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23752A Active KR102763534B1 (en) | 2024-02-19 | 2024-02-19 | Smart-charging and expandable using dispenser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63534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8729A (en) * | 2017-07-17 | 2019-01-25 | (주)대륜엔지니어링 | A Movable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s |
KR20210029878A (en) * | 2019-09-06 | 2021-03-1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battery management method, battery pack and electric vehicle |
KR102317756B1 (en) * | 2021-04-27 | 2021-10-26 | 황민순 | Sequential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
KR102400132B1 (en) * | 2021-08-11 | 2022-05-20 | 주식회사 에버온 | Multi-charger smart power distribution system |
KR102557975B1 (en) * | 2023-02-23 | 2023-07-20 | (주)클린일렉스 | Charg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 |
KR20230113429A (en) * | 2022-01-21 | 2023-07-31 | 주식회사 파워넥스 | Fast charger sharing system and fast charging control method |
-
2024
- 2024-02-19 KR KR1020240023752A patent/KR10276353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8729A (en) * | 2017-07-17 | 2019-01-25 | (주)대륜엔지니어링 | A Movable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s |
KR20210029878A (en) * | 2019-09-06 | 2021-03-1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battery management method, battery pack and electric vehicle |
KR102317756B1 (en) * | 2021-04-27 | 2021-10-26 | 황민순 | Sequential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
KR102400132B1 (en) * | 2021-08-11 | 2022-05-20 | 주식회사 에버온 | Multi-charger smart power distribution system |
KR20230113429A (en) * | 2022-01-21 | 2023-07-31 | 주식회사 파워넥스 | Fast charger sharing system and fast charging control method |
KR102557975B1 (en) * | 2023-02-23 | 2023-07-20 | (주)클린일렉스 | Charg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15027B1 (en) |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 |
CN106740216B (en) | A kind of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automobile | |
CN109664787B (en) | Charging method and system and charging controller | |
EP2784899A1 (en) | Power converter | |
KR102557975B1 (en) | Charg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 | |
US11453298B2 (en) | Electric vehicle charging dispenser and method | |
US11628739B2 (en) | Electric vehicle fleet charging system and method | |
CN104578273A (en) | Electric energy dispatching charging system and method | |
CN115742800B (en) | Charging device, charging stack and charging system | |
JP2021078266A (en) | Charge/discharge system | |
US20240051430A1 (en) | Special Purpose Electric Vehicles and Load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Therefor | |
EP4112362A1 (en) | Terminal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with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 |
KR102763534B1 (en) | Smart-charging and expandable using dispenser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 |
CN113212221A (en) | DC charging pile matrix type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 |
US11890951B2 (en) |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nd method utilizing a dispenser chain | |
US11868927B2 (en) |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nd method | |
KR102181995B1 (en) | Charger for Electronic Vehicle and the Charging Method Thereof | |
KR102039703B1 (en) | Charging apparatus for vehicles | |
US20240190285A1 (en) | Charging station for electric vehicles, having a matrix output | |
CN112208377B (en) | Household alternating current charging pile, system and charging method | |
KR102338787B1 (en) | Large capacity multiple charging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s | |
CN215154053U (en) | Matrix type power distribution system for direct current charging pile | |
US11565601B2 (en) |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nd method | |
CN112455268B (en) | Distributed charging system and method | |
KR102781434B1 (en) | Multi-tap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electric vehicle and method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electric vehicle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2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402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5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2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