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8289B1 - 익사이팅 러닝 미러 시스템 - Google Patents

익사이팅 러닝 미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8289B1
KR102678289B1 KR1020220022829A KR20220022829A KR102678289B1 KR 102678289 B1 KR102678289 B1 KR 102678289B1 KR 1020220022829 A KR1020220022829 A KR 1020220022829A KR 20220022829 A KR20220022829 A KR 20220022829A KR 102678289 B1 KR102678289 B1 KR 102678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ld
word
story
digital mirr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2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5953A (ko
Inventor
천은영
이진아
Original Assignee
천은영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은영 filed Critical 천은영
Priority to KR1020220022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8289B1/ko
Publication of KR20230125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5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8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8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06F3/041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using pressure sensitive conductive elements delivering a boolean signal and located between crossing sensing lines, e.g. located between X and Y sensing line lay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9Recognition using 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어린이의 모습을 반사시키고 스토리일러스트가 어린이의 이미지와 함께 어우러져 출력되도록 하는 디지털거울; 해당 언어로된 단어가 인쇄된 단어보드; 어린이에 의해 디지털거울에 비춰진 단어보드를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영상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단어보드의 이미지로부터 단어보드에 인쇄된 단어를 판독하는 영상판독부; 어린이를 향해 학습을 가이드하는 음성을 출력하여 어린이가 디지털거울을 향해 단어보드를 비추도록 행동을 유도하고 영상판독부로부터 판독된 단어를 어린이를 향해 출력하여 어린이로 하여금 해당 단어를 학습하도록 하는 음성출력부; 단어보드에 인쇄된 단어에 연관된 다수개의 스토리일러스트가 저장된 스토리일러스트저장부; 및 스토리일러스트저장부로부터 영상판독부에서 판독된 단어에 연관된 스토리일러스트를 추출하고 디지털거울에 반사된 어린이의 피사체에 단어에 연관된 이미지를 오버랩하여 어린이가 상기 단어와 연관된 스토리일러스트를 증강세계로 경험하도록 하는 AR출력부를 포함하는 익사이팅 러닝 미러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익사이팅 러닝 미러 시스템{Exciting learning mirror system}
본 발명은 익사이팅 러닝 미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린이가 디지털거울과 상호작용 놀이를 통하여 한글, 영어 및 중국어 등 다양한 언어를 재미있게 습득할 수 있고 호기심과 상상력을 도출하는 단어의 연관 이미지와 자신의 모습이 함께 어우러져 비춰지는 신기한 거울 놀이를 통하여 무한한 창의력을 키워주는 놀이 기반 학습 거울을 제공하기 위한 익사이팅 러닝 미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미래 인재는 창의성에 달려 있다고 한다. 창의성 발현이란 다양한 경험과 상상력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아이들의 상상 세계는 어른들의 사고와 제한된 상상력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무한하며 상상력을 이끌어내는 동기는 어린이로 하여금 몰입을 통한 학습 효과를 이끄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에, 최근에는 교육을 어린이에게 흥미롭게 전달하려는 노력이 끊임없이 지속되어 왔으며, 이러한 흐름에서 교육과 놀이를 접목한 교육용 게임이라는 분야가 소개되고 있다.
여기서, 교육용 게임은 교육적 요소와 재미 요소를 결합하여 어린이에게 게임을 하면서 유용한 지식을 배울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해당 게임의 가능성과 유용성으로 인하여 현재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다양한 게임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육용 게임은 컴퓨터를 기반으로 상호작용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마우스와 키보드를 사용하여 교육용 게임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에, 일반적인 상호작용 방법을 통한 교육용 게임은 유아나 미취학 어린이들에게는 적합하지 않아 보다 직관적인 상호작용 방법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0001) 공개특허 10-2010-0020051
(특허문헌 0002) 공개특허 10-2018-0012076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린이들의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동기 부여 요소 중 흥미 요소를 갖춘 거울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자연스러운 놀이 속에서 놀라운 학습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신나고 재미있는 IT 기반 놀이 중심 교육 컨텐츠인 익사이팅 러닝 미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어린이의 모습을 반사시키고 스토리일러스트가 출력되도록 하는 디지털거울; 해당 언어로된 단어가 인쇄된 단어보드; 어린이에 의해 디지털거울에 비춰진 단어보드를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영상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단어보드의 이미지로부터 단어보드에 인쇄된 단어를 판독하는 영상판독부; 어린이를 향해 학습을 가이드하는 음성을 출력하여 어린이가 디지털거울을 향해 단어보드를 비추도록 행동을 유도하고 영상판독부로부터 판독된 단어를 어린이를 향해 출력하여 어린이로 하여금 해당 단어를 학습하도록 하는 음성출력부; 단어보드에 인쇄된 단어에 연관된 다수개의 스토리일러스트가 저장된 스토리일러스트저장부; 및 스토리일러스트저장부로부터 영상판독부에서 판독된 단어에 연관된 스토리일러스트를 추출하고 디지털거울에 반사된 어린이의 피사체에 단어에 연관된 이미지를 오버랩하여 어린이가 상기 단어와 연관된 스토리일러스트를 증강세계로 경험하도록 하는 AR출력부를 포함하는 익사이팅 러닝 미러 시스템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어린이가 디지털거울을 통해 단어 등을 재미있게 학습하고 단어의 연관 이미지와 자신의 모습을 함께 비춰지는 신기한 거울 놀이를 통하여 상상력과 창의력을 키우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익사이팅 러닝 미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익사이팅 러닝 미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1의 익사이팅 러닝 미러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털거울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익사이팅 러닝 미러 시스템에 있어서 스마트매트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와 도 6은 도 1의 익사이팅 러닝 미러 시스템을 이용한 단어 학습 및 거울 놀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익사이팅 러닝 미러 시스템은, 어린이의 모습을 반사시키고 AR출력부(170)로부터 출력되는 스토리일러스트가 어린이의 이미지와 함께 어우러져 출력되도록 하는 디지털거울(110), 해당 언어로된 단어가 인쇄된 단어보드(120), 디지털거울(110)에 구성되고 어린이에 의해 디지털거울(110)에 비춰진 단어보드(120)를 촬영하는 영상촬영부(130), 디지털거울(110)에 구성되고 영상촬영부(130)에 의해 촬영된 단어보드(120)의 이미지로부터 단어보드(120)에 인쇄된 단어를 판독하는 영상판독부(140), 디지털거울(110)에 구성되고 어린이를 향해 학습을 가이드하는 음성을 출력하여 어린이가 디지털거울(110)을 향해 단어보드(120)를 비추도록 행동을 유도하고 영상판독부(140)로부터 판독된 단어를 어린이를 향해 출력하여 어린이로 하여금 해당 단어를 학습하도록 하는 음성출력부(150), 디지털거울(110)에 구성되고 단어보드(120)에 인쇄된 단어에 연관된 다수개의 스토리일러스트가 저장된 스토리일러스트저장부(160) 및 디지털거울(110)에 구성되고 스토리일러스트저장부(160)로부터 영상판독부(140)에서 판독된 단어에 연관된 스토리일러스트를 추출하고 디지털거울(110)에 반사된 어린이의 피사체에 단어에 연관된 이미지를 오버랩하여 어린이가 상기 단어와 연관된 스토리일러스트를 증강세계로 경험하도록 하여 해당 단어의 학습 효과와 어린이의 상상력과 창의력이 커지도록 하는 AR출력부(170)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익사이팅 러닝 미러 시스템은, 상기 구성부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구성부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디지털거울(110)은, 어린이의 모습을 반사시키고 AR출력부(170)로부터 출력되는 사진이나 동영상이 어린이의 이미지와 함께 어우러져 출력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최후방에 배치되는 백프레임(111), 백프레임(111)의 전방에 결합되는 프론트프레임(112), 백프레임(111)의 내측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패널(113), 디스플레이패널(113)의 전방에 배치되는 패널가드프레임(114) 및 최전방에 배치되는 미러(115)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디지털거울(110)은, 평소에는 거울로 이용되고 어린이가 소정의 위치에 위치되어 영상촬영부(130)에 의해 인식되는 경우 해당 단어의 학습 또는 교육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고, 어린이의 전체 모습이 비춰지도록 어린이들의 평균 신장 보다 크게 제작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디지털거울(110)에 의하면, 평소에는 거울의 기능을 제공하고 어린이가 소정의 위치에서 인식될 경우에만 해당 단어의 교육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여 사용성이 향상되고 어린이가 거울의 앞에 위치되는 것만으로 교육 서비스가 진행되는 단순한 상호작용을 제공하여 교육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단어보드(120)는, 해당 언어로된 단어가 인쇄된 수단으로서, 소정의 블록 또는 카드 타입을 가질 수 있고, 특정 단어가 특정 언어로 인쇄되는 구성 일예로, '왕관'이라는 단어가 한글로 인쇄될 수 있다.
여기서, 단어보드(120)는, 소정의 블록 또는 카드 타입의 몸체에 해당 단어에 대응된 바코드나 QR코드가 더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어린이가 행동이 미숙하여 단어보드(120)의 해당 단어가 디지털거울(110)에 정확히 비춰지지 않아 영상촬영부(130)나 영상판독부(140)에 의해 해당 단어가 촬영 및 판독되지 않더라도 바코드나 QR코드에 의해 해당 단어가 인식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어보드(120)는, 디지털거울(110)의 일측에 배치되는 보관함 등에 보관되어 디지털거울(110)에 어린이가 인식되는 경우 어린이로 하여금 쉽게 해당 단어보드(120)를 집어 디지털거울(110)에 비추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단어보드(120)에 의하면, 디지털거울(110)의 일측에 배치되고 해당 단어가 인쇄되는 구성을 가짐에 따라 어린이가 거울에 단어보드(120)를 비추는 것만으로 교육 서비스가 진행되는 단순한 상호작용을 제공하여 사용성과 교육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영상촬영부(130)는, 디지털거울(110)에 구성되고 어린이에 의해 디지털거울(110)에 비춰진 단어보드(120)를 촬영하는 수단으로서, 디지털거울(110) 앞의 특정 위치에 어린이가 위치되고 어린이가 디지털거울(110)을 향해 단어보드(120)를 비추는 경우 단어보드(120)를 촬영하는 공지의 카메라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영상촬영부(130)는, 근접센서를 통하여 디지털거울(110) 앞의 특정 위치에 어린이가 위치되는 경우 동작되거나, 디지털거울(110) 앞의 특정 위치에 구성된 스마트매트(180)를 토대로 어린이의 위치가 감지되는 경우 동작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스마트매트(180)는, 디지털거울(110)의 전면에 위치되는 매트(181), 매트(181)에 구성되고 어린이가 위치되는 것을 감지하거나 어린이의 답압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를 처리는 인터페이스부(185) 및 인터페이스부(185)로부터 처리되는 신호에 의해 디지털거울(110), 영상촬영부(130), 영상판독부(140), 음성출력부(150) 및 AR출력부(170) 등이 동작 제어되도록 함과 동시에 어린이에게 인터페이스부(185)의 특정 위치에 정확히 위치되어야 상기 구성부들이 온 동작되어 해당 단어 학습 게임이 진행된다는 규칙을 인지하도록 하며 상기 구성부들이 교육적인 의미로서 기능한다는 것을 안내하는 시스템동작부(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즉, 스마트매트(180)에 의하면, 처음 어린이가 매트(181)에 위치되는 경우 인터페이스부(185)를 통해 이를 감지하여 음성출력부(150)가 출력되도록 한 후 단어보드(120)를 통한 영상촬영, 영상판독, 음성출력 및 스토리일러스트가 출력되는 단어 학습 게임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부(185)는, 엔터키, 방향키 등을 표시하여, 일예로 디지털거울(110)을 통해 출력되는 다양한 운영 모드에 대한 메뉴얼(단어 보드의 언어 선택 등)을 엔터키와 방향키를 이용하여 직접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매트(180)에 의하면, 어린이의 위치가 매트(181)에 고정됨에 따라 복잡한 영상촬영과 영상판독의 연산 과정 없이 어린이의 위치정보를 간단히 파악하도록 하여 AR출력부(170)를 통해 어린이의 피사체에 오버랩되는 스토리일러스트의 출력 위치 계산이 보다 간단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촬영부(130)에 의하면, 어린이가 디지털거울(110) 앞에 위치된 상태에서 단어보드(120)를 비추는 경우 이를 촬영하는 구성을 가짐에 따라, 어린이가 거울에 단어보드(120)를 비추는 것만으로 교육 서비스가 진행되는 단순한 상호작용을 제공하여 사용성과 교육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영상판독부(140)는, 디지털거울(110)에 구성되고 영상촬영부(130)에 의해 촬영된 단어보드(120)의 이미지로부터 단어보드(120)에 인쇄된 단어를 판독하는 수단으로서, 영상촬영부(13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중 단어보드(120)에 해당되는 영역만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영역으로부터 해당 단어를 추출하고 이를 인식하는 공지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영상판독부(140)는, 상기와 같이 단어를 직접 인식하는 방법 이외에, 단어보드(120)에 인쇄된 바코드나 QR코드를 인식하는 공지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영상판독부(140)에 의하면, 어린이에 의해 디지털거울(110)에 비춰진 단어보드(120)의 단어가 인식되는 구성을 가짐에 따라, 어린이가 거울에 단어보드(120)를 비추는 것만으로 교육 서비스가 진행되는 단순한 상호작용을 제공하여 사용성과 교육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음성출력부(150)는, 디지털거울(110)에 구성되고 어린이를 향해 학습을 가이드하는 음성을 출력하여 어린이가 디지털거울(110)을 향해 단어보드(120)를 비추도록 행동을 유도하고 영상판독부(140)로부터 판독된 단어를 어린이를 향해 출력하여 어린이로 하여금 해당 단어를 학습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디지털거울(110) 앞에 어린이가 위치되는 경우 일예로, 어린이를 향해 '친구야, 안녕? 나는 거울속에 사는 척척박사야. 한글도 영어도 척척 읽어 주는 멋진 친구가 되어 줄게, 내가 얼마나 글을 잘 읽는지 카드를 비춰 볼래?'라는 학습유도음성과, 디지털거울(110)에 어린이가 단어보드(120)를 비추어 영상판독부(140)로부터 단어가 판독되는 경우 일예로, 어린이를 향해 '아하, 이건 멋있는 왕관이네? 왕관~~왕관~~'이라는 단어학습음성이 반복적으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출력부(150)는, 디지털거울(110)에 구성된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학습유도음성과 단어학습음성이 출력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음성출력부(150)에 의하면, 디지털거울(110) 앞에 어린이가 위치되는 경우 학습유도음성을 통해 어린이의 교육 서비스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고, 디지털거울(110)에 비춰진 단어보드(120)에 대응된 단어가 단어학습음성을 통해 반복적으로 출력되어 어린이의 단어 교육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스토리일러스트저장부(160)는, 디지털거울(110)에 구성되고 단어보드(120)에 인쇄된 단어에 연관된 다수개의 스토리일러스트가 저장된 수단으로서, 일예로, 어린이에 의해 디지털거울(110)에 비춰진 단어보드(120)의 단어가 '왕관'인 경우, '왕관'을 소재로 하는 동화속의 일부 장면이 스토리일러스트로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스토리일러스트저장부(160)는, 단어보드(120)의 제작시 해당 스토리일러스트가 개발되어 저장될 수도 있고, 어린이의 촬영 모습을 토대로 남아인지 여야인지를 인식한 후 공지의 통신수단과 방식을 통해 서버로부터 해당 어린이에 적합한 내용의 스토리일러스트가 실시간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스토리일러스트저장부(160)에 의하면, 어린이에 의해 디지털거울(110)에 비춰진 단어보드(120)의 단어에 연관된 스토리일러스트가 저장됨에 따라, 어린이의 단어 학습 효과와 상상력 및 창의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AR출력부(170)는, 디지털거울(110)에 구성되고 스토리일러스트저장부(160)로부터 영상판독부(140)에서 판독된 단어에 연관된 스토리일러스트를 추출하고 디지털거울(110)에 반사된 어린이의 피사체에 단어에 연관된 이미지를 오버랩하여 어린이가 상기 단어와 연관된 스토리일러스트를 증강세계로 경험하도록 하여 해당 단어의 학습 효과와 어린이의 상상력과 창의력이 커지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일예로, 어린이에 의해 디지털거울(110)에 비춰진 단어보드(120)의 단어가 '왕관'인 경우, 스토리일러스트저장부(160)로부터'왕관'을 소재로 하는 동화속의 일부 장면이 저장된 스토리일러스트가 추출된 후, 디지털거울(110) 앞에 위치된 어린이의 피사체 중 머리부위에 '왕관'이 오버랩되고 몸통 및 다리 등에는 '왕자나 공주의 옷'이 오버랩되도록 스토리일러스트를 출력하여 마치 어린이가 동화속의 주인공이 된 것과 같은 증강세계를 경험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AR출력부(170)는, 영상촬영부(130)로부터 연속적으로 촬영된 이미지를 제공받아 이미지로부터 해당 스토리일러스트가 오버랩되어야 할 피사체의 해당 부분의 정확한 위치나 제스쳐를 공지의 방식을 통해 인식한 후, 해당 위치에 스토리일러스트의 이미지가 정확히 오버랩되도록 출력하여 현실감을 극대화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AR출력부(170)에 의하면, 어린이가 디지털거울(110)에 단어보드(120)를 비추는 경우 단어보드(120)에 인쇄된 단어에 연관된 스토리일러스트가 어린이의 피사체에 오버랩되고 어린이가 스토리일러스트를 증강세계로 경험하는 것을 통해 학습에 대한 현존감과 몰입도가 높아짐에 따라, 해당 단어에 대한 학습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익사이팅 러닝 미러 시스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디지털거울(110)의 일측에는 보관함에 다수개의 단어보드(120)이 보관된 상태에서, 디지털거울(110)에 의해 특정한 위치에 어린이가 근접되고, 디지털거울(110)에 의해 어린이의 근접 여부가 감지된다.
여기서, 디지털거울(110) 앞에 어린이의 위치 감지 여부는 영상촬영부(130)의 연속적인 촬영 이미지 분석을 토대로 판단되거나 별도의 근접센서 또는 스마트매트(180)를 통해 판단될 수 있다.
이후, 디지털거울(110) 앞에 어린이가 근접한 상태이면, 음성출력부(150)에 의해 어린이를 향해 학습유도음성이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학습유도음성은, 일예로, '친구야, 안녕? 나는 거울속에 사는 척척박사야. 한글도 영어도 척척 읽어 주는 멋진 친구가 되어 줄게, 내가 얼마나 글을 잘 읽는지 카드를 비춰 볼래?'라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상기 학습유도음성에 의해 어린이가 보관함에 보관된 다수개의 단어보드(120) 중 어느 하나를 집어서 디지털거울(110)에 비추게 되면, 영상촬영부(130)에 의해 단어보드(120)가 촬영되고, 영상판독부(140)에 의해 단어보드(120)에 인쇄된 해당 단어가 판독된다.
이후, 음성출력부(150)에 의해 어린이를 향해 단어학습음성이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단어학습음성은, 일예로, 단어보드(120)에 인쇄된 단어가 '왕관'일 경우, '아하, 이건 멋있는 왕관이네? 왕관~~왕관~~'이라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AR출력부(170)에 의해 스토리일러스트저장부(160)로부터 영상판독부(140)에서 판독된 단어에 연관된 스토리일러스트가 추출되고 디지털거울(110)에 반사된 어린이의 피사체에 해당 단어에 연관된 이미지가 오버랩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리일러스트는, 일예로, 단어보드(120)의 단어가 '왕관'인 경우, 어린이의 피사체 중 머리부위에 '왕관'이 오버랩되고 몸통 및 다리 등에는 '왕자나 공주의 옷'이 오버랩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에 의하면, 어린이가 디지털거울(110)을 통해 단어 등을 재미있게 학습하고 단어의 연관 이미지와 자신의 모습을 함께 비춰지는 신기한 거울 놀이를 통하여 상상력과 창의력을 키우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6)

  1. 어린이의 모습을 반사시키고 스토리일러스트가 어린이의 이미지와 함께 어우러져 출력되도록 하는 디지털거울(110);
    해당 언어로된 단어가 인쇄된 단어보드(120);
    어린이에 의해 디지털거울(110)에 비춰진 단어보드(120)를 촬영하는 영상촬영부(130);
    영상촬영부(130)에 의해 촬영된 단어보드(120)의 이미지로부터 단어보드(120)에 인쇄된 단어를 판독하는 영상판독부(140);
    어린이를 향해 학습을 가이드하는 음성을 출력하여 어린이가 디지털거울(110)을 향해 단어보드(120)를 비추도록 행동을 유도하고 영상판독부(140)로부터 판독된 단어를 어린이를 향해 출력하여 어린이로 하여금 해당 단어를 학습하도록 하는 음성출력부(150);
    단어보드(120)에 인쇄된 단어에 연관된 다수개의 스토리일러스트가 저장된 스토리일러스트저장부(160);
    스토리일러스트저장부(160)로부터 영상판독부(140)에서 판독된 단어에 연관된 스토리일러스트를 추출하고 디지털거울(110)에 반사된 어린이의 피사체에 단어에 연관된 이미지를 오버랩하여 어린이가 상기 단어와 연관된 스토리일러스트를 증강세계로 경험하도록 하는 AR출력부(170); 및
    디지털거울(110) 앞에 위치된 어린이를 감지하는 스마트매트(180)
    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매트(180)는,
    디지털거울(110)의 전면에 위치되는 매트(181);
    매트(181)에 구성되고 어린이가 위치되는 것을 감지하거나 어린이의 답압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를 처리는 인터페이스부(185); 및
    인터페이스부(185)로부터 처리되는 신호에 의해 디지털거울(110), 영상촬영부(130), 영상판독부(140), 음성출력부(150) 및 AR출력부(170)이 동작되도록 함과 동시에 어린이에게 인터페이스부(185)의 특정 위치에 정확히 위치되어야 단어 학습 게임이 진행된다는 규칙을 인지하도록 하는 시스템동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사이팅 러닝 미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디지털거울(110)은,
    최후방에 배치되는 백프레임(111), 백프레임(111)의 전방에 결합되는 프론트프레임(112), 백프레임(111)의 내측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패널(113), 디스플레이패널(113)의 전방에 배치되는 패널가드프레임(114) 및 최전방에 배치되는 미러(1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사이팅 러닝 미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단어보드(120)는,
    소정의 블록 또는 카드 타입을 가지고,
    해당 단어에 대응된 바코드나 QR코드가 더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사이팅 러닝 미러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음성출력부(150)는,
    디지털거울(110) 앞에 어린이가 위치되는 경우 어린이를 향해 출력되는 학습유도음성과, 디지털거울(110)에 어린이가 단어보드(120)를 비추고 영상판독부(140)로부터 판독된 단어가 반복되는 단어학습음성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사이팅 러닝 미러 시스템.
KR1020220022829A 2022-02-22 익사이팅 러닝 미러 시스템 KR102678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829A KR102678289B1 (ko) 2022-02-22 익사이팅 러닝 미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829A KR102678289B1 (ko) 2022-02-22 익사이팅 러닝 미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5953A KR20230125953A (ko) 2023-08-29
KR102678289B1 true KR102678289B1 (ko) 2024-06-24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45734B1 (ja) ドットパターン、ドットパターンが形成された媒体、ドットパターン読み取り方法、ドットパターンを用いた情報処理方法、ドットパターン読取装置、ドットパターンを用いた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
EP2591466B1 (en) Method and system for book reading enhancement
JP2018038816A6 (ja) フィギュアユニット、自走式玩具、印刷媒体、光学読み取り装置
JP2006190270A (ja) 媒体上に形成されたアイコン
KR102678289B1 (ko) 익사이팅 러닝 미러 시스템
JP2007073057A (ja) コンピュータ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JP4231947B2 (ja) 媒体上に形成されたアイコン
KR20230125953A (ko) 익사이팅 러닝 미러 시스템
JP5654278B2 (ja) ストリームドットを用いた情報入出力方法および情報入出力装置
JP6382922B2 (ja) ドットパターン、ドットパターンが形成された媒体、ドットパターン読み取り方法、ドットパターンを用いた情報処理方法、ドットパターン読取装置、ドットパターンを用いた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
US11430483B2 (en) System, method, and kit for using triggering objects to create concatenated audio/video
JP6025937B6 (ja) 情報入出力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