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5569B1 - 연직 구름 이동관측을 이용한 인공강우 실험 검증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연직 구름 이동관측을 이용한 인공강우 실험 검증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5569B1
KR102675569B1 KR1020210139237A KR20210139237A KR102675569B1 KR 102675569 B1 KR102675569 B1 KR 102675569B1 KR 1020210139237 A KR1020210139237 A KR 1020210139237A KR 20210139237 A KR20210139237 A KR 20210139237A KR 102675569 B1 KR102675569 B1 KR 102675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ud
time stamp
vertical
observe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9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5634A (ko
Inventor
정운선
장기호
양하영
황현준
구정모
채상희
구해정
임윤규
차주완
이철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10139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5569B1/ko
Publication of KR20230055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5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5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5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8Testing or calibrating meteorological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8Adaptations of balloons, missiles, or aircraft for meteorological purposes; Radioson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4Rainfall or precipitation gauges

Abstract

연직 구름 이동 관측을 이용한 인공강우 실험 검증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는 풍상측 제1 관측 장비로부터 제1 정보를 획득하고(여기서, 상기 제1 정보의 제1 타임 스탬프에서 연직 구름이 관측되고 상기 연직 구름에 인공강우 물질이 살포됨), 풍하측 제2 관측 장비로부터 제2 정보를 획득하며, 풍속 정보와 상기 인공강우 물질의 이동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연직 구름의 이동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제1 타임 스탬프에 상기 계산된 이동 시간을 더하여 제2 타임 스탬프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정보의 상기 제2 타임 스탬프에서 관측된 상기 연직 구름과 상기 제1 타임 스탬프에서 관측된 상기 연직 구름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를 기초로 인공강우 실험을 검증한다.

Description

연직 구름 이동관측을 이용한 인공강우 실험 검증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Evaluation method of cloud seeding experiment using observation of vertical cloud movement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evaluation method}
아래의 개시는 연직 구름 이동관측을 이용한 인공강우 실험 검증에 관한 것이다.
인공강우는 강수를 내릴 만큼 발달하지 못한 구름에 인위적으로 구름씨 역할을 하는 시딩물질을 뿌려 구름의 발달과 강수 응결을 더욱 활성화해 더 많은 강수를 내리게 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실험 시 사용되는 인공적인 구름씨를 "시딩물질"이라고 하고, 구름씨를 뿌리는 것을 "시딩"이라고 한다.
구름 온도에 따라 강수발달 과정이 다르므로 냉구름(0℃ 이하의 구름) 또는 온구름(0℃ 이상의 구름)에 적합한 시딩물질을 살포하여 강수형성 과정을 강화시킨다. 이는 항공기에 시딩물질 살포 장치를 탑재하여 시딩물질을 구름 속에 살포하는 방식이다. 인공강우의 효과, 구름·강수 변화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구름의 생성, 발달, 및 소멸 과정에 대해 시공간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또한, 수증기, 얼음 알갱이, 과냉각수적, 물방울, 비, 눈, 우박 등의 구름입자 상변화와 입자 크기 및 수농도 변화 등 구름의 미세물리적 변화를 고려해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인공강우 실험 검증 방법은 풍상측 제1 관측 장비로부터 제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제1 정보의 제1 타임 스탬프에서 연직 구름이 관측되고 상기 연직 구름에 인공강우 물질이 살포됨), 풍하측 제2 관측 장비로부터 제2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풍속 정보와 상기 인공강우 물질의 이동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연직 구름의 이동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1 타임 스탬프에 상기 계산된 이동 시간을 더하여 제2 타임 스탬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정보의 상기 제2 타임 스탬프에서 관측된 상기 연직 구름과 상기 제1 타임 스탬프에서 관측된 상기 연직 구름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를 기초로 인공강우 실험을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인공강우 실험 검증 방법은 상기 제2 타임 스탬프에서 관측된 상기 연직 구름의 운저, 운고, 및 반사도 변화를 확인하여 상기 제2 타임 스탬프에서 관측된 상기 연직 구름의 특성을 파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공강우 실험 검증 방법은 상기 제2 타임 스탬프에서 관측되는 상기 연직 구름과 상기 제1 타임 스탬프에서 관측된 상기 연직 구름을 비교하여 상기 연직 구름의 미세물리 변화 과정을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풍속 정보는 상기 인공강우 물질이 살포된 지역의 바람 관측자료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제1 관측 장비 및 상기 제2 관측 장비는 구름 및 강수 관측이 가능한 관측 장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강우 실험 검증을 수행하는 분석 장치는 풍상측 제1 관측 장비로부터 획득한 제1 정보를 저장하고, 풍하측 제2 관측 장비로부터 획득한 제2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여기서, 상기 제1 정보의 제1 타임 스탬프에서 연직 구름이 관측되고 상기 연직 구름에 인공강우 물질이 살포됨) 및 풍속 정보와 상기 인공강우 물질의 이동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연직 구름의 이동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제1 타임 스탬프에 상기 계산된 이동 시간을 더하여 제2 타임 스탬프를 결정하며, 상기 제2 정보의 상기 제2 타임 스탬프에서 관측된 상기 연직 구름과 상기 제1 타임 스탬프에서 관측된 상기 연직 구름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를 기초로 인공강우 실험을 검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타임 스탬프에서 관측된 상기 연직 구름의 운저, 운고, 및 반사도 변화를 확인하여 상기 제2 타임 스탬프에서 관측된 상기 연직 구름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타임 스탬프에서 관측되는 상기 연직 구름과 상기 제1 타임 스탬프에서 관측된 상기 연직 구름을 비교하여 상기 연직 구름의 미세물리 변화 과정을 추정할 수 있다.
상기 풍속 정보는 상기 인공강우 물질이 살포된 지역의 바람 관측자료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제1 관측 장비 및 상기 제2 관측 장비는 구름 및 강수 관측이 가능한 관측 장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직 구름 이동관측을 이용한 인공강우 실험 검증 방법은 인공강우 영향 구름의 시간, 거리, 속도에 대한 개념을 적용하여 인공강우 실험에 대한 검증을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할 수 있다.
구름의 미세물리적 변화에 따라 수증기, 얼음알갱이, 과냉각수적, 물방울, 비, 눈, 우박 등의 구름 입자 상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고, 입자종류별 크기 및 수농도 변화도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인공강우 연직 구름의 변화와 이동을 통하여 일 실시예는 구름의 미세물리 변화과정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인공강우 기술강화로 인공강우에 의해 발생한 강수 증우량 확보 등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연직 구름 이동관측을 이용한 인공강우 실험 검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풍상측 연직 구름분포와 풍하측 연직 구름분포의 시계열 비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연직 구름 이동관측을 이용한 인공강우 실험 검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연직 구름 이동관측을 이용한 인공강우 실험 검증을 수행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구현되는 형태는 개시된 특정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실시예들로 설명한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연직 구름 이동관측을 이용한 인공강우 실험 검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풍상 측에 제1 관측 장비(120)가 위치하고 풍하 측에 제2 관측 장비(130)가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관측 장비(120)와 제2 관측 장비(130)은 구름과 강수를 관측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관측 장비(120)와 제2 관측 장비(130) 각각은 연직 구름을 관측할 수 있는 연직강우레이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측 장비(120)와 제2 관측 장비(130)는 인공 강우 영향을 분석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제2 관측 장비(130)는 인공강우 영향 지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공강우 실험은 제1 관측 장비(120)의 설치 지점보다 후면에 풍향의 직각 방향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에서 도시된 예에서 서풍이 불 수 있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예와 같이, 비행체(110)는 제1 관측 장비(120)의 설치 지점보다 후면(즉, 동쪽)에서 남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인공강우 물질을 살포할 수 있다. 비행체(110)가 인공강우 물질을 살포하는 것을 "시딩"이라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관측 장비(120)는 풍상 측에서 연직 구름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측할 수 있다. 제2 관측 장비(130)는 풍하 측에서 연직 구름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 장치는 비행체(110)의 시딩(또는 인공강우 실험) 후 제1 관측 장비(120)의 연직 구름 관측 결과와 제2 관측 장비(130)의 연직 구름 관측 결과를 비교하여 인공강우 영향을 파악할 수 있고, 인공강우 실험을 검증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 장치는 풍상 측의 연직 구름변화와 풍하 측의 연직 구름변화를 시계열적으로 비교하여 인공강우 영향을 파악할 수 있고, 인공강우 실험을 검증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풍상측 연직 구름분포와 풍하측 연직 구름분포의 시계열 비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제1 관측 장비(120)의 관측 결과(310)의 일례 및 제2 관측 장비(130)의 관측 결과(320)의 일례가 도시된다.
이하, 제1 관측 장비(120)의 관측 결과(310)의 일례를 제1 관측 장비(120)의 "제1 정보"라 표현하고, 제2 관측 장비(130)의 관측 결과(320)의 일례를 제2 관측 장비(130)의 "제2 정보"라 표현한다.
제1 정보(310)의 제1 타임 스탬프(0200 UTC)에서 연직 구름이 관찰되기 시작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비행체(110)는 인공강우 물질을 살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분석 장치는 제1 관측 장비(120)로부터 제1 정보(310)를 획득할 수 있고, 제2 관측 장비(320)로부터 제2 정보(320)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분석 장치는 풍속 정보와 인공강우 물질의 이동 거리를 이용하여 연직 구름의 이동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일례로, 분석 장치는 인공강우 실험이 수행되는 지역의 바람 관측자료로부터 인공강우 실험 지역의 평균 풍속을 획득할 수 있다. 분석 장치는 제1 관측 장비(120)와 제2 관측 장비(130) 사이의 거리(S)만큼 인공강우 물질이 이동한 것으로 가정(또는 추정)할 수 있다. 평균 풍속이 V라할 때, 분석 장치는 연직 구름의 이동 시간(t0)을 t0=S/V에 따라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분석 장치는 풍상 측의 연직 구름분포와 인공강우에 의한 구름의 이동시간 t0이 지난 후의 풍하 측의 연직 구름분포의 시계열 비교를 통해 인공강우 실험을 검증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풍상 측에 연직 구름이 제1 정보(310)의 제1 타임 스탬프(02:00 UTC)에 나타날 수 있고 연직 구름의 이동 시간(t0)이 2시간이면 인공강우에 영향을 받은 연직 구름은 제2 정보(320)의 제2 타임 스탬프(0400 UTC)에서 확인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분석 장치는 제1 타임 스탬프(0200 UTC)에 t0를 더하여 제2 타임 스탬프(0400 UTC)를 결정할 수 있고, 제2 정보(320)의 제2 타임 스탬프(0400 UTC)에서 연직 구름이 관측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분석 장치는 제1 정보(310)의 제1 타임 스탬프(0200 UTC)에서의 풍상 측의 연직 구름과 제2 정보(320)의 제2 타임 스탬프(0400 UTC)의 풍하 측의 연직 구름을 상호 비교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분석 장치는 인공강우에 영향을 받은 운저, 운고, 반사도 변화 등을 확인하여 구름특성을 파악할 수 있고 인공강우 실험을 검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검증 방법은 인공강우에 의한 연직 구름변화를 풍상 측에 설치된 제1 장비(120)의 연직 구름 관측 결과와 풍하 측에 설치된 제2 장비(130)의 연직 구름 관측 결과를 비교하여 인공강우 실험을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검증 방법은 인공강우 영향 구름의 시간, 거리, 속도에 대한 개념을 적용하여 인공강우 실험에 대한 검증을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검증 방법은 지상부터 상층까지 구름 변화를 통한 구름의 미세물리적 추정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 장치는 실제 구름 및 강수 관측자료를 활용하여 구름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실제 관측자료를 이용한 높은 정확성을 보일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연직 구름 이동관측을 이용한 인공강우 실험 검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410)에서 분석 장치는 제1 관측 장비(120)로부터 제1 정보(예: 도 3의 제1 정보(310))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정보의 제1 타임 스탬프에서 연직 구름이 관측될 수 있고 연직 구름에 인공강우 물질이 살포될 수 있다.
단계(420)에서, 분석 장치는 제2 관측 장비(130)로부터 제2 정보(예: 도 3의 제2 정보(320))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430)에서, 분석 장치는 풍속 정보와 인공강우 물질의 이동 거리를 이용하여 연직 구름의 이동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풍속 정보는 인공강우 물질이 살포된 지역의 바람 관측자료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단계(440)에서, 분석 장치는 제1 타임 스탬프에 계산된 이동 시간을 더하여 제2 타임 스탬프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440)에서, 분석 장치는 제2 정보의 제2 타임 스탬프에서 관측된 연직 구름과 제1 타임 스탬프에서 관측된 연직 구름을 비교할 수 있다.
단계(440)에서, 분석 장치는 비교 결과를 기초로 인공강우 실험을 검증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분석 장치는 제2 정보의 제2 타임 스탬프에서 관측된 연직 구름의 운저, 운고, 및 반사도 변화를 확인하여 제2 정보의 제2 타임 스탬프에서 관측된 연직 구름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분석 장치는 제2 정보의 제2 타임 스탬프에서 관측되는 연직 구름과 제1 정보의 제1 타임 스탬프에서 관측된 연직 구름을 비교하여 연직 구름의 미세물리 변화 과정을 추정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기술된 사항들은 도 4를 통해 기술된 사항들에 적용될 수 있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연직 구름 이동관측을 이용한 인공강우 실험 검증을 수행하는 분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 장치(500)는 메모리(510) 및 제어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분석 장치(500)는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서버 등 어떠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분석 장치(500)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고, 통신부를 통해 풍상측 제1 관측 장비(120)로부터 제1 정보를 획득(또는 수신)할 수 있으며, 풍하측 제2 관측 장비(130)로부터 제2 정보를 획득(또는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510)는 풍상측 제1 관측 장비(120)로부터 획득한 제1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520)는 풍하측 제2 관측 장비(130)로부터 획득한 제2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520)는 풍속 정보와 인공강우 물질의 이동 거리를 이용하여 연직 구름의 이동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520)는 제1 정보에서 연직 구름이 관측되는 제1 타임 스탬프에 계산된 이동 시간을 더하여 제2 타임 스탬프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520)는 제2 정보의 제2 타임 스탬프에서 관측된 연직 구름과 제1 타임 스탬프에서 관측된 연직 구름을 비교할 수 있고, 비교 결과를 기초로 인공강우 실험을 검증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기술된 사항들은 도 5를 통해 기술된 사항들에 적용될 수 있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또는 복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10: 비행체
120: 제1 관측 장비
130: 제2 관측 장비

Claims (10)

  1. 분석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인공강우 실험 검증 방법에 있어서,
    풍상측 제1 관측 장비로부터 제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의 제1 타임 스탬프에서 연직 구름이 관측되고 상기 연직 구름에 인공강우 물질이 살포됨-;
    풍하측 제2 관측 장비로부터 제2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풍속 정보와 상기 인공강우 물질의 이동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연직 구름의 이동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1 타임 스탬프에 상기 계산된 이동 시간을 더하여 제2 타임 스탬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정보의 상기 제2 타임 스탬프에서 관측된 상기 연직 구름과 상기 제1 타임 스탬프에서 관측된 상기 연직 구름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를 기초로 인공강우 실험을 검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 장치는 상기 제2 타임 스탬프에서 관측된 상기 연직 구름의 운저, 운고, 및 반사도 변화를 확인하여 상기 제2 타임 스탬프에서 관측된 상기 연직 구름의 특성을 파악하는,
    인공강우 실험 검증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임 스탬프에서 관측되는 상기 연직 구름과 상기 제1 타임 스탬프에서 관측된 상기 연직 구름을 비교하여 상기 연직 구름의 미세물리 변화 과정을 추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인공강우 실험 검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속 정보는 상기 인공강우 물질이 살포된 지역의 바람 관측자료로부터 획득되는,
    인공강우 실험 검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측 장비 및 상기 제2 관측 장비는 구름 및 강수 관측이 가능한 관측 장비인,
    인공강우 실험 검증 방법.
  6. 인공강우 실험 검증을 수행하는 분석 장치에 있어서,
    풍상측 제1 관측 장비로부터 획득한 제1 정보를 저장하고, 풍하측 제2 관측 장비로부터 획득한 제2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제1 정보의 제1 타임 스탬프에서 연직 구름이 관측되고 상기 연직 구름에 인공강우 물질이 살포됨-; 및
    풍속 정보와 상기 인공강우 물질의 이동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연직 구름의 이동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제1 타임 스탬프에 상기 계산된 이동 시간을 더하여 제2 타임 스탬프를 결정하며, 상기 제2 정보의 상기 제2 타임 스탬프에서 관측된 상기 연직 구름과 상기 제1 타임 스탬프에서 관측된 상기 연직 구름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를 기초로 인공강우 실험을 검증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타임 스탬프에서 관측된 상기 연직 구름의 운저, 운고, 및 반사도 변화를 확인하여 상기 제2 타임 스탬프에서 관측된 상기 연직 구름의 특성을 파악하는,
    인공강우 실험 검증을 수행하는 분석 장치.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타임 스탬프에서 관측되는 상기 연직 구름과 상기 제1 타임 스탬프에서 관측된 상기 연직 구름을 비교하여 상기 연직 구름의 미세물리 변화 과정을 추정하는,
    인공강우 실험 검증을 수행하는 분석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풍속 정보는 상기 인공강우 물질이 살포된 지역의 바람 관측자료로부터 획득되는,
    인공강우 실험 검증을 수행하는 분석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측 장비 및 상기 제2 관측 장비는 구름 및 강수 관측이 가능한 관측 장비인,
    인공강우 실험 검증을 수행하는 분석 장치.
KR1020210139237A 2021-10-19 연직 구름 이동관측을 이용한 인공강우 실험 검증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102675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237A KR102675569B1 (ko) 2021-10-19 연직 구름 이동관측을 이용한 인공강우 실험 검증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237A KR102675569B1 (ko) 2021-10-19 연직 구름 이동관측을 이용한 인공강우 실험 검증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634A KR20230055634A (ko) 2023-04-26
KR102675569B1 true KR102675569B1 (ko) 2024-06-17

Family

I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556B1 (ko) 2016-10-14 2018-07-27 대한민국 연직강우 레이더의 검보정 장치 및 방법
KR102340893B1 (ko) 2020-03-20 2021-12-17 대한민국 인공강우 항공 실험을 위한 비행 경로 설계 시스템 및 방법
KR102385298B1 (ko) 2020-03-20 2022-04-11 대한민국 유/무인기를 이용한 인공강우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556B1 (ko) 2016-10-14 2018-07-27 대한민국 연직강우 레이더의 검보정 장치 및 방법
KR102340893B1 (ko) 2020-03-20 2021-12-17 대한민국 인공강우 항공 실험을 위한 비행 경로 설계 시스템 및 방법
KR102385298B1 (ko) 2020-03-20 2022-04-11 대한민국 유/무인기를 이용한 인공강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ou et al. The development of the NCEP global ensemble forecast system version 12
Song et al. Contrasting spring and summer large-scale environments associated with mesoscale convective systems over the US Great Plains
Sun et al. Comparison of the impacts of momentum control variables on high-resolution variational data assimilation and precipitation forecasting
Lynn et al. An evaluation of the efficacy of using observed lightning to improve convective lightning forecasts
Zhao A study of AR-, TS-, and MCS-associated precipitation and extreme precipitation in present and warmer climates
US201502932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ghtning forecast
Wall et al. Instantaneous linkages between clouds and large-scale meteorology over the Southern Ocean in observations and a climate model
US10168449B2 (en) Correcting computer model weather forecasts using a hybrid analog method with dynamic time warping
JP2018048992A (ja) 人工降雨散布物質の模擬影響時間帯の自動時系列分析方法及びシステム
KR102279339B1 (ko) 감염병 확산 위치 예측 시뮬레이션 장치 및 시스템 및 방법
US11313811B2 (en) Dynamic determination of irrigation-related data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Chang et al. Radar data assimilation in the Canadian high-resolution ensemble Kalman filter system: Performance and verification with real summer cases
Singh et al. Deep learning for improved global precipitation in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systems
Shukla et al. Mean state and interannual variability of the Indian summer monsoon simulation by NCEP CFSv2
Srivastava et al. Real-time nowcast of a cloudburst and a thunderstorm event with assimilation of Doppler weather radar data
Falocchi et al. A metho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 time‐scales of quasi‐isotropic surface‐layer turbulence over complex terrain: A case‐study in the Adige Valley (Italian Alps)
KR102675569B1 (ko) 연직 구름 이동관측을 이용한 인공강우 실험 검증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McBeath et al. Using operational weather radar to assess high‐resolution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over the British Isles for a cold air outbreak case‐study
Gao et al. The development of a hybrid EnSRF-En3DVar system for convective-scale data assimilation
Pandey Modeling and simulation of chaff cloud with random orientation and distribution
KR20230055634A (ko) 연직 구름 이동관측을 이용한 인공강우 실험 검증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de Vries et al. On the future reduction of snowfall in western and central Europe
Cai et al. A generalized navigation correction method for airborne Doppler radar data
Du et al. Using a mesoscale ensemble to predict forecast error and perform targeted observation
Rasp Statistical methods and machine learning in weather and climate mode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