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3025B1 - Commodity ordering method for adaptive considering of demand and supply and apparatus thereof - Google Patents

Commodity ordering method for adaptive considering of demand and supply and apparatu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3025B1
KR102673025B1 KR1020210137340A KR20210137340A KR102673025B1 KR 102673025 B1 KR102673025 B1 KR 102673025B1 KR 1020210137340 A KR1020210137340 A KR 1020210137340A KR 20210137340 A KR20210137340 A KR 20210137340A KR 102673025 B1 KR102673025 B1 KR 102673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store
order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73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53942A (en
Inventor
변영일
임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니벌써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니벌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니벌써
Priority to KR1020210137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3025B1/en
Publication of KR20230053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39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3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3025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06Q10/06375Prediction of business process outcome or impact based on a proposed 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2Market predictions or forecasting for commercial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와; 적어도 하나의 판매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품 판매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각 판매점의 재고 수량이 미리 결정된 재고 수량 이하인지 여부에 따라 상품의 발주를 요청하는 재고 관리부와; 상품의 발주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조사 단말에 상품 발주를 진행하는 상품 발주부와; 판매점 특이 정보, 상품 특이 정보, 제조사 특이 정보 및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판매점에 대한 각 상품의 판매 동향을 확인하여 수요 예측 정보를 제공하는 수요 예측부와; 재고 관리부의 상품 발주 요청에 따라 상품 발주부에서 상품 발주가 진행되도록 하며, 상품 판매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결정된 재고 수량을 조절하며, 수요 예측 정보에 따라 각 판매점의 재고 수량이 미리 결정된 재고 수량을 초과하여도 상품 발주가 진행되도록 상품 발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상품 발주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data;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 storage unit for storing data; an inventory management unit that uses information on product sales received from at least one store terminal to request ordering of a product depending on whether the inventory quantity of each stor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inventory quantity; a product ordering department that places an order for a product to at least one manufacturer terminal according to a product order request; a demand forecasting unit that provides demand forecasting information by checking sales trends of each product for at least one store using at least one of store-specific information, product-specific information, manufacturer-specific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oduct ordering request from the inventory management department, the product ordering department proceeds with the product ordering, and the predetermined inventory quantity is adjusted using information on product sales, and the inventory quantity at each store is pre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mand forecast information. It relates to a product ordering device tha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product ordering unit so that product ordering proceeds even if the order exceeds .

Description

수요와 공급을 적응적으로 반영한 상품 발주 방법 및 그 장치{COMMODITY ORDERING METHOD FOR ADAPTIVE CONSIDERING OF DEMAND AND SUPPLY AND APPARATUS THEREOF}Product ordering method and device that adaptively reflects demand and supply {COMMODITY ORDERING METHOD FOR ADAPTIVE CONSIDERING OF DEMAND AND SUPPLY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수요와 공급을 적응적으로 반영한 상품 발주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품의 수요 및 공급 상황, 상품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상품 재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적시에 상품 발주를 진행할 수 있는 상품 발주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duct ordering method and device that adaptively reflects supply and demand, and allows timely product ordering to efficiently manage product inventory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product demand and supply situations and product characteristics. It relates to a product ordering method and device that can be processed.

일반적으로 재고 관리는 재고 수준을 관찰하여 어느 정도로 재고 수준을 유지할 것인지, 언제 보충해야 하는지, 주문량을 얼마로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일련의 정책과 통제 절차를 의미한다. 재고 관리를 통해 상품 판매점은 자신들이 필요로 하는 물량을 파악한 후 해당 제품을 제조하는 제조업체에 해당 물량을 주문하는 것이 일반적인 과정이다. 상품 판매점에서 재고 관리를 잘하기 위해서는 제조업체로부터 발주한 상품을 원활하게 공급받을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온라인 쇼핑몰, 대형 슈퍼마켓 등의 경우 제조업체와 파트너쉽을 맺고 공동 협력하여 상품을 공급받는다.In general, inventory management refers to a set of policies and control procedures that monitor inventory levels and determine how much to maintain, when to replenish, and how much to order. Through inventory management, the general process is for product retailers to identify the quantity they need and then order that quantity from the manufacturer that manufactures the product. In order for a product store to manage its inventory well, it must be able to smoothly receive the products ordered from the manufacturer. To this end, online shopping malls, large supermarkets, etc. form partnerships and cooperate with manufacturers to supply products.

한편, 오프라인 매장을 마련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슈퍼마켓과 같은 중소형의 판매점은 온라인 쇼핑몰, 대형 슈퍼마켓 등과 달리 다양한 주체에 의해 지역마다 설립되어 소비자에게 상품을 제공한다. 운영 주체가 다르기 때문에 서로 다른 판매점 사이에 조직화되기 어려워 판매되는 상품 목록, 판매량, 재고량 등은 각각 개별적으로 파악하여 관리한다. 중소형의 판매점에서 개별적으로 상품 발주를 진행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상품 발주량이 많지 않기 때문에 제조업체에서 원활하게 상품 공급을 받기 어려울 수 있으며, 제조업체의 경우에도 중소형의 판매점에서의 상품 발주 규모를 예측하기 어려워 상품 공급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이벤트 상품이나 신상품의 경우, 중소형의 판매점에서 어느 정도의 판매량을 나타내고 있는지 확인하기 어려워 제조업체는 상품의 제조 계획 등을 세우기 어렵고 판매점에서는 상품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소비자의 니즈가 높은 상품에 대한 재고가 없어 상품 판매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한다.Meanwhile, small and medium-sized stores, such as supermarkets that sell products through offline stores, are established in each region by various entities, unlike online shopping malls and large supermarkets, and provide products to consumers. Because the operating entity is different, it is difficult to organize between different stores, so the list of products sold, sales volume, inventory amount, etc. are identified and managed individually. When small and medium-sized stores place individual product orders, it may be difficult to receive product supplies from the manufacturer because the product order volume is relatively small, and even for manufacturers,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size of product orders from small and medium-sized stores, making it difficult to predict the size of product orders. Difficulties in supply may aris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event products or new products,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sales volume at small and medium-sized stores, making it difficult for manufacturers to establish product manufacturing plans, and when product supply is not smooth, stores have to stock up on products with high consumer needs. Without it, problems arise that make it difficult to sell products.

본 발명은 상품 재고를 원활히 관리할 수 있도록 수요와 공급을 적응적으로 반영하여 적시에 상품을 발주할 수 있는 상품 발주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duct ordering method and device that can order products in a timely manner by adaptively reflecting supply and demand so as to smoothly manage product inventory.

본 발명은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와; 적어도 하나의 판매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품 판매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각 판매점의 재고 수량이 미리 결정된 재고 수량 이하인지 여부에 따라 상품의 발주를 요청하는 재고관리부와; 상품의 발주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조사 단말에 상품 발주를 진행하는 상품발주부와; 판매점 특이 정보, 상품 특이 정보, 제조사 특이 정보 및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판매점에 대한 각 상품의 판매 동향을 확인하여 수요 예측 정보를 제공하는 수요예측부와; 상기 재고관리부의 상품 발주 요청에 따라 상기 상품 발주부에서 상품 발주가 진행되도록 하며, 상기 상품 판매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재고 수량을 조절하며, 상기 수요 예측 정보에 따라 상기 각 판매점의 재고 수량이 미리 결정된 재고 수량을 초과하여도 상품 발주가 진행되도록 상기 상품발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상품 발주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data;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 storage unit for storing data; an inventory management unit that uses information on product sales received from at least one store terminal to request ordering of a product depending on whether the inventory quantity of each stor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inventory quantity; a product ordering department that places an order for a product to at least one manufacturer terminal according to a product order request; a demand forecasting unit that provides demand forecasting information by checking sales trends of each product for at least one store using at least one of store-specific information, product-specific information, manufacturer-specific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oduct ordering request from the inventory management department, the product ordering department proceeds with the product ordering, adjusts the predetermined inventory quantity using the information on product sales, and inventory each store according to the demand forecast information. It relates to a product ordering device tha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product ordering unit so that product ordering proceeds even if the quantity exceeds a predetermined inventory quantity.

여기서, 판매점 특이 정보는 각 판매점을 이용하는 소비자 정보, 판매점 경쟁 정보 및 판매량 동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소비자 정보는 각 판매점별로 이용하는 소비자의 성별, 연령대, 기간별 상품 구매 횟수, 구매하는 상품의 종류, 구매 횟수당 평균 구매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판매점 경쟁 정보는 각 판매점 주변에 위치하는 다른 판매점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판매량 동향 정보는 시간, 날씨, 계절별로 나타나는 판매량 동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ore-specific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consumer information using each store, store competition information, and sales volume trend information, and the consumer information includes the gender, age group, number of products purchased by period, and the number of products purchased at each store. It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average purchase amount per type and number of purchases, the store competition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other stores located around each store, and the sales volume trend information includes sales volume trends that appear by time, weather, and season. May contain information.

또한, 상품 특이 정보는 광고 노출 회수, 포털 기사 노출 횟수, SNS상의 소비자의 반응, 경쟁 상품의 판매량 동향, 신상품 여부, 상품 이벤트 진행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product-specific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advertisement exposures, the number of portal article exposures, consumer reactions on SNS, sales volume trends of competing products, whether a new product is available, and whether a product event is in progress.

또한, 상품 특이 정보는 판매량이 증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복수의 속성을 분석하여 분석된 속성에 대해 소정 개수 이상 유사한 속성을 나타내는 대체 상품 및 상기 대체 상품의 판매 동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product-specific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lternative products that analyze a plurality of attributes for at least one product whose sales volume is increasing, exhibiting a predetermined number or more similar attributes to the analyzed attributes, and sales trends of the substitute products. there is.

또한, 제조사 특이 정보는 각 상품별로 각 제조사의 기간별 공급 가능 수량, 실제 공급 수량, 발주 가능 수량, 발주 초과 수량에 대한 공급 가능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manufacturer-specific information may include, for each product, at least one of the supplyable quantity for each manufacturer's period, the actual supply quantity, the orderable quantity, and the supply period for the quantity exceeding the order.

또한, 환경 정보는 날씨, 온도, 계절, 미세 먼지, 바이러스 중 적어도 하나와 상품의 관련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duct and at least one of weather, temperature, season, fine dust, and viruses.

또한, 제어부는 상기 수요 예측 정보에 따라 진행하는 상품 발주를 소정의 횟수로 분할하여 진행하고 보유하고 있는 재고 수량를 확인하여 발주되는 상품의 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an divide product orders made according to the demand forecast information into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d check the quantity of inventory held to adjust the quantity of ordered products.

본 발명은 상품 판매점의 상품 판매 현황을 확인하여 재고 관리를 진행할 수 있어 판매점에서 적절한 재고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판매점 특이 정보, 상품 특이 정보, 제조사 특이 정보 및 환경 특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에 대한 입체적인 수요를 예측할 수 있으며 수요 예측에 따라 필요한 상품에 대한 재고를 미리 확보할 수 있어 상품 판매점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inventory management by checking the product sales status of a product store, allowing the store to perform appropriate inventory management. In addition, three-dimensional demand for products can be predicted using store-specific information, product-specific information, manufacturer-specific information, and environment-specific information, and inventory for necessary products can be secured in advance according to demand forecast, thereby increasing the competitiveness of product retailers. You ca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품 발주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품 발주 시스템의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품 발주 시스템의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oduct orde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rver of a product orde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erver of the product orde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품 발주 시스템(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oduct order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상품 발주 시스템(10)은 제1 내지 제3 제조사 단말(110,130), 제1 내지 제3 판매점 단말(140,160) 및 서버(1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product ordering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to third manufacturer terminals 110 and 130, first to third store terminals 140 and 160, and a server 100.

제1 내지 제3 제조사 단말(110,130)은 서버(100)로부터 상품 발주를 받으면 해당 제품을 제조하여 제1 내지 제3 판매점에 제공한다. 또한, 제1 내지 제3 제조사 단말(110,130)은 각 제조사에서 제조하는 상품의 종류, 가격, 제조 기간, 기간별 제조 가능 수량, 배송 기간, 제조 공장의 위치 등 상품 제조에 관한 정보를 서버(100)에 전송한다. 또한, 신상품을 출시하는 경우 상품 이름, 가격, 프로모션 등과 같은 신상품 정보를 서버(100)에 전송하며, 소정의 상품에 대한 할인, 묶음 판매 등과 같이 이벤트가 진행되는 경우에는 상품 이벤트 정보를 서버(100)에 전송한다.When the first to third manufacturer terminals 110 and 130 receive a product order from the server 100, they manufacture the product and provide it to the first to third stores. In addition, the first to third manufacturer terminals 110 and 130 provide information on product manufacturing, such as the type of product manufactured by each manufacturer, price, manufacturing period, quantity that can be manufactured per period, delivery period, and location of the manufacturing plant, to the server 100. send to In addition, when a new product is launched, new product information such as product name, price, promotion, etc.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100), and when an event is held such as a discount or bundle sale for a certain product, product even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100) ) is sent to

제1 내지 제3 판매점 단말(140,160)은 각 판매점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종류, 입고량, 판매량, 재고량 등 상품 판매에 관한 정보를 서버(100)에 전송하며, 포스(POS) 단말기로 구성하거나 또는 포스 단말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컴퓨터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판매점 단말(140,160)은 각 판매점 관리자의 스마트폰 등과 같은 관리자 단말(미도시)과 연동될 수 있으며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여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내지 제3 판매점은 공산품, 농산물 등 다양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The first to third store terminals 140 and 160 transmit information on product sales, such as the type, stock amount, sales volume, and inventory amount of products sold at each store, to the server 100, and are configured as POS terminals or POS terminals. It can be composed of a computer that performs the functions of a terminal. In addition, the first to third store terminals 140 and 160 can be linked with a manager terminal (not shown) such as a smartphone of each store manager, and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100 can be transmitted to the manager terminal for confirmation by the manager. Let it happen. The first to third stores can sell a variety of products, such as industrial products and agricultural products.

서버(100)는 제1 내지 제3 판매점의 상품의 종류, 입고량, 판매량, 재고량 등을 실시간 또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수신받아 각 판매점의 상품 재고를 관리하며, 상품의 재고가 미리 결정된 소정의 수량 이하인 경우에는 제1 내지 제3 제조사 단말(110,130)에 상품 발주를 진행한다. 또한, 제1 내지 제3 제조사 단말(110,130)로부터 신상품 정보 또는 상품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면 제1 내지 제3 판매점 단말(140,160)에 전송하여 각 판매점에서 관련 상품의 판매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 server 100 receives the product type, stock quantity, sales quantity, inventory quantity, etc. of the first to third stores in real time or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manages the product inventory of each store, and manages the product inventory of each store if the product inventory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quantity. In this case, product orders are placed with the first to third manufacturer terminals (110,130). In addition, when new product information or product even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first to third manufacturer terminals 110 and 130, it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o third store terminals 140 and 160 so that each store can proceed with the sale of related product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품 발주 시스템(10)의 서버(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rver 100 of the product order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서버(100)는 입력부(210), 통신부(220), 저장부(240), 재고관리부(250), 상품발주부(260), 수요예측부(27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2, the serv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210, a communication unit 220, a storage unit 240, an inventory management unit 250, a product ordering unit 260, a demand forecasting unit 270, and It includes a control unit 200 and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230.

입력부(210)는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입력을 특정한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하며, 사용자의 터치, 푸쉬동작, 음성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이나 음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00)는 다양한 버튼의 형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센서, 접근하는 모션을 수신하는 근접 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input unit 210 functions to convert a physical input from the outside into a specific electrical signal, and can receive user input or sound such as a user's touch, push action, or voice. Additionally, the input unit 200 may be implemented using various button shapes, a touch sensor that receives touch input, a proximity sensor that receives approaching motion, etc.

통신부(220)는 제1 내지 제3 제조사 단말(110,130) 및 제1 내지 제3 판매점 단말(140,160) 등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무선 인터넷부(미도시), 이동 통신부(미도시), 근거리 통신부(미도시), 유선 통신부(미도시)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부는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획득하거나 송신하는데, 무선 인터넷부를 통하여 접속할 수 있는 무선 인터넷은 WLAN(Wireless LAN),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ess)등 일 수 있다. 이동 통신부는 LTE(Long Term Evoloution), 5G(5rd Generation),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하여 통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것이며,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등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유선 통신부는 다른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장치이다.The communication unit 220 is for communicating with other devices such as the first to third manufacturer terminals 110 and 130 and the first to third store terminals 140 and 160, and specifically, the wireless Internet unit (not show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 a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and a wired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may be included in whole or in part. The wireless Internet section acquires or transmits data by accessing the wireless Internet. The wireless Internet that can be accessed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section includes WLAN (Wireless LAN),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ess), and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etc.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can connect to and communicate wit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Long Term Evolution (LTE), 5th Generation (5G), and 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is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including Bluetooth,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IrDA, Infraed Data Association), UWB (Ultra WidBand), ZigBe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etc. You can communicate through.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is an interface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to other devices by wire.

디스플레이부(230)는 관리자가 용이하게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처리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관련 데이터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320) 및 입력부(300)는 터치패널로 구현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30 displays related data so that the manager can easily input data or check the data being processed. The display unit 320 and the input unit 300 can be implemented as a touch panel.

저장부(240)는 제1 내지 제3 제조사 단말(110,130)로부터 수신한 각 제조사에서 제조하는 상품의 종류, 가격, 제조 기간, 기간별 제조 가능 수량, 배송 기간, 제조 공장의 위치 등 상품 제조에 관한 정보 및 제1 내지 제3 판매점 단말(140,160)로부터 수신한 각 판매점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종류, 입고량, 판매량, 재고량 등 상품 판매에 관한 정보 등 다양한 데이터,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240)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내장된 형태의 저장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40 stores information on product manufacturing, such as the type, price, manufacturing period, quantity that can be manufactured per period, delivery period, and location of the manufacturing plant, etc. of the product manufactured by each manufacturer received from the first to third manufacturer terminals 110 and 130. It stores various data and applications, including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bout product sales, such as the type of product sold at each store, stock quantity, sales volume, and inventory amount received from the first to third store terminals 140 and 160.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240 includes RAM (Random Access Memory), flash memory, ROM (Read Only Memory), EP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registers, hard disks, removable disks, It can be implemented as a built-in storage device such as a memory card.

재고관리부(250)는 제1 내지 제3 판매점 단말(140,160)로부터 수신한 상품 판매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각 판매점별로 적정한 재고를 유지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 일 예로, 재고관리부(250)는 제어부(200)로부터 수신된 각 판재점별 또는 각 상품별로 미리 결정된 재고 수량을 이용하여 각 판매점의 재고 수량이 미리 결정된 재고 수량 이하가 되면 제어부(200)에 상품의 발주를 요청할 수 있다.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250 uses information on product sales received from the first to third store terminals 140 and 160 to manage appropriate inventory for each store. As an example,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250 uses the predetermined inventory quantity for each sales store or each product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200, and when the inventory quantity at each sales store falls below the predetermined inventory quantity,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250 sends the product to the control unit 200. You can request an order.

상품발주부(260)는 제어부(200)로부터 상품 발주 요청이 있는 경우 제1 내지 제3 제조사 단말(110,130) 중 적어도 하나의 제조사 단말에 상품 발주를 진행한다. 이때, 배송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상품발주부(260)는 상품이 배송되는 판매점에서 최단 거리에 있는 배송이 가능한 제조 공장에서 상품이 배송되도록 각 제조사 단말(1,1)에 요청할 수 있다.When there is a product order request from the control unit 200, the product ordering unit 260 places an order for the product to at least one manufacturer terminal among the first to third manufacturer terminals 110 and 130. At this time, in order to shorten the delivery time, the product ordering unit 260 may request each manufacturer terminal 1, 1 to deliver the product from a manufacturing plant capable of delivery that is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store where the product is delivered.

수요예측부(270)는 각 판매점별로 각 상품의 판매 동향을 확인하여 수요 예측 정보를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수요 예측 정보에는 각 판매점별로 각 상품의 판매 현황, 판매량 추이, 기간별로 예상된 판매량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이를 위해 수요예측부(270)는 판매점 특이 정보, 상품 특이 정보, 제조사 특이 정보 및 환경 정보를 이용한다. 판매점 특이 정보는 각 판매점별로 이용하는 소비자의 성별, 연령대, 기간별 상품 구매 횟수, 구매하는 상품의 종류, 구매 횟수당 평균 구매액 등에 관한 소비자 정보, 각 판매점 주변에 위치하는 다른 판매점의 개수에 관한 판매점 경쟁 정보, 시간, 날씨, 계절별로 나타나는 판매량 동향 정보 등을 포함한다.The demand forecasting unit 270 checks the sales trend of each product at each store and provides demand forecast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200. Demand forecas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sales status of each product at each store, sales volume trends, and expected sales volume by period. For this purpose, the demand forecasting unit 270 uses store-specific information, product-specific information, manufacturer-specific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Store-specific information includes consumer information such as gender, age group, number of product purchases per period, type of product purchased, average purchase price per number of purchases, etc., and store competition information regarding the number of other stores located around each store. , includes information on sales trends by time, weather, and season.

또한, 상품 특이 정보는 광고 노출 회수, 포털 기사 노출 횟수, SNS상의 소비자의 반응, 경쟁 상품의 판매량 동향, 신상품 여부, 상품 이벤트 진행 여부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In addition, product-specific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advertisement exposures, number of portal article exposures, consumer reactions on SNS, sales trends of competing products, new products, and whether product events are in progress.

또한, 상품 특이 정보는 판매량이 증가하는 1개 이상의 상품에 대한 복수의 속성을 분석하여 분석된 속성에 대해 소정 개수 이상 유사한 속성을 나타내는 대체 상품 및 대체 상품의 판매 동향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품 특이 정보는 소정의 기간 범위에서 판매량이 증가하는 1개 이상의 상품에 대한 속성의 변화를 분석하여 향후 판매량 증가가 예상되는 상품 속성을 예측하여 이에 대한 상품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product-specific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substitute products that analyze a plurality of attributes for one or more products whose sales volume is increasing and show a predetermined number or more similar attributes to the analyzed attributes, and sales trends of substitute products. . In addition, product-specific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product by analyzing changes in the attributes of one or more products whose sales volume is increasing in a given period of time, predicting product attributes whose sales volume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and the type of product. there is.

또한, 제조사 특이 정보는 각 상품별로 각 제조사의 기간별 공급 가능 수량, 실제 공급 수량, 발주 가능 수량, 발주 초과 수량에 대한 공급 가능 기간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환경 정보는 날씨, 온도, 계절, 미세 먼지, 바이러스 등 환경에 관한 사항을 고려하기 위한 것으로 환경과 각 상품의 관련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수요예측부(270)는 소정의 기간 단위로 예측된 수요와 실제로 판매된 현황을 비교하여 수요 예측 정보를 수정하여 제어부(200)에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ufacturer-specific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supplyable quantity by period of each manufacturer for each product, the actual supply quantity, the orderable quantity, and the supply period for the quantity exceeding the order. Additionally, environmental information is intended to consider environmental matters such as weather, temperature, season, fine dust, and viruses, and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 and each product. Additionally, the demand forecasting unit 270 may compare the predicted demand and the actual sales status in a predetermined period, modify the demand forecast information, and provide it to the control unit 200.

제어부(200)는 재고관리부(250)로부터 수신된 상품의 발주 요청에 따라 상품발주부(260)에서 상품 발주가 진행되도록 한다. 재고관리부(250)로부터 수신된 발주 요청은 각 판매점별로 상품의 재고 수량이 미리 결정된 재고 수량 이하인 경우이므로 적절한 재고 수량을 유지하기 위해 재고관리부(250)로부터 상품 발주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바로 상품 발주가 진행되도록 한다. 재고관리부(250)는 미리 결정된 재고 수량을 기준으로 상품 발주 요청을 하기 때문에 제어부(200)는 소정의 기간 단위로 각 판매점별로 각 상품에 대한 미리 결정된 재고 수량이 적절한지 확인하여 각 판매점별 상품의 재고 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200)는 각 판매점별로 각 상품별 판매량, 판매 전에 유통 기간이 경과하여 판매하지 못한 상품의 수량, 각 판매점별 방문자수 변화 추이 등을 고려하여 각 판매점별로 적절한 상품의 재고 수량을 확인하여 재고관리부(250)에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0 allows the product ordering unit 260 to proceed with product ordering in accordance with the product ordering request received from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250. The order request received from the inventory management department 250 is when the inventory quantity of the product at each store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inventory quantity. Therefore, in order to maintain an appropriate inventory quantity, if there is a product order request from the inventory management department 250, the product order is placed immediately. Let it proceed. Since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250 requests product ordering based on a predetermined inventory quantity, the control unit 200 checks whether the predetermined inventory quantity for each product is appropriate for each store in a predetermined period and determines whether the product for each store is Inventory quantity can be adjusted. As an example, the control unit 200 checks the inventory quantity of appropriate products at each store, taking into account the sales volume for each product at each store, the quantity of products that were not sold due to the expiration of the distribution period before sale, and trends in the number of visitors at each store, etc. It can be provided to the inventory management department (250).

또한, 제어부(200)는 수요예측부(270)로부터 수신된 수요 예측 정보를 이용하여 각 판매점별로 상품의 재고 수량이 미리 결정된 재고 수량을 초과하여도 상품 발주가 진행되도록 상품발주부(26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상품에 대한 수요가 높아질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판매점의 방문자 수 증가 또는 경쟁 약화, 상품에 대한 각 제조사의 공급 수량에 변화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등에는 미리 상품을 확보하기 위한 상품 선 발주가 진행되도록 한다. 이때, 상품 선 발주는 수요 예측을 통해 발주하는 것이고 실제 판매량과 예측된 판매량 사이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200)는 수요예측부(270)의 수요 예측 정보에 따라 상품 선 발주를 소정의 횟수로 분할하여 진행할 수 있으며 보유하고 있는 재고 수량를 확인하여 발주되는 상품의 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상품의 수요 예측에 따라 진행하는 상품의 선 발주 수량을 각 판매점별로 결정할 수 있다. 수요가 증가하는 상품이나 각 판매점별로 방문하는 수요자의 성별, 연령대가 다르기 때문에 제어부(200)는 각 판매점의 특징을 고려하여 각 판매점별로 선 발주하는 상품의 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00 uses the demand forecas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emand forecasting unit 270 to operate the product ordering unit 260 so that product orders can proceed even if the inventory quantity of products at each store exceeds the predetermined inventory quantity. You can control it. For example, when the demand for a product is expected to increase, when the number of visitors to a store increases or competition weakens, or when it is predicted that there will be a change in the quantity supplied by each manufacturer for the product, pre-ordering the product to secure the product in advance Let it proceed. At this time, the product pre-order is placed based on demand forecast, and since a difference may occur between the actual sales volume and the predicted sales volume, the control unit 200 pre-orders the product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ccording to the demand forecast information of the demand forecast unit 270. You can proceed by dividing it into two parts, and you can check the quantity of inventory you have and adjust the quantity of the ordered product.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00 can determine the pre-order quantity of the product for each store according to the product demand forecast. Because the demand for products is increasing or the gender and age group of consumers visiting each store are different, the control unit 200 can determine the quantity of products to be pre-ordered for each store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ore.

일 예로, 제어부(200)는 각 상품에 대해 판매점별로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상품의 발주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M이 '0'을 초과하는 경우 소정의 범위에서 상품 발주를 진행하고, M이 '0'이하인 경우 상품 발주를 진행하지 않는다.As an example, the control unit 200 can determine whether to place an order for each product using [Equation 1] for each store, and if M exceeds '0',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with ordering the product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f M is ‘0’ or less, product ordering does not proceed.

[수학식 1][Equation 1]

M = (M1*M2*M3) - D - IM = (M 1 *M 2 *M 3 ) - D - I

이때, M은 제조사의 판매점별 공급 가능 수량At this time, M is the quantity that can be supplied by each manufacturer's sales outlet.

M1은 제조사의 상품 공급 가능 수량M 1 is the quantity that the manufacturer can supply

M2는 제조사의 상품 공급 가능 수량 대비 실제 공급 가능 비율M 2 is the ratio of the actual supply available to the manufacturer's product supply quantity

M3는 제조사의 공급 상품에 대한 판매점별 공급 가능 비율M 3 is the supply ratio of each store to the manufacturer's supplied products

D는 판매점별 상품 발주 수량D is the quantity of products ordered by each store

I는 판매점별 현재 재고 수량I is the current inventory quantity by store

[수학식 1]에서 M2는 제조사가 생산한 제품 중 일부는 재고 수량을 보유하고 있는 것을 반영하여 실제 제공 수량에 관한 것이며, M3는 제조사에서 각 판매점별로 제공하는 상품의 수량에 차이가 있으므로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상품에 대해 각 판매점별로 제공하는 상품의 수량에 관한 것이다.In [Equation 1], M 2 refers to the actual quantity provided, reflecting the fact that some of the products produced by the manufacturer are in stock, and M 3 refers to the difference in the quantity of products provided by the manufacturer at each store. It concerns the quantity of products provided by each store for products provided by the manufacturer.

또한, 판매점별 상품 발주 수량(D)는 [수학식 2]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oduct order quantity (D) for each store can be determined using [Equation 2].

[수학식 2][Equation 2]

D = (S*P*I1) - ID = (S*P*I 1 ) - I

이때, S는 판매점별 일평균 판매 수량At this time, S is the average daily sales quantity per store.

P는 상품 특이 정보 또는 환경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값P is a value determined based on product-specific information or environmental information

I1은 재고량 결정을 위한 상품의 최대 상품판매 일수I 1 is the maximum number of days of product sales for determining inventory quantity

I는 현재 재고 수량I is the current inventory quantity

[수학식 2]에서 제어부(200)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이벤트 또는 환경 요인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고 실제 판매량을 모니터링하여 P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P가 상품의 특이 정보를 반영하는 경우 상품 이벤트를 위해 프로모션를 개시하거나 진행중인 경우 P의 값은 1.3 내지 3.0에서 결정된 값이며, 프로모션이 종료되거나 종료 예정인 경우 P의 값은 0.3 내지 2.0에서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P가 환경 정보를 반영하는 경우 P는 0.3 내지 2.0에서 값을 결정할 수 있다.In [Equation 2], the control unit 200 can determine the value of P by using data on events or environmental factors through big data analysis and monitoring actual sales volume. As an example, when P reflects the specific information of the product, when a promotion is started or in progress for a product event, the value of P is a value determined from 1.3 to 3.0, and when the promotion has ended or is scheduled to end, the value of P is a value from 0.3 to 2.0 can be decided. Additionally, if P reflects environmental information, P may determine a value between 0.3 and 2.0.

또한, 현재 재고 수량(I)는 [수학식 3]을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urrent inventory quantity (I) can be determined using [Equation 3].

[수학식 3][Equation 3]

I = (S*I1)-(S*(I2+I3))I = (S*I 1 )-(S*(I 2 +I 3 ))

이때, S는 판매점별 일평균 판매 수량At this time, S is the average daily sales quantity per store.

I1은 재고량 결정을 위한 상품의 최대 상품판매 일수I 1 is the maximum number of days of product sales for determining inventory quantity

I2는 재고량 결정을 위한 상품의 최소 상품판매 일수I 2 is the minimum number of days of product sales for determining inventory quantity

I3는 상품의 배송 소요일수I 3 is the number of days it takes for the product to be delivered

[수학식 3]에서 I1 및 I2는 재고량을 결정함에 있어 최대 판매일수 및 최소 판매일수에 관한 것으로, 일 예로 일평균 수량이 10개인 경우 재고를 최대 10일 판매 가능 수량으로 결정한 경우 재고 수량은 100개가 되며, 최소 5일 판매 가능 수량으로 결정한 경우 재고 수량은 50개가 된다.In [Equation 3], I 1 and I 2 relate to the maximum number of sales days and the minimum number of sales days when determining the inventory quantity. For example, if the daily average quantity is 10, if the inventory is determined to be available for sale for up to 10 days, the inventory quantity There are 100 pieces,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quantity can be sold for at least 5 days, the inventory quantity is 50 piece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품 발주 시스템(10)의 서버(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erver 100 of the product order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통신부(220)를 통해 제1 내지 제3 판매점 단말(140,160)로부터 상품 판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300), 재고관리부(250)는 각 판매점별로 적정한 재고를 유지하고 있는지 확인한다(310). 상품 재고가 미리 결정된 재고 수량 이하가 되어 상품 발주가 필요한 경우(320의 예), 재고관리부(250)는 제어부(200)에 상품 발주를 요청하고, 제어부(200)는 상품발주부(260)에서 제1 내지 제3 제조사 단말(110,130)에 상품 발주 요청을 진행하도록 한다(330). 또한, 제어부(200)는 상품 판매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 판매가 미진하여 상품 재고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품 재고 수량을 조절한다(340). 또한, 제어부(200)는 수요예측부(270)로부터 수신된 수요 예측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의 선 발주가 필요한지 확인한다(350). 상품의 선 발주가 필요한 경우(360의 예), 제어부(200)는 각 판매점별로 상품의 재고 수량이 미리 결정된 재고 수량을 초과하여도 상품발주부(260)에서 상품 발주가 진행되도록 한다(370). Referring to FIG. 3, when information on product sales is received from the first to third store terminals 140 and 16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20 (300),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250 determines whether appropriate inventory is maintained at each store. Confirm (310). When the product inventory falls below the predetermined inventory quantity and a product order is required (example in 320),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250 requests the control unit 200 to place a product order, and the control unit 200 sends a request to the product ordering unit 260. A product order request is made to the first to third manufacturer terminals (110,130) (330).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200 uses information on product sales to adjust the product inventory quantity when product inventory adjustment is necessary due to insufficient product sales (340).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200 uses the demand predic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emand prediction unit 270 to determine whether advance ordering of the product is necessary (350). When advance ordering of a product is necessary (example in 360), the control unit 200 allows the product ordering unit 260 to proceed with product ordering even if the stock quantity of the product at each store exceeds the predetermined stock quantity (370) .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equivalents to the claims.

200: 제어부 210: 입력부
220: 통신부 230: 디스플레이부
240: 저장부 250: 재고관리부
260: 상품발주부 270: 수요예측부
200: control unit 210: input unit
220: Communication unit 230: Display unit
240: storage department 250: inventory management department
260: Product ordering department 270: Demand forecasting department

Claims (7)

상품 발주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와;
적어도 하나의 판매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품 판매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각 판매점의 재고 수량이 미리 결정된 재고 수량 이하인지 여부에 따라 상품의 발주를 요청하는 재고관리부와;
상품의 발주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조사 단말에 상품 발주를 진행하는 상품발주부와;
판매점 특이 정보, 상품 특이 정보, 제조사 특이 정보 및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판매점에 대한 각 상품의 판매 동향을 확인하여 수요 예측 정보를 제공하는 수요예측부와;
상기 재고관리부의 상품 발주 요청에 따라 상기 상품 발주부에서 상품 발주가 진행되도록 하며, 상기 상품 판매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재고 수량을 조절하며, 상기 수요 예측 정보에 따라 상기 각 판매점의 재고 수량이 미리 결정된 재고 수량을 초과하여도 상품 발주가 진행되도록 상기 상품발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품 특이 정보는 광고 노출 회수, 포털 기사 노출 횟수, SNS상의 소비자의 반응, 경쟁 상품의 판매량 동향, 신상품 여부, 상품 이벤트 진행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In the product ordering device,
an input unit for receiving data;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 storage unit for storing data;
an inventory management unit that uses information on product sales received from at least one store terminal to request ordering of a product depending on whether the inventory quantity of each stor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inventory quantity;
a product ordering department that places an order for a product to at least one manufacturer terminal according to a product order request;
a demand forecasting unit that provides demand forecasting information by checking sales trends of each product for at least one store using at least one of store-specific information, product-specific information, manufacturer-specific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oduct ordering request from the inventory management department, the product ordering department proceeds with the product ordering, adjusts the predetermined inventory quantity using the information on product sales, and stocks each store according to the demand forecast information.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product ordering unit so that product ordering proceeds even if the quantity exceeds a predetermined inventory quantity,
The product-specific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advertisement exposures, the number of portal article exposures, consumer reactions on SNS, sales volume trends of competing products, whether it is a new product, and whether a product event is in progr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점 특이 정보는 각 판매점을 이용하는 소비자 정보, 판매점 경쟁 정보 및 판매량 동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소비자 정보는 각 판매점별로 이용하는 소비자의 성별, 연령대, 기간별 상품 구매 횟수, 구매하는 상품의 종류, 구매 횟수당 평균 구매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판매점 경쟁 정보는 각 판매점 주변에 위치하는 다른 판매점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판매량 동향 정보는 시간, 날씨, 계절별로 나타나는 판매량 동향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ore-specific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consumer information using each store, store competition information, and sales volume trend information,
The consumer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gender, age group, number of product purchases per period, type of product purchased, and average purchase price per number of purchases, and the store competition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other stores located around each store. A device that include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and wherein the sales volume trend information includes sales volume trend information displayed by time, weather, and seas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특이 정보는 판매량이 증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복수의 속성을 분석하여 분석된 속성에 대해 소정 개수 이상 유사한 속성을 나타내는 대체 상품 및 상기 대체 상품의 판매 동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roduct-specific information is a device that analyzes a plurality of attributes of at least one product whose sales volume is increasing, and includes information about a substitute product that exhibits a predetermined number or more similar attributes to the analyzed attribute and a sales trend of the substitute produ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사 특이 정보는 각 상품별로 각 제조사의 기간별 공급 가능 수량, 실제 공급 수량, 발주 가능 수량, 발주 초과 수량에 대한 공급 가능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manufacturer-specific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supplyable quantity for each manufacturer's period for each product, the actual supply quantity, the orderable quantity, and the supply period for the quantity exceeding the or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정보는 날씨, 온도, 계절, 미세 먼지, 바이러스 중 적어도 하나와 상품의 관련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duct and at least one of weather, temperature, season, fine dust, and viru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요 예측 정보에 따라 진행하는 상품 발주를 소정의 횟수로 분할하여 진행하고 보유하고 있는 재고 수량를 확인하여 발주되는 상품의 수량을 조절하는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trol unit is a device that divides product orders made according to the demand forecast information into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d controls the quantity of ordered products by checking the quantity of inventory held.
KR1020210137340A 2021-10-15 Commodity ordering method for adaptive considering of demand and supply and apparatus thereof KR1026730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340A KR102673025B1 (en) 2021-10-15 Commodity ordering method for adaptive considering of demand and supply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340A KR102673025B1 (en) 2021-10-15 Commodity ordering method for adaptive considering of demand and supply and apparatu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942A KR20230053942A (en) 2023-04-24
KR102673025B1 true KR102673025B1 (en) 2024-06-0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0617B2 (en) Automated shopping apparatus and method in response to consumption
Netessine et al. Centralized and competitive inventory models with demand substitution
Kök et al. Demand estimation and assortment optimization under substitution: Methodology and application
Silbermayr et al. A multiple sourcing inventory model under disruption risk
CN109155021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he inventory for the product bought by customer from retailer
CN101548293A (en) Shelf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1872220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sales forecasting information based on network
KR101735378B1 (en) Logistic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product price using the same
KR20210025250A (en) Big data analysis based on electronic price notation system Personalized marketing service provision system
KR20150145487A (en) Sell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in accordance with marketing stratgies
KR102476236B1 (en) Method for providing product based on user's location and apparatus thereof
KR102297131B1 (en) Method for marketing using managing server
KR102673025B1 (en) Commodity ordering method for adaptive considering of demand and supply and apparatus thereof
KR20170101709A (en) Box lunch prduct sale system using mobile application
JP5213689B2 (en) Lunch box manufacturing and sales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program and storage medium
Gupta et al. Inventory models and their selection parameters: a critical review
KR20230053942A (en) Commodity ordering method for adaptive considering of demand and supply and apparatus thereof
KR20210044974A (en) System for Integrated Delivery and Driving Method Thereof
WO2023183398A1 (en) Vending, storage, inventory management, and tracking systems and methods for consumables
KR102630336B1 (en) Food sales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ty centers in apartments using unmanned vending machines
KR102002682B1 (en) ELECTRONIC COUPON SERVICE METHOD - Dynamic Pricing and Pay in Cash Management System
CN109064154B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related device
KR20150140198A (en) Managing system and method of changing price for Electronic Shelf Label
Wang et al. Integrating dynamic pricing and inventory control for fresh agriproduct under multinomial logit choice
KR102047277B1 (en) Thing as a service based asset procurement management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