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2707B1 - 공동주택에서 전기 설비의 설계를 자동화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에서 전기 설비의 설계를 자동화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2707B1
KR102672707B1 KR1020230075503A KR20230075503A KR102672707B1 KR 102672707 B1 KR102672707 B1 KR 102672707B1 KR 1020230075503 A KR1020230075503 A KR 1020230075503A KR 20230075503 A KR20230075503 A KR 20230075503A KR 102672707 B1 KR102672707 B1 KR 102672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ign
electrical
electrical equipment
unit space
applian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5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환
김종수
방은규
이주호
Original Assignee
(주)평화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평화이앤씨 filed Critical (주)평화이앤씨
Priority to KR1020230075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27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2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27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8Network design, e.g. design based on topological or interconnect aspects of utility systems, piping, 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HVAC] or cab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2Geometric CAD characterised by design ent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AD, e.g.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20Configuration CAD, e.g. designing by assembling or positioning modules selected from libraries of predesigned mod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3/00Details relating to the application field
    • G06F2113/04Power grid distribution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9/00Details relating to the type or aim of the analysis or the optimisation
    • G06F2119/04Ageing analysis or optimisation against age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9/00Details relating to the type or aim of the analysis or the optimisation
    • G06F2119/06Power analysis or power optim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rchitectu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서 전기 설비의 설계를 자동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전기 설비의 설계 대상이 되는 단위 공간의 건축 도면을 수신하여, 단위 공간의 면적 및 용도를 분석하는 단위 공간 분석 단계; 단위 공간의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전기 기구 정보가 저장된 제1 데이터베이스에서 단위 공간에 설치되어 전력을 소비할 것으로 예측되는 하나 이상의 전기 기구를 선정하는 전기 기구 선정 단계; 선정된 하나 이상의 전기 기구에 기초하여, 단위 공간에서의 예측 부하량을 계산하고, 전기 설비 정보가 저장된 제2 데이터베이스에서 예측 부하량에 대응되는 설비 용량을 가진 전기 설비를 설계 객체로 선정하는 설계 객체 선정 단계; 및, 설계 객체로 선정된 전기 설비를 IEC기준에 따라 건축 도면에 배치한 뒤, 배선을 수행하여 전기 설비가 설계된 설계 도면으로 가공하는 설계 도면 가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에서 전기 설비의 설계를 자동화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매체{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AUTOMAAU DESIGN OF ELECTRICAL EQUIPMENT IN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서 전기 설비의 설계를 자동화하는 방법과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아파트 등의 단위 공간에서 예측되는 소비 전력량을 기반으로, 최적의 용량을 갖는 전기 설비를 선정하고, 이를 자동 설계하는 기술을 구현하는 것과 관련된 것이다.
전기설비는 설계와 건설로 이루어진 전기 사용 시설을 통칭하는 말로서, 조명 설비, 전열 설비, 전동력 설비, 송배전 설비 및 발전 설비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 설비들은 설계 시, 개별 전기 설비들마다의 용도에 적합한 공간적 위치, 공간의 면적에 맞는 설비의 수 및 각 설비들 간의 연결 관계 등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하지만 실내 전기 설비의 설계는 일반적으로 사람에 의해 직접 이루어지고 있어 속도 및 정확성에서 결함이 발생되고 있으며, 자동화 시스템을 갖춘 한국 등록 특허 제10-1457644호의 경우에도 기본적인 수준의 설계 정보를 기반으로 설계를 수행하고, 설계 기준에 맞지 않는 오류를 검출하는 정도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에 불과하였다.
또한 종래 기술들은 개별 공간의 수용력을 온전히 반영하지 않은 상태의 전기 설비의 설계가 수행되었기에, 개별 단위 공간에 대한 적합도를 높이면서, 각 전기 설비들 간의 연결이 최적화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설비의 설계 자동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연립주택, 다세대 주택, 아파트를 비롯한 공동주택에 구비되는 전기 설비의 설계 시, 단위 공간에서 예측되는 소비 전력량을 기반으로, 최적의 용량을 갖는 전기 설비를 선정하고, 이를 자동 설계하는 기술을 구현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공동주택에서 전기 설비의 설계를 자동화하는 방법은, 전기 설비의 설계 대상이 되는 단위 공간의 건축 도면을 수신하여, 단위 공간의 면적 및 용도를 분석하는 단위 공간 분석 단계; 단위 공간의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전기 기구 정보가 저장된 제1 데이터베이스에서 단위 공간에 설치되어 전력을 소비할 것으로 예측되는 하나 이상의 전기 기구를 선정하는 전기 기구 선정 단계; 선정된 하나 이상의 전기 기구에 기초하여, 단위 공간에서의 예측 부하량을 산출하고, 전기 설비 정보가 저장된 제2 데이터베이스에서 예측 부하량에 대응되는 설비 용량을 갖는 전기 설비를 설계 객체로 선정하는 설계 객체 선정 단계; 및, 설계 객체로 선정된 전기 설비를 IEC기준에 따라 건축 도면에 배치한 뒤, 배선을 수행하여 전기 설비가 설계된 설계 도면으로 가공하는 설계 도면 가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예측 부하량은, 선정된 하나 이상의 전기 기구에 대한 단위 시간 당 소비 전력의 합산 결과로부터 예측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예측 부하량의 산출 시, 선정된 하나 이상의 전기 기구 중, 일 전기 기구가 단위 공간에서 상시 사용되는 전기 기구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예측 부하량의 산출 시 이용되는 파라미터로 상기 일 전기 기구의 최대 소비 전력이 이용되고, 일 전기 기구가 단위 공간에서 상시 사용되는 전기 기구에 미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예측 부하량의 산출 시 이용되는 파라미터로 일 전기 기구의 평균 소비 전력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설계 객체 선정 단계에서는, 산출된 예측 부하량에, 기 설정된 예비 부하량을 합산하여 합산 결과에 대응되는 설비 용량을 갖는 전기 설비를 설계 객체로 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예비 부하량은, 단위 공간과 면적 및 용도가 임계값 이상으로 유사한 n개의 타 단위 공간의 과거 설계 부하량에 기초하여, 설계 부하량의 연간 증가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예비 부하량에는, 설계 부하량의 연간 증가율에, 단위 공간이 위치하는 공동주택의 기대 수명을 가중치로 반영한 결과값이 이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전기 기구 선정 단계의 수행 시, 단위 공간을 실 사용하는 세대 구성 정보가 존재할 경우, 세대 구성 정보를 전기 기구의 선정 기준에 대한 가중치로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설계 도면 가공 단계의 수행 후에는, 전기 설비의 시공 정보를 구체화한 실시 설계 도서를 생성하여, 생성된 실시 설계 도서를 기 설정된 협력 업체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공동주택에서 전기 설비의 설계를 자동화하는 장치는, 전기 설비의 설계 대상이 되는 단위 공간의 건축 도면을 수신하여, 단위 공간의 면적 및 용도를 분석하는 단위 공간 분석부; 단위 공간의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전기 기구 정보가 저장된 제1 데이터베이스에서 단위 공간에 설치되어 전력을 소비할 것으로 예측되는 하나 이상의 전기 기구를 선정하는 전기 기구 선정부; 선정된 하나 이상의 전기 기구에 기초하여, 단위 공간에서의 예측 부하량을 산출하고, 전기 설비 정보가 저장된 제2 데이터베이스에서 예측 부하량에 대응되는 설비 용량을 갖는 전기 설비를 설계 객체로 선정하는 설계 객체 선정부; 및, 설계 객체로 선정된 전기 설비를 IEC기준에 따라 건축 도면에 배치한 뒤, 배선을 수행하여 전기 설비가 설계된 설계 도면으로 가공하는 설계 도면 가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한편,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전기 설비의 설계 대상이 되는 단위 공간의 건축 도면을 수신하여, 단위 공간의 면적 및 용도를 분석하는 단위 공간 분석 단계; 단위 공간의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전기 기구 정보가 저장된 제1 데이터베이스에서 단위 공간에 설치되어 전력을 소비할 것으로 예측되는 하나 이상의 전기 기구를 선정하는 전기 기구 선정 단계; 선정된 하나 이상의 전기 기구에 기초하여, 단위 공간에서의 예측 부하량을 산출하고, 전기 설비 정보가 저장된 제2 데이터베이스에서 예측 부하량에 대응되는 설비 용량을 갖는 전기 설비를 설계 객체로 선정하는 설계 객체 선정 단계; 및, 설계 객체로 선정된 전기 설비를 IEC기준에 따라 건축 도면에 배치한 뒤, 배선을 수행하여 전기 설비가 설계된 설계 도면으로 가공하는 설계 도면 가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립주택, 다세대 주택, 아파트를 비롯한 공동주택에 구비되는 전기 설비의 설계 시, 단위 공간에서 예측되는 소비 전력량을 기반으로, 최적의 용량을 갖는 전기 설비를 선정하고, 이를 자동 설계하는 기술을 구현하여, 전기 설비 설계에 대한 작업 효율을 크게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동주택에 구획된 단위 공간을 실 사용하는 세대 구성원 정보를 고려하여 예측 부하량을 산정함으로써, 전력 공급 과잉에 따른 에너지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동주택의 건립 시점에 대응되는 전기 설비의 설계가 수행되는 것에서 더 나아가, 공동주택의 기대 수명에 대응되는 예비 부하량이 고려된 전기 설비의 설계가 수행됨으로써, 전기 설비의 설계 품질의 고도화를 도모하여,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전력 부하량이 증가되는 경우에도, 전력 공급 부족으로 인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종래 사람에 의해 이루어지던 전기 설비의 설계 과정이 기계화되어 인력 부족에 의한 전기 설비의 설계 처리에 요구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인건비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에서 전기 설비의 설계를 자동화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의 일 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예측 부하량의 산출에 대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예측 부하량 산출에 대한 세부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예비 부하량의 산출과 설비 용량의 산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설비의 자동 설계를 기반으로 하는 실시 설계의 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에서 전기 설비의 설계를 자동화하는 장치 구성도의 일 예.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서 전기 설비의 설계를 자동화하는 방법에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연립주택, 다세대 주택, 아파트를 비롯한 공동주택에 구비되는 전기 설비의 설계 시, 단위 공간에서 예측되는 소비 전력량을 기반으로, 최적의 용량을 갖는 전기 설비를 선정하고, 이를 자동 설계하는 기술을 구현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하나 이상의 기술적 특징 또는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에서 전기 설비의 설계를 자동화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었듯 본 발명에서는 전기 설비의 설계 대상이 되는 단위 공간의 건축 도면을 수신하여, 단위 공간의 면적 및 용도를 분석하는 단위 공간 분석 단계(S10)가 수행되게 된다.
이때 상술한 S10 단계에서 전기 설비의 설계 대상이 되는 단위 공간이라 함은, 공동 주택에 구획되는 단위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인데, 예를 들어 연립 주택, 다세대 주택, 아파트 및 오피스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공동 주택에 구획된 단위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S10 단계에서는 수신된 건축 도면에서 단위 공간의 면적 및 용도를 분석하게 되는데, 이때 분석 대상이 되는 단위 공간은, 공동 주택을 구성하는 전체 세대, 공동 주택의 일 단위 세대 또는, 공동 주택의 일 단위 세대를 구성하는 단위 실(Room)을 비롯한 공간의 개념 등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S10 단계에서는 단위 공간의 면적 및 용도를 분석한다.
이때 단위 공간의 면적을 분석하는 것은 면적에 따라 요구되는 전기 기구 또는 전기 설비의 종류 및 설비 용량이 상이하여 질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상술한 단위 공간의 용도를 분석하는 것 역시 단위 공간의 용도에 따라 구비될 수 있는 전기 기구의 종류가 달라지고, 구비되어야 하는 전기 설비의 종류가 달라질 수 있음을 고려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S10 단계의 수행 후에는 S10 단계에서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전기 기구 정보가 저장된 제1 데이터베이스에서 단위 공간에 설치되어 전력을 소비할 것으로 예측되는 하나 이상의 전기 기구를 선정하는 전기 기구 선정 단계(S20)가 수행되게 된다.
이때 상술한 전기 기구는,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이큅먼트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한 실시 예로서, 전기 기구의 선정 기준은 단위 공간의 용도에 따라 차별화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단위 공간이 공동 주택의 일 단위 세대에 구획된 주방이라고 가정해볼 때, 본 발명의 S20 단계에서 선정되는 전기 기구는 예를 들어 냉장고, 전자레인지, 전기밥솥, 커피머신, 인덕션 등 주방에서 사용되는 전기 기구들이 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실시 예로서, 단위 공간이 공동 주택의 일 단위 세대에 구획된 화장실이라면, 본 발명의 S20 단계에서 선정되는 전기 기구는 예를 들어 헤어드라이어, 비데, 칫솔 살균기, 환풍기 등 화장실에서 사용되는 전기 기구들이 선정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전기 기구의 선정 기준은 단위 공간의 면적에 따라 차별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위 공간의 면적이 40제곱미터인 경우, 거주 또는 생활 인원이 1 ~ 2인이 될 것으로 판단하여 1 ~ 2인의 거주 및 생활에 필요한 전기 기구를 선정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단위 공간의 면적이 100제곱미터이고, 용도가 생활 공간인 경우, 거주 또는 생활 인원인 3~4인이 될 것으로 판단하여 3~4인의 거주 및 생활에 필요한 전기 기구를 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S20 단계에서는 공동주택에 생활 및 거주하면서 필요한 전기 기구를 선정하는 과정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S20 단계의 수행 시, 단위 공간을 실 사용하는 세대 구성 정보가 존재할 경우, 세대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전기 기구의 선정 기준에 대한 가중치가 반영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술한 세대 구성 정보라 함은, 세대를 구성하는 식구에 대한 정보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인데, 예를 들어 세대를 구성하는 식구의 성별, 식구의 연령, 식구의 수에 대한 정보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전기 기구의 선정에 세대 구성 정보를 반영하는 것은, 연계된 전기 기구 판매 업체의 서버로부터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전기 기구의 구매 패턴을 도출함으로써, 이러한 구매 패턴을 전기 기구의 선정 기준에 반영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단위 공간을 구성하는 세대 정보가 20대 남성 2명일 경우, 본 발명에서는 전기 기구의 선정 시, 여성 전용으로 나온 전기 기구의 선정을 배제할 수 있을 것이며, 20대 남성의 선호도가 낮은 안마기기 등 전기 기구의 타겟층이 고령인 전기기구의 선정을 배제하도록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S20 단계에서는 단위 공간의 면적, 용도, 세대 구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기준으로 단위 공간에서 거주 또는 생활하면서 주로 사용될 것으로 예측되는 전기 기구를 선정하여, 단위 공간에 최적의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전기 설비의 설계 자동화를 최적화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한편 상술한 S20 단계의 수행 후에는, S20 단계에서 선정된 하나 이상의 전기 기구에 기초하여 단위 공간에서의 예측 부하량을 산출하고, 전기 설비 정보가 저장된 제2 데이터베이스에서 예측 부하량에 대응되는 설비 용량을 갖는 전기 설비를 설계 객체로 선정하는 설계 객체 선정 단계(S3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예측 부하량은 S20 단계에서 선정된 하나 이상의 전기 기구에 대한 단위 시간 당 소비 전력의 합산 결과로부터 예측될 수 있다.
한 실시 예로서 도 2의 100을 참조하여 보면, S20 단계에서 선정된 전기 기구가 a, b, c로 3개로 선정되었을 때, 예측 부하량은 전기기구 a, b, c가 갖는 각각의 소비 전력 x, y, z를 합하여 예측 부하량을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예측 부하량의 산출 시 S20 단계에서 선정된 하나 이상의 전기 기구가 상시 사용 전기 기구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살펴 예측 부하량을 산출할 수도 있다.
이는 전기 기구들의 최대 소비 전력의 합산값으로 예측 부하량을 산출함으로써, 공급 전력의 부족 문제 없는 부하량 산출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더욱 세부적인 설명을 위해 도 3을 동시 참조하여 보기로 한다.
도 3을 동시 참조하여 설명을 개진하면, 본 발명에서는 S20 단계에서 선정된 하나 이상의 전기 기구가 선정되면, S21 단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정된 하나 이상의 전기 기구 중 일 전기 기구가 단위 공간에서 상시 사용되는 전기 기구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예측 부하량의 산출에 이용되는 파라미터를 달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21 단계의 기능 수행 결과, S20 단계에서 선정된 일 전기 기구가 단위 공간에서 상시 사용되는 전기 기구에 포함되는 경우(예를 들어 단위 공간이 주방인 경우, 상시 사용되는 전기 기구는 냉장고가 있을 수 있다), S211 단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예측 부하량의 산출 시 이용되는 파라미터로서 일 전기 기구의 최대 소비전력을 이용하도록 한다.
이때 S21 단계의 기능 수행 결과, 선정된 일 전기 기구가 단위 공간에서 상시 사용되는 전기 기구에 미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예를 들어 단위 공간이 주방인 경우, 상시 사용되는 전기 기구에 미포함되는 전기 기구는 전자레인지가 있을 수 있다), S212 단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측 부하량의 산출 시 이용되는 파라미터로 일 전기 기구의 평균 소비 전력을 이용하도록 한다.
이후 본 발명에서는 선정된 모든 전기 기구에 대한 상시 사용 전기 기구 여부를 확인하여, S211, S212 단계의 수행 결과를 기초로 예측 부하량을 산출하는 S22 단계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기능 수행에 의하여 단위 공간에서 소비될 것으로 예측되는 전력량에 대응되는 예측 부하량의 추정치를, 보다 최적의 값으로 산출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단위 공간에 대한 공급 전력의 과잉 또는 부족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소시키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상술한 S30 단계에서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산출된 예측 부하량에 기 설정된 예비 부하량을 합산하여 합산 결과에 대응되는 설비 용량을 갖는 전기 설비를 설계 객체로 선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예비 부하량은, 예측 부하량보다 실제 전력 사용이 많은 경우를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예측 부하량에 대해 기 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예측 부하량의 10%)의 예비 부하량이 일률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한 실시 예로서, 예측 부하량이 100kW라고 가정할 때 예비 부하량은 10kW로 설정되어 단위 공간에 공급되는 전력량의 총합은 110kW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이에 더 나아가, 예비 부하량을 단위 공간과 면적 및 용도가 임계값 이상으로 유사한 n개의 타 단위 공간의 과거 설계 부하량에 기초하여, 설계 부하량의 연간 증가율에 따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이는 단위 공간의 예비 부하량 산출 시점 이전의 n개 년도에 유사 면적 및 유사 용도를 갖는 단위 공간의 설계 부하량에 기초하는 것으로, 한 실시 예로서, 현 시점이 2022년일 경우, 유사 단위 공간에 대한 2020년도의 설계 부하량과 2021년도의 설계 부하량을 비교하여, 증가율을 구한 뒤, 이를 당해 년도인 2022년도의 예비 부하량으로 적용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인 예로서, 2021년도의 설계 부하 증가율이 이전 년도인 2020년도에 비하여 10% 증가하였다고 가정해 볼 때, 2022년도의 예비 부하량은 2021년도의 설계 부하량에 비하여 10%에 해당하는 예비 부하량을 가질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아울러,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2개 년도의 설계 부하량 증가율로서 예비 부하량을 산출하는 실시 예에 한정하여 설명을 수행하였으나, 이는 한 실시 예에 불과하고, 2개 이상의 과거 n개 년도의 설계 부하량 증가율의 최빈값, 평균값, 최대값 또는 최소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하는 예비 부하량의 산출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설계 부하량의 연간 증가율에 단위 공간이 위치하는 공동 주택의 기대 수명을 가중치로 반영한 결과값을 예비 부하량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즉 도 4의 200을 동시 참조하고,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설계 부하량의 연간 증가율이 예를 들어 8%이고, 공동 주택의 기대 수명이 예를 들어 20년일 경우, 본 발명의 예비 부하량은 20년 동안 매년 8%씩 증가한 설계 부하량의 연간 증가율을 반영한 값을 예비 부하량의 산출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S30 단계에서는 전술한 예측 부하량에 상기의 예비 부하량을 합산한 결과로 전기 설비가 갖추어야 할 설비 용량의 산출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건물의 기대 수명에 부합하는 설비 용량이 설치된 전기 설비 설계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공동주택의 기대 수명은, 공동주택의 종류에 따른 건립일과 철거일을 기준으로 하여, 평균적으로 추산되는 시간으로 산출될 수 있을 것인데, 바람직하게는 최근의 시공 공법을 반영하여 직전 년도에 철거된 n개의 공동 주택의 건립일과 철거일로부터 평균 기대 수명을 산출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S30 단계의 실시 예에 의하여, 공동주택의 건립 시점에 대응되는 전기 설비의 설계가 수행되는 것에서 더 나아가, 공동주택의 기대 수명에 대응되는 예비 부하량이 고려된 전기 설비의 설계가 수행됨으로써, 전기 설비의 설계 품질의 고도화를 도모하여,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전력 부하량이 증가되는 경우에도, 전력 공급 부족으로 인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다음으로 상술한 S30 단계의 수행 후에는, 설계 객체로 선정된 전기 설비를 IEC 기준에 따라 건축 도면에 배치한 뒤, 배선을 수행하여 전기 설비가 설계된 설계 도면으로 가공하는 설계 도면 가공 단계(S4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S40 단계에서 언급한 IEC 기준이라 함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에서 전기통신 분야의 규격을 통일하기 위해 만든 기준에 따르는 것으로, 변압기 설계, 접지선 설계, 메인 차단기 설계, 분기점 설계, 분기 차단기 설계, 부하 설계, 배선 설계 등을 IEC 기준에 따르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즉 S40단계에서는 전술한 S10 단계에서 수신한 단위 공간의 설계 도면에 전기 설비에 대한 설계 도면을 중첩하여, 공간의 설계 도면을 전기 설비 설계 도면으로 가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고, 이때 전술한 설계 도면에는 각 전기 설비에 대응되는 약속된 기호로 전기 설비가 표시되도록 하여, 관련 업계 종사자가 설계 도면 상에 배치된 전기 설비가 무엇인지를 명확히 인지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S40 단계의 기능 수행 후에는, S40 단계에서 생성된 전기 설비 설계도면을 이용하여, 전기 설비의 시공 정보를 구체화한 실시 설계 도서를 생성하도록 하는 기능이 수행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실시 설계 도서는, 전기 설비 설계 도면을 기반으로 전기 설비의 시공을 수행할 때, 전기 설비 설계 도면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실제 시공에 필요한 내용을 도서의 형식으로 표현하여 둔 것의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설계 도서에는 설계 개요소, 설계 도면, 시방서, 전기설비 내역서, 전기설비 산출서, 전기 설비 견적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내역이 포함될 수 있고, 도 5의 300에서는 실시 설계 도서에 포함되는 항목 중 하나인 변압기 용량 계산서가 첨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 의해 생성된 실시 설계 도서는 구비된 통신 모듈을 통해 기 설정된 협력 업체 단말로 전송될 수 있을 것인데, 이때 상술한 협력 업체 단말이라 함은, 전기 설비의 시공을 수행할 수 있는 업체 단말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전기 설비의 배치와 관련된 설계 작업부터, 시공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 설계 작업까지가 일률적으로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전기 설비의 설계 및 시공 편의를 크게 증대하여 주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S40 단계의 수행 후에는, 전술한 최종적으로 설계 도면 상에 배치된 전기 설비들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 단말에 전기 설비의 설계 도면에 대한 검증이 수행되도록 하고, 바람직하게는 둘 이상의 전문가 단말에 전기 설비의 설계 도면에 대한 검증이 수행되도록 하여, 과반수 이상 또는 모든 전문가의 적합 판단 결과가 수신될 때까지 전기 설비의 설계 도면에 대한 재생성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이때 재생성 횟수는 10회로 그 임계값이 정해져 있어 비효율적인 전기 설비의 설계 도면이 반복적으로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며, 전기 설비의 재생성 횟수가 임계값을 초과하여도 과반수 또는 모든 전문가 단말로부터 적합 판단 결과가 수신되지 않을 시에는, 일 전문가 단말에서 전기 설비의 설계 도면의 직접 생성을 요청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일 전문가 단말에서 전기 설비의 설계 도면이 직접 생성되는 경우, IEC 기준이 학습된 인공지능 학습 모듈을 기반으로, 전문가 단말에서 직접 생성된 전기 설비의 설계 도면이 IEC 기준을 충족하는 지 여부를 살피도록 하는 적합성 검증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아울러, 전술한 실시 예를 종합하여 본 결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립주택, 다세대 주택, 아파트를 비롯한 공동주택에 구비되는 전기 설비의 설계 시, 단위 공간에서 예측되는 소비 전력량을 기반으로, 최적의 용량을 갖는 전기 설비를 선정하고, 이를 자동 설계하는 기술을 구현하여, 전기 설비 설계에 대한 작업 효율을 크게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동주택에 구획된 단위 공간을 실 사용하는 세대 구성원 정보를 고려하여 예측 부하량을 산정함으로써, 전력 공급 과잉에 따른 에너지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동주택의 건립 시점에 대응되는 전기 설비의 설계가 수행되는 것에서 더 나아가, 공동주택의 기대 수명에 대응되는 예비 부하량이 고려된 전기 설비의 설계가 수행됨으로써, 전기 설비의 설계 품질의 고도화를 도모하여,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전력 부하량이 증가되는 경우에도, 전력 공급 부족으로 인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종래 사람에 의해 이루어지던 전기 설비의 설계 과정이 기계화되어 인력 부족에 의한 전기 설비의 설계 처리에 요구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인건비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에서 전기 설비의 설계를 자동화하는 장치에 대한 구성도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공동주택에서 전기 설비의 설계를 자동화하는 장치의 주요 구성으로서 단위 공간 분석부(11), 전기 기구 선정부(12), 설계 객체 선정부(13) 및 설계 도면 가공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단위 공간 분석부(11)는 의뢰인 단말(20)에서 전기 설비의 설계 대상이 되는 단위 공간의 건축 도면을 수신하여, 단위 공간의 면적 및 용도를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단위 공간 분석부(11)는 도 1의 S1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상술한 단위 공간 분석부(11)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후술할 전기 기구 선정부(12)에서 예측 부하량을 산출하도록 하는 기준값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전기 기구 선정부(12)는 단위 공간 분석부(11)의 기능 수행에 의해 도출된 분석 결과에 따라 전기 기구 정보가 저장된 제1 데이터베이스(30)에서 단위 공간에 설치되어 전력을 소비할 것으로 예측되는 하나 이상의 전기 기구를 선정하도록 기능한다.
즉, 상술한 전기 기구 선정부(12)는 도 1의 S2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상술한 전기 기구 선정부(12)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단위 공간의 면적, 용도, 세대 구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기준으로 단위 공간에서 거주 또는 생활하면서 주로 사용될 것으로 예측되는 전기 기구를 선정하여, 단위 공간에 최적의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전기 설비의 설계 자동화를 최적화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설계 객체 선정부(13)는 전기 기구 선정부(12)에서 선정된 하나 이상의 전기 기구에 기초하여, 단위 공간에서의 예측 부하량을 산출하고, 전기 설비 정보가 저장된 제2 데이터베이스(40)에서 예측 부하량에 대응되는 설비 용량을 갖는 전기 설비를 설계 객체로 선정하도록 기능한다.
즉 상술한 설계 객체 선정부(13)는 전술한 도 1의 S3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상술한 설계 객체 선정부(13)에서는 단위 공간에 대해 기 선정된 전기 기구들의 부하량을 고려하여 이에 대응되는 설비 용량을 갖는 전기 설비가 선정되도록 기능함에 따라서, 부하량 초과에 따른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에너지원의 효율적 관리를 수행하게 한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계 도면 가공부(14)는, 설계 객체로 선정된 하나 이상의 전기 설비를 IEC기준에 따라 건축 도면에 배치한 뒤, 배선을 수행하여 전기 설비가 설계된 설계 도면으로 가공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설계 도면 가공부(14)는 도 1의 S4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설계 도면 가공부(14)의 기능 수행에 의하면, 복잡한 전기 설비의 설계도 생성에 대한 작업 편의가 증대되고, 설계 인력 부족에 의한 전기 설비의 설계 작업의 지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6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7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7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7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7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공동주택에서 전기 설비의 설계를 자동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기 설비의 설계 대상이 되는 단위 공간의 건축 도면을 수신하여, 단위 공간의 면적 및 용도를 분석하는 단위 공간 분석 단계;
    상기 단위 공간의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전기 기구 정보가 저장된 제1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단위 공간에 설치되어 전력을 소비할 것으로 예측되는 하나 이상의 전기 기구를 선정하는 전기 기구 선정 단계;
    선정된 하나 이상의 전기 기구에 기초하여, 상기 단위 공간에서의 예측 부하량을 산출하고, 전기 설비 정보가 저장된 제2 데이터베이스에서 예측 부하량에 대응되는 설비 용량을 갖는 전기 설비를 설계 객체로 선정하는 설계 객체 선정 단계; 및,
    상기 설계 객체로 선정된 전기 설비를 IEC기준에 따라 상기 건축 도면에 배치한 뒤, 배선을 수행하여 전기 설비가 설계된 설계 도면으로 가공하는 설계 도면 가공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기구 선정 단계의 수행 시,
    상기 단위 공간을 실 사용하는 세대 구성 정보가 존재할 경우, 상기 세대 구성 정보를 상기 전기 기구의 선정 기준에 대한 가중치로 반영하되,
    상기 세대 구성 정보는, 세대를 구성하는 식구의 성별, 식구의 연령, 식구의 수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세대 구성 정보에 대응되는 전기 기구의 구매 패턴을 연계된 전기 기구 판매 업체의 서버에서 도출하여, 도출된 구매 패턴을 전기 기구의 선정 기준에 반영하도록 하고,
    상기 설계 객체 선정 단계의 수행 시,
    상기 예측 부하량은,
    상기 선정된 하나 이상의 전기 기구에 대한 단위 시간 당 소비 전력의 합산 결과로부터 예측되고,
    상기 예측 부하량의 산출 시,
    상기 선정된 하나 이상의 전기 기구 중, 일 전기 기구가 상기 단위 공간에서 상시 사용되는 전기 기구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예측 부하량의 산출 시 이용되는 파라미터로 상기 일 전기 기구의 최대 소비 전력이 이용되고,
    상기 일 전기 기구가 상기 단위 공간에서 상시 사용되는 전기 기구에 미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예측 부하량의 산출 시 이용되는 파라미터로 상기 일 전기 기구의 평균 소비 전력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설계 도면 가공 단계의 수행 후에는,최종적으로 설계 도면 상에 배치된 전기 설비들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둘 이상의 전문가 단말에 전기 설비의 설계 도면에 대한 검증이 수행되도록 하여 과반수 이상 또는 모든 전문가의 적합 판단 결과가 수신될 때까지 전기 설비의 설계 도면에 대한 재생성이 수행되도록 하되,
    전기 설비의 설계 도면에 대한 재생성 임계 횟수를 초과하여도 적합 판단 결과가 수신되지 않을 시에는 일 전문가 단말로 전기 설비의 설계 도면에 대한 직접 생성을 요청하고, 상기 IEC기준이 학습된 인공 지능 학습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일 전문가 단말에서 직접 생성된 전기 설비의 설계 도면에 대한 적합성 검증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에서 전기 설비의 설계를 자동화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 객체 선정 단계에서는,
    산출된 예측 부하량에, 기 설정된 예비 부하량을 합산하여 합산 결과에 대응되는 설비 용량을 갖는 전기 설비를 설계 객체로 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에서 전기 설비의 설계를 자동화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부하량은,
    상기 단위 공간과 면적 및 용도가 임계값 이상으로 유사한 n개의 타 단위 공간의 과거 설계 부하량에 기초하여, 설계 부하량의 연간 증가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에서 전기 설비의 설계를 자동화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부하량에는,
    상기 설계 부하량의 연간 증가율에, 상기 단위 공간이 위치하는 공동주택의 기대 수명을 가중치로 반영한 결과값이 이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에서 전기 설비의 설계를 자동화하는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 도면 가공 단계의 수행 후에는,
    상기 전기 설비의 시공 정보를 구체화한 실시 설계 도서를 생성하여, 생성된 실시 설계 도서를 기 설정된 협력 업체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에서 전기 설비의 설계를 자동화하는 방법.
  9.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공동주택에서 전기 설비의 설계를 자동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전기 설비의 설계 대상이 되는 단위 공간의 건축 도면을 수신하여, 단위 공간의 면적 및 용도를 분석하는 단위 공간 분석부;
    상기 단위 공간의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전기 기구 정보가 저장된 제1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단위 공간에 설치되어 전력을 소비할 것으로 예측되는 하나 이상의 전기 기구를 선정하는 전기 기구 선정부;
    선정된 하나 이상의 전기 기구에 기초하여, 상기 단위 공간에서의 예측 부하량을 산출하고, 전기 설비 정보가 저장된 제2 데이터베이스에서 예측 부하량에 대응되는 설비 용량을 갖는 전기 설비를 설계 객체로 선정하는 설계 객체 선정부; 및,
    상기 설계 객체로 선정된 전기 설비를 IEC기준에 따라 상기 건축 도면에 배치한 뒤, 배선을 수행하여 전기 설비가 설계된 설계 도면으로 가공하는 설계 도면 가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기구 선정부의 기능 수행 시,
    상기 단위 공간을 실 사용하는 세대 구성 정보가 존재할 경우, 상기 세대 구성 정보를 상기 전기 기구의 선정 기준에 대한 가중치로 반영하되,
    상기 세대 구성 정보는, 세대를 구성하는 식구의 성별, 식구의 연령, 식구의 수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세대 구성 정보에 대응되는 전기 기구의 구매 패턴을 연계된 전기 기구 판매 업체의 서버에서 도출하여, 도출된 구매 패턴을 전기 기구의 선정 기준에 반영하도록 하고,
    상기 설계 객체 선정부의 기능 수행 시,
    상기 예측 부하량은,
    상기 선정된 하나 이상의 전기 기구에 대한 단위 시간 당 소비 전력의 합산 결과로부터 예측되고,
    상기 예측 부하량의 산출 시,
    상기 선정된 하나 이상의 전기 기구 중, 일 전기 기구가 상기 단위 공간에서 상시 사용되는 전기 기구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예측 부하량의 산출 시 이용되는 파라미터로 상기 일 전기 기구의 최대 소비 전력이 이용되고,
    상기 일 전기 기구가 상기 단위 공간에서 상시 사용되는 전기 기구에 미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예측 부하량의 산출 시 이용되는 파라미터로 상기 일 전기 기구의 평균 소비 전력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설계 도면 가공부의 기능 수행 후에는, 최종적으로 설계 도면 상에 배치된 전기 설비들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둘 이상의 전문가 단말에 전기 설비의 설계 도면에 대한 검증이 수행되도록 하여 과반수 이상 또는 모든 전문가의 적합 판단 결과가 수신될 때까지 전기 설비의 설계 도면에 대한 재생성이 수행되도록 하되,
    전기 설비의 설계 도면에 대한 재생성 임계 횟수를 초과하여도 적합 판단 결과가 수신되지 않을 시에는 일 전문가 단말로 전기 설비의 설계 도면에 대한 직접 생성을 요청하고, 상기 IEC기준이 학습된 인공 지능 학습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일 전문가 단말에서 직접 생성된 전기 설비의 설계 도면에 대한 적합성 검증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에서 전기 설비의 설계를 자동화하는 장치.
  10.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전기 설비의 설계 대상이 되는 단위 공간의 건축 도면을 수신하여, 단위 공간의 면적 및 용도를 분석하는 단위 공간 분석 단계;
    상기 단위 공간의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전기 기구 정보가 저장된 제1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단위 공간에 설치되어 전력을 소비할 것으로 예측되는 하나 이상의 전기 기구를 선정하는 전기 기구 선정 단계;
    선정된 하나 이상의 전기 기구에 기초하여, 상기 단위 공간에서의 예측 부하량을 산출하고, 전기 설비 정보가 저장된 제2 데이터베이스에서 예측 부하량에 대응되는 설비 용량을 갖는 전기 설비를 설계 객체로 선정하는 설계 객체 선정 단계; 및,
    상기 설계 객체로 선정된 전기 설비를 IEC기준에 따라 상기 건축 도면에 배치한 뒤, 배선을 수행하여 전기 설비가 설계된 설계 도면으로 가공하는 설계 도면 가공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기구 선정 단계의 수행 시,
    상기 단위 공간을 실 사용하는 세대 구성 정보가 존재할 경우, 상기 세대 구성 정보를 상기 전기 기구의 선정 기준에 대한 가중치로 반영하되,
    상기 세대 구성 정보는, 세대를 구성하는 식구의 성별, 식구의 연령, 식구의 수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세대 구성 정보에 대응되는 전기 기구의 구매 패턴을 연계된 전기 기구 판매 업체의 서버에서 도출하여, 도출된 구매 패턴을 전기 기구의 선정 기준에 반영하도록 하고,
    상기 설계 객체 선정 단계의 수행 시,
    상기 예측 부하량은,
    상기 선정된 하나 이상의 전기 기구에 대한 단위 시간 당 소비 전력의 합산 결과로부터 예측되고,
    상기 예측 부하량의 산출 시,
    상기 선정된 하나 이상의 전기 기구 중, 일 전기 기구가 상기 단위 공간에서 상시 사용되는 전기 기구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예측 부하량의 산출 시 이용되는 파라미터로 상기 일 전기 기구의 최대 소비 전력이 이용되고,
    상기 일 전기 기구가 상기 단위 공간에서 상시 사용되는 전기 기구에 미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예측 부하량의 산출 시 이용되는 파라미터로 상기 일 전기 기구의 평균 소비 전력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설계 도면 가공 단계의 수행 후에는,최종적으로 설계 도면 상에 배치된 전기 설비들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둘 이상의 전문가 단말에 전기 설비의 설계 도면에 대한 검증이 수행되도록 하여 과반수 이상 또는 모든 전문가의 적합 판단 결과가 수신될 때까지 전기 설비의 설계 도면에 대한 재생성이 수행되도록 하되,
    전기 설비의 설계 도면에 대한 재생성 임계 횟수를 초과하여도 적합 판단 결과가 수신되지 않을 시에는 일 전문가 단말로 전기 설비의 설계 도면에 대한 직접 생성을 요청하고, 상기 IEC기준이 학습된 인공 지능 학습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일 전문가 단말에서 직접 생성된 전기 설비의 설계 도면에 대한 적합성 검증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230075503A 2023-06-13 2023-06-13 공동주택에서 전기 설비의 설계를 자동화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2672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5503A KR102672707B1 (ko) 2023-06-13 2023-06-13 공동주택에서 전기 설비의 설계를 자동화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5503A KR102672707B1 (ko) 2023-06-13 2023-06-13 공동주택에서 전기 설비의 설계를 자동화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2707B1 true KR102672707B1 (ko) 2024-06-05

Family

ID=91470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5503A KR102672707B1 (ko) 2023-06-13 2023-06-13 공동주택에서 전기 설비의 설계를 자동화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27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636B1 (ko) * 2018-12-28 2019-07-22 주식회사 한일엠이씨 건축물 리트로핏을 위한 기계 설비 설계의 사전 분석 방법과 이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191493B1 (ko) * 2019-12-26 2020-12-14 주식회사 태화산업 전기 설비의 설계 및 시공 공정을 위한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303625B1 (ko) * 2020-05-29 2021-09-17 (주)현일렉트릭소프트 전력 도면 데이터 자동 생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KR102354684B1 (ko) * 2021-09-17 2022-01-21 윤영자 실내 건축공사 설계 및 시공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636B1 (ko) * 2018-12-28 2019-07-22 주식회사 한일엠이씨 건축물 리트로핏을 위한 기계 설비 설계의 사전 분석 방법과 이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191493B1 (ko) * 2019-12-26 2020-12-14 주식회사 태화산업 전기 설비의 설계 및 시공 공정을 위한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303625B1 (ko) * 2020-05-29 2021-09-17 (주)현일렉트릭소프트 전력 도면 데이터 자동 생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KR102354684B1 (ko) * 2021-09-17 2022-01-21 윤영자 실내 건축공사 설계 및 시공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llonetto et al. Demand response algorithms for smart-grid ready residential buildings using machine learning models
Yang et al. Electricity scheduling strategy for home energy management system with renewable energy and battery storage: a case study
Bahmanyar et al. Multi-objective scheduling of IoT-enabled smart homes for energy management based on Arithmetic Optimization Algorithm: A Node-RED and NodeMCU module-based technique
Li et al. Methods for benchmarking building energy consumption against its past or intended performance: An overview
Yuventi et al. A critical analysis of power usage effectiveness and its use in communicating data center energy consumption
RU2505902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снижения потерь питающей линии с помощью реагирования на потребление
CN110178280A (zh) 用于电网中受屏蔽的系统的分层隐式控制器
Mbungu et al. Smart energy coordination of autonomous residential home
WO2013040539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ergy control management
CN109687454B (zh) 一种分布式能源集群优化调度系统、方法及装置
Tavares et al. An innovative approach for distribution network reinforcement planning: Using DER flexibility to minimize investment under uncertainty
de Christo et al. Demand-side energy management by cooperative combination of plans: A multi-objective method applicable to isolated communities
Severini et al. Hybrid soft computing algorithmic framework for smart home energy management
Rossi et al. Stochastic evaluation of distribution network hosting capacity: Evaluation of the benefits introduced by smart grid technology
Ikeda et al. A new optimization strategy for the operating schedule of energy systems under uncertainty of renewable energy sources and demand changes
Kazemi et al. A home energy management system using Gray Wolf Optimizer in smart grids
Zhang et al. A new energy efficient VM scheduling algorithm for cloud computing based on dynamic programming
CN111798111A (zh) 一种综合能源系统供能可靠性评估方法及计算机系统
KR102302149B1 (ko) 소방전기설비 분야의 설계 솔루션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Wang et al. Coordinated residential energy resource scheduling with human thermal comfort modelling and renewable uncertainties
KR102672707B1 (ko) 공동주택에서 전기 설비의 설계를 자동화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매체
US20200252299A1 (en) Installing an application control network by using an automatically determined topology
Santos et al. Energy Efficiency in buildings by using evolutionary algorithms: An approach to provide efficiency choices to the consumer, considering the rebound effect
KR102141774B1 (ko) 실내 건축 설계를 위한 조명 배치 방안 생성 방법 및 장치
Asare-Bediako SMART energy homes and the smart grid: a framework for intelligent energy management systems for residential custom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