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2690B1 -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기기의 통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기기의 통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2690B1
KR102672690B1 KR1020230052930A KR20230052930A KR102672690B1 KR 102672690 B1 KR102672690 B1 KR 102672690B1 KR 1020230052930 A KR1020230052930 A KR 1020230052930A KR 20230052930 A KR20230052930 A KR 20230052930A KR 102672690 B1 KR102672690 B1 KR 102672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purchased
communication module
plug
house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2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갑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갑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갑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30052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26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2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26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xic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 설치 내지 사용되는 전기기기 중 매입콘센트 및 멀티콘센트가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관리 및 사용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 공동주택 내 각 세대의 매입콘센트들과 관리실 간을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기반으로 연결하여 해당 매입콘센트들 및 그와 연결되는 멀티콘센트들에 대한 통합적인 안전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기기의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기기의 통합 관리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 서버, 매입콘센트, QR코드 리더기, QR코드 표시부, 통신모듈, 통합관리서버, 멀티콘센트, 제2 QR코드 리더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및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기기의 통합 관리 시스템{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for apartment house electric equipment using IoT}
본 발명은 공동주택 전기 기술 분야 중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기기의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에 설치 내지 사용되는 전기기기 중 매입콘센트 및 멀티콘센트가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관리 및 사용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 공동주택 내 각 세대의 매입콘센트들과 관리실 간을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기반으로 연결하여 해당 매입콘센트들 및 그와 연결되는 멀티콘센트들에 대한 통합적인 안전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기기의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전기계통은 벽체의 현관 측에 설치되는 분전함과, 분전함에 설치되어 전력량계를 거쳐 인입되는 인입선에 연결되는 누전차단기와, 누전차단기에 연결되는 전등배선용 차단기 및 전열배선용 차단기와, 전등배선용 차단기에 연결되는 전등배선과, 전열배선용 차단기에 연결되는 전열배선과, 각 구역의 천장에 설치되어 전등배선에 연결되는 조명기기와, 각 구역의 벽체에 매입 설치되어 전열배선에 연결되는 콘센트(이하 “매입콘센트”라 함)로 구성된다.
조명기기는 벽체에 설치된 스위치에 연결되는 스위치선과 함께 전등배선에 연결되어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켜고 끌 수 있도록 설치된다.
매입콘센트에는 전자제품의 전원코드에 달린 플러그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전자제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조명기기와 전자제품의 소비전력을 비교해 보면, 대체로 조명기기는 전자제품들에 비하여 낮기 때문에 사고전류(누설전류나 과전류)의 발생빈도가 매우 낮은 반면 전자제품의 경우 사고전류의 발생빈도가 높다.
또한 매입콘센트는 각 구역마다 설치되어 있으나, 최근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자제품의 종류가 다양해지면서 매입콘센트만으로는 수요를 충당할 수 없어 복수개의 콘센트부를 가지는 소위 멀티탭이라고 하는 멀티콘센트를 매입콘센트에 연결하여 수요를 충당하고 있다.
그러나 하나의 매입콘센트에는 허용전류값이 정해져 있는데 지나치게 많은 콘센트부를 가지는 멀티콘센트를 연결하여 많은 수의 전자제품을 사용하는 경우 과부하가 걸리게 되고, 결국 과전류로 인해 누전차단기 또는 전열배선용 차단기가 차단되면서 세대 전체가 정전되어 세대원들이 주거생활에 많은 불편을 겪게 된다.
이에 본 출원인은 공동주택에 설치 내지 사용되는 전기기기 중 매입콘센트 및 멀티콘센트가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관리 및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사물인터넷(IoT) 기술이 적용된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2271613호(2021.07.01.공고), “IoT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배전반 시스템” 한국 등록특허 제10-1801169호(2017.11.24.공고), “IoT기반 통합관리형 수배전반 시스템” 한국 등록특허 제10-1924551호(2018.12.03.공고), “사물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장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공동주택의 세대에서 전기기기의 한 종류인 매입콘센트 및 멀티콘센트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매입콘센트 또는 멀티콘센트에 연결되어 사용 중인 전자제품의 소비전력이 해당 매입콘센트의 허용전력을 넘을 경우 그 사실이 해당 세대의 사용자에게 즉시 전달되고, 이에 따라 공동주택 내 세대별 매입콘센트 및 멀티콘센트에서의 과열로 인한 전기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어, 결과적으로 공동주택의 모든 세대에서 매입콘센트 및 멀티콘센트의 사용 중 안정성이 보다 잘 확보될 수 있는 동시에 이러한 기능 및 작업이 해당 공동주택의 관리실을 통해 통합적으로 일괄 관리됨에 따라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기기의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기기의 통합 관리 시스템은, 공동주택의 관리실에 설치되며, 상기 공동주택의 세대별 설치된 매입콘센트들이 사전 부여된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구분되어 등록되며, 등록되는 매입콘센트별 허용전력이 매핑되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전자제품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구가 사전에 정해진 위치에서만 플러그의 삽입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상기 매입콘센트와, 상기 매입콘센트에 상기 플러그 삽입구별 설치되되, 각각은 해당 플러그 삽입구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매입콘센트에 매입 설치되는 QR코드 리더기와, 상기 플러그 삽입구와 대응되는 형태를 갖는 전자제품의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QR코드 리더기와 마주하도록 플러그에 형성되며, 해당 전자제품의 소비전력을 나타내도록 형성되는 QR코드 표시부와, 상기 매입콘센트에 설치되며, 상기 QR코드 리더기의 QR코드 리딩신호에 상기 매입콘센트의 상기 식별정보를 포함시켜 수신 대상에 전송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관리실에 설치되며,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전송되는 QR코드 리딩신호와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해당 매입콘센트 허용전력을 비교 후 허용전력 초과 시 경고신호를 수신 대상에 전송하는 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입콘센트의 상기 식별정보는 해당 세대의 동호수가 제1식별코드를 형성하는 동시에 해당 세대 내 매입콘센트들에 순차적으로 개별 부여되는 일련번호가 제2식별코드를 형성하여 상기 제1 및 제2 식별코드가 하이픈(hyphen)을 통해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기기의 통합 관리 시스템은, 상기 플러그 삽입구와 대응되는 형태의 플러그를 가지며, 전자제품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를 형성한 멀티콘센트와, 상기 멀티콘센트에 상기 멀티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구별 설치되되, 각각은 해당 플러그 삽입구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멀티콘센트에 매입 설치되는 제2 QR코드 리더기와, 상기 제2 QR코드 리더기의 QR코드 리딩신호를 수신하여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도록 상기 멀티콘센트에 설치되는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2 QR코드 리더기의 QR코드 리딩신호를 수신 후 상기 통신모듈에 전송하도록 상기 매입콘센트에 설치되는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2 QR코드 리더기의 QR코드 리딩신호에 상기 매입콘센트의 상기 식별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통합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QR코드 리더기의 QR코드 리딩신호 및 상기 제2 QR코드 리더기의 QR코드 리딩신호와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해당 매입콘센트 허용전력을 비교 후 허용전력 초과 시 경고신호를 해당 매입콘센트의 사용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공동주택의 세대에서 전기기기의 한 종류인 매입콘센트 및 멀티콘센트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매입콘센트 또는 멀티콘센트에 연결되어 사용 중인 전자제품의 소비전력이 해당 매입콘센트의 허용전력을 넘을 경우 그 사실이 해당 세대의 사용자에게 즉시 전달되고, 따라서 공동주택 내 세대별 매입콘센트 및 멀티콘센트에서의 과열로 인한 전기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면서 결과적으로 공동주택의 모든 세대에서 매입콘센트 및 멀티콘센트의 사용 중 안정성이 보다 잘 확보되고, 이러한 기능 및 작업이 해당 공동주택의 관리실을 통해 통합적으로 일괄 관리됨에 따라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기기의 통합 관리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기기의 통합 관리 시스템에서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데이터 저장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기기의 통합 관리 시스템에서 매입콘센트 및 플러그 간의 결합 구조와 이를 통한 QR코드 리딩 구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기기의 통합 관리 시스템에서 일부 구성이 추가된 예를 예시한 블록 구성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기기의 통합 관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기기의 통합 관리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기기의 통합 관리 시스템에서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데이터 저장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기기의 통합 관리 시스템에서 매입콘센트 및 플러그 간의 결합 구조와 이를 통한 QR코드 리딩 구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기기의 통합 관리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 서버(100), 매입콘센트(200), QR코드 리더기(300), QR코드 표시부(400), 통신모듈(500) 및 통합관리서버(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기기의 통합 관리 시스템은 멀티콘센트(700), 제2 QR코드 리더기(800),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910) 및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9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서버(100)는 공동주택의 관리실에 설치되며,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서버(100)는 상기 공동주택의 세대별 설치된 매입콘센트(200)들이 사전 부여된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구분되어 등록되며, 등록되는 매입콘센트(200)별 허용전력이 매핑되어 저장된다. 그리고 매입콘센트(200)의 상기 식별정보는 해당 세대의 동호수가 제1식별코드를 형성하는 동시에 해당 세대 내 매입콘센트(200)들에 순차적으로 개별 부여되는 일련번호가 제2식별코드를 형성하여 상기 제1 및 제2 식별코드가 하이픈(hyphen)을 통해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매입콘센트(200)는 전자제품의 플러그(P)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구(210)가 사전에 정해진 위치에서만 플러그(P)의 삽입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매입콘센트의 형태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QR코드 표시부(400)에 대한 설명에서 더 언급키로 한다.
QR코드 리더기(300)는 매입콘센트(200)에 플러그 삽입구(210)별 설치되며, 이러한 QR코드 리더기(300)들 각각은 매입콘센트(200)의 해당 플러그 삽입구(21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매입콘센트(200)에 매입 설치된다.
QR코드 표시부(400)는 매입콘센트(200)의 플러그 삽입구(210)와 대응되는 형태를 갖는 전자제품의 플러그(P)가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QR코드 리더기(300)와 마주하도록 플러그(P)에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QR코드 표시부(400)는 해당 전자제품의 소비전력을 나타내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 예를 기준으로 부연 설명하면, 매입콘센트(200)의 플러그 삽입구(210)는 평면도를 기준으로 원둘레의 일부 구간이 직선 구간(S)으로 이루어진 형태를 가지며, 따라서 전자제품의 플러그(P) 역시 평면도를 기준으로 매입콘센트(200)의 직선 구간(S)과 대응되는 구간이 직선 구간(S')으로 이루어진 형태를 갖는다. 이에 따라 전자제품의 플러그(P)가 그 직선 구간(S')을 플러그 삽입구(210)의 직선 구간(S)에 일치시키야만 플러그 삽입구(210)에 대한 삽입 및 결합이 가능한 것이므로, 전자제품의 플러그(P)가 매입콘센트(200)의 플러그 삽입구(210)에 삽입 및 결합 시 QR코드 표시부(400)가 QR코드 리더기(300)와 마주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통신모듈(500)은 매입콘센트(200)에 설치되며, 이러한 통신모듈(500)은 QR코드 리더기(300)의 QR코드 리딩신호에 매입콘센트(200)의 상술한 식별정보를 포함시켜 수신 대상에 전송한다. 부연 설명하면, 통신모듈(500)은 QR코드 리더기(300)의 QR코드 리딩신호를 후술되는 통합관리서버(600)에 전송한다.
통합관리서버(600)는 관리실에 설치되며, 이러한 통합관리서버(600)는 통신모듈(500)로부터 전송되는 QR코드 리딩신호와 데이터베이스 서버(100)의 해당 매입콘센트(200) 허용전력을 비교한 다음, 허용전력 초과 시 경고신호를 수신 대상에 전송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통합관리서버(600)가 상기 경고신호를 해당 매입콘선트(200)의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전송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멀티콘센트(700)는 매입콘센트(200)의 플러그 삽입구(210)와 대응되는 형태의 플러그(710)를 가지며, 전자제품의 플러그(P)가 삽입되는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720)를 형성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멀티콘센트(700)의 플러그 삽입구(720)는 매입콘센트(200)의 플러그 삽입구(210)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 QR코드 리더기(800)는 멀티콘센트(700)에 플러그 삽입구(720)별 설치되되, 이러한 제2 QR코드 리더기(800)들의 각각은 해당 플러그 삽입구(72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멀티콘센트(700)에 매입 설치된다.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910)은 제2 QR코드 리더기(800)의 QR코드 리딩신호를 수신하여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도록 멀티콘센트(700)에 설치된다. 부연 설명하면,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910)은 제2 QR코드 리더기(800)의 QR코드 리딩신호를 수신하여 후술되는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920)에 전송한다.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920)은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910)로부터 전송되는 제2 QR코드 리더기(800)의 QR코드 리딩신호를 수신 후 통신모듈(500)에 전송하도록 매입콘센트(200)에 설치된다.
그리고 통신모듈(500)은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920)로부터 전송되는 제2 QR코드 리더기(800)의 QR코드 리딩신호에 매입콘센트(200)의 상술한 식별정보를 포함시켜 통합관리서버(600)에 전송한다.
그리고 통합관리서버(600)는 통신모듈(500)로부터 전송되는 QR코드 리더기(300)의 QR코드 리딩신호 및 제2 QR코드 리더기(800)의 QR코드 리딩신호와 데이터베이스 서버(100)의 해당 매입콘센트(200) 허용전력을 비교한 다음, 허용전력 초과 시 경고신호를 해당 매입콘센트(200)의 사용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전송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공동주택의 세대에서 전기기기의 한 종류인 매입콘센트 및 멀티콘센트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매입콘센트 또는 멀티콘센트에 연결되어 사용 중인 전자제품의 소비전력이 해당 매입콘센트의 허용전력을 넘을 경우 그 사실이 해당 세대의 사용자에게 즉시 전달됨에 따라, 공동주택 내 세대별 매입콘센트 및 멀티콘센트에서의 과열로 인한 전기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공동주택의 모든 세대에서 매입콘센트 및 멀티콘센트의 사용 중 안정성이 보다 잘 확보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 및 작업이 해당 공동주택의 관리실을 통해 통합적으로 일괄 관리됨에 따라 매우 효율적일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기기의 통합 관리 시스템의 일부 구성이 추가된 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기기의 통합 관리 시스템에서 일부 구성이 추가된 예를 예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기기의 통합 관리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기기의 통합 관리 시스템과 비교하여 전자식 전력량계(1100) 및 센서제어모듈(12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자식 전력량계(1100)는 공동주택의 세대별 설치되어 해당 세대에서 사용 중인 전력량을 계측한다.
센서제어모듈(1200)은 전자식 전력량계(1100)별 설치되며, 이러한 센서제어모듈(1200)은 통합관리서버(600)로부터 측정 데이터 요청신호를 수신 시 해당 전자식 전력량계(1100)의 측정값에 해당 세대의 동호수를 포함시켜 실시간으로 통합관리서버(6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통합관리서버(600)는 통신모듈(500)로부터 전송되는 QR코드 리더기(300)의 QR코드 리딩신호 및 제2 QR코드 리더기(800)의 QR코드 리딩신호와 데이터베이스 서버(100)의 해당 매입콘센트(200) 허용전력을 비교 후 허용전력 초과 시 해당 세대의 센서제어모듈(1200)에 상기 측정 데이터 요청신호를 전송한 다음, 센서제어모듈(12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전자식 전력량계(1100)의 측정값이 해당 매입콘센트(200)의 허용전력을 초과 시 상기 경고신호를 해당 매입콘센트(200)의 사용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전송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공동주택의 세대에서 전기기기의 한 종류인 매입콘센트 및 멀티콘센트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매입콘센트 또는 멀티콘센트에 연결되어 사용 중인 전자제품의 소비전력이 해당 매입콘센트의 허용전력을 넘은 것으로 1차 확인될 경우, 해당 세대의 전자식 전력량계를 통해 해당 세대에서의 현재 사용 중인 전력량의 계측 결과를 제공받아 상술한 1차 확인의 결과가 맞는지 확인하는 2차 확인 과정을 거치고, 이러한 2차 확인 결과 매입콘센트 또는 멀티콘센트에 연결되어 사용 중인 전자제품의 소비전력이 해당 매입콘센트의 허용전력을 넘은 것으로 재차 확인 시 해당 세대의 사용자가 휴대한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에 상술한 경고신호를 전송하는 것이므로, 상술한 공동주택 내 세대별 매입콘센트 및 멀티콘센트에서의 과열로 인한 전기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동시에 결과적으로 공동주택의 모든 세대에서 매입콘센트 및 멀티콘센트의 사용 중 안정성이 보다 잘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이 보다 정밀하고 체계적으로 진행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데이터베이스 서버 200 : 매입콘센트
210 : 플러그 삽입구 300 : QR코드 리더기
400 : QR코드 표시부 500 : 통신모듈
600 : 통합관리서버 700 : 멀티콘센트
710 : 플러그 720 : 플러그 삽입구
800 : 제2 QR코드 리더기 910 :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920 :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1000 :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
1100 : 전자식 전력량계 1200 : 센서제어모듈
P : 플러그 S, S' : 직선 구간

Claims (2)

  1. 공동주택의 관리실에 설치되며, 상기 공동주택의 세대별 설치된 매입콘센트(200)들이 사전 부여된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구분되어 등록되며, 등록되는 매입콘센트(200)별 허용전력이 매핑되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00);
    전자제품의 플러그(P)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구(210)가 사전에 정해진 위치에서만 플러그(P)의 삽입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상기 매입콘센트(200);
    상기 매입콘센트(200)에 상기 플러그 삽입구(210)별 설치되되, 각각은 해당 플러그 삽입구(21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매입콘센트(200)에 매입 설치되는 QR코드 리더기(300);
    상기 플러그 삽입구(210)와 대응되는 형태를 갖는 전자제품의 플러그(P)가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QR코드 리더기(300)와 마주하도록 플러그(P)에 형성되며, 해당 전자제품의 소비전력을 나타내도록 형성되는 QR코드 표시부(400);
    상기 매입콘센트(200)에 설치되는 통신모듈(500);
    상기 플러그 삽입구(210)와 대응되는 형태의 플러그(710)를 가지며, 전자제품의 플러그(P)가 삽입되는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720)를 형성한 멀티콘센트(700);
    상기 멀티콘센트(700)에 상기 멀티콘센트(700)의 플러그 삽입구(720)별 설치되되, 각각은 해당 플러그 삽입구(72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멀티콘센트(700)에 매입 설치되는 제2 QR코드 리더기(800);
    상기 제2 QR코드 리더기(800)의 QR코드 리딩신호를 수신하여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도록 상기 멀티콘센트(700)에 설치되는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910);
    상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91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2 QR코드 리더기(800)의 QR코드 리딩신호를 수신 후 상기 통신모듈(500)에 전송하도록 상기 매입콘센트(200)에 설치되는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920)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모듈(500)은 상기 QR코드 리더기(300)의 QR코드 리딩신호에 상기 매입콘센트(200)의 상기 식별정보를 포함시켜 수신 대상에 전송하고, 상기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92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2 QR코드 리더기(800)의 QR코드 리딩신호에 상기 매입콘센트(200)의 상기 식별정보를 포함시켜 수신 대상에 전송하며,
    상기 관리실에 설치되고, 상기 통신모듈(5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QR코드 리더기(300)의 QR코드 리딩신호와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00)의 해당 매입콘센트(200) 허용전력을 비교 후 허용전력 초과 시 경고신호를 수신 대상에 전송하며, 상기 통신모듈(5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QR코드 리더기(300)의 QR코드 리딩신호 및 상기 제2 QR코드 리더기(800)의 QR코드 리딩신호와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00)의 해당 매입콘센트(200) 허용전력을 비교 후 허용전력 초과 시 경고신호를 해당 매입콘센트(200)의 사용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전송하는 통합관리서버(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매입콘센트(200)의 상기 식별정보는 해당 세대의 동호수가 제1식별코드를 형성하는 동시에 해당 세대 내 매입콘센트(200)들에 순차적으로 개별 부여되는 일련번호가 제2식별코드를 형성하여 상기 제1 및 제2 식별코드가 하이픈(hyphen)을 통해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공동주택의 세대별 설치되어 해당 세대에서 사용 중인 전력량을 계측하는 전자식 전력량계(1100);
    상기 전자식 전력량계(1100)별 설치되며, 상기 통합관리서버(600)로부터 측정 데이터 요청신호를 수신 시 해당 전자식 전력량계(1100)의 측정값에 해당 세대의 동호수를 포함시켜 실시간으로 상기 통합관리서버(6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센서제어모듈(12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통합관리서버(600)는 상기 통신모듈(5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QR코드 리더기(300)의 QR코드 리딩신호 및 상기 제2 QR코드 리더기(800)의 QR코드 리딩신호와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00)의 해당 매입콘센트(200) 허용전력을 비교 후 허용전력 초과 시 해당 세대의 상기 센서제어모듈(1200)에 상기 측정 데이터 요청신호를 전송한 다음, 센서제어모듈(12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전자식 전력량계(1100)의 측정값이 해당 매입콘센트(200)의 허용전력을 초과 시 상기 경고신호를 해당 매입콘센트(200)의 사용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전송하며,
    상기 공동주택의 세대별 상기 매입콘센트(200) 및 멀티콘센트(70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매입콘센트(200) 또는 멀티콘센트(700)에 연결되어 사용 중인 전자제품의 소비전력이 해당 매입콘센트(200)의 허용전력을 넘은 것으로 1차 확인시, 해당 세대의 상기 전자식 전력량계(1100)를 통해 해당 세대에서의 현재 사용 중인 전력량의 계측 결과를 제공받아 상기 1차 확인의 결과가 맞는지 확인하는 2차 확인 과정을 거친 다음, 상기 2차 확인의 결과가 상기 매입콘센트(200) 또는 멀티콘센트(700)에 연결되어 사용 중인 전자제품의 소비전력이 해당 매입콘센트(200)의 허용전력을 넘은 것으로 재차 확인 시 해당 세대의 사용자가 휴대한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상기 경고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기기의 통합 관리 시스템.

  2. 삭제
KR1020230052930A 2023-04-21 2023-04-21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기기의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672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2930A KR102672690B1 (ko) 2023-04-21 2023-04-21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기기의 통합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2930A KR102672690B1 (ko) 2023-04-21 2023-04-21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기기의 통합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2690B1 true KR102672690B1 (ko) 2024-06-10

Family

ID=91482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2930A KR102672690B1 (ko) 2023-04-21 2023-04-21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기기의 통합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269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331B1 (ko) * 2018-10-30 2020-02-25 주식회사 썬플라워즈 사물인터넷 기반의 콘센트 관리 장치
KR102539611B1 (ko) 2022-03-11 2023-06-05 부흥감리이엔지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통합 관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331B1 (ko) * 2018-10-30 2020-02-25 주식회사 썬플라워즈 사물인터넷 기반의 콘센트 관리 장치
KR102539611B1 (ko) 2022-03-11 2023-06-05 부흥감리이엔지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통합 관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56822A1 (en) Communication enabled circuit breakers and circuit breaker panels
KR102061954B1 (ko) 어드레싱가능한 전기 콘센트들을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들
CN103178374B (zh) 智能型插座、插头及转接器
US9793953B2 (en) Smart appliances
US10431032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detecting a quantity of plug cycles of a plug connection component
CN110691712B (zh) 运行车辆充电装置的方法,车辆充电装置及包括传感器装置和车辆充电装置的系统
US11402127B2 (en) Electric hot water heater energy management
CN101120498A (zh) 使得能够和不能进行局部供电的改进的电气插座和插头
KR100927337B1 (ko) Rfid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
CN107210569B (zh) 控制电力供给的系统和方法
CN108885234B (zh) 用于测试电气设备的适配器
CN109983634A (zh) 使用电插座以用于在至少一个电力线上的集成式电力控制、通信和监视的系统和方法
KR101753477B1 (ko) 전기기기 관리 시스템
KR101799307B1 (ko) 사물 인터넷에 편입되어 원격제어가 가능한 전기 콘센트 및 전기 콘센트 시스템
KR101167585B1 (ko) 스마트 홈을 위한 댁내 망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672690B1 (ko)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기기의 통합 관리 시스템
CA2722920C (e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association of a power outlet and device
KR20140062809A (ko) 지능형 플러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식
KR102558368B1 (ko)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누전 차단기 장치
CN102577234B (zh) 用于能源管理的电源节点
CN113557163B (zh) 用于为电动车辆充电的充电组件
JP2016506060A (ja) 通信モジュールアダプタ
CN105981260B (zh) 对器具进行远程控制、远程读取和/或远程监视的模块
CN104838735A (zh) 具有自支持连接的输入模块
WO2015114338A1 (en) Electrical power plug, socket, insert and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