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1227B1 - Automatic authentication method for ownership of continuously usable NFT ticket based on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 Google Patents

Automatic authentication method for ownership of continuously usable NFT ticket based on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1227B1
KR102671227B1 KR1020230191103A KR20230191103A KR102671227B1 KR 102671227 B1 KR102671227 B1 KR 102671227B1 KR 1020230191103 A KR1020230191103 A KR 1020230191103A KR 20230191103 A KR20230191103 A KR 20230191103A KR 102671227 B1 KR102671227 B1 KR 102671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ft
ticket
user
ownership
consortium block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911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현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빅스터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빅스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빅스터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1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1227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463/00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 H04L2463/101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applying security measures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 Z01L10/50

Abstract

본 발명은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지속활용 가능한 NFT 티켓 소유 자동 인증방법에 관한 것으로, NFT 티켓을 1회성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설정 및 소진, 거래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NFT 티켓을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분산 원장에 등록하고 거래하는 NFT 티켓 관리 시스템에서의 NFT 티켓 소유 인증방법에 있어서, 회원 가입을 위한 사용자 ID와 비밀번호가 생성시 NFT 티켓 관리시스템의 로그인을 위한 서비스키를 생성하여 사용자 ID와 연결시킨 후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분산 원장에 저장하고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ID와 비밀번호가 입력시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분산 원장에 저장된 서비스키와 사용자 ID를 매핑시켜 사용자 내부 인증을 수행하는 신원 증명단계, 및 신원 증명된 사용자에 의한 NFT 티켓의 등록 또는 발행 신청이 있으면 해당 사용자에 대한 해당 NFT 콜렉션의 소유권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NFT 콜렉션의 소유권 정보가 있는 경우 NFT 티켓 등록 또는 발행을 위한 유틸리티 정보를 입력받아 그에 대응하는 NFT 티켓을 생성 또는 민팅하여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분산 원장에 등록하는 NFT 티켓 등록/발행단계를 포함하여, NFT 티켓의 정당한 소유증빙, 희소성에 의한 가치상승, 또는 비식별화된 개인정보를 타겟 마케팅할 수 있게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authentication method for sustainable NFT ticket ownership based on a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and is intended to enable NFT tickets to be set, consumed, and traded continuously rather than just one-tim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n NFT ticket ownership authentication method in an NFT ticket management system that registers and trades NFT tickets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and logs in to the NFT ticket management system when a user ID and password for membership registration are created. After creating a service key and linking it to the user ID, it is stored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When the user ID and password for user authentication are entered, the service key stored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is mapped to the user ID. An identity verification step that performs internal authentication, and if there is an application for registration or issuance of an NFT ticket by an identity-proven user, the ownership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NFT collection for the user is checked, and if there is ownership information of the NFT collection, the NFT ticket is registered. Or, including the NFT ticket registration/issuance step of receiving utility information for issuance, generating or minting the corresponding NFT ticket, and registering it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proof of legitimate ownership of the NFT ticket, and increase in value due to scarcity. , or allows target marketing of de-identified personal information.

Description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지속 활용 가능한 NFT 티켓 소유 자동 인증방법{Automatic authentication method for ownership of continuously usable NFT ticket based on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Automatic authentication method for ownership of continuously usable NFT ticket based on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본 발명은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지속적으로 활용 가능한 NFT 티켓의 소유권 자동 인증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NFT를 이용하여 누구에게나 거래 및 선물될 수 있는 특정 콜렉션의 기본적인 디지털 인격체 또는 물건(이하 'NFT 콜렉션'이라 약칭하기로 함)을 창조하고, 이를 기반으로 해당 NFT 콜렉션의 부가적인 입장권, 사용(이용)권, 우선권, 교환권, 신분권 등의 세부 유틸리티(이하, 'NFT 티켓'이라 약칭하기로 함)를 1회성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설정 및 소진, 거래 가능하게 함으로써 NFT 콜렉션 소유자만이 해당 NFT 티켓을 구매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정당한 권한자가 되도록 하여 NFT 티켓의 정당한 소유증빙, 희소성에 의한 가치상승, 또는 비식별화된 개인정보를 타겟 마케팅할 수 있게 하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지속활용 가능한 NFT 티켓 소유 자동 인증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utomatically authenticating the ownership of NFT tickets that can be continuously utilized based on a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More specifically, the basic digital personality or object of a specific collection that can be traded and gifted to anyone using NFT ( (hereinafter abbreviated as 'NFT Collection') is created, and based on this, detailed utilities such as additional admission tickets, use (use) tickets, priority tickets, exchange tickets, and identity tickets of the NFT collection (hereinafter abbreviated as 'NFT Ticket') are created. (Decided to do so) is not limited to a one-time use, but can be set, consumed, and traded continuously, so that only the owner of the NFT collection is the legitimate authority to purchase or use the NFT ticket, thereby providing legitimate proof of ownership of the NFT ticket and its value due to scarcity. It is about an automatic authentication method for sustainable NFT ticket ownership based on a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that enables target marketing of elevated or de-identified personal information.

블록체인(blockchain)은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를 실행시킬 수 있는 분산 원장(Distributed Ledger) 기반의 P2P(Peer-to-Peer) 시스템으로 소규모 데이터들이 연결되어 형성된 '블록'이라는 분산 데이터 저장 환경에 관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분산 데이터 저장 기술로서, 디지털 자산의 거래(Transaction)를 기록하는데 사용된다. 즉, 블록체인은 네트워크 사용자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거래 내역이 네트워크 구성원들 사이에 공유되어 저장되는 디지털 원장(ledger)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거래 내역은 과반수가 넘는 사용자들의 합의를 통해 확정되고 확정된 거래 내역이 하나의 블록으로 묶여 블록체인에 저장된다. 이러한 블록체인에 연결된 블록에 포함되는 거래 내역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해당 블록 및 해당 블록 이후에 연결된 모든 블록들에 대해 다시 과반수가 넘는 사용자들의 합의를 얻어야 하므로, 블록체인에 저장된 거래 내역을 임의로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블록체인에 저장된 데이터는 실질적으로 위조 또는 변조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블록체인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은 매우 높다.Blockchain is a P2P (Peer-to-Peer) system based on a distributed ledger that can execute smart contracts. It is a distributed data storage environment called a ‘block’ formed by linking small data. It is a distributed data storage technology that stores management data and is used to record transactions of digital assets. In other words, blockchain represents a digital ledger in which transaction details that occur between network users are shared and stored among network members. Transaction details that occur between users over a certain period of time are recorded by more than half of the users. Transaction details that are confirmed and confirmed through consensus are bundled into one block and stored in the blockchain. In order to change the transaction history included in a block connected to such a blockchain, the consensus of more than half of the users must be obtained again for the block and all blocks connected after the block, so it is difficult to arbitrarily change the transaction history stored in the blockchain. This makes it virtually impossible for data stored on the blockchain to be forged or altered. Therefore, the reliability of data stored in blockchain is very high.

이러한 블록체인은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과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 및 컨소시엄 블록체인(consortium blockchain)으로 구분되는데, 특히 컨소시엄 블록체인은 미리 선택된 노드만 참가할 수 있으며 참가하는 노드 모두가 운영 주체가 되는 half-center형 블록체인으로서, 단일한 주체가 모든 노드를 통제하지 않기 때문에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비하여 투명성이 높고, 미리 선택된 노드만 참가할 수 있으므로 퍼블릭 블록체인에 비하여 네트워크 확장이 쉽고 거래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These blockchains are divided into public blockchains, private blockchains, and consortium blockchains. In particular, only pre-selected nodes can participate in consortium blockchains, and all participating nodes operate. As a half-center blockchain, a single entity does not control all nodes, so it has higher transparency than a private blockchain, and only pre-selected nodes can participate, making network expansion easier and transaction speed faster than a public blockchain.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fast.

한편, NFT(Non-Fungible Token)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디지털 자산에 고유한 인식값을 부여하여 발행된 대체불가능한 토큰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소유권과 거래이력 등의 관련 정보가 모두 블록체인에 저장되며, 디지털 자산의 유일성 및 희소성 가치를 증명하는 일종의 디지털 자산의 정품 및 소유 인증서와 같은 개념으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NFT (Non-Fungible Token) refers to a non-fungible token issued by giving a unique recognition value to a digital asset using blockchain technology. It is based on blockchain, so it is not related to ownership and transaction history. All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blockchain, and it is used in various fields as a kind of certificate of authenticity and ownership of digital assets that proves the uniqueness and scarcity value of digital assets.

이러한 NFT를 이용하여 최근 발행되고 있는 NFT 티켓은 기존 모바일 티켓을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1회성 방식으로서, 영화제나 전시회의 입장권이나 사용권, 세미나의 신분권이나 우선권, 또는 일반 매장이나 기업의 사용권이나 교환권 등 브랜드화된 NFT 티켓의 발행이 증가하고 있다.NFT tickets, which are recently being issued using these NFTs, are a one-time method of storing existing mobile tickets on the blockchain, such as admission or use rights to film festivals or exhibitions, identity rights or priority rights for seminars, or use rights or exchange rights for general stores or companies. The issuance of branded NFT tickets is increasing.

그러나 이러한 기존 NFT 티켓의 경우 정당한 권한에 대한 자동 인증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티켓 발행 이후에 그 티켓에 형성된 가치에 기초하여 티켓의 최초 발행 가격보다 높은 가격으로 거래되는 암표 또는 부정적인 사용 문제, 또는 멤버십 NFT 티켓의 1회성 사용 등에 의한 불합리한 사용권 제한 문제 등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또한 기존 NFT 티켓의 경우 암호화폐를 통한 결제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대중적 접근이 불가능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se existing NFT tickets, there were problems with automatic authentication of legitimate authority, problems with scalping or negative use of tickets being traded at a higher price than the initial issuance price based on the value formed in the ticket after ticket issuance, or membership. Issues such as unreasonable usage rights restrictions due to one-time use of NFT tickets also occurr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existing NFT tickets, there were problems such as making public access impossible because payment was made through cryptocurrency.

KRKR 10-2227575 10-2227575 B1B1 2021.03.15.등록2021.03.15.Registered KRKR 10-2023-0023531 10-2023-0023531 AA 2023.02.17.공개2023.02.17.Published KRKR 10-2023-0120005 10-2023-0120005 AA 2023.08.16.공개2023.08.16.Publish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NFT를 이용하여 누구에게나 거래 및 선물될 수 있는 NFT 콜렉션을 창조하고, 이를 기반으로 NFT 콜렉션의 세부 유틸리티를 1회성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설정 및 소진, 거래 가능하게 하여 NFT 콜렉션 소유자만이 해당 NFT 티켓을 구매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정당한 권한자가 되도록 하여 NFT 티켓의 정당한 소유증빙, 희소성에 의한 가치상승, 또는 비식별화된 개인정보를 타겟 마케팅할 수 있게 하며, 사용자에게 편리한 UI(User Interface)/UX(User eXperience)를 통해 다양한 권한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블록체인 기술의 실물 세계 접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지속 활용 가능한 NFT 티켓의 유틸리티 증대에 기여할 수 있게 하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지속활용 가능한 NFT 티켓 소유 자동 인증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reate an NFT collection that can be traded and gifted to anyone using NFT, and to provide detailed utility of the NFT collection based on this. It is not limited to a one-time use but allows for continuous setup, consumption, and trading so that only the owner of the NFT collection is the legitimate authority to purchase or use the corresponding NFT ticket, thereby providing legitimate proof of ownership of the NFT ticket, increase in value due to scarcity, or non-identification. It enables target marketing of personal information and provides various rights to users through convenient UI (User Interface)/UX (User eXperience), while maximizing the effect of blockchain technology in the real world and continuously utilizing it. The goal is to provide an automatic authentication method for sustainable NFT ticket ownership based on a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that can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utility of NFT ticke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NFT 티켓을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분산 원장에 등록하고 거래하는 NFT 티켓 관리 시스템에서의 NFT 티켓 소유 인증방법에 있어서, 회원 가입을 위한 사용자 ID와 비밀번호 생성시 NFT 티켓 관리시스템의 로그인을 위한 서비스키를 생성하여 사용자 ID와 연결시킨 후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분산 원장에 저장하고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ID와 비밀번호 입력시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분산 원장에 저장된 서비스키와 사용자 ID를 매핑시켜 사용자 내부 인증을 수행하는 신원 증명단계, 및 신원 증명된 사용자에 의한 NFT 티켓의 등록 또는 발행 신청시 해당 사용자에 대한 해당 NFT 콜렉션의 소유권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NFT 콜렉션의 소유권 정보가 있는 경우 NFT 티켓 등록 또는 발행을 위한 유틸리티 정보를 입력받아 그에 대응하는 NFT 티켓을 생성 또는 민팅하여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분산 원장에 등록하는 NFT 티켓 등록/발행단계를 포함하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지속 활용 가능한 NFT 티켓 자동 소유 인증방법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NFT ticket ownership authentication method in an NFT ticket management system that registers and trades NFT tickets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including user ID and password for membership registration. When creating, a service key for logging in to the NFT ticket management system is created, linked to the user ID, and stored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When the user ID and password are entered for user authentication, the service key is stored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An identity verification step that performs user internal authentication by mapping the user ID, and when applying for registration or issuance of an NFT ticket by an identity-proven user, the ownership information of the NFT collection for the user is confirmed and the ownership information of the NFT collection is verified. If there is an NFT ticket registration/issuance step of receiving utility information for NFT ticket registration or issuance, generating or minting the corresponding NFT ticket and registering it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is continuous. This is a usable NFT ticket automatic ownership verification method.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지속 활용 가능한 NFT 티켓 자동 소유 인증방법은, 신원 증명된 사용자에 의한 NFT 티켓의 경매 또는 구매 요청시 해당 사용자에 대한 해당 NFT 콜렉션의 소유권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NFT 콜렉션의 소유권 정보가 있을 경우 NFT 티켓의 낙찰 또는 거래를 진행하고 그에 따른 NFT 티켓의 변경 정보를 개인별 마이페이지를 통해 변경 처리한 후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분산 원장에 저장 및 관리하는 NFT 티켓 관리/거래단계를 더 포함하거나, 신원 증명된 사용자에 의한 NFT 티켓 소유 확인 요청에 따라 NFT 티켓 소유권의 이전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모바일 어플를 통해 최소한의 통신 유지하면서 해당 사용자의 NFT 티켓 소유권을 인증하는 NFT 티켓 소유 확인단계를 더 포함하거나, 신원 증명된 NFT 티켓 관리자에 의한 권한 설정 및 증빙요청에 따라 관리자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자 권한을 설정 및 증빙하는 관리자 권한 설정 및 증빙단계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NFT 티켓 관리 시스템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에 의한 NFT 티켓의 QR 코드 인식을 통해 해당 NFT 티켓의 권한 인증을 수행하는 NFT 티켓의 QR 코드 인식단계를 각각 더 포함하여 각각 다른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ntinuously usable NFT ticket automatic ownership authentication method based o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wnership information of the NFT collection for the user when requesting an auction or purchase of an NFT ticket by an identity-proven user. After confirmation, if there is ownership information of the NFT collection, the winning bid or transaction of the NFT ticket is processed, and the corresponding change information of the NFT ticket is processed through the individual's My Page, and the NFT ticket is stored and managed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An NFT that further includes a management/transaction step or authenticates the user's NFT ticket ownership while maintaining minimal communication through a mobile application to prevent errors in transferring NFT ticket ownership upon a request for confirmation of NFT ticket ownership by an identity-proven user. It further includes a ticket ownership confirmation step, or it further includes an administrator authority setting and proof step of setting and proving administrator authority by receiving administrator information according to a request for authority setting and proof by an identity-proven NFT ticket manager, or NFT ticket It may be implemented in different embodiments, each further including a QR code recognition step of the NFT ticket that performs authority authentication of the NFT ticket through recognition of the QR code of the NFT ticket by an external devic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에 의하면, NFT를 이용하여 누구에게나 거래 및 선물될 수 있는 NFT 콜렉션을 창조하고, 이를 기반으로 해당 NFT 콜렉션의 부가적인 입장권, 사용(이용)권, 우선권, 교환권, 신분권 등의 세부 유틸리티에 대한 NFT 티켓을 1회성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설정 및 소진, 거래할 수 있게 하므로, NFT 콜렉션 소유자만이 해당 NFT 티켓을 구매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정당한 권한자가 되도록 하여 NFT 티켓의 정당한 소유증빙, 희소성에 의한 가치상승, 또는 비식별화된 개인정보를 타겟 마케팅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NFT collection that can be traded and gifted to anyone is created using NFT, and based on this, detailed utilities such as additional admission tickets, use rights, priority rights, exchange tickets, and identity rights of the NFT collection are used. NFT tickets can be set, consumed, and traded on an ongoing basis rather than just as a one-time purchase, so that only the NFT collection owner is the legitimate authority to purchase or use the NFT ticket, providing legitimate proof of ownership of the NFT ticket, and It provide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value or enabling target marketing of de-identified personal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컨소시엄 블록체인 기반의 NFT 티켓 인증 및 권한을 부여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편리한 UI/UX를 통해 다양한 권한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블록체인 기술의 실물 세계 접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지속 활용 가능한 NFT 티켓의 유틸리티 증대에 기여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henticate and authorize NFT tickets based on consortium blockchain, thereby providing various rights to users through convenient UI/UX while maximizing the effect of incorporating blockchain technology into the real world. It can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utility of NFT tickets that can be used sustainabl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NFT 티켓을 단순하게 QR 코드화하고 온체인과 오프체인 상호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NFT 티켓 인증을 수행하므로 NFT 티켓의 암표화와 중복체크 등의 부정을 방지할 수 있고, NFT 티켓의 QR코드 인증을 통한 간편 입장이 가능하여 다툼을 예방할 수 있으며, 디지털 트래킹을 통한 실시간 밀집도 산출 등에 의한 군중 관리가 가능하게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FT tickets are simply QR coded and NFT ticket authentication is performed using a database that is interconnected with on-chain and off-chain, thereby preventing fraud such as encryption and duplicate checks of NFT tickets. Easy entry is possible through QR code authentication of the ticket, preventing fights, and providing the advantage of enabling crowd management by calculating real-time density through digital tracking.

도 1은 본 발명이 운용되기 위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구성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지속 활용 가능한 NFT 티켓 자동 소유 인증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의 각 단계별 상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NFT 티켓의 유틸리티 정보의 항목별 분류 및 코드 예시도이다.
도 5는 NFT 티켓의 유틸리티 발행정보와 유틸리티 거래정보 및 유틸리티 인증정보 예시도이다.
Figure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for opera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lowchart of the operation of a continuously usable NFT ticket automatic ownership authentication method based on a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to 3C are detailed operation flowcharts for each step of FIG. 2.
Figure 4 is an example of classification and code for each item of utility information of an NFT ticket.
Figure 5 is an example of utility issuance information, utility transaction information, and utility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an NFT ticke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지속 활용 가능한 NFT 티켓 자동 소유 인증방법의 구성과 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continuously usable NFT ticket automatic ownership authentication method based on a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limited to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based on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filing this application. shall.

도 1은 본 발명이 운용되기 위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구성을 예시한 개념도로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10)는 마스터 노드(11)와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 노드(12)로 구성된다.Figure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for operat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10 consists of a master node 11 and at least one member node 12.

마스터 노드(11)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관리하는 노드로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임의의 노드가 참여하려는 경우 참여하려는 노드에 노드의 사용자 정보, 노드와 연관된 NFT 콜렉션 정보 또는 NFT 티켓 정보, 전자 서명 정보 등을 포함하는 노드 검증 정보를 요청하고 해당 노드로부터 수신된 노드 검증 정보에 기초하여 노드를 검증하여, 검증된 노드에 한하여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구성원 노드(12)로 참여시킨다. 이때 노드와 연관된 NFT 콜렉션 정보 또는 NFT 티켓 정보로는 NFT 티켓 생성을 필요로 하는 티켓의 소유 증명을 위한 유틸리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ster node (11) is a node that configures and manages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When a random node wants to participate i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the node to participate must include the node's user information, NFT collection information or NFT ticke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node, Node ver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electronic signature information, is requested, nodes are verified based on the node ver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node, and only verified nodes are allowed to participate as member nodes (12) i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At this time, the NFT collection information or NFT ticke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node may include utility information for proving ownership of the ticket that requires NFT ticket creation.

또한, 이러한 마스터 노드(11)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한 구성원 노드(12)의 노드 정보에 기초하여,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서 각 구성원 노드의 권한을 부여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원 노드(12)의 권한은 NFT 티켓의 소유 증명을 위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NFT 콜렉션 등을 관리하고 등록 및 유지하기 위한 관리자 권한, 소유권 또는 사용권 등을 구매하는 사용자(user) 또는 구매자(buyer) 권한이 있을 수 있다. 구성원 노드는 이러한 역할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master node 11 can grant or limit the authority of each member node withi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based on the node information of the member nodes 12 participating i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The authority of these member nodes (12) is the user or purchaser who purchases administrator rights, ownership, or usage rights to manage, register, and maintain NFT collections based o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for proof of ownership of NFT tickets ( buyer) may have authority. Member nodes can have one or more of these roles.

구성원 노드(12)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여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로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서 블록을 생성하여 배포할 수 있으며,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서 NFT 티켓 관리시스템의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이러한 구성원 노드(12)는 마스터 노드(11)에 의해 부여되거나 제한된 권한(예를 들면 관리자 권한, 사용자 또는 구매자 권한)에 기초하여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서 NFT 티켓 관리 시스템의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받을 수 있으며,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배포된 블록의 정보에 접근하거나 접근 범위가 제할될 수 있다.Member nodes (12) are nodes that participate i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and form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They can create and distribute blocks withi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and provide services for the NFT ticket management system withi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may be provided or received. That is, these member nodes 12 provide or receive the services of the NFT ticket management system withi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based on authority granted or limited by the master node 11 (e.g. administrator authority, user or buyer authority). Information on blocks distributed i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may be accessed or the scope of access may be restrict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지속 활용 가능한 NFT 티켓 자동 소유 인증방법의 동작 흐름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의 주요 단계별 상세 동작 흐름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NFT 티켓 자동 소유 인증방법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신원 증명단계(S110), NFT 티켓 등록/발행단계(S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NFT 티켓 관리/거래단계(S130), NFT 티켓 소유 확인단계(S140), 관리자 권한 설정 및 증빙단계(S150), 또는 NFT 티켓의 QR 코드 인식단계(S160)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다른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NFT 티켓 자동 소유 인증방법은 NFT 티켓을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분산 원장에 등록하고 거래하는 NFT 티켓 관리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거나 운용될 수 있다.Figure 2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continuously usable NFT ticket automatic ownership authentication method based on a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3a to 3c are detailed operation flowcharts of the main steps of Figure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ure 2, the NFT ticket automatic ownership authentication method may include an identity verification step (S110), an NFT ticket registration/issuance step (S120), an NFT ticket management/transaction step (S130), and NFT ticket ownership. It may be implemented in another embodiment,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confirmation step (S140), the administrator authority setting and proof step (S150), or the QR code recognition step of the NFT ticket (S160). This NFT ticket automatic ownership authent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or operated by an NFT ticket management system that registers and trades NFT tickets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신원 증명단계(S110)는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회원 가입 신청(S111) 및 그를 위한 사용자 ID와 비밀번호가 생성(S112)되면 NFT 티켓 관리시스템의 로그인을 위한 서비스키를 생성(S113)하여 사용자 ID와 연결시킨 후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분산 원장에 저장(S114)하는 회원가입단계(S111-S114)와,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ID와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분산 원장에 저장된 서비스키와 사용자 ID를 매핑시켜 사용자 내부 인증을 수행하는 내부인증단계(S115-S1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the identity verification step (S110), as illustrated in Figure 3a, when the membership application (S111) and the user ID and password for the same are generated (S112), a service key for logging in to the NFT ticket management system is generated (S113) to allow the user The membership registration stage (S111-S114) is linked to the ID and stored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S114), and when the user ID and password for user authentication are entered, the service key and user are stored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It includes an internal authentication step (S115-S118) that performs internal user authentication by mapping IDs.

회원가입단계(S111-S114)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려는 임의의 노드 사용자에 의한 회원 가입요청에 따라 실시되는 단계로서, 마스터 노드(11)는 회원 가입 요청이 있는 해당 노드에 사용자 정보, 노드와 연관된 NFT 콜렉션 정보, 전자 서명 정보 등을 포함하는 노드 검증 정보를 해당 노드에 요청하고 해당 노드로부터 수신된 노드 검증 정보에 기초하여 노드를 검증하며, 검증된 노드에 한하여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구성원 노드(12)로 참여시킨다. 이때 마스터 노드(11)는 임의의 노드에 대한 사용자 ID와 비밀번호가 생성되면 NFT 콜렉션의 등록 및 거래 등에 필요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서비스키로서 개인키(Private Key)와 공개키(Public Key)를 내부에서 생성하고 생성된 서비스키를 사용자 ID와 내부에서 연결시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NFT 티켓 소유 자동 인증을 위한 NFT 티켓 관리시스템에서는 서비스 이용에 필요하면서도 네트워크 보안상 매우 중요한 서비스키인 공개키와 개인키가 마스터노드(11) 내부에서 생성되고 보관되므로 외부의 구성원노드(12)에는 전혀 노출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네트워크 보안상 매우 중요한 서비스키가 인쇄물 등에 의해 외부로 유출 또는 분실될 우려가 전혀 없어 네트워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 membership registration stage (S111-S114) is a stage carried out in response to a membership registration request by a random node user who wishes to participate i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and the master node 11 sends user information, node information, and node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node requesting membership. Request node ver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NFT collection information and electronic signatur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corresponding node, and verify the node based on the node ver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node. Only verified nodes are member nodes i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Participate in (12). At this time, when the user ID and password for a random node are generated, the master node 11 uses a private key and a public key as service keys based o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necessary for registration and transactions of NFT collections. The service key is generated internally, linked internally with the user ID, and stored i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Accordingly, in the NFT ticket management system for automatic authentication of NFT ticket owner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blic key and private key, which are service keys necessary for service use and very important for network security, are generated and stored inside the master node 11, so external member nodes (12) is not exposed at all, and therefore there is no risk of the service key, which is very important for network security, being leaked or lost through printed matter, etc., thereby improving network security.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NFT 티켓 소유 자동 인증을 위한 NFT 티켓 관리시스템에서는 서비스키를 각 구성원 노드(12)의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소장 또는 보관하지 않고, 단지 사용자 ID와 비밀번호 만을 보관하는 것만으로도 컨소시엄 블록체인 기반의 NFT 티켓 관리 시스템의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NFT ticket management system for automatic authentication of NFT ticket owner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key is not individually owned or stored by the user of each member node 12, and the consortium block is created by simply storing the user ID and password. By making it possible to use the service of the chain-based NFT ticket management system, convenience of use can be improved.

내부인증단계(S115-S118)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한 구성원 노드(12)로부터의 사용자 인증요청에 따라 실시되는 단계로서, 구성원 노드(12)로부터 사용자 로그인 요청(S115) 및 그를 위한 사용자 ID와 비밀번호 입력(S116)시 마스터 노드(11)가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ID에 연결된 서비스키(개인키와 공개키)를 상기 입력된 사용자 ID와 내부에서 매핑(S117)시켜 사용자 인증을 수행(S118)하게 된다. 이때 마스터 노드(11)는 구성원 노드(1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ID를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ID에 연결된 서비스 키의 개인키와 내부에서 매핑시켜 인증하게 되므로, 이로써 본 발명의 NFT 티켓 소유 자동 인증을 위한 NFT 티켓 관리시스템에서는 서비스 이용에 필요하면서도 네트워크 보안상 매우 중요한 서비스키가 사용자 인증시에도 외부의 구성원 노드(12)에 전혀 노출되지 않게 하여 네트워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 internal authentication step (S115-S118) is a step performed in response to a user authentication request from a member node (12) participating i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A user login request (S115) from the member node (12) and a user ID and When entering a password (S116), the master node (11) authenticates the user by internally mapping the service key (private key and public key) linked to the user ID stored i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with the entered user ID (S117). It is performed (S118). At this time, the master node 11 authenticates the user ID input from the member node 12 by internally mapping it with the private key of the service key linked to the user ID stored i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thereby authenticating the NFT ti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NFT ticket management system for automatic authentication of ownership, network security can be improved by ensuring that the service key, which is necessary for service use and is very important for network security, is not exposed to external member nodes 12 even during user authentication.

NFT 티켓 등록/발행단계(S120)는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신원 증명된 사용자에 의한 NFT 티켓의 등록 또는 발행 신청(S121)에 따라 해당 사용자에 대한 해당 NFT 콜렉션의 소유권 정보를 확인(S122)하고, 해당 NFT 콜렉션의 소유권 정보가 있는 경우(S123의 Y분기) NFT 티켓 등록 또는 발행을 위한 유틸리티 정보를 업로드(S124)받아 그에 대응하는 NFT 티켓을 생성 또는 민팅(S125)하여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분산 원장에 등록(S126)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NFT 티켓 등록/발행단계(S120)는 사용자에 의한 NFT 티켓 등록 또는 발행 요청에 따라 실시되는 단계로서, 구성원 노드(12)로부터 NFT 티켓 등록 또는 발행을 위한 신청이 있게 되면 마스터 노드(11)는 우선 해당 사용자에 대한 해당 NFT 콜렉션의 소유권 정보를 먼저 확인하고, 해당 NFT 콜렉션의 소유권 정보가 있는 사용자인 경우 구성원 노드(12)로부터 NFT 티켓 등록 또는 발행을 위한 티켓 정보를 업로드받아 그에 대응하는 NFT 티켓을 생성 또는 민팅하고, 생성 또는 민팅된 NFT 티켓을 해당 구성원 노드의 마이페이지와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분산 원장에 등록하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NFT 티켓 소유 자동 인증방법에서는 NFT 콜렉션 또는 NFT 티켓의 지속적인 활용을 유도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사용자에게 편리한 UI/UX를 통해 다양한 권한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블록체인 기술의 실물 세계 접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NFT 티켓의 정당한 소유증빙, 희소성에 의한 가치상승, 또는 비식별화된 개인정보를 타겟 마케팅을 통해 지속 활용 가능한 NFT 티켓의 유틸리티 증대에 기여할 수 있게 한다.As illustrated in Figure 3b, the NFT ticket registration/issuance step (S120) verifies the ownership information of the NFT collection for the user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for registration or issuance of the NFT ticket (S121) by the user whose identity is verified (S122). And, if there is ownership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NFT collection (Y branch of S123), utility information for NFT ticket registration or issuance is uploaded (S124) and the corresponding NFT ticket is created or minted (S125) to decentralize the consortium blockchain. This is the step of registering in the ledger (S126). This NFT ticket registration/issuance step (S120) is a step performed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registration or issuance of an NFT ticket by a user. When an application for registration or issuance of an NFT ticket is received from the member node 12, the master node 11 First, the ownership information of the NFT collection for the user is first checked, and if the user has ownership information of the NFT collection, the ticket information for NFT ticket registration or issuance is uploaded from the member node 12 and the corresponding NFT ticket is uploaded. is created or minted, and the created or minted NFT ticket is registered in the member node's My Page and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As a result, the automatic authentication method for NFT ticket owner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ncourage continuous use of NFT collections or NFT tickets, and thus provide users with various rights through convenient UI/UX, thereby integrating blockchain technology into the real world. The effect can be maximized and it can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utility of NFT tickets that can be continuously used through target marketing using legitimate proof of ownership of NFT tickets, increased value due to scarcity, or non-identified personal information.

이때 마스터 노드(11)는 NFT 티켓 생성 또는 민팅시 NFT 티켓의 유틸리티 정보를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항목별로 분류 및 코드화하여 온체인과 오프체인 상호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으며, NFT 티켓의 유틸리티 정보로는 발행 이력을 기록하는 유틸리티 발행정보, 거래 이력을 기록하는 유틸리티 거래정보, 및 인증 이력을 기록하는 유틸리티 인증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NFT 티켓의 유틸리티 발행정보로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유틸리티 ID, 콜렉션 ID, 디렉터 ID, 유틸리티명, 썸네일, 상위 카테고리, 사용 횟수, 사용 기한, 발행 개수, 발행 가격, 발행 일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NFT 티켓의 유틸리티 거래정보로는 유틸리티 ID, 콜렉션 ID, NFT ID, 이전 소유자 ID, 현재 소유자 ID, 거래 종류(판매/선물), 거래 가격, 거래 일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NFT 티켓의 유틸리티 인증정보로는 유틸리티 ID, NFT ID, 현재 소유자 ID, 인증 시작 날짜, 인증 종료 날짜, 유효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creating or minting an NFT ticket, the master node 11 can classify and code the utility information of the NFT ticket by item as illustrated in Figure 4 and store it in a database that is interconnected with on-chain and off-chain, and the utility of the NFT ticket The information may include utility issuance information that records issuance history, utility transaction information that records transaction history, and utility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at records authentication history. Here, the utility issuance information of the NFT ticket includes utility ID, collection ID, director ID, utility name, thumbnail, parent category, number of uses, expiration date, number of issues, issue price, and issue date information as illustrated in Figure 5. NFT ticket utility transaction information may include utility ID, collection ID, NFT ID, previous owner ID, current owner ID, transaction type (sale/gift), transaction price, transaction date and time information, and NFT The ticket's utility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utility ID, NFT ID, current owner ID, authentication start date, authentication end date, and validity information.

NFT 티켓 관리/거래단계(S130)는 도 3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신원 증명된 사용자에 의한 NFT 티켓의 경매 또는 구매 요청(S131)이 있으면 해당 사용자에 대한 해당 NFT 콜렉션의 소유권 정보를 확인(S132)하여 해당 NFT 콜렉션의 소유권 정보가 있을 경우(S133의 Y분기) NFT 티켓의 낙찰 또는 거래를 진행(S134)하고 경매 또는 거래가 완료되면(S135의 Y분기) 그에 따른 NFT 티켓의 변경 정보를 개인별 마이페이지를 통해 변경 처리(S136)한 후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분산 원장에 저장(S137) 및 관리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NFT 티켓 관리/거래단계(S130)는 사용자에 의한 NFT 티켓 경매 또는 구매 요청에 따라 실시되는 단계로서, 구성원 노드(12)로부터 NFT 티켓의 경매 또는 구매 신청이 있게 되면 마스터 노드(11)는 우선 해당 사용자에 대한 해당 NFT 콜렉션의 소유권 정보를 먼저 확인하고, 해당 NFT 콜렉션의 소유권 정보가 있는 사용자인 경우 요청된 NFT 티켓의 경매 또는 구매를 위한 거래를 진행하여경매 또는 구매에 따른 낙찰 또는 거래가 완료되는 경우 낙찰 또는 구매에 따른 거래정보를 해당 구성원 노드의 마이페이지와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분산 원장에 등록하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NFT 티켓 소유 자동 인증방법에서는 NFT 콜렉션 또는 NFT 티켓의 지속적인 활용을 유도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사용자에게 편리한 UI/UX를 통해 다양한 권한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블록체인 기술의 실물 세계 접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NFT 티켓의 정당한 소유증빙, 희소성에 의한 가치상승, 또는 비식별화된 개인정보를 타겟 마케팅을 통해 지속 활용 가능한 NFT 티켓의 유틸리티 증대에 기여할 수 있게 한다.As illustrated in Figure 3c, in the NFT ticket management/transaction step (S130), if there is an auction or purchase request (S131) for an NFT ticket by an identity-proven user, the ownership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NFT collection for the user is checked (S132). If there is ownership information for the NFT collection (Y quarter of S133), the NFT ticket will be successfully bid or traded (S134), and when the auction or transaction is completed (Y quarter of S135), the corresponding NFT ticket change information will be posted to each individual's My Page. This is the step of processing changes (S136) and then storing and managing them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S137). This NFT ticket management/transaction step (S130) is a step that is carried out according to an NFT ticket auction or purchase request by the user. When an application for auction or purchase of an NFT ticket is made from the member node 12, the master node 11 first The ownership information of the relevant NFT collection for the relevant user is first confirmed, and if the user has the ownership information of the relevant NFT collection, a transaction for auction or purchase of the requested NFT ticket is performed and the winning bid or transaction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auction or purchase. In this case, the transaction information resulting from the successful bid or purchase is registered in the member node's My Page and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As a result, the automatic authentication method for NFT ticket owner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ncourage continuous use of NFT collections or NFT tickets, and thus provide users with various rights through convenient UI/UX, thereby integrating blockchain technology into the real world. The effect can be maximized and it can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utility of NFT tickets, which can be continuously utilized through target marketing using legitimate proof of ownership of NFT tickets, increased value due to scarcity, or non-identified personal information.

NFT 티켓 소유 확인단계(S140)는 신원 증명된 사용자에 의한 NFT 티켓 소유 확인 요청에 따라 모바일 어플(예를 들면 소유 증빙 API)을 통해 해당 사용자의 NFT 티켓 소유권을 인증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NFT 티켓 소유 확인단계(S140)는 모바일 어플을 통한 신원 증명된 사용자에 의한 NFT 티켓 소유 확인 요청에 따라 실시되는 단계로서, NFT 티켓 소유권의 이전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모바일 어플을 통해 최소한의 통신 유지하면서 해당 사용자의 NFT 티켓 소유권을 인증하게 된다.The NFT ticket ownership confirmation step (S140) is a step of authenticating the user's NFT ticket ownership through a mobile application (e.g., ownership proof API)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confirmation of NFT ticket ownership by an identity-proven user. This NFT ticket ownership confirmation step (S140) is a step carried out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confirmation of NFT ticket ownership by a user whose identity has been verified through a mobile application, and minimal communication is maintained through the mobile application to prevent errors in transferring NFT ticket ownership. This authenticates the user's ownership of the NFT ticket.

관리자 권한 설정 및 증빙단계(S150)는 신원 증명된 NFT 티켓 관리자에 의한 권한 설정 및 증빙요청에 따라 관리자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자 권한을 설정 및 증빙하는 단계로서, 각종 공연 및 행사와 관련된 관리자의 권한을 설정 및 증빙단계이며, 온체인과 무관하게 오프체인 상에서도 가능하고, 외부 디바이스와 연동 인증시 QR코드로 변환하며, 관리자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자 권한을 설정 및 증빙하게 된다.The administrator authority setting and proof step (S150) is a step of setting and proving administrator authority by receiving administrato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uthority setting and proof request by the identity-proven NFT ticket manager. The administrator's authority related to various performances and events is set and proven. This is the setup and proof stage, and can be done off-chain regardless of on-chain. When authenticated by linking with an external device, it is converted to a QR code, and administrator information is input to set and prove administrator authority.

NFT 티켓의 QR 코드 인식단계(S160)는 NFT 티켓 관리 시스템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에 의한 NFT 티켓의 QR 코드 인식을 통해 해당 NFT 티켓의 권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NFT 티켓의 QR 코드 인식단계(f)에서는 NFT 티켓 관리 시스템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로서 키오스크, 태블릿, 스마트폰, PC를 사용할 수 있으며, NFT 티켓의 권한 인증으로서는 입장(또는 초대)권, 사용(또는 이용)권, 우선(또는 예약)권, 교환(또는 결제)권, 신분권 중 어느 하나의 권한을 인증할 수 있게 된다.The QR code recognition step (S160) of the NFT ticket is a step of performing authority authentication of the NFT ticket through recognition of the QR code of the NFT ticket by an external devic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NFT ticket management system. In the QR code recognition step (f) of these NFT tickets, kiosks, tablets, smartphones, and PCs can be used as external device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NFT ticket management system. Authorization of the NFT ticket includes an admission (or invitation) right, It is possible to authenticate any one of the following rights: use (or use) right, priority (or reservation) right, exchange (or payment) right, and identity right.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지속활용 가능한 NFT 티켓 소유 자동 인증방법의 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sustainable NFT ticket ownership automatic authentication method based o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its effects ar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신원 증명단계(S110)에서는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려는 임의의 노드 사용자에 의한 회원 가입 신청이 있게 되면, 그에 따라 회원 가입 요청이 있는 해당 노드에 사용자 정보, 비밀 번호, 노드와 연관된 NFT 콜렉션 정보, 전자 서명 정보 등을 포함하는 노드 검증 정보를 해당 노드에 요청하고 해당 노드로부터 수신된 노드 검증 정보에 기초하여 노드를 검증하며, 검증된 노드에 한하여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구성원 노드(12)로 참여시킨다. 이때 마스터 노드(11)는 임의의 노드에 대한 사용자 ID와 비밀번호 생성시 NFT 콜렉션의 등록 및 거래 등에 필요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서비스키를 내부에서 생성하고 사용자 ID와 연결시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NFT 티켓 소유 자동 인증을 위한 NFT 티켓 관리시스템의 서비스 이용에 필요하면서도 네트워크 보안상 매우 중요한 서비스키가 외부의 구성원 노드(12)에 전혀 노출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네트워크 보안상 매우 중요한 서비스키의 외부 유출 또는 분실 우려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어 네트워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First, in the identity verification step (S110), as illustrated in Figure 3a, when a membership application is made by a random node user who wants to participate i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user information and secrets are provided to the corresponding node requesting membership. Request node ver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number, NFT collec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node, electronic signature information, etc. from the node and verify the node based on the node ver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nod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only for verified nodes participate as a member node (12). At this time, when creating a user ID and password for a random node, the master node 11 internally generates a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based service key required for registration and trading of NFT collections, links it to the user ID, and stores it i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Therefore, the service key, which is necessary for using the service of the NFT ticket management system for automatic authentication of NFT ticket owner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very important for network security, is not exposed to the external member node 12 at all, and therefore is very important in terms of network security.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block the risk of external leakage or loss of important service keys, thereby improving network security.

다음으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한 구성원 노드로부터 로그인 요청 및 사용자 ID와 비밀번호 입력이 있게 되면 마스터 노드는 구성원 노드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 ID와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분산 원장에 저장된 서비스키를 내부에서 매핑시켜 사용자 내부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마스터 노드(11)는 구성원 노드(1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ID를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ID에 연결된 서비스 키의 개인키와 내부에서 매핑시켜 인증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NFT 티켓 소유 자동 인증을 위한 NFT 티켓 관리시스템에서는 서비스 이용에 필요하면서도 네트워크 보안상 매우 중요한 서비스키가 사용자 인증시에도 외부의 구성원 노드(12)에 전혀 노출되지 않게 되어 네트워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Next, when there is a login request and user ID and password input from a member node participating i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the master node internally maps the user ID entered from the member node and the service key stored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to internally connect the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At this time, the master node 11 authenticates the user ID input from the member node 12 by internally mapping it with the private key of the service key linked to the user ID stored i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so the NFT ti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wned. In the NFT ticket management system for automatic authentication, the service key, which is necessary for service use and is very important for network security, is not exposed to external member nodes 12 even during user authentication, thereby improving network security.

이후 NFT 티켓 등록/발행단계(S120)에서는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신원 증명된 사용자에 의한 NFT 티켓의 등록 또는 발행 신청(S121)이 있게 되면, 마스터 노드는 해당 사용자에 대한 해당 NFT 콜렉션의 소유권 정보를 먼저 확인(S122,S123)하고, 해당 NFT 콜렉션의 소유권 정보가 있는 사용자인 경우 NFT 티켓 등록 또는 발행을 위한 유틸리티 정보를 업로드받아(S124) 그에 대응하는 NFT 티켓을 생성 또는 민팅(S125)하고, 생성 또는 민팅된 NFT 티켓을 해당 구성원 노드의 마이페이지와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분산 원장에 등록(S126)하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NFT 티켓 소유 자동 인증방법에서는 NFT 콜렉션 또는 NFT 티켓의 지속적인 활용을 유도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사용자에게 편리한 UI/UX를 통해 다양한 권한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블록체인 기술의 실물 세계 접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NFT 티켓의 정당한 소유증빙, 희소성에 의한 가치상승, 또는 비식별화된 개인정보를 타겟 마케팅을 통해 지속 활용 가능한 NFT 티켓의 유틸리티 증대에 기여할 수 있게 한다.Afterwards, in the NFT ticket registration/issuance step (S120), as illustrated in Figure 3b, when there is an application for registration or issuance of an NFT ticket (S121) by an identity-proven user, the master node retains ownership of the NFT collection for that user. Check the information first (S122, S123), and if you are a user with ownership information for the NFT collection, upload utility information for NFT ticket registration or issuance (S124) and create or mint the corresponding NFT ticket (S125). , the generated or minted NFT ticket is registered (S126) in the member node's My Page and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As a result, the automatic authentication method for NFT ticket owner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ncourage continuous use of NFT collections or NFT tickets, and thus provide users with various rights through convenient UI/UX, thereby integrating blockchain technology into the real world. The effect can be maximized and it can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utility of NFT tickets, which can be continuously utilized through target marketing using legitimate proof of ownership of NFT tickets, increased value due to scarcity, or non-identified personal information.

이때 마스터 노드(11)는 NFT 티켓 생성 또는 민팅시 NFT 티켓의 유틸리티 정보를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항목별로 분류 및 코드화하여 온체인과 오프체인 상호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creating or minting an NFT ticket, the master node 11 classifies and codes the utility information of the NFT ticket by item as illustrated in Figure 4 and stores it in a database that is interconnected with on-chain and off-chain.

한편, NFT 티켓 관리/거래단계(S130)에서는 도 3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신원 증명된 사용자에 의한 NFT 티켓의 경매 또는 구매 요청(S131)이 있게 되면 마스터 노드(11)는 우선 해당 사용자에 대한 해당 NFT 콜렉션의 소유권 정보를 먼저 확인(S132,133)하고, 해당 NFT 콜렉션의 소유권 정보가 있는 사용자인 경우 요청된 NFT 티켓의 경매 또는 구매를 위한 거래를 진행(S134)하여 경매 또는 구매에 따른 낙찰 또는 거래가 완료되는 경우(S135의 Y분기) 낙찰 또는 구매에 따른 거래정보를 해당 구성원 노드의 마이페이지와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분산 원장에 등록(S136,S137)하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NFT 티켓 소유 자동 인증방법에서는 NFT 콜렉션 또는 NFT 티켓의 지속적인 활용을 유도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사용자에게 편리한 UI/UX를 통해 다양한 권한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블록체인 기술의 실물 세계 접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NFT 티켓의 정당한 소유증빙, 희소성에 의한 가치상승, 또는 비식별화된 개인정보를 타겟 마케팅을 통해 지속 활용 가능한 NFT 티켓의 유틸리티 증대에 기여할 수 있게 한다.Meanwhile, in the NFT ticket management/transaction step (S130), as illustrated in FIG. 3c, when there is an auction or purchase request (S131) for an NFT ticket by an identity-proven user, the master node 11 first First, check the ownership information of the NFT collection (S132, 133), and if you are a user who has the ownership information of the NFT collection, proceed with a transaction for auction or purchase of the requested NFT ticket (S134) to win or win the auction or purchase. When the transaction is completed (Y quarter of S135), the transac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winning bid or purchase is registered (S136, S137) in the member node's My Page and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As a result, the automatic authentication method for NFT ticket owner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ncourage continuous use of NFT collections or NFT tickets, and thus provide users with various rights through convenient UI/UX, thereby integrating blockchain technology into the real world. The effect can be maximized and it can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utility of NFT tickets, which can be continuously utilized through target marketing using legitimate proof of ownership of NFT tickets, increased value due to scarcity, or non-identified personal information.

한편, NFT 티켓 소유 확인단계(S140)에서는 신원 증명된 사용자에 의한 NFT 티켓 소유 확인 요청에 따라 NFT 티켓 소유권의 이전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모바일 어플을 통해 해당 사용자의 NFT 티켓 소유권을 인증하게 된다.Meanwhile, in the NFT ticket ownership confirmation step (S140),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confirmation of NFT ticket ownership by an identity-proven user, the user's NFT ticket ownership is authenticated through a mobile application to prevent errors in transferring NFT ticket ownership.

한편, 관리자 권한 설정 및 증빙단계(S150)에서는 각종 공연 및 행사와 관련된 신원 증명된 NFT 티켓 관리자에 의한 권한 설정 및 증빙요청에 따라 관리자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자 권한을 설정 및 증빙하게 되며, 이러한 관리자 권한 설정 및 증빙단계(S150)는 온체인과 무관하게 오프체인 상에서도 가능하고, 외부 디바이스와 연동 인증시 QR코드로 변환하며, 관리자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자 권한을 설정 및 증빙하게 된다.Meanwhile, in the administrator authority setting and proof step (S150), administrator information is input according to the authority setting and proof request by the identity-proven NFT ticket manager related to various performances and events, and administrator authority is set and proven. The setup and proof step (S150) can be done off-chain regardless of on-chain, and is converted to a QR code when authenticated by linking with an external device, and administrator information is input to set and prove administrator authority.

마지막으로 NFT 티켓의 QR 코드 인식단계(S160)에서는 NFT 티켓 관리 시스템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키오스크, 태블릿, 스마트폰, PC 등의 외부 디바이스에 의한 NFT 티켓의 QR 코드 인식을 통해 해당 NFT 티켓의 권한, 즉 입장(또는 초대)권, 사용(또는 이용)권, 우선(또는 예약)권, 교환(또는 결제)권, 신분권 중 어느 하나의 권한을 인증하게 된다.Lastly, in the QR code recognition step (S160) of the NFT ticket, the authority of the NFT ticket is recognized through the QR code recognition of the NFT ticket by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kiosk, tablet, smartphone, or PC that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NFT ticket management system. In other words, one of the following rights is authenticated: entrance (or invitation) right, use (or use) right, priority (or reservation) right, exchange (or payment) right, and identity right.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하면, NFT를 이용하여 누구에게나 거래 및 선물될 수 있는 특정 콜렉션의 NFT 콜렉션을 창조하고, 이를 기반으로 해당 NFT 콜렉션의 부가적인 입장권, 사용(이용)권, 우선권, 교환권, 신분권 등의 세부 유틸리티에 대한 NFT 티켓을 1회성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설정 및 소진, 거래 가능하게 하므로, NFT 콜렉션 소유자만이 해당 NFT 티켓을 구매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정당한 권한자가 되도록 하여 NFT 티켓의 정당한 소유증빙, 희소성에 의한 가치상승, 또는 비식별화된 개인정보를 타겟팅하여 마케팅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NFT collection of a specific collection that can be traded and gifted to anyone is created using NFT, and based on this, additional admission tickets, use rights, priority rights, exchange rights, identity rights, etc. of the NFT collection are created. NFT tickets for detailed utility are not limited to one-time use, but can be set, consumed, and traded continuously, so that only the owner of the NFT collection is the legitimate authority to purchase or use the NFT ticket, providing legitimate proof of ownership of the NFT ticket, It provide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value due to scarcity or marketing by targeting non-identified personal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컨소시엄 블록체인 기반의 NFT 티켓 인증 및 권한을 부여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편리한 UI/UX를 통해 다양한 권한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블록체인 기술의 실물 세계 접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지속 활용 가능한 NFT 티켓의 유틸리티 증대에 기여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henticate and authorize NFT tickets based on consortium blockchain, thereby providing various rights to users through convenient UI/UX while maximizing the effect of incorporating blockchain technology into the real world. It contributes to increasing the utility of NFT tickets that can be used sustainabl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NFT 티켓을 단순하게 QR 코드화하고 온체인과 오프체인 상호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NFT 티켓 인증을 수행하므로 NFT 티켓의 암표화와 중복체크 등의 부정을 방지할 수 있고, NFT 티켓의 QR코드 인증을 통한 간편 입장이 가능하여 다툼을 예방할 수 있으며, 디지털 트래킹을 통한 실시간 밀집도 산출 등에 의한 군중 관리가 가능하게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FT tickets are simply QR coded and NFT ticket authentication is performed using a database that is interconnected with on-chain and off-chain, thereby preventing fraud such as encryption and duplicate checks of NFT tickets. Easy entry is possible through QR code authentication of the ticket, preventing fights, and providing the advantage of enabling crowd management by calculating real-time density through digital tracking.

10 :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11 : 마스터 노드
12 : 구성원 노드
10: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11: Master node
12: Member node

Claims (12)

삭제delete 삭제delete NFT 티켓을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분산 원장에 등록하고 거래하는 NFT 티켓 관리 시스템에서의 NFT 티켓 소유 인증방법에 있어서,
(a) 회원 가입을 위한 사용자 ID와 비밀번호 생성시 NFT 티켓 관리시스템의 로그인을 위한 서비스키를 생성하여 사용자 ID와 연결시킨 후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분산 원장에 저장하고,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ID와 비밀번호 입력시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분산 원장에 저장된 서비스키와 사용자 ID를 매핑시켜 사용자 내부 인증을 수행하는 신원 증명단계;
(b) 신원 증명된 사용자에 의한 NFT 티켓의 등록 또는 발행 신청시 해당 사용자에 대한 해당 NFT 콜렉션의 소유권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NFT 콜렉션의 소유권 정보가 있는 경우 NFT 티켓 등록 또는 발행을 위한 유틸리티 정보를 입력받아 그에 대응하는 NFT 티켓을 생성 또는 민팅하여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분산 원장에 등록하는 NFT 티켓 등록/발행단계; 및
(c) 신원 증명된 사용자에 의한 NFT 티켓의 경매 또는 구매 요청시 해당 사용자에 대한 해당 NFT 콜렉션의 소유권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NFT 콜렉션의 소유권 정보가 있을 경우 NFT 티켓의 낙찰 또는 거래를 진행하고 그에 따른 NFT 티켓의 변경 정보를 개인별 마이페이지를 통해 변경 처리한 후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분산 원장에 저장 및 관리하는 NFT 티켓 관리/거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NFT 티켓 등록/발행단계(b)는,
생성 또는 민팅된 NFT 티켓의 유틸리티 정보를 항목별로 분류 및 코드화하여 온체인과 오프체인 상호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지속 활용 가능한 NFT 티켓 자동 소유 인증방법.
In the NFT ticket ownership authentication method in the NFT ticket management system that registers and trades NFT tickets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a) When creating a user ID and password for membership registration, a service key for logging in to the NFT ticket management system is created, linked to the user ID, and stored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and the user ID and password for user authentication are stored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An identity verification step that performs user internal authentication by mapping the service key and user ID stored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upon input;
(b) When applying for registration or issuance of an NFT ticket by an identity-proven user, the ownership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NFT collection for that user is verified, and if there is ownership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NFT collection, utility information for NFT ticket registration or issuance is provided. NFT ticket registration/issuance step of receiving input, generating or minting the corresponding NFT ticket, and registering it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and
(c) When requesting an auction or purchase of an NFT ticket by an identity-proven user, the ownership information of the relevant NFT collection for the user is checked, and if there is ownership information of the relevant NFT collection, the successful bid or transaction of the NFT ticket is conducted and accordingly. It includes an NFT ticket management/transaction step in which change information on the NFT ticket is processed through each individual's My Page and then stored and managed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The NFT ticket registration/issuance step (b) is,
A continuously usable NFT ticket automatic ownership authentication method based on a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characterized by classifying and coding the utility information of created or minted NFT tickets by item and storing them in a database that is interconnected with on-chain and off-chai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NFT 티켓의 유틸리티 정보는,
발행 이력을 기록하는 유틸리티 발행정보, 거래 이력을 기록하는 유틸리티 거래정보, 및 인증 이력을 기록하는 유틸리티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지속 활용 가능한 NFT 티켓 자동 소유 인증방법.
According to claim 3, the utility information of the NFT ticket is,
A continuously usable NFT ticket automatic ownership authentication method based on a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characterized by including utility issuance information that records the issuance history, utility transaction information that records the transaction history, and utility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at records the authentication histor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NFT 티켓의 유틸리티 발행정보는,
유틸리티 ID, 콜렉션 ID, 디렉터 ID, 유틸리티명, 썸네일, 상위 카테고리, 사용 횟수, 사용 기한, 발행 개수, 발행 가격, 발행 일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지속 활용 가능한 NFT 티켓 자동 소유 인증방법.
According to claim 4, the utility issuance information of the NFT ticket is,
Automatic continuously usable NFT ticket based on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characterized by including utility ID, collection ID, director ID, utility name, thumbnail, upper category, number of uses, expiration date, number of issues, issue price, and issue date and time information. How to verify ownership.
제4항에 있어서, 상기 NFT 티켓의 유틸리티 거래정보는,
유틸리티 ID, 콜렉션 ID, NFT ID, 이전 소유자 ID, 현재 소유자 ID, 거래 종류, 거래 가격, 거래 일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지속 활용 가능한 NFT 티켓 자동 소유 인증방법.
According to claim 4, the utility transaction information of the NFT ticket is,
A continuously usable NFT ticket automatic ownership authentication method based on a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that includes utility ID, collection ID, NFT ID, previous owner ID, current owner ID, transaction type, transaction price, and transaction date and time informa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NFT 티켓의 유틸리티 인증정보는,
유틸리티 ID, NFT ID, 현재 소유자 ID, 인증 시작 날짜, 인증 종료 날짜, 유효성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지속 활용 가능한 NFT 티켓 자동 소유 인증방법.
According to claim 4, the utility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NFT ticket is,
A continuously usable NFT ticket automatic ownership authentication method based on a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characterized by including utility ID, NFT ID, current owner ID, authentication start date, authentication end date, and validity information.
NFT 티켓을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분산 원장에 등록하고 거래하는 NFT 티켓 관리 시스템에서의 NFT 티켓 소유 인증방법에 있어서,
(a) 회원 가입을 위한 사용자 ID와 비밀번호 생성시 NFT 티켓 관리시스템의 로그인을 위한 서비스키를 생성하여 사용자 ID와 연결시킨 후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분산 원장에 저장하고,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ID와 비밀번호 입력시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분산 원장에 저장된 서비스키와 사용자 ID를 매핑시켜 사용자 내부 인증을 수행하는 신원 증명단계;
(b) 신원 증명된 사용자에 의한 NFT 티켓의 등록 또는 발행 신청시 해당 사용자에 대한 해당 NFT 콜렉션의 소유권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NFT 콜렉션의 소유권 정보가 있는 경우 NFT 티켓 등록 또는 발행을 위한 유틸리티 정보를 입력받아 그에 대응하는 NFT 티켓을 생성 또는 민팅하여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분산 원장에 등록하는 NFT 티켓 등록/발행단계; 및
(d) 신원 증명된 사용자에 의한 NFT 티켓 소유 확인 요청에 따라 NFT 티켓 소유권의 이전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모바일 어플을 통해 최소한의 통신 유지하면서 해당 사용자의 NFT 티켓 소유권을 인증하는 NFT 티켓 소유 확인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지속 활용 가능한 NFT 티켓 자동 소유 인증방법.
In the NFT ticket ownership authentication method in the NFT ticket management system that registers and trades NFT tickets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a) When creating a user ID and password for membership registration, a service key for logging in to the NFT ticket management system is created, linked to the user ID, and stored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and the user ID and password for user authentication are stored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An identity verification step that performs user internal authentication by mapping the service key and user ID stored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upon input;
(b) When applying for registration or issuance of an NFT ticket by an identity-proven user, the ownership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NFT collection for that user is confirmed, and if there is ownership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NFT collection, utility information for NFT ticket registration or issuance is provided. NFT ticket registration/issuance step of receiving input, generating or minting the corresponding NFT ticket, and registering it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and
(d)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confirmation of NFT ticket ownership by an identity-proven user, an NFT ticket ownership confirmation step to authenticate the user's NFT ticket ownership while maintaining minimal communication through a mobile application to prevent errors in transferring NFT ticket ownership; A continuously usable NFT ticket automatic ownership authentication method based on a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further comprising:
NFT 티켓을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분산 원장에 등록하고 거래하는 NFT 티켓 관리 시스템에서의 NFT 티켓 소유 인증방법에 있어서,
(a) 회원 가입을 위한 사용자 ID와 비밀번호 생성시 NFT 티켓 관리시스템의 로그인을 위한 서비스키를 생성하여 사용자 ID와 연결시킨 후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분산 원장에 저장하고,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ID와 비밀번호 입력시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분산 원장에 저장된 서비스키와 사용자 ID를 매핑시켜 사용자 내부 인증을 수행하는 신원 증명단계;
(b) 신원 증명된 사용자에 의한 NFT 티켓의 등록 또는 발행 신청시 해당 사용자에 대한 해당 NFT 콜렉션의 소유권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NFT 콜렉션의 소유권 정보가 있는 경우 NFT 티켓 등록 또는 발행을 위한 유틸리티 정보를 입력받아 그에 대응하는 NFT 티켓을 생성 또는 민팅하여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분산 원장에 등록하는 NFT 티켓 등록/발행단계; 및
(e) 신원 증명된 NFT 티켓 관리자에 의한 권한 설정 및 증빙요청에 따라 관리자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자 권한을 설정 및 인증하는 관리자 권한 설정 및 증빙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지속 활용 가능한 NFT 티켓 자동 소유 인증방법.
In the NFT ticket ownership authentication method in the NFT ticket management system that registers and trades NFT tickets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a) When creating a user ID and password for membership registration, a service key for logging in to the NFT ticket management system is created, linked to the user ID, and stored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and the user ID and password for user authentication are stored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An identity verification step that performs user internal authentication by mapping the service key and user ID stored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upon input;
(b) When applying for registration or issuance of an NFT ticket by an identity-proven user, the ownership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NFT collection for that user is confirmed, and if there is ownership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NFT collection, utility information for NFT ticket registration or issuance is provided. NFT ticket registration/issuance step of receiving input, generating or minting the corresponding NFT ticket, and registering it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and
(e) A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further comprising an administrator authority setting and proof step of setting and authenticating administrator authority by receiving administrator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authority setting and proof by an identity-proven NFT ticket manager. A method for automatically verifying ownership of NFT tickets that can be continuously utilized.
NFT 티켓을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분산 원장에 등록하고 거래하는 NFT 티켓 관리 시스템에서의 NFT 티켓 소유 인증방법에 있어서,
(a) 회원 가입을 위한 사용자 ID와 비밀번호 생성시 NFT 티켓 관리시스템의 로그인을 위한 서비스키를 생성하여 사용자 ID와 연결시킨 후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분산 원장에 저장하고,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ID와 비밀번호 입력시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분산 원장에 저장된 서비스키와 사용자 ID를 매핑시켜 사용자 내부 인증을 수행하는 신원 증명단계;
(b) 신원 증명된 사용자에 의한 NFT 티켓의 등록 또는 발행 신청시 해당 사용자에 대한 해당 NFT 콜렉션의 소유권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NFT 콜렉션의 소유권 정보가 있는 경우 NFT 티켓 등록 또는 발행을 위한 유틸리티 정보를 입력받아 그에 대응하는 NFT 티켓을 생성 또는 민팅하여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분산 원장에 등록하는 NFT 티켓 등록/발행단계; 및
(f) NFT 티켓 관리 시스템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에 의한 NFT 티켓의 QR 코드 인식을 통해 해당 NFT 티켓의 권한 인증을 수행하는 NFT 티켓의 QR 코드 인식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지속 활용 가능한 NFT 티켓 자동 소유 인증방법.
In the NFT ticket ownership authentication method in the NFT ticket management system that registers and trades NFT tickets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a) When creating a user ID and password for membership registration, a service key for logging in to the NFT ticket management system is created, linked to the user ID, and stored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and the user ID and password for user authentication are stored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An identity verification step that performs user internal authentication by mapping the service key and user ID stored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upon input;
(b) When applying for registration or issuance of an NFT ticket by an identity-proven user, the ownership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NFT collection for that user is verified, and if there is ownership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NFT collection, utility information for NFT ticket registration or issuance is provided. NFT ticket registration/issuance step of receiving input, generating or minting the corresponding NFT ticket, and registering it in the distributed ledger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and
(f) QR code recognition step of the NFT ticket performing authority authentication of the NFT ticket through recognition of the QR code of the NFT ticket by an external devic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NFT ticket management system; A continuously usable NFT ticket automatic ownership authentication method based o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NFT 티켓의 QR 코드 인식단계(f)는,
NFT 티켓 관리 시스템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로서 키오스크, 태블릿, 스마트폰, PC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지속 활용 가능한 NFT 티켓 자동 소유 인증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QR code recognition step (f) of the NFT ticket is,
A continuously usable NFT ticket automatic ownership authentication method based on a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characterized by using kiosks, tablets, smartphones, and PCs as external device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NFT ticket management system.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NFT 티켓의 QR 코드 인식단계(f)는,
NFT 티켓의 권한 인증으로서 입장권, 사용권, 우선권, 교환권, 신분권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권한을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지속 활용 가능한 NFT 티켓 자동 소유 인증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QR code recognition step (f) of the NFT ticket is,
A continuously usable NFT ticket automatic ownership authentication method based on a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characterized by certifying any one authority selected from admission ticket, usage right, priority right, exchange ticket, and identity right as authority authentication of NFT ticket.
KR1020230191103A 2023-12-26 Automatic authentication method for ownership of continuously usable NFT ticket based on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KR102671227B1 (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1227B1 true KR102671227B1 (en) 2024-06-03

Family

I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0458B1 (en) * 2022-03-18 2023-02-16 주식회사 빅스터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asset market service using NFT technology based on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WO2023092235A1 (en) * 2021-11-26 2023-06-01 Ureeqa Inc. System and method for encapsulating trust mechanisms into non-fungible tokens
US20230353570A1 (en) * 2022-04-29 2023-11-02 Shopify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ccess control in a computing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2235A1 (en) * 2021-11-26 2023-06-01 Ureeqa Inc. System and method for encapsulating trust mechanisms into non-fungible tokens
KR102500458B1 (en) * 2022-03-18 2023-02-16 주식회사 빅스터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asset market service using NFT technology based on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US20230353570A1 (en) * 2022-04-29 2023-11-02 Shopify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ccess control in a comput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9841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erce in a distributed system with blockchain protocols and smart contracts
US11222331B2 (en) Method and system for blockchain-based gemstone ownership, identity, custody, supply-chain transfer, trading, and secure payments
TWI822653B (en) Blockchain-based exchange with tokenisation
US10496989B2 (en) System to enable contactless access to a transaction terminal using a process data network
CN112749957A (en) Asset righ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block chain
US633976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fining private currencies
CN117151853A (en) Method for secure point-to-point communication on a blockchain
US11461771B2 (en) Hybrid digital ledger control with address encoding
KR101951408B1 (en) A System Providing Virtual Money Managerial System
US20230004970A1 (en) Distributed Ledgers with Ledger Entries Containing Redactable Payloads
CN112037068A (en) Resource transfer method, system,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210059165A (en) Copyright P2P trading system for works of art using blockchain
US20230123993A1 (en) System for validating ticket transactions via ticket nfts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CN112418851A (en) Digital copyright registration, transaction and protection method and system
CN112435006A (en) Patent overall process management method, system and equipment applying block chain technology
Garg Distributed ecosystem for identity management
Ooi et al. Blockchain land transfers: Technology, promises, and perils
US202201220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redemption of electronic tickets using blockchain protocols
KR102314573B1 (en) Method of contract management based on block cahin
KR102500458B1 (en)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asset market service using NFT technology based on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KR102671227B1 (en) Automatic authentication method for ownership of continuously usable NFT ticket based on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Kulkarni Learn Bitcoin and Blockchain: Understanding blockchain and Bitcoin architecture to build decentralized applications
KR102398592B1 (en) A ticket reservation method and a device therefor based on a blockchain distributed identity verification
KR20210001915A (en) Crowd funding platform for research goods based on block chain
Ai et al. B2IPTS: A blockchain-based intellectual property transaction frame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