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0058B1 - 로그의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로그의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0058B1
KR102670058B1 KR1020230160936A KR20230160936A KR102670058B1 KR 102670058 B1 KR102670058 B1 KR 102670058B1 KR 1020230160936 A KR1020230160936 A KR 1020230160936A KR 20230160936 A KR20230160936 A KR 20230160936A KR 102670058 B1 KR102670058 B1 KR 102670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item
interface
type
par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60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동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넷스루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넷스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넷스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0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00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65Monitoring arrangements determined by the means or processing involved in reporting the monitored data
    • G06F11/3068Monitoring arrangements determined by the means or processing involved in reporting the monitored data where the reporting involves data format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65Monitoring arrangements determined by the means or processing involved in reporting the monitored data
    • G06F11/3072Monitoring arrangements determined by the means or processing involved in reporting the monitored data where the reporting involves data filtering, e.g. pattern matching, time or event triggered, adaptive or policy-based repor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89Monitoring arrangements determined by the means or processing involved in sensing the monitored data, e.g. interfaces, connectors, sensors, probes, ag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 G06F11/3442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for planning or managing the needed capac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2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wherein the services involve a main real-time session and one or more additional parallel non-real time sessions, e.g. downloading a file in a parallel FTP session, initiating an email or combinational services

Abstract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서버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며, 상기 단계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로그의 수집과 관련된 수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수집 태스크를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수집 태스크 구성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수집 태스크 구성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상기 수집 태스크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수집된 로그의 변환과 관련된 변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변환 태스크를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변환 태스크 구성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변환 태스크 구성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상기 변환 태스크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수집된 로그 또는 변환된 로그의 전송과 관련된 전송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전송 태스크를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전송 태스크 구성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태스크 구성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상기 전송 태스크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로그의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COLLECTION OF LOG}
본 개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로그의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로그(Log)는 컴퓨팅 장치, 정보화 장치 또는 네트워크 운영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내용들이 발생 시간 등과 함께 기록된 데이터이다. 근래에는 소프트웨어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다량의 로그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로그를 효율적으로 수집하여 관리하는 기술들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로그는 발생의 원인이 되는 행위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하나, 항상 모든 로그가 다 필요시 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업체의 어느 담당자는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발생되는 로그만 필요로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어느 담당자는 네트워킹 과정에서 발생되는 로그만 필요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담당자가 원하는 로그만을 수집하기 위한 기술도 요구되고 있다.
종래에는 담당자가 원하는 로그만을 수집하기 위해, 로그를 수집하는 프로그램의 소스 코드의 수정이 불가피했다. 그러나, 기업체의 담당자는 개발자가 아닌 바 소스 코드의 수정을 직접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3766호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비개발 직군의 담당자가 로그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서버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며, 상기 단계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로그의 수집과 관련된 수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수집 태스크를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수집 태스크 구성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수집 태스크 구성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상기 수집 태스크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수집된 로그의 변환과 관련된 변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변환 태스크를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변환 태스크 구성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변환 태스크 구성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상기 변환 태스크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수집된 로그 또는 변환된 로그의 전송과 관련된 전송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전송 태스크를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전송 태스크 구성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태스크 구성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상기 전송 태스크를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환 인터페이스는, 기 생성된 변환 태스크 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변환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변환 태스크의 설정 변경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변환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상기 변환 태스크를 재구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환 설정 인터페이스는, 샘플 로그를 제공하는 샘플 로그 영역; 로그를 개별 구성 요소로 분류하여 제공하는 로그 구성 요소 영역; 사용자로부터 로그의 재구성을 위한 변환 포맷을 입력 받는 변환 포맷 영역; 필터링 조건을 입력 받는 필터 영역; 및 변환 포맷에 기초하여 상기 샘플 로그를 변환한 변환 결과를 제공하는 변환 결과 영역;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환 포맷 영역은, 변환 포맷을 입력 받기 위한 편집 영역; 상기 로그 구성 요소 영역에 포함된 상기 개별 구성 요소를 드래그 앤 드롭(drag-and-drop)함으로써 상기 변환 포맷을 입력 받도록, 상기 편집 영역을 그리드 인터페이스로 변경하는 입력을 받는 제1 인디케이터; 및 사용자로부터 텍스트를 통해 상기 변환 포맷을 입력 받도록, 상기 편집 영역을 에디터 인터페이스로 변경하는 입력을 받는 제2 인디케이터;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 인터페이스는, 기 생성된 전송 태스크 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전송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전송 태스크의 설정을 변경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전송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상기 전송 태스크를 재구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가 발생하는 소스의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소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구성할 소스의 타입(type)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제1 파라미터 항목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제1 파라미터 항목을 상기 소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된 소스의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제1 파라미터 항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의 타입이 로그 파일과 관련된 타입인 경우, 제1-1 파라미터 항목을 상기 소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항목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1 파라미터 항목은,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는 디렉토리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전송할 파일의 파일명의 패턴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소스 처리 진행 과정에 대한 기록 정보를 저장할 디렉토리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및 상기 기록 정보를 저장할 빈도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된 소스의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제1 파라미터 항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의 타입이 원격 서버와 관련된 타입인 경우, 제1-2 파라미터 항목을 상기 소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항목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2 파라미터 항목은, 통신 포트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된 소스의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제1 파라미터 항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의 타입이 CSV 파일 형식과 관련된 타입인 경우, 제1-3 파라미터 항목을 상기 소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항목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3 파라미터 항목은,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는 디렉토리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전송할 파일의 파일명의 패턴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소스 처리 진행 과정에 대한 기록 정보를 저장할 디렉토리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상기 기록 정보를 저장할 빈도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및 CSV 파일에서 구성된 필드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채널의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채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구성할 채널의 타입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제2 파라미터 항목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파라미터 항목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파라미터 항목을 상기 채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전송의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싱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구성할 싱크의 타입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제3 파라미터 항목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제3 파라미터 항목을 상기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된 싱크의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제3 파라미터 항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싱크의 타입이 로그 파일과 관련된 타입인 경우, 제3-1 파라미터 항목을 상기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항목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3-1 파라미터 항목은, 상기 서버로 수신된 데이터가 위치할 디렉토리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된 싱크의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제3 파라미터 항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싱크의 타입이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과 관련된 타입인 경우, 제3-2 파라미터 항목을 상기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항목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3-2 파라미터 항목은, 데이터를 전송할 외부 서버의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콘텐츠 타입의 헤더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및 상기 서버에서 인식 가능한 데이터 타입을 나타내는 엑셉트 헤드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을 포함하는 제3-2 파라미터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된 싱크의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제3 파라미터 항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싱크의 타입이 원격 서버와 관련된 타입인 경우, 제3-3 파라미터 항목을 상기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항목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3-3 파라미터 항목은, 데이터를 전송할 원격 서버의 호스트명(host name)을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및 상기 서버의 통신 포트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을 포함하는 제3-3 파라미터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된 싱크의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제3 파라미터 항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싱크의 타입이 외부 클러스터와 관련된 타입인 경우, 제3-4 파라미터 항목을 상기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항목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3-4 파라미터 항목은, 외부 클러스터에 연결하기 위한 호스트 정보 및 포트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데이터를 저장할 토픽의 설정을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및 처리할 메시지의 수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을 포함하는 제3-4 파라미터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된 싱크의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제3 파라미터 항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싱크의 타입이 데이터베이스와 관련된 타입인 경우, 제3-5 파라미터 항목을 상기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항목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3-5 파라미터 항목은, 데이터베이스 드라이버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상기 데이터베이스 드라이버의 연결을 위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데이터베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데이터를 전송할 테이블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값을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접속 ID(Identifier)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접속 패스워드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컬럼(columns)을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전송할 컬럼의 타입을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전송이 실패한 데이터를 저장할 경로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전송 실패 시 재전송을 시도할 횟수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및 배치사이즈(batchszie)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을 포함하는 제3-5 파라미터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된 싱크의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제3 파라미터 항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싱크의 타입이 메시지 브로커와 관련된 타입인 경우, 제3-6 파라미터 항목을 상기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항목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3-6 파라미터 항목은, 메시지 브로커 서버의 이름을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상기 메시지 브로커 서버의 포트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상기 메시지 브로커 서버의 접속 ID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접속 패스워드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타켓 큐(que)를 지정하는 큐 이름(Rounting key)의 설정을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수신된 메시지를 보낼 방식을 결정하는 라운딩 규칙을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및 큐에 존재하는 메시지를 보전하는 방식을 입력 받기 위한 항목을 포함하는 제3-6 파라미터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된 싱크의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제3 파라미터 항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싱크의 타입이 분산 검색 엔진과 관련된 타입인 경우, 제3-7 파라미터 항목을 상기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항목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3-7 파라미터 항목은, 분산 검색 엔진의 IP 주소, 포트 정보 및 전송 타입을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콘텐츠 타입의 헤더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배치사이즈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배치모드(batchsmode)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및 분산 검색 엔진의 인덱스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항목을 포함하는 제3-7 파라미터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비개발 직군의 담당자가 로그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시들에서, 공지의 구조들 및 장치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기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서버가 전송 태스크를 구성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변환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변환 설정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송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소스를 추가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채널을 추가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소스를 추가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 1, 제 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서버는 로그의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로그를 수집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수집 태스크를 구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로그를 변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수집된 로그 또는 변환된 로그의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의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로그만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통해 서버가 로그의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버(100)는 제어부(110), 저장부(120), 통신부(130) 및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서버(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서버(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서버(100)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메인프레임 컴퓨터, 디지털 프로세서, 휴대용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 제어기 등과 같은 임의의 타입의 컴퓨터 시스템 또는 컴퓨터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전형적인 컴퓨터 하드웨어(예컨대,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스토리지,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 기타 기존의 컴퓨팅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 장치; 라우터, 스위치 등과 같은 전자 통신 장치; 네트워크 부착 스토리지(NAS; network-attached storage) 및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SAN; storage area network)와 같은 전자 정보 스토리지 시스템)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즉,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특정의 방식으로 기능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원하는 시스템 성능을 달성하는 것일 수 있다.
서버(100)는 웹 사이트에서 사용자의 행동을 수집하고, 수집된 로그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서버(100)에서 관리하는 복수개의 로깅 서버를 통해 발생되는 로그를 수집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서버(100)는 서버와 관련된 웹 페이지를 통해 발생되는 사용자 행동을 직접 수집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서버(100)는 서버(100)에서 관리하는 복수개의 컴퓨팅 장치에서의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발생되는 로그를 수집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통상적으로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서버(100)의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저장부(12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하나 이상의 코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범용 그래픽 처리 장치(GPGPU: General Purpose Graphics Processing Unit), 텐서 처리 장치(TPU: Tensor Processing Unit) 등의 데이터 분석을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로그를 수집하기 위한 태스크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구성된 태스크에 따라 로깅 서버, 복수의 컴퓨팅 장치 또는 웹 페이지 등으로부터 로그를 수집할 수 있다. 이하, 제어부(110)가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례는 도 2를 통해 설명한다.
저장부(120)는 메모리 및/또는 영구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서버(100)와 통신 시스템 사이, 서버(100)와 로깅 서버 사이, 서버(100)와 복수개의 컴퓨팅 장치 사이 또는 서버(100)와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서버(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40)는 서버(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서버(100)가 로그의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서버가 전송 태스크를 구성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버(100)의 제어부(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기초하여, 로그의 수집과 관련된 수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S110).
수집 인터페이스는 웹 사이트 또는 모바일 웹 등에서의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를 일관된 표준 포맷의 로그로 저장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4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모니터링, 태깅, 수집, 변환, 전송, 시스템 및 관리 등의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수집 메뉴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수집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수집 태스크를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수집 태스크 구성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S120). 제어부(110)는 수집 태스크 구성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수집 태스크를 구성할 수 있다(S130).
수집 태스크는 사이트의 페이지 이동이나 클릭 행동 등의 정보가 서버(100)로 수신된 경우, 해당 정보의 로그를 생성하여 수집하는 동작일 수 있다. 수집 태스크 구성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수집 태스크가 구성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수집 태스크에 대응하는 로그 또는 로그 파일을 수집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수집된 로그의 변환과 관련된 변환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S140).
변환 인터페이스는 데이터 사용 채널의 필요에 따라 원본 로그 데이터를 용도에 맞게 변환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4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모니터링, 태깅, 수집, 변환, 전송, 시스템 및 관리 등의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변환 메뉴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변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변환 태스크를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변환 태스크 구성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S150). 제어부(110)는 변환 태스크 구성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제1 변환 태스크를 구성할 수 있다(S160).
변환 태스크는 수집된 로그에서 특정 데이터 항목을 추출하거나 또는 수집된 로그 파일을 변환하는 동작일 수 있다. 변환 태스크 구성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변환 태스크가 구성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변환 태스크에 대응하는 로그에서 특정 데이터 항목을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변환 태스크에 대응하는 로그 파일을 다른 파일 형식 등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수집된 로그 또는 변환된 로그의 전송과 관련된 전송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S170).
전송 인터페이스는 데이터 사용 채널의 필요에 따라 변환된 로그 데이터를 목표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4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모니터링, 태깅, 수집, 변환, 전송, 시스템 및 관리 등의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전송 메뉴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전송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전송 태스크를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전송 태스크 구성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S180). 제어부(110)는 전송 태스크 구성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에 기초하여, 전송 태스크를 구성할 수 있다(S190).
전송 태스크는 수집한 로그 또는 변환한 로그 파일을 외부 서버 또는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동작일 수 있다. 전송 태스크 구성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전송 태스크가 구성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전송 태스크에 대응하는 로그 또는 변환된 로그 파일을 외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서버(100)는 로그의 수집, 수집된 로그의 변환, 수집된 로그의 전송 및 수집된 로그를 변환한 변환 파일의 전송까지 비개발 직군의 사용자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상술한 인터페이스들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변환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변환 설정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변환 인터페이스(200)는 변환 태스크를 생성하기 위한 버튼(210) 및 기 생성된 변환 태스크 목록(2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의 제어부(110)는 변환 태스크를 생성하기 위한 버튼(210)을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변환 태스크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변환 태스크의 ID, 이름 및 변환 대상 경로 등을 이용하여 변환 태스크를 구성할 수 있다.
변환 태스크 목록(220)은 수집된 변환 태스크의 이름, ID, 변환 결과 및 PATH(경로)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변환 태스크 목록(220)은 기 생성된 변환 태스크를 복사하기 위한 버튼, 기 생성된 변환 태스크를 내보내기 위한 버튼, 기 생성된 변환 태스크를 삭제하기 위한 버튼 및 기 생성된 변환 태스크의 설정을 변경하는 버튼(22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변환 인터페이스를 통한 변환 태스크의 설정을 변경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변환 설정 인터페이스(300)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변환 설정 인터페이스(300)를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변환 태스크를 재구성할 수 있다.
변환 설정 인터페이스(300)는, 샘플 영역(310), 로그 구성 요소 영역(320), 변환 포맷 영역(330), 필터 영역(340) 및 변환 결과 영역(350)을 포함할 수 있다.
샘플 영역(310)은 샘플 로그를 제공하기 위한 영역일 수 있다. 샘플 영역은 로그 구성요소에서 추출되는 값 및 실제 변환된 결과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로그 구성 요소 영역(320)은 로그를 개별 구성 요소로 분류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로그를 분류하기 위한 새로운 구성 요소를 추가할 수도 있다.
변환 포맷 영역(330)은 사용자로부터 로그의 재구성을 위한 변환 포맷을 입력 받는 영역일 수 있다. 변환 포맷 영역(330)은 로그 구성 요소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재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랙션이 수행되는 영역일 수 있다.
변환 포맷 영역(330)은 편집 영역(331), 제1 인디케이터(332) 및 제2 인디케이터(333)를 포함할 수 있다.
편집 영역(331)은 변환 포맷을 입력 받기 위한 영역일 수 있다.
제1 인디케이터(332)는 편집 영역을 그리드 인터페이스로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을 받는 인디케이터일 수 있다. 그리드 인터페이스는 로그 구성 요소 영역(320)에 포함된 개별 구성 요소를 드래그 앤 드롭(drag-and-drop)함으로써 변환 포맷을 입력 받도록 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제1 인디케이터(332)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편집 영역을 그리드 인터페이스로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로그 구성 요소 영역(320)에 포함된 개별 구성 요소를 드래그 하여, 그리드 인터페이스로 변경된 편집 영역으로 드롭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변환 포맷을 편집할 수 있다.
제2 인디케이터(333)는 편집 영역을 에디터 인터페이스로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을 받는 인디케이터일 수 있다. 에디터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부터 텍스트를 통해 변환 포맷을 입력 받도록 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필터 영역(340)은 필터링 조건을 입력 받는 영역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필터 영역(340)을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로그의 변환 동작에 있어서, 제외시키거나 또는 포함시킬 로그에 대한 필터링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변환 결과 영역(350)은 변환 포맷에 기초하여 샘플 로그를 변환한 변환 결과를 제공되는 영역일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송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송 인터페이스(400)는 전송 태스크를 생성하기 위한 버튼(410) 및 기 생성된 전송 태스크 목록(4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의 제어부(110)는 전송 태스크를 생성하기 위한 버튼(410)을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전송 태스크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전송 태스크의 ID, 이름 및 포트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 태스크를 구성할 수 있다.
전송 태스크 목록(420)은 등록된 전송 태스크의 이름, ID, 포트 정보 및 전송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전송 태스크 목록(420)은 기 생성된 전송 태스크를 복사하기 위한 버튼, 기 생성된 전송 태스크를 내보내기 위한 버튼, 기 생성된 전송 태스크를 삭제하기 위한 버튼 및 기 생성된 전송 태스크의 설정을 변경하는 버튼(42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전송 인터페이스를 전송 변환 태스크의 설정을 변경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전송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전송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전송 태스크를 재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전송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소스, 채널 및 싱크를 추가할 수 있다. 여기서, 소스의 추가는 전송할 데이터의 위치 및 형식을 설정하는 동작일 수 있다. 채널의 추가는 소스가 수집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채널을 설정하는 동작일 수 있다. 싱크의 추가는 데이터를 전송할 위치 및 형태 등을 설정하는 동작일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통해 본 개시에 따른 서버(100)가 소스, 채널 및 싱크를 추가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소스를 추가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소스의 추가는 전송할 데이터의 위치 및 형식을 설정하는 작업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버(100)의 제어부(110)는 전송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가 발생하는 소스의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소스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S210).
제어부(110)는 구성할 소스의 타입(type)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소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제1 파라미터 항목을 결정할 수 있다(S220). 그리고, 제어부(110)는 결정된 제1 파라미터 항목을 소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S230).
일례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설정된 소스의 타입이 로그 파일과 관련된 타입인 경우, 제어부(110)는 제1-1 파라미터 항목을 소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항목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1-1 파라미터 항목은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는 디렉토리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전송할 파일의 파일명의 패턴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소스 처리 진행 과정에 대한 기록 정보를 저장할 디렉토리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및 기록 정보를 저장할 빈도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결정된 제1-1 파라미터 항목을 소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설정된 소스의 타입이 원격 서버와 관련된 타입인 경우, 제어부(110)는 제1-2 파라미터 항목을 소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항목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1-2 파라미터 항목은 통신 포트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결정된 제1-2 파라미터 항목을 소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설정된 소스의 타입이 CSV 파일 형식과 관련된 타입인 경우, 제어부(110)는 제1-3 파라미터 항목을 소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항목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1-3 파라미터 항목은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는 디렉토리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전송할 파일의 파일명의 패턴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소스 처리 진행 과정에 대한 기록 정보를 저장할 디렉토리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기록 정보를 저장할 빈도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및 CSV 파일에서 구성된 필드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결정된 제1-3 파라미터 항목을 소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서버(100)는 구성할 소스의 타입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소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제1 파라미터 항목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0)는 결정된 제1 파라미터 항목을 소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0)에 의해 결정된 제1 파라미터는 사용자가 선택한 소스의 타입을 구성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파라미터들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소스를 추가하는 방법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이도 편리하게 소스를 추가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채널을 추가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채널의 추가는 소스가 수집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채널을 설정하는 작업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버(100)의 제어부(110)는 전송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채널의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채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S310).
제어부(110)는 구성할 채널의 타입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채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제2 파라미터 항목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320). 제2 파라미터 항목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제2 파라미터 항목을 채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S330).
구체적으로, 채널의 타입은 파일 채널 타입 및 메모리 채널 타입이 존재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설정된 채널의 타입이 파일 채널 타입이라고 결정된 경우, 채널의 추가를 위한 제2 파라미터 항목이 존재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제2 파라미터 항목은 데이터를 저장할 디렉토리 패스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및 저장 처리과정에 대한 기록정보를 저장할 디렉토리 패스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2 파라미터 항목을 소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설정된 채널의 타입이 메모리 채널 타입이라고 결정된 경우, 채널의 추가를 위한 제2 파라미터 항목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서버(100)는 구성할 채널의 타입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채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아야 하는 제2 파라미터 항목이 존재하는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0)는 제2 파라미터 항목이 존재한다고 결정된 경우, 제2 파라미터 항목을 입력 받기 위한 채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0)에 의해 결정된 제2 파라미터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타입을 구성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파라미터들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채널을 추가하는 방법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이도 편리하게 소스를 추가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소스를 추가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싱크의 추가는 데이터를 전송할 위치 및 형태 등을 설정하는 작업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버(100)의 제어부(110)는 전송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전송의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싱크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S310).
제어부(110)는 구성할 싱크의 타입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제3 파라미터 항목을 결정할 수 있다(S320). 제어부(110)는 결정된 제1 파라미터 항목을 소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S320).
일례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설정된 싱크의 타입이 로그 파일과 관련된 타입인 경우, 제어부(110)는 제3-1 파라미터 항목을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항목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3-1 파라미터 항목은 서버(100)로 수신된 데이터가 위치할 디렉토리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설정된 싱크의 타입이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과 관련된 타입인 경우, 제어부(110)는 제3-2 파라미터 항목을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항목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3-2 파라미터 항목은 데이터를 전송할 외부 서버의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콘텐츠 타입의 헤더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및 서버(100)에서 인식 가능한 데이터 타입을 나타내는 엑셉트 헤드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설정된 싱크의 타입이 원격 서버와 관련된 타입인 경우, 제3-3 파라미터 항목을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항목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3-3 파라미터 항목은 데이터를 전송할 원격 서버의 호스트명(host name)을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및 서버(100)의 통신 포트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설정된 싱크의 타입이 외부 클러스터와 관련된 타입인 경우, 제어부(110)는 제3-4 파라미터 항목을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항목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3-4 파라미터 항목은 외부 클러스터에 연결하기 위한 호스트 정보 및 포트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데이터를 저장할 토픽의 설정을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및 처리할 메시지의 수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설정된 싱크의 타입이 데이터베이스와 관련된 타입인 경우, 제어부(110)는 제3-5 파라미터 항목을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항목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3-5 파라미터 항목은 데이터베이스 드라이버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데이터베이스 드라이버의 연결을 위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데이터베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데이터를 전송할 테이블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값을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접속 ID(Identifier)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접속 패스워드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컬럼(columns)을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전송할 컬럼의 타입을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전송이 실패한 데이터를 저장할 경로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전송 실패 시 재전송을 시도할 횟수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및 배치사이즈(batchszie)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설정된 싱크의 타입이 메시지 브로커와 관련된 타입인 경우, 제어부(110)는 제3-6 파라미터 항목을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항목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3-6 파라미터 항목은 메시지 브로커 서버의 이름을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메시지 브로커 서버의 포트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메시지 브로커 서버의 접속 ID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접속 패스워드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타켓 큐(que)를 지정하는 큐 이름(Rounting key)의 설정을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수신된 메시지를 보낼 방식을 결정하는 라운딩 규칙을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및 큐에 존재하는 메시지를 보전하는 방식을 입력 받기 위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설정된 싱크의 타입이 분산 검색 엔진과 관련된 타입인 경우, 제어부(110)는 제3-7 파라미터 항목을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항목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3-7 파라미터 항목은 분산 검색 엔진의 IP 주소, 포트 정보 및 전송 타입을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콘텐츠 타입의 헤더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배치사이즈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배치모드(batchsmode)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및 분산 검색 엔진의 인덱스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서버(100)는 구성할 싱크의 타입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제3 파라미터 항목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0)는 결정된 제3 파라미터 항목을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0)에 의해 결정된 제3 파라미터는 사용자가 선택한 싱크의 타입을 구성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파라미터들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싱크를 추가하는 방법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이도 편리하게 싱크를 추가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서버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며, 상기 단계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로그의 수집과 관련된 수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수집 태스크를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수집 태스크 구성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수집 태스크 구성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상기 수집 태스크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수집된 로그의 변환과 관련된 변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변환 태스크를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변환 태스크 구성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변환 태스크 구성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상기 변환 태스크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수집된 로그 또는 변환된 로그의 전송과 관련된 전송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전송 태스크를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전송 태스크 구성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전송 태스크 구성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상기 전송 태스크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전송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전송의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싱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구성할 싱크의 타입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제3 파라미터 항목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제3 파라미터 항목을 상기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인터페이스는,
    기 생성된 변환 태스크 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변환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변환 태스크의 설정 변경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변환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상기 변환 태스크를 재구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설정 인터페이스는,
    샘플 로그를 제공하는 샘플 로그 영역;
    로그를 개별 구성 요소로 분류하여 제공하는 로그 구성 요소 영역;
    사용자로부터 로그의 재구성을 위한 변환 포맷을 입력 받는 변환 포맷 영역;
    필터링 조건을 입력 받는 필터 영역; 및
    변환 포맷에 기초하여 상기 샘플 로그를 변환한 변환 결과를 제공하는 변환 결과 영역;
    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포맷 영역은,
    변환 포맷을 입력 받기 위한 편집 영역;
    상기 로그 구성 요소 영역에 포함된 상기 개별 구성 요소를 드래그 앤 드롭(drag-and-drop)함으로써 상기 변환 포맷을 입력 받도록, 상기 편집 영역을 그리드 인터페이스로 변경하는 입력을 받는 제1 인디케이터; 및
    사용자로부터 텍스트를 통해 상기 변환 포맷을 입력 받도록, 상기 편집 영역을 에디터 인터페이스로 변경하는 입력을 받는 제2 인디케이터;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인터페이스는,
    기 생성된 전송 태스크 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전송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전송 태스크의 설정을 변경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전송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상기 전송 태스크를 재구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가 발생하는 소스의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소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구성할 소스의 타입(type)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제1 파라미터 항목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제1 파라미터 항목을 상기 소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소스의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제1 파라미터 항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의 타입이 로그 파일과 관련된 타입인 경우, 제1-1 파라미터 항목을 상기 소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항목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1 파라미터 항목은,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는 디렉토리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전송할 파일의 파일명의 패턴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소스 처리 진행 과정에 대한 기록 정보를 저장할 디렉토리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및 상기 기록 정보를 저장할 빈도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소스의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제1 파라미터 항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의 타입이 원격 서버와 관련된 타입인 경우, 제1-2 파라미터 항목을 상기 소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항목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2 파라미터 항목은,
    통신 포트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소스의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제1 파라미터 항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의 타입이 CSV 파일 형식과 관련된 타입인 경우, 제1-3 파라미터 항목을 상기 소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항목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3 파라미터 항목은,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는 디렉토리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전송할 파일의 파일명의 패턴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소스 처리 진행 과정에 대한 기록 정보를 저장할 디렉토리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상기 기록 정보를 저장할 빈도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및 CSV 파일에서 구성된 필드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0.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채널의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채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구성할 채널의 타입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제2 파라미터 항목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파라미터 항목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파라미터 항목을 상기 채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1. 삭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싱크의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제3 파라미터 항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싱크의 타입이 로그 파일과 관련된 타입인 경우, 제3-1 파라미터 항목을 상기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항목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3-1 파라미터 항목은,
    상기 서버로 수신된 데이터가 위치할 디렉토리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싱크의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제3 파라미터 항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싱크의 타입이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과 관련된 타입인 경우, 제3-2 파라미터 항목을 상기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항목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3-2 파라미터 항목은,
    데이터를 전송할 외부 서버의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콘텐츠 타입의 헤더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및 상기 서버에서 인식 가능한 데이터 타입을 나타내는 엑셉트 헤드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을 포함하는 제3-2 파라미터 항목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싱크의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제3 파라미터 항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싱크의 타입이 원격 서버와 관련된 타입인 경우, 제3-3 파라미터 항목을 상기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항목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3-3 파라미터 항목은,
    데이터를 전송할 원격 서버의 호스트명(host name)을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및 상기 서버의 통신 포트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을 포함하는 제3-3 파라미터 항목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싱크의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제3 파라미터 항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싱크의 타입이 외부 클러스터와 관련된 타입인 경우, 제3-4 파라미터 항목을 상기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항목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3-4 파라미터 항목은,
    외부 클러스터에 연결하기 위한 호스트 정보 및 포트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데이터를 저장할 토픽의 설정을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및 처리할 메시지의 수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을 포함하는 제3-4 파라미터 항목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싱크의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제3 파라미터 항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싱크의 타입이 데이터베이스와 관련된 타입인 경우, 제3-5 파라미터 항목을 상기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항목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3-5 파라미터 항목은,
    데이터베이스 드라이버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상기 데이터베이스 드라이버의 연결을 위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데이터베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데이터를 전송할 테이블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값을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접속 ID(Identifier)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접속 패스워드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컬럼(columns)을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전송할 컬럼의 타입을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전송이 실패한 데이터를 저장할 경로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전송 실패 시 재전송을 시도할 횟수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및 배치사이즈(batchszie)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을 포함하는 제3-5 파라미터 항목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싱크의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제3 파라미터 항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싱크의 타입이 메시지 브로커와 관련된 타입인 경우, 제3-6 파라미터 항목을 상기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항목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3-6 파라미터 항목은,
    메시지 브로커 서버의 이름을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상기 메시지 브로커 서버의 포트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상기 메시지 브로커 서버의 접속 ID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접속 패스워드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타켓 큐(que)를 지정하는 큐 이름(Rounting key)의 설정을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수신된 메시지를 보낼 방식을 결정하는 라운딩 규칙을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및 큐에 존재하는 메시지를 보전하는 방식을 입력 받기 위한 항목을 포함하는 제3-6 파라미터 항목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싱크의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제3 파라미터 항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싱크의 타입이 분산 검색 엔진과 관련된 타입인 경우, 제3-7 파라미터 항목을 상기 싱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기 위한 항목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3-7 파라미터 항목은,
    분산 검색 엔진의 IP 주소, 포트 정보 및 전송 타입을 입력 받기 위한 항목, 콘텐츠 타입의 헤더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배치사이즈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배치모드(batchsmode)를 입력 받기 위한 항목 및 분산 검색 엔진의 인덱스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항목을 포함하는 제3-7 파라미터 항목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30160936A 2023-11-20 로그의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2670058B1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0058B1 true KR102670058B1 (ko) 2024-05-28

Family

I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1500A (ja) * 2001-02-22 2002-09-0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ログ情報収集システム及びログ情報収集方法
KR100665132B1 (ko) * 2005-07-29 2007-01-04 인터컴 소프트웨어(주) 이질의 로그를 정형화하는 방법
JP2019082941A (ja) 2017-10-31 2019-05-30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ログ収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1500A (ja) * 2001-02-22 2002-09-0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ログ情報収集システム及びログ情報収集方法
KR100665132B1 (ko) * 2005-07-29 2007-01-04 인터컴 소프트웨어(주) 이질의 로그를 정형화하는 방법
JP2019082941A (ja) 2017-10-31 2019-05-30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ログ収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8510B2 (en) Selecting network security event investigation timelines in a workflow environment
US11947556B1 (en) Computerized monitoring of a metric through execution of a search query, determining a root cause of the behavior, and providing a notification thereof
US11736378B1 (en) Collaborative incident management for networked computing systems
US10250628B2 (en) Storyboard displays of information technology investigative events along a timeline
US11226977B1 (en) Application of event subtypes defined by user-specified examples
US11620300B2 (en) Real-time measurement and system monitoring based on generated dependency graph models of system components
US20200272622A1 (en) Single click delta analysis
US20210342125A1 (en) Dual textual/graphical programming interfaces for streaming data processing pipelines
US10558651B2 (en) Search point management
US10997190B2 (en) Context-adaptive selection options in a modular visualization framework
US11651012B1 (en) Coding commands using syntax templates
US10798148B2 (en) Configuring nodes of distributed systems
US10833942B2 (en) Behavioral based device clustering system and method
CN107145489B (zh) 一种基于云平台的客户端应用的信息统计方法和装置
US10984013B1 (en) Tokenized event collector
US20170220672A1 (en) Enhancing time series prediction
US11386113B2 (en) Data source tokens
US11630695B1 (en) Dynamic reassignment in a search and indexing system
US11449371B1 (en) Indexing data at a data intake and query system based on a node capacity threshold
WO2013038489A1 (ja) 計算機システム、クライアント計算機の管理方法及び記憶媒体
US11755531B1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age of data utilizing a persistent queue
US10628603B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a cross-silo enterprise data acquisition, reporting and analysis system
US11693710B1 (en) Workload pool hierarchy for a search and indexing system
KR102670058B1 (ko) 로그의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CN113515715B (zh) 埋点事件编码的生成方法、处理方法及相关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