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9432B1 - 막구조 장력 조절 시스템 - Google Patents

막구조 장력 조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9432B1
KR102669432B1 KR1020240028580A KR20240028580A KR102669432B1 KR 102669432 B1 KR102669432 B1 KR 102669432B1 KR 1020240028580 A KR1020240028580 A KR 1020240028580A KR 20240028580 A KR20240028580 A KR 20240028580A KR 102669432 B1 KR102669432 B1 KR 102669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haft
certain distance
plate
rot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28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경표
고광웅
고진수
Original Assignee
주앤보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앤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앤보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9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9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Abstract

본 발명은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막구조의 프레임 위에 설치된 막을 팽팽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막구조 장력 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내부 중앙에 축공을 구비하고 상기 축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회전슬라이딩공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슬라이딩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고정공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결합공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공과 회전슬라이딩공 사이 내부에 힌지공을 구비한 회전판(17)과; 상기 회전판(17)의 일측에 위치되고 내부 중앙에 축공을 구비하며 상기 축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결합공을 구비한 제1원형패드(19)와; 상기 회전판(17)의 타측에 제1원형패드(19)에 마주보게 위치되고 내부 중앙에 축공을 구비하며 상기 축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결합공을 구비한 제2원형패드(21)와; 상기 제1원형패드(19)의 축공, 회전판(17)의 축공 및 제2원형패드(21)의 축공에 삽입되어 회전판(17)의 회전을 도와 주는 샤프트(23)와; 상기 제1원형패드(19)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고 내부 중앙에 축공을 구비하며 상기 축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결합공을 구비한 제1원판(25) 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막구조 장력 조절 시스템{Membrane tension control system for membrane structure}
본 발명은 막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막구조의 프레임 위에 설치된 막을 팽팽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막구조 장력 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막구조는 정형화된 여러 형태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며 실내공간을 형성하는 막(MEMBRANE)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막구조는 그 설치 및 철거가 간단하고 자체 내구성도 높아 새로운 건축양식의 하나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상기 프레임에 막을 지지시키는 방식도 두 가지가 있다. 그 하나는 프레임을 먼저 조립 구성하고 그 위에 막을 전체적으로 덮어씌워 실내공간을 형성하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그 테두리부를 두껍게 가공한 막의 테두리부를 프레임에 고정시켜 프레임과 그 프레임의 사이가 막으로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실내공간을 형성하는 방식이다.
상기 막구조에 있어서 막구조를 구성하는 막을 보통 한 겹만 적용하지만 경우에 따라 막을 한 겹 더 설치한 이중막 구조의 막구조도 있다. 상기 이중막 구조의 막구조는 단열성과 보온성 및 흡음성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
일반적인 막구조를 간략히 설명하자면, 수직지지대가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지게 되며, 수직지지대에 의하여 양측이 지지되는 지지파이프가 지면과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지지파이프에는 막을 고정하기 위한 철판이 설치되어서 막을 구조물 상측에 고정되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카테나리케이블과 밸리케이블이 설치되어 막의 고정 및 형상을 잡아주게 된다.
이러한 막구조와 관련하여 종래기술로서 국내공개특허 제10-2003-0031304호(발명의 명칭: 지붕막의 인장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가 제안되었으나,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막의 결합부위로 빗물이 스며들어 가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막을 플레이트에 결합하는 과정은 물론 막구조에서 필수로 수행되어야 하는 장력 부여 과정이 복잡하고 작업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질 뿐 아니라, 부여된 초기 장력을 유지 관리하는 데에도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022년 11월 22일자 출원번호 제10-2022-0157087호(발명의 명칭 : 장력조절이 용이한 막구조물 시스템)가 특허청에 출원된 바 있으며, 도 1을 참조하여 청구범위를 살펴보면, 청구범위는 " 시트 형태를 가지며 단부에서 감싸지는 엣지로프를 포함하는 막재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홀더; 일측면에 상기 홀더가 결합되게 하여 상기 막재를 결속시키는 결합플레이트; 상기 결합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홀더와 상기 결합플레이트 간을 연결하면서 상기 홀더의 수평 방향 위치를 조정 및 고정하는 장력유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막재의 일단부에 있어 상기 엣지로프를 제외한 부위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적층되는 복수의 보호판과, 'ㄷ'자 형상으로 상기 복수의 보호판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면서 볼트 체결을 통해 상기 막재와 복수의 보호판이 결합되게 하고 폐면을 형성하는 일측면에 상기 장력유지수단이 결합되는 스트립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플레이트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일정 간격을 따라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력유지수단은, 복수의 링크부재가 상호 핀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결합플레이트의 통공을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스트립에 결합되며, 각 링크부재의 일측면에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는 조정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이 용이한 막구조물 시스템. " 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막구조의 막 장력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을 꾸준히 실시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본 출원인은 상기 장력조절이 용이한 막구조물 시스템 외에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막구조의 프레임 위에 설치된 막을 팽팽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막구조 장력 조절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막구조의 프레임 위에 설치된 막을 팽팽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막구조 장력 조절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막구조 장력 조절 시스템은,
제1메인부재(9)와 제2메인부재(11)로 이루어진 아치(5)와; 상기 아치(5)에 연결되되, 제1보조부재(13)와 제2보조부재(15)로 이루어진 아크(7)를 포함한 막구조에 있어서,
내부 중앙에 축공을 구비하고 상기 축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회전슬라이딩공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슬라이딩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고정공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결합공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공과 회전슬라이딩공 사이 내부에 힌지공을 구비한 회전판(17)과;
상기 회전판(17)의 일측에 위치되고 내부 중앙에 축공을 구비하며 상기 축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결합공을 구비한 제1원형패드(19)와;
상기 회전판(17)의 타측에 제1원형패드(19)에 마주보게 위치되고 내부 중앙에 축공을 구비하며 상기 축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결합공을 구비한 제2원형패드(21)와;
상기 제1원형패드(19)의 축공, 회전판(17)의 축공 및 제2원형패드(21)의 축공에 삽입되어 회전판(17)의 회전을 도와 주는 샤프트(23)와;
상기 제1원형패드(19)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고 내부 중앙에 축공을 구비하며 상기 축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결합공을 구비한 제1원판(25)과;
상기 제1원판(25)의 일측 및 제1메인부재(9)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고 내부 중앙에 수용공간을 구비하여 제1원판(25)의 축공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샤프트(23)의 일부를 삽입시켜 샤프트(23)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해 줌과 아울러 샤프트(23)로 탄성을 제공해 주는 제1연결수단(27)과;
상기 제2원형패드(21)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고 내부 중앙에 축공을 구비하며 상기 축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결합공을 구비한 제2원판(29)과;
상기 제2원판(29)의 일측 및 제2메인부재(11)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고 내부 중앙에 수용공간을 구비하여 제2원판(29)의 축공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샤프트(23)의 일부를 삽입시켜 샤프트(23)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해 줌과 아울러 샤프트(23)로 탄성을 제공해 주는 제2연결수단(31)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막구조 장력 조절 시스템은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막구조의 프레임 위에 설치된 막을 팽팽하게 할 수 있음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막구조의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장력조절이 용이한 막구조물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막구조 장력 조절 시스템이 막구조에 적용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막구조 장력 조절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막구조 장력 조절 시스템의 분해도,
도 5 내지 도 6은 도 3의 막구조 장력 조절 시스템의 조립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의 조립 과정에서 요부 조립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3의 막구조 장력 조절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의 요부 사용 상태를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막구조 장력 조절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막구조 장력 조절 시스템이 막구조에 적용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막구조 장력 조절 시스템(1)은 막구조(3)의 아치(5)와 아크(7)가 교차하는 위치에 적용(또는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아치(5)는 제1메인부재(9)와 제2메인부재(11)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크(7)는 제1보조부재(13)와 제2보조부재(15)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막구조 장력 조절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막구조 장력 조절 시스템의 분해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막구조 장력 조절 시스템(1)은,
내부 중앙에 축공을 구비하고 상기 축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회전슬라이딩공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슬라이딩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고정공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결합공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공과 회전슬라이딩공 사이 내부에 힌지공을 구비한 회전판(17)과;
상기 회전판(17)의 일측에 위치되고 내부 중앙에 축공을 구비하며 상기 축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결합공을 구비한 제1원형패드(19)와;
상기 회전판(17)의 타측에 제1원형패드(19)에 마주보게 위치되고 내부 중앙에 축공을 구비하며 상기 축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결합공을 구비한 제2원형패드(21)와;
상기 제1원형패드(19)의 축공, 회전판(17)의 축공 및 제2원형패드(21)의 축공에 삽입되어 회전판(17)의 회전을 도와 주는 샤프트(23)와;
상기 제1원형패드(19)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고 내부 중앙에 축공을 구비하며 상기 축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결합공을 구비한 제1원판(25)과;
상기 제1원판(25)의 일측 및 제1메인부재(9)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고 내부 중앙에 수용공간을 구비하여 제1원판(25)의 축공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샤프트(23)의 일부를 삽입시켜 샤프트(23)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해 줌과 아울러 샤프트(23)로 탄성을 제공해 주는 제1연결수단(27)과;
상기 제2원형패드(21)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고 내부 중앙에 축공을 구비하며 상기 축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결합공을 구비한 제2원판(29)과;
상기 제2원판(29)의 일측 및 제2메인부재(11)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고 내부 중앙에 수용공간을 구비하여 제2원판(29)의 축공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샤프트(23)의 일부를 삽입시켜 샤프트(23)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해 줌과 아울러 샤프트(23)로 탄성을 제공해 주는 제2연결수단(31)과;
상기 제1원판(25)의 결합공, 제1원형패드(19)의 결합공, 회전판(17)의 회전슬라이딩공, 제2원형패드(21)의 결합공 및 제2원판(29)의 결합공에 삽입되어 회전판(17)의 회전을 도와 주는 볼트(도시는 생략함)와;
상기 볼트의 일측에 나사결합되어 제1연결수단(27)으로부터 제2연결수단(31)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해 주는 너트(도시는 생략함)와;
상기 제1메인부재(9)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된 제1보조부재(13)의 일측 끝단에 설치된 제1마감판(33)과;
상기 제1마감판(33)의 상면 중앙에 수직하게 돌출되게 설치되되, 내부에 고정공을 구비하여 회전판(17)의 일측에 고정되어 회전판(17)을 상 또는 하측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제1돌출판(35)과;
상기 제2메인부재(11)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1돌출판(35)에 마주보게 위치된 제2보조부재(15)의 일측 끝단에 설치된 제2마감판(37)과;
상기 제2마감판(37)의 상면 중앙에 수직하게 돌출되어 설치되되, 내부에 결합공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에 힌지공을 구비하여 회전판(17)에 힌지결합되어 힌지결합에 의해 회전판(17)의 회전에 따라 제2보조부재(15)를 상 또는 하측으로 움직이는 제2돌출판(39)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수단(27) 및 제2연결수단(31)은,
메인부재(9, 11)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는 고정판(41)과;
상기 고정판(41)의 상면 중앙에 설치 고정되어 탄성부의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수용공간으로 샤프트(23)의 일부를 삽입시켜 샤프트(23)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해 주는 수용공간을 갖는 이탈방지관(43)과;
상기 이탈방지관(43)의 내부에 위치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판(41)의 상면 중앙에 설치 고정되어 이탈방지관(43)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되어 위치되는 샤프트(23)로 탄성을 제공해 주는 탄성부(45)와;
상기 이탈방지관(43)의 외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판(41)의 상면에 설치 고정되어 이탈방지관(43)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해 주는 날개핀(47)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45)는 용수철 또는 고무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포함된 본 발명에 따른 막구조 장력 조절 시스템(1)의 조립 과정을 도 5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막구조 장력 조절 시스템(1)의 조립 과정은 조립자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먼저, 제1메인부재(9)와 제2메인부재(11)로 이루어진 아치(5)를 위치시킨 후, 제1보조부재(13)와 제2보조부재(15)로 이루어진 아크(7)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메인부재(9)와 제2메인부재(11) 사이에 내부 중앙에 축공을 구비하고 상기 축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회전슬라이딩공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슬라이딩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고정공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결합공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공과 회전슬라이딩공 사이 내부에 힌지공을 구비한 회전판(17)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17)의 일측에 내부 중앙에 축공을 구비하며 상기 축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결합공을 구비한 제1원형패드(19)를 위치시킨 후, 상기 회전판(17)의 타측에 제1원형패드(19)에 마주보게 내부 중앙에 축공을 구비하며 상기 축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결합공을 구비한 제2원형패드(21)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샤프트(23)를 위치시킨 후, 상기 샤프트(23)를 제1원형패드(19)의 축공, 회전판(17)의 축공 및 제2원형패드(21)의 축공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메인부재(9)의 일측 끝단에 고정판(41)과 이탈방지관(43)과 탄성부(45) 및 날개핀(47)을 포함한 제1연결수단(27)을 설치한 후, 상기 제1연결수단(27)의 끝단에 내부 중앙에 축공을 구비하며 상기 축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결합공을 구비한 제1원판(25)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23)의 일부를 제1원판(25)의 축공 및 제1연결수단(27)의 이탈방지관(43) 수용공간으로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제1연결수단(27)의 탄성부(45)는 이탈방지관(43)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되어 위치되는 샤프트(23)로 탄성을 제공해 준다.
그리고, 상기 제2메인부재(11)의 일측 끝단에 고정판(41)과 이탈방지관(43)과 탄성부(45) 및 날개핀(47)을 포함한 제2연결수단(31)을 설치한 후, 상기 제2연결수단(31)의 끝단에 내부 중앙에 축공을 구비하며 상기 축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결합공을 구비한 제2원판(29)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23)의 일부를 제2원판(29)의 축공 및 제2연결수단(31)의 이탈방지관(43) 수용공간으로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제2연결수단(31)의 탄성부(45)는 이탈방지관(43)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되어 위치되는 샤프트(23)로 탄성을 제공해 준다.
그리고, 볼트를 위치시킨 후, 상기 볼트를 제1원판(25)의 결합공, 제1원형패드(19)의 결합공, 회전판(17)의 회전슬라이딩공, 제2원형패드(21)의 결합공 및 제2원판(29)의 결합공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너트를 위치시킨 후, 상기 볼트의 일측에 너트를 나사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제1메인부재(9)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된 제1보조부재(13)의 일측 끝단에 제1마감판(33)을 설치한 후, 상기 제1마감판(33)의 상면 중앙에 내부에 고정공을 구비한 제1돌출판(35)을 수직하게 돌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돌출판(35)을 회전판(17)의 일측 상면에 위치시킨 후, 상기 제1돌출판(35)을 회전판(17)의 상면에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2메인부재(11)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된 제2보조부재(15)의 일측 끝단에 제2마감판(37)을 설치한 후, 상기 제2마감판(37)의 상면 중앙에 내부에 결합공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에 힌지공을 구비한 제2돌출판(39)을 수직하게 돌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돌출판(39)을 회전판(17)의 타측 상면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힌지(도시는 생략함)를 위치시킨 후, 상기 힌지를 제2돌출판(39)의 힌지공 및 회전판(17)의 힌지공으로 삽입한다.
그리고, 너트를 위치시킨 후, 상기 힌지의 일측에 너트를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막구조 장력 조절 시스템(1)의 동작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막구조 장력 조절 시스템(1)의 동작 설명에 앞서,
도 8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메인부재(9)와 제2메인부재(11)로 이루어진 아치(5)를 땅바닥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제1메인부재(9), 제2메인부재(11), 제1보조부재(13) 및 제2보조부재(15) 위에 막(200)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막(200)을 제1메인부재(9) 및 제1보조부재(13)에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막(200)에 장력을 도입하고자 할 경우,
상기 막(200)이 연결된 제1보조부재(13)의 일측 끝단부를 하측 방향으로 당긴다.
상기 제1보조부재(13)의 일측 끝단부를 하측 방향으로 당기면 도 8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판(17)이 반시계 방향으로 즉, 상측으로 움직인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17)이 상측으로 움직임에 따라 회전판(17)에 힌지결합된 제2돌출판(37)이 상측으로 움직인다. 이때, 상기 제2돌출판(37)의 움직임에 의해 제2보조부재(15)가 상측으로 움직인다.
상기와 같이 제2보조부재(15)가 상측으로 움직이면, 상기 제2보조부재(15)는 막(200)으로 장력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장력이 제공되면,
볼트를 위치시킨 후, 상기 볼트를 제2돌출판(39)의 결합공 및 회전판(17)의 결합공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너트를 위치시킨 후, 상기 볼트의 일측에 너트를 나사 결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막구조의 프레임 위에 설치된 막을 팽팽하게 할 수 있다.
1 : 막구조 장력 조절 시스템 3 : 막구조
5 : 아치 7 : 아크
9 : 제1메인부재 11 : 제2메인부재
13 : 제1보조부재 15 : 제2보조부재
17 : 회전판 19 : 제1원형패드
21 : 제2원형패드 23 : 샤프트
25 : 제1원판 27 : 제1연결수단
29 : 제2원판 31 : 제2연결수단
33 : 제1마감판 35 : 제1돌출판
37 : 제2마감판 39 : 제2돌출판
41 : 고정판 43 : 이탈방지관
45 : 탄성부 47 : 날개핀

Claims (3)

  1. 제1메인부재(9)와 제2메인부재(11)로 이루어진 아치(5)와; 상기 아치(5)에 연결되되, 제1보조부재(13)와 제2보조부재(15)로 이루어진 아크(7)를 포함한 막구조에 있어서,
    내부 중앙에 축공을 구비하고 상기 축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회전슬라이딩공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슬라이딩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고정공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결합공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공과 회전슬라이딩공 사이 내부에 힌지공을 구비한 회전판(17)과;
    상기 회전판(17)의 일측에 위치되고 내부 중앙에 축공을 구비하며 상기 축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결합공을 구비한 제1원형패드(19)와;
    상기 회전판(17)의 타측에 제1원형패드(19)에 마주보게 위치되고 내부 중앙에 축공을 구비하며 상기 축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결합공을 구비한 제2원형패드(21)와;
    상기 제1원형패드(19)의 축공, 회전판(17)의 축공 및 제2원형패드(21)의 축공에 삽입되어 회전판(17)의 회전을 도와 주는 샤프트(23)와;
    상기 제1원형패드(19)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고 내부 중앙에 축공을 구비하며 상기 축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결합공을 구비한 제1원판(25)과;
    상기 제1원판(25)의 일측 및 제1메인부재(9)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고 내부 중앙에 수용공간을 구비하여 제1원판(25)의 축공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샤프트(23)의 일부를 삽입시켜 샤프트(23)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해 줌과 아울러 샤프트(23)로 탄성을 제공해 주는 제1연결수단(27)과;
    상기 제2원형패드(21)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고 내부 중앙에 축공을 구비하며 상기 축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결합공을 구비한 제2원판(29)과;
    상기 제2원판(29)의 일측 및 제2메인부재(11)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고 내부 중앙에 수용공간을 구비하여 제2원판(29)의 축공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샤프트(23)의 일부를 삽입시켜 샤프트(23)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해 줌과 아울러 샤프트(23)로 탄성을 제공해 주는 제2연결수단(31)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구조 장력 조절 시스템.
  2. 제1메인부재(9)와 제2메인부재(11)로 이루어진 아치(5)와; 상기 아치(5)에 연결되되, 제1보조부재(13)와 제2보조부재(15)로 이루어진 아크(7)를 포함한 막구조에 있어서,
    내부 중앙에 축공을 구비하고 상기 축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회전슬라이딩공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슬라이딩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고정공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결합공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공과 회전슬라이딩공 사이 내부에 힌지공을 구비한 회전판(17)과;
    상기 회전판(17)의 일측에 위치되고 내부 중앙에 축공을 구비하며 상기 축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결합공을 구비한 제1원형패드(19)와;
    상기 회전판(17)의 타측에 제1원형패드(19)에 마주보게 위치되고 내부 중앙에 축공을 구비하며 상기 축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결합공을 구비한 제2원형패드(21)와;
    상기 제1원형패드(19)의 축공, 회전판(17)의 축공 및 제2원형패드(21)의 축공에 삽입되어 회전판(17)의 회전을 도와 주는 샤프트(23)와;
    상기 제1원형패드(19)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고 내부 중앙에 축공을 구비하며 상기 축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결합공을 구비한 제1원판(25)과;
    상기 제1원판(25)의 일측 및 제1메인부재(9)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고 내부 중앙에 수용공간을 구비하여 제1원판(25)의 축공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샤프트(23)의 일부를 삽입시켜 샤프트(23)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해 줌과 아울러 샤프트(23)로 탄성을 제공해 주는 제1연결수단(27)과;
    상기 제2원형패드(21)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고 내부 중앙에 축공을 구비하며 상기 축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결합공을 구비한 제2원판(29)과;
    상기 제2원판(29)의 일측 및 제2메인부재(11)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고 내부 중앙에 수용공간을 구비하여 제2원판(29)의 축공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샤프트(23)의 일부를 삽입시켜 샤프트(23)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해 줌과 아울러 샤프트(23)로 탄성을 제공해 주는 제2연결수단(31)과;
    상기 제1원판(25)의 결합공, 제1원형패드(19)의 결합공, 회전판(17)의 회전슬라이딩공, 제2원형패드(21)의 결합공 및 제2원판(29)의 결합공에 삽입되어 회전판(17)의 회전을 도와 주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일측에 나사결합되어 제1연결수단(27)으로부터 제2연결수단(31)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해 주는 너트와;
    상기 제1메인부재(9)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된 제1보조부재(13)의 일측 끝단에 설치된 제1마감판(33)과;
    상기 제1마감판(33)의 상면 중앙에 수직하게 돌출되게 설치되되, 내부에 고정공을 구비하여 회전판(17)의 일측에 고정되어 회전판(17)을 상 또는 하측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제1돌출판(35)과;
    상기 제2메인부재(11)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1돌출판(35)에 마주보게 위치된 제2보조부재(15)의 일측 끝단에 설치된 제2마감판(37)과;
    상기 제2마감판(37)의 상면 중앙에 수직하게 돌출되어 설치되되, 내부에 결합공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에 힌지공을 구비하여 회전판(17)에 힌지결합되어 힌지결합에 의해 회전판(17)의 회전에 따라 제2보조부재(15)를 상 또는 하측으로 움직이는 제2돌출판(39)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구조 장력 조절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수단(27) 및 제2연결수단(31)은,
    메인부재(9, 11)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는 고정판(41)과;
    상기 고정판(41)의 상면 중앙에 설치 고정되어 탄성부의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수용공간으로 샤프트(23)의 일부를 삽입시켜 샤프트(23)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해 주는 수용공간을 갖는 이탈방지관(43)과;
    상기 이탈방지관(43)의 내부에 위치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판(41)의 상면 중앙에 설치 고정되어 이탈방지관(43)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되어 위치되는 샤프트(23)로 탄성을 제공해 주는 탄성부(45)와;
    상기 이탈방지관(43)의 외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판(41)의 상면에 설치 고정되어 이탈방지관(43)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해 주는 날개핀(47)을 포함하되,
    상기 탄성부(45)는 용수철 또는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구조 장력 조절 시스템.



KR1020240028580A 2024-02-28 막구조 장력 조절 시스템 KR102669432B1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9432B1 true KR102669432B1 (ko) 2024-05-27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142B1 (ko) 2023-06-27 2024-01-02 주식회사 동아스트 장력조절샤프트를 이용한 철골 장력도입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142B1 (ko) 2023-06-27 2024-01-02 주식회사 동아스트 장력조절샤프트를 이용한 철골 장력도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8812B1 (ko) 오픈조인트 타입 마감패널용 고정장치
JP6325258B2 (ja) 建物外部構築物
KR20170008954A (ko) 터널형 방음벽에서의 천정 방음판 설치 구조물 및 그 설치 방법
JP4599458B1 (ja) 手すり壁用固定具
JP5909754B2 (ja) ソーラーパネル固定構造
KR102669432B1 (ko) 막구조 장력 조절 시스템
KR20160003477A (ko) 건축 외장재용 트러스 어셈블리
KR102406903B1 (ko) 화재확산방지 및 내진성능을 갖는 오픈조인트패널조립체
KR20200079831A (ko) 건축물의 열교차단파스너를 이용한 외부단열 시공구조
JP6470946B2 (ja) 開口部の防水装置
KR102669433B1 (ko) 회전방지수단을 구비한 막구조 장력 조절 시스템
JP4884928B2 (ja) バスダクト支持装置
KR20110116780A (ko) 천장틀 시공방법
KR102007978B1 (ko) 태양광패널의 지지장치
KR20210093143A (ko) 트러스 구조를 이용한 면진 아치지붕
JP7426464B2 (ja) 簡易建物
KR100805186B1 (ko) 방음벽 어셈블리
KR20150045807A (ko) 오픈조인트공법용 기능성 외장마감재 고정장치
KR102017198B1 (ko) 알루미늄시트 복합 패널 시공 방법
JPH0913797A (ja) 改装窓
KR102631555B1 (ko) 마감패널 및 단열패널 설치용 긴결재 및 이를 이용한 마감패널 및 단열패널 시스템
KR102632233B1 (ko) 진동 흡수가 가능한 내장재가 구비된 커트 시스템
JP7444747B2 (ja) スペーサ部材および止水装置
JP6261959B2 (ja) 建物の止水構造
JP7084952B2 (ja) ルーバー用パネ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