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9236B1 -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송수신 모드를 결정하는 d2d 기반의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송수신 모드를 결정하는 d2d 기반의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9236B1
KR102669236B1 KR1020220079743A KR20220079743A KR102669236B1 KR 102669236 B1 KR102669236 B1 KR 102669236B1 KR 1020220079743 A KR1020220079743 A KR 1020220079743A KR 20220079743 A KR20220079743 A KR 20220079743A KR 102669236 B1 KR102669236 B1 KR 102669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ion
transmission
mode
power
wireless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9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02491A (ko
Inventor
이강윤
변성준
조종완
송지훈
부영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카이칩스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카이칩스,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카이칩스
Priority to KR1020220079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9236B1/ko
Publication of KR20240002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2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9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92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송수신 모드를 결정하는 D2D 기반의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를 모니터링하여 송신 모드 또는 수신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면, 타 디바이스의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결정하는 송신 모드 결정부; 상기 수신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모드를 결정하는 수신 모드 결정부; 및 상기 송신 모드 또는 상기 수신 모드에 따라 상기 타 디바이스와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전력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무선전력 충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송수신 모드를 결정하는 D2D 기반의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및 방법{DEVICE-TO-DEVICE BASED WIRELESS POWER TRANSCEIVER AND METHOD FOR DETERMINING TRAMSMISSION/RECEPTION MODE USING DEEP LEARNING MODEL}
본 발명은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송수신 모드를 결정하는 D2D 기반의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D2D에서 무선으로 전력을 송수신하는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송수신 모드를 결정하는 D2D 기반의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물 인터넷 장치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사물 인터넷 장치는 내부에 전원 소스, 통신 칩셋 및 프로세스를 포함하여 설치된 위치에서 각종 데이터를 수집하는 장치로서 수집된 데이터를 사물 인터넷 통신망 또는 이동통신망 등을 이용하여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사물 인터넷 장치는 사물 인터넷 통신망 또는 이동통신망 등을 통해 수신한 제어 데이터에 따라 지정된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사물 인터넷 장치는 지속적으로 정상 동작하기 위해서는 통신 칩셋과 프로세서에 전원 공급이나 전원 소스의 충전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유선 충전 방법은 사물 인터넷 장치에 충전선의 연결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사물 인터넷 장치의 이동성(Mobility)를 제한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 근거리 무선 충전 시스템이 존재하나, 충전 거리의 한계와 하나의 송신 코일(TX Coil)에 하나의 수신 코일을 구비한 사물 인터넷 장치만 충전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다른 대안으로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이용하여 원거리 무선 충전 시스템이 존재하나, 이러한 원거리 무선 충전 시스템은 사물 인터넷 장치의 위치 감지가 필수적이어서 고정적인 전력 소비가 존재하고, 빔 스터어링에 따른 정확도 부족에 따라 전력 낭비가 심하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사물 인터넷 장치가 무선으로 충전을 수행할 때,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전력 송수신으로 가능한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2307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마련된 배터리를 모니터링하여 송수신 모드를 선택하고, 타 디바이스의 정보 또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상태 정보에 따라 송수신 모드를 결정하여 타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전력을 송수신하는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송수신 모드를 결정하는 D2D 기반의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송수신 모드를 결정하는 D2D 기반의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는, 무선 전력의 송수신 여부를 결정하는 송수신 결정부; 송신으로 결정되면, 타 디바이스의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결정하는 송신 모드 결정부; 수신으로 결정되면, 상기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모드를 결정하는 수신 모드 결정부; 및 상기 송신 모드 또는 상기 수신 모드에 따라 상기 타 디바이스와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전력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 모드 결정부는, 상기 타 디바이스로의 전력 송신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알리는 전력 공유 가용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타 디바이스의 정보를 딥러닝 기반의 송신 모드 결정 모델에 입력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신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타 디바이스의 정보는, 상기 타 디바이스의 배터리 잔여 용량 정보, 상기 타 디바이스가 요청하는 필요 전력 정보 및 상기 타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신 모드 결정부는, 상기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상태 정보를 딥러닝 기반의 수신 모드 결정 모델에 입력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 모드 및 상기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배터리 잔여 용량에 따라 상기 타 디바이스로의 전력을 요청하는 전력 요청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신 모드 결정부는,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과 임계 범위를 비교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전력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되,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이 임계 범위 미만이면, 상기 타 디바이스에게 필요 전력을 긴급으로 요청하는 긴급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이 임계 범위이면, 상기 타 디바이스에게 필요 전력을 요청하는 일반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이 임계 범위 이상이면, 상기 타 디바이스에게 필요 전력을 거부하는 거부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긴급 요청 메시지 및 상기 일반 요청 메시지는, 상기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배터리 잔여 용량 정보, 상기 타 디바이스에게 요청하는 필요 전력 정보 및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신 모드 및 상기 수신 모드는, 상기 타 디바이스와 전력을 근거리로 송수신하기 위한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모드 또는 A4WP(Alliance for Wireless Power) 모드; 및 상기 타 디바이스와 전력을 원거리로 송수신하기 위한 RF(Radio Frequency)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은, D2D 기반의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가 수행하는 방법으로써, 무선 전력의 송수신 여부를 결정하는 송수신 결정 단계; 송신을 결정하면, 타 디바이스의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결정하는 송신 모드 결정 단계; 수신을 결정하면, 상기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모드를 결정하는 수신 모드 결정 단계; 및 상기 송신 모드 또는 상기 수신 모드에 따라 상기 타 디바이스와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전력 송수신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 모드 결정 단계는, 상기 타 디바이스로의 전력 송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리는 전력 공유 가용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타 디바이스의 정보를 딥러닝 기반의 송신 모드 결정 모델에 입력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신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타 디바이스의 정보는, 상기 타 디바이스의 배터리 잔여 용량 정보, 상기 타 디바이스가 요청하는 필요 전력 정보 및 상기 타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신 모드 결정 단계는, 상기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상태 정보를 딥러닝 기반의 수신 모드 결정 모델에 입력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 모드 및 상기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배터리 잔여 용량에 따라 상기 타 디바이스로의 전력을 요청하는 전력 요청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신 모드 결정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과 임계 범위를 비교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전력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되,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이 임계 범위 미만이면, 상기 타 디바이스에게 필요 전력을 긴급으로 요청하는 긴급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이 임계 범위이면, 상기 타 디바이스에게 필요 전력을 요청하는 일반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이 임계 범위 이상이면, 상기 타 디바이스에게 필요 전력을 거부하는 거부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긴급 요청 메시지 및 상기 일반 요청 메시지는, 상기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배터리 잔여 용량 정보, 상기 타 디바이스에게 요청하는 필요 전력 정보 및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신 모드 및 상기 수신 모드는, 상기 타 디바이스와 전력을 근거리로 송수신하기 위한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모드 또는 A4WP(Alliance for Wireless Power) 모드; 및 상기 타 디바이스와 전력을 원거리로 송수신하기 위한 RF(Radio Frequency)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송수신 모드를 결정하는 D2D 기반의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무선전력 충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송수신 모드를 결정하는 D2D 기반의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무선 전력을 송수신할 때 장치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정 전력의 소비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송수신 모드를 결정하는 D2D 기반의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D2D 시스템의 예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송수신 모드를 결정하는 D2D 기반의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블록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전력 송수신부의 상세 블록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의 흐름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며,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송수신 모드를 결정하는 D2D 기반의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D2D 시스템의 예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송수신 모드를 결정하는 D2D 기반의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블록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전력 송수신부의 상세 블록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2D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송수신 모드를 결정하는 D2D 기반의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이하,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를 포함한다.
D2D 시스템(10)은, 서로 근접한 단말들이 기지국과 같은 인프라를 거치지 않고 직접적으로 정보 및 전력을 송수신하는 시스템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FlashLinQ 및 와이파이(Wi-Fi Direct) 등으로 마련될 수 잇다.
이러한 D2D 시스템(10)은, 각각의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간의 정보 또는 전력을 송수신하도록 분산형 통신 환경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D2D 시스템(10)은, 장소 또는 환경에 구애되지 않고 여러 장소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D2D 시스템(10)은, 공장, 사업장, 작업장 등의 생산 시설이나 설비에 적용되거나, 아파트, 단독주택 등의 거주지에 적용되거나 공공장소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D2D 시스템(10)은, 사전에 사용자로부터 공간 맵(S)이 설정되거나,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가 위치하는 위치 정보에 따라 공간 맵(S)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용이한 설명을 위해, D2D 시스템(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 중 어느 하나의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가 송수신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송수신 모드에 따라 그 외의 다른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이하, 타 디바이스)(100)와 전력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한편,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는 이동성을 갖거나 고정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는 서버 또는 엔진(engine) 형태일 수 있으며, 기구(apparatus), 단말 (terminal),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는, 운영체제(Operation System; OS), 즉 시스템을 기반으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거나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운영체제는 소프트웨어가 장치의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프로그램으로서, 안드로이드 OS, iOS, 윈도우 모바일 OS, 바다 OS, 심비안 OS, 블랙베리 OS 등 모바일 컴퓨터 운영체제 및 윈도우 계열, 리눅스 계열, 유닉스 계열, MAC, AIX, HP-UX 등 컴퓨터 운영체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는, 타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전력을 송수신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신 결정부(110), 송신 모드 결정부(130), 수신 모드 결정부(150), 통신부(170) 및 전력 송수신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는,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가(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으며, 송수신 결정부(110), 송신 모드 결정부(130), 수신 모드 결정부(150), 통신부(170) 및 전력 송수신부(190)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가 수행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는,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에서 사용되는 딥러닝 기반의 모델이 저장되거나, 송수신 결정부(110) 및 수신 모드 결정부(150)가 사용하는 상태 정보가 저장되거나, 통신부(170)를 통해 수신하는 타 디바이스의 정보가 저장되는 정부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러한 저장부 역시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가 수행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는, 별도의 단말이거나 또는 모듈일 수 있다. 또한, 송수신 결정부(110), 송신 모드 결정부(130), 수신 모드 결정부(150), 통신부(170) 및 전력 송수신부(190)는 통합 모듈로 형성되거나 하나 이상의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각 구성은 별도의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는, 내부에 트랜시버 회로가 마련되어 타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전력을 송수신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트랜시버 회로는, 본 발명의 전력 송수신부(190)에 해당하는 것으로, 전력 송수신부(19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용이한 설명을 위하여 이하에서 상술하고자 한다.
이에,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는, 송신 모드로 선택되어 송신기의 역할을 수행할 때, 하나의 신호를 이용하여 타 디바이스로 데이터와 함께 전력을 무선으로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타 디바이스 각각에게 무선 신호 및 데이터를 전송하여 독립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는, 수신 모드로 선택되어 수신기의 역할을 수행할 때, 타 디바이스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된 신호에서 데이터와 전력을 획득하여 자체적으로 전력을 수급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타 디바이스 각각에게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독립적으로 전력을 수급할 수 있다.
이에,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는, 채널의 직교성(orthogonality)에 기반한 I/Q(In-phase/quadrature, 동위상/직교위상) 변조 방식을 사용하는 단일 톤 변조 방식(single tone based SWIPT)을 통해 타 디바이스와 전력을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는, 다중 톤 신호를 이용하여 정보와 에너지를 전송하는 PARP 기반 SWIPT(PAPR based SWIPT, 이하 PARP 전송 기법)을 통해 타 디바이스와 전력을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PARP 전송 기법은, 최대전력대평균전력비(peak-to-average power ratio, PARP)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고, 다중 톤을 이용함으로써 무선 전력 전송의 효율을 증대한 기법이다.
이러한 단일 톤 변조 방식 또는 PARP 전송 기법을 사용하여 타 디바이스와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신 결정부(110), 송신 모드 결정부(130), 수신 모드 결정부(150), 통신부(170) 및 전력 송수신부(190)를 포함하여 마련된다.
먼저, 송수신 결정부(110)는, 무선 전력의 송수신 여부를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송수신 결정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송신 또는 수신 여부를 설정되거나, 내부에 마련된 배터리(B)와 임계치를 비교하여 송신 또는 수신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송수신 결정부()는, 내부에 마련된 배터리(B)를 일정 시간 간격마다 모니터링하여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 결정부()는, 배터리()의 잔여 용량과 사전에 설정된 임계치를 비교하되, 잔여 용량이 임계치 이상이면 송신을 결정하고, 잔여 용량이 임계치 미만이면 수신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전에 설정된 임계치는,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값이거나 또는 딥러닝 기반의 알고리즘 모델에 잔여 용량을 입력하여 산출된 임계 값일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 결정부(110)는, 배터리(B)의 잔여 용량을 기초하여 배터리(B)의 사용량을 추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송수신 결정부(110)는, 배터리(B)를 일정 시간 간격마다 모니터링한 결과에서 나타나는 어느 하나의 시간 간격의 잔여 용량과 이후 시간 간격의 잔여 용량을 뺀 용량을 사용량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때, 송수신 결정부(110)는, 각각의 시간 간격의 잔여 용량과 그 이후 시간 간격의 잔여 용량을 뺀 용량을 취합하고, 취합된 용량에서 시간 간격의 개수를 나눈 용량을 시간 별 사용량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 결정부(110)는, 추정한 시간 별 사용량을 더 고려하여 송신 또는 수신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송수신 결정부(110)는, 배터리(B)의 잔여 용량이 임계치 이상이지만, 시간 별 사용량이 높은 경우, 해당 시간대에는 수신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 결정부(110)는, 배터리(B)의 잔여 용량이 임계치 미만이지만, 시간 별 사용량이 적은 경우,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의 전원을 유지할 수 있는 잔여 용량을 제외한 용량을 송신하도록 송신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송신 모드 결정부(130)는, 송신으로 결정되면, 타 디바이스의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결정한다.
여기서, 송신 모드 결정부(130)는, 송수신 결정부(110)가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송신으로 결정하면, 타 디바이스로의 전력 송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리는 전력 공유 가용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송신 모드 결정부(130)는, 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타 디바이스의 정보를 딥러닝 기반의 송신 모드 결정 모델에 입력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신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타 디바이스의 정보는, 타 디바이스의 배터리 잔여 용량 정보, 타 디바이스가 요청하는 필요 전력 정보 및 타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타 디바이스의 정보는, 타 디바이스가 결정한 송수신 모드에 따른 긴급 요청 메시지, 일반 요청 메시지 및 거부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의 메시지 형태로 전달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송신 모드 결정부(130)는, 생성한 전력 공유 가용 메시지를 이하의 통신부(170)를 이용하여 타 디바이스에게 송신함으로써 타 디바이스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 모드 결정부(130)는, 타 디바이스의 정보를 송신 모드 결정 모델에 입력함으로써 출력으로 송신 모드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 모드 결정부(130)는,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 알고리즘에 사전에 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타 디바이스의 정보를 학습시켜 입력된 데이터에 따른 송신 모드를 출력하는 송신 모드 결정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송신 모드 결정부(130)는, 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타 디바이스의 정보를 기초로 타 디바이스에게 송신하는 송신 전력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 모드 결정부(130)는, 타 디바이스의 정보 중 타 디바이스가 요청하는 필요 전력이 배터리(B)의 잔여 용량에 따른 전력보다 큰 경우, 잔여 용량에 따른 전력을 송신 전력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 모드 결정부(130)는, 타 디바이스의 정보 중 타 디바이스가 요청하는 필요 전력이 배터리(B)의 잔여 용량에 따른 전력보다 적은 경우, 타 디바이스가 요청하는 필요 전력을 송신 전력으로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수신 모드 결정부(150)는, 수신으로 결정되면,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모드를 결정한다.
이때, 수신 모드 결정부(150)는, 송수신 결정부(110)로부터 확인된 배터리(B)의 잔여 용량, 사용량 및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하나의 데이터셋으로 생성하여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의 상태 정보로써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신 모드 결정부(150)는, 송수신 결정부(110)가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를 수신으로 결정하면,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딥러닝 기반의 수신 모드 결정 모델에 입력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수신 모드 결정부(150)는,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 알고리즘에 사전에 생성한 상태 정보를 학습시켜 입력된 데이터에 따른 수신 모드를 출력하는 수신 모드 결정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 모드 결정부(150)는, 결정한 수신 모드 및 배터리(B)의 잔여 용량에 따라 타 디바이스로의 전력을 요청하는 전력 요청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신 모드 결정부(150)는, 수신 모드 결정 모델이 출력한 수신 모드를 수신 모드로 결정하면, 배터리(B)의 잔여 용량과 임계 범위를 비교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 요청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수신 모드 결정부(150)는, 배터리(B)의 잔여 용량이 사전에 설정된 임계 범위 미만이면, 타 디바이스에게 필요 전력을 긴급으로 요청하는 긴급 요청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긴급 요청 메시지는, 타 디바이스보다 높은 우선 순위로 필요 전력을 수신하기 위해 생성되는 메시지이다.
또한, 수신 모드 결정부(150)는, 배터리(B)의 잔여 용량이 사전에 설정된 임계 범위이면, 타 디바이스에게 필요 전력을 요청하는 일반 요청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 요청 메시지는, 타 디바이스가 수신한 모든 수신 요청 메시지의 순서에 따라 필요 전력을 요청하기 위해 생성되는 메시지이다.
또한, 수신 모드 결정부(150)는, 배터리(B)의 잔여 용량이 사전에 설정된 임계 범위 이상이면, 타 디바이스에게 필요 전력을 거부하는 거부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거부 메시지는, 타 디바이스로부터 필요 전력이 배터리(B)에 충분히 저장되어 전력 요청을 중지하기 위해 생성되는 메시지이다.
이에, 수신 모드 결정부(150)가 생성한 긴급 요청 메시지 및 일반 요청 메시지에는, 배터리(B)의 잔여 용량 정보, 타 디바이스에게 요청하는 필요 전력 정보 및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송신 모드 결정부(130) 및 수신 모드 결정부(150)가 결정하는 수신 모드 및 수신 모드는, WPC 모드, A4WP 모드 및 RF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모드 및 A4WP(Alliance for wireless Power) 모드는, 타 디바이스와 전력을 근거리에서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모드이다.
먼저, WPC 모드는 100kHz 내지 205kHz의 주파수를 이용하는 자기유도(magnetic induction) 송수신 방식으로써, 하나의 코일 쌍을 이용하여 타 디바이스와 근거리로 전력을 송수신하는 모드이다.
그리고, A4WP 모드는, 6.78MHz 주파수를 이용하는 자기공명(magnetic resonance) 송수신 방식으로써, WPC 모드와 동일하게, 하나의 코일 쌍을 이용하여 타 디바이스와 근거리로 전력을 송수신하는 모드다.
그리고, RF 모드는, 300MHz 이상의 고주파를 이용하는 RF(Radio Frequency) 수신 방식으로써, RF 안테나를 이용하여 타 디바이스와 원거리로 전력을 송수신하는 모드이다.
이러한, WPC 모드, A4WP 모드 및 RF 모드는 공지된 통신 기술임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통신부(170)는, 송신 모드 결정부(130) 및 수신 모드 결정부(150)가 생성한 메시지를 타 디바이스에게 브로드캐스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70)는, 송신 모드 결정부(130)가 생성한 전력 공유 가용 메시지, 수신 모드 결정부(150)가 생성한 긴급 요청 메시지, 일반 요청 메시지 및 거부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의 메시지를 D2D 시스템(10)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 디바이스에게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한편, 전력 송수신부(190)는, 송신 모드 또는 수신 모드에 따라 타 디바이스와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력 송수신부(190)는, 타 디바이스와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해, 백-스캐터 모듈레이터(Back-scattering Tx)를 포함한 트랜시버 회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백-스캐터 모듈레이터(Back-scattering Tx)는, 타 디바이스로부터 송수신되는 전력 신호를 톤 주파수를 이용하여 AM 신호로 생성하여 송출하거나 또는 배터리(B)로 저장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백-스캐터 모듈레이터(Back-scattering Tx)는, 타 디바이스와 약속된 (비트) 인코딩 방식에 따라 식별자, 수신전력 신호 및 저장전력 신호의 비트들을 진폭-크기 제어신호에 따른 톤 주파수 AM 신호로 생성하여 출력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전력 송수신부(190)는,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 존재하는 타 디바이스에게 전력을 송신하기 위해, 위상 고정 루프(PLL), 위상 쉬프터(PS) 및 복수의 파워 앰프(PA)를 포함할 수 있다.
위상 고정 루프(PLL)는, 고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로써, 배터리(B)에 존재하는 잔여 전력을 기초로 타 디바이스에게 송수신하는 전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위상 쉬프터(PS)는, 무선 주파수 또는 마이크로파 신호의 위상 각도를 검출 및 변경하는 회로로써, 위상 고정 루프(PLL)로부터 생성된 전력 신호의 위상 각도를 변경하여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파워 앰프(PA)는, 신호의 전압을 증폭하는 앰프로써, 위상 고정 루프(PLL)가 생성한 전류 신호의 전압 또는 위상 쉬프터(PS)가 변환한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전력 송수신부(190)는, 송수신 결정부(110)가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를 송신으로 결정하고, 송신 모드 결정부(130)가 송신 모드를 WPC 모드 또는 A4WP 모드로 결정하면, 위상 고정 루프(PLL) 및 복수의 파워 앰프(PA)를 이용하여 근거리로 송신하는 송신 신호의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송수신부(190)는, 송수신 결정부(110)가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를 송신으로 결정하고, 송신 모드 결정부(130)가 송신 모드를 RF 모드로 결정하면, 위상 고정 루프(PLL), 위상 쉬프터(PS) 및 하나의 파워 앰프(PA)를 이용하여 원거리로 송신하는 고주파 송신 신호의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전력 송수신부(190)는,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 존재하는 타 디바이스에게 전력을 수신하기 위해, 적응형 매칭 네트워크(AMN), 정류기(Rectifier), RF-DC 컨버터(RF-DC) 및 DC-DC 컨버터(DC-DC)를 포함할 수 있다.
적응형 매칭 네트워크(AMN)는, 임피던스(impedance) 조건에 따른 최적의 매칭(matching) 값을 신호에 적용하여 수신 전력량을 산출하는 컨트롤러로써, 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전력 신호에 매칭(matching) 값을 적용하여 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필요 전력량을 산출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적응형 매칭 네트워크(AMN)는, 수신 모드 결정부(150)로부터 결정된 수신 모드에 따라 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전류 신호를 RF 신호 또는 정전기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로 산출되도록 매칭(matching) 값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적응형 매칭 네트워크(AMN)는, 수신 모드가 WPC 모드 또는 A4WP 모드로 결정되면, 전류 신호에 매칭(matching) 값을 적용하여 정전기 신호로 산출하고, 산출한 정전기 신호를 정류기(Rectifier)로 전달할 수 있다.
정류기(Rectifier)는, 입력된 신호로부터 DC 전압을 생성하는 회로로써, 적응형 매칭 네트워크(AMN)로부터 전달된 정전기 신호를 DC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적응형 매칭 네트워크(AMN)는, 수신 모드가 RF 모드로 결정되면, 전류 신호에 매칭(matching) 값을 적용하여 RF 신호로 산출하고, 산출한 RF 신호를 RF-DC 컨버터(RF-DC)로 전달할 수 있다.
RF-DC 컨버터(RF-DC)는, RF 신호를 DC 전압으로 변환하는 변환기로써, 적응형 매칭 네트워크(AMN)로부터 전달된 RF 신호를 DC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DC-DC 컨버터(DC-DC)는, DC 전압을 다른 DC 전압으로 다운(또는 업) 변환하여 출력하는 변환기로써, 일단이 배터리(B)와 연결되어 정류기(Rectifier) 또는 RF-DC 컨버터(RF-DC)에서 변환된 DC 전압을 배터리(B) 충전에 적합한 DC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전력 송수신부(190)는, 타 디바이스와 전력을 송수신하기 위해, 트랜시버 회로에 멀티플렉서(MUX)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멀티플렉서(MUX)는, 복수의 신호 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하나의 라인에 전달하는 장치로써, 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전력 신호를 적응형 매칭 네트워크(AMN)에 전달하거나, 파워 앰프(pa)로부터 증폭된 전력 신호를 타 디바이스로 송신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멀티플레서(MUX)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근거리에 존재하는 타 디바이스로부터 전력을 송수신하기 위해, 한 쌍의 코일이 결합되고, 원거리에 존재하는 타 디바이스로부터 전력을 송수신하기 위해, RF 안테나가 결합되어 타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전력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백-스캐터 모듈레이터(Back-scattering Tx), 위상 고정 루프(PLL), 위상 쉬프터(PS), 복수의 파워 앰프(PA), 적응형 매칭 네트워크(AMN), 정류기(Rectifier), RF-DC 컨버터(RF-DC) 및 DC-DC 컨버터(DC-DC)는 하나의 회로 구조로 형성되거나, 각각의 회로가 결합된 회로 모듈로 형성되어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 존재하는 타 디바이스와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이로써,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는, 송수신 여부를 결정하고, 딥러닝 기반의 모델을 이용하여 송신 모드 또는 수신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고, 해당 송신 모드 또는 수신 모드에 따라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 존재하는 타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전력을 송수신할 수 있어 무선 전력 충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의 흐름 도면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 상에서 진행되므로, 도 1 내지 도 3의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은, D2D 시스템(10)에서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 존재하는 타 디바이스와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가 수행하는 방법으로써, 송수신 결정 단계(S10), 송신 모드 결정 단계(S30), 수신 모드 결정 단계(S50) 및 전력 송수신 단계(S70)를 포함한다.
먼저,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는, 무선 전력의 송수신 여부를 결정하는 송수신 결정 단계(S10)를 수행한다.
이후,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는, 송신을 결정(S110)하면, 타 디바이스의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결정하는 송신 모드 결정 단계(S30)를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는, 송신 모드 결정 단계(S30)에서, 타 디바이스로의 전력 송신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알리는 전력 공유 가용 메시지를 생성(S310)하고, 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타 디바이스의 정보를 딥러닝 기반의 송신 모드 결정 모델에 입력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신 모드를 결정(S350)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는, 통신부(170)를 통해 전력 공유 가용 메시지를 타 디바이스에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타 디바이스의 정보를 수신(S320)할 수 있다.
여기서, 타 디바이스의 정보는, 타 디바이스의 잔여 용량 정보, 타 디바이스가 요청하는 필요 전력 정보 및 타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는, 송신 모드 결정 모델이 WPC 모드를 출력하면 WPC 모드로 동작(S351)하고, A4WP 모드를 출력하면 A4WP 모드로 동작(S353)하며, RF 모드를 출력하면 RF 모드로 동작(S353)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는, 수신을 결정(S130)하면,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모드를 결정하는 수신 모드 결정 단계(S50)를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는, 수신 모드 결정 단계(S50)에서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딥러닝 기반의 수신 모드 결정 모델에 입력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 모드를 결정(S510)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는, 수신 모드 결정 단계(S50)에서 수신 모드 및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의 배터리(B) 잔여 용량에 따라 타 디바이스로의 전력을 요청하는 전력 요청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는, 수신 모드 결정 단계(S50)에서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의 배터리(B) 잔여 용량과 임계 범위를 비교(S530)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 요청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는, 배터리(B)의 잔여 용량이 임계 범위 미만이면, 타 디바이스에게 필요 전력을 긴급으로 요청하는 긴급 요청 메시지를 생성(S5311)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는, 배터리(B)의 잔여 용량이 임계 범위이면, 타 디바이스에게 필요 전력을 요청하는 일반 요청 메시지를 생성(S5331)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는, 배터리(B)의 잔여 용량이 임계 범위 이상이면, 타 디바이스에게 필요 전력을 거부하는 거부 메시지를 생성(S5351)할 수 있다.
여기서, 긴급 요청 메시지 및 일반 요청 메시지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의 배터리(B) 잔여 용량 정보, 타 디바이스에게 요청하는 필요 전력 정보 및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가 결정하는 송신 모드 및 수신 모드는, 타 디바이스와 전력을 근거리로 송수신하기 위한 WPC 모드 또는 A4WP 모드 및 타 디바이스와 전력을 원거리로 송수신하기 위한 RF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100)는,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을 수행함으로써, 무선전력 충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 D2D 시스템
100 :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110 : 송수신 결정부
130 : 송신 모드 결정부
150 : 수신 모드 결정부
170 : 통신부
190 : 전력 송수신부
B : 배터리
S : 공간 맵

Claims (14)

  1. D2D 기반의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무선 전력의 송수신 여부를 결정하는 송수신 결정부;
    송신으로 결정되면, 타 디바이스의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결정하는 송신 모드 결정부;
    수신으로 결정되면, 상기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모드를 결정하는 수신 모드 결정부; 및
    상기 송신 모드 또는 상기 수신 모드에 따라 상기 타 디바이스와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전력 송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모드 결정부는,
    상기 타 디바이스로의 전력 송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리는 전력 공유 가용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전력 공유 가용 메시지를 타 디바이스에게 송신함으로써 타 디바이스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타 디바이스의 정보를 딥러닝 기반의 송신 모드 결정 모델에 입력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신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타 디바이스의 정보를 기초로 타 디바이스에게 송신하는 송신 전력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타 디바이스의 정보는,
    상기 타 디바이스의 배터리 잔여 용량 정보, 상기 타 디바이스가 요청하는 필요 전력 정보 및 상기 타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타 디바이스가 결정한 송수신 모드에 따른 긴급 요청 메시지, 일반 요청 메시지 및 거부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의 메시지 형태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신 모드 결정부는,
    상기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상태 정보를 딥러닝 기반의 수신 모드 결정 모델에 입력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 모드 및 상기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배터리 잔여 용량에 따라 상기 타 디바이스로의 전력을 요청하는 전력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과 임계 범위를 비교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전력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되,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이 임계 범위 미만이면, 상기 타 디바이스에게 필요 전력을 긴급으로 요청하는 긴급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이 임계 범위이면, 상기 타 디바이스에게 필요 전력을 요청하는 일반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이 임계 범위 이상이면, 상기 타 디바이스에게 필요 전력을 거부하는 거부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요청 메시지 및 상기 일반 요청 메시지는,
    상기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배터리 잔여 용량 정보, 상기 타 디바이스에게 요청하는 필요 전력 정보 및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 및 상기 수신 모드는,
    상기 타 디바이스와 전력을 근거리로 송수신하기 위한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모드 또는 A4WP(Alliance for Wireless Power) 모드; 및
    상기 타 디바이스와 전력을 원거리로 송수신하기 위한 RF(Radio Frequency)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8. D2D 기반의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가 수행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무선 전력의 송수신 여부를 결정하는 송수신 결정 단계;
    송신을 결정하면, 타 디바이스의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결정하는 송신 모드 결정 단계;
    수신을 결정하면, 상기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모드를 결정하는 수신 모드 결정 단계; 및
    상기 송신 모드 또는 상기 수신 모드에 따라 상기 타 디바이스와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전력 송수신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모드 결정 단계는,
    상기 타 디바이스로의 전력 송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리는 전력 공유 가용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전력 공유 가용 메시지를 타 디바이스에게 송신함으로써 타 디바이스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타 디바이스의 정보를 딥러닝 기반의 송신 모드 결정 모델에 입력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신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타 디바이스의 정보를 기초로 타 디바이스에게 송신하는 송신 전력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타 디바이스의 정보는,
    상기 타 디바이스의 배터리 잔여 용량 정보, 상기 타 디바이스가 요청하는 필요 전력 정보 및 상기 타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타 디바이스가 결정한 송수신 모드에 따른 긴급 요청 메시지, 일반 요청 메시지 및 거부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의 메시지 형태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신 모드 결정 단계는,
    상기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상태 정보를 딥러닝 기반의 수신 모드 결정 모델에 입력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 모드 및 상기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배터리 잔여 용량에 따라 상기 타 디바이스로의 전력을 요청하는 전력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과 임계 범위를 비교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전력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되,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이 임계 범위 미만이면, 상기 타 디바이스에게 필요 전력을 긴급으로 요청하는 긴급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이 임계 범위이면, 상기 타 디바이스에게 필요 전력을 요청하는 일반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이 임계 범위 이상이면, 상기 타 디바이스에게 필요 전력을 거부하는 거부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요청 메시지 및 상기 일반 요청 메시지는,
    상기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배터리 잔여 용량 정보, 상기 타 디바이스에게 요청하는 필요 전력 정보 및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 및 상기 수신 모드는,
    상기 타 디바이스와 전력을 근거리로 송수신하기 위한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모드 또는 A4WP(Alliance for Wireless Power) 모드; 및
    상기 타 디바이스와 전력을 원거리로 송수신하기 위한 RF(Radio Frequency)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

KR1020220079743A 2022-06-29 2022-06-29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송수신 모드를 결정하는 d2d 기반의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2669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743A KR102669236B1 (ko) 2022-06-29 2022-06-29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송수신 모드를 결정하는 d2d 기반의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743A KR102669236B1 (ko) 2022-06-29 2022-06-29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송수신 모드를 결정하는 d2d 기반의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491A KR20240002491A (ko) 2024-01-05
KR102669236B1 true KR102669236B1 (ko) 2024-05-27

Family

ID=89541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743A KR102669236B1 (ko) 2022-06-29 2022-06-29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송수신 모드를 결정하는 d2d 기반의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923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09483A1 (en) * 2016-06-01 2019-04-11 Huawei Technologies Co., Ltd. Charging Method and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531B1 (ko) * 2014-12-24 2021-12-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의 충전 장치 및 방법
KR20170123074A (ko) 2016-04-28 2017-11-07 (주)테슬라스 무선전력 송신기, 무선전력 서비스 서버, 및 무선전력 송수신기의 동작 제어가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086196A (ko) * 2020-12-16 2022-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09483A1 (en) * 2016-06-01 2019-04-11 Huawei Technologies Co., Ltd. Charging Method and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491A (ko) 2024-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614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heterogeneous communication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1167096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1194946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heterogeneous communication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10749574B2 (e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i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US10454308B2 (en) Method for distributing wireless charge power for multiple wireless power receivers
US114114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1146962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wo-channel communication in a wireless power transfer
US11563343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20220224163A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method for detecting rfid/nfc card
US20220014234A1 (e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wireless power transfer on basis of heterogeneous communication
US20220239347A1 (en) Access control method and device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N115733521A (zh) 用于功率重传的网状网络
US20220216737A1 (en)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link, and device therefor
US11949254B2 (en) In-band and out-band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KR102669236B1 (ko)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송수신 모드를 결정하는 d2d 기반의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2023013496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harging status information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20230179022A1 (en) Wireless power receiver and wireless power transmitter
US2022020066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on basis of out-band communication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KR102669210B1 (ko) D2d 기반의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2669242B1 (ko) D2d 기반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방법
US1187027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firmware update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20220182102A1 (en)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connection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20220077893A1 (en)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ly transmitting power on basis of reestablishment of out-band communication
EP4120512A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b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