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8745B1 - A laundry apparatus - Google Patents

A laundr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8745B1
KR102668745B1 KR1020160181564A KR20160181564A KR102668745B1 KR 102668745 B1 KR102668745 B1 KR 102668745B1 KR 1020160181564 A KR1020160181564 A KR 1020160181564A KR 20160181564 A KR20160181564 A KR 20160181564A KR 102668745 B1 KR102668745 B1 KR 102668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cabinet
treatment device
buffer
faste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15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76901A (en
Inventor
김근주
이동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1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8745B1/en
Publication of KR20180076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9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8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87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6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4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1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 D06F37/263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assembled from at least two elements connected to each other; Connecting or sealing mean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에 제1투입구와 상부의 제2투입구를 구비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투입구와 연통하는 제1처리장치, 상기 제1처리장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투입구와 연통하되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터브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캐비닛과 상기 터브 사이에 구비되거나, 상기 캐비닛과 상기 터브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터브가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inet having a first inlet at the front and a second inlet at the top, a first processing devic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inlet, and a second inlet provided at the top of the first processing device. A tub that communicates with but provides a space for storing water, a drum rotatably provided in the tub to accommodate clothing, a driving unit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tub to rotate the drum, and provided between the cabinet and the tub. or a prevention unit provided to connect the cabinet and the tub to prevent the tub from changing its position inside the cabinet even when the position of the cabinet is changed.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A laundry apparatus}A laundry apparatus {A laundry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ing treatment device.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라 함은 의류 등의 세탁, 건조 또는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이나 건조 기능만을 수행하거나, 세탁이나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되어 의류 등의 구김 제거, 냄새 제거, 정전기 제거 등 프레쉬(refresh)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가 보급되고 있다.In general,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refers to a device that can wash or dry clothes, etc., or perform washing or drying. Here,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may perform only washing or drying functions, or may perform both washing and drying. In addition, recently, washing machines equipped with a steam supply device and equipped with refresh functions such as removing wrinkles from clothes, removing odors, and removing static electricity are becoming popular.

한편,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들은 의류의 인출 방향에 따라 프론트 로드(front load) 타입이나 탑 로드(top load)타입으로 나뉜다. 그리고 세탁이 이루어지는 방식에 따라 펄세이터나 세탁조가 회전되는 수직축 타입과 드럼이 회전하는 수평식 타입이 있다. Meanwhile, conventional clothing processing devices are divided into front load type and top load type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clothing is pulled out. Depending on how washing is done, there are two types: a vertical type in which the pulsator or washing machine rotates, and a horizontal type in which the drum rotates.

이러한 수평식 타입의 대표적인 예가 드럼 세탁기 또는 드럼 건조기이다.Representative examples of this horizontal type are drum washing machines or drum dryers.

이하에서는 프론트 로드(front load) 타입의 의류처리장치는 개구부가 전방에 구비되고,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과 나란하거나 일정 경사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로 정의하고, 탑 로드(top load) 타입 의류처리장치는 개구부가 상부에 구비되고,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로 정의한다.Hereinafter, a front load type clothing processing device is defined as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in which an opening is provided at the front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drum is parallel to the ground or has a certain inclination, and a top load type clothing processing device is defined as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with an opening in the front. The device is defined as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 which an opening is provided at the top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drum is provid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들은 최근 사용자의 수용에 부응하여 점차 대형화 되어가는 추세이다. 즉,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세탁기들의 외형 사이즈도 점차 대형화 되어가고 있다.These clothing processing devices are gradually becoming larger in response to recent user acceptance. In other words, the external size of washing machines used for home use is gradually becoming larger.

일반적으로 각 가정에는 하나의 대용량 의류처리장치를 구비하여 사용한다. 그래서,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세탁하고자 하는 경우 의류처리장치를 여러 번 사용하게 괸다. 예컨대, 성인용 의류와 같은 세탁물과 속옷류나 아기옷 등과 같은 세탁물을 나누어 세탁하고자 하는 경우 전자의 세탁이 완료된 후 후자의 세탁을 위해 다시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Generally, each household is equipped with and uses one large-capacity clothing processing device. So, if you want to wash laundry separately by type, you have to use the clothes treatment device several times. For example, when it is desired to separate laundry such as adult clothing from laundry such as underwear or baby clothes,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is used again to wash the latter after the former is completed.

이로 인해, 세탁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소비되는 에너지도 많게 된다.Because of this, washing takes a lot of time and also consumes a lot of energy.

또한, 소량의 의류를 세탁함에 있어 종래와 같은 대형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대형 의류처리장치에 마련된 세탁코스는 대부분 세탁물의 양이 많은 경우를 예정하기 때문에 소비되는 물의양이 많다. 그리고 대형의 드럼 또는 이너터브를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전력이 많이 소비된다. Additionally, when washing a small amount of clothing, it is not desirable to use a conventional large-sized clothing treatment device in terms of energy saving. Most of the washing courses provided in large-sized clothing treatment machines are designed for cases where there is a large amount of laundry, so a large amount of water is consumed. And because a large drum or inner tub must be rotated, a lot of power is consumed.

또한, 세탁코스가 대량 세탁물을 예정하기 때문에 세탁시간이 비교적 길다.Additionally, because the laundry course is designed to load a large amount of laundry, the washing time is relatively long.

그리고, 대형 의류처리장치는 주로 일반적인 의류를 예정하여 세탁코스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속옷류나 또는 아기 옷과 같은 섬세한 옷감류를 세탁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large-sized clothing treatment devices are mainly equipped with a washing course for general clothing, so they may not be suitable for washing delicate fabrics such as underwear or baby clothes.

그리고, 소량의 세탁물을 자주 세탁하여야 하는 경우에도 대형 의류처리장치는 적합하지 않다. 소비자들은 세탁물을 모아서 한번에 세탁하기 위해 며칠 또는 그 이상의 기간에 걸쳐 세탁물을 모은다.Additionally, even if a small amount of laundry needs to be washed frequently, a large-sized laundry treatment machine is not suitable. Consumers gather laundry over several days or more to wash it all at once.

속옷류나 아기 옷 등은 오래 방치하기에는 청결 상 좋지 않다. 그리고, 이와 같은 세탁물은 오래 방치하면 때가 옷감에 고착되어 세탁이 깨끗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도 있다. It is not good for cleanliness to leave underwear or baby clothes for a long time. Additionally, if such laundry is left for a long time, there is a problem in that dirt sticks to the fabric and the laundry is not done cleanly.

그래서, 종래 대형 의류처리장치보다는 그 용량이 훨씬 작은 소형의 의류처리장치가 필요하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mall-sized clothing processing device with a much smaller capacity than the conventional large-sized clothing processing device.

그런데, 소형이라 하더라도 의류처리장치를 한 가정에 두 개 구비하여 옆으로 나란히 설치하는 것은 공간활용에 바람직하지 않고, 미관에도 좋지 않다.However, even if they are small, having two clothing treatment devices in one home and installing them side by side is not desirable for space utilization and is not good for aesthetics.

근자에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프론트 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의 상부에 탑로터 타입의 의류처리장치가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가 등장하였다.Recent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has appeared in which a top rotor type clothing processing device is provided on top of a front load type clothing processing device.

상기 탑로드 타입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프론트 로드 타입의류처리장치에 상부에 구비되어 소량의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으면서 공간활용도를 도모하는 효과가 있었다.The top-load type clothing treatment device was provided at the top of the front-load type clothing processing device and was able to wash a small amount of laundry while improving space utilization.

다만, 전술한 의류처리장치는 공간활용도를 도모하고, 에너지를 절약하는 이점은 있으나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운송 중 상부에 구비된 탑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가 고정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although the above-described laundry treatment device has the advantage of promoting space utilization and saving energy,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top load type laundry treatment device provided at the top was not fixed during transportation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운송 중에 강한 진동 또는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상부에 구비된 탑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가 심하게 진동되거나, 설치위치가 변경되어 내부 구성들끼리 충돌하는 문제가 있었다.When strong vibration or external force is applied during transporta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op load type laundry treatment device provided at the top is severely vibrated or the installation location is changed and the internal components collide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탑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가 하부에 구비된 프론트 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와 충돌하여 파손을 일으키거나, 외부 캐비닛에 충돌하여 외관을 변형시키는 문제가 있었다.Additionally,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top load type laundry treatment device collided with a front load type laundry treatment device provided below, causing damage, or collided with an external cabinet, deforming its appearance.

특히, 상기 탑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의 하부에 구동부가 돌출되어 있어 외부 충격에 취약한 문제가 있었다. In particular, the driving part protrudes from the lower part of the top load type laundry treatment device, making it vulnerable to external shock.

본 발명은 상부에 탑로드 타입 처리장치가 구비되고, 하부에 프론트 타입 처리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운송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that can safely transport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equipped with a top load type processing device at the top and a front type processing device at the bottom.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운송 중에 상부에 탑로드 타입 처리장치의 위치가 일시적으로 변하여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that can absorb shock generated by a temporary change in the position of a top load type processing device at the top during transportation of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운송 중에 상부에 탑로드 타입 처리장치의 위치가 일시적으로 변하는 경우 원위치로 복원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that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position of the top load type processing device at the top temporarily changes during transportation of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탑로드 타입 처리장치를 의류처리장치에 고정시켜, 의류처리장치의 운송중에 상기 탑로드 타입 처리장치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that can prevent the top load type processing device from moving during transportation by fixing the top load type processing device to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탑로드 타입 처리장치를 의류처리장치에 최소한의 부품으로 고정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that can fix a top load type processing device to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with a minimum number of part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운송이 완료되면 상기 탑로트 타입 처리장치의 충격을 흡수하거나, 상기 탑로트 타입 처리장치 고정시키는 방지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that can absorb the shock of the top lot type processing device or easily remove the prevention part that secures the top lot type processing device once transportation of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is completed. Do this.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방에 제1투입구와 상부의 제2투입구를 구비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투입구와 연통하는 제1처리장치, 상기 제1처리장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투입구와 연통하되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터브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캐비닛과 상기 터브 사이에 구비되거나, 상기 캐비닛과 상기 터브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터브가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binet having a first inlet at the front and a second inlet at the top, a first processing devic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inlet, and the first processing device. A tub provided at the top,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inlet and providing a space for storing water, a drum rotatably provided in the tub to accommodate clothing, a drive unit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tub to rotate the drum, A prevention unit provided between the cabinet and the tub or provided to connect the cabinet and the tub to prevent the tub from changing its position inside the cabinet even if the position of the cabinet is changed. Provides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that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방지부는 상기 캐비닛과 상기 터브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의 위치가 변경될 때 상기 터브와 상기 캐비닛, 또는 상기 터브와 상기 제1처리장치와 충돌을 방지하고 상기 터브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etween the cabinet and the tub to prevent collision between the tub and the cabinet or the tub and the first processing device when the position of the tub is changed. and a buffer unit that restores the tub to its original position.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캐비닛 내부에 상기 제1처리장치가 수용되는 공간과 상기 터브가 수용되는 공간을 분리시키는 격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구동부의 두께와 같거나 더 두껍게 구비되어 일면이 상기 격벽에 안착되고 타면이 상기 터브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구동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artition wall separating the space in which the first processing device is accommodated and the space in which the tub is accommodated inside the cabinet, and the buffer portion is equal to or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driving portion. A laundry treatment device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thicker driving buffer whose one side is seated on the partition wall and whose other side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tub.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구동완충부는 본체를 이루는 완충바디와, 상기 완충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구동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othing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drive buffer unit includes a buffer body forming a main body, and a drive receiving unit provided in the buffer body to accommod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drive unit. do.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캐비닛은 상기 터브의 배면을 외부와 연통하는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를 개폐하는 배면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완충부는 상기 관통부를 통해 상기 캐비닛 외부로 인출되거나 상기 터브의 바닥면과 상기 격벽 사이에 투입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cabinet further includes a penetration part that communicates the rear surface of the tub with the outside, and a rear panel that opens and closes the penetration part, and the drive buffer unit is external to the cabinet through the penetration part. Provided is a laundry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pulled out or insert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tub and the partition wall.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구동완충부는 상기 관통부를 통해 인출되거나 투입될 때 상기 구동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구동수용부에 수용되거나 인출되도록 상기 구동수용부의 외주면에서 상기 구동바디의 일면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구동출입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drive buffer is one surface of the drive body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ive accommodating portion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driving portion is received or pulled out of the driving accommodating portion when being pulled out or inserted through the penetrating portion. Provided is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drive entrance provided through.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구동출입구는 상기 구동수용부의 최대 직경보다 작게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구동완충부에 억지끼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othing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drive inlet is smaller than the maximum diameter of the drive receiving part and at least a part of the drive part is forcefully fitted into the drive buffer.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완충부는 상기 배면패널과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모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터브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undry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buffer unit further includes a tub buffer unit that is provided to contact both the back panel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방지부는 상기 터브와 상기 캐비닛을 결합하여 상기 터브를 고정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undry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prevention unit includes a fastening unit for fixing the tub by combining the tub and the cabinet.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체결부는 상기 캐비닛을 관통하여 상기 터브의 외주면과 결합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othing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fastening part includes a fastening member that penetrates the cabinet and engages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체결부는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부재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측면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undry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fastening part further includes a side fastening part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 and to which the fastening member is coupled and fixed.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터브를 상기 캐비닛 내부에 고정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구비되되 상기 지지프레임보다 하부에 구비되는 터브지지부와,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터브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체결부는 상기 터브지지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upport part for fixing the tub inside the cabinet, wherein the support part includes a support frame provided in the cabinet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 but is lower than the support frame. A laundry treatment device is provided, comprising a tub support provided in a tub support por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support frame and the tub support portion, and the side fastening por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ub support portion.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측면체결부는 상기 체결부재와 결합하는 고정결합부와, 상기 터브의 외주면 또는 상기 터브지지부에서 상기 고정결합부의 외주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고정결합부를 지지하는 고정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xing part that extends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 or the tub support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ed coupling part to support the fixed coupling part, and the side fastening part is coupled to the fastening member. Provided is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comprising ribs.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캐비닛은 상기 터브의 배면을 외부와 연통하는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를 개폐하고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널관통홀이 구비되는 배면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터브지지부는 상기 터브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브지지부는 상기 패널관통홀과 마주하는 곳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패널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결합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cabinet includes a back panel including a through portion that communicates the back of the tub with the outside, and at least one panel through hole that opens and closes the through portion and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mber passes. A plurality of tub supports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 wherein at least one tub support portion is provided at a location facing the panel through hole, and the fastening member penetrates the panel through hole.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the fixed coupling part.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체결부는 상기 캐비닛을 관통하여 상기 터브의 상부와 결합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othing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fastening part includes a fastening member that penetrates the cabinet and couples with the upper part of the tub.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터브는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바디와, 상기 터브바디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터브커버를 포함하고,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 body that provides a space for storing water, and a tub cover that forms an upper surface of the tub body,

상기 캐비닛은 상기 제1투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상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터브커버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The cabinet is provided with the first inlet and includes an upper surface forming the upper part of the cabinet, and the fastening member penetrates the upper surface and is coupled to the tub cover.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2투입구를 개폐하는 제2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제2투입구를 폐쇄하였을 때 상기 제2도어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상부면에서 상기 터브커버를 향하여 단차지게 형성되는 상부단차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단차면은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안착되는 단차관통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cond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econd inlet, and the fastening part is spaced a certain distance away from the second door when the second door closes the second inlet. Provided is a laundry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upper stepped surface formed as stepped as possible from the upper surface toward the tub cover, and the upper stepped surface has a stepped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mber is seated. .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체결부는 상기 단차관통홀의 외주면에 상기 상부단차면보다 두께가 낮도록 구비되어 상기 체결부재가 안착되는 단차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othing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fastening part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epped through hole to have a thickness lower than the upper step surface and further includes a stepped seating part on which the fastening member is seated. to provide.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2투입구는 상기 상부단차면의 내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터브커버는 상부에 상기 체결부재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arment, wherein the second inlet is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stepped surface, and the tub cover includes a fixing groove at the upper portion into which the fastening member is coupled and fixed. A processing device is provided.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차관통홀은 상기 제2투입구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고정홈은 상기 단차관통홀과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tep through holes are provided at a certain distance apart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inlet, and the fixing grooves are provid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tep through holes. Provides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that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완충부는 고무 또는 다공성물질(porous material)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othing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buffer portion is made of either rubber or a porous material.

본 발명은 상부에 탑로드 타입 처리장치가 구비되고, 하부에 프론트 타입 처리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운송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laundry treatment device that can safely transport a laundry treatment device equipped with a top load type processing device at the top and a front type processing device at the bottom.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운송 중에 상부에 탑로드 타입 처리장치의 위치가 일시적으로 변하여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that can absorb shock generated by a temporary change in the position of a top load type processing device at the top during transportation of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운송 중에 상부에 탑로드 타입 처리장치의 위치가 일시적으로 변하는 경우 원위치로 복원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that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position of the top load type processing device at the top temporarily changes during transportation of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탑로드 타입 처리장치를 의류처리장치에 고정시켜, 의류처리장치의 운송중에 상기 탑로드 타입 처리장치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that can prevent the top load type processing device from moving during transportation by fixing the top load type processing device to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탑로드 타입 처리장치를 의류처리장치에 최소한의 부품으로 고정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that can fix a top load type processing device to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with a minimum number of part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운송이 완료되면 상기 탑로트 타입 처리장치의 충격을 흡수하거나, 상기 탑로트 타입 처리장치 고정시키는 방지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laundry treatment device that can absorb the shock of the top lot type treatment device or easily remove the prevention part that secures the top lot type treatment device once transporta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is completed.

도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지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방지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방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방지부의 마지막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1 shows the appearanc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one embodiment of the prevention unit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vention uni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the final embodiment of the prevention unit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configuration or control method of the device described below is only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ber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dicate the same components. .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configuration or control method of the device described below is only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ber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dicate the same components. .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도 1 참고),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가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1처리장치(2, 3, 도 3 참고),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가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1처리장치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처리장치(4, 6, 도 3 참고)를 포함한다.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1, see FIG. 1), a first treatment device (2, 3, see FIG. 3) provided inside the cabinet to provide a space for washing or drying clothes, and It is provided inside the cabinet to provide a space for washing or drying clothes, and includes a second processing device (4, 6, see FIG. 3) located above the first processing devic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패널(11), 상기 베이스패널(11)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어 제1처리장치(2, 3)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측면패널(13), 상기 측면패널의 상부에 위치하여 제2처리장치(4, 6)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14),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프론트패널(12)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abinet 1 may be a means of 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s shown in FIG. 2, the cabinet 1 has a base panel 11 that forms the bottom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and is provided along the edge of the base panel 11 to provide first treatment devices 2 and 3. A side panel 13 that provides a space to accommodate the side panel, a housing 14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ide panel that provides a space to accommodate the second processing devices 4 and 6, and a housing 14 that forms the front surface of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It may include a front panel 12.

상기 측면패널(13)은 의류처리장치(100)의 좌측면을 형성하는 제1측면(131), 의류처리장치의 우측면을 형성하는 제2측면(133), 의류처리장치의 배면을 형성하는 제3측면(135)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측면(131), 제2측면(133) 및 제3측면(135)은 서로 연결된 하나의 패널이 상기 베이스패널(11)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절곡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The side panel 13 includes a first side 131 forming the left sid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a second side 133 forming the right side of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and a second side forming the rear side of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100. It may be provided with three sides 135, where the first side 131, second side 133, and third side 135 are connected so that one panel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base panel 11. It can be provided by bending.

상기 베이스패널(11)에는 의류처리장치의 높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프론트패널이 고정되는 제1전방프레임(15), 상기 측면패널(13)이 고정되는 제1후방프레임(1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전방프레임(15)은 상기 베이스패널(11)의 전방모서리 두 곳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후방프레임(16)은 상기 베이스패널(11)의 후방모서리 두 곳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전방프레임(15)과 제1후방프레임(16)은 의류처리장치의 깊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지지프레임(161)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e base panel 11 is provi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and includes a first front frame 15 to which the front panel is fixed, and a first rear frame to which the side panel 13 is fixed ( 16) can be provided. The first front frame 15 may be provided at two front corners of the base panel 11, and the first rear frame 16 may be provided at two rear corners of the base panel 11. In this case, the first front frame 15 and the first rear frame 16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first support frame 161 provided along the depth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나아가, 상기 베이스패널(11)의 전방모서리에 구비되는 두 개의 제1전방프레임(15)은 제3지지프레임(19)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론트패널(15)은 상기 제1전방프레임(15)과 상기 제3지지프레임(19)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two first front frames 15 provided at the front edge of the base panel 11 may be connected through a third support frame 19. In this case, the front panel 15 may be fix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front frame 15 and the third support frame 19 to form the front surfac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상기 제1지지프레임(161)의 상부에는 상기 하우징(14)을 지지하는 제2전방프레임(17) 및 제2후방프레임(18)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2전방프레임(17) 및 제2후방프레임(18)은 제2지지프레임(181)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A second front frame 17 and a second rear frame 18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support frame 161 to support the housing 14. The second front frame 17 and The second rear frame 18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econd support frame 181.

상기 제2전방프레임(17)은 상기 하우징(14)의 전방모서리 두 곳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제2후방프레임(18)은 상기 하우징(14)의 후방모서리 두 곳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전방프레임(17) 및 제2후방프레임(18)은 상기 캐비닛(1)의 높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181)은 상기 캐비닛(1)의 깊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front frame 17 is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wo front corners of the housing 14, and the second rear frame 18 is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wo rear corners of the housing 14. It can be. In this case, the second front frame 17 and the second rear frame 18 are provi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cabinet 1,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81 is provided in the cabinet 1. ) can be provided along the depth direction (Z-axis direction).

상기 프론트패널(12)에는 제1처리장치(2, 3)에 의류를 투입하거나 제1처리장치에 저장된 의류를 캐비닛의 외부로 인출하는 제1투입구(121)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투입구(121)는 프론트패널(1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도어(123)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된다.The front panel 12 is provided with a first input port 121 through which clothes are put into the first processing devices 2 and 3 or clothes stored in the first processing device are taken out of the cabinet. The first input port (121) 121 is opened or closed by a first door 123 rotatably fixed to the front panel 12.

한편, 상기 프론트패널(12)에는 제1처리장치(2, 3)와 제2처리장치(4, 6)를 제어하는 컨트롤패널(125)이 구비되는데, 상기 컨트롤패널(125)에는 각 처리장치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미도시),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의 표시 및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명령의 실행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front panel 12 is provided with a control panel 125 that controls the first processing devices 2 and 3 and the second processing devices 4 and 6. The control panel 125 includes controls for each processing device. It may include an input unit (not shown) for inputting a control command, a display unit (not shown) that displays control commands selectable by the user, and execution information of the control command selected by the user.

상기 컨트롤패널(125)에 구비된 입력부와 표시부는 제어부가 구비된 PCB(printed circuit board)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PCB는 상기 제3지지프레임(19)에 고정될 수 있다.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control panel 125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 printed circuit board (PCB) equipped with a control unit, and the PCB can be fixed to the third support frame 19.

상기 하우징(14)은 제2처리장치(4, 6)를 수용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하우징(14)이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housing 14 may be provided in any shape as long as it can accommodate the second processing devices 4 and 6. Figure 2 shows an example where the housing 14 is provided in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

상기 하우징(14)은 상기 측면패널(13)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우징 바디(141), 상기 하우징 바디에 구비되어 의류처리장치(100)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바디 상부면(141a), 상기 바디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제2처리장치(4, 6)에 연통하는 제2투입구(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투입구(143)는 상기 하우징 바디(14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제2도어(145)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The housing 14 includes a housing body 141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ide panel 13, a body upper surface 141a provided on the housing body to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and the body. It may include a second inlet 143 that penetrates the upper surface and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processing devices 4 and 6. The second inlet 143 can be opened or closed by a second door 145 rotatably provided on the housing body 141.

한편, 상기 하우징(14)의 배면은 상기 제3측면(135)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14)의 배면과 상기 제3측면(135)는 본발명 의류처리장치(100)의 배면을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back of the housing 14 may be provided parallel to the third side 135, and the back of the housing 14 and the third side 135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 surface can be formed.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하부의 프론트 타입으로 구비된 제1처리장치(2,3)과 상기 프론트 타입 의류처리장치의 상부에 구비되는 탑로드 타입으로 구비된 제2처리장치(4,6)를 포함한다.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reatment device (2, 3) of a front type at the bottom and a second treatment device (4) of a top load type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front type laundry treatment device. 6) Includes.

이때, 프론트 로드(front load) 타입의 의류처리장치는 개구부가 전방에 구비되고,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과 나란하거나 일정 경사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의미하며, 탑 로드(top load) 타입 의류처리장치는 개구부가 상부에 구비되고,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의미한다.At this time, the front load type clothing processing device refers to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in which an opening is provided at the front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drum is parallel to the ground or has a certain inclination, and the top load type clothing processing device The device refers to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in which an opening is provided at the top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drum is provid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처리장치(2,3)와 상기 제2처리장치(4,6)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처리장치(2,3)와 상기 제2처리장치(4,6)가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처리장치(2,3)와 상기 제2처리장치(4,6)가 일체로 구비될 수 도 있다.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irst processing devices 2, 3 and the second processing devices 4, 6, and the first processing devices 2, 3 and the second processing devices 4, 6 may be separately provided. Two processing devices 4 and 6 may be provided in combination, and the first processing devices 2 and 3 and the second processing devices 4 and 6 may be provided as one unit.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100)의 상기 캐비닛(1)과 상기 하우징(14)은 서로 결합되어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의 전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The cabinet 1 and the housing 14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orm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캐비닛(1)과 상기 하우징(14)은 일체로 구비되어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의 전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binet 1 and the housing 14 may be provided as one body to form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때, 제1처리장치(2,3)의 상부에 제2처리장치(4,6)가 결합되거나, 상기 제1처리장치(2,3)와 제2처리장치(4,6)가 일체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처리장치(2,3)와 상기 제2처리장치(4,6)의 전체를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processing devices (4,6) ar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first processing devices (2,3), or the first processing devices (2,3) and the second processing devices (4,6) are integrated. When provided,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entire first processing devices 2 and 3 and the second processing devices 4 and 6.

상기 제1처리장치(2,3)가 세탁장치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처리장치(2,3)은 상기 제1투입구(121)와 연통하는 제1터브투입구(23)를 구비하며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터브(2)와, 상기 제1터브(2)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1드럼(3)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first processing devices (2, 3) are provided as washing machines, the first processing devices (2, 3) are provided with a first tub inlet (23)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inlet (121) and dispense water. It may include a first tub (2) that provides a storage space, and a first drum (3) rotatably provided in the first tub (2) to accommodate clothing.

상기 제1처리장치(2,3)가 건조기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처리장치(2,3)는 상기 제1캐비닛(1)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1드럼(3)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first processing devices 2 and 3 are provided as dryers, the first processing devices 2 and 3 include a first drum 3 that is rotatably accommodated in the first cabinet 1 and accommodates clothes. may include.

도3은 상기 제1처리장치(2,3)가 세탁장치로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나, 상기 제1처리장치(2,3)가 건조장치로 구비된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Figure 3 shows that the first processing devices 2 and 3 are provided as washing devices, but this does not exclude that the first processing devices 2 and 3 are provided as drying devices.

또한, 상기 제2처리장치(4,6)는 의류를 세제와 물로 세탁하는 세탁장치로 구비될 수도 있고, 의류를 열풍 등에 의해 건조하는 건조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cond processing devices 4 and 6 may be provided as a washing device for washing clothes with detergent and water, or as a drying device for drying clothes using hot air or the like.

상기 제2처리장치(4,6)가 세탁장치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2처리장치(4,6)는 상기 제2투입구(143)와 연통하는 제2터브투입구(43)를 구비하며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터브(4)와, 상기 제2터브(4)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2드럼(6)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processing devices (4, 6) are provided as laundry devices, the second processing devices (4, 6) are provided with a second tub inlet (43)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inlet (143) and dispense water. It may include a second tub 4 that provides a storage space, and a second drum 6 rotatably provided in the second tub 4 to accommodate clothing.

상기 제2터브(4)의 일측에는 상기 제2터브(4)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터브(4)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터브(4)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A water level sensor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tub (4) to detect the water level of the second tub (4), and the second tub (4)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tub (4). ) may be provided with 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that detects the temperature.

상기 제2처리장치(4,6)가 건조기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2의류수용부(4,6)는 상기 하우징(14)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2드럼(6)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processing device (4, 6) is provided as a dryer, the second clothing receiving portion (4, 6) is rotatably received in the housing (14) to form a second drum (6) that accommodates clothing. It can be included.

도3는 상기 제2처리장치(4,6)가 세탁장치로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나, 상기 제2처리장치(4,6)가 건조장치로 구비된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Figure 3 shows that the second processing devices 4 and 6 are equipped as washing devices, but this does not exclude that the second processing devices 4 and 6 are provided as drying devices.

한편, 상기 제1처리장치(2,3)는 상기 제1터브(2)에 물을 급수하는 제1급수부(211,213)와, 상기 제1터브(2)의 물을 배수하는 제1배수부(215,217)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treatment devices 2 and 3 include first water supply units 211 and 213 that supply water to the first tub 2, and a first drain unit that drains water from the first tub 2. May include (215,217).

상기 제1급수부(211,213)는 외부급수원에서 물을 상기 제1터브(2)에 공급하는 제1급수관(211)과, 상기 제1급수관(211)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1밸브(213)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water supply units 211 and 213 include a first water supply pipe 211 that supplies water from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to the first tub 2, and a first valve 213 that controls the flow rate of the first water supply pipe 211. ) may include.

상기 제1배수부(215,217)는 상기 제1터브(2)의 하부에 구비되어 물이 배수되는 제1배수관(215)과, 상기 제1배수관(215)의 물을 상기 캐비닛(1)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펌프(217)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rain parts 215 and 217 ar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tub 2 and have a first drain pipe 215 through which water is drained, and the water of the first drain pipe 215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It may include a drain pump 217 that drains water.

한편, 상기 제1처리장치(2,3)는 상기 제1터브(2)를 상기 캐비닛(1)에서 지지하고, 상기 제1터브(2)에서 발생된 진동이 상기 캐비닛(1)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진동을 감쇄하는 지지감쇄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processing devices 2 and 3 support the first tub 2 in the cabinet 1, and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first tub 2 is not transmitted to the cabinet 1. It may include a support damping unit 225 that attenuates vibration.

상기 지지감쇄부(225)는 댐퍼로 구비될 수 있고,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댐퍼와 스프링의 조합으로 구비될 수 도 있고, 복수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support damping portion 225 may be provided as a damper, may be provided as a spring, may be provided as a combination of a damper and a spring, or may be provided in plural pieces.

상기 지지감쇄부(225)는 상기 제1터브(2)의 상부 또는 하부에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고, 상부와 하부 모두에 구비될 수 있다.The support damping portion 225 may be provided on either the top or bottom of the first tub 2, or may be provided on both the top and bottom.

한편, 상기 제1처리장치(2,3)는 상기 제1드럼(3)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processing devices 2 and 3 may include a first driving unit that rotates the first drum 3.

상기 제1구동부는 제1터브(2) 배면에 구비되어 회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제1스테이터(371)와, 상기 제1스테이터(371)의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는 제1로터(373), 일단이 상기 제1로터(373)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터브(2)를 관통하여 상기 제1드럼(3)에 연결되는 회전축(375)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riving unit includes a first stator 371 provided on the back of the first tub 2 and generating a rotating magnetic field, a first rotor 373 rotating by the rotating magnetic field of the first stator 371, and one end It may include a rotation shaft 375 connected to the first rotor 373 and the other end of which passes through the first tub 2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drum 3.

상기 회전축(375)은 지면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고, 지면에서 상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도 있다. The rotation axis 375 may be provided parallel to the ground or inclined upward from the ground.

상기 제1드럼(3)은 내주면에 상기 제1터브(2)의 물이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다수의 중공(35)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rum 3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lows 35 on its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rough which water flows into or flows out of the first tub 2.

한편, 상기 제2처리장치(4,6)는 제1처리장치(2,3)의 상부에 구비되므로 그 높이가 제한될 수 밖에 없다. 즉, 상기 제2처리장치(4,6)의 높이가 높게 구비되면 구비될수록 상기 제2처리장치(4,6)의 세탁용적은 증가하지만, 상기 제2개구부(211)에 사용자가 접근하기 어려워진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Meanwhile, since the second processing devices 4 and 6 are provided above the first processing devices 2 and 3, their height is inevitably limited. That is, as the height of the second processing devices 4 and 6 increases, the washing capacity of the second processing devices 4 and 6 increases, but it becomes difficult for the user to access the second opening 211. This is because there are drawbacks.

따라서, 제2터브(4)의 높이도 상대적으로 낮게 구비될 수 밖에 없고, 상기 제2터브(4)에 수용된 물이나 의류가 상기 제2터브(4) 외부로 토출될 가능성이 크다.Accordingly, the height of the second tub 4 cannot help but be relatively low,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water or clothing contained in the second tub 4 will be discharged outside the second tub 4.

따라서, 상기 제2터브(4)는 제2터브투입구(43)를 개폐하는 터브도어(4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터브도어(46)는 상기 제2터브투입구(43)를 폐쇄하여 상기 제2터브(4)에 수용된 물이나 의류가 상기 제2터브(4)의 외부로 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tub 4 may be provided with a tub door 46 that opens and closes the second tub inlet 43. The tub door 46 can close the second tub inlet 43 to prevent water or clothing contained in the second tub 4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tub 4.

상기 터브도어(46)는 상기 제2터브(46)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tub door 46 may be rotatably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tub 46.

상기 터브도어(46)는 도어힌지(463)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461)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윈도우(462), 상기 프레임(461)을 상기 제2터브(4)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도어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tub door 46 includes a frame 461 rotatably coupled through a door hinge 463, a window 462 provided on the frame, and the frame 461 is detachable from the second tub 4. It may include a door handle that can possibly be coupled.

상기 윈도우(462)는 사용자가 상기 제2터브(4)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The window 462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inside of the second tub 4.

한편, 상기 터브도어(46)는 상기 제2터브투입구(43)을 통해 상기 제2터브(4)의 물이 제2터브(4)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461)과 상기 제2터브투입구(43)의 내주면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터브도어(46)가 상기 제2터브투입구(43)를 폐쇄한 때 상기 프레임(461)과 상기 제2터브투입구(43)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실링부(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tub door 46 is connected to the frame 461 to prevent water from the second tub 4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tub 4 through the second tub inlet 43. And on any on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second tub inlet 43, there is a space between the frame 461 and the second tub inlet 43 when the tub door 46 closes the second tub inlet 43. It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portion 45 that seals the space.

상기 제2처리장치(4,6)는 상기 제2터브(4)에 물을 공급하는 제2급수부(411,413)와 상기 제2터브(4)의 물을 배수하는 제2배수부(415,417)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treatment devices 4 and 6 include second water supply units 411 and 413 that supply water to the second tub 4 and second drain units 415 and 417 that drain water from the second tub 4. may include.

상기 제2급수부(411,413)는 외부급수원에서 상기 제2터브(4)로 물을 급수하는 제2급수관(411)과, 상기 제2급수관(411)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2밸브(4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water supply units 411 and 413 include a second water supply pipe 411 that supplies water from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to the second tub 4, and a second valve 413 that controls the flow rate of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411. ) may include.

상기 제2배수부(415,417)는 상기 제2터브(4)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터브(4)의 물이 배출되는 제2배수관(415)과, 상기 제2배수관(417)과 연통하여 상기 제2배수관(415)의 물을 상기 캐비닛(1) 또는 상기 하우징(14)의 외부로 배수하는 제2배수펌프(417)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rain parts 415 and 417 are connected to the second drain pipe 415, which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tub 4 and discharges the water of the second tub 4, and the second drain pipe 417. It may include a second drain pump 417 that drains water from the second drain pipe 415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or the housing 14.

이때, 상기 제2급수부(411,413)와 상기 제2배수부(415,417)는 상기 제1급수부와 상기 제1배수부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water supply units 411 and 413 and the second water drainage units 415 and 417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first water supply unit and the first drainage unit.

또한, 상기 제2급수부(411,413)와 상기 제2배수부(415,417)는 상기 제1급수부와 상기 제1배수부와 일체로 구비되거나, 상기 제1급수부와 상기 제1배수부에서 분지되어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water supply portions 411 and 413 and the second drainage portions 415 and 417 ar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first water supply portion and the first drainage portion, or are branches from the first water supply portion and the first drainage portion. It can be provided.

상기 제2처리장치(4,6)가 상기 제1처리장치(2,3)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지만, 상기 제2처리장치 및 상기 제1처리장치가 독자적으로 구비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although the second processing devices 4 and 6 may be detachably provided with the first processing devices 2 and 3, the second processing devices and the first processing devices may be provided independently. .

상기 제2드럼(6)은 의류를 수용하는 제2드럼바디(61)와, 상기 제2터브투입구(43)와 연통하는 드럼투입구(63)를 구비할 수 있고, 내주면에 상기 제2터브(4)의 물이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다수의 중공(65)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rum (6)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drum body (61) for accommodating clothing and a drum inlet (63)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tub inlet (43), and has the second tub (61) on its inner peripheral surface. 4)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lows 65 through which water flows in or out.

한편, 상기 제2처리장치(4,6)는 상기 제2드럼(6)을 상기 제2터브(4)에서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67)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processing devices 4 and 6 may include a second driving unit 67 that rotates the second drum 6 in the second tub 4.

상기 제2구동부(67)는 상기 제2터브(4)의 하면에 고정되어 회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제2스테이터(671)와, 상기 제2스테이터의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는 제2로터(673), 일단이 상기 제2로터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터브(4)를 관통하여 상기 제2드럼(6)에 연결되는 회전축(675)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riving unit 67 includes a second stator 671 that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tub 4 and generates a rotating magnetic field, and a second rotor 673 that rotates by the rotating magnetic field of the second stator. , may include a rotation shaft 675,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second rotor and the other end of which passes through the second tub 4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drum 6.

한편, 상기 제2처리장치(4,6)는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제2터브(4)에 수용되어 있는 물을 가열하기 위하여 히터을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treatment devices 4 and 6, although not shown, may be equipped with a heater to heat the water contained in the second tub 4.

또한, 상기 제2처리장치(4,6)는 상기 제2터브(4) 또는 상기 제2드럼(6)에 수용되어 있는 의류를 건조할 수 있는 열풍공급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처리장치(4,6)는 상기 제2터브(4)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미도시), 수위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rocessing devices 4 and 6 may further include a hot air supply unit (not shown) capable of drying clothes accommodated in the second tub 4 or the second drum 6. . Additionally, the second processing devices 4 and 6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and a water level sensor (not shown) that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tub 4.

한편, 상기 제2터브(4)을 상기 하우징(14)에 지지하는 지지부(7)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it may include a support portion 7 that supports the second tub 4 to the housing 14.

상기 지지부(7)는 상기 캐비닛(1)에 구비되는 상기 제2지지프레임(181)과, 상기 제2터브(4)에 구비되는 제2터브지지부(71)와, 상기 제2지지프레임(181)와 상기 제2터브지지부(4)를 연결하는 연결부(7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7 includes the second support frame 181 provided in the cabinet 1, the second tub support portion 71 provided in the second tub 4,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81. ) and a connection portion 715 connecting the second tub support portion 4.

즉, 상기 제2지지프레임(181)은 상기 제2터브(4) 보다 상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715)는 일단이 상기 제2지지프레임(181)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터브지지부(71)를 지지할 수 있다.(도2 참조)That is, because the second support frame 181 is provided above the second tub 4, one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715 is coupled and fixed to the second support frame 181,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second support frame 181. 2The tub support part 71 can be supported (see Figure 2).

이로써, 상기 지지부(7)는 상기 제2터브(4)를 상기 캐비닛(1) 또는 상기 하우징(14) 내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upport part 7 can support the second tub 4 inside the cabinet 1 or the housing 14.

한편, 상기 지지부(7)는 상기 캐비닛(1) 또는 상기 하우징(14)의 내주면에서 상기 제2터브지지부(282)보다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지지부(72)를 포함할 수 있다.(도3참조)Meanwhile, the support part 7 may include an upper support part 72 provided above the second tub support part 282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binet 1 or the housing 14. (See Figure 3. )

즉, 상기 제2지지프레임(181)에 상기 연결부(715)가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캐비닛지지부(72)에 연결될 수 있다.That is, the connection part 715 may not be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frame 181, but may be connected to the cabinet support part 72.

상기 연결부(715)는 일단이 상기 상부지지부(72)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터브지지부(71)를 지지하여 상기 제2터브(4)는 상기 캐비닛(1)에서 고정될 수 있다.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715 is coupled and fixed to the upper support part 72, and the other end supports the second tub support part 71, so that the second tub 4 can be fixed in the cabinet 1. there is.

상기 상부지지부(72)는 상기 캐비닛(1)의 내주면으로 돌출되어 구비된 제1브라켓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터브지지부(71)는 상기 제2터브(4)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구비된 제2브라켓으로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715)는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을 연결하되 지면과 수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upper support portion 72 may be provided as a first bracket protruding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binet 1, and the second tub support portion 71 may be provided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tub 4. It is provided with a second bracket, and the connecting portion 715 connects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and may be provid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이로써, 상기 연결부(715)를 포함한 지지부(7)가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 함으로써 상기 제2터브(4)의 세탁용적을 더 확장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washing volume of the second tub 4 can be further expanded by minimizing the volume occupied by the support part 7 including the connection part 715.

상기 연결부(715)는 상기 상부지지부(72)를 관통하여 안착되는 제1연결부(715a)와 상기 제2터브지지부(71)를 관통하여 지지하는 제2연결부(715b)와 상기 제1연결부(715a)와 상기 제2연결부(715b)을 연결하는 연결바(715c)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715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ortion 715a that penetrates and is seated through the upper support portion 72, a second connection portion 715b that penetrates and supports the second tub support portion 71,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715a. ) and a connecting bar 715c connecting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715b.

상기 제1연결부(715a)와 상기 제2연결부(715b)는 상기 연결바(715c)보다 직경이 더 크게 구비될 수 있고, 원판, 반구 및 구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연결부(715)가 상기 상부지지부(72) 및 상기 제2터브지지부(71)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715a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715b may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connection bar 715c and may have a disk, hemisphere, or spherical shape. As a result, the connection part 715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upper support part 72 and the second tub support part 71.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캐비닛(1)과 상기 제2터브(4) 사이에 구비되거나, 상기 캐비닛(1)과 상기 제2터브(2)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1)의 위치가 변경될 때 상기 제2터브(2)가 상기 캐비닛(1) 내부에서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부(8)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etween the cabinet 1 and the second tub 4, or is provided to connect the cabinet 1 and the second tub 2 to the cabinet (100). The second tub 2 may include a prevention portion 8 that prevents the second tub 2 from changing its position inside the cabinet 1 when the position of 1) is changed.

이때, 상기 캐비닛(1)이 위치가 변경된다는 의미는 상기 캐비닛(1)이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배치가 바뀐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 캐비닛(1)이 운송 또는 이동된다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At this time, changing the location of the cabinet 1 means that the arrangement of the cabinet 1 is changed from one location to another location.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o be a concept that includes the cabinet 1 being transported or moved.

이때, 상기 캐비닛(1)의 위치가 변경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터브(4)는 상기 캐비닛(1)에 일체로 고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상하 좌우로 이동할 수 있고, 진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cabinet 1, the second tub 4 is not integrally fixed to the cabinet 1, so it can momentarily move up, down, left, and right, and may vibrate.

따라서, 상기 제2터브(4)가 상기 제1터브(1)에 충돌하거나, 상기 캐비닛(1)의 내벽에 충돌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tub 4 may collide with the first tub 1 or the inner wall of the cabinet 1.

또한, 상기 제2터브(4)가 심하게 진동하거나, 설치 위치가 급변하게 되면 상기 제2터브(4)와 상기 캐비닛(1)을 연결하는 연결부(715)가 파손될 수 있거나, 상기 제2터브(4) 하부에 구비된 제2구동부(67)가 파손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second tub 4 vibrates severely or the installation location changes suddenly, the connection portion 715 connecting the second tub 4 and the cabinet 1 may be damaged, or the second tub (4) may be damaged. 4) The second driving unit 67 provided at the bottom may be damaged.

따라서, 상기 캐비닛(1)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제2터브(4)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서 위치가 변경되는 것이 방지될 필요가 있다.Therefore, even if the position of the cabinet 1 changes, the second tub 4 needs to be prevented from changing its position inside the cabinet 1.

상기 제2터브(4)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이 방지된다는 의미는 상기 캐비닛(1)과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경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의미한다.Prevent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tub 4 from being changed means preventing its relative position from being changed with the cabinet 1.

상기 방지부(8)는 상기 캐비닛(1)과 상기 제2터브(4)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터브(4)의 위치가 변할 시 상기 제2터브(4)와 상기 캐비닛(1)과 충돌을 방지하고 상기 제2터브(4)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완충부(81)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vention unit 8 is provided between the cabinet 1 and the second tub 4, so that when the position of the second tub 4 changes, the second tub 4 and the cabinet 1 It may include a buffer portion 81 that prevents collision and restores the second tub 4 to its original position.

또한, 상기 완충부(81)는 상기 제2터브(4)의 위치가 변할 때 상기 제2터브(4)와 상기 제1터브(2)와 충돌을 방지하고, 상기 제2터브(4)의 위치를 원위치로 복원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uffer unit 81 prevents collision between the second tub 4 and the first tub 2 when the position of the second tub 4 changes, and prevents the collision of the second tub 4 with the first tub 2. The position can also be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한편, 상기 캐비닛(1)은 상기 제1터브(2)가 수용되는 공간과 상기 제2터브(4)가 수용되는 공간을 분리시키는 격벽(1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격벽(131)의 하부에는 프론트로드(front load) 타입 세탁기 또는 건조기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격벽(131)의 상부에는 탑로드(top load) 타입 세탁기 또는 건조기가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cabinet 1 may further include a partition 131 that separates a space in which the first tub 2 is accommodated and a space in which the second tub 4 is accommodated. For example, a front load type washing machine or dryer may be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partition wall 131, and a top load type washing machine or dryer may be installed at the upper part of the partition wall 131. .

상기 완충부(81)는 고무 또는 다공성물질(porous material)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완충부(81)는 스티로폴로 구비될 수 있다.The buffer portion 81 may be made of either rubber or a porous material. For example, the buffer portion 81 may be made of Styrofoam.

상기 완충부(81)는 상기 제2터브(4)의 하부면과 상기 격벽(13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터브(4)의 하부면을 지지할 수 있다. The buffer portion 81 may be provid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tub 4 and the partition wall 131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tub 4.

이로써, 상기 완충부(81)는 상기 제2터브(4)가 하부로 위치가 이동하여도, 상기 제2터브(4)와 상기 격벽(131) 사이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제2터브(4)의 위치를 원위치로 복원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buffer portion 81 can prevent a collision between the second tub 4 and the partition wall 131 even if the second tub 4 moves downward, and the second tub 4 The position of the tub (4)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또한, 상기 완충부(81)는 상기 제2터브(4)의 외주면과 상기 캐비닛(1)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터브(4)의 외주면과 상기 캐비닛(1)의 내주면에 모두 접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ffer portion 81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tub 4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binet 1, and is in contact with bo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tub 4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binet 1. You can.

이로써, 상기 완충부(81)는 상기 제2터브(4)가 좌우로 위치가 이동하여도, 상기 제2터브(4)와 상기 캐비닛(1) 사이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제2터브(4)의 위치를 원위치로 복원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buffer unit 81 can prevent a collision between the second tub 4 and the cabinet 1 even if the second tub 4 moves left or right, and the second tub 4 The position of the tub (4)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한편, 상기 방지부(8)는 상기 제2터브(4)와 상기 캐비닛(1)을 결합하여 상기 제2터브(4)의 위치를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하는 체결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revention part 8 includes a fastening part 82 that couples the second tub 4 and the cabinet 1 and fixes the position of the second tub 4 inside the cabinet 1. It can be included.

즉, 상기 완충부(81)는 상기 제2터브(4)의 위치변화를 일정부분 허용하되, 그 충격을 흡수하고 다시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면, 상기 체결부(85) 상기 제2터브(4)가 상기 캐비닛(1) 내부에서 위치가 변화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f the buffer unit 81 allows a certain amount of positional change of the second tub 4 and can absorb the impact and restore it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fastening unit 85 2The tub 4 may play a role in blocking changes in position within the cabinet 1.

상기 체결부(85)는 상기 제2터브(4)와 상기 캐비닛(1)의 상부를 결합시켜 상기 제2터브(4)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터브(4)와 상기 캐비닛(1)의 측면을 결합시켜 상기 제2터브(4)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The fastening part 85 can fix the position of the second tub 4 by coupling the second tub 4 and the upper part of the cabinet 1. Additionally, the position of the second tub 4 can be fixed by combining the second tub 4 with the side of the cabinet 1.

따라서, 상기 방지부(8)로 인해 상기 캐비닛(1)이 운송될 경우, 상기 제2터브(4)는 상기 캐비닛(1) 및 상기 캐비닛(1) 내부의 구성들과 충돌하는 것이 방지되고, 일정길이 위치가 가변 되더라도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cabinet 1 is transported due to the prevention portion 8, the second tub 4 is prevented from colliding with the cabinet 1 and components inside the cabinet 1, Even if the position of a certain length changes, it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를 안정적으로 운송할 수 있다. Therefore,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transported stably.

이하에서는 도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방지부(8)의 실시예를 자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vention unit 8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도4는 상기 완충부(81)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4 shows one embodiment of the buffer unit 81.

상기 완충부(81)는 제2구동부(67)의 두께와 같거나, 더 두껍게 구비되어 일면이 상기 격벽(131)에 안착되고, 타면이 상기 제2터브(4)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구동완충부(810)을 포함할 수 있다.The buffer part 81 is provided with a thickness equal to or thicker than the second driving part 67, so that one side is seated on the partition wall 131 and the other side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tub 4. It may include a buffer unit 810.

상기 구동완충부(810)는 본체를 이루는 완충바디(811)와, 상기 완충바디(811)에 구비되어 상기 제2구동부(67)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구동수용부(81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buffer 810 may include a buffer body 811 forming the main body, and a drive receiving part 812 provided in the buffer body 811 and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driving part 67. there is.

즉, 상기 구동수용부(812)에 상기 제2구동부(67)의 모든 구성이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제2구동부(67)의 적어도 일부의 구성이 수용될 수 있다.That is, all configurations of the second driving unit 67 can be accommodated in the driving accommodation unit 812,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driving unit 67 can be accommodated.

또한, 상기 제2구동부(67)가 상기 제2스테이터(671)과 상기 제2로터(673)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스테이터(671)와 상기 제2로터(673)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구동수용부(812)에 수용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driving unit 67 includes the second stator 671 and the second rotor 673,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stator 671 and the second rotor 673 Can be accommodated in the drive receiving portion 812.

예를들어, 상기 구동수용부(812)는 상기 제2로터(673)와, 상기 제2스테이터(671)의 외주면 전체 또는 일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완충바디(811)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수용부(812)가 상기 완충바디(811)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홀로 구비될 경우, 상기 구동수용부(812) 및 상기 완충바디(811)는 상기 제2로터(673)와 상기 제2스테이터(671)가 홀 밖으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충분한 두께로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rive receiving portion 812 may be provided with a hole that penetrates the buffer body 811 to accommodate all or part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rotor 673 and the second stator 671. You can. When the drive receiver 812 is provided as a hole that penetrates the buffer body 811, the drive receiver 812 and the buffer body 811 are connected to the second rotor 673 and the second rotor 673. The stator 671 may be provided with sufficient thickness to prevent it from protruding out of the hole.

도5는 상기 구동수용부(812)가 상기 완충바디(811)를 관통하여 구비된 홀로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나, 상기 구동수용부(812)는 상기 제2로터(673)와, 상기 제2스테이터(671)의 외주면 전체 또는 외주면 일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완충바디(811)의 일면에 구비되는 홈으로 구비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Figure 5 shows that the drive receiver 812 is provided as a hole that penetrates the buffer body 811, but the drive receiver 812 includes the second rotor 673 and the second rotor 673. It is not excluded that the entir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ator 671 or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provided as a groov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buffer body 811 so that the stator 671 can be seated.

즉, 상기 구동수용부(812)는 상기 제2구동부(812)를 수용하고, 상기 제2구동부 및 상기 제2터브(4)의 바닥면이 상기 캐비닛(1) 또는 격벽(136)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That is, the drive receiving part 812 accommodates the second driving part 812,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driving part and the second tub 4 is in contact with the cabinet 1 or the partition wall 136. It may be provided in any shape as long as it can be provided to prevent it.

한편, 상기 구동완충부(810)는 상기 캐비닛(1)이 운송의 완료되거나, 상기 캐비닛(1)의 위치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캐비닛(1) 내부에서 제거될 필요가 있다.Meanwhile, the driving buffer 810 needs to be removed from the inside of the cabinet 1 when transportation of the cabinet 1 is completed or when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cabinet 1 is completed.

다시말해, 상기 구동완충부(810)는 필요에 따라 상기 캐비닛(1) 내부에 투입되어 상기 제2터브(4)의 바닥면과 상기 격벽(131) 사이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2터브(4)의 바닥면과 상기 격벽(131) 사이에서 제거되어 상기 캐비닛(1) 외부로 인출되어야 한다. In other words, the driving buffer 810 is inserted into the cabinet 1 as needed and dispos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tub 4 and the partition wall 131, or the second tub 4 ) must be remov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and the partition wall 131 and drawn out of the cabinet 1.

이를 위해, 상기 캐비닛(1)은 상기 제2터브(2)의 배면을 외부와 연통하는 관통부(147)와, 상기 관통부(147)를 개폐하는 배면패널(855)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abinet 1 may include a penetrating portion 147 that communicates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tub 2 with the outside, and a rear panel 855 that opens and closes the penetrating portion 147.

이때, 상기 하우징(14)의 배면이 상기 캐비닛(1)의 배면의 일부를 구성하므로, 상기 하우징(14)의 배면에 상기 관통부(147)와 패면패널(855)이 구비된다고 볼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back of the housing 14 constitutes a part of the back of the cabinet 1, it can be seen that the through portion 147 and the front panel 855 are provided on the back of the housing 14.

이로써, 상기 구동완충부(810)는 상기 관통부(147)를 통해 상기 제2터브(4)의 바닥면과 상기 격벽(131) 사이에 투입되도록 구비되거나, 상기 관통부(147)를 통해 상기 캐비닛(1)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driving buffer 810 is provided to be insert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tub 4 and the partition wall 131 through the penetration part 147, or the driving buffer 810 is provided to be inserted between the partition wall 131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tub 4 through the penetration part 147. It can be pulled out of the cabinet (1).

즉, 상기 배면패널(855)은 상기 관통부(147)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That is, the rear panel 855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penetration portion 147.

구체적으로, 상기 배면패널(855)과 상기 관통부(147)는 체결부재(853c)에 의해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ear panel 855 and the penetrating portion 147 may be coupled or separated by a fastening member 853c.

상기 배면패널(855)는 상기 체결부재(853c)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패널관통홀(855b)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147)는 내주면에 상기 체결부재(853c)가 결합되어 지지되는 체결바디(147a)와, 상기 체결바디(147a)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부재(853c)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홀(147b)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ar panel 855 includes a panel through-hole 855b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mber 853c is coupled, and the penetrating portion 147 is a fastening body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mber 853c is coupled and support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It may include (147a) and a fastening hole (147b)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mber (853c) passes through the fastening body (147a) and is coupled thereto.

상기 체결부재(853c)는 볼트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체결홀(147b)과 패널관통홀(855b)는 내주면에 상기 볼트와 대응되는 나사선이 구비될 수 있다.The fastening member 853c may be provided as a bolt, and the fastening hole 147b and the panel through-hole 855b may have threads corresponding to the bolts on their inner peripheral surfaces.

상기 배면패널(855)을 상기 관통부(147)에 결합할 때, 상기 배면패널(855)을 상기 관통부(147)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체결부재(853c)를 상기 패널관통홀(855b) 및 상기 체결홀(147b)에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When coupling the rear panel 855 to the penetration part 147, the rear panel 855 is plac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enetration part 147, and the fastening member 853c is inserted into the panel penetration hole. It can be fixed by inserting into (855b) and the fastening hole (147b).

상기 배면패널(855)을 상기 관통부(147)에서 분리할 때 전술한 과정을 역으로 진행할 수 있다.When separating the rear panel 855 from the penetration portion 147, the above-described process can be reversed.

한편, 상기 구동완충부(810)는 상기 관통부(147)를 통해 상기 캐비닛(1) 내부로 삽입되거나 상기 캐비닛(1) 외부로 인출되므로 상기 제2터브(4)의 바닥면에 구비된 제2구동부(67)와 간섭을 회피할 필요가 있다.Meanwhile, the driving buffer 810 is inserted into the cabinet 1 or pulled out of the cabinet 1 through the penetration part 147, so that the driving buffer 810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second tub 4. It is necessary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second drive unit (67).

따라서, 상기 구동완충부(810)는 상기 관통부(147)를 통해 인출되거나 투입될 때 상기 제2구동부(67)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구동수용부(812)에 수용되거나 인출되도록 상기 구동수용부(812)의 외주면에서 상기 구동바디(811)의 일면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구동출입구(8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driving buffer 810 is pulled out or inserted through the penetrating part 147, the drive receiving part 810 allows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driving part 67 to be received in or pulled out from the driving receiving part 812. It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inlet 813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812 through one surface of the driving body 811.

즉, 상기 구동출입구(813)는 상기 구동수용부(812)의 외주면 중 일부가 관통되어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driving entrance 813 may be provided by penetrating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iving receiving portion 812.

이로써, 상기 구동완충부(810)가 상기 관통부(147)를 통해 상기 캐비닛(1)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구동출입구(813)으로 상기 제2구동부(67)가 상기 구동수용부(812)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완충부(810)가 상기 관통부(147)를 통해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될 때 상기 구동출입구(813)으로 상기 제2구동부(67)가 상기 구동수용부(812)에서 인출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driving buffer 810 is inserted into the cabinet 1 through the penetrating part 147, the second driving part 67 is connected to the driving receiving part 812 through the driving entrance 813. can be inserted. In addition, when the driving buffer 810 is pulled out from the cabinet 1 through the penetrating part 147, the second driving part 67 is connected to the driving receiving part 812 through the driving entrance 813. can be withdrawn

또한, 상기 구동출입구(813)은 상기 구동수용부(812)의 최대직경보다 작게 구비되어 상기 제2구동부(67)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구동완충부(810)에 억지끼움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riving entrance 813 may be smaller than the maximum diameter of the driving receiving part 812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driving part 67 is fitted into the driving buffer 810.

이로써, 상기 구동완충부(810)가 상기 제2터브(4)의 바닥면과 상기 격벽(131) 사이에 투입되어 상기 제2구동부(67)를 수용하면, 상기 제2구동부(67)가 상기 구동출입구(813)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완충부(810)는 상기 제2구동부(67)에 끼워져 쉽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driving buffer 810 is insert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tub 4 and the partition wall 131 to accommodate the second driving part 67, the second driving part 67 is It may not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driving entrance 813. Accordingly, the driving buffer 81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asily separat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driving part 67.

한편, 도5은 상기 완충부(81)의 다른 실시예와, 상기 체결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Meanwhile, Figure 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buffer portion 81 and one embodiment of the fastening portion.

상기 완충부(81)는 상기 배면패널(855)과 상기 제2터브(4)의 외주면에 모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터브완충부(8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uffer portion 81 may further include a tub buffer portion 820 provided to contact both the rear panel 855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tub 4.

상기 터브완충부(820)는 상기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타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tub buffer 820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or in the shape of an elliptical pillar.

즉, 상기 배면패널(855)이 상기 관통부(147)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터브완충부(820)는 상기 배면패널(855)과 상기 제2터브(4)의 외주면 모두에 접촉될 수 있는 두께로 구비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That is, when the back panel 855 is coupled to the penetrating portion 147, the tub buffering portion 820 can be in contact with both the back panel 855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tub 4. As long as it can be provided in any thickness, it can be provided in any shape.

이로써, 터브완충부(820)로 인해 상기 제2터브(4)가 상기 배면패널(855)과 충돌하여 파손되는 역할을 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tub buffer 820 may cause the second tub 4 to collide with the rear panel 855 and be damaged.

또한, 상기 터브완충부(820)는 후술할 체결부가 상기 제2터브(4)와 상기 캐비닛(1)과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터브(4)가 체결부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ub buffer 820 serves to prevent the second tub 4 from moving toward the fastening portion during the process of coupling the fastening por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the second tub 4 and the cabinet 1. It can be done.

상기 배면패널(855)은 내주면이 함몰되어 구비되어 상기 터브완충부(820)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완충수용부(855a)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5 참조)The rear panel 855 may further include a cushioning accommodating portion 855a whos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recessed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tub cushioning portion 820 can be seated (see Figure 5).

한편, 상기 체결부(85)는 상기 캐비닛(1)을 관통하여 상기 제2터브(4)의 외주면과 결합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fastening part 85 may include a fastening member that penetrates the cabinet 1 and couples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tub 4.

이때, 상기 체결부(85)의 체결부재는 상기 배면패널(855)과 상기 관통부(147)를 결합시키는 체결부재(853c)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체결부(85)의 체결부재는 상기 배면패널(855)과 상기 관통부(147)를 결합시키는 체결부재(853c)외에 별도의 체결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the fastening member of the fastening portion 85 may be provided as a fastening member 853c that couples the rear panel 855 and the penetrating portion 147. Of course, it is not excluded that the fastening member of the fastening portion 85 is provided as a separate fastening member in addition to the fastening member 853c that couples the rear panel 855 and the penetration portion 147.

다만, 상기 체결부재(853c)를 통해 상기 제2터브(4)와 상기 배면패널(855)까지 결합시킬 수 있다면 부품수를 감소할 수 있으므로 상기 체결부재(853c)는 상기 체결부(85)의 체결부재로 사용될 수 있다.However, if the second tub 4 and the rear panel 855 can be connected through the fastening member 853c,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so the fastening member 853c is used as the fastening part 85. It can be used as a fastening member.

이하에서는,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캐비닛(1)을 관통하여 상기 제2터브(4)의 외주면과 결합하는 체결부재는 상기 제2터브(4)의 외주면과 결합되므로 측면체결부재(853c)로 명명한다.Hereinafter, to prevent confusion, the fastening member that penetrates the cabinet (1) and couples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tub (4) is referred to as the side fastening member (853c) since it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tub (4). Name it.

상기 체결부(85)는 상기 제2터브(4)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측면체결부재(853c)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측면체결부(8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85 may further include a side fastening part 853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tub 4 to which the side fastening member 853c is coupled and fixed.

상기 측면체결부(853)는 상기 제2터브(4)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측면체결부재(853c)와 결합하는 고정결합부(853a)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de fastening part 853 may include a fixed coupling part 853a that protrudes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tub 4 and is coupled to the side fastening member 853c.

상기 측면체결부재(853c)가 볼트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고정결합부(853a)는 상기 볼트를 수용하고 내주면에 나사선이 구비되는 볼트수용기둥으로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side fastening member 853c is provided with a bolt, the fixed coupling portion 853a may be provided as a bolt receiving pillar that accommodates the bolt and is provided with a threa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상기 측면체결부(853)은 상기 고정결합부(853a)의 외주면과 상기 제2터브(4)의 외주면을 연결하여 상기 고정결합부(853a)를 지지하는 고정리브(85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리브(853b)는 상기 고정결합부(853a)의 내구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side fastening portion 853 connect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ed coupling portion 853a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tub 4 and may include a fixing rib 853b that supports the fixed coupling portion 853a. . The fixing rib 853b may serve to strengthen the durability of the fixing coupling portion 853a.

상기 측면체결부(853)는 상기 배면패널(855)을 상기 관통부(147)에 결합할 때 사용되는 체결부재(853c)에 결합되기 위해 상기 제2터브(4)의 배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ide fastening portion 853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back of the second tub 4 to be coupled to the fastening member 853c used when coupling the rear panel 855 to the penetrating portion 147. do.

이때, 상기 측면체결부(853)는 상기 배면패널(855)의 양단과 대응되는 부분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2터브(4)와 상기 배면패널(855)의 결합력 및 고정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ide fastening portions 853 are provided at portions corresponding to both ends of the rear panel 855, and can strengthen the coupling and fixing force between the second tub 4 and the rear panel 855.

이로써, 상기 측면체결부재(853c)가 상기 배면패널(855)의 패널관통홀(855a)를 관통하여 상기 측면체결부(853)의 고정결합부(853a)에 고정되어 상기 제2터브(4)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side fastening member 853c passes through the panel through hole 855a of the back panel 855 and is fixed to the fixed coupling portion 853a of the side fastening part 853, thereby forming the second tub 4. The position may be fixed inside the cabinet 1.

따라서, 상기 캐비닛(1)이 운송 중일 때, 상기 제2터브(4)가 상기 캐비닛(1) 내부에서 위치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cabinet 1 is being transported, the movement of the second tub 4 within the cabinet 1 may be restricted.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제2터브(4)를 상기 캐비닛(1) 내부에서 지지하는 제2터브지지부(71)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tub support portion 71 that supports the second tub 4 inside the cabinet 1.

상기 제2터브지지부(71)는 공간활용도를 위해 상기 캐비닛(1) 또는 하우징(14)의 네 모서리 부근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2터브지지부(71)는 상기 배면패널(855)을 향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2개의 상기 제2터브지지부(71)가 상기 배면패널(855)을 향하여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tub support portion 71 is located near the four corners of the cabinet 1 or housing 14 for space utilization. Accordingly, at least one second tub support portion 71 may be provided toward the rear panel 855. Additionally, as shown in FIG. 6, up to two second tub supports 71 may be provided facing the rear panel 855.

상기 터브지지부(71)는 상기 제2터브(4)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측면체결부(853)는 상기 터브지지부(71)에 구비되거나, 상기 터브지지부(71)의 인근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tub support portion 71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tub 4, the side fastening portion 853 is provided on the tub support portion 71 or near the tub support portion 71. It is desirable to be

이는 상기 고정결합부(853a)가 돌출되는 길이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상기 터브지지부(71)와 같은 금형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fixed coupling portion 853a can be minimized and can b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mold as the tub support portion 71.

따라서, 상기 고정결합부(853a)는 상기 제2터브지지부 중 상기 배면패널(855) 인근에 구비된 상기 제2터브지지부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xed coupling portion 853a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tub support portion provided near the rear panel 855 among the second tub supports.

또한, 상기 고정결합부(853a)는 상기 배면패널(855)의 인근에 구비된 상기 제2터브지지부(71)의 일측에서 상기 배면패널(855)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리브(853b)는 상기 제2터브지지부(71)에서 상기 고정결합부(853a)의 외주면 까지 연장되어 상기 고정결합부(853a)를 지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xed coupling portion 853a may be provided to protrude toward the rear panel 855 from one side of the second tub support portion 71 provided near the rear panel 855. The fixing rib (853b) extends from the second tub support part 71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ing coupling part (853a) to support the fixing coupling part (853a).

즉, 상기 제2터브지지부(71)는 상기 제2터브(4)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되므로, 상기 제2터브지지부(7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터브지지부(71)는 상기 패널관통홀(855b)과 마주하는 곳에 구비된다고 볼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second tub support portion 71 is provided in plural numbers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tub 4, at least one of the second tub supports 71 can be viewed as being provided in a location facing the panel through-hole (855b).

상기 측면체결부재(853c)는 상기 패널관통홀(855b)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결합부(853a)에 결합되어 상기 제2터브(4)와 상기 캐비닛(1)을 결합시킬 수 있다.The side fastening member 853c passes through the panel through hole 855b and is coupled to the fixed coupling portion 853a to couple the second tub 4 and the cabinet 1.

한편, 상기 고정결합부(853a)의 내주면에는 나사선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측면채결부재(853c)가 회전하여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터브(4)가 상기 배면패널(855)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터브(4)가 무리하게 상기 배면패널(855)로 이동하면 상기 연결부(715) 등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Meanwhile, since a thread is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ed coupling portion 853a, the second tub 4 can move toward the rear panel 855 during the process of rotating and coupling the side fastening member 853c. . If the second tub 4 is forcibly moved to the rear panel 855, there is a risk that the connecting portion 715, etc. may be damaged.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전술한 상기 터브완충부(85)는 일정한 두께를 구비하고 일면이 상기 제2터브(4)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타면이 상기 배면패널(855)에 접촉하여, 상기 측면체결부재(853c)가 상기 고정결합부(853a)에 결합되더라도 상기 제2터브(4)가 상기 배면패널(855)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tub buffering portion 85 described above has a certain thickness and has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tub 4 and the oth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rear panel 855, thereby allowing the side fastening. Even if the member 853c is coupled to the fixed coupling portion 853a, the second tub 4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toward the rear panel 855.

한편, 상기 지지바(715c)는 제2터브(4)가 운송중에 진동하면 비틀림응력이 존재하여 파손될 수 있다.Meanwhile, the support bar 715c may be damaged due to torsional stress if the second tub 4 vibrates during transportation.

따라서, 상기 지지바(715c)의 충격을 완충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ushion the impact of the support bar 715c.

상기 제2터브(4)는 상기 제2터브(4)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바(715c)를 수용하는 터브브라켓(72)과, 상기 터브브라켓(72)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바(715c)의 외주면을 감싸며 탄성재질로 구비되는 바홀더(7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tub 4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tub 4 and includes a tub bracket 72 that accommodates the support bar 715c, and is coupled to the tub bracket 72 to support the support bar 715c. ) may include a bar holder 73 that surround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r and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상기 터브브라켓(72)은 상기 제2터브(4)의 외주면에서 상기 연결바(715c)가 구비된 부분 까지 연장되어 구비되는 브라켓바디(721)와, 상기 브라켓바디(721)를 관통하여 상기 바홀더(73)가 수용되어 결합되는 수용홀(722)을 포함할 수 있다.The tub bracket 72 includes a bracket body 721 exten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tub 4 to a portion where the connection bar 715c is provided, and the bar penetrating through the bracket body 721. It may include a receiving hole 722 in which the holder 73 is accommodated and coupled.

상기 바홀더(73)는 상기 수용홀(722)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홀더바디(731)와, 상기 홀더바디(731)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바(715c)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바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ar holder 73 includes a holder body 731 that is received and fixed in the receiving hole 722, and a bar through hole that passes through the holder body 731 and accommodates at least a portion of the support bar 715c. It can be included.

이로써, 상기 제2터브(4에 진동이 발생하고, 상기 지지바(715c)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지지바(715c)가 상기 바홀더(73)를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홀더(7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바(715c)는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As a result, when vibration occurs in the second tub 4 and the support bar 715c mov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support bar 715c can press the bar holder 73. At this time, the bar 715c can press the bar holder 73. The support bar 715c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holder 73.

또한, 상기 바홀더(73)는 상기 지지바(715c)에 진동, 위치변화, 비틀림응력 등을 발생시키는 외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지지바(715c)에 가해지는 외력을 완화시켜 상기 지지바(715c)의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r holder 73 relieves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support bar 715c when an external force that causes vibration, position change, torsional stress, etc. is applied to the support bar 715c, thereby reducing the support bar (715c). The durability of 715c) can be strengthened.

결과적으로, 상기 바홀더(73)는 상기 지지바(715c)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쇄하고, 상기 지지바(715c)를 원위치로 복원하여 상기 제2터브(4)의 발생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쇄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bar holder 73 attenuates the vibration occurring in the support bar 715c, restores the support bar 715c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effectively attenuates the vibration occurring in the second tub 4. It can also play a role.

도6은 상기 체결부(85)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6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fastening portion 85.

상기 체결부(85)는 상기 캐비닛(1)을 관통하여 상기 제2터브(4)의 상부와 결합하는 체결부재(851d)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85 may include a fastening member 851d that penetrates the cabinet 1 and couples to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tub 4.

이하에서는, 상기 체결부재(851d)를 상기 측면체결부재(853c)와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체결부재(851d)로 명명한다.Hereinafter, the fastening member 851d will be referred to as the upper fastening member 851d to prevent confusion with the side fastening member 853c.

상기 제2터브(4)는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바디(41)와, 상기 터브바디(41)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터브커버(4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tub 4 may include a tub body 41 that provides a space for storing water, and a tub cover 42 that forms an upper surface of the tub body 41.

상기 터브커버(42)는 상기 제2투입구(143)과 연통하는 상기 제2터브 투입구(43)가 구비된다.The tub cover 42 is provided with a second tub inlet 43 that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inlet 143.

또한, 상기 캐비닛(1)은 상기 제2투입구(143)가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1)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면(141a)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abinet 1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141a that is provided with the second inlet 143 and forms the upper part of the cabinet 1.

이때, 상기 상부체결부재(851b)는 상기 상부면(141a)을 관통하여 상기 터브커버(42)에 결합하여, 상기 제2터브(4)를 상기 캐비닛(1) 또는 하우징(14) 내부에 고정하여 상기 캐비닛(1)가 운송중일 때 상기 제2터브(4)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fastening member 851b penetrates the upper surface 141a and is coupled to the tub cover 42 to fix the second tub 4 inside the cabinet 1 or housing 14.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cond tub (4) from moving when the cabinet (1) is being transported.

한편, 상기 제2도어(145)는 상기 제2투입구(143)을 폐쇄할 때 상기 상부면(141a)과 면접촉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2투입구(143)를 완전히 폐쇄하여 상기 제2투입구(143)에서 의류나 물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캐비닛(1)이 운송중일 경우에 상기 제2도어(145)가 상기 상부면(141a)과 면접촉되지 않고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으면 상기 제2도어(145)와 상기 상부면(141a)이 외력에 의해 충돌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Meanwhile, the second door 145 is preferably in surfac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141a when the second inlet 143 is closed. This is to prevent clothing or water from being discharged from the second inlet 143 by completely closing the second inlet 143. In addition, when the cabinet 1 is being transported, if the second door 145 is not in surfac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141a and is spaced a certain distance apart, the second door 145 and the upper surface 141a This is because there is a risk of collision due to this external force.

따라서, 상기 상부체결부재(851b)가 상기 상부면(141a)을 관통하여 상기 터브커버(42)에 결합할 때, 상기 체결부재(851b)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상부면(141a)에 돌출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제2도어(145)가 상기 상부면(141a)에 접촉되는 것이 방해된다.Therefore, when the upper fastening member 851b penetrates the upper surface 141a and is coupled to the tub cover 42, at least a portion of the fastening member 851b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141a. In this case, the second door 145 is prevented from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141a.

따라서, 상기 상부체결부재(851b)가 상기 상부면(141a)을 관통하여 상기 터브커버(42)에 결합하더라도 상기 상부체결부(851b)는 상기 상부면(141a)에 돌출되는 것이 방지될 필요가 있다.Therefore, even if the upper fastening member 851b penetrates the upper surface 141a and is coupled to the tub cover 42, the upper fastening part 851b needs to be prevented from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141a. there is.

상기 체결부(85)는 상기 제2도어(145)가 상기 제2투입구(143)를 폐쇄하였을 때 상기 제2도어(145)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상부면(141a)에서 상기 터브커버(42)를 향하여 단차지게 형성되는 상부단차면(851a)을 포함할 수 있다.The fastening portion 85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141a of the tub cover 42 so as to be spac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econd door 145 when the second door 145 closes the second inlet 143. ) may include an upper stepped surface (851a) that is formed to be stepped toward.

상기 상부단차면(851a)은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가 관통하여 안착되는 단차관통홀(851b)을 구비할 수 있다.The upper stepped surface 851a may have a stepped through hole 851b through which the upper fastening member 851d is seated.

즉, 상부단차면(851a)는 상부면(141a)보다 낮은 높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상부단차면(851a)에 안착되어도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가 상기 상부면(141a)의 상부에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That is, the upper step surface (851a) is provid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upper surface (141a), so that even if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fastening member (851d) is seated on the upper step surface (851a), the upper fastening member (851d) is It may not protrude from the top of the upper surface 141a.

즉, 상기 상부단차면(851a)은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가 상기 제2도어(145)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upper step surface 851a provides a space in which a part of the upper fastening member 851d can be accommodated, thereby preventing the upper fastening member 851d from contacting the second door 145. You can.

이로써,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가 상기 단차관통홀(851b)에 삽입되어 상기 터브커버(42)의 상부에 결합되어도, 상기 제2도어(145)는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의 방해를 받지 않고 상기 제2투입구(143)을 폐쇄할 수 있다.Accordingly, even if the upper fastening member 851d is inserted into the stepped through hole 851b and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tub cover 42, the second door 145 prevents the upper fastening member 851d from interfering with the upper fastening member 851d. The second inlet 143 can be closed without receiving anything.

도7b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부(85)는 상기 단차관통홀(851b)의 외주면에 상기 상부단차면(851a)보다 두께가 작게 구비되어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가 안착되는 단차안착부(85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7b, the fastening portion 85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epped through hole 851b with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upper stepped surface 851a, and is a stepped seating portion (851d) on which the upper fastening member 851d is seated. 851c) may be further included.

즉, 상기 단차안착부(851c) 상기 단차관통홀(851b)의 외주면에 구비되되 상기 상부단차면(851a)과 단차지게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step seating portion 851c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ep through hole 851b and may be provided to be stepped from the upper step surface 851a.

상기 단차안착부(851c)는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가 상기 단차관통홀(851d)의 삽입되는 것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의 상부면과 상기 상부단차면(851a)이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는 단차 또는 두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ep seating portion 851c is configured so that when insertion of the upper fastening member 851d into the step through hole 851d is complete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astening member 851d and the upper step surface 851a are formed. It is desirable to have a level difference or thickness that can be provided side by side.

상기 단차안착부(851c)는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가 상기 상부면(141a)에 결합하는 위치를 안내할 수 있고,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와 결합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의 고정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The step seating portion 851c can guide the position where the upper fastening member 851d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141a, and when coupling with the upper fastening member 851d is completed, the upper fastening member (851d) 851d) can be strengthened.

또한,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가 볼트 등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단차안착부(851c)는 단차진 높이만큼 볼트 헤드가 상기 상부면(141a)에 돌출되는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the upper fastening member 851d is provided with a bolt, etc., the stepped seating portion 851c can minimize the height at which the bolt head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141a by the stepped height.

또한, 상기 단차안착부(851c)는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의 모든 부분이 상기 상부면(141a)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seating portion 851c may serv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by preventing all parts of the upper fastening member 851d from protruding above the upper surface 141a.

상기 제2투입구(143)는 상기 상부단차면(851a)의 내주면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터브커버(42)에 구비된 상기 제2터브투입구(43)는 상기 제2투입구(143)와 연통될 수 있다.The second inlet 143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step surface 851a, and the second tub inlet 43 provided in the tub cover 42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inlet 143. It can be.

이때, 상기 터브커버(42)는 상기 터브바디(41)와 분리되지 않도록 단단하게 결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ub cover 42 may be tightly coupled to the tub body 41 so as not to be separated.

상기 터브커버(42)는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와 결합되어 상기 제2터브(4)가 상기 캐비닛(1)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tub cover 42 is combined with the upper fastening member 851d to prevent the second tub 4 from moving in the cabinet 1.

이때,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가 상기 터브커버(42)를 관통하여 결합되면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와 상기 제2터브(4)의 결합력은 강화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upper fastening member 851d penetrates the tub cover 42 and is coupled,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upper fastening member 851d and the second tub 4 can be strengthened.

그러나,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는 상기 캐비닛(1)의 운송이 완료되면 제거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상기 터브커버(42)에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구비되면 의류처리장치 작동중에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upper fastening member 851d is generally removed when transportation of the cabinet 1 is completed, if the tub cover 42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upper fastening member 851d can pass, Water leaks may occur while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is operating.

따라서, 상기 터브커버(42)는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가 고정되는 고정홈(42a)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tub cover 42 may include a fixing groove 42a into which the upper fastening member 851d is inserted and coupled, and the upper fastening member 851d is fixed.

상기 고정홈(42a)는 내주면에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와 결합될 수 있는 나사선이 구비될 수 있다.The fixing groove (42a) may be provided with a thread on its inner peripheral surface that can be coupled to the upper fastening member (851d).

한편, 단차관통홀(851b)은 상기 제2투입구(143)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고정홈(42a)은 상기 단차관통홀(851d)과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step through holes (851b) may be provided at a certain distance apart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inlet 143, and the fixing groove (42a)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tep through hole (851d). , can be provided in corresponding numbers.

즉, 복수의 상기 상부체결부재(851d)가 상기 상부면(141a)을 관통하여 상기 제2터브(4)를 결합시킬 수 있다.That is, the plurality of upper fastening members 851d can penetrate the upper surface 141a and couple the second tub 4.

이로써, 상기 캐비닛(1)의 운송 중에 상기 제2터브(4)의 움직임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ly, movement of the second tub 4 can be prevented during transportation of the cabinet 1.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its scop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refore, if the modified embodiment includes elem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베이스 패널
12: 프론트패널 121: 제1투입구 123: 제1도어
125: 컨트롤패널 13: 측면패널 131 격벽
14: 하우징 141 : 하우징 바디 141a: 상부면
143: 제2투입구 145: 제2도어 15: 제1전방프레임
16: 제1후방프레임 161: 제1지지프레임17: 제2전방프레임
18: 제2후방프레임 181: 제2지지프레임
19: 제3지지프레임 2: 제1터브 21: 제1터브 바디
23: 제1터브 투입구 231: 제1터브 실링부(가스켓)
211: 제1급수관/213: 제1밸브
215: 제1배수관/217: 제1펌프
255지지감쇄부 3: 제1드럼 31: 제1드럼 바디
33: 제1드럼 투입구35: 제1관통홀 371: 제1스테이터
373: 제1로터/375: 제1회전축 4: 제2터브
41: 제2터브 바디 42 : 제2터브커버 42a 고정홀
43: 제2터브투입구 45: 제2터브 실링부(가스켓)
46 : 터브도어 461 프레임 462 힌지 463
411: 제2급수관/413: 제2밸브
415: 제2배수관/417: 제2펌프
7 지지부 181: 제2지지프레임
71: 제2터브 지지부 715: 연결부 715a 제1연결부
715b 제2연결부 715c 지지바
6: 제2드럼 61: 제2드럼 바디 63: 제2드럼 투입구
65: 제2관통홀 67: 제2구동부 671: 제2스테이터
673: 제2로터/675: 제2회전축
8 방지부 81 완충부 810 구동완충부
820 터브완충부 85 체결부 851 상부체결부
851a 상부단차면 851b단차관통홀
851c 단차안착부 851d 상부체결부재
853 측면체결부 853a 고정결합부 853b 고정리브
853c 측면체결부재 855 : 배면패널 855a 완충수용부
855b 패널관통홀 147 : 하우징관통부
147a 체결바디 147b 체결홀
100: Clothing processing device 1: Cabinet 11: Base panel
12: Front panel 121: First inlet 123: First door
125: control panel 13: side panel 131 bulkhead
14: Housing 141: Housing body 141a: Upper surface
143: Second inlet 145: Second door 15: First front frame
16: first rear frame 161: first support frame 17: second front frame
18: 2nd rear frame 181: 2nd support frame
19: Third support frame 2: First tub 21: First tub body
23: First tub inlet 231: First tub sealing part (gasket)
211: first water pipe/213: first valve
215: first drain pipe/217: first pump
255 Support damping part 3: first drum 31: first drum body
33: First drum inlet 35: First through hole 371: First stator
373: 1st rotor/375: 1st rotation shaft 4: 2nd tub
41: 2nd tub body 42: 2nd tub cover 42a fixing hole
43: Second tub inlet 45: Second tub sealing part (gasket)
46: Tub door 461 frame 462 hinge 463
411: Second water pipe/413: Second valve
415: Second drain pipe/417: Second pump
7 Support 181: Second support frame
71: second tub support portion 715: connection portion 715a first connection portion
715b second connection 715c support bar
6: Second drum 61: Second drum body 63: Second drum inlet
65: 2nd through hole 67: 2nd driving part 671: 2nd stator
673: 2nd rotor/675: 2nd rotation shaft
8 Prevention part 81 Buffer part 810 Drive buffer part
820 Tub buffer part 85 Fastening part 851 Upper fastening part
851a upper step surface 851b step through hole
851c step seating part 851d upper fastening member
853 Side fastening part 853a Fixed joint part 853b Fixed rib
853c side fastening member 855: back panel 855a shock absorber
855b Panel penetration hole 147: Housing penetration part
147a fastening body 147b fastening hole

Claims (21)

전방에 제1투입구와 상부의 제2투입구를 구비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투입구와 연통하는 제1처리장치;
상기 제1처리장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투입구와 연통하되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터브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캐비닛과 상기 터브 사이에 구비되거나, 상기 캐비닛과 상기 터브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터브가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부;
상기 방지부는
상기 터브와 상기 캐비닛을 결합하여 상기 터브를 고정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캐비닛을 관통하여 상기 터브의 외주면과 결합하는 체결부재와,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부재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측면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브를 상기 캐비닛 내부에 고정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구비되되 상기 지지프레임보다 하부에 구비되는 터브지지부와,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터브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체결부는 상기 터브지지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 cabinet having a first input port at the front and a second input port at the top;
a first processing devic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inlet;
a tub provided at the top of the first treatment device and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inlet but providing a space for storing water;
a drum rotatably provided in the tub to accommodate clothing;
a driving unit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tub to rotate the drum;
a prevention unit provided between the cabinet and the tub or provided to connect the cabinet and the tub to prevent the tub from changing its position inside the cabinet even if the position of the cabinet is changed;
The prevention unit
It includes a fastening part that couples the tub and the cabinet to secure the tub,
The fastening part
It includes a fastening member that penetrates the cabinet and couples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 and a side fastening portion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 to which the fastening member is coupled and fixed,
a support portion that secures the tub to the inside of the cabinet;
The support part
A support frame provided in the cabinet,
A tub support portion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 and lower than the support frame,
It includes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support frame and the tub support part,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fastening por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ub suppor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부는
상기 캐비닛과 상기 터브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의 위치가 변경될 때 상기 터브와 상기 캐비닛, 또는 상기 터브와 상기 제1처리장치와 충돌을 방지하고 상기 터브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revention unit
A buffer provided between the cabinet and the tub to prevent collision between the tub and the cabinet or the tub and the first processing device when the position of the tub is changed and to restore the tub to its original position. Clothing processing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내부에 상기 제1처리장치가 수용되는 공간과 상기 터브가 수용되는 공간을 분리시키는 격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구동부의 두께와 같거나 더 두껍게 구비되어 일면이 상기 격벽에 안착되고 타면이 상기 터브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구동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It further includes a partition wall separating a space in which the first processing device is accommodated and a space in which the tub is accommodated inside the cabinet,
The buffer part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omprising a drive buffer having a thickness equal to or greater than that of the drive unit, one side of which is seated on the partition wall, and the other side of which supports the bottom of the tub.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완충부는
본체를 이루는 완충바디와, 상기 완충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구동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driving buffer part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omprising a buffer body forming a main body, and a drive receiving part provided in the buffer body and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drive par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터브의 배면을 외부와 연통하는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를 개폐하는 배면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완충부는 상기 관통부를 통해 상기 캐비닛 외부로 인출되거나 상기 터브의 바닥면과 상기 격벽 사이에 투입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cabinet is
a penetrating portion that communicates the rear surface of the tub with the outside;
Further comprising a rear panel that opens and closes the penetration portion,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buffer is provided to be pulled out of the cabinet through the penetration part or insert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tub and the partition wal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완충부는
상기 관통부를 통해 인출되거나 투입될 때 상기 구동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구동수용부에 수용되거나 인출되도록 상기 구동수용부의 외주면에서 상기 완충바디의 일면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구동출입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5,
The driving buffer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rive entrance provided through one surface of the buffer body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ive accommodating part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driving part is received or withdrawn from the driving accommodating unit when it is pulled out or inserted through the penetrating part. Clothing processing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출입구는 상기 구동수용부의 최대 직경보다 작게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구동완충부에 억지끼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6,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inlet is smaller than the maximum diameter of the driving receiving part,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driving part is forcefully fitted into the driving buff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배면패널과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모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터브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5,
The buffer part
A laundry treatment device further comprising a tub buffer provided to contact both the back panel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체결부는
상기 체결부재와 결합하는 고정결합부와,
상기 터브의 외주면 또는 상기 터브지지부에서 상기 고정결합부의 외주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고정결합부를 지지하는 고정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ide fastening part
A fixed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fastening member,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omprising a fixing rib exten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 or the tub support portion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ed joint portion to support the fixed joint portio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터브의 배면을 외부와 연통하는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를 개폐하고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널관통홀이 구비되는 배면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터브지지부는 상기 터브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브지지부는 상기 패널관통홀과 마주하는 곳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패널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결합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13,
The cabinet includes a penetration part that communicates the back of the tub with the outside,
It includes a back panel that opens and closes the through portion and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panel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mber passes,
The tub support portion is provided in plural numbers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 and at least one tub support portion is provided facing the panel through hole,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member passes through the panel through hole and is coupled to the fixed coupling pa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캐비닛을 관통하여 상기 터브의 상부와 결합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fastening part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omprising a fastening member that penetrates the cabinet and couples to the top of the tub.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바디와
상기 터브바디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터브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은 상기 제1투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상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터브커버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15,
The tub is
A tub body that provides space to store water
It includes a tub cover forming an upper surface of the tub body,
The cabinet includes an upper surface provided with the first inlet and forming an upper part of the cabinet,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member penetrates the upper surface and is coupled to the tub cove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투입구를 개폐하는 제2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제2투입구를 폐쇄하였을 때 상기 제2도어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상부면에서 상기 터브커버를 향하여 단차지게 형성되는 상부단차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단차면은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안착되는 단차관통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16,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econd inlet,
The fastening part
The second door includes an upper stepped surface formed to be stepped from the upper surface toward the tub cover so that the second door is spac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econd door when the second inlet is closed,
The upper stepped surface is provided with a stepped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mber is seated.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단차관통홀의 외주면에 상기 상부단차면보다 두께가 낮도록 구비되어 상기 체결부재가 안착되는 단차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17,
The fastening part
A clothing treatment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tep seating portion provid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ep through hole to have a thickness lower than that of the upper step surface and on which the fastening member is seated.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투입구는 상기 상부단차면의 내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터브커버는 상부에 상기 체결부재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17,
The second inlet is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stepped surface,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ub cover includes a fixing groove at the top of which the fastening member is coupled and fixed.
제19항에 있어서,
단차관통홀은 상기 제2투입구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고정홈은 상기 단차관통홀과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19,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tep through holes are provided at a certain distance apart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inlet, and the fixing grooves are provid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tep through holes.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고무 또는 다공성물질(porous material)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8,
A clothing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buffer portion is made of either rubber or a porous material.




KR1020160181564A 2016-12-28 A laundry apparatus KR1026687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564A KR102668745B1 (en) 2016-12-28 A laundr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564A KR102668745B1 (en) 2016-12-28 A laundry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901A KR20180076901A (en) 2018-07-06
KR102668745B1 true KR102668745B1 (en) 2024-05-23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2550B1 (en) Cloth Treating Apparatus
KR102082700B1 (en) The auxiliary washing machine and cloth trea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583493B1 (en) A laundry apparatus
KR102568673B1 (en)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8234889B2 (en) Laundry machine
US10968557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9487900B2 (en) Washing machine
KR102014786B1 (en) The auxiliary washing machine and cloth trea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668745B1 (en) A laundry apparatus
US10704185B2 (en)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US20230183901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065506B1 (en) Laundry machine
KR102148656B1 (en) A laundry apparatus
KR20180076901A (en) A laundry apparatus
KR102082701B1 (en) The auxiliary washing machine and cloth trea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190382938A1 (en)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KR101054437B1 (en) Laundry treatment equipment
KR102287102B1 (en)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540667B1 (en) Washing machine
KR102455741B1 (en) Device for treating laundry
KR101068959B1 (en) A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2434105B1 (en)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583496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30039583A (en) Laundry treat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