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7697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7697B1
KR102667697B1 KR1020190108124A KR20190108124A KR102667697B1 KR 102667697 B1 KR102667697 B1 KR 102667697B1 KR 1020190108124 A KR1020190108124 A KR 1020190108124A KR 20190108124 A KR20190108124 A KR 20190108124A KR 102667697 B1 KR102667697 B1 KR 102667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grayscale
source driver
gray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6817A (ko
Inventor
김진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8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7697B1/ko
Priority to PCT/KR2020/009922 priority patent/WO2021045388A1/ko
Publication of KR20210026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817A/ko
Priority to US17/684,668 priority patent/US1183719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7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7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688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2Improving the response spe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73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gamma adjustment, e.g. selecting another gamma curv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6Determination of a pixel data signal depending on the signal applied in the previous fra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소스 드라이브의 구동 전압 범위를 확장하여 계조 전압 범위를 확장하고, 영상 데이터의 계조 범위를 축소함으로써, 오버 드라이빙(over driving)의 전압 레벨을 높이고, 오버 드라이빙의 전압 범위를 최대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에 계조 전압을 출력하는 소스 구동부; 상기 소스 구동부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화면 모드의 전환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구동부에 공급되는 최대 전압 및 계조 전압이 상승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소스 구동부를 제어하고,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 이외의 계조 영역을 오버 드라이빙 영역으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액정 패널의 응답 속도를 개선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액정 패널의 스토리지 캐패시터(Cst) 및 액정 캐피시터(Clc)와 같은 용량성 부하의 영향으로, 계조 전압에 즉각적으로 반응하지 못하여,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이 겹쳐 잔상이 발생하는 잔상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잔상 효과를 개선하기 위하여, 이전 프레임 및 현재 프레임의 계조 변화량에 따라 현재 프레임의 계조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 레벨보다 높은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의 움직임을 빠르게 해주는 오버 드라이빙(over driving)이 이용되고 있다.
다만, 현재의 오버 드라이빙은, 추가로 인가되는 전압 크기에 비례하여 발생하는 과도 현상 및 최대 계조에서의 한계에 따라, 고계조에서의 응답 속도 개선에 어려움이 있다.
소스 드라이브의 구동 전압 범위를 확장하여 계조 전압 범위를 확장하고, 영상 데이터의 계조 범위를 축소함으로써, 오버 드라이빙(over driving)의 전압 레벨을 높이고, 오버 드라이빙의 전압 범위를 최대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에 계조 전압을 출력하는 소스 구동부; 상기 소스 구동부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화면 모드의 전환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구동부에 공급되는 최대 전압 및 계조 전압이 상승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소스 구동부를 제어하고,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 이외의 계조 영역을 오버 드라이빙 영역으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은, 전체 계조 영역에서 최대 계조 및 미리 설정된 계조 사이의 계조 영역을 제외한 계조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에 대응하도록 영상 데이터의 계조를 낮추어 상기 소스 구동부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버 드라이빙 영역에서의 계조 전압을 오버 드라이빙의 전압으로 사용하도록 상기 소스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계조가 미리 설정된 계조 이상인 경우, 상기 오버 드라이빙 영역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오버 드라이빙의 전압으로 사용하도록 상기 소스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대 전압의 상승에 대응하여 정극성의 최대 계조 전압 및 부극성의 최대 계조 전압 각각이 상승되도록 상기 소스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정 패널에서의 계조가 전압 변화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하는 전압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정극성의 최대 계조 전압 및 상기 부극성의 최대 계조 전압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극성의 최대 계조 전압 및 상기 부극성의 최대 계조 전압 각각의 상승에 대응하여 각 계조의 계조 전압이 상승되도록 상기 소스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에서의 감마 커브가 화면 모드의 전환 전후로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각 계조의 계조 전압이 상승되도록 상기 소스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버 드라이빙 영역에서의 감마 커브가 화면 모드의 전환 전후로 변환되면서 각 계조의 계조 전압이 상승되도록 상기 소스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대 전압의 상승에 대응하여 공통 전압이 상승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표준 모드에서 영화 모드로의 화면 모드 전환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구동부에 공급되는 최대 전압이 상승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에 계조 전압을 출력하는 소스 구동부 및 상기 소스 구동부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화면 모드의 전환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구동부에 공급되는 최대 전압 및 계조 전압이 상승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소스 구동부를 제어하고; 및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 이외의 계조 영역을 오버 드라이빙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은, 전체 계조 영역에서 최대 계조 및 미리 설정된 계조 사이의 계조 영역을 제외한 계조 영역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에 대응하도록 영상 데이터의 계조를 낮추어 상기 소스 구동부로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오버 드라이빙 영역에서의 계조 전압을 오버 드라이빙의 전압으로 사용하도록 상기 소스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은,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계조가 미리 설정된 계조 이상인 경우, 상기 오버 드라이빙 영역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오버 드라이빙의 전압으로 사용하도록 상기 소스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최대 전압의 상승에 대응하여 정극성의 최대 계조 전압 및 부극성의 최대 계조 전압 각각이 상승되도록 상기 소스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정극성의 최대 계조 전압 및 상기 부극성의 최대 계조 전압 각각의 상승에 대응하여 각 계조의 계조 전압이 상승되도록 상기 소스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에서의 감마 커브가 화면 모드의 전환 전후로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각 계조의 계조 전압이 상승되도록 상기 소스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소스 드라이브의 구동 전압 범위를 확장하여 계조 전압 범위를 확장하고, 영상 데이터의 계조 범위를 축소하여, 오버 드라이빙(over driving)의 전압 레벨을 높이고, 오버 드라이빙의 전압 범위를 최대화함으로써, 액정 패널의 응답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블륵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제어 블록도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구동부의 전압 상승에 기초하여 조정된 감마 커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구동부의 전압 상승에 기초하여 조정된 계조 전압 레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버 드라이빙(over driving)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스 구동부의 전압 상승에 기초하여 조정된 감마 커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중 화면 모드의 전환에 기초하여 오버 드라이빙의 전압 레벨을 높이면서 그 전압 범위를 최대화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각 단계들에 붙여지는 부호는 각 단계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들 부호는 각 단계들 상호 간의 순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고,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장치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는 TV로 구현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 장치(1)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컴퓨터의 모니터를 구현하거나, 내비게이션 단말 장치 또는 각종 휴대용 단말 장치 등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 장치로는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폰, 태블릿 피씨,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을 수용 또는 지지하는 본체(10) 및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패널(164)을 포함한다.
본체(10)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원 온/오프, 볼륨 조절, 채널 조절, 화면 모드의 전환 등에 관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 버튼(111)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에 마련된 입력 버튼(111)과는 별개로 리모트 컨트롤러가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어와 관련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액정 패널(164)은 두 기판 사이에 주입되어 있는 이방성 유전율을 갖는 액정 물질이 마련된 액정층에 계조 전압을 인가하여, 기판에 투과되는 빛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영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액정 패널(164)은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없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1)에는 액정 패널(164)로 백라이트를 투사하는 백라이트부(back light unit, BLU)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는 액정 패널(20)의 액정층에 인가되는 계조 전압의 세기를 조절하여 액정층을 통과하는 백라이트의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은 직하형(direct type) 또는 에지형(edge type)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당업자에게 기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액정 패널(164)은 화소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화소는 액정 패널(164)을 통해 표시되는 화면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로써, 도트 또는 픽셀이라 하기도 하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화소로 통일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각각의 화소는 영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광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처럼, 액정 패널(164)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가 출력하는 광학 신호가 조합되어 액정 패널(164)에 영상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화소에는 화소 전극이 마련되어 있으며, 게이트 라인과 소스 라인에 연결된다. 게이트 라인과 소스 라인은 당업자에게 기 공지된 방법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성요소 각각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액정 패널(164)의 응답 속도 개선을 위한 오버 드라이빙(over driving)의 전압 레벨을 높이면서, 오버 드라이빙의 전압 범위를 최대화하는 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어 블륵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60)의 제어 블록도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110)와,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 및 음향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부(120)와, 통신망을 통하여 컨텐츠 등과 같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30)와, 컨텐츠의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60)를 제어하고, 화면 모드의 전환에 기초하여 표시부(160)에 공급되는 전압을 조정하는 제어부(140)와,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표시부(160)로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50)와,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160)와,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17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버튼(11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버튼(111)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 버튼, 컨텐츠 수신부(120)에 의해 수신되는 통신 채널을 변경하는 채널 버튼 및 음향 출력부(17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를 조절하는 볼륨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입력부(110)는 전술한 입력 버튼(111)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의 화면 모드의 전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화면 모드는, 예를 들어, 감마 2.2 기준을 만족하는 표준 모드, 명암비(contrast ratio)가 향상된 다이나믹 모드, 색 재현력이 강화된 내츄럴 모드, 영화관 느낌을 구현하기 위하여 계조 범위를 한정하는 영화 모드 등이 있으며, 화면 모드는,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휘도 및 감마 특성을 조정하여 사용자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입력 버튼(111)에 포함된 각종 버튼은, 사용자의 가압을 감지하는 푸쉬 스위치(push switch)와 멤브레인 스위치(membrane) 또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의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 스위치(touch switch)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력 버튼(111)은 사용자의 특정한 동작에 대응하여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40)로 출력할 수 있는 다양한 입력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10)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기(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는, 디스플레이 장치(1)와 분리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로 전송할 수 있다.
신호 수신기(112)는,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이외에도,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기 공지된 다양한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한은 없다. 또한, 액정 패널(164)이 터치 스크린 타입으로 구현된 경우, 액정 패널(164)이 입력부(110)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수신부(120)는, 컨텐츠 소스들로부터 영상 데이터 및/또는 음향 신호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 단자(121) 및 튜너(12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단자(121)는, 안테나로부터 컨텐츠가 포함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RF coaxial cable connector), 셋톱 박스 또는 멀티 미디어 재생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커넥터, 컴포넌트 비디오 커넥터(component video connector), 컴포지트 비디오 커넥터(composite video connector), 디-서브(D-sub) 커넥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튜너(122)는, 방송 수신 안테나 또는 유선 케이블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방송 신호 중에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채널의 방송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22)는 방송 수신 안테나 또는 유선 케이블을 통하여 수신된 복수의 방송 신호 중에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가지는 방송 신호를 통과시키고,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방송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텐츠 수신부(120)는, 수신 단자(121) 및/또는 튜너(122)를 통하여 컨텐츠 소스들로부터 영상 데이터와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영상 데이터 및/또는 음향 신호를 제어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3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하여 각종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30)는, 무선 통신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모듈 및 유선 통신방식을 지원하는 유선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5G(5th generation), LTE,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자력 시큐어 트랜스미션(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라디오 프리퀀시(RF), 또는 보디 에어리어 네트워크(BA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GNSS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방식은,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PCI-express, USB(universe serial bus)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전술하는 동작 및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142) 및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41)는, 입력부(11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컨텐츠 수신부(120), 통신부(130), 전원 공급부(150), 표시부(160) 및 음향 출력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1)는, 입력부(110)를 통하여 화면 모드의 전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화면 모드에 대응하는 휘도 및 감마 특성을 제공하도록 전원 공급부(150), 표시부(160) 및 음향 출력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1)는, 계조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 화면 모드(예: 표준 모드)로 동작하던 중 입력부(110)를 통하여 계조 범위를 한정하는 화면 모드(예: 영화 모드)로의 전환을 수신하는 경우, 표시부(160)의 소스 구동부(162)로 공급되는 최대 전압을 높이도록 전원 공급부(150)를 제어함으로써, 소스 구동부(162)의 구동 전압 범위를 넓힐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41)는, 최대 전압의 상승에 대응하여 전 계조의 계조 전압을 높이도록 소스 구동부(162)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1)는, 소스 구동부(162)로 공급되는 최대 전압의 상승에 대응하여 정극성의 최대 계조 전압 및 부극성의 최대 계조 전압 각각이 상승되도록 소스 구동부(162)를 제어함으로써, 정극성의 계조 전압 범위 및 부극성의 계조 전압 범위를 넓힐 수 있다. 소스 구동부(162)로 공급되는 최대 전압 및 계조 전압을 상승하는 것에 대하여는 뒤에서 다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프로세서(141)는, 소스 구동부(162)로 공급되는 최대 전압 및 계조 전압을 상승시키는 제어할 때,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 이외의 계조 영역을 오버 드라이빙 영역(예: 220 내지 255 계조)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예: 0 내지 220 계조)은, 전체 계조 영역(예: 0 내지 255 계조)에서 최대 계조(예: 255 계조) 및 미리 설정된 계조(예: 220) 사이의 계조 영역을 제외한 계조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체 계조 영역이 0 내지 255 계조인 것을 예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계조에 할당되는 비트수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계조 영역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41)는, 컨텐츠 수신부(120) 또는 통신부(130)를 통하여 획득된 컨텐츠에 대한 영상 처리에 기초하여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영상 데이터를 쉬링크(shrink)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에 대응하도록 영상 데이터의 계조를 낮추어 소스 구동부(162)로 송신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1)는, 영상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에서의 계조만을 사용하도록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화소 각각의 계조를 미리 설정된 비율로 낮출 수 있으며, 쉬링크된 영상 데이터를 타이밍 제어부(161)로 송신함으로써, 소스 구동부(162)가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으로 액정 패널(164)을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1)는, 오버 드라이빙 영역에서의 계조 전압을 오버 드라이빙의 전압으로 사용하도록 소스 구동부(162)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1)는,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계조가 미리 설정된 계조 이상인 경우, 오버 드라이빙 영역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오버 드라이빙의 전압으로 사용하도록 소스 구동부(162)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1)는,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 내에서 미리 설정된 계조 이상의 고계조 영역에 대하여, 오버 드라이빙 영역의 계조 전압을 인가하도록 소스 구동부(162)를 제어함으로써, 고계조 영역에서의 응답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141)는, 쉬링크된 이후의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계조가 미리 설정된 계조 이상의 고계조에 해당하는 경우, 오버 드라이빙 영역의 계조 전압을 인가하여 오버 드라이빙을 수행하도록 소스 구동부(162)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오버 드라이빙 영역은, 화면 모드의 전환에 따른 소스 구동부(162)로 인가되는 구동 전압 및 계조 전압의 상승에 기초하여, 화면 모드의 전환 이전에 비해 더 높은 크기의 계조 전압이 할당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효과적으로 오버 드라이빙을 수행하여 응답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화면 모드의 전환 이후, 오버 드라이빙의 전압 레벨은 더 높아질 수 있으며, 오버 드라이빙의 전압 범위가 확장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41)는, 쉬링크된 이후의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계조가 미리 설정된 계조 미만의 저계조에 해당하는 경우,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계조 보다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의 계조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인가하여 오버 드라이빙을 수행하도록 소스 구동부(162)를 제어할 수 있다. 오버 드라이빙을 수행하는 것에 대하여는 뒤에서 다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142)는, 계조 및 계조 전압 사이의 상관 관계에 대한 정보 즉, 감마 커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화면 모드 전환에 따른 계조 전압의 조정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모리(142)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하여,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유형이면, 메모리(142)의 유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150)는, 표시부(160)로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50)는, 소스 구동부(162) 및 게이트 구동부(163) 각각의 구동 전압을 공급할 수 있으며, 액정 패널(164)의 액정층에 필요한 공통 전압(Vcom)을 각각의 화소 전극을 통하여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150)는, DC/DC 컨버터 및 PWM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별도의 IC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60)는, 제어부(14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액정 패널(164)을 구동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부(160)는, 소스 구동부(162)와, 게이트 구동부(163)와, 게이트 제어 신호 및 소스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소스 구동부(162) 및 게이트 구동부(163)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부(161)를 포함한다.
또한, 표시부(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신호를 전달하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GL1, GL2, GL3 … GLm), 게이트 라인(GL1, GL2, GL3 … GLm)에 교차하도록 형성되며, 계조 전압을 전달하는 다수의 소스 라인(DL1, DL2, DL3 … DLn)을 포함하며, 게이트 라인(GL1, GL2, GL3 … GLm)과 소스 라인(DL1, DL2, DL3 … DLn)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 형성되며 게이트 라인(GL1, GL2, GL3 … GLm)과 소스 라인(DL1, DL2, DL3 … DLn) 간의 스위치 역할을 하는 스위칭 소자를 통해 연결되는 행렬 형태의 다수의 화소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 패널(164)을 포함한다.
스위칭 소자는, 실시예에 따라,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당업자에게 기 공지된 다양한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화소들 각각은 박막 트랜지스터를 통해 계조 전압이 인가되는 화소 전극과 공통 전압(Vcom)이 인가되는 공통 전극 사이의 전계에 의해 액정층의 액정을 회동시켜 빛의 투과량을 조절함으로써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밍 제어부(161)는, 제어부(140)로부터 컬러 데이터 및 영상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제어 신호는 수직 동기 신호(Vsync)와 수평 동기 신호(Hsync), 메인 클록(MCLK),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61)는, 입력 받은 영상 제어 신호를 기초로 소스 구동부(162)를 제어하는 소스 제어 신호 및 게이트 구동부(163)를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밍 제어부(161)는, 소스 제어 신호와 컬러 데이터는 소스 구동부(162)로 출력하고, 게이트 제어 신호는 게이트 구동부(163)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구동부(162)는, 타이밍 제어부(161)로부터 입력 받은 소스 제어 신호 및 컬러 데이터에 맞추어 계조 전압의 출력 타이밍, 계조 전압의 크기, 및 극성 등을 설정하고, 공급 타이밍에 맞추어 소스 라인(DL1, DL2, DL3 … DLn)을 통해 적절한 계조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소스 구동부(162)는 기준 반전신호를 통해 반전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반전 구동되게끔 한다. 예를 들어, 기준 반전신호는 소스 드라이버와 연결된 화소 전극들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REV(reverse signal) 신호, POL(polarity control signal) 등을 포함한다.
소스 구동부(162)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드라이브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IC)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소스 드라이버 IC의 개수는 액정 패널(164)의 크기, 해상도 등과 같은 규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소스 구동부(162)는, 전원 공급부(150)로부터 공급된 구동 전압에 기초하여 타이밍 제어부(161)를 거쳐 제어부(14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의 계조 전압으로 변환하여 액정 패널(164) 상에 배열된 소스 라인(DL1, DL2, DL3 … DLn)에 각각 인가할 수 있다.
다만, 소스 구동부(162)는, 실시예에 따라,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계조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 보다 더 높은 전압을 인가하는 오버 드라이빙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뒤에서 다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부(163)는, 게이트 라인(GL1, GL2, GL3 … GLm)의 일 단부 또는 양 단부와 연결될 수 있으며, 타이밍 제어부(161)로부터 제공되는 게이트 제어 신호 및 전압 공급부(150)로부터 공급되는 게이트 온/오프 전압들을 이용하여 복수의 게이트 신호들을 생성하고, 게이트 신호들을 액정 패널(164) 상에 배열된 게이트 라인(GL1, GL2, GL3 … GLm)에 인가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163)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IC)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게이트 드라이브 IC는, 액정 패널(164)의 크기, 해상도 등과 같은 규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게이트 구동부(163)의 게이트 드라이버 IC는 게이트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게이트 라인을 통해 순차적으로 온/오프 전압, 즉 온/오프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게이트 드라이버 IC는 게이트 라인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를 순차적으로 턴 온/오프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게이트 라인에 연결된 화소에 표시할 컬러 데이터는 다수개의 전압으로 구분되는 계조 전압으로 전환되어 각각의 소스 라인에 인가된다. 이 때 한 프레임 주기동안 모든 게이트 라인들에 순차적으로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어, 모든 화소 행에 컬러 데이터에 대응되는 계조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액정 패널(164) 상에는 하나의 프레임의 영상이 표시되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소 전극에 지속적으로 동일 방향, 즉 동일 극성의 전계가 인가되면 액정 물질의 특성상 잔상이 남게 되며, 화질 열화가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공통 전압에 대한 계조 전압의 극성을 반전시켜 구동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극성은 공통전압을 기준으로 정극성 또는 부극성이 정해지게 된다. 예를 들어, 어느 한 화소가 일정 프레임에서는 정극성의 계조 전압을 인가 받았으면, 다른 일정 프레임에서는 부극성의 계조 전압을 받아야 한다. 결과적으로 특정 화소에 인가되는 계조 전압의 극성은 정극성과 부극성을 반복하는 형태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 때, 극성은 프레임이 바뀔 때마다 순차적으로 반전되거나, 복수 개의 프레임을 주기로 반전될 수도 있으며, 특정 프레임에서만 반전될 수도 있는 등, 반전 주기에는 제한이 없다. 이에 따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20)은 반전 주기에 따라 극성을 반전시키는 도트 반전 등의 구동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부(170)는, 프로세서(141)의 제어에 따라 컨텐츠 수신부(120) 또는 통신부(130)를 통하여 수신된 컨텐츠의 음향 데이터를 전달 받아,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음향 출력부(170)는 전기적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스피커(17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각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화면 모드 전환에 기초하여 소스 구동부(162)의 구동 전압 범위를 확장하고, 영상 데이터의 계조 범위를 축소하여, 오버 드라이빙의 전압 범위를 최대화하는 것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구동부(162)의 전압 상승에 기초하여 조정된 감마 커브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구동부(162)의 전압 상승에 기초하여 조정된 계조 전압 레벨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오버 드라이빙(over driving)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41)는, 화면 모드의 전환에 기초하여 소스 구동부(162)에 공급되는 최대 전압(VDD)이 상승되도록 전원 공급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모드 전환에 따라, 최대 전압(VDD)은, 14.97V에서 18.5V로 상승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스 구동부(162)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넓은 구동 전압 범위를 확보할 수 있다.
이 때, 화면 모드의 전환은, 계조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 화면 모드(예: 표준 모드)에서 계조 범위를 한정하는 화면 모드(예: 영화 모드)로의 전환에 해당할 수 있으며, 화면 모드의 전환은, 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기 공지된 알고리즘에 따라 컨텐츠의 유형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41)는, 소스 구동부(162)에 공급되는 최대 전압(VDD)의 상승에 대응하여, 전 계조 각각에 할당된 계조 전압이 상승되도록 소스 구동부(162)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1)는, 소스 구동부(162)로 공급되는 최대 전압(VDD)의 상승에 대응하여 정극성의 최대 계조 전압(VGMA_HH) 및 부극성의 최대 계조 전압(VGMA_LH) 각각이 상승되도록 소스 구동부(162)를 제어함으로써, 정극성의 계조 전압 범위(VGMA_HL 내지 VGMA_HH) 및 부극성의 계조 전압 범위(VGMA_LL 내지 VGMA_LH)를 확장할 수 있다.
이 때, 화면 전환에 기초하여 상승되는 최대 계조 전압(VGMA_HH, VGMA_LH)은, 액정 패널(164)에서의 계조가 전압 변화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하는 전압 범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1)는, 최대 전압(VDD) 레벨 내에서 액정 패널(164)의 액정층에서의 액정이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선형적으로 회동하는 전압을 최대 계조 전압(VGMA_HH, VGMA_LH)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최대 계조 전압 레벨 이상에서의 전압에서는, 액정이 더 이상 회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41)는, 정극성의 최대 계조 전압(VGMA_HH) 및 부극성의 최대 계조 전압(VGMA_LH) 각각의 상응에 대응하여 각 계조의 계조 전압이 상승되도록 소스 구동부(162)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1)는, 전 계조 각각에 할당된 계조 전압을 상승된 최대 계조 전압(VGMA_HH, VGMA_LH)의 상승에 대응하여 재할당하도록 소스 구동부(162)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1 계조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은, 9.614V에서 11.81V로 재할당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41)는, 소스 구동부(162)에 공급되는 최대 전압(VDD)의 상승에 대응하여 공통 전압(VCOM) 역시 상승되도록 전원 공급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 계조에서의 계조 전압 범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극성에서의 계조 전압 범위는, 6.31V에서 8.07V로 넓어질 수 있으며, 부극성에서의 계조 전압 범위는, 6.34V에서 8.11V로 확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 계조에서의 계조 전압 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계조 사이의 전압 레벨 간격이 확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 계조에서의 감마 커브는, 화면 모드의 전환 전후로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
화면 모드의 전환 이후의 감마 커브는, 실시예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조에 따라 계조 전압이 2차 곡선의 형태로 상승하는 커브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1)는, 소스 구동부(162)로 공급되는 최대 전압 및 계조 전압을 상승시키는 제어할 때,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 이외의 계조 영역을 오버 드라이빙 영역(예: 220 내지 255 계조)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예: 0 내지 220 계조)은, 전체 계조 영역(예: 0 내지 255 계조)에서 최대 계조(예: 255 계조) 및 미리 설정된 계조(예: 220) 사이의 계조 영역을 제외한 계조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41)는, 컨텐츠 수신부(120) 또는 통신부(130)를 통하여 획득된 컨텐츠에 대한 영상 처리에 기초하여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영상 데이터를 쉬링크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에 대응하도록 영상 데이터의 계조를 낮추어 소스 구동부(162)로 송신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1)는, 영상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에서의 계조만을 사용하도록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화소 각각의 계조를 미리 설정된 비율로 낮출 수 있으며, 쉬링크된 영상 데이터를 타이밍 제어부(161)를 통하여 소스 구동부(162)로 송신함으로써, 소스 구동부(162)가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으로 액정 패널(164)을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141)는,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 내의 계조만으로 구성되는 영상 데이터를 타이밍 제어부(161)로 송신할 수 있으며, 타이밍 제어부(161)는,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 내의 계조만으로 구성되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스 제어 신호를 소스 구동부(162)로 인가함으로써, 소스 구동부(162)가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액정 패널(164)로 인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1)는, 오버 드라이빙 영역(예: 220 내지 255 계조)에서의 계조 전압을 오버 드라이빙의 전압으로 사용하도록 소스 구동부(162)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1)는,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계조가 미리 설정된 계조 이상인 경우, 오버 드라이빙 영역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오버 드라이빙의 전압으로 사용하도록 소스 구동부(162)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1)는,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 내에서 미리 설정된 계조 이상의 고계조 영역에 대하여, 오버 드라이빙 영역의 계조 전압을 인가하도록 소스 구동부(162)를 제어함으로써, 고계조 영역에서의 응답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141)는, 쉬링크된 이후의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계조가 미리 설정된 계조 이상의 고계조에 해당하는 경우, 오버 드라이빙 영역의 계조 전압을 인가하여 오버 드라이빙을 수행하도록 소스 구동부(162)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오버 드라이빙 영역은, 화면 모드의 전환에 따른 소스 구동부(162)로 인가되는 구동 전압 및 계조 전압의 상승에 기초하여, 화면 모드의 전환 이전에 비해 더 높은 크기의 계조 전압이 할당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효과적으로 오버 드라이빙을 수행하여 응답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계조가 255 계조(최고 계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장치(1)는, 영상 데이터의 쉬링크 및 소스 구동부(162)의 구동 전압 범위 및 계조 전압 범위 상승을 통하여, 해당 계조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 보다 높은 전압을 오버 드라이빙의 전압으로 인가함으로써, 보상이 없을 때의 응답 속도에 비하여 빠른 응답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영상 데이터의 계조 범위를 한정하고, 소스 구동부(162)의 구동 전압 범위 및 계조 전압 범위를 확장함으로써, 보다 높은 전압 레벨에서의 오버 드라이빙 전압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계조에서의 응답 속도 개선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41)는, 쉬링크된 이후의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계조가 미리 설정된 계조 미만의 저계조에 해당하는 경우,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계조 보다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의 계조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인가하여 오버 드라이빙을 수행하도록 소스 구동부(162)를 제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는, 소스 구동부(162)의 구동 전압 범위 및 계조 전압 범위를 확장하고, 영상 데이터가 사용하는 계조 범위을 축소함으로써, 고계조에서의 오버 드라이빙의 전압 레벨을 높이면서, 오버 드라이빙의 전압 범위를 확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계조에서의 액정의 응답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스 구동부(162)의 전압 상승에 기초하여 조정된 감마 커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41)는, 상승되는 최대 전압(VDD)의 상승에 대응하여 전 계조 각각에 할당된 계조 전압이 상승되도록 소스 구동부(162)를 제어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에서의 감마 커브가 화면 모드의 전환 전후로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각 계조의 계조 전압이 상승되도록 소스 구동부(162)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1)는, 소스 구동부(162)로 공급되는 최대 전압(VDD)의 상승에 대응하여 정극성의 최대 계조 전압(VGMA_HH) 및 부극성의 최대 계조 전압(VGMA_LH) 각각이 상승되도록 소스 구동부(162)를 제어하는 경우, 계조 사이의 전압 레벨 간격이 화면 모드 전환의 전후로 동일하게 유지되면서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에서의 각 계조의 계조 전압이 상승되도록 소스 구동부(162)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에서의 계조에 따른 계조 전압의 감마 커브는, 화면 모드의 전환 전후로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에서의 감마값은, 화면 모드의 전환 전후로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에서의 계조 전압 범위는, 화면 모드의 전환 전후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41)는,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 이외의 계조 영역 즉, 오버 드라이빙 영역에서의 감마 커브가 화면 모드 전환 전후로 변환되면서 각 계조의 계조 전압이 상승되도록 소스 구동부(162)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오버 드라이빙 영역에서의 계조 전압은, 전압 스트레치(stretch)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 내에서의 최고 계조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부터 최대 계조(예: 255 계조)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VGAM_HH 또는 VGAM_LL)까지 상승(정극성) 또는 하강(부극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계조 전압 범위는, 화면 모드의 전환 이후 전 계조 영역에 대하여 확장될 수 있으며, 다만,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에 대하여는 화면 모드 전환 전후로 동일한 크기의 전압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는,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 이외의 계조 영역에 대한 확장으로, 전압 레벨이 높으면서도 확장된 전압 범위를 갖는 오버 드라이빙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는, 화면 모드의 전환 이후 보다 레벨이 높아지면서 확장된 오버 드라이빙의 전압 범위를 제공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에서는 화면 모드의 전환 전후로 동일한 감마 커브의 계조 전압을 제공함으로써, 고계조에서의 응답 속도 개선을 제공하면서도, 표시 영상의 품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는, 반응 속도가 빠른 액정 또는 구동 주파수가 높은 구동 시스템으로의 변경 없이도, 소스 구동부(162)의 구동 전압 범위 및 계조 전압 범위를 확장하고, 영상 데이터의 계조 사용 범위를 축소함으로써, 높은 전압 레벨의 오버 드라이빙 전압을 제공할 수 있어, 고계조에서의 응답 속도 개선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어 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어 방법에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어 방법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어 방법 중 화면 모드의 전환에 기초하여 오버 드라이빙의 전압 레벨을 높이면서 그 전압 범위를 최대화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화면 모드가 전환되는 경우(810의 예), 소스 구동부(162)에 공급되는 최대 전압(VDD)이 상승되도록 전원 공급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820). 이를 통해, 소스 구동부(162)의 구동 전압 범위가 확장될 수 있다.
이 때, 화면 모드의 전환은, 계조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 화면 모드(예: 표준 모드)에서 계조 범위를 한정하는 화면 모드(예: 영화 모드)로의 전환에 해당할 수 있으며, 화면 모드의 전환은, 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기 공지된 알고리즘에 따라 컨텐츠의 유형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최대 전압(VDD)의 상승에 대응하여, 각 계조의 계조 전압이 상승되도록 소스 구동부(162)를 제어할 수 있다(830).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1)는, 소스 구동부(162)로 공급되는 최대 전압(VDD)의 상승에 대응하여 정극성의 최대 계조 전압(VGMA_HH) 및 부극성의 최대 계조 전압(VGMA_LH) 각각이 상승되도록 소스 구동부(162)를 제어함으로써, 정극성의 계조 전압 범위(VGMA_HL 내지 VGMA_HH) 및 부극성의 계조 전압 범위(VGMA_LL 내지 VGMA_LH)를 확장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41)는, 정극성의 최대 계조 전압(VGMA_HH) 및 부극성의 최대 계조 전압(VGMA_LH) 각각의 상응에 대응하여 각 계조의 계조 전압이 상승되도록 소스 구동부(162)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1)는, 전 계조 각각에 할당된 계조 전압을 상승된 최대 계조 전압(VGMA_HH, VGMA_LH)의 상승에 대응하여 재할당하도록 소스 구동부(162)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1)는, 실시예에 따라,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에서의 계조 전압 범위가 화면 모드 전환의 전후로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각 계조의 계조 전압이 상승되도록 소스 구동부(162)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에 대응하도록 영상 데이터의 계조를 낮추어 소스 구동부(162)로 송신할 수 있다(840).
이 때, 프로세서(141)는, 컨텐츠 수신부(120) 또는 통신부(130)를 통하여 획득된 컨텐츠에 대한 영상 처리에 기초하여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영상 데이터를 쉬링크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에 대응하도록 영상 데이터의 계조를 낮추어 소스 구동부(162)로 송신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1)는, 영상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에서의 계조만을 사용하도록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화소 각각의 계조를 미리 설정된 비율로 낮출 수 있으며, 쉬링크된 영상 데이터를 타이밍 제어부(161)를 통하여 소스 구동부(162)로 송신함으로써, 소스 구동부(162)가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으로 액정 패널(164)을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 이외의 계조 영역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오버 드라이빙의 전압으로 사용하도록 소스 구동부(162)를 제어할 수 있다(850).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1)는,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계조가 미리 설정된 계조 이상인 경우, 오버 드라이빙 영역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오버 드라이빙의 전압으로 사용하도록 소스 구동부(162)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1)는,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 내에서 미리 설정된 계조 이상의 고계조 영역에 대하여, 오버 드라이빙 영역의 계조 전압을 인가하도록 소스 구동부(162)를 제어함으로써, 고계조 영역에서의 응답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141)는, 쉬링크된 이후의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계조가 미리 설정된 계조 이상의 고계조에 해당하는 경우, 오버 드라이빙 영역의 계조 전압을 인가하여 오버 드라이빙을 수행하도록 소스 구동부(162)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오버 드라이빙 영역은, 화면 모드의 전환에 따른 소스 구동부(162)로 인가되는 구동 전압 및 계조 전압의 상승에 기초하여, 화면 모드의 전환 이전에 비해 더 높은 크기의 계조 전압이 할당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효과적으로 오버 드라이빙을 수행하여 응답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는, 소스 구동부(162)의 구동 전압 범위 및 계조 전압 범위를 확장하고, 영상 데이터가 사용하는 계조 범위을 축소함으로써, 고계조에서의 오버 드라이빙의 전압 레벨을 높이면서, 오버 드라이빙의 전압 범위를 확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계조에서의 액정의 응답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디스플레이 장치 10: 본체
110: 입력부 111: 입력 버튼
112: 신호 수신기 120: 컨텐츠 수신부
121: 수신 단자 122: 튜너
130: 통신부 140: 제어부
141: 프로세서 141: 메모리
150: 전원 공급부 160: 표시부
161: 타이밍 제어부 162: 소스 구동부
163: 게이트 구동부 164: 액정 패널
170: 음향 출력부 171: 스피커

Claims (20)

  1.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에 계조 전압을 출력하는 소스 구동부;
    상기 소스 구동부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화면 모드의 전환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구동부에 공급되는 최대 전압 및 계조 전압이 상승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소스 구동부를 제어하고,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 이외의 계조 영역을 오버 드라이빙 영역으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 모드에 따른 상기 최대 전압의 상승에 기초하여 정극성의 최대 계조 전압 및 부극성의 최대 계조 전압 각각이 상승되도록 상기 소스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정극성의 최대 계조 전압 및 상기 부극성의 최대 계조 전압 각각의 상승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에서의 감마 커브가 화면 모드의 전환 전후로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각 계조의 계조 전압이 상승되도록 상기 소스 구동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은,
    전체 계조 영역에서 최대 계조 및 미리 설정된 계조 사이의 계조 영역을 제외한 계조 영역인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에 대응하도록 영상 데이터의 계조를 낮추어 상기 소스 구동부로 송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버 드라이빙 영역에서의 계조 전압을 오버 드라이빙의 전압으로 사용하도록 상기 소스 구동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계조가 미리 설정된 계조 이상인 경우, 상기 오버 드라이빙 영역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오버 드라이빙의 전압으로 사용하도록 상기 소스 구동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정 패널에서의 계조가 전압 변화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하는 전압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정극성의 최대 계조 전압 및 상기 부극성의 최대 계조 전압을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에 계조 전압을 출력하는 소스 구동부 및 상기 소스 구동부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화면 모드의 전환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구동부에 공급되는 최대 전압 및 계조 전압이 상승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소스 구동부를 제어하고;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 이외의 계조 영역을 오버 드라이빙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화면 모드에 따른 상기 최대 전압의 상승에 기초하여 정극성의 최대 계조 전압 및 부극성의 최대 계조 전압 각각이 상승되도록 상기 소스 구동부를 제어하고; 및
    상기 정극성의 최대 계조 전압 및 상기 부극성의 최대 계조 전압 각각의 상승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계조 영역에서의 감마 커브가 화면 모드의 전환 전후로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각 계조의 계조 전압이 상승되도록 상기 소스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90108124A 2019-09-02 2019-09-02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667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124A KR102667697B1 (ko) 2019-09-02 2019-09-02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0/009922 WO2021045388A1 (ko) 2019-09-02 2020-07-28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7/684,668 US11837190B2 (en) 2019-09-02 2022-03-02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124A KR102667697B1 (ko) 2019-09-02 2019-09-02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817A KR20210026817A (ko) 2021-03-10
KR102667697B1 true KR102667697B1 (ko) 2024-05-22

Family

ID=74852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124A KR102667697B1 (ko) 2019-09-02 2019-09-02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37190B2 (ko)
KR (1) KR102667697B1 (ko)
WO (1) WO20210453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6873A (ko) * 2021-02-16 2022-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313B1 (ko) * 2012-12-11 2014-06-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243B1 (ko) * 2005-08-31 2013-04-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WO2009064364A1 (en) 2007-11-13 2009-05-22 Colseq,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erroneous color effects in a field sequential liquid crystal display
CN103205172B (zh) 2008-01-18 2016-10-05 罗地亚管理公司 低voc胶乳涂料组合物及赋予冻融稳定性的方法
TWI402797B (zh) 2008-08-08 2013-07-21 Chunghwa Picture Tubes Ltd 顯示器的驅動方法和驅動裝置
KR20180002966A (ko) * 2016-06-29 2018-0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679882B1 (ko) * 2016-11-25 2024-07-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CN107068098B (zh) * 2017-05-16 2019-12-31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面板的驱动方法及装置
KR20190100097A (ko) * 2019-08-08 2019-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상의 화면의 화질 또는 화면 내용을 추론하여 화면을 조정하는 방법, 제어기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313B1 (ko) * 2012-12-11 2014-06-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89430A1 (en) 2022-06-16
KR20210026817A (ko) 2021-03-10
WO2021045388A1 (ko) 2021-03-11
US11837190B2 (en) 202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8367B2 (en) Content-driven slew rate control for display driver
US11308841B2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apparatus,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control device
KR10261559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90894B1 (ko) 계조 데이터를 보정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타이밍 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한 패널 구동방법
CN105741814B (zh) 一种显示方法、显示器及显示装置
KR20150042371A (ko)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US20080165099A1 (en) Lcds and methods for driving same
CN106328090B (zh) 液晶显示器的驱动方法及驱动系统
US11830453B2 (en) Display apparatus for adjusting current provided to light emitting ele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06790A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JP4523348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2017008860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11837190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07385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11214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033713A1 (en) Screen saver controller,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device
KR101777126B1 (ko)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24003953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40096295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40137811A (ko) 표시패널 구동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장치
KR101647031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90099668A (ko)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KR20080084152A (ko) 액정표시패널의 구동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264705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201702214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polarity control in display driv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