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7584B1 -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7584B1
KR102667584B1 KR1020210116763A KR20210116763A KR102667584B1 KR 102667584 B1 KR102667584 B1 KR 102667584B1 KR 1020210116763 A KR1020210116763 A KR 1020210116763A KR 20210116763 A KR20210116763 A KR 20210116763A KR 102667584 B1 KR102667584 B1 KR 102667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ny
travel
information
wheelchair
disa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6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3849A (ko
Inventor
조준섭
Original Assignee
협동조합 작은시선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협동조합 작은시선 filed Critical 협동조합 작은시선
Priority to KR1020210116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7584B1/ko
Publication of KR20230033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3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7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75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6Cluster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시스템은 업체 점검자 단말로부터 여행 업체의 업체 시설 각각에 대한 업체 시설 점검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업체 시설 점검 정보 중 입구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해당 여행 업체가 장애인이 휠체어를 타고 이용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해당 여행 업체를 장애인이 이용 가능 시설로 선정하는 업체 선정 관리부, 상기 업체 선정 관리부에 의해 선정된 여행 업체의 상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시설 점검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업체 선정 관리부에 의해 선정된 여행 업체의 업체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업체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업체 선정 관리부에 의해 선정된 여행 업체에 대한 업체 시설 점검 정보를 기초로 장애인 전용 주차장 항목, 장애인 전용 엘리베이터 항목, 휠체어 대여소 항목, 장애인 전용 화장실 항목, 객실 내 장애인 화장실 항목 및 장애인 전용 객실 항목 각각의 상태 정보를 결정하여 상기 시설 점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시설 관리부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여행 업체에 대한 조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업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여행 업체의 정보 및 상기 시설 점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여행 업체의 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여행 업체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업체 시설 중 여행 업체 맞춤형 스마트 휠체어는 도킹 포트를 통해 상기 여행 업체 맞춤형 스마트 휠체어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 표시된 제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말 장치 연결 포트, 여행 업체의 종류에 따라 해당 여행 업체에서 이용 가능한 편의 시설의 기능 중 상기 단말 장치 연결 포트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해당하는 이용 가능한 편의 시설의 리모컨 기능을 실행하는 리모컨부 및 상기 단말 장치 연결 포트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의 종류에 따라 상기 여행 업체 맞춤형 스마트 휠체어의 동작 시작 시간 및 동작 종료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동작 시작 시간 및 동작 종료 시간에 따라 상기 여행 업체 맞춤형 스마트 휠체어 사용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사용 시간에 따라 상기 여행 업체 맞춤형 스마트 휠체어의 이용 요금을 과금하는 요금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METHOD OF PROVIDING TRAVEL INFORMATION FOR DISABLED PERSON AND METHOD OF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사하게는 업체를 사전에 방문한 후 해당 업체가 휠체어를 타고 있는 장애인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업체를 장애인이 이용 가능한 업체로 저장한 후 추후 장애인이 정보 검색 요청 시 업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여행을 즐기는 사용자의 수가 급증하면서 국내 또는 해외 여행 상품을 선택하거나, 자신에게 적합한 상품이 없는 경우 자신이 직접 시간을 들여 일정을 계획하고 예약을 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장애인들은 정상인들에 비해 여행시 많은 불편을 겪을 수 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정상인들 에게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여행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사이트(site)들은 많이 있었으나, 장애인들을 위해 특화된 고품격의 여행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곳은 없었다.
그 결과 장애인의 경우 정상인들에 비해 여행하고 싶은 욕구가 크지만, 여행 시 발생되는 불편함으로 인해 여행을 스스로 포기 할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업체를 사전에 방문한 후 해당 업체가 휠체어를 타고 있는 장애인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업체를 장애인이 이용 가능한 업체로 저장한 후 추후 장애인이 정보 검색 요청 시 업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애인이 검색 요청 시 해당 업체에 대한 장애인 이용 가능한 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장애인이 업체 선정 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시스템은 업체 점검자 단말로부터 여행 업체의 업체 시설 각각에 대한 업체 시설 점검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업체 시설 점검 정보 중 입구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해당 여행 업체가 장애인이 휠체어를 타고 이용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해당 여행 업체를 장애인이 이용 가능 시설로 선정하는 업체 선정 관리부, 상기 업체 선정 관리부에 의해 선정된 여행 업체의 상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시설 점검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업체 선정 관리부에 의해 선정된 여행 업체의 업체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업체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업체 선정 관리부에 의해 선정된 여행 업체에 대한 업체 시설 점검 정보를 기초로 장애인 전용 주차장 항목, 장애인 전용 엘리베이터 항목, 휠체어 대여소 항목, 장애인 전용 화장실 항목, 객실 내 장애인 화장실 항목 및 장애인 전용 객실 항목 각각의 상태 정보를 결정하여 상기 시설 점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시설 관리부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여행 업체에 대한 조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업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여행 업체의 정보 및 상기 시설 점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여행 업체의 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여행 업체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업체 시설 중 여행 업체 맞춤형 스마트 휠체어는 도킹 포트를 통해 상기 여행 업체 맞춤형 스마트 휠체어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 표시된 제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말 장치 연결 포트, 여행 업체의 종류에 따라 해당 여행 업체에서 이용 가능한 편의 시설의 기능 중 상기 단말 장치 연결 포트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해당하는 이용 가능한 편의 시설의 리모컨 기능을 실행하는 리모컨부 및 상기 단말 장치 연결 포트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의 종류에 따라 상기 여행 업체 맞춤형 스마트 휠체어의 동작 시작 시간 및 동작 종료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동작 시작 시간 및 동작 종료 시간에 따라 상기 여행 업체 맞춤형 스마트 휠체어 사용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사용 시간에 따라 상기 여행 업체 맞춤형 스마트 휠체어의 이용 요금을 과금하는 요금 처리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업체를 사전에 방문한 후 해당 업체가 휠체어를 타고 있는 장애인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업체를 장애인이 이용 가능한 업체로 저장한 후 추후 장애인이 정보 검색 요청 시 업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장애인이 검색 요청 시 해당 업체에 대한 장애인 이용 가능한 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장애인이 업체 선정 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여행 업체의 화장실에 대한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여행 업체의 엘리베이터에 대한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여행 업체의 테이블에 대한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업체 맞춤형 스마트 휠체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업체 맞춤형 스마트 휠체어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경사로"에 대한 정보는 경사로 이미지(예를 들어, 경사로 정면 이미지, 전체적인 기울기 확인을 위한 경사로 측면 이미지, 경사로 손잡이 이미지, 경사로 바닥면 이미지등), 경사로 수치(예를 들어, 경사로 가로 폭, 경사로 측면 손잡이 유무, 경사로 바닥 미끄럼 방지판의 유무, 경사 정도 등) 및 경사로 상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입구"에 대한 정보는 입구 이미지(예를 들어, 간판 및 입구 이미지, 입구 문 이미지, 입구 턱 이미지, 입구 손잡이 이미지, 입구 바다 이미지 등), 입구 수치(예를 들어, 입구 폭, 입구 턱, 입구 문의 종류, 입구 손잡이의 높이, 매표대 높이 및 매표대 하부 높이 등) 및 입구 상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로비"에 대한 정보는 로비 이미지(예를 들어, 내부 이미지, 안내 데스크 이미지, 내부 바닥 이미지, 내부 시설 이미지 등), 로비 수치(예를 들어, 안내테스크 높이 공간, 안내테스크 하부 공간 및 장애인 객실 보유 개수 등) 및 로비 상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엘리베이터"에 대한 정보는 엘리베이터 이미지(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공간 전체 이미지, 층별 인포메이션 이미지, 엘리베이터 문 이미지, 외부 버튼 이미지, 내부 이미지, 내부 버튼 이미지, 내부 손잡이 이미지 등), 엘리베이터 수치(예를 들어, 입구 폭, 내부 공간 폭, 외부 버튼 높이 및 내부 버튼 높이 등) 및 엘리베이터 상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객실 입구"에 대한 정보는 객실 이미지(예를 들어, 엘리베이터를 나온 후 방 입구까지의 통로 및 바닥 이미지, 객실 번호 이미지, 바깥문 이미지, 입구 폭을 확인하기 위한 용도로 문을 열었을 때 내부 이미지, 문을 열었을 때 입구 턱 이미지, 신발장 이미지, 실발장 턱 이미지 등), 객실 입구 수치(예를 들어, 통로 폭, 입구 폭, 손잡이 높이, 입구 턱 및 신발장 턱 등) 및 객실 입구 상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객실 내부"에 대한 정보는 객실 이미지(예를 들어, 유효 공간을 파악하기 위한 용도로 창문쪽에서 바라본 방 내부 및 안쪽에서 찍은 방 내부 각각의 이미지, 침대 사이의 공간을 확인하기 위한 위한 용도로 내부 침대 이미지, 내부 선반 및 테이블 이미지, 내부 창문 이미지 등), 객실 내부 수치(예를 들어, 침대 사이 폭, 창문 높이 및 선박 높이 등) 및 객실 내부 상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화장실 입구"에 대한 정보는 화장실 입구 이미지(예를 들어, 화장실 통로 이미지, 화장실 문 이미지, 화장실 손잡이 이미지, 화장실 턱 이미지 등), 화장실 입구 수치(예를 들어, 화장실 입구 폭, 입구 턱, 화장실 문 종류 및 화장실 손잡이의 높이) 및 화장실 입구 상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화장실 내부"에 대한 정보는 화장실 내부 이미지(예를 들어, 유효 공간을 파악하기 위한 용도로 내부 전체 이미지, 수도꼭지 종류가 식별가능하도록 세면대 정면 이미지 및 위에서 내려보는 방향의 세면대 이미지, 세면대 밑 공간 이미지, 변기 측면 이미지, 욕조 또는 샤워기 이미지, 샤워기 칸막이 이미지 등), 화장실 내부 수치(예를 들어, 세면대 높이, 세면대 하부 높이, 변기 손잡이 유무, 등받이 유무, 샤워기 유효 활동 공간 및 샤워기 높이 등) 및 화장실 내부 상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주차장"에 대한 정보는 주차장 이미지(예를 들어, 주차장 전체 이미지, 장애인 주차 구역 표지판 이미지, 장애인 주차 칸 이미지, 주차 이용 안내 이미지 등), 주차장 수치(예를 들어, 장애인 주차 칸수, 장애인 주차 칸 길이 등) 및 주차장 상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휠체어 충전기 및 휠체어 공기 주입기" 각각에 대한 정보는 휠체어 충전기, 휠체어 공기 주입기 각각에 대한 이미지, 휠체어 충전기 및 휠체어 공기 주입기 각각의 수치(예를 들어, 휠체어 충전기 개수, 휠체어 공기 주입기 개수, 유효 공간 폭) 및 휠체어 충전기 및 휠체어 공기 주입기 각각의 상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휠체어 대여소"에 대한 정보는 휄체어 대여소 이미지(예를 들어, 휠체어 대여소 전체 이미지, 대여 가능한 휠체어 이미지, 휠체어 보관함 이미지 등), 휠체어 대여소 수치(예를 들어, 휠체어 총 보유 개수, 보유 휠체어 종류 등) 및 휠체어 대여소 상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관광지 내부"에 대한 정보는 관광지 내부 이미지, 관광지 내부 수치 및 관광지 내부 상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카페 내부"에 대한 정보는 카페 내부 이미지, 카페 수치(예를 들어, 테이블 하부 공간, 테이블 사이 간격, 카페 주문하는 곳 높이 등) 및 카페 상태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시스템은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100), 업체 점검자 단말(200) 및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한다.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100)는 업체 점검자 단말(200)로부터 여행 업체가 장애인이 이용하기에 적합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업체 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업체 별 데이터베이스(즉, 숙박 업체 데이터베이스, 실내 관광 시설 데이터베이스, 실외 관광 시설 데이터베이스, 음식점 데이터베이스, 카페 데이터베이스 등)를 구축한다. 이때, 여행 업체은 숙박 업체, 실내 관광 시설, 실외 관광 시설, 음식점 및 카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100)는 업체 점검자 단말(200)로부터 숙박 시설에 대해서 업체 시설에 대한 각각의 정보를 수신하여 숙박 업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때, 업체 시설은 경사로, 입구, 로비, 엘리베이터, 객실 입구, 객실 내부, 화장실 입구, 화장실 내부, 주차장, 휠체어 충전기, 휠체어 공기 주입기, 여행 업체 맞춤형 휠체어 대여소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100)는 업체 점검자 단말(200)로부터 실내 관광 시설에 대해서 경사로, 입구, 관광지 내부, 화장실 입구, 화장실 내부, 엘리베이터, 주차장, 휠체어 충전기, 휠체어 공기 주입기, 여행 업체 맞춤형 휠체어 대여소 여부에 대한 각각의 정보를 수신하여 실내 관광 시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100)는 업체 점검자 단말(200)로부터 실내 관광 시설에 대해서 경사로, 입구, 관광지 내부, 화장실 입구, 화장실 내부, 엘리베이터, 주차장, 휠체어 충전기, 휠체어 공기 주입기, 여행 업체 맞춤형 휠체어 대여소 여부에 대한 각각의 정보를 수신하여 실외 관광 시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100)는 업체 점검자 단말(200)로부터 음식점에 대해서 경사로, 입구, 음식점 내부, 화장실 입구, 화장실 내부, 엘리베이터, 주차장, 휠체어 충전기, 휠체어 공기 주입기, 여행 업체 맞춤형 휠체어 대여소 여부에 대한 각각의 정보를 수신하여 음식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100)는 업체 점검자 단말(200)로부터 카페에 대해서 경사로, 입구, 카페 내부, 화장실 입구, 화장실 내부, 엘리베이터, 주차장, 휠체어 충전기, 휠체어 공기 주입기, 여행 업체 맞춤형 휠체어 대여소 여부에 대한 각각의 정보를 수신하여 카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상기의 실시예들에서,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100)는 업체 점검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정보 각각과 미리 결정된 기준 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업체가 장애인이 휠체어를 타고 이용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 후 판단 결과에 따라 해당 업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100)는 업체 점검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입구 문 이미지 및 입구 폭을 기초로 미리 결정된 입구 폭 이상인지 여부와 입구 턱 이미지 및 입구 턱의 높이가 미리 결정된 높이 이하인지 여부에 따라 해당 업체가 장애인이 휠체어를 타고 진입 가능한지 판단한다.
이때,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100)는 입구 문의 종류가 자동문인 경우 업체 점검자 단말(200)로 수신된 업체 각각의 입구 폭이 미리 결정된 장애인용 휠체어의 폭(예를 들어, 90cm)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입구 문의 종류가 여닫이문 또는 미닫이문인 경우 출입문 옆으로 활동 공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한편,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100)는 비장애인과 동행하는 경우 입구 턱의 높이가 미리 결정된 턱의 높이 이상이더라도 입구 턱의 높이를 고려하지 않는다.
그런 다음,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100)는 장애인이 휠체어를 타고 진입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업체 시설 점검 정보를 기초로 업체 시설 존재 항목의 상태 정보를 결정하여 상기 시설 점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때, 시설 존재 항목은 장애인 전용 주차장 항목, 장애인 전용 엘리베이터 항목, 휠체어 대여소 항목, 장애인 전용 화장실 항목, 객실 내 장애인 화장실 항목 및 장애인 전용 객실 항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100)는 업체 시설 점검 정보 각각을 기초로 표준 휠체어의 크기, 상기 표준 휠체어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 방향 전환 시 필요한 공간 크기, 상기 표준 휠체어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 이동 공간 크기 및 휠체어에서 내려하는 경우 양옆 수평 손잡이 또는 한쪽 수직 손잡이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업체 시설 존재 항목 각각에 대한 진입 가능 여부, 시설 이용 가능 여부 및 회전 가능 여부 각각을 확인하여 업체 시설 존재 항목의 상태를 존재 상태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100)는 업체 시설 "화장실"에 대한 업체 시설 점검 정보 각각을 기초로 표준 휠체어의 크기 및 문의 크기를 비교하여 진입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표준 휠체어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 방향 전환 시 필요한 공간 크기 및 내부 공간 크기를 비교하여 회전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다른 예를 들어,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100)는 업체 시설 "엘레베이터"에 대한 업체 시설 점검 정보 각각을 기초로 표준 휠체어의 크기 및 문의 크기를 비교하여 진입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표준 휠체어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 방향 전환 시 필요한 공간 크기 및 내부 공간 크기를 비교하여 회전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100)는 업체 시설 점검 정보 각각을 기초로 상기 장애인이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상기 여행 업체의 시설을 이용하여야 하는 경우, 휠체어의 높이 및 바닥부터 엘리베이터의 버튼까지의 높이를 비교하여 상기 장애인이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상기 여행 업체의 시설을 이용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상기 시설의 하부 공간의 존재 및 바닥부터 상기 시설까지의 높이를 기초로 상기 장애인이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상기 여행 업체의 시설을 이용가능한지 판단하여 업체 시설 존재 항목 각각에 대한 시설 이용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100)는 업체 시설 "엘리베이터"의 대한 업체 시설 점검 정보 각각을 기초로 장애인이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여행 업체의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야 하는 경우, 휠체어의 높이 및 바닥부터 엘리베이터의 버튼까지의 높이를 비교하여 장애인이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엘리베이터의 내부 버튼 또는 외부 버튼을 선택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시설 이용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다른 예를 들어,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100)는 업체 시설 "화장실"에 대한 업체 시설 점검 정보 각각을 기초로 장애인이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여행 업체의 화장실의 세면대를 이용하여야 하는 경우, 시설의 하부 공간의 존재 및 바닥부터 상기 시설까지의 높이에 따라 장애인이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세면대를 이용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시설 이용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100)는 업체 시설 "화장실의 변기"에 대한 업체 시설 점검 정보 각각을 기초로 양옆 수평 손잡이 또는 한쪽 수직 손잡이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시설 이용 가능 여부 및 회전 가능 여부에 따라 시설 이용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그런 다음,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100)는 업체 시설 존재 항목 각각에 대한 진입 가능 여부, 회전 가능 여부 및 시설 이용 가능 여부가 모두 가능한 경우, 상기 업체 시설 존재 항목의 상태를 존재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업체 점검자 단말(200)은 여행 업체가 장애인이 이용하기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여행 업체 별 업체 시설 점검 정보를 생성하여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100)에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300)은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여 여행 업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장애인이 보유하는 단말이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300)에는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300)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여 여행 업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여행 업체에 대한 조회 요청 메시지를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100)에 제공하면,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100)로부터 여행 업체의 상태 정보(즉, 장애인 전용 주차장 항목, 장애인 전용 엘리베이터 항목, 휠체어 대여소 항목, 장애인 전용 화장실 항목, 객실 내 장애인 화장실 항목 및 장애인 전용 객실 항목 각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100)는 업체 선정 관리부(105), 시설 관리부(108),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10), 숙박 업체 데이터베이스(120), 실내 관광 시설 데이터베이스(130), 실외 관광 시설 데이터베이스(140), 음식점 데이터베이스(150), 카페 데이터베이스(160), 업체 정보 데이터베이스(170) 및 시설 점검 정보 데이터베이스(180)를 포함한다.
업체 선정 관리부(105)는 숙박 업체 데이터베이스(120), 실내 관광 시설 데이터베이스(130), 실외 관광 시설 데이터베이스(140), 음식점 데이터베이스(150) 및 카페 데이터베이스(160) 각각에 저장된 여행 업체(즉, 숙박 시설, 실내 관광 시설, 실외 관광 시설, 음식점 및 카페 각각)에 대해서 업체 시설(즉, 경사로, 입구, 로비, 엘리베이터, 객실 입구, 객실 내부, 화장실 입구, 화장실 내부, 주차장, 휠체어 충전기, 휠체어 공기 주입기, 여행 업체 맞춤형 휠체어 대여소 여부)에 대한 각각의 점검 정보를 분석하여 장애인이 이용 가능한 업체를 선정한다.
먼저, 업체 선정 관리부(105)는 업체 시설 정보 각각과 미리 결정된 기준 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업체가 장애인이 휠체어를 타고 이용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 후 판단 결과에 따라 해당 업체를 업체 정보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업체 선정 관리부(105)는 업체 점검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입구 문 이미지 및 입구 폭을 기초로 미리 결정된 입구 폭 이상인지 여부와 입구 턱 이미지 및 입구 턱의 높이가 미리 결정된 높이 이하인지 여부에 따라 해당 업체가 장애인이 휠체어를 타고 진입 가능한지 판단하여 해당 업체를 업체 정보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한다.
이때, 업체 선정 관리부(105)는 입구 문의 종류가 자동문인 경우 업체 점검자 단말(200)로 수신된 업체 각각의 입구 폭이 미리 결정된 장애인용 휠체어의 폭(예를 들어, 90cm)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입구 문의 종류가 여닫이문 또는 미닫이문인 경우 출입문 옆으로 활동 공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한편, 업체 선정 관리부(105)는 비장애인과 동행하는 경우 입구 턱의 높이가 미리 결정된 턱의 높이 이상이더라도 입구 턱의 높이를 고려하지 않는다.
시설 관리부(108)는 업체 선정 관리부(105)에 의해 선정된 여행 업체의 업체 시설 점검 정보를 기초로 업체 시설 존재 항목의 상태 정보를 결정하여 상기 시설 점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때, 시설 존재 항목은 장애인 전용 주차장 항목, 장애인 전용 엘리베이터 항목, 휠체어 대여소 항목, 장애인 전용 화장실 항목, 객실 내 장애인 화장실 항목 및 장애인 전용 객실 항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시설 관리부(108)는 업체 시설 점검 정보 각각을 기초로 표준 휠체어의 크기, 상기 표준 휠체어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 방향 전환 시 필요한 공간 크기, 상기 표준 휠체어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 이동 공간 크기 및 휠체어에서 내려하는 경우 양옆 수평 손잡이 또는 한쪽 수직 손잡이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업체 시설 존재 항목 각각에 대한 진입 가능 여부, 시설 이용 가능 여부 및 회전 가능 여부 각각을 확인하여 업체 시설 존재 항목의 상태를 존재 상태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시설 관리부(108)는 업체 시설 "화장실"에 대한 업체 시설 점검 정보 각각을 기초로 표준 휠체어의 크기 및 문의 크기를 비교하여 진입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표준 휠체어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 방향 전환 시 필요한 공간 크기 및 내부 공간 크기를 비교하여 회전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휠체어에서 내려 변기를 이용하기 위해 양옆 수평 손잡이 또는 한쪽 수직 손잡이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시설 이용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시설 관리부(108)는 업체 시설 점검 정보 각각을 기초로 상기 장애인이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상기 여행 업체의 시설을 이용하여야 하는 경우, 휠체어의 높이 및 바닥부터 엘리베이터의 버튼까지의 높이를 비교하여 상기 장애인이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상기 여행 업체의 시설을 이용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상기 시설의 하부 공간의 존재 및 바닥부터 상기 시설까지의 높이를 기초로 상기 장애인이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상기 여행 업체의 시설을 이용가능한지 판단하여 업체 시설 존재 항목 각각에 대한 시설 이용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시설 관리부(108)는 업체 시설 "엘리베이터"에 대한 업체 시설 점검 정보 각각을 기초로 장애인이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여행 업체의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야 하는 경우, 휠체어의 높이 및 바닥부터 엘리베이터의 버튼까지의 높이를 비교하여 장애인이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엘리베이터의 버튼을 선택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시설 이용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다른 예를 들어, 시설 관리부(108)는 업체 시설 "화장실"에 대한 업체 시설 점검 정보 각각을 기초로 장애인이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여행 업체의 화장실의 세면대를 이용하여야 하는 경우, 시설의 하부 공간의 존재 및 바닥부터 상기 시설까지의 높이에 따라 장애인이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세면대를 이용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시설 이용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그런 다음, 시설 관리부(108)는 업체 시설 존재 항목 각각에 대한 진입 가능 여부, 회전 가능 여부 및 시설 이용 가능 여부가 모두 가능한 경우, 상기 업체 시설 존재 항목의 상태를 존재 상태로 결정하여 시설 점검 정보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10)는 업체 점검자 단말(200)로부터 실내 관광 시설에 대해서 경사로, 입구, 관광지 내부, 화장실 입구, 화장실 내부, 엘리베이터, 주차장, 휠체어 충전기, 휠체어 공기 주입기, 여행 업체 맞춤형 휠체어 대여소 여부에 대한 각각의 정보를 수신하여 실내 관광 시설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10)는 업체 점검자 단말(200)로부터 숙박 시설에 대해서 업체 시설에 대한 각각의 정보를 수신하여 숙박 업체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한다. 이때, 업체 시설은 경사로, 입구, 로비, 엘리베이터, 객실 입구, 객실 내부, 화장실 입구, 화장실 내부, 주차장, 휠체어 충전기, 휠체어 공기 주입기, 여행 업체 맞춤형 휠체어 대여소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10)는 업체 점검자 단말(200)로부터 실내 관광 시설에 대해서 경사로, 입구, 관광지 내부, 화장실 입구, 화장실 내부, 엘리베이터, 주차장, 휠체어 충전기, 휠체어 공기 주입기, 여행 업체 맞춤형 휠체어 대여소 여부에 대한 각각의 정보를 수신하여 실내 관광 시설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10)는 업체 점검자 단말(200)로부터 실내 관광 시설에 대해서 경사로, 입구, 관광지 내부, 화장실 입구, 화장실 내부, 엘리베이터, 주차장, 휠체어 충전기, 휠체어 공기 주입기, 여행 업체 맞춤형 휠체어 대여소 여부에 대한 각각의 정보를 수신하여 실외 관광 시설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10)는 업체 점검자 단말(200)로부터 음식점에 대해서 경사로, 입구, 음식점 내부, 화장실 입구, 화장실 내부, 엘리베이터, 주차장, 휠체어 충전기, 휠체어 공기 주입기, 여행 업체 맞춤형 휠체어 대여소 여부에 대한 각각의 정보를 수신하여 음식점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10)는 업체 점검자 단말(200)로부터 카페에 대해서 경사로, 입구, 카페 내부, 화장실 입구, 화장실 내부, 엘리베이터, 주차장, 휠체어 충전기, 휠체어 공기 주입기, 여행 업체 맞춤형 휠체어 대여소 여부에 대한 각각의 정보를 수신하여 카페 데이터베이스(160)에 저장한다.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여행 업체 정보 제공부(미도시됨)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여행 업체에 대한 조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업체 정보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된 여행 업체의 정보 및 상기 시설 점검 정보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된 여행 업체의 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100)는 업체 점검자 단말로부터 여행 업체 각각에 대한 업체 시설 점검 정보를 수신하면(단계 S310), 상기 업체 시설 점검 정보 중 입구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해당 여행 업체가 장애인이 휠체어를 타고 이용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해당 여행 업체를 장애인이 이용 가능 시설로 선정하여 업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단계 S320).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100)는 선정된 여행 업체에 대한 업체 시설 점검 정보를 기초로 장애인 전용 주차장 항목, 장애인 전용 엘리베이터 항목, 휠체어 대여소 항목, 장애인 전용 화장실 항목, 객실 내 장애인 화장실 항목 및 장애인 전용 객실 항목 각각의 상태 정보를 결정하여 상기 시설 점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단계 S330).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여행 업체에 대한 조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업체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시설 점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여행 업체의 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단계 S340).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여행 업체의 화장실에 대한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100)는 업체 시설 "화장실"에 대한 업체 시설 점검 정보 각각을 기초로 표준 휠체어의 크기 및 문의 크기를 비교하여 진입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100)는 업체 시설 점검 정보 각각을 기초로 표준 휠체어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 방향 전환 시 필요한 공간 크기 및 내부 공간 크기를 비교하여 도 4의 참조번호(a)와 같이 회전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휠체어에서 내려 변기를 이용하기 위해 양옆 수평 손잡이 또는 한쪽 수직 손잡이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시설 이용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100)는 장애인이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여행 업체의 화장실의 세면대를 이용하여야 하는 경우, 업체 시설 점검 정보 각각을 기초로 도 5의 참조번호(a) 및 도 5의 참조번호(b)와 같이 시설의 하부 공간의 존재 및 바닥부터 상기 시설까지의 높이에 따라 장애인이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세면대를 이용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시설 이용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100)는 업체 시설 "화장실의 변기"에 대한 업체 시설 점검 정보 각각을 기초로 양옆 수평 손잡이 또는 한쪽 수직 손잡이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업체 시설 존재 항목 각각에 대한 회전 가능 여부 각각을 확인하여 업체 시설 존재 항목의 상태를 존재 상태로 결정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여행 업체의 엘리베이터에 대한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100)는 업체 시설 "엘리베이터"의 대한 업체 시설 점검 정보 각각을 기초로 장애인이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여행 업체의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야 하는 경우, 휠체어의 높이 및 바닥부터 엘리베이터의 버튼까지의 높이를 비교하여 장애인이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엘리베이터의 내부 버튼을 선택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시설 이용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도 7의 참조번호(a)와 같이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100)는 휠체어의 높이 및 바닥부터 엘리베이터의 내부 버튼까지의 높이를 비교하여 장애인이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엘리베이터의 내부 버튼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시설 이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도 7의 참조번호(b)와 같이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100)는 휠체어의 높이 및 바닥부터 엘리베이터의 외부 버튼까지의 높이를 비교하여 장애인이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엘리베이터의 외부 버튼을 선택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시설 이용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여행 업체의 테이블에 대한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100)는 도 8의 참조번호(a)와 같이 업체 시설 "음료대"에 대한 업체 시설 점검 정보 각각을 기초로 장애인이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여행 업체의 음료대를 이용하여야 하는 경우, 음료대의 높이에 따라 장애인이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세면대를 이용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시설 이용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100)는 도 8의 참조번호(b)와 같이 업체 시설 "테이블"에 대한 업체 시설 점검 정보 각각을 기초로 장애인이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여행 업체의 테이블를 이용하여야 하는 경우, 테이블의 높이에 따라 장애인이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세면대를 이용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시설 이용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100)는 도 8의 참조번호(c)와 같이 업체 시설 "관람석"에 대한 업체 시설 점검 정보 각각을 기초로 장애인이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공연을 관람하는 경우, 표준 휠체어의 크기 및 활동 공간을 비교하여 관람석을 이용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시설 이용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업체 맞춤형 스마트 휠체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업체 맞춤형 스마트 휠체어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여행 업체 맞춤형 스마트 휠체어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여행 업체에 방문 시 여행 업체 맞춤형 스마트 휠체어를 사용하여 해당 여행 업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휠체어이다.
이러한 여행 업체 맞춤형 스마트 휠체어는 여행 업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으로 구현되고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상기의 여행 업체 맞춤형 스마트 휠체어는 휠체어(10)는 의자형으로 대응되게 구성되는 좌우프레임(11)과 상기 좌우프레임(11)을 접철수단(12)으로 연결하고, 상기 좌우프레임(11)의 양측 후방에 구동휠(15)이 고정된 주바퀴(14)를 장착하고, 상기 좌우프레임(11)의 전방에는 방향 전환 기능을 하는 보조바퀴(16)가 설치된다.
좌우프레임(11)의 양측에 장착되어 주바퀴(14)의 회동을 제어하는 브레이크(17)가 설치되고, 상기 좌우프레임(11)의 양측에는 탑승자의 팔을 받치는 암레스트(18)가 고정된다.
상기 좌우프레임(11)의 후방에 구비되는 등받이(21)와 상기 등받이(21)와 직각되는 방향의 좌우프레임(11)의 상단에 구성되는 시트(22)로 구성된다. 상기 접철수단(12)은 바(13)가 X자형으로 힌지결합되어 좌우프레임(11) 상간에 전후로 배치되어 상기 좌우프레임(11)에 힌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주바퀴(14)에는 잠금 장치(미도시됨)이 형성되어 있으며, 리모컨부(18_2)로부터 잠금 해제 명령을 수신하면 잠금 해제 명령에 따라 잠금을 해제하여 여행 업체 맞춤형 스마트 휠체어가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리모컨부(18_2)가 단말 장치 연결 포트(18_1)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의 종류가 동작 시작 요청인 경우, 동작 시작 요청에 따라 잠금 장치의 제어 장치에 잠금 해제 명령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좌우프레임(11)의 높이는 여행 업체 맞춤형 스마트 휠체어가 사용되는 여행 업체의 기본 편의 시설(예를 들어, 화장실)의 높이에 맞추어 제작되어 있다. 즉, 기본 편의 시설의 높이는 여행 업체마다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여행 업체에 미리 설치된 기본 편의 시설의 높이 각각을 측정한 후 가장 낮은 기본 편의 시설의 높이에 맞추어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좌우프레임(11)의 높이가 여행 업체의 기본 편의 시설(예를 들어, 화장실)의 높이에 맞추어 결정됨에 따라 등받이(21), 시트(22), 암레스트(18) 등의 높이가 변경될 수 있다.
암레스트(18)에는 도 4와 같이 단말 장치 연결 포트(18_1), 리모컨부(18_2), 센서부(18_3), 요금 징수부(18_4), 제어부(18_5)가 형성되어 있다.
단말 장치 연결 포트(18_1)는 사용자 단말(300)과 유선으로 연결되기 위한 도킹 포이다. 이때, 단말 장치 연결 포트(18_1)는 단말 장치(100)의 종류 별로 타입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도킹 포트는 복수 개 존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단말 장치 연결 포트(18_1)를 통해 여행 업체 맞춤형 스마트 휠체어와 연결되어 여행 업체 맞춤형 스마트 휠체어로부터 수신된 여행 업체 맞춤형 스마트 휠체어의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실행한다.
이때, 제어 인터페이스는 리모컨부에 의해 실행되는 리모컨 기능(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올림 버튼 누름, 엘리베이터 내름 버튼 누름, 목적지 층 버튼 누름, 냉난방기 상태 변경, 냉난방기 온도 변경 등)을 제어할 수 있는 화면을 의미한다.
단말 장치 연결 포트(18_1)는 사용자 단말(300) 상의 표시된 제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제어 명령을 리모컨부(18_2)에 제공한다.
단말 장치 연결 포트(18_1)는 제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리모컨부(18_2)에 제공함으로써 리모컨부(18_2)가 제어 명령에 따라 여행 업체에서 이용 가능한 편의 시설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어 명령은 잠금 해제 신호, 잠금 설정 신호, 엘리베이터 탑승 대기 신호, 엘리베이터 목적지 버튼 입력 신호, 냉난방기 온도 제어 신호, 음료 주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리모컨부(18_2)는 여행 업체의 종류에 따라 해당 여행 업체에서 이용 가능한 편의 시설의 기능을 실행하는 장치이다. 이때, 리모컨부(18_2)에 미리 설정된 이용 가능한 기능은 여행 업체에서 이용 가능한 기본 편의 시설의 제어 기능 및 부가 편의 시설의 제어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기본 편의 시설에 대한 리모컨 기능은 엘리베이터, 난방 기기, 화장실, 전등 등의 제어 기능을 의미하고, 부가 편의 시설에 대한 리모컨 기능은 문화물(예를 들어, 공연, 문화재)에 대한 데이터의 제어 기능을 의미한다.
먼저, 리모컨부(18_2)는 여행 업체의 종류가 숙박 업체인 경우, 숙박 업체에서 이용 가능한 기본 편의 시설(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난방 기기, 커튼 등)의 제어 기능에 대한 리모컨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모컨부(18_2)는 단말 장치 연결 포트(18_1)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이 엘리베이터 탑승 대기 신호인 경우,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미도시됨)에 엘리베이터 탑승 대기 버튼 눌림 요청 신호를 제공하여 엘리베이터 탑승 대기 버튼이 눌려지도록 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리모컨부(18_2)는 단말 장치 연결 포트(18_1)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이 냉난방기 온도 제어 신호인 경우, 냉난방기의 제어 장치(미도시됨)에 냉난방기 온도 제어 요청 신호를 제공하여 냉난방기의 온도가 조절되도록 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리모컨부(18_2)는 단말 장치 연결 포트(18_1)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이 음료 주문인 경우, 여행 업체의 주문 단말에 음료 주문 요청 메시지를 제공함과 동시에 요금 징수부(18_4)에 음료 비용을 제공하여 요금 징수부(18_4)가 요금을 징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리모컨부(18_2)는 여행 업체의 종류가 문화 시설인 경우, 문화물의 종류에 따라 해당 문화물에 대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의 기능에 대한 리모컨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모컨부(18_2)는 문화물의 종류가 영화인 경우 단말 장치 연결 포트(18_1)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좌우프레임(11)가 원래의 높이 또는 영화 상영을 위한 화면과 대응되는 높이로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센서부(18_3)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센싱하여 단말 장치 연결 포트(18_1)를 통해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300)은 생체 정보를 병원 서버(미도시됨)에 제공함으로써 병원측에서도 여행 중에도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요금 징수부(18_4)는 잠금 장치에 의해 주바퀴(14)의 잠금이 해제되면 여행 업체 맞춤형 스마트 휠체어의 동작 시작 시간을 결정하고, 잠금 장치에 의해 주바퀴(14)의 잠금이 설정되면 여행 업체 맞춤형 스마트 휠체어의 동작 종료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동작 시작 시간 및 동작 종료 시간에 따라 상기 여행 업체 맞춤형 스마트 휠체어 사용 시간을 산출한다.
또한, 요금 징수부(18_4)는 리모컨부(18_2)로부터 음료 비용을 수신하면 음료 비용에 대한 요금을 징수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경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
200: 업체 점검자 단말
300: 사용자 단말
105: 업체 선정 관리부
108: 시설 관리부
110: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120: 숙박 업체 데이터베이스
130: 실내 관광 시설 데이터베이스
140: 실외 관광 시설 데이터베이스
150: 음식점 데이터베이스
160: 카페 데이터베이스
170: 업체 정보 데이터베이스
180: 시설 점검 정보 데이터베이스

Claims (1)

  1. 업체 점검자 단말로부터 여행 업체의 업체 시설 각각에 대한 업체 시설 점검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업체 시설 점검 정보 중 입구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해당 여행 업체가 장애인이 휠체어를 타고 이용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해당 여행 업체를 장애인이 이용 가능 시설로 선정하는 업체 선정 관리부;
    상기 업체 선정 관리부에 의해 선정된 여행 업체의 상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시설 점검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업체 선정 관리부에 의해 선정된 여행 업체의 업체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업체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업체 선정 관리부에 의해 선정된 여행 업체에 대한 업체 시설 점검 정보를 기초로 장애인 전용 주차장 항목, 장애인 전용 엘리베이터 항목, 휠체어 대여소 항목, 장애인 전용 화장실 항목, 객실 내 장애인 화장실 항목 및 장애인 전용 객실 항목 각각의 상태 정보를 결정하여 상기 시설 점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시설 관리부;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여행 업체에 대한 조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업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여행 업체의 정보 및 상기 시설 점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여행 업체의 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여행 업체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업체 시설 중 여행 업체 맞춤형 스마트 휠체어는
    여행 업체 맞춤형 스마트 휠체어가 사용되는 여행 업체의 기본 편의 시설 중 가장 낮은 기본 편의 시설의 높이에서 가장 높은 기본 편의 시설의 높이로 변경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높이의 변경에 따라 연결되는 다른 구성 요소의 높이를 변경시키는 좌우프레임;
    여행 업체의 종류에 따라 해당 여행 업체에서 이용 가능한 기본 편의 시설의 제어 기능 및 부가 편의 시설의 제어 기능 중 상기 단말 장치 연결 포트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해당하는 이용 가능한 편의 시설의 리모컨 기능을 실행하는 리모컨부;
    잠금 장치에 의해 주바퀴의 잠금이 해제되면 여행 업체 맞춤형 스마트 휠체어의 동작 시작 시간을 결정하고, 잠금 장치에 의해 주바퀴의 잠금이 설정되면 여행 업체 맞춤형 스마트 휠체어의 동작 종료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동작 시작 시간 및 동작 종료 시간에 따라 상기 여행 업체 맞춤형 스마트 휠체어 사용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사용 시간에 따라 상기 여행 업체 맞춤형 스마트 휠체어의 이용 요금을 과금하고, 리모컨부로부터 음료 비용을 수신하면 음료 비용에 대한 요금을 징수하는 요금 처리부;
    도킹 포트를 통해 상기 여행 업체 맞춤형 스마트 휠체어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 표시된 제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말 장치 연결 포트; 및
    상기 단말 장치 연결 포트를 통해 여행 업체 맞춤형 스마트 휠체어와 연결되어 여행 업체 맞춤형 스마트 휠체어로부터 수신된 여행 업체 맞춤형 스마트 휠체어의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리모컨부는
    상기 단말 장치 연결 포트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이 엘리베이터 탑승 대기 신호인 경우,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엘리베이터 탑승 대기 버튼 눌림 요청 신호를 제공하여 엘리베이터 탑승 대기 버튼이 눌려지도록 하고, 단말 장치 연결 포트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이 냉난방기 온도 제어 신호인 경우, 냉난방기의 제어 장치에 냉난방기 온도 제어 요청 신호를 제공하여 냉난방기의 온도가 조절되도록 하고, 단말 장치 연결 포트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이 음료 주문인 경우, 여행 업체의 주문 단말에 음료 주문 요청 메시지를 제공함과 동시에 요금 징수부에 음료 비용을 제공하여 요금 징수부가 요금을 징수할 수 있도록 하고, 여행 업체의 종류가 문화 시설인 경우, 문화물의 종류가 영화인 경우 단말 장치 연결 포트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좌우프레임이 원래의 높이 또는 영화 상영을 위한 화면과 대응되는 높이로 조절되도록 제어되도록 하는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
KR1020210116763A 2021-09-02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 KR102667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763A KR102667584B1 (ko) 2021-09-02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763A KR102667584B1 (ko) 2021-09-02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849A KR20230033849A (ko) 2023-03-09
KR102667584B1 true KR102667584B1 (ko) 2024-05-22

Family

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1363A (ja) * 2005-05-22 2006-12-07 Information Heros:Kk 施設利用情報および地理情報提供システム、障害者向け経路検索システム
KR101176467B1 (ko) * 2011-11-24 2012-09-13 한국성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애인과 일반인의 실시간 상호 정보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1363A (ja) * 2005-05-22 2006-12-07 Information Heros:Kk 施設利用情報および地理情報提供システム、障害者向け経路検索システム
KR101176467B1 (ko) * 2011-11-24 2012-09-13 한국성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애인과 일반인의 실시간 상호 정보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3730B2 (en) Comfortable seating arrangements with easy access
Tutuncu Investigating the accessibility factors affecting hotel satisfaction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US20150120340A1 (en) Dynamic seat reservations
Kent ADA in details: interpreting the 2010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standards for accessible design
KR102667584B1 (ko)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
Sayed et al. The Readiness of Accommodation Facilities to Provide Accessible Tourist Experiences in Cairo, Egypt
KR20230033849A (ko)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
Aydoğdu et al. The suitability of disabled friendly holiday accommodation in Turkey: The case of Kastamonu hotels
Lestari et al. Fostering the shopping malls accessibility to encourage the sustainable tourism
Meskele et al. Accessible tourism challenges and development issues in tourist facilities and attraction sites of the Amhara Region World Heritage Sites, Ethiopia
DİKMEN et al. Universal design approach in shopping centers: sample of Kayseri
Rhoads The ADA companion Guide: Understanding the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accessibility guidelines (ADAAG) and the architectural barriers act (ABA)
JP2002149785A (ja) 施設性能評価方法
Rutkin User preference of interior design elements in hotel lobby spaces
Qarashia Service Experience & Expectations of Saudi Arabia Domestic Tourists in the Lodging Sector
Smith et al. Access and inclusion
Darcy Accessible tourism accommodation information preferences
Gifford 10. A Multiple Sclerosis Center Program and
Garg Entrance Lobby
Gjino Hotel Resort & Spa development for disable people
Al-Tal Integrated universal design: A solution for everyone
REGION Asbenafi Tafesse MESKELE", Solomon LINGERIH WORETA", Engdu Gebrewold WELDESENBET
Braga et al. Strategies to improve destination accessibility: The Case of Vieira do Minho
Schmitz Examination and Modification of the Environment
Mollaei et al. Chasing the great Australian dream: definition of" an ideal home" among baby boom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