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7101B1 - 점검장치 및 점검방법 - Google Patents
점검장치 및 점검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67101B1 KR102667101B1 KR1020230019409A KR20230019409A KR102667101B1 KR 102667101 B1 KR102667101 B1 KR 102667101B1 KR 1020230019409 A KR1020230019409 A KR 1020230019409A KR 20230019409 A KR20230019409 A KR 20230019409A KR 102667101 B1 KR102667101 B1 KR 1026671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inspection
- power
- military equipment
- management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74 generation of a signal involved in cell-cell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1/00—Testing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3/00—Gun mountings, e.g. on vehicles; Disposition of guns on vehicles
- F41A23/02—Mountings without wheels
- F41A23/16—Testing moun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8—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signaling faul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6—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s or variables, e.g. visual or audible indicator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군용장비에 탑재되고, 상기 군용장비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점검부; 상기 점검부와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고, 상기 점검부의 점검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단말부; 및 상기 군용장비에 탑재되고, 상기 점검부와 연결되어 상기 군용장비와 별도로 상기 점검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부;를 포함하고, 군용장비의 상태를 안정적으로 점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점검장치 및 점검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군용장비의 상태를 안정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점검장치 및 점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군용장비를 안정적으로 운용하려면 군용장비의 작동 신뢰성을 확보해야 한다. 따라서, 군용장비에 점검장치가 탑재되고 있다.
군용장비는 점검장치를 이용하여 정해진 시점에 자체적으로 군용장비의 이상 발생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군용장비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점검장치가 운용자에게 경고하여 군용장비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알릴 수 있기 때문에, 운용자가 군용장비를 유지보수하여 작동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점검장치는 군용장비에 탑재되어 군용장비로부터 전력 등을 공급받아 작동한다. 따라서, 군용장비에 전력공급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점검장치가 군용장비를 점검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군용장비와 독립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점검장치 및 점검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군용장비의 상태를 안정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점검장치 및 점검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군용장비에 탑재되고, 상기 군용장비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점검부; 상기 점검부와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고, 상기 점검부의 점검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단말부; 및 상기 군용장비에 탑재되고, 상기 점검부와 연결되어 상기 군용장비와 별도로 상기 점검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력공급부는, 배터리부; 및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상기 배터리부가 상기 점검부로 공급하는 전력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 및 상기 점검부가 상기 군용장비를 점검할 수 있도록, 상기 타이머가 측정하는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점에 도달할 때마다 상기 배터리부가 상기 점검부로 공급하는 전력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전력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군용장비의 구동을 감지하기 위한 구동감지부; 및 상기 점검부가 상기 군용장비를 점검할 수 있도록, 상기 군용장비가 구동을 시작할 때마다 상기 배터리부가 상기 점검부로 공급하는 전력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전력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력공급부는, 상기 군용장비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부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 전력수신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군용장비는, 복수개의 탑재기기, 및 상기 탑재기기들과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되는 관리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점검부는, 상기 관리기기로부터 상기 탑재기기들의 작동정보를 전달받기 위한 작동정보 수신부; 상기 관리기기에서 상기 작동정보 수신부로 상기 작동정보가 전달되지 않는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이상이 발생하는 이상원인을 분석하기 위한 이상원인 분석부; 상기 작동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작동정보, 또는 상기 이상원인 분석부가 분석한 이상원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군용장비의 점검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점검정보 생성부; 및 상기 점검정보를 상기 단말부에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군용장비는, 상기 관리기기와 상기 탑재기기들 각각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신호라인, 및 상기 관리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상원인 분석부는, 상기 전력기기에서 상기 관리기기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확인하여 상기 전력기기가 이상원인인지 판단하기 위한 전력공급 확인부; 및 상기 전력공급 확인부가 상기 전력기기를 이상원인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신호라인들의 상태에 따라 상기 신호라인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상기 관리기기가 이상원인인지 판단하기 위한 신호라인 확인부;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부는, 상기 점검부의 점검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및 상기 점검부가 상기 군용장비를 점검할 점검항목들을 선택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점검항목 설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전력공급부에 구비되는 배터리부의 전력량을 더 표시한다.
본 발명은 군용장비에 탑재된 점검부를 이용하여 상기 군용장비의 상태를 점검하는 점검방법으로서, 상기 군용장비와 별도로 상기 점검부를 작동시키는 과정; 상기 군용장비에 구비된 탑재기기들과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되는 관리기기에 상기 점검부가 상기 탑재기기들의 작동정보를 요청하는 과정; 및 상기 관리기기가 상기 작동정보를 상기 점검부에 전달하지 않는 경우, 이상원인을 찾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군용장비와 별도로 상기 점검부를 작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점검부에 상기 군용장비와 별도로 전력을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이상원인을 찾는 과정은, 상기 관리기기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확인하여 상기 관리기기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기기가 이상원인인지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전력기기가 이상원인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탑재기기들과 상기 관리기기를 연결하는 신호라인들의 상태에 따라 상기 신호라인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상기 관리기기가 이상원인인지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전력기기가 이상원인인지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전력기기에서 상기 관리기기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과정; 및 전력량의 측정값을 미리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하고, 상기 측정값이 상기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전력기기가 이상원인이라고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신호라인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상기 관리기기가 이상원인인지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신호라인들 각각으로 신호가 전달되는지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신호라인들 중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신호라인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신호라인이 이상원인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신호라인들 중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신호라인이 없는 경우 상기 관리기기가 이상원인이라고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점검장치가 군용장비와 독립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다. 이에, 군용장비에 전력공급 등의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점검장치가 작동하여 군용장비를 점검할 수 있다. 따라서, 군용장비의 상태를 안정적으로 점검하면서 군용장비를 유지보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공급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검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공급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검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공급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검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검장치는, 군용장비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점검장치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점검장치(100)는, 전력공급부(110), 점검부(120), 및 단말부(130)를 포함한다.
이때, 군용장비(50)는, 군용장비(50)를 운용하기 위한 탑재되는 복수개의 탑재기기(51)들, 및 탑재기기(51)들과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되는 관리기기(52)를 포함한다. 탑재기기(51)들은 전자장비일 수 있다. 관리기기(52)는 칩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탑재기기(51)들과 신호를 주고받으면서 탑재기기(51)들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탑재기기(51)들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군용장비(50)에는,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게 관리기기(52)와 탑재기기(51)들 각각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신호라인(53), 및 관리기기(52)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기기(5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전력기기(54)는 탑재기기(51)들에도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기기(52)와 탑재기기(51)들이 전력기기(54)가 공급하는 전력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전력공급부(110)는 군용장비(50)에 탑재된다. 전력공급부(110)는 점검부(120)와 연결되어 군용장비(50)와 별도로 점검부(12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점검부(120)가 군용장비(50)와 독립적인 전력을 제공받기 때문에, 군용장비(50)에 구비되는 전력기기(54)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점검부(120)가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여 군용장비(50)를 점검할 수 있다. 전력공급부(11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배터리부(111), 및 제어부(112)를 포함한다.
배터리부(111)는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셀들을 구비할 수 있다. 배터리부(111)는 전선으로 점검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배터리부(111)에 저장된 전력이 점검부(120)로 공급되면 점검부(120)가 작동할 수 있다.
제어부(112)는 배터리부(111)와 연결되어 배터리부(11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2)는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배터리부(111)가 점검부(120)로 공급하는 전력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점검부(120)가 미리 정해진 조건에서만 군용장비(50)를 점검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받고, 그 외의 상황에서는 배터리부(111)가 점검부(120)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감소시켜 배터리부(111)의 전력량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부(111)에 저장된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12)는 타이머(112b), 및 전력제어부(112a)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머(112b)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전력제어부(112a)는 타이머(112b)가 측정한 시간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게 연결되고, 배터리부(111)와 연결되어 배터리부(111)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점검부(120)가 군용장비(50)를 점검할 수 있도록, 전력제어부(112a)는 타이머(112b)가 측정하는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점에 도달할 때마다 배터리부(111)가 점검부(120)로 공급하는 전력량을 증가시켜 점검부(12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점검부(120)가 군용장비(50)를 점검하는 작업을 완료하면 전력제어부(112a)는 배터리부(111)가 점검부(120)로 공급하는 전력량을 감소시켜 점검부(120)를 슬립모드(Sleep Mode)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에, 정해진 시점마다 점검부(120)가 군용장비(50)를 점검하는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고, 그 외의 시간에는 점검부(120)의 전력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부(112)는 구동감지부(112c), 및 전력제어부(112a)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감지부(112c)는 군용장비(50)의 구동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감지부(112c)는 관리기기(52)나 탑재기기(51)들에 공급되는 전력을 감지하여, 관리기기(52)나 탑재기기(51)들에 전력이 공급될 때 군용장비(50)가 구동하기 시작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전력제어부(112a)는 구동감지부(112c)의 감지결과를 전달받을 수 있게 연결되고, 배터리부(111)와 연결되어 배터리부(111)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점검부(120)가 군용장비(50)를 점검할 수 있도록, 전력제어부(112a)는 군용장비(50)가 구동을 시작할 때마다 배터리부(111)가 점검부(120)로 공급하는 전력량을 증가시켜 점검부(12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점검부(120)가 군용장비(50)를 점검하는 작업을 완료하면 전력제어부(112a)는 배터리부(111)가 점검부(120)로 공급하는 전력량을 감소시켜 점검부(120)를 슬립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에, 군용장비(50)를 구동시킬 때마다 점검부(120)가 군용장비(50)를 점검하는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고, 그 외의 시간에는 점검부(120)의 전력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부(112)는 타이머(112b), 구동감지부(112c), 및 전력제어부(112a)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머(112b)는 시간을 측정하고, 구동감지부(112c)는 군용장비(50)의 구동을 감지할 수 있다. 타이머(112b)가 측정하는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점에 도달하거나 구동감지부(112c)가 군용장비(50)의 구동을 감지하면, 전력제어부(112a)는 배터리부(111)가 점검부(120)로 공급하는 전력량을 증가시켜 점검부(12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점검부(120)가 군용장비(50)를 점검하는 작업을 완료하면 전력제어부(112a)는 배터리부(111)가 점검부(120)로 공급하는 전력량을 감소시켜 점검부(120)를 슬립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에, 정해진 시점이나 군용장비(50)를 구동시킬 때마다 점검부(120)가 군용장비(50)를 점검하는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고, 그 외의 시간에는 점검부(120)의 전력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전력공급부(110)는 무선 전력수신부(11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 전력수신부(113)는 일측이 군용장비(50) 내부에서 군용장비(50)의 외측을 향하게 배치되고, 타측이 배터리부(111)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무선 전력수신부(113)는 군용장비(50)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전력을 배터리부(111)에 공급하여 배터리부(111)를 충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부(111)에 전력을 충전하기 위해, 군용장비(50)를 분해하여 배터리부(111)를 분리하거나 군용장비(50)를 관통하여 배터리부(111)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처럼 점검부(120)가 전력공급부(110)를 통해 군용장비(50)와 독립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군용장비(50)에 전력공급 등의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점검장치(100)가 작동하여 군용장비(50)를 점검할 수 있다. 이에, 군용장비(50)의 상태에 상관없이 점검장치(100)로 군용장비(50)의 상태를 안정적으로 점검하면서 군용장비(50)를 유지보수할 수 있다.
점검부(120)는 군용장비에 빌트인 구조로 탑재된다. 점검부(120)는 군용장비(50)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점검부(120)는 무선으로 단말부(130)에 군용장비(50)의 상태를 점검한 점검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검부(120)는 미리 설정된 점검항목들을 점검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부(130)를 휴대한 운용자는 단말부(130)를 통해 군용장비(50)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점검부(120)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작동정보 수신부(121), 이상원인 분석부(122), 점검정보 생성부(123), 및 무선통신부(124)를 포함한다.
작동정보 수신부(121)는 관리기기(52)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작동정보 수신부(121)는 관리기기(52)로부터 탑재기기(51)들의 작동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따라서, 작동정보 수신부(121)는 탑재기기(51)들 각각의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상원인 분석부(122)는 관리기기(52)에서 작동정보 수신부(121)로 작동정보가 전달되지 않는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이상이 발생하는 이상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 이상원인 분석부(122)는 전력공급 확인부(122a), 및 신호라인 확인부(122b)를 포함한다.
전력공급 확인부(122a)는 전력기기(54)에서 관리기기(52)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확인하여 전력기기(54)가 이상원인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전력공급 확인부(122a)는 전력량 측정부, 및 전력량 비교부를 포함한다.
전력량 측정부는 전력기기(54)에서 관리기기(52)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량 측정부는 전류를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 이에, 전력량 측정부는 군용장비(50)가 작동을 시작한 이후에 전력기기(54)가 관리기기(52)로 공급하는 전류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전력량 비교부는 전력량 측정부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전력량 비교부는 전력량 측정부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전달받아 미리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할 수 있다. 측정값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 전력량 비교부는 전력기기(54)가 관리기기(52)로 정상적으로 전력을 공급하지 못해 관리기기(52)가 작동하지 못하는 상태라고 분석하여 전력기기(54)가 이상원인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전력기기(54)가 이상원인이라고 판단되면, 전력량 비교부는 점검정보 생성부(123)에 판단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측정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전력량 비교부는 전력기기(54)가 관리기기(52)로 전력을 정상적으로 공급하는 상태라고 분석하여 전력기기(54)가 이상원인이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
신호라인 확인부(122b)는 전력공급 확인부(122a)가 전력기기(54)를 이상원인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 신호라인(53)들의 상태에 따라 신호라인(53)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관리기기(52)가 이상원인인지 판단할 수 있다. 신호라인 확인부(122b)는 신호확인부, 신호라인 판단부, 및 관리기기 판단부를 포함한다.
신호확인부는 신호라인(53)들 각각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신호확인부는 신호라인(53)들 각각으로 신호가 전달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즉, 신호라인(53)들을 통해 탑재기기(51)들 각각에서 관리기기(52)로 신호가 정상적으로 전달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신호라인 판단부는 신호확인부로터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신호라인 판단부는 신호확인부의 확인 결과를 전달받고, 신호라인(53)들 중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신호라인(53)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신호라인(53)이 이상원인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신호를 전달하지 못하는 신호라인(53) 때문에 탑재기기(51)에서 관리기기(52)로 신호가 전달되지 못해, 관리기기(52)가 정상적으로 작동정보를 수집하지 못하고 있다고 신호라인 판단부가 판단할 수 있다. 신호라인(53)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상원인이라고 판단되면, 신호라인 판단부는 점검정보 생성부(123)에 판단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관리기기 판단부는 신호확인부로터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관리기기 판단부는 신호확인부의 확인 결과를 전달받고, 신호라인(53)들 중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신호라인이 없는 경우, 관리기기(52)가 이상원인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즉, 탑재기기(51)들에서 관리기기(52)로 신호가 정상적으로 전달되는데 관리기기(52)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해 작동정보 수신부(121)로 작동정보를 전달하지 못하고 있다고 관리기기 판단부가 판단할 수 있다. 관리기기(52)가 이상원인이라고 판단되면, 관리기기 판단부는 점검정보 생성부(123)에 판단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점검정보 생성부(123)는 작동정보 수신부(121), 및 이상원인 분석부(122)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점검정보 생성부(123)는 작동정보 수신부(121)가 수신한 작동정보, 또는 이상원인 분석부(122)가 분석한 이상원인 정보를 이용하여 군용장비(50)의 점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24)는 점검정보 생성부(123)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24)는 단말부(130)와 무선으로 통신(또는, 블루투스 통신)할 수 있다. 이에, 무선통신부(124)는 점검정보 생성부(123)로부터 전달받은 점검정보를 단말부(130)에 무선으로 전송하거나, 단말부(130)가 전송하는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점검부(120)는 알림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점검부(120)는 전력기기(54), 관리기기(52), 및 신호라인(53)들 각각의 상태를 나타내는 복수개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LED들은 점검정보 생성부(123)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되고 군용장비(50)에 설치될 수 있다. LED들 각각은 전력량 비교부, 신호라인 판단부, 관리기기 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발광하는 빛의 색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기기(54), 관리기기(52), 및 신호라인(53)들의 상태가 정상인 경우 LED들은 청색이나 녹색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전력량 비교부가 점검정보 생성부(123)에 전력기기(54)가 이상원인이라는 판단결과를 전달하면 전력기기(54)의 상태를 나타내는 LED가 발광하는 빛의 색을 적색으로 변경할 수 있다. 신호라인 판단부가 점검정보 생성부(123)에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신호라인(53)이 이상원인이라는 판단결과를 전달하면 해당 신호라인(53)의 상태를 나타내는 LED가 발광하는 빛의 색을 적색으로 변경할 수 있다. 관리기기 판단부가 점검정보 생성부(123)에 관리기기(52)가 이상원인이라는 판단결과를 전달하면 관리기기(52)의 상태를 나타내는 LED가 발광하는 빛의 색을 적색으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운용자가 단말부(130)를 작동시키지 않고도 군용장비(50)를 운용하면서 알림부를 통해 이상원인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단말부(130)는 휴대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부(130)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단말부(130)는 점검부(120)와 무선으로 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 가능하다. 이에, 단말부(130)는 점검부(120)의 점검결과를 전달받아 운용자에게 표시하거나, 점검부(12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점검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부(130)는 도 1 및 도 4와 같이 표시부(131), 및 점검항목 설정부(132)를 포함한다.
표시부(131)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표시부(131)는 점검부(120)의 점검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운용자는 군용장비(50)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군용장비(50)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신속하게 조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1)는 전력공급부(110)에 구비되는 배터리부(111)의 전력량을 표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운용자는 배터리부(111)의 전력량을 용이하게 확인하여 배터리부(111)의 전력량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배터리부(111)를 충전시킬 수 있다.
점검항목 설정부(132)는 점검부(120)가 군용장비(50)를 점검할 점검항목들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검항목 설정부(132)는 표시부(131)를 통해 군용장비(50)에서 점검할 수 있는 점검항목들을 표시하고, 운용자가 선택한 점검항목들에 대서 점검이 수행되도록 점검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점검항목에 대한 점검이 수행되지 않아 군용장비(50)를 점검하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검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검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검방법은 군용장비에 탑재된 점검부를 이용하여 군용장비의 상태를 점검하는 점검방법이다. 점검방법은, 군용장비와 별도로 상기 점검부를 작동시키는 과정(S110), 군용장비에 구비된 탑재기기들과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되는 관리기기에 점검부가 탑재기기들의 작동정보를 요청하는 과정(S120), 및 관리기기가 상기 작동정보를 점검부에 전달하지 않는 경우, 이상원인을 찾는 과정(S130)을 포함한다.
이때, 점검부는 도 1 내지 도 4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검장치(100)에 구비되는 점검부(120)일 수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검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예시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군용장비와 별도로 상기 점검부를 작동시킨다(S110). 즉, 점검부(120)에 군용장비(50)와 별도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점검부(120)가 군용장비(50)와 독립적인 전력을 제공받기 때문에, 군용장비(50)에 구비되는 전력기기(54)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점검부(120)가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여 군용장비(50)를 점검할 수 있다. 이때, 점검부(120)가 미리 정해진 조건에서 자동으로 작동하여 군용장비(50)를 점검하도록, 점검부(120)에 공급하는 전력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부(111)가 점검부(120)로 공급하는 전력량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타이머(112b)가 측정하는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점에 도달할 때마다 배터리부(111)가 점검부(120)로 공급하는 전력량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군용장비(50)가 구동을 시작할 때마다 배터리부(111)가 점검부(120)로 공급하는 전력량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정해진 시점이나 군용장비(50)가 구동을 시작할 때마다 점검부(120)로 공급되는 전력량이 증가하여 점검부(120)가 군용장비(50)를 점검하는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 다음, 군용장비에 구비된 탑재기기들과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되는 관리기기에 점검부가 탑재기기들의 작동정보를 요청한다(S120). 관리기기(52)는 탑재기기(51)들과 신호를 주고받으면서 탑재기기(51)들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탑재기기(51)들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점검부(120)는 탑재기기(51)들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 관리기기(52)에 탑재기기(51)들로부터 전송받은 작동정보를 전달해달라고 요청할 수 있다. 관리기기(52)가 탑재기기(51)들의 작동정보를 점검부(120)에 전달하는 경우, 점검부(120)는 전달받은 작동정보를 이용하여 군용장비(50)의 점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점검정보는 탑재기기(51)들 각각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점검정보가 생성되면, 점검부(120)는 단말부(130)에 무선으로 점검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부(130)를 휴대한 운용자가 단말부(130)를 통해 점검정보를 확인하여 탑재기기(51)들 각각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관리기기가 작동정보를 점검부에 전달하지 않는 경우, 이상원인을 찾는다(S130). 즉, 관리기기(52)가 점검부(120)에 작동정보를 전달하지 못하는 이상을 발생시키는 이상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력기기(54)에서 관리기기(52)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확인하여 전력기기(54)가 이상원인인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기기(54)에서 관리기기(52)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하고, 측정값이 설정값 이하이면, 전력기기(54)가 관리기기(52)로 정상적으로 전력을 공급하지 못해 관리기기(52)가 작동하지 못하는 상태라고 분석하여 전력기기(54)가 이상원인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측정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면, 전력기기(54)가 관리기기(52)로 전력을 정상적으로 공급하는 상태라고 분석하여 전력기기(54)가 이상원인이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전력기기(54)가 이상원인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탑재기기(51)들과 관리기기(52)를 연결하는 신호라인(53)들의 상태에 따라 신호라인(53)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관리기기(52)가 이상원인인지 판단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신호라인(53)들을 통해 탑재기기(51)들 각각에서 관리기기(52)로 신호가 정상적으로 전달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신호라인(53)들 중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신호라인(53)이 발생하는 경우, 신호를 전달하지 못하는 신호라인(53) 때문에 탑재기기(51)에서 관리기기(52)로 신호가 전달되지 못하는 상태라고 분석하여 해당 신호라인(53)이 이상원인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신호라인(53)들 중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신호라인이 없는 경우, 관리기기(52)가 이상원인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즉, 탑재기기(51)들에서 관리기기(52)로 신호가 정상적으로 전달되는데 관리기기(52)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해 점검부(120)로 작동정보를 전달하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상원인을 찾으면 점검부(120)가 이상원인 정보를 이용하여 군용장비(50)의 점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점검정보는 이상원인으로 판단되는 구성을 나타낼 수 있다. 점검정보는 단말부(130)에 무선으로 점검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부(130)를 휴대한 운용자가 단말부(130)를 통해 점검정보를 확인하여 이상원인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점검부(120)가 군용장비(50)와 독립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군용장비(50)에 전력공급 등의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점검부(120)가 작동하여 군용장비(50)를 점검할 수 있다. 이에, 군용장비(50)의 상태를 안정적으로 점검하면서 군용장비(50)를 유지보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며, 실시 예들 간에 다양한 조합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50: 군용장비 51: 탑재기기
52: 관리기기 100: 점검장치
110: 전력공급부 111: 배터리부
112: 제어부 120: 점검부
121: 작동정보 수신부 122: 이상원인 분석부
123: 점검신호 생성부 124: 무선통신부
130: 단말부
52: 관리기기 100: 점검장치
110: 전력공급부 111: 배터리부
112: 제어부 120: 점검부
121: 작동정보 수신부 122: 이상원인 분석부
123: 점검신호 생성부 124: 무선통신부
130: 단말부
Claims (14)
- 군용장비에 탑재되고, 상기 군용장비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점검부;
상기 점검부와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고, 상기 점검부의 점검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단말부; 및
상기 군용장비에 탑재되고, 상기 점검부와 연결되어 상기 군용장비와 별도로 상기 점검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공급부는,
배터리부, 및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상기 배터리부가 상기 점검부로 공급하는 전력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부는,
상기 전력공급부에 구비되는 배터리부의 전력량, 및 상기 점검부의 점검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를 통해 군용장비에 대해 수행할 수 있는 점검항목들을 표시하고, 운용자가 선택한 점검항목들에 대한 점검이 수행되도록 상기 점검부를 제어하기 위한 점검항목 설정부를 포함하는 점검장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 및
상기 점검부가 상기 군용장비를 점검할 수 있도록, 상기 타이머가 측정하는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점에 도달할 때마다 상기 배터리부가 상기 점검부로 공급하는 전력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전력제어부;를 포함하는 점검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군용장비의 구동을 감지하기 위한 구동감지부; 및
상기 점검부가 상기 군용장비를 점검할 수 있도록, 상기 군용장비가 구동을 시작할 때마다 상기 배터리부가 상기 점검부로 공급하는 전력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전력제어부;를 포함하는 점검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부는,
상기 군용장비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부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 전력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점검장치. - 군용장비에 탑재되고, 상기 군용장비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점검부;
상기 점검부와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고, 상기 점검부의 점검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단말부; 및
상기 군용장비에 탑재되고, 상기 점검부와 연결되어 상기 군용장비와 별도로 상기 점검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군용장비는, 복수개의 탑재기기, 및 상기 탑재기기들과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되는 관리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점검부는,
상기 관리기기로부터 상기 탑재기기들의 작동정보를 전달받기 위한 작동정보 수신부,
상기 관리기기에서 상기 작동정보 수신부로 상기 작동정보가 전달되지 않는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이상이 발생하는 이상원인을 분석하기 위한 이상원인 분석부,
상기 작동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작동정보, 또는 상기 이상원인 분석부가 분석한 이상원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군용장비의 점검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점검정보 생성부, 및
상기 점검정보를 상기 단말부에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부는,
상기 전력공급부에 구비되는 배터리부의 전력량, 및 상기 점검부의 점검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를 통해 군용장비에 대해 수행할 수 있는 점검항목들을 표시하고, 운용자가 선택한 점검항목들에 대한 점검이 수행되도록 상기 점검부를 제어하기 위한 점검항목 설정부를 포함하는 점검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군용장비는, 상기 관리기기와 상기 탑재기기들 각각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신호라인, 및 상기 관리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상원인 분석부는,
상기 전력기기에서 상기 관리기기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확인하여 상기 전력기기가 이상원인인지 판단하기 위한 전력공급 확인부; 및
상기 전력공급 확인부가 상기 전력기기를 이상원인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신호라인들의 상태에 따라 상기 신호라인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상기 관리기기가 이상원인인지 판단하기 위한 신호라인 확인부;를 포함하는 점검장치. - 삭제
- 삭제
- 군용장비에 탑재된 점검부를 이용하여 상기 군용장비의 상태를 점검하는 점검방법으로서,
상기 군용장비와 별도로 상기 점검부를 작동시키는 과정;
상기 군용장비에 구비된 탑재기기들과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되는 관리기기에 상기 점검부가 상기 탑재기기들의 작동정보를 요청하는 과정; 및
상기 관리기기가 상기 작동정보를 상기 점검부에 전달하지 않는 경우, 이상원인을 찾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점검부를 작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점검부에 상기 군용장비와 별도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의 전력량을 운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과정,
군용장비에 대해 수행할 수 있는 점검항목들을 운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과정, 및
군용장비에 대해 수행할 수 있는 점검항목들 중 운용자가 선택한 점검항목들에 대한 점검이 수행되도록 상기 점검부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점검방법. - 삭제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상원인을 찾는 과정은,
상기 관리기기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확인하여 상기 관리기기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기기가 이상원인인지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전력기기가 이상원인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탑재기기들과 상기 관리기기를 연결하는 신호라인들의 상태에 따라 상기 신호라인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상기 관리기기가 이상원인인지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점검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력기기가 이상원인인지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전력기기에서 상기 관리기기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과정; 및
전력량의 측정값을 미리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하고, 상기 측정값이 상기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전력기기가 이상원인이라고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점검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신호라인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상기 관리기기가 이상원인인지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신호라인들 각각으로 신호가 전달되는지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신호라인들 중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신호라인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신호라인이 이상원인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신호라인들 중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신호라인이 없는 경우 상기 관리기기가 이상원인이라고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점검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19409A KR102667101B1 (ko) | 2023-02-14 | 2023-02-14 | 점검장치 및 점검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19409A KR102667101B1 (ko) | 2023-02-14 | 2023-02-14 | 점검장치 및 점검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67101B1 true KR102667101B1 (ko) | 2024-05-20 |
Family
ID=91282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19409A KR102667101B1 (ko) | 2023-02-14 | 2023-02-14 | 점검장치 및 점검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67101B1 (ko)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61212A (ko) | 2009-12-01 | 2011-06-09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비행체의 고장 검증 방법 및 자체 고장 검증을 수행하는 비행체 |
KR20180098799A (ko) * | 2017-02-27 | 2018-09-05 | 주식회사 풍산 |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을 이용한 일반 포탄용 전자식 신관 및 신관 점검 방법 |
KR20190000270U (ko) * | 2018-06-21 | 2019-01-30 | 대한민국(국방부 공군참모총장) | 항공기 데이터처리기 점검장치 |
KR102051105B1 (ko) * | 2018-03-07 | 2020-01-08 | 국방과학연구소 | 항공 전투기동 측정 포드 통합점검을 위한 이동형 점검 장비 및 이의 제어 방법 |
KR102116523B1 (ko) * | 2019-05-27 | 2020-05-29 | 대한민국 | 개틀링형 포 발사계통 점검장비 |
KR102124501B1 (ko) * | 2019-11-27 | 2020-06-23 | 국방과학연구소 | 군용 무인항공기 탑재장비 통합 점검장치 |
KR102270262B1 (ko) * | 2021-01-27 | 2021-06-25 | 국방과학연구소 | 무인항공기 탑재 장비 자동 점검 장치 및 그 방법 |
KR102432818B1 (ko) * | 2021-12-10 | 2022-08-16 |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 감시장비 상태 확인장치 및 상태 확인방법 |
KR20230011682A (ko) * | 2021-07-14 | 2023-01-25 |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 전력공급장치 |
-
2023
- 2023-02-14 KR KR1020230019409A patent/KR10266710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61212A (ko) | 2009-12-01 | 2011-06-09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비행체의 고장 검증 방법 및 자체 고장 검증을 수행하는 비행체 |
KR20180098799A (ko) * | 2017-02-27 | 2018-09-05 | 주식회사 풍산 |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을 이용한 일반 포탄용 전자식 신관 및 신관 점검 방법 |
KR102051105B1 (ko) * | 2018-03-07 | 2020-01-08 | 국방과학연구소 | 항공 전투기동 측정 포드 통합점검을 위한 이동형 점검 장비 및 이의 제어 방법 |
KR20190000270U (ko) * | 2018-06-21 | 2019-01-30 | 대한민국(국방부 공군참모총장) | 항공기 데이터처리기 점검장치 |
KR102116523B1 (ko) * | 2019-05-27 | 2020-05-29 | 대한민국 | 개틀링형 포 발사계통 점검장비 |
KR102124501B1 (ko) * | 2019-11-27 | 2020-06-23 | 국방과학연구소 | 군용 무인항공기 탑재장비 통합 점검장치 |
KR102270262B1 (ko) * | 2021-01-27 | 2021-06-25 | 국방과학연구소 | 무인항공기 탑재 장비 자동 점검 장치 및 그 방법 |
KR20230011682A (ko) * | 2021-07-14 | 2023-01-25 |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 전력공급장치 |
KR102432818B1 (ko) * | 2021-12-10 | 2022-08-16 |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 감시장비 상태 확인장치 및 상태 확인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404962B (zh) | 電池健康狀況之監測系統 | |
US8485049B2 (en) | Torque tool device | |
US10360789B2 (en) | Fire notification system and test method using test jig therefor | |
KR102234448B1 (ko) |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시간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방법 | |
CA2783320C (en) |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signage system of a transit vehicle | |
KR102667101B1 (ko) | 점검장치 및 점검방법 | |
KR20200023947A (ko) | Iot 기술을 기반으로 한 비전검사장비와 생산장비 제어시스템 | |
CN107024270B (zh) | 无线检测,诊断建筑物或设备状态参数的方法 | |
CN200993778Y (zh) | 一种故障检测装置 | |
JP4525702B2 (ja) | 非常用照明システム | |
KR20110116680A (ko) | 배터리 모니터링 시스템 | |
EP0928126B1 (en) | Method and arrangement for observing the operational status of an electrical device | |
KR101986315B1 (ko) | Aoc 케이블 검사 장치 | |
KR20120020791A (ko) | 전원 감시 장치 및 방법 | |
KR100760404B1 (ko) | 전자기기용 사전 진단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사전 진단방법 | |
JP2004119150A (ja) | 照明システム | |
KR20150080052A (ko) | 지그비 통신에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선박의 장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
KR100604642B1 (ko) | 고장 감지 시스템 | |
KR102708699B1 (ko) | 회전기계 고장진단용 스마트센서 | |
KR102411196B1 (ko) | 자가진단이 가능한 구급차시스템 | |
KR102143478B1 (ko) | 솔레노이드 밸브 감시용 센서 | |
KR20110136527A (ko) | 차량 리프트용 고장 진단장치 | |
JP2008072518A (ja) | 自動検針システム用無線装置 | |
KR101961405B1 (ko) | 무선 원격검침 시스템 및 무선 원격검침 시스템 제어방법 | |
KR20150064385A (ko) | 집적회로 검사 장치 및 집적회로 검사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