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6949B1 -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6949B1
KR102666949B1 KR1020230075236A KR20230075236A KR102666949B1 KR 102666949 B1 KR102666949 B1 KR 102666949B1 KR 1020230075236 A KR1020230075236 A KR 1020230075236A KR 20230075236 A KR20230075236 A KR 20230075236A KR 102666949 B1 KR102666949 B1 KR 102666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phone number
user
user terminal
pass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5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경수진
노연주
오혜진
Original Assignee
쿠팡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팡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06F21/46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by designing passwords or checking the strength of passw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Abstract

로그인을 위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비밀번호를 입력받지 않더라도, 휴대폰 번호를 이용하여 로그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지원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로그인을 위한 사용자의 ID 및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틀린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제1 휴대폰 번호를 입력받고, 로그인을 위한 임시 비밀번호의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ID 및 상기 제1 휴대폰 번호가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상기 사용자에 관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ID 및 상기 제1 휴대폰 번호가 상기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 것에 응답하여 생성된 상기 임시 비밀번호를 상기 제1 휴대폰 번호에 의하여 특정되는 휴대폰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임시 비밀번호와 동일한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로그인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LOGIN USING MOBILE PHONE NUMBER}
본 개시는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로그인을 위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비밀번호를 입력받지 않더라도, 휴대폰 번호를 이용하여 로그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쇼핑과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대부분의 경우 로그인이 요구된다. 사용자는 로그인을 위하여 ID와 그에 대한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하는데, 비밀번호를 잊어버려서 잘못 입력하는 등의 이유로 로그인에 실패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때에는 자동 로그인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이 자주 발생하지는 않지만, 로그인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훨씬 많은 웹 환경에서는 이러한 비밀번호 입력 오류가 상당히 자주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비밀번호를 잊어버린 경우에 사용자는 새로운 비밀번호를 설정하거나, 시스템에 의하여 변경된 비밀번호를 제공받고 그 변경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등의 방법으로 로그인을 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소정의 본인 인증 절차를 거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온라인 쇼핑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 중에서는 이러한 본인 인증 절차에 번거로움을 느끼며 서비스를 이용하려다가도 로그인 단계에서 이탈해 버리는 사용자가 적지 않았고, 이는 곧 구매전환율(Conversion Rate)의 저하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31326호 (2009.12.03. 등록)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로그인을 위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비밀번호를 입력받지 않더라도, 휴대폰 번호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로그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비밀번호 입력 오류 시에 사용자가 로그인 단계에서 번거로움을 느끼지 않도록 휴대폰 번호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로그인을 할 수 있게 지원하는 CTA UI(Call To Action 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휴대폰 번호가 변경된 경우에도, 그 변경된 휴대폰 번호를 이용하여 로그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지원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로그인을 위한 사용자의 ID 및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틀린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제1 휴대폰 번호를 입력받고, 로그인을 위한 임시 비밀번호의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ID 및 상기 제1 휴대폰 번호가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상기 사용자에 관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ID 및 상기 제1 휴대폰 번호가 상기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 것에 응답하여 생성된 상기 임시 비밀번호를 상기 제1 휴대폰 번호에 의하여 특정되는 휴대폰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임시 비밀번호와 동일한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로그인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틀린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비밀번호 오류 안내 화면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되, 상기 비밀번호 오류 안내 화면은, 상기 로그인 요청에 대한 그래픽 객체를 포함하는 것인, 단계와, 상기 그래픽 객체의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밀번호 오류 안내 화면은, 상기 그래픽 객체에 부가하여 표시되는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에 관한 안내 메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밀번호 오류 안내 화면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틀린 비밀번호가 2회 이상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비밀번호 오류 안내 화면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임시 비밀번호는 OTP(One Time Password)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임시 비밀번호를 상기 제1 휴대폰 번호에 의하여 특정되는 휴대폰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휴대폰 번호가 상기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 않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변경된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제2 휴대폰 번호를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의 ID 및 상기 제2 휴대폰 번호가 상기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ID 및 상기 제2 휴대폰 번호가 상기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고 상기 제1 휴대폰 번호에 대하여 통신사를 통한 본인 인증이 성공한 것에 응답하여 생성되는 상기 임시 비밀번호를, 상기 제1 휴대폰 번호에 의하여 특정되는 휴대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지원 방법은, 상기 변경된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요청이 수신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로그인이 허용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의 상기 제2 휴대폰 번호를 상기 제1 휴대폰 번호로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지원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로그인을 위한 사용자의 ID 및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틀린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변경된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ID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의 제2 휴대폰 번호가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정보와 일치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의 제1 휴대폰 번호에 대하여 통신사를 통한 본인 인증이 성공한 것에 응답하여 생성되는 상기 임시 비밀번호를, 상기 제1 휴대폰 번호에 의하여 특정되는 휴대폰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임시 비밀번호와 동일한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로그인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지원 방법은, 상기 변경된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요청이 수신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로그인이 허용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의 정보의 상기 제2 휴대폰 번호를 상기 제1 휴대폰 번호로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지원 시스템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로드(load)되는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로그인을 위한 사용자의 ID 및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틀린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는 인스트럭션들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제1 휴대폰 번호를 입력받고, 로그인을 위한 임시 비밀번호의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인스트럭션들과, 상기 사용자의 ID 및 상기 제1 휴대폰 번호가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상기 사용자에 관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ID 및 상기 제1 휴대폰 번호가 상기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 것에 응답하여 생성되는 상기 임시 비밀번호를 상기 제1 휴대폰 번호에 의하여 특정되는 휴대폰에 송신하는 인스트럭션들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임시 비밀번호와 동일한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로그인을 허용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는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틀린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비밀번호 오류 안내 화면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되, 상기 비밀번호 오류 안내 화면은, 상기 로그인 요청에 대한 그래픽 객체를 포함하는 것인, 인스트럭션들과, 상기 그래픽 객체의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임시 비밀번호를 상기 제1 휴대폰 번호에 의하여 특정되는 휴대폰에 송신하는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제1 휴대폰 번호가 상기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 않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변경된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는 인스트럭션들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제2 휴대폰 번호를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의 ID 및 상기 제2 휴대폰 번호가 상기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인스트럭션들과, 상기 사용자의 ID 및 상기 제2 휴대폰 번호가 상기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고 상기 제1 휴대폰 번호에 대하여 통신사를 통한 본인 인증이 성공한 것에 응답하여 생성되는 상기 임시 비밀번호를, 상기 제1 휴대폰 번호에 의하여 특정되는 휴대폰에 송신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지원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 도 4a, 도 4b,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을 지원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지원 방법의 일부 동작의 변형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컴퓨팅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의 범주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되지 않는 한, 복수의 개념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되지 않는 한, 단수의 개념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는 어떤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지원 시스템(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몇몇 실시예들에서, 데이터베이스(20) 및 사용자 단말(30) 중 적어도 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지원 시스템(10)이 데이터베이스(20) 및 사용자 단말(30)과 분리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지원 시스템(10)의 구성 및/또는 기능의 적어도 일부가 데이터베이스(20) 및/또는 사용자 단말(30) 내부에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지원 시스템(10)은 가상 머신 등 클라우드 기술에 기반하여 서버 팜(server farm)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물리 서버(physical server)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데이터베이스(20)는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 시스템에 로그인하기 위하여 필요한 상기 사용자에 관한 사용자 정보를 수집, 축적, 및/또는 관리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에는 사용자의 ID 및 비밀번호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름, 주소 등의 기타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의 ID는 이메일 주소, 일반 텍스트 등의 형식일 수 있으며, 휴대폰 번호를 제외하고는, 사용자가 상기 특정 서비스 시스템에 가입하기 위하여 입력한 ID라면 그 형식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사용자 단말(30)은 통신망(미도시됨)을 통해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지원 시스템(10)과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은 스마트폰, 랩탑, 데스크탑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컴퓨팅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어떠한 장치로 구현되더라도 무방하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두 용어 "사용자 단말"과 "휴대폰"이 구별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데, 두 용어가 반드시 다른 구성을 가리키지는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데스크탑을 이용하여 특정 서비스 시스템에 로그인을 시도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30)이 상기 데스크탑에 해당하므로, 사용자의 휴대폰과 사용자 단말(30)은 별개의 구성일 수 있지만,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특정 서비스 시스템에 로그인을 시도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30)이 상기 스마트폰에 해당하므로, 사용자의 휴대폰(스마트폰)과 사용자 단말(30)은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20) 및 사용자 단말(30)은 통신망(미도시됨)을 통해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지원 시스템(10)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망은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로그인 관리기(100)는 로그인을 위하여 사용자 단말(30)로부터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된 비밀번호를 입력받지 않더라도, 휴대폰 번호를 이용하여 로그인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그인 관리기(100)는, 사용자 단말(30)로부터 로그인을 위한 사용자의 ID 및 비밀번호를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 단말(30)로부터 틀린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30)로부터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사용자 단말(30)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제1 휴대폰 번호를 입력받고, 로그인을 위한 임시 비밀번호의 생성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사용자의 ID 및 상기 제1 휴대폰 번호가 데이터베이스(20)에 기 저장된 상기 사용자에 관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ID 및 상기 제1 휴대폰 번호가 상기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임시 비밀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휴대폰 번호에 의하여 특정되는 휴대폰에 송신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사용자 단말(30)로부터 상기 임시 비밀번호와 동일한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30)의 로그인을 허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임시 비밀번호 생성기(11)는, 사용자 단말(30)로부터 로그인을 위한 임시 비밀번호의 생성 요청이 수신되고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는 것에 응답하여 임시 비밀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소정의 조건은 사용자 단말(3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ID와 비밀번호가 데이터베이스(20)에 기 저장된 상기 사용자에 관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임시 비밀번호는 OTP(One Time Password)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UI 관리기(12)는, 로그인을 위한 UI(ID, 비밀번호, 휴대폰 번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컴포넌트, 클릭이나 터치와 같은 상호작용이 가능한 버튼 등의 그래픽 객체 등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UI 관리기(12)는, 소정의 안내 메시지가 특정 그래픽 객체에 부가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I 관리기(12)는 사용자 단말(30)로부터 틀린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비밀번호 오류 안내 화면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30)에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밀번호 오류 안내 화면은,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요청에 대한 그래픽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밀번호 오류 안내 화면은, 상기 그래픽 객체에 부가하여 표시되는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에 관한 안내 메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사용자 정보 관리기(13)는, 사용자 단말(30)이 변경된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을 성공하는 경우에, 데이터베이스(20)에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의 변경 전 휴대폰 번호를 변경된 휴대폰 번호로 갱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지원 시스템(10)은 상술한 임시 비밀번호 생성기(11), UI 관리기(12) 및 로그인 관리기(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몇몇 실시예에서, 사용자 정보 관리기(1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임시 비밀번호 생성기(11), UI 관리기(12), 사용자 정보 관리기(13) 및 로그인 관리기(100) 각각은 독자적인 컴퓨팅 시스템으로서 구현되거나, 임시 비밀번호 생성기(11), UI 관리기(12), 사용자 정보 관리기(13) 및 로그인 관리기(100) 중 적어도 일부는 하나의 컴퓨팅 시스템을 통하여 함께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였다. 특히 로그인 관리기(100)의 동작은 후술 되는 실시예들을 통하여 보다 상세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로그인 관리기(100)의 동작은 후술 되는 실시예들을 통하여 보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지원 방법을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지원 방법은 하나 이상의 컴퓨팅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지원 방법은 제1 컴퓨팅 시스템에 의하여 일부 동작이 수행되고, 나머지 동작은 제2 컴퓨팅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지원 방법의 일부 동작은 온-프레미스(On-Premise) 물리 서버에 의하여 일부 동작이 수행되고, 나머지 동작은 클라우드 서버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각 동작의 수행 주체가 생략된 경우, 그 수행 주체는 상기 컴퓨팅 시스템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와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지원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필요에 따라 각 단계의 상세한 내용은 후술될 수 있다.
먼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30)로부터 로그인을 위한 사용자의 ID(310) 및 비밀번호(320)가 입력된다(S100).
그 다음에, 도 4a를 함께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30)로부터 틀린 비밀번호(320)가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30)로부터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요청(400)이 수신된다(S200). 이때, 상기 로그인 요청(400)은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에 관한 그래픽 객체(400)가 클릭되거나 터치되는 것과 같이 사용자 단말(30)에 의하여 해당 그래픽 객체(400)가 선택됨으로써 수신되는 것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30)로부터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요청(400)을 수신하는 단계(S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30)로부터 틀린 비밀번호(320)가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비밀번호 오류 안내 화면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30)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밀번호 오류 안내 화면은, 상기 로그인 요청에 대한 그래픽 객체(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ID와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단계(S100)에서는 사용자 단말(30)에 상기 그래픽 객체(400)가 표시되지 않지만, 틀린 비밀번호(320)가 입력되면 그때 비로소 상기 그래픽 객체(400)가 사용자 단말(30)에 표시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비밀번호 입력 오류 상황에서 사용자가 휴대폰 번호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로그인을 하도록 지원 내지 유도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그래픽 객체(400)의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로그인 요청이 수신된다.
한편,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그래픽 객체(400)는, 사용자 단말(30)로부터 틀린 비밀번호(320)가 2회 이상 입력되는 경우에만 사용자 단말(30)에 표시될 수도 있다.
나아가, 도 4b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는,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에 관한 안내 메시지(400-a)가 상기 그래픽 객체(400)에 부가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비밀번호 입력 오류 상황에서 사용자가 휴대폰 번호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로그인을 하도록 보다 강하게 지원 내지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안내 메시지(400-a)는 반드시 도 4b에 도시된 형태로 구성될 필요가 없고, 본 개시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30)로부터 사용자의 제1 휴대폰 번호가 입력되고, 로그인을 위한 임시 비밀번호의 생성 요청이 수신된다(S300). 그 다음에, 상기 사용자의 ID 및 상기 제1 휴대폰 번호가 데이터베이스(20)에 기 저장된 상기 사용자에 관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가 판단되고, 상기 사용자의 ID 및 상기 제1 휴대폰 번호가 상기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 것에 응답하여 생성된 상기 임시 비밀번호가 상기 제1 휴대폰 번호에 의하여 특정되는 휴대폰에 송신된다(S400).
도 5a 및 도 5b를 더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30)로부터 사용자의 제1 휴대폰 번호(510)가 입력되고, 로그인을 위한 임시 비밀번호의 생성 요청(520)이 수신된다(S300). 이때, 임시 비밀번호의 생성 요청(520)은 임시 비밀번호의 생성에 관한 그래픽 객체(520)가 클릭되거나 터치되는 것과 같이 사용자 단말(30)에 의하여 해당 그래픽 객체(520)가 선택됨으로써 수신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5a 및 도 5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임시 비밀번호는 "인증번호" 내지 그와 유사한 용어로 사용자 단말(30)에 표시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사용자의 ID(310) 및 상기 제1 휴대폰 번호(510)가 데이터베이스(20)에 기 저장된 상기 사용자에 관한 사용자 정보, 즉, 데이터베이스(20)에 기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ID 및 휴대폰 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410). 그 다음에, 상기 사용자의 ID(310) 및 상기 제1 휴대폰 번호(510)가 상기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 것에 응답하여 생성된 상기 임시 비밀번호(530)가 상기 제1 휴대폰 번호(510)에 의하여 특정되는 휴대폰에 송신된다(S420).
그 다음에, 상기 사용자 단말(30)로부터 상기 임시 비밀번호(530)와 동일한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30)의 로그인이 허용된다(S500).
몇몇 실시예에서,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지원 시스템(10)은, 사용자의 휴대폰 번호가 변경된 경우에도 그 변경된 휴대폰 번호를 이용하여 로그인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6을 참조하여 이러한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로그인을 위한 임시 비밀번호의 생성 요청이 수신되는 단계(S300) 이후에, 사용자의 ID 및 제1 휴대폰 번호가 데이터베이스(20)에 기 저장된 상기 사용자에 관한 사용자 정보, 즉, 데이터베이스(20)에 기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ID 및 휴대폰 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410). 사용자의 핸드폰 번호가 변경된 상황에서는, 상기 제1 휴대폰 번호는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을 위하여 사용자 단말(30)로부터 최초로 입력된 휴대폰 번호, 즉 사용자의 변경된 휴대폰 번호일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실시예와 달리, 상기 사용자의 휴대폰 번호가 변경된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20) 상의 사용자 정보에는 변경 전 휴대폰 번호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휴대폰 번호는 데이터베이스(20)에 기 저장된 상기 사용자에 관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때, 로그인 관리기(100)는, 상기 제1 휴대폰 번호가 상기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 않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30)로부터 상기 변경된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430).
그 다음에, 타인에 의한 로그인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30)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제2 휴대폰 번호를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의 ID 및 상기 제2 휴대폰 번호가 상기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440). 이때, 상기 제2 휴대폰 번호는, 상기 사용자의 변경 전 휴대폰 번호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ID 및 상기 제2 휴대폰 번호가 상기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면, 마찬가지로 타인에 의한 로그인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휴대폰 번호, 즉 변경된 휴대폰 번호에 대하여 통신사를 통한 본인 인증 절차가 수행된다(S450). 예를 들면, 한국 통신사의 PASS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본인 인증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본인 인증이 성공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휴대폰 번호, 즉 변경된 휴대폰 번호에 의하여 특정되는 휴대폰에 임시 비밀번호가 송신된다(S420).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30)로부터 상기 임시 비밀번호와 동일한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30)의 로그인이 허용된다(S500). 이때, 변경된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이 허용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의 휴대폰 번호가 상기 제2 휴대폰 번호(변경 전 휴대폰 번호)에서 상기 제1 휴대폰 번호(변경된 휴대폰 번호)로 갱신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사용자 정보의 휴대폰 번호를 수정하는 번거로운 일을 하지 않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로그인이 실패하게 되면, 일반적인 경우와 같이 비밀번호 찾기나 비밀번호 변경 절차가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S600).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지원 시스템(10)은 비밀번호 입력 오류 시에 사용자가 처음부터 변경 전 휴대폰 번호로 로그인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7은 이러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30)로부터 로그인을 위한 사용자의 ID 및 비밀번호가 입력된다(S100). 상기 사용자 단말(30)로부터 틀린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30)로부터 변경된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요청이 수신된다(S710).
그 다음에, 사용자의 ID 및 상기 사용자 단말(3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의 제2 휴대폰 번호, 즉 변경 전 휴대폰 번호가 데이터베이스(20)에 기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정보와 일치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3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의 제1 휴대폰 번호, 즉 변경된 휴대폰 번호에 대하여 통신사를 통한 본인 인증이 성공하는 것에 응답하여(S721), 임시 비밀번호가 상기 제1 휴대폰 번호에 의하여 특정되는 휴대폰에 송신된다(S722).
그 다음에, 상기 사용자 단말(30)로부터 상기 임시 비밀번호와 동일한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30)의 로그인이 허용된다(S500).
이상 설명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비밀번호 입력 오류 시에 사용자가 휴대폰 번호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로그인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로그인 단계에서의 사용자 이탈로 인한 구매전환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1000)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8의 컴퓨팅 시스템(100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0), 시스템 버스(1600), 통신 인터페이스(1200), 프로세서(1100)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1500)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1400)와, 컴퓨터 프로그램(1500)을 저장하는 스토리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8에는 본 개시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개시가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8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컴퓨팅 시스템(1000)에는, 도 8에 도시된 구성요소 이외에도 다양한 구성요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생략된 형태로 컴퓨팅 시스템(1000)이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컴퓨팅 시스템(10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프로세서(1100)는 컴퓨팅 시스템(10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NPU(Neural Processing Unit) 또는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메모리(140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130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1500)을 로드할 수 있다. 메모리(1400)는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나,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시스템 버스(1600)는 컴퓨팅 시스템(1000)의 구성요소 간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시스템 버스(1600)는 주소 버스(Address Bus), 데이터 버스(Data Bus) 및 제어 버스(Control Bus) 등 다양한 형태의 버스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 인터페이스(1200)는 컴퓨팅 시스템(100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200)는 인터넷 통신 외의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1200)는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토리지(1300)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1500)을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300)는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컴퓨터 프로그램(1500)은 메모리(1400)에 로드될 때 프로세서(1100)로 하여금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컴퓨터 프로그램(1500)이 메모리(1400)에 로드 되면, 프로세서(110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시킴으로써,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컴퓨터 프로그램(1500)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로그인을 위한 사용자의 ID 및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인스트럭션들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틀린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는 인스트럭션들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제1 휴대폰 번호를 입력받고, 로그인을 위한 임시 비밀번호의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인스트럭션들과, 상기 사용자의 ID 및 상기 제1 휴대폰 번호가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상기 사용자에 관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ID 및 상기 제1 휴대폰 번호가 상기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 것에 응답하여 생성되는 상기 임시 비밀번호를 상기 제1 휴대폰 번호에 의하여 특정되는 휴대폰에 송신하는 인스트럭션들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임시 비밀번호와 동일한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로그인을 허용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는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틀린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비밀번호 오류 안내 화면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되, 상기 비밀번호 오류 안내 화면은, 상기 로그인 요청에 대한 그래픽 객체를 포함하는 것인, 인스트럭션들과, 상기 그래픽 객체의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시 비밀번호를 상기 제1 휴대폰 번호에 의하여 특정되는 휴대폰에 송신하는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제1 휴대폰 번호가 상기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 않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변경된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는 인스트럭션들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제2 휴대폰 번호를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의 ID 및 상기 제2 휴대폰 번호가 상기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인스트럭션들과, 상기 사용자의 ID 및 상기 제2 휴대폰 번호가 상기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고 상기 제1 휴대폰 번호에 대하여 통신사를 통한 본인 인증이 성공한 것에 응답하여 생성되는 상기 임시 비밀번호를, 상기 제1 휴대폰 번호에 의하여 특정되는 휴대폰에 송신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몇몇 실시예들에서, 도 8에 도시된 컴퓨팅 시스템(1000)은 클라우드 기술에 기반하여 구현된 가상 머신을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다. 가령, 컴퓨팅 시스템(1000)은 서버 팜(server farm)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물리 서버(physical server)에서 동작하는 가상 머신일 수 있다. 이 경우, 도 8에 도시된 프로세서(1100), 메모리(1400) 및 스토리지(1300) 중 적어도 일부는 가상 하드웨어(virtual hardware)일 수 있으며, 통신 인터페이스(1200) 또한 가상 스위치(virtual switch) 등과 같은 가상화된 네트워킹 요소로 구현된 것일 수 있다.
지금까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지원 시스템(10)을 구현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시스템(10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을 언급하였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컴퓨팅 시스템에 전송되어 상기 다른 컴퓨팅 시스템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다른 컴퓨팅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한 순서로 또는 순차적 순서로 실행되어야만 하거나 또는 모든 도시 된 동작들이 실행되어야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상황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가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컴퓨팅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로그인을 위한 사용자의 ID 및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틀린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제1 휴대폰 번호를 입력받고, 로그인을 위한 임시 비밀번호의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ID 및 상기 제1 휴대폰 번호가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상기 사용자에 관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ID 및 상기 제1 휴대폰 번호가 상기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 것에 응답하여 생성된 상기 임시 비밀번호를 상기 제1 휴대폰 번호에 의하여 특정되는 휴대폰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임시 비밀번호와 동일한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로그인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임시 비밀번호를 상기 제1 휴대폰 번호에 의하여 특정되는 휴대폰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휴대폰 번호가 상기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변경된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제2 휴대폰 번호를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의 ID 및 상기 제2 휴대폰 번호가 상기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ID 및 상기 제2 휴대폰 번호가 상기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고 상기 제1 휴대폰 번호에 대하여 통신사를 통한 본인 인증이 성공한 것에 응답하여 생성되는 상기 임시 비밀번호를, 상기 제1 휴대폰 번호에 의하여 특정되는 휴대폰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요청이 수신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로그인이 허용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의 상기 제2 휴대폰 번호를 상기 제1 휴대폰 번호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지원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틀린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비밀번호 오류 안내 화면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되, 상기 비밀번호 오류 안내 화면은, 상기 로그인 요청에 대한 그래픽 객체를 포함하는 것인, 단계; 및
    상기 그래픽 객체의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지원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 오류 안내 화면은, 상기 그래픽 객체에 부가하여 표시되는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에 관한 안내 메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인,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지원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 오류 안내 화면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틀린 비밀번호가 2회 이상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비밀번호 오류 안내 화면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지원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비밀번호는 OTP(One Time Password)인,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지원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통신 인터페이스;
    컴퓨터 프로그램이 로드(load)되는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로그인을 위한 사용자의 ID 및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틀린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는 인스트럭션들;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제1 휴대폰 번호를 입력받고, 로그인을 위한 임시 비밀번호의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인스트럭션들;
    상기 사용자의 ID 및 상기 제1 휴대폰 번호가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상기 사용자에 관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ID 및 상기 제1 휴대폰 번호가 상기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 것에 응답하여 생성되는 상기 임시 비밀번호를 상기 제1 휴대폰 번호에 의하여 특정되는 휴대폰에 송신하는 인스트럭션들;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임시 비밀번호와 동일한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로그인을 허용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되,
    상기 임시 비밀번호를 상기 제1 휴대폰 번호에 의하여 특정되는 휴대폰에 송신하는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제1 휴대폰 번호가 상기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변경된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는 인스트럭션들;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제2 휴대폰 번호를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의 ID 및 상기 제2 휴대폰 번호가 상기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인스트럭션들;
    상기 사용자의 ID 및 상기 제2 휴대폰 번호가 상기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고 상기 제1 휴대폰 번호에 대하여 통신사를 통한 본인 인증이 성공한 것에 응답하여 생성되는 상기 임시 비밀번호를, 상기 제1 휴대폰 번호에 의하여 특정되는 휴대폰에 송신하는 인스트럭션들; 및
    상기 변경된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요청이 수신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로그인이 허용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의 상기 제2 휴대폰 번호를 상기 제1 휴대폰 번호로 갱신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지원 시스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는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틀린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비밀번호 오류 안내 화면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되, 상기 비밀번호 오류 안내 화면은, 상기 로그인 요청에 대한 그래픽 객체를 포함하는 것인, 인스트럭션들; 및
    상기 그래픽 객체의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지원 시스템.
  12. 삭제
KR1020230075236A 2023-06-13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666949B1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6949B1 true KR102666949B1 (ko) 2024-05-16

Family

I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8025A (ja) * 2010-03-19 2011-10-06 Hitachi Solutions Ltd ワンタイムパスワード発行装置、ワンタイムパスワード発行システム
KR101559271B1 (ko) * 2015-02-25 2015-10-12 김대완 보안 깊이 값을 이용한 보안 인증 처리방법
KR102336416B1 (ko) * 2020-10-14 2021-12-07 전성훈 웹 사이트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핸드폰 번호에 결합하고 웹 사이트에 핸드폰 번호를 입력하여 핸드폰 고유의 본인확인을 통해 웹 사이트에 로그인하는 시스템과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8025A (ja) * 2010-03-19 2011-10-06 Hitachi Solutions Ltd ワンタイムパスワード発行装置、ワンタイムパスワード発行システム
KR101559271B1 (ko) * 2015-02-25 2015-10-12 김대완 보안 깊이 값을 이용한 보안 인증 처리방법
KR102336416B1 (ko) * 2020-10-14 2021-12-07 전성훈 웹 사이트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핸드폰 번호에 결합하고 웹 사이트에 핸드폰 번호를 입력하여 핸드폰 고유의 본인확인을 통해 웹 사이트에 로그인하는 시스템과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95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acting to messages
US20240037208A1 (en) Determining authentication sub-flow and client authentication based on tests transmitted to server-side software
US10095482B2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graphical task creation
US116470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user session continuity across multiple devices and/or multiple platforms
CN108416199B (zh) 一种应用的用户权限控制方法、装置及服务器
US20230153136A1 (en) Robotic process automation system with device user impersonation
US11863687B2 (en) Post-completion action management in online document system
US20180373786A1 (en) Database systems and methods for conversational database interaction
US10841342B2 (en) Data driven user interfaces for device management
US20190215380A1 (en) Data driven user interfaces for device management
US11556699B2 (en) Data migration across SaaS applications
KR102666949B1 (ko)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080228927A1 (en) Server directed browsing
US10303343B1 (en) Data driven user interfaces for device management
US11757976B2 (en) Unified application management for heterogeneous application delivery
US11876756B2 (en) Graph-based natural language generation for conversational systems
US10061686B2 (en) Method, electronic apparatus, system, and storage medium for automated testing of application user interface
US11593129B2 (en) Unified intelligent editor to consolidate actions in a workspace
CN107818002B (zh) 一种命令行界面的管理方法及装置
US202202535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Typing Characteristics for Authentication
KR20180060360A (ko)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제공되는 총무 관리 프로그램에서 사용자 정의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3496027A (zh) 用户终端及其控制方法以及记录介质
US11822873B2 (en) Document generation from applications
US11659021B2 (en) Asynchronous distributed modular function calling
KR102218355B1 (ko) 입력되는 글자에 따른 폰트 관리 수행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