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6491B1 - 다중 사용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를 옵트인 및 옵트아웃하기 위한 스위칭 방식 - Google Patents

다중 사용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를 옵트인 및 옵트아웃하기 위한 스위칭 방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6491B1
KR102666491B1 KR1020237040637A KR20237040637A KR102666491B1 KR 102666491 B1 KR102666491 B1 KR 102666491B1 KR 1020237040637 A KR1020237040637 A KR 1020237040637A KR 20237040637 A KR20237040637 A KR 20237040637A KR 102666491 B1 KR102666491 B1 KR 102666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mode
access point
ofdma
m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0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66149A (ko
Inventor
아메드 이브라힘 엘라바이
닝 장
카이 시
Original Assignee
구글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6/713,956 external-priority patent/US11310693B2/en
Application filed by 구글 엘엘씨 filed Critical 구글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30166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6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4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3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 H04L1/0035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evaluation of received explicit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2Multi-user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5Transmission of mode-switching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89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04W48/06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based on traf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Abstract

이 문서는 MU-OFDMA(다중 사용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를 옵트인하거나 옵트아웃하기 위한 스위칭 방식을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수단을 설명한다. 일 양태에서, 전자 디바이스(110)는 공유 채널 대역폭을 통해 무선 네트워크(130)를 통해 통신하기 위해 MU-OFDMA 모드에 진입(302)한다. MU-OFDMA 모드 동안, 전자 디바이스(110)는 업링크 큐 크기가 제1 임계값 크기보다 크다고 결정한다(306). 상기 결정에 응답하여, 전자 디바이스(130)는 MU-OFDMA 모드를 옵트아웃(310)하고, 단일 사용자 모드로 진입하여(312)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채널에 대해 경합한다.

Description

다중 사용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를 옵트인 및 옵트아웃하기 위한 스위칭 방식{SWITCHING SCHEME FOR OPTING IN AND OUT OF MULTI-USER 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WFA(Wi-Fi Alliance)는 MU-OFDMA(다중 사용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를 포함하는 여러 방식을 구현하여 Wi-Fi 성능을 향상시키는 802.11ax라는 새로운 표준을 개발했다. MU-OFDMA에서, 채널 대역폭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 모두에서 여러 사용자 간에 공유된다. 목표 고효율을 달성하기 위해, 802.11ax 액세스 포인트는 단일 사용자(SU) 모드에서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시간 동안 MU-OFDMA에서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시간을 최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목표 고효율은 액세스 포인트가 중간 경합 창에서 디바이스의 경쟁력을 낮추고,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사용되는 것에 비해 EDCA(Enhanced Multimedia Distributed Control Access) 파라미터의 보다 완화된 세트를 사용함으로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되는 트리거를 기다림으로써 달성된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는 11ax 디바이스(예: 802.11ax용으로 구성된 디바이스)에 비콘, 프로브 응답, 연관 응답 및 재-연관 응답을 포함하는 관리 프레임의 MU-EDCA 파라미터 세트 정보 엘리먼트를 전송한다. 이 정보 엘리먼트는 각 액세스 카테고리에 대한 새로운 EDCA 값 세트(예: 중재 프레임 간 간격 번호(AIFSN), 최소 경쟁 창(ECWmin)의 지수 형식 및 최대 경합 창(ECWmax)의 지수 형식)를 포함한다. 이러한 값은 EDCA 파라미터 세트 엘리먼트에 전달된 초기 세트보다 더 완화된다. MU-EDCA 파라미터 세트 정보 엘리먼트는 이러한 파라미터가 적용되는 시간에 대한 타이머 값을 포함된다(예: MU-EDCA 타이머).
MU-OFDMA에 참여하는 11ax 디바이스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트리거를 기다려야 하고, 업링크 트래픽(예: 업링크 데이터 및 제어 신호)을 전송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의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따라야 한다. 그러나 레거시 디바이스는 채널을 획득하기 위해 더 적극적으로 경쟁하고 전송을 위해 채널 대역폭에 대한 전체 액세스 권한을 얻는다. 이것은 MU-OFDMA에 참여하는 11ax 디바이스를 높은 트래픽 부하 시나리오에서 레거시 디바이스보다 열등하게 만든다.
이 요약은 MU-OFDMA(다중 사용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를 선택 및 선택 해제하기 위한 스위칭 방식의 단순화된 개념을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다. 일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업링크 트래픽이 높을 때(예를 들어, 임계값 초과) MU-OFDMA 모드("다중 사용자 모드")를 옵트아웃할 수 있으며, 이는 전자 디바이스가 단일 사용자 모드로 진입하게 하여, 다른 디바이스와 채널 대역폭을 공유하지 않고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에서 요구하는 액세스 제한 없이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여 처리량을 최대화한다. 다른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온라인 게임 애플리케이션과 같이 저지연 요구 사항이 중요하고 액세스 포인트가 이러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에 충분히 응답하지 않는 경우 MU-OFDMA 모드를 옵트아웃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전자 디바이스가 전송 채널의 신호 강도 측정에 기초하여, 전송 채널이 액세스 포인트가 전자 디바이스가 다중 사용자 모드에서 전송하도록 허용하는 것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고 추정하는 경우와 같이 BSS(Basic Service Set) 메트릭에 기초하여 MU-OFDMA 모드를 옵트아웃할 수 있다. 다중 사용자 모드를 옵트아웃하면 전자 디바이스로 하여금 단일 사용자 모드에 진입하게 하고, 액세스 포인트에서 요구하는 제한 없이 전송 채널에 대해 경합하게 할 수 있다.
단순화된 개념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추가로 설명된다. 본 요약은 청구된 발명의 필수적 구성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청구된 발명의 범위를 결정하는데 사용하도록 의도된 것도 아니다.
MU-OFDMA를 옵트인 및 옵트아웃하기 위한 스위칭 방식의 하나 이상의 양태의 세부사항은 아래에서 설명된다. 설명 및 도면에서 상이한 경우에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는 것은 유사한 엘리먼트를 나타낸다:
도 1은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 및 Wi-Fi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예시적 환경을 도시한다.
도 2는 액세스 포인트 및 전자 디바이스의 예시적 디바이스 다이어그램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다.
도 3은 업링크 트래픽이 높을 때 MU-OFDMA를 옵트인 및 옵트아웃하기 위한 예시적 방법을 도시한다.
도 4는 저지연 서비스 품질(QoS) 요구사항을 따르기 위해 MU-OFDMA를 옵트아웃하는 예시적 방법을 도시한다.
도 5는 BSS(Basic Service Set) 메트릭에 기초하여 MU-OFDMA를 옵트아웃하기 위한 예시적 방법을 도시한다.
개요
이 문서는 MU-OFDMA(다중 사용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를 옵트인하거나 옵트아웃하기 위한 스위칭 방식을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수단을 설명한다. MU-OFDMA의 고효율 및 활용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존 기법은 MU-OFDMA에 참여하는 11ax 전자 디바이스(예: 802.11ax용으로 구성된 장치)가 트래픽 부하 시나리오에서 레거시 디바이스보다 열등한 원인이 된다. 11ax 디바이스가 중간 경합 창에서 경쟁력이 떨어지고 액세스 포인트에서 보낸 트리거를 기다리게 되기 때문이다. 전반적인 BSS 효율성을 위해 트래픽이 적은(중요하지 않은 지연) 시나리오에서 높은 효율성을 유지하는 것과 데이터 로드 또는 지연 요구 사항이 중요한 경우 경합에서 공격적으로 유지하는 것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하는 기법이 설명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법은 MU-OFDMA를 옵트인 및 옵트아웃하기 위한 스위칭 방식에 관한 것이다.
일 양태에서, MU-OFDMA 모드를 옵트인 또는 옵트아웃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방법은 전자 디바이스가 공유 채널 대역폭을 통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기 위해 MU-OFDMA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방법은 상기 MU-OFDMA 모드 동안, 업링크 큐 크기가 제1 임계값 크기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방법은 상기 결정에 응답하여 MU-OFDMA 모드를 옵트아웃하고, 단일 사용자 모드로 진입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채널에 대해 경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전자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전자 디바이스는 MU-OFDMA 모드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신호의 전송 및 수신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액세스 모드 관리자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시스템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액세스 모드 관리자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저지연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액세스 모드 관리자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MU-OFDMA 모드 및 저지연 모드 동안, 상기 MU-OFDMA 모드를 계속 사용할지 아니면 MU-OFDMA 모드를 옵트아웃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 상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트리거가 수신되는 주파수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양태에서, MU-OFDMA 모드를 옵트아웃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방법은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MU-OFDMA 모드를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전자 디바이스가 전송할 업링크 데이터를 가지고 있음을 무선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방법은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하나 이상의 트리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트리거는 요구된 변조 및 코딩 방식(MCS)을 포함한다. 또한, 방법은 전송 채널의 클리어 채널 평가(CCA)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전송 채널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MCS를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MU-OFDMA 모드로부터 옵트아웃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추정된 MCS와 연관된 제1 데이터 레이트를 상기 요구된 MCS와 연관된 제2 데이터 레이트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시적 환경
도 1은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110) 및 Wi-Fi 액세스 포인트(120)를 포함하는 예시적 환경(100)을 도시한다. 이들 디바이스 각각은 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고, 무선 링크(130)를 통해 데이터, 패킷 및/또는 프레임을 통신할 수 있다. 무선 링크(130)는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무선 통신 링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링크(130)는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애드혹 WLAN(예를 들어, 직접 무선 링크), 무선 메시 네트워크, 근거리 통신(NFC) 링크,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WPAN), 무선 광역 네트워크(WWAN) 또는 단거리 무선 네트워크에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링크(130)는 IEEE 802.11-2012, IEEE 802.11-2016, IEEE 802.11ac, IEEE 802.11ad, IEEE 802.11ah, IEEE 802.11ax 등과 같은 IEEE 표준 또는 임의의 적절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IEEE 802.11ax을 사용함으로써, 전자 디바이스(110)는 2.4GHz, 5GHz 및 6GHz 무선 대역과 같은 1 내지 6GHz 사이의 무선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액세스 포인트(120)는 무선 링크(130)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제공하고 관리하도록 구현된다. 무선 링크(130)는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변조 및 코딩 방식(MCS)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액세스 포인트(120)는 호스트 디바이스, 향상된 노드 기지국, 무선 라우터, 광대역 라우터, 모뎀 디바이스, 드론 컨트롤러, 차량 기반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다른 네트워크 관리 노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거나 그로서 구현될 수 있다. IEEE 802.11ax를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120)는 다중 Wi-Fi 네트워크, 2.4GHz Wi-Fi 네트워크("AP2G"), 5GHz Wi-Fi 네트워크("AP5G") 및/또는 6GHz Wi-Fi 네트워크("AP6G")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10)는 MU(multi-user) OFDMA 모드를 사용하여 두 Wi-Fi 네트워크를 모두 검출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또한 MIMO(다중 입력 다중 출력)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들)(110)는 액세스 포인트(120)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스테이션으로서 동작한다. 전자 디바이스(110)는 스마트 폰, 셋톱 박스, 태블릿 컴퓨터, 무선 스피커, 무선 스마트 스피커, 카메라, 웨어러블 디바이스, 무선 프린터, 모바일 스테이션, 랩톱 컴퓨터, 의료 기기, 보안 시스템, 드론, 사물 인터넷(IoT) 장치, 게임 장치, 스마트 기기, 인터넷 프로토콜 지원 텔레비전(IP TV), 개인용 미디어 장치, 내비게이션 장치, 모바일 -인터넷 장치(MID), NAS(Network-Attached-Storage) 드라이브, 모바일 게임 콘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액세스 포인트(120)는 유선 또는 무선(예를 들어, T1 회선, 광섬유 링크, 광대역 케이블 네트워크, 인트라넷, 무선 광역 네트워크)일 수 있는 인터넷, 기타 네트워크 또는 백홀 링크(도시되지 않음)를 통한 네트워크 리소스에 대한 연결을 제공한다. 백홀 링크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 또는 광대역 케이블 제공자와 같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운영되는 데이터 네트워크를 포함하거나 이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적절하게 구성된 모뎀(미도시)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120)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들)(110)는 액세스 포인트(120)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네트워크와 연관되어(예: 무선 링크(130)), 인터넷에 액세스하거나, 서로 데이터를 교환하거나, 액세스 포인트(120)가 게이트웨이로서 동작하는 다른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
예시적 디바이스
도 2는 액세스 포인트 및 전자 디바이스의 예시적 디바이스 다이어그램(200)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다. 양태들에서, 디바이스 다이어그램(200)은 MU-OFDMA를 옵트인 및 옵트아웃하기 위한 스위칭 방식의 다양한 양태를 구현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설명한다. 전자 디바이스(들)(110)는 액세스 포인트(120)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스테이션(STA)으로 동작한다. 스테이션으로서, 전자 디바이스(110)는 액세스 포인트(120) 또는 다른 무선 지원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202) 및 하나 이상의 트랜시버(204)를 포함한다. 트랜시버(204)는 데이터의 다중 공간 스트림의 전송 또는 수신을 지원하기 위해 임의의 적절한 수의 개별 통신 경로(예를 들어, 전송 또는 수신 체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들)(110)의 프론트-엔드 회로(미도시)는 다양한 유형의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트랜시버(204)를 안테나(202)에 연결하거나 연결할 수 있다. 안테나(202)는 서로 유사하거나 다르게 구성된 다수의 안테나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10)는 또한 프로세서(들)(206) 및 메모리(208)(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208)(CRM(20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들)(206)는 실리콘, 폴리 실리콘, high-K 유전체, 구리 등과 같은 다양한 재료로 구성된 단일 코어 프로세서 또는 다중 코어 프로세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전파 신호를 제외한다. CRM(208)은 전자 디바이스(들)(110)의 디바이스 데이터(210)를 저장하는데 사용가능한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정적 RAM(SRAM), 동적 RAM(DRAM), 비휘발성 RAM(NVRAM), 읽기 전용 메모리(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메모리 또는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데이터(210)는 사용자 데이터, 멀티미디어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전자 디바이스(110)의 운영 체제를 포함하며, 무선 통신 및 전자 디바이스(110)와의 사용자 인터렉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프로세서(들)(206)에 의해 실행가능하다. 본 개시의 맥락에서, CRM(208)은 저장 매체로 구현되어 일시적인 신호나 반송파를 포함하지 않는다.
CRM(208)은 또한 액세스 모드 관리자(212)(예를 들어, 액세스 모드 관리자 애플리케이션(212))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액세스 모드 관리자(212)는 전자 디바이스(110)의 다른 컴포넌트들과 통합되거나 그와 분리된 하드웨어 로직 또는 회로로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양태에서, 액세스 모드 관리자(212)는 MU-OFDMA를 옵트인 및 옵트아웃하기 위한 스위칭 방식에 대해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법을 구현하도록 트랜시버(들)(204)를 구성한다.
액세스 포인트(120)는 전자 디바이스(110) 또는 다른 무선 지원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252) 및 하나 이상의 트랜시버(254)를 포함한다. 트랜시버(254)는 데이터의 다중 공간 스트림의 전송 또는 수신을 지원하기 위해 임의의 적절한 수의 개별 통신 경로(예를 들어, 전송 또는 수신 체인)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20)의 프론트-엔드 회로(미도시)는 다양한 유형의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트랜시버(254)를 안테나(252)에 연결하거나 연결할 수 있다. 안테나(252)는 서로 유사하거나 다르게 구성된 다수의 안테나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20)는 또한 프로세서(들)(256)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258)(CRM(25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56)는 실리콘, 폴리 실리콘, high-K 유전체, 구리 등과 같은 다양한 재료로 구성된 단일 코어 프로세서 또는 다중 코어 프로세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전파 신호를 제외한다. CRM(258)은 액세스 포인트(120)의 디바이스 데이터(260)를 저장하는데 사용가능한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정적 RAM(SRAM), 동적 RAM(DRAM), 비휘발성 RAM(NVRAM), 읽기 전용 메모리(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메모리 또는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데이터(260)는 전자 디바이스(들)(110)과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프로세서(들)(256)에 의해 실행가능한 액세스 포인트(120)의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운영 체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맥락에서, CRM(258)은 저장 매체로 구현되어 일시적인 신호나 반송파를 포함하지 않는다.
CRM(258)은 또한 액세스 포인트 관리자(262)(액세스 포인트 관리자 애플리케이션(262))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액세스 포인트 관리자(262)는 액세스 포인트(120)의 다른 컴포넌트들과 통합되거나 그와 분리된 하드웨어 로직 또는 회로로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양태에서, 액세스 포인트 관리자(262)는 MU-OFDMA를 옵트인 및 옵트아웃하기 위한 스위칭 방식에 대해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법을 구현하도록 트랜시버(들)(254)를 구성한다. 액세스 포인트 관리자(262)는 또한 전자 디바이스(들)(110), 액세스 포인트(120) 및 외부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기 위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64)를 구성한다.
예시적 방법들
예시적 방법(300, 400, 및 500)은 MU-OFDMA의 옵트인 및 옵트아웃을 위한 스위칭 방식의 하나 이상의 양태에 따라 도 3-5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방법(300, 400 및 500)의 블록이 설명되는 순서는 제한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설명된 방법 블록 중 임의의 수를 임의의 순서로 결합하거나 건너뛰거나 반복되거나 조합하여 방법 또는 대안적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컴포넌트, 모듈, 방법 및 동작 중 임의의 것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예를 들어, 고정 논리 회로), 수동 프로세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 방법의 일부 동작은 컴퓨터 프로세싱 시스템에 대해 로컬 및/또는 원격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메모리에 저장된 실행가능 명령어의 일반적인 맥락에서 설명될 수 있으며, 구현예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함수 등이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능 중 임의의 기능은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SP(Application-specific Standard Products), SoC(System-on-a-chip), CPLD(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s) 와 같은(제한이 아님),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로직 컴포넌트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업링크 트래픽이 높을 때 MU-OFDMA를 옵트인 및 옵트아웃하기 300 위한 예시적 방법(300)을 도시한다. 높은 업링크 트래픽 기간 동안, 전자 디바이스(110)가 다른 디바이스와 전송 채널의 대역폭을 공유하는 것보다 MU-OFDMA를 옵트아웃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 있다. 302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공유 채널 대역폭을 통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기 위해 MU-OFDMA 모드에 진입한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예: 전자 디바이스(110))는 OMI(Operation Mode Indication)를 액세스 포인트(예: 액세스 포인트(120))에 전송하여 MU-OFDMA 모드의 개시를 요청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동시 다중 사용자 전송이 발생할 수 있도록 MU-OFDMA 모드에서 다중 전자 디바이스의 업링크 전송을 제어하고 동기화한다.
304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타이머 T1(예를 들어, 제1 타이머 T1)을 개시한다. 타이머 T1은 임의의 적절한 타이밍 메커니즘일 수 있고, 약 500밀리초(ms)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시간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타이머 T1은 단일 사용자 모드와 같은 다른 모드로 스위칭하기 전에 전자 디바이스(110)가 MU-OFDMA 모드에 남아 있는 최소 시간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306에서, 전자 디바이스(110)는 업링크(UL) 큐 크기가 업링크 큐에 대한 제1 임계값 크기 TH-1보다 큰지를 결정한다. 업링크 큐 크기는 높거나 낮은 업링크 트래픽의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임계값 크기는 전송 채널의 크기, 대략 2MB의 데이터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임계값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10)는 업링크 데이터가 전체 전송 채널을 채우기에 충분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제1 임계 크기 TH-1을 사용한다. 채널이 업링크 데이터로 채워질 수 있다면, 다중 사용자 모드에 따라 전송 채널의 대역폭을 공유하지 않음으로써 효율성이 손실되지 않는다.
업링크 큐 크기가 제1 임계 크기 TH-1보다 크지 않은 경우(예를 들어, 306에서 "아니오"), 전자 디바이스(110)는 업링크 큐의 크기를 계속 모니터링한다. 업링크 큐 크기가 제1 임계 크기 TH-1보다 크면(306에서 "예"), 308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타이머 T1이 만료되었는지를 결정한다. 타이머 T1이 아직 만료되지 않은 경우(308에서 "아니오"), 전자 디바이스(110)는 306에서 제1 임계 크기 TH-1에 대한 업링크 큐 크기를 계속 모니터링한다. 타이머 T1은 전자 디바이스(110)가 MU-OFDMA 모드에 진입한 후 너무 빨리 MU-OFDMA 모드를 옵트아웃하는 것을 방지한다.
타이머 T1이 만료되면(308에서 "예"), 310에서 전자 디바이스(110)는 MU-OFDMA 모드를 옵트아웃한다. 다중 사용자 모드의 옵트아웃은 전자 디바이스(110)가 다중 사용자 모드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요구 사항에 제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10)는 전자 디바이스가 MU-OFDMA 모드를 종료하고 단일 사용자 모드에서 전송 채널에 대해 경합하도록 선택하고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OMI 신호를 액세스 포인트(120)에 보낼 수 있다. 특히, 전자 디바이스(110)는 업링크 MU 비활성화 서브필드가 1로 설정되거나 또는 업링크 MU 비활성화 서브필드가 0으로 설정되고 업링크 MU 데이터 비활성화 서브필드가 1로 설정된 OM 제어 서브필드를 갖는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10)는 액세스 포인트(120)로부터 전자 디바이스(110)에 대해 MU-OFDMA 모드가 비활성화되었음을 나타내는 확인응답 신호(예: ACK)를 수신할 수 있다. 이 프레임이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확인되면, 전자 디바이스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요구되고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사용된 초기 EDCA 파라미터 세트 정보 엘리먼트에 포함된 표준 EDCA 파라미터와 비교하여 완화된 값을 가질 수 있는 MU-OFDMA EDCA 파라미터 세트를 무시할 수 있다. 그러면, 전자 디바이스(110)는 완화된 값을 갖지 않는 초기 EDCA 파라미터 세트 정보 엘리먼트에 포함된 표준 EDCA 파라미터를 적용할 수 있다.
312에서, 전자 디바이스(110)는 전송 채널에 대해 경합하기 위해 단일 사용자(SU) 모드에 진입한다. 단일 사용자 모드는 전자 디바이스가 다중 사용자 모드의 일부로서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요구된 파라미터와 다른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전송 채널을 위해 경합할 수 있게 하여, 전자 디바이스(110)가 전송 채널을 위해 레거시 디바이스 및/또는 액세스 포인트(120)와 같이 공격적으로 경쟁할 수 있게 한다.
314에서, 전자 디바이스(110)는 단일 사용자 모드에 진입하는 것에 응답하여 타이머 T2(예를 들어, 제2 타이머 T2)를 개시한다. 타이머 T2는 약 500ms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지속 시간 동안 설정될 수 있다. 타이머(T2)는 전자 디바이스(110)가 본질적으로 다중 사용자 모드와 단일 사용자 모드 사이에서 앞뒤로 왔다갔다하는 단일 사용자 모드를 너무 빨리 종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타이머(T2)는 전자 디바이스(110)가 다중 사용자 모드로 재진입을 시도하기 전에 단일 사용자 모드로 동작하는데 필요한 최소 시간을 제공한다.
316에서, 전자 디바이스(110)는 업링크 큐 크기가 제2 임계 크기 TH-2 미만인지를 결정한다. 제2 임계 크기(TH-2)의 예는 전송 채널 크기의 절반, 대략 1MB의 데이터,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임계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임계 크기(TH-1) 및 제2 임계 크기(TH-2)는 업링크 데이터의 액세스 카테고리(예를 들어, 음성, 비디오, 최선 노력 및 백그라운드 액세스 카테고리)에 기초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임계값은 상이한 액세스 카테고리에 대해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임계 크기 TH-1 및 TH-2는 업링크 데이터가 VoIP(Voice-over-Internet Protocol), 온라인 게임,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등에 대한 것인지 여부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또한, 각 액세스 카테고리에서 제1 및 제2 임계 크기(TH-1 및 TH-2)는 다를 수 있다. 예시적 구현예는 음성 액세스 카테고리에 대해, 1킬로바이트(KB)로 설정된 제1 임계 크기 TH-1 및 0.2KB로 설정된 제2 임계 크기 TH2를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비디오 액세스 카테고리에 대해, 제1 임계 크기 TH-1은 10KB로 설정될 수 있고 제2 임계값 크기 TH-2는 2KB로 설정될 수 있다. 최선 노력 및 백그라운드 액세스 카테고리에 대한 예시적 구현예는 2MB로 설정된 제1 임계 크기 TH-1 및 1MB로 설정된 제2 임계 크기 TH-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1 및 제2 임계값 TH-1 및 TH2는 업링크 큐의 최대 지연 시간에 의존할 수 있어, 각 임계값은 업링크 큐의 상이한 최대 지연 시간에 대해 상이할 수 있다. 몇몇 예가 여기에 설명되어 있지만, 임의의 적절한 임계 크기가 제1 및 제2 임계 크기(TH-1 및 TH-2)에 대해 사용될 수 있고, 크기는 구현예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들 예시는 제한을 의미하지 않는다.
업링크 큐 크기가 제2 임계 크기 TH-2 이상인 경우(316에서 "아니오"), 전자 디바이스(110)는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단일 사용자 모드에 남아 있는다. 그러나 업링크 큐 크기가 제2 임계 크기 TH-2 아래로 떨어지면, 다중 사용자 모드가 단일 사용자보다 전자 디바이스(110)에 대해 더 효율적일 수 있도록 업링크 트래픽이 충분히 낮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110)가 업링크 큐 크기가 제2 임계 크기 TH2보다 작은 크기로 감소했다고 결정하면(316에서 "예"), 318에서, 전자 디바이스(110)는 타이머 T2가 만료되었는지 결정하여 단일 사용자 모드에 진입한 후 충분한 시간이 지났음을 표시한다. 대안적으로, 전자 디바이스(110)는 업링크 큐 크기가 제2 임계 크기(TH-2) 이상인지 판단하기 전에 타이머(T2)가 만료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
타이머 T2가 만료되지 않은 경우(318에서 "아니오"), 전자 디바이스(110)는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단일 사용자 모드에 남아 있는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110)는 타이머 T2가 만료될 때까지 MU-OFDMA 모드로의 옵트인을 지연할 수 있다. 타이머 T2가 만료된 경우(318에서 "예"), 전자 디바이스(110)가 단일 사용자 모드에서 충분한 시간을 소비한 것으로 결정하고, 전자 디바이스(110)는 다중 사용자 모드에 대한 옵트인을 진행할 수 있다.
다중 사용자 모드와 단일 사용자 모드 간의 왔다갔다(핑퐁)를 줄이거나 방지하기 위해 2개의 임계 크기 TH-1과 TH-2 사이에 다른 형태의 히스테리시스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머 T2를 사용하는 대신(또는 타이머 T2를 사용하는 것에 추가하여), 전자 디바이스(110)는 다중 사용자 모드에 대한 옵트인 여부를 결정하기 전에 제2 임계 크기 TH-2가 업링크 큐 크기가 미리 정의된 양(예: 값 또는 백분율)만큼 아래로 떨어질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 미리 정의된 양만큼 제2 임계 크기(TH-2)보다 작은 제3 임계 크기가 사용될 수 있다. 이 추가 조건은 전자 디바이스(110)가 단일 사용자 모드와 다중 사용자 모드 사이에서 앞뒤로 바운싱될 가능성을 추가로 감소시킬 수 있다.
320에서, 전자 디바이스(110)는 MU-OFDMA 모드로 옵트인한다. 이는 전자 디바이스(110)가 OMI 신호를 액세스 포인트(120)로 전송하여 다중 사용자 모드에 대한 참여를 요청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10)는 액세스 포인트(120)로부터 확인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다중 사용자 모드로 진입할 수 있는 권한 및 정보를 제공한다. 그 다음, 전자 디바이스(110)는 302에서 MU-OFDMA 모드로 재진입할 수 있다.
도 4는 저지연 서비스 품질(QoS) 요구사항을 따르기 위해 MU-OFDMA를 옵트아웃하는 예시적 방법(400)을 도시한다. 방법(400)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빠른 액세스를 필요로 하는 저지연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때 전자 디바이스(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402에서, 전자 디바이스(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10))는 MU-OFDMA 모드를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한다.
404에서, 전자 디바이스(110)는 업링크 트래픽에 대한 저지연 모드에 진입한다. 전자 디바이스(110)는 온라인 게임과 같이 중요한 데이터 로드 또는 지연 요구 사항을 갖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저지연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406에서, 전자 디바이스(110)는 액세스 포인트(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20))로부터 복수의 트리거들을 수신한다. 트리거(예를 들어, 트리거 프레임)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방향 모두에서 다중 사용자 전송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120)에 의해 사용된다. 액세스 포인트(120)는 중앙 조정 엔티티의 역할을 하고, 수신 또는 전송을 위한 시간-주파수 RU(리소스 유닛)를 연관 스테이션에 할당하여, RU 경합 오버헤드를 방지하고 밀집 배치 시나리오에서 효율성을 높인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20)(Wifi AP)는 다운링크 트리거 프레임을 송신하여 특정 스테이션에 그들의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알린다. 트리거 프레임은 업링크 전송을 위해 스테이션(전자 디바이스(들)(110)이 사용할 전송 간격, 전송 비트 레이트, 전송 전력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트리거의 정보는 802.11ax 사양에 정의되어 있다.
408에서, 전자 디바이스(110)는 액세스 포인트(120)로부터 트리거가 수신되는 주파수를 모니터링한다. 특히, 전자 디바이스(110)는 액세스 포인트(120)로부터 수신한 트리거들의 평균 도착 시간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410에서, 전자 디바이스(110)는 주파수가 임계 주파수 TH-f보다 큰지를 결정한다. 적절한 임계 주파수 TH-f는 트리거에 대한 허용 가능한 주파수에 대한 측정치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임계 주파수 TH-f는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예를 들어, VoIP 애플리케이션, 온라인 게임 애플리케이션 등), 데이터의 유형(예를 들어, 음성 트래픽,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등) 또는 업링크 데이터의 특정 액세스 카테고리에 기초할 수 있다. 주파수가 임계 주파수 TH-f보다 크면(410에서 "예"), 전자 디바이스(110)는 MU-OFDMA 모드를 유지하고 408에서 주파수를 계속 모니터링한다. 임계 주파수(TH-f)는 최대 큐 지연을 나타낼 수 있다. 트리거의 주파수가 임계 주파수 TH-f보다 클 때, 트리거는 다중 사용자 모드에서 높은 효율성을 유지하기에 충분히 빠르게 액세스 포인트(120)에 의해 송신되고 있다.
주파수가 임계 주파수 TH-f보다 작은 경우(410에서 "아니오"), 412에서 전자 디바이스(110)는 MU-OFDMA 모드를 옵트아웃한다. 트리거의 주파수가 임계 주파수 TH-f 아래로 떨어질 때, 전자 디바이스(110)는 어떤 이유로 액세스 포인트(120)가 저지연 요구사항에 대해 충분히 응답하지 않는다고 결정할 수 있다. 지연된 트리거는 더 많은 전송 지연을 초래한다. 따라서,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110)는 MU-OFDMA 모드를 옵트아웃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414에서, 전자 디바이스(110)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요구된 제한 없이 무선 네트워크 상의 전송 채널에 대해 경합하기 위해 단일 사용자 모드에 진입한다. 위에서와 같이, 단일 사용자 모드(다중 사용자 모드에서 옵트아웃한 후)는 전자 디바이스(110)가 다중 사용자 모드에 대해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설정된 스케줄링 및 공유 채널 대역폭 요구 사항을 피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110)는 다중 사용자 모드를 옵트아웃하고 단일 사용자 모드로 스위칭함으로써 전자 디바이스(110)가 전자 디바이스(110)가 다중 사용자 모드를 옵트아웃하지 않고 단순히 액세스 포인트(120)에 의해 제공된 경합 파라미터의 완화된 세트를 사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지연에 대한 페널티를 받는 것을 피한다.
일부 시나리오에서, 404에서 저지연 모드에 진입한 후, 전자 디바이스(110)는 416에서 미리 정의된 기간 동안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트리거를 수신하지 않거나 기간 동안 단일 트리거만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방법(400)은 416으로부터 412로 직접 진행하여 MU-OFDMA 모드를 옵트아웃한다.
지연 요건이 완화됨에 따라 또는 미리 정의된 시간 기간 후에, 전자 디바이스(110)는 418에서 선택적으로 MU-OFDMA 모드로 다시 옵트인할 수 있다. 그 다음, 방법(400)은 트리거를 수신하거나(406에서), 트리거를 수신하지 않고(416에서), 액세스 포인트(120)로부터 트리거가 수신되는 주파수를 모니터링(408에서)할 수 있다.
도 5는 기본 서비스 세트(BSS) 메트릭에 기초하여 MU-OFDMA를 옵트아웃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500)을 도시한다. 502에서, MU-OFDMA 모드를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전자 디바이스(110)는 무선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할 업링크 데이터를 표시한다.
504에서, 전자 디바이스(110)는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하나 이상의 트리거를 수신한다. 일 예에서, 트리거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제공되는 요구된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을 포함한다.
506에서, 전자 디바이스(110)는 전송 채널의 BSS 클리어 채널 평가(CCA)를 수행한다. BSS CCA Busy는 채널의 방송 시간이 얼마나 바쁜지 또는 깨끗한지를 나타내는 Wi-Fi 메트릭이다. 전자 디바이스(110)는 이 메트릭을 획득하기 위해 일정 기간 동안 채널 사용 시간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10)는 무선 인터페이스의 물리 레이어에서 무선 주파수(RF) 전송을 리스닝한다. 전자 디바이스(110)는 디바이스들 간의 동기화를 위해 다른 전송 라디오(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20))로부터의 프리앰블 전송을 식별하기 위해 신호-검출 임계치를 사용한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110)는 에너지 검출 임계값을 사용하여 CCA 동안 다른 유형의 RF 전송을 검출한다.
508에서, 전자 디바이스(110)는 전송 채널이 클리어인 경우 전송 채널의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RSSI)를 측정한다. 이 측정은 전자 디바이스(110)가 데이터를 얼마나 빨리 전송할 수 있는지에 대한 표시인 전송 채널 상의 신호 품질에 대한 표시를 제공한다.
510에서, 전자 디바이스(110)는 측정된 RSSI에 기초하여 MCS를 추정한다. 추정된 MCS는 전자 디바이스(110)가 전송 채널 상에서 심볼당 얼마나 많은 비트를 전송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512에서, 전자 디바이스(110)는 추정된 MCS와 연관된 데이터 레이트가 요구된 MCS와 연관된 데이터 레이트보다 큰지를 결정한다. 일부 양태에서, 전자 디바이스(110)는 추정된 MCS와 연관된 데이터 레이트가 요구된 MCS와 연관된 데이터 레이트보다 임계량 T만큼 더 큰지 결정할 수 있다. MCS는 레이트들의 어레이에 대한 인덱스이고, 더 높은 MCS는 더 높은 레이트에 대응하고 더 낮은 MCS는 더 낮은 레이트에 대응한다.
추정된 MCS와 연관된 데이터 레이트가 요구된 MCS와 연관된 데이터 레이트보다 작은 경우(512에서 "아니오"), 514에서, 전자 디바이스(110)는 MU-OFDMA 모드에 남아 있고 요구된 MCS에 따른 MU-OFDMA 모드를 사용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 일부 양태에서, 방법(500)은 전자 디바이스(110)가 추정된 MCS와 연관된 데이터 레이트가 요구된 MCS와 연관된 데이터 레이트보다 더 크지만 데이터 레이트들 사이의 차이가 임계량 T보다 작다고 결정하는 경우 514로 진행할 수 있다.
추정된 MCS와 연관된 데이터 레이트가 요구된 MCS와 연관된 데이터 레이트보다 큰 경우(512에서 "예"), 516에서, 전자 디바이스(110)는 MU-OFDMA 모드를 옵트아웃한다. 대안적으로, 전자 디바이스(110)는 추정된 MCS와 연관된 데이터 레이트가 적어도 임계량 T만큼 요구된 MCS와 연관된 데이터 레이트보다 큰 경우 516에서 MU-OFDMA 모드를 옵트아웃한다.
518에서, 전자 디바이스(110)는 액세스 포인트(120)에 의해 요구된 제한 없이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무선 네트워크 상의 전송 채널에 대해 경합하기 위해 단일 사용자 모드에 진입한다.
몇 가지 예가 아래에 제공된다:
예 1: MU-OFDMA(다중 사용자 직교 주파수 다중 액세스) 모드를 옵트인 또는 옵트아웃하는 방법으로서,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방법은: 공유 채널 대역폭을 통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기 위해 MU-OFDMA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상기 MU-OFDMA 모드 동안, 업링크 큐 크기가 제1 임계값 크기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MU-OFDMA 모드를 옵트아웃하는 단계; 및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채널에 대해 경합하기 위해 단일 사용자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예 2: 예 1에 있어서, 상기 옵트아웃하는 단계는: 상기 MU-OFDMA 모드를 비활성화하기 위한 표시를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대해 MU-OFDMA 모드가 비활성화됨을 표시하는 확인응답 신호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예 3: 예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단일 사용자 모드에 진입한 후, 상기 업링크 큐 크기가 제2 임계값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감소했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업링크 큐 크기가 상기 제2 임계값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감소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MU-OFDMA 모드에 옵트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예 4: 예 3에 있어서, 상기 MU-OFDMA 모드에 옵트인하는 단계는: 상기 MU-OFDMA 모드에 참여하기 위해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에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MU-OFDMA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추가 확인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MU-OFDMA 모드에 재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예 5: 예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단일 사용자 모드에 진입하는 것에 응답하여 타이머를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MU-OFDMA 모드에 옵트인하는 것을 연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예 6: 예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단일 사용자 모드에 진입하는 것에 응답하여 타이머를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상기 결정하는 것을 연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예 7: 예 3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업링크 큐 크기가 상기 제2 임계값 크기보다 작은 제3 임계값 크기 아래로 감소했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예 8: 예 3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임계값은 상기 업링크 데이터의 액세스 카테고리에 기초하는, 방법.
예 9: 예 3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계값 또는 상기 제2 임계값 중 적어도 하나는 업링크 큐의 최대 지연에 의존하는, 방법.
예 10: 선행하는 예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MU-OFDMA 모드에 진입하는 것에 응답하여, 타이머를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을 수행하기 전에, 상기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기다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예 11: 선행하는 예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MU-OFDMA 모드에 진입하는 것에 응답하여, 타이머를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옵트아웃을 연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예 12: 전자 디바이스로서, 액세스 모드 관리자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프로세서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액세스 모드 관리자 애플리케이션은: 다중 사용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MU-OFDMA) 모드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신호의 송수신을 관리하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저지연 모드로 진입하고; 그리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MU-OFDMA 모드 및 저지연 모드 동안, 상기 MU-OFDMA 모드를 계속 사용할지 아니면 MU-OFDMA 모드를 옵트아웃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 상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트리거가 수신되는 주파수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예 13: 예 12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모드 관리자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트리거가 수신되는 주파수가 임계 주파수보다 크다고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를 상기 MU-OFDMA 모드로 유지하고; 그리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트리거가 수신되는 주파수를 계속 모니터링하도록 더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예 14: 예 12 또는 13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모드 관리자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트리거가 수신되는 주파수가 임계 주파수 미만이라고 결정하고; 상기 주파수가 임계 주파수 미만이라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MU-OFDMA 모드를 옵트아웃하고; 그리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요구되는 제한 없이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채널에 대해 경합하기 위해 단일 사용자 모드에 진입하도록 더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예 15: 예 14에 있어서, 상기 결정은 최대 큐 딜레이에 기초하는, 방법.
예 16: 다중 사용자 직교 주파수 다중 액세스(MU-OFDMA) multi-user orthogonal frequency multiple access, MU-OFDMA) 모드를 옵트아웃하는 방법으로서,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상기 MU-OFDMA 모드를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전자 디바이스가 전송할 업링크 데이터를 가지고 있음을 무선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하나 이상의 트리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트리거는 요구된 변조 및 코딩 방식(MCS)을 포함하며; 전송 채널의 클리어 채널 평가(CCA)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전송 채널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MCS를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MU-OFDMA 모드로부터 옵트아웃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추정된 MCS와 연관된 제1 데이터 레이트를 상기 요구된 MCS와 연관된 제2 데이터 레이트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예 17: 예 16에 있어서, 상기 추정된 MCS와 연관된 제1 데이터 레이트가 상기 요구된 MCS와 연관된 제2 데이터 레이트보다 더 큰 것에 기초하여 상기 MU-OFDMA 모드를 옵트아웃하는 단계; 및 상기 요구된 MCS에서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요구된 액세스 제한 없이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채널에 대해 경합하기 위해 단일 사용자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예 18: 예 17에 있어서, 상기 옵트아웃은 상기 추정된 MCS와 연관된 제1 데이터 레이트가 상기 요구된 MCS와 연관된 제2 데이터 레이트보다 임계량만큼 더 큰 것에 기초하는 것인, 방법.
예 19: 예 17 또는 18에 있어서, 상기 옵트아웃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MU-OFDMA 모드에 참여하지 않기로 선택함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OMI(Operation Mode Indication)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예 20: 예 16 내지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된 MCS와 연관된 제1 데이터 레이트가 상기 요구된 MCS와 연관된 제2 데이터 레이트보다 더 크다고 결정하는 단계; 상기 추정된 MCS와 연관된 제1 데이터 레이트와 상기 요구된 MCS와 연관된 제2 데이터 레이트 간의 차이가 임계량보다 작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MU-OFDMA 모드 및 상기 요구된 MCS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예 21: 전자 디바이스로서, 예 1 내지 11 및 16 내지 20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액세스 모드 관리자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프로세서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결론
MU-OFDMA의 옵트인 및 옵트아웃을 위한 스위칭 방식의 양태들이 구성 및/또는 방법에 특정적인 언어로 기술되었지만, 첨부된 청구항의 주제는 기술된 특정 구성 또는 방법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특정 구성 및 방법은 MU-OFDMA의 옵트인 및 옵트아웃을 위한 스위칭 방식의 예시적 구현예로서 개시되었고, 다른 균등한 구성 및 방법도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다양한 상이한 양태들이 설명되고, 각 설명된 양태는 독립적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설명된 양태들과 관련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17)

  1. 전자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다중 사용자 직교 주파수 다중 액세스(MU-OFDMA) 모드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신호의 송수신을 관리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저지연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MU-OFDMA 모드 및 저지연 모드 동안, 상기 MU-OFDMA 모드를 계속 사용할지 아니면 MU-OFDMA 모드를 옵트아웃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 상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트리거가 수신되는 주파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트리거가 수신되는 주파수가 임계 주파수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를 상기 MU-OFDMA 모드로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트리거가 수신되는 주파수를 계속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임계 주파수는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유형, 데이터의 유형 또는 상기 업링크 데이터의 특정 액세스 카테고리에 기초하는,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정은 최대 큐 딜레이에 기초하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트리거가 수신되는 주파수가 임계 주파수 미만이라고 결정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가 임계 주파수 미만이라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MU-OFDMA 모드를 옵트아웃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요구되는 제한 없이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채널에 대해 경합하기 위해 단일 사용자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임계 주파수는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유형, 데이터의 유형 또는 상기 업링크 데이터의 특정 액세스 카테고리에 기초하는,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결정은 최대 큐 딜레이에 기초하는,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단일 사용자 모드에 진입한 후, 지연 요건의 완화 또는 미리 정의된 시간 기간의 만료에 기초하여, 상기 MU-OFDMA 모드로 다시 옵트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전자 디바이스로서,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프로세서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0.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다중 사용자 직교 주파수 다중 액세스(MU-OFDMA) 모드를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전자 디바이스가 전송할 업링크 데이터를 가지고 있음을 무선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하나 이상의 트리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트리거는 요구된 변조 및 코딩 방식(MCS)을 포함하며;
    전송 채널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MCS를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MU-OFDMA 모드로부터 옵트아웃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추정된 MCS와 연관된 제1 데이터 레이트를 상기 요구된 MCS와 연관된 제2 데이터 레이트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추정된 MCS와 연관된 제1 데이터 레이트가 상기 요구된 MCS와 연관된 제2 데이터 레이트보다 더 큰 것에 기초하여 상기 MU-OFDMA 모드를 옵트아웃하는 단계; 및
    상기 요구된 MCS에서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요구된 액세스 제한 없이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채널에 대해 경합하기 위해 단일 사용자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옵트아웃은 상기 추정된 MCS와 연관된 제1 데이터 레이트가 상기 요구된 MCS와 연관된 제2 데이터 레이트보다 임계량만큼 더 큰 것에 기초하는 것인,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옵트아웃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MU-OFDMA 모드에 참여하지 않기로 선택함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OMI(Operation Mode Indication)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추정된 MCS와 연관된 제1 데이터 레이트가 상기 요구된 MCS와 연관된 제2 데이터 레이트보다 더 크다고 결정하는 단계;
    상기 추정된 MCS와 연관된 제1 데이터 레이트와 상기 요구된 MCS와 연관된 제2 데이터 레이트 간의 차이가 임계량보다 작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차이가 상기 임계량보다 작다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MU-OFDMA 모드 및 상기 요구된 MCS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전송 채널의 클리어 채널 평가(CCA)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전송 채널의 클리어 채널 평가(CCA)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CCA 동안 디바이스들 사이의 동기화를 위해 다른 전송 라디오로부터의 프리앰블 전송을 식별하기 위해 신호-검출 임계값을 활용하는 것; 또는
    상기 CCA 동안 무선 주파수 전송을 검출하기 위해 에너지 검출 임계값을 활용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7. 전자 디바이스로서, 청구항 10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프로세서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KR1020237040637A 2019-12-13 2020-07-23 다중 사용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를 옵트인 및 옵트아웃하기 위한 스위칭 방식 KR1026664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713,956 US11310693B2 (en) 2019-12-13 2019-12-13 Switching scheme for opting in and out of multi-user 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US16/713,956 2019-12-13
PCT/US2020/043240 WO2021118648A1 (en) 2019-12-13 2020-07-23 Switching scheme for opting in and out of multi-user 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KR1020227007997A KR102607771B1 (ko) 2019-12-13 2020-07-23 다중 사용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를 옵트인 및 옵트아웃하기 위한 스위칭 방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7997A Division KR102607771B1 (ko) 2019-12-13 2020-07-23 다중 사용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를 옵트인 및 옵트아웃하기 위한 스위칭 방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6149A KR20230166149A (ko) 2023-12-06
KR102666491B1 true KR102666491B1 (ko) 2024-05-20

Family

I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55537A1 (en) 2014-01-30 2016-09-01 Ntt Docomo, Inc.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device
US20160360443A1 (en) 2015-06-02 2016-12-08 Newracom, Inc. Methods for uplink multiuser signaling and transmission
US20160374019A1 (en) 2015-06-22 2016-12-22 Intel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a wakeup packet
US20180027453A1 (en) 2016-07-25 2018-01-25 Canon Kabushiki Kaisha TRANSMISSION METHOD FOR TRIGGER FRAME BY A 802.11ax ACCESS-POINT
US20190230674A1 (en) 2018-01-19 2019-07-25 Qualcomm Incorporated Adjustable mcs-based scheduling of wireless resourc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55537A1 (en) 2014-01-30 2016-09-01 Ntt Docomo, Inc.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device
US20160360443A1 (en) 2015-06-02 2016-12-08 Newracom, Inc. Methods for uplink multiuser signaling and transmission
US20160374019A1 (en) 2015-06-22 2016-12-22 Intel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a wakeup packet
US20180027453A1 (en) 2016-07-25 2018-01-25 Canon Kabushiki Kaisha TRANSMISSION METHOD FOR TRIGGER FRAME BY A 802.11ax ACCESS-POINT
US20190230674A1 (en) 2018-01-19 2019-07-25 Qualcomm Incorporated Adjustable mcs-based scheduling of wireless resour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68724A1 (en) Frame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using multiple random backoff operation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170111854A1 (en) Quality of service aware access point and device steering
KR102114786B1 (ko) 전력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6591550B2 (ja) Wi−Fiとの共存のためのリッスンビフォアトーク負荷ベースチャネルアクセス
KR20180040505A (ko) 무선랜에서 초기 협상 방법 및 장치
US20230354094A1 (en) Switching Scheme for Opting In and Out of Multi-User 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US10070329B2 (en) Device and method
KR10202020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CN105474736B (zh) 传输数据的方法及装置
EP3295720B1 (en) Power save trigger
KR20220006635A (ko) 업링크 전송을 위한 방법,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노드
KR102666491B1 (ko) 다중 사용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를 옵트인 및 옵트아웃하기 위한 스위칭 방식
EP3295721B1 (en) Power save trigger
US20180042026A1 (en) Method of Handling Uplink Buffer Status Report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3890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ffic urgency indication
KR102283746B1 (ko) 이종망 자원을 활용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200107797A (ko) 무선랜에서의 멀티 채널 액세스 방법 및 장치
KR20200127698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패킷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68413A (ko) 비면허대역을 이용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