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6234B1 - Air cleaner with humidification - Google Patents

Air cleaner with humidif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6234B1
KR102666234B1 KR1020160177118A KR20160177118A KR102666234B1 KR 102666234 B1 KR102666234 B1 KR 102666234B1 KR 1020160177118 A KR1020160177118 A KR 1020160177118A KR 20160177118 A KR20160177118 A KR 20160177118A KR 102666234 B1 KR102666234 B1 KR 102666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fying
water tank
housing
ai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1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73363A (en
Inventor
배준형
강상우
백인규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7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6234B1/en
Publication of KR20180073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3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2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24F2006/06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using slowly rotating discs for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Abstract

본 발명은 가습부의 실제 가습동작을 장치의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가습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원심팬;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되 상기 원심팬의 원주방향에 구비되는 공기흡입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원심팬의 원주방향에 배치되는 공기정화필터;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원심팬의 축방향에 배치되는 가습부;를 포함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ying air purifier that allows the actual humidifying operation of the humidifying unit to be visually confirmed from the outside of the device.
A humidifying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A centrifugal fan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 air intake portion formed on the housing and provi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entrifugal fan; an air purifying filter dispos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entrifugal fan within the housing; and a humidifying unit dispos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entrifugal fan within the housing.

Description

가습공기청정기{AIR CLEANER WITH HUMIDIFICATION}Humidifying air purifier{AIR CLEANER WITH HUMIDIFICATION}

본 발명은 가습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습필터의 분리가 용이하고, 가습동작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가습동작을 가시화할 수 있는 가습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midifying air purifi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humidifying air purifier in which the humidifying filter is easily detachable and the humidifying operation can be visualized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identify the humidifying operation.

종래의 기술에 의한 가습공기청정기는 장치본체의 공기흡입부와 송풍팬 사이의 공기유로 상에 공기정화필터와 가습필터가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순서대로 배치된다. In a humidifying air purifier according to conventional technology, an air purifying filter and a humidifying filter are arranged in order based on the air flow direction on the air passage between the air intake part of the device main body and the blowing fan.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 의한 가습공기청정기는 가습필터가 공기정화필터와 송풍팬 사이에 배치되므로, 사용자가 가습필터의 실제로 가습을 구현하는 동작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Therefore, the humidifying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echnology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humidifying filter is disposed between the air purifying filter and the blowing fan, so the user cannot visually identify the actual humidifying operation of the humidifying filter.

가습필터가 물을 흡수하는 모습 또는 가습필터의 가습동작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경우, 사용자에게 장치의 작동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가습필터의 이상여부를 빠르게 판단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f the humidification filter absorbs water or the humidification operation of the humidification filter can be visually confirmed, it can provide the user with reliability of the operation of the device and provide a means to quickly determine whether the humidification filter is abnormal. There is an advantage.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3-127331호 및 제2014-202387호에는 가습필터가 공기정화필터와 송풍팬 사이에 배치되어 가습필터의 실제 가습동작이 장치본체의 외부로 가시적으로 표시되지 않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가습공기청정기가 개시되어 있다.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s. 2013-127331 and 2014-202387 describe a conventional technology in which a humidifying filter is disposed between an air purification filter and a blowing fan, and the actual humidifying operation of the humidifying filter is not visually displayed outside the device body. A humidifying air purifier is disclosed.

JPJ.P. 2013-1273312013-127331 AA JPJ.P. 2014-2023872014-202387 A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으로서, 가습부의 실제 가습동작을 장치의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가습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at least some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s one aspect, its purpose is to provide a humidifying air purifier that allows the actual humidifying operation of the humidifying unit to be visually confirmed from the outside of the device.

상기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원심팬;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되 상기 원심팬의 원주방향에 구비되는 공기흡입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원심팬의 원주방향에 배치되는 공기정화필터;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원심팬의 축방향에 배치되는 가습부;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As an aspect for achieving at least part of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A centrifugal fan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 air intake portion formed on the housing and provi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entrifugal fan; an air purifying filter dispos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entrifugal fan within the housing; and a humidifying unit dispos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entrifugal fan within the housing.

또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상단에 공기토출부를 구비하고 양측에 공기흡입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흡입구가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원심팬; 상기 공기흡입부에 배치되는 공기정화필터; 상기 공기흡입부에서 상기 흡입구로 연결되는 유로에 배치되도록 상기 흡입구의 외곽을 둘러싸는 환형으로 이루어지고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가습필터; 상기 흡입구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가습필터의 하단 일부가 침지되는 가습수조; 및 상기 가습수조의 상단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 일부를 관통하여 장착되는 가습물통;을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s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n air discharge portion at the top and an air intake portion on both sides; a centrifugal fan disposed inside the housing so that its suction port faces the front of the housing; an air purifying filter disposed in the air intake unit; a humidifying filter formed in an annular shap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intake port and rotating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be disposed in a passage connected from the air intake portion to the intake port; a humidifying water tank provided in front of the suction port and into which a lower portion of the humidifying filter is immersed; and a humidifying water tank mounted on the top of the humidifying water tank and penetrating a portion of the front of the housing.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장치의 가습동작을 장치의 외부에서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is configuration, the effect of being able to easily identify the humidifying operation of the device with the naked eye from outside the device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습물통을 장치에서 분리하지 않고 가습물통에 물을 보충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ter can be replenished in the humidifying water tank without removing the humidifying water tank from the device,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in us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습물통, 가습수조 및 가습필터의 분리가 용이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easy separation of the humidifying water tank, humidifying water tank, and humidifying fil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습공기청정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습공기청정기의 도어형 프레임이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가습공기청정기의 가습 운전시의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가습공기청정기의 비가습 운전시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가습공기청정기에 포함되는 도어형 프레임, 가습수조 및 가습물통이 조립된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가습공기청정기에 포함되는 가습필터 및 환형필터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가습공기청정기에 포함되는 도어형 프레임과 가습수조가 분해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가습공기청정기에 포함되는 가습물통과 도어형 프레임이 분해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가습공기청정기에 포함되는 도어형 프레임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에 포함되는 낙수가이드와 가습필터가 조립된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낙수가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평단면도이다.
Figure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humidifying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humidifying air purifier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oor-type frame of the humidifying air purifier shown in Figure 1 in an open state.
Figure 4 is a flat cross-sectional view of the humidifying air purifier shown in Figure 1 during humidifying opera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umidified air purifier shown in Figure 1 during non-humidifying opera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y including a door-type frame, a humidifying water tank, and a humidifying water tank included in the humidifying air purifier shown in Figure 1.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umidifying filter and annular filter frame included in the humidifying air purifier shown in Figure 1.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oor-type frame and humidifying water tank included in the humidifying air purifier shown in Figure 1.
Figure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umidifying water tank and door-type frame included in the humidifying air purifier shown in Figure 1.
Figure 10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a door-type frame included in the humidifying air purifier shown in Figure 1.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y in which a dripping guide and a humidifying filter included in a humidifying ai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sembled.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ipping guide shown in Figure 11.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of a humidifying ai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dditionally,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먼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First,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a humidifying air purifi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100)는 하우징(110), 원심팬(120), 공기정화필터(131,132), 가습부(200) 및 가습유로전환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s 1 to 10, the humidified air purifi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10, a centrifugal fan 120, air purification filters 131 and 132, a humidifier 200, and It may include a humidification flow path switching unit 140.

상기 하우징(1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100)의 외관을 구성하며,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박스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housing 110 constitutes the exterior of the humidified air purifi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onfigured in a box shape with an internal space.

이러한 하우징(110)에는 외부 공기가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흡입부(111,112)와,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토출부(113)가 구비될 수 있다. This housing 110 may be provided with air intake units 111 and 112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10, and an air discharge unit 113 through which air inside the housing 1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일 실시예에서, 공기흡입부(111,112)는 하우징(110)의 좌측면에 형성된 제1 공기흡입부(111)와, 하우징(110)의 우측면에 형성된 제2 공기흡입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ir intake parts 111 and 112 may include a first air intake part 111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housing 110 and a second air intake part 112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housing 110. You can.

또한, 상기 공기토출부(113)는 하우징(110)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air discharge unit 113 may be provided at the top of the housing 110.

또한,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관통구멍 형태의 장착개구(1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개구(115)에는 후술할 가습부(200)의 도어형 프레임(260)이 장착될 수 있다.
Additionally, in one embodiment, the housing 110 may have a mounting opening 115 in the form of a through hol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10 as shown in FIG. 3 . The door-type frame 260 of the humidifier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mounted in this mounting opening 115.

상기 원심팬(12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The centrifugal fan 120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10 and can suck air in the axial direction and discharge ai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일 실시예에서, 원심팬(120)은 양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양흡입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측으로만 공기를 흡입하는 단흡입 타입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entrifugal fan 120 may be configured as a double suction type capable of sucking air in both direction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suction type that suctions air only from one side.

일 실시예에서, 원심팬(120)은 팬케이싱(12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축이 하우징(110)의 전후 방향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entrifugal fan 120 may be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fan casing 122, and its axis may be arranged parallel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housing 110.

이러한 구조를 통해, 하우징(11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형성된 제1 공기흡입부(111)와 제2 공기흡입부(112)는 원심팬(120)의 원주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Through this structure, the first air intake part 111 and the second air intake part 112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using 110 can be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entrifugal fan 120.

상기 팬케이싱(122)은 원심팬(120)의 원주방향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원심팬(120)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공기토출부(113)로 가이드할 수 있다.The fan casing 122 is form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entrifugal fan 120 and can guid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entrifugal fan 120 to the air discharge unit 113.

여기서, 팬케이싱(122)의 전면에는 하우징(110)의 전면을 향하는 전면 흡입구(124)가 형성될 수 있고, 팬케이싱(122)의 후면에는 하우징(110)의 후면을 향하는 후면 흡입구(126)가 형성될 수 있다. Here, a front intake port 124 facing the front of the housing 110 may be formed on the front of the fan casing 122, and a rear intake port 126 facing the rear of the housing 110 may be formed on the rear of the fan casing 122. can be formed.

한편, 원심팬(120)이 양흡입으로 구성된 경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공기가 원심팬(120)으로 유동하는 제1 유로(116), 제2 유로(117), 제3 유로(118) 및 제4 유로(119)가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entrifugal fan 120 is configured as a double suction,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includes a first flow path 116, a second flow path 117, and a third flow path 118 through which air flows to the centrifugal fan 120. ) and a fourth flow path 119 may be formed.

상기 제1 유로(116)는 제1 공기흡입부(111)에서 팬케이싱(122)의 전면 흡입구(124)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flow path 116 may be connected from the first air intake portion 111 to the front intake port 124 of the fan casing 122.

상기 제2 유로(117)는 제2 공기흡입부(112)에서 팬케이싱(122)의 전면 흡입구(124)로 연결될 수 있다. The second flow path 117 may be connected from the second air intake portion 112 to the front intake port 124 of the fan casing 122.

상기 제3 유로(118)는 제1 공기흡입부(111)에서 팬케이싱(122)의 후면 흡입구(126)로 연결될 수 있다.The third flow path 118 may be connected from the first air intake portion 111 to the rear intake port 126 of the fan casing 122.

상기 제4 유로(119)는 제2 공기흡입부(112)에서 팬케이싱(122)의 후면 흡입구(126)로 연결될 수 있다.
The fourth flow path 119 may be connected from the second air intake portion 112 to the rear intake port 126 of the fan casing 122.

상기 공기정화필터(131,132)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여과할 수 있다.The air purification filters 131 and 132 ar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10 and can filter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10.

본 발명에서, 이러한 공기정화필터(131,132)는 원심팬(120)의 원주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se air purifying filters 131 and 132 may be dispos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entrifugal fan 120.

일 실시예에서, 공기정화필터(131,132)는 제1 공기흡입부(111)에 배치되는 제1 공기정화필터(131)와, 제2 공기흡입부(112)에 배치되는 제2 공기정화필터(132)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ir purifying filters 131 and 132 include a first air purifying filter 131 disposed in the first air intake unit 111, and a second air purifying filter disposed in the second air intake unit 112 ( 132) may be included.

이를 통해, 제1 공기흡입부(111)로 유입된 공기는 제1 공기정화필터(131)를 통과하면서 여과될 수 있고, 제2 공기흡입부(112)로 유입된 공기를 제2 공기정화필터(132)를 통과하면서 여과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air intake unit 111 can be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air purification filter 131,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air intake unit 112 can be filtered through the second air purification filter. It can be filtered by passing through (132).

여기서, 제1 공기정화필터(131)와 제2 공기정화필터(132)는 서로 다른 정화성능(예를 들어, 탈취, 먼지제거 및 살균 등)을 가지는 필터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동일한 정화성능을 가지는 필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Here, the first air purification filter 131 and the second air purification filter 132 may be composed of filters with different purification performances (e.g., deodorization, dust removal, and sterilization, etc.),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lternatively, it may be composed of filters that have the same purification performance.

상기 가습부(200)는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가습하는 장치로서,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원심팬(120)의 축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The humidifier 200 is a device that humidifies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10, and may be dispos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entrifugal fan 120 within the housing 110.

즉, 본 발명에서, 가습부(200)는 제1 공기정화필터(131) 및 제2 공기정화필터(132)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umidifier 200 may be placed in a position that does not overlap the first air purification filter 131 and the second air purification filter 132.

일 실시예에서, 가습부(200)는 가습필터(210), 가습수조(230), 가습물통(250) 및 도어형 프레임(260)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humidifying unit 200 may include a humidifying filter 210, a humidifying water tank 230, a humidifying water tank 250, and a door-type frame 260.

상기 가습필터(210)는 가습수조(230)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고 몸체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습하는 부재로서, 제1 공기흡입부(111) 및 제2 공기흡입부(112)에서 팬케이싱(122)의 전면 흡입구(124)로 연결된 제1 유로(116) 및 제2 유로(117)로 유동하는 공기를 가습할 수 있다. The humidifying filter 210 is a member that absorbs water stored in the humidifying water tank 230 and humidifies the air passing through the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fan casing ( The air flowing through the first flow path 116 and the second flow path 117 connected to the front intake port 124 of 122 can be humidified.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가습필터(210)는 몸체의 일부가 제1 유로(116)에 배치되고 몸체의 다른 일부가 제2 유로(117)에 배치되도록 팬케이싱(122)의 전면 흡입구(124)의 둘레를 둘러싸는 환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in one embodiment, the humidifying filter 210 is disposed at the front inlet of the fan casing 122 so that a part of the body is disposed in the first flow path 116 and the other part of the body is disposed in the second flow path 117. 124) may be composed of a ring surrounding the circumference.

이와 같이 가습필터(210)가 환형으로 구성된 경우, 가습필터(210)의 몸체 중에서 좌측에 위치한 부분이 제1 유로(116)에 배치될 수 있고 우측에 위치한 부분이 제2 유로(117)에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humidifying filter 210 is configured in an annular shape, the portion located on the left of the body of the humidifying filter 210 may be placed in the first passage 116, and the portion located on the right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passage 117. It can be.

다만, 가습필터(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환형으로 구성된 경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제1 유로(116) 및 제2 유로(117)에 각각 배치되는 판상의 필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However, the humidifying filter 210 is not limited to the annular shape as described above, and may also be formed as a plate-shaped filter disposed in the first flow path 116 and the second flow path 117, respectively.

상기 가습수조(230)는 가습용 물을 저장하는 부재로서, 저장한 물을 가습필터(210)에 공급할 수 있다. The humidifying water tank 230 is a member that stores water for humidification, and can supply the stored water to the humidifying filter 210.

일 실시예에서, 가습수조(230)는 하우징(110)의 전면에 형성된 장착개구(115)에 장착되며 가습수조(230)에는 가습필터(210)의 하단 일부가 침지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humidifying water tank 230 is mounted in the mounting opening 115 formed on the front of the housing 110, and a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humidifying filter 210 may be immersed in the humidifying water tank 230.

이러한 가습수조(230)는 도어형 프레임(260)에 결합되어, 도어형 프레임(260)이 열리는 경우 하우징(110)에서 인출될 수 있고, 도어형 프레임(260)이 닫히는 경우 하우징(110)에 인입될 수 있다. This humidifying water tank 230 is coupled to the door-type frame 260, so that it can be withdrawn from the housing 110 when the door-type frame 260 is opened, and can be attached to the housing 110 when the door-type frame 260 is closed. can be brought in.

한편,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필터(210)는 가습동작 수행시 가습수조(230)에 하단 일부가 침지된 상태로 둘레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Meanwhile, in one embodiment, the humidifying filter 210 may be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its lower end partially immersed in the humidifying water tank 230 when a humidifying operation is performed.

이를 위해, 가습필터(210)는 회전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강성을 가지는 환형필터프레임(220)에 장착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humidifying filter 210 can be mounted on a circular filter frame 220 that has the rigidity to maintain its shape when rotat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환형필터프레임(2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필터(210)의 직경에 상응하는 직경으로 이루어진 환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nnular filter frame 220 may be configured as an annular shape with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humidifying filter 210, as shown in FIG. 7.

이러한 환형필터프레임(220)은 구동유닛의 회전력에 의해 가습필터(21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This annular filter frame 220 can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humidification filter 210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unit.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수조(230)의 내측에는 환형필터프레임(2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부재(232)가 구비될 수 있다. To this end, 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S. 6 and 8, a roller member 232 that rotatably supports the annular filter frame 220 may be provided inside the humidifying water tank 230.

또한,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필터프레임(220)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driving unit that rotates the annular filter frame 220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10 as shown in FIG. 3.

여기서, 구동유닛은 모터부재(미도시)와 모터부재의 회전축에 결합된 동력전달기어(240)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drive unit may include a motor member (not shown) and a power transmission gear 240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motor member.

이때, 환평필터프레임에는 동력전달기어(240)의 회전력을 안정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피동기어(222)가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driven gear 222 may be formed in the Hwanpyeong filter frame to stably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ower transmission gear 240.

이와 같은 구조에서, 도어형 프레임(260)이 닫혀서 가습수조(230)가 하우징(110)의 정위치에 인입되면, 가습수조(230)에 안착된 환형필터프레임(220)이 하우징(110)의 내부에 정위치하여 환형필터프레임(220)에 형성된 피동기어(222)가 구동유닛의 동력전달기어(240)에 맞물릴 수 있다. 그리고, 구동유닛이 가동되면 동력전달기어(240)의 회전에 따라 환형필터프레임(220)이 회전하게 되고 환형필터프레임(220)에 회전 거동이 일치하게 장착된 가습필터(210)가 회전하게 된다.In this structure, when the door-type frame 260 is closed and the humidifying water tank 23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10, the annular filter frame 220 mounted on the humidifying water tank 230 is attached to the housing 110. The driven gear 222 formed on the annular filter frame 220 and positioned internally may be engaged with the power transmission gear 240 of the drive unit. Then, when the drive unit is operated, the annular filter frame 220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gear 240, and the humidification filter 210 mounted on the annular filter frame 220 with a consistent rotation behavior rotates. .

한편, 일 실시예에서, 가습수조(230)의 일측에는 도어형 프레임(260)의 수조연결부(266)에 결합되기 위해 돌출된 물유입부(231)가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in one embodiment, a protruding water inlet portion 231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umidifying water tank 230 to be coupled to the water tank connection portion 266 of the door-type frame 260.

물유입부(231)는 도어형 프레임(260)의 수조연결부(266)에 연결되어 공급유로(267)를 통해 가습수조(230)로 공급되는 물이 가습수조(230)로 유입되는 경로를 구성할 수 있다. The water inlet 231 is connected to the water tank connection part 266 of the door-type frame 260 and forms a path through which water supplied to the humidification water tank 230 through the supply passage 267 flows into the humidification water tank 230. can do.

또한, 일 실시예에서, 가습수조(230)의 내부에는 가습수조(230)의 수위를 측정하는 플로트부재(234)가 구비될 수 있다. 플로트부재(234)는 가습수조(230)의 최저수위 및 만수위를 측정할 수 있고, 플로트부재(234)의 수위 측정값에 따라 후술할 밸브부재(268)가 제어될 수 있다. Additionally, in one embodiment, a float member 234 may be provided inside the humidifying water tank 230 to measure the water level of the humidifying water tank 230. The float member 234 can measure the lowest water level and the full water level of the humidifying water tank 230, and the valve member 268,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measurement value of the float member 234.

일 예로, 플로트부재(234)는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수조(230)의 물유입부(231)에 구비될 수 있고, 플로트부재(234)의 수위 측정 신호를 감지하는 제어부(미도시)는 가습수조(230)의 수위가 물유입부(231)의 바닥까지 하강한 경우 밸브부재(268)를 작동시켜 공급유로(267)가 개방되도록 하여 가습물통(250)에 저장된 물이 가습수조(23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float member 234 may be provided in the water inlet 231 of the humidifying water tank 230, as shown in FIGS. 6 and 8, and a control unit that detects the water level measurement signal of the float member 234. (Not shown) indicates that when the water level in the humidifying water tank 230 falls to the bottom of the water inlet 231, the valve member 268 is operated to open the supply passage 267, so that the water stored in the humidifying water tank 250 This can be supplied to the humidifying water tank 230.

상기 가습물통(250)은 가습용 물을 저장하는 부재로서, 도어형 프레임(260)을 매개로 수조에 연결되어 수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The humidifying water tank 250 is a member that stores water for humidification, and is connected to the water tank via the door-type frame 260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tank.

이러한 가습물통(250)은 도어형 프레임(260)에 결합되어 도어형 프레임(260)과 협력하여 하우징(110)의 장착개구(115)를 개폐할 수 있다.This humidifying water tank 250 is coupled to the door-type frame 260 and can open and close the mounting opening 115 of the housing 110 in cooperation with the door-type frame 260.

일 실시예에서, 가습물통(250)은 하단에 도어형 프레임(260)이 물통연결부(265)에 장착되면 열리는 노즐부(252)를 구비하고 상단에 개폐 가능한 개구형태의 물공급부(254)를 구비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humidifying water tank 250 has a nozzle portion 252 at the bottom that opens when the door-type frame 260 is mounted on the water tank connection portion 265, and a water supply portion 254 in the form of an openable opening at the top. It can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물공급부(254)는 사용자가 가습물통(250)이 도어형 프레임(260)에 장착된 상태에서 가습물통(250)에 물을 보충할 수 있기 위해 마련된 물 주입 통로이다. 이러한 물공급부(254)는 도어형태의 뚜껑(미도시)을 구비하여 개폐 가능하며, 폐쇄시 공기가 가습물통(250)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기밀하게 폐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water supply unit 254 is a water injection passage provided so that a user can replenish water in the humidifying water tank 250 while the humidifying water tank 250 is mounted on the door-type frame 260. This water supply unit 254 can be opened and closed by being provided with a door-shaped lid (not shown), and can be configured to be airtightly closed to prevent air from flowing into the humidifying water tank 250 when closed.

또한, 일 실시예에서, 가습물통(250)은 도어형 프레임(260)에서 분리되기 용이하도록 손잡이부(256)를 구비할 수 있다. Additionally, in one embodiment, the humidifying water tank 250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portion 256 so that i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door-type frame 260.

한편, 일 실시예에서, 가습물통(250)은 가시광선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가습물통(250)을 통해 하우징(110) 내부의 가습필터(210) 및 원심팬(120)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Meanwhile, in one embodiment, the humidifying water tank 25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at allows visible light to pass through. Accordingly,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humidifying filter 210 and the centrifugal fan 120 inside the housing 110 through the humidifying water tank 250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상기 도어형 프레임(260)은 가습수조(230) 및 가습물통(250)이 결합되고 하우징(110)의 전면에 형성된 장착개구(115)를 개폐하도록 하우징(110)의 외부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door-type frame 260 is coupled to the humidifying water tank 230 and the humidifying water tank 250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to open and close the mounting opening 115 formed on the front of the housing 110. You can.

일 실시예에서, 도어형 프레임(260)은 가습수조(230)에 저장된 물이 쏟아지지 않도록 하우징(110)의 전방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회전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ne embodiment, the door-type frame 26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rotate horizontally toward the front of the housing 110 to prevent the water stored in the humidifying water tank 230 from spilling.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도어형 프레임(260)의 일측에는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결합부(261)가 구비될 수 있고, 도어형 프레임(260)의 타측에는 도어형 프레임(260)이 닫힌 경우 닫힌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록킹부(262)가 구비될 수 있다. To this end, in one embodiment, a hinge coupling portion 261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11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oor-type frame 260, and a door-type hinge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door-type frame 260. When the frame 260 is closed, a locking portion 262 may be provided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또한, 일 실시예에서, 도어형 프레임(260)은 가습수조(230), 가습물통(250) 및 하우징(110) 내부의 청소 및 수리 그리고 가습필터(210)의 교체 등의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우징(110)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the door-type frame 260 is a housing to facilitate work such as cleaning and repairing the inside of the humidifying water tank 230, humidifying water tank 250, and housing 110, and replacing the humidifying filter 210. It may be configured to be separable at (110).

예를 들어, 도어형 프레임(260)은 열린 상태에서 힌지결합부(261)가 하우징(110)에서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oor-type frame 260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hinge coupling portion 261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housing 110 in an open state.

또한, 일 실시예에서, 도어형 프레임(260)의 상단에는 가습물통(250)의 노즐부(252)가 결합되는 물통연결부(265)가 구비될 수 있으며, 도어형 프레임(260)의 측부에는 가습수조(230)의 물유입부(231)가 결합되는 수조연결부(266)가 구비될 수 있다. Additionally, in one embodiment, a water tank connection portion 265 to which the nozzle portion 252 of the humidifying water tank 250 is coupled may be provided at the top of the door-type frame 260, and a water tank connection portion 265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door-type frame 260. A water tank connection portion 266 to which the water inlet portion 231 of the humidifying water tank 230 is coupled may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물통연결부(265)에는 가습물통(250)의 노즐부(252)가 결합된 경우 노즐부(252)를 개방시킬 수 있는 구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Here, the water tank connection portion 265 may be provided with a structure (not shown) that can open the nozzle portion 252 of the humidifying water tank 250 when the nozzle portion 252 is coupled.

또한, 도어형 프레임(260)의 내부에는 물통연결부(265)와 수조연결부(266) 간에 물의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된 공급유로(267)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door-type frame 260 may be provided with a supply passage 267 connected to allow water to flow between the water tank connection part 265 and the water tank connection part 266.

따라서, 가습물통(250)에 저장된 물은 물통연결부(265)를 통해 수조연결부(266)로 유동할 수 있고, 수조연결부(266)로 유동한 물은 가습수조(230)의 물유입부(231)를 통해 가습수조(23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Therefore, the water stored in the humidifying water tank 250 can flow into the water tank connection part 266 through the water tank connection part 265, and the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tank connection part 266 can flow into the water inlet part 231 of the humidification water tank 230. ) can be supplied into the humidifying water tank 230.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습물통(250)이 도어형 프레임(260)의 물통연결부(265)에 연결되면 노즐부(252)가 상시 개방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가습물통(250)에 물을 보충하기 위해 가습물통(250)의 물공급부(254)를 개방하는 경우 물공급부(254)를 통해 가습물통(25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물의 자중에 의해 가습물통(250)에 저장된 물이 가습수조(230)로 과량 공급되어 가습수조(230)에서 물이 넘칠 수 있다.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umidifying water tank 250 is connected to the water tank connecting portion 265 of the door-type frame 260, the nozzle portion 252 is always open, so the humidifying water tank 250 When the water supply unit 254 of the humidifying water tank 250 is opened to replenish water, air flows into the humidifying water tank 250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254 and is stored in the humidifying water tank 250 due to the water's own weight. Excessive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humidifying water tank 230, causing water to overflow from the humidifying water tank 230.

따라서, 가습물통(250)을 도어형 프레임(260)에서 분리하지 않고 가습물통(250)에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습물통(250)의 물공급부(254)를 개방하는 경우 가습물통(250)에서 가습수조(230)로 물 공급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in order to be able to replenish water in the humidifying water tank 250 without separating the humidifying water tank 250 from the door-type frame 260, when the water supply part 254 of the humidifying water tank 250 is opened, the humidifying water tank 250 It is necessary to block the water supply from 250 to the humidifying water tank 230.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도어형 프레임(260)에는 공급유로(267)를 개폐하는 밸브부재(268)가 구비될 수 있다.To this end, in one embodiment, the door-type frame 260 may be provided with a valve member 268 that opens and closes the supply passage 267.

밸브부재(268)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공급유로(267)를 개폐하여 물통연결부(265)에서 수조연결부(266)로 유동하는 물의 공급을 허용하거나 물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The valve member 268 opens and closes the supply passage 267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a control unit (not shown) to allow the supply of water flowing from the water tank connection part 265 to the water tank connection part 266 or block the water supply.

이러한 밸브부재(268)는 가습물통(250)이 물통연결부(265)에 장착된 상태에서 가습물통(250)의 물공급부(254)가 개방되는 경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공급유로(267)를 폐쇄할 수 있고, 물공급부(254)가 폐쇄된 경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공급유로(267)를 개방할 수 있다.
This valve member 268 opens the supply passage 267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when the water supply unit 254 of the humidifying water tank 250 is opened while the humidifying water tank 250 is mounted on the water tank connection portion 265. It can be closed, and when the water supply unit 254 is closed, the supply passage 267 can be open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상기 가습유로전환부(140)는 가습필터(210)가 배치된 제1 유로(116) 및 제2 유로(117)를 개폐하도록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The humidification flow path switching unit 140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10 to open and close the first flow path 116 and the second flow path 117 where the humidification filter 210 is disposed.

일 실시예에서, 가습유로전환부(140)는 제1 유로(116) 및 제2 유로(117)로 공기가 유동하지 않도록 제1 유로(116) 및 제2 유로(117)를 기밀하게 차폐할 수 있는 차폐판과, 차폐판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one embodiment, the humidification flow path switching unit 140 airtightly shields the first flow path 116 and the second flow path 117 to prevent air from flowing into the first flow path 116 and the second flow path 117. It may consist of a shielding plate that can be used, and a driving motor that rotates the shielding plate, but is not limited to thi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100)는, 가습청정 운전모드시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유로전환부(140)가 제1 유로(116) 및 제2 유로(117)를 개방하여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를 가습할 수 있고, 청정 운전모드시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유로전환부(140)가 제1 유로(116) 및 제2 유로(117)를 차폐하여 제1 유로(116) 및 제2 유로(117)로 유동하는 공기를 제3 유로(118) 및 제4 유로(119)로 안내함으로써 실내가습 기능이 정지될 수 있다.
In the humidifying air purifi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in the humidifying purification operation mode, the humidification flow path switching unit 140 is connected to the first flow path 116 and the second flow path 117. can be opened to humidify a portion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10, and in the clean operation mode, as shown in FIG. 5, the humidification flow path switching unit 140 is connected to the first flow path 116 and the second flow path. The indoor humidification function can be stopped by shielding (117) and guiding the air flowing through the first flow path 116 and the second flow path 117 to the third flow path 118 and the fourth flow path 119.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100)는, 공기정화필터(131,132)와 가습필터(210)가 중첩된 위치에 배치되지 않고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므로 하우징(110)에서 가습필터(210)를 분리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In the humidifying air purifi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air purifying filters 131 and 132 and the humidifying filter 210 are not arranged at overlapping positions but at different positions, so the housing 110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separate the humidifying filter 210 from.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100)는, 가습물통(250), 가습수조(230) 및 가습필터(210)가 하우징(110)에 도어 형태로 구비된 도어형 프레임(26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도어형 프레임(260)을 여는 동작만으로 가습물통(250), 가습수조(230) 및 가습필터(210)를 하우징(110)에서 인출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In addition, the humidifying air purifi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or-type frame ( 260), the humidifying water tank 250, humidifying water tank 230, and humidifying filter 210 can be removed from the housing 110 just by opening the door-type frame 260, so it is convenient to use. ha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100)는 투명재질의 가습물통(250)을 통해 가습필터(210) 및 원심팬(120)의 동작을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가습기능 수행에 대한 신뢰성을 제공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In addition, the humidifying air purifi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operation of the humidifying filter 210 and the centrifugal fan 120 to be viewed with the naked eye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through the humidifying water tank 250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ince it can be confirmed, it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users with reliability in performing the humidifying function.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Next,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3, a humidifying air purifier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100)는 낙수가이드(1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1 to 13, the humidifying air purifier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itionally include a dripping guide 150.

상기 낙수가이드(150)는 가습필터(210)에 회전거동이 일치하게 체결되고 회전시 가습수조(230)에 저장된 물이 표면에 흐르는 부재이다.The dripping water guide 150 is a member that is fastened to the humidifying filter 210 in a rotational manner, and when it rotates, the water stored in the humidifying water tank 230 flows on its surface.

또한, 낙수가이드(150)는 가습물통(250)을 통해 하우징(110)의 외부에 가시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ripping water guide 150 may be visib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through the humidifying water tank 250.

이러한 낙수가이드(150)는 가습공기청정기(100)의 가습운전시 물이 흐르는 모습을 하우징(110)의 외부에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실제 가습동작을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장치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가습공기청정기(100)의 심미적 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낼 수 있다. This dripping water guide 150 visually displays the water flowing during the humidifying operation of the humidifying air purifier 100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allowing the user to visually check the actual humidifying operation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This can hav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operational reliability of the device and further improving the aesthetic function of the humidifying air purifier (100).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 낙수가이드(150)는 원판부(152), 버킷부(154), 물유동홈(156) 및 가이드 방벽(158)을 포함할 수 있다. To implement this operation, in one embodiment, the falling water guide 150 may include a disk portion 152, a bucket portion 154, a water flow groove 156, and a guide barrier 158.

상기 원판부(152)는 원판형태의 부재로서 전면이 가습물통(250)을 향하고 후면이 팬케이싱(122)의 전면 흡입구(124)를 향하도록 가습필터(21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disk portion 152 is a disk-shaped member and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humidifying filter 210 with its front facing the humidifying water tank 250 and its rear facing toward the front suction inlet 124 of the fan casing 122.

일 실시예에서, 원판부(152)는 환형으로 구성된 가습필터(210)의 내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disk portion 152 may have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annular humidifying filter 210.

이러한 원판부(152)는 후술할 버킷부(154)와 물유동홈(156)의 구조를 통해 물이 전면으로만 흐르고 후면으로는 흐르지 않도록 구성되어 버킷부(154)에서 배출되는 물이 가습필터(210)의 내측 공간을 통해 원심팬(12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is disk portion 152 is configured to allow water to flow only to the front and not to the back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bucket portion 154 and the water flow groove 15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bucket portion 154 flows through the humidifying filter. It can perform a blocking plate function to prevent the inflow into the centrifugal fan 120 through the inner space of (210).

또한, 일 실시예에서, 원판부(152)는 투명재질로 구성되어 가습필터(210) 및 원심팬(120)을 하우징(110)의 외부에 가시적으로 노출시킬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불투명 재질로 구성될 수동 있다.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the disk portion 152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o visually expose the humidification filter 210 and the centrifugal fan 120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but is not limited to this. There is a manual that can be made of opaque material.

단, 원판부(152)가 투명재질로 구성된 경우는 사용자가 투명재질의 가습물통(250)과 원판부(152)를 통해 가습필터(210) 및 원심팬(120)의 동작을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However, when the disk portion 152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user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humidifying filter 210 and the centrifugal fan 120 through the transparent humidifying water tank 250 and the disk portion 152 through the housing 110.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ily identifiable with the naked eye from the outside.

또한, 일 실시예에서, 원판부(152)는 빛을 확산시키는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원판부(152)에 빛을 조사하는 발광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원판부(152)가 렌즈로 구성된 경우에는 원판부(152) 및 원판부(152)의 표면에 흐르는 물방울이 발광장치의 빛을 하우징(110)의 외부로 확산시켜서, 가습공기청정기(100)의 심미감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dditionally, in one embodiment, the disk portion 152 may be composed of a lens that diffuses light. At this time, a light emitting device (not shown) that irradiates light to the disk portion 152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10. In this way, when the disk portion 152 is composed of a lens, the disk portion 152 and the water droplets flowing on the surface of the disk portion 152 diffuse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thereby humidifying the air purifier (100). ), the aesthetics of the product can be further improved.

상기 버킷부(154)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부(152)의 외곽을 따라 간격을 가지고 구비되며 원판부(152)의 회전시 가습수조(230)에 저장된 물을 내측공간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버킷부(154)는 원판부(152)의 회전방향을 향하는 측에 물출입구(154a)를 구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2, the bucket portion 154 is provided at intervals along the outer edge of the disk portion 152, and can store water stored in the humidifying water tank 230 in the inner space when the disk portion 152 rotates. there is.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bucket parts 154 may be provided with water inlets and inlets 154a on the side fac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isk part 152.

따라서, 낙수가이드(150)가 회전하는 경우 복수의 버킷부(154) 각각은 가습수조(230)에 침지될 때 물출입구(154a)를 통해 내측에 물을 수용하고 원판부(152)의 상부로 이동하면서 수용한 물을 물출입구(154a)를 통해 원판부(152)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배출된 물은 원판부(152)의 표면을 따라 유하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falling water guide 150 rotates, each of the plurality of bucket parts 154 receives water inside through the water inlet and inlet 154a when immersed in the humidifying water tank 230 and flows to the top of the disk part 152. The water received while moving can be discharged to the disk portion 152 through the water outlet 154a. At this time, the discharged water flows along the surface of the disk portion 152.

여기서, 버킷부(154)의 물출입구(154a)는 원판부(152)의 전면으로 물을 배출시키도록 원판부(152)의 전면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water outlet 154a of the bucket portion 154 may be formed toward the front of the disk portion 152 to discharge water to the front of the disk portion 152.

상기 물유동홈(156)은 버킷부(154)에서 배출된 물이 유동하는 유동경로로서, 원판부(152)의 전면에 후면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버킷부(154)의 물출입구(154a)에서 원판부(152)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 및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water flow groove 156 is a flow path through which water discharged from the bucket portion 154 flows, and is formed concavely toward the rear on the front of the disk portion 152 and is connected to the water inlet 154a of the bucket portion 154. It may be formed to extend toward the center of the disk portion 152,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directions.

상기 가이드 방벽(158)은 버킷부(154)의 일측에 연장되어 물출입구(154a)에서 유출되는 물을 물유동홈(156)으로 안내하는 동시에 물출입구(154a)에서 유출되는 물이 원판부(152)의 후면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guide barrier 158 extends to one side of the bucket portion 154 and guides the water flowing out of the water outlet 154a to the water flow groove 156, while at the same time directing the water flowing out of the water outlet 154a to the disc portion ( 152)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to the rear.

이러한 가이드 방벽(158)은 전술한 바와 같이 물이 원판부(152)의 전면으로만 흐르고 후면으로는 흐르지 않도록 하는 동작을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s described above, this guide barrier 158 performs a function of assisting the operation of preventing water from flowing only to the front of the disc portion 152 and not to the rear.

한편, 일 실시예에서, 낙수가이드(150)는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필터프레임(220)과 가습필터(210) 사이에 결합되어, 가습물통(250)과 가습필터(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in one embodiment, the dripping guide 150 is coupled between the annular filter frame 220 and the humidification filter 210 as shown in FIGS. 11 and 13, and the humidification water tank 250 and the humidification filter 210 ) can be placed between.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 would like to make it clear that it can be done.

100: 가습공기청정기
110: 하우징 111: 제1 공기흡입부
112: 제2 공기흡입부 113: 공기토출부
115: 장착개구 116: 제1 유로
117: 제2 유로 118: 제3 유로
119: 제4 유로 120: 원심팬
122: 팬케이싱 124: 전면 흡입구
126: 후면 흡입구 131: 제1 공기정화필터
132: 제2 공기정화필터 140: 가습유로전환부
150: 낙수가이드 152: 원판부
154: 버킷부 154a: 물출입구
156: 물유동홈 158: 가이드 방벽
200: 가습부 210: 가습필터
220: 환형필터프레임 222: 피동기어
230: 가습수조 231: 물유입부
232: 롤러부재 234: 플로트부재
240: 동력전달기어 250: 가습물통
252: 노즐부 254: 물공급부
256: 손잡이부 260: 도어형 프레임
261: 힌지결합부 262: 록킹부
265: 물통연결부 266: 수조연결부
267: 공급유로 268: 밸브부재
100: Humidifying air purifier
110: Housing 111: First air intake unit
112: second air intake part 113: air discharge part
115: Mounting opening 116: First flow path
117: 2nd Euro 118: 3rd Euro
119: Fourth Euro 120: Centrifugal Fan
122: Pan casing 124: Front intake port
126: Rear intake port 131: First air purification filter
132: Second air purification filter 140: Humidification flow path switching unit
150: Falling water guide 152: Disc part
154: bucket part 154a: water inlet
156: Water flow groove 158: Guide barrier
200: Humidifying unit 210: Humidifying filter
220: Annular filter frame 222: Driven gear
230: Humidifying water tank 231: Water inlet
232: roller member 234: float member
240: Power transmission gear 250: Humidifying water tank
252: nozzle unit 254: water supply unit
256: handle 260: door type frame
261: Hinge coupling part 262: Locking part
265: Water tank connection 266: Water tank connection
267: Supply passage 268: Valve member

Claims (19)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원심팬;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되 상기 원심팬의 원주방향에 구비되는 공기흡입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원심팬의 원주방향에 배치되는 공기정화필터;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원심팬의 축방향에 배치되는 가습부;
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 공기흡입부와, 타측면에 형성되는 제2 공기흡입부와 상면에 형성되는 공기 토출부 및 상기 원심팬에 대향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되는 장착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가습부는
상기 장착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형 프레임;
상기 도어형 프레임에 구비되는 물통 연결부에 설치되는 가습물통;
상기 도어형 프레임에 구비되는 수조연결부에 설치되는 가습수조; 및
상기 가습물통에 하단 일부가 침지되며 상기 제1,2 공기흡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도록 환형으로 이루어지는 가습필터;
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형 프레임에는 상기 물통연결부와 상기 수조연결부 간에 물의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된 공급유로가 구비되는 가습공기청정기.
a housing having an interior space;
A centrifugal fan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 air intake portion formed on the housing and provi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entrifugal fan;
an air purifying filter dispos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entrifugal fan within the housing; and
a humidifier dispos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entrifugal fan within the housing;
Includes,
The housing includes a first air intake portion formed on one side, a second air intake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an air discharge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mounting opening formed on the front of the housing to face the centrifugal fan. Equipped with
The humidifying unit is
a door-type frame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through a hinge coupling portion to open and close the mounting opening;
A humidifying water tank installed in the water tank connection portion provided in the door-type frame;
A humidifying water tank installed in the water tank connection part provided in the door-type frame; and
a humidifying filter whose lower end is partially immersed in the humidifying water tank and has an annular shape to allow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air intake units to pass through;
Includes,
A humidifying air purifier wherein the door-type frame is provided with a supply passage connected to allow water to flow between the water tank connection portion and the water tank connection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팬은 축이 상기 하우징의 전후 방향에 나란하게 구비되는 가습공기청정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entrifugal fan is a humidifying air purifier whose axis is parallel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hou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팬은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향하는 전면 흡입구와, 상기 하우징의 후면을 향하는 후면 흡입구를 구비하는 가습공기청정기.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centrifugal fan is a humidifying air purifier including a front suction port facing the front of the housing and a rear suction port facing the rear of the hou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필터는 제1 공기흡입부에 배치되는 제1 공기정화필터와, 상기 제2 공기흡입부에 배치되는 제2 공기정화필터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air purifying filter is a humidifying air purifier including a first air purifying filter disposed in the first air intake portion and a second air purifying filter disposed in the second air suction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제1 공기흡입부에서 상기 전면 흡입구로 연결되는 제1 유로;
상기 제2 공기흡입부에서 상기 전면 흡입구로 연결되는 제2 유로;
상기 제1 공기흡입부에서 상기 후면 흡입구로 연결되는 제3 유로; 및
상기 제2 공기흡입부에서 상기 후면 흡입구로 연결되는 제4 유로;가 형성된 가습공기청정기.
According to paragraph 3,
Inside the housing,
a first flow path connected from the first air intake unit to the front intake port;
a second flow path connected from the second air intake unit to the front intake port;
a third flow path connected from the first air intake unit to the rear intake port; and
A humidifying air purifier having a fourth flow path connected from the second air intake unit to the rear intake port.
삭제dele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필터는 몸체의 일부가 상기 제1 유로에 배치되고 몸체의 다른 일부가 상기 제2 유로에 배치되도록 상기 전면 흡입구의 둘레를 둘러싸는 환형으로 구성된 가습공기청정기.
According to clause 5,
The humidifying filter is configured as an annular shape surrounding the front intake port such that a part of the body is disposed in the first flow path and another part of the body is disposed in the second flow path.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형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 가습공기청정기.
According to paragraph 1,
A humidifying air purifier wherein the door-type frame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물통은 하단에 상기 물통연결부에 장착되면 열리는 노즐부를 구비하고 상단에 물공급부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형 프레임에는 공급유로를 개폐하는 밸브부재가 구비된 가습공기청정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umidifying water tank has a nozzle portion at the bottom that opens when mounted on the water tank connection and a water supply portion at the top,
A humidifying air purifier in which the door-type frame is provided with a valve member that opens and closes the supply passag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물통이 상기 물통연결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물공급부가 열리면 상기 밸브부재가 상기 공급유로를 폐쇄하는 가습공기청정기.
According to clause 12,
A humidifying air purifier in which the valve member closes the supply passage when the water supply unit is opened while the humidifying water tank is mounted on the water tank connection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필터는 상기 가습수조에 침지된 상태로 둘레방향으로 회전되는 가습공기청정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umidifying filter is a humidifying air purifier that rotat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ile immersed in the humidifying water tank.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필터가 장착되는 환형필터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습수조의 내측에는 상기 환형필터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환형필터프레임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닛이 구비된 가습공기청정기.
According to clause 14,
Further comprising an annular filter frame on which the humidifying filter is mounted,
A roller member is provided inside the humidifying water tank to rotatably support the annular filter frame,
A humidifying air purifier provided inside the housing with a driving unit that rotates the annular filter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물통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가습공기청정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umidifying water tank is a humidifying air purifier made of transparent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수조의 내부에는 상기 가습수조의 수위를 측정하는 플로트부재가 구비된 가습공기청정기.
According to paragraph 1,
A humidifying air purifier provided inside the humidifying water tank with a float member for measuring the water level of the humidifying water ta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2 유로를 개폐하는 가습유로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According to paragraph 1,
A humidifying air purifier further comprising a humidifying flow path switching unit that opens and closes the first flow path and the second flow path.
삭제delete
KR1020160177118A 2016-12-22 Air cleaner with humidification KR1026662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118A KR102666234B1 (en) 2016-12-22 Air cleaner with humidif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118A KR102666234B1 (en) 2016-12-22 Air cleaner with humidif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363A KR20180073363A (en) 2018-07-02
KR102666234B1 true KR102666234B1 (en) 2024-05-16

Family

ID=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314Y1 (en) * 2006-08-04 2006-10-20 우리텍 주식회사 The supersonic humidifier
KR100803037B1 (en) * 2006-12-28 2008-02-18 웅진쿠첸 주식회사 Humidifier having function top water supply, and method controlling thereof
JP2008180397A (en) * 2007-01-23 2008-08-07 Mitsubishi Electric Corp Humidifying device
JP2009121752A (en) * 2007-11-15 2009-06-04 Panasonic Corp Humidification device
JP2009250504A (en) * 2008-04-04 2009-10-29 Panasonic Corp Air cleaner with humidification function
CN103712286A (en) * 2013-12-31 2014-04-09 安徽桑乐金股份有限公司 Wood air purifi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314Y1 (en) * 2006-08-04 2006-10-20 우리텍 주식회사 The supersonic humidifier
KR100803037B1 (en) * 2006-12-28 2008-02-18 웅진쿠첸 주식회사 Humidifier having function top water supply, and method controlling thereof
JP2008180397A (en) * 2007-01-23 2008-08-07 Mitsubishi Electric Corp Humidifying device
JP2009121752A (en) * 2007-11-15 2009-06-04 Panasonic Corp Humidification device
JP2009250504A (en) * 2008-04-04 2009-10-29 Panasonic Corp Air cleaner with humidification function
CN103712286A (en) * 2013-12-31 2014-04-09 安徽桑乐金股份有限公司 Wood air purifi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5299B1 (en) Air washer
KR101225982B1 (en) Air cleaner
KR102560978B1 (en) Air cleaner with humidification
KR20180073364A (en) Air cleaner with humidification
KR20140078939A (en) Evaporative Humidifier
JP2010078310A (en) Humidification apparatus
KR20160149871A (en) Evaporative humidifier
JP5953196B2 (en) Humidifier
KR101212682B1 (en) Air cleaner
KR101303629B1 (en) Humidifying air cleaner
KR102313301B1 (en) Air washer
KR101225981B1 (en) Air cleaner
KR102666234B1 (en) Air cleaner with humidification
KR20090059725A (en) Water supply device of air washer
KR102323338B1 (en) Control apparatus of humidifying air purifier
KR102541779B1 (en) Air washer
KR20180073363A (en) Air cleaner with humidification
KR20130055378A (en) Dehumidification duct structure for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KR20130055369A (en) Outlet structure for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JP2021055862A (en) Humidifier
JP6081639B2 (en) Humidifier
JP7442034B2 (en) humidifier
KR20130019096A (en) Humidifier
KR101791168B1 (en) Structure for guiding dehumidification water for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KR101852516B1 (en) Main body structure for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