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6221B1 - 유효성 검증 체계를 구비한 방역조건 설정방법 - Google Patents

유효성 검증 체계를 구비한 방역조건 설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6221B1
KR102666221B1 KR1020220016215A KR20220016215A KR102666221B1 KR 102666221 B1 KR102666221 B1 KR 102666221B1 KR 1020220016215 A KR1020220016215 A KR 1020220016215A KR 20220016215 A KR20220016215 A KR 20220016215A KR 102666221 B1 KR102666221 B1 KR 102666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rantine
contamination
space
collection
bacte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6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9897A (ko
Inventor
이철규
Original Assignee
㈜트라코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라코월드 filed Critical ㈜트라코월드
Priority to KR1020220016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6221B1/ko
Publication of KR20230119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9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2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61L2/28Devices for testing the effectiveness or completeness of sterilisation, e.g. indicators which change colo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C12Q1/04Determining presence or kind of microorganism; Use of selective media for testing antibiotics or bacteriocides; Compositions containing a chemical indicator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C12Q1/22Testing for sterility cond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5Rooms in buildings, passenger compar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phys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방역조건 설정방법은 제1 방역공간에 대한 세균을 포집하여 배양시키는 제1 포집 및 배양단계; 상기 제1 포집 및 배양단계에서 포집 및 배양된 세균에 대한 오염도를 측정하는 제1 오염측정단계; 상기 제1 방역공간에 방역을 실시하는 제1 방역단계; 상기 제1 방역단계후에 다시 상기 제1 방역공간에 대한 세균을 포집하여 배양시키는 제2 포집 및 배양단계; 상기 제2 포집 및 배양단계에서 포집 및 배양된 세균에 대한 오염도를 측정하는 제2 오염측정단계; 상기 제2 오염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오염도가 상기 제1 오염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오염도에 비해 일정 비율이하로 감소하였는지를 비교하는 제1 오염도 비교단계; 및 상기 제1 오염도 비교단계에서 상기 일정 비율이하로 감소한 경우에는 상기 방역을 종료하고, 상기 일정 비율이하로 감소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일정 비율이하로 감소할 때까지 상기 방역을 반복 실시하여, 상기 제1 방역공간에 대한 방역조건을 설정하는 방역조건 설정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효성 검증 체계를 구비한 방역조건 설정방법 {METHOD FOR SETTING DISINFECTION CONDITION}
본 발명은 유효성 검증 체계를 구비한 방역조건 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제1 방역공간에 대한 세균을 포집하여 배양시키는 제1 포집 및 배양단계; 상기 제1 포집 및 배양단계에서 포집 및 배양된 세균에 대한 오염도를 측정하는 제1 오염측정단계; 상기 제1 방역공간에 방역을 실시하는 제1 방역단계; 상기 제1 방역단계후에 다시 상기 제1 방역공간에 대한 세균을 포집하여 배양시키는 제2 포집 및 배양단계; 상기 제2 포집 및 배양단계에서 포집 및 배양된 세균에 대한 오염도를 측정하는 제2 오염측정단계; 상기 제2 오염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오염도가 상기 제1 오염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오염도에 비해 일정 비율이하로 감소하였는지를 비교하는 제1 오염도 비교단계; 및 상기 제1 오염도 비교단계에서 상기 일정 비율이하로 감소한 경우에는 상기 방역을 종료하고, 상기 일정 비율이하로 감소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일정 비율이하로 감소할 때까지 상기 방역을 반복 실시하여, 상기 제1 방역공간에 대한 방역조건을 설정하는 방역조건 설정단계;를 포함하는 유효성 검증 체계를 구비한 방역조건 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살균은 바이러스, 박테리아, 세균류 또는 미생물을 사멸시키는 것으로 일반적인 살균 방법은 살균 대상물을 열또는 증기를 이용하여 가열하여 살균하는 가열방식을 포함하는 물리적 방법과 살균제, 살균성 가스 등을 이용하여 살균하는 화학적 방법이 있다. 최근 일반인들 사이에서 세균 등에 대한 인식도가 높아지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살균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장치 또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바이러스, 박테리아, 세균류 또는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물리적 방법은 살균 대상물에 고온의 온도를 가지는 열 또는 증기를 인가하여 미생물 등을 제거하는 방법이나, 고온의 온도를 확보하기 위한 시간 및 연료 등이 필요하여 살균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고온의 온도를 가지는 열 또는 증기에 다치는 경우가 있어 다루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다른 방법으로는 살균제, 살균성 가스 등을 이용하는 화학적 방법으로서, 일반적으로 살균 효과를 갖는 화학 물질로 이루어지는 살균제 또는 살균성 가스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살균하는 방식에서 분사면적이 적은 경우에는, 저장통과 펌프장치가 일체로 연결된 분무기를 어깨에 메고 펌핑하면서 분사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사용방법이 번거롭고 소량의 분무에 한정되는 것이며, 최근들어 대용량의 공간을 살균 방역하기에는 한계가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기존 방역의 경우 해충 또는 쥐의 습성에 따른 군집유형 및 행동방식을 고려하여 잔류성 있는 방제 약제를 살충하거나 구서할 목적으로 제작된 분사제품을 이용하여 방역을 실시하였다. 실제 방역서비스를 통한 살충 방제 및 구서 효과에 대해서는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므로 유효성을 검증하기 용이하여 사용자들이 효과를 체감하고 비용을 지불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그러나, 새롭게 대두된 세균 및 바이러스 감염원에 의한 병원체들에 대한 생활 방역은 기존 살충 및 구서 방역과 달리 대상물이 마이크로 크기로 육안으로는 확인이 안되므로 유효성을 손쉽게 검증하기는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실제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방역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에서도 해당 방역을 실시하면서도 실제 유효성을 증빙하고 있지 못하는 상황이다. 방역서비스 업체도 유효성 검증에 대한 유인이 없으니 사용하고 있는 장비 및 약재의 효과성 검증을 통한 더 좋은 장비에 대한 선택권도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22-0000061 (공개일 : 2022.01.03) 국내 공개특허 제10-2022-0004904 (공개일 : 2022.01.12)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방역공간에 대한 세균을 포집하여 배양시키는 제1 포집 및 배양단계; 상기 제1 포집 및 배양단계에서 포집 및 배양된 세균에 대한 오염도를 측정하는 제1 오염측정단계; 상기 제1 방역공간에 방역을 실시하는 제1 방역단계; 상기 제1 방역단계후에 다시 상기 제1 방역공간에 대한 세균을 포집하여 배양시키는 제2 포집 및 배양단계; 상기 제2 포집 및 배양단계에서 포집 및 배양된 세균에 대한 오염도를 측정하는 제2 오염측정단계; 상기 제2 오염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오염도가 상기 제1 오염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오염도에 비해 일정 비율이하로 감소하였는지를 비교하는 제1 오염도 비교단계; 및 상기 제1 오염도 비교단계에서 상기 일정 비율이하로 감소한 경우에는 상기 방역을 종료하고, 상기 일정 비율이하로 감소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일정 비율이하로 감소할 때까지 상기 방역을 반복 실시하여, 상기 제1 방역공간에 대한 방역조건을 설정하는 방역조건 설정단계;를 포함하는 유효성 검증 체계를 구비한 방역조건 설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방역조건 설정방법은 제1 방역공간에 대한 세균을 포집하여 배양시키는 제1 포집 및 배양단계; 상기 제1 포집 및 배양단계에서 포집 및 배양된 세균에 대한 오염도를 측정하는 제1 오염측정단계; 상기 제1 방역공간에 방역을 실시하는 제1 방역단계; 상기 제1 방역단계후에 다시 상기 제1 방역공간에 대한 세균을 포집하여 배양시키는 제2 포집 및 배양단계; 상기 제2 포집 및 배양단계에서 포집 및 배양된 세균에 대한 오염도를 측정하는 제2 오염측정단계; 상기 제2 오염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오염도가 상기 제1 오염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오염도에 비해 일정 비율이하로 감소하였는지를 비교하는 제1 오염도 비교단계; 및 상기 제1 오염도 비교단계에서 상기 일정 비율이하로 감소한 경우에는 상기 방역을 종료하고, 상기 일정 비율이하로 감소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일정 비율이하로 감소할 때까지 상기 방역을 반복 실시하여, 상기 제1 방역공간에 대한 방역조건을 설정하는 방역조건 설정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제1 포집 및 배양단계와 제2 포집 및 배양단계에서, 포집 및 배양되는 세균은 공기중에 위치한 부유균과 표면에 위치한 표면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집 및 배양되는 부유균은 부유균 포집기를 이용하여 포집한 다음 생배지를 이용하여 배양시키고, 상기 포집 및 배양되는 표면균은 면봉을 이용하여 표면을 문질러서 포집한 다음 생배지를 이용하여 배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역조건 설정단계에서 설정되는 방역조건은 상기 제1 방역공간에 대하여 최소한 두 개 이상의 다른 시간대에 제1 포집 및 배양단계, 제1 오염측정단계, 제2 포집 및 배양단계, 제2 오염측정단계 및 제1 오염도 비교단계를 거쳐 각각의 시간대에 대한 방역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역조건 설정단계에서, 상기 일정 비율이하로 감소하지 못하여 상기 일정 비율이하로 감소할 때까지 상기 방역을 반복하는 경우에는 제1 방역단계에서 사용한 방역 약재와 동일한 물질 및 농도를 가진 약재를 이용하여 방역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역조건 설정단계에서, 상기 일정 비율이하로 감소하지 못하여 상기 일정 비율이하로 감소할 때까지 상기 방역을 반복하는 경우에는 제1 방역단계에서 사용한 약재와 동일한 물질 및 농도를 가진 약재를 이용하여 방역을 진행하고, 방역에 사용되는 장비의 수를 변경하여 방역에 사용되는 분무 살균 입자의 공간내 개수를 변경하여 방역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역조건 설정단계에서, 상기 일정 비율이하로 감소하지 못하여 상기 일정 비율이하로 감소할 때까지 상기 방역을 반복하는 경우에는 제1 방역공간의 습도 조건에 따라서 방역에 사용되는 분무 살균 입자의 공간내 개수를 변경하여 방역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방역공간에 대하여 제1 포집 및 배양단계, 제1 오염측정단계, 제2 포집 및 배양단계, 제2 오염측정단계, 제1 오염도 비교단계 및 방역조건 설정단계를 거쳐 제2 방역공간에 대한 방역조건을 설정함으로써, 최소한 2개 이상의 방역공간에 대하여 방역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역조건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방역조건은, 동일한 제1 방역공간이라고 하더라도, 상기 제1 방역공간의 부피, 온도, 습도, 환기 상태 또는 출입인원의 수중에서 최소한 하나 이상이 다른 경우에는 기 설정되었던 방역조건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방역공간에 대한 세균을 포집하여 배양시키는 제1 포집 및 배양단계; 상기 제1 포집 및 배양단계에서 포집 및 배양된 세균에 대한 오염도를 측정하는 제1 오염측정단계; 상기 제1 방역공간에 방역을 실시하는 제1 방역단계; 상기 제1 방역단계후에 다시 상기 제1 방역공간에 대한 세균을 포집하여 배양시키는 제2 포집 및 배양단계; 상기 제2 포집 및 배양단계에서 포집 및 배양된 세균에 대한 오염도를 측정하는 제2 오염측정단계; 상기 제2 오염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오염도가 상기 제1 오염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오염도에 비해 일정 비율이하로 감소하였는지를 비교하는 제1 오염도 비교단계; 및 상기 제1 오염도 비교단계에서 상기 일정 비율이하로 감소한 경우에는 상기 방역을 종료하고, 상기 일정 비율이하로 감소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일정 비율이하로 감소할 때까지 상기 방역을 반복 실시하여, 상기 제1 방역공간에 대한 방역조건을 설정하는 방역조건 설정단계;를 포함하는 유효성 검증 체계를 구비한 방역조건 설정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역조건 설정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하여 부유균을 포집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하여 표면균을 포집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하여 부유균 및 표면균을 배양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하여 방역 전후의 세균 감소수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하여 방역 전후의 세균이 감소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오일 누유 방지 구조를 갖는 플런저 펌프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생활공간에 대해 출입빈도 및 밀폐 정도등을 고려하여 세균 오염 정도를 확인하고 오염 정도에 맞는 살균을 실시하고, 다시 오염도를 측정함으로써 감염원 제거과정에 대한 방역서비스의 유효성 검증 과정을 효율적으로 구성하여 소비자에게 감염체 살균 방역 서비스에 대한 유효성 확인정보를 제공하고 약재의 오남용을 방지하여 위해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역조건 설정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하여 부유균을 포집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하여 표면균을 포집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하여 부유균 및 표면균을 배양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하여 방역 전후의 세균 감소수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하여 방역 전후의 세균이 감소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방역조건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세균오염 평가시스템, 살균성능 평가시스템 및 방역공간별 방역조건 설정시스템의 3개의 구성이 필요하다.
세균오염 평가시스템은 특정한 방역공간에 대하여 시간대별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고, 부유균 및 표면균을 포집하고 배양하여 오염도를 측정하는 시스템이다.
살균성능 평가시스템은 방역전과 방역후의 세균 오염도를 측정하여 평가하며, 이러한 평가는 일정한 살균효과가 나타날 때 까지 반복하게 된다.
방역조건 설정시스템은 세균오염 평가시스템과 살균성능 평가시스템에서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특정한 방역공간에 대한 시간대별 방역조건을 설정한다. 이 때 방역조건은 1회 이상의 방역단계를 거쳐 최초 방역전 세균 오염도의 90%이상이 감소할 때 까지의 방역과정을 방역조건으로 설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방역조건 설정방법은 제1 방역공간에 대한 세균을 포집하여 배양시키는 제1 포집 및 배양단계 및 상기 제1 포집 및 배양단계에서 포집 및 배양된 세균에 대한 오염도를 측정하는 제1 오염측정단계를 포함한다.
제1 포집 및 배양단계와 제2 포집 및 배양단계에서, 포집 및 배양되는 세균은 공기중에 위치한 부유균과 표면에 위치한 표면균을 포함한다. 부유균 및 표면균이외에 특정 바이러스등과 같이 특정 물질의 오염도 감소를 목적으로 하는 다른 기준의 오염측정물질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집 및 배양되는 부유균은 부유균 포집기를 이용하여 포집한 다음 생배지를 이용하여 배양시키고, 상기 포집 및 배양되는 표면균은 면봉을 이용하여 표면을 문질러서 포집한 다음 생배지를 이용하여 배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방역조건 설정방법은 제1 방역공간에 방역을 실시하는 제1 방역단계, 상기 제1 방역단계후에 다시 상기 제1 방역공간에 대한 세균을 포집하여 배양시키는 제2 포집 및 배양단계 및 상기 제2 포집 및 배양단계에서 포집 및 배양된 세균에 대한 오염도를 측정하는 제2 오염측정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방역조건 설정방법은 상기 제2 오염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오염도가 상기 제1 오염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오염도에 비해 일정 비율이하로 감소하였는지를 비교하는 제1 오염도 비교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방역조건 설정방법은 상기 제1 오염도 비교단계에서 상기 일정 비율이하로 감소한 경우에는 상기 방역을 종료하고, 상기 일정 비율이하로 감소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일정 비율이하로 감소할 때까지 상기 방역을 반복 실시하여, 상기 제1 방역공간에 대한 방역조건을 설정하는 방역조건 설정단계를 포함한다. 일정 비율은 방역을 진행하여 감소시키고자 하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방역전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부유균과 표면균이 90% 이상 감소할 때 까지 방역을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방역전 측정한 부유균과 표면균이 90% 감소할 때 까지 조건을 변경하면서 반복하여 방역조건을 설정하고, 이후 동일한 방역공간에 대하여 방역을 실시할 때에는 오염도 측정 및 비교등의 단계를 거치지 않고 미리 설정된 방역조건에 맞추어 방역을 진행하면 되는 것이다.
방역조건 설정단계에서 설정되는 방역조건은 상기 제1 방역공간에 대하여 최소한 두 개 이상의 다른 시간대에 제1 포집 및 배양단계, 제1 오염측정단계, 제1 방역단계, 제2 포집 및 배양단계, 제2 오염측정단계 및 제1 오염도 비교단계를 거쳐 각각의 시간대에 대한 방역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동일한 방역공간이라고 하더라도 시간대가 다르면 방역공간의 온도 및 습도등의 환경이 달라지기 때문에 시간대별로 최적화된 방역을 실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방역조건 설정단계에서, 상기 일정 비율이하로 감소하지 못하여 상기 일정 비율이하로 감소할 때까지 상기 방역을 반복하는 경우에는 제1 방역단계에서 사용한 약재와 동일한 물질 및 농도를 가진 약재를 이용하여 방역을 진행하고, 방역에 사용되는 장비의 수를 변경하여 방역에 사용되는 분무 살균 입자의 공간내 개수를 변경하여 방역을 진행할 수 있다. 제1 오염도 비교단계의 결과에서 오염도의 감소가 크지 않은 경우에는 다른 물질을 사용하거나 동일한 물질이면서 농도가 높은 약재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물질 및 농도를 가진 약재를 이용하되, 방역 장비의 수를 늘리는 등의 방법으로 방역에 사용되는 분무 살균 입자의 개수를 증가시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역조건 설정단계에서, 상기 일정 비율이하로 감소하지 못하여 상기 일정 비율이하로 감소할 때까지 상기 방역을 반복하는 경우에는 제1 방역공간의 습도 조건에 따라서 방역에 사용되는 분무 살균 입자의 공간내 개수를 변경하여 방역을 진행할 수 있다. 습도가 달라지면 그에 따른 방역을 위한 분무 입자의 증발속도가 달라지므로 이에 맞추어 방역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동일한 방역공간이라고 하더라도 습도가 낮아진 경우에는 방역을 위한 분무 입자의 증발속도가 높아지므로 이를 고려하여 분무시간 추가등의 방법으로 분무 입자의 수를 늘리는 것이다.
상기 방역조건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방역조건은, 동일한 제1 방역공간이라고 하더라도, 상기 제1 방역공간의 부피, 온도, 습도, 환기 상태 또는 출입인원의 수중에서 최소한 하나 이상이 다른 경우에는 기 설정되었던 방역조건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설정된 방역조건이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해당 방역공간의 부피, 온도, 습도, 환기 상태 또는 출입인원의 수에 따라 방역조건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역공간을 구성하는 환경조건들이 다양하기 때문에 이러한 다양성의 변수에 맞추어 방역조건을 변경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제2 방역공간에 대하여 제1 포집 및 배양단계, 제1 오염측정단계, 제1 방역단계, 제2 포집 및 배양단계, 제2 오염측정단계, 제1 오염도 비교단계 및 방역조건 설정단계를 거쳐 제2 방역공간에 대한 방역조건을 설정함으로써, 최소한 2개 이상의 방역공간에 대하여 방역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방역공간에 대한 다양한 환경요소를 고려하여 방역조건을 설정하고, 제1 방역공간과 온도 및 습도등이 다른 방역공간에 대한 방역조건을 설정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특정 조건이 유사한 방역공간별로 일정한 방역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렇게 설정된 방역공간별 방역을 통하여 최적의 방역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특정한 방역공간에 대하여 시간대별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고, 부유균 및 표면균을 포집하고 배양하여 오염도를 측정하는 세균오염 평가시스템, 방역전과 방역후의 세균 오염도를 측정하여 평가하는 살균성능 평가시스템 및 상기 세균오염 평가시스템과 살균성능 평가시스템에서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특정한 방역공간에 대한 시간대별 방역조건을 설정하는 방역조건 설정시스템을 포함하는 유효성 검증 체계를 구비한 방역조건 설정방법에 있어서,
    제1 방역공간에 대한 세균을 포집하여 배양시키는 제1 포집 및 배양단계;
    상기 제1 포집 및 배양단계에서 포집 및 배양된 세균에 대한 오염도를 측정하는 제1 오염측정단계;
    상기 제1 방역공간에 방역을 실시하는 제1 방역단계;
    상기 제1 방역단계후에 다시 상기 제1 방역공간에 대한 세균을 포집하여 배양시키는 제2 포집 및 배양단계;
    상기 제2 포집 및 배양단계에서 포집 및 배양된 세균에 대한 오염도를 측정하는 제2 오염측정단계;
    상기 제2 오염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오염도가 상기 제1 오염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오염도에 비해 90% 이상 감소하였는지를 비교하는 제1 오염도 비교단계;및
    상기 제1 오염도 비교단계에서
    90% 이상 감소한 경우에는 상기 방역을 종료하고,
    90% 이상 감소하지 못한 경우에는 90% 이상 감소할 때까지 상기 방역을 반복 실시하여,
    상기 제1 방역공간에 대한 방역조건을 설정하는 방역조건 설정단계;를 포함하고,
    제1 포집 및 배양단계와 제2 포집 및 배양단계에서,
    포집 및 배양되는 세균은
    공기중에 위치한 부유균과 표면에 위치한 표면균을 포함하고,
    상기 포집 및 배양되는 부유균은
    부유균 포집기를 이용하여 포집한 다음 생배지를 이용하여 배양시키고,
    상기 포집 및 배양되는 표면균은
    면봉을 이용하여 표면을 문질러서 포집한 다음 생배지를 이용하여 배양시키고,
    상기 방역조건 설정단계에서 설정되는 방역조건은
    상기 제1 방역공간에 대하여 최소한 두 개 이상의 다른 시간대에 제1 포집 및 배양단계, 제1 오염측정단계, 제2 포집 및 배양단계, 제2 오염측정단계 및 제1 오염도 비교단계를 거쳐 각각의 시간대에 대한 방역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방역조건 설정단계에서,
    90% 이상 감소하지 못하여 90% 이상 감소할 때까지 상기 방역을 반복하는 경우에는
    제1 방역단계에서 사용한 약재와 동일한 물질 및 농도를 가진 약재를 이용하여 방역을 진행하고,
    방역에 사용되는 장비의 수를 변경하여 방역에 사용되는 분무 살균 입자의 공간내 개수를 변경하여 방역을 진행하고,
    상기 방역조건 설정단계에서,
    90% 이상 감소하지 못하여 90% 이상 감소할 때까지 상기 방역을 반복하는 경우에는
    제1 방역공간의 습도 조건에 따라서 방역에 사용되는 분무 살균 입자의 공간내 개수를 변경하여 방역을 진행하고,
    제2 방역공간에 대하여 제1 포집 및 배양단계, 제1 오염측정단계, 제1 방역단계, 제2 포집 및 배양단계, 제2 오염측정단계, 제1 오염도 비교단계 및 방역조건 설정단계를 거쳐 제2 방역공간에 대한 방역조건을 설정함으로써,
    최소한 2개 이상의 방역공간에 대하여 방역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방역조건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방역조건은,
    동일한 제1 방역공간이라고 하더라도,
    상기 제1 방역공간의 부피, 온도, 습도, 환기 상태 또는 출입인원의 수중에서 최소한 하나 이상이 다른 경우에는 기 설정되었던 방역조건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성 검증 체계를 구비한 방역조건 설정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20016215A 2022-02-08 2022-02-08 유효성 검증 체계를 구비한 방역조건 설정방법 KR102666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215A KR102666221B1 (ko) 2022-02-08 2022-02-08 유효성 검증 체계를 구비한 방역조건 설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215A KR102666221B1 (ko) 2022-02-08 2022-02-08 유효성 검증 체계를 구비한 방역조건 설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897A KR20230119897A (ko) 2023-08-16
KR102666221B1 true KR102666221B1 (ko) 2024-05-13

Family

ID=87848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215A KR102666221B1 (ko) 2022-02-08 2022-02-08 유효성 검증 체계를 구비한 방역조건 설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622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4528A (ja) * 2000-07-26 2002-02-05 Mitsubishi Electric Corp 衛生管理システム
KR200291380Y1 (ko) * 2002-07-19 2002-10-09 윤대성 살균기능 부가용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161B1 (ko) * 2017-09-06 2020-03-25 한국기계연구원 지능형 자동 방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방역 방법
KR102523841B1 (ko) * 2020-06-10 2023-04-21 킹스타라이팅 주식회사 코로나-19-프리존 확보를 위한 광 살균 통합방역 시스템
KR20220000061A (ko) 2020-06-25 2022-01-03 노명석 스마트 살균방역 시스템
KR102355238B1 (ko) 2020-07-03 2022-01-26 주식회사 타비오 비대면 방역기 및 이를 이용한 방역기 데이터 출력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4528A (ja) * 2000-07-26 2002-02-05 Mitsubishi Electric Corp 衛生管理システム
KR200291380Y1 (ko) * 2002-07-19 2002-10-09 윤대성 살균기능 부가용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897A (ko) 202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sotti et al. Airborne contamination in the food industry: An update on monitoring and disinfection techniques of air
JP6250491B2 (ja) 超音波除染装置
He et al. Evaluation of regeneration processes for filtering facepiece respirators in terms of the bacteria inactivation efficiency and influences on filtration performance
US10422727B2 (en) Contaminant monitoring and air filtration system
Lai et al. Evaluation of cold plasma inactivation efficacy against different airborne bacteria in ventilation duct flow
TW531443B (en) An air filter, a composition for application to an air filter, a filter, a method of treating a filtrate on a filter and a method of reducing airborne contaminants
Zhao et al. Effects of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bsolute humidity, and evaporation potential on survival of airborne Gumboro vaccine virus
AU2014200277B2 (en) Ultrasonic decontamination equipment
Cumbo et al. Alternative methods of sterilization in dental practices against COVID-19
Dalton et al. The impact of indoor malodor: Historical perspective, modern challenges, negative effects, and approaches for mitigation
Calfee et al. Laboratory evaluation of large‐scale decontamination approaches
Uhde et al. Effectiveness of air‐purifying devices and measures to reduce the exposure to bioaerosols in school classrooms
KR102666221B1 (ko) 유효성 검증 체계를 구비한 방역조건 설정방법
Ratliff et al. Large-scale evaluation of microorganism inactivation by bipolar ionization and photocatalytic devices
Shintani Validation of sterilization procedures and usage of biological indicators in the manufacture of healthcare products
Scaglione et al. An experimental analysis of five household equipment-based methods for decontamination and reuse of surgical masks
JP2004044840A (ja) 空気清浄機
Verce et al. Minimizing decomposition of vaporized hydrogen peroxide for biological decontamination of galvanized steel ducting
CN108949896B (zh) 一种空气中微生物的荧光标记方法及其应用
CN202072704U (zh) 空气消毒效果评价系统
CN112826974A (zh) 一种消杀设备的消杀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Reed et al. aerosol exposure to pathogenic bacteria and virus particles: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Agra et al. Effect of Ozone Gas on Removal of Airborne Particles
Sandle et al. Assessment of the disinfection of impaction air sampler heads using 70% IPA, as part of cleanroom environmental monitoring
Hislop et al. Hybrid hydrogen peroxide for viral disinf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