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5724B1 - 살균소독기 - Google Patents

살균소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5724B1
KR102665724B1 KR1020220038634A KR20220038634A KR102665724B1 KR 102665724 B1 KR102665724 B1 KR 102665724B1 KR 1020220038634 A KR1020220038634 A KR 1020220038634A KR 20220038634 A KR20220038634 A KR 20220038634A KR 102665724 B1 KR102665724 B1 KR 102665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storage unit
temperature
ai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8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40033A (ko
Inventor
김광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무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무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무경
Priority to KR1020220038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5724B1/ko
Publication of KR20230140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0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5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57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2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균소독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물품의 살균소독이 가능할 수 있는 살균소독기에 관한 기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박스 형상의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복수의 흡입구(11); 상기 몸체(10)의 내측에 구비되되, 몸체(10)의 상부에서부터 하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분리패널(20); 상기 분리패널(20)에 의해 구획되는 상측의 이격공간부(30) 및 하측의 물품수납부(40); 상기 이격공간부(30)의 내부에 형성되되, 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팬(31); 상기 팬(31)의 하측에 형성되어 팬(31)을 통해 이동되어온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히터(32); 상기 가열히터(32)의 양측에 형성되어 오존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오존발생램프(33); 상기 물품수납부(4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물품수납부(4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60); 상기 물품수납부(4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물품수납부(40) 내부의 오존지수를 측정하는 오존측정기(70); 상기 물품수납부(40)의 내부에 형성되어 거치선반(41)에 거치된 물품을 스캔하는 물품스캐너(80); 및 상기 물품수납부(40)의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몸체(10) 내부를 순환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로(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살균소독기{Sterilizer capable}
본 발명은 살균소독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물품의 살균소독이 가능할 수 있는 살균소독기에 관한 기술이다.
오늘날에는 환경오염에 따라 공기 중에 미세먼지와 중금속과 같은 오염물질과 바이러스 및 세균 등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환경 속에서 장시간 외출은 수많은 오염 물질에 장시간 노출됨에 따라 의복 및 물품 등에 다양한 오염물질들이 묻어 잔존하게 된다.
이러한 오염물질들은 별도의 살균 소독 및 열풍 건조를 실시하지 않으면 함께 생활하는 타인의 의복 및 물품 등을 오염시켜 타인의 건강에도 악영향을 끼칠 수 있게 된다.
또한, 매일 사용하는 작업복이나 신발의 경우 각종 악취와 병균의 온상이지만 이를 살균 소독 및 열풍 건조를 통해 해결하기 보다는 휴식시간에 자연 건조 등을 실시하고 악취와 병균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한 상태에서 재착용이 이루어지는 실정임에 따라 병균에 감염될 위험성에 노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의복 및 물품의 살균 소독 및 열풍 건조를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살균소독기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살균소독기의 경우 열풍 건조의 온도 조절이 수동으로 이루어져 물품의 종류에 맞는 온도를 설정하기 매우 번거로우며 오존 등에 의한 살균 소독시 오존 램프의 강도 및 가동 시간을 세밀하게 조정하지 못하여 의복 및 물품에 손상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살균소독기에 의해 물품을 살균 소독함에 있어서 물품의 종류 및 특성을 올바르게 파악하여 열풍 및 오존에 의해 물품이 손상되지 않게 할 수 있는 살균소독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8466호(2009.11.25.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물품수납부에 온도센서 및 오존측정기 및 물품스캐너를 구비함으로써 물품스캐너를 통해 스캔된 물품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살균소독부 내부의 온도 및 오존지수를 설정하여 설정된 온도값 및 오존지수값에 도달하게 되면 가열히터와 오존램프의 가동을 정지시켜 각 물품의 살균소독 및 열풍건조에 필요한 온도 및 오존지수를 유지함으로써 높은 온도 및 오존지수에 의해 물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살균소독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살균소독기는, 박스 형상의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복수의 흡입구(11), 상기 몸체(10)의 내측에 구비되되, 몸체(10)의 상부에서부터 하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분리패널(20), 상기 분리패널(20)에 의해 구획되는 상측의 이격공간부(30) 및 하측의 물품수납부(40), 상기 이격공간부(30)의 내부에 형성되되, 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팬(31), 상기 팬(31)의 하측에 형성되어 팬(31)을 통해 이동되어온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히터(32), 상기 가열히터(32)의 양측에 형성되어 오존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오존발생램프(33), 상기 물품수납부(4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물품수납부(4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60), 상기 물품수납부(4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물품수납부(40) 내부의 오존지수를 측정하는 오존측정기(70), 상기 물품수납부(40)의 내부에 형성되어 거치선반(41)에 거치된 물품을 스캔하는 물품스캐너(80), 상기 물품수납부(40)의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몸체(10) 내부를 순환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로(90), 상기 온도센서(60)와 오존측정기(70)와 물품스캐너(80)와 가열히터(32) 및 오존발생램프(33)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10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00)는, 다양한 물품들의 종류 및 특성 따른 기준 온도값과 기준 오존지수값이 저장되고, 상기 저장된 물품들의 종류 및 특성 따른 기준 온도값과 기준 오존지수값에 의거 상기 물품스캐너(80)를 통해 파악된 물품의 종류 및 특성에 맞는 온도값 및 오존지수값을 설정하여 물품들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열풍건조 및 살균소독 방법을 달리 실시하되, 상기 온도센서(60)와 오존측정기(70)에 의해 측정된 상기 물품수납부(40) 내부의 실시간 온도값과 실시간 오존지수값을 물품의 종류 및 특성에 맞게 설정된 온도값 및 오존지수값과 비교 연산하여 상기 가열히터(32)의 가열온도 및 가동시간과 오존발생램프(33)의 강도 및 가동 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다양한 물품들의 종류에 따른 기준 온도값과 기준 오존지수값을 저장하고 상기 물품스캐너(80)와 연결되어 스캔된 물품의 종류에 맞는 기준 온도값과 기준 오존지수값을 산출하는 데이터부(110); 상기 온도센서(60) 및 오존측정기(70)와 연결되어 측정된 실시간 온도값 및 실시간 오존지수값을 전송받는 서버부(120); 상기 데이터부(110)와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부(110)를 통해 산출된 기준 온도값과 기준 오존지수값을 기 설정하고, 상기 서버부(120)와 연결되어 상기 서버부(120)가 전송받는 실시간 온도값 및 실시간 오존지수값이 기 설정된 기준 온도값 및 기준 오존지수값에 도달하면 정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설정부(130); 상기 설정부(130)와 가열히터(32) 및 오존발생램프(33)와 연결되어 상기 설정부(130)에서 발생된 정지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가열히터(32) 및 오존발생램프(33)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로(90)의 내부에는, 상기 배출로(90)를 통해 이동되는 공기 중에 잔존하는 오존을 제거하는 오존제거장치(9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선반(41)의 하측에는 공기순환팬(43)이 형성되어 몸체(10) 내부에서 공기의 와류현상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순환팬(43)의 하측에는, 상기 거치선반(41)에 거치된 물품으로부터 이탈되는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물품수납부에 온도센서 및 오존측정기 및 물품스캐너를 구비함으로써 물품스캐너를 통해 스캔된 물품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살균소독부 내부의 온도 및 오존지수를 설정하여 설정된 온도값 및 오존지수값에 도달하게 되면 가열히터와 오존램프의 가동을 정지시켜 각 물품의 살균소독 및 열풍건조에 필요한 온도 및 오존지수를 유지함으로써 높은 온도 및 오존지수에 의해 물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살균소독기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살균소독기의 개폐문을 개방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살균소독기를 또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살균소독기를 내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살균소독기의 분리패널과 물품스캐너를 하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제어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살균소독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살균소독기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살균소독기(1)는 다양한 종류의 물품 등에 묻은 미세먼지 등과 같은 오염물질과 병균 및 바이러스를 오존살균 및 열풍건조를 통해 살균소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물품수납부(40)에 형성되는 물품스캐너(80)에 의해 물품을 스캔하여 물품의 종류 및 특성에 맞는 온도값과 오존지수값을 설정하고 온도센서(60)와 오존측정기(70)에 의해 물품수납부(40) 내부의 온도와 오존지수를 측정하여 기 설정된 기준 온도값과 기준 오존지수값에 맞도록 살균소독을 실시하되, 온도센서(60)와 오존측정기(70)에 의해 측정된 물품수납부(40) 내부의 실시간 온도값과 실시간 오존지수값을 물품의 종류 및 특성에 맞게 설정된 온도값 및 오존지수값과 비교 연산하여 가열히터(32)의 가열온도 및 가동시간과, 오존발생램프(33)의 강도 및 가동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물품이 높은 온도와 오존지수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물품에 알맞은 살균소독을 실시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살균소독기의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몸체(10)는 박스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의 내부에는 분리패널(20), 팬(31), 가열히터(32), 오존발생램프(33), 물품수납부(40), 배출로(9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10)는 후술하는 다양한 구성들이 구비되는 하우징 또는 케이싱과 같은 구성인 것이다.
몸체(10)는 사각박스 형태 또는 사다리꼴 박스 형태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박스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의 양측면에는 복수의 흡입구(11)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로서 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팬에 의해 공기가 유입 및 유동되어 후술하는 물품수납부(40)로 공급될 수 있다.
몸체(10)의 내측 상부에는 분리패널(20)이 형성될 수 있다. 분리패널(20)은 몸체(10)의 상부에서부터 하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몸체(10)의 상부에 이격공간부(30)를 형성할 수 있다. 분리패널(20)은 일반적인 강재패널로 형성되어 몸체(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분리패널(20)은 몸체(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이격공간부(30)와 하측에 형성되는 물품수납부(40)을 분리하는 칸막이의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분리패널(20)의 상측에는 형성되는 이격공간부(30)의 내부에는 팬(31)이 설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팬(31)은 몸체(10)의 양측에 형성된 복수의 흡입구(11)를 통해 공기를 유입하여 하측의 물품수납부(40)로 이동시킬 수 있다.
팬(31)의 하측에는 가열히터(32)가 형성될 수 있다. 가열히터(32)는 팬(31)으로부터 이동되어온 공기를 가열하여 후술하는 물품수납부의 거치선반(41)에 거치된 물품에 열풍건조를 실시할 수 있는 열풍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가열히터(32)는 후술하는 온도센서(60) 및 제어부(100)와 연동되어 물품수납부(40)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 온도값에 따라 가동이 이루어지거나 중지됨으로써 물품이 과도한 온도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히터(32)에 의해 가열된 공기에 의해 물품이 열풍건조됨에 따라 물품에 잔존하는 병균 등이 열풍건조에 의한 고온살균 작용으로 제거되게 된다.
가열히터(32)의 양측에는 오존발생램프(33)가 형성될 수 있다. 오존발생램프(33)는 가열히터(32)의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오존발생램프(33)는 오존을 발생시켜 팬(31)으로부터 하측으로 이송되는 공기 중에 오존을 공급시키거나 물품수납부(40)의 내측에 오존을 공급함으로써 물품수납부의 거치선반(41)에 거치되는 물품을 오존으로 살균소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오존발생램프(33)는 인체에 무해할 정도의 오존이 발생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물품의 살균소독이 완료된 후 물품에 잔존하는 오존이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을 정도의 강도로 살균소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 오존발생램프(33)에 의한 살균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전술한 팬(31)과 가열히터(32)와 오존발생램프(33)는 모두 분리패널(20)의 상측에 형성된 이격공간부(30)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분리패널(20)에 의해 형성된 이격공간부(30)의 내측에 전술한 구성들이 모두 구비되는 것이다.
분리패널(20)의 하측에 형성되는 물품수납부(40)에는 거치선반이 형성될 수 있다.
거치선반(41)에는 살균소독을 실시하고자 하는 물품이 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거치선반(41)에 거치된 물품이 팬(31)으로부터 이동되어온 공기에 의해 열풍건조 및 오존에 의한 살균소독이 이루어질 수 있다.
거치선반(41)의 전방이면서 몸체(10)의 전방에는 개폐문(50)이 형성될 수 있다.
개폐문(50)은 몸체(10)의 전방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개폐문(50)은 물품수납부(40)를 밀폐함으로써 열풍 및 오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개폐문(50)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의 상태를 볼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품수납부(40)의 내측에는 온도센서(60)가 설치될 수 있다.
온도센서(60)는 물품수납부(40) 내측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후술하는 제어부(100)로 실시간 온도 측정값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온도센서(60)를 통해 물품수납부(40)의 온도를 측정하여 물품수납부(40) 내부의 온도가 제어부(100)에 기 설정된 기준 온도값에 도달하게 되면 제어부(100)가 가열히터(32)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물품수납부(40)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기준 온도값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물품이 고온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물품수납부(40)의 내측에는 오존측정기(70)가 설치될 수 있다.
오존측정기(70)는 물품수납부(40) 내측의 오존지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후술하는 제어부(100)로 실시간 오존지수 측정값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오존측정기(70)를 통해 물품수납부(40)의 오존지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물품수납부(40) 내부의 오존지수가 기 설정된 기준 오존지수값에 도달하게 되면 제어부(100)가 오존발생램프(33)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물품수납부(40) 내부의 오존지수가 설정된 기준 오존지수값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물품이 높은 오존지수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물품수납부(40)의 내측에는 물품스캐너(80)가 설치될 수 있다.
물품스캐너(80)는 물품수납부(40)의 내측에서 거치선반(41)에 거치된 물품을 스캔하여 물품의 종류 및 특성을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물품스캐너(80)는 후술하는 제어부(100)의 데이터부(110)와 연결되어 물품의 종류 및 특성에 따른 기준 온도값 및 기준 오존지수값을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물품스캐너(80)를 통해 물품의 종류 및 특성에 따른 살균소독 방법을 달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온도센서(60)와 오존발생램프(33)와 물품스캐너(80)는 제어부(1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몸체(10)의 내부에 구비되어 가열히터(32)와 오존발생램프(33)와도 연결되어 온도센서(60)와 오존발생램프(33) 및 물품스캐너(80)와 연동되어 물품들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열풍건조 및 살균소독 방법을 달리 실시하도록 할 수 있고, 온도센서(60)와 오존측정기(70)에 의해 측정된 물품수납부(40) 내부의 실시간 온도값과 실시간 오존지수값을 물품의 종류 및 특성에 맞게 설정된 온도값 및 오존지수값과 비교 연산하여 가열히터(32)의 가열온도 및 가동시간과, 오존발생램프(33)의 강도 및 가동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온도센서(60)와 오존측정기(70)와 물품스캐너(80)와 가열히터(32) 및 오존발생램프(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00)는, 데이터부(110), 서버부(120), 설정부(130), 컨트롤부(14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데이터부(110)는 다양한 물품들의 종류 및 특성에 따른 기준 온도값 및 기준 오존지수값을 저장할 수 있다.
즉, 데이터부(110)에는 다양한 물품들에 알맞은 적정 온도 데이터 및 오존지수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데이터부(110)는 물품스캐너(80)를 통해 파악된 물품의 종류 및 특성을 분석하여 데이터부(110)에 저장된 물품에 따른 기준 온도값 및 기준 오존지수값을 후술하는 설정부(130)에 기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서버부(120)는 온도센서(60) 및 오존측정기(70)와 연결될 수 있다.
온도센서(60) 및 오존측정기(70)는 측정된 실시간 온도값 및 실시간 오존지수값을 서버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서버부(120)는 온도센서(60) 및 오존측정기(70)를 통해 전송받은 실시간 온도값 및 실시간 오존지수값을 저장할 수 있는 매체이다.
설정부(130)는 데이터부(110) 및 서버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설정부(130)는 데이터부(110)와 연결되어 데이터부(110)를 통해 산출된 기준 온도값과 기준 오존지수값을 기 설정할 수 있다. 즉, 설정부(130)에 기 설정된 기준 온도값과 기준 오존지수값은 가열히터(32)와 오존발생램프(33)의 구동이 제어될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설정부(130)는 서버부(120)와도 연결되어 물품수납부(40) 내부의 실시간 온도값 및 실시간 오존지수값을 기 설정된 기준 온도값과 기준 오존지수값과 비교 연산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간 온도값 및 실시간 오존지수값이 기 설정된 기준 온도값과 기준 오존지수값에 도달하게 되면 설정부(130)가 가열히터(32) 및 오존발생램프(33) 각각에 해당하는 정지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발생된 정지신호는 컨트롤부(140)에 전송될 수 있다.
컨트롤부(140)는 설정부(130)와 가열히터(32) 및 오존발생램프(33)와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부(140)는 설정부(130)에서 발생된 각각의 정지신호를 전송받아 가열히터(32) 및 오존발생램프(33)의 각각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각각의 구성들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져 물품수납부(40)의 거치선반(41)에 거치된 물품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알맞은 온도 및 오존지수를 통해 열풍건조 및 살균소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물품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효율적이면서도 안전한 살균소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구성인 것이다.
이러한 제어부(100)는 온도센서(60)를 통해 측정되는 물품수납부(40)의 온도값이 제어부(100)에 설정된 온도값에 도달하면 가열히터(32)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제어부(100)가 가열히터(32)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물품수납부(40)에 수납된 물품의 손상에 영향을 끼치는 온도 이상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를 통해 가열히터(32)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높은 온도에 의해 물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100)는 오존측정기(70)를 통해 측정되는 물품수납부(40)의 오존지수값이 제어부(100)에 설정된 오존지수값에 도달하면 오존발생램프(33)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제어부(100)가 오존발생램프(33)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물품수납부(40)에 수납된 물품의 손상에 영향을 끼치는 오존지수값 이상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를 통해 오존발생램프(33)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높은 오존지수값에 의해 물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물품수납부(40)의 하측에는 공기순환팬(36)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공기순환팬(36)은 물품수납부(40)의 내측에서 공기의 와류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물품수납부(40)의 내측에 공기가 머무는 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물품의 열풍건조를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오존이 물품의 전체에 골고루 닿도록 하여 물품의 살균소독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지도록 하는 효과 있다.
공기순환팬(43)의 하측에는 집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집진부는 공기순환팬(43)의 하측에 집진패드 등과 같은 구성으로 형성되어 거치선반(41)에 거치된 물품으로부터 탈리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집진할 수 있다.
이러한 집진부는 주기적으로 물품수납부(40)로부터 분리시켜 집진부를 통해 집진된 먼지를 털어 청소 및 세척을 실시하거나 집진패드 등을 교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품수납부(40)의 하부에는 배출로(90)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로(90)는 몸체(10) 내부를 순환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물품수납부(4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외부로 이동하는 통로로써 물품수납부(40)의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로(90)는 물품수납부(40)의 내부에 수용되는 물품을 소독살균한 후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이동 통로로 입구에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등을 포집하는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배출로(90)의 배관 내부에는 물품수납부(40)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오존을 제거하기 위한 오존제거장치(9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오존제거장치(91)는 배출로(90)의 배관 내부에 설치되어 구비됨으로써 배출로(90)를 통해 이동되는 공기 중에 잔존하는 오존을 제거하여 오존이 함유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배출로(90)의 외측 단부는 몸체(10)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배출로(90)의 외측 단부를 통해 물품수납부(4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몸체(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즉, 배출로(90)의 외측 단부를 몸체(10)의 후방에 형성함으로써 몸체에서 배출된 공기가 몸체(10)의 양 측면에 형성된 흡입구(11)를 통해 몸체(10) 내부로 바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몸체
11 : 흡입구
20 : 분리패널
31 : 팬 32 : 가열히터
33 : 오존발생램프
40 : 물품수납부 41 : 거치선반
43 : 공기순환팬
50 : 개폐문
60 : 온도센서
70 : 오존측정기
80 : 물품스캐너
90 : 배출로 91 : 오존제거장치
100 : 제어부 110 : 데이터부
120 : 서버부 130 : 설정부
140 : 컨트롤부

Claims (6)

  1. 박스 형상의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복수의 흡입구(11);
    상기 몸체(10)의 내측에 구비되되, 몸체(10)의 상부에서부터 하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분리패널(20);
    상기 분리패널(20)에 의해 구획되는 상측의 이격공간부(30) 및 하측의 물품수납부(40);
    상기 이격공간부(30)의 내부에 형성되되, 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팬(31);
    상기 팬(31)의 하측에 형성되어 팬(31)을 통해 이동되어온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히터(32);
    상기 가열히터(32)의 양측에 형성되어 오존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오존발생램프(33);
    상기 물품수납부(4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물품수납부(4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60);
    상기 물품수납부(4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물품수납부(40) 내부의 오존지수를 측정하는 오존측정기(70);
    상기 물품수납부(40)의 내부에 형성되어 거치선반(41)에 거치된 물품을 스캔하는 물품스캐너(80);
    상기 물품수납부(40)의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몸체(10) 내부를 순환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로(90); 및
    상기 온도센서(60)와 오존측정기(70)와 물품스캐너(80)와 가열히터(32) 및 오존발생램프(33)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10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00)는,
    다양한 물품들의 종류 및 특성에 따른 기준 온도값과 기준 오존지수값이 저장되고, 상기 저장된 물품들의 종류 및 특성에 따른 기준 온도값과 기준 오존지수값에 의거 상기 물품스캐너(80)를 통해 파악된 물품의 종류 및 특성에 맞는 온도값 및 오존지수값을 설정하여 물품들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열풍건조 및 살균소독 방법을 달리 실시하되, 상기 온도센서(60)와 오존측정기(70)에 의해 측정된 상기 물품수납부(40) 내부의 실시간 온도값과 실시간 오존지수값을 물품의 종류 및 특성에 맞게 설정된 온도값 및 오존지수값과 비교 연산하여 상기 가열히터(32)의 가열온도 및 가동시간과, 오존발생램프(33)의 강도 및 가동 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소독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0)는,
    다양한 물품들의 종류에 따른 기준 온도값과 기준 오존지수값을 저장하고 상기 물품스캐너(80)와 연결되어 스캔된 물품의 종류에 맞는 기준 온도값과 기준 오존지수값을 산출하는 데이터부(110);
    상기 온도센서(60) 및 오존측정기(70)와 연결되어 측정된 실시간 온도값 및 실시간 오존지수값을 전송받는 서버부(120);
    상기 데이터부(110)와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부(110)를 통해 산출된 기준 온도값과 기준 오존지수값을 기 설정하고, 상기 서버부(120)와 연결되어 상기 서버부(120)가 전송받는 실시간 온도값 및 실시간 오존지수값이 기 설정된 기준 온도값 및 기준 오존지수값에 도달하면 정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설정부(130);
    상기 설정부(130)와 가열히터(32) 및 오존발생램프(33)와 연결되어 상기 설정부(130)에서 발생된 정지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가열히터(32) 및 오존발생램프(33)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소독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로(90)의 내부에는,
    상기 배출로(90)를 통해 이동되는 공기 중에 잔존하는 오존을 제거하는 오존제거장치(9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소독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선반(41)의 하측에는 공기순환팬(43)이 형성되어 몸체(10) 내부에서 공기의 와류현상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소독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팬(43)의 하측에는,
    상기 거치선반(41)에 거치된 물품으로부터 이탈되는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소독기.
KR1020220038634A 2022-03-29 2022-03-29 살균소독기 KR102665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634A KR102665724B1 (ko) 2022-03-29 2022-03-29 살균소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634A KR102665724B1 (ko) 2022-03-29 2022-03-29 살균소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0033A KR20230140033A (ko) 2023-10-06
KR102665724B1 true KR102665724B1 (ko) 2024-05-13

Family

ID=88296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8634A KR102665724B1 (ko) 2022-03-29 2022-03-29 살균소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572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986B1 (ko) * 2007-06-12 2007-10-04 장철원 신발 건조 살균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408B1 (ko) * 2004-03-29 2006-09-29 마등산업개발 주식회사 먼지제거 및 살균기능을 가지는 옷장
KR100928466B1 (ko) 2009-08-21 2009-11-25 (주)하인스 위생복 소독기
KR101265064B1 (ko) * 2011-04-21 2013-05-16 주식회사 피에이치에스 신발 살균 건조기
KR102222952B1 (ko) * 2018-11-07 2021-03-04 주식회사 피글 플라즈마를 이용한 의류 관리 장치
KR20190084915A (ko) * 2019-06-28 2019-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및 의류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986B1 (ko) * 2007-06-12 2007-10-04 장철원 신발 건조 살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0033A (ko) 2023-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60681A1 (en) A garment care device for drying and sanitizing garments
CN106163578B (zh) 饱和度增强、低浓度汽化过氧化氢清洁方法
KR101939793B1 (ko) 유아용품 살균 소독장치
JP2012081215A (ja) 低温プラズマ・紫外線複合殺菌装置
KR102046846B1 (ko) 전기 식기 소독장
US20230321292A1 (en) Shoe care apparatus
KR20070053051A (ko) 자외선 살균 옷장식 건조기
KR102665724B1 (ko) 살균소독기
CN105521499B (zh) 具有除湿功能的消毒柜及其除湿方法
CN206261852U (zh) 一种医用灭菌柜
KR20110011197U (ko) 건조 기능을 갖는 신발장
KR101763381B1 (ko) 공기청정 기능을 구비하는 의료 폐기물의 안전 처리 장치
KR102645125B1 (ko) 공기정화가 가능한 살균소독기
CN106617780A (zh) 一种具有杀菌防霉、除臭效果的电子橱柜
KR101491144B1 (ko) 키친용 승강식 현수 찬장, 제균 방법
KR20140005500U (ko) 젖병 소독건조기
EP3858389A1 (en) Hand disinfec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on
CN105126133B (zh) 多功能消毒盒
KR200405798Y1 (ko) 식기 소독보관함
CN211068187U (zh) 一种母婴护理用消毒装置
KR200319394Y1 (ko) 동전인식기가 부착된 신발 살균 보관함
CN207970268U (zh) 一种环保低能耗型蒸汽消毒柜
KR20110029251A (ko) 식기 건조 및 살균기
JP7295367B2 (ja) クリーニング手法
KR20140068499A (ko) 소량 지폐 전용 소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