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5054B1 - Louver assembly - Google Patents

Louver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5054B1
KR102665054B1 KR1020210043837A KR20210043837A KR102665054B1 KR 102665054 B1 KR102665054 B1 KR 102665054B1 KR 1020210043837 A KR1020210043837 A KR 1020210043837A KR 20210043837 A KR20210043837 A KR 20210043837A KR 102665054 B1 KR102665054 B1 KR 102665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terminal
solar cell
electrode terminal
cel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8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38116A (en
Inventor
최철준
김종태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210043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5054B1/en
Publication of KR20220138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1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5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50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6Building materials integrated with PV modules, e.g. façade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루버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루버 조립체는, 양 단부에 단자부가 각각 마련되고, 각각의 단자부와 연결되는 태양전지 패널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부, 각각의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극단자가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태양전지 모듈부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캡 및 제1 캡의 내부에 위치되되 제1 전극단자를 둘러 싸도록 마련되며, 제1 전극단자가 삽입되도록 개방된 제1 면 및 제1 전극단자와 단자부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개방된 제2 면을 갖고, 제1 전극단자와 단자부가 접속될 때에 제2 면이 단자부에 의해 밀폐되도록 마련된 가스켓을 포함한다.
A louver assembly is disclosed.
The louv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erminal portions provided at both ends, a solar cell module portion including a solar cell panel connected to each terminal portion, and a first electrode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terminal portion is located inside. In the state, a first cap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olar cell module portion is located inside the first cap and is provided to surround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a first surface and a first cap are open to allow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to be inserted. It has a second surface that is open so that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the terminal part can be connected, and includes a gasket provided so that the second surface is sealed by the terminal part when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the terminal part are connected.

Description

루버 조립체{LOUVER ASSEMBLY}Louver assembly {LOUVER ASSEMBLY}

본 발명은 루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공 건물에 적용할 수 있는 루버 창에 태양전지 패널(태양광 모듈)이 장착된 루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uver assembly, and more specifically, to a louver assembly in which a solar cell panel (solar cell module) is mounted on a louver window applicable to public buildings.

최근에는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기 위한 방안으로 태양열, 지력, 조력, 파력 에너지, 수소 에너지 등의 자연 에너지나 대체 화석 연료 등을 이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Recently, efforts have been made to use natural energy such as solar energy, geothermal energy, tidal energy, wave energy, and hydrogen energy or alternative fossil fuels as a way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대체에너지 중에서도 태양열을 활용하는 것으로서, 건축물의 외벽 중 일조량이 많은 곳에 태양광 모듈을 설치하고 태양광 모듈에서 태양광을 집광한 후 집광된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건축물 내부에 공급하게 된다. A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utilizes solar power among alternative energy sources.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s install solar power modules on the exterior walls of buildings in areas that receive a lot of sunlight, collect sunlight from the solar power modules, and then convert the concentrated solar power into electrical energy inside the building. will be supplied to.

종래 태양광 모듈이 장착된 루버 조립체에는 태양전지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에서 입사되는 빛에 의해 발생된 전기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전극단자가 마련된다. A conventional louver assembly equipped with a solar modul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lectrode terminals tha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lar cell module and transmit electricity generated by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to the outside.

이때, 루버 조립체의 내부에 위치되는 전극단자는 가스켓에 의해 밀폐됨으로써 루버 조립체의 방수 성능을 유지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electrode terminal located inside the louver assembly is sealed by a gasket to maintain the waterproof performance of the louver assembly.

그러나, 종래 루버 조립체의 내부에 끼워져 있는 가스켓의 경우, 태양전지 모듈부와 이너서포트(캡) 조립시, 가스켓의 변형이 심하게 발생되어 태양광 모듈은 물론이고 루버 조립체의 방수 성능을 유지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gasket inserted inside the conventional louver assembly, when assembling the solar cell module portion and the inner support (cap), the gasket is severely deformed, making it difficult to maintain the waterproof performance of the solar module as well as the louver assembly. There was this.

또한, 종래 루버 조립체는 태양전지 모듈부와 이너소프트 조립시, 하나의 피스(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조립하였기 때문에, 이너소프트가 태양전지 모듈부에 수평하게 장착되지 않아서 틈새가 발생되고, 결국 루버 조립체의 방수 성능을 유지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louver assembly was assembled using one piece (fastening member) when assembling the solar cell module portion and the inner soft, the inner soft was not mounted horizontally on the solar cell module portion, resulting in a gap, which eventually led to the louver. There was a difficult problem in maintaining the waterproof performance of the assembly.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방수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루버 조립체의 기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re is a need for louver assembly technology that can significantly improve waterproof performance.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29719호(공고일: 2018.12.14.)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29719 (Publication date: December 14, 2018)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전지 모듈부, 가스켓 및 제1 캡의 조립 시에 가스켓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루버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uver assembly that can minimize deformation of the gasket when assembling the solar cell module portion, the gasket, and the first cap.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캡이 태양전지 모듈부와 결합될 때, 제1 캡이 태양전지 모듈부에 수평하게 장착되도록 할 수 있는 루버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Additional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uver assembly that allows the first cap to be horizontally mounted on the solar cell module portion when the first cap is coupled to the solar cell module por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양 단부에 단자부가 각각 마련되고, 각각의 단자부와 연결되는 태양전지 패널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부, 각각의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극단자가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태양전지 모듈부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캡 및 제1 캡의 내부에 위치되되 제1 전극단자를 둘러 싸도록 마련되며, 제1 전극단자가 삽입되도록 개방된 제1 면 및 제1 전극단자와 단자부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개방된 제2 면을 갖고, 제1 전극단자와 단자부가 접속될 때에 제2 면이 단자부에 의해 밀폐되도록 마련된 가스켓을 포함하는, 루버 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The above object is th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erminal portions are provided at both ends, a solar cell module portion including a solar cell panel connected to each terminal portion, and a first electrode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terminal portion are provided inside the solar cell module portion. A first cap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olar cell module portion, respectively, and a first surface positioned inside the first cap to surround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open to allow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to be inserted. and a gasket having a second surface that is open so that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the terminal portion are connected, and the second surface is provided to be sealed by the terminal portion when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the terminal portion are connected. This is achieved by a louver assembly, including a gasket. It can be.

또한, 상기의 목적은, 양 단부에 단자부가 각각 마련되고, 각각의 단자부와 연결되는 태양전지 패널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부, 각각의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극단자가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태양전지 모듈부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내측으로 돌출되며 모듈부를 가압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제1 캡 및 제1 캡의 내부에 위치되되 제1 전극단자를 둘러싸도록 마련되며, 제1 전극단자가 삽입되도록 개방된 제1 면 및 가이드 돌기와 마주하는 위치에 제1 전극단자와 단자부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개방된 제2 면을 갖는 가스켓을 포함하는, 루버 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bove purpose is to provide a solar cell module unit including a solar cell panel connected to each terminal unit, with terminal units provided at both ends, and a first electrode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terminal unit located inside. In this state, a first cap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olar cell module portion, protrudes inward and includes a guide protrusion for pressing the module portion, and is located inside the first cap to surround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This can be achieved by a louver assembly, including a gasket having a first surface open to allow insertion of an electrode terminal and a second surface open to connect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to the terminal portion at a position facing the guide protrusion.

본 발명의 루버 조립체는, 태양전지 모듈부, 가스켓 및 제1 캡의 조립 시에 가스켓을 전극단자를 둘러싸는 정도의 크기 및 형태로 마련하고 제1 캡의 내부에 위치시킴으로써, 가스켓의 변형이 최소화되어 루버 조립체의 방수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The louve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deformation of the gasket by providing a gasket with a size and shape that surrounds the electrode terminal and placing it inside the first cap when assembling the solar cell module part, the gasket, and the first cap. This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waterproof performance of the louver assembly.

또한, 본 발명의 루버 조립체는, 제1 캡과 태양전지 모듈부를 복수 개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시킴에 따라, 제1 캡이 태양전지 모듈부에 수평하게 장착되어 루버 조립체의 조립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uve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s the first cap and the solar cell module portion using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so that the first cap is mounted horizontally on the solar cell module portion, thereby improving the assembly performance of the louver assembly. You can.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버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루버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태양전지 모듈부와 제1 전극단자 및 제2 전극단자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태양전지 모듈부의 태양전지 패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태양전지 모듈부의 단자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2에 도시한 태양전지 모듈부의 패널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한 태양전지 모듈부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한 태양전지 모듈부, 가스켓, 제1 전극단자, 제1 캡, 제2 전극단자 및 제2 캡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가스켓 및 제1 캡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제1 캡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2에 도시한 루버 조립체를 길이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1 전극단자 및 제2 전극단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내지 도 18은 도 10에 도시한 제2 캡의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제1 캡이 제2 캡에 장착되는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도 2에 도시한 루버 조립체를 폭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21은 커넥터부의 조립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도 2에 도시한 루버 조립체에 프레임 및 커넥터부의 조립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louv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ouver assembly shown in Figure 1.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olar cell module shown in FIG. 2 and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are couple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olar cell panel of the solar cell module portion shown in FIG. 2.
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terminal portion of the solar cell module portion shown in FIG. 2.
FIGS. 6 and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panel frame of the solar cell module portion shown in FIG. 2.
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solar cell module portion shown in FIG. 2.
FIG. 9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olar cell module unit, gasket, first electrode terminal, first cap, second electrode terminal, and second cap shown in FIG. 2.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gasket and first cap shown in FIG. 9.
11 and 12 are side perspective views of the first cap shown in FIG. 10.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uver assembly shown in Figure 2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gure 14 is a diagram showing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FIGS. 15 to 18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econd cap shown in FIG. 10.
Figure 19 is a diagram showing the order in which the first cap is mounted on the second cap.
Figure 2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uver assembly shown in Figure 2 cut in the width direction.
Figure 21 is a diagram showing the assembly sequence of the connector part.
FIG. 22 is a diagram showing the assembly sequence of the frame and connector portion in the louver assembly shown in FIG. 2.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The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Please note that the drawings are schematic and not drawn to scale. The relative dimensions and proportions of parts in the drawings are shown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the drawings, and any dimensions are illustrative only and are not limiting. And for identical structures, elements, or parts that appear in two or mor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similar feature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represent ide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various variations of the drawing are expected. Accordingly,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shape of the illustrated area and also includes changes in shape due to manufacturing, for examp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버 조립체(1)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 louver assembly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참고로, 하기의 설명에서 수직 방향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의미하고, 수평 방향은 지면과 수평한 방향을 의미한다. For reference, in the description below, the vertical direction refers to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refers to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또한, 루버 조립체(1)로 태양광이 입사되는 측을 전면부(전방)이라고 하고, 전면부의 반대되는 방향을 후면부(후방)이라고 한다. In addition, the side on which sunlight enters the louver assembly 1 is called the front part (front), and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ront part is called the rear part (rear).

이때, 루버 조립체(1)의 전면부는 실외측에 위치되고 후면부는 실내측에 위치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ront part of the louver assembly 1 can be installed so that it is located on the outdoor side and the rear part can be installed on the indoor side.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버 조립체(1)는 태양전지 모듈부(10), 제1 캡(20) 및 가스켓(230)을 포함한다. First,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louver assembly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lar cell module portion 10, a first cap 20, and a gasket 230.

여기서, 가스켓(230)은 제1 캡(20)의 내부에 장착된다. Here, the gasket 230 is mounted inside the first cap 20.

제1 캡(20)은 가스켓(230)이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태양전지 모듈부(10)과 결합된다. The first cap 20 is coupled to the solar cell module unit 10 with the gasket 230 mounted therein.

또한, 제1 캡(20)은 태양전지 모듈부(10)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2 캡(30)과 결합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first cap 2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cap 30 while being coupled to the solar cell module unit 10 .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태양전지 모듈부(10)는 태양전지 패널(110)이 장착되고, 장착된 태양전지 패널(110)을 지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Referring to Figures 1 to 4, the solar cell module unit 10 is a part on which the solar cell panel 110 is mounted and supports the mounted solar cell panel 110.

이러한 태양전지 모듈부(10)는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단자부(112), 단자부(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입사되는 빛에 의해 전기를 생성하도록 마련된 태양전지 패널(110) 및 태양전지 패널(110)을 지지하는 패널 프레임(120)을 포함한다. This solar cell module portion 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portion 112 formed at both ends, respectively, and includes a solar cell panel 110 and a solar cell panel ( It includes a panel frame 120 supporting 110).

여기서, 태양전지 패널(11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도록 마련되며, 양 단부에 한 쌍의 단자부(112)가 마련된다. Here, the solar cell panel 110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air of terminal portions 112 are provided at both ends.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양전지 패널(110)의 일측에 마련된 단자부(112)는 (+) 극성 또는 (-) 극성 중 어느 하나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고, 태양전지 패널(110)의 타측에 마련된 단자부(112)는 (+) 극성 또는 (-) 극성 중 어느 하나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 the terminal portion 11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olar cell panel 110 may be provided to have either (+) polarity or (-) polarity, and the solar cell panel 110 ) The terminal portion 112 provided on the other side may be provided to have either (+) polarity or (-) polarity.

이러한 한 쌍의 단자부(112)는 제1 전극단자(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is pair of terminal portions 11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70.

이때, 제1 전극단자(270)는 제1 캡(20)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참고로, 제1 캡(20) 및 제1 전극단자(270)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At this time,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70 may be detachably mounted inside the first cap 20. For reference, the first cap 20 and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7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4를 참조하면, 태양전지 패널(110)은 글라스(glass, 114), 적어도 하나 이상의 봉입재(EVA, 116), 태양전지 및 백시트(backsheet, 118)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solar cell panel 110 may include glass 114, at least one encapsulant (EVA) 116, a solar cell, and a backsheet 118.

여기서, 하나 이상의 태양전지(1100)는 셀 스트링(112a)에 의해 직렬로 연결되어 태양전지 패널(110)을 구성할 수 있다. Here, one or more solar cells 1100 may be connected in series by a cell string 112a to form a solar cell panel 110.

글라스(114)는 태양광이 입사되는 면으로서, 입사된 빛을 산란시켜서 반사된 빛을 재입사시기는 역할과 외부환경으로부터 태양전지 패널(110)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글라스(114)는 외부 우박 혹은 화재 발생 시에 쉽게 깨질 수 있는 태양전지 패널(110)을 충격과 화염 등에서 보호하게 된다. The glass 114 is a surface on which sunlight is incident, and serves to scatter the incident light, re-enter the reflected light, and protect the solar cell panel 110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Accordingly, the glass 114 protects the solar cell panel 110, which can be easily broken in the event of external hail or fire, from shock and flame.

참고로, 글라스(114)의 두께는 대략적으로 2.8mm 정도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2.8mm 이하 또는 2.8mm 미만이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thickness of the glass 114 may be approximately 2.8 mm,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to be 2.8 mm or less or less than 2.8 mm as needed.

일예로, 글라스(114)의 두께는 0.1mm 내지 2.8mm, 0.2mm 내지 2.7mm, 0.3mm 내지 2.6mm, 0.4mm 내지 2.5mm, 0.5mm 내지 2.4mm, 0.6mm 내지 2.3mm, 0.7mm 내지 2.2mm, 0.8mm 내지 2.1mm, 0.9mm 내지 2.0mm, 1.0mm 내지 1.9mm, 1.1mm 내지 1.8mm, 1.2mm 내지 1.7mm, 1.3mm 내지 1.6mm, 1.4mm 내지 1.5mm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glass 114 is 0.1 mm to 2.8 mm, 0.2 mm to 2.7 mm, 0.3 mm to 2.6 mm, 0.4 mm to 2.5 mm, 0.5 mm to 2.4 mm, 0.6 mm to 2.3 mm, and 0.7 mm to 2.2 mm. mm, 0.8mm to 2.1mm, 0.9mm to 2.0mm, 1.0mm to 1.9mm, 1.1mm to 1.8mm, 1.2mm to 1.7mm, 1.3mm to 1.6mm, 1.4mm to 1.5mm, but must be It is not limited to this.

또한, 글라스(114)는 빛이 입사되는 제1 입사면 및 제1 입사면이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되며 태양전지 패널(110)과 마주하는 제2 입사면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입사면 및 제2 입사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면에는 저반사 코팅(anti-reflection coating; AR coating)이 될 수 있고,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면일 수 있다. Additionally, the glass 114 may have a first incident surface on which light is incident and a second incident surface that is loc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incident surface and faces the solar cell panel 110. At this time, at least one of the first incident surface and the second incident surface may be anti-reflection coating (AR coating), and may be a surface on which no pattern is formed.

참고로, 저반사 코팅은 제1 입사면에 빛이 입사될 때, 제1 입사면을 통과하지 못하고 반사되어 빛을 줄여주기 위한 것이다. For reference, the low-reflection coating is intended to reduce the light by being reflected when light is incident on the first incident surface, rather than passing through the first incident surface.

예를 들어,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제1 입사면에 저반사 코팅을 하게 되는 경우, 글라스(114)의 두께를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For example, when a low-reflection coating is applied to the first incident surface on which no pattern is form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glass 114 can be formed uniformly.

실외측에서 입사되는 빛은 글라스(114)의 제1 입사면 및 제2 입사면을 차례로 통과하여 결국 태양전지 패널(110)로 입사되게 되는 것이다. Light incident from the outdoor side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incident surfaces of the glass 114 and eventually enters the solar cell panel 110.

한편, 글라스(114)의 제2 입사면에는 소정의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글라스(114)의 제2 입사면에는 엠보 패턴이 형성된 요철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Meanwhile, a predetermined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second incident surface of the glass 114. For referenc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econd incident surface of the glass 114 may be provided in a convex-convex shape with an embossed pattern.

이와 같이, 글라스(114)의 제2 입사면에 소정의 패턴이 형성됨에 따라, 글라스(114)로 입사된 빛은 산란되고, 태양전지 패널(110)에서 반사되는 빛이 밖으로 나가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외부로 나가는 빛을 산란시켜서 글라스(114)로 재입사되도록 함으로써, 결국 태양전지 패널(110)의 발전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this way, as a predetermined pattern is formed on the second incident surface of the glass 114, the light incident on the glass 114 is scattered, and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solar cell panel 110 can be prevented from going out. . Furthermore, by scattering the outgoing light and re-entering the glass 114, it is possible to ultimately increase the amount of power generated by the solar cell panel 110.

참고로, 글라스(114)의 제1 입사면에 소정의 패턴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1 입사면에 형성된 패턴으로 인하여 먼지, 오염물질 등에 의해 취약할 수 있으므로, 제1 입사면 보다는 제2 입사면에 소정을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reference, when a predetermined pattern is formed on the first incident surface of the glass 114, the pattern formed on the first incident surface may be vulnerable to dust, contaminants, etc., so the second incident surface is used rather than the first incident surface. It is desirable to form a predetermined pattern.

한편, 글라스(114)는 저철분 강화유리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Meanwhile, the glass 114 may be made of low iron tempered glass,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또한, 글라스(114)는 열강화 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나, 화학 강화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경우에는 1mm 이하의 글라스(114)를 형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glass 114 may be manufactured using a thermal strengthening method, but when manufactured using a chemical strengthening method, the glass 114 may be formed with a thickness of 1 mm or less.

한편, 태양전지 패널(110)은 패널 프레임(120)의 크기와 대응되도록 하프(half) 컷팅된 태양전지(100)을 셀 스트링(112a)을 이용하여 직렬 연결하여 제작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olar cell panel 110 can be manufactured by connecting half-cut solar cells 100 in series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panel frame 120 using cell strings 112a.

예컨대, 일반 전지와 같이 P type의 태양전지(1100)인 경우, 빛이 입사되는 면이 (-)극을 형성하고 반대면은 (+)극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태양전지(110)를 일렬로 나열하여 (+)극과 (-)극을 서로 연결해주기 위해 태양전지(1100)의 (-)극 면에 붙은 리본(전극선)을 바로 옆의 태양전지 셀의 (+)극 면에 붙도록 직렬로 연결하고, 태양전지(1100)와 태양전지(1100)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셀 스트링(112a)을 통해 태양전지 패널(110)을 형성한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P-type solar cell 1100, like a general battery, the side on which light is incident forms a (-) pole and the opposite side forms a (+) pole. At this time, in order to arrange the solar cells 110 in a row and connect the (+) pole and the (-) pole, the ribbon (electrode wire) attached to the (-) pole side of the solar cell 1100 is connected to the solar cell next to the solar cell. are connected in series so as to be attached to the (+) electrode side of the solar cell 1100 and form the solar cell panel 110 through at least one cell string 112a connecting the solar cells 1100.

봉입재(116)는 글라스(114)와 백시트(118) 사이에 위치되어 태양전지(1100)를 감싸게 된다. 이러한 봉입재(116)는 태양전지(1100)로 전해지는 직접적인 충격을 완화시키고, 태양전지(1100)로의 습기나 오염물질이 영향을 주지 않도록 차단한다. The encapsulant 116 is located between the glass 114 and the back sheet 118 and surrounds the solar cell 1100. This encapsulation material 116 alleviates direct shock transmitted to the solar cell 1100 and blocks moisture or contaminants from affecting the solar cell 1100.

백시트(118)는 글라스(114)와 동일하게 태양전지(1100)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back sheet 118 may play the role of protecting the solar cell 1100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in the same way as the glass 114.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양전지 패널(110)은 태양전지 패널(110)로 입사되는 빛을 기준으로, 글라스(114), 봉입재(116), 태양전지(1100), 봉입재(116) 및 백시트(118)의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solar cell panel 110 is divided into glass 114, encapsulant 116, solar cell 1100, and encapsulant 116 based on the light incident on the solar cell panel 110. ) and the backsheet 118 may be arranged in that orde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버 조립체(1)는 태양전지 모듈부(10)가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Meanwhile, the louver assembly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solar cell module unit 10, preferably in plural pieces.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태양전지 모듈부(10,10-1)가 마련되는 경우, 복수 개의 태양전지 모듈부(10,10-1)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As shown in FIG. 5, when a plurality of solar cell module units 10 and 10-1 are provided, the plurality of solar cell module units 10 and 10-1 are electrically connected.

이때, 하나의 태양전지 모듈부(10)에서 일 단부(도 5에서 좌측)에 위치된 단자부(112)는 (-)극성을 갖고, 타 단부(도 5에서 우측)에 위치된 단자부(112)는 (+) 극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다른 하나의 태양전지 모듈부(10-1)에서 일 단부(도 5에서 좌측)에 위치된 단자부(112)는 (+)극성을 갖고, 타단부(도 5에서 우측)에 위치된 단자부(11)는 (-)극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terminal portion 112 located at one end (left in FIG. 5) of one solar cell module portion 10 has a (-) polarity, and the terminal portion 112 located at the other end (right in FIG. 5) is formed to have (+) polarity. In addition, the terminal portion 112 located at one end (left in FIG. 5) of the other solar cell module portion 10-1 has a (+) polarity, and the terminal portion located at the other end (right in FIG. 5) (11) is formed to have (-) polarity.

즉, 태양전지 모듈부(10)가 복수 개로 마련되는 경우, 서로 인접한 태양전지 모듈부(10)의 단자부(112)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when a plurality of solar cell module units 10 are provided, it is preferable that the terminal units 112 of adjacent solar cell module units 10 are arranged to have different polarities.

도 5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태양전지 모듈부(10)가 마련되는 경우, 복수 개의 태양전지 모듈부(10)는 루버 조립체(1)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번갈아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when a plurality of solar cell module units 10 are provided, the plurality of solar cell module units 10 may be arranged alternately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louver assembly 1.

참고로, 태양전지 모듈부(10)이 복수 개로 마련되는 경우,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는 태양전지 모듈부(10)의 단자부(112)는 후술할 커넥터부(70) 및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 커넥터부(70)를 연결하는 커넥터부(70)의 연결부(720)를 통해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의 내용은 하기에서 후술하기로 한다.For reference, when a plurality of solar cell module units 10 are provided, the terminal units 112 of the solar cell module units 10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are connected to the connector unit 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connector units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It can be connected in series through the connection part 720 of the connector part 70 that connects (70). The above contents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태양전지 패널(110)은 패널 프레임(1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solar cell panel 110 may be supported by the panel frame 120.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패널 프레임(120)은 길이 방향(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태양전지 패널(110)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 프레임(121)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6 to 8 , the panel frame 120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and includes a base frame 121 for supporting the solar cell panel 110.

베이스 프레임(121)은 내부에 소정 공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base frame 121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space inside.

이때, 베이스 프레임(121)의 내부 공간은 제1 구획부재(128) 및 제2 구획부재(129)에 의해 구획된다. At this time,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e frame 121 is partitioned by the first partition member 128 and the second partition member 129.

이와 같이, 제1 구획부재(128) 및 제2 구획부재(129)에 의해 구획된 베이스 프레임(121)의 내부에는 제1 챔버(1211), 제2 챔버(1212) 및 제3 챔버(1213)로 분할된다. In this way, the inside of the base frame 121 partitioned by the first partition member 128 and the second partition member 129 includes a first chamber 1211, a second chamber 1212, and a third chamber 1213. is divided into

이때, 제1 챔버(1211), 제2 챔버(1212) 및 제3 챔버(1213)로 분할된 베이스 프레임(121)에는 제1 캡(20)이 결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cap 20 may be coupled to the base frame 121 divided into the first chamber 1211, the second chamber 1212, and the third chamber 1213.

다시 말해서, 제1 챔버(1211), 제2 챔버(1212) 및 제3 챔버(1213)로 마련된 베이스 프레임(121)에는 제1 캡(20)의 제1 영역(206), 제2 영역(207) 및 제3 영역(208)이 삽입 결합되게 된다. In other words, the base frame 121 provided with the first chamber 1211, the second chamber 1212, and the third chamber 1213 includes the first region 206 and the second region 207 of the first cap 20. ) and the third region 208 are inserted and combined.

한편, 제1 구획부재(128) 및 제2 구획부재(129)에는 고정부(1281,1282)가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구획부재(128)에는 제1 고정부(1281)이 마련되고, 제2 구획부재(129)에는 제2 고정부(1282)이 마련될 수 있다. Meanwhile, fixing parts 1281 and 1282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partition member 128 and the second partition member 129. In other words, the first partition member 128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fixing part 1281, and the second partition member 129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fixing part 1282.

이러한 제1, 제2 고정부(128,129)는 패널 프레임(120)에 장착 결합된 제1 캡(20)을 고정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Thes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128 and 129 are parts for fixing the first cap 20 mounted on the panel frame 120.

구체적으로, 제1 고정부(1281)는 제1 구획부재(128)에 마련되며, 제1 구획부재(128)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 제2 챔버(1212) 상에 위치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fixing part 1281 is provided on the first partition member 128 and may be positioned on the second chamber 1212 formed by being partitioned by the first partition member 128.

이러한 제1 고정부(1281)는 볼트(BOLT) 등과 같은 체결부재(211a,213a)가 삽입 고정되도록 일부분이 홀(hole)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first fixing part 1281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hole so that the fastening members 211a and 213a, such as a bolt (BOLT), can be inserted and fixed.

이에 따라, 체결부재(211a,213a)는 제1 캡(20)을 관통하여 제1 고정부(1281)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결국 패널 프레임(120)과 제1 캡(20)이 결합되도록 한다. Accordingly, the fastening members 211a and 213a penetrate the first cap 20 and are fastened to the first fixing part 1281, thereby allowing the panel frame 120 and the first cap 20 to be coupled. .

제2 고정부(1282)는 제2 구획부재(129)에 마련되며, 제2 구획부재(129)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 제3 챔버(1213) 상에 위치될 수 있다. The second fixing part 1282 is provided on the second partition member 129 and may be positioned on the third chamber 1213 formed by being partitioned by the second partition member 129.

이러한 제2 고정부(1282)는, 제1 고정부(1281)와 마찬가지로, 체결부재(211a,213a)가 삽입 고정되도록 일부분이 홀(hole)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Like the first fixing part 1281, a portion of the second fixing part 1282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hole so that the fastening members 211a and 213a can be inserted and fixed.

이에 따라, 체결부재(211a,213a)는 제1 캡(20)을 관통하여 제2 고정부(1282)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결국 패널 프레임(120)과 제1 캡(20)이 결합되도록 한다. Accordingly, the fastening members 211a and 213a penetrate the first cap 20 and are fastened to the second fixing part 1282, thereby allowing the panel frame 120 and the first cap 20 to be coupled. .

한편, 패널 프레임(120)에는 제1 결합홈부(124), 제2 결합홈부(125), 제1 결합돌기부(126) 및 제2 결합돌기부(127)가 마련될 수 있다. Meanwhile, the panel frame 120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coupling groove 124, a second coupling groove 125, a first coupling protrusion 126, and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127.

제1 결합홈부(124) 및 제2 결합홈부(125)는 패널 프레임(120)의 상단부에 마련되고, 제1 결합돌기부(126) 및 제2 결합돌기부(127)는 패널 프레임(120)의 하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The first coupling groove 124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5 ar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panel frame 120, and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126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127 ar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panel frame 120. It can be provided in .

제1 결합홈부(124) 및 제2 결합홈부(125)는 베이스 프레임(121)의 전면부에서 후면부를 향해서 내측으로 소정 함몰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coupling groove 124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5 may be formed with a predetermined depression inward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base frame 121.

또한, 제1 결합홈부(124) 및 제2 결합홈부(125)는 베이스 프레임(121)의 길이 방향(수평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first coupling groove 124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5 may be recessed in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of the base frame 121.

이때, 제1 결합홈부(124) 및 제2 결합홈부(125)는 베이스 프레임(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coupling groove 124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5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frame 121.

여기서, 제1 결합홈부(124) 및 제2 결합홈부(125)는 제1 캡(20)의 제1 결합부(210) 및 제2 결합부(212)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coupling groove 124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5 may b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12 of the first cap 20. there is.

또한, 제1 결합홈부(124) 및 제2 결합홈부(125)는 제1 캡(20)의 제1 결합부(210) 및 제2 결합부(212)와 동일한 함몰 형태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coupling groove 124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5 may be provided to have the same recessed shape as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12 of the first cap 20. there is.

다만, 제1 결합홈부(124) 및 제2 결합홈부(125)의 크기는 제1 캡(20)의 제1 결합부(210) 및 제2 결합부(212)의 크기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However, the size of the first coupling groove 124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5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12 of the first cap 20. .

즉, 제1 캡(20)의 제1 결합부(210) 및 제2 결합부(212)가 패널 프레임(120)의 제1 결합홈부(124)와 제2 결합홈부(125)와 결합되고, 그에 따라 태양전지 모듈부(110) 및 제1 캡(20)과 용이하게 삽입 결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12 of the first cap 20 ar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groove portion 124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portion 125 of the panel frame 120, Accordingly, it can be easily inserted and coupled to the solar cell module portion 110 and the first cap 20.

패널 프레임(120)의 제1 결합돌기부(126) 및 제2 결합돌기부(127)는 베이스 프레임(121)의 후면부를 향해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126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127 of the panel frame 120 may protrude outward toward the rear portion of the base frame 121.

제1 결합돌기부(126) 및 제2 결합돌기부(127)는 베이스 프레임(121)의 길이 방향(수평 방향) 따라 외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126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127 may be recessed out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of the base frame 121.

제1 결합돌기부(126) 및 제2 결합돌기부(127)는 베이스 프레임(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126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127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frame 121.

여기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결합돌기부(126) 및 제2 결합돌기부(127)는 인접하게 위치되는 다른 태양전지 모듈부(10)의 패널 프레임(120)에 형성된 제1 결합홈부(124-1) 및 제2 결합홈부(125-1)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Here, referring to FIGS. 6 and 7,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126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127 are first coupling formed on the panel frame 120 of another solar cell module unit 10 located adjacently. It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the groove portion 124-1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portion 125-1.

이에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의 패널 프레임(120)이 인접하게 배치될 때, 상부에 위치된 패널 프레임(120)의 제1 결합돌기부(124) 및 제2 결합돌기부(125)는 하부에 위치된 패널 프레임(120)의 제1 결합홈부(124) 및 제2 결합홈부(125)에 각각 삽입되게 된다. Accordingly, when at least two panel frames 120 are arranged adjacently,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124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125 of the panel frame 120 located at the top are connected to the panel frame 120 positioned at the bottom. It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portion 124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portion 125 of the frame 120, respectively.

그러면, 인접하게 마련된 복수 개의 패널 프레임(120)의 베이스 프레임(121)은 수직한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Then, the base frames 121 of the plurality of panel frames 120 provided adjacently may be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in parallel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한편, 패널 프레임(120)에는 태양전지 패널(110)이 삽입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한 쌍의 고정홈부(122,123)가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 pair of fixing grooves 122 and 123 may be formed in the panel frame 120 to allow the solar cell panel 110 to be inserted and fixed.

한 쌍의 고정홈부(122,123)는 패널 프레임(120)의 일면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A pair of fixing grooves 122 and 123 are formed to protrude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one surface of the panel frame 120.

다시 말해서, 한 쌍의 고정홈부(122,123)는 베이스 프레임(121)의 양 단부 각각에서 베이스 프레임(121)의 일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pair of fixing grooves 122 and 123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both ends of the base frame 121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one surface of the base frame 121.

이에 따라, 한 쌍의 고정홈부(122,123)는 베이스 프레임(121)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되, 베이스 프레임(12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Accordingly, a pair of fixing grooves 122 and 123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base frame 121 and ar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ase frame 121, respectively.

이때, 한 쌍의 고정홈부(122,123)는 패널 프레임(12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고정홈부(122) 및 제1 고정홈부(122)와 이격되도록 패널 프레임(120)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고정홈부(123)를 포함한다. At this time, the pair of fixing grooves 122 and 123 is a first fixing groove 122 formed on one side of the panel frame 120 and a first fixing groov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panel frame 12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ixing groove 122. 2 Includes a fixing groove portion (123).

제1 고정홈부(122) 및 제2 고정홈부(123)는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fixing groove 122 and the second fixing groove 123 may be recessed inward while facing each other.

예를 들어, 제1 고정홈부(122) 및 제2 고정홈부(123)는 횡 방향의 단면 형상이 대략 'ㄷ' 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or example, the first fixing groove 122 and the second fixing groove 123 may have a cross-sectional shap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approximately a 'ㄷ' shape,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상기한 바와 같은 형태의 제1 고정홈부(122) 및 제2 고정홈부(123)가 마련됨에 따라, 제1 고정홈부(122) 및 제2 고정홈부(123)에 태양전지 패널(110)을 끼움(삽입) 조립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As the first fixing groove 122 and the second fixing groove 123 of the above-mentioned form are prepared, the solar cell panel 1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groove 122 and the second fixing groove 123. (Insert) Assembly may become possible.

한편, 패널 프레임(120)에 삽입 결합되는 태양전지 패널(110)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패널 프레임(120)의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더욱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olar cell panel 110 inserted into the panel frame 120 may be provid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area protrudes further than the length of the panel frame 1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다시 말해서, 태양전지 패널(110)의 길이방향의 길이는 패널 프레임(120)의 길이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length of the solar cell panel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panel frame 1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특히, 태양전지 패널(110)의 한 쌍의 단자부(122)가 마련된 일부 영역이 패널 프레임(120)의 양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In particular, a portion of the solar cell panel 110 where the pair of terminal portions 122 are provided may be provided to protrude outward from both ends of the panel frame 120.

한편,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프레임(120)에 태양전지 패널(110)이 장착되는 순서를 간단히 설명한다. Meanwhile, with reference to FIG. 8, the order in which the solar cell panel 110 is mounted on the panel frame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먼저,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 프레임(120)의 전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실리콘(S) 또는 방수 절연 실리콘(S)을 도포한다. First, as shown in (a) of FIG. 8, silicone (S) or waterproof insulating silicone (S) is appli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front part of the panel frame 120.

그 다음,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리콘(S) 또는 방수 절연 실리콘(S)이 도포된 패널 프레임(120)의 고정홈부(122,123)에 태양전지 패널(110)을 삽입 장착한다. Next, as shown in (b) of FIG. 8, the solar cell panel 110 is inserted and mounted into the fixing grooves 122 and 123 of the panel frame 120 coated with silicone (S) or waterproof insulating silicone (S). do.

이때, 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① 태양전지 패널(110)의 상측을 패널 프레임(120)의 상부에 마련된 제1 고정홈부(122)에 끼워 장착한 후에, ② 태양전지 패널(110)의 하측을 패널 프레임(120)의 하부에 마련된 제2 고정홈부(123)에 끼워 장착한 다음, ③ 태양전지 패널(110)의 중력 방향으로 밀어준다. At this time, as shown in (c) of FIG. 8, ① the upper side of the solar cell panel 1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groove 122 provided at the top of the panel frame 120, and then ② the solar cell panel is installed. Insert the lower side of (110) into the second fixing groove 123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panel frame 120 and then push it in the direction of gravity of the ③ solar cell panel 110.

그러면, 도 8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 프레임(120)에 태양전지 패널(110)이 삽입 장착된다. Then, as shown in (d) of FIG. 8, the solar cell panel 110 is inserted and mounted into the panel frame 120.

이때, 패널 프레임(120)의 전면부에 도포된 실리콘(S) 또는 방수 절연 실리콘(S)이 경화된다. 이에 따라, 패널 프레임(120)의 제1 고정홈부(122) 및 제2 고정홈부(123)에 삽입 장착된 태양전지 패널(110)이 패널 프레임(120)에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silicone (S) or waterproof insulating silicone (S) applied to the front part of the panel frame 120 is cured. Accordingly, the solar cell panel 110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groove 122 and the second fixing groove 123 of the panel frame 120 is fixed to the panel frame 120.

도 2를 참조하면, 제1 캡(20)은 태양전지 모듈부(10)와 결합된다. Referring to FIG. 2, the first cap 20 is coupled to the solar cell module unit 10.

이러한 제1 캡(20)은 태양전지 모듈부(10)의 양 단부에 각각 마련된 한 쌍의 단자부(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극단자(270)가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태양전지 모듈부(10)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This first cap 20 is a solar cell module with a first electrode terminal 270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air of terminal portions 112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olar cell module portion 10, respectively, positioned therein. It may b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unit 10, respectively.

제1 캡(20)은 태양전지 모듈부(10)의 태양전지 패널(110)이 장착되는 제1 장착부(200) 및 제1 장착부(200)와 대응되는 위치(반대 방향)에 마련되며 제2 캡(30)이 장착되는 제2 장착부(216)를 포함한다. The first cap 20 is provided at a position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mounting part 200 and the first mounting part 200 on which the solar cell panel 110 of the solar cell module part 10 is mounted, and the second cap 20 It includes a second mounting portion 216 on which the cap 30 is mounted.

다시 말해서, 제1 캡(20)의 제1 결합부(210)는 태양전지 모듈부(10)와 마주하는 부분이고, 제1 캡(20)의 제2 결합부(212)는 제2 캡(30)과 마주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In other words,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0 of the first cap 20 is the part facing the solar cell module portion 1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12 of the first cap 20 is the portion of the second cap ( 30) refers to the part facing.

여기서, 제1 전극단자(270)는 제1 캡(20)의 내부에 마련되어 태양전지 모듈부(10)의 태양전지 패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Here,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70 is a portion provided inside the first cap 2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lar cell panel 110 of the solar cell module unit 10.

제1 전극단자(270)는 태양전지 모듈부(10)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캡(20)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70 may be detachably mounted inside the first cap 20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olar cell module unit 10, respectively.

제1 전극단자(270)는 태양전지 모듈부(10)의 단자부(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터미널부(272), 제2 캡(30)의 내부에 위치되는 후술할 제2 전극단자(3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터미널부(276) 및 제1 터미널부(272) 및 제2 터미널부(276)를 연결하는 제3 터미널부(274)를 포함한다.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70 is a first terminal portion 27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portion 112 of the solar cell module portion 10, and a second electrode terminal to be described later located inside the second cap 30. It includes a second terminal portion 276 electrically connected to 370 and a third terminal portion 274 connecting the first terminal portion 272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76.

제1 터미널부(272)는 태양전지 모듈부(10)의 단자부(112)와 물리적으로 접촉(직접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first terminal unit 272 may be provided to physically contact (direct contact) the terminal unit 112 of the solar cell module unit 10.

이러한 제1 터미널부(272)는 적어도 일 부분이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에 의해 제1 터미널부(272)에는 소정의 제1 공간부(2711)이 형성되어 삼각형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This first terminal portion 272 may be formed by bending at least one portion in the inward direction. At this time, a predetermined first space portion 2711 is formed in the first terminal portion 272 by the portion bent in the inward direction and has a triangular shape.

이와 같이, 제1 터미널부(272)에 소정의 제1 공간부(271)가 형성됨에 따라 소정의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In this way, as a predetermined first space 271 is formed in the first terminal part 272, it can have a predetermined inclined surface.

이에 따라, 제1 전극단자(270)가 제1 캡(20)의 내부에 장착될 때, 제1 터미널부(272)가 단자부(112)와 접촉하여 소정의 경사면에 의해 단자부(112)를 가압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1 전극단자(270)는 태양전지 모듈부(10)의 단자부(112) 측으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조립성은 물론이고 단자부(112)의 전기적 연결(직접 접촉)이 용이하게 될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70 is mounted inside the first cap 20, the first terminal portion 272 contacts the terminal portion 112 and presses the terminal portion 112 by a predetermined inclined surface. I do it. At the same time,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70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terminal portion 112 of the solar cell module portion 10 to facilitate assembly as well as electrical connection (direct contact) of the terminal portion 112.

제2 터미널부(276)는 양 단부 각각이 폭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제2 터미널부(276)의 양 단부 각각은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76 may be formed so that both ends are bent in the width direction. For example, both ends of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76 may be formed in a 'U' shape, but this is not necessarily limited.

이때, 제2 터미널부(276)의 양 단부는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내측에 제2 전극단자(37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는 제2 공간부(273)가 형성된다. At this time, both ends of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76 may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second space portion 273 into which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can be inserted and coupled is formed.

제2 전극단자(370)가 제1 전극단자(270)의 제2 공간부(273)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터미널부(276)는 제2 전극단자(37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둘러싸도록 마련되고 제2 전극단자(370)와 직접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When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pace 273 of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70,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76 surrounds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It is provided to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and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제3 터미널부(274)는 제1 터미널부(272) 및 제2 터미널부(276)를 연결할 수 있다. The third terminal unit 274 may connect the first terminal unit 272 and the second terminal unit 276.

이때, 제3 터미널부(274)는 제1 캡(20)의 내부에 제1 터미널부(272)가 위치되도록 하고 제2 터미널부(276)가 제1 캡(20)의 타단부에 형성된 단자 결합부(260)에 제2 터미널부(276)가 위치되도록, 소정의 폭과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hird terminal portion 274 allows the first terminal portion 272 to be located inside the first cap 20,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76 is a terminal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p 20.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76 may be pro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and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76 is located in the coupling portion 260.

여기서, 제3 터미널부(274)는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ㄷ'자 형상의 양 단부에 제1 터미널부(272) 및 제2 터미널부(276)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Here, the third terminal part 274 may be formed in a 'ㄷ' shape, and the first terminal part 272 and the second terminal part 276 may be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ㄷ' shape. there is.

이러한, 제3 터미널부(274)의 폭과 길이는 제1 캡(20)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width and length of the third terminal portion 274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and size of the first cap 20,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제3 터미널부(274)의 일 단부(도면부호 미표기)는 제1 터미널부(272)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One end (not indicated) of the third terminal portion 274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first terminal portion 272.

상기와 같은 제1, 제2 및 제3 터미널부(274)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first, second, and third terminal portions 274 as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integrally,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제1 전극단자(270)와 연결되는 제2 전극단자(370)는 일 부분이 제1 캡(20)에 마련된 단자 결합부(260)에 위치되고, 나머지 부분이 제2 캡(30)의 내부에 위치된다. A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70 is located in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260 provided in the first cap 20, and the remaining portion is located inside the second cap 30. is located in

참고로, 제2 캡(30)의 내부에 위치된 제2 전극단자(370)는 제2 캡(30)과 결합되는 커넥터부(70)와 결합될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located inside the second cap 30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or portion 70 that is coupled to the second cap 30.

제2 전극단자(370)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도 2,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캡(20)의 내부에는 가스켓(230)이 위치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2, 9, and 10, a gasket 230 may be located inside the first cap 20.

가스켓(230)은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gasket 230 may be formed in a square shape.

이때, 가스켓(230)은 전면(232), 후면(235), 상면(237) , 하면(239) 및 측면(233; 233a,233b)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일면을 개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gasket 230 may be formed with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ront 232, rear 235, upper surface 237, lower surface 239, and side surfaces 233 (233a, 233b) open.

다시 말해서, 가스켓(230)의 전면 및 측면은 폐쇄된 면의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반면, 가스켓(230)의 상면(제2 면; 237), 하면(제3 면; 239) 및 후면(제1 면; 235)은 개방된 면의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front and side surfaces of the gasket 230 may be formed in a closed state. On the other hand, the upper surface (second surface; 237), the lower surface (third surface; 239), and the rear surface (first surface; 235) of the gasket 230 may be formed as open surfaces.

이러한 가스켓(230)은 제1 캡(20)의 내부에 위치되되 제1 전극단자(270)를 둘러 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is gasket 230 is located inside the first cap 20 and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70.

이때, 가스켓(230)의 제1 면(235)은 제1 전극단자(270)가 삽입되도록 개방된다. At this time, the first surface 235 of the gasket 230 is opened to allow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70 to be inserted.

또한, 가스켓(230)의 제2 면(237)은 제1 전극단자(270)와 단자부(112)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개방된다. Additionally, the second surface 237 of the gasket 230 is open so that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70 and the terminal portion 112 are connected.

태양전지 모듈부(10)가 제1 캡(20)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면, 제1 전극단자(270)와 태양전지 모듈부(10)의 단자부(112)가 접속된다. When the solar cell module unit 10 is inserted and coupled into the first cap 20,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70 and the terminal unit 112 of the solar cell module unit 10 are connected.

이때, 제2 면(237)은 태양전지 모듈부(10), 즉 단자부(112)에 의해 밀폐되게 된다. 또한, 제1 면(235) 및 제3 면(239)은 제1 캡(20)에 의해 밀폐되게 된다. At this time, the second surface 237 is sealed by the solar cell module unit 10, that is, the terminal unit 112. Additionally, the first side 235 and the third side 239 are sealed by the first cap 20.

즉, 태양전지 모듈부(10)가 제1 캡(20)의 내부로 삽입되면 제1 전극단자(270)와 단자부(112)가 접속되고, 제1 캡(20)에 의해 태양전지 모듈부(10)가 가스켓(230)을 가압하여 단자부(112)와 제1 전극단자(27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 전극단자(270)는 제1 캡(20)의 내부에서 제1 캡(20)을 가압하는 태양전지 모듈부(10)에 의해 제2 면(237)이 밀폐되고, 제1 면(235) 및 제3 면(239)은 제1 캡(2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solar cell module portion 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cap 20,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70 and the terminal portion 112 are connected, and the solar cell module portion ( 10) presses the gasket 230 to electrically connect the terminal portion 112 and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70. Accordingly, the second surface 237 of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70 is sealed by the solar cell module portion 10 that presses the first cap 20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cap 20, and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70 The side 235 and the third side 239 may be sealed by the first cap 20.

가스켓(230)의 직경은 제1 전극단자(270)의 제1 터미널부(272)를 커버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마련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diameter of the gasket 230 is provided to be large enough to cover the first terminal portion 272 of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7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도 10을 참조하면, 한편, 가스켓(230)에는 제1 장착돌기(231) 및 제2 장착돌기(234)가 마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on the other hand, the gasket 230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mounting protrusion 231 and a second mounting protrusion 234.

제1 장착돌기(231)는 가스켓(230)의 제2 면(237)과 수직하게 위치된 측면부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mounting protrusion 231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 side portion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second surface 237 of the gasket 230.

다시 말해서, 제1 장착돌기(231)는 가스켓(230)의 제1 측면부(233a) 및 제2 측면부(233b) 각각에 마련되며, 제1 측면부(233a) 및 제2 측면부(233b)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first mounting protrusion 231 is provided on each of the first side portion 233a and the second side portion 233b of the gasket 230, and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side portion 233a and the second side portion 233b. It can be formed to protrude in one direction.

참고로, 제1 측면부(233a) 및 제2 측면부(233b)는 폐쇄된 형태의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first side portion 233a and the second side portion 233b may be formed as closed surfaces.

이러한 제1 장착돌기(231)는 가스켓(230)이 제1 캡(20)에 형성된 제1 장착홈부(205)를 통해 제1 캡(2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This first mounting protrusion 231 allows the gasket 230 to be positioned inside the first cap 20 through the first mounting groove 205 formed in the first cap 20.

여기서, 제1 장착홈부(205)는 제1 캡(20)의 일면에 형성되며, 제1 캡(20)의 전면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내측 함몰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mounting groove 205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cap 20 and may be formed as an inner depress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cap 20.

다시 말해서, 제1 장착홈부(205)는 제1 캡(20)의 내측 양 단부 각각에 제1 캡(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패어진 홈(groove)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first mounting groove portion 205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groove grooved in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ap 20 at each of both inner ends of the first cap 20.

이에 따라, 가스켓(230)의 측면부(233; 233a,233b)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장착돌기(231) 각각은 한 쌍의 제1 장착홈부(205)에 삽입되어 한 쌍의 제1 장착홈부(205)를 따라 제1 캡(20)의 단자 장착부(214)에 위치되게 된다. Accordingly, each of the pair of first mounting protrusions 231 formed on the side portions 233 (233a, 233b) of the gasket 230 is inserted into the pair of first mounting grooves 205 to form the pair of first mounting grooves. It is located in the terminal mounting portion 214 of the first cap 20 along (205).

한편, 제2 장착돌기(234)는 가스켓(230)의 제2 면(237)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econd mounting protrusion 234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surface 237 of the gasket 230.

이러한 제2 장착돌기(234)는 제1 전극단자(270)와 단자부(112)가 접속될 때에 가스켓(230)이 제1 캡(20)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This second mounting protrusion 234 is used to secure the gasket 230 to the inside of the first cap 20 when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70 and the terminal portion 112 are connected.

상술한 바와 같이, 가스켓(230)이 가스켓(230)의 제1 장착돌기(231)가 제1 캡(20)의 제1 장착홈부(205)를 따라 제1 캡(20)의 단자 장착부(214)에 위치되고 나면, 가스켓(230)의 제2 장착돌기(234)가 제1 캡(20)에 형성된 제2 장착홈부(201)에 끼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가스켓(230)이 제1 캡(20)의 단자 장착부(214)에서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gasket 230 has the first mounting protrusion 231 of the gasket 230 along the first mounting groove 205 of the first cap 20 to the terminal mounting portion 214 of the first cap 20. ), the second mounting protrusion 234 of the gasket 23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mounting groove 201 formed in the first cap 20. Accordingly, the gasket 230 can be stably positioned in the terminal mounting portion 214 of the first cap 20.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캡(20)에는 가이드 돌기(240)가 마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a guide protrusion 240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cap 20.

가이드 돌기(240)는 제1 캡(20)의 내부로 삽입된 태양전지 모듈부(10)를 가압하기 위한 부분이다. The guide protrusion 240 is a part for pressing the solar cell module portion 10 inserted into the first cap 20.

이러한 가이드 돌기(240)는 제1 캡(20)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These guide protrusions 240 may be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inside of the first cap 20 .

다시 말해서, 가이드 돌기(240)는 제1 캡(20)의 내측 일면으로부터 중력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guide protrusion 240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on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ap 20 in the direction of gravity.

또한, 가이드 돌기(240)는 제1 캡(20)의 내측 일면을 따라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가이드 돌기(240)는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간격은 제1 캡(20) 및 가이드 돌기(240)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Additionally, a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240 may be provided along on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ap 20. The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240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each other, but the guide protrusion 24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spacing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and size of the first cap 20 and the guide protrusion 240.

가이드 돌기(240)는 제1 캡(20)의 내부로 태양전지 모듈부(10)가 삽입되어 제1 전극단자(270)와 단자부(112)가 접속되면 가이드 돌기(240)에 의해 태양전지 모듈부(10)를 가스켓(230) 쪽으로 가압한다. The guide protrusion 240 is used to guide the solar cell module by the guide protrusion 240 when the solar cell module unit 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cap 20 and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70 and the terminal unit 112 are connected. The part 10 is pressed toward the gasket 230.

즉, 가이드 돌기(240)에 의해 태양전지 모듈부(10)가 가압되고, 태양전지 모듈부(10)는 가압되어 제1 캡(20)의 내부에 위치된 제1 전극단자(270)가 제1 캡(20)의 내부에서 밀폐되도록 한다. That is, the solar cell module unit 10 is pressed by the guide protrusion 240, and the solar cell module unit 10 is pressed so that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70 located inside the first cap 20 is pressed. 1 Ensure that the inside of the cap (20) is sealed.

이러한 이유로, 제1 캡(20)의 내부에 제1 전극단자(270)를 장착하고 태양전지 모듈부(10)를 내부에 제1 전극단자(270)가 위치된 제1 캡(20)에 장착하면, 가스켓(230)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전극단자(270)로 물이나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For this reason,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70 i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first cap 20, and the solar cell module unit 10 is mounted on the first cap 20 with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70 located inside. By doing so, deformation of the gasket 230 can be minimized, and thus water or moisture can be prevented from penetrating into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70.

한편, 제1 캡(20)에는 일단부에는 제1 결합부(210) 및 제2 결합부(212)가 형성된다. Meanwhile, a first coupling portion 210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212 are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cap 20.

제1 결합부(210) 및 제2 결합부(212)는 제1 캡(20)이 패널 프레임(120)과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12 are parts for coupling the first cap 20 to the panel frame 120.

제1 결합부(210) 및 제2 결합부(212)는 제1 캡(20)의 일면에 대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12 may be recessed inward with respect to one surface of the first cap 20 .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210) 및 제2 결합부(212)는 패널 프레임(120)의 제1 결합홈부(124) 및 제2 결합홈부(125)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제1 결합홈부(124) 및 제2 결합홈부(125)와 대응되는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12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groove portion 124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portion 125 of the panel frame 120. It can be formed in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groove 124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5.

또한, 제1 캡(20)의 후면부에는 단자 결합부(260)가 마련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terminal coupling portion 260 may be provid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first cap 20.

단자 결합부(260)는 제1 캡(20)의 내부에 위치된 제1 전극단자(270)와 연결되는 제2 전극단자(370)의 일부분이 결합되는 부분이다.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260 is a portion where a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70 located inside the first cap 20 is coupled.

이때, 단자 결합부(260)에는 제2 전극단자(370)의 일 부분이 삽입되고, 제2 전극단자(370)의 나머지 부분은 단자 결합부(260)의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At this time, a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260, an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260.

여기서, 단자 결합부(260)의 외부로 노출된 제2 전극단자(370)의 다른 부분은 제2 캡(30)의 내부에 위치되게 된다. Here, the other part of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260 is located inside the second cap 30.

더욱이, 제1 캡(20)의 후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211,213)가 마련될 수 있다. Furthermore, at least one fastening portion 211 and 213 may be provid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first cap 20.

다시 말해서, 제1 캡(20)의 후면부에는 제1 체결부(211) 및 제2 체결부(213)가 마련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a first fastening part 211 and a second fastening part 213 may be provided on the rear part of the first cap 20.

제1 체결부(211) 및 제2 체결부(21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211a,213a)를 이용하여 제1 캡(20)과 태양전지 모듈부(10)의 패널 프레임(120)을 결합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The first fastening part 211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213 connect the first cap 20 and the panel frame 120 of the solar cell module unit 10 using at least one fastening member 211a and 213a. It is a member for joining.

여기서, 체결부재(211a,213a)는 볼트(bolt) 등과 같은 수단일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 the fastening members 211a and 213a may be means such as bolts,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한편, 제1 체결부(211) 및 제2 체결부(213)는 제1 캡(20)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fastening part 211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213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first cap 20 .

제1 체결부(211) 및 제2 체결부(213)는 패널 프레임(120)의 제1 고정부(1281) 및 제2 고정부(1282)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fastening part 211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213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fixing part 1281 and the second fixing part 1282 of the panel frame 120, respectively.

이로 인하여, 하나의 체결부재(211a,213a)는 제1 체결부(211)를 관통하여 제1 고정부(1281)에 삽입 체결되고, 다른 하나의 체결부재(211a,213a)는 제2 체결부(213)를 관통하여 제2 고정부(1282)에 삽입 체결된다. Due to this, one fastening member (211a, 213a) penetrates the first fastening part 211 and is inserted and fastened to the first fixing part 1281, and the other fastening member (211a, 213a)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astening part 1281. It penetrates through (213) and is inserted and fastened to the second fixing part (1282).

이때, 도 9를 참조하면, 제1 체결부(211) 및 제2 체결부(213)를 관통하는 각각의 체결부재(211a,213a)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At this time, referring to FIG. 9, each of the fastening members 211a and 213a penetrating the first fastening part 211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213 may be provided to have different lengths.

일예로, 제1 체결부(211)를 관통하는 체결부재(211a,213a)의 길이가 제2 체결부(213)를 관통하는 체결부재(211a,213a)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게 된다. 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fastening members 211a and 213a penetrating the first fastening part 211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astening members 211a and 213a penetrating the second fastening part 213.

제1 체결부(211)를 관통하는 체결부재(211a,213a)의 길이를 제2 체결부(213)를 관통하는 체결부재(211a,213a)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은 제1 체결부(211)가 형성되는 제1 캡(20)의 두께와 제2 체결부(213)가 형성되는 제1 캡(20)의 두께가 다르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The length of the fastening members 211a and 213a penetrating the first fastening part 211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astening members 211a and 213a penetrating the second fastening part 213. ) This is because the thickness of the first cap 20 on which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213 is formed is formed differently from the thickness of the first cap 20 on which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213 is formed.

이에 따라, 제1 캡(20)의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부분에 형성되는 제1 체결부(211)에 관통되는 체결부재(211a,213a)가 제1 캡(20)의 얇은 두께를 가지는 부분에 형성되는 제2 체결부(213)에 관통되는 체결부재(211a,213a) 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로 마련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fastening members 211a and 213a penetrating the first fastening portion 211 formed in the thick portion of the first cap 20 are formed in the thin portion of the first cap 20. It is provided with a relatively longer length than the fastening members 211a and 213a that penetrate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213.

한편,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캡(20)의 상측면 및 하측면 각각에는 제1 슬릿부(220) 및 제2 슬릿부(222)가 마련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10 to 12, a first slit portion 220 and a second slit portion 222 may be provided o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cap 20.

제1 슬릿부(220) 및 제2 슬릿부(222)는 제1 캡(20)의 일부 영역에 제2 캡(30)이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The first slit portion 220 and the second slit portion 222 are parts for allowing the second cap 30 to be coupled to a partial area of the first cap 20.

이러한, 제1 슬릿부(220)는 제2 슬릿부(222)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The first slit portion 220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lit portion 222.

제1 슬릿부(220)은 제1 캡(20)의 상측면에서 중력 방향으로 내측 함몰 형성되고, 제2 슬릿부(222)는 제1 캡(20)의 하측면에서 중력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내측 함몰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slit portion 220 is formed as an inner depression in the direction of gravity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ap 20, and the second slit portion 222 is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gravity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cap 20. An inner depression may be formed.

이때, 제1 슬릿부(220) 및 제2 슬릿부(222)는 제2 캡(30)의 내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슬릿돌기부(302)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slit portion 220 and the second slit portion 222 may b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a pair of slit protrusions 302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ap 30.

이와 같이, 제1 캡(20)에 제1 슬릿부(220) 및 제2 슬릿부(222)가 형성되고 제2 캡(30)에 제1 슬릿부(220) 및 제2 슬릿부(222)와 대응되는 한 쌍의 슬릿돌기부(302)가 형성됨에 따라, 제1 캡(20)과 제2 캡(30)의 조립이 더욱 용이하게 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first slit portion 220 and the second slit portion 222 are formed in the first cap 20, and the first slit portion 220 and the second slit portion 222 are formed in the second cap 30. As a pair of corresponding slit protrusions 302 are formed, assembly of the first cap 20 and the second cap 30 can become easier.

한편, 제1 캡(20)의 후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217)가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t least one hook 217 may be form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first cap 20.

후크(217)는 제1 캡(20)의 후면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일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hook 217 protrudes from one surface of the rear portion of the first cap 20 and may be formed to be slanted in one direction.

이러한 후크(217)는 제1 캡(20)의 일부분이 제2 캡(30)의 내부로 삽입 장착될 때, 제2 캡(30)에 관통 형성된 후크홈(320)에 삽입 고정된다. When a portion of the first cap 2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ap 30, the hook 217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hook groove 320 formed through the second cap 30.

제1 캡의 후크(217)가 제2 캡(30)의 후크홈(320)에 끼워짐에 따라, 제1 캡(20)의 제1 슬릿부(220) 및 제2 슬릿부(222)와 제2 캡(30)의 한 쌍의 슬릿돌기부(302)에 의한 제1 캡(20)과 제2 캡(30)의 조립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As the hook 217 of the first cap is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320 of the second cap 30, the first slit portion 220 and the second slit portion 222 of the first cap 20 The assembly performance of the first cap 20 and the second cap 30 by the pair of slit protrusions 302 of the second cap 30 can be further improved.

한편, 제1 캡(20)으로부터 제2 캡(30)의 분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제2 캡(30)의 후크홈(320)으로 노출된 후크(217)를 누르게 되면, 제1 캡(20)과 제2 캡(30)이 분리되게 된다. Meanwhile, when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second cap 30 from the first cap 20, the hook 217 exposed through the hook groove 320 of the second cap 30 is pressed, and the first cap 20 is separated. and the second cap 30 are separat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버 조립체(1)는 제2 캡(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louver assembly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ap 30.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캡(30)은 제1 전극단자(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극단자(370)가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 캡(20)과 결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cap 3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ap 20 while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70, is accommodated therein.

이때, 제2 캡(30)은 태양전지 모듈부(10)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된 제1 캡(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cap 3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ap 20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olar cell module unit 10.

여기서, 제2 캡(3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2 전극단자(370)는 제2 캡(30)의 내부에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Here,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accommodated inside the second cap 30 may be detachably mounted inside the second cap 30.

제2 전극단자(370)는 일 부분은 제1 캡(20)의 단자 결합부(260)에 위치되고, 나머지 부분은 제2 캡(30)의 내부에 위치된다. One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is located in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260 of the first cap 20, and the remaining portion is located inside the second cap 30.

제2 전극단자(370)는 제1 전극단자(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과, 제2 전극단자(37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단자 하우징(3700)을 포함한다.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includes a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70 and a terminal housing 3700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극단자(370)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단자 하우징(37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terminal housing 3700 by insert injection molding.

즉, 제2 전극단자(370)는 제2 전극단자(37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둘러싸도록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용융 수지를 사출하여 단자 하우징(3700)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That is,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can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terminal housing 3700 by injecting molten resin through insert injection molding to surround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이에 따라, 제1 전극단자(270)와 제2 전극단자(370)의 전기적 연결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제2 전극단자(370)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제2 전극단자(370)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ly,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70 and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can be effectively maintained, failure of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nd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productivity.

참고로, 인서트 사출 성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인서트 사출 성형(또는 인서트 몰딩)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출 성형 금형 장치 내에 미리 소정의 인서트 부재를 설치한 후, 이 인서트 부재에 용융 수지를 사출하여 최종품인 인서트 성형품을 제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For reference, insert injection molding refers to the commonly used insert injection molding (or insert molding). After installing a predetermined insert member in an injection molding mold device, molten resin is injected into this insert member to produce the final product. This refers to manufacturing in-insert molded products.

한편, 도 14를 참조하면, 제2 전극단자(370)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단자 하우징(3700)과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제1 전극단자(270)의 제2 터미널부(276) 측을 향하여 적어도 일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4 터미널부(371)를 포함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14,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terminal housing 3700 by insert injection molding,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76 of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70 is It includes a fourth terminal portion 371 whose at least a portion of the area is exposed to the outside.

제4 터미널부(371)는 제1 전극단자(270)의 제2 공간부(273)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단면이 원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ourth terminal portion 371 may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to facilitate insertion into the second space portion 273 of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70.

여기서, 제4 터미널부(371)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외부로 노출되어 제1 전극단자(270)의 제1 공간부(271)에 삽입 결합되고, 제4 터미널부(371)의 나머지 영역은 단자 하우징(3700)의 내부에 위치되게 된다. Here, at least a portion of the fourth terminal portion 371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first space portion 271 of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70, an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fourth terminal portion 371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It is located inside the housing 3700.

이때, 제4 터미널부(371)의 일부 영역은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고, 제4 터미널부(371)의 나머지 영역은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partial area of the fourth terminal part 371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and the remaining area of the fourth terminal part 371 may be formed in an approximately 'U' shape.

또한, 제2 전극단자(370)는 제4 터미널부(371)에서 연장 형성되며, 일부 영역이 외부 노출되는 제5 터미널부(376)를 포함한다. Additionally,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extends from the fourth terminal portion 371 and includes a fifth terminal portion 376 with a portion of the area exposed to the outside.

제5 터미널부(376)는 단면이 원형의 형태, 즉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fth terminal portion 376 may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that is, a cylindrical shape.

한편, 단자 하우징(3700)은 제4 터미널부(371)의 일부 영역을 둘러싸는 제1 하우징부(372), 제1 하우징부(372)에서 연장 형성되며 제4 터미널부(371)의 나머지 영역을 둘러싸는 제2 하우징부(375) 및 제2 하우징부(375)에서 연장 형성되며 제5 터미널부(376)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둘러싸는 헤드부(378)를 포함한다. Meanwhile, the terminal housing 3700 includes a first housing part 372 that surrounds a portion of the fourth terminal part 371, extends from the first housing part 372, and covers the remaining area of the fourth terminal part 371. It includes a second housing portion 375 surrounding and a head portion 378 extending from the second housing portion 375 and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fth terminal portion 376.

이때, 제1 하우징부(372) 및 제2 하우징부(375)는 제4 터미널부(371)의 나머지 영역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대략 'U' 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housing part 372 and the second housing part 375 ar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area of the fourth terminal part 371, and may be formed in an approximately 'U' shape.

제1 하우징부(372)에는 제1 오링(미도시)이 장착되도록 일부 영역에서 둘레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 오링 장착부(373)이 마련된다. The first housing portion 372 is provided with a first O-ring mounting portion 373 that is recessed inwar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some areas so that the first O-ring (not shown) is mounted.

제1 오링 장착부(373)에 제1 오링이 장착됨에 따라, 제1 오링에 의해 제1 하우징부(372)가 제1 캡(20)의 제1 중공부(250)에 삽입될 때 밀폐력이 향상되게 된다. As the first O-ring is mounted on the first O-ring mounting portion 373, the sealing force is improved when the first housing portion 372 is inserted into the first hollow portion 250 of the first cap 20 by the first O-ring. It will happen.

제2 하우징부(375)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제2 캡(3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장착홈(374)이 마련된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portion 375 is provided with a mounting groove 374 that is recessed inward to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cap 30.

헤드부(378)에는 제2 오링(미도시)가 장착되도록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둘레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 오링 장착부(377)가 마련된다. The head portion 378 is provided with a second O-ring mounting portion 377 that is recessed inwar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at least some areas so that a second O-ring (not shown) is mounted.

제2 오링 장착부(377)에 제2 오링이 장착됨에 따라, 제2 전극단자(370)가 제2 캡(30)의 내부에 조립될 때 제2 캡(30) 내부의 밀폐력이 향상되게 된다. As the second O-ring is mounted on the second O-ring mounting portion 377, the sealing force inside the second cap 30 is improved when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is assembled inside the second cap 30.

제2 캡(30)은 제1 캡(20)과 마주하는 제1 면(300) 및 제1 면(300)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제2 면(301)을 갖는다. The second cap 30 has a first surface 300 facing the first cap 20 and a second surface 301 located in an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surface 300.

제2 캡(30)의 제1 면(300)에는 한 쌍의 슬릿돌기부(302)가 마련될 수 있다. A pair of slit protrusions 302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surface 300 of the second cap 30.

한 쌍의 슬릿돌기부(302)는 제2 캡(30)의 내부에 제1 캡(20)이 슬라이딩 장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한 쌍의 슬릿돌기부(302)가 형성된 제2 캡(30)은 제1 캡(20)의 제1 슬릿부(220) 및 제2 슬릿부(222)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제1 캡(20)과 결합되게 된다. The pair of slit protrusions 302 are used to allow the first cap 20 to be slidably mounted inside the second cap 30. In other words, the second cap 30 formed with a pair of slit protrusions 302 slides along the first slit portion 220 and the second slit portion 222 of the first cap 20 to form the first cap ( 20) is combined.

이때, 제2 캡(30)은 한 쌍의 슬릿돌기부(302)를 통해 제1 캡(20)과 결합되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 제1 캡(20)으로부터 제2 캡(30)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cap 30 is coupled to the first cap 20 through a pair of slit protrusions 302, the second cap 3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first cap 20 when necessary. there is.

한편, 제1 캡(20)이 제2 캡(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삽입될 때, 제2 전극단자(370)는 제2 단자 고정부(309)에 삽입 고정된다. Meanwhile, when the first cap 20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second cap 3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second terminal fixing part 309.

제2 단자 고정부(309)에 삽입 고정된 제2 전극단자(370)의 일 단부는 제1 중공부(250)에 삽입되어 제1 전극단자(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전극단자(370)의 타단부는 제2 중공부(311)에 삽입된다. 이때, 제2 전극단자(370)는 제2 단자 고정부(309)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inserted and fixed into the second terminal fixing part 309 is inserted into the first hollow part 25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70, and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09 is inserted into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09. The other end of 37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ollow portion 311. At this time,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the second terminal fixing part 309.

제2 단자 고정부(309)에는 한 쌍의 제1 장착돌기(231)가 마련될 수 있다. The second terminal fixing part 309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first mounting protrusions 231.

한 쌍의 제1 장착돌기(231)는 제2 단자 고정부(309)에 형성되며, 한 쌍의 제1 장착돌기(231)는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A pair of first mounting protrusions 231 are formed on the second terminal fixing part 309, and the pair of first mounting protrusions 23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된 한 쌍의 제1 장착돌기(231)에 의해 한 쌍의 제1 돌기(308)의 사이에는 제1 삽입부(305)가 마련될 수 있다. A first insertion portion 305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first mounting protrusions 308 by a pair of first mounting protrusions 23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1 돌기(308)는 제2 캡(30) 내측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protrusion 308 may protrude from on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ap 30.

또한, 제2 단자 고정부(309)의 상측에는 장착 가이드(307)가 마련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mounting guide 307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terminal fixing part 309.

장착 가이드(307)는 제2 단자 고정부(309)의 상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제2 캡(30)의 내측 일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The mounting guide 307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terminal fixing part 309 and protru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on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ap 30.

장착 가이드(307)의 내측면에는 한 쌍의 제2 돌기(303)가 마련될 수 있다. A pair of second protrusions 303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guide 307.

한 쌍의 제2 돌기(303)는 장착 가이드(307)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A pair of second protrusions 303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guide 307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된 한 쌍의 제2 돌기(303) 사이에는 제2 삽입부(306)가 마련될 수 있다. A second insertion portion 306 may be provided between a pair of second protrusions 303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여기서, 제1 삽입부(305) 및 제2 삽입부(306)는 일측이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insertion part 305 and the second insertion part 306 may be provided so that one side is open.

이때, 제2 전극단자(370)는 단자 하우징(3700)의 장착홈(374)이 한 쌍의 제1 돌기(308)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제1 삽입부(305) 내에 제2 전극단자(370)의 제1 하우징부(372) 및 제2 하우징부(375)의 일부 영역이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is formed by fitting the mounting groove 374 of the terminal housing 3700 into the pair of first protrusions 308, thereby forming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within the first insertion portion 305. ), some areas of the first housing part 372 and the second housing part 375 may be seated and fixed.

이와 동시에, 단자 하우징(3700)의 제2 하우징부(375)의 나머지 일부 영역 및 헤드부(378)는 제2 삽입부(306) 내에 삽입되어 한 쌍의 제2 돌기(303)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At the same time,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portion 375 and the head portion 378 of the terminal housing 3700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306 and fixed by the pair of second protrusions 303. You can.

한편, 제2 캡(30) 내에 제2 전극단자(370)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2 전극단자(370)의 제4 터미널부(371)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Meanwhile, while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is fixed in the second cap 30, the fourth terminal portion 371 of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다시 말해서, 제2 캡(30) 내에 제2 전극단자(370)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1 캡(20)이 제2 캡(30)에 장착될 때 제2 캡(30)에 고정된 제1 하우징부(372) 및 제4 터미널부(371)의 일부 영역이 제1 캡(20)의 제1 중공부(250)에 삽입된다. 제1 중공부(250)에 삽입되어 통과된 제1 하우징부(372) 및 제4 터미널부(371)의 일부 영역은 제1 전극단자(270)의 제2 터미널부(27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In other words, with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fixed in the second cap 30, when the first cap 20 is mounted on the second cap 30, the electrode terminal 370 fixed to the second cap 30 1 Some areas of the housing portion 372 and the fourth terminal portion 371 are inserted into the first hollow portion 250 of the first cap 20. Some areas of the first housing part 372 and the fourth terminal part 371 inserted and passed through the first hollow part 25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part 276 of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70. It will happen.

한편, 제1 중공부(250)에 제2 전극단자(370)의 제1 오링 장착부(373)가 삽입되면, 제1 오링 장착부(373)에 끼워진 제1 오링에 의해 제1 중공부(250)의 밀폐력이 향상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중공부(250)의 내측으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이 방지되고, 그에 따라 제1 캡(20) 및 제2 캡(30)의 방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first O-ring mounting portion 373 of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is inserted into the first hollow portion 250, the first hollow portion 250 is connected by the first O-ring inserted into the first O-ring mounting portion 373. The sealing power is improved. Accordingly, moisture is prevented from penetrating into the first hollow portion 250, and thus the waterproof performance of the first cap 20 and the second cap 30 can be improved.

또한, 제2 캡(30)의 내측면에는 결속돌기부(330)가 마련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binding protrusion 330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ap 30.

결속돌기부(330)는 제1 캡(20)의 결속홈부(209)에 삽입되어 제1 캡(20)과 제2 캡(30)을 고정할 수 있다. The binding protrusion 330 may be inserted into the binding groove 209 of the first cap 20 to secure the first cap 20 and the second cap 30.

결속돌기부(330)는 결속홈부(209)의 크기 및 형태와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binding protrusion 330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binding groove 209,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또한, 제2 캡(30)에는 회동장착부(310)가 마련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rotating mounting portion 310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cap 30.

회동장착부(310)는 루버 조립체(1)가 장착되는 프레임(미도시)에 장착되고, 커넥터부(70)가 장착되는 부분이다. The rotational mounting portion 310 is mounted on a frame (not shown) on which the louver assembly 1 is mounted, and is a portion on which the connector portion 70 is mounted.

이러한, 회동장착부(10)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고 제2 단자 고정부(309)에 삽입 장착된 제2 전극단자(370)가 노출되는 장착홀(312) 및 장착홀(312)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제2 캡(30)의 제2 면(301)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단턱(314)을 포함한다. This rotational mounting portion 10 has a hollow interior and has a mounting hole 312 through which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inserted into the second terminal fixing portion 309 is exposed and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mounting hole 312. It is formed along and includes a step 314 protruding from the second surface 301 of the second cap 30.

제2 단자 고정부(309)에 삽입 장착된 제2 전극단자(370)는 단자 하우징(3700)의 헤드부(378) 및 헤드부(378)에서 외부로 노출 형성된 제5 터미널부(376)는 장착홀(312)의 내부에 위치되며,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inserted into the second terminal fixing part 309 has a head portion 378 of the terminal housing 3700 and a fifth terminal portion 376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head portion 378. It is located inside the mounting hole 312, and a portion may be position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 캡(30)의 회동 장착부(10)에는 커넥터부(70)가 결합될 수 있다.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connector portion 70 may be coupled to the rotating mounting portion 10 of the second cap 30.

도 21을 참조하면, 커넥터부(70)는 루버 조립체(1)가 고정되는 내측 프레임(미도시) 및 외측 프레임(미도시) 사이 공간에 배치되어, 서로 인접하게 장착된 복수 개의 태양전지 모듈부(10)들의 단자부(112)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Referring to FIG. 21, the connector portion 70 is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frame (not shown) and the outer frame (not shown) where the louver assembly 1 is fixed,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olar cell module units mounted adjacent to each other. This is a par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terminal parts 112 of (10).

제1 캡(20)이 제2 캡(30)에 장착될 때, 제2 전극단자(370)의 일 단부는 제1 전극단자(270)와 접촉되고 제2 전극단자(370)의 타 단부는 커넥터부(70)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cap 20 is mounted on the second cap 30, one end of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7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is 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contacting the connector portion 70.

다시 말해서, 제1 캡(20)의 내부에 위치된 제1 전극단자(270)의 일 단부는 태양전지 모듈부(10)의 단자부(112)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전극단자(270)의 타 단부는 제2 캡(30)의 내부에 위치된 제2 전극단자(370)의 일 단부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 전극단자(370)의 타 단부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In other words, one end of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70 located inside the first cap 20 is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portion 112 of the solar cell module portion 1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70. )'s other end is in contact with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located inside the second cap 30, and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It will happen.

결국, 단자부(112), 제1 전극단자(270), 제2 전극단자(370) 및 커넥터부(70)는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Ultimately, the terminal portion 112,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70,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and the connector portion 70 are all electrically connected.

한편, 커넥터부(70)는 한 쌍의 커넥터 단자(710), 한 쌍의 커넥터 단자(710) 각각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며, 커넥터 단자(710)가 제2 캡(30)에 장착되도록 하는 한 쌍의 장착부재(730) 및 한 쌍의 커넥터 단자(710)를 연결시키는 연결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nector portion 70 is provided to surround each of the pair of connector terminals 710 and the pair of connector terminals 710, and a pair of connector terminals 710 are mounted on the second cap 30. It may include a mounting member 730 and a connection portion 720 that connects a pair of connector terminals 710.

한 쌍의 커넥터 단자(710)는 한 쌍의 장착부재(730)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제2 캡(30)과 결합된다. A pair of connector terminals 710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a pair of mounting members 730 and coupled to the second cap 30.

이때, 제2 캡(30)과 결합된 한 쌍의 커넥터 단자(710)는 제2 전극단자(370)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At this time, the pair of connector terminals 710 coupled to the second cap 30 come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이에 따라, 커넥터 단자(710)는 제2 전극단자(370)는 물론이고, 제1 전극단자(270) 및 태양전지 모듈부(10)의 단자부(112)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Accordingly, the connector terminal 710 is electrically connected not only to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70 but also to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70 and the terminal portion 112 of the solar cell module portion 10.

참고로, 복수 개의 태양전지 모듈부(10)가 조립되는 경우, 인접하게 위치된 태양전지 모듈부(10)에는 제1 캡(20), 제2 캡(30) 및 커넥터 단자(710)가 삽입된 상태의 장착부재(730)가 결합된다. 이때, 인접하게 위치된 태양전지 모듈부(10)의 장착부재(730) 사이는 연결부(720)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For reference, when a plurality of solar cell module units 10 are assembled, the first cap 20, the second cap 30, and the connector terminal 710 are inserted into the adjacent solar cell module units 10. The mounting member 730 in the assembled state is coupled. At this time, mounting members 730 of adjacent solar cell module units 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on part 720.

여기서, 연결부(720)는 일반적인 전선과 같은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인접하게 위치된 태양전지 모듈부(10)를 연결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플렉시블(flexible)하게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 the connection part 720 may be provided in the same form as a general wire, and may be provided in a flexible manner to facilitate connecting the adjacent solar cell module parts 1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no.

또한, 연결부(720)의 일부 영역에는 커넥터 단자(710)를 실링하기 위한 한 쌍의 실링부재(722)가 마련된다. Additionally, a pair of sealing members 722 for sealing the connector terminal 710 are provided in some areas of the connection portion 720.

실링부재(722)는 연결부(720)의 적어도 일부 영역, 즉 연결부(720)의 양 측에 하나씩 마련되어, 장착부재(730)와 커넥터 단자(710)가 결합된 이후에 장착부재(730)와 커넥터 단자(710) 사이를 밀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sealing member 722 is provided on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connection part 720, that is,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art 720, and is used to connect the mounting member 730 and the connector after the mounting member 730 and the connector terminal 710 are combined. It serves to seal between the terminals 710.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버 조립체(1)는 창틀(미도시)이나 프레임(미도시)에 결합되며, 복수 개의 루버 조립체(1)가 하나의 세트(set)로 이루어져서 작동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For referenc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louver assembly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window frame (not shown) or a frame (not shown), and a plurality of louver assemblies 1 are formed into one set ( It is common to operate by consisting of a set.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버 조립체(1)는, 태양전지 모듈부(10), 가스켓(230) 및 제1 캡(20)의 조립 시에 가스켓(230)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루버 조립체(1)의 방수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Due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louver assembly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uses deformation of the gasket 230 when assembling the solar cell module unit 10, the gasket 230, and the first cap 20. can be minimized, and as a result, the waterproof performance of the louver assembly (1)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루버 조립체(1)는, 제1 캡(20)이 태양전지 모듈부(10)와 결합될 때 제1 캡(20)이 태양전지 모듈부(10)와 수평하게 장착됨으로써 루버 조립체(1)의 조립 성능 및 조립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uver assembly 1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cap 20 is coupled with the solar cell module portion 10, the first cap 20 is mounted horizontally with the solar cell module portion 10, thereby creating a louver The assembly performance and assembly reliability of the assembly 1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is is only provided to facilitate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It is not limited,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from these descrip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claims that are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described below sha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 루버 조립체
10: 태양전지 모듈부
20: 제1 캡
230: 가스켓
270: 제1 전극단자
30: 제2 캡
370: 제2 전극단자
1: Louver assembly
10: Solar cell module part
20: first cap
230: gasket
270: first electrode terminal
30: second cap
370: Second electrode terminal

Claims (16)

양 단부에 단자부가 각각 마련되고, 각각의 단자부와 연결되는 태양전지 패널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부;
각각의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극단자가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태양전지 모듈부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캡; 및
제1 캡의 내부에 위치되되 제1 전극단자를 둘러 싸도록 마련되며, 제1 전극단자가 삽입되도록 개방된 제1 면 및 제1 전극단자와 단자부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개방된 제2 면을 갖고, 제1 전극단자와 단자부가 접속될 때에 제2 면이 단자부에 의해 밀폐되도록 마련된 가스켓;
을 포함하는, 루버 조립체.
A solar cell module unit provided with terminal portions at both ends and including a solar cell panel connected to each terminal portion;
First caps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olar cell module portion with first electrode 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terminal portion located therein; and
It is located inside the first cap and is provided to surround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has a first side open to allow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to be inserted and a second side open to connect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the terminal portion. , a gasket provided so that the second surface is sealed by the terminal portion when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the terminal portion are connected;
A louver assembly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제1 전극단자와 단자부가 접속되면 제1 캡에 의해 태양전지 모듈부가 가스켓 쪽으로 가압되어 단자부와 제1 전극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전극단자는 가압된 태양전지 모듈부와 제1 캡에 의해 밀폐되도록 마련된, 루버 조립체.
According to paragraph 1,
When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the terminal part are connected, the solar cell module part is pressed toward the gasket by the first cap, so that the terminal part and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ressurized solar cell module part and the first cap. A louver assembly arranged to be sealed by a louver assembly.
제2항에 있어서,
제1 캡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며 태양전지 모듈부를 가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가 마련되고,
제1 전극단자와 단자부가 접속되면 가이드 돌기에 의해 태양전지 모듈부가 가스켓을 가압하도록 마련된, 루버 조립체.
According to paragraph 2,
In the first cap,
At least one guide protrusion protrudes inward and is provided to press the solar cell module portion,
A louver assembly provided so that the solar cell module portion presses the gasket by the guide protrusion when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the terminal portion are connected.
제3항에 있어서,
가이드 돌기는 제1 캡의 내측 일면을 따라 복수 개로 마련되며,
복수 개의 가이드 돌기는 서로 소정을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루버 조립체.
According to paragraph 3,
A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are provided along on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ap,
A louver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ar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가스켓에는,
가스켓의 제2 면과 수직하게 위치된 측면부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장착돌기; 및
가스켓의 제2 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장착돌기가 마련되며,
한 쌍의 제1 장착돌기는 제1 캡에 형성된 제1 장착홈부에 삽입되어 제1 캡의 내부에 위치되고,
제2 장착돌기는 가스켓이 제1 캡의 내부에 위치되고 난 이후에 제1 캡에 형성된 제2 장착홈부에 끼워짐으로써 가스켓이 제1 캡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루버 조립체.
According to paragraph 1,
In the gasket,
a pair of first mounting protrusion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portion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gasket; and
A second mounting protrusion is provided that protrudes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second surface of the gasket,
A pair of first mounting protrusions are inserted into the first mounting groove formed in the first cap and located inside the first cap,
The second mounting protrusion is a louver assembly that secures the gasket to the inside of the first cap by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mounting groove formed in the first cap after the gasket is positioned inside the first cap.
제5항에 있어서,
가스켓은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고,
가스켓의 제2 면을 통해 제1 전극단자가 외부로 노출되어 태양전지 모듈부의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되되,
제1 전극단자와 단자부가 접속되면 가스켓의 개방된 제1 면은 제1 캡에 의해 폐쇄되고, 가스켓의 개방된 제2 면은 태양전지 모듈에 의해 폐쇄되도록 마련된, 루버 조립체.
According to clause 5,
The gasket is formed in a square shape,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side of the gasket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solar cell module unit,
A louver assembly provided such that when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the terminal unit are connected, the open first side of the gasket is closed by the first cap, and the open second side of the gasket is closed by the solar cell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제1 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제1 캡과 태양전지 모듈부를 결합시키기 위한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가 관통 형성되고,
체결부재는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를 관통하여 태양전지 모듈부에 체결되도록 마련된, 루버 조립체.
According to paragraph 1,
In the first cap,
A first fastening part and a second fastening part for coupling the first cap and the solar cell module unit are formed through through at least one fastening member,
The fastening member is a louver assembly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and be fastened to the solar cell module part.
제7항에 있어서,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 각각에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체결부재가 삽입 관통되어 제1 캡과 태양전지 모듈부가 결합되도록 하는, 루버 조립체.
In clause 7,
A louver assembly in which fastening members having different lengths are inserted into each of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so that the first cap and the solar cell module part are coupled.
제7항에 있어서,
태양전지 모듈부는,
양 단부 각각에 형성되는 단자부;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입사되는 빛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도록 마련된 태양전지 패널; 및
태양전지 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프레임을 포함하고,
패널 프레임의 측면에는 제1 캡의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를 각각 관통한 복수 개의 체결부재가 고정되도록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 제2 고정부가 각각 마련되는, 루버 조립체.
In clause 7,
The solar cell module part,
Terminal portions formed at each end;
A solar cell pane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and provided to produce electricity by incident light; and
Includes a panel frame supporting the solar cell panel,
On the side of the panel fram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ar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to secure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passing through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respectively, of the first cap. A louver assembly provided.
제9항에 있어서,
제1 캡의 일 단부에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각각 마련되고,
패널 프레임의 일 단부에는 제1 캡의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삽입되는 제1 결합홈부 및 제2 결합홈부가 마련되며,
제1 결합홈부 및 제2 결합홈부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루버 조립체.
According to clause 9,
A first coupling portion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are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cap, respectively,
At one end of the panel frame, a first coupling groove and a second coupling groove are provided into which the first coupling part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of the first cap are inserted,
A louver assembly in which the first coupling groove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portion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제10항에 있어서,
패널 프레임의 양 단부 각각에는 태양전지 패널이 삽입되고 삽입된 태양전지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고정홈부가 형성되고,
한 쌍의 고정홈부는 패널 프레임의 일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루버 조립체.
According to clause 10,
A solar cell panel is inserted at each end of the panel frame, and a pair of fixing grooves are formed to support the inserted solar cell panel,
A louver assembly in which a pair of fixing grooves are formed to protrude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panel frame.
제11항에 있어서,
한 쌍의 고정홈부는,
패널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고정홈부; 및
제1 고정홈부와 이격되도록 패널 프레임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고정홈부를 포함하고,
제1 고정홈부 및 제2 고정홈부는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루버 조립체.
According to clause 11,
A pair of fixing grooves,
A first fix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panel frame; and
It includes a second fixing groov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panel fram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ixing groove,
A louver assembly in which the first fixing groove portion and the second fixing groove portion are depressed inward while facing each other.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전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극단자가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 캡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캡을 더 포함하는, 루버 조립체.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A louver assembly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ap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ap while a second electrode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is located therein.
제13항에 있어서,
제2 전극단자의 일부는 제1 캡에 삽입되어 제1 전극단자와 연결되고,
제2 전극단자의 나머지 일부는 제1 전극단자와의 연결이 유지된 상태에서 제2 캡에 삽입되는, 루버 조립체.
According to clause 13,
A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first cap and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 louver assembly in which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ap while maintaining connection with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제13항에 있어서,
제1 캡에는 제1 캡의 후면부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후크가 형성되고,
제2 캡에는 후크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후크홈이 관통 형성되며,
제1 캡이 제2 캡의 내부에 위치되면 후크가 후크홈에 삽입 고정되도록 마련된, 루버 조립체.
According to clause 13,
A hook is formed on the first cap and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rear portion of the first cap,
A hook groove is formed through the second cap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ok portion,
A louver assembly provided so that the hook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hook groove when the first cap is located inside the second cap.
양 단부에 단자부가 각각 마련되고, 각각의 단자부와 연결되는 태양전지 패널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부;
각각의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극단자가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태양전지 모듈부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내측으로 돌출되며 모듈부를 가압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제1 캡; 및
제1 캡의 내부에 위치되되 제1 전극단자를 둘러싸도록 마련되며, 제1 전극단자가 삽입되도록 개방된 제1 면 및 가이드 돌기와 마주하는 위치에 제1 전극단자와 단자부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개방된 제2 면을 갖는 가스켓을 포함하는, 루버 조립체.
A solar cell module unit provided with terminal portions at both ends and including a solar cell panel connected to each terminal portion;
A first cap that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olar cell module unit with a first electrode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terminal unit positioned inside, protrudes inward and includes a guide protrusion for pressing the module unit; and
It is located inside the first cap and is provided to surround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is open to connect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the terminal portion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surface and the guide protrusion that are open to allow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to be inserted. A louver assembly comprising a gasket having a second side.
KR1020210043837A 2021-04-05 2021-04-05 Louver assembly KR1026650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837A KR102665054B1 (en) 2021-04-05 2021-04-05 Louve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837A KR102665054B1 (en) 2021-04-05 2021-04-05 Louve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116A KR20220138116A (en) 2022-10-12
KR102665054B1 true KR102665054B1 (en) 2024-05-13

Family

ID=83598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837A KR102665054B1 (en) 2021-04-05 2021-04-05 Louver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5054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3189B1 (en) * 2016-06-24 2018-04-27 정준석 windows and doors with photovoltaic louvers
KR102233075B1 (en) * 2018-01-19 2021-03-29 (주)엘지하우시스 Solar photovoltaic louver assembly and solar photovoltaic louver window using the same
KR101929719B1 (en) 2018-09-07 2018-12-14 정준석 Windows with photovoltaic electro motion louvers
KR102181471B1 (en) * 2018-12-24 2020-11-23 한솔테크닉스(주) Louver window shutter and louver window system to which it is appli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116A (en) 202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7681B1 (en) Louver assembly with solar cell panel
JP4801505B2 (en) Combined photovoltaic panel for curtain wall glass
CN101305474B (en) Semiconductor module for receiving light or luminescence
US10476429B2 (en) Solar junction box
JP7408811B2 (en) Louver assembly to which solar panels can be attached
KR101086467B1 (en) Solar-cell moudle integrated a building outer frame
JP5791309B2 (en) Connection module for building-integrate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KR102665054B1 (en) Louver assembly
KR20140082900A (en) Apparatus fo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KR100907192B1 (en)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junction box
EP3874110B1 (en) Insulating glazing with luminescent solar concentrator for production of electrical energy
KR102654649B1 (en) Blade Assembly of Louver system
EP4187778A1 (en) Energy harvesting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218482819U (en) Photovoltaic square matrix, edge covering device thereof and photovoltaic system
JPH10256586A (en) Solar cell modules and structure of wiring therebetween
US11095248B2 (en) Solar junction box
CN115459693A (en) Photovoltaic square matrix, edge covering device thereof and photovoltaic system
KR20220106454A (en) Assembly solar cell kit
KR20240050061A (en) Busbars or connectors comprising them
KR101315426B1 (en) Solar Tile
KR20230078291A (en) building intergrated photovoltaic modules
JP2012043989A (en) Connector structure fo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panel
KR20130069273A (en) Solar cell module
KR20150020957A (en) Photoelectric module
WO2014163578A1 (en)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insulating glass unit and spacer bar connector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