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5033B1 - 빌딩의 전기 통신 공사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빌딩의 전기 통신 공사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5033B1
KR102665033B1 KR1020230087489A KR20230087489A KR102665033B1 KR 102665033 B1 KR102665033 B1 KR 102665033B1 KR 1020230087489 A KR1020230087489 A KR 1020230087489A KR 20230087489 A KR20230087489 A KR 20230087489A KR 102665033 B1 KR102665033 B1 KR 102665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wiring
magnetic
parts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7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승상
Original Assignee
윤승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승상 filed Critical 윤승상
Priority to KR1020230087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50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5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50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6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directly on or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8Fireproof paints includ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paints
    • C09D5/185Intumescent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231Magnetic circuits with PM for power or force generation
    • H01F7/0252PM hold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8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conduits or ducts pre-established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 유닛과 배선 관로 간의 결합력을 상승시켜 전기 통신 공사 시공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빌딩의 전기 통신 공사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회전 부재(123) 측의 케이블 투입공(126)에 대해 서로 맞은 편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자성 체결부(127)와, 배선 관로(200) 측의 체결구(231)에 대해 서로 맞은 편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자성 체결부(232)가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빌딩의 전기 통신 공사 시공 방법{Building electrical communication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빌딩의 전기 통신 공사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배선 유닛과 배선 관로 간의 결합력을 상승시켜 전기 통신 공사 시공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빌딩의 전기 통신 공사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빌딩의 각 공간으로 전달하기 위해 빌딩 골조 공사와 함께 전기 통신 공사가 진행된다. 완공된 빌딩의 안전하고 지속적인 사용을 위해 유지 보수 사항을 최소화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시공 방법과 관련된 구조물이 제공되고 있다.
빌딩 각 층의 슬라브 부분에는 전원 인입 케이블, 분배 케이블 등이 연결되고 배선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결선공간을 이루는 박스 형태의 구조체를 통해 작업 효율 및 유지 보수의 용이성을 확보하고 안정적인 결선을 제공할 수 있다.
슬라브 내 구조체를 활용하는 방식의 경우 개별 케이블이 밀폐 고정되지 않고 일정 공간 내 수용된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누수 또는 콘크리트가 침투할 경우 부식 또는 손상이 발생하기 쉬우며, 유지 보수 등에 의해 케이블에 뒤틀림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의 특허문헌 1에서는 배선 관로(200)의 구성에 있어서, 제1 자성 부재(127)와 제2 자성 부재(232)가 서로 자성 결합됨으로써 케이스 체결 부재(120)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하고 있으나, 가압 탄성 부재(233)와 연결된 가압 플레이트(235)가 제1 자성 부재(127)와 제2 자성 부재(232) 사이에 구비되므로, 제1 자성 부재(127)와 제2 자성 부재(232) 간의 결합력이 약화되는 단점이 있었다.
KR 10-2214567 B1
본 발명의 목적은 배선 유닛과 배선 관로 간의 결합력을 상승시켜 전기 통신 공사 시공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빌딩의 전기 통신 공사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빌딩의 전기 통신 공사 시공 방법은, 콘크리트 타설 전의 슬라브 공간에 배선 유닛(100)을 설치하는 제1 단계(S10); 배선 관로(200)를 통해 케이블(300)을 삽입하여 설치하는 제2 단계(S20); 및 배선 유닛(100)에 배선 관로(200)를 연결하는 제3 단계(S30)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 유닛(100)은, 상기 케이블(300)이 통과하는 복수의 관통구(111)가 형성된 배선 케이스(110)와, 상기 배선 케이스(110)의 관통구(111)에 배치되어 상기 배선 관로(200)의 단부가 연결되는 케이스 체결 부재(120)와, 상기 배선 케이스(110)의 개방면을 덮도록 상기 배선 케이스(110)에 결합되는 케이스 커버 부재(130)와, 상기 배선 케이스(110)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과 상기 케이스 커버 부재(130) 상호 간을 지지하는 케이스 지지 부재(14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체결 부재(120)는 고정 부재(121)와 회전 부재(123)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121)는 상기 배선 케이스(110)의 관통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원통 형상을 가지고 내측면에 후퇴 형성된 회전 가이드홈(122)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 부재(123)는 상기 고정 부재(12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 본체(124)와, 삽입 본체(124)의 외주면으로부터 회전 가이드홈(122)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된 환형 돌출부(125)와, 삽입 본체(124)의 중심부에 관통 형성되어 케이블(300)이 통과하는 케이블 투입공(126)과, 삽입 본체(124)의 일측에 고정되며 케이블 투입공(126)에 대해 서로 맞은 편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자성 체결부(127)와, 케이블 투입공(126)을 포함하는 삽입 본체(124)의 외측면 중심부가 돌출 형성된 체결 돌출부(128)와, 체결 돌출부(128)의 단부 측면의 서로 맞은편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지지 돌출부(129)를 구비하고, 상기 배선 관로(200)는, 상기 케이블(300)이 통과하여 배치되며 절곡 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 관로(210)와, 일측이 상기 회전 부재(123)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연결 관로(210)와 결합되고, 중심부에는 체결 돌출부(128) 및 지지 돌출부(129)가 통과하도록 체결구(231)가 형성되는 관로 체결 부재(230)를 포함하고, 상기 관로 체결 부재(230)에는 상기 체결구(231)에 대해 서로 맞은 편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자성 체결부(232)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자성 체결부(232)는 슬라이딩 안내구(2321)에서 외부로 돌출 형성되는 조작부(2322)와, 상기 조작부(2322)의 일단에 구비하되, 상기 슬라이딩 안내구(2321)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제1 자성 체결부(127)에 대응하여 자력으로 부착되도록 하는 자성 록킹부(2323)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안내구(2321)는 상기 조작부(2322)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상기 관로 체결 부재(230) 상에 관통 형성되는 체결홀(2321a)과, 상기 자성 록킹부(2323)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상기 체결홀(2321a)과 연통하여 상기 관로 체결 부재(230)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안내홈(2321b)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성 록킹부(2323)는 상기 제1 자성 체결부(127)에 부착되도록 자성을 생성하는 자석부재(2323a)와, 상기 자석부재(2323a)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안내홈(2321b)과 면 접촉하여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하우징부재(2323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 부재(123) 측의 상기 제1 자성 체결부(127)는 삽입공(1271) 내에 삽입되는 자석부재(1272)와, 상기 삽입공(1271)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자석부재(1272)를 고정하도록 된 고정부재(12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성 록킹부(2323)가 상기 제1 자성 체결부(127)에 대응하여 자력으로 부착될 때 일정 크기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250)는 상기 관로 체결 부재(230) 측에 설치되고 상기 관로 체결 부재(230)에 매립된 스프링(251a)에 의해 탄성설치되는 탄성 작동부재(251)와, 상기 삽입 본체(124)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 작동부재(251)에 대응하여 서로 접촉하는 반구형 접촉부(2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 작동부재(251)는 상기 자성 록킹부(2323)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반구형 접촉부(252)는 상기 제1 자성 체결부(127)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선 유닛(100)은 외부 및 내부 표면에 난연 코팅층이 형성되고, 상기 난연 코팅층은 난연제 20 내지 30 중량부와, 팽창흑연 10 내지 20 중량부와, 무기 바인더 5 내지 10 중량부와, 세라믹 섬유 5 내지 10 중량부와, 바잘트 섬유 2 내지 3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난연제는 지르코니아, 실리카, 탄산칼슘, 산화티탄,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및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난연 코팅층의 상부에는 운반이나 취급시 취급부주의에 의한 파손을 초래하는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돌출되는 다수개의 미끄럼방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미끄럼방지돌기는 경화제 2 내지 3 중량부, MMA(Methyl MethacrylAte) 수지 20 내지 40 중량부 및 세라믹 분말 10 내지 20 중량부의 조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선 유닛과 배선 관로 간의 결합력을 상승시켜 전기 통신 공사 시공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빌딩의 전기 통신 공사 시공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빌딩의 전기 통신 공사 시공 방법에 의해 설치된 배선 유닛 및 배선 관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록킹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자성 체결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 통신 공사 시공 방법에 의해 설치된 배선 유닛 및 배선 관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빌딩의 전기 통신 공사 시공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빌딩의 전기 통신 공사 시공 방법에 의해 설치된 배선 유닛 및 배선 관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록킹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자성 체결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빌딩의 전기 통신 공사 시공 방법은, 콘크리트 타설 전의 슬라브 공간에 배선 유닛(100)을 설치하는 제1 단계(S10); 배선 관로(200)를 통해 케이블(300)을 삽입하여 설치하는 제2 단계(S20); 및 배선 유닛(100)에 배선 관로(200)를 연결하는 제3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배선 유닛(100)은, 상기 케이블(300)이 통과하는 복수의 관통구(111)가 형성된 배선 케이스(110)와, 상기 배선 케이스(110)의 관통구(111)에 배치되어 상기 배선 관로(200)의 단부가 연결되는 케이스 체결 부재(120)와, 상기 배선 케이스(110)의 개방면을 덮도록 상기 배선 케이스(110)에 결합되는 케이스 커버 부재(130)와, 상기 배선 케이스(110)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과 상기 케이스 커버 부재(130) 상호 간을 지지하는 케이스 지지 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 체결 부재(120)는 고정 부재(121)와 회전 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121)는 상기 배선 케이스(110)의 관통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원통 형상을 가지고 내측면에 후퇴 형성된 회전 가이드홈(12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123)는 상기 고정 부재(12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 본체(124)와, 삽입 본체(124)의 외주면으로부터 회전 가이드홈(122)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된 환형 돌출부(125)와, 삽입 본체(124)의 중심부에 관통 형성되어 케이블(300)이 통과하는 케이블 투입공(126)과, 삽입 본체(124)의 일측에 고정되며 케이블 투입공(126)에 대해 서로 맞은 편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자성 체결부(127)와, 케이블 투입공(126)을 포함하는 삽입 본체(124)의 외측면 중심부가 돌출 형성된 체결 돌출부(128)와, 체결 돌출부(128)의 단부 측면의 서로 맞은편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지지 돌출부(129)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선 관로(200)는, 상기 케이블(300)이 통과하여 배치되며 절곡 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 관로(210)와, 일측이 상기 회전 부재(123)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연결 관로(210)와 결합되고, 중심부에는 체결 돌출부(128) 및 지지 돌출부(129)가 통과하도록 체결구(231)가 형성되는 관로 체결 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로 체결 부재(230)에는 상기 체결구(231)에 대해 서로 맞은 편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자성 체결부(23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자성 체결부(232)는 슬라이딩 안내구(2321)에서 외부로 돌출 형성되는 조작부(2322)와, 상기 조작부(2322)의 일단에 구비하되, 상기 슬라이딩 안내구(2321)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제1 자성 체결부(127)에 대응하여 자력으로 부착되도록 하는 자성 록킹부(23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안내구(2321)는 상기 조작부(2322)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상기 관로 체결 부재(230) 상에 관통 형성되는 체결홀(2321a)과, 상기 자성 록킹부(2323)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상기 체결홀(2321a)과 연통하여 상기 관로 체결 부재(230)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안내홈(2321b)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자성 록킹부(2323)는 상기 제1 자성 체결부(127)에 부착되도록 자성을 생성하는 자석부재(2323a)와, 상기 자석부재(2323a)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안내홈(2321b)과 면 접촉하여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하우징부재(2323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 부재(123) 측의 상기 제1 자성 체결부(127)는 삽입공(1271) 내에 삽입되는 자석부재(1272)와, 상기 삽입공(1271)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자석부재(1272)를 고정하도록 된 고정부재(127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자성 체결부(127)는 종래의 방식과는 달리, 회전 부재(123) 내에 매립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자성 록킹부(2323)와의 결합력을 상승시켜 전기 통신 공사 시공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자성 록킹부(2323)가 상기 제1 자성 체결부(127)에 대응하여 자력으로 부착될 때 일정 크기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50)는 상기 관로 체결 부재(230) 측에 설치되고 상기 관로 체결 부재(230)에 매립된 스프링(251a)에 의해 탄성설치되는 탄성 작동부재(251)와, 상기 삽입 본체(124)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 작동부재(251)에 대응하여 서로 접촉하는 반구형 접촉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 작동부재(251)는 상기 자성 록킹부(2323)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반구형 접촉부(252)는 상기 제1 자성 체결부(127)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자성 체결부(127)와 상기 자성 록킹부(2323) 사이에 종래기술에 따른 가압 탄성 부재(233)와 연결된 가압 플레이트(235) 등이 구비되지 않으므로, 종래기술에 비하여 상기 제1 자성 체결부(127)와 상기 자성 록킹부(2323) 사이의 결합력이 증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 통신 공사 시공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배선 유닛(100)은 외부 및 내부 표면에 난연 코팅층(도시안됨)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난연 코팅층은 난연제 20 내지 30 중량부와, 팽창흑연 10 내지 20 중량부와, 무기 바인더 5 내지 10 중량부와, 세라믹 섬유 5 내지 10 중량부와, 바잘트 섬유 2 내지 3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난연제는 지르코니아, 실리카, 탄산칼슘, 산화티탄,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및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팽창흑연은 층상의 결정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구조의 팽창흑연은 연소에 의해 형성된 화염, 물 및 산화 화합물에 의해 20 배에서 350 배까지 발포되어 다공성 구조를 형성하여 발연성을 크게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독성 가스의 배출을 억제할 수 있어 난연 코팅층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팽창흑연은 연소의 억제 효과와 난연 코팅층의 표면 균일성 및 접착성을 유지하고, 물리적 특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평균 입자크기가 50 내지 500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 바인더는, 경화의 주성분이되어 화재에 의한 코팅층의 기계적 강도를 방지할 수 있도록 경도 및 강도를 부여하고, 우수한 효율로 열을 차단하는 차열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섬유는 5 내지 10 중량부가 포함되며, 기공이 발달한 구조를 형성시켜서 내열성 확보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바잘트 섬유는 2 내지 3 중량부가 포함되며, 약 1500℃까지 견딜수 있는 고온에 강한 성질을 가지고 있고,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며, 연소과정에서도 분진발생이 적으며,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소재이면서 불연성 기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세라믹 섬유 및 바잘트 섬유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난연 코팅층의 내열성 및 불연성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난연 코팅층은 상기 배선 유닛(100)에 대한 우수한 난연성, 내열성 및 불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난연 코팅층의 상부에는 운반이나 취급시 취급부주의에 의한 파손을 초래하는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돌출되는 다수개의 미끄럼방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끄럼방지돌기는 경화제 2 내지 3 중량부, MMA(Methyl MethacrylAte) 수지 20 내지 40 중량부 및 세라믹 분말 10 내지 20 중량부의 조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MMA 수지는, 주제의 주요 구성 성분이며,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피착면과 접착력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시킬 수 있고, 황산, 염산, 잘산, 가성소다, 가성칼리 등과 같은 무기 약품에 강한 저항성을 가지고 있어 내약품성이 우수하며, 전기 절연성이 우수하고, 비중이 적으며 수분 흡수율이 낮은 특성을 갖는다.
MMA 수지는 20 내지 4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으며, MMA 수지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일 경우 내후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4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접착력과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MMA 수지는 점도가 상이한 2종의 MMA 수지를 도입하여 접착력과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MMA 수지는 점도가 10 내지 2,000 cps인 저점도 MMA 수지 및 점도가 3,000 내지 15,000 cps인 고점도 MMA 수지를 각각 1:10 내지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 MMA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저점도 MMA 수지의 함량이 상기 중량비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접착력이 낮아 쉽게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중량비를 초과할 경우 충분한 높이의 돌기를 형성시키기 힘든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분말은 미끄럼 방지입자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 배선 유닛
200 : 배선 관로
300 : 케이블
110 : 배선 케이스
120 : 케이스 체결 부재
121 : 고정 부재
123 : 회전 부재
127 : 제1 자성 체결부
232 : 제2 자성 체결부
2321 : 슬라이딩 안내구
2322 : 조작부
2323 : 자성 록킹부

Claims (8)

  1. 콘크리트 타설 전의 슬라브 공간에 배선 유닛(100)을 설치하는 제1 단계(S10);
    배선 관로(200)를 통해 케이블(300)을 삽입하여 설치하는 제2 단계(S20); 및
    배선 유닛(100)에 배선 관로(200)를 연결하는 제3 단계(S30)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 유닛(100)은, 상기 케이블(300)이 통과하는 복수의 관통구(111)가 형성된 배선 케이스(110)와, 상기 배선 케이스(110)의 관통구(111)에 배치되어 상기 배선 관로(200)의 단부가 연결되는 케이스 체결 부재(120)와, 상기 배선 케이스(110)의 개방면을 덮도록 상기 배선 케이스(110)에 결합되는 케이스 커버 부재(130)와, 상기 배선 케이스(110)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과 상기 케이스 커버 부재(130) 상호 간을 지지하는 케이스 지지 부재(14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체결 부재(120)는 고정 부재(121)와 회전 부재(123)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121)는 상기 배선 케이스(110)의 관통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원통 형상을 가지고 내측면에 후퇴 형성된 회전 가이드홈(122)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 부재(123)는 상기 고정 부재(12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 본체(124)와, 삽입 본체(124)의 외주면으로부터 회전 가이드홈(122)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된 환형 돌출부(125)와, 삽입 본체(124)의 중심부에 관통 형성되어 케이블(300)이 통과하는 케이블 투입공(126)과, 삽입 본체(124)의 일측에 고정되며 케이블 투입공(126)에 대해 서로 맞은 편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자성 체결부(127)와, 케이블 투입공(126)을 포함하는 삽입 본체(124)의 외측면 중심부가 돌출 형성된 체결 돌출부(128)와, 체결 돌출부(128)의 단부 측면의 서로 맞은편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지지 돌출부(129)를 구비하고,
    상기 배선 관로(200)는,
    상기 케이블(300)이 통과하여 배치되며 절곡 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 관로(210)와,
    일측이 상기 회전 부재(123)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연결 관로(210)와 결합되고, 중심부에는 체결 돌출부(128) 및 지지 돌출부(129)가 통과하도록 체결구(231)가 형성되는 관로 체결 부재(230)를 포함하고,
    상기 관로 체결 부재(230)에는 상기 체결구(231)에 대해 서로 맞은 편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자성 체결부(232)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자성 체결부(232)는 슬라이딩 안내구(2321)에서 외부로 돌출 형성되는 조작부(2322)와, 상기 조작부(2322)의 일단에 구비하되, 상기 슬라이딩 안내구(2321)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제1 자성 체결부(127)에 대응하여 자력으로 부착되도록 하는 자성 록킹부(2323)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안내구(2321)는 상기 조작부(2322)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상기 관로 체결 부재(230) 상에 관통 형성되는 체결홀(2321a)과, 상기 자성 록킹부(2323)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상기 체결홀(2321a)과 연통하여 상기 관로 체결 부재(230)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안내홈(2321b)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의 전기 통신 공사 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록킹부(2323)는 상기 제1 자성 체결부(127)에 부착되도록 자성을 생성하는 자석부재(2323a)와, 상기 자석부재(2323a)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안내홈(2321b)과 면 접촉하여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하우징부재(2323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의 전기 통신 공사 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123) 측의 상기 제1 자성 체결부(127)는 삽입공(1271) 내에 삽입되는 자석부재(1272)와, 상기 삽입공(1271)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자석부재(1272)를 고정하도록 된 고정부재(12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의 전기 통신 공사 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록킹부(2323)가 상기 제1 자성 체결부(127)에 대응하여 자력으로 부착될 때 일정 크기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250)는 상기 관로 체결 부재(230) 측에 설치되고 상기 관로 체결 부재(230)에 매립된 스프링(251a)에 의해 탄성설치되는 탄성 작동부재(251)와, 상기 삽입 본체(124)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 작동부재(251)에 대응하여 서로 접촉하는 반구형 접촉부(2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의 전기 통신 공사 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작동부재(251)는 상기 자성 록킹부(2323)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반구형 접촉부(252)는 상기 제1 자성 체결부(127)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의 전기 통신 공사 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유닛(100)은 외부 및 내부 표면에 난연 코팅층이 형성되고,
    상기 난연 코팅층은 난연제 20 내지 30 중량부와, 팽창흑연 10 내지 20 중량부와, 무기 바인더 5 내지 10 중량부와, 세라믹 섬유 5 내지 10 중량부와, 바잘트 섬유 2 내지 3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의 전기 통신 공사 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지르코니아, 실리카, 탄산칼슘, 산화티탄,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및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의 전기 통신 공사 시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 코팅층의 상부에는 운반이나 취급시 취급부주의에 의한 파손을 초래하는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돌출되는 다수개의 미끄럼방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미끄럼방지돌기는 경화제 2 내지 3 중량부, MMA(Methyl MethacrylAte) 수지 20 내지 40 중량부 및 세라믹 분말 10 내지 20 중량부의 조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의 전기 통신 공사 시공 방법.
KR1020230087489A 2023-07-06 2023-07-06 빌딩의 전기 통신 공사 시공 방법 KR102665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7489A KR102665033B1 (ko) 2023-07-06 2023-07-06 빌딩의 전기 통신 공사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7489A KR102665033B1 (ko) 2023-07-06 2023-07-06 빌딩의 전기 통신 공사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5033B1 true KR102665033B1 (ko) 2024-05-10

Family

ID=91072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7489A KR102665033B1 (ko) 2023-07-06 2023-07-06 빌딩의 전기 통신 공사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50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892B1 (ko) * 2010-01-29 2010-05-11 (주)중앙일렉파워 지중구조물 조립식 관로구
KR102214567B1 (ko) 2020-04-09 2021-02-09 이동건 건물의 전기 통신 공사 시공 방법
CN216215661U (zh) * 2021-10-14 2022-04-05 济南随心科技发展有限公司 电气安装工程预埋定位套管
KR20230015575A (ko) * 2021-07-23 2023-01-31 주식회사 티제이네트워크 전기 통신 공사 설치 및 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892B1 (ko) * 2010-01-29 2010-05-11 (주)중앙일렉파워 지중구조물 조립식 관로구
KR102214567B1 (ko) 2020-04-09 2021-02-09 이동건 건물의 전기 통신 공사 시공 방법
KR20230015575A (ko) * 2021-07-23 2023-01-31 주식회사 티제이네트워크 전기 통신 공사 설치 및 시공 시스템
CN216215661U (zh) * 2021-10-14 2022-04-05 济南随心科技发展有限公司 电气安装工程预埋定位套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0700B1 (ko) 단열 및 방음성이 향상된 경량기포 콘크리트
EP0062298B1 (en) Heat hardening sealant for flexible couplings
KR20130095632A (ko) 선박의 방화구조체, 방화구조체의 시공방법 및 임시 방화구조체에 대한 케이블의 추가·철거·교환방법
US11440845B2 (en) Fireproof material and fireproof plate, and fireproof wall structure for tunnel and construction method
KR102665033B1 (ko) 빌딩의 전기 통신 공사 시공 방법
KR20130022163A (ko) 유리장섬유 단열재 성형용 에어로젤 바인더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성형방법
KR101835493B1 (ko) 준불연단열구조체의 시공방법 및 그에 의한 준불열단열구조체
JP5503229B2 (ja) 防火構造体、防火構造体の施工方法および防火構造体へのケーブルの追加方法
KR102025067B1 (ko) 준불연 기능을 갖는 단차단열재
CN203080840U (zh) 真空绝热一体化拼接装饰板
KR102100144B1 (ko) 내진 설계가 갖추어진 공동주택 전기의 배전함
KR20190127171A (ko) 에어로겔 기반의 유연 단열재 및 제조 방법
KR102332308B1 (ko) 불연접착제를 이용한 불연단열패널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불연단열패널
KR200412103Y1 (ko) 불연과 난연의 건축물 내, 외장 패널
JP6010427B2 (ja) アウトレットボックスに使用されるための貫通孔挿通筒およびそれを用いた防火措置構造
KR20190067742A (ko) 방화 내장재, 방화 내장재를 수용하는 도어 및 판넬
KR200412102Y1 (ko) 불연과 난연의 건축물 내, 외장 패널
JP2013024030A (ja) 断熱構造体および建物の外断熱構造
KR101958774B1 (ko) 관통구 실링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관통구 실링 방법
KR20220087817A (ko) 내화 구조체
CN218508778U (zh) 一种具有隔音防火功能的陶粒石膏砌块
KR102622491B1 (ko) 1300도 이상 고온에 견디는 내열 불연접착제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불연접착제
JP5978118B2 (ja) 隙間遮蔽充填材を備えた防火区画貫通部構造及び隙間遮蔽充填材
CN220266914U (zh) 一种多孔加固型环保砖
CN216405907U (zh) 半嵌入式防腐阻燃耐高温预制夹心保温墙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