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557B1 - Dual Connectivity 지원 망에서 RRC_IDLE 상태 단말을 위한 SN(Secondary Node)에서의 V2X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Dual Connectivity 지원 망에서 RRC_IDLE 상태 단말을 위한 SN(Secondary Node)에서의 V2X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557B1
KR102664557B1 KR1020190005375A KR20190005375A KR102664557B1 KR 102664557 B1 KR102664557 B1 KR 102664557B1 KR 1020190005375 A KR1020190005375 A KR 1020190005375A KR 20190005375 A KR20190005375 A KR 20190005375A KR 102664557 B1 KR102664557 B1 KR 102664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scell
information
terminal
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8721A (ko
Inventor
장재혁
배범식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5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557B1/ko
Priority to CN202080008423.1A priority patent/CN113273283A/zh
Priority to PCT/KR2020/000678 priority patent/WO2020149612A1/en
Priority to EP20742076.1A priority patent/EP3834554A4/en
Priority to US16/744,098 priority patent/US11503540B2/en
Publication of KR20200088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20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ccess points, e.g.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04L5/0098Signalling of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component carriers, subcarriers or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06Hybrid resource partitioning, e.g. channel borrowing
    • H04W16/08Load shedd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4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 H04W76/36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for reassigning the resources associated with the releas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5th generation)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Dual Connectivity 지원 망에서 RRC_IDLE 상태 단말을 위한 SN(Secondary Node)에서의 V2X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Dual Connectivity 지원 망에서 RRC_IDLE 상태 단말을 위한 SN(Secondary Node)에서의 V2X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ASSIGNING SECONDARY NODE V2X RESOURCE FOR RRC_IDLE UE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NETWORK}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및 단말 동작에 관한 것으로, Dual Connectivity 지원 망에서 RRC_IDLE 상태 단말을 위한 SN(Secondary Node)에서의 V2X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보다 상세히는 3GPP LTE 및 5G NR (New Radio) 기술에서, 캐리어 집적(carrier aggregation, CA) 기술을 사용 시, 부셀(SCell)의 휴면모드(Dormant state)를 유지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5G 시스템에서는 기존 4G 시스템 대비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지원을 고려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들은 모바일 초광대역 통신 서비스(eMBB: enhanced mobile broad band), 초 고신뢰성/저지연 통신 서비스(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대규모 기기간 통신 서비스(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차세대 방송 서비스(eMBMS: evolved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URLLC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URLLC 시스템, eMBB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eMBB 시스템 등이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와 시스템이라는 용어는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 중 URLLC 서비스는 기존 4G 시스템과 달리 5G 시스템에서 새롭게 고려하고 있는 서비스이며, 다른 서비스들 대비 초 고 신뢰성(예를 들면, 패킷 에러율 약 10-5)과 저 지연(latency)(예를 들면, 약 0.5msec) 조건 만족을 요구한다. 이러한 엄격한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URLLC 서비스는 eMBB 서비스보다 짧은 전송 시간 간격(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의 적용이 필요할 수 있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운용 방식들이 고려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 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Dual Connectivity 지원 망에서 RRC_IDLE 상태 단말을 위한 SN(Secondary Node)에서의 V2X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단말이 캐리어 집적 (carrier aggregation, CA) 기술을 사용 시, 사용하지 않는 부셀 (SCell)을 휴면모드로 천이시키고 보다 더 나아가서 비활성화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또한, 활성화된 부셀이 재활성화 될 때의 채널상태를 보고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Dual Connectivity 지원 망에서 RRC_IDLE 상태 단말을 위한 SN(Secondary Node)에서의 V2X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단말은 사용하지 않는 부셀 (SCell)에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불필요한 채널상태 보고로 인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aster Node(MN) 기지국과 Secondary Node(SN) 기지국으로 구성된 Dual Connectivity 설치 환경에서 MN과 SN의 각각의 coverage 예 및 V2X 단말(UE)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ual Connectivity 지원을 위한 네트워크 구조 및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N 기지국이 SN 기지국에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결정하고 연결된 SN 기지국에게 통보하여 V2X 단말이 SN 기지국의 V2X resource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N 기지국이 SN 기지국에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결정하고 연결된 SN 기지국에게 통보하여 V2X 단말이 SN 기지국의 V2X resource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경우 MN 기지국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1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N 기지국이 SN 기지국에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결정하고 연결된 SN 기지국에게 통보하여 V2X 단말이 SN 기지국의 V2X resource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경우 SN 기지국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1f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N 기지국이 SN 기지국에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결정하고 연결된 SN 기지국에게 통보하여 V2X 단말이 SN 기지국의 V2X resource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경우 V2X 단말(UE)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1g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N 기지국이 CU-DU functional split 구조로 동작하는 경우, MN 기지국이 SN 기지국에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결정하고 연결된 SN 기지국에게 통보하여 V2X 단말이 SN 기지국의 V2X resource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h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N 기지국이 SN 기지국에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결정하고 연결된 MN 기지국에게 통보하여 V2X 단말이 SN 기지국의 V2X resource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i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N 기지국이 SN 기지국에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결정하고 연결된 MN 기지국에게 통보하여 V2X 단말이 SN 기지국의 V2X resource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경우 MN 기지국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1j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N 기지국이 SN 기지국에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결정하고 연결된 MN 기지국에게 통보하여 V2X 단말이 SN 기지국의 V2X resource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경우 SN 기지국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1k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N 기지국이 SN 기지국에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결정하고 연결된 MN 기지국에게 통보하여 V2X 단말이 SN 기지국의 V2X resource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경우 V2X 단말(UE)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1l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N 기지국이 CU-DU functional split 구조로 동작하는 경우, SN-CU가 연결된 SN-DU에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결정하고 연결된 MN 기지국에게 통보하여 V2X 단말이 SN 기지국의 V2X resource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m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N 기지국이 CU-DU functional split 구조로 동작하는 경우, SN-CU의 요청에 의해서 SN-DU가 SN-DU에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결정하고 연결된 SN-CU에게 통보 및 SN-CU가 MN 기지국에게 통보하여 V2X 단말이 SN 기지국의 V2X resource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n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N이 CU-DU functional split 구조로 동작하는 경우, SN-DU가 SN-DU에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결정하고 연결된 SN-CU에게 통보 및 SN-CU가 MN 기지국에게 통보하여 V2X 단말이 SN 기지국의 V2X resource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o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N 기지국과 SN 기지국간 또는 SN-CU와 SN-DU간 전달되는 V2X resource 정보를 구성하는 예이다.
도 1p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N 기지국과 SN 기지국간 또는 SN-CU와 SN-DU간 전달되는 V2X resource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는 메시지에 포함되는 V2X resource IE(Information Element)를 구성하는 예이다.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 및 NR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NR 시스템에서 빔(beam) 기반으로 통신 수행 시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채널 프레임 구조의 예시 도면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 집적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 집적 기술을 사용시 SCell을 운용할 때의 단말과 기지국 간의 메시지 흐름 도면이다.
도 2f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 집적 기술을 사용시 SCell을 운용할 때의 SCell 상태 관리를 위한 단말의 동작 순서 예시 도면이다.
도 2g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 집적 기술을 사용시 SCell을 운용할 때의 CSI 보고를 위한 단말의 동작 순서 예시 도면이다.
도 2h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2i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은 현재 존재하는 통신표준 가운데 3GPP (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단체에서 정의하는 가장 최신의 표준인 LTE 및 NR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3GPP NR, 즉 5세대 이동통신 표준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aster Node(MN) 기지국과 Secondary Node(SN) 기지국으로 구성된 Dual Connectivity 설치 환경에서 MN과 SN의 각각의 coverage 예 및 V2X 단말(UE)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 1a와 같이 Master Node(MN) 기지국과 Secondary Node(SN) 기지국이 존재하여 Dual Connectivity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망 설치 환경에서 V2X 단말(UE)이 V2X resource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한다. 일반적으로 Dual Connectivity 망 설치 환경에서는 MN 기지국과 SN 기지국이 서비스할 수 있는 coverage가 다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MN 기지국 coverage 내에서 SN 기지국이 서비스할 수 없는 영역이 존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내용은 V2X 단말(UE) 이외에도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해당 단말을 V2X 단말(UE)로 통칭한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ual Connectivity 지원을 위한 네트워크 구조 및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Dual Connectivity를 지원하는 시스템 구성은 도 1b와 같이 MN 기지국(2-200)과 SN 기지국(2-300)이 연결되게 되며, 하나의 MN 기지국(2-200)은 다수의 SN 기지국(2-3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MN 기지국(2-200)과 SN 기지국(2-300)은 Core Network(2-100)과 연결된다. MN 기지국(2-200)과 SN 기지국(2-300)은 Central Unit(CU)와 Distribution Unit(DU)로 function이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CU는 여러 개의 DU와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기술은 MN 기지국(2-200)과 SN 기지국(2-300)만으로 구성된 경우 및 SN 기지국(2-300)이 SN-CU와 SN-DU로 분리된 시스템 환경에 적용될 수 있으며, MN 기지국(2-200)은 단일 기지국 형태 또는 function이 분리된 기지국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MN 기지국과 SN 기지국으로 구성된 Dual Connectivity 망 설치 환경에서 V2X 단말(UE)이 SN 기지국에 할당된 주파수에서의 V2X resource를 활용하여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이다. 이를 위하여 SN 기지국에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결정하는 방법과 이 결정된 정보를 V2X 단말까지 전달하는 방법, 이를 지원하기 위한 MN 기지국, SN 기지국 및 V2X 단말의 동작 순서도로 구성된다.
Dual Connectivity 망에서 Idle 상태에 있는 단말의 경우 일반적으로 MN 기지국이 전송하는 System Information Block(SIB)만을 수신하여 동작하고, SN 기지국이 전송하는 SIB는 수신하지 않는다. 따라서 Idle 상태의 V2X 단말(UE)이 SN 기지국의 V2X resource를 사용하여 V2X traffic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MN 기지국이 전송하는 SIB 내에 SN 기지국의 V2X resourc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SN 기지국의 V2X resource는 MN 기지국과 SN 기지국간의 상호 동작으로 결정되어야 하고, 결정된 SN 기지국의 V2X resource 정보를 MN 기지국과 SN 기지국간에 서로 공유를 해야 한다. SN 기지국은 자신에게 연결된 단말(UE)들을 서비스하기 위한 트래픽 scheduling 시 결정된 V2X resource 정보를 고려한다. 예로 V2X UE 단말들이 해당 V2X resource를 사용할 수 있도록, SN 기지국은 해당 V2X resource를 배제하고 scheduling을 수행한다. V2X 단말은 MN 기지국으로부터 SN 기지국의 V2X resource 정보가 포함된 SIB를 수신 후, 필요 시 SN 기지국의 V2X resource를 이용하여 V2X traffic을 전송한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N 기지국이 SN 기지국에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결정하고 연결된 SN 기지국에게 통보하여 V2X 단말(UE)이 SN 기지국의 V2X resource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절차 예를 보여준다.
도 1c를 참고하면, (3-100) 단계에서 MN 기지국은 OAM(Operation and Management)이나 기타 방법으로 MN 기지국에 설정된 MN 기지국에서의 V2X resource 할당 policy에 따라서 MN 기지국에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결정한다. (3-200) 단계에서 MN 기지국은 MN 기지국 V2X resource 정보를 System Information Block(SIB) 메시지에 포함하여 broadcasting을 한다. (3-300) 단계에서 SN 기지국은 MN 기지국에 연결하는 절차 또는 SN 기지국 parameter를 update하는 과정에서 SN 기지국에서 서비스 하는 cell들의 정보를 MN 기지국에게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3-400) 단계에서 MN 기지국은 SN 기지국에서 제공하는 cell 정보들 기반 및 OAM(Operation and Management)이나 기타 방법으로 MN 기지국에 설정된 SN 기지국에서의 V2X resource 할당 policy에 따라서 SN 기지국에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결정한다. MN 기지국은 (3-500) 단계에서 결정된 SN 기지국의 V2X resource 정보를 SN 기지국에게 전달하게 되며, 이 때 결정된 V2X resource와 관련된 다수의 SN 기지국들에게 결정된 V2X resource를 전달한다. MN 기지국으로부터 SN 기지국에서 사용할 V2X resource 정보를 전달 받은 SN 기지국은 (3-600) 단계에서 SN 기지국에서 단말(UE)들을 서비스하기 위한 scheduling 시 해당 V2X resource를 고려하여 scheduling을 수행하도록 설정한다. 예로, V2X resource를 제외한 다른 resource만을 가지고 단말(UE)들을 서비스하기 위한 scheduling을 수행한다. SN 기지국은 (3-700) 단계에서 MN 기지국에게 V2X resource 정보 수신 및 적용에 대한 응답 message를 보낸다. MN 기지국은 SN 기지국으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받은 후, update된 V2X resource 정보를 (3-800) 단계에서 System Information Block(SIB) 메시지에 포함하여 broadcasting을 한다. V2X 단말(UE)은 SIB에 포함된 V2X resource 정보를 확인 후 V2X traffic 송수신이 필요한 경우, (3-900) 단계에서 필요에 따라서 SN 기지국의 V2X resource를 사용하여 V2X traffic을 전송한다. MN 기지국과 SN 기지국 사이에 V2X resource 정보를 전달하거나 응답 정보를 전송할 때는 V2X resource 정보와 관련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전용 message를 사용하거나, 다른 목적으로 이미 정의된 message에 V2X resource 정보와 관련 정보를 추가하여 전달 할 수 있다.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N 기지국이 SN 기지국에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결정하고 연결된 SN 기지국에게 통보하여 V2X 단말이 SN 기지국의 V2X resource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경우 MN 기지국의 동작 순서도를 보여준다.
도 1d를 참고하면, MN 기지국은 (4-100) 단계에서 MN 기지국에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결정하고, (4-200) 단계에서 SIB message에 MN 기지국 V2X resource 정보를 포함하여 broadcasting한다. (4-300) 단계에서 SN 기지국으로부터 받은 SN 기지국 cell들에 대한 정보 기반으로 SN에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결정하고, (4-400) 단계에서 결정된 SN 기지국 V2X resource 정보를 SN 기지국에게 전달한다. (4-500) 단계에서 SN 기지국들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 후 (4-600) 단계에서 SN 기지국들이 SN 기지국 V2X resource에 대해서 수락하였는지 여부를 판단 후, 수락 한 경우에는 (4-610) 단계에서 MN 기지국이 전송하는 SIB message에도 SN 기지국의 V2X resource 정보를 추가하여 단말들에게 broadcasting을 한다. 만약 (4-600) 단계에서 SN 기지국이 거절하는 경우에는 거절 메시지에 포함된 cause 정보에 따라서 (4-700) 단계에서 SN 기지국 V2X resource를 재설정할 지를 결정하고, 재설정하기로 결정한 경우에는 (4-710) 단계에서 SN 기지국에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재결정하고, 결정된 SN 기지국 V2X resource 정보를 (4-400) 단계에서 SN 기지국에게 전달한다. (4-700) 단계에서 SN 기지국 V2X resource 재설정을 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에는 MN 기지국은 (4-720) 단계에서 SN 기지국 V2X resource 설정을 종료한다.
도 1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N 기지국이 SN 기지국에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결정하고 연결된 SN 기지국에게 통보하여 V2X 단말이 SN 기지국의 V2X resource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경우 SN 기지국의 동작 순서도를 보여준다.
도 1e를 참고하면, (5-100) 단계에서 SN 기지국은 MN 기지국으로부터 SN 기지국 V2X resource 정보를 전달 받게 되면, (5-200) 단계에서 SN 기지국 V2X resource를 할당하여 사용하는 데 문제가 없는 지 판단한다. (5-200) 단계에서 SN 기지국이 상기 V2X resource 할당을 수락하기로 결정한 경우 (5-300) 단계에서 SN 기지국에서 단말(UE)들을 서비스하기 위한 scheduling 시 해당 V2X resource를 고려하여 scheduling을 수행하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5-400)단계에서 SN 기지국은 MN 기지국에게 수락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5-200) 단계에서 MN 기지국이 전달한 V2X resource 사용 설정을 거절하기로 결정한 경우 (5-500) 단계에서 SN 기지국은 MN 기지국에게 거절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1f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N 기지국이 SN 기지국에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결정하고 연결된 SN 기지국에게 통보하여 V2X 단말이 SN 기지국의 V2X resource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경우 V2X 단말(UE)의 동작 순서도를 보여준다.
도 1f를 참고하면, (6-100) 단계에서 V2X 단말(UE)에서 V2X application이 실행이 되면, (6-200) 단계에서 V2X 단말은 MN 기지국이 전송하는 SIB 정보를 수신하고 V2X resource 정보를 확인한다. V2X 단말은 V2X application이나 필요 traffic 요구량, MN 기지국 V2X resource, SN 기지국 V2X resource, 기타 설정 policy 등에 따라서 (6-300) 단계에서 V2X traffic 전송을 위해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결정한다. (6-300) 단계에서 V2X 단말이 MN 기지국 V2X resource를 사용하기로 결정하는 경우에는 (6-400) 단계에서 V2X 단말은 MN 기지국 V2X resource를 사용하여 V2X traffic을 전송한다. (6-300) 단계에서 V2X 단말이 SN 기지국 V2X resource를 사용하기로 결정하는 경우에는 (6-500) 단계에서 V2X 단말은 SN 기지국 V2X resource를 사용하여 V2X traffic을 전송한다. (6-300) 단계에서 V2X 단말이 MN 기지국과 SN 기지국 V2X resource를 사용하기로 결정하는 경우에는 (6-600) 단계에서 V2X 단말은 MN 기지국과 SN 기지국의 V2X resource를 사용하여 V2X traffic을 전송한다.
도 1g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N 기지국이 CU-DU functional split 구조로 동작하는 경우, MN 기지국이 SN 기지국에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결정하고 연결된 SN 기지국에게 통보하여 V2X 단말(UE)이 SN 기지국의 V2X resource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절차 예를 보여준다.
도 1g를 참고하면, (7-100) 단계에서 MN 기지국은 OAM(Operation and Management)이나 기타 방법으로 MN 기지국에 설정된 MN 기지국에서의 V2X resource 할당 policy에 따라서 MN 기지국에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결정한다. (7-150) 단계에서 MN 기지국은 MN 기지국 V2X resource 정보를 System Information Block(SIB) 메시지에 포함하여 broadcasting을 한다. (7-200) 단계에서 SN 기지국은 MN 기지국에 연결하는 절차 또는 SN 기지국 parameter를 update하는 과정에서 SN 기지국에서 서비스 하는 cell들의 정보를 MN 기지국에게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7-300) 단계에서 MN 기지국은 SN 기지국에서 제공하는 cell 정보들 기반 및 OAM(Operation and Management)이나 기타 방법으로 MN 기지국에 설정된 SN 기지국에서의 V2X resource 할당 policy에 따라서 SN 기지국에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결정한다. MN 기지국은 (7-350) 단계에서 결정된 SN 기지국의 V2X resource 정보를 SN-CU(Central Unit)에게 전달하게 되며, 이 때 결정된 V2X resource와 관련된 다수의 SN-CU에게 결정된 V2X resource를 전달한다. MN 기지국으로부터 SN 기지국에서 사용할 V2X resource 정보를 전달 받은 SN-CU는 (7-410) 단계와 (7-420) 단계에서 SN-CU에 연결된 SN-DU(Distributed Unit)들에게 SN 기지국에서 사용할 V2X resource 정보를 전달한다. SN 기지국 V2X resource 정보를 전달 받은 SN-DU 들은 (7-510) 단계와 (7-520) 단계에서 SN-DU에서 단말(UE)들을 서비스하기 위한 scheduling 시 해당 V2X resource를 고려하여 scheduling을 수행하도록 설정한다. 예로, V2X resource를 제외한 다른 resource만을 가지고 단말(UE)들을 서비스하기 위한 scheduling을 수행한다. SN-DU는 (7-610) 단계와 (7-620) 단계에서 SN-CU에게 V2X resource 정보 수신 및 적용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7-700) 단계에서 SN-CU는 MN 기지국에게 V2X resource 정보 수신 및 적용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MN 기지국은 SN 기지국으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받은 후, update된 V2X resource 정보를 (7-800) 단계에서 System Information Block(SIB) 메시지에 포함하여 broadcasting을 한다. V2X 단말(UE)은 SIB에 포함된 V2X resource 정보를 확인 후 V2X traffic 송수신이 필요한 경우, (7-900) 단계에서 필요에 따라서 SN 기지국의 V2X resource를 사용하여 V2X traffic을 전송한다. MN 기지국과 SN-CU 사이에, SN-CU와 SN-DU 사이에 V2X resource 정보를 전달하거나 응답 정보를 전달할 때는 V2X resource와 관련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전용 message를 사용하거나, 다른 목적으로 이미 정의된 message에 V2X resource 정보와 관련 정보를 추가하여 전달 할 수 있다.
도 1h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N 기지국이 SN 기지국에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결정하고 연결된 MN 기지국에게 통보하여 V2X 단말(UE)이 SN 기지국의 V2X resource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절차 예를 보여준다.
도 1h를 참고하면, (8-100) 단계에서 MN 기지국은 OAM(Operation and Management)이나 기타 방법으로 MN 기지국에 설정된 MN 기지국에서의 V2X resource 할당 policy에 따라서 MN 기지국에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결정한다. (8-150) 단계에서 MN 기지국은 MN 기지국 V2X resource 정보를 System Information Block(SIB) 메시지에 포함하여 broadcasting을 한다. 또한 (8-200) 단계에서 SN 기지국은 OAM(Operation and Management)이나 기타 방법으로 SN 기지국에 설정된 SN 기지국에서의 V2X resource 할당 policy에 따라서 SN 기지국에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결정한다. SN 기지국은 (8-300) 단계에서 SN 기지국에서 단말(UE)들을 서비스하기 위한 scheduling 시 해당 V2X resource를 고려하여 scheduling을 수행하도록 설정한다. 예로, V2X resource를 제외한 다른 resource만을 가지고 단말(UE)들을 서비스하기 위한 scheduling을 수행한다. SN 기지국은 (8-400) 단계에서 결정된 SN 기지국의 V2X resource 정보를 MN 기지국에게 전달하게 되며, 이 때 다수의 SN 기지국들이 MN 기지국에게 결정된 SN 기지국 V2X resource를 전달할 수 있다. SN 기지국으로부터 SN 기지국에서 사용할 V2X resource 정보를 전달 받은 MN 기지국은 (8-600) 단계에서 SN 기지국 coverage 밖에서도 사용할 SN 기지국으로 할당된 주파수 자원에서의 V2X resource를 결정한다. 이 때 SN coverage 밖에서는 V2X 단말이 SN 기지국 V2X resource를 사용하지 않도록 resource를 할당하지 않을 수도 있다. (8-700) 단계에서 MN 기지국은 MN 기지국 V2X resource, SN 기지국 V2X resource 및 SN coverage 밖에서 사용할 V2X resource 정보를 포함한 System Information Block(SIB) 메시지를 포함하여 broadcasting을 한다. V2X 단말(UE)은 SIB에 포함된 V2X resource 정보를 확인 후 V2X traffic 송수신이 필요한 경우, (8-810) 단계에서 SN 기지국을 search하거나 measure하고, (8-820) 단계에서 필요에 따라서 MN 기지국의 V2X resource, SN 기지국의 V2X resource, SN 기지국 coverage 밖의 SN V2X resource를 사용하여 V2X traffic을 전송한다. MN 기지국과 SN 기지국 사이에 V2X resource 정보를 전달하거나 응답 정보를 전송할 때는 V2X resource 정보와 관련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전용 message를 사용하거나, 다른 목적으로 이미 정의된 message에 V2X resource 정보와 관련 정보를 추가하여 전달 할 수 있다.
도 1i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N 기지국이 SN 기지국에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결정하고 연결된 MN 기지국에게 통보하여 V2X 단말(UE)이 SN 기지국의 V2X resource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경우 MN 기지국의 동작 순서도를 보여준다.
도 1i를 참고하면, MN 기지국은 (9-100) 단계에서 MN 기지국에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결정하고, (9-200) 단계에서 SIB message에 MN 기지국 V2X resource 정보를 포함하여 broadcasting한다. (9-300) 단계에서 MN 기지국은 SN 기지국으로부터 SN 기지국 V2X resource 정보를 수신하고, (9-400) 단계에서 MN 기지국은 SN 기지국에게 응답 메시지를 전달한다. MN 기지국은 (9-500) 단계에서 MN 기지국 coverage 내이나 SN 기지국 coverage 밖에서도 사용할 SN 기지국으로 할당된 주파수 자원에서의 V2X resource를 결정한다. (9-600) 단계에서 MN 기지국은 MN 기지국 V2X resource, SN 기지국 V2X resource 및 SN coverage 밖에서 사용할 V2X resource 정보를 포함한 System Information Block(SIB) 메시지를 포함하여 broadcasting을 한다.
도 1j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N 기지국이 SN 기지국에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결정하고 연결된 MN 기지국에게 통보하여 V2X 단말(UE)이 SN 기지국의 V2X resource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경우 SN 기지국의 동작 순서도를 보여준다.
도 1j를 참고하면, (10-100) 단계에서 SN 기지국은 SN 기지국에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결정한다. (10-200) 단계에서 SN 기지국은 SN 기지국에서 단말(UE)들을 서비스하기 위한 scheduling 시 해당 V2X resource를 고려하여 scheduling을 수행을 설정한다. (10-300)단계에서 SN 기지국은 MN 기지국에 SN 기지국 V2X resource 정보를 전달하고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도 1k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N 기지국이 SN 기지국에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결정하고 연결된 MN 기지국에게 통보하여 V2X 단말(UE)이 SN 기지국의 V2X resource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경우 V2X 단말(UE)의 동작 순서도를 보여준다.
도 1k를 참고하면, (11-100) 단계에서 V2X 단말(UE)에서 V2X application이 실행이 되면, (11-200) 단계에서 V2X 단말은 MN 기지국이 전송하는 SIB 정보를 수신하고 V2X resource 정보를 확인한다. (11-300) 단계에서 V2X 단말은 SN 기지국 search 또는 measurement를 진행한다. SN 기지국 search/measurement 결과 및 V2X application이나 필요 traffic 요구량, MN 기지국 V2X resource, SN 기지국 V2X resource, 기타 설정 policy 등에 따라서 V2X 단말은 (11-400) 단계에서 V2X traffic 전송을 위해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결정한다. (11-400) 단계에서 V2X 단말이 MN 기지국 V2X resource를 사용하기로 결정하는 경우에는 (11-500) 단계에서 V2X 단말은 MN 기지국 V2X resource를 사용하여 V2X traffic을 전송한다. (11-400) 단계에서 V2X 단말이 SN 기지국 V2X resource 또는 SN coverage 밖의 SN V2X resource를 사용하기로 결정하는 경우에는 (11-600) 단계에서 V2X 단말은 SN 기지국 또는 SN coverage 밖 V2X resource를 사용하여 V2X traffic을 전송한다. (11-400) 단계에서 V2X 단말이 MN 기지국과 SN 기지국 또는 SN coverage 밖 SN V2X resource를 사용하기로 결정하는 경우에는 (11-700) 단계에서 V2X 단말은 MN 기지국과 SN 기지국 또는 SN coverage 밖 SN V2X resource를 사용하여 V2X traffic을 전송한다.
도 1l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N 기지국이 CU-DU functional split 구조로 동작하는 경우, SN 기지국의 SN-CU에서 SN-CU에 연결된 SU-DU에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결정하고 연결된 SN-DU에게 통보하여 V2X 단말(UE)이 SN-DU의 V2X resource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절차 예를 보여준다.
도 1l을 참고하면, (12-100) 단계에서 MN 기지국은 OAM(Operation and Management)이나 기타 방법으로 MN 기지국에 설정된 MN 기지국에서의 V2X resource 할당 policy에 따라서 MN 기지국에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결정한다. (12-150) 단계에서 MN 기지국은 MN 기지국 V2X resource 정보를 System Information Block(SIB) 메시지에 포함하여 broadcasting을 한다. 또한 (12-200) 단계에서 SN 기지국의 SN-CU는 OAM(Operation and Management)이나 기타 방법으로 SN 기지국에 설정된 SN 기지국에서의 V2X resource 할당 policy에 따라서 SN 기지국에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결정한다. SN-CU는 (12-310) 단계와 (12-320) 단계에서 SN-CU에 연결된 SN-DU에게 결정된 V2X resource 정보를 전달한다. SN-DU는 (12-410) 단계와 (12-510) 단계에서 SN-DU에서 단말(UE)들을 서비스하기 위한 scheduling 시 해당 V2X resource를 고려하여 scheduling을 수행하도록 설정한다. 예로, V2X resource를 제외한 다른 resource만을 가지고 단말(UE)들을 서비스하기 위한 scheduling을 수행한다. SN-DU는 (12-510) 단계와 (12-520) 단계에서 SN-CU에게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SN-CU는 (12-600) 단계에서 결정된 SN 기지국의 V2X resource 정보를 MN 기지국에게 전달하게 되며, 이 때 다수의 SN 기지국들이 MN 기지국에게 결정된 SN 기지국 V2X resource를 전달할 수 있다. MN 기지국은 (12-610) 단계에서 SN-CU에게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MN 기지국은 (12-700) 단계에서 SN 기지국 coverage 밖에서도 사용할 SN 기지국으로 할당된 주파수 자원에서의 V2X resource를 결정한다. 이 때 SN coverage 밖에서는 V2X 단말이 SN 기지국 V2X resource를 사용하지 않도록 resource를 할당하지 않을 수도 있다. (12-710) 단계에서 MN 기지국은 MN 기지국 V2X resource, SN 기지국 V2X resource 및 SN coverage 밖에서 사용할 V2X resource 정보를 포함한 System Information Block(SIB) 메시지를 포함하여 broadcasting을 한다. V2X 단말(UE)은 SIB에 포함된 V2X resource 정보를 확인 후 V2X traffic 송수신이 필요한 경우, (12-810) 단계에서 SN 기지국을 search하거나 measure하고, (12-820) 단계에서 필요에 따라서 MN 기지국의 V2X resource, SN 기지국의 V2X resource, SN 기지국 coverage 밖의 SN V2X resource를 사용하여 V2X traffic을 전송한다. MN 기지국과 SN-CU 사이에, SN-CU와 SN-DU 사이에 V2X resource 정보를 전달하거나 응답 정보를 전달할 때는 V2X resource와 관련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전용 message를 사용하거나, 다른 목적으로 이미 정의된 message에 V2X resource 정보와 관련 정보를 추가하여 전달 할 수 있다.
도 1m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N 기지국이 CU-DU functional split 구조로 동작하는 경우, SN 기지국의 SN-CU에서 SN의 resource 중 일부를 V2X resource로 사용하기로 결정 하고, SN-CU에 연결된 SU-DU에게 V2X resource 할당을 요청하여 SN-DU가 V2X resource를 결정하고 SN-CU에게 통보 후, 다시 SN-CU가 MN 기지국에게 SN 기지국의 V2x resource를 통보하여 V2X 단말(UE)이 SN-DU의 V2X resource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절차 예를 보여준다.
도 1m을 참고하면, (13-100) 단계에서 MN 기지국은 OAM(Operation and Management)이나 기타 방법으로 MN 기지국에 설정된 MN 기지국에서의 V2X resource 할당 policy에 따라서 MN 기지국에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결정한다. (13-150) 단계에서 MN 기지국은 MN 기지국 V2X resource 정보를 System Information Block(SIB) 메시지에 포함하여 broadcasting을 한다. 또한 (13-200) 단계에서 SN 기지국의 SN-CU는 OAM(Operation and Management)이나 기타 triggering 방법에 의해 SN의 resource 중 일부를 V2X resource로 사용하기로 결정한다. 그리고, SN-CU는 (13-310) 단계와 (13-320) 단계에서 SN-CU에 연결된 SN-DU에게 V2X resource 할당을 요청한다. SN-DU는 (13-410) 단계와 (13-420) 단계에서 OAM이나 기타 방법으로 SN-DU에 설정된 SN 기지국에서의 V2X resource 할당 policy에 따라서 SN-DU에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결정한다. SN-DU는 (12-510) 단계와 (12-520) 단계에서 SN-DU에서 단말(UE)들을 서비스하기 위한 scheduling 시 해당 V2X resource를 고려하여 scheduling을 수행하도록 설정한다. 예로, V2X resource를 제외한 다른 resource만을 가지고 단말(UE)들을 서비스하기 위한 scheduling을 수행한다. SN-DU는 (13-610) 단계와 (13-620) 단계에서 SN-CU에 연결된 SN-DU에게 결정된 V2X resource 정보를 전달한다. SN-CU는 (13-700) 단계에서 결정된 SN 기지국의 V2X resource 정보를 MN 기지국에게 전달하게 되며, 이 때 다수의 SN 기지국들이 MN 기지국에게 결정된 SN 기지국 V2X resource를 전달할 수 있다. MN 기지국은 (13-710) 단계에서 SN-CU에게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MN 기지국은 (13-800) 단계에서 SN 기지국 coverage 밖에서도 사용할 SN 기지국으로 할당된 주파수 자원에서의 V2X resource를 결정한다. 이 때 SN coverage 밖에서는 V2X 단말이 SN 기지국 V2X resource를 사용하지 않도록 resource를 할당하지 않을 수도 있다. (13-810) 단계에서 MN 기지국은 MN 기지국 V2X resource, SN 기지국 V2X resource 및 SN coverage 밖에서 사용할 V2X resource 정보를 포함한 System Information Block(SIB) 메시지를 포함하여 broadcasting을 한다. V2X 단말(UE)은 SIB에 포함된 V2X resource 정보를 확인 후 V2X traffic 송수신이 필요한 경우, (13-910) 단계에서 SN 기지국을 search하거나 measure하고, (12-920) 단계에서 필요에 따라서 MN 기지국의 V2X resource, SN 기지국의 V2X resource, SN 기지국 coverage 밖의 SN V2X resource를 사용하여 V2X traffic을 전송한다. MN 기지국과 SN-CU 사이에, SN-CU와 SN-DU 사이에 V2X resource 정보를 전달하거나 응답 정보를 전달할 때는 V2X resource와 관련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전용 message를 사용하거나, 다른 목적으로 이미 정의된 message에 V2X resource 정보와 관련 정보를 추가하여 전달 할 수 있다.
도 1n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N 기지국이 CU-DU functional split 구조로 동작하는 경우, SN 기지국의 SU-DU에서 V2X resource를 결정하고 SN-CU에게 통보 후, 다시 SN-CU가 MN 기지국에게 SN 기지국의 V2x resource를 통보하여 V2X 단말(UE)이 SN-DU의 V2X resource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절차 예를 보여준다.
도 1n을 참고하면, (14-100) 단계에서 MN 기지국은 OAM(Operation and Management)이나 기타 방법으로 MN 기지국에 설정된 MN 기지국에서의 V2X resource 할당 policy에 따라서 MN 기지국에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결정한다. (14-150) 단계에서 MN 기지국은 MN 기지국 V2X resource 정보를 System Information Block(SIB) 메시지에 포함하여 broadcasting을 한다. SN-DU는 (14-210) 단계와 (14-220) 단계에서 OAM 이나 기타 방법으로 SN-DU에 설정된 SN 기지국에서의 V2X resource 할당 policy에 따라서 SN-DU에서 사용할 V2X resource를 결정한다. SN-DU는 (14-310) 단계와 (14-320) 단계에서 SN-DU에서 단말(UE)들을 서비스하기 위한 scheduling 시 해당 V2X resource를 고려하여 scheduling을 수행하도록 설정한다. 예로, V2X resource를 제외한 다른 resource만을 가지고 단말(UE)들을 서비스하기 위한 scheduling을 수행한다. SN-DU는 (14-410) 단계와 (14-420) 단계에서 SN-CU에 연결된 SN-DU에게 결정된 V2X resource 정보를 전달한다. SN-CU는 (14-510) 단계와 (14-520) 단계에서 각각의 SN-DU에게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SN-CU는 (14-600) 단계에서 결정된 SN 기지국의 V2X resource 정보를 MN 기지국에게 전달하게 되며, 이 때 다수의 SN 기지국들이 MN 기지국에게 결정된 SN 기지국 V2X resource를 전달할 수 있다. MN 기지국은 (14-610) 단계에서 SN-CU에게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MN 기지국은 (14-700) 단계에서 SN 기지국 coverage 밖에서도 사용할 SN 기지국으로 할당된 주파수 자원에서의 V2X resource를 결정한다. 이 때 SN coverage 밖에서는 V2X 단말이 SN 기지국 V2X resource를 사용하지 않도록 resource를 할당하지 않을 수도 있다. (14-710) 단계에서 MN 기지국은 MN 기지국 V2X resource, SN 기지국 V2X resource 및 SN coverage 밖에서 사용할 V2X resource 정보를 포함한 System Information Block(SIB) 메시지를 포함하여 broadcasting을 한다. V2X 단말(UE)은 SIB에 포함된 V2X resource 정보를 확인 후 V2X traffic 송수신이 필요한 경우, (14-810) 단계에서 SN 기지국을 search하거나 measure하고, (14-820) 단계에서 필요에 따라서 MN 기지국의 V2X resource, SN 기지국의 V2X resource, SN 기지국 coverage 밖의 SN V2X resource를 사용하여 V2X traffic을 전송한다. MN 기지국과 SN-CU 사이에, SN-CU와 SN-DU 사이에 V2X resource 정보를 전달하거나 응답 정보를 전달할 때는 V2X resource와 관련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전용 message를 사용하거나, 다른 목적으로 이미 정의된 message에 V2X resource 정보와 관련 정보를 추가하여 전달 할 수 있다.
도 1o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N 기지국과 SN 기지국간 또는 SN-CU와 SN-DU간 전달되는 V2X resource 정보를 나타내는 예이다.
도 1o는, MN 기지국이 단말(UE)에게 V2X resource 할당과 관련하여 전송하는 System Information Block(SIB) 구성을 보여주며, 이 SIB 정보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V2X resource 정보를 MN 기지국과 SN 기지국간 또는 SN-CU와 SN-DU간 전달하는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달한다.
도 1p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N 기지국과 SN 기지국간 또는 SN-CU와 SN-DU간 전달되는 V2X resource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는 메시지에 포함되는 V2X resource IE(Information Element) 예를 보여준다.
도 1p를 참고하면, V2X resource를 전달하기 위한 메시지는 기존의 MN 기지국과 SN 기지국 또는 SN-CU와 SN-DU간 인터페이스에서 사용하는 기존 메시지에 IE를 추가하는 형태가 되거나, V2X resource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dedicated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도 1p-(a)는 SN 단위로 또는 SN-DU 단위로 V2X resource가 할당되는 경우 V2X resource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IE 구성 예이며, 도 1p-(b)는 SN 또는 SN-DU에서 지원하는 cell 단위로 V2X resource가 할당되는 경우 V2X resource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IE 구성 예이다.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NR 시스템도 대동소이한 구조를 가진다.
도 2a을 참고하면,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여러 개의 기지국들(2a-05)(2a-10)(2a-15)(2a-20)과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2a-20) 및 S-GW(Serving-Gateway)(2a-30)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 또는 단말)(2a-35)은 기지국(2a-05)(2a-10)(2a-15)(2a-20) 및 S-GW(2a-30)을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상기 기지국들(2a-05)(2a-10)(2a-15)(2a-20)은 셀룰러 망의 접속 노드로서 망에 접속하는 단말들에게 무선 접속을 제공한다. 즉, 상기 기지국(2a-05)(2a-10)(2a-15)(2a-20)은 사용자들의 트래픽을 서비스하기 위해 단말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쥴링을 하여 상기 단말들과 코어 망(CN, Core network)간에 연결을 지원한다. 상기 MME(2a-25)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들과 연결되며, S-GW(2a-30)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MME(2a-25) 및 S-GW(2a-30)는 망에 접속하는 단말에 대한 인증(authentication), 베어러(bearer) 관리 등을 더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기지국(2a-05)(2a-10)(2a-15)(2a-20)으로부터 도착한 패킷 또는 상기 기지국 (2a-05)(2a-10)(2a-15)(2a-20)으로 전달할 패킷을 처리한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 및 NR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LTE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단말과 ENB에서 각각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2b-05)(2b-40), RLC(Radio Link Control)(2b-10)(2b-35), MAC (Medium Access Control)(2b-15)(2b-30)으로 이루어진다.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2b-05)(2b-40)는 IP 헤더 압축/복원 등의 동작을 담당하고,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이하 RLC라고 한다)(2b-10)(2b-35)는 PDCP PDU(Packet Data Unit)를 적절한 크기로 재구성한다. MAC(2b-15)(2b-30)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되며, RLC PDU들을 MAC PDU에 다중화하고 MAC PDU로부터 RLC PDU들을 역다중화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물리 계층(2b-20)(2b-25)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한다. 또한 물리 계층에서도 추가적인 오류 정정을 위해, HARQ (Hybrid ARQ) 를 사용하고 있으며, 수신단에서는 송신단에서 전송한 패킷의 수신여부를 1 비트로 전송한다. 이를 HARQ ACK/NACK 정보라 한다. 업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다운링크 HARQ ACK/NACK 정보는 LTE의 경우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물리 채널을 통해 전송되며, NR의 경우 하향링크/상향링크 자원할당 등이 전송되는 채널인 PDCCH(Physical Dedicated Control CHannel)에서 해당 단말의 스케쥴링 정보를 통해 재전송이 필요한지, 새전송을 수행하면 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NR에서는 비동기 HARQ를 적용하기 때문이다.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업링크 HARQ ACK/NACK 정보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이나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물리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PUCCH는 일반적으로 후술할 PCell의 상향링크에서 전송이 되지만, 기지국은 단말이 지원하는 경우, 해당 단말에게 후술할 SCell에 추가로 전송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를 PUCCH SCell이라 칭한다.
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단말과 기지국의 PDCP 계층의 상위에는 각각 RRC (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이 존재하며, 상기 RRC 계층은 무선 자원 제어를 위해 접속, 측정 관련 설정 제어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PHY 계층은 하나 혹은 복수 개의 주파수/캐리어/반송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주파수를 동시에 설정하여 사용하는 기술을 반송파 집적 기술(carrier aggregation, 이하 CA라 칭함)이라 한다. CA 기술이란 단말(혹은 User Equipment, UE) 과 기지국(E-UTRAN NodeB, eNB) 사이의 통신을 위해 하나의 반송파만 사용하던 것을, 주반송파와 하나 혹은 복수개의 부차반송파를 추가로 사용하여 부차반송파의 갯수만큼 전송량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다. 한편, LTE에서는 주반송파를 사용하는 기지국 내의 셀을 주셀 혹은 PCell(Primary Cell)이라 하며, 부반송파를 사용하는 기지국 내의 셀을 부셀 혹은 SCell(Secondary Cell)이라 칭한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NR 시스템에서 빔(beam) 기반으로 통신 수행 시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채널 프레임 구조의 예시 도면이다.
도 2c에서 기지국(2c-01)은 더 넓은 커버리지 혹은 강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 신호를 빔의 형태로 전송한다(2c-11)(2c-13)(2c-15)(2c-17). 이에 따라, 셀 내의 단말(2c-03)은 기지국(2c-01)이 전송하는 특정 빔(본 예시 도면에서는 빔 #1 (2c-13))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여야 한다.
한편, 단말(2c-03)이 기지국(2c-01)에 연결되어 있느냐 여부에 따라 단말(2c-03)의 상태를 휴면모드(RRC_IDLE)과 연결모드(RRC_CONNECTED) 상태로 나뉜다. 이에 따라, 휴면 모드 상태에 있는 단말(2c-03)의 위치는 기지국(2c-01)이 알지 못한다.
만약 휴면모드 상태의 단말(2c-03)이 연결모드 상태로 천이하고자 하는 경우, 단말(2c-03)은 기지국(2c-01)이 전송하는 동기화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2c-21)(2c-23)(2c-25)(2c-27)들을 수신한다. 본 SSB는 기지국(2c-01)이 설정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SSB신호이며, 각각의 SSB는 주동기신호(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2c-41), 부동기신호(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2c-43), 물리방송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로 나뉜다.
본 예시 도면에서는 각 빔 별로 SSB가 전송되는 시나리오를 가정하였다. 예를 들어, SSB#0(2c-21)의 경우 빔 #0(2c-11)을 사용하여 전송하고, SSB#1(2c-23)의 경우 빔 #1(2c-13)을 사용하여 전송하고, SSB#2(2c-25)의 경우 빔 #2(2c-15)을 사용하여 전송하고, SSB#3(2c-27)의 경우 빔 #3(2c-17)을 사용하여 전송하는 경우를 가정하였다. 본 예시 도면에서는 휴면모드의 단말(2c-03)이 빔 #1(2c-13)에 위치하는 상황을 가정하였으나, 연결모드의 단말이 랜덤 엑세스를 수행하는 경우에도 단말은 랜덤 엑세스를 수행하는 시점에 수신되는 SSB를 선택한다.
이에 따라 본 도면에서는 단말(2c-03)은 빔 #1(2c-13)으로 전송되는 SSB #1(2c-23)을 수신하게 된다. 상기 SSB #1(2c-23)을 수신하면, 단말(2c-03)은 PSS, SSS를 통해서 기지국(2c-01)의 물리식별자(Physical Cell Identifier, PCI)를 획득하며, PBCH를 수신함으로서 현재 수신한 SSB의 식별자(즉, #1) 및, 현재 SSB를 수신한 위치가 10 ms 프레임 내에서 어느 위치인지 뿐만 아니라, 10.24 초의 주기를 갖는 System Frame Number(SFN) 내에서 어떠한 SFN에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BCH 내에는 MIB(master information block)이 포함되며, 이 MIB 내에는 보다 상세한 셀의 설정 정보를 방송해주는 SIB1(system information block type 1)을 어느 위치에서 수신할 수 있을 지에 대해 알려준다. SIB1을 수신하면, 단말(2c-03)은 본 기지국(2c-01)이 전송하는 총 SSB의 개수를 알 수 있고, 연결모드 상태로 천이하기 위해 랜덤 엑세스를 수행할 수 있는 (보다 정확히는 상향링크동기화를 맞추기 위해 특수히 설계된 물리 신호인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는) PRACH occasion(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의 위치(본 예시 도면에서는 1ms 마다 할당되는 시나리오를 가정: (2c-30)부터 (2c-39)까지)를 파악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PRACH occasion들 가운데 어떠한 PRACH occasion이 어떠한 SSB index에 매핑되는 지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예시 도면에서는 1ms 마다 할당되는 시나리오를 가정하였으며, PRACH Occasion 당 SSB가 1/2 개가 할당되는 (즉, SSB당 PRACH Occasion 2개) 시나리오를 가정하였다. 이에 따라, SFN 값에 따라 시작되는 PRACH Occasion의 시작부터 SSB별로 각각 2개씩 PRACH occasion이 할당되는 시나리오를 도시하였다. 즉, (2c-30)(2c-31)은 SSB#0(2c-21)을 위해 할당, (2c-32)(2c-33)은 SSB#1(2c-23)을 위해 할당되는 등의 시나리오 이다. 모든 SSB에 대해 설정한 다음에는 다시 처음의 SSB를 위해 PRACH Occasion이 할당된다(2c-38)(2c-39).
이에 따라, 단말(2c-03)은 SSB#1(2c-23)을 위한 PRACH occasion(2c-32)(2c-33)의 위치를 인지하고 이에 따라 SSB#1(2c-23)에 대응되는 PRACH Occasion(2c-32)(2c-33) 가운데 현재 시점에서 가장 빠른 PRACH Occasion(2c-32)으로 랜덤 엑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한다(예를 들어 (2c-32)). 기지국(2c-01)은 프리앰블을 (2c-32)의 PRACH Occasion에서 수신하였으므로, 해당 단말(2c-03)이 SSB#1(2c-23)를 선택하여 프리앰블을 전송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어지는 랜덤 엑세스 수행 시 해당 빔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 집적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d를 참조하면, 하나의 기지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여러 주파수 대역에 걸쳐서 다중 캐리어들이 송출되고 수신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2d-05)에서 중심 주파수가 f1인 캐리어(2d-15)와 중심 주파수가 f3(2d-10)인 캐리어가 송출될 때, 종래에는 하나의 단말이 상기 두 개의 캐리어 중 하나의 캐리어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였다. 그러나 캐리어 집적 능력을 가지고 있는 단말(2d-30)은 동시에 여러 개의 캐리어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2d-05)은 캐리어 집적 능력을 가지고 있는 단말(2d-30)에 대해서는 상황에 따라 더 많은 캐리어를 할당함으로써 상기 단말(2d-30)의 전송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전통적인 의미로 하나의 기지국에서 송출되고 수신되는 하나의 순방향 캐리어와 하나의 역방향 캐리어가 하나의 셀을 구성한다고 할 때, 캐리어 집적이란 단말이 동시에 여러 개의 셀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최대 전송 속도는 집적되는 캐리어의 수에 비례해서 증가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단말이 임의의 순방향 캐리어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임의의 역방향 캐리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것은 상기 캐리어를 특징짓는 중심 주파수와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셀에서 제공하는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LTE 시스템을 가정하여 설명될 것이나, 본 발명은 캐리어 집적을 지원하는 각종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캐리어 가운데 초기에 랜덤 엑세스를 수행하여 접속한 셀을 PCell이라고 하며, 부가적으로 추가한 셀을 SCell이라고 한다. SCell은 RRC 계층의 메시지를 사용하여 단말에게 추가하거나 해지하며, RRC로 추가한 상태에서는 해당 SCell은 비활성화 상태이다. 이후,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SCell Activation/Deactivation MAC CE 를 수신받아서 해당 설정받은 셀을 활성화(active) 혹은 비활성화(inactive)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한번 활성화된 셀에서 스케쥴링을 기지국이 설정한 일정시간(sCellDeactivationTimer)동안 받지 못하면, 즉 해당 타이머가 만료되면, 해당 SCell은 비활성화 된다.
또한, 비활성화 시킨 SCell을 다시 활성화 시켜서 통신하기 위해서, 기지국은 해당 SCell과 단말과의 채널 상태를 파악하는데 지연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줄이기 위해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의 중간인 휴면(dormant) 상태를 둘 수 있다. 휴면 상태의 SCell에 대해 단말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는 없으나, 해당 SCell에 대한 채널 상태를 주기적으로 보고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휴면상태의 SCell을 다시 활성화 하는 경우, 지연을 최소화하여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
한편, 휴면 상태가 설정된 경우 혹은 되지 않은 경우라 하더라도, SCell이 다시 활성화 되면, 일정 시간 동안은 짧은 주기로 채널 상태를 보고하여 가능한한 빨리 채널 상태를 파악하는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화 명령을 받은 시점 (n 서브프레임)부터, 활성화 명령을 처리하여 처음 적용할 수 있는 적용하는 시점(예를 들어, n+8 서브프레임)부터 소정의 시점까지(예를 들어, n+34 서브프레임까지) 단말은 기지국이 설정해 놓은 짧은 주기를 사용하여 기지국으로 채널 상태를 보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SCell의 상태에 따라 단말은 아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 활성화 상태(Active)에서 수행하는 동작
● 해당 SCell로 Sounding Reference Signal(SRS) 신호 전송
● 해당 SCell을 위한 채널 상태(CQI/PMI/RI/PTI/CRI; 통칭하여 CSI) 보고를 짧은 주기 및 일반/긴 주기를 사용하여 (PCell 혹은 PUCCH SCell로) 전송
● 해당 SCell로 그리고 해당 SCell을 위한 PDCCH 모니터링
● 만약 해당 SCell에서 PUCCH 전송을 할 수 있는 경우, PUCCH 전송
- 휴면 상태(Dormant)에서 수행하는 동작
● 해당 SCell로 Sounding Reference Signal(SRS) 신호 전송하지 않음
● 해당 SCell을 위한 채널상태(CQI/PMI/RI/PTI/CRI; 통칭하여 CSI) 보고를 휴면 모드 보고 주기를 사용하여 (PCell 혹은 PUCCH SCell로) 전송
● PDCCH 모니터링 하지 않음
● 해당 SCell에서 상향링크 전송하지 않음
- 비활성화 상태(Inactive)에서 수행하는 동작
● 해당 SCell로 Sounding Reference Signal(SRS) 신호 전송하지 않음
● 해당 SCell을 위한 채널상태(CQI/PMI/RI/PTI/CRI; 통칭하여 CSI) 보고를 전송하지 않음
● PDCCH 모니터링 하지 않음
● 해당 SCell에서 상향링크 전송하지 않음
도 2e는 캐리어 집적 기술을 사용시 SCell을 운용할 때의 단말과 기지국 간의 메시지 흐름 도면이다.
도 2e를 참고하면, 단말(2e-01)은 기지국(2e-03)에 접속을 수행하여 기지국(2e-03)으로 연결 설정을 수행한다(2e-11). 상기 연결 설정에는 단말(2e-01)이 기지국(2e-03)으로 랜덤 엑세스를 수행하여, 단말(2e-01)이 기지국(2e-03)에게 RRC 계층의 연결 요청 메시지(RRCSetupRequest)를 전송하고, 단말(2e-01)이 기지국(2e-03)으로부터 연결 메시지(RRCSetup)를 수신하며, 이에 대한 확인 메시지(RRCSetupComplete)를 단말(2e-01)이 기지국(2e-03)에게 전송하는 절차를 포함한다.
이후, 기지국(2e-03)은 단말(2e-01)의 능력에 따라, 단말(2e-01)에게 각종 설정을 내려줄 수 있다(2e-13). 상기 설정에는 현재 PCell과 더불어 SCell을 추가(혹은 해지)할 수 있다. 만약 SCell을 추가로 설정해주는 경우, 각 SCell에 대한 채널 상태 보고 주기에 대해, 최대 3개의 주기를 설정해줄 수 있으며, 활성화에서 사용되는 짧은 주기, 활성화에서 사용되는 긴(혹은 일반) 주기, 그리고 휴면 상태에서 보고하는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SCell에서의 상태 천이를 위한 타이머들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에는 활성화 상태에서 만료 시 비활성화 상태로 가는 sCellDeactivationTimer, 활성화 상태에서 만료 시 휴면 모드 상태로 가는 sCellHibernationTimer, 휴면 모드 상태에서 만료 시 비활성화 상태로 가는 dormantSCellDeactivationTim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설정 메시지를 받은 후 단말(2e-01)은 확인 메시지를 기지국(2e-03)에게 전송한다(2e-15). 만약 기지국(2e-03)이 SCell을 설정 할 때, 휴면 모드 상태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 sCellDeactivationTimer를 설정하고, 만약 휴면 모드 상태를 지원하는 경우에는, sCellDeactivationTimer를 설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활성화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의 데이터 송수신이 없는 경우에 휴면 모드로 천이 시키고 이후에 다시 비활성화 상태로 천이시키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SCell의 경우에는 활성화 시키기 위해서, SCell Activation/Deactivation MAC CE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기지국(2e-03)은 단말(2e-01)에게 해당 MAC CE를 전송하여 (2e-13) 단계에서 설정한 SCell에 대해서 활성화 혹은 비활성화를 시킬 수 있다(2e-17). 혹은 상기 RRC 메시지(2e-13)를 사용하여 시작부터 활성화 상태 혹은 휴면 상태를 지시할 수도 있다.
본 시나리오에서는 기지국(2e-03)이 단말(2e-01)에게 휴면 상태 SCell도 지원하는 시나리오를 가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SCell이 활성화되면, 단말(2e-01)은 설정된 sCellDeactivationTimer와 sCellHibernationTimer를 시작한다(2e-19)(2e-23).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2e-03)은 이러한 시나리오에서는 sCellDeactivationTimer를 설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2e-01)은 sCellHibernationTimer만을 시작한다.
이후, 해당 SCell에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혹은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을 수신한 경우, 혹은 다른 PCell/SCell에서 해당 SCell을 위한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혹은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을 수신한 경우, 혹은 해당 SCell의 설정된 하향링크 혹은 설정된 상향링크에서 데이터 송수신이 있는 경우, 단말(2e-01)은 sCellDeactivationTimer 및 sCellHibernationTimer를 재시작한다.
이후, 상기의 activity가 없어서 sCellHibernationTimer가 만료되는 경우(2e-21), 만약 해당 SCell에 sCellDeactivationTimer가 설정되었다면 단말(2e-01)은 이를 중단 시킨다(2e-25). 또한, 상기 sCellHibernationTimer 가 만료되면, 단말(2e-01)은 설정받은 dormantSCellDeactivationTimer를 시작한다(2e-27). 이에 따라, 단말(2e-01)은 해당 SCell이 휴면 상태에 있다고 간주하며, 채널 상태 보고 시 휴면 상태에서 수행하는 주기로 채널 상태를 보고한다.
이후, 단말(2e-01)이 기지국(2e-03)으로부터 SCell Activation/Deactivation MAC CE 메시지를 통해(혹은 RRC 메시지를 통해), 상기 dormantSCellDeactivationTimer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활성화 혹은 휴면 모드 상태를 지시받지 못한 경우(2e-29), 단말(2e-01)은 해당 SCell을 비활성화 시키고 비활성화 시에 수행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동작에는 전술한 '비활성화 상태(Inactive)에서 수행하는 동작'의 내용이 포함된다.
한편, 상기 절차에서는 상세히 기술하지 않았으나, CSI를 보고하는 주기에 대해서 추가로 기술하고자 한다. 즉, 상기 설명한 동작에서도 아래에 기술하는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이 된다. 이를 위해 기지국(2e-03)이 다시 (상기 절차에 따라 비활성화되어 있던) SCell 1을 활성화 하는 시나리오를 고려할 수 있다(2e-31). 즉, 단말(2e-01)은 기지국(2e-03)으로부터 SCell Activation/Deactivation MAC CE 메시지를 통해 SCell 1의 활성화를 지시받는다. 이 때 해당 SCell에 대해서는 활성화 시 사용하는 짧은 CSI 보고 주기가 설정이 된 경우를 가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단말(2e-01)은 소정의 시간 동안 짧은 주기로 CSI를 보고하다가, 해당 시간 이후에 긴/일반 주기로 CSI를 보고한다(2e-33). 상기 소정의 시간은 예를 들어 활성화 명령을 받은 시점(n 서브프레임)부터, 활성화 명령을 처리하여 처음 적용할 수 있는 적용하는 시점(예를 들어, n+8 서브프레임)부터 소정의 시점까지(예를 들어, n+34 서브프레임까지)를 칭할 수 있다.
또한, SCell 1이 활성화 되어 있는 상태에서, 단말(2e-01)은 기지국(2e-03)으로부터 SCell Activation/Deactivation MAC CE 메시지를 통해 SCell 1의 (재)활성화 및 SCell 2의 활성화를 지시받는다(2e-31). 이 때, SCell 1의 경우 이미 활성화 되어 있는 상태이었기 때문에, 짧은 주기가 설정되어 있었다 하더라도 굳이 짧은 주기를 사용하여 보고하지 않고 긴/일반 주기로 기지국(2e-03)에게 CSI를 보고한다. 하지만, SCell2의 경우, 비활성화 상태에 있었었으므로, 만약 short CSI가 설정된 경우, 단말(2e-0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시간 동안은 짧은 주기로 보고한다(2e-35).
도 2f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 집적 기술을 사용시 SCell을 운용할 때의 SCell 상태 관리를 위한 단말의 동작 순서 예시 도면이다.
본 예시 도면에서 단말은 기지국에 접속을 수행하여 기지국으로 연결 설정을 수행한 후의 상황을 가정한다(2f-01).
이후,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각종 설정을 RRC 계층의 메시지로 수신할 수 있다(2f-03). 상기 설정에는 현재 PCell과 더불어 SCell을 추가(혹은 해지)하는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해당 SCell에 활성화/비활성화 모드에 더불어, 휴면 모드를 사용할지 여부를 추가로 설정받을 수 있으며, 전술한 휴면 모드 동작 관련 타이머를 추가로 설정받을 수 있다. 상기 타이머에는 활성화 상태에서 만료 시 비활성화 상태로 가는 sCellDeactivationTimer, 활성화 상태에서 만료 시 휴면 모드 상태로 가는 sCellHibernationTimer, 휴면 모드 상태에서 만료 시 비활성화 상태로 가는 dormantSCellDeactivationTimer 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셀 별 채널 상태 보고를 위해, PCell에 대해서는 하나의 CSI 보고 주기를 설정 받을 수 있으며, 만약 SCell을 추가로 설정해주는 경우, 각 SCell 별로 최대 3개의 CSI 보고 주기를 설정받을 수 있다. 상기 3개의 주기는, 활성화 상태에서 사용되는 짧은 주기, 활성화 상태에서 사용되는 긴(혹은 일반) 주기, 그리고 휴면 상태에서 보고하는 주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설정에는 해당 SCell의 초기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SCell을 설정함과 동시에 활성화 시킬 수 있으며, 혹은 휴면 모드로 동작시키게 할 수 있다.
상기 설정 메시지를 받은 후 단말은 확인 메시지를 RRC 계층의 메시지로 기지국에게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RRC 계층의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SCell의 초기화 상태를 활성화 혹은 휴면 모드로 받았거나, 혹은 별도의 SCell Activation/Deactivation MAC CE 메시지를 통해 SCell의 상태를 활성화 혹은 휴면 모드로 설정받은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2f-05).
만약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SCell을 활성화하라고 지시받은 경우, 단말은 설정된 sCellDeactivationTimer와 sCellHibernationTimer를 시작하고, 전술한 '활성화 상태(Active)에서 수행하는 동작'을 수행한다(2f-07).
이후, 해당 SCell에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혹은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을 수신한 경우, 혹은 다른 PCell/SCell에서 해당 SCell을 위한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혹은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을 수신한 경우, 혹은 해당 SCell의 설정된 하향링크 혹은 설정된 상향링크에서 데이터 송수신이 있는 경우, 단말은 sCellDeactivationTimer 및 sCellHibernationTimer를 재시작한다.
이후, 상기의 activity가 없어서 sCellHibernationTimer가 만료되는 경우(2f-09), 만약 해당 SCell에 sCellDeactivationTimer가 설정되었다면 이를 중단 시킨다. 또한, 상기 sCellHibernationTimer가 만료되면, 단말은 설정받은 dormantSCellDeactivationTimer를 시작하고, 전술한 '휴면 상태(Dormant)에서 수행하는 동작'을 수행한다(2f-11). 즉, 이에 따라, 단말은 해당 SCell이 휴면 상태에 있다고 간주하며, 채널 상태 보고 시 휴면 상태에서 수행하는 주기로 채널 상태를 보고한다.
이후,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SCell Activation/Deactivation MAC CE 메시지를 통해(혹은 RRC 메시지를 통해), 상기 dormantSCellDeactivationTimer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활성화 혹은 휴면 모드 상태를 지시받지 못한 경우(2f-13), 단말은 해당 SCell을 비활성화 시키고, 전술한 '비활성화 상태(Inactive)에서 수행하는 동작'을 수행한다(2f-15).
도 2g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 집적 기술을 사용시 SCell을 운용할 때의 CSI 보고를 위한 단말의 동작 순서 예시 도면이다.
본 예시 도면에서 단말은 기지국에 접속을 수행하여 기지국으로 연결 설정을 수행한 후의 상황을 가정한다(2g-01).
이후,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각종 설정을 RRC 계층의 메시지로 수신할 수 있다(2g-03). 상기 설정에는 현재 PCell과 더불어 SCell을 추가(혹은 해지)하는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해당 SCell에 활성화/비활성화 모드에 더불어, 휴면 모드를 사용할지 여부를 추가로 설정받을 수 있으며, 전술한 휴면 모드 동작 관련 타이머를 추가로 설정받을 수 있다. 상기 타이머에는 활성화 상태에서 만료 시 비활성화 상태로 가는 sCellDeactivationTimer, 활성화 상태에서 만료 시 휴면 모드 상태로 가는 sCellHibernationTimer, 휴면 모드 상태에서 만료 시 비활성화 상태로 가는 dormantSCellDeactivationTimer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셀 별 채널 상태 보고를 위해, PCell에 대해서는 하나의 CSI 보고 주기를 설정 받을 수 있으며, 만약 SCell을 추가로 설정해주는 경우, 각 SCell 별로 최대 3개의 CSI 보고 주기를 설정받을 수 있다. 상기 3개의 주기는, 활성화에서 사용되는 짧은 주기, 활성화에서 사용되는 긴(혹은 일반) 주기, 그리고 휴면 상태에서 보고하는 주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설정에는 해당 SCell의 초기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SCell을 설정함과 동시에 활성화 시킬 수 있으며, 혹은 휴면 모드로 동작시키게 할 수 있다.
상기 설정 메시지를 받은 후 단말은 확인 메시지를 RRC 계층의 메시지로 기지국에게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RRC 계층의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SCell의 초기화 상태를 활성화 혹은 휴면 모드로 받았거나, 혹은 별도의 SCell Activation/Deactivation MAC CE 메시지를 통해 SCell의 상태를 활성화 혹은 휴면 모드로 설정받은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2f-05).
만약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SCell을 활성화하라고 지시받은 경우, 해당 SCell이 이전에 비활성화 혹은 휴면 모드 상태로 동작하였던 경우(2g-07), 그리고 만약 단말에 활성화 시 짧은 주기로 보고하도록 설정된 경우, 단말은 소정의 시간 동안 짧은 주기로 CSI를 보고 수행한다(2g-09). 상기 소정의 시간은 예를 들어 활성화 명령을 받은 시점(n 서브프레임)부터, 활성화 명령을 처리하여 처음 적용할 수 있는 적용하는 시점(예를 들어, n+8 서브프레임)부터 소정의 시점까지(예를 들어, n+34 서브프레임까지)를 칭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시간 이후에는(2g-11), 단말은 긴/일반 주기로 CSI를 보고한다(2g-13).
만약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SCell을 활성화하라고 지시받은 경우, 하지만 짧은 주기로 보고하도록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단말은 긴/일반 주기로 CSI를 보고한다(2g-13).
한편, 만약,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활성화 되어 있던 SCell에 대해 SCell Activation/Deactivation MAC CE 메시지를 통해 다시 활성화 하도록 지시를 받은 경우에는(2g-07), 단말은 짧은 주기가 설정되어 있었다 하더라도 긴/일반 주기로 CSI를 보고한다(2g-13).
또한, 만약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SCell을 휴면 모드 상태로 동작하라고 지시받은 경우, 단말은 휴면 모드에서의 보고 주기 설정 정보에 따라 채널 상태를 기지국으로 보고한다(2g-15).
도 2h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2h를 참고하면, 상기 단말은 RF(Radio Frequency) 처리부(2h-10), 기저대역(baseband) 처리부(2h-20), 저장부(2h-30), 제어부(2h-40)를 포함한다.
상기 RF처리부(2h-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RF처리부(2h-1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2h-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RF처리부(2h-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2h에서,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상기 단말은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처리부(2h-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RF처리부(2h-10)는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빔포밍을 위해, 상기 RF처리부(2h-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element)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2h-2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2h-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2h-20)은 상기 RF처리부(2h-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예를 들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2h-2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상기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 및 CP(cyclic prefix)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2h-20)은 상기 RF처리부(2h-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2h-20) 및 상기 RF처리부(2h-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기저대역처리부(2h-20) 및 상기 RF처리부(2h-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또는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기저대역처리부(2h-20) 및 상기 RF처리부(2h-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다수의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2h-20) 및 상기 RF처리부(2h-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서로 다른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들은 무선 랜(예: IEEE 802.11), 셀룰러 망(예: L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들은 극고단파(SHF:super high frequency)(예: 2.5GHz, 5Ghz) 대역, mm파(millimeter wave)(예: 60GHz)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h-30)는 상기 단말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상기 저장부(2h-30)는 무선랜 접속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랜 노드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2h-30)는 상기 제어부(2h-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2h-40)는 상기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h-4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2h-20) 및 상기 RF처리부(2h-1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h-40)는 상기 저장부(2h-4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2h-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h-40)는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및 응용 프로그램 등 상위 계층을 제어하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2h-40)는 다중 연결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다중연결처리부(2h-4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h-40)는 상기 단말이 상기 도 2e에 도시된 단말의 동작에 도시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2h-40)는 기지국의 지시에 따라 설정된 SCell에서 활성화/휴면모드/비활성화 동작을 수행하고, 상태를 천이하도록 지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도 2i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2i을 참고하면, 상기 기지국은 RF처리부(2i-10), 기저대역처리부(2i-20), 백홀통신부(2i-30), 저장부(2i-40), 제어부(2i-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RF처리부(2i-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RF처리부(2i-1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2i-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RF처리부(2i-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 오실레이터, DAC,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상기 제1접속 노드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처리부(2i-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RF처리부(2i-10)는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빔포밍을 위해, 상기 RF처리부(2i-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RF 처리부는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전송함으로써 하향 MIMO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2i-20)는 제1무선 접속 기술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2i-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2i-20)은 상기 RF처리부(2i-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예를 들어, OFDM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2i-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상기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 연산 및 CP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2i-20)은 상기 RF처리부(2i-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2i-20) 및 상기 RF처리부(2i-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기저대역처리부(2i-20) 및 상기 RF처리부(2i-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통신부 또는 무선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백홀통신부(2i-30)는 네트워크 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상기 백홀통신부(2i-30)는 상기 주기지국에서 다른 노드, 예를 들어, 보조기지국, 코어망 등으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한다.
상기 저장부(2i-40)는 상기 주기지국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상기 저장부(2i-40)는 접속된 단말에 할당된 베어러에 대한 정보, 접속된 단말로부터 보고된 측정 결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2i-40)는 단말에게 다중 연결을 제공하거나, 중단할지 여부의 판단 기준이 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2i-40)는 상기 제어부(2i-5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2i-50)는 상기 주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i-5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2i-20) 및 상기 RF처리부(2i-10)을 통해 또는 상기 백홀통신부(2i-3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i-50)는 상기 저장부(2i-4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2i-5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발명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보고의 주기에 대한 정보 및 동면(hibernation) 타이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SCell(secondary cell)에 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 상기 CSI 보고의 주기에 대한 정보는 제1 주기 및 제2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상기 SCell이 활성화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과정;
    상기 SCell이 활성화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동면 타이머를 시작하고, 상기 CSI 보고의 주기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주기 또는 상기 제2 주기에 기반하여 상기 CSI 보고를 수행하는 과정,
    상기 동면 타이머의 만료에 기반하여 상기 활성화 상태의 SCell에 대해 휴면(dormant) 상태로 진입하는 과정;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활성화 상태에서 휴면 상태로 진입한 SCell에 대한 활성화 명령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활성화 명령에 기반하여 상기 SCell에 대해 상기 휴면 상태로부터 상기 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는 과정; 및
    상기 활성화 상태의 SCell에 대해 상기 제2 주기에 기반하여 상기 CSI 보고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주기는 상기 제1 주기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Cell에 대해 상기 휴면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CSI 보고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휴면 SCell 비활성화 타이머의 만료에 기반하여 상기 SCell을 비활성화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휴면 SCell 비활성화 타이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SCell 비활성화 타이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SCell에 대해 상기 활성화 상태에 있는 동안, 상향링크 그랜트(grant) 또는 하향링크 할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동면 타이머 및 상기 SCell 비활성화 타이머는 재시작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 또는 MAC CE(medium access control control element)를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에게,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보고의 주기에 대한 정보 및 동면(hibernation) 타이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SCell(secondary cell)에 대한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 - 상기 CSI 보고의 주기에 대한 정보는 제1 주기 및 제2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상기 단말이 상기 SCell에 대해 휴면(dormant)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단말에게, 상기 SCell에 대한 활성화 명령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SCell이 활성화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동면 타이머가 시작되고, 상기 CSI 보고의 주기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주기 및 상기 제2 주기에 기반하여 상기 CSI 보고가 수행되고,
    상기 동면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활성화 상태의 SCell에 대해 상기 휴면 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활성화 명령에 기반하여 상기 활성화 상태에서 휴면 상태로 진입한 SCell이 상기 활성화 상태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활성화 상태의 SCell에 대해 상기 제2 주기에 기반하여 상기 CSI 보고가 수행되고,
    상기 제2 주기는 상기 제1 주기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SCell이 상기 휴면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CSI 보고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휴면 SCell 비활성화 타이머의 만료에 기반하여 상기 SCell은 비활성화 되고,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휴면 SCell 비활성화 타이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SCell 비활성화 타이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SCell이 상기 활성화 상태에 있는 동안, 상향링크 그랜트(grant) 또는 하향링크 할당이 상기 단말에게 전송되는 경우, 상기 동면 타이머 및 상기 SCell 비활성화 타이머는 재시작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 또는 MAC CE(medium access control control element)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부터,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보고의 주기에 대한 정보 및 동면(hibernation) 타이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SCell(secondary cell)에 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 상기 CSI 보고의 주기에 대한 정보는 제1 주기 및 제2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상기 SCell이 활성화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SCell이 활성화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동면 타이머를 시작하고, 상기 CSI 보고의 주기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주기 또는 상기 제2 주기에 기반하여 상기 CSI 보고를 수행하는 과정,
    상기 동면 타이머의 만료에 기반하여 상기 활성화 상태의 SCell에 대해 휴면(dormant) 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활성화 상태에서 휴면 상태로 진입한 SCell에 대한 활성화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활성화 명령에 기반하여 상기 SCell에 대해 상기 휴면 상태로부터 상기 활성화 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활성화 상태의 SCell에 대해 상기 제2 주기에 기반하여 상기 CSI 보고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주기는 상기 제1 주기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SCell에 대해 상기 휴면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CSI 보고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휴면 SCell 비활성화 타이머의 만료에 기반하여 상기 SCell을 비활성화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휴면 SCell 비활성화 타이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SCell 비활성화 타이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SCell에 대해 상기 활성화 상태에 있는 동안, 상향링크 그랜트(grant) 또는 하향링크 할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동면 타이머 및 상기 SCell 비활성화 타이머는 재시작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 또는 MAC CE(medium access control control element)를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에게,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보고의 주기에 대한 정보 및 동면(hibernation) 타이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SCell(secondary cell)에 대한 설정 정보를 전송하고 - 상기 CSI 보고의 주기에 대한 정보는 제1 주기 및 제2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상기 단말이 상기 SCell에 대해 휴면(dormant)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단말에게, 상기 SCell에 대한 활성화 명령을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SCell이 활성화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동면 타이머가 시작되고, 상기 CSI 보고의 주기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주기 및 상기 제2 주기에 기반하여 상기 CSI 보고가 수행되고,
    상기 동면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활성화 상태의 SCell에 대해 상기 휴면 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활성화 명령에 기반하여 상기 활성화 상태에서 휴면 상태로 진입한 SCell 이 상기 활성화 상태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활성화 상태의 SCell에 대해 상기 제2 주기에 기반하여 상기 CSI 보고가 수행되고,
    상기 제2 주기는 상기 제1 주기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SCell이 상기 휴면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CSI 보고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8. 제16항에 있어서,
    휴면 SCell 비활성화 타이머의 만료에 기반하여 상기 SCell은 비활성화 되고,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휴면 SCell 비활성화 타이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SCell 비활성화 타이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SCell이 상기 활성화 상태에 있는 동안, 상향링크 그랜트(grant) 또는 하향링크 할당이 상기 단말에게 전송되는 경우, 상기 동면 타이머 및 상기 SCell 비활성화 타이머는 재시작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 또는 MAC CE(medium access control control element)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190005375A 2019-01-15 2019-01-15 Dual Connectivity 지원 망에서 RRC_IDLE 상태 단말을 위한 SN(Secondary Node)에서의 V2X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102664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375A KR102664557B1 (ko) 2019-01-15 2019-01-15 Dual Connectivity 지원 망에서 RRC_IDLE 상태 단말을 위한 SN(Secondary Node)에서의 V2X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CN202080008423.1A CN113273283A (zh) 2019-01-15 2020-01-14 用于控制下一代移动通信系统中的辅小区的休眠状态的方法和装置
PCT/KR2020/000678 WO2020149612A1 (en) 2019-01-15 2020-01-14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ormant state of secondary cell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20742076.1A EP3834554A4 (en) 2019-01-15 2020-01-14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REST STATE OF A SECONDARY CELL IN A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6/744,098 US11503540B2 (en) 2019-01-15 2020-01-15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ormant state of secondary cell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375A KR102664557B1 (ko) 2019-01-15 2019-01-15 Dual Connectivity 지원 망에서 RRC_IDLE 상태 단말을 위한 SN(Secondary Node)에서의 V2X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721A KR20200088721A (ko) 2020-07-23
KR102664557B1 true KR102664557B1 (ko) 2024-05-10

Family

ID=71517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375A KR102664557B1 (ko) 2019-01-15 2019-01-15 Dual Connectivity 지원 망에서 RRC_IDLE 상태 단말을 위한 SN(Secondary Node)에서의 V2X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03540B2 (ko)
EP (1) EP3834554A4 (ko)
KR (1) KR102664557B1 (ko)
CN (1) CN113273283A (ko)
WO (1) WO20201496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53116A1 (en) * 2019-11-18 2021-05-20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ation for secondary cell dormancy indications
US11870734B2 (en) * 2020-07-09 2024-01-09 Qualcomm Incorporated Dormant bandwidth part (BWP) configuration for full-duplex operation
US11829315B2 (en) 2020-12-16 2023-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structure in which an insertable device is insertabl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230189137A1 (en) * 2021-12-14 2023-06-15 Qualcomm Incorporated Periodic reference signals in a power saving mod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293B1 (ko) 2011-02-21 2019-07-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집적 기술을 사용하는 시분할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부차반송파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방법 및 장치
JP6192288B2 (ja) * 2012-11-30 2017-09-06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局及び制御方法
US10721720B2 (en) * 2014-01-30 2020-07-21 Qualcomm Incorporated Cell On-Off procedure for dual connectivity
KR102367748B1 (ko) * 2014-05-08 2022-02-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중 연결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PSCell과 SCell의 활성화 방법 및 장치
US9961718B2 (en) * 2015-03-27 2018-05-01 Qualcomm Incorporated Discontinuous reception in LTE/LTE-A networks including contention-based frequency spectrum
CN107637121B (zh) * 2015-05-15 2021-04-06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在移动通信系统中发送或接收调度请求的方法和装置
US10375634B2 (en) * 2016-09-10 2019-08-06 Ofinno, Llc Deactivation timer management in a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US10791512B2 (en) * 2017-07-14 2020-09-29 Qualcomm Incorporated User equipment power consumption and secondary cell activation latency reduc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0012499B (zh) * 2018-01-04 2022-07-12 株式会社Kt 用于控制SCell状态的方法及其装置
US20200029316A1 (en) * 2018-07-19 2020-01-2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Resource Management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ing a Power Saving State
KR20210040036A (ko) * 2018-08-06 2021-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면허 대역들에서 셀 및 대역폭 파트 동작들
US11039480B2 (en) * 2018-08-09 2021-06-1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upplementary uplink for random access procedures
EP3845007A1 (en) * 2018-08-28 2021-07-07 Ofinno, LLC Uplink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490334B2 (en) * 2018-09-19 2022-11-01 Ofinno, Llc Power sav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3812185B (zh) * 2019-01-08 2022-07-29 欧芬诺有限责任公司 应用于多载波通信系统中的省电方法
CN111526566B (zh) * 2019-02-02 2021-09-24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Scg状态控制方法、装置、ue、mn、sn及介质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900911*
3GPP RP-1820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721A (ko) 2020-07-23
EP3834554A1 (en) 2021-06-16
WO2020149612A1 (en) 2020-07-23
CN113273283A (zh) 2021-08-17
US11503540B2 (en) 2022-11-15
EP3834554A4 (en) 2021-09-29
US20200229082A1 (en) 2020-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769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carrier aggregation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7667559B (zh) 在无线通信系统中使用不同的无线连接技术提供多连接的装置和方法
US101429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015036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bea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3166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artial frequency ban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664557B1 (ko) Dual Connectivity 지원 망에서 RRC_IDLE 상태 단말을 위한 SN(Secondary Node)에서의 V2X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US202103924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b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00032518A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의 선택된 plmn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TW202106102A (zh) Rrc狀態之間ue輔助的快速轉換
US119365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and reactivating SCell considering currently activated bandwidth part and bandwidth part configuration information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22534992A (ja) 拡張メークビフォアブレークハンドオーバ中の拡張ユーザ機器能力交換
US20220279427A1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10044152A (ko) 다중 연결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발열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119703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서비스에 harq를 적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30038037A1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beam failure detection resource during discontinuous reception set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40170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eat generation related information of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connections
US115036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1013788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bs 서비스 연속성을 위한 bwp 설정 방법 및 장치
WO2023060499A1 (en) Connection establishment and dual connectivity communications over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KR2023009547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단말의 위치 등록 절차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TW202249509A (zh) 用於無線通訊的接收器調整
KR2021014112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AC (Medium Access Control) 설정정보를 적용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09463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를 위한 QoS 설정 제어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128467A (ko) L2 릴레이 이동성을 위한 순방향 핸드오버 절차들
TW202325056A (zh) 用於多個用戶標識模組的動態數據機劃分技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