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424B1 -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424B1
KR102664424B1 KR1020227000701A KR20227000701A KR102664424B1 KR 102664424 B1 KR102664424 B1 KR 102664424B1 KR 1020227000701 A KR1020227000701 A KR 1020227000701A KR 20227000701 A KR20227000701 A KR 20227000701A KR 102664424 B1 KR102664424 B1 KR 102664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ortion
receptacle
channel
outlet
inhalable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0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4455A (ko
Inventor
마크 포터
다니엘 볼
Original Assignee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24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4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4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41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 A61M11/04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63Storages for pre-packed dos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olfactory feedback, i.e. sme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 Manufacture Of Tobacco Products (AREA)

Abstract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로서,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는 그 장치에 의해 생성된 흡입 가능 매질에 향미를 첨가하기 위한 향미 재료를 위한 리셉터클을 포함하며, 리셉터클은 향미 재료를 보유하기 위한 벽 부분(70)을 포함하며, 벽 부분은 공기흐름을 위한 복수의 개구부들 및 비-평면 구역(72)을 포함하며, 복수의 개구부들은 비-평면 구역에 배열된다.

Description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본 개시내용은 니코틴 전달 시스템들(예컨대, 전자 시가렛들 등)과 같은 증기 전달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전자 증기 전달 시스템들, 이를테면 전자 시가렛들(e-시가렛들)은 일반적으로 증기 전구체 재료, 이를테면 통상적으로 담배-기반 제품과 같은 고체 재료 또는 니코틴을 포함하여, 제제를 보유하는 소스 액체의 저장소를 보유하고, 그로부터 예컨대, 가열 증발(heat vaporisation)을 통해 사용자에 의한 흡입을 위한 증기가 생성된다. 따라서, 증기 전달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증기 생성 챔버를 포함할 것이며, 증기 생성 챔버는 그 증기 생성 챔버에서 증기를 생성하기 위해 전구체 재료의 일부분을 증발시키도록 배열되는 증발기, 예컨대, 가열 엘리먼트를 보유한다.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흡입하고 증발기에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공기가 유입구 홀들을 통해 디바이스내로 흡인되고 이어서 증기 생성 챔버내로 흡인되며, 증기 생성 챔버에서 공기는 증발된 전구체 재료와 혼합되어 응축 에어로졸을 형성한다. 증기 생성 챔버와 마우스피스의 개구부 사이에 흐름 경로가 존재하며, 따라서 증기 생성 챔버를 통해 흡인된 유입 공기는 흐름 경로를 따라 마우스피스 개구부로 계속 이동하여, 사용자가 흡입하도록 증기/응축 에어로졸의 일부를 그와 함께 마우스피스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운반한다. 일부 전자 시가렛들은 또한 추가적인 향미들을 첨가하기 위해 디바이스를 통하는 유동 경로에서 향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때때로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들로 지칭될 수 있고, 향미 재료는, 예컨대, 증기 생성 챔버와 마우스피스 사이의 공기 경로에 배열된 담배의 일부분을 포함하여, 디바이스들을 통해 흡인된 증기/응축 에어로졸은 사용자 흡입을 위해 마우스피스를 빠져 나가기 전에 담배의 일부분을 통과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배경기술로 US2017/319799A1(2017.11.09.공개)이 있다.
앞서 논의된 디바이스의 개선된 성능을 제공하도록 시도하는 다양한 접근법들이 본원에서 설명된다.
특정 실시예들의 제1 양상에 따르면,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장치는 그 장치에 의해 생성된 흡입 가능 매질에 향미를 첨가하기 위한 향미 재료를 위한 리셉터클을 포함하며, 리셉터클은 향미 재료를 보유하기 위한 벽 부분을 포함하며, 벽 부분은 공기흐름을 위한 복수의 개구부들 및 비-평면 구역을 포함하며, 복수의 개구부들은 비-평면 구역에 배열된다.
특정 실시예들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수단이 제공되며,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에 의해 생성된 흡입 가능 매질에 향미를 첨가하기 위한 향미 재료 수단을 위한 리셉터클 수단을 포함하며, 리셉터클 수단은 향미 재료 수단을 유지하기 위한 벽 부분 수단을 포함하며, 벽 부분 수단은 공기흐름을 위한 복수의 개구부 수단들 및 비-평면 구역을 포함하며, 복수의 개구부 수단들은 비-평면 구역에 배열된다.
특정 실시예들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생성된 흡입 가능 매질에 향미를 첨가하기 위한 향미 재료를 위한 리셉터클이 제공되며, 리셉터클은 향미 재료를 유지하기 위한 벽 부분을 포함하며, 벽 부분은 공기흐름을 위한 복수의 개구부들 및 비-평면 구역을 포함하며, 복수의 개구부들은 비-평면 구역에 배열된다.
특정 실시예들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생성된 흡입 가능 매질에 향미를 첨가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방법은 흡입 가능 매질에 향미를 첨가하기 위한 향미 재료를 위한 리셉터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리셉터클은 향미 재료를 보유하기 위한 벽 부분을 포함하며, 벽 부분은 공기흐름을 위한 복수의 개구부들 및 비-평면 구역을 포함하며, 복수의 개구부들은 비-평면 구역에 배열되며, 방법은 흡입 가능 매질에 향미를 첨가하기 위해 리셉터클을 통해 흡입 가능 매질을 통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이 제공되며,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는 그 장치에 의해 생성된 흡입 가능 매질에 향미를 첨가하기 위한 향미 재료를 위한 리셉터클을 포함하며, 리셉터클은 측면 벽 부분, 배출구 벽 부분 및 유입구 벽 부분을 포함하며, 측면 벽 부분은 향미 재료를 위한 공동을 정의하고, 유입구 벽 부분 및 배출구 벽 부분은 각각 공동을 통한 공기흐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들을 포함하며, 유입구 벽 부분 및 배출구 벽 부분은 유입구 벽 부분과 배출구 벽 부분 사이의 공동에 향미 재료를 압축하도록 측면 벽 부분에 장착된다.
특정 실시예들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생성된 흡입 가능 매질에 향미를 첨가하기 위한 향미 재료를 위한 리셉터클이 제공되며, 리셉터클은 측면 벽 부분, 배출구 벽 부분 및 유입구 벽 부분을 포함하며, 측면 벽 부분은 향미 재료를 위한 공동을 정의하며, 유입구 벽 부분 및 배출구 벽 부분은 각각 공동을 통한 공기흐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들을 포함하며, 유입구 벽 부분 및 배출구 벽 부분은 유입구 벽 부분과 배출구 벽 부분 사이의 공동에 향미 재료를 압축하도록 측면 벽 부분에 장착된다.
특정 실시예들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며,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에 의해 생성된 흡입 가능 매질에 향미를 첨가하기 위한 향미 재료 수단을 위한 리셉터클 수단을 포함하며, 리셉터클 수단은 측면 벽 수단, 배출구 벽 수단 및 유입구 벽 수단을 포함하며, 측면 벽 수단은 향미 재료를 위한 공동을 정의하며, 유입구 벽 수단 및 배출구 벽 수단은 각각 공동을 통한 공기흐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들을 포함하며, 유입구 벽 수단 및 배출구 벽 수단은 유입구 벽 수단과 배출구 벽 수단 사이의 공동에 향미 재료를 압축하도록 측면 벽 수단에 장착된다.
특정 실시예들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생성된 흡입 가능 매질에 향미를 첨가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방법은 향미 재료를 위한 리셉터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리셉터클은 측면 벽 부분, 배출구 벽 부분 및 유입구 벽 부분을 포함하며, 측면 벽 부분은 향미 재료를 위한 공동을 정의하며, 유입구 벽 부분 및 배출구 벽 부분은 각각 공동을 통한 공기흐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들을 포함하며, 유입구 벽 부분 및 배출구 벽 부분은 유입구 벽 부분과 배출구 벽 부분 사이의 공동에 향미 재료를 압축하도록 측면 벽 부분에 장착되며, 방법은 흡입 가능 매질에 향미를 첨가하기 위해 리셉터클을 통해 흡입 가능 매질을 통과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생성된 흡입 가능 매질에 향미를 첨가하기 위한 향미 재료를 위한 리셉터클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리셉터클은 측면 벽 부분, 배출구 벽 부분 및 유입구 벽 부분을 포함하며, 측면 벽 부분은 향미 재료를 위한 공동을 정의하며, 유입구 벽 부분 및 배출구 벽 부분은 각각 공동을 통한 공기흐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들을 포함하며, 방법은 유입구 벽 부분 및 배출구 벽 부분 중 하나가 장착된 측면 벽 부분을 제공하는 단계; 공동에 향미 재료를 배치하는 단계; 및 유입구 벽 부분과 배출구 벽 부분 사이에 향미 재료를 압축하도록 유입구 벽 부분 및 배출구 벽 부분 중 다른 하나를 측면 벽 부분에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장치는 그 장치에 의해 생성된 흡입 가능 매질에 향미를 첨가하기 위한 향미 재료를 위한 리셉터클을 포함하며, 리셉터클은 마우스피스 부분, 측면 벽 부분, 및 마우스피스 부분에 있으며 공기흐름을 위한 복수의 개구부들을 갖는 배출구 벽 부분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마우스피스 부분, 측면 벽 부분 및 배출구 벽 부분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특정 실시예들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생성된 흡입 가능 매질에 향미를 첨가하기 위한 향미 재료를 위한 리셉터클이 제공되며, 리셉터클은 마우스피스 부분, 측면 벽 부분, 및 마우스피스 부분에 있으며 공기흐름을 위한 복수의 개구부들을 갖는 배출구 벽 부분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마우스피스 부분, 측면 벽 부분 및 배출구 벽 부분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특정 실시예들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에 의해 생성된 흡입 가능 매질에 향미를 첨가하기 위한 향미 재료 수단을 위한 리셉터클 수단을 포함하는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며, 리셉터클은 마우스피스 수단, 측면 벽 수단, 및 마우스피스 수단에 있으며 공기흐름을 위한 복수의 개구부 수단들을 갖는 배출구 벽 수단을 포함하는 하우징 수단을 포함하며, 마우스피스 수단, 측면 벽 수단 및 배출구 벽 수단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특정 실시예들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생성된 흡입 가능 매질에 향미를 첨가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방법은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생성된 흡입 가능 매질에 향미를 첨가하기 위한 향미 재료를 위한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리셉터클은 마우스피스 부분, 측면 벽 부분, 및 마우스피스 부분에 있으며 공기흐름을 위한 복수의 개구부들을 갖는 배출구 벽 부분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마우스피스 부분, 측면 벽 부분 및 배출구 벽 부분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방법은 흡입 가능 매질에 향미를 첨가하기 위해 리셉터클을 통해 흡입 가능 매질을 통과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생성된 흡입 가능 매질에 향미를 첨가하기 위한 향미 재료를 위한 리셉터클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방법은 마우스피스 부분, 측면 벽 부분, 및 마우스피스 부분에 있으며 공기흐름을 위한 복수의 개구부들을 갖는 배출구 벽 부분을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의 개개의 양상들 및 특징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전술한 단락들은 일반적인 서론으로 제공되었으며, 다음 청구항들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되지 않는다. 설명된 실시예들은, 추가 장점들과 함께, 첨부 도면들과 함께 취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할 때 가장 잘 이해될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단지 예시의 방식으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을 단면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리셉터클의 사시도들을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리셉터클의 사시도 및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추가 리셉터클의 사시도 및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5 내지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추가 예시적인 리셉터클들을 단면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4는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향미 재료를 포함하는 리셉터클을 단면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도 14의 예에 따른 리셉터클에 향미 재료를 충전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6은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향미 재료를 포함하는 리셉터클을 단면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7은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생성된 흡입 가능 매질에 향미를 첨가하기 위한 향미 재료를 위한 리셉터클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특정 예들 및 실시예들의 양상들 및 특징들이 본원에서 논의/설명된다. 특정 예들 및 실시예들의 일부 양상들 및 특징들은 통상적으로 구현될 수 있고 간략화를 위해 상세히 논의/설명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은 본원에 논의된 장치 및 방법들의 양상들 및 특징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특징들을 구현하기 위한 임의의 종래 기술들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e-시가렛들과 같은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들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는 증기 전달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 전반에 걸쳐, "e-시가렛 " 또는 "전자 시가렛"이라는 용어가 때때로 사용될 수 있지만, 이 용어는 증기 제공 시스템/디바이스,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디바이스, 증기 전달 시스템/ 디바이스, 전자 증기 전달 시스템/디바이스,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디바이스, 전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디바이스,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디바이스 및 전자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디바이스와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더욱이,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증기” 및 "에어로졸"이라는 용어들 및 "증발", "휘발” 및 "에어로졸화"와 같은 관련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들은,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종종 재사용 가능한 부분(제어 유닛으로서 또한 지칭됨) 및 교체 가능한/일회용 카트리지 부분(소모성 부분으로서 또한 지칭됨) 둘 모두를 포함하는 모듈식 조립체를 포함한다. 종종,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 부분은 에어로졸화 가능 재료 및 증발기를 포함할 것이며, 재사용 가능한 부분은 전력 공급 장치(예컨대, 충전식 배터리), 활성화 메커니즘(예컨대, 버튼 또는 퍼프 센서) 및 제어 회로부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상이한 부분들이 또한 기능성에 따라 추가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예컨대, 소위 하이브리드 디바이스의 경우에, 카트리지 부분은 또한 부가적인 향미 재료 또는 에어로졸 수정제(aerosol modifying agent)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향미 재료는 시스템의 다른 곳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에 향미를 추가하기 위해 삽입물("포드(pod)")로서 제공되는 담배의 일부일 수 있다. 향미 재료 또는 에어로졸 수정제는 사용 중에 에어로졸을 수정할 수 있는 물질일 수 있다. 작용제는 인체에 생리학적 또는 감각적 영향을 초래하는 방식으로 에어로졸을 수정할 수 있다. 예시적인 에어로졸 수정제들은 활성제(active)들, 향미제(flavourant)들 및 센세이트(sensate)들이다. 센세이트는 시원한 느낌 또는 시큼한 느낌과 같이 감각들을 통해 인지될 수 있는 관능적 느낌을 초래한다.
향미 재료는 제거가능할 수 있으며 따라서 향미 재료는 예컨대 향미를 변경하기 위해 교체될 수 있거나, 또는 향미 재료는 향미 재료의 사용 가능한 수명이 카트리지의 에어로졸 생성 컴포넌트들의 사용 가능한 수명보다 짧기 때문에 교체될 수 있다.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은 또한 종종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동작 상태 특성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같은 부가적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향미" 및 "향미제"라는 용어는 현지 규제들이 허용하는 경우, 성인 소비자들을 위한 제품에서 원하는 맛 또는 향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재료들을 지칭한다. 일부 예들에서, 향미 재료들은 담배 재료들, 또는 담배 추출물들 및/또는 니코틴을 포함하는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향미 재료들은 추출물(예를 들면, 감초(liquorice), 수국(hydrangea), 일본 흰수피 목련잎(Japanese white bark magnolia leaf), 캐모마일(chamomile), 호로파(fenugreek), 정향(clove), 멘톨(menthol), 일본 민트(Japanese mint), 애니시드(aniseed), 계피(cinnamon), 허브(herb), 노루발풀(wintergreen), 체리, 딸기, 복숭아, 사과, 드램보이(Dramboui), 버본(bourbon), 스카치(scotch), 위스키(whiskey), 스피어민트(spearmint), 페퍼민트(peppermint), 라벤더(lavender), 카더몬(cardamon), 셀러리(celery), 카스카릴라(cascarilla), 넛메그(nutmeg), 샌들우드(sandalwood), 베르가모트(bergamot), 제라늄(geranium), 허니 에센스(honey essence), 장미 오일(rose oil), 바닐라(vanilla), 레몬 오일(lemon oil), 오렌지 오일(orange oil), 계수나무(cassia), 캐러웨이(caraway), 꼬냑(cognac), 쟈스민(jasmine), 일랑일랑(ylang-ylang), 세이지(sage), 펜넬(fennel), 피망(piment), 생강(ginger), 아니스(anise), 코리앤더(coriander), 커피, 또는 박하(Mentha) 속의 임의의 종으로부터의 박하유(mint oil)), 향미 향상제, 쓴맛 수용체 부위 차단제, 감각 수용체 부위 활성화제 또는 자극제, 당 및/또는 당 대용물(예컨대, 수크랄로스, 아세설팜 포타슘(acesulfame potassium), 아스파탐, 사카린, 시클라메이트(cyclamates), 락토스, 수크로스, 글루코스, 프룩토스, 소르비톨, 또는 만니톨), 및 다른 첨가물, 이를테면 숯, 엽록소, 무기물, 보태니컬(botanical), 또는 호흡 청결제(breath freshening agents)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인조, 합성 또는 천연 성분들 또는 이들의 블렌드들일 수 있다.
모듈식 디바이스들의 경우에, 카트리지 및 제어 유닛은 예컨대 적절하게 맞물리는 전기 접촉부들과 함께 나사산, 래칭 또는 바요넷 픽싱을 사용하여 사용을 위해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함께 커플링될 수 있다. 카트리지의 증기 전구체 재료가 고갈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상이한 증기 전구체 재료를 가진 상이한 카트리지로 전환하기를 원할 때, 카트리지는 제어 유닛으로부터 제거되고 그 위치에 교체 카트리지가 부착될 수 있다.
멀티-부분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들이 일반적으로 세장형인 형상을 갖는 것이 비교적 일반적이며, 구체적인 예를 제공하기 위해, 본원에서 설명되는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은 에어로졸화 가능 재료, 향미 첨가 매질, 및 사용 동안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는 응축 에어로졸을 형성하기 위해 에어로졸화 가능 재료를 증발시키기 위한 전기 히터를 포함하는 일회용 카트리지들을 사용하는 일반적으로 세장형인 멀티-부분 디바이스를 포함하도록 취해질 것이다. 이러한 증기 전달 시스템들은 예컨대 하이브리드 시스템들 또는 하이브리드 e-시가렛들로 불릴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향미 재료 삽입물 그 자체는 일회용 카트리지 부분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따라서 향미 재료 삽입물은 예컨대 향미를 변경하기 위해 카트리지 또는 재사용 가능한 부분과 별도로 교체될 수 있거나, 또는 향미 재료 삽입물은 향미 재료 삽입물의 사용 가능한 수명이 카트리지의 증기 생성 컴포넌트들의 사용 가능한 수명과 상이하기 때문에 카트리지 또는 재사용 가능한 부분과 별도로 교체될 수 있다. 향미 재료 삽입물은 리셉터클 내에 보유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 전반에 걸쳐, "포드", "리셉터클", "컨테이너" 또는 "삽입물"이라는 용어들이 때때로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일부 예들에서, 포드는 재사용가능할 수 있고, 사용자는 향미 재료 삽입물을 교체하기 위해 포드 내의 향미 재료 삽입물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포드는 일회용일 수 있고, 사용자가 향미 재료 삽입물에 접근하거나 이를 교체하려고 시도하지 못하게 한다. 포드를 사용하면, 예컨대 공기흐름 경로 내에서 향미 재료 삽입물의 최적 포지셔닝을 보장함으로써 그리고/또는 향미 재료 삽입물의 속성들(예컨대, 부피, 일관성(consistency), 밀도 등)을 제한함으로써 향상된 사용자 경험이 제공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본 원리들은 예컨대 전형적으로, 더 박스형인 형상을 갖는 소위 박스-모드(box-mod) 고성능 디바이스들 또는 더 작은 폼-팩터 디바이스들, 이를테면 소위 포드-모드(pod-mod) 디바이스들에 기반하여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들의 상이한 구성들, 예컨대 다른 전체 형상들에 부합하는 디바이스들에 대해 동일하게 채택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더 일반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이러한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들의 다른 양상들의 특정 포맷에 관계없이 본원에서 설명되는 원리들을 통합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들에 기반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e-시가렛(1)에 대한 단면도이다. e-시가렛(1)은 3개의 주요 컴포넌트들, 즉 재사용 가능한 부분(2), 교체 가능한/일회용 카트리지 부분(4) 및 착탈식 리셉터클과 같은 향미 첨가 수단(8)을 포함하며, 향미 첨가 수단(8)은 삽입물 하우징내에 제공되는 향미제 재료(36)(예컨대, 분쇄, 재구성 또는 압출된 담배)의 일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예가 멀티-부분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라는 사실은 본질적으로 본원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디바이스 활성화 기능성에 있어서 직접적으로 중요한 것은 아니다.
정상 사용시, 재사용 가능 부분(2) 및 카트리지 부분(4)은 인터페이스(6)에서 함께 해제가능하게 커플링된다. 카트리지 부분이 모두 비워질 때 (즉, 카트리지 부분의 액체와 같은 에어로졸화 가능 재료가 고갈되거나 실질적으로 고갈될 때), 또는 사용자가 단순히 상이한 카트리지 부분으로 전환하기를 원할 때, 카트리지 부분은 재사용 가능 부분으로부터 제거되고 교체 카트리지 부분이 그 위치에서 재사용 가능한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6)는 2개의 부분들 사이에 구조적, 전기적 및 공기 경로 연결을 제공하며, 종래의 기술들에 따라, 예컨대 2개의 부분들 사이에 적절하게 전기적 연결 및 공기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적절하게 배열된 전기 접촉부들 및 개구부들과 함께 나사산, 래치 메커니즘 또는 바요넷 픽싱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카트리지 부분(4)이 재사용 가능 부분(2)에 기계적으로 장착되게 하는 특정 방식은 본원에서 설명된 원리들에 대해 중요하지는 않지만, 구체적인 예를 위해, 예컨대 카트리지의 일부분이 공동 래치 맞물림 엘리먼트들(도 1에 표현되지 않음)을 사용하여 재사용 가능 부분의 대응하는 리셉터클에 수용되게하는 래칭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원에서 가정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인터페이스(6)는 개개의 부분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인식될 것이다. 예컨대, 일부 구현들에서, 증발기는 카트리지 부분에서 보다는 재사용 가능 부분에 의해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재사용 가능 부분으로부터 카트리지 부분으로의 전력의 전달은 (예컨대, 전자기 유도에 기반하여)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재사용 가능 부분과 카트리지 부분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카트리지 부분(4)은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광범위하게 통상적일 수 있다. 도 1에서, 카트리지 부분(4)은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 카트리지 하우징(42)을 포함한다. 카트리지 하우징(42)은 카트리지 부분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지지하고 재사용 가능 부분(2)과 함께 기계적 인터페이스(6)를 제공한다. 카트리지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세로축을 중심으로 원형 대칭적이며, 이 세로축을 따라 카트리지 부분이 재사용 가능 부분(2)에 커플링된다. 이러한 예에서, 카트리지 부분은 길이가 약 4cm이고 직경이 약 3cm이다. 그러나, 특정한 기하학적 구조, 그리고 보다 일반적으로 사용된 전체 형상들 및 재료들이 상이한 구현들에서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카트리지 하우징(42) 내에는 액체 증기 전구체 재료를 보유하는 저장소(44)가 있다. 액체 증기 전구체 재료는 통상적일 수 있고, e-액체로서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액체 저장소(44)는 카트리지 하우징(42)에 의해 정의되는 외부 벽 및 카트리지 부분(4)을 통과하는 공기 경로(52)를 정의하는 내부 카트리지 벽(58)을 갖는 환형 형상을 갖는다. 저장소(44)는 e-액체를 보유하기 위해 각각의 단부에서 단부 벽들에 의해 폐쇄된다. 저장소(44)는 종래의 기술들에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카트리지 하우징(42)과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정상 사용시, 카트리지 부분(4) 및 리셉터클(8)은 인터페이스(10)에서 함께 해제가능하게 커플링된다. 리셉터클(8) 내의 향미제 재료(36)가 고갈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단순히 상이한 리셉터클 및/또는 향미제 재료로 전환하기를 원할 때, 리셉터클은 카트리지 부분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향미제 재료는 리셉터클내에서 교체될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리셉터클이 그 위치에서 카트리지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10)는 2개의 부분들 사이에 구조적 및 공기 경로 연결을 제공하며, 종래의 기술들에 따라, 예컨대 2개의 부분들 사이에 적절하게 전기적 연결 및 공기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적절하게 배열된 전기 접촉부들 및 개구부들과 함께 나사산, 래치 메커니즘 또는 바요넷 픽싱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카트리지 부분(4)이 리셉터클(8)에 기계적으로 장착되게 하는 특정 방식은 본원에서 설명된 원리들에 대해 중요하지는 않지만, 이들 및 다른 예들에서, 리셉터클(8)의 유지 및 포지셔닝은 마찰로 인한 것일 수 있고 그리고/또는 공기 경로(52) 내의 클립들, 레지(ledge)들 및 다른 피처들에 의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예컨대, 리셉터클(8)의 삽입 부분(38)은 제어 유닛(2)에 커플링되는 카트리지(4)의 단부에 대향하는 공기 경로(52)의 개방 단부에 제공된 수용 부분(54)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삽입 부분(38) 및/또는 수용 부분(54)은 카트리지 부분(4) 내의 리셉터클(8)의 마찰로 인한 유지를 돕기 위해 표면 돌출부들(예컨대, 범프들 또는 리지(ridge)들)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인터페이스(10)는 개개의 부분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지원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인식될 것이다. 예컨대, 리셉터클(8)은 향미제 재료(36)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리셉터클(8)은 향미제(36)가 하우징되거나 또는 보유될 수 있는 채널 또는 공동(34)을 정의하는 하우징 또는 측면 벽 부분(32)을 포함한다. 리셉터클(8)을 위한 측면 벽 부분(32)은 또한 2개의 개방 단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정상 사용시, 공기 또는 다른 흡입 가능 매질은 사용 중에 공기 경로(52)를 따라 흡인되는 공기가 향미제 재료(36)를 통과하여 사용자 흡입을 위해 마우스피스 배출구(50)(즉, 애퍼처(aperture) 또는 개구부)를 통해 리셉터클을 빠져나가기 전에 향미들(예컨대, 담배 향미들)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예컨대, 버프(puff) 동안) 공동의 한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로 흐를 수 있다. 향미제(36)를 유지하거나 또는 포지셔닝하기 위해, 리셉터클은 채널 유입구 벽 부분(40)(즉, 하부 또는 상류 벽) 및 채널 벽 부분(32)에 장착된 채널 배출구 벽 부분(70)(즉, 상부 또는 하류 벽)을 포함하여, 채널 유입구 벽 부분(40) 및 채널 배출구 벽 부분(70)의 각각은 각각 개방 단부들을 덮을 수 있다. 채널 유입구 벽 부분(40) 및 채널 배출구 벽 부분(70)의 각각은 공기흐름을 위한 복수의 홀들, 개구부들 또는 애퍼처들을 갖는다. 예컨대, 채널 유입구 벽 부분(40) 및 채널 배출구 벽 부분(70)은 메쉬(mesh), 천공된 벽 부분 또는 통기성 스크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채널 유입구 벽 부분(40) 및 채널 배출구 벽 부분(70)은 채널 벽 부분(34)의 양 단부들 쪽에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채널 벽 부분(34)의 단부들에 포지셔닝될 수 있거나, 또는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채널 벽 부분(34)의 단부로부터 끼워 넣어지게 포지셔닝될 수 있다(예컨대, 채널 벽 부분(34)의 길이의 2% 내지 20% 정도 그리고 바람직하게 채널 벽 부분(34)의 길이의 5% 내지 15% 정도 끼워 넣어지게 포지셔닝될 수 있다).
채널 유입구 벽 부분(40)(즉, 하부 또는 상류 벽) 및 채널 배출구 벽 부분(70)(즉, 상부 또는 하류 벽)은 채널 벽 부분(32)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채널 벽 배출구 부분(70)에 고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교체 가능하게 장착된다는 것은, 필요한 경우 (예컨대, 리셉터클(8)을 교체하거나 또는 리셉터클(8)에 향미 재료를 다시 충전할 수 있도록) 벽 부분들이 분리될 수 있도록 리셉터클(8)이 구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정적으로 장착된다는 것은, 벽 부분들이 분리될 수 없도록 리셉터클(8)이 구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어느 분리는 리셉터클(8)의 컴포넌트를 파괴하는 것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하나의 벽 부분(예컨대, 유입구 벽 부분(40))이 측면 벽 부분(32)에 고정적으로 장착되고 다른 벽 부분(예컨대, 배출구 벽 부분(70))이 측면 벽 부분(32)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유입구 벽 부분(40) 및/또는 배출구 벽 부분(70)은 특정 맞물림 메커니즘에 의해, 예컨대 래치; 바요넷; 푸시 핏(push fit); 및 스레드 연결(threaded connection)을 사용하여 측면 벽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측면 벽 부분(32)은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대응하는 피처들을 가질 수 있다. 래치, 바요넷, 푸시 핏 및 스레드 연결의 사용이 전형적으로 가역적 맞물림 메커니즘들을 나타낸다는 것이 인식되는 반면에, 고정 장착 또는 맞물림을 생성하기 위해, 영구적인 본딩을 생성하도록 맞물림 메커니즘을 통해 먼저 연결을 수행한 후 접착 본딩 및/또는 초음파 용접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초음파 용접, 접착 본딩 또는 다른 방법은 앞서 설명된 맞물림 메커니즘들 중 임의의 메커니즘 없이 벽 부분들(40, 70)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측면 벽 부분(32)에 고정적으로 장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다른 예들에서, 벽 부분들(40, 70) 중 하나는 측면 벽 부분(32)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벽 부분들(40, 70) 중 선택된 하나가 본질적으로 측면 벽 부분(32)에 고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유입구 벽 부분(40) 또는 배출구 벽 부분(70)을 장착하는 다른 방법들이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채널 유입구 벽 부분(40) 및 채널 배출구 벽 부분(70)은 반드시 리셉터클(8)의 중심 지점에 대해 대칭적으로 포지셔닝될 필요는 없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일부 예들에서, 채널 유입구 벽 부분(40) 및 채널 배출구 벽 부분(70)은 실질적으로 서로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유입구 벽 부분(40)은 평평한 형상 또는 평면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반면에, 채널 배출구 벽 부분(70)은 곡선형 형상 또는 비-평면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채널 유입구 벽 부분(40) 및 채널 배출구 벽 부분(70)은 상이한 재료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채널 유입구 벽 부분(40)은 금속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채널 배출구 벽 부분(70)은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일부 예들에서, 채널 유입구 벽 부분(40) 및/또는 채널 배출구 벽 부분(70)은 측면 벽 부분(32)과 동일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채널 유입구 벽 부분(40) 및/또는 채널 배출구 벽 부분(70)은 측면 벽 부분(32)과 동일한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채널 유입구 벽 부분(40) 또는 채널 배출구 벽 부분(70) 중 하나는 (예컨대, 컴포넌트들을 일체형으로 몰딩함으로써) 리셉터클 측면 벽 부분(32)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리셉터클 측면 벽 부분(32), 채널 유입구 벽 부분(40) 및/또는 채널 배출구 벽 부분(70)은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거나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재료들은 코폴리에스테르(Tritan),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탈아미드(Grivory) 및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리셉터클(8)의 측면 벽 부분(32)은 마우스피스 엘리먼트를 정의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통합할 수 있다. 예컨대, 측면 벽 부분(32)은 사용 중에 사용자의 입술에 의한 밀봉 형성을 돕도록 형상화된 외부 표면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마우스피스는 리셉터클(8)의 하류에 부착될 수 있다(도시안됨).
카트리지 부분은 심지(46) 및 히터(증발기)(48)를 더 포함하며, 이들은 리셉터클(8)에 대향하는 저장소(44)의 단부쪽에 위치한다. 이러한 예에서, 심지(46)는 카트리지 공기 경로(52)를 가로로 횡단하여 연장되고, 심지(46)의 단부들은 e-액체의 저장소(44)의 내부 벽의 개구부들을 통해 저장소(44)내로 연장된다. 저장소(44)의 내부 벽의 개구부들은 심지를 과도하게 압축하지 않으면서 (심지의 과도한 압축은 유체 전달 성능에 해로울 수 있음) 액체 저장소로부터 카트리지 공기 경로로의 누출에 대해 적당한 밀봉을 제공하기 위해 심지(46)의 치수들과 대체로 매칭되도록 하는 크기를 갖는다.
심지(46) 및 히터(48)는 심지(46) 및 히터(48) 주위의 카트리지 공기 경로(52)의 구역이 사실상 카트리지 부분에 대한 증기 생성 구역 또는 증발 구역을 정의하도록 카트리지 공기 경로(52)에 배열된다. 저장소(44)의 e-액체는 저장소(44)내로 연장되는 심지의 단부들을 통해 심지(46)에 스며들며, 표면 장력/모세관 작용(capillary action)(즉, 위킹(wicking))에 의해 심지를 따라 흡인된다. 이 예에서 히터(48)는 심지(46) 주위에 감겨진 전기 저항 와이어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히터(48)는 니켈 크롬 합금(Cr20Ni80) 와이어를 포함하고 심지(46)는 유리 섬유 다발을 포함하지만, 특정 증발기 구성은 본원에서 설명된 원리들에 대해 중요하지는 않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사용시, 전력이 히터(48)에 공급되어, 심지(46)에 의해 히터(48) 부근으로 흡인되는 일정 양의 e-액체(증기 전구체 재료)가 증발될 수 있다. 이후, 증발된 e-액체는 카트리지 공기 경로를 따라 흡인되는 공기에 비말동반되어, 증발 구역으로부터 리셉터클(8)의 채널 벽 부분(34)을 통과하고 사용자 흡입을 위해 마우스피스 배출구(50) 밖으로 이동된다.
증발기(히터)(48)에 의해 e-액체가 증발되는 레이트(rate)는 사용 중에 히터(48)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레벨)에 의존할 것이다. 따라서, 카트리지 부분(4)의 e-액체로부터 증기를 선택적으로 생성하기 위해 전력이 히터에 인가될 수 있고, 더욱이 증기 생성 레이트는 예컨대, 펄스 폭 및/또는 주파수 변조 기술들을 통해 히터(48)에 공급되는 전력양을 변경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증기 전달 시스템 기능의 다양한 양상들이 기능을 하는 특정 방식들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예들의 기초가 되는 원리들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는다. 예컨대,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이 액체 증기 전구체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전기 히터 기반 증발기를 갖는 디바이스들에 주로 집중하였지만, 다른 기술들에 기반한 증발기들, 예컨대 압전 진동기 기반 증발기들 또는 광학 가열 증발기들, 및 또한 다른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들, 예컨대 고체 재료들, 이를테면 식물 유도 재료(plant derived material)들, 이를테면 담배 파생 재료들, 또는 다른 형태들의 증기 전구체 재료들, 이를테면 겔, 페이스트 또는 발포체 기반 증기 전구체 재료들에 기반한 디바이스들에 따라 동일한 원리들이 채택될 수 있다.
재사용 가능 부분(2)은 e-시가렛을 위한 공기 유입구(28)를 정의하는 개구부를 갖는 외부 하우징(12), 전자 시가렛에 동작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26), 전자 시가렛의 동작을 제어 및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어 회로부(20), 사용자 입력 버튼(14), 본 예에서 압력 센서 챔버(18)에 위치한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흡입 센서(퍼프 검출기)(16), 및 시각적 디스플레이(24)를 포함한다.
외부 하우징(12)은 예컨대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예에서, 인터페이스(6)에서 2개의 부분들 간의 원활한 전환을 제공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카트리지 부분(4)의 형상 및 크기에 따르는 원형 단면적을 갖는다. 이 예에서, 재사용 가능 부분은 길이가 약 6cm이며, 따라서 카트리지 부분과 재사용 가능 부분이 함께 커플링될 때 e-시가렛의 전체 길이는 약 10cm이다. 그러나 (그리고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전자 시가렛의 전체 형상 및 스케일이 본원에서 설명되는 원리들에 대해 중요하지는 않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공기 유입구(28)는 재사용 가능 부분(2)을 통해 공기 경로(30)에 연결된다. 차례로, 재사용 가능 부분(2) 및 카트리지 부분(4)이 함께 연결될 때 재사용 가능 부분의 공기 경로(30)는 인터페이스(6)를 가로질러 카트리지 공기 경로(52)에 연결된다. 압력 센서(16)를 포함하는 압력 센서 챔버(18)는 재사용 가능 부분(2)의 공기 경로(30)와 유체 연통한다(즉, 압력 센서 챔버(18)는 재사용 가능 부분(2)의 공기 경로(30)로부터 분기된다(branch off)). 따라서, 사용자가 마우스피스 개구부(50)를 통해 흡입할 때, 압력 센서(16)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압력 센서 챔버(18)에서의 압력의 강하가 있으며, 또한 공기는 공기 유입구(28)를 통해 내부로 흡인되어, 재사용 가능 부분의 공기 경로(30)를 따라 인터페이스(6)를 가로지르며, (증발기가 활성일 때 증발된 e-액체가 공기흐름에 비말동반되는 경우) 분무기(48) 부근의 증기 생성 구역을 통해, 카트리지 공기 경로(52)를 따라서 사용자 흡입을 위해 마우스피스 개구부(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예에서 배터리(26)는 재충전가능하고, 예컨대 비교적 짧은 기간들 동안 비교적 높은 전류들의 제공을 필요로 하는 전자 시가렛들 및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류의 통상적인 타입일 수 있다. 배터리(26)는 재사용 가능 부분 하우징(12)의 충전 커넥터, 예컨대 USB 커넥터를 통해 재충전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사용자 입력 버튼(14)은 예컨대 전기 접촉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스프링 장착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종래의 기계식 버튼이다. 이와 관련하여, 입력 버튼은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수동 입력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으나, 버튼이 구현되는 구체적인 방식은 중요하지 않다. 예컨대, 상이하기 형태들의 기계식 버튼 또는 터치-감응 버튼(예컨대, 용량성 또는 광학적 감지 기술들에 기반함)이 다른 구현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버튼이 구현되는 특정 방식은 예컨대 원하는 미적 외관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4)는 전자 시가렛과 연관된 다양한 특성들, 예컨대 현재 전력 세팅 정보, 잔여 배터리 전력 등의 시각적 표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제공된다. 디스플레이는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디스플레이(24)는 종래 기술들에 따라 원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동될 수 있는 종래의 픽셀화된 LCD 스크린을 포함한다. 다른 구현들에서, 디스플레이는 예컨대 특정 색상들 및/또는 플래시 시퀀스들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배열된 하나 이상의 개별 표시기들, 예컨대 LED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더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가 제공되고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방식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원리들에 대해 중요하지는 않다. 일부 실시예들은 시각적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예컨대 오디오 시그널링 또는 햅틱 피드백을 사용하여 전자 시가렛의 동작 특성들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다른 수단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전자 시가렛의 동작 특성들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어떠한 수단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어 회로부(20)는 전자 시가렛의 동작을 제어하여, 본원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같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능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기 위해 설정된 기술들에 따라 전자 시가렛의 종래의 동작 기능들을 제공하도록 적절하게 구성/프로그래밍된다. 제어 회로부(프로세서 회로부)(20)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원리들에 따른 전자 시가렛의 동작의 상이한 양상들 및 전자 시가렛들, 이를테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부 및 사용자 입력 검출의 다른 종래의 동작 양상들과 연관된 다양한 서브-유닛들/회로부 엘리먼트들을 논리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제어 회로부(20)의 기능성이 예컨대 원하는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적절하게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 가능 컴퓨터(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적절하게 구성된 주문형 집적 회로(들)/회로부/칩(들)/칩셋(들)을 사용하여 다양한 상이한 방식들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이 예에서 증기 전달 시스템(1)은 사용자 입력 버튼(14) 및 흡입 센서(16)를 포함한다. 제어 회로부(20)는 흡입 센서(16)로부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이러한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전자 시가렛을 흡입하고 있는지를 결정하고, 또한 입력 버튼(14)으로부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이러한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입력 버튼을 누르고 있는지(즉, 활성화하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자 시가렛의 동작의 이러한 양상들(즉, 퍼프 검출 및 버튼 누름 검출)은 원래, 설정된 기술들에 따라 (예컨대, 종래의 흡입 센서 및 흡입 센서 신호 프로세싱 기술들을 사용하여 그리고 종래의 입력 버튼 및 입력 버튼 신호 프로세싱 기술들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증기 전달 시스템들은 사용자 입력 버튼(14) 및 흡입 센서(16) 중 하나만을 가질 수 있다. 추가 예들에서, 증기 전달 시스템은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에 따라 사용자 입력 버튼 또는 흡입 센서 어느 것도 갖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한 위치에서 공기 경로의 단면적은 그 위치에서 공기 경로의 중심축 또는 내측 축에 대해 수직하거나 가로지르는 평면의 면적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면적은 적어도 하나의 벽, 예컨대 내부 카트리지 벽(58) 또는 측면 벽 부분(32), 또는 다른 구조적 피처들에 의해 경계가 지정될 수 있다. 사용시, 공기는 공기 유입구(28)로부터 공기 배출구(50)를 향해 중심축의 방향으로 흐른다. 따라서, 단면적은 사용 중에 공기가 통과하여 흐를수 있게 하기 위해 이용가능한 가로 영역의 측정치를 제공한다. 일부 예들에서, 공기 경로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원형 형상, 타원형 형상, 다각형 형상 또는 둥근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공기 경로의 단면적은 그 위치에서의 형상의 면적이다. 일부 예들에서, 단면의 형상은 상이한 위치들에서 변경될 수 있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도 1의 예시적인 증기 전달 시스템에 따른 리셉터클의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리셉터클(8)은 측면 벽 부분(32)에 의해 형성된다. 측면 벽 부분(32)의 외부 표면은 카트리지 부분(4)(도시안됨)의 대응하는 수용 부분(54) 내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 가능한 부분(38) 및 마우스피스 배출구(50)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측면 벽 부분(32)은 마우스피스 배출구(50)에 인접하며 사용 중에 사용자의 입술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나팔 모양의 둥근(rounded) 형상을 갖는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예들에서, 측면 벽 부분(32)은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예컨대, 측면 벽 부분(32)은 둥근 표면들보다는 평평한 표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게다가, 다른 예들에서, 측면 벽 부분(32)은 나팔 모양이 아닐 수 있다.
측면 벽 부분(32)은 향미제(36)가 하우징되거나 보유될 수 있는 채널(34)을 정의한다. 리셉터클(8)에 대한 하우징은 또한 2개의 단부들을 포함하여 채널(34)의 유입구 및 배출구를 정의하여, 사용 중에 공기 경로(52)를 따라 흡인된 흡입 가능 매질(예컨대, 증기, 에어로졸 및/또는 공기)이 향미 재료(36)를 통과하게 하여 사용자 흡입을 위해 마우스피스 배출구(50)를 통해 리셉터클을 빠져나가기 전에 향미들(예컨대, 담배 향미들)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은 수용 부분(54)의 표면과의 접촉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돌출부들(64)을 제공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하우징은 또한 카트리지 부분으로부터 리셉터클(8)을 제거하거나 또는 카트리지 부분과 리셉터클(8)을 맞물리게 할 때 사용자가 잡기 위한 리세스(62)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2a, 도 2b 및 도 2c의 리셉터클(8)은 마우스피스, 측면 벽 부분(32) 및 배출구 벽 부분(70)을 포함하며, 이들은 단일의 일체형으로 형성된 컴포넌트로서 제공된다. 일체형으로 형성된 컴포넌트는 단일 몰드를 사용하여 마우스피스, 측면 벽 부분(32) 및 배출구 벽 부분(70)을 일체형으로 몰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컴포넌트는 사출 성형 또는 임의의 다른 종래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컴포넌트는 적절한 재료의 하향식 또는 상향식 3D 프린팅과 같은 적층 제조 프로세스(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는 캐스팅 프로세스가 사용될 수 있다.
배출구 벽 부분(70)은 배출구 벽 부분의 일측으로부터 배출구 벽 부분의 다른 측으로 공기가 통과할 수 있게 하는 복수의 홀들을 갖는다. 배출구 벽 부분(70)은 측면 벽 부분(32)에 의해 형성된 채널(34)의 마우스피스 배출구(50) 단부에 제공된다. 배출구 벽 부분(70)은 채널(34)의 단부로부터 약간 끼워 넣어질 수 있으며, 평면 표면을 정의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홀들은 평행한 바들의 시리즈(series) 또는 어레이를 제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평행한 바들의 제2 시리즈 또는 어레이는 홀들의 그리드 어레이를 제공하기 위해 평행한 바들의 제1 시리즈에 인접하여 역평행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바들의 제1 및 제2 시리즈는 규칙적으로 이격될 수 있고, 바들에 의해 정의된 홀들은 바들의 제1 및 제2 시리즈의 주기성에 따라 규칙적인 패턴(예컨대, 간격)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바들의 2개의 세트들 간의 각도는 홀들의 형상을 정의한다. 예컨대, 각도가 90o인 경우에 홀들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이 될 것이며, 각도가 90o보다 작은 경우에 홀들은 평행사변형이 될 것이다. 배출구 벽 부분에 상이한 형상의 홀들을 형성하기 위해 바들의 상이한 배열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이 정사각형들, 직사각형들 또는 평행사변형들로서 형상화된 홀들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일부 예들에서, 곡선형 평행 바들이 제공될 수 있다. 곡선형 평행 바들은 곡선형 에지들을 갖고 또한 바들이 교차하는 코너들을 갖는 홀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배출구 벽 부분(70)은 0.2mm 내지 1mm, 바람직하게는 0.3mm 내지 0.7mm, 가장 바람직하게는 0.4mm의 직경을 갖는 홀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예들에 따른 배출구 벽 부분(70)은 리셉터클(8) 내에 향미제 재료(예컨대, 유리된 담배(loose tobacco) 또는 담배 과립들)를 보유하면서 향미제 재료(36)에 증기가 스며들게 할 수 있다. 홀들의 바람직한 직경은 리셉터클(38) 내에 유지될 향미제 재료(36)의 크기 및 구성에 의존한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예컨대, 홀들의 크기 및 구성은 향미제 재료(36)가 단일 피스(piece)로서 제공되는지 또는 복수의 피스들로서 제공되는지 여부에 의존할 수 있으며, 피스 또는 피스들의 치수들에 기반할 수 있다. 향미제 재료(36)가 복수의 피스들로서 제공되는 예에서, 홀들의 크기는 복수의 피스들의 90%보다 작을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피스들의 95%보다 작을 수 있다.
측면 벽 부분(32)은 마우스피스 배출구 단부(50)에 대향하게 채널(34)의 단부 내에 채널 유입구 벽 부분(40)(도시안됨)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메커니즘(60)을 정의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유지 메커니즘은 채널(34) 내에 채널 유입구 벽 부분(40)을 유지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유지 메커니즘(60)은 삽입 후에 채널 유입구 벽 부분(40)이 채널(34)을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거나 달리 방지한다. 채널 배출구 벽 부분(70)의 존재로 인해 그리고/또는 정상사용시 채널(34)에 존재할 수 있는 향미 재료로 인해 채널 배출구 벽 부분(70)을 갖는 단부를 통해 채널 유입구 벽 부분(40)이 채널(34)에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된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메커니즘(60)은 복수의 탭(tab)들을 포함할 수 있다. 탭들은 채널(34)의 중심 쪽으로 내부로 향하도록 압력(선택적으로 열)의 인가시 위쪽으로 접히도록 구성된다. 사용시, 유입구 벽 부분(40)은 측면 벽 부분(32)에 의해 형성된 채널(34)내로 삽입되고 이후 유지 메커니즘(60)이 유입구 벽 부분 상류에서 채널(34)의 직경을 좁히도록 조절되어, 유입구 벽 부분(40)이 채널(34)을 빠져나가지 못하게 한다. 유입구 벽 부분(40)은 채널(34) 내로 삽입될 만큼 충분히 작지만 일단 맞물리고/활성화되고/수정되면 유지 메커니즘(60)에 의해 유지될 만큼 충분히 큰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예로서, 채널(34)의 하부 개구부는 단축 직경이 1.00cm이고 장축 직경이 2.00cm인 타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유지 메커니즘(60)의 탭들은 설명된 바와 같이 안쪽으로 접혀서 단축 직경이 0.80cm이고 장축 직경이 1.80cm인 타원형 형상을 갖는 애퍼처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예를 위해, 유입구 벽 부분(40)은 단축 직경이 약 0.95cm이고 장축 직경이 1.95cm인 타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들(도시안됨)에서, 유지 메커니즘(60)은 종래 기술들에 따라, 예컨대 나사산, 클립 또는 래치 메커니즘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유지 메커니즘(60)은 유입구 벽 부분(40)을 하우징에 접착하기 위해 접착제 또는 초음파 용접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도 2a,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탭들을 대신하거나 또는 이들에 부가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같이, 리셉터클(8)은 마우스피스, 채널(34)의 측면 벽들 및 배출구 벽 부분(70)을 정의하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단일 측면 벽 부분(32), 및 별도의 유입구 벽 부분(4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단순화된 제조 프로세스를 가능하게 하며, 이에 의해 복잡한 제조 프로세스로 많은 수의 컴포넌트들을 결합하는 것보다 오히려 채널(34)에 향미제 재료(36)가 제공된 후에 2개의 컴포넌트들(측면 벽 부분(32) 및 유입구 벽 부분(40))을 결합하는 것만이 필요하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예시적인 증기 전달 시스템(1)에 따른 리셉터클(8)을 도시한다. 도 3a는 리셉터클(8)의 사시도를 제공하는 반면에, 도 3b는 리셉터클(8)에 대한 단면도를 제공하며, 단면의 평면은 디바이스의 세로축에 수직이다. 도 2a, 도 2b 및 도 2c의 리셉터클(8)과 대조적으로, 도 3a 및 도 3b의 리셉터클(8)의 측면 벽 부분(32)은 액체를 수집하기 위한 액체 수집 영역을 정의하도록 형성된다. 도 2a,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것들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도 3a 및 도 3b의 양상들은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리셉터클에 보유되는 증기는 향미제 재료(36) 또는 채널(34)을 형성하는 측면 벽들상에 액체로서 응축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흡인하는 것을 중단할 때, 증기는 마우스피스 배출구(50)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멈추고 냉각되기 시작할 수 있다. 응축된 액체는 표면 장력으로 인해 리셉터클(8)의 벽들의 표면에 접착될 수 있다. 흡입 동안 액체가 사용자의 입 쪽으로 흡인될 수 있다. 액체는 예컨대 불투과성 벽으로 인해 액체의 흐름이 방해받는 구역들에서 수집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리세스 또는 트로프(trough)(90)로서 제공되는, 액체 수집 영역 또는 액체 수집 구역은 마우스피스 배출구(50)에 가깝게 채널(34)에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리세스(90)는 측면 벽 부분(32)과 배출구 벽 부분(70)의 교차부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리셉터클(8)(예컨대, 리셉터클(8)의 배출구 벽 부분(70))은 사용시 공기흐름 방향과 실질적으로 일직선인 리셉터클의 중심쪽에 함몰부(depression)를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흐름 방향은 리셉터클(8)의 세로축과 정렬될 수 있다. 함몰부는 리셉터클(8)의 중심 구역이 리셉터클(8)의 주변 구역보다 리셉터클(8)의 중심에 더 가깝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8)의 마우스피스 단부의 주변 구역은 마우스피스 배출구(50)를 정의할 수 있는 타원형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배출구 벽 부분(70)의 복수의 개구부들은 공기흐름 방향에 수직인 함몰부의 중심 구역의 평면 벽 부분에 제공될 수 있다. 함몰부는 내부 표면(즉, 리셉터클 내부를 향하는 상류 표면) 및 외부 표면(즉, 정상 사용시 사용자가 볼 수 있는 하류)을 갖는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90)는 측면 벽 부분(32) 및 채널 배출구 벽 부분(70)에 의해 형성된 트로프(예컨대, U-자 형상 트로프 또는 V-자 형상 트로프)로서 제공될 수 있다. 트로프를 형성하는 채널 배출구 벽 부분(70)의 부분은 복수의 개구부들 중 어느 것도 포함하지 않는 주변 구역을 형성하는 함몰부의 내부 표면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트로프 또는 리세스(90)는 측면 벽(34)과 채널 배출구 벽(90)의 교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배출구 벽 부분(70)의 일부는 90o 미만의 각도로 측면 벽(34)과 교차할 수 있다. 90o 미만의 각도를 가짐으로써, V-자 형상은 배출구 벽 부분(70) 및 측면 벽(34)에 의해 정의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다른 예들에서, 배출구 벽 부분(70)과 측면 벽(34) 사이의 교차부는 U-자 형상에 더 가까운 형상이 제공되도록 매끄럽게 또는 둥글게 될 수 있다. 추가 예들에서, 배출구 벽 부분(70) 및 측면 벽(34)은 U-자 형상 트로프가 제공되도록 평행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트로프 또는 리세스(90)가 많은 상이한 형태들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일부 예들에서, 트로프 또는 리세스(90)는 채널 배출구 벽 부분(70)과 측면 벽(34) 사이의 교차부의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배출구 벽 부분(70)의 둘레의 제2 길이는 제1 길이를 형성하지 않는 부분에 대해 90o 초과의 각도 또는 교차 각도를 가질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복수의 개구부들 중에서 제2 길이의 교차부에 인접한 개구부들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액체는 마우스피스 배출구(50)를 향해 실질적으로 방해받지 않고 흐를 수 있다. 이러한 예들에서, 액체 수집 영역은 세장형 구성을 갖는 트로프일 수 있거나 또는 그릇 형상에 가까운 리세스일 수 있다. 트로프 또는 리세스(90)를 둘러싸는 벽들의 곡률은 트로프 또는 리세스(90)를 향한 액체 응축액의 흐름을 촉진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트로프 또는 리세스(90)는 채널 배출구 벽 부분(70)과 측면 벽 부분(32) 사이의 교차부 전체 주위에 (다시 말해서, 채널 배출구 벽 부분(70)의 둘레 전체 주위에)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90)는 액체가 리세스(예컨대, 상류 측)에 들어가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일측이 개방되어 있다. 일부 예들에서, 리세스(90)는 전형적으로 공기흐름 방향에 평행하며 1mm 내지 5mm, 바람직하게는 2mm 내지 4mm, 가장 바람직하게는 3mm인 깊이를 가질 수 있다. 리세스는 0.2ml 내지 1ml, 바람직하게는 0.3ml 내지 0.5ml의 액체 부피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채널(34)은 하나 이상의 내부 액체 안내 리지들 또는 채널들(80)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지들 또는 채널들(80)은 리세스(90)를 향해 그리고/또는 복수의 개구부들로부터 멀리 리셉터클(8) 내의 액체를 이동시키는 것을 돕거나 촉진한다. 리지들 및 채널들이 액체 안내 피처들을 설명하기 위해 상호 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예컨대, 액체 안내 채널은 2개의 액체 안내 리지들의 대면 에지들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액체 안내 리지는 2개의 액체 안내 채널들의 대면 에지들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리지들 또는 채널들(80)은 전형적으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사용시 공기흐름 방향에 평행하게 제공된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예들에서, 측면 벽 부분(32)은 평행하지 않은 리지들 및 채널들(80)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다른 예들에서, 채널(34)은 곡선형인 리지들 및 채널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부분의 예들에서, 리지들 또는 채널들(80)은 리세스(90) 내에서 또는 리세스(90) 근처에서 종결된다. 곡선형 채널들은 리세스 또는 트로프(90)가 채널 배출구 벽 부분(70)의 일부 주위에만 제공되어 액체가 리세스 또는 트로프(90)로 안내될 수 있는 경우 유리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채널 배출구 벽 부분(70)에 인접한 측면 벽 부분(32)의 외부 표면은 외부 채널들(82)(즉, 리셉터클의 외부 표면 상의 채널들)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채널 배출구 벽 부분(70)에는 또한 채널들(80) 및/또는 외부 채널들(82)이 제공될 수 있다. 채널 배출구 벽 부분(70)의 액체 안내 채널들(80)은 또한 리세스 및/또는 트로프(90)를 향한 액체의 흐름 또는 이동을 촉진하거나 보조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예시적인 증기 전달 시스템(1)에 따른 리셉터클(8)을 도시한다. 도 4a는 리셉터클(8)의 사시도를 제공하는 반면에, 도 4b는 리셉터클(8)에 대한 단면도를 제공하며, 단면의 평면은 디바이스의 세로축에 수직이다. 도 3a 및 3b의 리셉터클(8)과 대조적으로, 도 4a 및 4b의 리셉터클(8)의 채널 배출구 벽 부분(70)은 리셉터클(8)의 비-평면 구역(72)에 형성되어, 채널 배출구 벽 부분(70)의 복수의 개구부들이 비-평면 표면상에 제공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것들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도 4a 및 도 4b의 양상들은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비-평면 구역(72)을 정의하도록 하우징(23)을 구성하는 것은 평면 구역과 대조적으로 증가된 표면적을 제공한다. 예컨대, 원형 표면은 의 표면적을 갖는 반면에 반구형 표면은 의 표면적을 갖는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3-차원 표면을 제공함으로써, 채널 배출구 벽 부분(70)의 표면적은 3차원의 표면의 범위에 따라 2차원 표면을 갖는 채널 배출구 벽에 대해 증가된다.
비-평면 구역(72)은 마우스피스 배출구(50)의 주변 구역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비-평면 구역(72)은 연속적 곡선형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비-평면 구역은 비-평면 구역 및 주변 구역이 그릇 형상 또는 오목 형상을 형성하도록 주변 구역의 경계들 내에서 연속적으로 구부러지는 표면을 정의할 수 있다. 비-평면 구역의 곡선형 표면은 다양할 수 있고, 곡률 반경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비-평면 구역(72)은 주변 구역에 더 가까울수록 더 큰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고 주변 구역에서 더 멀수록 더 작은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일부 예들에서, 비-평면 구역(72)은 제1 평면 및 제2 평면에서 상이한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피스 배출구(50)는 타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공기흐름 방향과 타원의 장축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에서의 곡률 반경은 공기흐름 방향과 타원의 단축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에서의 곡률 반경보다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다.
일부 예들에서, 비-평면 구역에 대한 곡률 반경은 0.3cm 내지 3.0cm, 0.3 내지 2.5cm, 0.3cm 내지 2.0cm, 0.3cm 내지 1.5cm 및 0.3cm 내지 1.0cm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범위를 가지며, 곡률 반경은 제1 평면에 있으며, 제1 평면은 정상 사용 중에 공기흐름 방향에 수직한다. 일부 예들에서, 제1 평면은 마우스피스 배출구(50)의 주변 부분의 형상의 축 뿐만아니라 공기흐름 방향의 축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형상의 축은 주변 부분에 의해 정의된 타원의 장축 또는 단축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상기 비-평면 구역에 대한 제2 곡률 반경은 0.3cm 내지 3.0cm, 0.3 내지 2.5cm, 0.3cm 내지 2.0cm, 0.3cm 내지 1.5cm 및 0.3cm 내지 1.0cm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범위를 가지며, 축에 대한 제2 곡률 반경은 정상 사용 중에 공기흐름 방향 및 제1 평면 둘 모두에 수직한다 (예컨대, 공기흐름 방향이 제1 축을 정의하며, 제1 평면에 대한 법선은 제2 축을 정의하며, 그리고 제3 축은 제1 및 제2 축에 수직하며, 제2 곡률 반경은 제3 축에 대해 정의된다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연속적으로 구부러진 표면의 제2 곡률 반경은 제2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무한하여, 비-평면 표면이 평평하거나 또는 정상 사용 중에 공기흐름 방향 및 제1 평면 둘 모두에 수직한 축에 대해 효과적으로 구부러지지 않는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도 5는 도 1의 예시적인 증기 전달 시스템(1)에 따른 리셉터클(8)에 대한 단면도를 제공하며, 단면의 평면은 디바이스의 세로축에 수직한다. 도 4b의 리셉터클(8)과 대조적으로, 측면 벽 부분(32)은 함몰부를 정의하지 않고, 대신에 도 5의 리셉터클(8)의 채널 배출구 벽 부분(70)의 비-평면 표면(72)은 리셉터클(8)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구부러진다. 도 4b에 도시된 양상들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도 5의 양상들은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리셉터클(8)의 마우스피스 배출구(50)는 리셉터클(8)의 내부 구역에 대해 볼록한 형상을 제공한다. 도 4a 및 4b와 유사하게, 비-평면 구역(72)을 정의하기 위한 측면 벽 부분(32)의 구성은 평면 구역과 대조적으로 증가된 표면적을 제공한다. 도 4a 및 도 4b와 대조적으로, 측면 벽 부분(32)은 리셉터클(8)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먼 중심 구역 및 중심 구역을 둘러싸는 주변 구역을 포함하는 마우스피스의 외부 표면을 정의한다. 주변 구역은 액체를 수집하기 위한 리세스(90) 및/또는 채널(34)의 단부에 거의 인접할 수 있다.
리세스(90)는 채널(34)의 둘레의 전체 또는 채널(34)의 둘레의 일부를 둘러싸는 트로프(예컨대, U-자 형상 트로프 또는 V-자 형상 트로프)로서 제공될 수 있다. 채널 배출구 벽 부분(70) 및 측면 벽 부분(32)의 교차부는 리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채널 배출구 벽 부분(70)은 리세스가 채널 배출구 벽 부분(70) 및 측면 벽 부분(32)에 의해 정의되도록 측면 벽 부분(32)에 일정 각도로 제공될 수 있으며, 리세스(90)는 일측이 개방되어 액체가 리세스에 유입될 수 있게 한다. 일부 예들에서, 리세스는 배출구 벽 부분(70) 또는 측면 벽 부분(32)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되는 추가 벽 피처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리세스(90)는 전형적으로 공기흐름 방향에 평행하며 1mm 내지 5mm, 바람직하게는 2mm 내지 4mm, 가장 바람직하게는 3mm인 깊이를 가질 수 있다. 리세스는 0.2ml 내지 1ml, 바람직하게는 0.3ml 내지 0.5ml의 액체 부피 용량을 가질 수 있다.
도 5에 따른 일부 예들에서, 비-평면 구역에 대한 곡률 반경은 0.3cm 내지 3.0cm, 0.3 내지 2.5cm, 0.3cm 내지 2.0cm, 0.3cm 내지 1.5cm 및 0.3cm 내지 1.0cm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범위를 가지며, 곡률 반경은 제1 평면에 있으며, 제1 평면은 정상 사용 중에 공기흐름 방향에 수직한다. 일부 예들에서, 제1 평면은 마우스피스 배출구(50)의 주변 부분의 형상의 축 뿐만아니라 공기흐름 방향의 축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형상의 축은 주변 부분에 의해 정의된 타원의 장축 또는 단축일 수 있다.
도 5에 따른 일부 예들에서, 상기 비-평면 구역에 대한 제2 곡률 반경은 0.3cm 내지 3.0cm, 0.3 내지 2.5cm, 0.3cm 내지 2.0cm, 0.3cm 내지 1.5cm 및 0.3cm 내지 1.0cm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범위를 가지며, 축에 대한 제2 곡률 반경은 정상 사용 중의 공기흐름 방향 및 제1 평면의 법선 둘 모두에 수직한다. 일부 예들에서 연속적으로 구부러진 표면의 제2 곡률 반경은 제2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무한하여, 비-평면 표면이 정상 사용 중에 공기흐름 방향 및 제1 평면의 법선 둘 모두에 수직한 축에 대해 효과적으로 구부러지지 않는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도 6은 도 1의 예시적인 증기 전달 시스템(1)에 따른 리셉터클(8)에 대한 단면도를 제공하며, 단면의 평면은 디바이스의 세로축에 수직한다. 도 4b의 리셉터클(8)과 대조적으로, 측면 벽 부분(32)은 액체를 수집하기 위한 리세스(90)를 형성하지 않는다. 도 4b에 도시된 양상들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도 6의 양상들은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6에서, 복수의 홀들을 갖는 비-평면 구역(72)은 액체를 수집하기 위한 리세스가 형성되지 않도록 채널(34)의 에지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복수의 홀들에 대해 더 큰 표면적이 제공된다. 게다가, 이는 채널(34) 전체에 걸친 공기의 보다 균일한 흐름을 가능하게 하고, 공기흐름이 중심 구역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예시적인 증기 전달 시스템(1)에 따른 리셉터클(8)에 대한 단면도를 제공하며, 단면의 평면은 디바이스의 세로축에 수직한다. 도 4b의 리셉터클(8)과 대조적으로, 리셉터클(8)은 측면 벽 부분(32), 마우스피스, 및 (배출구 벽 부분(70)보다는 오히려) 유입구 벽 부분(40)을 포함하며, 이들은 단일의 일체형으로 형성된 컴포넌트로서 형성된다. 도 4b에 도시된 양상들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도 6의 양상들은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앞의 예들과 유사하게, 일체형으로 형성된 컴포넌트는 단일 몰드를 사용하여 마우스피스, 측면 벽 부분 및 유입구 벽 부분(40)을 일체형으로 몰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컴포넌트는 사출 성형 또는 임의의 다른 종래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컴포넌트는 적절한 재료의 하향식 또는 상향식 3D 프린팅과 같은 적층 제조 프로세스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는 캐스팅 프로세스가 사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 벽 부분(40)은 복수의 홀들을 갖는 비-평면 구역(72)을 포함할 수 있다. 비-평면 구역(72)을 정의하도록 하우징(23)을 구성하는 것은 평면 구역과 대조적으로 증가된 표면적을 제공한다. 예컨대, 원형 표면은 의 표면적을 갖는 반면 반구형 표면은 의 표면적을 갖는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3-차원 표면을 제공함으로써, 채널 유입구 벽 부분(40)의 표면적은 3차원의 표면의 범위에 따라 2차원 표면을 갖고 2차원들을 공유하는 채널 유입구 벽에 대해 증가된다.
비-평면 구역(72)은 삽입 부분(38)의 베이스에서 주변 구역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비-평면 구역(72)은 연속적 곡선형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비-평면 구역은 비-평면 구역 및 주변 구역이 그릇 형상 또는 오목 형상을 형성하도록 주변 구역의 경계들 내에서 연속적으로 구부러지는 표면을 정의할 수 있다. 비-평면 구역의 곡선형 표면은 다양할 수 있고, 곡률 반경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비-평면 구역(72)은 주변 구역에 더 가까울수록 더 큰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고 주변 구역에서 더 멀수록 더 작은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일부 예들에서, 비-평면 구역(72)은 제1 평면 및 제2 평면에서 상이한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배출구 벽 부분(70)은 리셉터클(8)에 향미 재료(36)를 충전한후에 제공될 수 있다. 측면 벽 부분(32)은 채널 배출구 벽 부분(70)을 갖는 단부에 대향하게 채널(34)의 단부 내에 채널 배출구 벽 부분(70)(도시안됨)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메커니즘(60)을 정의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유지 메커니즘은 채널(34) 내에 채널 배출구 벽 부분(70)을 유지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유지 메커니즘(60)은 삽입 후에 채널 배출구 벽 부분(70)이 채널(34)을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거나 방지한다. 채널 유입구 벽 부분(40)의 존재로 인해 채널 유입구 벽 부분(40)을 갖는 단부에 의해 채널 배출구 벽 부분(70)이 채널(34)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도 2b 및 도 2c의 유지 메커니즘과 유사하게, 유지 메커니즘(60)은 복수의 탭들을 포함할 수 있다. 탭들은 채널(34)의 중심 쪽으로 내부로 향하도록 압력(선택적으로 열)의 인가시 위쪽으로 접히도록 구성된다. 사용시, 배출구 벽 부분(70)은 측면 벽 부분(32)에 의해 형성된 채널(34)에 삽입되고, 이후 유지 메커니즘(60)은 채널(34)의 직경을 좁히도록 조절되어, 배출구 벽 부분(70)이 채널(34)을 빠져나가지 못하게 한다. 배출구 벽 부분(70)은 채널(34) 내로 삽입될 만큼 충분히 작지만 유지 메커니즘(60)에 의해 유지될 만큼 충분히 큰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다른 예들(도시안됨)에서, 유지 메커니즘(60)은 종래 기술들에 따라, 예컨대 나사산, 클립 또는 래치 메커니즘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유지 메커니즘(60)은 유입구 벽 부분(40)을 하우징에 접착하기 위해 접착제 또는 초음파 용접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도 7에 도시된 탭들을 대신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예시적인 증기 전달 시스템(1)에 따른 리셉터클(8)에 대한 단면도를 제공하며, 단면의 평면은 디바이스의 세로축에 수직한다. 도 4b의 리셉터클(8)과 대조적으로, 복수의 홀들을 갖는 비-평면 구역(72)은 평면 또는 평평한 중심 구역(73) 및 곡선형 구역(74)을 포함한다. 도 4b에 도시된 양상들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도 8의 양상들은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비-평면 구역(72)의 예들은 평면 구역(73) 및 평면 구역(73)과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곡선형 인접 구역(7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구역(73)은 배출구 벽 부분(70)의 중심 부분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곡선형 구역(74)은 중심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거나 이와 접한다. 일부 예들에서, 평면 구역(73)은 비-평면 구역(72)의 중심 원형 또는 타원형 부분을 정의하고, 비-평면 인접 구역은 원형 또는 타원형 표면의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비-평면 표면을 정의한다. 예로서, 곡선형 인접 구역(74)은 평면 구역(73)의 중심 원형 부분을 둘러싸는 링일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평면 부분(73)은 다수의 에지를 갖는 다각형 형상을 갖는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예컨대, 표면은 정사각형일 수 있다). 곡선형 표면(74)은 평면 표면(73)의 에지로부터 연장된다. 제2 인접한 곡선형 표면(74)은 표면의 상이한 에지, 예컨대 표면의 대향 에지(즉, 정사각형의 평행한 에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인접한 곡선형 표면들 또는 부분들(74)은 서로 인접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인접한 곡선형 표면들(74)은 비-평면 구역(72)의 복수의 홀들 중 어느 것도 포함하지 않는 벽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배출구 벽 부분(70)의 중심 구역이 평면 또는 평평한 표면을 갖는 것으로 도 8의 예가 도시하지만, 다른 예들에서, 중심 구역은 곡선형 표면을 가질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인접한 구역들은 평평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배출구 벽 부분(70)은 특정 요건들에 따라 다양한 상이한 곡선형 표면 및 평면 표면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도 9는 도 1의 예시적인 증기 전달 시스템(1)에 따른 리셉터클(8)에 대한 단면도를 제공하며, 단면의 평면은 디바이스의 세로축에 수직한다. 도 4b의 리셉터클(8)과 대조적으로, 복수의 홀들을 갖는 비-평면 구역(72)은 복수의 평면 구역들(73)을 포함하고, 복수의 평면 구역들(73)의 각각은 복수의 평면 구역들(73)의 임의의 다른 표면과 평행하지 않은 법선을 갖는 표면을 정의한다. 도 4b에 도시된 양상들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도 9의 양상들은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일부 예들에서, 비-평면 부분(72)은 복수의 평면 부분들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평면 부분들의 각각은 다른 부분들의 표면들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들과 상이한 평면을 갖는 표면을 정의한다.
다른 예들에서, 평면 부분(73)은 다수의 에지를 갖는 다각형 형상을 갖는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예컨대, 표면은 정사각형일 수 있다). 인접한 곡선형 표면(74)은 표면의 에지로부터 연장된다. 제2 인접한 곡선형 표면(74)은 표면의 상이한 에지, 예컨대 표면의 대향 에지(즉, 정사각형의 평행한 에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인접한 곡선형 표면들(74)은 서로 인접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인접한 곡선형 표면들(74)은 비-평면 구역(72)의 복수의 홀들 중 어느 것도 포함하지 않는 벽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예시적인 리셉터클(8)에 따른 리셉터클(8)의 하향식 도면을 제공한다. 도 9에 도시된 양상들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도 10의 양상들은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하향식 도면은 정상 사용시 공기흐름 방향에 수직한 평면에 본 도면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하향식 도면은 리셉터클(8)의 세로축에 수직인 평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시된 예에서, 비-평면 부분(72)은 7개의 평면 부분들(73)의 세트를 포함한다. 중심 평면 부분은 육각형 형상을 갖는 표면을 정의한다. 다른 6개의 평면 부분들 중 하나가 육각형 중심 부분의 6개 측면들 각각으로부터 연장된다. 평면 부분들(73)의 각각은 중심 평면 부분으로부터 측면 벽 부분(32)에 의해 형성되는 마우스피스 배출구(50)의 에지로 연장되는 표면을 형성한다. 중심 부분을 둘러싸는 평면 부분들 각각의 평면들은 평면 부분들(73) 중 어느 것도 다른 평면 부분들(73) 중 임의의 부분의 법선과 평행한 법선을 정의하지 않도록 중심 부분에 대해 각을 이룬다.
일부 예들에서, 비-평면 구역(72)의 복수의 홀들은 평면 부분들(73) 각각 위에 규칙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평면 부분들(73) 중 하나 이상은 더 큰 홀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비-평면 구역(72)의 외측 주위의 평면 부분에 비해, 비-평면 표면의 중심에 제공되는 평면 부분(73)은 더 크거나 또는 더 작은 홀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예들에서, 비-평면 구역(72)을 제공하기 위해 평면 부분들(73)의 다른 배열들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예컨대, 중심 구역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거나, 또는 중심 구역은 상이한 수의 에지들, 예컨대 3개 내지 12개의 에지들을 가질 수 있다.
도 11은 도 8의 예시적인 리셉터클(8)에 따른 리셉터클(8)의 하향식 도면을 제공한다. 도 8에 도시된 양상들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도 11의 양상들은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하향식 도면은 정상 사용시 공기흐름 방향에 수직한 평면에서 본 도면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하향식 도면은 리셉터클(8)의 세로축에 수직인 평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비-평면 구역(72)의 복수의 홀들은 비-평면 구역(72)의 중심 주위에서 동심으로 배열될 수 있다. 비-평면 구역(72)의 중심은 디바이스를 통과하는 세로축의 중심일 수 있으며, 이 중심 주위에 적어도 하나의 대칭도가 존재한다. 일부 예들에서, 세로축은 또한 정상 사용시 공기흐름의 중심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홀들의 밀도는 비-평면 구역에 걸쳐 일정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홀들의 밀도는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의 예시적인 증기 전달 시스템(1)에 따른, 측면 벽 부분(32)의 일부분 및 마우스피스 배출구(50)의 단면도를 제공한다. 도 12의 특정 양상들은 앞선 도면들에 도시된 것들과 실질적으로 유사하고 다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12의 예시적인 마우스피스 배출구(50)는 비-평면 구역(72)의 복수의 홀들의 포지션을 도시한다. 앞서 언급된 바와같이, 배출구 벽 부분(70)은 배출구 벽의 일측으로부터 배출구 벽의 다른 측으로 공기가 통과할 수 있게 하는 복수의 홀들을 갖는다. 배출구 벽 부분(70)은 측면 벽 부분(32)에 의해 형성된 채널(34)의 마우스피스 배출구(50)의 단부에 제공된다. 배출구 벽 부분(70)은 채널(34)의 단부로부터 약간 끼워 넣어진다. 측면 벽 부분(32) 및 배출구 벽 부분(70)은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리세스(90)를 추가로 정의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 벽 부분(70)은 복수의 홀들 또는 개구부들(77)을 갖는 비-평면 구역(72)을 포함한다. 개구부들 각각은 리셉터클(8)의 세로축에 평행하게 제공된다. 세로축은 정상 동작시 리셉터클(8)을 통한 공기흐름 방향과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도 13은 도 1의 예시적인 증기 전달 시스템(1)에 따른, 측면 벽 부분(32)의 일부분 및 마우스피스 배출구(50)의 단면도를 제공한다. 도 13의 특정 양상들은 앞선 도면들에 도시된 양상들과 실질적으로 유사하고 다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13의 예시적인 마우스피스 배출구(50)는 비-평면 구역(72)의 복수의 홀들의 포지션을 도시한다. 앞서 언급된 바와같이, 배출구 벽 부분(70)은 배출구 벽의 일측으로부터 배출구 벽의 다른 측으로 공기가 통과할 수 있게 하는 복수의 홀들을 갖는다. 배출구 벽 부분(70)은 측면 벽 부분(32)에 의해 형성된 채널(34)의 마우스피스 배출구(50)의 단부에 제공된다. 배출구 벽 부분(70)은 채널(34)의 단부로부터 약간 끼워 넣어진다. 측면 벽 부분(32) 및 배출구 벽 부분(70)은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리세스(90)를 추가로 정의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 벽 부분(70)은 복수의 홀들 또는 개구부들(77)을 갖는 비-평면 구역(72)을 포함한다. 개구부들(77) 각각은 배출구 벽을 관통하는 보어(bore)를 포함하고, 보어는 개개의 개구부의 위치로서 비-평면 구역의 법선에 평행한 세로축을 갖는다. 이는 향미 재료(36)의 주변 구역들로부터의 공기의 흐름을 도울 수 있다.
도 14는 도 1의 예시적인 증기 전달 시스템(1)에 따른 리셉터클(8)에 대한 단면도를 제공하며, 단면의 평면은 리셉터클(8)의 세로축에 수직한다. 이전의 도면들에 도시된 양상들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도 14의 양상들은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측면 벽 부분(32)은 유입구 벽 부분(40)이 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선반(shelf) 또는 립(lip)(1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유입구 벽 부분(40)은 마우스피스 배출구(50)의 단부로부터 채널(34)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유입구 벽 부분(40)은 마우스피스 배출구(50)와 립(120) 사이의 채널(34) 내에서 이동할 수 있지만, 유입구 벽 부분(40)은 립(120)을 지나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유입구 벽 부분(40)은 립(120)을 사용하여 측면 벽 부분(32)에 장착될 수 있다.
립 또는 선반(120)은 채널(34)을 형성하는 측면 벽 부분(32)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립 또는 선반(120)은 채널 내에 유입구 벽을 유지하기 위해 유입구 벽 부분(40)의 이동을 차단하여 리셉터클(8) 내의 유입구 벽 부분(40)의 포지션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예들에서, 유입구 벽 부분(40)은 유입구 벽 부분(40)의 포지셔닝을 추가로 지지하기 위해 초음파 용접, 접착제 또는 임의의 다른 종래의 기술을 통해 측면 벽 부분(32)에 추가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측면 벽 부분(32) 및 유입구 벽 부분(40)은 예컨대 단일 몰드를 사용하는 사출 성형에 의해 또는 단일 컴포넌트를 3D 프린팅함으로써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예들에서, 리셉터클(8)은 립(110)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게다가, 도 14의 유입구 벽 부분(40)이 평면이거나 평평하지만, 다른 예들에서 유입구 벽 부분(40)은 비-평면일 수 있고, 예컨대 도 7 및 연관된 실시예들에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리셉터클(8)은 측면 벽 부분(32), 마우스피스 엘리먼트(110), 배출구 벽 부분(70) 및 유입구 벽 부분(40)을 포함한다. 마우스피스 엘리먼트(110)는 배출구 벽 부분(7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이에 연결된다. 예컨대, 마우스피스 엘리먼트(110)는 단일 몰드를 사용하여 배출구 벽 부분(7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마우스피스 엘리먼트(110) 및 배출구 벽 부분(70)은 초음파 용접, 접착제 또는 임의의 다른 종래의 기술을 통해 단일 컴포넌트를 형성하도록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연결될 수 있다. 리셉터클(8)은 향미 재료(36)가 제공될 수 있는 채널(34)을 정의하는 측면 벽 부분(32)을 포함한다.
도 14의 예에서, 배출구 벽 부분(70)은 (예컨대, 마우스피스 엘리먼트(110)를 측면 벽 부분(32)에 부착함으로써) 배출구 벽 부분(70)이 측면 벽 부분(32)에 부착될 때 리셉터클(8)의 채널(34)에 삽입되는 채널 삽입 부분(130)을 포함한다. 배출구 벽 부분(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삽입 부분(130)의 베이스에 제공될 수 있다. 채널 삽입 부분(130)은 채널 삽입 부분(130)이 삽입되는 채널(34)의 부분의 형상과 밀접하게 매칭되고 이 형상보다 약간 더 작은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어, 채널 삽입 부분(130)이 채널에 삽입될 때 채널 삽입 부분(130)이 채널(34)의 측면 벽들에 밀접하게 끼워맞춤된다 (즉, 채널 삽입 부분(130)은 억지 끼워맞춤되어 채널(34)의 측면 벽들과 단단히 끼워맞춤된다). 예로서, 채널 삽입 부분(130) 및 채널(34)은 원통형일 수 있으며, 채널 삽입 부분(130)의 직경은 채널(34)의 직경보다 단지 약간 작을 수 있다. 배출구 벽 부분(70)은 채널 삽입 부분(130)에 의해 형성된 원통을 덮는 원형 부분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채널(34) 및 채널 삽입 부분(130)의 구성은 채널(34)과 채널 삽입 부분(130) 사이의 밀착 끼워맞춤을 계속해서 가능하게 하면서 다양한 대응하는 형상들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게다가, 도 14의 배출구 벽 부분(70)이 평면이거나 평평하지만, 다른 예들에서 배출구 벽 부분(70)은 비-평면일 수 있고, 예컨대 도 4a, 도 4b, 도 5, 도 6, 및 도 8 내지 도 13 및 연관된 실시예들에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측면 벽 부분(32) 및 마우스피스 엘리먼트(110)는 함께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리셉터클(8) 내의 향미제 재료(36)가 고갈되거나 사용자가 단순히 상이한 향미제 재료로 전환하기를 원할 때, 마우스피스 엘리먼트(110)는 측면 벽 부분(3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향미제 재료(36)는 채널(34) 내에서 교체될 수 있다. 측면 벽 부분(32) 및 마우스피스 엘리먼트(110)는 두 부분 사이의 구조적 연결이 설정되도록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도 14의 예에서, 측면 벽 부분(32)에 대한 마우스피스 엘리먼트(110)의 유지는 래칭 엘리먼트들 또는 클립들(150), 및 래칭 엘리먼트들(150)의 부분들을 수용하기 위한 대응하는 래치 부재들(160)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마우스피스 엘리먼트(110)는 한 쌍의 래칭 엘리먼트들(150)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래칭 엘리먼트들(150)은 마우스피스 엘리먼트(110)의 각각의 측면에 하나씩 대향하여 배치된다. 래칭 엘리먼트(150)는 발 부분(152) 및 다리 부분(151)을 포함한다. 현재 예에서, 다리(151)는 실질적으로 긴 엘리먼트들이고, 발(152)은 다리(151)의 긴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90도로 다리(151)의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엘리먼트이다. 다리(151)의 유연성은 다리(151)에 외력이 가해질 때 마우스피스 엘리먼트(110)의 나머지 부분(이를테면, 채널 삽입 부분(130))에 대해 발(152)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다리(151)(및 결과적으로 발)의 이동은 레스트 포지션(rest position)으로부터 마우스피스 엘리먼트(110)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다리(151)의 각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힌지 이동으로 고려될 수 있다. 다리(151)의 탄성은 외력이 제거될 때 다리(151)의 원래 크기로 각도를 되돌려서, 래칭 엘리먼트의 보통의 형상을 유지한다.
래칭 엘리먼트(150)는 다리(151) 및 발(152)이 하우징의 상부면을 넘어 연장되도록 측면 벽 부분(32)에 고정된다. 다시 말해서, 측면 벽 부분(32)의 일부 및 적어도 다리(151)는 리셉터클(8)의 세로 방향에서 중첩된다. 래칭 엘리먼트(150)는 래치 부재(160) 내에 발 부분(152)을 단단히 고정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발 부분(152)은 일반적으로 래치 부재들(160)의 평면에 놓여 있다. 래치 부재(160)는 발 부분(152)을 수용하는 형상을 가지며, 예컨대 발 부분(152)이 삽입되는 측면 벽 부분(32)의 측면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래치 부재(160)의 돌출부들에 의해 형성되는 홀 또는 리세스가 존재한다. 예컨대, 측면 벽 부분(32)은 몰딩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강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성형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성형 부분들은 발 부분 주위에 맞물려서 그 발 부분을 하우징하여 이를 제자리에 유지한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예들에서, 마우스피스 엘리먼트(120)는 종래의 기술들에 따라, 예컨대 2개의 부분들 사이에 적절하게 공기 경로 및 전기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나사산, 래치 메커니즘, 또는 바요넷 픽싱 개구부들에 기반하여 측면 벽 부분(32)에 기계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발 부분(152)은 래칭 엘리먼트(150)를 통해 측면 벽 부분(32) 내로 부착된 나사들 또는 리벳들에 의해, 또는 하우징에 접착되거나 용접됨으로써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예들에서, 측면 벽 부분(32) 및 마우스피스 엘리먼트(110)는 함께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되도록 의도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도 14의 예시적인 리셉터클(8)에 따른 일련의 단면도들을 제공하며, 향미 재료를 리셉터클에 충전하고 측면 벽 부분(32)에 마우스피스 엘리먼트(110)를 부착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4에 도시된 양상들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도 15a 내지 도 15c의 양상들은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리셉터클(8)은 유입구 벽 부분(40)과 배출구 벽 부분(70) 사이의 채널(34)에 향미 재료(36)를 보유하도록 구성된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8)은 유입구 벽 부분(40)이 채널(34) 내에 제공된 후에 일정양의 향미 재료(36)로 실질적으로 충전되도록 의도된다. 유입구 벽 부분(40)은 예컨대 리셉터클(8) 및 립(120)의 배향으로 인해 (즉, 중력에 의해) 또는 임의의 다른 수단(예컨대, 접착제 또는 용접)에 의해 채널(34)에 유지될 수 있다. 그 다음에, 향미 재료(36)는 채널(34)의 개방된 배출구 단부를 통해 리셉터클(8) 내로 제공될 수 있다. 리셉터클(8)에 향미 재료(36)를 충전하는 것은 깔때기(170), 슈트(chute) 또는 향미 재료를 안내하기 위한 유사한 엘리먼트에 의해 보조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피스 엘리먼트(110)는 래칭 엘리먼트들(150) 및 대응하는 래치 부재들(160)에 의해 측면 벽 부분(32)에 부착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 엘리먼트(110)가 측면 벽 부분(32)에 부착될 때, 채널 삽입 부분(130)은 채널(34)에 삽입된다.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벽 부분(32)에 마우스피스 엘리먼트(110)의 부착은 채널 삽입 부분(130)이 채널(34) 내에서 향미 재료(36)를 압축하게 한다. 채널 삽입 부분(130)은 채널(34)의 측면 벽들, 유입구 벽 부분(40) 및 배출구 벽 부분(70)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 부피내의 빈 공간을 효과적으로 감소 또는 제거함으로써 향미 재료(36)를 압축할 수 있다. 리셉터클은 5% 내지 40%, 10% 내지 35%, 15% 내지 30%, 및 20% 내지 30%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범위 만큼 향미 재료의 압축되지 않은 부피에 대해 향미 재료를 압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유입구 벽 부분(40), 측면 벽 부분(32), 및 측면 벽들에 의해 정의된 채널의 배출구 단부의 개구부에 의해 정의되는 부피는 2cm3 내지 10cm3, 3cm3 내지 9cm3, 4cm3 내지 8cm3 및 5cm3 내지 8cm3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범위의 부피를 가질 수 있다. (마우스피스 엘리먼트(110)가 측면 벽 부분(32)에 부착될 때) 유입구 벽 부분(40), 측면 벽 부분(32) 및 배출구 벽 부분(70)에 의해 정의된 부피는 1cm3 내지 8cm3, 2cm3 내지 7cm3, 2.5cm3 내지 6cm3 및 3cm3 내지 5cm3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범위의 부피를 가질 수 있다. 게다가, 유입구 벽 부분(40), 측면 벽 부분(32), 및 측면 벽들에 의해 정의된 채널의 배출구 단부의 개구부에 의해 정의된 부피는 50% 내지 95%, 60% 내지 85%, 65% 내지 80%, 및 70% 내지 80%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범위의 향미 재료의 압축되지 않은 부피로 충전될 수 있다.
도 16은 도 1의 예시적인 증기 전달 시스템(1)에 따른 리셉터클(8)에 대한 단면도를 제공하며, 단면의 평면은 리셉터클(8)의 세로축에 수직한다. 도 14의 리셉터클과 대조적으로, 도 16의 리셉터클은 유입구 벽 부분(40) 및 래칭 엘리먼트(150)를 포함하는 부착 몸체(180)를 포함하며, 부착 몸체(180)는 측면 벽 부분(32)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전의 도면들에 도시된 양상들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도 16의 양상들은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리셉터클(8)은 측면 벽 부분(32), 배출구 벽 부분(70) 및 유입구 벽 부분(40)을 포함한다. 측면 벽 부분(32)은 마우스피스 배출구(50) 뿐만 아니라 향미 재료(36)가 제공될 수 있는 채널(34), 및 선택적으로 배출구 벽을 정의하도록 구성된다. 배출구 벽 부분(70)은 (예컨대, 초음파 용접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측면 벽 부분(32)에 별도로 부착될 수 있거나 또는 도 14에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립 피처를 사용하여 포지셔닝될 수 있다. 도 16의 리셉터클에 사용하기 위한 선반 또는 립(120)은 (유입구 벽이 아닌) 배출구 벽 부분(70)이 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출구 벽 부분(70)은 채널(34)의 유입구 단부와 립(120) 사이의 채널(34) 내에서 이동할 수 있지만, 배출구 벽 부분(70)은 립(120)을 지나서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측면 벽 부분(32) 및 배출구 벽 부분(70)(및 하우징의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은 예컨대 단일 몰드를 사용하는 사출 성형에 의해 또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다른 방법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면 벽 부분(32)은 또한 제어 유닛(2)에 커플링되는 카트리지(4)의 단부에 대향하게 공기 경로(52)의 개방 단부에 제공된 수용 부분(54)으로의 삽입을 위한 리셉터클(8)의 삽입 부분(38)을 정의할 수 있다. 삽입 부분은 측면 벽 부분(32) 및 배출구 벽 부분(7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도 14의 배출구 벽 부분(70)이 평면이거나 평평하지만, 다른 예들에서 배출구 벽 부분(70)은 비-평면일 수 있고, 예컨대 도 4a, 도 4b, 도 5, 도 6, 및 도 8 내지 도 13 및 연관된 실시예들에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16의 예에서, 유입구 벽 부분(40)은 유입구 벽 부분(40)이 하우징에 부착될 때 리셉터클(8)의 채널(34)에 삽입되는 채널 삽입 부분(130)을 또한 포함하는 부착 몸체(180)의 부분으로서 제공된다. 유입구 벽 부분(40)은 채널 삽입 부분(130)의 베이스에 제공된다. 채널 삽입 부분(130)은 채널 삽입 부분(130)이 삽입되는 채널(34)의 부분과 밀접하게 매칭되고 이 부분보다 약간 더 작은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어, 채널 삽입 부분(130)이 채널에 삽입될 때 채널 삽입 부분(130)이 채널(34)의 측면 벽들에 밀접하게 끼워맞춤된다. 예로서, 채널 삽입 부분(130) 및 채널(34)은 원통형일 수 있으며, 채널 삽입 부분(130)의 직경은 채널(34)의 직경보다 단지 약간 작을 수 있다. 유입구 벽 부분(40)은 채널 삽입 부분(130)에 의해 형성된 원통을 덮는 원형 부분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채널(34) 및 채널 삽입 부분(130)의 구성은 채널(34)과 채널 삽입 부분(130) 사이의 밀착 끼워맞춤을 계속해서 가능하게 하면서 다양한 형상들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일부 예들에서, 측면 벽 부분(32) 및 부착 몸체(180)는 함께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리셉터클(8) 내의 향미제 재료(36)가 고갈되거나 사용자가 단순히 상이한 향미제 재료로 전환하기를 원할 때, 부착 몸체(180)는 측면 벽 부분(3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향미제 재료(36)는 채널(34) 내에서 교체될 수 있다. 측면 벽 부분(32) 및 부착 몸체(180)는 2개의 부분들 사이의 구조적 연결이 설정되도록 함께 커플링될 수 있다. 도 14의 예에서, 측면 벽 부분(32)에 대한 부착 몸체(180)의 유지는 래칭 엘리먼트들 또는 클립들(150), 및 래칭 엘리먼트들(150)의 부분들을 수용하기 위한 대응하는 래치 부재들(160)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부착 몸체(180)는 한 쌍의 래칭 엘리먼트들(150)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래칭 엘리먼트들(150)은 마우스피스 엘리먼트(110)의 각각의 측면에 하나씩 대향하여 배치된다. 래칭 엘리먼트(150)는 발 부분(152) 및 다리 부분(151)을 포함한다. 현재 예에서, 다리(151)는 실질적으로 긴 엘리먼트들이고, 발(152)은 다리(151)의 긴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90도로 다리(151)의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엘리먼트이다. 다리(151)의 유연성은 다리(151)에 외력이 가해질 때 부착 몸체(180)의 나머지 부분(이를테면, 채널 삽입 부분(130))에 대해 발(152)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다리(151)(및 결과적으로 발)의 이동은 레스트 포지션(rest position)으로부터 부착 몸체(180)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다리(151)의 각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힌지 이동으로 고려될 수 있다. 다리(151)의 탄성은 외력이 제거될 때 다리(151)의 원래 크기로 각도를 되돌려서, 래칭 엘리먼트의 보통의 형상을 유지한다.
래칭 엘리먼트(150)는 다리(151) 및 발(152)이 하우징의 상부면을 넘어 연장되도록 측면 벽 부분(32)에 고정된다. 다시 말해서, 측면 벽 부분(32)의 일부 및 적어도 다리(151)는 리셉터클(8)의 세로 방향에서 중첩된다. 래칭 엘리먼트(150)는 래치 부재(160) 내에 발 부분(152)을 단단히 고정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발 부분(152)은 일반적으로 래치 부재들(160)의 평면에 놓여 있다. 래치 부재(160)는 발 부분(152)을 수용하는 형상을 가지며, 예컨대 발 부분(152)이 삽입되는 측면 벽 부분(32)의 측면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래치 부재(160)의 돌출부들에 의해 형성되는 홀 또는 리세스가 존재한다. 예컨대, 측면 벽 부분(32)은 몰딩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강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성형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성형 부분들은 발 부분 주위에 맞물려서 그 발 부분을 하우징하여 이를 제자리에 유지한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예들에서, 마우스피스 엘리먼트(120)는 종래의 기술들에 따라, 예컨대 2개의 부분들 사이에 적절하게 공기 경로 및 전기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나사산, 래치 메커니즘, 또는 바요넷 픽싱 개구부들에 기반하여 측면 벽 부분(32)에 기계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발 부분(152)은 래칭 엘리먼트(150)를 통해 측면 벽 부분(32) 내로 부착된 나사들 또는 리벳들에 의해, 또는 하우징에 접착되거나 용접됨으로써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예들에서, 측면 벽 부분(32) 및 부착 몸체(180)는 함께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되도록 의도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충전 프로세스 동안, 리셉터클(8)은 배출구 벽 부분(70)이 채널(34) 내에 제공된 후에 일정양의 향미 재료(36)로 실질적으로 충전되도록 의도된다. 배출구 벽 부분(70)은 예컨대 리셉터클(8) 및 립(120)의 배향으로 인해 (즉, 중력에 의해) 또는 임의의 다른 수단(예컨대, 접착 또는 용접)에 의해 채널(34)에 유지될 수 있다. 그 다음에, 향미 재료(36)는 채널(34)의 개방된 유입구 단부를 통해 리셉터클(8) 내로 제공될 수 있다. 리셉터클(8)에 향미 재료(36)를 충전하는 것은 깔때기, 슈트 또는 향미 재료를 안내하기 위한 유사한 엘리먼트에 의해 보조될 수 있다. 부착 몸체(180)는 래칭 엘리먼트들(150) 및 대응하는 래치 부재들(160)에 의해 측면 벽 부분(32)에 부착될 수 있다. 부착 몸체(180)가 측면 벽 부분(32)에 부착될 때, 채널 삽입 부분(130)이 채널(34)에 삽입된다. 부착 몸체(180)를 측면 벽 부분(32)에 부착하면, 채널 삽입 부분(130)이 채널(34) 내에서 향미 재료(36)를 압축하게 한다. 채널 삽입 부분(130)은 채널(34)의 측면 벽들, 유입구 벽 부분(40) 및 배출구 벽 부분(70)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 부피내의 빈 공간을 효과적으로 감소 또는 제거함으로써 향미 재료(36)를 압축할 수 있다. 앞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은 5% 내지 40%, 10% 내지 35%, 15% 내지 30%, 및 20% 내지 30%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범위 만큼 향미 재료의 압축되지 않은 부피에 대해 향미 재료를 압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유입구 벽 부분(40), 측면 벽 부분(32), 및 측면 벽들에 의해 정의된 채널의 배출구 단부의 개구부에 의해 정의되는 부피는 2cm3 내지 10cm3, 3cm3 내지 9cm3, 4cm3 내지 8cm3 및 5cm3 내지 8cm3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범위의 부피를 가질 수 있다. (마우스피스 엘리먼트(110)가 측면 벽 부분(32)에 부착될 때) 유입구 벽 부분(40), 측면 벽 부분(32) 및 배출구 벽 부분(70)에 의해 정의된 부피는 1cm3 내지 8cm3, 2cm3 내지 7cm3, 2.5cm3 내지 6cm3 및 3cm3 내지 5cm3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범위의 부피를 가질 수 있다. 게다가, 유입구 벽 부분(40), 측면 벽 부분(32), 및 측면 벽들에 의해 정의된 채널의 배출구 단부의 개구부에 의해 정의된 부피는 50% 내지 95%, 60% 내지 85%, 65% 내지 80%, 및 70% 내지 80%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범위의 향미 재료의 압축되지 않은 부피로 충전될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생성된 흡입 가능 매질에 향미를 첨가하기 위한 향미 재료를 위한 리셉터클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리셉터클은 측면 벽 부분, 배출구 벽 부분 및 유입구 벽 부분을 포함하며, 측면 벽 부분은 향미 재료를 위한 공동을 정의하며, 유입구 벽 부분 및 배출구 벽 부분은 각각 공동을 통한 공기흐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들을 포함하며, 방법은 유입구 벽 부분 및 배출구 벽 부분 중 하나가 장착된 측면 벽 부분을 제공하는 제1 단계(S1); 공동에 향미 재료를 배치하는 제2 단계(S2); 및 유입구 벽 부분과 배출구 벽 부분 사이에 향미 재료를 압축하도록 유입구 벽 부분 및 배출구 벽 부분 중 다른 하나를 측면 벽 부분에 장착하는 제3 단계(S3)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 흡입을 위해 증기가 생성되는 증기 생성 구역으로부터 증기에 향미를 첨가하기 위한 향미 첨가 매질을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의 향미 첨가 구역으로 연장되는 공기 경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이 설명되었으며; 리셉터클은 향미 재료를 보유하기 위한 벽을 포함하며, 벽은 공기흐름을 위한 복수의 개구부들 및 비-평면 구역을 포함하며, 복수의 개구부들은 비-평면 구역에 배열된다.
게다가, 사용자 흡입을 위해 증기가 생성되는 증기 생성 구역으로부터 증기에 향미를 첨가하기 위한 향미 첨가 매질을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의 향미 첨가 구역으로 연장되는 공기 경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이 설명되었으며; 리셉터클은 측면 벽 부분, 배출구 벽 부분 및 유입구 벽 부분을 포함하며, 측면 벽 부분은 향미 재료를 위한 공동을 정의하고, 유입구 벽 부분 및 배출구 벽 부분은 각각 공동을 통한 공기흐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들을 포함하며, 유입구 벽 부분 및 배출구 벽 부분은 유입구 벽 부분과 배출구 벽 부분 사이의 공동에 향미 재료를 압축하도록 측면 벽 부분에 장착된다.
더욱이,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이 설명되었으며,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은 사용자 흡입을 위해 증기가 생성되는 증기 생성 구역으로부터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증기에 향미를 첨가하기 위한 향미 첨가 매질을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의 향미 첨가 구역으로 연장되는 공기 경로를 포함하며, 리셉터클은 마우스피스 부분, 측면 벽들, 및 마우스피스 부분에 있으며 공기흐름을 위한 복수의 개구부들을 갖는 배출구 벽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마우스피스 부분, 측면 벽들 및 배출구 벽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더욱이, 사용자 흡입을 위해 증기가 생성되는 증기 생성 구역으로부터 증기에 향미를 첨가하기 위한 향미 첨가 매질을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의 향미 첨가 구역으로 연장되는 공기 경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이 설명되었으며; 리셉터클은 리셉터클의 유입구 벽 또는 배출구 벽 중 하나를 지지하기 위해 측면 벽들 및 측면 벽들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립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앞서 논의된 실시예들이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해 액체 에어로졸화 가능 재료를 갖는 디바이스들에 대해 어느 정도 집중한 반면에,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다른 에어로졸화 가능 재료들, 예컨대 고체 재료들, 이를테면 식물 도출 재료들, 이를테면 담배 파생 재료들, 또는 다른 형태들의 에어로졸화 가능 재료, 이를테면 겔, 페이스트 또는 발포체 기반 에어로졸화 가능 재료들에 기반한 디바이스들에 대해 동일한 원리들이 채택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화 가능 재료는 예컨대 니코틴 및/또는 향미제들을 보유하거나 또는 보유하지 않을 수 있는 고체, 액체 또는 젤 형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화 가능 재료는 "모놀리식 고체"(즉, 비-섬유질)로서 대안적으로 지칭될 수 있는 "비정질 고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정질 고체는 건조 겔일 수 있다. 비정질 고체는 그 내부 내에 액체와 같은 일부 유체를 보유할 수 있는 고체 재료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화 가능 재료는, 예컨대, 약 50 wt%, 60 wt% 또는 70 wt%의 비정질 고체 내지 약 90 wt%, 95 wt% 또는 100 wt%의 비정질 고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화 가능 재료(에어로졸 생성 재료 또는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음)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증기 또는 에어로졸 생성제 또는 습윤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작용제들은 글리세린,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에리트리톨, 메조-에리트리톨, 에틸 바닐라레이트, 에틸 라우레이트, 디에틸 수베레이트,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트리아세틴, 디아세틴 혼합물, 벤질 벤조에이트, 벤질 페닐 아세테이트, 트리부티린, 라우릴 아세테이트,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및 프로필렌 카보네이트이다. 하나 이상의 에어로졸 생성제(들)를 포함하는 제제는 본원에서 활성제로 불릴 수 있다.
더욱이, 그리고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된 접근법들은 도 1에서 표현된 것과 상이한 전체 구성을 갖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들, 예컨대 전자 흡연 물품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예컨대, 동일한 원리들이 2-파트 모듈식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대신 단일-파트 디바이스, 예컨대 일회용(즉, 재충전 가능하지 않고 및 다시 채우기 불가능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에서 채택될 수 있다. 게다가, 모듈식 디바이스의 일부 구현들에서, 컴포넌트들의 배열은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일부 구현들에서, 제어 유닛은 또한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는 증발기가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데 사용할 에어로졸화 가능 재료의 소스를 제공한다.
게다가, 일부 예들에서, 디바이스를 통한 공기흐름 경로에 배열된 리셉터클(향미 삽입물/포드)은 증발기의 하류가 아닌 증발기의 상류에 있을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향미" 및 "향미제"라는 용어들, 및 관련 용어들은 현지 규제들이 허용하는 경우, 성인 소비자들을 위한 제품에서 원하는 맛 또는 향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재료들을 지칭한다. 재료들은 인조, 합성 또는 천연 성분들 또는 이들의 블렌드들일 수 있다. 재료는 임의의 적합한 형태, 예컨대 오일, 액체 또는 분말일 수 있다.
다양한 문제들을 처리하고 본 기술분야를 진보시키기 위해, 본 개시내용은 청구된 발명(들)이 실시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예시의 방식으로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의 이점들 및 특징들은 실시예들의 대표적인 샘플일 뿐이며, 총망라한 것이 아니고 그리고/또는 배타적이지 않다. 이들은 청구된 발명(들)을 이해하는 것을 돕고 이를 교시하기 위해서만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이점들, 실시예들, 예들, 기능들, 피처들, 구조들 및/또는 다른 양상들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본 개시내용에 대한 제한들 또는 청구항들의 균등물들에 대한 제한들로 간주되지 않아야 하며,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이 활용될 수 있고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원에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 이외의 개시된 엘리먼트들, 컴포넌트들, 피처들, 부분들, 단계들, 수단들 등의 다양한 조합을 적절하게 포함하거나, 구성하거나, 또는 필수적 요소로 하여 구성(consisting essentially of)될 수 있으며, 따라서 종속항들의 특징들은 청구항들에 명시적으로 기술된 것 이외의 조합들에서 독립항들의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현재 청구되지 않지만 장래에 청구될 수 있는 다른 발명들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9)

  1.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해 에어로졸화 가능 재료를 에어로졸화하도록 배치된 증발기, 및 상기 장치에 의해 생성된 흡입 가능 매질에 향미를 첨가하기 위한 향미 재료를 위한 리셉터클을 포함하며,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리셉터클 내에 상기 향미 재료를 보유하기 위한 벽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벽 부분은 공기흐름을 위한 복수의 개구부들 및 비-평면 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개구부들은 상기 비-평면 구역에 배열되고,
    상기 비-평면 구역은 상기 벽 부분의 상기 리셉터클의 중심을 향하는 함몰부(depression)를 포함하는,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평면 구역은 연속적으로 구부러진 표면을 포함하는,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부들은 규칙적인 패턴으로 배열되는,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부들은 상기 비-평면 구역의 중심 주위에 동심으로 배열되는,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부들의 각각은 공통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벽 부분을 통해 연장되는,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6.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부들의 각각은 상기 벽 부분에 대한 국부 법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벽 부분을 통해 연장되는,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7.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향미 재료를 위한 공동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하는 측면 벽 부분을 포함하는,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벽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90o 미만인, 상기 리셉터클에 대한 내부 각도로 상기 측면 벽 부분과 교차하는,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측면 벽 부분 및 상기 벽 부분 중의 한 가지 이상에 형성되고 상기 리셉터클에 응축된 액체를 상기 벽 부분과 상기 측면 벽 부분 사이의 교차부를 향해 안내하도록 배열된, 하나 이상의 액체 안내 채널들을 포함하는,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벽 부분은 유입구 벽 부분 및 배출구 벽 부분 중의 하나이고,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유입구 벽 부분 및 배출구 벽 부분 중의 다른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 벽 부분 및 배출구 벽 부분 중의 상기 다른 하나는 상기 공동을 통한 공기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개구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벽 부분, 및 상기 유입구 벽 부분 및 배출구 벽 부분 중의 상기 다른 하나는, 상기 유입구 벽 부분 및 배출구 벽 부분 중의 상기 다른 하나와 상기 벽 부분 사이의 상기 공동에 상기 향미 재료를 압축하도록, 상기 측면 벽 부분에 장착되는,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11. 제7 항에 있어서,
    마우스피스 부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개구부들을 포함하는 상기 벽 부분은 상기 마우스피스 부분의 배출구 벽 부분이며, 상기 마우스피스 부분, 상기 측면 벽 부분 및 상기 배출구 벽 부분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12.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에어로졸화 가능 재료, 및 상기 흡입 가능 매질을 상기 리셉터클의 유입구를 향해 안내하기 위한 공기 경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는 상기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에어로졸화 가능 재료를 에어로졸화하도록 구성된 히터를 포함하는,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13.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생성된 흡입 가능 매질에 향미를 첨가하기 위한 향미 재료를 위한 리셉터클로서,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리셉터클 내에 향미 재료를 보유하기 위한 벽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벽 부분은 공기흐름을 위한 복수의 개구부들 및 비-평면 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개구부들은 비-평면 구역에 배열되고,
    상기 비-평면 구역은 상기 벽 부분의 상기 리셉터클의 중심을 향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향미 재료를 위한 리셉터클.
  14.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생성된 흡입 가능 매질에 향미를 첨가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흡입 가능 매질에 향미를 첨가하기 위한 향미 재료를 위한 리셉터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리셉터클 내에 상기 향미 재료를 보유하기 위한 벽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벽 부분은 공기흐름을 위한 복수의 개구부들 및 비-평면 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개구부들은 상기 비-평면 구역에 배열되고, 상기 비-평면 구역은 상기 벽 부분의 상기 리셉터클의 중심을 향하는 함몰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흡입 가능 매질에 상기 향미를 첨가하기 위해 상기 리셉터클을 통해 상기 흡입 가능 매질을 통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227000701A 2019-07-10 2020-07-08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KR1026644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1909881.3A GB201909881D0 (en) 2019-07-10 2019-07-10 Vapour delivery systems
GB1909881.3 2019-07-10
PCT/GB2020/051643 WO2021005366A1 (en) 2019-07-10 2020-07-08 Vapour delivery 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4455A KR20220024455A (ko) 2022-03-03
KR102664424B1 true KR102664424B1 (ko) 2024-05-10

Family

ID=67623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0701A KR102664424B1 (ko) 2019-07-10 2020-07-08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248752A1 (ko)
EP (1) EP3996782A1 (ko)
JP (1) JP7376000B2 (ko)
KR (1) KR102664424B1 (ko)
CA (1) CA3146485A1 (ko)
GB (1) GB201909881D0 (ko)
WO (1) WO202100536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21074A (ja) 2010-03-10 2013-06-10 バットマーク・リミテッド 吸入器コンポーネント
KR101552254B1 (ko) * 2015-02-05 2015-09-09 백주영 전자 담배
US20170319799A1 (en) 2015-01-26 2017-11-09 Japan Tobacco Inc. Non-combustion type flavor inhaler, flavor source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ember used in a non-combustion type flavor inhaler
WO2018122389A1 (en) * 2016-12-30 2018-07-05 Jt International S.A.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erosol generating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an aerosol
US20190166919A1 (en) 2016-08-09 2019-06-06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Receptacle, cartridge, apparatu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 inhalabl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2953A1 (en) 2016-05-25 2017-11-30 Philip Morris Products S.A. Method for providing an aerosol-generating device,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flat aerosol-generating article for use in such a device
GB201717497D0 (en) * 2017-10-24 2017-12-06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 mouthpiece assembl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21074A (ja) 2010-03-10 2013-06-10 バットマーク・リミテッド 吸入器コンポーネント
US20170319799A1 (en) 2015-01-26 2017-11-09 Japan Tobacco Inc. Non-combustion type flavor inhaler, flavor source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ember used in a non-combustion type flavor inhaler
KR101552254B1 (ko) * 2015-02-05 2015-09-09 백주영 전자 담배
US20190166919A1 (en) 2016-08-09 2019-06-06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Receptacle, cartridge, apparatu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 inhalable medium
WO2018122389A1 (en) * 2016-12-30 2018-07-05 Jt International S.A.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erosol generating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an aeros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76000B2 (ja) 2023-11-08
CA3146485A1 (en) 2021-01-14
GB201909881D0 (en) 2019-08-21
EP3996782A1 (en) 2022-05-18
KR20220024455A (ko) 2022-03-03
JP2022540023A (ja) 2022-09-14
US20220248752A1 (en) 2022-08-11
WO2021005366A1 (en) 202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75999B2 (ja) 蒸気送達システム
CN109952035B (zh) 气溶胶供应制品
RU2740765C1 (ru) Картридж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аэрозоля
EP3496556B1 (en) Receptacle, cartridge, apparatu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 inhalable medium
RU2738697C1 (ru) Компонент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выработки аэрозоля
JP7469300B2 (ja) エアロゾル送達システムのためのヒータおよび液体輸送
EP3484316B2 (en) Mouthpiece
US20220232891A1 (en) Vapor delivery systems
KR102664424B1 (ko) 흡입 가능 매질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RU2818782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редство генерирования вдыхаемой среды, приемник для ароматизирующего материала, способ придания аромата вдыхаемой среде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риемника
US20240180246A1 (en) Delivery system
US20240180250A1 (en) Delivery system
CA3211724A1 (en) Delivery system
US20240180253A1 (en) Delivery system
CN117898476A (zh) 气溶胶输送子系统
CA3211716A1 (en) Delivery system
NZ752875B2 (en) Aerosol Provision Article for use with an Aerosol Provision Device to Generate an Inhalabl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