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410B1 - 다중 센서 및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맵을 생성하고 맵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로봇 - Google Patents

다중 센서 및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맵을 생성하고 맵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410B1
KR102664410B1 KR1020197023289A KR20197023289A KR102664410B1 KR 102664410 B1 KR102664410 B1 KR 102664410B1 KR 1020197023289 A KR1020197023289 A KR 1020197023289A KR 20197023289 A KR20197023289 A KR 20197023289A KR 102664410 B1 KR102664410 B1 KR 102664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idar
robot
visua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3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0624A (ko
Inventor
어규호
김정식
김형록
노동기
박중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50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0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20Control system inputs
    • G05D1/24Arrangements for 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 G05D1/246Arrangements for 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using environment maps, e.g. simultaneous localisation and mapping [SLA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6Combinations of lidar systems with systems other than lidar, radar or sonar, e.g. with direction f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25J19/022Optical sensing devices using la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25J19/023Optical sensing devices including video camera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02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system, structure, archite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005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with correlation of navigation data from several sources, e.g. map or contour match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01C21/206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indoor navig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04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 G01C21/3833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characterised by the source of data
    • G01C21/3848Data obtained from both position sensors and additional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7/89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7/89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01S17/8943D imaging with simultaneous measurement of time-of-flight at a 2D array of receiver pixels, e.g. time-of-flight cameras or flash lida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05D1/02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involving a learning proces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G05D1/023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obstacle or wall sensors
    • G05D1/024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obstacle or wall sensors in combination with a las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G05D1/0246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a video camera in combination with image processing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6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internal positioning means
    • G05D1/027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internal positioning means comprising intertial navigation means, e.g. azimuth detect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6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internal positioning means
    • G05D1/0274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internal positioning means using mapping information stored in a memory devi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20Control system inputs
    • G05D1/24Arrangements for 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 G05D1/243Means capturing signals occurring naturally from the environment, e.g. ambient optical, acoustic, gravitational or magnetic signal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20Control system inputs
    • G05D1/24Arrangements for 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 G05D1/243Means capturing signals occurring naturally from the environment, e.g. ambient optical, acoustic, gravitational or magnetic signals
    • G05D1/2435Extracting 3D inform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60Intended control result
    • G05D1/644Optimisation of travel parameters, e.g. of energy consumption, journey time or dist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센서 및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맵을 생성하고 맵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로봇에 관한 것으로,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중 센서 및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맵을 생성하는 로봇은 하나 이상의 라이다 프레임을 포함하는 라이다 브랜치와 상기 하나 이상의 비주얼 프레임을 포함하는 비주얼 브랜치와 상기 라이다 프레임 또는 상기 비주얼 프레임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등록된 프레임 노드를 둘 이상 포함하는 백본으로 구성된 포즈 그래프를 생성하며, 상기 프레임 노드 사이를 상기 로봇이 이동하여 생성한 오도메트리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 센서 및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맵을 생성하고 맵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로봇
본 발명은 다중 센서 및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맵을 생성하고 맵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로봇에 관한 기술이다.
대형 마트, 백화점, 공항, 골프장 등 인적, 물적 교류가 활발하게 발생하는 공간에는 사람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또는 사람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로봇이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로봇의 종류로는 안내로봇, 보안로봇, 청소로봇 등이 있으며, 이들 다양한 로봇들은 공간 내에서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며 이동한다.
한편, 로봇들이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고 장애물을 회피하며 이동하기 위해서는 공간에 대한 정보와 로봇의 현재 위치 또는 이전에 로봇이 이동한 경로 등에 대한 정보를 로봇이 유지해야 한다.
로봇이 공간을 확인하고 이동하기 위해 로봇은 맵을 보유할 수 있다. 그런데, 맵을 생성하기 위해서 로봇은 다양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맵을 작성할 수 있으며, 맵 내의 정보의 다양한 정보들을 일치시켜 저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센서들은 각각의 특성과 로봇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가 있으므로 이를 반영하여 맵을 생성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로봇이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공간에 대한 이종의 맵을 생성하고자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공간에서의 로봇의 위치를 식별하는 퓨전-슬램(Fusion SLAM)을 구현하고자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로봇이 한 종류의 센서만을 이용할 수 있도록 이종의 맵을 분리하여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중 센서 및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맵을 생성하는 로봇은 상기 로봇의 외부에 배치된 사물과 로봇 사이의 거리를 센싱하여 라이다 프레임을 생성하는 라이다 센서와 상기 로봇의 외부에 배치된 사물을 촬영하여 비주얼 프레임을 생성하는 카메라 센서를 포함한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중 센서 및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맵을 생성하는 로봇은 하나 이상의 라이다 프레임을 포함하는 라이다 브랜치와 상기 하나 이상의 비주얼 프레임을 포함하는 비주얼 브랜치와 상기 라이다 프레임 또는 상기 비주얼 프레임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등록된 프레임 노드를 둘 이상 포함하는 백본으로 구성된 포즈 그래프를 생성하며, 상기 프레임 노드 사이를 상기 로봇이 이동하여 생성한 오도메트리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중 센서 및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맵을 생성하는 로봇은 상기 라이다 브랜치, 상기 비주얼 브랜치, 상기 백본, 상기 프레임 노드 사이의 오도메트리 정보 및 상기 포즈 그래프를 저장하는 맵 저장부를 포함한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중 센서 및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맵을 생성하는 로봇은 이전 프레임 노드와 현재 위치 사이의 거리 또는 각도에 기반하여 새로운 프레임 노드를 생성하며, 현재 위치에서 등록 가능한 상기 비주얼 프레임 또는 상기 라이다 프레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맵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상기 생성한 새로운 프레임 노드에 등록시킨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중 센서 및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맵을 생성하는 로봇은 상기 포즈 그래프에서 상기 백본을 구성하는 프레임 노드에 등록된 라이다 프레임을 제거한 비주얼 전용 포즈 그래프를 생성한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중 센서 및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맵을 생성하는 로봇은 상기 포즈 그래프에서 상기 백본을 구성하는 프레임 노드에 등록된 비주얼 프레임을 제거한 라이다 전용 포즈 그래프를 생성한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중 센서 및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생성된 맵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로봇은 상기 포즈 그래프의 프레임 노드에 등록된 프레임과 라이다 센서가 생성한 제1라이다 프레임 또는 카메라 센서가 생성한 제1비주얼 프레임을 비교하거나 또는 상기 오도메트리 정보를 이용하여 로봇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경우, 로봇이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공간에 대한 이종의 맵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경우,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공간에서 로봇이 퓨전-슬램(Fusion SLAM)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경우, 다양한 센서들로 구성된 맵에서 일부 맵을 추출하여 로봇에 적합하게 SLAM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효과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효과를 쉽게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의 외관을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의 제어모듈의 구성 요소를 보여준다.
도 3은 로봇이 공간에서 이동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맵의 다중 구조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초기 매핑 과정을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주얼 키프레임을 생성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라이다 키 프레임을 생성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백본의 프레임 노드를 등록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즈 그래프에서 라이다 프레임을 제거한 비주얼 전용 포즈 그래프를 보여준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즈 그래프에서 비주얼 프레임을 제거한 비주얼 전용 포즈 그래프를 보여준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즈 그래프를 일부 삭제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이용하여 라이다 센서에 기반한 위치추정 과정을 보여준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이용하여 카메라 센서에 기반한 위치추정 과정을 보여준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로봇은 특정한 목적(청소, 보안, 모니터링, 안내 등)을 가지거나 혹은 로봇이 이동하는 공간의 특성에 따른 기능을 제공하며 이동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의 로봇은 소정의 정보와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는 이동수단을 보유하며 소정의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를 통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로봇은 맵을 보유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맵은 공간에서 이동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고정된 벽, 계단 등 고정 객체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주기적으로 배치되는 이동 장애물, 즉 동적인 객체들에 대한 정보도 맵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로봇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일정한 범위 내에 배치된 장애물들에 대한 정보도 맵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고정 객체가 저장되는 맵과 달리 임시적으로 장애물들의 정보가 맵에 등록되고 이후 로봇이 이동한 후 맵에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로봇은 다양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외부의 동적 객체를 확인할 수 있다. 외부의 동적 객체를 확인하면, 보행자로 붐비는 환경에서 로봇이 목적지까지 주행할 때, 목적지까지 거쳐가야 하는 경유 지점(Waypoint)의 장애물에 의한 점유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로봇은 경유 지점의 방향 변경 정도에 따라 유연하게 경유 지점을 도착한 것으로 판단하고 다음 경유 지점으로 넘어 가도록 하여 목적지까지 성공적으로 주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의 외관을 보여준다. 도 1은 예시적인 외관에 해당하며, 도 1의 외관 외에도 다양한 외관으로 본 발명의 로봇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구성요소는 로봇의 형상에 따라 상하좌우 전후 등에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10)는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올라갈수록 슬림해지는 오뚝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10)는 로봇(1)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3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30)는 상측에 배치되는 탑 커버(31), 탑 커버(31)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 미들 커버(32), 제1 미들 커버(32)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미들 커버(33) 및 제2 미들 커버(33)의 하측에 배치되는 바텀 커버(3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미들 커버(32)와 제2 미들 커버(33)는 하나의 미들 커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탑 커버(31)는 로봇(1)의 최상단에 위치되며, 반구 또는 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탑 커버(31)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용이하게 입력 받기 위하여 성인의 키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탑 커버(31)는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로봇(1)은 그 내부에 제어모듈(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모듈(150)은 일종의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와 같이 로봇(1)을 제어한다. 따라서 제어모듈(150)은 로봇(1)내에 배치되어 메인 프로세서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interaction)을 담당할 수 있다.
로봇의 이동과 주변의 사물을 감지하여 로봇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모듈(150)이 로봇(1) 내부에 탑재된다. 로봇제어모듈(150)은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이를 하드웨어로 구현한 칩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탑 커버(31)는 전면 일측에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거나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31a)과 카메라(31b), 마이크(31c)를 일 실시예로 하는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탑 커버(31)의 디스플레이부(31a) 외에도 미들 커버(32)의 일측에도 디스플레이부(20)가 배치된다.
로봇의 기능에 따라 두 개의 디스플레이부(31a, 20) 모두 정보를 출력하거나 혹은 어느 한쪽에서만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로봇(1)의 일측면 또는 하단부 전체에는 35a, 35b와 같이 다양한 장애물 센서(도 2의 220)들이 배치된다. 장애물 센서들은 TOF(Time of Flight) 센서,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뎁스 센서, 레이저 센서, 라이다 센서 등을 일 실시예로 한다. 센서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로봇(1) 외부의 장애물을 감지한다.
또한, 도 1의 로봇은 하단부에 로봇을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인 이동부를 더 포함한다. 이동부는 일종의 바퀴와 같이 로봇을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도 1의 로봇의 형상은 예시적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로봇의 다양한 카메라들과 센서들 역시 로봇(1)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의 로봇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안내하고 특정 지점까지 이동하여 사용자를 안내하는 안내 로봇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외에도 청소, 보안 또는 기능을 제공하는 로봇 역시 도 1의 로봇의 범위에 포함된다.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안내 로봇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를 일 실시예로 하는 로봇이 서비스 공간 내에 다수 배치된 상태에서 로봇이 특정한 기능(안내, 청소, 보안 등)을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로봇(1)은 자신의 위치를 저장하며, 로봇(1)은 전체 공간에서 자신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목표 지점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의 제어모듈의 구성 요소를 보여준다.
라이다 센서(LiDAR Sensor)(220)는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주변의 사물들을 센싱할 수 있다. 2차원 라이다 센서의 경우 로봇을 중심으로 360도 범위의 사물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 특정 위치에서 센싱한 라이다 정보는 하나의 라이다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즉, 라이다 센서(220)는 로봇의 외부에 배치된 사물과 로봇 사이의 거리를 센싱하여 라이다 프레임을 생성한다.
카메라 센서(230)는 일반 카메라를 일 실시예로 한다. 시야각의 제약을 해결하기 위해 둘 이상의 카메라 센서(230)를 사용할 수 있다. 특정 위치에서 촬영한 영상은 비전 정보를 구성한다. 즉, 카메라 센서(230)는 로봇의 외부에 배치된 사물을 촬영하여 비전 정보를 포함하는 비주얼 프레임을 생성한다.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하는 로봇(1)은 라이다 센서(220)와 카메라 센서(230)를 이용한 퓨젼-SLAM(Fusion-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을 수행한다.
퓨전 SLAM은 라이다 정보와 비전 정보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라이다 정보와 비전 정보는 맵으로 구성할 수 있다.
로봇이 퓨전 SLAM을 사용할 경우, 하나의 센서만을 사용하는 방식(LiDAR-only SLAM, visual-only SLAM)와 비교하여 위치 추정의 정확도가 높다. 즉, 라이다 정보와 비전 정보를 결합하여 퓨전 SLAM을 수행하면 맵 품질(map quality) 측면에서 더 좋은 맵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맵 품질이란 비전 정보들로 구성된 비전 맵(vision map)과 라이다 정보로 구성된 라이다 맵(lidar map) 양쪽에 모두 해당하는 기준이다. 퓨전 SLAM 시 각각의 맵 품질이 좋아지는데 이는 각각의 센서가 획득하지 못하거나 부족한 정보를 센서들이 서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하나의 맵에서 라이다 정보 또는 비전 정보만을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이 보유하는 메모리의 양이나 연산 프로세서의 연산 능력 등에 적합하게 라이다 정보만을 이용하거나, 비전 정보만을 이용하거나 또는 두 정보 모두를 로봇의 위치 추정(localization)에 적용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9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는다. 터치 입력, 음성 입력 등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이에 대한 결과를 출력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290)는 로봇(1)이 저장하는 맵을 출력하거나, 로봇이 이동하는 과정을 맵과 오버랩 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290)는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후술할 도 4와 같은 맵을 생성하고 이 맵을 기반으로 로봇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로봇의 위치를 추정한다.
통신부(280)는 로봇(1)이 다른 로봇 또는 외부의 서버와 통신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로봇(1)은 각각의 센서들(라이다 센서, 카메라 센서)을 이용하여 각각의 맵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로봇(1)은 이들 센서들을 이용하여 하나의 맵을 만든 후 맵에서 다시 이들로부터 특정 센서에 해당하는 내용만을 추출하는 맵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맵은 바퀴의 회전에 기반한 오도메트리(odometry)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오도메트리 정보는 로봇의 바퀴 회전 횟수나 양 바퀴의 회전 횟수의 차이 등을 이용하여 로봇이 이동한 거리를 산출한 정보이다. 센서들을 이용한 정보 외에도 오도메트리 정보를 이용하여 로봇이 어디까지 이동했는지 로봇이 계산할 수 있다.
도 2의 제어부(250)는 인공지능 작업 및 처리를 위한 인공지능부(2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봇의 라이다 센서(220) 및 카메라 센서(230)는 외부의 물체를 식별하기 위해 로봇(1)의 외부에 다수 배치할 수 있다.
도 2에 제시된 라이다 센서(220) 및 카메라 센서(230) 외에도 로봇(1)의 외부에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라이다 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뎁스 센서, 이미지 센서, 마이크 등)이 배치된다. 제어부(250)는 센서들이 센싱한 정보를 취합 및 처리한다.
인공지능부(255)는 라이다 센서(220) 및 카메라 센서(230), 그리고 그 외의 센서들이 처리한 정보 또는 로봇(1)이 이동 과정에서 누적 저장한 정보 등을 입력하여 제어부(250)가 외부 상황을 판단하거나, 정보를 처리하거나, 이동 경로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결과물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로봇(1)은 로봇이 이동하는 공간에 배치된 다양한 사물들의 위치 정보를 맵으로 저장할 수 있다. 사물들은 벽, 문 등의 고정 사물들과 화분, 책상 등 이동 가능한 사물들을 포함한다. 인공지능부(255)는 맵 정보와 라이다 센서(220) 및 카메라 센서(230), 그리고 그 외의 센서들이 제공하는 정보들을 이용하여 로봇이 이동할 경로, 혹은 로봇이 작업시 커버해야 할 범위 등에 대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부(255)는 라이다 센서(220) 및 카메라 센서(230), 그리고 그 외의 센서들이 제공하는 정보들을 이용하여 로봇 주변에 배치된 사물을 인식할 수 있다. 인공지능부(255)는 이미지를 입력받아 이미지에 관한 메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메타 정보란 이미지 내의 사물의 명칭, 사물과 로봇과의 거리, 사물의 종류, 사물이 맵 상에 위치하는지 여부 등을 포함한다.
라이다 센서(220) 및 카메라 센서(230), 그리고 그 외의 센서들이 제공하는 정보는 인공지능부(255)의 딥러닝 네트워크의 입력 노드로 입력된 후, 인공지능부(255)의 딥러닝 네트워크의 히든 레이어의 정보 처리를 통해 인공지능부(255)의 출력 노드에서 결과가 출력된다.
제어부(250)는 인공지능부(255)가 산출한 데이터 또는 다양한 센서들이 처리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로봇의 이동 경로를 산출할 수 있다.
도 3은 로봇이 공간에서 이동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공간(40) 내에서 로봇은 41이 지시하는 선을 따라 이동하며 라이다 센서(220)를 이용하여 특정 지점에서 라이다 센서가 센싱한 정보를 맵 저장부(210)에 저장할 수 있다. 공간(40)의 기초 형상은 로컬 맵(local map)으로 저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로봇은 공간(40)을 이동하면서 카메라 센서(230)를 이용하여 특정 지점에서 카메라 센서가 센싱한 정보를 맵 저장부(21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맵의 다중 구조를 보여준다. 도 4는 백본(backbone)을 제1레이어(first layer)로 하며 라이다 브랜치(LiDAR branch) 및 비주얼 브랜치(Visual branch)를 각각 제2레이어(second layer)로 하는 2중층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 4와 같은 구조를 구조적으로 탄력적인 포즈 그래프 기반 슬램(structurally elastic pose graph-based SLAM)이라 명명한다.
백본은 로봇의 궤적(trajectory)을 추적한 정보이다. 또한 백본은 궤적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노드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들 프레임 노드들은 다른 프레임 노드와의 관계에서 제약 정보(constraint)를 더 포함한다. 노드 사이의 에지는 제약 정보를 나타낸다. 에지는 오도메트리 제약 정보(odometry constraint) 또는 루프 제약 정보(loop constraint)를 의미한다.
또한, 제2레이어의 라이다 브랜치는 라이다 프레임(LiDAR Frame)들로 구성된다. 라이드 프레임은 로봇의 이동 과정에서 센싱한 라이다 센싱 값을 포함한다. 이들 라이다 프레임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은 라이다 키프레임(LiDAR Keyframe)으로 설정된다.
라이다 키프레임은 백본의 노드와 대응관계를 가진다. 도 4에서 백본의 노드들 v1 내지 v5 중에서 v1, v2, v4, v5가 라이다 키프레임을 지시한다.
마찬가지로, 제2레이어의 비주얼 브랜치는 비주얼 키 프레임(Visual Keyframe)들로 구성된다. 비주얼 키프레임은 로봇의 이동 과정에서 센싱한 카메라 센싱 값(즉,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인 비주얼 피쳐 노드(visual feature node)들을 하나 이상 지시한다. 로봇에 배치된 카메라 센서의 수에 따라 로봇은 다수의 비주얼 피쳐 노드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도 4의 맵 구조에서는 백본의 프레임 노드에 라이다 키프레임이 연결되거나 또는 비주얼 키프레임이 연결되는 구성이다. 물론 라이다/비주얼 키프레임 모두 하나의 프레임 노드에 연결될 수 있다(v1, v4, v5).
각 프레임 노드와 연결된 라이다 또는 비주얼 키프레임의 로봇의 포즈는 같다. 다만, 라이다 센서 또는 카메라 센서가 로봇에 부착된 위치에 따라 외부 파라미터(extrinsic parameter)가 키프레임 별로 추가될 수 있다. 외부 파라미터란 로봇 중심으로부터의 센서가 부착된 상대적인 위치 정보를 의미한다.
비주얼 키프레임은 백본의 노드와 대응관계를 가진다. 도 4에서 백본의 노드들 v1 내지 v5 중에서 v1, v3, v4, v5가 비주얼 키프레임을 지시한다. 도 2에서 비주얼 피쳐 노드(비주얼 프레임)들은 두 개가 한 쌍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로봇(1)이 두 개의 카메라 센서(230)를 포함하여 영상을 촬영함을 의미한다. 카메라 센서(230)의 증감에 따라 각각의 위치에서 비주얼 피쳐 노드의 수 역시 증감한다.
제1레이어의 백본을 구성하는 노드들(v1~v5) 사이에는 에지(edge)가 표시되어 있다. e12, e23, e34, e45는 인접 노드들 사이의 에지이며, e13, e35, e25는 인접하지 않은 노드들 사이의 에지이다.
오도메트리 제약 정보 또는 줄여서 오도메트리 정보는 e12, e23, e34, e45와 같이 인접한 프레임 노드 사이의 제약 조건을 의미한다. 루프 제약 정보 또는 줄여서 루프 정보는 e13, e25, e35와 같이 인접하지 않은 프레임 사이의 제약 조건을 의미한다.
백본은 다수의 키프레임들로 구성된다. 다수의 키프레임을 백본으로 추가하기 위해 제어부(250)는 초기 매핑 과정(initial mapping process)를 수행할 수 있다. 초기 매핑은 키프레임 기반으로 라이다 키프레임과 비주얼 키프레임을 추가한다.
도 4의 구조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라이다 브랜치는 하나 이상의 라이다 프레임을 포함한다. 비주얼 브랜치는 하나 이상의 비주얼 프레임을 포함한다.
그리고 백본은 라이다 프레임 또는 비주얼 프레임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등록된 프레임 노드를 둘 이상 포함한다. 이때, 프레임 노드에 등록되는 라이다 프레임 또는 비주얼 프레임을 키프레임이라 지칭한다. 그리고 포즈 그래프는 이들 라이다 브랜치, 비주얼 브랜치, 백본을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포즈 그래프는 프레임 노드 사이의 오도메트리 정보 및 루프 정보 등을 포함한다. 오도메트리 정보는 로봇이 프레임 노드 사이를 이동하여 생성한 휠의 회전이나 방향 등을 포함한다. 루프 정보는 라이다 센서(220)의 최대 센싱 거리 내에서 특정한 프레임 노드를 중심으로 비주얼 키프레임 사이에 특정한 제약 조건으로 연결된 프레임 노드 셋에 기반한다.
도 4의 포즈 그래프는 제어부(250)가 생성한다. 제어부(250)는 라이다 브랜치, 비주얼 브랜치, 백본, 프레임 노드 사이의 오도메트리 정보 및 이를 포함하는 포즈 그래프를 맵 저장부(210)에 저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초기 매핑 과정을 보여준다. 로봇은 로컬 공간을 주행하여 도 4의 라이다 프레임, 비주얼 피쳐 노드(비주얼 프레임)를 확보한 상태이다. 또는 로봇은 로컬 공간을 주행하며 실시간으로 도 4의 라이다 프레임, 비주얼 피쳐 노드를 확보하며 동시에 도 5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250)는 제1레이어의 백본을 구성하는 프레임 노드를 생성한다(S45). 프레임 노드는 노드 간의 일정한 거리와 각도를 기반으로 한다. 또한, 해당 위치에서 라이다 정보(라이다 프레임) 또는 비전 정보(비주얼 프레임) 중 어느 하나라도 존재할 경우 프레임 노드를 생성한다.
또한, 특정한 목적지(약국, 안내데스크 등)를 생성하기 위해 추가로 노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미리 셋팅한 경우 또는 프레임 노드 생성 과정에서 해당 위치를 노드로 미리 지정한 경우에 가능하다.
프레임 노드의 생성에서 노드 간의 거리와 각도를 반영하는 것은 로봇이 정지한 경우에 중복된 노드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비주얼 키프레임을 등록하는 과정(S46)은 기존의 프레임과의 각도와 로봇이 이루는 각도 차이가 클 경우에 등록한다. 이 역시 중복된 키프레임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어부(250)는 촬영된 영상에서 특징점 개수를 계산하여 해당 영상을 비주얼 키프레임으로 등록할 정도로 영상이 제공하는 정보가 많은 지를 확인한다. 만약 영상 전체가 동일한 색상이거나(벽의 경우) 사람들이 촬영된 경우(특징점 없음)에는 제어부(250)는 비주얼 키프레임으로 등록하지 않는다.
또한 라이다 키프레임을 등록하는 과정은 로봇이 이동하면서 센싱한 라이다 정보에서 서로 중첩되는 영역이 줄어들면 키프레임을 생성한다. 근접한 거리 내에서는 라이다 정보들이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일정한 거리 차이가 있어서 라이다 정보들이 상이할 경우에만 키프레임으로 등록한다.
S45 내지 S47은 로봇이 이동하면서 실시간으로 라이다 정보와 비전 정보를 취합하여 실시간으로 제어부(250)가 백본의 프레임 노드 및 비주얼 키프레임, 라이다 키프레임을 등록할 수 있다.
또는 로봇이 1차적으로 이동하면서 미리 라이다 정보와 비전 정보를 취합 및 저장한 후, 제어부(250)가 백본의 프레임 노드 및 비주얼 키프레임, 라이다 키프레임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백본의 프레임 노드를 생성하며 각 노드들 사이의 오도메트리 제약 정보와 루프 제약 정보를 에지로 추가할 수 있다.
도 5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250)는 이전 프레임 노드와 현재 위치 사이의 거리 또는 각도에 기반하여 새로운 프레임 노드를 생성한다(S45). 그리고 제어부(250)는 현재 위치에서 등록 가능한 비주얼 프레임 또는 라이다 프레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맵 저장부(210)에서 검색하여 S45에서 생성한 새로운 프레임 노드에 등록시킨다(S46, S47).
물론, 새로운 프레임 노드를 기준으로 비주얼 프레임/라이다 프레임이 전혀 없을 경우, 라이다 센서(220) 또는 카메라 센서(230)를 이용하여 제어부(250)는 새롭게 라이다 프레임/비주얼 프레임을 생성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주얼 키프레임을 생성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제어부(250)는 입력된 비전 정보들 중에서 SLAM에 적합한 비주얼 키프레임을 선택한다.
제어부(250)는 초기화를 수행한다(S51). 초기화는 제어부(250)가 이웃 노드들(Vneigbor)의 집합을 공집합(Ф)으로, 그리고 이웃 노드들의 수(nneighbor)를 0으로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어부(250)는 후보 비주얼 키프레임(candidate visual keyframe, vv candidate)에 일정 거리 이내로 위치한 노드들 중에서 후보 영역의 최대 각도(Rmax) 이내에 위치한 노드들을 이웃 노드들(Vneigbor)로 포함시킨다(S52). 여기서 Rmax는 중첩된 비주얼 키프레임을 식별하는데 필요한 최대 검색 범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Rmax의 크기가 작으면 맵은 매우 밀집도가 높게 작성될 수 있다.
이웃 노드들의 집합이 셋팅되면, 비주얼 키프레임을 기준으로 θreg이하의 방향 차이를 가지는 이웃 노드가 있으며, 이들 이웃 노드들과의 에지가 포즈 그래프(pose graph)와 일치한다면 이는 위치추정에 중요한 키프레임으로 판단할 수 있다(S53).
다음 단계로, 후보 비주얼 키프레임이 충분히 3D 포인트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한다. 만약, 충분히 3D 포인트를 보유한다면, 이러한 후보 비주얼 키프레임은 키프레임으로 도 4의 백본을 포함하는 포즈 그래프에 추가될 수 있다(S54).
3D 포인트에 대한 기준은 Nmin 3D_point은 키프레임으로 등록하기 위한 최소한의 3D 포인트를 의미한다.
도 6의 과정은 카메라 센서가 이미지를 취합하면 반복 실시할 수 있다. 도 6의 과정을 예시적인 유사코드(pseudo code)로 구현하면 다음과 같다. S51은 하기의 라인 1에 해당하며, S52는 하기 라인 2에 해당한다. S53은 하기 라인 3-8에 해당한다. S54는 하기 라인 9~14에 해당한다.
Figure 112019081056565-pct00001
도 6을 정리하면, 프레임 노드에 등록될 수 있는 비주얼 키프레임은 비주얼 프레임들 중에서 선택된다. 제어부(250)는 다수의 비주얼 프레임들 중에서 인접한 비주얼 프레임들과 거리, 각도 및 비주얼 프레임 내의 특징점의 수에 따라 비주얼 키프레임을 선택한다.
그리고 도 4에 제시된 바와 같이 비주얼 브랜치는 다수의 비주얼 프레임 및 하나 이상의 비주얼 키프레임을 포함한다. 비주얼 키프레임은 비주얼 프레임들 중에서 선택된 비주얼 프레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라이다 키 프레임을 생성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제어부(250)는 이동하는 과정에서 특정 위치의 라이다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첫번째 라이다 프레임을 라이다 키프레임으로 등록(S56)하고 로봇(1)의 이동 과정에서 새로운 라이다 프레임을 생성한다(S57). 제어부(250)는 새로운 라이다 프레임을 선택한다(S58).
제어부(250)는 선택한 라이다 프레임과 이전에 등록된 키프레임을 비교하여 오버랩하는 크기가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 키프레임으로 등록한다(S59). S57 내지 S59는 로봇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반복될 수 있다.
도 7의 과정을 적용하면 라이다 프레임들 중에서 이전 공간과 변화의 크기가 큰 라이다 프레임이 키프레임으로 등록될 수 있다.
도 7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250)는 다수의 라이다 프레임들 중에서 제1라이다 키프레임과 오버랩하는 크기에 따라 제2라이다 키프레임을 선택한다. 제1라이다 키프레임은 이미 키프레임으로 선택된 키프레임이며, 제2라이다 키프레임은 새롭게 선택된 키프레임이다.
도 4에 제시된 바와 같이 라이다 브랜치는 다수의 라이다 프레임 및 하나 이상의 라이다 키프레임을 포함한다. 라이다 키프레임은 다수의 라이다 프레임 중 선택된 라이다 프레임이다.
도 6 및 도 7의 비주얼 키프레임의 생성과 라이다 키프레임의 생성은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과 같이 생성된 키프레임들 중에서 제어부(250)는 백본의 프레임 노드로 등록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백본의 프레임 노드를 등록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250)는 앞서 도 6 및 도 7의 과정에서 살펴본 비주얼 키프레임 및 라이다 키프레임들이 생성된 이후 프레임 노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50)는 사용자들이 특정하게 지시한 위치에서 별도의 비주얼 키프레임과 라이다 키프레임을 생성하고 해당 위치에서 프레임 노드를 생성하여 프레임 노드와 비주얼 키프레임/라이다 키프레임을 등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사용자의 수동 등록 상태인 경우(S61), 사용자가 POI(Point of Interest)를 입력하는 모드로 전환한다.
즉, 인터페이스부(290)가 프레임 노드의 추가를 입력받을 수 있다. 프레임 노드의 추가와 함께 현재 위치에 대한 메타데이터(meta data)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제어부(250)는 현재 위치에서 프레임 노드를 생성하고 생성한 프레임 노드에 등록 가능한 비주얼 프레임 또는 라이다 프레임을 검색하여 상기 프레임 노드에 등록시킨다. 또는 제어부(250)가 라이다 센서(220) 또는 카메라 센서(230)를 제어하여 새로운 비주얼 프레임/라이다 프레임을 생성하여 생성된 프레임들을 프레임 노드에 등록시킬 수 있다.
제어부(250)는 현재 로봇(1)의 위치에서 카메라 센서(230)를 제어하여 비전 정보를 생성하고 라이다 센서(220)를 제어하여 라이다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250)는 생성된 비전 정보를 이용하여 비주얼 키프레임을 생성하고, 생성된 라이다 정보를 이용하여 라이다 키프레임을 생성한다(S62). 이후 제어부(250)는 해당 위치에서 프레임 노드를 생성하고(S63), 생성한 프레임 노드에 비주얼 키프레임 및 라이다 키프레임을 등록(혹은 결합, associate)시킨다(S64).
S61에서 사용자의 수동 등록 상태가 아닌 경우, 제어부(250)는 이전 프레임 노드(vf previous)와 로봇의 현재 위치(pcurrent)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현재 위치를 프레임 노드로 생성할 것인지를 판단한다(S65).
예를 들어, 제어부(250)는 이전 프레임 노드와 새로운 프레임 노드 사이에서 최소한 만족시켜야 하는 거리(Tdist)와 각도(Tangle)라는 기준을 이용한다.
보다 상세히, 제어부(250)는 이전 프레임 노드의 위치(p(vf previous))와 현재 로봇의 위치(pcurrent)의 차이가 Tdist 보다 크거나 또는 이전 프레임 노드의 위치(p(vf previous))와 현재 로봇의 위치(pcurrent) 사이의 각도가 Tangle 보다 큰지 확인한다. 그리고 S65의 조건을 충족할 경우, 제어부(250)는 해당 위치에서 등록 가능한 비주얼 키프레임 또는 라이다 키프레임이 존재할 경우(S66). 프레임 노드를 생성한다(S67).
그리고 프레임 노드가 생성되면 해당 위치에서 등록 가능한 비주얼 키프레임과 라이다 키프레임을 프레임 노드에 등록한다(S68). 제어부(250)는 비주얼 키프레임만 프레임 노드에 등록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50)는 라이다 키프레임만 프레임 노드에 등록할 수 있다, 혹은 제어부(250)는 비주얼 키프레임/라이다 키프레임 모두 프레임 노드에 등록할 수 있다.
도 8의 과정은 로봇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반복 실시할 수 있다. 도 8의 과정을 예시적인 유사코드(pseudo code)로 구현하면 다음과 같다. S61은 하기의 라인 1에 해당하며, S62~S64는 하기 라인 2~4에 해당한다. S65~S68은 하기 라인 5-18에 해당한다. 보다 상세히, S65는 라인 5~6에, S66은 라인 7에 S67은 라인 8에 해당한다. S68은 라인 12 내지 17에 해당한다.
Figure 112019081056565-pct00002
전술한 과정을 적용하면 로봇(1)은 두 종류의 맵(비전 맵, 라이다 맵)을 각각 생성하고 이들을 백본을 중심으로 조합할 수 있다. 또는 이미 하나의 통합된 백본을 포함한 포즈 그래프에서 필요한 맵(비전 맵 또는 라이다 맵)을 추출하여 로봇(1)의 SLAM에 적용할 수 있다. 이는 로봇(1)이 어느 하나의 센서만 장착하였거나(220 또는 230) 어느 하나의 센서를 중심으로 SLAM을 수행할 경우 적용가능하다.
따라서, 전술한 맵 생성은 라이다 센서(220) 및 카메라 센서(230)를 모두 포함하는 로봇(1)이 두 종류의 맵(비전 맵과 라이다 맵)을 생성하여 이들 사이의 키프레임들을 이용하여 백본을 포함한 포즈 그래프를 생성한다.
이후 라이다 센서(220)만을 장착한 로봇에게는 라이다 맵을 설치하고, 카메라 센서(230)만을 장착한 로봇에게는 비전 맵을 설치하여 각각의 상이한 센서를 가진 로봇들이 위치 추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맵의 특징에 따라 로봇이 사용할 수 있는 위치추정 시나리오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즈 그래프에서 라이다 프레임을 제거한 비주얼 전용 포즈 그래프를 보여준다. 프레임 노드와 오도메트리 정보, 그리고 비주얼 프레임 및 비주얼 키프레임이 G_Visual이라는 포즈 그래프를 구성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즈 그래프에서 비주얼 프레임을 제거한 비주얼 전용 포즈 그래프를 보여준다. 프레임 노드와 오도메트리 정보, 그리고 라이다 프레임 및 라이다 키프레임이 G_LiDAR 라는 포즈 그래프를 구성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즈 그래프를 일부 삭제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제어부(250)는 프레임 노드를 포함하는 포즈 그래프를 메모리에 로딩한다(S71). 그리고 비주얼 전용 포즈 그래프의 생성인지 아닌지에 따라 분기한다(S72). 비주얼 전용 포즈 그래프의 생성인 경우, 제어부(250)는 로딩한 포즈 그래프에서 백본을 구성하는 프레임 노드에 등록된 라이다 프레임을 제거한다(S73). 그리고 제어부(250)는 포즈 그래프에서 라이다 브랜치를 제거한 비주얼 전용 포즈 그래프를 생성한다(S74). 그 결과는 도 9와 같다.
라이다 센서(220)를 포함하지 않는 로봇의 SLAM 과정에서 제어부(250)가 도 9의 맵을 이용하여 로봇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따.
한편 S71에서 라이다 전용 포즈 그래프의 생성인 경우 제어부(250)는 포즈 그래프에서 백본을 구성하는 프레임 노드에 등록된 비주얼 프레임을 제거한다(S75). 그리고 제어부(250)는 포즈 그래프에서 비주얼 브랜치를 제거한 라이다 전용 포즈 그래프를 생성한다(S76). 그 결과는 도 10과 같다.
카메라 센서(230)를 포함하지 않는 로봇의 SLAM 과정에서 제어부(250)가 도 10의 맵을 이용하여 로봇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이용하여 라이다 센서에 기반한 위치추정 과정을 보여준다. 로봇은 카메라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 센서(220)가 로봇의 외부에 배치된 사물과 로봇 사이의 거리를 센싱하여 제1라이다 프레임을 생성한다(S81). 그리고 제어부(250)는 맵 저장부(210)에 저장된 프레임 노드를 선택한다(S82). 프레임 노드의 선택은 이전에 확인된 프레임 노드를 기준으로 로봇이 이동한 오도메트리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생성한 제1라이다 프레임과 프레임 노드에 등록된 제2라이다 프레임을 비교한다(S83). 비교 결과에 따라 위치 추정이 가능할 경우(S84) 제어부(250)는 로봇의 현재 위치 추정을 수행한다(S86).
반면 S84에서 위치추정이 불가능한 경우, 제어부(250)는 맵 저장부(210)의 백본에서 새로운 프레임 노드를 검색하거나 혹은 카메라 센서(230)가 생성한 제1비주얼 프레임을 이용하여 위치 추정을 수행한다(S85).
맵 저장부(210)는 전술한 포즈 그래프를 저장한다. 맵 저장부(210)는 제1라이다 프레임과 비교 가능한 다수의 라이다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라이다 브랜치를 저장한다. 또한 맵 저장부(210)는 제1비주얼 프레임과 비교 가능한 다수의 비주얼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비주얼 브랜치를 저장한다.
맵 저장부(210)는 저장된 라이다 프레임 또는 저장된 비주얼 프레임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등록된 프레임 노드를 둘 이상 포함하는 백본으로 구성된 포즈 그래프를 저장한다. 또한 맵 저장부(210)는 프레임 노드 사이의 오도메트리 정보를 저장한다.
로봇이 제공하는 센서의 종류에 따라 맵저장부(210)는 라이다 브랜치를 제거한 포즈 그래프를 저장하거나(도 9), 또는 맵저장부(210)는 비주얼 브랜치를 제거한 포즈 그래프를 저장할 수 있다(도 10).
그리고 제어부(250)는 포즈 그래프의 프레임 노드에 등록된 프레임과 제1라이다 프레임 또는 상기 제1비주얼 프레임을 비교하여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50)는 오도메트리 정보를 이용하여 로봇의 현재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특히, 라이다 센서로 위치 추정이 안될 경우 새로운 라이다 프레임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50) 백본에서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제1프레임 노드를 검색하여 상기 제1프레임 노드에 등록된 제2라이다 프레임을 추출한다.
그리고 제어부(250)는 제1라이다 프레임과 제2라이다 프레임을 비교한 결과 상기 두 프레임이 상이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라이다 브랜치에서 제2라이다 프레임에 인접한 제3라이다 프레임을 추출하여 상기 제1라이다 프레임과 제3라이다 프레임을 비교하여 로봇의 현재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그럼에도 여전히 라이다 센서를 이용하여 위치 추정에 실패하면, 로봇은 비주얼 프레임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제어부(250)는 제1라이다 프레임과 제3라이다 프레임을 비교한 결과 두 프레임이 상이한 경우, 제어부(250)는 제1프레임 노드에 등록된 제2비주얼 프레임을 추출한다.
그리고 제어부(250)는 제1비주얼 프레임과 제2비주얼 프레임을 비교하여 로봇의 현재 위치를 계산한다.
현재 확인된 프레임 노드를 기준으로 라이다 프레임 또는 비주얼 프레임을 이용한 위치 추정에 실패할 경우, 제어부(250)는 새로운 프레임 노드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구성에서 v2로 판단하였으나 위치 추정에 실패한 경우 제어부(250)는 인접한 v1 또는 v3를 새로운 프레임 노드로 검색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50)는 현재 프레임 노드에 등록된 키프레임 외의 비주얼 프레임 또는 라이다 프레임을 맵 저장부(210)에서 추출하여 현재 위치에서 획득한 제1라이다 프레임/제1비주얼 프레임과 비교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이용하여 카메라 센서에 기반한 위치추정 과정을 보여준다. 로봇은 라이다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센서(230)가 로봇의 외부에 배치된 사물을 촬영하여 제1비주얼 프레임을 생성한다(S91).
그리고 제어부(250)는 맵 저장부(210)에 저장된 프레임 노드를 선택한다(S92). 프레임 노드의 선택은 이전에 확인된 프레임 노드를 기준으로 로봇이 이동한 오도메트리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생성한 제1비주얼 프레임과 프레임 노드에 등록된 제2비주얼 프레임을 비교한다(S93). 비교 결과에 따라 위치 추정이 가능할 경우(S94) 제어부(250)는 로봇의 현재 위치 추정을 수행한다(S96).
반면 S94에서 위치추정이 불가능한 경우, 제어부(250)는 맵 저장부(210)의 백본에서 새로운 프레임 노드를 검색하거나 혹은 라이다 센서(220)가 생성한 제1라이다 프레임을 이용하여 위치 추정을 수행한다(S95)
특히, 카메라 센서로 위치 추정이 안될 경우 새로운 비주얼 프레임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50) 백본에서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제1프레임 노드를 검색하여 상기 제1프레임 노드에 등록된 제2비주얼 프레임을 추출한다.
그리고 제어부(250)는 제1비주얼 프레임과 제2비주얼 프레임을 비교한 결과 상기 두 프레임이 상이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비주얼 브랜치에서 제2비주얼 프레임에 인접한 제3비주얼 프레임을 추출하여 상기 제1비주얼 프레임과 제3비주얼 프레임을 비교하여 로봇의 현재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그럼에도 여전히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위치 추정에 실패하면, 로봇은 라이다 프레임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제어부(250)는 제1비주얼 프레임과 제3비주얼 프레임을 비교한 결과 두 프레임이 상이한 경우, 제어부(250)는 제1프레임 노드에 등록된 제2라이다 프레임을 추출한다.
그리고 제어부(250)는 제1라이다 프레임과 제2라이다 프레임을 비교하여 로봇의 현재 위치를 계산한다.
현재 확인된 프레임 노드를 기준으로 라이다 프레임 또는 비주얼 프레임을 이용한 위치 추정에 실패할 경우, 제어부(250)는 새로운 프레임 노드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구성에서 v2로 판단하였으나 위치 추정에 실패한 경우 제어부(250)는 인접한 v1 또는 v3를 새로운 프레임 노드로 검색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50)는 현재 프레임 노드에 등록된 키프레임 외의 비주얼 프레임 또는 라이다 프레임을 맵 저장부(210)에서 추출하여 현재 위치에서 획득한 제1라이다 프레임/제1비주얼 프레임과 비교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서 프레임 노드 중에 라이다 프레임 또는 비주얼 프레임이 등록되지 않았거나 위치 추정에 실패한 경우에, 제어부(250)는 로봇의 현재 위치를 처음 검색한 제1프레임 노드를 기준으로 추정한다.
그리고 제어부(250)는 로봇이 이동했던 경로 중 라이다 프레임 또는 비주얼 프레임이 등록된 제2프레임 노드을 추출하여 제2프레임 노드로부터 제1프레임 노드까지의 오도메트리 정보를 이용하여 로봇의 현재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을 적용할 경우, 제어부(250)는 비전 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 센서와 라이다 정보를 생성하는 라이다 센서를 융합하여 하나의 맵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50)는 이들 센서들이 센싱한 정보에 기반하여 도 4와 같이 맵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맵을 별도로 분리하여 비주얼 프레임에 기반한 맵, 라이다 프레임에 기반한 맵 등으로 분리할 수 있으며, 로봇(1)이 보유한 센서들의 종류에 따라 분리된 맵을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하여 위치추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서로 상이한 센서에 기반한 프레임 및 키프레임을 이용하여 고품질의 상호 호완적인 맵을 생성하여 위치 추정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에서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반도체 기록소자를 포함하는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외부의 장치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9)

  1. 로봇을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로봇의 외부에 배치된 사물과 로봇 사이의 거리를 센싱하여 라이다 프레임을 생성하는 라이다 센서;
    상기 로봇의 외부에 배치된 사물을 촬영하여 비주얼 프레임을 생성하는 카메라 센서;
    상기 하나 이상의 라이다 프레임을 포함하는 라이다 브랜치와 상기 하나 이상의 비주얼 프레임을 포함하는 비주얼 브랜치와 상기 라이다 프레임 또는 상기 비주얼 프레임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등록된 프레임 노드를 둘 이상 포함하는 백본으로 구성된 포즈 그래프를 생성하며, 상기 프레임 노드 사이를 상기 로봇이 이동하여 생성한 오도메트리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라이다 브랜치, 상기 비주얼 브랜치, 상기 백본, 상기 프레임 노드 사이의 오도메트리 정보 및 상기 포즈 그래프를 저장하는 맵 저장부를 포함하는, 다중 센서 및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맵을 생성하는 로봇.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전 프레임 노드와 현재 위치 사이의 거리 또는 각도에 기반하여 새로운 프레임 노드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현재 위치에서 등록 가능한 상기 비주얼 프레임 또는 상기 라이다 프레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맵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상기 생성한 새로운 프레임 노드에 등록시키는, 다중 센서 및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맵을 생성하는 로봇.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노드에 등록된 비주얼 프레임은
    상기 제어부가 다수의 비주얼 프레임들 중에서 인접한 비주얼 프레임들과 거리, 각도 및 비주얼 프레임 내의 특징점의 수에 따라 선택한 비주얼 키프레임이며,
    상기 비주얼 브랜치는 상기 다수의 비주얼 프레임 및 상기 비주얼 프레임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비주얼 키프레임을 포함하는, 다중 센서 및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맵을 생성하는 로봇.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노드에 등록된 라이다 프레임은
    상기 제어부가 다수의 라이다 프레임들 중에서 제1라이다 키프레임과 오버랩하는 크기에 따라 선택한 제2라이다 키프레임이며,
    상기 라이다 브랜치는 상기 다수의 라이다 프레임 및 상기 라이다 프레임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라이다 키프레임을 포함하는, 다중 센서 및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맵을 생성하는 로봇.
  5. 제1항에 있어서,
    로봇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프레임 노드의 추가를 입력받으면,
    상기 제어부가 현재 위치에서 프레임 노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프레임 노드에 등록 가능한 비주얼 프레임 또는 라이다 프레임을 검색하여 상기 프레임 노드에 등록시키는, 다중 센서 및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맵을 생성하는 로봇.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즈 그래프에서 상기 백본을 구성하는 프레임 노드에 등록된 라이다 프레임을 제거한 비주얼 전용 포즈 그래프를 생성하는, 다중 센서 및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맵을 생성하는 로봇.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즈 그래프에서 상기 백본을 구성하는 프레임 노드에 등록된 비주얼 프레임을 제거한 라이다 전용 포즈 그래프를 생성하는, 다중 센서 및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맵을 생성하는 로봇.
  8. 로봇을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로봇의 외부에 배치된 사물과 로봇 사이의 거리를 센싱하여 제1라이다 프레임을 생성하는 라이다 센서;
    상기 로봇의 외부에 배치된 사물을 촬영하여 제1비주얼 프레임을 생성하는 카메라 센서;
    상기 제1라이다 프레임과 비교 가능한 다수의 라이다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라이다 브랜치를 저장하고, 상기 제1비주얼 프레임과 비교 가능한 다수의 비주얼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비주얼 브랜치를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라이다 프레임 또는 상기 저장된 비주얼 프레임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등록된 프레임 노드를 둘 이상 포함하는 백본으로 구성된 포즈 그래프를 저장하며, 상기 프레임 노드 사이의 오도메트리 정보를 저장하는 맵 저장부;
    상기 포즈 그래프의 프레임 노드에 등록된 프레임과 상기 제1라이다 프레임 또는 상기 제1비주얼 프레임을 비교하거나 또는 상기 오도메트리 정보를 이용하여 로봇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중 센서 및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생성된 맵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로봇.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백본에서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제1프레임 노드를 검색하여 상기 제1프레임 노드에 등록된 제2라이다 프레임을 추출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라이다 프레임과 상기 제2라이다 프레임을 비교한 결과 상기 두 프레임이 상이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이다 브랜치에서 상기 제2라이다 프레임에 인접한 제3라이다 프레임을 추출하여 상기 제1라이다 프레임과 상기 제3라이다 프레임을 비교하여 로봇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다중 센서 및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생성된 맵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로봇.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라이다 프레임과 상기 제3라이다 프레임을 비교한 결과 상기 두 프레임이 상이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프레임 노드에 등록된 제2비주얼 프레임을 추출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비주얼 프레임과 상기 제2비주얼 프레임을 비교하여 로봇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다중 센서 및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생성된 맵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로봇.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백본에서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제1프레임 노드를 검색하여 상기 제1프레임 노드에 등록된 제2비주얼 프레임을 추출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비주얼 프레임과 상기 제2비주얼 프레임을 비교한 결과 상기 두 프레임이 상이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주얼 브랜치에서 상기 제2비주얼 프레임에 인접한 제3비주얼 프레임을 추출하여 상기 제1비주얼 프레임과 상기 제3비주얼 프레임을 비교하여 로봇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다중 센서 및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생성된 맵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로봇.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비주얼 프레임과 상기 제3비주얼 프레임을 비교한 결과 상기 두 프레임이 상이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프레임 노드에 등록된 제2라이다 프레임을 추출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라이다 프레임과 상기 제2라이다 프레임을 비교하여 로봇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다중 센서 및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생성된 맵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로봇.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포즈 그래프를 구성하는 프레임 노드 중 제1프레임 노드는 라이다 프레임 또는 비주얼 프레임이 등록되지 않은 프레임 노드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봇의 현재 위치를 상기 제1프레임 노드를 기준으로 추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로봇이 이동했던 경로 중 라이다 프레임 또는 비주얼 프레임이 등록된 제2프레임 노드을 추출하여 상기 제2프레임 노드로부터 상기 제1프레임 노드까지의 오도메트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로봇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다중 센서 및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생성된 맵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로봇.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97023289A 2019-05-03 2019-05-03 다중 센서 및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맵을 생성하고 맵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로봇 KR1026644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5305 WO2020226187A1 (ko) 2019-05-03 2019-05-03 다중 센서 및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맵을 생성하고 맵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로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624A KR20210150624A (ko) 2021-12-13
KR102664410B1 true KR102664410B1 (ko) 2024-05-08

Family

ID=73051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3289A KR102664410B1 (ko) 2019-05-03 2019-05-03 다중 센서 및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맵을 생성하고 맵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로봇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60297B2 (ko)
KR (1) KR102664410B1 (ko)
WO (1) WO20202261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4410B1 (ko) * 2019-05-03 2024-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센서 및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맵을 생성하고 맵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로봇
CN112785702B (zh) * 2020-12-31 2023-06-20 华南理工大学 一种基于2d激光雷达和双目相机紧耦合的slam方法
CN112882054B (zh) * 2021-02-26 2023-10-27 广州优亿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室内机器人定位导航系统及信号采集方法
WO2023280410A1 (en) * 2021-07-08 2023-01-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upporting localization and mapping using a heterogeneous map
CN114200945B (zh) * 2021-12-13 2024-04-02 长三角哈特机器人产业技术研究院 一种移动机器人的安全控制方法
CN114674308B (zh) * 2022-05-26 2022-09-16 之江实验室 基于安全出口指示牌视觉辅助激光长廊定位方法及装置
CN115930933B (zh) * 2022-09-20 2023-07-04 江苏海洋大学 一种基于集群控制的多智能体协同建图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09846A1 (en) 2015-01-19 2016-07-2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Visual Localization Within LIDAR Maps
KR101776622B1 (ko) 2014-06-17 2017-09-11 주식회사 유진로봇 다이렉트 트래킹을 이용하여 이동 로봇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US20180204338A1 (en) 2017-01-13 2018-07-19 Otsaw Digital Pte. Ltd. Three-dimensional mapping of an environment
US20180288386A1 (en) 2017-03-30 2018-10-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arse relocalization using signal fingerprints
US20190005650A1 (en) 2017-06-29 2019-01-03 Ngr Inc. Pattern edge detec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63157B1 (en) * 2005-02-10 2008-04-22 Sarnoff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wide area terrain mapping
US8913055B2 (en) * 2011-05-31 2014-12-16 Honda Motor Co., Ltd. Online environment mapping
GB201202344D0 (en) * 2012-02-10 2012-03-28 Isis Innovation Method of locating a sensor and related apparatus
US9875557B2 (en) * 2012-11-05 2018-01-23 The Chancellor Masters And Scholars Of The University Of Oxford Extrinsic calibration of imaging sensing devices and 2D LIDARs mounted on transportable apparatus
GB201303076D0 (en) * 2013-02-21 2013-04-10 Isis Innovation Generation of 3D models of an environment
JP2016540211A (ja) * 2013-11-27 2016-12-22 ザ トラスティーズ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ー オブ ペンシルバニア 回転翼型小型飛行体(mav)での屋内環境及び屋外環境における安定自律飛行のためのマルチセンサの融合
US20160291154A1 (en) * 2015-04-01 2016-10-06 Vayavision, Ltd. Apparatus for acquiring 3-dimensional maps of a scene
DE102016211805A1 (de) * 2015-10-09 2017-04-1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Fusion von Positionsdaten mittels Posen-Graph
US11567201B2 (en) * 2016-03-11 2023-01-31 Kaarta, Inc. Laser scanner with real-time, online ego-motion estimation
US10989542B2 (en) * 2016-03-11 2021-04-27 Kaarta, Inc. Aligning measured signal data with slam localization data and uses thereof
US20190346271A1 (en) * 2016-03-11 2019-11-14 Kaarta, Inc. Laser scanner with real-time, online ego-motion estimation
CA3020184A1 (en) * 2016-04-08 2017-10-12 A&K Robotics Inc. Autoscrubber convertible between manual and autonomous operation
US11092690B1 (en) * 2016-09-22 2021-08-17 Apple Inc. Predicting lidar data using machine learning
KR101868374B1 (ko) * 2016-10-20 2018-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로봇의 제어방법
KR102096875B1 (ko) 2016-10-21 2020-05-28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자율 주행 기술을 응용한 3차원 실내 정밀 지도 자동 생성 로봇 및 로봇의 제어 방법
US11536572B2 (en) * 2016-11-09 2022-12-27 The Texas A&M University System Method and system for accurate long term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with absolute orientation sensing
KR102172602B1 (ko) * 2017-10-23 2020-11-02 주식회사 유진로봇 라이다를 이용한 위치 인식 및 지도 작성에 관한 방법 및 장치
US10962647B2 (en) 2016-11-30 2021-03-30 Yujin Robot Co., Ltd. Lidar apparatus based on time of flight and moving object
US10445928B2 (en) * 2017-02-11 2019-10-15 Vayavision Ltd.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multidimensional maps of a scene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of various types
US10379606B2 (en) * 2017-03-30 2019-08-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ologram anchor prioritization
US10600252B2 (en) * 2017-03-30 2020-03-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arse relocalization using signal fingerprints
KR101956447B1 (ko) * 2017-04-20 2019-03-12 한국과학기술원 그래프 구조 기반의 무인체 위치 추정 장치 및 그 방법
CN113341397A (zh) * 2017-08-15 2021-09-03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反射值地图构建方法和装置
US11579298B2 (en) * 2017-09-20 2023-02-14 Yujin Robot Co., Ltd. Hybrid sensor and compact Lidar sensor
US10984583B2 (en) * 2018-03-28 2021-04-20 Apple Inc. Reconstructing views of real world 3D scenes
US11874399B2 (en) 2018-05-16 2024-01-16 Yujin Robot Co., Ltd. 3D scanning LIDAR sensor
US10582137B1 (en) * 2018-09-26 2020-03-03 Zoox, Inc. Multi-sensor data capture synchronizaiton
CN111060101B (zh) * 2018-10-16 2022-06-28 深圳市优必选科技有限公司 视觉辅助的距离slam方法及装置、机器人
KR102243179B1 (ko) * 2019-03-27 2021-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
KR102664410B1 (ko) * 2019-05-03 2024-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센서 및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맵을 생성하고 맵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로봇
US11614747B2 (en) * 2019-05-16 2023-03-28 Lg Electronics Inc. Robot generating map and configuring correlation of nodes based on multi sensor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oving based on map, and method of generating map
US11554495B2 (en) * 2019-05-30 2023-01-17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localization using multi sensor and robot implementing same
WO2020241934A1 (ko) * 2019-05-30 2020-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센서를 동기화시켜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로봇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622B1 (ko) 2014-06-17 2017-09-11 주식회사 유진로봇 다이렉트 트래킹을 이용하여 이동 로봇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US20160209846A1 (en) 2015-01-19 2016-07-2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Visual Localization Within LIDAR Maps
US20180204338A1 (en) 2017-01-13 2018-07-19 Otsaw Digital Pte. Ltd. Three-dimensional mapping of an environment
US20180288386A1 (en) 2017-03-30 2018-10-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arse relocalization using signal fingerprints
US20190005650A1 (en) 2017-06-29 2019-01-03 Ngr Inc. Pattern edge detec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56293A1 (en) 2021-11-18
US11960297B2 (en) 2024-04-16
KR20210150624A (ko) 2021-12-13
WO2020226187A1 (ko) 202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4410B1 (ko) 다중 센서 및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맵을 생성하고 맵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로봇
CN110275540A (zh) 用于扫地机器人的语义导航方法及其系统
CN106940186B (zh) 一种机器人自主定位与导航方法及系统
Lee et al. RGB-D camera based wearable navig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KR102220564B1 (ko) 멀티 센서를 이용하여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 및 이를구현하는 로봇
KR101725060B1 (ko) 그래디언트 기반 특징점을 이용한 이동 로봇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2235271B1 (ko)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
US970404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pturing images and annotating the captured images with information
CN104536445B (zh) 移动导航方法和系统
US11500391B2 (en) Method for positioning on basis of vision information and robot implementing same
KR101784183B1 (ko) ADoG 기반 특징점을 이용한 이동 로봇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US11614747B2 (en) Robot generating map and configuring correlation of nodes based on multi sensor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oving based on map, and method of generating map
KR20190134554A (ko) 동적 장애물을 식별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로봇
KR20210029586A (ko) 이미지 내의 특징적 객체에 기반하여 슬램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로봇과 클라우드 서버
KR102615685B1 (ko) 멀티 센서를 동기화시켜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로봇
CN108481327A (zh) 一种增强视觉的定位装置、定位方法及机器人
CN108303094A (zh) 基于多视觉传感器融合阵列的定位导航系统及其定位导航方法
Zhi et al. Learning autonomous exploration and mapping with semantic vision
KR102246236B1 (ko) 퓨전 슬램에서 맵을 업데이트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로봇
CN110084825A (zh) 一种基于图像边缘信息导航的方法及系统
Xanthidis et al. Towards Mapping of Underwater Structures by a Team of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s
US11774983B1 (en) Autonomous platform guidance systems with unknown environment mapping
Munoz et al. Assisting Visually Impaired People Navigate Indoors.
Virgolino Soares et al. Visual localization and mapping in dynamic and changing environments
KR102333612B1 (ko)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맵을 생성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맵에 따라 주행하는 이동 로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