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384B1 -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384B1
KR102664384B1 KR1020170000342A KR20170000342A KR102664384B1 KR 102664384 B1 KR102664384 B1 KR 102664384B1 KR 1020170000342 A KR1020170000342 A KR 1020170000342A KR 20170000342 A KR20170000342 A KR 20170000342A KR 102664384 B1 KR102664384 B1 KR 102664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plate
light guide
light source
dichroic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9763A (ko
Inventor
김동욱
박준용
정재승
알렉산더 브이. 모로조브
신봉수
배지현
송석호
심동식
이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0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384B1/ko
Priority to US15/860,202 priority patent/US10393945B2/en
Publication of KR20180079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G02B6/0061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to provide homogeneous light output intens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07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the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 controlling the colour, i.e. a spectral characteristic, of the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4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operating by reflection only
    • G02B27/141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operating by reflection only using dichroic 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68Arrangements of plural sources, e.g. multi-colour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한 영상 표시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 상기 광원의 일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전반사하며 진행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일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광을 회절시켜 상기 도광판의 일면에 대해 소정 각도로 출사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격자 간격 "I 깊이의 패턴을 갖는 복수의 회절 격자 및 상기 도광판의 후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회절 격자에 의해 회절되는 광을 상기 도광판으로 반사시키는 미러(mirror);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Directional backlight unit and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예시적인 실시예는 광 효율 및 광 균일성이 개선된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깊이 정보가 없이 2차원 이미지만을 표시할 수 있는 전통적인 방식의 영상표시 장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에 관련된 기술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중 주된 종류는 두 눈의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를 이용하는 것으로, 시점이 서로 다른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시청자의 좌안과 우안에 각각 제공함으로써 시청자가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에는 특수 안경을 필요로 하는 안경식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와 안경을 필요로 하지 않는 무안경식 3차원 영상 표시 장치가 있다.
안경형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는 영화관에서는 적청(Red-Green) 안경방식이 사용되며, TV의 경우에는 편광 안경 방식 또는 액정 셔터 방식으로 양분되어 있다. 무안경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는 구조에 따라 베리어(Barrier) 방식과 렌티큘러(Lenticular) 방식 등이 있으며, 영상 구현 방식에 따라 멀티뷰 렌더링(Multiview rendering) 방식, 3차원 공간의 모든 정보를 담고 그것을 3차원 공간에 복셀(Voxel)로 표시하는 볼류메트릭(Volumetric) 방식, 곤충의 복안(파리눈) 모양 렌즈를 통해 맺히는 여러 각도에서의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역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인티그럴 이미징(Integral Imaging) 방식, 홀로그래픽(Holographic) 방식 등이 있다.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을 사용한 무안경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는 구조 측면에서는 수백 나노미터 사이즈의 피치(pitch)를 가지는 회절 격자를 이용하는 방식이고, 영상 구현은 위에 열거된 구현 방식들 중 택하여 필요한 방향대로 출광방향을 설정함으로써 3차원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출광 효율 및 광 균일도가 개선된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출광 효율 및 광 균일성이 개선된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일 유형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광원; 상기 광원의 일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전반사하며 진행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일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광을 회절시켜 상기 도광판의 일면에 대해 소정 각도로 출사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격자 간격 "I 깊이의 패턴을 갖는 복수의 회절 격자; 및 상기 도광판의 후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회절 격자에 의해 회절되는 광을 상기 도광판으로 반사시키는 미러(mirror);을 포함하는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이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회절 격자는 상기 도광판의 전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회절 격자는 상기 도광판의 후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미러는 상기 도광판의 전면적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미러는 상기 도광판의 일면적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적색 광원, 녹색 광원 및 청색 광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러는 다이크로익(dichroic) 미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이크로익 미러는 적색 광만을 반사시키는 적색 다이크로익 미러, 녹색 광만을 반사시키는 녹색 다이크로익 미러 및 청색 광만을 반사시키는 청색 다이크로익 미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이크로익 미러는 상기 도광판의 일면적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적색 다이크로익 미러는 상기 적색 광원의 반대쪽에 마련되고, 상기 녹색 다이크로익 미러는 상기 녹색 광원의 반대쪽에 마련되며, 상기 청색 다이크로익 미러는 상기 청색 광원의 반대쪽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일 유형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광원; 상기 광원의 일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전반사하며 진행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일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광을 회절시켜 상기 도광판의 일면에 대해 소정 각도로 출사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격자 간격 "I 깊이의 패턴을 갖는 복수의 회절 격자; 상기 도광판의 후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회절 격자에 의해 회절되는 광을 상기 도광판으로 반사시키는 미러(mirror); 및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회절 격자는 상기 도광판의 전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회절 격자는 상기 도광판의 후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미러는 상기 도광판의 전면적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미러는 상기 도광판의 일면적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적색 광원, 녹색 광원 및 청색 광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러는 다이크로익(dichroic) 미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이크로익 미러는 적색 광만을 반사시키는 적색 다이크로익 미러, 녹색 광만을 반사시키는 녹색 다이크로익 미러 및 청색 광만을 반사시키는 청색 다이크로익 미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이크로익 미러는 상기 도광판의 일면적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적색 다이크로익 미러는 상기 적색 광원의 반대쪽에 마련되고, 상기 녹색 다이크로익 미러는 상기 녹색 광원의 반대쪽에 마련되며, 상기 청색 다이크로익 미러는 상기 청색 광원의 반대쪽에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 및 영상 표시 장치는 도광판의 후면에 마련된 미러를 통해 도광판의 후면으로 빠져나가는 광을 반사하여 다시 이용함으로써, 출광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러를 도광판의 일부에만 마련하여,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에서 출사되는 광의 균일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2a 일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에 의해 광이 출사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 3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에 의해 광이 출사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회절 격자의 단면 일부를 상세히 보인 단면도이다.
도 5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5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에 의해 광이 출사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이는 평면도이다.
도 7a는 도 6에 도시된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을 Ⅰ-Ⅰ'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7b 및 도 7c는 도 6에 도시된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을 Ⅱ-Ⅱ'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100)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10), 도광판(20), 복수의 회절 격자(도 2a의 40) 및 미러(30)를 포함한다.
광원(10)은 발광다이오드(LED)와 같은 점광원 또는 냉음극형광램프(CCFL)와 같은 성광원이 사용될 수 있다. 광원(10)은 적색 광, 녹색 광 또는 청색 광을 방출하거나 또는 백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도광판(20)은 광이 입사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사면 및 광이 도광판(20) 내부를 진행하다가 출사되는 출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20)의 출사면은 도광판(20)의 전면(21)이 될 수 있다. 도광판(20)은 광원(10)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내부 전반사를 통해 안내하여, 도광판(20)의 전면(21)을 통해 출사되도록 할 수 있다. 도광판(20)의 출사면 즉, 전면(21)과 마주하면 면은 도광판(20)의 후면(22)으로, 도광판(20)의 일면에 마련된 복수의 회절 격자(40)에 의해 출사되지 못하고 반사된 광이 도광판(20)의 전면(21) 및 후면(22)에서 전반사되며 도광판 내부를 진행할 수 있다. 광원(10)은 도광판(20)의 엣지(edge)에 마련될 수 있으며, 광원(10)에서 출사된 광은 도광판(20) 내부에서 전반사에 의해 도광판(20)의 전면(21) 및 후면(22)과 복수회 만날 수 있다.
도 1에서는 도광판(20)이 평판 형상을 가지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냈지만,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광판(20)은 출사면이 곡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복수의 회절 격자(40)는 도광판(20)의 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즉, 복수의 회절 격자(40)는 도광판(20)의 전면(21) 또는 후면(22)에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회절 격자(40)는 광원(10)으로부터 방출되어 도광판(20) 내부에서 내부 전반사를 통해 진행하는 광을 지정된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할 수 있다. 회절 격자(40)는 도광판(20)의 전면(21) 또는 후면(22)으로부터 돌출된 격자(도 4의 G)가 소정 규칙으로 반복 배치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절 격자(40)는 도광판(20)을 이루는 물질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회절 격자(40)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은 패턴 모양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격자의 방향, 주기, 높이, 폭, 듀티 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를 수 있다. 회절 격자(40)의 패턴 모양에 따라 회절 격자(40)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진행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회절 격자(40)들은 각각이 서로 다른 복수의 시역을 향해 광을 출사하도록 정해질 수 있다.
도광판(20)의 후면에는 미러(30)가 마련될 수 있다. 미러(30)는 회절 격자(40)에 의해 회절되는 광을 반사시켜 도광판(20)으로 되돌리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미러(30)는 도광판(20)의 전면적에 마련되거나 또는 도광판(20)의 일면적에만 마련될 수 있다.
도 2a 일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110)의 단면도이고,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110)에 의해 광이 출사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복수의 회절 격자(40)는 도광판(20)의 출사면 즉, 전면(21)에 마련될 수 있다.
광원(10)에서 방출된 광(50)은 도광판(20)의 내부로 입사될 수 있다. 입사된 광(50)은 회절 격자(40)에 의해 제1광(51a, 52a, 53a) 및 제2광(51b, 52b, 53b)으로 회절될 수 있으며, 입사 광(50)은 전반사를 통해 도광판(20)의 내부로 진행될 수 있다. 광이 회절 격자에 의해 회절될 때, 회절되는 광과 동일한 광량을 갖는 광이 거울상처럼 반대쪽으로 발생하게 될 수 있다. 즉, 입사 광(50)의 1차 회절광은 제1광(51a, 52a, 53a)이 될 수 있으며, -1차 회절광은 제2광(51b, 52b, 53b)이 될 수 있다.
제1광(51a, 52a, 53a)은 도광판(20)의 전면(21)을 통과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출사될 수 있으며, 제2광(51b, 52b, 53b)은 도광판(20)의 후면(22)으로 진행할 수 있다. 제2광(51b, 52b, 53b)은 도광판(20) 후면(22)에서 전반사되기 위한 각도를 충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도광판(20)의 후면(22)을 통과한 후 미러(30)에 의해 반사되어 도광판(20)으로 재입사될 수 있다. 미러(30)에 의해 반사되어 도광판(20)으로 재입사된 제2광(51b, 52b, 53b)은 굴절 및 반사의 원리에 의해 제1광(51a, 52a, 53a)과 동일한 방향으로 도광판(20)으로부터 출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사된 광(50) 중 회절되어 도광판(20)의 후면(22)으로 빠져나가는 광을 반사시켜 다시 이용함으로써,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110)의 출광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3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120)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에 의해 광이 출사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복수의 회절 격자(40)는 도광판(20)의 후면(22)에 마련될 수 있다.
광원(10)에서 방출된 광(60)은 도광판(20)의 내부로 입사될 수 있다. 입사된 광(60)은 회절 격자(40)에 의해 제1광(61a, 62a, 63a) 및 제2광(61b, 62b, 63b)으로 회절될 수 있으며, 입사 광(60)은 전반사를 통해 도광판(20)의 내부로 진행될 수 있다. 광이 회절 격자에 의해 회절될 때, 회절되는 광과 동일한 광량을 갖는 광이 거울상처럼 반대쪽으로 발생하게 될 수 있다. 즉, 입사 광(60)의 1차 회절광은 제1광(61a, 62a, 63a)이 될 수 있으며, -1차 회절광은 제2광(61b, 62b, 63b)이 될 수 있다.
제1광(61a, 62a, 63a)은 도광판(20)은 회절 격자(40)에 의해 회절된 후, 도광판(20)의 전면(21)을 통과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출사될 수 있으며, 제2광(61b, 62b, 63b)은 도광판(20)의 후면(22)으로 출사된 후, 미러(30)에 의해 반사되어 도광판(20)으로 재입사될 수 있다. 미러(30)에 의해 반사되어 도광판(20)으로 재입사된 제2광(61b, 62b, 63b)은 굴절 및 반사의 원리에 의해 제1광(61a, 62a, 63a)과 동일한 방향으로 도광판(20)으로부터 출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120)은 복수의 회절 격자(40)가 도광판(20)의 후면(22)에 마련됨으로써, 제1광(61a, 62a, 63a)과 제2광(61b, 62b, 63b)의 경로차이를 줄일 수 있다. 제1광(61a, 62a, 63a)과 제2광(61b, 62b, 63b)의 경로차이가 존재하는 경우, 동일한 회절 격자에서 회절된 광이 상기 회절 격자에 대응되는 컬러 필터뿐만 아니라 다른 컬러 필터에도 입사되어 크로스토크(crosstalk)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120)은 제1광(61a, 62a, 63a)과 제2광(61b, 62b, 63b)의 경로차이를 줄임으로써,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입사된 광(60) 중 회절되어 도광판(20)의 후면(22)으로 빠져나가는 광을 반사시켜 다시 이용함으로써,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120)의 출광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4는 회절 격자(40)의 단면 일부를 상세히 보인 단면도이다.
회절 격자(40)의 형상 특징은 격자(G)가 반복되는 주기를 나타내는 피치(P), 격자(G)의 폭(W)으로 나타낼 수 있다. 회절 격자(40)의 듀티 비(duty ratio)는 격자(G) 간 피치(P)에 대한 격자(G)의 폭(W)의 비로 나타낼 수 있다.
도 5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130)의 단면도이고, 도 5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130)에 의해 광이 출사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130)에서 미러(33)는 도광판(20)의 후면(22)에 마련되며, 도광판(20)의 일면적에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미러(33)는 광원(10)의 반대쪽에 마련될 수 있다.
광원(10)에서 방출된 광(70)은 도광판(20)의 내부로 입사될 수 있다. 입사된 광(70)은 회절 격자(40)에 의해 제1광(71a, 72a, 73a) 및 제2광(71b, 72b, 73b)으로 회절될 수 있으며, 입사 광(70)은 전반사를 통해 도광판(20)의 내부로 진행될 수 있다. 입사 광(70)의 1차 회절광은 제1광(71a, 72a, 73a)이 될 수 있으며, -1차 회절광은 제2광(71b, 72b, 73b)이 될 수 있다.
제1광(71a, 72a, 73a)은 도광판(20)의 전면(21)을 통과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출사될 수 있으며, 제2광(71b, 72b, 73b)은 도광판(20)의 후면(22)으로 진행할 수 있다. 제2광(71b, 72b, 73b)은 도광판(20) 후면(22)에서 전반사되기 위한 각도를 충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도광판(20)의 후면(22)을 통과할 수 있다. 도광판(20)의 후면(22)을 통과한 제2광(71b, 72b, 73b)중 미러(33)가 마련되지 않은 곳으로 출사된 광(71b, 72b)은 외부로 방출되며, 제2광(71b, 72b, 73b)중 미러(33)가 마련된 곳으로 출사된 광(73b)은 미러(33)에 의해 반사되어 도광판(20)으로 재입사될 수 있다. 미러(33)에 의해 반사되어 도광판(20)으로 재입사된 제2광(73b)은 굴절 및 반사의 원리에 의해 제1광(73a)과 동일한 방향으로 도광판(20)으로부터 출사될 수 있다.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은 회절 격자을 통해 일정 비율로 도광판의 외부로 배출되게 되므로, 광의 진행 방향의 뒤쪽으로 갈수록 빛의 양이 지속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130)은 광의 진행방향의 뒤쪽 즉, 광원의 반대쪽에만 미러를 마련하여 도광판의 후면으로 빠져나가는 광을 반사시켜 다시 이용함으로써,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130)에서 출사되는 광의 균일도를 높일 수 있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2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이는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200)은 제1 파장 대역의 광을 조사하는 제1 광원(11), 제2 파장 대역의 광을 조사하는 제2 광원(12) 및 제3 파장 대역의 광을 조사하는 제3 광원(1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원(11)은 적색 광을 방출하고, 제2 광원(12)은 녹색 광을 방출하며, 제3 광원(13)은 청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제1 광원(11)은 도광판(20)의 제1 측방향에 배치되고, 제2 광원(12)은 도광판(20)의 제2 측방향에 배치되며, 제3 광원(13)은 도광판(20)의 제3 측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광원의 배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밖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광원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원(11), 제2 광원(12) 및 제3 광원(13)이 도광판(20)의 일 측에 교대로 배열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광원(11), 제2 광원(12) 및 제3 광원(13)으로부터 조사되는 각 컬러 광의 도광판(20)에 대한 입사 방향이 다를 수 있다.
또한,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200)은 다이크로익 미러(도 7a 내지 7c의 30R, 30G, 30B)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크로익 미러(30R, 30G, 30B)는 굴절률이 다른 물질의 많은 박층으로 이루어지는 반사경으로 특정 파장대역의 광은 반사하고 다른 파장대역의 광은 모두 투과하는 성질을 나타낼 수 있다. 적색 다이크로익 미러(30R)는 적색 광만을 반사시키고 다른 파장대역의 광은 투과시킬 수 있고, 녹색 다이크로익 미러(30G)는 녹색 광만을 반사시키고 다른 파장대역의 광은 투과시킬 수 있으며, 청색 다이크로익 미러(30B)는 청색 광만을 반사시키고 다른 파장대역의 광은 투과시킬 수 있다.
도 7a는 도 6에 도시된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200)을 Ⅰ-Ⅰ'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녹색 다이크로익 미러(30G)는 도광판(20)의 일면적에만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2 광원(12)의 반대쪽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광원(12)에서 방출된 녹색 광(Lg)은 도광판(20)의 내부로 입사될 수 있다. 입사된 녹색 광(Lg)은 회절 격자(40)에 의해 제1광(Lg1, Lg3, Lg5) 및 제2광(Lg2, Lg4, Lg6)으로 회절될 수 있으며, 녹색 광(Lg)은 전반사를 통해 도광판(20)의 내부로 진행될 수 있다. 녹색 광(Lg)의 1차 회절광은 제1광(Lg1, Lg3, Lg5)이 될 수 있으며, -1차 회절광은 제2광(Lg2, Lg4, Lg6)이 될 수 있다.
제1광(Lg1, Lg3, Lg5)은 도광판(20)의 전면(21)을 통과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출사될 수 있으며, 제2광(Lg2, Lg4, Lg6)은 도광판(20)의 후면(22)으로 진행할 수 있다. 제2광(Lg2, Lg4, Lg6)은 도광판(20) 후면(22)에서 전반사되기 위한 각도를 충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도광판(20)의 후면(22)을 통과할 수 있다. 도광판(20)의 후면(22)을 통과한 제2광(Lg2, Lg4, Lg6)중 녹색 다이크로익 미러(30G)가 마련되지 않은 곳으로 출사된 광(Lg2, Lg4)은 외부로 방출되며, 제2광(Lg2, Lg4, Lg6)중 녹색 다이크로익 미러(30G)가 마련된 곳으로 출사된 광(Lg6)은 녹색 다이크로익 미러(30G)에 의해 반사되어 도광판(20)으로 재입사될 수 있다. 녹색 다이크로익 미러(30G)에 의해 반사되어 도광판(20)으로 재입사된 제2광(Lg6)은 굴절 및 반사의 원리에 의해 제1광(Lg5)과 동일한 방향으로 도광판(20)으로부터 출사될 수 있다.
도 7b 및 도 7c는 도 6에 도시된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200)을 Ⅱ-Ⅱ'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7b 및 도 7c를 참조하면, 적색 다이크로익 미러(30R) 및 청색 다이크로익 미러(30B)는 도광판(20)의 일면적에만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적색 다이크로익 미러(30R)는 제1 광원(11)의 반대쪽에 마련되고, 청색 다이크로익 미러(30B)는 제3 광원(13)의 반대쪽에 마련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1 광원(11)에서 방출된 적색 광(Lr)은 도광판(20)의 내부로 입사될 수 있다. 입사된 적색 광(Lr)은 회절 격자(40)에 의해 제1광(Lr1, Lr3, Lr5) 및 제2광(Lr2, Lr4, Lr6)으로 회절될 수 있으며, 적색 광(Lr)은 전반사를 통해 도광판(20)의 내부로 진행될 수 있다. 적색 광(Lr)의 1차 회절광은 제1광(Lr1, Lr3, Lr5)이 될 수 있으며, -1차 회절광은 제2광(Lr2, Lr4, Lr6)이 될 수 있다.
제1광(Lr1, Lr3, Lr5)은 도광판(20)의 전면(21)을 통과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출사될 수 있으며, 제2광(Lr2, Lr4, Lr6)은 도광판(20)의 후면(22)으로 진행할 수 있다. 제2광(Lr2, Lr4, Lr6)은 도광판(20) 후면(22)에서 전반사되기 위한 각도를 충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도광판(20)의 후면(22)을 통과할 수 있다. 도광판(20)의 후면(22)을 통과한 제2광(Lr2, Lr4, Lr6)중 청색 다이크로익 미러(30B)로 입사되는 제2광(Lr2)은 청색 다이크로익 미러(30B)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되고, 다이크로익 미러(30R, 30G, 30B)가 마련되지 않은 곳으로 출사된 광(Lr4)은 외부로 방출되며, 제2광(Lr2, Lr4, Lr6)중 적색 다이크로익 미러(30R)가 마련된 곳으로 출사된 광(Lr6)은 적색 다이크로익 미러(30R)에 의해 반사되어 도광판(20)으로 재입사될 수 있다. 적색 다이크로익 미러(30R)에 의해 반사되어 도광판(20)으로 재입사된 제2광(Lr6)은 굴절 및 반사의 원리에 의해 제1광(Lr5)과 동일한 방향으로 도광판(20)으로부터 출사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제3 광원(13)에서 방출된 청색 광(Lb)은 도광판(20)의 내부로 입사될 수 있다. 입사된 청색 광(Lb)은 회절 격자(40)에 의해 제1광(Lb1, Lb3, Lb5) 및 제2광(Lb2, Lb4, Lb6)으로 회절될 수 있으며, 청색 광(Lb)은 전반사를 통해 도광판(20)의 내부로 진행될 수 있다. 청색 광(Lb)의 1차 회절광은 제1광(Lb1, Lb3, Lb5)이 될 수 있으며, -1차 회절광은 제2광(Lb2, Lb4, Lb6)이 될 수 있다.
제1광(Lb1, Lb3, Lb5)은 도광판(20)의 전면(21)을 통과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출사될 수 있으며, 제2광(Lb2, Lb4, Lb6)은 도광판(20)의 후면(22)으로 진행할 수 있다. 제2광(Lb2, Lb4, Lb6)은 도광판(20) 후면(22)에서 전반사되기 위한 각도를 충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도광판(20)의 후면(22)을 통과할 수 있다. 도광판(20)의 후면(22)을 통과한 제2광(Lb2, Lb4, Lb6)중 적색 다이크로익 미러(30R)로 입사되는 제2광(Lb2)은 적색 다이크로익 미러(30R)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되고, 다이크로익 미러(30R, 30G, 30B)가 마련되지 않은 곳으로 출사된 광(Lb4)은 외부로 방출되며, 제2광(Lb2, Lb4, Lb6)중 청색 다이크로익 미러(30B)가 마련된 곳으로 출사된 광(Lb6)은 청색 다이크로익 미러(30B)에 의해 반사되어 도광판(20)으로 재입사될 수 있다. 청색 다이크로익 미러(30B)에 의해 반사되어 도광판(20)으로 재입사된 제2광(Lb6)은 굴절 및 반사의 원리에 의해 제1광(Lb5)과 동일한 방향으로 도광판(20)으로부터 출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200)은 적색 광의 진행방향의 뒤쪽 즉 적색 광원의 반대쪽에는 적색 다이크로익 미러를 마련하고, 녹색 광의 진행방향의 뒤쪽 즉 녹색 광원의 반대쪽에는 녹색 다이크로익 미러를 마련하고, 청색 광의 진행방향의 뒤쪽 즉 청색 광원의 반대쪽에는 청색 다이크로익 미러를 마련함으로써,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200)에서 출사되는 광의 균일도를 높일 수 있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500)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500)는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550)과 디스플레이 패널(53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530)은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550)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3차원 영상 정보에 따라 변조하여 3차원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패널(530)은 컬러 필터층(510)과 광변조층(520)을 포함할 수 있다.
컬러 필터층(510)은 2차원 배열된 복수의 컬러 필터들을 포함하며, 서로 다른 파장 대역의 광을 투과시키는 컬러 필터들이 교대로 반복적으로 배열된다.
광변조층(520)은 컬러 필터층(510)에 구비되는 복수의 컬러 필터와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광 변조 영역을 포함한다. 복수의 광 변조 영역은 영상 정보에 따라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광변조층(520)과 컬러 필터층(510)의 도시된 배치 위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배치 순서는 서로 바뀔 수 있다.
도면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530)에 대해, 주요 구성 요소인 컬러 필터층(510)과 광변조층(520) 만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개개의 광 변조 영역을 구동하기 위한 구성 요소로서, 화소 전극, 공통 전극, TFT 어레이층 등이 더 구비될 수 있고, 또한, 편광판 등과 같은 광학 필름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550)은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광판의 일면에 마련된 회절 격자들에 의해 출사된 광은 디스플레이 패널(530)의 적절한 화소로 입사된다. 디스플레이 패널(530)의 광변조층(520) 수 있다. 각 광 변조 영역에서,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550)으로부터 입사된 광이 그 지향성 및 컬러에 알맞게 변조되어 3차원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500)는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550)에 구비되는 회절 격자에 따라 복수 개의 뷰(view)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뷰는 시청자의 한 쪽 눈에 보여지는 하나의 영상을 나타낼 수 있다. 하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시청자의 한 쪽 눈에 두 개 이상의 뷰 영상이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10, 120, 130, 200, 550 :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
10 : 광원
11 : 제1 광원
12 : 제2 광원
13 : 제3 광원
20 : 도광판
21 : 전면
22 : 후면
30, 33 : 미러
30R : 적색 다이크로익 미러
30G : 녹색 다이크로익 미러
30B : 청색 다이크로익 미러
40 : 회절 격자
50, 60, 70 : 광
Lr : 적색 광
Lg : 녹색 광
Lb : 청색 광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광원;
    상기 광원의 일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전반사하며 진행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일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광을 회절시켜 상기 도광판의 일면에 대해 소정 각도로 출사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격자 간격 및 깊이의 패턴을 갖는 복수의 회절 격자; 및
    상기 도광판의 후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회절 격자에 의해 회절되는 광을 상기 도광판으로 반사시키는 미러(mirror);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적색 광원, 녹색 광원 및 청색 광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미러는 적색 광만을 반사시키는 적색 다이크로익 미러, 녹색 광만을 반사시키는 녹색 다이크로익 미러 및 청색 광만을 반사시키는 청색 다이크로익 미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적색 다이크로익 미러, 상기 녹색 다이크로익 미러, 및 상기 청색 다이크로익 미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도광판의 후면 일부에 걸쳐 배치되고,
    상기 적색 다이크로익 미러는 상기 적색 광원의 반대쪽에 마련되고, 상기 녹색 다이크로익 미러는 상기 녹색 광원의 반대쪽에 마련되며, 상기 청색 다이크로익 미러는 상기 청색 광원의 반대쪽에 마련되는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절 격자는 상기 도광판의 전면에 마련되는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절 격자는 상기 도광판의 후면에 마련되는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는 상기 도광판의 전면적에 마련되는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는 상기 도광판의 일면적에 마련되는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적어도 하나의 광원;
    상기 광원의 일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전반사하며 진행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일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광을 회절시켜 상기 도광판의 일면에 대해 소정 각도로 출사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격자 간격 및 깊이의 패턴을 갖는 복수의 회절 격자;
    상기 도광판의 후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회절 격자에 의해 회절되는 광을 상기 도광판으로 반사시키는 미러(mirror); 및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적색 광원, 녹색 광원 및 청색 광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미러는 적색 광만을 반사시키는 적색 다이크로익 미러, 녹색 광만을 반사시키는 녹색 다이크로익 미러 및 청색 광만을 반사시키는 청색 다이크로익 미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적색 다이크로익 미러, 상기 녹색 다이크로익 미러, 및 상기 청색 다이크로익 미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도광판의 후면 일부에 걸쳐 배치되고,
    상기 적색 다이크로익 미러는 상기 적색 광원의 반대쪽에 마련되고, 상기 녹색 다이크로익 미러는 상기 녹색 광원의 반대쪽에 마련되며, 상기 청색 다이크로익 미러는 상기 청색 광원의 반대쪽에 마련되는 영상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절 격자는 상기 도광판의 전면에 마련되는 영상 표시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절 격자는 상기 도광판의 후면에 마련되는 영상 표시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는 상기 도광판의 전면적에 마련되는 영상 표시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는 상기 도광판의 일면적에 마련되는 영상 표시 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70000342A 2017-01-02 2017-01-02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KR102664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342A KR102664384B1 (ko) 2017-01-02 2017-01-02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US15/860,202 US10393945B2 (en) 2017-01-02 2018-01-02 Directional backlight unit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342A KR102664384B1 (ko) 2017-01-02 2017-01-02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763A KR20180079763A (ko) 2018-07-11
KR102664384B1 true KR102664384B1 (ko) 2024-05-08

Family

ID=62708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342A KR102664384B1 (ko) 2017-01-02 2017-01-02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393945B2 (ko)
KR (1) KR1026643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47042B (zh) * 2017-03-17 2018-11-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光源器件及显示装置
CA3125202A1 (en) * 2019-01-25 2020-07-30 Leia Inc. Multi-directional backlight, multi-user multiview display, and method
CN109799568B (zh) * 2019-03-27 2020-04-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及显示装置
CA3170343A1 (en) * 2020-03-02 2021-09-10 Leia Inc. Static-image augmented privacy display, mode-switchable privacy display system, and method
CN111308598B (zh) * 2020-05-14 2020-08-21 北京至格科技有限公司 一种衍射光学元件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US11747621B2 (en) 2020-11-07 2023-09-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chroic coatings to improve display uniformity and light security in an optical combiner
WO2022146445A1 (en) * 2020-12-31 2022-07-07 Leia Inc. Backlight, multiview backlight, and method having global mode mix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327B1 (ko) * 2005-06-18 2006-11-23 삼성전기주식회사 평면표시소자용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한 평면표시장치
WO2007074787A1 (ja) * 2005-12-27 2007-07-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面状照明装置と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WO2016118107A1 (en) * 2015-01-19 2016-07-28 Leia Inc. Unidirectional grating-based backlighting employing a reflective island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901B1 (ko) 2001-06-30 2004-12-03 삼성전기주식회사 표시형 홀로그램을 사용한 평면표시소자용 조명장치
US7253799B2 (en) 2001-06-30 2007-08-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cklight using planar hologram for flat display device
KR100444986B1 (ko) * 2001-09-29 2004-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명계 및 이를 채용한 프로젝터
JP2003255338A (ja) 2002-02-28 2003-09-10 Mitsubishi Electric Corp 液晶表示装置
JP2005062692A (ja) * 2003-08-19 2005-03-10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カラー表示装置、光学素子、およびカラー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4712433B2 (ja) * 2004-11-30 2011-06-29 富士通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9123553A (ja) 2007-11-15 2009-06-04 Sumitomo Chemical Co Ltd 導光板、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CN102016389B (zh) * 2008-05-16 2012-10-31 夏普株式会社 背光源单元和液晶显示装置
WO2009144992A1 (ja) * 2008-05-28 2009-12-03 シャープ株式会社 導光板、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0014691A (ja) * 2008-06-20 2010-01-21 Igaku Seibutsugaku Kenkyusho:Kk 腹水中のメソテリン及び/又は巨核球増強因子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キット、試薬及び装置
US20100238529A1 (en) * 2009-03-23 2010-09-23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Dithered holographic frontlight
JP4985787B2 (ja) 2010-01-12 2012-07-25 オムロン株式会社 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US20120162732A1 (en) * 2010-12-22 2012-06-28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Device and method for a holographic display with electromechanical actuated mirror display
US20140022818A1 (en) * 2011-04-07 2014-01-23 Nec Corporation Optical element, illumination device, and projection display device
WO2013008361A1 (ja) * 2011-07-12 2013-01-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光学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発光装置
US8981636B2 (en) * 2011-07-22 2015-03-1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Lamp having improved insulation of the circuit unit
US9201270B2 (en) 2012-06-01 2015-12-01 Leia Inc. Directional backlight with a modulation layer
US9298168B2 (en) 2013-01-31 2016-03-29 Leia Inc. Multiview 3D wrist watch
US9146419B1 (en) * 2014-06-24 2015-09-29 Munisamy Anandan Quantum rod based color pixel backlight for LCD
EP3345390B1 (en) * 2015-09-05 2023-06-07 LEIA Inc. Multiview display with head tracking
KR102274753B1 (ko) * 2015-09-05 2021-07-08 레이아 인코포레이티드 집광 백라이트 및 이를 이용한 근안 디스플레이
KR102526753B1 (ko) * 2016-02-26 2023-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간섭성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채용한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327B1 (ko) * 2005-06-18 2006-11-23 삼성전기주식회사 평면표시소자용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한 평면표시장치
WO2007074787A1 (ja) * 2005-12-27 2007-07-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面状照明装置と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WO2016118107A1 (en) * 2015-01-19 2016-07-28 Leia Inc. Unidirectional grating-based backlighting employing a reflective isl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88439A1 (en) 2018-07-05
KR20180079763A (ko) 2018-07-11
US10393945B2 (en) 2019-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4384B1 (ko)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KR102646789B1 (ko)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US10025160B2 (en) Backlight unit and 3D image display apparatus
KR102581465B1 (ko) 회절형 컬러 필터를 구비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JP5947796B2 (ja) オートステレオスコピック3次元ディスプレイ
US10627642B2 (en) Directional backlight unit, three-dimensional (3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3D image displaying method
KR102526753B1 (ko) 가간섭성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채용한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KR102526752B1 (ko)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 이를 포함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의 제조 방법
US20170168209A1 (en) Directional backlight unit and 3d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0585231B2 (en) Directional backlight unit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0191198B2 (en) Display apparatus including directional backlight unit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display apparatus
US10429687B2 (en) Directional backlight unit and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08107596B (zh) 定向背光单元、三维图像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