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272B1 -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water supply control method - Google Patents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water supply control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272B1
KR102664272B1 KR1020190053215A KR20190053215A KR102664272B1 KR 102664272 B1 KR102664272 B1 KR 102664272B1 KR 1020190053215 A KR1020190053215 A KR 1020190053215A KR 20190053215 A KR20190053215 A KR 20190053215A KR 102664272 B1 KR102664272 B1 KR 102664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detergent
free
supply process
wash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2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96038A (en
Inventor
박주형
서민수
강동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20152444.4A priority Critical patent/EP3690115B1/en
Priority to US16/774,103 priority patent/US11293126B2/en
Priority to AU2020200736A priority patent/AU2020200736B2/en
Priority to CN202010078123.2A priority patent/CN111519400B/en
Publication of KR20200096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60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2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ter fil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급수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조; 상기 수조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박스; 메인밸브를 구비하여 상기 세제박스에 연결되는 메인유로 및 프리밸브를 구비하여 상기 세제박스에 연결되는 프리유로 및 상기 메인밸브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하여 세탁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1메인연속공급과정, 상기 프리밸브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하여 세탁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프리연속공급과정 및 상기 메인밸브를 개방하여 세탁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2메인연속공급과정을 구비하고, 세탁수가 상기 제1메인연속공급과정, 상기 프리연속공급과정 및 제2메인연속공급과정을 통해 상기 세제박스로 공급될 수 있게 상기 메인밸브 및 상기 프리밸브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세제박스의 내부에 세제가 잔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nd its water supply control method.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a water tank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 detergent box that supplies detergent to the water tank; A first main continuous supply that continuously supplies washing water by opening the main flow path, which has a main valve and is connected to the detergent box, and the free flow path, which has a free valve and is connected to the detergent box, and the main valve for a preset time. A pre-continuous supply process of continuously supplying wash water by opening the pre-valve for a preset time and a second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of continuously supplying wash water by opening the main valve, wherein the wash water i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main valve and the free valve, respectively, so that the detergent can be supplied to the box through the first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the free continuous supply process, and the second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uppress detergent remaining inside the detergent box.

Figure 112019046516994-pat00016
Figure 112019046516994-pat00016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급수제어방법{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WATER SUPPLY CONTROL METHOD}Clothing treatment device and its water supply control method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WATER SUPPLY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급수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제박스의 내부에 세제 잔류 억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nd its water supply control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to suppressing detergent residue inside a detergent box.

주지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는, 의류 또는 세탁물을 세탁과정, 헹굼과정 및/또는 탈수과정을 통해 처리(오염제거)하는 장치의 일종이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세탁과정, 헹굼과정 및/또는 탈수과정을 거친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능을 구비하여 구성되기도 한다. 상기 세탁물은 이불과 같은 침구류, 커튼, 봉제 인형 등과 같이 세탁이 가능한 물품을 포함한다. As is well know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s a type of device that processes (decontaminates) clothing or laundry through a washing process, rinsing process, and/or dehydration process.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may be configured with a drying function for drying laundry that has gone through the washing process, rinsing process, and/or dehydration process. The laundry includes washable items such as bedding such as blankets, curtains, and stuffed toys.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조 및 상기 수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조(드럼)를 구비한다. 상기 캐비닛에는 상기 수조의 내부에 세제를 공급할 수 있게 세제박스가 구비된다. 상기 세제박스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인출가능하게 수납되는 드로어를 구비하여 구성된다.The laundry treatment device includes a cabinet, a water tank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a rotary tub (drum)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water tank. The cabinet is provided with a detergent box to supply detergent into the water tank. The detergent box is comprised of a housing provided in the cabinet and a drawer that is retractable and stored in the housing.

상기 드로어의 내부에는 세제 수용(수납)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세제 수용공간은, 예를 들면, 메인세탁(본세탁, main wash)시 사용되는 메인세제가 수용되는 메인세제수용부, 프리세탁(예비세탁, pre wash)시 사용되는 프리세제가 수용되는 프리세제수용부 및 섬유유연제가 수용되는 섬유유연제수용부를 구비한다. A detergent receiving (storage) space is formed inside the drawer. The detergent accommodating space includes, for example, a main detergent accommodating portion that accommodates the main detergent used during main washing (main wash), and a pre-detergent accommodating portion that accommodates the pre-detergent used during pre-washing (pre-wash). It is provided with a detergent accommodating part and a fabric softener accommodating part in which the fabric softener is accommodated.

상기 드로어의 상측에는 상기 드로어의 각 세제수용공간으로 세척수를 분배하는 분배유닛이 구비된다. 상기 분배유닛의 후단에는 세탁수가 유입될 수 있게 세탁수공급유로가 각각 연결된다. A distribution unit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drawer to distribute washing water to each detergent receiving space of the drawer. Washing water supply channels are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distribution unit to allow washing water to flow in.

상기 하우징은 상향 개구된 통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의 전방영역은 상기 드로어가 전후이동 가능하게 수납될 수 있도록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저부에는 일 단부가 상기 수조에 연결되는 세탁수공급관이 연결된다. 상기 세탁수공급관을 통해 세탁수, 세제, 섬유유연제 등이 상기 수조의 내부로 공급된다.The housing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upward opening. The front area of the housing is formed to be open so that the drawer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A washing water supply pipe,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water tank,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housing. Washing water, detergent, fabric softener, etc. are supplied into the water tank through the washing water supply pipe.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드로어의 세제수용공간을 경유하여 세탁수와 함께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낙하된 세제가 상기 수조로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잔류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is conventional clothing treatment device, the detergent that falls into the inside of the housing along with the washing water via the detergent receiving space of the drawer is not smoothly supplied to the water tank and remains inside the housing. There is a problem.

특히, 세탁수와 접촉된 후 상기 세제박스의 하우징의 내부에 잔류하게 되는 세제는 딱딱하게 응고되어 세탁수와 접촉되어도 쉽게 용해되지 아니하고, 세탁수의 흐름을 저해하여 더욱 많은 세제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잔류되게 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detergent that remains inside the housing of the detergent box after contact with the washing water hardens and does not easily dissolve even when in contact with the washing water. This impedes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causing more detergent to enter the inside of the housing. This may cause it to remain in the .

따라서, 본 발명은, 세제박스의 내부에 세제가 잔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세제박스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급수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thes treatment device equipped with a detergent box that can suppress detergent remaining inside the detergent box and a water supply control method thereof.

또한, 본 발명은, 뭉친 세제에 기인한 세제 잔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급수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nd a water supply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suppress the generation of detergent residue caused by agglomerated detergent.

또한, 본 발명은, 세제 비산을 억제하여 세제 잔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급수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nd a water supply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suppress detergent scattering and detergent residual generation.

또한, 본 발명은, 잔류 세제를 씻어 제거하여 세제 잔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급수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nd a water supply control method for washing and removing residual detergent, thereby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detergent residue.

또한, 본 발명은, 세제 투입 위치 오인에 기인한 세제 잔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급수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nd a water supply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suppress the occurrence of detergent residue due to misidentification of the detergent input location.

또한, 본 발명은, 세제박스 내부의 수위 상승을 제어하여 수위 상승에 기인한 세제 잔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급수제어방법을 제공한느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thes treatment device and a water supply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control the rise of the water level inside the detergent box and suppress the generation of detergent residue due to the rise in the water level.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의 해결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메인세탁시 세제박스에 메인유로를 통해 세탁수를 공급하는 도중에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프리유로를 통해 세탁수가 공급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has a technical feature in that, during main washing, while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detergent box through the main passage, wash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free passage for a preset time. do.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제박스는, 수조에 연결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고 내부에 복수의 세제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드로어 및 상기 드로어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세제 수용공간에 세탁수를 분배하는 분배유닛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메인세탁 시, 상기 메인유로를 통해 세탁수를 공급하는 도중에 상기 메인유로를 차단하고 상기 프리유로를 통해 세탁수를 급수한 후 다시 상기 메인유로를 통해 세탁수가 공급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detergent box includes a housing connected to a water tank, a drawer stored in the housing and forming a plurality of detergent accommodating spaces therein, and an upper side of the drawer to distribute washing water to the plurality of detergent accommodating spaces. It is configured to have a distribution unit that, during main washing, blocks the main flow path while supplying wash water through the main flow path, supplies wash water through the free flow path, and then supplies wash water again through the main flow path. It can be.

이에 의해, 상기 세제박스의 내부에 상기 프리유로의 세탁수의 이동경로 상에 세제가 잘못 투입되어도 상기 프리유로를 경유한 세탁수에 의해 세제가 상기 수조로 이동되므로, 세제 투입위치 오인에 기인한 세제 잔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ly, even if detergent is incorrectly added to the inside of the detergent box on the movement path of the washing water in the free flow path, the detergent is moved to the water tank by the wash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free flow path,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misidentification of the position of detergent input. Detergent residue can be suppressed.

상기 드로어의 내부의 복수의 세제 수용공간은 상기 메인세탁 시 사용되는 세제(메인세제)가 수용되는 메인세제수용부 및 상기 프리세탁 시 사용되는 세제(프리세제)가 수용되는 프리세제수용부가 구비된다. The plurality of detergent accommodating spaces inside the drawer are provided with a main detergent accommodating portion that accommodates the detergent (main detergent) used in the main laundry and a pre-detergent accommodating portion that accommodates the detergent (pre-detergent) used in the pre-washing. .

상기 하우징의 저부에는 상기 수조와 연결되는 관통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기 관통부의 상측에 돌출되고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구획부 및 상기 가로구획부의 전방영역에 복수의 세탁수의 이동경로가 형성되게 세탁수를 안내하는 세탁수안내부가 구비된다.A through portion connected to the water tank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a horizontal section protrudes from the upper side of the through section inside the housing and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plurality of movement paths for washing water are provided in the front area of the horizontal section. A wash water guide part is provided to guide the wash water.

이에 의해, 상기 메인세탁 시, 상기 메인유로 및 상기 메인세제수용부를 경유한 세탁수가 상기 가로구획부를 넘어 상기 가로구획부의 전방으로 이동되어 잔류된 세제가 상기 프리유로 및 프리세제수용부를 경유하고 상기 세탁수안내부에 의해 복수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세탁수에 의해 씻겨져 제거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내부 전방 영역의 세제 잔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As a result, during the main wash, the wash water passing through the main passage and the main detergent receiving portion moves beyond the horizontal section to the front of the horizontal section, and the remaining detergent passes through the free passage and the pre-detergent receiving section and is then washed. By being washed and removed by washing water moving along a plurality of movement paths by the water guide portion, the occurrence of detergent residue in the inner front area of the housing can be suppressed.

상기 세탁수안내부는, 상기 가로구획부의 일 측에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세로구획부; 및 상기 세로구획부의 전방에 상기 세로구획부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는 연장구획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The wash water guide portion includes a vertical sect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horizontal section and disposed along the front-to-back direction of the housing; and an extension section formed in front of the vertical section to be spaced apart from the vertical section.

이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후방영역으로 낙하된 세탁수 중 일부는 상기 세로구획부와 상기 연장구획부의 사이를 통해 이동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연장구획부의 전방영역으로 이동되어 상기 가로구획부의 전방영역에 적어도 2개의 세탁수의 이동경로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로구획부의 전방영역에 잔류하게 된 세제를 각각 씻어내게 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기 가로구획부의 전방영역의 세제 잔류가 억제될 수 있다.As a result, some of the washing water that falls into the rear area of the housing moves through between the vertical compartment and the extension compartment, and the other part moves to the front area of the extension compartment and is moved to the front area of the horizontal compartment. By forming at least two movement paths for the washing water, detergent remaining in the front area of the horizontal section is washed away, respectively, so that detergent remaining in the front area of the horizontal section inside the housing can be suppressed.

상기 연장구획부는, 상기 세로구획부의 일 측에 배치되는 제1연장구획부; 및 상기 제1연장구획부의 일 측에 형성되는 제2연장구획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The extension section includes: a first extension section disposed on one side of the vertical section; and a second extension compartment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extension compartment.

이에 의해, 상기 세로구획부를 따라 이동된 세탁수 중 일부는 상기 세로구획부와 상기 제1연장구획부의 사이를 통해 이동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1연장구획부와 상기 제2연장구획부 사이를 통해 이동되고, 또 다른 일부는 상기 제2연장구획부의 전방영역으로 이동된 후 상기 관통부를 향해 이동되어, 상기 가로구획부의 전방영역에 적어도 3개의 세탁수의 이동경로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로구획부의 전방영역의 세제의 잔류 발생이 현저하게 억제될 수 있다. As a result, some of the washing water moved along the vertical compartment moves between the vertical compartment and the first extension compartment, and the other part moves between the first extension compartment and the second extension compartment. is moved through, and another part is moved to the front area of the second extension compartment and then moved toward the penetration part, thereby forming at least three movement paths for washing water in the front area of the horizontal compartment, The residual occurrence of detergent in the anterior region can be significantly suppressed.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조; 상기 수조에 연결되고 상기 수조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박스; 상기 세제박스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공급하는 메인유로; 상기 메인유로에 구비되는 메인밸브; 상기 세제박스에 연결되고 세탁수를 공급하는 프리유로; 상기 프리유로에 구비되는 프리밸브; 및 상기 메인밸브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하여 세탁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1메인연속공급과정, 상기 프리밸브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하여 세탁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프리연속공급과정 및 상기 메인밸브를 개방하여 세탁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2메인연속공급과정을 구비하고, 세탁수가 상기 제1메인연속공급과정, 상기 프리연속공급과정 및 제2메인연속공급과정을 통해 상기 세제박스로 공급될 수 있게 상기 메인밸브 및 상기 프리밸브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세제박스의 내부의 세제 잔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cabinet; a water tank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 detergent box connected to the water tank and supplying detergent to the water tank; A main flow path connected to the detergent box to supply washing water; A main valve provided in the main flow path; Free Euro connected to the detergent box and supplying washing water; A free valve provided in the free passage; and a first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of continuously supplying wash water by opening the main valve for a preset time, a free continuous supply process of continuously supplying wash water by opening the free valve for a preset time, and the main valve. A second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is provided for continuously supplying washing water by opening the washing water, and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detergent box through the first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the pre-continuous supply process, and the second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By provid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each of the main valve and the free valve, generation of detergent residue inside the detergent box can be suppressed.

여기서, 상기 제1메인연속공급과정에서 상기 메인밸브의 개방시간은 제1설정시간 이하로 설정된다. Here, in the first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the opening time of the main valve is set to less than the first set time.

상기 제1설정시간은 상기 드로어의 내부에 세탁수 공급 시 상대적인 고압에 기인하여 세탁수의 공급속도가 상기 드로어로부터 이동되는 속도에 비해 빨라 상기 드로어의 내부의 수위가 상승하게 되는 정도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The first set time i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degree to which the water level inside the drawer rises because the supply speed of washing water is faster than the speed at which it is moved from the drawer due to the relatively high pressure when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drawer. It can be.

상기 제1설정시간은 10초 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setting time is preferably set to 10 seconds or less.

이에 의해, 상기 드로어의 내부에 상기 세탁수보다 작은 비중의 세제가 투입될 경우, 세제가 세탁수의 수면위로 떠올라 세제박스의 내벽 또는 천장에 부착되어 잔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As a result, when detergent with a smaller specific gravity than the washing water is injected into the draw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tergent from rising to the surface of the washing water and remaining attached to the inner wall or ceiling of the detergent box.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메인연속공급과정 전에 상기 메인밸브를 간헐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메인유로의 세탁수를 상기 세제박스에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메인간헐공급과정을 구비한다.The control unit includes a main intermittent supply process that intermittently supplies wash water from the main flow path to the detergent box by intermittently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valve before the first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여기서, 상기 메인밸브를 간헐적으로 개폐한다 함은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간격을 두고 상기 메인밸브를 개방 및 차단하는 동작을 미리 설정된 회수로 반복하는 것을 의미한다.Here, intermittently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valve means repeating the operation of opening and blocking the main valve a preset number of times at relatively short time intervals.

이에 의해, 상기 세제박스의 내부에 공급된 세제(분말세제) 중 뭉친 세제가 작은 알갱이 또는 본래의 분말 형태로 풀리게 됨으로써, 세탁수에 의한 이동이 용이하게 되어 세제박스 내부의 세제 잔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detergent (powder detergent) supplied inside the detergent box is released into small particles or original powder form, thereby facilitating movement by washing water and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detergent residue inside the detergent box. You can.

또한, 상기 메인밸브의 연속 개방 시 상기 세제박스의 내부의 세제가 고압으로 분사된 세탁수에 의해 비산되어 잔류하게 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main valve is continuously opened, the detergent inside the detergent box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cattered and remaining by the washing water sprayed at high pressure.

보다 구체적으로, 세제박스의 내부의 세탁수가 연속적으로 공급될 경우 드로어의 내부의 세제가 고압으로 분사된 세탁수에 의해 비산 및/또는 부유되어 세탁수의 접근이 상대적으로 곤란한 영역에 부착되어 상기 세제박스의 내부에 잔류하게 될 수 있으나, 세탁수를 간헐적으로 공급할 경우, 상대적으로 작은 양의 세탁수가 세제와 먼저 접촉되어 세제를 적시게 되고 이러한 과정을 미리 설정된 회수로 반복함으로써, 추후 세탁수의 공급 시 세제의 비산 및/또는 부유가 억제될 수 있고, 세제가 세탁수와 함께 상기 하우징으로 안정적으로 이동되어 상기 세제박스의 내부 세제 잔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washing water inside the detergent box is continuously supplied, the detergent inside the drawer is scattered and/or suspended by the washing water sprayed at high pressure and adheres to areas where the washing water is relatively difficult to access. It may remain inside the box, but when washing water is supplied intermittently,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washing water firs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etergent and wets the detergent, and this process is repeated a preset number of times to supply washing water later. Scattering and/or floating of the detergent can be suppressed, and the detergent is stably moved to the housing along with the washing water, thereb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detergent residue inside the detergent box.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간헐공급과정에서 상기 메인밸브가 메인간헐개방시간 동안 개방되고, 메인간헐차단시간 동안 차단되는 과정을 미리 설정된 메인간헐개폐회수로 반복되게 상기 메인밸브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된다.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main valve so that the process of opening the main valve during the main intermittent opening time and blocking during the main intermittent blocking time is repeated at a preset main intermittent opening and closing frequency in the main intermittent supply process. .

상기 메인간헐개방시간은 0.15 내지 0.25 초로 구성되고, 0.2초가 바람직할 수 있다.The main intermittent opening time is comprised of 0.15 to 0.25 seconds, and 0.2 seconds may be preferable.

상기 메인간헐차단시간은 3.6 내지 6초로 구성되고, 4.8초가 바람직할 수 있다. The main intermittent blocking time is 3.6 to 6 seconds, and 4.8 seconds may be preferabl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간헐개방시간은 0.2초이고, 상기 메인간헐차단시간은 4.8초이고, 상기 메인간헐개폐회수는 6회가 바람직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main intermittent opening time is 0.2 seconds, the main intermittent blocking time is 4.8 seconds, and the main intermittent opening/closing frequency is preferably 6 times.

이에 의해, 상기 메인유로의 세탁수 공급 시, 상기 메인세제 중 뭉친 세제가 상기 간헐적으로 공급되는 세탁수에 의해 충분히 작은 알갱이로 쪼개져 뭉친 세제에 기인한 상기 세제박스의 내부 세제 잔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As a result, when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main flow path, the clumped detergent among the main detergent is broken into sufficiently small particles by the intermittently supplied washing water, and the generation of detergent residue inside the detergent box caused by the clumped detergent can be suppressed. there is.

또한, 상기 메인유로의 세탁수 공급 시, 세제의 비산 및/또는 부유에 기인한 상기 세제박스의 내부의 세제 잔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Additionally, when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main flow path, the generation of detergent residue inside the detergent box due to scattering and/or floating of detergent can be suppress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간헐공급과정 전에 상기 프리밸브를 간헐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프리유로의 세탁수를 상기 세제박스에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프리간헐공급과정을 구비한다.The control unit includes a pre-intermittent supply process that intermittently supplies wash water from the free flow path to the detergent box by intermittently opening and closing the free valve before the main intermittent supply process.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리간헐공급과정에서 상기 프리밸브를 프리간헐개방시간 동안 개방되고, 프리간헐차단시간 동안 차단되는 과정을 미리 설정된 프리간헐개폐회수로 반복되게 상기 프리밸브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된다.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free valve so that the process of opening the free valve during the pre-intermittent opening time and blocking during the free intermittent blocking time is repeated at a preset number of pre-intermittent opening and closing times in the pre-intermittent supply process. .

여기서, 상기 프리간헐개방시간은 0.25 내지 0.35 초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고, 0.3초가 바람직할 수 있다.Here, the pre-intermittent opening time can be set in the range of 0.25 to 0.35 seconds, and 0.3 seconds may be preferable.

상기 프리간헐차단시간은 3.92 내지 5.48초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고, 4.7초가 바람직할 수 있다. The pre-intermittent blocking time can be set in the range of 3.92 to 5.48 seconds, and 4.7 seconds may be preferable.

이에 의해, 상기 프리유로의 세탁수 공급 시, 상기 프리세제 중 뭉친 세제가 상기 간헐적으로 공급되는 세탁수에 의해 충분히 작은 알갱이로 쪼개져 세탁수에 의한 이동이 용이하게 됨으로써, 뭉친 세제에 기인한 상기 세제박스의 내부 세제 잔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As a result, when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pre-detergent, the detergent clumped in the pre-detergent is broken into sufficiently small particles by the intermittently supplied washing water to facilitate movement by the washing water, and the detergent caused by the clumped detergent is broken into sufficiently small particles by the intermittently supplied washing water. Detergent residue inside the box can be suppressed.

또한, 상기 프리유로의 세탁수 공급 시, 세제의 비산 및/또는 부유에 기인한 상기 세제박스의 내부의 세제 잔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free flow, the occurrence of detergent residue inside the detergent box due to scattering and/or floating of detergent can be suppressed.

한편, 상기 프리연속공급과정에서 상기 프리밸브의 개방시간은 상기 드로어를 경유한 세탁수가 상기 세탁수안내부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관통부에 도달하는 시간에 대응되게 설정된다.Meanwhile, in the free continuous supply process, the opening time of the free valve is set to correspond to the time when the wash water passing through the drawer is guided by the wash water guide part and reaches the penetration part.

이에 의해, 상기 제1메인연속공급과정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수위가 이상적(abnomal)으로 상승되어 상기 가로구획부의 전방영역에 세제가 잔류하게 되어도, 상기 프리유로를 경유한 세탁수가 상기 세탁수안내부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가로구획부의 전방영역에 복수의 세탁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됨으로써, 상기 가로구획부의 전방영역에 잔류된 세제를 씻어 제거할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first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even if the water level inside the housing rises abnormally and detergent remains in the front area of the horizontal partition, the wash water passing through the free passage is not guided to the wash water. By being guided by the unit and moving along a plurality of washing water movement paths in the front area of the horizontal section, detergent remaining in the front area of the horizontal section can be washed and remov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급수제어방법은, 세제박스에 연결된 메인유로 및 프리유로 중, 먼저 메인유로를 개방하여 연속적으로 세탁수를 공급한 후 상기 메인유로를 차단하고, 프리유로를 개방하여 연속적으로 세탁수를 공급 한 후 상기 프리유로를 차단하고, 다시 메인유로를 개방하여 세제박스에 연속적으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Meanwhile, a water supply control method for a clothes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opening the main flow path among the main flow path and the free flow path connected to the detergent box to continuously supply wash water, and then blocking the main flow path; The technical feature is that wash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by opening the free flow path, then the free flow path is blocked, and the main flow path is opened again to continuously supply wash water to the detergent box.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의 급수제어방법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조; 상기 수조에 연결되고 상기 수조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박스; 상기 세제박스에 연결되어 메인세탁 시 세탁수를 공급하는 메인유로; 상기 메인유로에 구비되는 메인밸브; 상기 세제박스에 연결되고 프리세탁 시 세탁수를 공급하는 프리유로; 및 상기 프리유로에 구비되는 프리밸브;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의 급수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메인밸브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하여 세탁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한 후 상기 메인밸브를 차단하는 제1메인연속공급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프리밸브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하여 세탁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한 후 상기 프리밸브를 차단하는 프리연속공급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밸브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하여 세탁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2메인연속공급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세제박스의 내부의 세제 잔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water supply control method for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a water tank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 detergent box connected to the water tank and supplying detergent to the water tank; a main flow path connected to the detergent box to supply wash water during main washing; A main valve provided in the main flow path; Free Euro connected to the detergent box and supplying washing water during pre-washing; and a free valve provided in the free flow passage. A water supply control method for 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wherein the main valve is opened for a preset time to continuously supply wash water and then the main valve is blocked. performing a supply process; performing a free continuous supply process of continuously supplying wash water by opening the free valve for a preset time and then blocking the free valve; and performing a second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of continuously supplying wash water by opening the main valve for a preset time. By including this, the occurrence of detergent residue inside the detergent box can be suppressed.

상기 제1메인연속공급과정 전에 상기 메인밸브를 간헐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메인유로의 세탁수를 상기 세제박스에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메인간헐공급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t further includes performing a main intermittent supply process of intermittently supplying wash water from the main flow path to the detergent box by intermittently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valve before the first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이에 의해, 상기 세제박스의 내부의 메인세제 중 뭉친 세제가 상대적으로 작은 알갱이로 쪼개져 세탁수와 함께 이동이 용이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작은 양의 세탁수가 간헐적으로 공급되어 세제의 비산 및/또는 부유가 억제됨으로써, 상기 세제박스의 내부 세제 잔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As a result, the clumped detergent among the main detergents inside the detergent box is broken into relatively small particles to facilitate movement with the washing water, and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washing water is supplied intermittently, preventing the detergent from scattering and/or floating. By suppressing this, the generation of detergent residue inside the detergent box can be suppressed.

상기 메인간헐공급과정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메인밸브를 메인간헐개방시간 동안 개방하고, 메인간헐차단시간 동안 차단하는 과정을 미리 설정된 메인간헐개폐회수로 반복한다.In the step of performing the main intermittent supply process, the process of opening the main valve during the main intermittent opening time and blocking it during the main intermittent blocking time is repeated at a preset main intermittent opening and closing number.

상기 메인간헐공급과정 전에 상기 프리밸브를 간헐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프리유로의 세탁수를 상기 세제박스에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프리간헐공급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t further includes performing a pre-intermittent supply process of intermittently supplying wash water from the free flow path to the detergent box by intermittently opening and closing the free valve before the main intermittent supply process.

이에 의해, 상기 세제박스의 내부의 프리세제 중 뭉친 세제가 상대적으로 작은 알갱이로 쪼개져 세탁수와 함께 이동이 용이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작은 양의 세탁수가 간헐적으로 공급되어 세제의 비산 및/또는 부유가 억제됨으로써, 상기 세제박스의 내부 세제 잔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As a result, the detergent that has clumped among the pre-detergents inside the detergent box is broken into relatively small particles to facilitate movement with the washing water, and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washing water is supplied intermittently, preventing the detergent from scattering and/or floating. By suppressing this, the generation of detergent residue inside the detergent box can be suppressed.

상기 프리간헐공급과정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프리밸브를 프리간헐개방시간 동안 개방하고, 프리간헐차단시간 동안 차단하는 과정을 미리 설정된 프리간헐개폐회수로 반복한다.In the step of performing the pre-intermittent supply process, the process of opening the free valve during the pre-intermittent opening time and blocking it during the pre-intermittent blocking time is repeated at a preset number of pre-intermittent opening and closing times.

상기 메인간헐개방시간은 상기 메인간헐차단시간에 비해 작게 형성된다.The main intermittent opening time is smaller than the main intermittent blocking time.

상기 프리간헐개방시간은 상기 프리간헐차단시간에 비해 작게 형성된다.The pre-intermittent opening time is smaller than the pre-intermittent blocking time.

상기 메인간헐개방시간은 상기 프리간헐개방시간보다 작게 형성된다. The main intermittent opening time is smaller than the pre-intermittent opening time.

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세제의 양이 많은 메인세제수용부에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세탁수가 간헐적으로 공급되게 함으로써, 상기 메인세제의 비산 및/또는 부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As a result,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wash water is intermittently supplied to the main detergent container where the amount of detergent is relatively large, there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the main detergent scattering and/or floating.

상기 프리간헐개폐회수는 상기 메인간헐개폐회수에 비해 크게 형성된다.The pre-intermittent opening/closing frequency is greater than the main intermittent opening/closing frequency.

상기 제1메인연속공급과정과 상기 프리연속공급과정 사이 및 상기 프리연속공급과정과 상기 제2메인연속공급과정 사이에는 미리 설정된 대기시간이 구비된다.A preset waiting time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and the free continuous supply process and between the free continuous supply process and the second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여기서, 상기 대기시간은 상기 메인유로 또는 프리유로를 경유한 세탁수가 상기 드로어를 경유하여 상기 관통부에 도달할 수 있는 시간을 고려하여 설정된다.Here, the waiting time i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it takes for wash water passing through the main flow path or the free flow path to reach the penetration part via the draw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탁수가 상기 제1메인연속공급과정, 상기 프리연속공급과정 및 제2메인연속공급과정을 통해 상기 세제박스로 공급될 수 있게 상기 메인밸브 및 상기 프리밸브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세제박스의 내부의 세제의 잔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valve is configured to supply washing water to the detergent box through the first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the pre-continuous supply process, and the second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each of the free valves, thereby suppressing residual detergent inside the detergent box.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밸브를 간헐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메인유로의 세탁수를 상기 세제박스에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메인간헐공급과정을 구비하여, 뭉친 세제를 작은 알갱이로 쪼개어 세제의 이동이 용이하게 됨으로써, 세제박스의 내부의 잔류 세제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is equipped with a main intermittent supply process that intermittently supplies wash water from the main flow path to the detergent box by intermittently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valve, thereby breaking the clumped detergent into small particles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detergent. , it can suppress the generation of residual detergent inside the detergent box.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간헐공급과정 전에 상기 프리밸브를 간헐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프리유로의 세탁수를 상기 세제박스에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프리간헐공급과정을 구비하여 뭉칭 세제를 작은 알갱이로 쪼개어 이동이 용이하게 됨으로써, 세제박스의 내부의 세제 잔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with a pre-intermittent supply process that intermittently supplies wash water from the free flow path to the detergent box by intermittently opening and closing the free valve before the main intermittent supply process, thereby breaking the detergent into small particles for movement. By making it easier, the occurrence of detergent residue inside the detergent box can be suppressed.

또한, 세제박스의 하우징의 저부에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의 상측에 가로구획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로구획부의 일 측에 상기 가로구획부의 전방영역에 복수의 세탁수의 이동경로가 형성되게 세탁수를 안내하는 세탁수안내부를 구비하여, 상기 가로구획부의 전방영역에 잔류된 세제를 복수의 세탁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된 세탁수가 씻어 제거되게 함으로써, 세제박스의 내부의 세제 잔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enetration part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of the detergent box, a horizontal partition is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penetration part, and a plurality of movement paths for washing water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partition and in the front area of the horizontal partition. It is provided with a wash water guide that guides the water, so that the detergent remaining in the front area of the horizontal partition is washed away by the wash water moved along the plurality of wash water movement paths, thereb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detergent residue inside the detergent box. You ca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세제박스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세제박스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배유닛본체의 평면도,
도 5는 도 3의 드로어의 평면도,
도 6은 도 3의 하우징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 6의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4의 분배유닛본체의 메인밸브공급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Ⅹ-Ⅹ선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메인밸브공급부를 경유한 세탁수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도 4의 분배유닛본체의 프리밸브공급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도 12의 ⅩⅢ-Ⅹ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14는 도 12의 프리밸브공급부를 경유한 세탁수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도 1의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블록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메인밸브 및 프리밸브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급수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메인밸브 및 프리밸브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급수제어방법의 메인간헐공급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급수제어방법의 메인간헐공급과정 이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메인밸브 및 프리밸브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급수제어방법 중 프리간헐공급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급수제어방법 중 프리간헐공급과정 이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tergent box of Figure 1;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etergent box of Figure 2;
Figure 4 is a plan view of the distribution unit main body of Figure 3;
Figure 5 is a top view of the drawer of Figure 3;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using of Figure 3;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 of Figure 6;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I-VIII of Figure 6;
Figure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main valve supply part of the distribution unit main body of Figure 4;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of Figure 9;
Figure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flow of washing water through the main valve supply part of Figure 9;
Figure 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ree valve supply part of the distribution unit main body of Figure 4;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III-XIII in Figure 12;
Figure 1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flow of washing water through the free valve supply part of Figure 12;
Figure 15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of Figure 1;
1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main valve and free valv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water supply control method for a clothes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main valve and free valv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A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main intermittent supply process of the water supply control method of the clothes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B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ain intermittent supply process of the water supply control method of the clothes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main valve and free valv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1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e-intermittent supply process in the water supply control method of the clothes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1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ocess after the pre-intermittent supply process in the water supply control method of the clothes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ber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even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As used herei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by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세제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110), 수조(140) 및 세제박스(200)를 구비한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undry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tergent box of Figure 1.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110, a water tank 140, and a detergent box 200.

상기 캐비닛(110)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캐비닛(11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는 수조(140)가 구비된다. 상기 수조(140)는 내부에 세탁수의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수조(140)는 전방이 개구된 원통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수조(140)의 내부에는 드럼(160)이 구비된다. 상기 드럼(160)은 전방이 개구된 원통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드럼(160)은 원주면에 복수의 관통공(162)이 구비된다. 상기 드럼(160)의 내부는 상기 드럼(160)의 전면 개구 및 상기 복수의 관통공(162)을 통해 상기 수조(140)의 내부와 연통된다. 상기 드럼(160)은 후단에 구비된 회전축(미도시)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수조(140)의 후단에는 상기 드럼(160)을 회전 구동시키는 드럼구동모터(미도시)가 구비된다. The cabinet 110 forms the exterior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The cabinet 11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 water tank 140 is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10. The water tank 140 forms an internal space for receiving washing water. The water tank 140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front. A drum 160 is provided inside the water tank 140. The drum 160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front. The drum 16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62 on its circumferential surface. The inside of the drum 160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140 through the front opening of the drum 160 and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62. The drum 160 rotates around a rotation axis (not shown) provided at the rear end. A drum driving motor (not shown) that rotates the drum 160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water tank 140.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에는 개구가 형성된다.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 개구는 상기 수조(140) 및 드럼(160)의 개구와 연통된다. 이에 의해, 상기 드럼(160)의 내부로 의류(세탁물)가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에는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115)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115)는, 예를 들면, 상기 캐비닛(110)의 상하로 배치된 회전축(미도시)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구성된다. 상기 캐비닛(110)에는 운전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조작패널(120)이 구비된다. An opening is formed in the front of the cabinet 110. The front opening of the cabinet 110 communicates with the openings of the water tank 140 and the drum 160. As a result, clothing (laundry) can be put into the drum 160. A door 115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cabinet 110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For example, the door 115 is configured to rotate around a rotation axis (not shown)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cabinet 110. The cabinet 110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panel 120 to select an operation mode.

상기 조작패널은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패널(120)은 신호의 선택 및 입력을 위한 다이얼(122) 및 복수의 조작버튼(124)을 구비한다. 상기 캐비닛(110)에는 상기 수조(140)의 내부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박스(200)가 구비된다.The operation panel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cabinet 110. The operation panel 120 includes a dial 122 and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124 for selecting and inputting signals. The cabinet 110 is provided with a detergent box 200 that supplies detergent into the water tank 140.

상기 세제박스(200)는, 예를 들면, 하우징(210), 드로어(310) 및 분배유닛(36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210)은 상기 캐비닛(110)에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210)의 상측에는 상기 분배유닛(360)이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상기 드로어(310)가 인출가능하게 수납된다. 상기 분배유닛(360)은 상기 하우징(210)의 저부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하우징(210)의 상단에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 상기 분배유닛(360)의 하측 공간에는 상기 드로어(310)가 인출 가능하게 수납된다. The detergent box 200 includes, for example, a housing 210, a drawer 310, and a distribution unit 360. The housing 210 is provided in the cabinet 110. The distribution unit 36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210. The drawer 310 is retractably stored inside the housing 210. The distribution unit 360 is disposed at the top of the housing 21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housing 210. The drawer 310 is retractably stored in the lower space of the distribution unit 360 inside the housing 210.

도 3은 도 2의 세제박스(200)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10)은, 내부에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게 구현된다. 상기 하우징(210)은, 예를 들면, 상측 및 전방이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10)의 상측에는 상기 분배유닛(360)이 배치된다. 상기 분배유닛(360)은 상기 하우징(210)의 상부 개구를 차단하게 결합된다. 상기 분배유닛(360)은 상기 하우징(210)과 상하방향을 따라 맞물림되게 구성된다.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etergent box 200 of Figure 2. As shown in FIG. 3, the housing 210 is implemented so that a receiving space of approximately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can be formed therein. The housing 210 is, for example, formed to be open at the top and front. The distribution unit 36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210. The distribution unit 360 is coupled to block the upper opening of the housing 210. The distribution unit 360 is configured to engage with the housing 210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하우징(210)과 상기 분배유닛(360)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맞물림결합부(350)가 구비된다. 상기 맞물림결합부(350)는,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210) 및 분배유닛(36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걸림턱(352) 및 상기 하우징(210) 및 분배유닛(360) 중 다른 하나에 상기 걸림턱(352)이 수용결합되는 걸림턱수용부(35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림턱(352)은,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21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수용부(354)는 상기 분배유닛(360)에 구비될 수 있다. An engaging coupling portion 350 is provided in a mutual contact area between the housing 210 and the distribution unit 360. The engaging coupling portion 350 is, for example, a locking protrusion 352 formed on one of the housing 210 and the distribution unit 360, and the other one of the housing 210 and the distribution unit 36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ocking jaw receiving portion 354 that receives and engages the locking jaw 352. The locking protrusion 352 may be provided on the housing 210, for example. The locking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354 may be provided in the distribution unit 360.

상기 분배유닛(360)은, 내부에 복수의 세탁수이동경로(390)가 형성되는 분배유닛본체(362) 및 상기 분배유닛본체(362)의 상측을 차단하게 결합되는 상부커버(410)를 구비한다. 상기 분배유닛본체(362)는 내부에 상향 개구된 세탁수이동경로(390)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커버(410)는 상기 분배유닛본체(362)에 대응되는 크기의 직사각 판상으로 구현된다. 상기 상부커버(410)는, 예를 들면, 상기 분배유닛본체(362)의 상단에 배치되고 융착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The distribution unit 360 includes a distribution unit body 362 with a plurality of washing water movement paths 390 formed therein, and an upper cover 410 coupled to block the upper side of the distribution unit body 362. do. The distribution unit main body 362 has a washing water movement path 390 opened upwardly therein. The upper cover 410 is implement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with a size corresponding to the distribution unit body 362. For example, the upper cover 410 may be placed on the top of the distribution unit body 362 and integrally joined by fusion.

상기 드로어(310)는 상기 하우징(210)의 전방 개구를 통해 인출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드로어(310)는 내부에 복수의 세제수용공간(312)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세제수용공간(312)은, 예를 들면, 메인세탁시 사용되는 메인세제가 수용되는 메인세제수용부(314)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세제수용공간(312)은 프리세탁 시 사용되는 프리세제가 수용되는 프리세제수용부(316)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세제 및 프리세제는 동일한 세제가 이용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세제가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세제수용공간(312)은 액상의 세제 또는 섬유유연제(이하, "섬유유연제"로 표기함)가 수용되는 섬유유연제수용부(318)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섬유유연제수용부(318)에는 섬유유연제가 사이펀 현상에 의해 하측으로 공급될 수 있게 하는 사이펀 형성부재(321)가 결합된다. 상기 드로어(310)의 전방영역에는 상기 하우징(210)의 수납시 상기 하우징(210)의 전방 개구를 차단하는 전면차단부(330)가 구비된다. 상기 전면차단부(330)에는 상기 전면차단부(330)의 전방에서 결합되는 전면커버(340)가 구비된다. The drawer 310 may be stored inside the housing 210 so as to be withdrawn through a front opening of the housing 210. The drawer 310 has a plurality of detergent receiving spaces 312 formed therein. The plurality of detergent accommodating spaces 312 include, for example, a main detergent accommodating portion 314 that accommodates the main detergent used during main washing. The plurality of detergent accommodating spaces 312 include a pre-detergent accommodating portion 316 that accommodates the pre-detergent used during pre-washing. Here, the main detergent and pre-detergent may be the same detergent or different detergents may be used. The plurality of detergent accommodating spaces 312 are comprised of a fabric softener accommodating portion 318 in which liquid detergent or fabric soften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fabric softener”) is accommodated. A siphon forming member 321 that allows the fabric softener to be supplied downward through a siphon phenomenon is coupled to the fabric softener receiving portion 318. The front area of the drawer 310 is provided with a front blocking portion 330 that blocks the front opening of the housing 210 when the housing 210 is stored. The front blocking part 330 is provided with a front cover 340 coupled at the front of the front blocking part 330.

도 4는 도 3의 분배유닛본체(362)의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배유닛본체(362)의 내부에는 복수의 세탁수이동경로(390)가 형성된다. 상기 분배유닛본체(362)의 후단에는 세탁수공급유로(364)가 연결된다. 상기 세탁수공급유로(364)는 메인세탁(본세탁) 시 세탁수를 공급하는 메인세탁수공급유로 또는 메인유로(365)(이하, "메인유로(365)"로 표기함)를 구비한다. 상기 세탁수공급유로(364)는 프리세탁(예비세탁) 시 세탁수를 공급하는 프리세탁수공급유로 또는 프리유로(366)(이하, "프리유로(366)"로 표기함)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프리세탁은 세탁물의 오염(때)을 미리 불리거나 빼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드럼(160)을 미리 설정된 속도로 회전시키거나 정지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상기 메인세탁은 세제의 화학작용 및 상기 드럼(160)의 물리적 작용을 이용하여 세탁물의 오염을 본격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 상기 프리세탁에 비해 빠른 회전속도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드럼(160)을 정회전시키거나 역회전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Figure 4 is a plan view of the distribution unit body 362 of Figure 3. As shown in Figure 4, a plurality of washing water movement paths 390 are formed inside the distribution unit main body 362. A washing water supply passage 364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distribution unit main body 362. The wash water supply passage 364 includes a main wash water supply passage or main passage 365 (hereinafter referred to as “main passage 365”) that supplies wash water during main washing. The washing water supply passage 364 is provided with a pre-wash water supply passage or free passage 366 (hereinafter referred to as “free passage 366”) that supplies washing water during pre-washing (pre-washing). Here, the pre-washing refers to a process of rotating or stopping the drum 160 at a preset speed for a preset time to perform the role of pre-soaking or removing dirt (soil) from laundry. The main wash is intended to remove contamination from laundry in earnest by using the chemical action of detergent and the physical action of the drum 160, and usually operates the drum 160 for a preset time at a faster rotation speed than the pre-wash. It refers to the process of rotating forward or reverse.

상기 메인유로(365)에는 유로를 개폐할 수 있게 메인밸브(369)(369)가 구비된다. 상기 프리유로(366)에는 유로를 개폐할 수 있게 프리밸브(370)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유로(365) 및 상기 프리유로(366)는 상수도의 수전(359)에 연결된다. 상기 상수도의 수전(359)은 통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메인밸브(369) 및 상기 프리밸브(370)는 통상 차단된 상태를 유지한다. The main flow path 365 is provided with a main valve 369 (369) to open and close the flow path. The free flow path 366 is provided with a free valve 370 to open and close the flow path. The main flow path 365 and the free flow path 366 are connected to the tap 359 of the water supply. The faucet 359 of the water supply is normally maintained in an open state, and the main valve 369 and the free valve 370 are usually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상기 분배유닛본체(362)에는 상기 메인유로(365)가 연결될 수 있게 메인유로연결부(363a)가 구비된다. 상기 분배유닛본체(362)에는 상기 프리유로(366)가 연결될 수 있게 프리세탁수공급유로연결부(363b)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유로연결부(363a) 및 프리세탁수공급유로연결부(363b)는 각각 후방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경사지게 돌출된다. 예를 들면, 상기 메인유로연결부(363a)는, 도면상 상기 분배유닛본체(362)의 후방 우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프리세탁수공급유로연결부(363b)는 도면상 상기 분배유닛본체(362)의 후방 좌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The distribution unit body 362 is provided with a main flow path connection portion 363a to which the main flow path 365 can be connected. The distribution unit main body 362 is provided with a pre-wash water supply passage connection portion 363b to which the free passage 366 can be connected. The main passage connecting portion 363a and the pre-wash water supply passage connecting portion 363b respectively protrude obliquely backwar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example, the main flow passage connecting portion 363a is disposed inclined to the rear right side of the distribution unit main body 362 in the drawing, and the pre-wash water supply passage connecting portion 363b is located at the distribution unit main body 362 in the drawing. It is formed slanted to the rear left of.

상기 복수의 세탁수이동경로(390)는 상기 메인밸브(369)의 개방 시 세탁수가 공급되는 메인밸브공급부(391)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밸브공급부(391)는 상기 메인유로연결부(363a)와 연결된다. 상기 메인밸브공급부(391)는, 예를 들면, 도면 상 상기 분배유닛본체(362)의 좌측영역에 주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밸브공급부(391)에는 바닥면을 관통하여 복수의 분배공(392)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밸브공급부(391)의 일 측에는, 예를 들면, 온수 공급을 위한 온수공급부(375)가 연결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washing water movement paths 390 include a main valve supply unit 391 through which washing water is supplied when the main valve 369 is opened. The main valve supply part 391 is connected to the main flow connection part 363a. For example, the main valve supply part 391 is mainly formed in the left area of the distribution unit main body 362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distribution holes 392 are formed through the bottom of the main valve supply unit 391. For example, a hot water supply unit 375 for supplying hot water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valve supply unit 391.

상기 복수의 세탁수이동경로(390)는 상기 프리밸브(370)의 개방 시 세탁수가 공급되는 프리밸브공급부(395)를 구비한다. 상기 프리밸브공급부(395)는 상기 프리유로연결부(363b)와 연결된다. 상기 프리밸브공급부(395)는 도면 상 상기 분배유닛본체(362)의 우측 전방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프리밸브공급부(395)의 바닥면에는 복수의 분배공(397)이 관통 형성된다. The plurality of wash water movement paths 390 are provided with a free valve supply unit 395 through which wash water is supplied when the free valve 370 is opened. The free valve supply part 395 is connected to the free passage connection part 363b. The free valve supply part 395 is formed in the right front area of the distribution unit main body 362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distribution holes 397 are formed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free valve supply unit 395.

한편, 상기 메인밸브공급부(391) 및 상기 프리밸브공급부(395)의 사이에는 상기 메인밸브(369) 및 프리밸브(370)의 동시 개방 시 세탁수가 공급되는 메인-프리밸브공급부(399)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프리밸브공급부(399)에는 바닥면을 관통하여 분배공(401)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분배공(401)은 세탁수가 상기 섬유유연제수용부(318)로 낙하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Meanwhile, a main-free valve supply part 399 is provided between the main valve supply part 391 and the free valve supply part 395 to which washing water is supplied when the main valve 369 and the free valve 370 are simultaneously opened. do. A distribution hole 401 is formed through the bottom of the main-free valve supply unit 399. The distribution hole 401 is formed at a location where washing water can fall into the fabric softener receiving portion 318.

도 5는 도 3의 드로어(310)의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어(310)의 내부에는 복수의 세제수용공간(312)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세제수용공간(312)은, 메인세탁시 사용되는 세제가 수용되는 메인세제수용부(314)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세제수용공간(312)은 프리세탁 시 사용되는 세제가 수용되는 프리세제수용부(316)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세제수용공간(312)은 헹굼행정 시 사용되는 섬유유연제가 수용되는 섬유유연제수용부(318)를 구비한다.FIG. 5 is a plan view of the drawer 310 of FIG. 3. As shown in FIG. 5, a plurality of detergent receiving spaces 312 are formed inside the drawer 310. The plurality of detergent accommodating spaces 312 include a main detergent accommodating portion 314 in which detergent used during main washing is accommodated. The plurality of detergent accommodating spaces 312 include a pre-detergent accommodating portion 316 that accommodates detergent used during pre-washing. The plurality of detergent accommodating spaces 312 include a fabric softener accommodating portion 318 that accommodates the fabric softener used during the rinsing process.

상기 메인세제수용부(314)는, 예를 들면, 상기 드로어(310)의 내부 좌측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프리세제수용부(316)는 상기 드로어(310)의 내부 우측 전방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섬유유연제수용부(318)는 상기 드로어(310)의 내부 우측 후방영역에 형성된다. The main detergent receiving portion 314 is formed, for example, in the inner left area of the drawer 310. The pre-detergent receiving portion 316 is formed in the inner right front area of the drawer 310. The fabric softener receiving portion 318 is formed in the inner right rear area of the drawer 310.

상기 메인세제수용부(314)는 상기 메인밸브공급부(391)를 경유한 세탁수가 세제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게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세제수용부(314)의 후방영역에는 내부에 수납된 세제가 한꺼번에 후방으로 이동되지 아니하고 서서히 이동될 수 있게 저항을 가하는 배리어(315)가 구비된다. 상기 배리어(315)에는 세제 및 세탁수가 적당량 통과될 수 있게 통과부(315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과부(315a)는, 예를 들면, 상기 배리어(315)의 중앙은 차단되고 양 측 또는 일 측 영역이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main detergent receiving part 314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backward so that the wash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main valve supply part 391 can be moved backward along with the detergent. The rear area of the main detergent receiving portion 314 is provided with a barrier 315 that applies resistance so that the detergent stored therein can be moved gradually rather than all at once to the rear. A passage portion 315a may be formed in the barrier 315 to allow an appropriate amount of detergent and washing water to pass through. For example, the passage portion 315a may be formed to block the center of the barrier 315 and pass through both sides or one side area.

상기 프리세제수용부(316)는 상기 프리밸브공급부(395)를 경유한 세탁수가 세제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게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pre-detergent receiving part 316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backward so that the wash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pre-valve supply part 395 can move backward along with the detergent.

상기 섬유유연제수용부(318)는 상기 프리세제수용부(316)의 상측에 형성된다. 상기 섬유유연제수용부(318)에는 상기 섬유유연제가 하측으로 유출될 수 있게 유출관(319)이 형성된다. 상기 유출관(319)은 상기 프리세제수용부(316)의 바닥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유출관(319)에는 상기 사이펀 형성부재(321)의 관상부(323)가 결합된다. 상기 관상부(323)는 내부에 상기 유출관(319)이 수용되고, 상기 관상부(323)의 내면과 상기 유출관(319)의 외면 사이에는 섬유유연제가 이동될 수 있는 이동경로가 형성된다. 상기 관상부(323)는 상기 섬유유연제가 유입될 수 있게 상기 섬유유연제수용부(318)의 바닥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섬유유연제수용부(318)의 섬유유연제의 수위가 상기 유출관(319)의 높이보다 상승하게 되면 상기 섬유유연제의 유출이 개시된다. 상기 섬유유연제의 유출이 개시되면 사이펀 현상에 의해 상기 섬유유연제의 수위가 상기 유출관(319)의 수위보다 낮아져도 상기 섬유유연제가 계속해서 유출이 가능하게 된다. The fabric softener receiving portion 318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pre-detergent receiving portion 316. An outflow pipe 319 is formed in the fabric softener receiving portion 318 to allow the fabric softener to flow downward. The outflow pipe 319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detergent receiving portion 316. The tubular portion 323 of the siphon forming member 321 is coupled to the outflow pipe 319. The tubular portion 323 accommodates the outflow pipe 319 therein, and a movement path through which the fabric softener can be moved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323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outflow pipe 319. . The tubular portion 323 is formed to be spaced a preset distance from the bottom of the fabric softener receiving portion 318 to allow the fabric softener to flow in. When the water level of the fabric softener in the fabric softener receiving portion 318 rises above the height of the outflow pipe 319, the fabric softener begins to flow out. When the outflow of the fabric softener begins, the fabric softener can continue to outflow even if the water level of the fabric softener becomes lower than the water level of the outflow pipe 319 due to the siphon phenomenon.

도 6은 도 3의 하우징(210)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10)은 상측 및 전방이 개구된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210)은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판(110a)의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210)의 양 측면부(241)외면 전방영역에는 스크류에 의해 체결될 수 있게 스크류체결부(215)가 각각 형성된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using 210 of FIG. 3,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 of FIG. 6,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I-VIII of FIG. 6.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housing 210 has an open top and front shape. The housing 210 is disposed inside the front plate 110a of the cabinet 110. Screw fastening portions 215 are formed in the outer front area of both side portions 241 of the housing 210 so that they can be fastened with screws.

상기 하우징(210)은 내부에 상기 드로어(310)가 수납되는 복수의 수직구간(220), 상기 드로어(310)의 하측에 형성되는 수평구간(225) 및 복수의 경사구간(230)을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수직구간(220)은 상기 드로어(310)의 양 측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수평구간(225) 및 상기 복수의 경사구간(230)은 상기 드로어(310)의 하측에 각각 형성된다. The housing 210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al sections 220 in which the drawer 310 is stored, a horizontal section 225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drawer 310, and a plurality of inclined sections 230. . The plurality of vertical sections 220 are disposed on both sides and the rear of the drawer 310, respectively. The horizontal section 225 and the plurality of inclined sections 230 are formed below the drawer 310, respectively.

상기 하우징(210)은, 상기 드로어(310)의 양 측에 배치되는 양 측면부(241), 상기 드로어(310)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부(242) 및 상기 드로어(31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저면부(245)를 구비한다. The housing 210 includes both side portions 241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drawer 310, a rear portion 242 disposed at the rear of the drawer 310, and a bottom portion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drawer 310. It is provided with unit 245.

상기 양 측면부(241)는 상기 드로어(310)의 양 측에 배치되는 수직구간(220)을 각각 구비한다.The both side parts 241 each have vertical sections 220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drawer 310.

상기 후면부(242)는 상기 드로어(310)의 후방에 배치되는 수직구간(220)을 구비한다.The rear portion 242 includes a vertical section 220 disposed behind the drawer 310.

상기 저면부(245)는, 상기 수평구간(225) 및 상기 복수의 경사구간(23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The bottom portion 245 includes the horizontal section 225 and the plurality of inclined sections 230.

상기 저면부(245)는 내부의 세탁수가 유출될 수 있게 관통 형성되는 관통부(247)를 구비한다. 상기 관통부(247)는 상기 수평구간(225)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구간(225)은 상기 관통부(247)를 향해 약간 경사지게(예를 들면, 상기 경사구간(23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기울기를 구비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경사구간(230)은 상기 관통부(247)를 향해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의 세탁수가 원활하게 상기 관통부(247)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경사구간(230)은 세탁수의 이동(속도)이 너무 느릴 경우 세제의 운반성능이 낮아지고, 상대적으로 이동이 빠를 경우, 상기 관통부(247)를 지나치는 거리가 증가되므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경사구간(230)은 미리 설정된 기울기를 각각 구비하게 구성된다. The bottom portion 245 has a penetrating portion 247 formed through it to allow the washing water inside to flow out. The penetrating portion 247 may be formed in the horizontal section 225. Here, the horizontal section 225 may be formed to be slightly inclined toward the penetrating portion 247 (for example, having a relatively small inclination compared to the inclined section 230). The plurality of inclined sections 230 may be configured to be inclined toward the penetrating portion 247. As a result, the washing water inside the housing 210 can be smoothly moved to the penetration part 247. The plurality of inclined sections 230 are not desirable because if the movement (speed) of the washing water is too slow, the transport performance of detergent is lowered, and if the movement is relatively fast, the distance passing the penetrating portion 247 increases. It may not be possible.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slope sections 230 are each configured to have a preset slope.

상기 관통부(247)는 상기 수평구간(225)의 일 측(도면상 좌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247)에는 일 단부가 상기 수조(140)에 연결되는 세탁수공급관(260)의 타 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도 2 참조). 이에 의해, 상기 수조(140)의 내부와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가 상호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247)에는 상기 세탁수공급관(260)이 연결될 수 있게 세탁수공급관연결부(251)가 형성될 수 있다. The penetrating portion 247 may be formed on one side (left side in the drawing) of the horizontal section 225. It may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housing 210. The other end of the washing water supply pipe 260,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water tank 140, may be connected to the penetration part 247 (see FIG. 2). As a result, the interior of the water tank 140 and the interior of the housing 210 may b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A washing water supply pipe connection part 251 may be formed in the penetration part 247 to allow the washing water supply pipe 260 to be connected.

상기 하우징(210)의 일 측면(예를 들면 도면상 좌측면)에는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게 관통되는 통기부(450)가 구비된다. 이에 의해, 상기 수조(140)의 내부가 상기 하우징(210)의 외부와 연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 개구를 통해 유아 또는 동물이 상기 드럼(160)의 내부로 들어간 상태에서 상기 도어(115)가 닫히는 경우, 상기 드럼(160)의 내부의 유아 또는 동물은 상기 세탁수공급관(260) 및 통기부(450)를 통해 호흡이 가능하게 된다. A ventilation portion 45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210 (for example, the left side in the drawing) so that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housing 21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s a result,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140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of the housing 210.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door 115 is closed while an infant or animal enters the inside of the drum 160 through the front opening of the cabinet 110, the infant or animal inside the drum 160 Breathing is possible through the washing water supply pipe 260 and the ventilation unit 450.

상기 복수의 경사구간(230)은, 상기 하우징(210)의 양 측면부(241)로부터 내측으로 각각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경사구간(우측경사구간)(230a) 및 제2경사구간(좌측경사구간)(230b)과, 상기 관통부(247)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3경사구간(전방경사구간)(230c) 및 상기 관통부(247)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4경사구간(후방경사구간)(230d)을 구비한다. The plurality of inclined sections 230 include a first inclined section (right inclined section) 230a and a second inclined section (left inclined section) that ar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ly inward from both side portions 241 of the housing 210, respectively. ) (230b), a third inclined section (front inclined section) 230c disposed in front of the penetrating portion 247, and a fourth inclined section (rear inclined section) disposed behind the penetrating portion 247. (230d)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제1경사구간(230a) 및 상기 제2경사구간(230b)은 수평구간(225)에 대해 서로 다른 경사각(기울기)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구간(230a) 및 제2경사구간(230b)은 상기 하우징(210)의 좌우방향을 따라 각각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경사구간(230b)은 상기 제1경사구간(230a)에 비해 더 큰 경사각을 가지고 상대적으로 수직에 가깝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구간(230a)은 세탁수의 이동경로가 형성되는 구간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기울기로 형성된다. 상기 제3경사구간(230c) 및 상기 제4경사구간(230d)은 상기 하우징(210)의 전후방향을 따라 각각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3경사구간(230c)은 상기 관통부(247)를 향해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4경사구간(230d)은 상기 관통부(247)를 향해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Here, the first inclined section 230a and the second inclined section 230b may b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inclination angles (tilt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section 225. The first inclined section 230a and the second inclined section 230b are formed to be inclined inwardly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ousing 210, respectively. The second inclined section 230b may have a larger inclination angle than the first inclined section 230a and may be configured to be relatively close to vertical. The first inclined section 230a is a section where the washing water movement path is formed and is formed at a relatively low slope. The third inclined section 230c and the fourth inclined section 230d are formed to be inclined along the front-to-back direction of the housing 210, respectively. The third inclined section 230c is formed to slope backward and downward toward the penetrating portion 247. The fourth inclined section 230d is formed to slope forward and downward toward the penetrating portion 247.

한편, 상기 하우징(210)의 저면부(245)는 상기 드로어(310)를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내부 후방으로 낙하되는 세탁수가 상기 관통부(247)로 원활하게 이동되어 상기 수조(140)로 공급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210)의 저면부(245)는 세탁수가 적절한 이동 속도를 가질 수 있게 복수의 경사구간(230)이 각각 마련된다. Meanwhile, the bottom portion 245 of the housing 210 allows washing water that falls to the rear of the interior along with detergent via the drawer 310 to smoothly move to the penetration portion 247 and be supplied to the water tank 140. It is structured so that it can be The bottom portion 245 of the housing 2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clined sections 230 to allow washing water to move at an appropriate speed.

상기 하우징(210)의 저면부(245)에는 상기 관통부(247)의 상측에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210)의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로구획부(272)가 구비된다. 이에 의해,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 후방영역으로 낙하된 세탁수가 상기 하우징(210)의 관통부(247)를 지나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 전방영역으로 과도하게 이동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세제와 함께 이동되는 세탁수가 상기 하우징(210)의 전방으로 과도하게 이동될 경우 상기 하우징(210)의 전방영역에 전방으로 이동된 세제가 잔류하게 될 가능성이 그만큼 높아지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 전방으로 이동된 세제는 상대적으로 제거가 곤란하기 때문에 그만큼 잔류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상기 가로구획부(272)만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 수위 증가에 기인한 물넘침으로 상기 가로구획부(272)의 전방으로 이동된 세탁수 및 세제는 상기 관통부(247)를 통해 유출되지만, 세탁수와 함께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 전방영역으로 이동된 세제는 대부분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 전방영역에 잔류하게 된다.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가로구획부(272)의 전방영역으로 세탁수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것이 요구된다. The bottom portion 245 of the housing 210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 partition portion 272 that protrudes above the penetrating portion 247 and is dispo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ousing 210. As a result, washing water that has fallen into the inner rear area of the housing 210 can be prevented from excessively moving through the penetration part 247 of the housing 210 to the inner front area of the housing 210. If the washing water moved with the detergent moves excessively to the front of the housing 210, the possibility that the detergent moved forward will remain in the front area of the housing 210 increases accordingly. More specifically, the detergent moved to the front inside of the housing 210 is relatively difficult to remove, so the possibility of it remaining increases. For example, when only the horizontal partition 272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210, the water overflow due to an increase in the water level inside the housing 210 moves to the front of the horizontal partition 272. Washing water and detergent flow out through the penetration portion 247, but most of the detergent that has moved to the inner front area of the housing 210 along with the washing water remains in the inner front area of the housing 210. In order to eliminate this, it is necessary to form a movement path for washing water in the front area of the horizontal partition 272.

상기 가로구획부(272)는 상기 통기부(450)의 하측에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 세탁수의 수위가 상승될 경우 세탁수가 상기 통기부(450)를 통해 상기 하우징(210)의 외부로 유출됨이 없이 상기 가로구획부(272)를 넘어 상기 가로구획부(272)의 전방영역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하우징(210)의 수위가 과도하게 상승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The horizontal section 272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ventilation portion 450. As a result,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shing water inside the housing 210 rises, the washing water does not flow out of the housing 210 through the ventilation part 450, but flows beyond the horizontal partition 272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210. By moving to the front area of the horizontal partition 272, excessive increase in the water level of the housing 210 can be suppressed.

상기 가로구획부(272)는 상기 하우징(210)의 전후방향을 따른 상기 관통부(247)의 중심에서 전방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이동된 지점에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247)는 상기 가로구획부(272)에 의해 내부로 유입되는 양이 제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로구획부(272)는 상기 관통부(247)의 내부공간을 미리 설정된 비율(예를 들면, 대략 70:30 정도)로 구획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메인세제수용부(314)를 경유해 낙하된 세탁수는 상기 가로구획부(272)에 의해 대부분 상기 관통부(247)의 내부공간의 후방영역을 통해 상기 수조(14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메인세제수용부(314)를 경유한 세탁수의 수압이 이상적(abnomal, unusual)으로 증가되고, 이에 기인하여 유량이 과도하게 증가되어 수위가 상승되는 경우 상기 가로구획부(272)를 넘어 세제 및 세탁수가 상기 가로구획부(272)의 전방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가로구획부(272)의 전방으로 이동된 세제 및 세탁수는 상기 가로구획부(272)의 전방에 배치되는 상기 관통부(247)의 내부 전방영역을 통해 상기 수조(140)로 공급될 수 있다. The horizontal partition portion 272 is formed at a point moved a preset distance forward from the center of the penetrating portion 247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housing 210. The amount flowing into the penetrating portion 247 may be controlled by the horizontal partition portion 272. More specifically, the horizontal dividing portion 272 may be formed at a point that divides the internal space of the penetrating portion 247 at a preset ratio (for example, approximately 70:30). As a result, most of the washing water that falls through the main detergent receiving part 314 is supplied to the water tank 140 through the rear area of the inner space of the penetrating part 247 by the horizontal partition part 272. It can be. When the water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main detergent receiving part 314 increases to an abnormal, unusual level, and as a result, the flow rate increases excessively and the water level rises, the detergent exceeds the horizontal partition 272. And wash water may be moved to the front area of the horizontal section 272. Detergent and wash water moved to the front of the horizontal partition 272 can be supplied to the water tank 140 through the inner front area of the penetration part 247 disposed in front of the horizontal partition 272. there is.

상기 가로구획부(272)는, 상기 관통부(247)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구간(272a) 및 상기 제1구간(272a)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경사구간(230b)에 형성되는 제2구간(272b)을 구비한다. 상기 제1구간(272a)은 상기 하우징(210)의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제2구간(272b)은 상기 하우징(210)의 좌우방향에 대해 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제2구간(272b)은 상기 하우징(210)의 대략 30 내지 40도 정도의 경사각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도 11 참조). The horizontal section 272 includes a first section 272a disposed above the penetrating portion 247 and a second sec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section 272a to form the second inclined section 230b. It is provided with a section 272b. The first section 272a is disposed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ousing 210. The second section 272b is disposed incline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ousing 210. The second section 272b may be configured to have an inclination angle of approximately 30 to 40 degrees of the housing 210 (see FIG. 11).

상기 하우징(210)에는 세탁수가 상기 가로구획부(272)의 전방영역에 복수의 세탁수 이동경로가 형성되게 세탁수를 안내하는 세탁수안내부(500)가 구비된다. 이에 의해, 상기 가로구획부(272)의 전방에 형성되는 세탁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세탁수에 의해 상기 가로구획부(272)의 전방 영역에 잔류하고 있는 세제가 씻겨지게 되어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 전방영역의 세제 잔류를 억제할 수 있다. The housing 210 is provided with a wash water guide unit 500 that guides the wash water so that a plurality of wash water movement paths are formed in the front area of the horizontal section 272. As a result, the detergent remaining in the front area of the horizontal partition 272 is washed away by the washing water moving along the washing water movement path formed in front of the horizontal partition 272, and the housing 210 ) can suppress detergent residue in the inner front area.

상기 세탁수안내부(500)는, 상기 가로구획부(272)의 일 측에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210)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세로구획부(510) 및 상기 세로구획부(510)의 전방에 상기 세로구획부(510)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는 연장구획부(52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The wash water guide unit 500 is comprised of a vertical compartment 510 and a vertical compartment 510 that protrude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compartment 272 and are disposed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housing 21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xtension section 520 formed at the front to be spaced apart from the vertical section 510.

상기 세로구획부(510)는 상기 제1경사구간(230a)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세로구획부(510)는 대략 직사각 판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세로구획부(510)는 상기 하우징(210)의 후면부(242)로부터 전방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프리세제수용부(316)를 경유하여 낙하되는 세탁수 중 일부는 상기 후면부(242)와 상기 세로구획부(510)의 후방단부 사이를 통해 상기 가로구획부(272)의 후방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vertical partition 510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first inclined section 230a. The vertical partition 51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The vertical partition 510 is formed to be spaced forward at a preset distance from the rear portion 242 of the housing 210. As a result, some of the washing water that falls through the pre-detergent receiving part 316 passes between the rear part 242 and the rear end of the vertical partition 510 and reaches the rear area of the horizontal partition 272. can be moved to

상기 연장구획부(520)는 대략 직사각 판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연장구획부(520)는 상기 세로구획부(510)의 전방에 미리 설정된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프리세제수용부(316)를 경유해 낙하된 세탁수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세로구획부(510)와 상기 연장구획부(520) 사이를 통해 하향 이동된다. 또한, 상기 프리세제수용부(316)를 경유해 낙하된 세탁수 중 또 다른 일부는 상기 연장구획부(520)의 전방으로 이동되어 하향 이동된다. 이에 의해, 상기 프리세제수용부(316)를 경유해 낙하된 세탁수는 상기 가로구획부(272)의 전방영역으로 2개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된다. The extension section 52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The extension section 520 is formed in front of the vertical section 510 at a preset distance apart. As a result, another part of the washing water that falls through the pre-detergent receiving portion 316 moves downward between the vertical compartment 510 and the extension compartment 520. In addition, another part of the washing water that falls through the pre-detergent receiving portion 316 moves to the front of the extension section 520 and moves downward. Accordingly, the washing water that falls through the pre-detergent receiving portion 316 is moved along two movement paths to the front area of the horizontal section 272.

상기 프리세제수용부(316)를 경유해 낙하된 세탁수 중 일부는 상기 세로구획부(510)를 따라 이동되고, 일부는 상기 세로구획부(510)와 상기 연장구획부(520) 사이를 따라 하향 이동되어 상기 가로구획부(272)측으로 이동되는 제1이동경로를 형성하고, 또 다른 일부는 연장구획부(520)를 따라 상기 하우징(210)의 전방으로 이동된 후 하향 이동되어 상기 하우징(210)의 전방영역을 경유하여 상기 가로구획부(272)측으로 이동되는 제2이동경로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상기 가로구획부(272)의 전방 영역에 잔류하고 있는 세제를 효과적으로 씻어내어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 전방영역의 세제 잔류가 억제될 수 있다. Some of the washing water that falls through the pre-detergent receiving part 316 moves along the vertical compartment 510, and some moves along between the vertical compartment 510 and the extension compartment 520. It moves downward to form a first movement path that moves toward the horizontal partition 272, and another part moves to the front of the housing 210 along the extension partition 520 and then moves downward to form the housing ( A second movement path is formed that moves toward the horizontal partition 272 via the front area of 210). As a result, the detergent remaining in the front area of the horizontal section 272 can be effectively washed away, thereby suppressing the detergent remaining in the inner front area of the housing 210.

상기 연장구획부(520)는, 상기 세로구획부(510)의 일 측에 형성되는 제1연장구획부(530) 및 상기 제1연장구획부(530)의 전방에 이격 배치되는 제2연장구획부(540)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상기 프리세제수용부(316)를 경유하여 낙하된 세탁수는 상기 가로구획부(272)의 전방에 복수의 세탁수 이동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가로구획부(272)의 전방 영역의 세제 잔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The extension section 520 includes a first extension section 530 formed on one side of the vertical section 510 and a second extension section spaced apart in front of the first extension section 530. It is provided with unit 540. As a result, the washing water that falls through the pre-detergent receiving unit 316 forms a plurality of washing water movement paths in front of the horizontal section 272. As a result, the occurrence of detergent residue in the front area of the horizontal partition 272 can be suppressed.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연장구획부(530)는, 제1연장구획부바디(532) 및 상기 제1연장구획부바디(532)로부터 절곡 형성되는 제1절곡단부(534)를 구비한다. 상기 제1연장구획부바디(532)는 상기 하우징(210)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제1절곡단부(534)는 상기 제1연장구획부바디(532)의 전방 단부에 절곡 형성된다. 상기 제1연장구획부바디(532)를 따라 이동된 세탁수는 상기 제1절곡단부(534)에 의해 안정적으로 하향 이동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first extension section 530 includes a first extension section body 532 and a first bent end portion 534 bent from the first extension section body 532. The first extension section body 532 is disposed along the front-to-back direction of the housing 210. The first bent end 534 is formed by bending the front end of the first extension section body 532. Washing water moved along the first extension section body 532 can be stably moved downward by the first bent end 534.

상기 제2연장구획부(540)는, 제2연장구획부바디(542) 및 상기 제2연장구획부바디(542)로부터 절곡형성되는 제2절곡단부(544)를 구비한다. 상기 제2연장구획부바디(542)는 상기 하우징(210)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제2절곡단부(544)는 상기 제2연장구획부바디(542)의 전방 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2연장구획부바디(542)를 따라 이동된 세탁수는 상기 제2절곡단부(544)에 의해 안정적으로 하향 이동될 수 있다. The second extension section 540 includes a second extension section body 542 and a second bent end portion 544 bent from the second extension section body 542. The second extension section body 542 is disposed along the front-to-back direction of the housing 210. The second bent end 544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second extension section body 542. Washing water moved along the second extension section body 542 can be stably moved downward by the second bent end 544.

여기서, 상기 연장구획부(520)는 상기 세로구획부(510)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프리세제수용부(316)를 경유하여 낙하되는 세탁수 중 일부는 상기 세로구획부(510)의 양 측으로 이미 낙하된 상태이므로, 상대적으로 그 양이 작아진 세탁수를 안내하기 때문이다. Here, the extension section 52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relatively low height compared to the vertical section 510. This is because some of the washing water that falls through the pre-detergent receiving part 316 has already fallen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compartment 510, and thus the washing water is guided in a relatively small amount.

이하,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기 분배유닛(360)을 통한 세탁수의 흐름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low of washing water through the distribution unit 36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4.

도 9는 도 4의 분배유닛본체(362)의 메인밸브공급부(391)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Ⅹ-Ⅹ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9의 메인밸브공급부(391)를 경유한 세탁수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main valve supply part 391 of the distribution unit main body 362 of Figure 4,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of Figure 9, and Figure 11 is the main valve of Figure 9. This is a diagram to explain the flow of washing water through the valve supply unit 391.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밸브(369)가 개방되어 메인유로(365)가 개방되면, 상기 메인밸브공급부(391)로 세탁수가 이동되고, 분배공(392)을 통해 상기 드로어(310)의 메인세제수용부(314)로 낙하된다. As shown in FIG. 9, when the main valve 369 is opened and the main passage 365 is opened, washing water moves to the main valve supply unit 391 and flows into the drawer 310 through the distribution hole 392. It falls into the main detergent receiving part 314.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밸브공급부(391)를 경유한 세탁수는 상기 드로어(310)의 메인세제수용부(314)의 후방영역으로 이동되어 도면상 상기 하우징(210)의 후방 좌측영역으로 낙하된다. As shown in FIG. 10, the wash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main valve supply unit 391 moves to the rear area of the main detergent receiving unit 314 of the drawer 310 and moves to the rear left side of the housing 210 in the drawing. falls into the area.

상기 드로어(310)의 메인세제수용부(314)를 경유하여 상기 하우징(210)의 후방으로 낙하된 세탁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경사구간(230d)(후방경사구간)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관통부(247)의 후방영역을 통해 상기 수조(140)로 이동된다.As shown in FIG. 11, the wash water that falls to the rear of the housing 210 via the main detergent receiving portion 314 of the drawer 310 flows through the fourth inclined section 230d (rear inclined section). It moves along and moves to the water tank 140 through the rear area of the penetrating part 247.

상기 가로구획부(272)는 상기 제4경사구간(230d)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는 세제 및 세탁수가 상기 하우징(210)의 전방영역으로 이동되는 것을 억제하여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세제가 잔류되는 것을 억제한다. The horizontal partition 272 prevents detergent and wash water moving forward along the fourth inclined section 230d from moving to the front area of the housing 210, thereby preventing detergent from being moved to the front area of the housing 210. Suppresses residue.

도 12는 도 4의 분배유닛본체(362)의 프리밸브공급부(395)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ⅩⅢ-Ⅹ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2의 프리밸브공급부(395)를 경유한 세탁수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리밸브(370)가 개방되면 상기 프리유로(366)를 따라 세탁수가 이동되고, 상기 분배유닛(360)의 내부 상기 프리밸브공급부(395)로 이동된다. 상기 프리밸브공급부(395)로 이동된 세탁수는 바닥면의 분배공(397)을 통해 상기 드로어(310)의 내부로 낙하된다. Figure 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ree valve supply part 395 of the distribution unit main body 362 of Figure 4,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ⅩⅢ-ⅩⅢ of Figure 12, and Figure 14 is a free view of Figure 12. This is a diagram to explain the flow of washing water through the valve supply unit 395. As shown in FIG. 12, when the free valve 370 is opened, washing water moves along the free passage 366 and moves to the free valve supply unit 395 inside the distribution unit 360. Washing water moved to the free valve supply unit 395 falls into the interior of the drawer 310 through the distribution hole 397 on the bottom.

상기 프리밸브공급부(395)를 경유한 세탁수는 상기 드로어(310)의 프리세제수용부(316)로 낙하된다. 상기 프리세제수용부(316)로 낙하된 세탁수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영역으로 이동되고, 상기 하우징(210)의 후방영역으로 낙하된다. 상기 프리세제수용부(316)를 경유하여 낙하되는 세탁수는 상기 하우징(210)의 후방 우측 영역(제1경사구간(230a))으로 낙하된다. Wash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pre-valve supply unit 395 falls into the pre-detergent receiving unit 316 of the drawer 310. As shown in FIG. 13, the washing water that falls into the pre-detergent receiving part 316 moves to the rear area and falls into the rear area of the housing 210. Washing water that falls through the pre-detergent receiving portion 316 falls into the rear right area (first inclined section 230a) of the housing 210.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리세제수용부(316)를 경유하여 상기 하우징(210)의 후방으로 낙하된 세탁수 중 일부는 상기 하우징(210)의 후면부(242)와 상기 세로구획부(510)의 후방 단부 사이를 통해 하향 이동되어 상기 가로구획부(272)의 후방영역으로 이동된다. 상기 가로구획부(272)의 후방으로 이동된 세탁수는 상기 관통부(247)의 후방영역을 통해 상기 수조(140)로 공급된다.As shown in FIG. 14, some of the washing water that falls to the rear of the housing 210 via the pre-detergent receiving portion 316 is in the rear portion 242 of the housing 210 and the vertical compartment ( It moves downward through the rear end of the horizontal section 510 and moves to the rear area of the horizontal section 272. Washing water moved to the rear of the horizontal section 272 is supplied to the water tank 140 through the rear area of the penetration section 247.

상기 프리세제수용부(316)를 경유하여 낙하된 세탁수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세로구획부(510)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세로구획부(510)를 따라 이동된 세탁수 중 일부는 상기 세로구획부(510)와 상기 제1연장구획부(530)의 사이를 통해 하향 이동되고, 상기 가로구획부(272)의 전방영역을 따라 이동되는 제1경로(P1)를 형성한다. 상기 세로구획부(510)를 따라 이동된 세탁수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제1연장구획부(530)를 따라 이동되고, 상기 제1연장구획부(530)와 제2연장구획부(540) 사이를 통해 하향 이동되고, 상기 제1경로(P1)에 비해 전방영역을 경유하여 이동되는 제2경로(P2)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1연장구획부(530)를 따라 이동된 세탁수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제2연장구획부(540)의 전방영역으로 이동되어 하향 이동되고, 상기 하우징(210)의 전방영역, 즉 상기 제2경로(P2)의 전방영역을 경유하는 제3경로(P3)를 형성한다.Another part of the wash water that falls through the pre-detergent receiving portion 316 moves forward along the vertical compartment 510. Some of the washing water moved along the vertical compartment 510 moves downward between the vertical compartment 510 and the first extension compartment 530, and moves to the front of the horizontal compartment 272. It forms a first path (P1) that moves along the area. Another part of the wash water moved along the vertical compartment 510 is moved along the first extension compartment 530 and between the first extension compartment 530 and the second extension compartment 540. It moves downward through and forms a second path (P2) that moves through the front area compared to the first path (P1). In addition, another part of the wash water moved along the first extension compartment 530 moves downward to the front area of the second extension compartment 540, and moves downward to the front area of the housing 210, i.e. A third path (P3) is formed that passes through the front area of the second path (P2).

이에 의해, 상기 가로구획부(272)의 전방에 잔류하고 있는 세제는 상기 제1경로(P1), 제2경로(P2) 및 제3경로(P3)를 따라 이동된 세탁수에 의해 씻겨져 제거됨으로써,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 전방 영역의 세제의 잔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경로(P1), 제2경로(P2) 및 제3경로(P3)를 화살표로 각각 도시하고 있지만 상기 제1경로(P1), 제2경로(P2) 및 제3경로(P3)가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와 정확하게 일치되게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As a result, the detergent remaining in front of the horizontal partition 272 is washed away and removed by the washing water moved along the first path (P1), the second path (P2), and the third path (P3). , residual generation of detergent in the inner front area of the housing 210 can be suppressed.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ath (P1), the second path (P2), and the third path (P3) are each shown with arrows, but the first path (P1), the second path (P2), and the third path (P3) are respectively indicated by arrows. This does not mean that the path P3 is formed to exactly match the arrow shown in the drawing.

도 15는 도 1의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제어프로그램을 구비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되는 제어부(700)를 구비한다.FIG. 15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of FIG. 1. As shown in FIG. 15,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700 implemented with a microprocessor and a control program.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메인밸브(369)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하여 세탁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1메인연속공급과정, 상기 프리밸브(370)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하여 세탁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프리연속공급과정 및 상기 메인밸브(369)를 개방하여 세탁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2메인연속공급과정을 구비하고, 세탁수가 상기 제1메인연속공급과정, 상기 프리연속공급과정 및 제2메인연속공급과정을 통해 상기 세제박스(200)로 공급될 수 있게 상기 메인밸브(369) 및 상기 프리밸브(370)를 각각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된다.The control unit 700 performs a first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of continuously supplying wash water by opening the main valve 369 for a preset time, and opening the free valve 370 for a preset time to supply wash water. A pre-continuous supply process in which washing water is supplied continuously and a second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in which washing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by opening the main valve 369, wherein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in the first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and the pre-continuous supply process. And 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main valve 369 and the free valve 370, respectively, so that the detergent can be supplied to the detergent box 200 through the second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상기 제어부(700)에는 복수의 운전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운전모드선택부(730)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An operation mode selection unit 730 capable of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operation modes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700.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는, 예를 들면, 상기 메인세탁 및 상기 프리세탁을 포함하는 제1운전모드를 구비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operation modes may include, for example, a first operation mode including the main wash and the pre-wash.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는, 예를 들면, 상기 메인세탁은 포함하고 상기 프리세탁은 포함하지 아니하는 제2운전모드를 구비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operation modes may include, for example, a second operation mode that includes the main wash and does not include the pre-wash.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운전모드선택부(730)에 의해 선택된 운전모드 중 상기 메인세탁 시, 상기 제1메인연속공급과정, 상기 프리연속공급과정 및 상기 제2메인연속공급과정을 수행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700 may perform the first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the free continuous supply process, and the second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during the main washing in the operation mode selected by the operation mode selection unit 730. It can be configured as follows.

상기 제어부(700)에는 상기 메인밸브(369) 및 상기 프리밸브(370)가 제어가능하게 각각 연결된다. The main valve 369 and the free valve 370 are controllab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700, respectively.

상기 제어부(700)에는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710)가 구비된다.The control unit 700 is equipped with a timer 710 that counts time.

상기 제어부(700)에는 상기 수조의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750)가 통신가능하게 연결된다. A water level detection unit 750 that detects the water level inside the water tank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700.

상기 제1메인연속공급과정은 상기 메인밸브(369)가 제1설정시간 이하로 개방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설정시간은, 예를 들면, 상기 드로어(310)의 내부에 세탁수 공급 시 상대적으로 세탁수의 압력이 높은 경우, 상기 세탁수의 공급속도가 상기 드로어(310)로부터 유출되는 속도에 비해 빨라져 상기 드로어(310)의 내부의 수위가 상승하게 되는 정도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The first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may be set so that the main valve 369 is opened below the first set time. The first set time is, for example, when the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is relatively high when washing water is supplied inside the drawer 310, the supply speed of the washing water is determined by the speed at which the washing water flows out from the drawer 310. It can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degree to which the water level inside the drawer 310 increases faster than that of the drawer 310.

본 실시예에서, 제1설정시간은 10초 이하로 설정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etting time is set to 10 seconds or les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메인밸브(369) 및 프리밸브(370)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1메인연속공급과정의 종료 후 미리 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프리연속공급과정이 수행되게 상기 메인밸브(369) 및 프리밸브(370)를 제어하게 구성될 수 있다.Figure 1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main valve 369 and the free valve 370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6,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main valve 369 and the free valve to perform the free continuous supply process after a preset waiting time has elapsed after the end of the first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It can be configured to control (370).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프리연속공급과정 종료 후 미리 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2메인연속공급과정이 수행되게 상기 메인밸브(369) 및 프리밸브(370)를 제어하게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70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main valve 369 and the free valve 370 so that the second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is performed after a preset waiting time has elapsed after the end of the free continuous supply process. You can.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2메인연속공급과정 중에 상기 수위감지부(750)를 통해 상기 수조(140)의 수위를 감지하고, 상기 수조(140)의 내부 수위가 설정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메인유로(365)가 차단되게 상기 메인밸브(369)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된다. The control unit 700 detects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140 through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750 during the second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and when the internal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140 reaches the set water level, the main 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main valve 369 so that the flow path 365 is blocked.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급수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의 급수제어방법은, 상기 메인밸브(369)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하여 세탁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1메인연속공급과정을 수행하는 단계(S300); 상기 프리밸브(370)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하여 세탁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프리연속공급과정을 수행하는 단계(S400); 및 상기 메인밸브(369)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하여 세탁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2메인연속공급과정을 수행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Figure 1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water supply control method for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7, the water supply control method of the clothes treatment device of this embodiment includes performing a first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of continuously supplying washing water by opening the main valve 369 for a preset time. (S300); Performing a free continuous supply process of continuously supplying wash water by opening the free valve 370 for a preset time (S400); and performing a second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of continuously supplying washing water by opening the main valve 369 for a preset time (S500).

상기 제어부(700)는, 메인세탁이 개시되면, 상기 메인유로(365)를 통해 상기 세제박스(200)로 세탁수가 공급될 수 있게 상기 메인밸브(369)를 개방되게 제어한다(S310).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타이머(710)를 통해 상기 메인밸브(369)의 개방시간(Tmoi)을 카운트하고, 상기 메인밸브(369)의 개방시간(Tmoi)이 설정시간(Tms)에 도달하면(S320), 상기 메인밸브(369)를 차단한다(S330).When the main wash starts, the control unit 700 controls the main valve 369 to be opened so that wash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detergent box 200 through the main passage 365 (S310). The control unit 700 counts the opening time (Tmoi) of the main valve 369 through the timer 710, and when the opening time (Tmoi) of the main valve 369 reaches the set time (Tms), (S320), the main valve 369 is blocked (S330).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메인밸브(369)의 차단 후 미리 설정된 대기시간동안 대기한다(S340).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대기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프리연속공급과정을 수행하는 단계(400)가 수행되도록 한다. The control unit 700 waits for a preset waiting time after blocking the main valve 369 (S340). The control unit 700 causes the step 400 of performing the pre-continuous supply process to be performed when the waiting time has elapsed.

먼저,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프리밸브(370)를 개방한다(S410). 이에 의해 상기 프리유로(366)를 통해 상기 세제박스(200)로 세탁수가 공급된다. First, the control unit 700 opens the free valve 370 (S410). Accordingly,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detergent box 200 through the free passage 366.

여기서, 상기 프리유로(366)를 통해 상기 세제박스(200)로 공급된 세탁수는 상기 프리세제수용부(316)를 경유하여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로 낙하된다. 이때, 사용자의 부주의에 기인하여 상기 프리세제수용부(316)의 내부에 세제가 잘못 투입되어 있는 경우, 상기 프리유로(366)를 통해 상기 세제박스(200)로 공급된 세탁수에 의해 상기 프리세제수용부(316)의 세제가 상기 수조(140)로 이동될 수 있다. Here, the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detergent box 200 through the free passage 366 falls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210 via the pre-detergent receiving portion 316. At this time, if detergent is incorrectly introduced into the pre-detergent receiving portion 316 due to the user's carelessness, the pre-detergent is removed by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detergent box 200 through the free passage 366. The detergent in the detergent receiving portion 316 may be moved to the water tank 140.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로 낙하된 세탁수는 상기 세탁수안내부(500)에 의해 상기 가로구획부(272)의 전방에 복수의 세탁수 이동경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관통부(247)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상기 가로구획부(272)의 전방에 잔류된 세제는 상기 복수의 세탁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세탁수에 의해 씻겨져 제거됨으로써,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의 전방 영역의 세제 잔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Washing water that falls into the housing 210 moves to the penetrating part 247 by forming a plurality of washing water movement paths in front of the horizontal partition 272 by the washing water guide part 500. do. Accordingly, the detergent remaining in the front of the horizontal section 272 is washed away by the washing water moving along the plurality of washing water movement paths, thereby generating detergent residue in the front area inside the housing 210. This can be suppressed.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타이머(710)에 의해 상기 프리밸브(370)의 개방시간(Tfoi)을 카운트하고, 상기 프리밸브(370)의 개방시간(Tfoi)이 설정시간(Tfs)에 도달하면(S420), 상기 프리밸브(370)가 차단되게 제어한다(S430).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프리밸브(370)가 차단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대기하도록 한다(S440). 상기 제어부(700)상기 타이머(710)를 통해 대기시간을 카운트하고, 대기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메인밸브(369)가 개방되도록 하여(S510) 상기 제2메인연속공급과정이 수행되도록 한다(S500).The control unit 700 counts the opening time (Tfoi) of the free valve 370 by the timer 710, and when the opening time (Tfoi) of the free valve 370 reaches the set time (Tfs), (S420), the free valve 370 is controlled to be blocked (S430). When the free valve 370 is blocked, the control unit 700 waits for a preset time (S440). The control unit 700 counts the waiting time through the timer 710, and when the waiting time reaches a preset time, the control unit 700 opens the main valve 369 (S510) to open the second The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is performed (S500).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수위감지부(750)를 통해 상기 수조(140)의 내부의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고, 상기 수조(140)의 내부의 감지수위(Lwi)가 설정수위(Lws)에 도달하면(S520),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메인밸브(369)가 차단되게 제어한다(S530). The control unit 700 detects the water level of the washing water inside the water tank 140 through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750, and the detected water level (Lwi) inside the water tank 140 is set to the set water level (Lws). When it reaches (S520), the control unit 700 controls the main valve 369 to be blocked (S530).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메인밸브(369) 및 프리밸브(370)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700)는, 메인간헐공급과정, 제1메인연속공급과정, 프리연속공급과정 및 제2메인연속공급과정을 구비하여 구성된다.FIG. 1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main valve 369 and the free valve 370 of a laundry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8, the control unit 700 of the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ain intermittent supply process, a first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a free continuous supply process, and a second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상기 메인간헐공급과정은, 상기 제1메인연속공급과정 전에 상기 메인밸브(369)를 간헐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메인유로(365)의 세탁수를 상기 세제박스(200)에 간헐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구성된다. The main intermittent supply process is configured to intermittently supply wash water from the main flow path 365 to the detergent box 200 by intermittently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valve 369 before the first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

여기서, 상기 메인밸브(369)를 간헐적으로 개폐한다 함은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간격을 두고 상기 메인밸브(369)를 개방 및 차단하는 동작을 미리 설정된 회수로 반복하는 것을 의미한다. Here, intermittently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valve 369 means repeating the operation of opening and blocking the main valve 369 a preset number of times at relatively short time intervals.

상기 세제박스(200)의 내부에 세탁수를 간헐적으로 공급하면 상기 세제박스(200)의 상기 메인세제수용부(314)에 공급된 세제(분말세제) 중 뭉친 세제가 세탁수에 의해 쪼개져 작은 알갱이 또는 본래의 분말 형태로 된다. When washing water is intermittently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detergent box 200, the detergent (powder detergent) supplied to the main detergent receiving part 314 of the detergent box 200 is broken into small particles by the washing water. Or in its original powder form.

이에 의해, 세탁수에 의한 세제의 이동이 용이하게 됨으로써, 세제박스(200) 내부의 세제 잔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movement of detergent with washing water becomes easier, thereb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detergent residue inside the detergent box 200.

여기서, 상기 세제박스(200)의 내부 상기 메인세제수용부(314)의 내부에 분말세제가 뭉처져 상대적으로 큰 덩어리의 형태로 존재하게 되면 세탁수를 따라 이동하지 못하고, 세탁수의 이동경로에서 밀려난 영역에 존재하게 된다. 상기 세탁수의 이동경로에서 밀려난 세제 덩어리는 세탁수와 접촉되어 딱딱하게 응고되고, 응고된 세제는 세탁수 및 세제의 흐름을 방해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상기 메인간헐공급과정 및/또는 후술할 프리간헐공급과정을 통해 해결된다. Here, if the powdered detergent agglomerates and exists in the form of a relatively large lump inside the main detergent receiving portion 314 of the detergent box 200, it cannot move along the washing water and does not move along the washing water movement path. It exists in an area that has been pushed out. The detergent clumps pushed out of the washing water movement path come into contact with the washing water and solidify, and the solidified detergent blocks the flow of washing water and detergent. This problem is solved through the main intermittent supply process and/or the pre-intermittent supply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세제박스(200)의 내부에 세탁수를 간헐적으로 공급하면 상대적으로 작은 양의 세탁수가 먼저 상기 메인세제수용부(314)의 내부의 세제(메인세제)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세탁수와 접촉된 세제는 물과 결합되어 상대적으로 비중이 증가하므로 세탁수의 분사 시 비산 및/또는 부유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여기서, 세탁수의 분사 시 비산 및/또는 부유된 세제는 상기 세제박스(200)의 내면 중 상대적으로 세탁수의 접근이 곤란한 영역에 부착되어 상기 세제박스(200)의 내부에 잔류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washing water is intermittently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detergent box 200,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washing water firs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etergent (main detergent) inside the main detergent receiving portion 314. Since the detergent in contact with the washing water combines with water and relatively increases in specific gravity, scattering and/or floating when spraying the washing water can be suppressed. Here, detergent scattered and/or suspended when washing water is sprayed adheres to area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etergent box 200 that are relatively difficult to access with washing water and remains inside the detergent box 200.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메인간헐공급과정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메인밸브(369)를 메인간헐개방시간 동안 개방하고, 메인간헐차단시간 동안 차단하는 과정을 미리 설정된 메인간헐개폐회수로 반복하게 구성된다.In the step of performing the main intermittent supply process, the control unit 700 repeats the process of opening the main valve 369 during the main intermittent opening time and blocking it during the main intermittent blocking time at a preset main intermittent opening and closing frequency. It is composed.

상기 메인간헐개방시간은 0.15 내지 0.25 초로 설정될 수 있다.The main intermittent opening time can be set to 0.15 to 0.25 seconds.

상기 메인간헐개방시간은 0.2초가 바람직할 수 있다.The main intermittent opening time may be preferably 0.2 seconds.

상기 메인간헐차단시간은 3.6 내지 6초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The main intermittent blocking time can be set in the range of 3.6 to 6 seconds.

상기 메인간헐차단시간은 4.8초가 바람직할 수 있다. The main intermittent blocking time may be preferably 4.8 seconds.

상기 메인간헐개폐회수는 6회가 바람직할 수 있다. The main intermittent opening/closing frequency may be preferably 6 times.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메인세탁 시, 상기 메인간헐공급과정이 수행되게 상기 메인밸브(369)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상기 메인세제수용부(314)의 내부의 메인세제 중 뭉친 세제가 작은 알갱이로 쪼개져 세탁수와 함께 용이하게 이동되어 상기 세제박스(200)의 내부의 세제 잔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상기 메인세제수용부(314)의 내부의 메인세제는 상대적으로 작은 양의 세탁수와 먼저 접촉되어 세탁수와 결합되어 비산 및/또는 부유가 억제되는 과정을 미리 설정된 회수로 반복함으로써, 비산 또는 부유에 기인한 상기 세제박스(200)의 내부의 세제 잔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With this configuration, the control unit 700 controls the main valve 369 to perform the main intermittent supply process during the main washing. As a result, the clumped detergent among the main detergents inside the main detergent receiving portion 314 is broken into small particles and easily moved with the washing water, thereby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detergent residue inside the detergent box 200. In addition, the main detergent inside the main detergent receiving portion 314 first comes into contact with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washing water, combines with the washing water, and repeats the process of suppressing scattering and/or floating a preset number of times, thereby preventing scattering. Alternatively, detergent residue inside the detergent box 200 due to floating can be suppressed.

도 19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급수제어방법의 메인간헐공급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급수제어방법의 메인간헐공급과정 이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의 급수제어방법은, 메인간헐공급과정을 수행하는 단계(S200), 제1메인연속공급과정을 수행하는 단계(S300), 프리연속공급과정을 수행하는 단계(S400) 및 제2메인연속공급과정을 수행하는 단계(S500);를 구비한다. Figure 19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main intermittent supply process of the water supply control method for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9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main water supply control method for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rawing to explain what happens after the intermittent supply process. As shown in FIGS. 19A and 19B, the water supply control method of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step of performing the main intermittent supply process (S200), a step of performing the first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S300), and a step of performing the first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S300). A step of performing a continuous supply process (S400) and a step of performing a second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S500).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메인간헐공급과정을 수행하는 단계(S200)에서, 먼저 상기 메인유로(365)를 통해 상기 세제박스(200)로 세탁수가 공급되게 상기 메인밸브(369)를 개방되게 제어한다(S210). In performing the main intermittent supply process (S200), the control unit 700 first opens the main valve 369 to supply washing water to the detergent box 200 through the main passage 365. Control (S210).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타이머(710)를 통해 상기 메인밸브(369)의 간헐개방시간(Tmioi)을 카운트하고, 상기 간헐개방시간(Tmioi)이 간헐개방설정시간(Tmios)에 도달하면(S220),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메인밸브(369)를 차단한다(S230). The control unit 700 counts the intermittent opening time (Tmioi) of the main valve 369 through the timer 710, and when the intermittent opening time (Tmioi) reaches the intermittent opening setting time (Tmios) ( S220), the control unit 700 blocks the main valve 369 (S230).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타이머(710)를 통해 상기 메인밸브(369)의 간헐차단시간(Tmici)을 카운트하여 상기 간헐차단시간(Tmici)이 간헐차단설정시간(Tmics)에 도달하면(S240),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메인밸브(369)의 간헐개폐회수(간헐차단회수)(Nmi)를 카운트한다(S250). The control unit 700 counts the intermittent blocking time (Tmici) of the main valve 369 through the timer 710, and when the intermittent blocking time (Tmici) reaches the intermittent blocking setting time (Tmics) (S240) , the control unit 700 counts the number of intermittent openings and closings (number of intermittent blocking times) (Nmi) of the main valve 369 (S250).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간헐개폐회수(Nmi)가 간헐개폐설정회수(Nms)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과정들을 반복한다(S260).The control unit 700 repeats the above processes until the intermittent switching frequency (Nmi) reaches the intermittent switching frequency (Nms) (S260).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메인간헐공급과정을 수행하는 단계(S200)에서, 상기 메인밸브(369)를 0.3초 개방하고, 4.7 동안 차단한다. In performing the main intermittent supply process (S200), the control unit 700 opens the main valve 369 for 0.3 seconds and closes it for 4.7 seconds.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밸브(369)가 개방되면 0.3초 동안 상기 메인유로(365)가 개방되고, 세탁수가 상기 메인세제수용부(314)로 공급된다. 상기 메인세제수용부(314)로 공급된 세탁수는 상기 메인세제수용부(314)의 세제와 접촉되고, 이때 뭉친 세제는 분사되는 세탁수에 의해 작은 알갱이로 쪼개져 세탁수와 함께 이동이 용이한 상태로 된다. 또한 세탁수와 접촉된 세제는 세탁수와 결합되어 비중이 증가하게 되므로 비산 및/또는 부유가 억제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세제박스(200)의 내부의 세제 잔류 발생이 억제된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main valve 369 is opened, the main passage 365 is opened for 0.3 seconds, and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main detergent receiving portion 314. The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main detergent receiving part 314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etergent of the main detergent receiving part 314, and at this time, the clumped detergent is broken into small particles by the sprayed washing water and can be easily moved along with the washing water. It becomes a state. In addition, the detergent in contact with the washing water combines with the washing water and increases in specific gravity, so that scattering and/or floating can be suppressed. As a result, the occurrence of detergent residue inside the detergent box 200 is suppressed.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간헐개폐회수가 상기 간헐개폐설정회수에 도달하면(S260), 전술한 상기 제1메인연속공급과정을 수행하는 단계(S300), 상기 프리연속공급과정을 수행하는 단계(S400) 및 상기 제2메인연속공급과정을 수행하는 단계(S500)를 수행하도록 상기 메인밸브(369) 및 프리밸브(370)를 각각 제어한다. When the intermittent opening/closing frequency reaches the intermittent opening/closing set frequency (S260), the control unit 700 performs the above-described first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S300), and performs the free continuous supply process (S300). The main valve 369 and the free valve 370 are controlled to perform steps S400) and performing the second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S500).

이에 의해, 상기 세제박스(200)의 내부의 세제 잔류 발생이 억제된다. As a result, the occurrence of detergent residue inside the detergent box 200 is suppressed.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메인밸브(369) 및 프리밸브(370)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700)는, 프리간헐공급과정, 메인간헐공급과정, 제1메인연속공급과정, 프리연속공급과정 및 제2메인연속공급과정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Figure 2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main valve 369 and the free valve 370 of a laundry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700 of the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is comprised of a pre-intermittent supply process, a main intermittent supply process, a first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a free continuous supply process, and a second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상기 프리간헐공급과정은, 상기 메인간헐공급과정 전에 상기 프리밸브(370)를 간헐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프리유로(366)의 세탁수를 상기 세제박스(200)에 간헐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구성된다. The pre-intermittent supply process is configured to intermittently supply wash water from the free passage 366 to the detergent box 200 by intermittently opening and closing the free valve 370 before the main intermittent supply process.

여기서, 상기 프리밸브(370)를 간헐적으로 개폐한다 함은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간격을 두고 상기 프리밸브(370)를 개방 및 차단하는 동작을 미리 설정된 회수로 반복하는 것을 의미한다. Here, intermittently opening and closing the free valve 370 means repeating the operation of opening and blocking the free valve 370 a preset number of times at relatively short time intervals.

상기 세제박스(200)의 내부에 세탁수를 간헐적으로 공급하면 상기 세제박스(200)의 내부 상기 프리세제수용부(316)에 공급된 세제(분말세제) 중 뭉친 세제가 세탁수에 의해 쪼개져 작은 알갱이 또는 본래의 분말 형태로 된다. When washing water is intermittently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detergent box 200, the clumped detergent (powder detergent) supplied to the pre-detergent receiving part 316 inside the detergent box 200 is broken down into small pieces by the washing water. It comes in the form of granules or original powder.

이에 의해, 세탁수에 의한 세제의 이동이 용이하게 됨으로써, 세제박스(200) 내부의 세제 잔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movement of detergent with washing water becomes easier, thereb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detergent residue inside the detergent box 200.

또한, 상기 세제박스(200)의 내부에 세탁수를 간헐적으로 공급하면 상대적으로 작은 양의 세탁수가 먼저 상기 프리세제수용부(316)의 내부의 세제(프리세제)와 접촉하여 상기 세제는 비산 및/또는 부유가 억제되어, 상기 세제박스(200)의 내부의 세제 잔류 발생이 억제된다. In addition, when washing water is intermittently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detergent box 200,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washing water firs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etergent (pre-detergent) inside the pre-detergent receiving portion 316, causing the detergent to scatter and /Or floating is suppressed, and the generation of detergent residue inside the detergent box 200 is suppressed.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프리간헐공급과정을 수행시, 상기 프리밸브(370)를 프리간헐개방시간 동안 개방하고, 프리간헐차단시간 동안 차단하는 과정을 미리 설정된 프리간헐개폐회수로 반복하게 구성된다.When performing the pre-intermittent supply process, the control unit 700 is configured to repeat the process of opening the free valve 370 during the pre-intermittent opening time and blocking it during the pre-intermittent blocking time at a preset number of pre-intermittent opening and closing times. .

상기 프리간헐개방시간은 0.25 내지 0.35 초로 설정될 수 있다.The pre-intermittent opening time can be set to 0.25 to 0.35 seconds.

상기 프리간헐개방시간은 0.3초가 바람직할 수 있다.The pre-intermittent opening time may preferably be 0.3 seconds.

상기 프리간헐차단시간은 3.92 내지 5.48초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The pre-intermittent blocking time can be set in the range of 3.92 to 5.48 seconds.

상기 메인간헐차단시간은 4.7초가 바람직할 수 있다. The main intermittent blocking time may be preferably 4.7 seconds.

상기 메인간헐개폐회수는 4회가 바람직할 수 있다.The main intermittent opening/closing frequency may be preferably 4 times.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메인세탁 시, 상기 프리간헐공급과정이 수행되게 상기 프리밸브(370)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상기 프리세제수납부의 내부의 프리세제 중 뭉친 세제가 작은 알갱이로 쪼개져 세탁수와 함께 용이하게 이동되어 상기 세제박스(200)의 내부의 세제 잔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상기 프리세제수용부(316)의 내부의 프리세제는 상대적으로 작은 양의 세탁수와 먼저 접촉되는 과정을 미리 설정된 회수를 반복함으로써, 비산 및/또는 부유가 억제될 수 있어 상기 세제박스(200)의 내부의 세제 잔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With this configuration, the control unit 700 controls the free valve 370 to perform the pre-intermittent supply process during the main washing. As a result, detergent clumped among the pre-detergent inside the pre-detergent storage unit is broken into small particles and easily moved with the washing water, thereby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detergent residue inside the detergent box 200. In addition, the pre-detergent inside the pre-detergent receiving portion 316 can be suppressed from scattering and/or floating by repeating the process of first contacting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washing water a preset number of times, so that the detergent box ( 200), the occurrence of detergent residue inside can be suppressed.

도 21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급수제어방법 중 프리간헐공급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급수제어방법 중 프리간헐공급과정 이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A 및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의 급수제어방법은, 프리간헐공급과정을 수행하는 단계(S100), 메인간헐공급과정을 수행하는 단계(S200), 제1메인연속공급과정을 수행하는 단계(S300), 프리연속공급과정을 수행하는 단계(S400) 및 제2메인연속공급과정을 수행하는 단계(S500);를 구비한다.Figure 21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e-intermittent supply process among the water supply control method of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1B is a water supply control method of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rawing to explain the process after the pre-intermittent supply process. As shown in Figures 21A and 21B, the water supply control method of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step of performing a pre-intermittent supply process (S100), a step of performing a main intermittent supply process (S200), and a first main A step of performing a continuous supply process (S300), a step of performing a pre-continuous supply process (S400), and a step of performing a second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S500).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프리간헐공급과정을 수행하는 단계(S100)에서, 먼저 상기 프리유로(366)를 통해 세제박스(200)에 세탁수가 공급되게 상기 프리밸브(370)를 개방한다(S110). 상기 타이머(710)를 통해 상기 프리밸브(370)의 간헐개방시간(Tfioi)을 카운트하여 상기 간헐개방시간(Tfioi)이 간헐개방설정시간(Tfios)에 도달하면(S120),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프리밸브(370)를 차단한다(S130).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타이머(710)를 통해 상기 메인밸브(369)의 간헐차단시간(Tfici)을 카운트하여 상기 간헐차단시간(Tfici)이 간헐차단설정시간(Tfics)에 도달하면(S140),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메인밸브(369)의 간헐개폐회수(간헐차단회수)(Nfi)를 카운트한다(S150). In the step of performing the pre-intermittent supply process (S100), the control unit 700 first opens the free valve 370 to supply washing water to the detergent box 200 through the free passage 366 ( S110). The intermittent opening time (Tfioi) of the free valve 370 is counted through the timer 710, and when the intermittent opening time (Tfioi) reaches the intermittent opening setting time (Tfios) (S120), the control unit 700 blocks the free valve 370 (S130). The control unit 700 counts the intermittent blocking time (Tfici) of the main valve 369 through the timer 710, and when the intermittent blocking time (Tfici) reaches the intermittent blocking setting time (Tfics) (S140) , the control unit 700 counts the number of intermittent openings and closings (number of intermittent blocking times) (Nfi) of the main valve 369 (S150).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간헐개폐회수(Nfi)가 간헐개폐설정회수(Nfs)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과정을 반복하면서 상기 프리간헐공급과정이 수행되도록 한다(S160).The control unit 700 repeats the process until the intermittent switching frequency (Nfi) reaches the intermittent switching setting frequency (Nfs) and performs the pre-intermittent supply process (S160).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프리간헐공급과정을 수행하는 단계(S100)에서, 상기 프리밸브(370)를 0.2초 개방하고, 4.8초 동안 차단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프리밸브(370)를 0.2초 개방하고 4.8초 차단하는 과정을 6회 반복한다. In performing the pre-intermittent supply process (S100), the control unit 700 opens the free valve 370 for 0.2 seconds and closes it for 4.8 seconds. The control unit 700 repeats the process of opening the free valve 370 for 0.2 seconds and blocking it for 4.8 seconds six times.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리밸브(370)가 개방되면 상기 프리유로(366)가 0.2초 동안 개방되고, 상기 프리세제수용부(316)로 공급된 상대적으로 작은 양의 세탁수는 상기 프리세제수용부(316)의 세제와 접촉된다. 이때 상기 프리세제 중 뭉친 세제는 분사되는 세탁수에 의해 작은 알갱이로 쪼개져 세탁수와 함께 이동이 용이한 상태로 된다. 또한 상기 세탁수와 접촉된 프리세제는 세탁수와 결합되어 비중이 증가하게 되므로 비산 및/또는 부유가 억제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세제박스(200)의 내부의 세제 잔류 발생이 억제된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free valve 370 is opened, the free passage 366 is opened for 0.2 seconds, and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pre-detergent receiving part 316 is stored in the pre-detergent receiving part 316.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etergent of (316). At this time, the clumped detergent among the pre-detergents is broken into small particles by the sprayed washing water and can be easily moved along with the washing water. In addition, the pre-detergent in contact with the washing water combines with the washing water and increases in specific gravity, so that scattering and/or floating can be suppressed. As a result, the occurrence of detergent residue inside the detergent box 200 is suppressed.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간헐개폐회수(Nfi)가 상기 간헐개폐설정회수(Nfs)에 도달하면(S160), 전술한 상기 메인간헐공급과정을 수행하는 단계(S200)가 수행되도록 상기 메인밸브(369)를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main valve ( 369).

상기 메인간헐공급과정이 수행되면 상기 메인유로(365)를 경유한 세탁수가 상기 메인세제수용부(314)로 유입되어 메인세제 중 뭉친 세제는 작은 알갱이로 쪼개어 상기 세탁수에 의해 이동이 용이한 상태가 되고, 상대적으로 작은 양의 세탁수를 미리 설정된 회수(4회) 공급하는 과정을 통하여, 메인세제의 비산 및/또는 부유를 억제하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세제박스(200)의 내부 세제 잔류 발생이 억제된다. When the main intermittent supply process is performed, the wash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main flow path 365 flows into the main detergent receiving part 314, and the detergent that has clumped in the main detergent is broken into small granules and can be easily moved by the washing water. , and the scattering and/or floating of the main detergent is suppressed through the process of supplying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washing water a preset number of times (4 times). As a result, the occurrence of detergent residue inside the detergent box 200 is suppressed.

상기 메인간헐공급과정을 수행하는 단계(S200)가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메인밸브(369)를 제어하여 상기 제1메인연속공급과정을 수행하는 단계(S300)가 수행되도록 한다.When the step (S200) of performing the main intermittent supply process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700 controls the main valve 369 to perform the step (S300) of performing the first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상기 메인간헐공급과정을 이미 수행하면서 세제는 작은 알갱이로 쪼개져 이동이 용이한 상태로 되고, 메인간헐개방시간 동안 공급된 작은량의 세탁수를 상기 메인간헐개폐회수만큼 공급하는 과정을 통해 메인세제가 세탁수와 접촉 및 결합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1메인연속공급과정에서는 상기 세제박스(200)의 내부의 세제 잔류 발생이 억제되고 상기 메인세제의 공급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As the main intermittent supply process is already performed, the detergent is broken into small particles to make it easy to move, and the main detergent is supplied through the process of supplying a small amount of washing water supplied during the main intermittent opening time as many times as the main intermittent opening and closing time. Since it is in contact with and combined with washing water, the generation of detergent residue inside the detergent box 200 can be suppressed and the main detergent can be supplied smoothly during the first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상기 제1메인연속공급과정(S300)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프리밸브(370)를 제어하여 상기 프리연속공급과정이 수행되도록 한다(S400). 상기 프리연속공급과정에서는 상기 제1메인연속공급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 상기 가로구획부(272)의 전방영역의 잔류 세제가 상기 세탁수안내부(500)에 의해 안내되어 복수의 세탁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세탁수에 의해 씻겨져 제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세제박스(200)의 내부 전방영역의 세제 잔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S300)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700 controls the free valve 370 to perform the free continuous supply process (S400). In the pre-continuous supply process, residual detergent in the front area of the horizontal partition 272 inside the housing 210, which may be generated in the first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is guided by the wash water guide unit 500. It can be washed and removed by washing water moving along a plurality of washing water movement paths. As a result, the occurrence of detergent residue in the inner front area of the detergent box 200 can be suppressed.

상기 프리연속공급과정을 수행하는 단계(S400)가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메인밸브(369)를 개방하여 상기 제2메인연속공급과정을 수행하는 단계(S500)가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2메인연속공급과정에서 상기 수위감지부(750)를 통해 상기 수조(140)의 내부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수조(140)의 내부 세탁수의 수위(Lwi)가 설정수위(Lws)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메인밸브(369)를 개방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세탁수의 수위(Lwi)가 설정수위(Lws)에 도달하면 상기 메인유로(365)가 차단되게 상기 메인밸브(369)를 제어한다. When the step (S400) of performing the pre-continuous supply process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700 opens the main valve 369 to perform the step (S500) of performing the second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The control unit 700 detects the water level of the washing water inside the water tank 140 through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750 during the second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and detects the water level (Lwi) of the internal washing water in the water tank 140. ) opens the main valve 369 until it reaches the set water level (Lws). The control unit 700 controls the main valve 369 to block the main flow path 365 when the water level (Lwi) of the washing water reaches the set water level (Lws).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Howev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its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conten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even if the embodiments are not individually lis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described above, they should be interpreted broadly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defined in the appended patent claims. In addition,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included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abov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all be encompassed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22)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조;
상기 수조에 연결되고 상기 수조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박스;
상기 세제박스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공급하는 메인유로;
상기 메인유로에 구비되는 메인밸브;
상기 세제박스에 연결되고 세탁수를 공급하는 프리유로;
상기 프리유로에 구비되는 프리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박스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고 복수의 세제수용공간을 구비한 드로어; 및
상기 드로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유로 및 상기 프리유로에 연결되는 분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조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관통부;
상기 관통부의 내부공간을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관통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로구획부; 및
상기 가로구획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세탁수를 상기 관통부의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안내하도록 복수의 세탁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세탁수안내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cabinet;
a water tank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 detergent box connected to the water tank and supplying detergent to the water tank;
A main flow path connected to the detergent box to supply washing water;
A main valve provided in the main flow path;
Free Euro connected to the detergent box and supplying washing water;
Including a free valve provided in the free passage,
The detergent box is,
housing;
a drawer stored inside the housing and having a plurality of detergent receiving spaces; and
It includes a distribution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rawer and connected to the main flow path and the free flow path,
The housing is,
A penetrating part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water tank;
a horizontal partition formed to protrude from the penetration part to divide the internal space of the penetration part into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and
A laundry treatment device comprising a wash water guid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section and forming a plurality of wash water movement paths to guide the wash water to first and second areas of the penetration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밸브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하여 세탁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1메인연속공급과정, 상기 프리밸브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하여 세탁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프리연속공급과정 및 상기 메인밸브를 개방하여 세탁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2메인연속공급과정을 구비하고, 세탁수가 상기 제1메인연속공급과정, 상기 프리연속공급과정 및 제2메인연속공급과정을 통해 상기 세제박스로 공급될 수 있게 상기 메인밸브 및 상기 프리밸브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메인연속공급과정 전에 상기 메인밸브를 간헐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메인유로의 세탁수를 상기 세제박스에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메인간헐공급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first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of continuously supplying wash water by opening the main valve for a preset time, a free continuous supply process of continuously supplying wash water by opening the free valve for a preset time, and the main valve. It is provided with a second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that opens and continuously supplies wash water, and wash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detergent box through the first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the pre-continuous supply process, and the second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main valve and the free valve, respectively,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herein the control unit intermittently opens and closes the main valve before the first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to intermittently supply wash water from the main flow path to the detergent box.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간헐공급과정에서 상기 메인밸브가 메인간헐개방시간 동안 개방되고, 메인간헐차단시간 동안 차단되는 과정을 미리 설정된 메인간헐개폐회수로 반복되게 상기 메인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rols the main valve so that the process of opening the main valve during the main intermittent opening time and blocking during the main intermittent blocking time is repeated at a preset main intermittent opening and closing frequency in the main intermittent supply process. Clothing processing equipmen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간헐개방시간은 0.15 내지 0.25 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3,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intermittent opening time is 0.15 to 0.25 second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간헐차단시간은 3.6 내지 6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3,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intermittent blocking time is 3.6 to 6 second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간헐공급과정 전에 상기 프리밸브를 간헐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프리유로의 세탁수를 상기 세제박스에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프리간헐공급과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3,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pre-intermittent supply process in which the control unit intermittently supplies wash water from the free flow path to the detergent box by intermittently opening and closing the free valve before the main intermittent supply proces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리간헐공급과정에서 상기 프리밸브를 프리간헐개방시간 동안 개방되고, 프리간헐차단시간 동안 차단되는 과정을 미리 설정된 프리간헐개폐회수로 반복되게 상기 프리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6,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rols the free valve so that the process of opening the free valve during the pre-intermittent opening time and blocking during the free intermittent blocking time is repeated at a preset pre-intermittent opening and closing number in the pre-intermittent supply process. Clothing processing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간헐개방시간은 0.25 내지 0.35 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In clause 7,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intermittent opening time is 0.25 to 0.35 second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간헐차단시간은 3.92 내지 5.48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In clause 7,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intermittent blocking time is 3.92 to 5.48 second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밸브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하여 세탁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1메인연속공급과정, 상기 프리밸브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하여 세탁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프리연속공급과정 및 상기 메인밸브를 개방하여 세탁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2메인연속공급과정을 구비하고, 세탁수가 상기 제1메인연속공급과정, 상기 프리연속공급과정 및 제2메인연속공급과정을 통해 상기 세제박스로 공급될 수 있게 상기 메인밸브 및 상기 프리밸브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메인연속공급과정에서 상기 메인밸브의 개방시간은 10초 이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first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of continuously supplying wash water by opening the main valve for a preset time, a free continuous supply process of continuously supplying wash water by opening the free valve for a preset time, and the main valve. It is provided with a second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that opens and continuously supplies wash water, and wash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detergent box through the first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the pre-continuous supply process, and the second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main valve and the free valve, respectively,
Clothing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first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the opening time of the main valve is set to 10 seconds or less.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박스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고 복수의 세제수용공간을 구비한 드로어 및 상기 드로어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유로 및 상기 프리유로에 연결되는 분배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관통부의 전후방향에 가로로 배치되는 상기 가로구획부 및 상기 가로구획부의 일 측에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프리유로를 경유하여 공급된 세탁수를 상기 가로구획부의 전방에 복수의 세탁수이동경로를 따라 이동되게 안내하는 상기 세탁수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The detergent box includes a drawer stored inside the housing and having a plurality of detergent accommodating spaces, and a distribution unit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drawer and connected to the main flow path and the free flow path,
In the housing, the horizontal section is disposed horizontally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of the penetrating portion, and the horizontal section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horizontal section and is disposed along the front-to-back direction of the housing, and the washing water supplied via the free passage is distributed to the horizontal sectio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the wash water guide section in front of the compartment, which guides the wash water to move along a plurality of wash water movement paths.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조;
상기 수조에 연결되고 상기 수조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박스;
상기 세제박스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공급하는 메인유로;
상기 메인유로에 구비되는 메인밸브;
상기 세제박스에 연결되고 세탁수를 공급하는 프리유로;
상기 프리유로에 구비되는 프리밸브; 및
상기 메인밸브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하여 세탁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1메인연속공급과정, 상기 프리밸브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하여 세탁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프리연속공급과정 및 상기 메인밸브를 개방하여 세탁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2메인연속공급과정을 구비하고, 세탁수가 상기 제1메인연속공급과정, 상기 프리연속공급과정 및 제2메인연속공급과정을 통해 상기 세제박스로 공급될 수 있게 상기 메인밸브 및 상기 프리밸브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박스는, 상기 수조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고 복수의 세제수용공간을 구비한 드로어 및 상기 드로어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유로 및 상기 프리유로에 연결되는 분배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수조와 연통되는 관통부, 상기 관통부의 상측에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후방향에 가로로 배치되는 가로구획부 및 상기 가로구획부의 일 측에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프리유로를 경유하여 공급된 세탁수를 상기 가로구획부의 전방에 복수의 세탁수이동경로를 따라 이동되게 안내하는 세탁수안내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리연속공급과정에서 상기 프리밸브의 개방시간은 상기 드로어를 경유한 세탁수가 상기 세탁수안내부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관통부에 도달하는 시간에 대응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cabinet;
a water tank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 detergent box connected to the water tank and supplying detergent to the water tank;
A main flow path connected to the detergent box to supply washing water;
A main valve provided in the main flow path;
Free Euro connected to the detergent box and supplying washing water;
A free valve provided in the free passage; and
A first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of continuously supplying wash water by opening the main valve for a preset time, a free continuous supply process of continuously supplying wash water by opening the free valve for a preset time, and the main valve. It is provided with a second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that opens and continuously supplies wash water, and wash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detergent box through the first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the pre-continuous supply process, and the second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each of the main valve and the free valve,
The detergent box includes a housing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water tank, a drawer stored inside the housing and having a plurality of detergent receiving spaces, and a distribution unit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drawer and connected to the main flow path and the free flow path. Equipped with
The housing includes a penetrating portion that communicates with the water tank, a horizontal partition portion that protrudes on an upper side of the penetrating portion and is disposed horizontally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housing, and a horizontal partition portion that protrudes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partition portion and is disposed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housing. and a wash water guide unit that guides the wash water supplied via the free passage along a plurality of wash water movement paths in front of the horizontal section,
In the free continuous supply process, the opening time of the free valve is set to correspond to the time when the wash water passing through the drawer is guided by the wash water guide unit and reaches the penetration part.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조; 상기 수조에 연결되고 상기 수조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박스; 상기 세제박스에 연결되어 메인세탁 시 세탁수를 공급하는 메인유로; 상기 메인유로에 구비되는 메인밸브; 상기 세제박스에 연결되고 프리세탁 시 세탁수를 공급하는 프리유로; 및 상기 프리유로에 구비되는 프리밸브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의 급수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메인밸브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하여 세탁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1메인연속공급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프리밸브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하여 세탁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프리연속공급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밸브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하여 세탁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2메인연속공급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박스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고 복수의 세제수용공간을 구비한 드로어; 및
상기 드로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유로 및 상기 프리유로에 연결되는 분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조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관통부;
상기 관통부의 내부공간을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관통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로구획부; 및
상기 가로구획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관통부의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안내하도록 복수의 세탁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세탁수 안내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급수제어방법.
cabinet; a water tank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 detergent box connected to the water tank and supplying detergent to the water tank; a main flow path connected to the detergent box to supply wash water during main washing; A main valve provided in the main flow path; Free Euro connected to the detergent box and supplying washing water during pre-washing; And a water supply control method for a clothing treatment device equipped with a free valve provided in the free passage,
performing a first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of continuously supplying wash water by opening the main valve for a preset time;
performing a free continuous supply process of continuously supplying wash water by opening the free valve for a preset time; and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a second main continuous supply process of continuously supplying wash water by opening the main valve for a preset time,
The detergent box is,
housing;
a drawer stored inside the housing and having a plurality of detergent receiving spaces; and
It includes a distribution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rawer and connected to the main flow path and the free flow path,
The housing is,
A penetrating part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water tank;
a horizontal partition formed to protrude from the penetration part to divide the internal space of the penetration part into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and
A water supply control method for 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wash water guid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section and forming a plurality of wash water movement paths to guide the water to first and second areas of the penetration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안내부는,
상기 가로구획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세로구획부; 및
상기 세탁수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세로구획부의 하류측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분배유닛을 경유하여 낙하한 세탁수의 일부를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 중 하나의 영역으로 안내하는 연장구획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washing water information section,
a vertical parti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partition and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and
It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vertical compartment based on the flow direction of the washing water, and guides a portion of the washing water that has fallen through the distribution unit to one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including an extension compartmen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세탁수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로구획부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영역은 상기 가로구획부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세로구획부는 상기 세탁수의 일부를 상기 제1영역으로 안내하고, 상기 연장구획부는 상기 세탁수의 다른 일부를 상기 제2영역으로 안내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14,
The first area is locat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horizontal section based on the flow direction of the wash water, and the second area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horizontal sectio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herein the vertical compartment guides part of the wash water to the first area, and the extension compartment guides another part of the wash water to the second are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53215A 2019-02-01 2019-05-07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water supply control method KR1026642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52444.4A EP3690115B1 (en) 2019-02-01 2020-01-17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water supply control method thereof
US16/774,103 US11293126B2 (en) 2019-02-01 2020-01-28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water supply control method thereof
AU2020200736A AU2020200736B2 (en) 2019-02-01 2020-01-31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water supply control method thereof
CN202010078123.2A CN111519400B (en) 2019-02-01 2020-02-02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water supply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085 2019-02-01
KR20190014085 2019-0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6038A KR20200096038A (en) 2020-08-11
KR102664272B1 true KR102664272B1 (en) 2024-05-10

Family

ID=72048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215A KR102664272B1 (en) 2019-02-01 2019-05-07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water supply control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427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83807A1 (en) * 2015-12-23 2017-06-29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Laundry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a Treating Agents Dispenser Having Water Supplying Apparatus
JP2018102599A (en) * 2016-12-27 2018-07-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Wash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336B1 (en) * 2005-06-30 2012-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applying method of commercial cleaning device
KR102196184B1 (en) * 2014-10-16 2020-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83807A1 (en) * 2015-12-23 2017-06-29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Laundry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a Treating Agents Dispenser Having Water Supplying Apparatus
JP2018102599A (en) * 2016-12-27 2018-07-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6038A (en) 202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2563B1 (en) Detergent box for drum washer
RU2372831C2 (en) Dishwashing machine with device for cleaning agent dissolving
US9534339B2 (en) Washing machine appliance dispensing cup with pump
US20080283091A1 (en) Method for Adding a Multi-Component Detergent Additve in a Water Leading Household Appliance
US118792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laundry
KR100830488B1 (en) device for providing detergent in washing machine
KR101577443B1 (en) Washing machine
AU2020200736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water supply control method thereof
KR102664272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water supply control method
JP6105683B2 (en) dishwasher
US20200248377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0830487B1 (en) device for providing detergent in washing machine
KR20070117914A (en) Washing method of washer
JP7012938B2 (en) Washing machine
EP3690116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2021122527A (en) Washing machine
WO2023199715A1 (en) Washing machine
WO2023199712A1 (en) Washing machine
KR102627664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959312B1 (en) Detergent supply device of laundry treatment machine
TW202346681A (en) washing machine
JP2023156065A (en) washing machine
JP2023156063A (en) washing machine
JP2004229806A (en) Dishwas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