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732B1 - 블록 코딩에 기반하여 적응적 설계가 가능한 방탈출 게임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 코딩에 기반하여 적응적 설계가 가능한 방탈출 게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732B1
KR102663732B1 KR1020220054981A KR20220054981A KR102663732B1 KR 102663732 B1 KR102663732 B1 KR 102663732B1 KR 1020220054981 A KR1020220054981 A KR 1020220054981A KR 20220054981 A KR20220054981 A KR 20220054981A KR 102663732 B1 KR102663732 B1 KR 102663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room
internet
electronic devices
block co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4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55281A (ko
Inventor
권충도
박찬원
박찬재
이수아
진창호
Original Assignee
(주)언리얼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언리얼컴퍼니 filed Critical (주)언리얼컴퍼니
Priority to KR1020220054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732B1/ko
Publication of KR20230155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5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73Games for obtaining a particular arrangement of playing pieces in a plane or sp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65Entertainment or amusement; Spo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01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 A63F2009/243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with other kinds of input
    • A63F2009/2432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with other kinds of input actuated by a sound, e.g. using a micropho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01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 A63F2009/2436Characteristics of the input
    • A63F2009/2439Characteristics of the input the input being a code, e.g. I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48Output devices
    • A63F2009/245Output devices visual
    • A63F2009/2451Output devices visual using illumination, e.g. with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48Output devices
    • A63F2009/2479Other kinds of output
    • A63F2009/2482Electromot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83Other characteristics
    • A63F2009/2488Remotely playable
    • A63F2009/2489Remotely playable by radio transmitters, e.g. using RF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방탈출 게임 시스템은 방탈출 게임을 구현하기 위한 전자 장비들, 상기 전자 장비들과 통신하기 위한 사물인터넷 노드들, 상기 방탈출 게임의 관리자에 의해 상기 전자 장비들 각각의 동작을 정의하기 위한 블록 코딩이 가능한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사물인터넷 노드들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연결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비들은 조명 장치, 자물쇠, 모터, 또는 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방탈출 게임은 복수의 스테이지들로 구성되고, 상기 관리자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상기 스테이지들 중 특정 스테이지에서 상기 전자 장비들이 수행하여야 하는 동작을 블록 코딩을 통해 정의하고, 상기 블록 코딩을 통해 생성된 코드는 상기 서버로 전달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코드를 실행시켜 생성된 명령을 상기 서버의 메모리의 일 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사물인터넷 노드들 각각은 상기 메모리의 특정 영역을 주기적으로 참조하여 상기 명령을 읽어와 수행함으로써 상기 사물인터넷 노드들 각각과 연결된 특정 전자 장비가 제어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 코딩에 기반하여 적응적 설계가 가능한 방탈출 게임 시스템{ESCAPE-ROOM GAME SYSTEM CAPABLE OF ADAPTIVE DESIGN BASED ON BLOCK CODING}
본 발명은 플레이어가 방에 구비되거나 숨겨진 각종 도구, 단서, 힌트 등을 이용해 잠금 장치를 해제하면서 방을 탈출하는 방탈출 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방탈출 게임은 제작자가 의도하여 구성된 감옥, 교실, 공장, 연구실 등의 특정 테마를 갖는 공간(방)에 게임 플레이어가 갇힌 설정 하에서, 방에 구비되고 숨겨진 각종 도구, 단서, 힌트, 퀴즈, 수수께끼 등을 이용해 잠금 부재들을 하나씩 해제해가며 정해진 시간 안에 공간을 탈출하는 게임이다.
방탈출 게임의 제작자는 퀴즈를 구성하고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조명이나 구동 장치와 같은 전자 장비를 활용하는데, 조명이나 구동 장치의 동작 제어, 정보의 입력 및 출력을 위해 전자 장비를 방탈출 게임의 전용으로 제작하여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방탈출 게임용 전자 장비는 구동 목적이나 형태에 맞게 주문 설계된 PCB 기판과 제어 규칙이 프로그래밍된 펌웨어가 탑재된 MCU를 포함하는 임베디드 장치로서 제작된다. 방탈출 게임용 전자 장비는 펌웨어가 설치되면 제어 규칙 수정이 어렵고 이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펌웨어를 새로 제작하여 임베디드 장치에 탑재하여야 한다.
또한, 방탈출 게임 테마의 제작 및 공사가 완료된 후에는 공간에 매립되거나 설치된 전자 장비에 탑재된 펌웨어 수정이 제한되는 경우가 많아 초기 테마 기획이 극도로 구체화되어야 하므로 설계 단계에서부터 많은 시간과 인력이 투입되어야 하고 피치못해 테마를 수정하여야 할 경우 펌웨어의 재수정을 위한 비용과 자원의 소모가 크다.
이러한 상황에서, 방탈출 게임을 기획하는 사람이 IT전문가가 아니면 방탈출 게임의 시나리오 및 구성 단계에서 IT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전자 장비의 펌웨어 등을 제작하여야 하므로 기획과 제작 및 실험의 단계가 반복되고 실험적인 시도가 제한될 수 있다.
또한, 관리자가 CCTV나 인터폰과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플레이어의 게임 진행 상황이나 안전을 확인할 수 있지만 플레이어가 수행 중인 게임의 구체적인 단계를 실시간으로 원격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그에 따라, 플레이어가 퀴즈를 풀지 못하는 등 게임의 정상적인 진행이 불가할 경우, 종래에는 관리자가 게임 내 공간으로 직접 진입하여 퀴즈를 해결 후 진행하는 상황이 있었으나 이는 플레이어의 게임 몰입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블록 코딩을 이용하여 방탈출 게임을 위한 전자 장비의 동작을 쉽게 정의함으로써 방탈출 게임을 새롭게 설계하거나 기존 설계를 변경할 수 있다. 방탈출 게임의 플레이어의 게임 진행 상황을 사물인터넷 기기의 상태 모니터링을 통해 관리자가 쉽게 파악하고 그에 대한 피드백을 플레이어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 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 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방탈출 게임 시스템은 방탈출 게임을 구현하기 위한 전자 장비들, 상기 전자 장비들과 통신하기 위한 사물인터넷 노드들, 상기 방탈출 게임의 관리자에 의해 상기 전자 장비들 각각의 동작을 정의하기 위한 블록 코딩이 가능한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사물인터넷 노드들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연결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비들은 조명 장치, 자물쇠, 모터, 또는 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방탈출 게임은 복수의 스테이지들로 구성되고, 상기 관리자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상기 스테이지들 중 특정 스테이지에서 상기 전자 장비들이 수행하여야 하는 동작을 블록 코딩을 통해 정의하고, 상기 블록 코딩을 통해 생성된 코드는 상기 서버로 전달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코드를 실행시켜 생성된 명령을 상기 서버의 메모리의 일 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사물인터넷 노드들 각각은 상기 메모리의 특정 영역을 주기적으로 참조하여 상기 명령을 읽어와 수행함으로써 상기 사물인터넷 노드들 각각과 연결된 특정 전자 장비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사물인터넷 노드들 각각은 복수의 입출력 포트들이 있고, 상기 전자 장비는 상기 복수의 입출력 포트들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사물인터넷 노드들은, 입출력 포트를 통해 상기 전자 장비들 중 하나에 의해 수집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사물인터넷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사물인터넷 노드들의 입출력 포트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블록 코딩은 복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나누어지고, 플레이어의 레벨, 난이도, 또는 테마에 따라 상기 복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들 중 일부가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될 수 있다.
블록 코딩을 이용하여 방탈출 게임을 위한 전자 장비의 동작을 쉽게 정의함으로써 방탈출 게임을 새롭게 설계하거나 기존 설계를 변경할 수 있다. 방탈출 게임의 플레이어의 게임 진행 상황을 사물인터넷 기기의 상태 모니터링을 통해 관리자가 쉽게 파악하고 그에 대한 피드백을 플레이어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1은 일 실시 예에 따라, 방탈출 게임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2는 일 실시 예에 따라, 방탈출 게임 시스템과 각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3은 일 실시 예에 따라, 특정 스테이지에서 전자 장비들의 동작을 정의하기 위한 블록 코드를 나타낸다.
도4는 일 실시 예에 따라, 방탈출 게임의 관리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아래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하, 통상의 기술자들)이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몇몇 실시 예가 명확하고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1은 일 실시 예에 따라, 방탈출 게임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1을 참조하면, 방탈출 게임 시스템(1000)은 방탈출 게임을 구현하기 위한 전자 장비들(D1, D2, ..., Dn), 서버(S), 사물인터넷 노드(IoT Node)들(IN1, IN2, IN N), 및 방탈출 게임의 관리자 단말기(T1, T2)를 포함할 수 있다.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은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사물 상호 간의 네트워크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문서에서 언급될 사물 인터넷(IoT)은 IoT 네트워크 시스템,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통신 시스템,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s) 통신 시스템, MOC(Machine Oriented Communication) 통신 시스템, M2M(Machine to Machine) 통신 시스템 또는 D2D(Device to Device) 통신 시스템 등의 다양한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될 IoT 네트워크 시스템은 IoT 기기, 액세스 포인트(AP), 게이트웨이, 통신망, 서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IoT 네트워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분류된 것이며, IoT 네트워크 시스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한 IoT 네트워크 시스템은 IoT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2개 이상의 구성 요소 간의 정보 교환(통신)을 위해 UDP(User Datagram Protocol),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등의 전송 프로토콜, 6LoWPAN (IPv6 Low-power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프로토콜, IPv6 인터넷 라우팅 프로토콜, 그리고 CoAP(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MQTT(message queue telemetry transport), MQTT-S(MQTT for sensors networks) 등의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다.
방탈출 게임 시스템(1000)은 방탈출 게임을 설계, 운용, 관리하는 관리자의 관리자 단말기(T1 또는 T2)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는 스마트폰, PC,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 상에서 방탈출 게임의 적응적 설계를 위한 블록 코딩을 수행할 수 있고 사물인터넷 노드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서버(S)는 관리자 단말기 및 사물인터넷 노드들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서버(S)는 중앙 서버, 멀티미디어 컴퓨터, 랩탑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그리드 컴퓨팅 리소스, 가상화 된 컴퓨터 리소스, 클라우드 컴퓨팅 리소스, 피어-투-피어 분산 컴퓨팅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서버(S)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S)는 명령으로 사물인터넷 노드들을 제어하거나 사물인터넷 노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관리하거나 수신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다른 사물인터넷 노드를 제어할 수 있다. 서버(S)는 방탈출 게임을 제공하는 공간(예로서, 방탈출 카페) 내부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노드들(IN1, IN2, ..., IN N) 각각은 서버(S)와 전자 장비들(D1, D2, ..., Dn)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사물인터넷 노드들 각각은 서버(S)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고 전자 장비들 각각과 입출력 포트를 통한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사물인터넷 노드들은 방탈출 게임을 제공하는 공간(예를 들어, 방탈출 게임 카페 내의 특정 방)에 위치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노드들 각각은 싱크 노드 또는 센서 노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싱크 노드는 기지국(base station)이라고도 불리며,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외부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하고, 각 센서 노드로 태스크(task)를 부여하고 상기 각 센서 노드에 의해 감지된 이벤트(event)를 수집할 수 있다. 센서 노드는 감각 정보 (sensory information)의 처리와 수집(gathering)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노드이고, 상기 센서 노드는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서로 접속된 노드들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노드일 수 있다.
전자 장비들(D1, D2, ..., Dn)은 방탈출 게임을 구성하는 각종 장비들로서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상태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예로서, 전자 장비들은 방탈출 게임의 특정 테마를 구현하기 위한 전구, 자물쇠, 스위치, 모터, RFID 기기(수신기), 또는 센서(예로서, PIR(Passive Infrared Sensor)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비들(D1, D2, ..., Dn)은 사물인터넷 노드를 통해 서버(S)와 쌍방향 통신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명령에 의해 전자 장비가 제어되거나, 전자 장비의 데이터가 사물인터넷 노드를 통해 서버(S)로 전달될 수 있다. 도1은 전구(D1)와 사물인터넷 노드(IN1)가 연결되고, 자물쇠(D2)와 사물인터넷 노드(IN2)가 연결되고, 모터(Dn)와 사물인터넷 노드(IN N)가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전자 장비들이 하나의 사물인터넷 노드 내의 서로 다른 입출력 포트들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사물인터넷 노드들이 하나의 전자 장비의 다양한 동작 제어를 위해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비들(D1, D2, ..., Dn)과 사물인터넷 노드들(IN1, IN2, ..., IN N)은 UART나 RS485 와 같은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먼저, 전자 장비에 의해 센싱되거나 획득된 데이터들이 전자 장비에서 서버(S) 방향으로 전송될 수 있다. 서버(S)는 전송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분석할 수 있다. 서버(S)가 제1전자 장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1전자 장비에게 응답 신호가 피드백으로 전송되거나 제2전자 장비의 동작이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서버(S)는 분석된 결과를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나 관련 사물인터넷 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T)를 통해 서버(S)가 수신한 데이터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노드들은, 입출력 포트를 통해 전자 장비들 중 하나(예로서, 마이크)에 의해 수집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서버(S)로 전송하는 사물인터넷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S)가 생성한 명령(Command)이 서버(S)에서 전자 장비 방향으로 전송될 수 있다. 명령은 특정 전자 장비의 동작에 관한 것으로서 대표적인 예로서 특정 전자 장비의 전원을 켜거나 끄기 위한 명령이나 특정 전자 장비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T)는 방탈출 게임의 관리자에 의해 상기 전자 장비들(D1, D2, ..., Dn) 각각의 동작을 정의하기 위한 블록 코딩이 가능하다. 방탈출 게임은 복수의 스테이지들로 구성되어 모든 스테이지들을 완료해야 플레이어가 탈출이 가능하고,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로 상기 스테이지들 중 특정 스테이지에서 전자 장비들이 수행하여야 하는 동작을 블록 코딩을 통해 정의할 수 있다.
방탈출 게임의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T)로 블록 코딩(Block Coding)을 수행하면 블록 코딩에 의해 생성된 블록 코드는 서버(S)로 전달되고, 서버(S)는 전달받은 블록 코드를 실행시켜 명령을 생성하고 메모리(M)에 저장할 수 있다. 예로서, 서버(S)는 블록 코딩에 의해 생성된 파이썬(Python) 코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파이썬 코드를 실행시킴으로써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서버(S)는 블록 코드를 수신하고 블록 코드를 컴파일(Compile) 또는 빌드(Build)하여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블록 코딩은 로직이 정의된 블록들을 조합하거나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프로그램을 설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도구로서, 엔트리, 스크래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가 C언어와 JAVA 와 같은 하이 레벨 언어를 모르더라도 블록 코딩을 통해 방탈출 게임을 구성하는 다양한 전자 장비들의 제어 로직을 쉽게 설계할 수 장점이 있다.
도2를 참조하면, 서버(S)의 프로세서(P)는 관리자 단말기(T)로부터 수신한 코드에 기반하여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명령을 메모리(M)의 일 영역(Addr1, Addr2, ..., Addrn 중 하나)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M)는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하고 각 영역은 특정 주소로서 특정될 수 있다. 각 영역은 하나의 사물인터넷 노드와 연결되고 사물인터넷 노드는 자신과 연결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명령을 수시로(예를 들어, 주기적으로) 읽어와 수행함으로써 명령대로 특정 전자 장비가 제어될 수 있다. 예로서, 명령은 사물인터넷 노드 'UR01870030D'의 7번 입출력 포트의 전원을 켜거나 끄는 동작에 관한 것일 수 있고 사물인터넷 노드 'UR01870030D'의 7번 입출력 포트와 연결된 특정 전자 장비의 전원이 켜지거나 꺼질 수 있다.
사물인터넷 노드는 서버(S)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C)와 전자 장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포트(I/O)를 포함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노드(IoT 노드#1)가 통신부(C)를 통해 메모리(M)의 일 영역(Addr1)에 저장된 명령을 읽으면 명령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포트(I/O)와 연결된 전자 장비(D1)가 제어될 수 있다. 또는, 사물인터넷 노드(IoT 노드#1)는 자신과 연결된 전자 장비(D1)의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포트(I/O)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통신부(C)를 통해 서버(S)로 전달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노드(IoT 노드#2)가 통신부(C)를 통해 메모리(M)의 일 영역(Addr2)에 저장된 명령을 읽으면 명령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포트(I/O)와 연결된 전자 장비(D2)가 제어될 수 있다. 또는, 사물인터넷 노드(IoT 노드#2)는 자신과 연결된 전자 장비(D2)의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포트(I/O)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통신부(C)를 통해 서버(S)로 전달할 수 있다.
도3은 일 실시 예에 따라, 특정 스테이지에서 전자 장비들의 동작을 정의하기 위한 블록 코드를 나타낸다.
방탈출 게임은 복수의 스테이지(stage)들로 구성되고 플레이어는 모든 스테이지들을 완료해야 최종적으로 방을 탈출할 수 있다. 스테이지는 게임 진행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전체 게임을 복수의 스테이지로 나눌 수 있다. 방탈출 게임 공간이 여러 개의 단위 공간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단위 공간에 있는 모든 잠금 부재를 해제하면 다른 단위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고, 다시 다른 단위 공간의 잠금 부재를 해제함으로써 방탈출이 진행되는 경우에는 스테이지는 각 단위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스테이지는 하나의 공간 내에 마련된 각 퀴즈나 수수께끼를 의미할 수도 있다. 또는, 스테이지는 전체 플레잉 시간을 복수의 시간 구간들로 나누었을 때 각 시간 구간을 의미할 수도 있다.
도3의 블록 코드는 스테이지 155에서의 전자 장비들의 동작을 정의하는 것이다.
블록 코드 중 제1부분(A)를 참조하면, 스테이지 155에서 특정 전구의 전원이 꺼지도록 정의된다. 특정 전구는 사물인터넷 노드 'UR01870030D'의 입출력 포트 7번과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메모리(M)의 제1영역(addr1)은 'UR01870030D'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이 저장되는 영역이고, 제1영역(addr1)에 저장된 명령이 'UR01870030D'의 입출력 포트 7번의 전원을 끄라는 것이면 사물인터넷 노드 'UR01870030D'와 7번 입출력 포트를 통해 연결된 특정 전구의 전원이 꺼진다.
블록 코드(3000) 중 제2부분(B)를 참조하면, 스테이지 155에서 마이크 장치를 통해 플레이어가 내는 사운드 신호를 수집하도록 정의된다. 특정 마이크 장치가 사물인터넷 노드 'UR01870030D'와 연결된다. 특정 마이크 장치를 통해 수집되는 신호의 크기가 기준 값 이상이면 서버(S) 상에서 관리되는 'read'라는 변수의 카운트를 증가시킬 수 있다. 메모리(M)의 제2영역(addr2)은 'UR01870030D'에 의해 수집되는 신호 크기를 관리하는 변수 'read'를 관리하기 위한 영역이다. 서버(S)는 사물인터넷 노드 'UR01870030D'의 입출력 포트를 통해 연결된 특정 마이크장치에 의해 수집되는 사운드 신호의 크기가 기준 값 이상일 때 카운트가 증가되는 변수 'read'를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변수 'read'는 플레이어가 큰 소리를 냈을 때 증가할 수 있다(예를 들어, 방의 산타 할아버지 인형이 나타나 대답을 크게 하라고 지시하는 연출 하에서)
블록 코드(3000) 중 제3부분(C)을 참조하면, 플레이어가 큰 소리를 지속적으로 냈을 때 발생되는 연출이 정의될 수 있다. 변수 'read'가 30 이상이면 사물인터넷 노드 'UR0188B0316'의 3번 입출력 포트의 전원이 꺼지고 5번 입출력 포트의 전원이 켜지도록 정의될 수 있다. 제3부분(C)에 의해 생성된 명령이 메모리(M)의 일 영역에 저장되고 사물인터넷 노드 'UR0188B0316'가 상기 일 영역을 참조하여 명령을 수행하는 구성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블록 코드(3000) 중 제4부분(D)을 참조하면, 플레이어가 큰 소리를 오랫동안 냈을 때 발생되는 연출이 정의될 수 있다. 변수 'read'가 100 이상이면 사물인터넷 노드 'UR01870030D'의 3번 입출력 포트의 전원이 꺼지고, 'UR0188B0316'의 7번 입출력 포트의 전원이 켜지고, 'UR01870030D'의 3번 입출력 포트의 전원을 다시 켜고, 4번과 5번 입출력 포트의 전원이 켜지도록 정의될 수 있다. 제4부분(D)에 의해 생성된 명령이 메모리(M)의 일 영역에 저장되고 사물인터넷 노드들이 상기 일 영역을 참조하여 명령을 수행하는 구성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블록 코드는 플레이어에 따라 커스터마이즈(customize)될 수 있다.
커스터마이즈는 블록 코드 내의 숫자, 온/오프 동작 설정 등을 플레이어마다 다르게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블록 코드 전체를 복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나누고 플레이어의 레벨과 같은 소정의 조건에 따라 소프트웨어 모듈들 중 일부만 활성화시키고 나머지 소프트웨어 모듈은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은 하나의 스테이지와 관련된 블록 코드 전체일 수도 있고 하나의 스테이지와 관련된 블록 내의 일부분(예를 들어, 도3의 제3부분(C) 또는 제4부분(D))일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커스터마이즈는 '만약(if)'와 같은 분기 연산자나 'Enumeration'와 같은 열거 연산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커스터마이즈는 플레이어의 레벨(방탈출 게임의 경험 정도)이나 플레이어가 원하는 난이도나 테마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어가 어려운 난이도의 게임을 원하거나 레벨이 높으면 힌트 영상을 출력하는 모니터를 비활성화시키거나 방탈출 게임의 스테이지들의 각 진행 시간을 축소시키는 블록 코드가 수행되도록 분기 처리될 수 있다. 또는, 플레이어가 공포 테마를 원하면 조명 장치들의 밝기를 어둡게 하거나 전원을 끄는 블록 코드가 수행되거나 스피커와 같은 전자 장치에서 음산한 배경음이 나오도록 하는 블록 코드가 수행되도록 분기 처리될 수 있다.
도4는 일 실시 예에 따라, 방탈출 게임의 관리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관리자는 사물인터넷 노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게임의 진행 상황을 알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는 사물인터넷 노드들의 입출력 포트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관리자는 사물인터넷 노드들 중 어느 것에 전원이 켜져있는지, 사물인터넷 노드의 복수의 입출력 포트들 중 어느 것에 전원이 켜져있는지를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4는 사물인터넷 노드('UR01870030D')의 입출력 포트 10개 중 전원이 켜져있는 것들(OUT1, OUT2, OUT3, OUT5, OUT7)과 그렇지 않은 것들(OUT4, OUT6, OUT8, OUT9, OUT10)을 보여주는 화면을 나타낸다.
설명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예시적인 구성들 및 동작들을 제공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위 실시 예들을 단순하게 변경하거나 수정하여 얻어질 수 있는 구현들도 포함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을 앞으로 용이하게 변경하거나 수정하여 달성될 수 있는 구현들도 포함할 것이다.

Claims (5)

  1. 방탈출 게임을 구현하기 위한 전자 장비들;
    상기 전자 장비들과 통신하기 위한 사물인터넷 노드들;
    상기 방탈출 게임의 관리자에 의해 상기 전자 장비들 각각의 동작을 정의하기 위한 블록 코딩이 가능한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사물인터넷 노드들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연결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비들은 조명 장치, 자물쇠, 모터, 또는 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방탈출 게임은 복수의 스테이지들로 구성되고, 상기 관리자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상기 스테이지들 중 특정 스테이지에서 상기 전자 장비들이 수행하여야 하는 동작을 블록 코딩을 통해 정의하고,
    상기 블록 코딩을 통해 생성된 코드는 상기 서버로 전달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코드를 실행시켜 생성된 명령을 상기 서버의 메모리의 일 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사물인터넷 노드들 각각은 상기 메모리의 특정 영역을 주기적으로 참조하여 상기 명령을 읽어와 수행함으로써 상기 사물인터넷 노드들 각각과 연결된 특정 전자 장비가 제어되는 방탈출 게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인터넷 노드들 각각은 복수의 입출력 포트들이 있고, 상기 전자 장비는 상기 복수의 입출력 포트들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방탈출 게임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인터넷 노드들은, 입출력 포트를 통해 상기 전자 장비들 중 하나에 의해 수집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사물인터넷 노드를 포함하는 방탈출 게임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사물인터넷 노드들의 입출력 포트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방탈출 게임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코딩은 복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나누어지고,
    플레이어의 레벨, 난이도, 또는 테마에 따라 상기 복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들 중 일부가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되는 방탈출 게임 시스템.
KR1020220054981A 2022-05-03 2022-05-03 블록 코딩에 기반하여 적응적 설계가 가능한 방탈출 게임 시스템 KR102663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981A KR102663732B1 (ko) 2022-05-03 2022-05-03 블록 코딩에 기반하여 적응적 설계가 가능한 방탈출 게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981A KR102663732B1 (ko) 2022-05-03 2022-05-03 블록 코딩에 기반하여 적응적 설계가 가능한 방탈출 게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5281A KR20230155281A (ko) 2023-11-10
KR102663732B1 true KR102663732B1 (ko) 2024-05-03

Family

ID=88742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4981A KR102663732B1 (ko) 2022-05-03 2022-05-03 블록 코딩에 기반하여 적응적 설계가 가능한 방탈출 게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37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78848A1 (en) 2016-09-20 2018-03-22 Dallin Henrie Competitive escape rooms
KR102294853B1 (ko) 2020-12-01 2021-08-27 주식회사 로보그램인공지능로봇연구소 코딩 블록에 따라 동작하는 아바타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934B1 (ko) * 2020-07-24 2022-03-22 (주)에이치오엔터테인먼트 회원 맞춤형 방탈출 게임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78848A1 (en) 2016-09-20 2018-03-22 Dallin Henrie Competitive escape rooms
KR102294853B1 (ko) 2020-12-01 2021-08-27 주식회사 로보그램인공지능로봇연구소 코딩 블록에 따라 동작하는 아바타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5281A (ko) 2023-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lória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IoT gateway to create smart environments
Adi et al. A review of the Blockly programming on M5Stack board and MQTT based for programming education
US8463319B2 (en) Wireless application installation, configuration and management tool
US8612051B2 (en) Securing communications with robots
US10362158B2 (en)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11385610B2 (en) Stage automation system
Appavoo et al. Indriya 2: a heterogeneous wireless sensor network (WSN) testbed
CN109525461A (zh) 一种网络设备的测试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Gamba et al. Design issues and solutions in a modern home automation system
US20160173349A1 (en) Simulator for testing a gateway device
KR102663732B1 (ko) 블록 코딩에 기반하여 적응적 설계가 가능한 방탈출 게임 시스템
KR102071315B1 (ko) 서비스 지향 사물 인터넷 플랫폼 및 그 제어 방법
Anon et al. Building a framework for internet of things and cloud computing
JP2023541549A (ja) コンピュータネットワーク中間ルータ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ouceiro et al. Bridging the reality gap between the Webots simulator and e-puck robots
Szydło et al. The copernicus iot platform: Teaching iot at computer science case study
Klein Dianemu: A java based generic simulation environment for distributed protocols
KR102194146B1 (ko) 플러그 앤 플레이 범용 IoT 노드 기반 스마트 관제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센서 종류 인식 방법
Patil et al. AI based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Raspberry Pi
Younan et al. A wot testbed for research and course projects
Sec et al. Automatic address assigning problem in smart homes
Golatowski et al. An OPC UA-based crane model using time-sensitive networking technology
US11112762B2 (en) Universal programming station with orientable blocks
Ozme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Iot-based home automation system utilizing fog and cloud computing paradigms
Baalman et al. Sense/Stage—low cost, open source wireless sensor and data sharing infrastructure for live performance and interactive realtime environ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