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622B1 - 이재민 및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재민 및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622B1
KR102663622B1 KR1020230084631A KR20230084631A KR102663622B1 KR 102663622 B1 KR102663622 B1 KR 102663622B1 KR 1020230084631 A KR1020230084631 A KR 1020230084631A KR 20230084631 A KR20230084631 A KR 20230084631A KR 102663622 B1 KR102663622 B1 KR 102663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d station
victim
victims
aid
relie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4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국
Original Assignee
에스큐앤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큐앤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큐앤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84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6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6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1Wristwatch-type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스마트밴드를 활용하여 구호소의 이재민 관리하는 이재민 및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재민 및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은 구호소 내에서 생활하는 이재민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여 문제가 생기는 경우 관리자 또는 인접 입소자에게 알려 신속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이재민 및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Refugee and Disaster Relief Center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구호소 및 해당 구호소에 입소한 이재민의 관리를 위한 이재민 및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구호소 운영 시 입소자의 건강 상태가 악화될 경우 사망 사고 등의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소자가 고혈압, 당뇨병 등 만성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 일상 생활에서 생활을 하고 있는 경우에도 갑작스럽게 신체적 이상이 발생하게 될 수 있고, 재난발생 등에 의하여 구호소로 대피한 경우에는 그러한 가능성이 더욱 커질 수 있다.
또한, 만성 질환의 경우가 아니라 하더라도, 뇌 경색, 심장마비와 같이 그 발병을 예측하기 어려운 경우나, 피로 누적, 스트레스 등과 같이 구호소에 입소한 사람에 대하여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는 신체적 이상 상황의 경우 돌발적인 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구호소 입소자가 휴식이 필요한 상태이거나 병원 방문 등이 필요한 상태이거나 구호소에 위험상황이 발생한 경우, 구호소 입소자 자신과 다른 구호자의 안전을 위하여 적절하게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함에도 현재는 이를 구호소를 운영하는 관리자의 개인 판단에만 의존하고 있어 구호소 입소자의 안전과 건강에 위협이 될 위험성이 존재한다.
한편, 구호소에는 이재민이 다수가 수용되는 상태가 형성되며, 이재민뿐만 아니라 이재민을 만나러 오는 가족, 친지, 친구 등 여러 사람들이 구호소에 입퇴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구호소에 예상치 못한 다수 사람들의 유입이 있거나, 배급, 배식 등의 이밴트로 인하여 국지적으로 사람들이 몰려들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구호소 내부에 공기질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고, 이러한 현상은 일시적일 수도 있고 장기적일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 구호소 내부에서 사람들이 몰림에 따라서 압사사고 등 안전 상에 큰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일 측면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호소 내에서 생활하는 이재민의 건강 상태를 상시 체크하여 문제가 생기는 경우 관리자 또는 인접 입소자에게 알려 신속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구호소 내부의 이재민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호소 자체에서 이재민의 건강 상태를 저해하거나 안전사고 등 불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호소와 이재민을 관리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에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스마트밴드를 활용한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구호소에 입소한 이재민의 신체에 착용되고, 상기 이재민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이재민용 스마트밴드;
구호소의 관리와 연계된 구호소 정보를 수집하는 구호소 정보 수집장치;
상기 이재민용 스마트밴드로부터 상기 생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구호소 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상기 구호소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생체신호 및 상기 구호소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및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생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생체신호로부터 상기 이재민의 건강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건강상태에 따라서 요구되는 행동지시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구호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구호소 정보로부터 상기 구호소의 관리상태를 분석하여 정상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경고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행동지시신호 또는 상기 경고신호를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이재민통합관리서버;
를 포함하는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구호소 정보 수집장치는 CCTV, 공기질 측정장치, 공기조화시스템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이재민통합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행동지시신호 또는 상기 경고신호를 상기 구호소의 스피커 또는 상기 스마트밴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이재민통합관리서버는 상기 구호소 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수집한 카메라 영상정보와 상기 이재민용 스마트밴드의 밀집도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밀집도가 설정치 이상인 경우, 경고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밀집도는 상기 스마트밴드가 송출하는 위치정보를 반영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밀집도는 복수의 단계로 구분되되, 상기 복수의 단계의 각 단계에 따라서 상기 경고신호의 내용을 차등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은 구호소 내에서 생활하는 입소자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여 문제가 생기는 경우 관리자 또는 인접 입소자에게 알려 신속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실시예에 따라서 우수한 범용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며, 그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밴드를 활용한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밴드를 활용한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집도 판단방법을 나타낸다.
도 4는 구호소, 인접한 구호소 및 의료기관 간에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밴드를 활용한 이재민 및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마트밴드를 활용한 이재민 및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집도 판단방법을 나타내며, 도 4는 구호소, 인접한 구호소 및 의료기관 간에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밴드(100)를 활용한 이재민 및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10, 이하, 이재민 및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이라 한다)은 이재민용 스마트밴드(100), 구호소 정보 수집장치(200), 게이트웨이(300), 이재민 통합관리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재민용 스마트밴드(100), 구호소 정보 수집장치(200), 게이트웨이(300), 이재민 통합관리서버(400) 상호간은 네트워크(40)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40)는 단말기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UWB(Ultra-wideband)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재민용 스마트밴드(100)는, 구호소 입소자의 신체에 착용 또는 부착되고, 구호소 입소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재민용 스마트밴드(100) 또는 관리자 단말기(500)는, 구호소 입소자의 손목에 채워지는 시계 또는 팔찌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이재민용 스마트밴드(100)는, 구호소 입소자의 신체에 부착되는 패드 형상으로 구비되거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형태로 구비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호소 입소자의 신체에 착용 또는 부착되는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관리자 단말기(500)는 관리사 스마트폰(510) 또는 관리자 컴퓨터(5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재민용 스마트밴드(100)는 측정된 생체 신호 또는 후술할 행동 지시 신호, 경고 신호 등을 시각적으로 표시(예를 들면, 텍스트 타입으로 출력하거나 신호의 내용에 따라 모양이 달라지는 아이콘, 도형 등으로 출력)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패널,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패널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등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는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LCD, Thin Film Transistor-LC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터치 스크린 패널(TSP, Touch Screen Panel)에 의해 일체로 구현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재민용 스마트밴드(100)에는 구호소 입소자 등의 음성 타입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하여 음성 인식 기능이 탑재될 수 있으며, 이재민용 스마트밴드(100)에 의해 측정된 생체 신호 또는 후술할 행동 지시 신호, 경고 신호 등을 음성 타입으로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 기능이 탑재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재민용 스마트밴드(100)에는 다양한 유형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각종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재민용 스마트밴드(100)는 구호소 입소자의 심박수를 측정하기 위한 심박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재민용 스마트밴드(100)는 구호소 입소자의 호흡량 또는 호흡수를 측정하거나 카운팅하기 위한 산소포화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센서 유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예시적으로 기재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이재민용 스마트밴드(100)는 맥박, 혈압, 체온, 뇌파 등 구호소 입소자의 다양한 생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구호소 정보 수집장치(200)는, 구호소(20)의 운영과 연계된 구호소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호소 정보 수집장치(200)는, 구호소(20)에 구비되는 카메라, CCTV, 공기질 측정장치, 공기조화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호소(20)의 운영과 연계된 구호소 정보는 특정 구호소(20)를 다른 구호소(20)와 구분하여 식별하기 위한 구호소 식별 정보, 구호소(20)의 운영과 연계된 구호소 운영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호소 식별 정보는, 구호소(10)의 위치정보, 구호소의 관리 주체가 개별적으로 부여한 등록 번호(식별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호소 운영 정보는, 구호소(10)에 입소한 입소자의 인원수정보, 구호소(20)에 배치된 정보 수집장치의 정상 작동 여부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호소운영 정보는, 구호소(20)에 등록한 입소자의 인원수 정보, 구호소(20)가 수용가능한 최대 인원수 정보, 구호소(20)에 입소가 예정된 거주민의 정보, 구호소(20)에 인입된 사람의 인원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동록한 입소자는 해당 구호소(20)에 입소가 예정된 이재민으로서 해당 구호소(20)에 입소하여 등록을 마친 입소자를 의미할 수 있고, 구호소(20)에 인입된 사람의 인원수 정보는 구호소(20)에 입소 예정된 사람인지 여부와 무관하고, 입소하여 등록을 마쳤는지 여부와도 무관한 사람으로서 구호소(20)에 인입된 사람의 인원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입소자가 구호소(20)에 등록하는 과정은 예컨대 관리자가 구호소(20)에 입소한 입소자 갑(甲)에게 처음으로 스마트밴드(100)를 제공하면서 입소자 갑의 식별정보를 해당 스마트밴드(100)와 매핑시킬 수 있다. 그러면 갑과 스마트밴드(100)는 매칭이 될 수 있다.
한편, 갑과 구호소(20)는 이재민통합관리서버(400) 상에서 이미 매칭이 되어 있다. 즉 행정망을 통하여 제공받은 갑의 성명 생년월일 등 기본 정보는 여러 구호소 중에서 갑에게 할당된 구호소(20)와 매칭되어 있다. 따라서 갑과 스마트밴드(100)를 매칭시키면 해당 스마트밴드(100)는 구호소(20)와도 자동적으로 매칭될 수 있다. 관리자가 입소자인 갑에게 스마트밴드(100)를 제공할 때 갑의 병력을 물어볼 수 있으며 갑은 자신의 당뇨병 등의 병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갑이 직접 자신의 핸드폰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제공할 수도 있고, 만일 갑이 스마트폰이 없으면 관리자에게 자신의 병력 정보를 구두 또는 노트로 제공하여 관리자가 입력하는 방법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게이트웨이(300)은, 이재민용 스마트밴드(100)로부터 이재민용 스마트밴드(100)가 측정한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구호소 정보 수집장치(200)로부터 구호소 정보를 수신하여 생체 신호 및/또는 구호소 정보를 이재민 통합관리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게이트웨이(300)은 구호소 정보 수집장치(200)와 별개의 단말로 구호소(20) 내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이재민 통합관리서버(400)는, 게이트웨이(300)로부터 전송된 생체 신호로부터 구호소 입소자의 신체 상태를 진단하고 진단된 신체 상태에 따라 요구되는 행동 지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재민 통합관리서버(400)는, 생성된 행동 지시 신호를 게이트웨이(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게이트웨이(300)은 이재민 통합관리서버(400)로 생체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이재민용 스마트밴드(100)에 부여된 식별자 등에 기초하여 전송되는 생체 신호가 어느 구호소 입소자의 생체 신호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함께 이재민 통합관리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호소(20)는 하나의 구호소(20)를 복수의 이재민이 동시에 생활하는 환경일 수 있기 때문에,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이재민이 동시 생활하는 경우, 이재민의 스마트밴드(100)와 구호소(20)의 게이트웨이(300)이 통신연결 되고, 하나의 구호소 게이트웨이(300)에 연결 가능한 복수의 스마트밴드(100)의 식별자(예를 들어, 스마트밴드(100)의 맥어드레스, 또는 serial No. 등을 인식)를 인식하여 이재민 마다의 개인화된 생체 신호의 분석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재민 통합관리서버(400)는 단순히 수신된 생체 신호를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생체 신호와 연계된 구호소 입소자를 식별함으로써 후술할 이재민 DB(443)에 기 저장된 해당 구호소 입소자의 건강 상태 정보 또는 해당 구호소 입소자에 대하여 이재민용 스마트밴드(100)에 의해 이전에 측정된 생체 신호의 변화를 고려하여 신체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재민 통합관리서버(400)는 게이트웨이(300)로부터 구호소 입소자의 심박수, 호흡, 맥박, 혈압, 산소 포화도, 체온 등의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구호소 입소자의 건상 상태, 수면 품질, 스트레스 지수 등의 신체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여기서, 이재민 통합관리서버(400)는 건강 상태, 수면 품질, 스트레스 지수, 피로 누적 정도 등의 구호소 입소자의 신체 상태를 수치적으로 산출(평가)하고, 기 설정된 임계 수치와 비교함으로써 구호소(20)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구호소 입소자에게 필요한 행동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재민 통합관리서버(400)는 구호소 입소자의 신체 상태 진단 결과, 구호소 입소자가 스트레스가 과다하거나 수면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거나 당뇨, 심혈관 계통의 건강 이상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관리자로 하여금 입소자에게 접근하여 입소자의 건강 상태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체크하고, 의약 지급, 긴급 이송 등 액션을 취하도록 유도하는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행동 지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재민 통합관리서버(400)는 관리자 단말기(500)로 이재민이 건강을 회복할 수 있도록 긴급 이송 유도하는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행동 지시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구호소 정보 수집장치(200)로부터 획득된 구호소(20)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거리 내에 존재하는 인접한 구호소 등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행동 지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인접한 구호소(20)의 위치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위치로 이재민을 이송하도록 행동 지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재민 통합관리서버(400)는 구호소 정보 수집장치(200) 중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구호소 입소자의 행동패턴을 기초로 구호소 입소자의 이상 행동, 즉 쓰러짐, 배회, 비틀거림 등을 판단하고, 이재민용 스마트밴드(100)로부터 획득된 생체 신호와 연계하여 상기 이재민 건강 위험성을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이경우, 이재민의 행동패턴을 인공지능이 학습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이상행동은 기계학습을 수행하는 학습모델을 통하여 화상을 입력받아서 정상행동과 이상행동을 구분하도록 학습시킬 수 있다.
또한, 이재민 통합관리서버(400)는 이재민 즉 구호소 입소자의 신체 상태 진단 결과, 호흡수, 심박수, 혈압, 맥박, 체온, 산소 포화도 등이 휴식을 취하는 정도의 조치로는 부족할 정도로 악화된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구호소 입소자의 구호소 입소를 중지하고 인접 병원에 방문하도록 유도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행동 지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재민 통합관리서버(400)는 입소자의 입소를 중지하고 인접 병원에 방문하도록 유도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행동 지시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구호소 정보 수집장치(200)로부터 획득된 구호소(20)의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거리 내에 존재하는 보건소, 병원 등의 의료 시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행동 지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재민 통합관리서버(400)는 구호소(20)의 기 설정된 운영 지역(예를 들어, 서울 구호소, 경기 구호소 등 대피 서비스 제공 지역이 미리 정해진 경우 등)을 고려하여 기 설정된 운영 지역 내의 보건소, 병원 등의 위치 정보를 우선적으로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이재민 통합관리서버(400)는 구호소 입소자의 신체 상태 진단 결과, 구호소 입소자의 생명의 위협이 될 정도로 매우 긴급한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예를 들면, 심정지 의심 상황 등), 소방/구급 출동 시스템과 연계하여 구급차 출동 요청을 전송하거나 구호소 입소자의 보호자 연락처 정보가 보유된 경우, 구호소 입소자의 보호자의 연락처로 긴급 상황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재민 통합관리서버(400)는 구호소 입소자의 생체 신호를 지속적, 주기적으로 획득하여 구호소 입소자의 신체 상태를 감지하여 정상 상태가 아닌 경우 단계적인 조치를 취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재민 통합관리서버(400)는 구호소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구호소(20)에 이재민이 입소한 경우, 이재민의 단말(미도시)로 이재민이 입소한 구호소(20)의 구호소 정보 중 일부를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재민 통합관리서버(400)는 이재민의 단말(미도시)로 이재민 DB(443)에 저장된 해당 이재민이 입소한 구호소(20)의 구호소 입소자의 일반 사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갑이 입소한 경우 갑에게 갑과 이웃인 을의 성명, 전화번호, 해당 구호소(20)에 입소등록을 했는지 여부 등에 대한 일반 사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갑과 을은 반드시 이웃일 필요는 없으며, 기 설정등록된 가족관계, 친구관계일 수도 있다. 즉 이재민이 입소등록시 가족관계 또는 친구관계의 사람의 정보를 입력하게 하여 이러한 관계가 있는 입소자 간에 정보를 미리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반 사항 정보 제공방법은 이재민 통합관리서버(400)는 이재민의 단말(미도시)에 설치된 본원의 이재민 및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10)과 연계된 어플리케이션에 구호소 정보 중 일부를 제공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 의하여 입소한 이재민 간에 상호 건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위급시 관리자의 접근이 어려운 경우일지라도 건강한 입소자가 건강 상태가 나쁜 입소자의 건강 상태를 점검할 수 있으며, 조치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이재민 통합관리서버(400)는, 게이트웨이(300)로부터 전송된 구호소 정보로부터 구호소(20)의 상황 상태를 분석하여 정상 운영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경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재민 통합관리서버(400)는, 생성된 경고 신호를 게이트웨이(30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정상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는 구소호가 정상 운영 상태가 아닌 경우로서 다음과 같은 예가 있을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이재민통합관리서버(400)는 상기 구호소 정보 수집장치(200)로부터 수집한 카메라 영상정보 또는 CCTV 영상정보, 공기질 측정장치 또는 공기조화시스템의 정보 중 하나 이상 또는 상기 이재민용 스마트밴드(100)의 밀집도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밀집도가 설정치 이상인 경우, 정상 운영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경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 영상정보 또는 CCTV 영상정보를 통하여 이재민의 밀집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기계학습을 통하여 인공지능 학습모델이 해당 영상을 보고 밀집도를 판정하는 것일 수도 있다. 밀집도가 설정치 이상이라고 한 것은 예컨대, 카메라 영상정보 또는 CCTV 영상정보의 하나의 단위 프레임 상에서 사람들이 몰려 있는 영역의 면적 비율에 따라서 일정한 비율 이상이면 설정치를 넘어선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카메라 영상정보 또는 CCTV 영상정보의 하나의 단위 프레임 상에서 사람들이 몰려 있는 영역에 배치된 사람의 수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밀집도를 계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일정한 수 이상으로 계산 결과가 나오는 경우 설정치를 넘어선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예컨대, 밀집도를 판정하는 과정은 카메라로부터 영상정보를 확보하는 영상정보 확보단계(S100); 카메라로부터 확보된 영상정보에서 특정영역을 사람영역으로 판정하는 사람영역 결정단계(S110); 상기 사람영역으로 판정한 영역에 대하여 그 이외의 영역을 비사람영역으로 결정하는 비사람영역 결정단계(S120); 사람영역과 비사람영역을 비교해서 양 영역 간에 특정 비율 이상으로 차이가 나는지를 판단하는 비율판단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람영역이 비사람영역보다 특정 비율 이상 차이가 난다고 판단된 경우 밀집도가 설정치를 넘어선 것으로 판정하는 과밀도 판정단계(S14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공기질측정장치를 통하여 이산화탄소의 량을 측정함으로써 밀집도를 재산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이산화탄소량이 설정치 보다 높은 경우, 우선적으로 공기정화수단을 최대로 가동시켜 구호소(20)의 공기환경을 개선해 본다. 그러나 이경우 공기정화수단을 최대로 가동하더라도 계속 이산화탄소량이 설정치 보다 높은 경우에는 등록된 입소자의 수보다 많은 사람들이 구호소(20)에 몰려온 것으로 이재민통합관리서버(400)는 판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경고신호를 통하여 다른 구호소(20)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행동 지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이산화탄소에 대하여 언급하였지만 반드시 이산화탄소만으로 본 명세서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용된 인원수를 파악할 수 있는 어떤한 종류의 기체라도 무방하게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입소정원이 500명인데 현재 등록된 입소자가 400명인 경우, 공기질 측정장치에 의한 이산화탄소량이 등록된 400명의 입소자에 대한 평균 이산화 탄소량보다 높은 경우 등록된 입소자 보다 많은 인원이 유입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으며, 경고신호를 통하여 구호소(20) 밖으로 나가도록 유도하는 행동 지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재민통합관리서버(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종 인원수 정보를 포함하는 구호소 운영 정보를 수신하여 인원수를 판정하고, 행동 지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전술한 예에서 경고신호를 통하여 일정한 인원이 구호소(20) 밖으로 나갔는데 여전히 이산화탄소량이 수용정원에 대한 이산화탄소량보다 높은 경우 해당 구호소(20)의 수용정원을 500명에서 300명으로 낮추고 현재 등록된 400명 중에서 100명을 다른 구호소로 이송시킬 수도 있다.
예컨대, 이재민용 스마트밴드(100)는 자신의 위치정보를 게이트웨이(300)로 전송할 수 있고, 이 경우 수집된 CCTV 정보를 통하여 획득한 인원 밀집도에 복수의 스마트밴드(100)가 몰려 있는 정보를 더하여 구호소(20) 내부에 인원이 과도하게 밀집되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며, 밀집도가 기 설정된 설정치 이상인 경우에는 이재민의 안전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경고를 발송할 수 있다.
즉, 구호소 정보수집장치로부터 구호소(20) 내부의 인원 밀집 현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밀집도가 기 설정된 설정치 이상인 경우에는 이재민의 안전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경고를 발송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정보는 실시예에 따라서 스마트밴드(100)에 실장된 UWB 등의 칩에 의하여 발송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이재민용 스마트밴드(100)는 자신의 위치정보를 게이트웨이(300)로 전송할 수 있고, 복수의 이재민용 스마트밴드(100)가 몰려 있는 정보를 파악하여 밀집도가 기 설정된 설정치 이상인 경우에는 이재민의 안전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경고를 발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1차로 구호소 정보수집장치로부터 구호소(20) 내부의 인원 밀집 현황을 파악할 수 있고, 여기에 더하여 2차로 복수의 이재민용 스마트밴드(100)가 몰려 있는 정보를 파악하여 밀집도가 기 설정된 설정치 이상인 경우에는 이재민의 안전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경고를 발송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재민 통합관리서버(400)는, 구호소 정보(특히, 위험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입소한 입소자의 사고 발생 위험성이 기 설정된 임계 수준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고 발생 가능성을 경고하는 내용의 경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재민 통합관리서버(400)는, 구호소 정보에 기초하여 이재민이 갑자기 몰리는 등에 의한 압사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고가 발생했다는 정보를 포함하여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것과 더불어 소방/구급 출동 시스템과 연계하여 출동 전화를 자동으로 발신하거나 미리 설정된 보험사 측에 사고 상황을 알리는 전화를 자동으로 발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e-call).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게이트웨이(300)은, 이재민 통합관리서버(400)로부터 전송된 행동 지시 신호 또는 경고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음성, 진동 또는 경보음 중 적어도 하나의 유형으로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게이트웨이(300)은, 이재민 통합관리서버(400)로부터 전송된 행동 지시 신호 또는 경고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재민용 스마트밴드(100)로 전송하고, 게이트웨이(300)로부터 행동 지시 신호 또는 경고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 이재민용 스마트밴드(100)는, 행동 지시 신호 또는 경고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음성, 진동 또는 경보음 중 적어도 하나의 유형으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이재민 통합관리서버(400)에 의해 생성되어 게이트웨이(300)로 전송된 경고 신호 또는 행동 지시 신호는 게이트웨이(300)에 의해 출력되어 구호소(20)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하여 구호소 입소자에게 전달되거나 구호소 입소자의 신체에 착용 또는 부착된 이재민용 스마트밴드(100)로 전달된 후 이재민용 스마트밴드(100)에 의해 출력되어 구호소 입소자에게 전달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재민 통합관리서버(400)에 의해 생성되어 게이트웨이(300)로 전송된 경고 신호 또는 행동 지시 신호는, 그 중요도(위험도)에 따라 게이트웨이(300) 또는 이재민용 스마트밴드(100)에서 상이한 출력 수준으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재민의 밀집도는 복수의 단계로 구분되되, 상기 복수의 단계의 각 단계에 따라서 상기 경고신호의 내용을 차등 송출할 수 있다.
단순히 휴식을 권고하는 내용의 행동 지시 신호와 병원 진료가 필요하다는 내용의 행동 지시 신호는 상이한 중요도를 가질 수 있고(후자의 중요도가 전자의 중요도보다 높음), 후자에 대한 출력 시 음성 출력의 볼륨이 더 크도록 구비되거나, 더 긴급한 상황임을 알릴 수 있는 경보음이 선택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재민 통합관리서버(400)는, 구호소(20)의 운영 상황 분석 결과, 사고 발생 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구호소 정보에 기초하여 사고 발생 시점을 특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고 발생 상황은 구호소 내부에서 발생하는 각종 사고 발생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재민 통합관리서버(400)는 특정된 사고 발생 시점에 대한 전후 기 설정된 시간만큼의 생체 신호 및 구호소(20)에 구비된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상기 사고 발생 시점에 대한 전후 기 설정된 시간만큼의 영상 정보를 종합하여 발생한 사고와 연계된 연계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이재민 통합관리서버(400)는 구호소(20)의 운영 중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고 발생 시점의 전후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소정 시간만큼의 구호소 입소자의 생체 신호 및 CCTV 모듈, 카메라 등에 의해 촬영된 영상 신호를 종합하여 가공된 데이터를 사고 발생 직후 생성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생성된 발생한 사고와 이재민의 생체정보가 연계된 연계데이터는 사고 발생 이후 사고의 원인 분석, 사고 발생의 과실 분석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이재민의 건강 분석을 위해서, 상기 수집한 생체정보와 상기 구호소(20) 내부 사고 발생 상황 정보를 연계한 연계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재민이 장시간 구호소(20)에서 머물다가 재난상황이 종료하여 집으로 돌아가더라도 트라우마가 계속 남아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이재민의 건강이 계속적으로 문제될 수 있다. 따라서 건강에 이상이 감지된 이재민에 대해서 재난종료후에도 계속해서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전술한 연계데이터를 외부 관리사 단말기 또는 의료진 서버 등으로 전송하도록 하여 재난상황 이후에도 이재민을 계속 모니터링할 수 있다.실시예에 따라서 이재민통합관리서버(400)는 의료기관(30)의 관리서버와 연동되어 작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재민통합관리서버(400)는 이재민의 건강상태의 판단을 위해서 이재민으로부터 수집한 생체신호를 외부 전문가 단말기로 송출하고, 상기 외부 전문가 단말기로부터 상기 건강상태에 대한 판단을 수신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밴드(100)를 활용한 이재민 및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10)에 의한 이재민 및 구호소 모니터링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스마트밴드(100)를 활용한 이재민 및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10)에 의한 이재민 및 구호소 모니터링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이재민 및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
20: 구호소
30: 의료기관
100: 스마트밴드
200: 구호소 정보 수집장치
300: 게이트웨이
400: 이재민통합관리서버
500: 관리자 단말기
510: 관리자 스마트폰
520: 관리자 컴퓨터
S100: 영상정보 확보단계
S110: 사람영역 결정단계
S120: 비사람영역 결정단계
S130: 비율판단단계
S140: 과밀도 판정단계

Claims (16)

  1. 스마트밴드를 활용한 이재민 및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구호소에 입소한 이재민의 신체에 착용되고, 상기 이재민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이재민용 스마트밴드;
    구호소의 관리와 연계된 구호소 정보를 수집하는 구호소 정보 수집장치;
    상기 이재민용 스마트밴드로부터 상기 생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구호소 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상기 구호소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생체신호 또는 상기 구호소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및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생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생체신호로부터 상기 이재민의 건강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건강상태에 따라서 요구되는 행동지시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구호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구호소 정보로부터 상기 구호소의 관리상태를 분석하여 정상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경고신호를 생성하는 이재민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이재민통합관리서버는 상기 구호소 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수집한 카메라 영상정보 또는 상기 이재민용 스마트밴드의 밀집도를 분석하여 상기 밀집도가 설정치 이상인 경우, 상기 경고신호를 송출하는 이재민 및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호소 정보 수집장치는 카메라, 공기질 측정장치, 관리자 단말기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재민 및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재민통합관리서버는 상기 행동지시신호 또는 상기 경고신호를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전송된 상기 행동지시신호 또는 상기 경고신호를 상기 구호소의 스피커 또는 상기 구호소의 관리자 단말기 또는 상기 이재민용 스마트밴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재민 및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집도는 상기 스마트밴드가 송출하는 위치정보를 반영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재민 및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집도는 복수의 단계로 구분되되, 상기 복수의 단계의 각 단계에 따라서 상기 경고신호의 내용을 차등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재민 및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재민통합관리서버는 상기 건강상태의 판단을 위해서 상기 생체신호를 외부 전문가 단말기로 송출하고, 상기 외부 전문가 단말기로부터 상기 건강상태에 대한 판단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재민 및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
  8. 스마트밴드를 활용한 이재민 및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구호소에 입소한 이재민의 신체에 착용되고, 상기 이재민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이재민용 스마트밴드;
    구호소의 관리와 연계된 구호소 정보를 수집하는 구호소 정보 수집장치;
    상기 이재민용 스마트밴드로부터 상기 생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구호소 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상기 구호소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생체신호 또는 상기 구호소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및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생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생체신호로부터 상기 이재민의 건강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건강상태에 따라서 요구되는 행동지시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구호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구호소 정보로부터 상기 구호소의 관리상태를 분석하여 정상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경고신호를 생성하는 이재민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이재민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생체신호로부터 상기 이재민의 건강상태가 정상으로 판단되더라도 상기 구호소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재민의 행동패턴이 이상행동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행동지시신호를 생성하는 이재민 및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호소 정보는 화상정보이고, 상기 화상정보를 통하여 상기 행동패턴을 파악하며, 상기 이상행동은 쓰러짐, 배회, 비틀거림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재민 및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호소 정보 수집장치는 카메라, 공기질 측정장치, 관리자 단말기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재민 및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재민통합관리서버는 상기 행동지시신호 또는 상기 경고신호를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전송된 상기 행동지시신호 또는 상기 경고신호를 상기 구호소의 스피커 또는 상기 구호소의 관리자 단말기 또는 상기 이재민용 스마트밴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재민 및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재민통합관리서버는 상기 건강상태의 판단을 위해서 상기 생체신호를 외부 전문가 단말기로 송출하고, 상기 외부 전문가 단말기로부터 상기 건강상태에 대한 판단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재민 및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
  13. 스마트밴드를 활용한 이재민 및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구호소에 입소한 이재민의 신체에 착용되고, 상기 이재민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이재민용 스마트밴드;
    구호소의 관리와 연계된 구호소 정보를 수집하는 구호소 정보 수집장치;
    상기 이재민용 스마트밴드로부터 상기 생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구호소 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상기 구호소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생체신호 또는 상기 구호소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및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생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생체신호로부터 상기 이재민의 건강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건강상태에 따라서 요구되는 행동지시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구호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구호소 정보로부터 상기 구호소의 관리상태를 분석하여 정상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경고신호를 생성하는 이재민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구호소 정보에 따라서 상기 구호소 내부의 공기질이 기준치 이하로 판정된 경우, 상기 이재민통합관리서버는 상기 구호소에 수용된 이재민의 전부 또는 일부를 다른 구호소로 이송하도록 행동지시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재민 및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호소 정보 수집장치는 카메라, 공기질 측정장치, 관리자 단말기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재민 및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재민통합관리서버는 상기 행동지시신호 또는 상기 경고신호를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전송된 상기 행동지시신호 또는 상기 경고신호를 상기 구호소의 스피커 또는 상기 구호소의 관리자 단말기 또는 상기 이재민용 스마트밴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재민 및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재민통합관리서버는 상기 건강상태의 판단을 위해서 상기 생체신호를 외부 전문가 단말기로 송출하고, 상기 외부 전문가 단말기로부터 상기 건강상태에 대한 판단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재민 및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30084631A 2023-06-30 2023-06-30 이재민 및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 KR102663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4631A KR102663622B1 (ko) 2023-06-30 2023-06-30 이재민 및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4631A KR102663622B1 (ko) 2023-06-30 2023-06-30 이재민 및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3622B1 true KR102663622B1 (ko) 2024-05-10

Family

ID=91072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4631A KR102663622B1 (ko) 2023-06-30 2023-06-30 이재민 및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36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504A (ko) * 1993-06-29 1995-01-03 윌리엄 티. 엘리스 데이타 프로세싱 시스템의 사용자가 인터페이스 상의 슬라이더를 느슨하게 일군으로 만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022188A (ko) * 2020-08-18 2022-02-25 주식회사 세스코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140144A (ko) * 2021-04-09 2022-10-18 주식회사 이엠비 집단시설 인원들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 및 분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14391A (ko) * 2022-07-25 2024-02-01 주식회사 메디칼솔루션시스템 코드 인식을 사용한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504A (ko) * 1993-06-29 1995-01-03 윌리엄 티. 엘리스 데이타 프로세싱 시스템의 사용자가 인터페이스 상의 슬라이더를 느슨하게 일군으로 만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022188A (ko) * 2020-08-18 2022-02-25 주식회사 세스코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140144A (ko) * 2021-04-09 2022-10-18 주식회사 이엠비 집단시설 인원들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 및 분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14391A (ko) * 2022-07-25 2024-02-01 주식회사 메디칼솔루션시스템 코드 인식을 사용한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조선대학교 논문, "원전 사고대응 스마트 구호소 구축 및 관리시스템 개발"(2019.02.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6560B2 (en)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with predictive emergency dispatch risk assessment
US10820069B2 (en) Computer-aided dispatch systems and methods utilizing biometrics to assess responder condition and suitability
CN108986897B (zh) 一种急危重症施救的医疗资源优化匹配方法和系统
US20080243545A1 (en) System and method of aggregating and disseminating in-case-of-emergency medical and personal information
WO2023274402A1 (zh) 紧急救治系统、紧急救治方法及电子设备
Farley et al. Emergency department tachypnea predicts transfer to a higher level of care in the first 24 hours after ED admission
CN111356993A (zh) 用于预测及管理慢性疾病的可穿戴设备和物联网网络
CN115769302A (zh) 流行病监控系统
CN104107031A (zh) 智慧城市远程生理监测健康监护系统及其方法
US202201227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actless monitoring and early prediction of a person
KR102663622B1 (ko) 이재민 및 구호소 모니터링 시스템
AU20222013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iding an operator in an emergency situation involving a patient
CN116825337A (zh) 患者安全护理预警系统
JP3113378U (ja) 患者監視装置
KR20210006200A (ko) Ami 통신망을 이용하는 실버 헬스케어 시스템
US20220310241A1 (en) Clinical decision support scheduling and alerts
KR101002725B1 (ko) 의료영상시스템을 원격으로 운영 및 관리하는 방법 및시스템
KR101412612B1 (ko) 만성 폐질환의 임상의사결정지원 방법
CN115515119A (zh) 一种基于物联网的交互式救护调度系统
Maier et al. Continuous real-time remote monitoring of severely or chronically ill children
CN112825209A (zh) 基于实时定位技术的突发疾病警报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