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388B1 - Laundry treatment machine - Google Patents

Laundry treatment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388B1
KR102663388B1 KR1020190085314A KR20190085314A KR102663388B1 KR 102663388 B1 KR102663388 B1 KR 102663388B1 KR 1020190085314 A KR1020190085314 A KR 1020190085314A KR 20190085314 A KR20190085314 A KR 20190085314A KR 102663388 B1 KR102663388 B1 KR 102663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display unit
signal
laun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3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08749A (en
Inventor
김홍철
천강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5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388B1/en
Publication of KR20210008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7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388B1/en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0Power supply arrangements, e.g. stand-by circui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4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ounting or attachment features, e.g. detachable control panels or detachable display pa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4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4Changing between normal operation mode and special operation modes, e.g. service mode, component cleaning mode or stand-by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기 설정된 전력 이하로 전력이 인가되는 것에 근거하여, 슬립 모드에 진입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립 모드에 진입한 디스플레이부를 일반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전원부에서 공급된 교류전원을 상기 슬립 모드에서 일반모드로 전환하는데 필요한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를 더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device. A laundry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enter a sleep mode based on power being applied to the display unit below a preset power, and wherein the sleep mode is In order to switch the display unit that has entered the mode to the normal mode,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AC power to the display unit and is provided between the power unit and the display unit, and switches the AC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unit from the sleep mode to the normal mode. It further includes a signal conversion unit that converts the signal into a necessary signal.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Laundry treatment machine}Laundry treatment machine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립 모드를 일반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processing machine, and more specifically, to a laundry processing machine for switching a sleep mode to a normal mode.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제와 세탁수 및 세탁물이 세탁조 내에 투입된 상태에서,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세탁조과 세탁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을 행하여, 세탁물의 손상이 거의 없고 세탁물이 서로 엉키지 않는 세탁효과를 낼 수 있다.In general, a laundry treatment machine performs washing using the friction between the washing machine and the laundry, which rotates under the driving force of a motor when detergent, washing water, and laundry are put into the laundry tank, so that there is little damage to the laundry and the laundry does not tangle with each other. It can have a washing effect.

최근에 출시되는 세탁물 처리기기는, 능동대기전력(또는 슬립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전력) 규제를 만족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Recently released laundry processing devices are designed to meet active standby power (or power to enter sleep mode) regulations.

능동대기전력은, 세탁물 처리기기가 Wifi가 연결된 상태에서 능동대기모드로 진입한 이후, 사용자가 주변에 없더라도, 상기 Wifi를 통해 세탁물 처리기기를 켜서 작동시킬수 있는 상태의 전력을 의미한다.Active standby power refers to the power that can be turned on and operated through the Wifi even if the user is not around after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enters active standby mode while connected to Wifi.

상기 능동대기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능동대기전력은, 유럽의 규제에 따르면, 2018년도에는 3W, 2019년도에는 2W로 규제하고 있다.According to European regulations, the active standby power to enter the active standby mode is regulated to 3W in 2018 and 2W in 2019.

최근에는, 상기 능동대기전력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또는 디스플레이부에 포함된 프로세서(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슬립 상태로 변경해야 한다.Recently, in order to satisfy the above-described active standby power, the display unit (or processor (or microprocessor)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laundry treatment machine must be changed to a sleep state.

또한, 외부 신호(예를 들어, 전원 키, 또는 Wifi를 통해 수신된 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슬립 상태에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하기 위한 추가 회로가 필요하다.Additionally, when an external signal (for example, a power key or a signal received through Wifi) is applied, an additional circuit is needed to activate the display unit in the sleep state.

선행문헌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0869호)를 참조하면, 선행문헌은, 가전기기의 대기 전력 차단 모드로부터의 자동 복귀 방법에 대하여 개시합니다.Referring to the prior documen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30869), the prior document discloses a method of automatically returning from the standby power cutoff mode of a home appliance.

그러나, 선행문헌은, 별도의 대기전력차단제어기를 추가로 구비해야 하며, 상기 대기전력차단제어기가 리모콘의 작동신호를 수신하면, 가전기기의 대기전력모드로부터 복귀하는 구성에 대해서 개시할 뿐입니다.However, the prior literature only discloses a configuration that requires an additional separate standby power blocking controller and returns from the standby power mode of the home appliance when the standby power blocking controller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즉, 선행문헌은, 복귀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대기전력차단제어기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In other words, the prior literature has a problem in that an additional standby power blocking controller is needed for recovery.

또한, 선행문헌은, 리모콘의 작동 신호만을 통해 복귀가 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Additionally, the prior literature has a problem in that restoration is possible only through an operating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본 발명의 목적은, 추가적인 대기전력차단제어기 없이도, 능동대기모드에 진입한 세탁물 처리기기를 일반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한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processing machine that can switch a laundry processing machine that has entered an active standby mode to a normal mode without an additional standby power blocking controll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회로를 추가하여, 능동대기모드를 일반모드로 최적화된 방법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한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device that can switch the active standby mode to the normal mode in an optimized manner by adding a simple circui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기 설정된 전력 이하로 전력이 인가되는 것에 근거하여, 슬립 모드에 진입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립 모드에 진입한 디스플레이부를 일반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전원부에서 공급된 교류전원을 상기 슬립 모드에서 일반모드로 전환하는데 필요한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를 더 포함한다.A display unit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enter a sleep mode based on power being applied to the display unit below a preset power, and to switch the display unit that has entered the sleep mode to a normal mode. It further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alternating current power to the display unit, and a signal conversion unit provided between the power unit and the display unit, and converting the AC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unit into a signal required to switch from the sleep mode to the normal mode.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슬립 모드에 진입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를 능동대기모드에 진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cause the laundry treatment machine to enter an active standby mode based on the display unit entering a sleep mode.

상기 신호 변환부에서 변환된 상기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일반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를 능동대기모드에서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signal converted by the signal conversion unit is applied to the display unit, the display unit is switched to a normal mode, and the control unit releases the laundry treatment machine from the active standby mode.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변환부는, 상기 전원부에서 수신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정류부에서 변환된 직류전원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고, 엣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버퍼부를 포함 한다.In an embodiment, the signal conversion unit includes a rectifier that converts the AC power received from the power unit into DC power, and a buffer unit that removes noise from the DC power converted by the rectifier, generates an edge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display unit. Includes.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는, 상기 교류전원에서 플러스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다이오드부 및 상기 통과된 플러스 신호를 직류전원으로 생성하는 캐패시터부를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the rectifier unit includes a diode unit that passes only positive signals from the AC power and a capacitor unit that generates the passed positive signals as DC power.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부는, 캐패시터 및 두 개의 다이오드를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the diode unit includes a capacitor and two diodes.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터부는, 상기 다이오드부 및 그라운드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직류전원을 생성하고, 리플을 제거한다.In an embodiment, the capacitor part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diode part and the ground, generates the direct current power, and removes ripple.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버퍼부는, 상기 직류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엣지신호를 생성하는 버퍼 및 상기 엣지신호를 레벨 시프트시키는 레벨시프터를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the buffer unit includes a buffer that removes noise from the direct current power and generates an edge signal, and a level shifter that level-shifts the edge signal.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버퍼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슬립 모드를 일반모드로 전환하는 엣지 신호를 형성하도록 상기 직류전원을 반전시킨다.In an embodiment, the buffer inverts the direct current power to form an edge signal that switches the sleep mode of the display unit to a normal mode.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레벨시프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동작 전압에 대응되도록, 상기 엣지신호의 크기를 조절한다.In an embodiment, the level shifter adjusts the size of the edge signal to correspond to the operating voltage of the display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별도의 추가적인 구성인 대기전력차단제어기를 구비하지 않고도, 전원부와 디스플레이부 사이의 간단한 회로만을 추가하여, 세탁물 처리기기를 능동대기모드에서 해제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부를 슬립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는 웨이크업(Wake up)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개선된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having a standby power blocking controller, which is a separate additional component, only a simple circuit is added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display unit, and the display unit is switched from the sleep mode to release the laundry processing machine from the active standby mode. An improved circuit can be provided that can generate a wake up signal that can switch to normal mo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탁조의 일측에 형성된 볼 밸런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세탁물 처리기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모터 구동부의 내부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인버터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슬립 모드에 진입한 디스플레이부를 일반 모드로 전환시키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 변환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undry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all balancer formed on one side of the washing tub of FIG. 1.
FIG. 3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of FIG. 1.
FIG. 4 is an internal circuit diagram of the motor driving unit of FIG. 3.
Figure 5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inverter control unit of Figure 4.
Figures 6 and 7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 signal conversion unit for generating a signal that switches the display unit that has entered the sleep mode to the normal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simply given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of writing this specification, and do not in themselves give any particularly important meaning or role. Accordingly, the terms “module” and “uni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simply given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of writing this specification, and do not in themselves give any particularly important meaning or role. Accordingly, the terms “module” and “uni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undry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포가 전면(front) 방향으로 세탁조 내로 삽입되는 프론트 로드(front load) 방식의 세탁물 처리기기이다.Referring to FIG. 1, the laundry processing machi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ont load type laundry processing machine in which the laundry is inserted into the washing tub in the front direction.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드럼식 세탁물 처리기기로서,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10)과, 케이싱(110) 내부에 배치되며 케이싱(110)에 의해 지지되는 저수조(또는, 터브)(120)와, 세탁조(122) 내부에 배치되며 포가 세탁되는 세탁조(또는, 드럼)(122)과, 세탁조(122)를 구동시키는 모터(130)와, 캐비닛 본체(111) 외측에 배치되며 케이싱(110)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수 공급장치(미도시)와, 저수조(120) 하측에 형성되어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laundry processing machine 100 is a drum-type laundry processing machine, which includes a casing 110 that forms the exterior of the laundry processing machine 100, and is disposed inside the casing 110 and includes the casing 110. A water storage tank (or tub) 120 supported by a washing tank (or drum) 122 disposed inside the washing tank 122 and in which clothes are washed, and a motor 130 that drives the washing tub 122, A washing water supply device (not shown)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cabinet body 111 and supplying washing water into the casing 110, and a drainage device (not shown)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water storage tank 120 to discharge the washing water to the outside. ) includes.

세탁조(122)에는 세탁수가 통과되도록 복수개의 통공(122A)이 형성되며, 세탁조(122)의 회전시 세탁물이 일정 높이로 들어 올려진 후, 중력에 의해 낙하되도록 세탁조(122)의 내 측면에 리프터(124)가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2A are formed in the washing tub 122 to allow washing water to pass through, and when the washing tub 122 rotates, the laundry is lifted to a certain height and then falls by gravity. There is a lifter on the inner side of the washing tub 122. (124) can be placed.

케이싱(110)은, 캐비닛 본체(111)와, 캐비닛 본체(111)의 전면에 배치되어 결합하는 캐비닛 커버(112)와, 캐비닛 커버(112) 상측에 배치되며 캐비닛 본체(111)와 결합하는 컨트롤패널(115)과, 컨트롤패널(115) 상측에 배치되며 캐비닛 본체(111)와 결합하는 탑플레이트(116)를 포함한다.The casing 110 includes a cabinet body 111, a cabinet cover 112 disposed and coupled to the front of the cabinet body 111, and a control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binet cover 112 and coupled to the cabinet body 111. It includes a panel 115 and a top plate 116 that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trol panel 115 and coupled to the cabinet body 111.

캐비닛 커버(112)는 포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포 출입홀(114)과, 포 출입홀(114)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어(113)를 포함한다.The cabinet cover 112 includes a bag entrance hole 114 formed to allow the bag to enter and exit, and a door 113 disposed to be rotatable left and right to allow the bag entrance hole 114 to be opened and closed.

컨트롤패널(115)은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운전상태를 조작하는 조작키들(117)과, 조작키들(117)의 일측에 배치되며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18)를 포함한다.The control panel 115 includes operation keys 117 that manipulate the operating state of the laundry processing machine 100, and a display 118 tha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operating keys 117 and displays the operating state of the laundry processing machine 100. ) includes.

컨트롤패널(115) 내의 조작키들(117) 및 디스플레이(118)는 제어부(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부(미도시)는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각 구성요소등을 전기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미도시)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4의 제어부(210)의 동작을 참조하여 생략한다.The operation keys 117 and the display 118 in the control panel 115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trol unit (not shown), and the control unit (not shown) electrically controls each component of the laundry treatment machine 100. .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not shown) is omitted with reference to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210 in FIG. 4.

한편, 세탁조(122)에는 오토 밸런스가 구비될 수 있다. 오토 밸런서(auto balancer)는 세탁조(122) 내에 수용된 세탁물의 편심량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것으로, 액체 밸런서, 볼 밸런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washing tank 122 may be equipped with an auto balance. The auto balancer is intended to reduce vibration that occurs depending on the amount of eccentricity of the laundry contained in the washing tub 122, and can be implemented as a liquid balancer, ball balancer, etc.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세탁조(122)의 진동량 또는 케이싱(110)의 진동량을 측정하는 진동 감지부(도 2의 197)를 더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laundry treatment machine 100 may further include a vibration detection unit (197 in FIG. 2) that measures the amount of vibration of the washing tub 122 or the amount of vibration of the casing 110.

도 2는 도 1의 세탁조의 일측에 형성된 볼 밸런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all balancer formed on one side of the washing tub of FIG. 1.

도면을 참조하면,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세탁조(122)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며, 복수의 볼(143aa~143ae)과, 복수의 볼(143aa~143ae)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41a)를 구비하는 볼 밸런서(140)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laundry processing machine 100 is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washing tub 122, includes a plurality of balls 143aa to 143ae, and a guide portion that guides the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balls 143aa to 143ae ( A ball balancer 140 including 141a) may be provided.

도면에서는, 세탁조(122)의 양측 단부(145a,145b) 중 도어(113) 방향의 제1 측 단부(145a)에, 볼 밸런서(140)가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In the drawing, the ball balancer 140 is disposed at the first side end 145a in the direction toward the door 113 among both ends 145a and 145b of the washing tub 122.

세탁조(122)의 회전시, 가이드부(141a) 내의 복수의 볼(143aa~143ae)은, 세탁조(122) 내의 포의 이동 방향과 반대로 이동하여, 세탁조(122)의 언발란스(unbalance)를 개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washing tub 122 rotates, the plurality of balls 143aa to 143ae in the guide portion 141a move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laundry in the washing tub 122, thereby improving the unbalance of the washing tub 122. can perform its role.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세탁조(122)의 양측 단부(145a,145b) 중 도어(113) 반대 방향의 제2 측 단부(145b)에, 볼 밸런서(140)가 더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ball balancer 140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second end 145b of the both ends 145a and 145b of the washing tub 122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oor 113.

한편, 도면에서는, 저수조(120)의 제1 측 단부(145a)에, 저수조(120)의 진동량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197)가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Meanwhile, the drawing illustrates that a vibration detection unit 197 that detects the amount of vibration of the water tank 120 is disposed at the first side end 145a of the water tank 120.

진동 감지부(197)에서 감지된 저수조(120)의 진동량 정보는, 제어부(210)로 전달될 수 있다.Information on the amount of vibration of the water storage tank 120 detected by the vibration detection unit 197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10.

도 3은 도 1의 세탁물 처리기기의 내부 블록도이다.FIG. 3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of FIG. 1.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세탁조(122)를 회전시키는 모터(230)와, 모터(230)를 구동하는 구동부(220)와, 조작키(117)와, 디스플레이(118)와, 세탁조(122)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197)와, 세탁물 처리기기(100) 내의 각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210)를 구비할 수 있다.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laundry treatment machine 100 includes a motor 230 that rotates the washing tub 122, a drive unit 220 that drives the motor 230, an operation key 117, and a display ( 118), a vibration detection unit 197 that detects vibration of the washing tub 122, and a control unit 210 that controls each unit in the laundry treatment machine 100.

특히, 제어부(210)는, 모터 구동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210 can control the motor driving unit 220.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제어부(210)의 제어 동작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10)는, 모터 구동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machine 100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210.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210 can control the motor driving unit 220.

모터 구동부(220)는, 모터(230)를 구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세탁조(122)에 모터(230)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The motor driving unit 220 drives the motor 230. Accordingly, the washing tub 122 is rotated by the motor 230.

제어부(210)는, 조작키(117)로부터 동작 신호를 입력받아 동작을 한다. 이에 따라, 세탁, 헹굼, 탈수 행정이 수행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10 operates by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operation key 117. Accordingly, washing, rinsing, and dehydration operations can be performed.

또한,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118)를 제어하여, 세탁 코스, 세탁 시간, 탈수 시간, 헹굼 시간 등, 또는 현재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210 may control the display 118 to display the washing course, washing time, spin-drying time, rinsing time, etc., or the current operating state.

한편, 제어부(210)는, 모터 구동부(220)를 제어하며, 모터 구동부(220)는, 모터(230)를 동작시키도록 제어한다. 이때, 모터(230) 내부 또는 외부에는, 모터의 회전자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 감지부가 구비되지 않는다. 즉, 모터 구동부(220)는, 센서리스(sensorless) 방식에 의해 모터(230)를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210 controls the motor driving unit 220, and the motor driving unit 220 controls the motor 230 to operate. At this time, a posi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rotor of the motor is not provided inside or outside the motor 230. That is, the motor driver 220 can control the motor 230 in a sensorless manner.

모터 구동부(220)는, 모터(230)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인버터(미도시), 및 인버터 제어부(미도시), 모터(230)에 흐르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전류 검출부(도 4의 E)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모터 구동부(220)는, 인버터(미도시)에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컨버터 등을 더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The motor drive unit 220 is for driving the motor 230, and includes an inverter (not shown), an inverter control unit (not shown), and an output current detection unit (E in FIG. 4) that detects the output current flowing in the motor 230. ) can be provided. Additionally, the motor drive unit 220 may be a concept that further includes a converter that supplies direct current power input to an inverter (not shown).

예를 들어, 모터 구동부(220) 내의 인버터 제어부(도 4의 430)는, 출력 전류(io)에 기초하여, 모터(230)의 회전자 위치를 추정한다. 그리고, 추정된 회전자 위치에 기초하여, 모터(230)가 회전하도록 제어한다.For example, the inverter control unit (430 in FIG. 4) in the motor driving unit 220 estimates the rotor position of the motor 230 based on the output current (io). Then, based on the estimated rotor position, the motor 230 is controlled to rotate.

구체적으로, 인버터 제어부(도 4의 430)가, 출력 전류(io)에 기초하여, 펄스폭 변조(PWM) 방식의 스위칭 제어 신호(도 4의 Sic)를 생성하여, 인버터(미도시)로 출력하면, 인버터(미도시)는 고속 스위칭 동작을 하여, 소정 주파수의 교류 전원을 모터(230)에 공급한다. 그리고, 모터(230)는, 소정 주파수의 교류 전원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inverter control unit (430 in FIG. 4) generates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switching control signal (Sic in FIG. 4) based on the output current (io) and outputs it to the inverter (not shown). Then, the inverter (not shown) performs a high-speed switching operation and supplies AC power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to the motor 230. And the motor 230 is rotated by AC power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모터 구동부(220)에 대해서는 도 4을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motor driving unit 22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 .

한편, 제어부(210)는, 전류 검출부(220)에서 검출된 전류(io) 등에 기초하여, 포량을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조(122)가 회전하는 동안에, 모터(230)의 전류값(io)에 기초하여 포량을 연산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210 may calculate the weight of the laundry based on the current (io) detected by the current detection unit 220. For example, while the washing tub 122 rotates, the laundry weight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current value (io) of the motor 230.

한편, 제어부(210)는, 세탁조(122)의 편심량, 즉 세탁조(122)의 언밸런스(unbalance; UB)(또는, UB량)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편심량 감지는, 전류 검출부(220)에서 검출된 전류(io)의 리플 성분 또는 세탁조(122)의 회전 속도 변화량에 기초하여, 수행되거나, 진동 감지부(197)에서 측정된 저수조(120)의 진동량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210 may detect the amount of eccentricity of the washing tub 122, that is, the unbalance (UB) (or amount UB) of the washing tub 122. This eccentricity detec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ripple component of the current (io) detected by the current detector 220 or the change in rotational speed of the washing tub 122, or the water storage tank 120 measured by the vibration detector 197. It can be performed based on the amount of vibration.

또한, 상기 세탁조(122)의 편심량은, 세탁조(122)에 수용된 세탁물(포)의 상태(예를 들어, 포량, 포질, 포 뭉침 정도, 함습률, 포 배치 상태, 포 뭉침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UB량(또는 UB정도)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mount of eccentricity of the washing tub 122 depends on the state of the laundry (laid) accommodated in the washing tub 122 (e.g., laundry weight, fabric quality, degree of agglomeration, moisture content, state of fabric arrangement, state of aggregation, etc.). It may vary, and can be understood as the UB amount (or UB degree) described below.

한편, 진동 감지부(197)는, 저수조(120)의 진동량을 감지할 수 있다. 진동 감지부(197)에서 감지된 저수조(120)의 진동량 정보는, 제어부(210)로 전달될 수 있다.Meanwhile, the vibration detection unit 197 can detect the amount of vibration of the water storage tank 120.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vibration of the water storage tank 120 detected by the vibration detection unit 197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10.

상기 진동 감지부(197)는, 진동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센서는, 6축 진동센서일 수 있으며, 상기 6축은, 전방의 x,y,z축 및 후방의 x,y,z축을 의미할 수 있다.The vibration detection unit 197 may include a vibration sensor. The vibration sensor may be a 6-axis vibration sensor, and the 6-axis may refer to the front x, y, and z axes and the rear x, y, and z axes.

즉, 상기 진동 감지부(197)는, 6축 진동센서일 수 있으며, 세탁조(122)를 수용하는 저수조에 구비되어, 세탁조(122)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저수조(120)의 진동량을 상기 6축별로 분산하여 측정할 수 있다.That is, the vibration detection unit 197 may be a 6-axis vibration sensor and is provided in the water storage tank that accommodates the washing tank 122, and detects the amount of vibration of the water storage tank 120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washing tank 122. Measurements can be distributed across 6 axes.

이후, 제어부(210)는, 상기 진동센서에서 측정된 6축에 대한 진동량을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입력하여, 세탁조(122)의 편심량(즉, UB량)을 결정할 수 있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210 may determine the amount of eccentricity (i.e., the amount of UB) of the washing tub 122 by inputting the amount of vibration on the six axes measured by the vibration sensor into a preset algorithm.

도 4은 도 3의 모터 구동부의 내부 회로도이다.FIG. 4 is an internal circuit diagram of the motor driving unit of FIG. 3.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동부(220)는, 센서리스 방식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컨버터(410), 인버터(420), 인버터 제어부(430), dc 단 전압 검출부(B), 평활 커패시터(C), 출력전류 검출부(E), 출력전압 검출부(F)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터 구동부(220)는, 입력 전류 검출부(A), 리액터(L)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motor drive uni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driving a sensorless motor and includes a converter 410, an inverter 420, an inverter control unit 430, and a DC terminal. It may include a voltage detection unit (B), a smoothing capacitor (C), an output current detection unit (E), and an output voltage detection unit (F). Additionally, the motor driving unit 220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current detection unit (A), a reactor (L), etc.

리액터(L)는, 상용 교류 전원(405, vs)과 컨버터(410) 사이에 배치되어, 역률 보정 또는 승압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리액터(L)는 컨버터(410)의 고속 스위칭에 의한 고조파 전류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reactor L is disposed between the commercial AC power source 405 (vs) and the converter 410 to perform power factor correction or boosting operation. Additionally, the reactor L may perform a function of limiting harmonic current caused by high-speed switching of the converter 410.

입력 전류 검출부(A)는, 상용 교류 전원(405)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전류(is)를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입력 전류 검출부(A)로, CT(current trnasformer), 션트 저항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검출되는 입력 전류(is)는,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인버터 제어부(430)에 입력될 수 있다.The input current detection unit (A) can detect the input current (is) input from the commercial AC power supply 405. For this purpose, a CT (current trnasformer), shunt resistor, etc. may be used as the input current detection unit (A). The detected input current (is) may be input to the inverter control unit 430 as a discrete signal in the form of a pulse.

컨버터(410)는, 리액터(L)를 거친 상용 교류 전원(405)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면에서는 상용 교류 전원(405)을 단상 교류 전원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삼상 교류 전원일 수도 있다. 상용 교류 전원(405)의 종류에 따라 컨버터(410)의 내부 구조도 달라진다.The converter 410 converts the commercial AC power 405 that has passed through the reactor L into direct current power and outputs it. In the drawing, the commercial AC power source 405 is shown as a single-phase AC power source, but it may also be a three-phase AC power sourc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nverter 410 also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commercial AC power source 405.

한편, 컨버터(410)는, 스위칭 소자 없이 다이오드 등으로 이루어져, 별도의 스위칭 동작 없이 정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onverter 410 may be made of a diode or the like without a switching element, and may perform a rectification operation without a separate switching operation.

예를 들어, 단상 교류 전원인 경우, 4개의 다이오드가 브릿지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삼상 교류 전원인 경우, 6개의 다이오드가 브릿지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ingle-phase AC power source, four diodes can be used in a bridge form, and in the case of a three-phase AC power source, six diodes can be used in a bridge form.

한편, 컨버터(410)는, 예를 들어, 2개의 스위칭 소자 및 4개의 다이오드가 연결된 하프 브릿지형의 컨버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삼상 교류 전원의 경우, 6개의 스위칭 소자 및 6개의 다이오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onverter 410 may be, for example, a half-bridge type converter in which two switching elements and four diodes are connected, and in the case of three-phase AC power, six switching elements and six diodes may be used. .

컨버터(410)가,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경우, 해당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승압 동작, 역률 개선 및 직류전원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converter 410 includes a switching element, it can perform a boosting operation, power factor improvement, and direct current power conversion by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ing element.

평활 커패시터(C)는, 입력되는 전원을 평활하고 이를 저장한다. 도면에서는, 평활 커패시터(C)로 하나의 소자를 예시하나, 복수개가 구비되어, 소자 안정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The smoothing capacitor (C) smoothes the input power and stores it. In the drawing, a single device is illustrated as a smoothing capacitor (C), but multiple devices may be provided to ensure device stability.

한편, 도면에서는, 컨버터(410)의 출력단에 접속되는 것으로 예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직류 전원이 바로 입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태양 전지로부터의 직류 전원이 평활 커패시터(C)에 바로 입력되거나 직류/직류 변환되어 입력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예시된 부분을 위주로 기술한다.Meanwhile, in the drawing, it is illustrated a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nverter 410,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direct current power may be directly input. For example, direct current power from a solar cell is connected to the smoothing capacitor (C). It can be input directly or converted to direct current/direct current. Below, the description will mainly focus on the par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한편, 평활 커패시터(C) 양단은, 직류 전원이 저장되므로, 이를 dc 단 또는 dc 링크단이라 명명할 수도 있다.Meanwhile, since direct current power is stored at both ends of the smoothing capacitor (C), it may also be called a dc end or dc link end.

dc 단 전압 검출부(B)는 평활 커패시터(C)의 양단인 dc 단 전압(Vdc)을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dc 단 전압 검출부(B)는 저항 소자, 증폭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되는 dc 단 전압(Vdc)은,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인버터 제어부(430)에 입력될 수 있다.The dc terminal voltage detector (B) can detect the dc terminal voltage (Vdc) at both ends of the smoothing capacitor (C). To this end, the DC terminal voltage detection unit (B) may include a resistor element, an amplifier, etc. The detected DC terminal voltage (Vdc) may be input to the inverter control unit 430 as a discrete signal in the form of a pulse.

인버터(420)는, 복수개의 인버터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평활된 직류 전원(Vdc)을 소정 주파수의 삼상 교류 전원(va,vb,vc)으로 변환하여, 삼상 동기 모터(230)에 출력할 수 있다.The inverter 4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verter switching elements and converts the smoothed direct current power (Vdc) into three-phase alternating current power (va, vb, vc)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by the on/off operation of the switching elements, It can be output to the synchronous motor 230.

인버터(420)는, 각각 서로 직렬 연결되는 상암 스위칭 소자(Sa,Sb,Sc) 및 하암 스위칭 소자(S'a,S'b,S'c)가 한 쌍이 되며, 총 세 쌍의 상,하암 스위칭 소자가 서로 병렬(Sa&S'a,Sb&S'b,Sc&S'c)로 연결된다. 각 스위칭 소자(Sa,S'a,Sb,S'b,Sc,S'c)에는 다이오드가 역병렬로 연결된다.The inverter 420 consists of a pair of upper arm switching elements (Sa, Sb, Sc) and lower arm switching elements (S'a, S'b, S'c) that are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nd a total of three pairs of upper and lower arm switching elements. The switching elements are connected in parallel (Sa&S'a, Sb&S'b, Sc&S'c). A diode is connected in anti-parallel to each switching element (Sa, S'a, Sb, S'b, Sc, S'c).

인버터(420) 내의 스위칭 소자들은 인버터 제어부(430)로부터의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에 기초하여 각 스위칭 소자들의 온/오프 동작을 하게 된다. 이에 의해, 소정 주파수를 갖는 삼상 교류 전원이 삼상 동기 모터(230)에 출력되게 된다.The switching elements in the inverter 420 perform on/off operations based on the inverter switching control signal (Sic) from the inverter control unit 430. As a result, three-phase AC power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is output to the three-phase synchronous motor 230.

인버터 제어부(430)는, 센서리스 방식을 기반으로, 인버터(4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버터 제어부(430)는, 출력전류 검출부(E)에서 검출되는 출력전류(io)와, 출력전압 검출부(F)에서 검출되는 출력전압(vo)를 입력받을 수 있다.The inverter control unit 430 may control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inverter 420 based on a sensorless method. To this end, the inverter control unit 430 can receive the output current (io) detected by the output current detector (E) and the output voltage (vo) detected by the output voltage detector (F).

인버터 제어부(430)는, 인버터(4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를 인버터(420)에 출력한다.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는 펄스폭 변조 방식(PWM)의 스위칭 제어신호로서, 출력전류 검출부(E)에서 검출되는 출력전류(io)와, 출력전압 검출부(F)에서 검출되는 출력전압(vo)을 기초로 생성되어 출력된다.The inverter control unit 430 outputs an inverter switching control signal (Sic) to the inverter 420 in order to control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inverter 420. The inverter switching control signal (Sic) is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switching control signal, which includes the output current (io) detected by the output current detector (E) and the output voltage (vo) detected by the output voltage detector (F). ) is created and output based on.

출력전류 검출부(E)는, 인버터(420)와 삼상 모터(230) 사이에 흐르는 출력전류(io)를 검출한다. 즉, 모터(230)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한다. 출력전류 검출부(E)는 각 상의 출력 전류(ia,ib,ic)를 모두 검출할 수 있으며, 또는 삼상 평형을 이용하여 두 상의 출력 전류를 검출할 수도 있다.The output current detection unit (E) detects the output current (io) flowing between the inverter 420 and the three-phase motor 230. That is, the current flowing in the motor 230 is detected. The output current detection unit (E) can detect all output currents (ia, ib, ic) of each phase, or can detect the output currents of two phases using three-phase balance.

출력전류 검출부(E)는 인버터(420)와 모터(2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전류 검출을 위해, CT(current trnasformer), 션트 저항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output current detection unit (E) may be located between the inverter 420 and the motor 230, and a current trnasformer (CT), a shunt resistor, etc. may be used to detect the current.

션트 저항이 사용되는 경우, 3개의 션트 저항이, 인버터(420)와 동기 모터(230) 사이에 위치하거나, 인버터(420)의 3개의 하암 스위칭 소자(S'a,S'b,S'c)에 일단이 각각 접속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삼상 평형을 이용하여, 2개의 션트 저항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1개의 션트 저항이 사용되는 경우, 상술한 커패시터(C)와 인버터(420) 사이에서 해당 션트 저항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If shunt resistors are used, three shunt resistors are located between the inverter 420 and the synchronous motor 230, or are connected to the three lower arm switching elements (S'a, S'b, and S'c of the inverter 420). ) It is possible for one en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using three-phase balance, it is also possible for two shunt resistors to be used. Meanwhile, when one shunt resistor is used, it is also possible for the shunt resistor to be disposed between the above-described capacitor C and the inverter 420.

검출된 출력전류(io)는,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인버터 제어부(430)에 인가될 수 있으며, 검출된 출력전류(io)에 기초하여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가 생성된다. 이하에서는 검출된 출력전류(io)가 삼상의 출력 전류(ia,ib,ic)인 것으로 병행하여 기술할 수도 있다.The detected output current (io) is a discrete signal in the form of a pulse and can be applied to the inverter control unit 430, and an inverter switching control signal (Sic) is generated based on the detected output current (io). do. Hereinafter, the detected output current (io) may be described in parallel as the three-phase output current (ia, ib, ic).

한편, 삼상 모터(230)는, 고정자(stator)와 회전자(rotar)를 구비하며, 각상(a,b,c 상)의 고정자의 코일에 소정 주파수의 각상 교류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자가 회전을 하게 된다.Meanwhile, the three-phase motor 230 is provided with a stator and a rotor, and each phase AC power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is applied to the coil of the stator of each phase (phase a, b, and c), so that the rotor rotates. will do.

이러한 모터(230)는, 예를 들어, 표면 부착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Surface-Mounted Permanent-Magnet Synchronous Motor; SMPMSM), 매입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Interi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IPMSM), 및 동기 릴럭턴스 전동기(Synchronous Reluctance Motor; Synr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SMPMSM과 IPMSM은 영구자석을 적용한 동기 전동기(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PMSM)이며, Synrm은 영구자석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These motors 230 include, for example, a Surface-Mounted Permanent-Magnet Synchronous Motor (SMPMSM), an Interi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IPMSM), and a synchronous relay. It may include a synchronous reluctance motor (Synrm), etc. Among these, SMPMSM and IPMSM are synchronous motors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PMSM)) using permanent magnets, while Synrm is characterized by having no permanent magnets.

한편, 인버터 제어부(430)는, 컨버터(410)가 스위치 소자를 구비하는 경우, 컨버터(410) 내의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버터 제어부(430)는, 입력 전류 검출부(A)에서 검출되는 입력 전류(is)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인버터 제어부(430)는, 컨버터(41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컨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cc)를 컨버터(41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컨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cc)는 펄스폭 변조(PWM) 방식의 스위칭 제어신호로서, 입력 전류 검출부(A)로부터 검출되는 입력 전류(is)를 기초로 생성되어 출력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converter 410 includes a switch element, the inverter control unit 430 can control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ing element within the converter 410. To this end, the inverter control unit 430 may receive the input current (is) detected by the input current detection unit (A). And, the inverter control unit 430 may output a converter switching control signal (Scc) to the converter 410 in order to control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converter 410. This converter switching control signal (Scc) is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type switching control signal, and can be generated and output based on the input current (is) detected by the input current detector (A).

도 5는 도 4의 인버터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FIG. 5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inverter control unit of FIG. 4.

도 5를 참조하면, 인버터 제어부(430)는, 축변환부(510), 속도 연산부(520), 전류 지령 생성부(530), 전압 지령 생성부(540), 축변환부(550), 및 스위칭 제어신호 출력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inverter control unit 430 includes an axis conversion unit 510, a speed calculation unit 520, a current command generation unit 530, a voltage command generation unit 540, an axis conversion unit 550, and It may include a switching control signal output unit 560.

축변환부(510)는, 출력 전류 검출부(E)에서 검출된 출력 전류(ia,ib,ic)를 입력받아, 정지좌표계의 2상 전류(iα,iβ), 및 회전좌표계의 2상 전류(id,iq)로 변환할 수 있다.The axis conversion unit 510 receives the output current (ia, ib, ic) detected by the output current detection unit (E), and converts the two-phase current (iα, iβ) in the stationary coordinate system and the two-phase current in the rotating coordinate system ( id, iq).

한편, 축변환부(510)는, 변환된, 정지좌표계의 2상 전류(iα,iβ)와 정지좌표계의 2상 전압(vα,vβ)와, 회전좌표계의 2상 전류(id,iq)와 회전좌표계의 2상 전압(vd,vq)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the axis conversion unit 510 converts the two-phase currents (iα, iβ) of the stationary coordinate system, the two-phase voltages (vα, vβ) of the stationary coordinate system, and the two-phase currents (id, iq) of the rotating coordinate system. The two-phase voltage (vd, vq) of the rotation coordinate system can be output externally.

속도 연산부(520)는, 축변환부(510)로부터, 축변환된, 정지좌표계의 2상 전류(iα,iβ)와 정지좌표계의 2상 전압(vα,vβ)을 입력받아, 모터(230)의 회전자 위치(θ)와, 속도(ω)를 연산할 수 있다.The speed calculation unit 520 receives the axis-converted two-phase current (iα, iβ) of the stationary coordinate system and the two-phase voltage (vα, vβ) of the stationary coordinate system from the axis conversion unit 510, and generates the motor 230. The rotor position (θ) and speed (ω) can be calculated.

한편, 전류 지령 생성부(530)는, 연산 속도()와 속도 지령치(ω*r)에 기초하여, 전류 지령치(i*q)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전류 지령 생성부(530)는, 연산 속도()와 속도 지령치(ω*r)의 차이에 기초하여, PI 제어기(535)에서 PI 제어를 수행하며, 전류 지령치(i*q)를 생성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전류 지령치로, q축 전류 지령치(i*q)를 예시하나, 도면과 달리, d축 전류 지령치(i*d)를 함께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d축 전류 지령치(i*d)의 값은 0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urrent command generator 530 generates a current command value (i*q) based on the calculation speed () and the speed command value (ω*r). For example, the current command generator 530 performs PI control in the PI controller 535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alculation speed () and the speed command value (ω*r), and the current command value (i*q) can be created. In the drawing, the q-axis current command value (i*q) is exemplified as the current command value, but unlike the drawing, it is also possible to generate the d-axis current command value (i*d). Meanwhile, the value of the d-axis current command value (i*d) may be set to 0.

한편, 전류 지령 생성부(530)는, 전류 지령치(i*q)가 허용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그 레벨을 제한하는 리미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urrent command generator 530 may further include a limiter (not shown) that limits the level of the current command value (i*q) so that it does not exceed the allowable range.

다음, 전압 지령 생성부(540)는, 축변환부에서 2상 회전 좌표계로 축변환된 d축, q축 전류(id,iq)와, 전류 지령 생성부(530) 등에서의 전류 지령치(i*d,i*q)에 기초하여, d축, q축 전압 지령치(v*d,v*q)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압 지령 생성부(540)는, q축 전류(iq)와, q축 전류 지령치(i*q)의 차이에 기초하여, PI 제어기(544)에서 PI 제어를 수행하며, q축 전압 지령치(v*q)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압 지령 생성부(540)는, d축 전류(id)와, d축 전류 지령치(i*d)의 차이에 기초하여, PI 제어기(548)에서 PI 제어를 수행하며, d축 전압 지령치(v*d)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d축 전압 지령치(v*d)의 값은, d축 전류 지령치(i*d)의 값은 0으로 설정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0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Next, the voltage command generator 540 generates the d-axis and q-axis currents (id, iq) converted to a two-phase rotation coordinate system in the axis conversion unit, and the current command value (i*) from the current command generator 530, etc. Based on d,i*q), d-axis and q-axis voltage command values (v*d,v*q) can be generated. For example, the voltage command generator 540 performs PI control in the PI controller 544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q-axis current (iq) and the q-axis current command value (i*q). A voltage setpoint (v*q) can be generated. In addition, the voltage command generator 540 performs PI control in the PI controller 548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d-axis current (id) and the d-axis current command value (i*d), and the d-axis voltage command value (v*d) can be created. Meanwhile, the value of the d-axis voltage command value (v*d) may be set to 0, corresponding to the case where the value of the d-axis current command value (i*d) is set to 0.

한편, 전압 지령 생성부(540)는, d 축, q축 전압 지령치(v*d,v*q)가 허용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그 레벨을 제한하는 리미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voltage command generator 540 may further include a limiter (not shown) that limits the level of the d-axis and q-axis voltage command values (v*d, v*q) so that they do not exceed the allowable range. .

한편, 생성된 d축, q축 전압 지령치(v*d,v*q)는, 축변환부(550)에 입력될 수 있다.Meanwhile, the generated d-axis and q-axis voltage command values (v*d, v*q) may be input to the axis conversion unit 550.

축변환부(550)는, 속도 연산부(520)에서 연산 위치()와, d축, q축 전압 지령치(v*d,v*q)를 입력받아, 축변환을 수행한다.The axis conversion unit 550 receives the calculation position () and d-axis and q-axis voltage command values (v*d, v*q) from the speed calculation unit 520 and performs axis conversion.

먼저, 축변환부(550)는, 2상 회전 좌표계에서 2상 정지 좌표계로 변환을 수행한다. 이때, 속도 연산부(520)에서 연산 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First, the axis conversion unit 550 performs conversion from a two-phase rotating coordinate system to a two-phase stationary coordinate system. At this time, the calculation position () may be used in the speed calculation unit 520.

그리고, 축변환부(550)는, 2상 정지 좌표계에서 3상 정지 좌표계로 변환을 수행한다. 이러한 변환을 통해, 축변환부(1050)는, 3상 출력 전압 지령치(v*a,v*b,v*c)를 출력할 수 있다.Then, the axis conversion unit 550 performs conversion from a two-phase stationary coordinate system to a three-phase stationary coordinate system. Through this conversion, the axis conversion unit 1050 can output three-phase output voltage command values (v*a, v*b, v*c).

스위칭 제어 신호 출력부(560)는, 3상 출력 전압 지령치(v*a,v*b,v*c)에 기초하여 펄스폭 변조(PWM) 방식에 따른 인버터용 스위칭 제어 신호(Sic)를 생성하여 출력한다.The switching control signal output unit 560 generates a switching control signal (Sic) for the inverter according to the pulse width modulation (PWM) method based on the three-phase output voltage command values (v*a, v*b, v*c). and print it out.

출력되는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ic)는, 게이트 구동부(미도시)에서 게이트 구동 신호로 변환되어, 인버터(420) 내의 각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에 입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인버터(420) 내의 각 스위칭 소자들(Sa,S'a,Sb,S'b,Sc,S'c)이 스위칭 동작을 할 수 있다.The output inverter switching control signal Sic may be converted into a gate driving signal by a gate driver (not shown) and input to the gate of each switching element in the inverter 420. As a result, each switching element (Sa, S'a, Sb, S'b, Sc, S'c) in the inverter 420 can perform a switching operation.

한편,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능동대기전력 이하의 전력이 인가되는 것에 근거하여, 능동대기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laundry treatment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nter the active standby mode based on the power being applied below the active standby power.

상기 능동대기전력이란, 세탁물 처리기기가 WIFI가 연결된 상태에서 능동대기모드로 진입한 후 외출을 하였을 경우, 사용자가 외부 장치를 통해 WIFI를 이용하여 세탁물 처리기기를 작동시킬 수 있는 상태(능동대기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전력을 의미한다.The active standby power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user can operate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using WIFI through an external device when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enters active standby mode while connected to WIFI and then goes out (active standby mode). ) refers to the power to enter.

상기 능동대기전력은 일 예로, 2W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ctive standby power may be 2W and may be set differently by the user.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상기 능동대기모드에 진입하기 위해(즉, 능동대기전력보다 낮은 전력이 인가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가 슬립 상태에 진입해야 한다. 이는, 디스플레이부가 슬립 상태에 진입해야, 대기전력이 낮아지게 되어, 능동대기모드에 진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nter the active standby mode (that is, in order for power lower than the active standby power to be applied), the display unit must enter a sleep state. This is because the display unit must enter the sleep state to lower the standby power and enter the active standby mode.

즉,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부(210)는, 능동대기전력(예를 들어, 2W) 이하를 만족시키기 위해, 대기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18)가 슬립 모드가 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8)를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210 of the laundry process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he display unit 118 so that the display unit 118 is in sleep mode in the standby state in order to satisfy the active standby power (e.g., 2W) or less. You can control it.

다시 말해,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부(118)에 기 설정된 전력 이하로 전력(또는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근거하여, 슬립 모드에 진입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8)를 제어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21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18 to enter the sleep mode based on power (or power) being applied to the display unit 118 below a preset power level.

또한,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슬립 모드에 진입한 디스플레이부(118)를 일반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로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alternating current power to the display unit 118 in order to switch the display unit 118 that has entered the sleep mode to the normal mode.

상기 전원부는, 세탁물 처리기기로 교류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원을 의미할 수 있으며, 외부 전원공급원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may refer to a power supply source that applies alternating current power to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and may include an external power supply source.

상기 전원부가 외부 전원공급원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전원부는, 상기 외부 전원공급원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커넥터(CON)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를 통해 인가된 전원은, 디스플레이부(118)는 물론, 세탁물 처리기기의 전원이 필요한 구성요소로 전송될 수 있다.When the power unit is formed from an external power supply source, the power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or (CON) for receiving pow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supply source. Power applied through the connector can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118 as well as components that require power of the laundry treatment machine.

한편,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의 디스플레이부(118)는, 슬립 모드(슬립 상태)에서 외부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슬립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unit 118 of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switch from the sleep mode to the normal mode when power is applied from the outside in the sleep mode (sleep state).

즉, 상기 슬립모드에서 일반모드로 전환된다는 것은, 슬립모드에서 깨어난다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In other words, switching from the sleep mode to the normal mode may mean waking up from the sleep mode.

상기 슬립모드에서 깨어나거나, 상기 슬립모드에서 일반모드로 전환되게 되면, 디스플레이부(118)에는, 상기 기 설정된 전력보다 많은 전력(또는 전원, 대기전력)이 공급되게 되어, 세탁물 처리기기는 능동대기모드에서 일반 동작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When waking up from the sleep mode or switching from the sleep mode to the normal mode, more power (or power, standby power) than the preset power is supplied to the display unit 118, and the laundry processing machine goes into active standby. mode enters the normal operation mode.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부(118)가 슬립 모드에 진입하는 것에 근거하여, 세탁물 처리기기를 능동대기모드에 진입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210 may cause the laundry treatment machine to enter the active standby mode based on the display unit 118 entering the sleep mode.

한편, 상기 전원부는, 교류전원을 인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종래에는, 상기 교류전원을 인가받더라도, 사각 파형만을 디스플레이부에 인가하도록 형성되어, 별도의 외부 장치(예를 들어, Micom) 없이는, 디스플레이부(118)를 슬립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불가능했다.Meanwhile, the power supply unit is configured to apply alternating current power. Conventionally, even when the AC power is applied, only a square waveform is applied to the display unit, making it impossible to switch the display unit 118 from sleep mode to normal mode without a separate external device (e.g., Micom). did.

그러나,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상기 전원부와 디스플레이부(118) 사이에 구비되며, 전원부에서 공급된 교류전원을 상기 슬립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하는데 필요한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600)를 더 포함한다.However,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gnal conversion unit 600 that is provided between the power unit and the display unit 118 and converts the AC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unit into a signal necessary to switch from the sleep mode to the normal mode. It further includes.

상기 신호 변환부(660)에서 변환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18)를 슬립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하는데 사용되는 신호를 의미하며, High -> Low 또는 Low -> High로 변화하는 적어도 한 번의 엣지(Edge)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The signal converted by the signal conversion unit 660 refers to a signal used to switch the display unit 118 from sleep mode to normal mode, and has at least one edge changing from High to Low or Low to High. (Edge) It can mean a signal.

신호 변환부(600)에서 변환된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18)에 인가되는 것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210)가 일반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일반 모드로 전환된 디스플레이부(210)에 인가되는 전력이, 능동대기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능동대기전력(또는, 기 설정된 전력)보다 커지게 되어, 제어부(210)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능동대기모드에서 해제할 수 있다(즉, 일반 동작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Based on the signal converted by the signal conversion unit 600 being applied to the display unit 118, the display unit 210 may be converted to the normal mode. In this case, the power applied to the display unit 210 converted to the normal mode becomes greater than the active standby power (or preset power) for entering the active standby mode, and the control unit 210 operates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can be released from active standby mode (i.e., can be switched to normal operating mode).

이와 같이, 세탁물 처리기기를 능동대기모드에서 일반 동작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슬립 모드에 진입한 디스플레이부(118)를 일반 모드로 전환해야 하는데,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별도의 외부 장치(Micom, 대기전력차단제어기)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회로만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18)를 슬립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In this way, in order to switch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from the active standby mode to the normal operation mode, the display unit 118 that has entered the sleep mode must be switched to the normal mode.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quires a separate external device ( The display unit 118 can be switched from sleep mode to normal mode using only a simple circuit, without using Micom (standby power cutoff controller).

이를 위한 신호 변환부(600)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전원부(또는 전원부에 포함된 커넥터)와 디스플레이부(118) 사이에 구비되면, 전원부에서 공급된 교류전원을 슬립 모드에서 일반모드로 전환하는데 필요한 신호(엣지 신호)로 변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ignal conversion unit 600 for this purpose, when provided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or the connector included in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display unit 118, switches the AC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from sleep mode to normal mode. It can be configured to convert into a necessary signal (edge signal).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슬립 모드에 진입한 디스플레이부를 일반 모드로 전환시키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 변환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Figures 6 and 7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 signal conversion unit for generating a signal that switches the display unit that has entered the sleep mode to the normal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신호 변환부(600)는, 전원부에서 수신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부(610) 및 상기 정류부(610)에서 변환된 직류전원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고, 엣지 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18)로 전송하는 버퍼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signal converter 600 removes noise from the rectifier 610, which converts the AC power received from the power supply into DC power, and the DC power converted by the rectifier 610, and converts the edge signal to It may include a buffer unit 620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it to the display unit 118.

상기 정류부(610)는, 교류전원에서 플러스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다이오드부(612) 및 상기 통과된 플러스 신호를 직류전원으로 생성(변환)하는 캐패시터부(614)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tifier 610 may include a diode unit 612 that passes only positive signals from AC power and a capacitor unit 614 that generates (converts) the passed positive signals into DC power.

상기 다이오드부(612)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캐패시터 및 두 개의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ode unit 612 may include a capacitor and two diodes, as shown in FIG. 6.

상기 다이오드부(612)는, 전원부로부터 교류전원이 인가되면,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마이너스(-) 신호를 필터링하여 플러스 신호(+)만을 통과시킬 수 있다.When AC power is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the diode unit 612 can filter out the negative (-) signal using a diode and allow only the positive signal (+) to pass.

상기 다이오드부(612)는 플러스 신호만을 통과시킨다는 측면에서 보면, 필터부로 명명될 수도 있다.The diode unit 612 may also be called a filter unit in that it passes only positive signals.

상기 캐패시터부(614)는, 상기 다이오드부(612)에서 통과된 플러스 신호를 직류전원으로 생성(변환)할 수 있다.The capacitor unit 614 can generate (convert) the positive signal passed from the diode unit 612 into direct current power.

상기 캐패시터부(614)는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적어도 두 개의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경우,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The capacitor unit 614 may include at least one capacitor, and as shown in FIG. 7, if it includes at least two capacitors, they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상기 캐패시터부(614)는, 상기 다이오드부(612) 및 그라운드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직류전원(직류신호)를 생성(변환)하고, 직류전원에 포함된 리플을 제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apacitor unit 614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diode unit 612 and the ground, and may be formed to generate (convert) DC power (DC signal) and remove ripples included in the DC power.

상기 캐패시터부(614)는, 상기 플러스 신호를 직류전원(즉, 직류 신호)를 생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직류전원(또는 직류 신호)에 포함된 리플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capacitor unit 614 can not only generate direct current power (i.e., a direct current signal) from the positive signal, but also serve to remove ripples included in the direct current power (or direct current signal).

상기 캐패시터부(614)는, 상기 직류전원(직류신호)에 포함된 리플을 제거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캐패시터부(614)가 상기 직류전원에 포함된 리플을 제거한다는 측면에서, 상기 캐패시터부(614)는, 평활부로 명명될 수도 있다.The capacitor unit 614 may be formed to remove ripple included in the direct current power (direct current signal). In that the capacitor unit 614 removes ripple included in the DC power supply, the capacitor unit 614 may be called a smoothing unit.

한편, 버퍼부(620)는, 직류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엣지신호를 생성하는 버퍼(622) 및 상기 엣지신호를 레벨 시프트시키는 레벨시프터(624)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buffer unit 620 may include a buffer 622 that removes noise from DC power and generates an edge signal, and a level shifter 624 that shifts the level of the edge signal.

구체적으로, 상기 버퍼(622)는, 디스플레이부(118)의 슬립 모드를 일반모드로 전환하는 엣지 신호를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버퍼(622)는, 상기 엣지 신호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캐패시터부(614)에서 생성된 직류전원을 반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직류전원이 Low -> High로 형성된 직류신호이면, 상기 직류전원이 High->Low의 형태가 되도록 상기 엣지 신호를 반전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buffer 622 may be formed to form an edge signal that switches the sleep mode of the display unit 118 to the normal mode. To this end, the buffer 622 may invert the direct current power generated in the capacitor unit 614 to form the edge signal. For example, if the DC power is a DC signal formed from Low to High, the edge signal can be inverted so that the DC power changes from High to Low.

또한, 상기 버퍼(622)는, 상기 직류 전원(직류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uffer 622 may be formed to remove noise included in the DC power source (DC signal).

상기 레벨시프터(624)는, 디스플레이부(118)의 동작 전압에 대응되도록, 엣지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level shifter 624 may be formed to adjust the size of the edge signal to correspond to the operating voltage of the display unit 118.

도 6에 도시된 CPU는, 디스플레이부(118)를 동작시키기 위한 CPU(또는, 프로세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8)와 제어부(21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CPU는, 상기 제어부(210)를 의미할 수도 있다.The CPU shown in FIG. 6 may refer to a CPU (or processor, microprocessor) for operating the display unit 118. When the display unit 118 and the control unit 210 are formed as one body, the CPU may refer to the control unit 210.

상기 디스플레이부(118)의 동작 전압은 디스플레이부(118)가 일반 모드에서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압을 의미한다.The operating voltage of the display unit 118 refers to the voltage used to operate the display unit 118 in normal mode.

일 예로, 상기 레벨시프터(624)는, 상기 직류전원으로부터 생성된 엣지신호의 크기가 5V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18)의 동작 전압이 3.3V인 경우, 상기 엣지신호의 크기를 상기 동작 전압에 대응되도록 조절(전환, 변환, 변경)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ize of the edge signal generated from the DC power supply is 5V and the operating voltage of the display unit 118 is 3.3V, the level shifter 624 changes the size of the edge signal to the operating voltage. It can be adjusted (converted, converted, changed) to correspond.

도 7을 참조하면, 전원부(또는 커넥터)를 통해 교류신호가 수신되면(파형 1), 본 발명의 신호 변환부(600)는, 정류부(610)를 통해 상기 교류신호를 직류신호로 변환하고(파형 2), 버퍼부(620)를 통해, 상기 직류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직류신호를 반전시켜, 디스플레이부(118)(또는, 디스플레이부의 CPU)를 동작시키기 위한 엣지신호(파형 3)를 생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when an AC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or connector) (waveform 1), the signal conversion unit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the AC signal into a DC signal through the rectifier unit 610 ( Waveform 2), through the buffer unit 620, the noise of the DC signal is removed, the DC signal is inverted, and an edge signal (waveform 3) is generated to operate the display unit 118 (or the CPU of the display unit). can be created.

이 ‹š, 상기 버퍼부(620)는, 레벨시프터(624)를 이용하여, 상기 반전된 엣지신호의 크기를 디스플레이부(118)(또는 디스플레이부의 CPU)의 동작 전압에 대응되도록 조절(변환, 변경, 전환)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uffer unit 620 uses the level shifter 624 to adjust (convert,) the size of the inverted edge signal to correspond to the operating voltage of the display unit 118 (or the CPU of the display unit). change, conversion) can be made.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Micom, 대기전력차단제어기와 같이 고가/고성능의 장비를 추가로 구비하지 않더라도, 상기 정류부(610)와 버퍼부(620)를 포함하는 간단한 신호 변환부(600)(회로)만을 통해 디스플레이부의 슬립 모드를 깨울 수 있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mple signal conversion unit 600 including the rectifier 610 and the buffer unit 620, even without additional expensive/high-performance equipment such as Micom and standby power cutoff controller. The display unit can be woken up from sleep mode only through (circuit).

또한, 세탁물 처리기기가 능동대기모드인 상태에서 외부로부터(예를 들어, 세탁물 처리기기의 전원 키, 또는 WIFI를 통해 세탁물 처리기기에 접근 가능한 단말기)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is in active standby mode, a signal to control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can be applied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the power key of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or a terminal that can access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through WIFI). there is.

이 경우,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신호 변환부의 간단한 회로만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슬립 모드를 일반 모드로 전환시키고, 이로 인해, 능동대기모드에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가 일반 동작 모드로 변환시킴으로써, 원활한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the sleep mode of the display unit to the normal mode using only the simple circuit of the signal conversion unit described above, thereby converting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in the active standby mode to the normal operation mode, thereby enabling smooth remote operation. Control can be performed.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별도의 추가적인 구성인 대기전력차단제어기를 구비하지 않고도, 전원부와 디스플레이부 사이의 간단한 회로만을 추가하여, 세탁물 처리기기를 능동대기모드에서 해제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부를 슬립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는 웨이크업(Wake up)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개선된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having a standby power blocking controller, which is a separate additional component, only a simple circuit is added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display unit, and the display unit is switched from the sleep mode to release the laundry processing machine from the active standby mode. An improved circuit can be provided that can generate a wake up signal that can switch to normal mode.

이상에서 설명한 세탁물 처리기기의 동작/기능은,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으로 동일/유사하게 유추적용될 수 있다.The operations/functions of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in the same/similar manner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laundry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are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한편,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의 동작방법은, 세탁물 처리기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method of operating the laundry process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processor-readable code on a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provided in the laundry processing machin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processor.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In addition,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idea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기 설정된 전력 이하로 전력이 인가되는 것에 근거하여, 슬립 모드에 진입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립 모드에 진입한 디스플레이부를 일반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전원부에서 공급된 교류전원을 상기 슬립 모드에서 일반모드로 전환하는데 필요한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호 변환부는,
상기 전원부에서 수신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부;및
상기 정류부에서 변환된 직류전원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고, 엣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버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퍼부는,
상기 직류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슬립 모드를 일반모드로 전환하는 엣지신호를 형성하도록 상기 직류전원을 반전시키는 버퍼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display unit;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enter a sleep mode based on power being applied to the display unit below a preset power,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alternating current power to the display unit in order to switch the display unit that has entered the sleep mode to a normal mode; and
It is provided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display unit, and further includes a signal conversion unit that converts the AC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into a signal necessary for switching from the sleep mode to the normal mode,
The signal converter,
A rectifier that converts the AC power receiv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into direct current power; And
It includes a buffer unit that removes noise from the DC power converted by the rectifier unit, generates an edge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display unit,
The buffer unit,
A laundry treatment device comprising a buffer that inverts the direct current power to remove noise from the direct current power and form an edge signal that switches the sleep mode of the display unit to a normal m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슬립 모드에 진입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를 능동대기모드에 진입시키는 세탁물 처리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 laundry processing device that enters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into an active standby mode based on the display unit entering a sleep m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변환부에서 변환된 상기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일반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를 능동대기모드에서 해제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signal converted by the signal conversion unit is applied to the display unit, the display unit is switched to a normal mode, and the control unit releases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from the active standby mod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는,
상기 교류전원에서 플러스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다이오드부; 및
상기 통과된 플러스 신호를 직류전원으로 생성하는 캐패시터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rectifier unit,
A diode portion that passes only positive signals from the AC power supply; and
A laundry treatment device including a capacitor unit that generates the passed positive signal as direct current pow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부는, 캐패시터 및 두 개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According to claim 5,
The diode unit is a laundry treatment device including a capacitor and two diode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터부는,
상기 다이오드부 및 그라운드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직류전원을 생성하고, 리플을 제거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According to claim 5,
The capacitor part,
A laundry treatment device that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diode portion and the ground, generates the direct current power, and removes ripp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부는,
상기 엣지신호를 레벨 시프트시키는 레벨시프터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buffer unit,
A laundry processing device including a level shifter for level shifting the edge signal.
삭제delet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시프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동작 전압에 대응되도록, 상기 엣지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According to claim 8,
The level shifter is,
A laundry treatment device that adjusts the size of the edge signal to correspond to the operating voltage of the display unit.
KR1020190085314A 2019-07-15 2019-07-15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26633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314A KR102663388B1 (en) 2019-07-15 2019-07-15 Laundry treatment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314A KR102663388B1 (en) 2019-07-15 2019-07-15 Laundry treatment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749A KR20210008749A (en) 2021-01-25
KR102663388B1 true KR102663388B1 (en) 2024-05-07

Family

ID=74238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314A KR102663388B1 (en) 2019-07-15 2019-07-15 Laundry treatment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338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4365A (en) * 1998-07-14 2000-0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ic washing machine
KR101069430B1 (en) * 2011-01-14 2011-09-30 주식회사 담솔 Smart automatic standby power cut-off receptac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2637A (en) * 2004-11-10 2006-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Control method for display part of washing machine
KR102017378B1 (en) * 2017-05-19 2019-09-02 전영환 Flame sensor use for dryer mach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4365A (en) * 1998-07-14 2000-0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ic washing machine
KR101069430B1 (en) * 2011-01-14 2011-09-30 주식회사 담솔 Smart automatic standby power cut-off recepta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749A (en) 202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5189B1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and the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504686B1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and the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800644B1 (en) Motor driving apparatus and laundry treatment machine including the same
US20150128660A1 (en) Motor driving apparatus and laundry treatment machine including the same
US20120006065A1 (en) Washing machine
KR101555588B1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and the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460253B1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US9708746B2 (en) Motor driving apparatus and laundry treatment machine including the same
KR102325967B1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1756409B1 (en) Drain pump driving apparatus and laundry treatment machine including the same
KR102257487B1 (en) Motor driving apparatus and laundry treatment machine including the same
KR101709491B1 (en) Motor driving apparatus and laundry treatment machine including the same
KR20120004272A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102422903B1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1663522B1 (en) Motor driving apparatus and laundry treatment machine including the same
KR102663388B1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2627102B1 (en) Laundry treating app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702959B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102325966B1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KR20180085277A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KR20190063253A (en) Motor driving apparatus and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KR101969034B1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2241036B1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KR20200140586A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