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299B1 - Automatic Applicator For Blade Bonding and Coating Table Tennis Racket - Google Patents

Automatic Applicator For Blade Bonding and Coating Table Tennis Rack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299B1
KR102663299B1 KR1020230109087A KR20230109087A KR102663299B1 KR 102663299 B1 KR102663299 B1 KR 102663299B1 KR 1020230109087 A KR1020230109087 A KR 1020230109087A KR 20230109087 A KR20230109087 A KR 20230109087A KR 102663299 B1 KR102663299 B1 KR 102663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pplication
workpiece
inpu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90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디케이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디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디케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2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 B05B13/02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the objects or work being present in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05B14/1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the excess material being particu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 B05B16/20Arrangements for spraying in combination with other operations, e.g. drying; Arrangements enabling a combination of spray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2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20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는 투입부, 도포부, 물질공급부 및 배출부 포함하고, 상기 투입부는 투입본체부, 투입센서부 및 투입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포부는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투입본체부와 이격 구비되는 도포본체부, 상기 도포본체부의 외측 전방에 배치되는 전단부에서 상기 도포본체부의 외측 후방에 배치되는 후단부까지 상기 도포본체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투입이동부를 통해 안착되는 상기 피가공물이 이동되는 도포이동부 및 상기 도포본체부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도포이동부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상기 피가공물에 상기 물질을 분사하는 도포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피가공물이 외부로 안내되는 배출본체부, 상기 도포이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배출본체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물질이 도포된 상기 피가공물이 정지되는 배출정지부, 상기 배출정지부에 안착된 상기 피가공물을 감지하는 배출센서부 및 상기 배출센서부의 감지에 따라 상기 피가공물을 배출본체부로 이동시키는 배출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탁구 라켓 블레이드에 균일한 양의 물질을 자동으로 도포할 수 있다.The automatic application device for table tennis racket blade adhesion and coating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an application unit, a material supply unit, and a discharge unit, and the input unit includes an input main body, an input sensor unit, and an input moving unit; , the applicator forms an exterior, the applicator main part is spaced apart from the input main part, and penetrates the applicator main part from the front end disposed in front of the outside of the applicator main body to the rear end disposed in the outer rear of the applicator main body. extends, and is provided to be movable inside the application moving part and the application body part through which the workpiece seated through the input moving part moves, and sprays the material on the workpiece seated and moved in the application moving part. It includes a spray portion, wherein the discharg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main portion through which the workpiece is guided to the outside, and the application moving portion, and is disposed in front of the discharge main portion to stop the workpiece to which the material is applied; It may include a discharge sensor unit that detects the workpiece seated on the discharge stopper, and a discharge moving portion that moves the workpiece to the discharge body portion according to detection by the discharge sensor unit.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apply a uniform amount of material to the table tennis racket blade.

Description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Automatic Applicator For Blade Bonding and Coating Table Tennis Racket}Automatic applicator for blade bonding and coating table tennis racket {Automatic Applicator For Blade Bonding and Coating Table Tennis Racket}

본 발명은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application device for adhering and coating table tennis racket blades.

탁구는 2명(단식) 또는 4명(복식)의 선수가 탁구 라켓을 사용해 가볍고 속이 빈 공을 탁구대 위에서 쳐 넘기며 승부를 겨루는 스포츠이다. 초기의 탁구 라켓은 딱딱한 프레임 위에 양피지를 늘여 씌워서 만들어졌다.Table tennis is a sport in which two (singles) or four (doubles) players compete by using table tennis rackets to hit a light, hollow ball over a table. Early table tennis rackets were made by stretching parchment paper over a rigid frame.

최근 들어 탁구 라켓은 합판재질로 만들어지며 한쪽 면 또는 양쪽 면에 러버를 붙인다. 탁구 라켓의 나무 부분은 블레이드(blade)라 불리며 대개 여러 겹의 나무, 코르크, 섬유 유리, 탄소 섬유, 알루미늄 섬유 혹은 케블라 소재 합판으로 만들어진다.Recently, table tennis rackets are made of plywood and have rubber attached to one or both sides. The wooden part of a table tennis racket is called the blade and is usually made of several layers of wood, cork, fiberglass, carbon fiber, aluminum fiber or Kevlar material.

블레이드에 사용되는 소재에는 85% 이상의 비율의 목재가 포함되어 있어야 하며, 그 외에 사용되는 소재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블레이드의 소재로 널리 사용되는 목재의 종류에는 발사, 림바, 호두나무, 사이프러스, 히노키 등이 있다.The material used for the blade must contain at least 85% wood, and there are no special restrictions on other materials used. Types of wood widely used as blade material include balsa, limba, walnut, cypress, and hinoki.

상술한 바와 같이 탁구 라켓의 블레이드는 대개 여러 겹의 나무, 코르크, 섬유 유리, 탄소 섬유, 알루미늄 섬유 혹은 케블라 소재 합판으로 만들어짐에 따라 각각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여야 한다.As mentioned above, the blade of a table tennis racket is usually made of multiple layers of wood, cork, fiber glass, carbon fiber, aluminum fiber, or Kevlar material, so each must be attached using adhesive.

종래에는 블레이드를 접착제를 통해 만드는 과정에서 사람이 수작업으로 작업을 함에 따라 공정속도가 더디고, 접착제의 도포량이 일정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불량품이 발생하는 확률이 높았다. 이에 따라, 접착제를 균일하게 도포하며 자동으로 도포할 수 있는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In the past, in the process of making blades using adhesive, people worked manually, which slowed down the process and caused problems with inconsistent adhesive application, which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defective products. Accordingly, research and development on how to apply adhesive uniformly and automatically is being actively conducted.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에 러버를 붙여야 우리가 사용하는 탁구 라켓이 될 수 있어 블레이드와 러버의 접착이 잘 되어야 퀄리티 있는 탁구 라켓이 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mentioned above, rubber must be attached to the blade to make the table tennis racket that we use, so the blade and rubber must be well bonded to make a high-quality table tennis racket.

블레이드에 러버를 부착하는 과정 중 러버에 의해 블레이드의 목판이 파손되거나 목재의 표면이 일어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여 이를 방지하고자 블레이드에 얇은 코팅막이 형성되도록 코팅을 하고 있다. During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rubber to the blade, the wooden plate of the blade is damaged or the surface of the wood is damaged by the rubber. To prevent this, the blade is coated to form a thin coating film.

다만, 종래에는 블레이드에 코팅을 사람이 수작업으로 작업을 함에 따라 공정속도가 더디고, 코팅제의 도포량이 일정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구체적으로, 코팅제가 도포되지 않는 부분이 존재한다면 그 부분에 목재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코팅제가 다량 도포 된다면 러버가 부착 되었을 때 탁구 라켓의 사용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팅제를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고, 자동으로 도포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However, in the past, as people manually coated blades, the process was slow and the amount of coating applied was not constant, which arose. Specifically, if there is a part where the coating agent is not applied, the wood may be damaged in that part, and if a large amount of the coating agent is applied, the usability of the table tennis racket may be reduced when the rubber is attached. Accordingly, the need to develop technology that can uniformly and automatically apply the coating agent is increasing.

한국 등록특허 제10-1121838호Korean Patent No. 10-1121838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접착제를 균일하고 자동으로 도포할 수 있는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 to provide an automatic applicator for table tennis racket blade adhesion and coating that can uniformly and automatically apply adhesi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코팅제를 균일하고 자동으로 도포할 수 있는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 to provide an automatic application device for table tennis racket blade adhesion and coating that can uniformly and automatically apply a coating age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피가공물의 위치를 조절하여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 to provide an automatic coating device for table tennis racket blade adhesion and coating that can minimize the defect rate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workpie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동으로 도포부의 세척을 주기적으로 진행하여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 to provide an automatic applicator for table tennis racket blade adhesion and coating that can minimize the defect rate by automatically cleaning the applicator periodically.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는 투입부, 도포부, 물질공급부 및 배출부를 포함하여 자동으로 블레이드에 물질을 도포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the automatic applicator for table tennis racket blade adhesion and coating can automatically apply the material to the blade including an input part, an application part, a material supply part, and a discharge part.

구체적으로, 피가공물이 투입되어 이동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에 의해 투입된 상기 피가공물에 물질을 도포하는 도포부, 상기 도포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포부로 상기 물질을 공급하는 물질공급부 및 상기 도포부를 통과한 상기 피가공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투입부는 일단부에 상기 피가공물이 안착되어 이동되는 투입본체부, 상기 투입본체부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가공물을 감지하는 투입센서부 및 상기 투입센서부의 감지에 따라 상기 피가공물을 상기 도포부로 이동시키는 투입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포부는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투입본체부와 이격 구비되는 도포본체부, 상기 도포본체부의 외측 전방에 배치되는 전단부에서 상기 도포본체부의 외측 후방에 배치되는 후단부까지 상기 도포본체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투입이동부를 통해 안착되는 상기 피가공물이 이동되는 도포이동부 및 상기 도포본체부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도포이동부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상기 피가공물에 상기 물질을 분사하는 도포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피가공물이 외부로 안내되는 배출본체부, 상기 도포이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배출본체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물질이 도포된 상기 피가공물이 정지되는 배출정지부, 상기 배출정지부에 안착된 상기 피가공물을 감지하는 배출센서부 및 상기 배출센서부의 감지에 따라 상기 피가공물을 배출본체부로 이동시키는 배출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an input unit into which the workpiece is input and moved, an applicator for applying a material to the workpiece introduced by the input unit, a material supply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applicator to supply the material to the applicator, and the applicator. It includes a discharge unit that discharges the workpiec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unit to the outside, wherein the input unit includes an input main body in which the workpiece is seated and moved at one end, and an input uni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input main body to detect the workpiece. It includes a sensor unit and an input moving part that moves the workpiece to the appl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input sensor unit, the applicator forms an exterior, an application body part spaced apart from the input main body part, and the application main part. It extends through the application body from the front end disposed at the outer front to the rear end disposed at the outer rear of the application body, and includes an application moving part through which the workpiece seated through the input moving part is moved, and the application body part. It includes a coating spraying unit that is movable inside and sprays the material onto the workpiece that is seated and moved on the coating moving portion, and the discharg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main portion through which the workpiece is guided to the outside and the coating moving portion. The discharge stop unit is disposed in front of the discharge main unit and stops the workpiece to which the material is applied, the discharge sensor section detects the workpiece seated on the discharge stopper, and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discharge sensor section, It may include a discharge moving part that moves the workpiece to the discharge main body.

또한, 상기 도포부는 상기 도포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도포이동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도포분사부에 의해 분사되는 상기 물질을 수집하는 도포포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물질공급부는 제1물질이 수용되어 상기 제1물질을 상기 도포부로 공급하는 제1물질공급부, 상기 제1물질공급부와 이격 배치되며, 제2물질이 수용되어 상기 제2물질을 상기 도포부로 공급하는 제2물질공급부 및 상기 제1물질공급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물질의 공급압력을 측정하고 일정하게 유지하는 압력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물질은 접착제 및 코팅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물질은 물 및 세척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licator is provided inside the applicator body part, and further includes an application collection part disposed below the applicator moving part to collect the material sprayed by the application spray part, and the material supply part contains the first material. A first material supply part that is accommodated and supplies the first material to the applicator, a second material supply part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terial supply part and accommodates a second material and supplies the second material to the applicator, and the first material supply part. It includes a pressure maintenance unit connected to the first material supply unit to measure the supply pressure of the first material and keep it constant, wherein the first material includes one of an adhesive and a coating agent, and the second material is one of water and a detergent. It can include either one.

또한, 상기 도포분사부는 상기 도포이동부에 고정되는 도포분사본체부, 상기 도포분사본체부에 배치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도포분사이동부, 상기 도포분사이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도포분사이동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도포분사승강부 및 상기 도포분사승강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가공물을 향하여 상기 물질을 공급하는 도포분사노즐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spraying unit is connected to the application spraying body part fixed to the application moving part, the application spraying moving part disposed in the application spraying main body so that it can mov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application spraying moving part. It may include a spray elevating portion disposed in front of the eastern portion and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and a spray nozzle portion provided in the elevating spray portion to supply the material toward the workpiece.

또한, 상기 도포분사노즐부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상기 물질 및 에어가 이동되는 도포노즐본체부, 상기 도포노즐본체부의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물질이 분사되는 도포노즐중앙부, 상기 도포노즐중앙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도포노즐본체부에서 하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도포노즐안내부 및 상기 도포노즐안내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중앙으로 에어가 토출되는 도포에어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spray nozzle portion forms an exterior and includes an application nozzle body portion through which the material and air are moved, a central portion of the application nozzl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application nozzle body portion through which the material is sprayed, and a spaced apart arrangement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application nozzle. It may include an application nozzle guide port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application nozzle body portion and an application air discharge portion formed inside the application nozzle guide portion to discharge air to the center.

또한, 상기 도포본체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물질이 도포된 상기 피가공물의 건조가 진행되는 건조부 더 포함하며, 상기 도포부는 상기 도포본체부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열원을 제공하는 도포히터부 및 상기 도포본체부의 타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도포개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drying part disposed between the application main body and the discharge part to dry the workpiece to which the material is applied, wherein the applicator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application main body and provides a heat source. It may further include a heater unit and an application opening/closing unit that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application main unit and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또한, 상기 건조부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건조본체부, 상기 도포이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물질이 도포된 상기 피가공물이 이동되는 건조이동부, 상기 건조본체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건조이동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열을 가하는 건조램프부, 상기 건조본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건조램프부를 고정하는 건조고정부 및 상기 건조본체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건조이동부를 향하여 선택적으로 소화물질을 배출하는 건조소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ying unit includes a drying main unit forming an exterior and forming a space inside, a drying moving unit connected to the application moving unit and moving the workpiece to which the material is applied, and is disposed inside the drying main unit, wherein the drying is performed. A drying lamp unit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eastern part to apply heat, a drying fixing unit connected to the drying main unit and fixing the drying lamp unit, and a drying lamp unit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drying main unit to selectively discharge extinguishing substances toward the drying moving unit. It may include a dry fire extinguishing unit.

또한, 상기 건조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피가공물의 도포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불량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불량판단부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불량판단본체부, 상기 건조이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물질이 도포된 상기 피가공물이 이동되는 불량판단이동부 및 상기 불량판단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불량판단이동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피가공물의 도포불량을 판단하는 불량판단수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불량판단수행부는 광을 조사하여 상기 물질의 도포불량을 판단하는 광불량판단부 및 상기 광불량판단부와 이격 배치되어 이미지를 촬영하여 상기 물질의 도포불량을 판단하는 비전불량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defect determination unit disposed between the drying unit and the discharge uni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application of the workpiece is defective, wherein the defect determination unit forms an exterior and includes a defect determination main body with a space formed inside, It is connected to the drying moving part and is disposed inside the defect determination moving part and the defect determination main body part through which the workpiece coated with the material is moved,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defect determination moving part to determine the application defect of the workpiece. It includes a defect determination unit, wherein the defect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application defects of the material by irradiating light, and a light defect determination unit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light defect determination unit and takes an image to determine application defects of the material. It may include a vision failure judgment unit.

또한, 상기 투입부는 상기 투입본체부의 타단부에 배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상기 피가공물의 위치를 조절하는 투입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입조절부는 상기 투입센서부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투입조절본체부, 상기 투입조절본체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투입조절본체부를 이동시키는 투입조절이동부 및 상기 투입조절본체부를 관통하여 상기 투입센서부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투입센서부를 향하여 바람을 분사하는 투입조절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unit further includes an input control unit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input main body and mov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workpiece, and the input control unit is disposed to face the input sensor unit. unit, a closing control moving part disposed at the rear of the closing control main body to move the closing control main body, and a closing control unit disposed to face the closing sensor unit through the closing control main body and spraying wind toward the closing sensor unit. It may include an injection unit.

또한, 상기 투입부, 상기 도포부, 상기 물질공급부, 상기 배출부, 상기 건조부 및 상기 불량판단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물질을 도포하는 공정횟수가 소정횟수 이상 진행된 경우 상기 도포이동부의 작동을 정지하고, 상기 도포분사부와 상기 피가공물을 어긋나게 배치한 상태로 상기 제2물질공급부를 작동시켜 상기 제2물질을 통해 상기 도포분사부를 세척할 수 있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input unit, the application unit, the material supply unit, the discharge unit, the drying unit, and the defect determination unit,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number of processes for applying the first material to be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n case of progress,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moving part is stopped, and the second material supply part is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application spraying part and the workpiece are arranged misaligned, so that the application spraying part can be cleaned with the second material.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불량판단부를 통해 도포불량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1물질공급부의 공급압력이 조절되도록 상기 압력유지부를 제어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pressure maintenance unit to adjust the supply pressure of the first material supply unit when a coating defect is confirmed through the defect determination uni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접착제를 균일하고 자동으로 도포할 수 있는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automatic applicator for table tennis racket blade adhesion and coating that can uniformly and automatically apply adhesi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코팅제를 균일하고 자동으로 도포할 수 있는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dditional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automatic application device for table tennis racket blade adhesion and coating that can uniformly and automatically apply a coating age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피가공물의 위치를 조절하여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automatic coating device for table tennis racket blade adhesion and coating that can minimize the defect rate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workpie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동으로 도포부의 세척을 주기적으로 진행하여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automatic applicator for table tennis racket blade adhesion and coating that can minimize the defect rate by automatically cleaning the applicator periodical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질공급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량판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n automatic coating device for adhering and coating a table tennis racket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n applicatio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n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material suppl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dischar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 defect determin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un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specification,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mentioned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exist. On the other hand, in this specification,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Additionally,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Also,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only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listed items or any of the plurality of listed items. In this specification, 'A or B' may include 'A', 'B', or 'both A and B'.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n automatic coating device for adhering and coating a table tennis racket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n applicatio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질공급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n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material suppl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dischar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S)는 투입부(1), 도포부(2), 물질공급부(3) 및 배출부(4)를 포함할 수 있다.1 to 5, the automatic application device (S) for table tennis racket blade adhesion and co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1), an application unit (2), a material supply unit (3), and a discharge unit. May include part (4).

투입부(1)는 피가공물이 투입되어 이동될 수 있다. 즉, 투입부(1)는 피가공물이 안착되며 도포부(2)로 안내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입부(1)는 컨베이어밸트 등으로 구비되어 피가공물이 효과적으로 안착되며 이동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 can be moved by inserting a workpiece. That is, the input unit 1 can provide a path for the workpiece to be seated and guided to the applicator 2. Specifically, the input unit 1 is provided with a conveyor belt, etc., so that the workpiece can be effectively seated and moved.

상술한 피가공물은 탁구 라켓의 일부를 구성하는 블레이드 일 수 있다. 블레이드는 탁구 라켓의 나무 부분으로 대개 여러 겹의 나무, 코르크, 섬유 유리, 탄소 섬유, 알루미늄 섬유 혹은 케블라 소재 합판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만, 피가공물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질이 도포될 수 있는 대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workpiece may be a blade that forms part of a table tennis racket. The blade is the wooden part of a table tennis racket and can usually be made of several layers of wood, cork, fiberglass, carbon fiber, aluminum fiber or Kevlar-based plywood. However, the workpiece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include any object on which the material can be applied.

도포부(2)는 투입부(1)에 의해 투입된 피가공물에 물질을 도포할 수 있다. 즉, 도포부(2)는 자동으로 피가공물에 물질을 도포할 수 있으며, 물질의 도포량을 일정하게 도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포부(2)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피가공물에 물질을 도포하던 종래에 비해 공정속도를 향상시키며, 도포량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applicator 2 can apply a material to the workpiece introduced by the input unit 1. That is, the applicator 2 can automatically apply the material to the workpiece and apply a constant amount of the material. Accordingly, the applicator 2 improves the process spe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the worker manually applied the material to the workpiece, and the application amount can be maintained at a constant level, thereby reducing the defect rate.

물질공급부(3)는 도포부(2)의 일측에 구비되어 도포부(2)로 물질을 공급할 수 있다. 즉, 물질공급부(3)는 물질을 저장하고 있다가 도포부(2)로 피가공물이 안내되면 도포부(2)로 물질을 안내하여 물질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물질공급부(3)의 위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나 도포부(2)의 일측에 배치시켜 도포부(2)와 거리를 최소화하여 물질 공급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The material supply unit 3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applicator 2 and can supply material to the applicator 2. That is, the material supply unit 3 stores the material, and when the workpiece is guided to the applicator 2, the material can be guided to the applicator 2 so that the material is sprayed. The position of the material supply unit 3 can be set in various ways, but by placing it on one side of the applicator 2, the distance from the applicator 2 can be minimized to smoothly supply the material.

배출부(4)는 도포부(2)를 통과한 피가공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즉, 배출부(4)는 투입부(1)를 통해 투입되고 도포부(2)에서 물질의 도포가 완료된 피가공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4 can discharge the workpiec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applicator 2 to the outside. That is, the discharge unit 4 can discharge the workpiece that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 and on which the application of the material has been completed in the applicator 2 to the outside.

구체적으로, 투입부(1)는 투입본체부(11), 투입센서부(13) 및 투입이동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입본체부(11)는 일단부에 피가공물이 안착되어 이동될 수 있다. 즉, 투입본체부(11)는 복수 개의 피가공물이 안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너비를 가질 수 있고, 투입본체부(11)의 일단부는 전단부 일 수 있다. 또한, 투입본체부(11)는 컨베이어벨트 등의 이송수단으로 구비되어 피가공물을 효과적으로 운반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put unit 1 may include an input main body 11, an input sensor unit 13, and an input moving unit 15. The input body portion 11 can be moved with a workpiece seated on one end. That is, the input main body 11 may have a predetermined width so that a plurality of workpieces can be seated, and one end of the input main body 11 may be a front end. In addition, the input main body 11 is provided with a transport means such as a conveyor belt, so that the workpiece can be transported effectively.

투입센서부(13)는 투입본체부(11)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피가공물을 감지할 수 있다. 즉, 투입센서부(13)는 광센서 또는 접촉센서 등으로 구비되어 피가공물이 투입센서부(13)의 상측에 배치되면 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투입센서부(13)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이격배치되어 투입본체부(11)를 통해 운반되는 복수 개의 피가공물을 동시에 인식하여 복수 개의 피가공물이 동시에 투입이동부(15)를 통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The input sensor unit 13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input main unit 11 and can detect the workpiece. That is, the input sensor unit 13 is equipped with an optical sensor or a contact sensor, and can detect when a workpiece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put sensor unit 13. In addition, the input sensor unit 13 is provided in plural pieces and spaced apart to simultaneously recognize a plurality of workpieces transported through the input main body 11 so that the plurality of workpieces are moved through the input moving unit 15 at the same time. can do.

이에 따라, 투입센서부(13)는 투입이동부(15)가 정확히 배치된 피가공물을 이송시키도록 할 수 있어 도포부(2)에 피가공물이 안내될 때 정확한 위치로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input sensor unit 13 can allow the input moving unit 15 to transport the accurately placed workpiece, so that when the workpiece is guided to the applicator 2, it is guided to an accurate position.

투입이동부(15)는 투입센서부(13)의 감지에 따라 피가공물을 도포부(2)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투입이동부(15)는 투입센서부(13)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되어 투입센서부(13)에 의해 감지되는 복수 개의 피가공물을 동시에 운반할 수 있다. The input moving unit 15 can move the workpiece to the application unit 2 according to detection by the input sensor unit 13. That is, the input moving unit 15 is provided with the same number of input sensor units 13 and can simultaneously transport a plurality of workpieces detected by the input sensor unit 13.

구체적으로, 투입이동부(15)는 투입이동본체부(151), 투입이동승강부(153), 투입이동흡착부(155) 및 투입이동분리부(157)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입이동본체부(151)는 외관을 형성하며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투입이동승강부(153)가 결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put movable unit 15 may include an input movable main body 151, an input movable lifting unit 153, an input movable adsorption unit 155, and an input movable separator 157. The insertion movable main body portion 151 forms an exterior and may be provided to mov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the insertion movable elevating portion 153 may be coupled thereto.

투입이동승강부(153)는 투입이동본체부(151)의 이동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함께 이동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어 투입이동흡착부(155)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The insertion movable lifting unit 153 moves togethe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ith the movement of the insertion movable main body 151, and can be moved up and down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insertion movable adsorption unit 155.

투입이동흡착부(155)는 투입이동본체부(151)와 투입이동승강부(153)에 의해 전후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투입본체부(11)에 안착되어 있는 피가공물을 흡착하여 도포부(2)로 이동시킨 후 도포부(2)에 안착시킬 수 있다.The input movable adsorption unit 155 is mov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and up and down directions by the input movable main body 151 and the input movable elevating part 153, and adsorbs the workpiece seated on the input main body 11 to apply it to the application part 2. ) and then placed on the applicator (2).

즉, 투입이동흡착부(155)는 석션으로 구비되어 외주를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구멍을 통해 피가공물을 이동시킬 때에는 공기를 빨아들이는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고, 피가공물이 도포부(2)에 안착되었을 때에는 흡입을 중단하거나 반대로 공기를 내보내어 피가공물을 용이하게 도포부(2)에 안착시킬 수 있다.That is, the input and moving adsorption unit 155 is provided as a suction and can provide a suction force to suck in air when moving the workpiece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and allows the workpiece to be applied to the applicator 2. When it is seated, the workpiece can be easily seated on the applicator 2 by stopping suction or, conversely, sending out air.

투입이동분리부(157)는 투입이동흡착부(155)의 중앙에 구비되어 도포부(2)에서 피가공물을 분리시킬 수 있다. 즉, 투입이동분리부(157)는 투입이동흡착부(155)의 중앙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여 피가공물이 도포부(2)에 안착된 상태로 피가공물을 도포부(2)로 가압한 상태로 투입이동흡착부(155)의 흡착을 중단하여 피가공물이 도포부(2)에 위치가 정확히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투입이동분리부(157)는 탄성재질로 구비되어 피가공물을 가압할 때 피가공물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input and movable separation unit 157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input and movable adsorption unit 155 to separate the workpiece from the applicator 2. That is, the input and movable separator 157 is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in the center of the input and movable adsorption unit 155, so that the workpiece is pressed into the applicator 2 while the workpiece is seated on the applicator 2. By stopping the adsorption of the input and moving adsorption unit 155, the workpiece can be accurately positioned on the application unit 2. In addition, the input and movement separator 157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the impact applied to the workpiece when pressurizing the workpiece can be minimized.

한편, 도포부(2)는 도포본체부(21), 도포이동부(22) 및 도포분사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포본체부(21)는 외관을 형성하며, 투입본체부(11)와 이격 구비될 수 있다. 도포이동부(22)는 도포본체부(21)의 외측 전방에 배치되는 전단부에서 도포본체부(21)의 외측 후방에 배치되는 후단부까지 도포본체부(21)를 관통하여 연장되며, 투입이동부(15)를 통해 안착될 수 있다.Meanwhile, the applicator 2 may include an applicator body part 21, an applicator moving part 22, and an applicator spray part 23. The application body portion 21 forms an exterior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put body portion 11. The application moving part 22 extends through the application main body 21 from the front end disposed on the outer front of the application main body 21 to the rear end disposed on the outer rear of the application main body 21, and the input is It can be settled through the eastern part (15).

즉, 도포이동부(22)는 투입이동부(15)에 의해 투입본체부(11)에서 피가공물이 운반되어 안착될 수 있고, 컨베이어 벨트 등으로 구비되어 안착된 피가공물을 도포본체부(21)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That is, the application moving part 22 can transport and seat the workpiece from the input main body 11 by the input moving part 15, and is provided with a conveyor belt, etc. to transfer the placed workpiece to the application main body 21. It can be moved inside.

도포분사부(23)는 도포본체부(21)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도포이동부(22)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피가공물에 물질을 분사할 수 있다. 즉, 도포분사부(23)는 복수 개의 피가공물이 동시에 도포본체부(21) 내부에 이동될 때 이동하며 균일하게 물질을 피가공물에 분사할 수 있다.The coating spray unit 23 is provided to be movable inside the coating body unit 21 and can spray the material onto the workpiece that is seated and moved on the coating moving unit 22. That is, the coating spray unit 23 moves when a plurality of workpieces are simultaneously moved inside the application body portion 21 and can uniformly spray the material to the workpieces.

배출부(4)는 배출본체부(41), 배출정지부(43), 배출센서부(45) 및 배출이동부(47)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본체부(41)는 피가공물이 외부로 안내될 수 있다. 즉, 배출본체부(41)는 도포부(2)에 의해 물질의 도포가 완료된 피가공물, 도포부(2)를 통과하고 후술할 건조부(5)를 통과한 피가공물 또는 건조부(5)와 후술할 불량판단부(6)를 통과한 피가공물을 외부로 안내시킬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4 may include a discharge main body 41, a discharge stopper 43, a discharge sensor portion 45, and a discharge moving portion 47. The discharge body portion 41 can guide the workpiece to the outside. That is, the discharge main body 41 is a workpiece to which the application of the material has been completed by the applicator 2, a workpiece or dryer 5 that has passed through the applicator 2 and the drying part 5 to be described later. The workpiece that has passed the defect determination unit 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guided to the outside.

배출정지부(43)는 도포이동부(22)와 연결되며, 배출본체부(41)의 전방에 배치되어 물질이 도포된 피가공물이 정지될 수 있다. 즉, 배출정지부(43)는 배출이동부(47)에 의해 배출본체부(41)로 피가공물이 운반되기 전에 일시적으로 안착되는 공간일 수 있다. 또한, 배출정지부(43)는 공정의 추가에 따라 건조이동부(52) 또는 불량판단이동부(63)에 연결될 수도 있다.The discharge stopper 43 is connected to the application moving portion 22 and is disposed in front of the discharge body portion 41 so that the workpiece onto which the material is applied can be stopped. That is, the discharge stopper 43 may be a space where the workpiece is temporarily seated before being transported to the discharge main body 41 by the discharge moving portion 47. In addition, the discharge stopper 43 may be connected to the drying moving part 52 or the defect determination moving part 63 depending on the addition of the process.

배출센서부(45)는 배출정지부(43)에 안착된 피가공물을 감지할 수 있다. 즉, 배출센서부(45)는 배출정지부(43)의 특정위치에 피가공물이 안착되었는지를 감지하여 배출이동부(47)가 피가공물을 정확히 운반하도록 할 수 있다. The discharge sensor unit 45 can detect the workpiece seated on the discharge stop unit 43. That is, the discharge sensor unit 45 can detect whether the workpiece is seated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discharge stopper 43 and enable the discharge moving part 47 to accurately transport the workpiece.

또한, 배출센서부(45)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이격 배치될 수 있어 복수 개의 피가공물의 위치를 동시에 파악하고 동시에 배출이동부(47)에 의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배출센서부(45)는 상술한 투입센서부(13)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sensor unit 45 may be provided in plural pieces and spaced apart, so that the positions of a plurality of workpieces can be determined simultaneously and moved by the discharge moving unit 47 at the same time. Additionally, the discharge sensor unit 45 may be provided in the same manner as the input sensor unit 13 described above.

배출이동부(47)는 배출센서부(45)의 감지에 따라 피가공물을 배출본체부(41)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배출이동부(47)는 공정이 완료된 피가공물을 배출본체부(41)로 이동시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배출이동부(47)는 상술한 투입이동부(15)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배출이동부(47)는 배출이동본체부(471), 배출이동승강부(473), 배출이동흡착부(475), 배출이동분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입이동부(15)를 자세히 설명한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discharge moving unit 47 can move the workpiece to the discharge main body 41 according to detection by the discharge sensor unit 45. That is, the discharge moving unit 47 can move the processed workpiece to the discharge main body 41 and discharge it to the outside. The discharge moving part 47 may be provided in the same manner as the input moving part 15 described above. That is, the discharge moving part 47 may include a discharge moving main body 471, a discharge moving lifting part 473, a discharging moving adsorption part 475, and a discharging moving separator (not shown). Since the input and moving part 15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부(2)는 도포포집부(25)를 포함할 수 있고, 물질공급부(3)는 제1물질공급부(31), 제2물질공급부(33) 및 압력유지부(35)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applicator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pplication collection part 25, and the material supply part 3 includes a first material supply part 31, a second material supply part 33, and It may include a pressure maintaining part 35.

도포포집부(25)는 도포본체부(21)의 내부에 구비되며, 도포이동부(22)의 하측에 배치되어 도포분사부(23)에 의해 분사되는 물질을 수집할 수 있다. 즉, 도포포집부(25)는 물질이 외부로 그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후처리를 하도록 할 수 있다. 물질은 친환경물질로 구비될 수 있으나 배출 전 다시 한번 확인 및 후처리를 통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collection unit 25 is provided inside the application body unit 21 and is disposed below the application moving unit 22 to collect the material sprayed by the application spray unit 23. In other words, the application collection unit 25 can prevent substances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llow post-processing. The material may be made of eco-friendly material, but environmental pollution can be prevented by checking and post-processing before discharge.

구체적으로, 도포포집부(25)는 도포이동부(22)와 멀어질수록 단면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하단부가 관통형성되어 물질이 용이하게 모여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관통면적은 상단부의 면적의 0.5 내지 0.6으로 구비되어 물질을 용이하게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pplication collection unit 25 is formed to have a narrower cross-section as it moves away from the application moving unit 22, and has a penetrating lower end so that materials can be easily collected and discharged. The penetration area is 0.5 to 0.6 of the area of the upper part, so materials can be easily collect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제1물질공급부(31)는 제1물질이 수용되어 제1물질을 도포부(2)로 공급할 수 있고, 제2물질공급부(33)는 제1물질공급부(31)와 이격 배치되며, 제2물질이 수용되어 제2물질을 도포부(2)로 공급할 수 있다.The first material supply part 31 can accommodate the first material and supply the first material to the application part 2, and the second material supply part 33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terial supply part 31, and the second material supply part 33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terial supply part 31. The material can be accommodated and the second material can be supplied to the applicator 2.

또한, 제1물질은 접착제 및 코팅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제2물질은 물 및 세척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물질은 피가공물의 접착공정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접착제로 구비될 수 있고, 피가공물의 코팅공정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코팅제로 구비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first material may include one of an adhesive and a coating agent, and the second material may include one of water and a detergent. That is, the first material may be provided as an adhesive when performing a bonding process on the workpiece, and may be provided as a coating agent when performing a coating process on the workpiece.

또한, 제2물질은 제1물질을 통한 공정이 수행된 후 도포분사부(23)로 공급되어 제1물질이 통과한 유로를 포함한 도포분사부(23)의 세척을 진행하여 공정이 복수 회 진행되더라도 도포품질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material is supplied to the application spray unit 23 after the process using the first material is performed, and the application spray unit 23, including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first material passed, is cleaned, so that the process is carried out multiple times. Even so, the application quality can be maintained as much as possible.

압력유지부(35)는 제1물질공급부(31)에 연결되어 제1물질의 공급압력을 측정하고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압력유지부(35)는 도포분사부(23)에 의해 제1물질이 복수 개의 피가공물에 동시에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제1물질의 공급압력이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The pressure maintenance unit 35 is connected to the first material supply unit 31 to measure the supply pressure of the first material and keep it constant. That is, the pressure maintenance unit 35 can maintain the supply pressure of the first material uniformly so that the first material can be uniformly applied to a plurality of workpieces at the same time by the application spray unit 23.

한편, 도포분사부(23)는 도포분사본체부(231), 도포분사이동부(233), 도포분사승강부(235) 및 도포분사노즐부(237)를 포함할 수 있다. 도포분사본체부(231)는 도포이동부(22)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포분사본체부(231)는 외관을 형성하며, 도포이동부(22)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어 피가공물 전체에 물질을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다. 도포분사본체부(231)는 도 1에 도포분사노즐부(237)의 전방에 배치되게 도시되어 있으나도 도 2 처럼 후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spraying unit 23 may include a spraying main body 231, a spraying moving part 233, a spraying elevating part 235, and a spraying nozzle part 237. The application spray body portion 231 may be fixed to the application moving portion 22. In addition, the coating spray body portion 231 forms the exterior and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in the coating moving portion 22, allowing the material to be uniformly applied to the entire workpiece. The spray body portion 231 is shown to be disposed in front of the spray nozzle portion 237 in FIG. 1, but may also be disposed rearward as shown in FIG. 2.

도포분사이동부(233)는 도포분사본체부(231)에 배치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도포분사이동부(233)는 일열로 배치된 복수 개의 피가공물 상부를 움직이며 복수 개의 피가공물 전체에 균일하게 물질을 도포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spray moving part 233 may be disposed on the application spray main body 231 and be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at is, the application spray moving unit 233 can move the upper part of the plurality of workpieces arranged in a row and uniformly apply the material to all of the plurality of workpieces.

도포분사승강부(235)는 도포분사이동부(233)와 연결되며, 도포분사이동부(233)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포분사승강부(235)는 피가공물과의 거리를 조절하여 피가공물 전체에 물질이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할 수 있다.The spray elevating portion 235 is connected to the spray moving portion 233 and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spray moving portion 233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The spray elevating unit 235 can adjust the distance from the workpiece to ensure that the material is uniformly applied to the entire workpiece.

도포분사노즐부(237)는 도포분사승강부(235)에 구비되어 피가공물을 향하여 물질을 공급할 수 있다. 즉, 도포분사노즐부(237)는 도포분사본체부(231), 도포분사이동부(233) 및 도포분사승강부(235)에 의해 위치가 조절되며, 피가공물을 향하여 물질을 분사할 수 있다.The spray nozzle unit 237 is provided in the spray elevating unit 235 and can supply material toward the workpiece. That is, the position of the spray nozzle part 237 is adjusted by the spray body part 231, the spray moving part 233, and the spray elevating part 235, and the material can be sprayed toward the workpiece. .

구체적으로, 도포분사노즐부(237)는 도포노즐본체부(2371), 도포노즐중앙부(2373), 도포노즐안내부(2375) 및 도포에어토출부(2377)를 포함할 수 있다. 도포노즐본체부(2371)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물질 및 에어가 이동될 수 있다. 즉, 도포노즐본체부(2371)는 도포분사승강부(235)에 연결되어 위치가 이동될 수 있으며, 내부에 물질 및 에어가 유동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pray nozzle portion 237 may include a spray nozzle body portion 2371, a spray nozzle central portion 2373, a spray nozzle guide portion 2375, and a spray air discharge portion 2377. The application nozzle body portion 2371 forms an exterior, and materials and air can be moved inside. That is, the application nozzle main body 2371 is connected to the application spray elevating part 235 so that its position can be moved and it can provide a path for materials and air to flow inside.

도포노즐중앙부(2373)는 도포노즐본체부(2371)의 중앙에 구비되어 물질이 분사될 수 있고, 도포노즐안내부(2375)는 도포노즐중앙부(2373)와 이격 배치되며, 도포노즐본체부(2371)에서 하측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The application nozzle central part 2373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application nozzle body 2371 so that the material can be sprayed, and the application nozzle guide part 2375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application nozzle central part 2373, and the application nozzle body part ( 2371) may b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즉, 도포노즐중앙부(2373)는 소정압력으로 물질을 토출할 수 있고, 도포노즐안내부(2375)는 도포노즐중앙부(2373)를 통해 토출되는 물질을 피가공물로 안내할 수 있따.That is, the application nozzle central portion 2373 can discharge the material at a predetermined pressure, and the application nozzle guide portion 2375 can guide the material discharged through the application nozzle central portion 2373 to the workpiece.

도포에어토출부(2377)는 도포노즐안내부(2375)의 내측에 형성되어 중앙으로 에어가 토출될 수 있다. 즉, 도포에어토출부(2377)는 도포노즐중앙부(2373)를 통해 토출되는 물질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며 피가공물로 최대한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air discharge unit 2377 is formed inside the application nozzle guide 2375 so that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center. That is, the application air discharge unit 2377 can prevent the material discharged through the application nozzle central part 2373 from scattering to the outside as much as possible and guide it to the workpiece as much as possible.

한편,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S)는 건조부(5)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부(5)는 도포본체부(21)와 배출부(4) 사이에 배치되어 물질이 도포된 피가공물의 건조가 진행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again to FIG. 1, the automatic coating device (S) for table tennis racket blade adhesion and co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rying unit (5). The drying unit 5 is disposed between the application body 21 and the discharge unit 4 so that the workpiece to which the material is applied can be dried.

건조부(5)는 물질이 코팅제인 경우에만 구비될 수 있다. 즉, 물질이 접착제인 경우 건조를 진행하게 되면 접착제가 굳어 본래의 기능을 상실할 수 있기 때문에 건조부(5)는 코팅제를 분사할 경우메나 구비되어 코팅제가 도포된 피가공물의 건조를 진행할 수 있다.The drying section 5 may be provided only when the material is a coating agent. In other words, if the material is an adhesive, if the material is dried, the adhesive may harden and lose its original function. Therefore, the drying unit 5 is equipped with a device to spray the coating agent, so that the workpiece to which the coating agent is applied can be dried. .

구체적으로, 건조부(5)는 건조본체부(51), 건조이동부(52), 건조램프부(53), 건조고정부(54) 및 건조소화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본체부(51)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건조본체부(51)는 내부에 건조이동부(52), 건조램프부(53), 건조고정부(54) 및 건조소화부(55)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외부로 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rying unit 5 may include a drying main unit 51, a drying moving unit 52, a drying lamp unit 53, a drying fixing unit 54, and a drying extinguishing unit 55. The drying body portion 51 forms an exterior, and a space may be formed inside. That is, the drying body part 51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drying moving part 52, the drying lamp part 53, the drying fixing part 54, and the drying extinguishing part 55 can be placed, and heats the outside. This can prevent it from escaping.

건조이동부(52)는 도포이동부(22)와 연결되며 물질이 도포된 피가공물이 이동될 수 있다. 즉, 건조이동부(52)는 도포이동부(22)와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안착된 피가공물이 건조본체부(51) 내부에서 건조가 이동된 후 외부로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The drying moving part 52 is connected to the coating moving part 22, and the workpiece to which the material is applied can be moved. That is, the drying moving part 52 can be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coating moving part 22, and the seated workpiece can be dried inside the drying body part 51 and then guided to the outside.

건조램프부(53)는 건조본체부(51)의 내측에 배치되며, 건조이동부(52)의 상측에 구비되어 열을 가할 수 있다. 즉, 건조램프부(53)는 IR램프등으로 구비되어 피가공물에 열을 효과적으로 가할 수 있다.The drying lamp unit 53 is disposed inside the drying body unit 51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drying moving unit 52 to apply heat. That is, the dry lamp unit 53 is provided with an IR lamp, etc., and can effectively apply heat to the workpiece.

건조고정부(54)는 건조본체부(51)와 연결되어 건조램프부(53)를 고정할 수 있으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피가공물과 건조램프부(53)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피가공물에 가해지는 열량을 조절할 수 있다.The drying fixing part 54 is connected to the drying body part 51 and can fix the drying lamp part 53, and is provided to move up and down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workpiece and the drying lamp part 53. The amount of heat applied to the workpiece can be controlled.

건조소화부(55)는 건조본체부(51)의 상측에 배치되어 건조이동부(52)를 향하여 선택적으로 소화물질을 배출할 수 있다. 피가공물이 탁구 라켓 블레이드로 구비되는 경우 화재에 취약할 수 있어 건조소화부(55)는 혹시 모를 화재상황에 대비할 수 있다. The dry extinguishing unit 55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drying main unit 51 and can selectively discharge extinguishing substances toward the dry moving unit 52. If the workpiece is equipped with a table tennis racket blade, it may be vulnerable to fire, so the dry fire extinguishing unit 55 can prepare for unexpected fire situations.

구체적으로, 건조소화부(55)는 건조본체부(51) 내부의 온도가 건조램프부(53)의 설정온도의 1.5배 이상으로 상승되는 경우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다. 즉, 건조본체부(51)의 내부 온도를 통해 화재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건조부(5)는 건조포집부(56)를 포함할 수 있고, 건조포집부(56)는 건조소화부(55)가 작동하여 배출된 소화물질이 화재를 진압한 후 포집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ry fire extinguishing unit 55 may automatically operate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drying body unit 51 rises to 1.5 times or more than the set temperature of the drying lamp unit 53. In other words, the presence of fire can be detected through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drying body unit 51. In addition, the dry unit 5 may include a dry collection unit 56, and the dry collection unit 56 can collect extinguishing substances discharged when the dry fire extinguishing unit 55 operates after the fire has been extinguished. .

도포부(2)는 도포히터부(26) 및 도포개폐부(27)를 포함할 수 있다. 도포히터부(26)는 도포본체부(21)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열원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도포히터부(26)는 겨울과 같이 온도가 낮은 환경에 작동되어 도포본체부(21)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도포분사부(23)에 의해 분사되는 물질이 얼거나 굳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unit 2 may include an application heater unit 26 and an application opening/closing unit 27. The application heater unit 26 may b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application body unit 21 to provide a heat source. In other words, the application heater unit 26 is operated in a low temperature environment such as winter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inside the application body unit 21, causing the material sprayed by the application spray unit 23 to freeze or harden. can be prevented.

도포개폐부(27)는 도포본체부(21)의 타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즉, 도포개폐부(27)는 작업자가 도포본체부(21) 내부를 유지보수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applicatio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27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application body portion 21 and can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In other words, the application opening/closing unit 27 can improve convenience of use by allowing the operator to maintain the inside of the application body unit 21.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량판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S)는 불량판단부(6)를 포함할 수 있다.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 defect determin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automatic applicator (S) for table tennis racket blade adhesion and co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efect determination unit (6).

불량판단부(6)는 건조부(5)와 배출부(4) 사이에 배치되어 피가공물의 도포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불량판단부(6)는 피가공물 전체에 물질이 도포되었는지 여부, 도포량이 적절한지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The defect determination unit 6 is disposed between the drying unit 5 and the discharge unit 4 and can determine whether the application of the workpiece is defective. That is, the defect determination unit 6 can determine whether the material has been applied to the entire workpiece and whether the application amount is appropriate.

구체적으로, 불량판단부(6)는 불량판단본체부(61), 불량판단이동부(63) 및 불량판단수행부(65)를 포함할 수 있다. 불량판단본체부(61)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불량판단본체부(61)는 불량판단수행부(65)에 의해 불량판단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외부와 분리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defect determination unit 6 may include a defect determination main body 61, a defect determination moving unit 63, and a defect determination execution unit 65. The defect determination body 61 forms an exterior, and a space may be formed inside. In other words, the defect determination main body 61 can separate its internal space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defect determination execution unit 65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defect.

불량판단이동부(63)는 건조이동부(52)와 연결되며 물질이 도포된 피가공물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불량판단이동부(63)는 건조부(5)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도포이동부(22)와 연결되어 물질이 도포된 피가공물이 이동될 수 있다. 즉, 불량판단이동부(63)는 건조이동부(52)를 통과한 피가공물을 불량판단본체부(61) 내부로 안내할 수 있다.The defect determination moving part 63 is connected to the drying moving part 52, and the workpiece to which the material is applied can be moved. In addition, when the drying unit 5 is not provided, the defect determination moving unit 63 is connected to the coating moving unit 22 so that the workpiece onto which the material is applied can be moved. In other words, the defect determination moving unit 63 can guide the workpiec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rying moving unit 52 into the defect determination main body unit 61.

불량판단수행부(65)는 불량판단본체부(61)의 내부에 배치되며, 불량판단이동부(63)의 상측에 구비되어 피가공물의 도포불량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불량판단수행부(65)는 광불량판단부(651)와 비전불량판단부(653)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fect determination performing unit 65 is disposed inside the defect determination main body 61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defect determination moving part 63 to determine defective application of the workpiece. Specifically, the defect determination unit 65 may include a light defect determination unit 651 and a vision defect determination unit 653.

광불량판단부(651)는 광을 조사하여 물질의 도포불량을 판단할 수 있다. 즉, 광불량판단부(651)는 광조사부(6511)를 통해 광을 조사하고 피가공물에 반사된 광이 광인식부(6513)로 인식될 수 있다. 즉, 광불량판단부(651)는 반사광의 반사율을 통해 도포량이 일정한지 여부 및 도포량이 적절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광불량판단부(651)는 도포량에 따른 반사율의 차이를 이용하여 도포불량을 판단할 수 있다.The light defect determination unit 651 can determine whether the application of the material is defective by irradiating light. That is, the light defect determination unit 651 irradiates light through the light irradiation unit 6511, and the light reflected by the workpiece can be recognized by the light recognition unit 6513. That is, the light defect determination unit 651 can determine whether the application amount is constant and whether the application amount is appropriate through the reflectance of the reflected light. The light defect determination unit 651 can determine application defects using the difference in reflectance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amount.

비전불량판단부(653)는 광불량판단부(651)와 이격 배치되어 이미지를 촬영하여 물질의 도포불량을 판단할 수 있다. 즉 비전불량판단부(653)는 전체적 이미지를 촬영하여 피가공물 전체에 물질이 도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불량을 판단할 수 있다.The vision defect determination unit 653 is spaced apart from the light defect determination unit 651 and can determine the application defect of the material by taking an image. That is, the vision defect determination unit 653 can determine defects by taking an overall imag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material has been applied to the entire workpiece.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투입부(1)는 투입조절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입조절부(17)는 투입본체부(11)의 타단부에 배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피가공물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3, the input unit 1 may include an input control unit 17. The input control unit 17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input main body 11 and can move forward and backwar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workpiece.

구체적으로, 투입조절부(17)는 투입조절본체부(171), 투입조절이동부(173) 및 투입조절분사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입조절본체부(171)는 투입센서부(13)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피가공물과 접촉되어 피가공물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jection control unit 17 may include an injection control main body 171, an injection control moving part 173, and an injection control injection unit 175. The input control body portion 171 may be arranged to face the input sensor portion 13 a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workpiec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workpiece.

투입조절이동부(173)는 투입조절본체부(171)의 후방에 배치되어 투입조절본체부(17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투입조절이동부(173)는 투입조절본체부(171)의 전후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투입조절본체부(171)가 피가공물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The closing control moving part 173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closing control main body 171 and can move the closing control main body 171. That is, the input control moving unit 173 can adjust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input control main body 171 so that the input control main body 171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workpiece.

투입조절분사부(175)는 투입조절본체부(171)를 관통하여 투입센서부(13)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투입센서부(13)를 향하여 바람을 분사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투입조절분사부(175)는 투입센서부(13)를 향하여 바람을 분사할 수 있고, 투입센서부(13)에 먼지 등이 쌓여 피가공물의 위치를 정확히 감지 못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input control spray unit 175 is disposed to face the input sensor unit 13 through the input control main body 171, and can spray wind toward the input sensor unit 13. That is, the input control spray unit 175 can spray wind toward the input sensor unit 13 and prevent dust, etc. from accumulating in the input sensor unit 13, preventing the position of the workpiece from being accurately detected. there is.

또한, 투입조절부(17)는 투입조절미세부(177)를 포함할 수 있고, 투입조절미세부(177)는 투입조절본체부(171)에 투입센서부(13)를 마주하도록 구비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피가공물의 미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control unit 17 may include an input control fine part 177, and the input control fine part 177 is provided in the input control main body 171 to face the input sensor unit 13, so that It can move in any direction, allowing the fine position of the workpiece to be adjusted.

또한, 투입조절미세부(117)는 하나의 면적이 투입조절본체부(171)의 0.045 내지 0.055로 구비될 수 있어 투입조절본체부(171)로 피가공물의 전체 위치를 효과적으로 조절하며, 투입조절미세부(117)가 피가공물의 미세 위치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jection control fine portion 117 can be provided with an area of 0.045 to 0.055 of the injection control main body 171, so that the overall position of the workpiece can be effectively adjusted by the injection control main body 171, and the injection control main body 171 can be used to control the injection control. The fine part 117 can effectively control the fine position of the workpiece.

구체적으로, 투입조절미세부(117)는 하나의 면적이 투입조절본체부(171)의 0.048 내지 0.052로 구비될 수 있어 투입조절본체부(171)로 피가공물의 전체 위치를 더 효과적으로 조절하며, 투입조절미세부(117)가 피가공물의 미세 위치를 더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injection control fine part 117 can be provided with an area of 0.048 to 0.052 of the injection control main body 171, so that the overall position of the workpiece can be more effectively controlled by the injection control main body 171, The fine input control part 117 can more effectively control the fine position of the workpiece.

한편, 도 1 내지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S)는 제어부(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P)는 투입부(1), 도포부(2), 물질공급부(3), 배출부(4), 건조부(5) 및 불량판단부(6)를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again to FIGS. 1 to 6, the automatic applicator (S) for table tennis racket blade adhesion and co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P). The control unit (P) can control the input unit (1), the application unit (2), the material supply unit (3), the discharge unit (4), the drying unit (5), and the defect determination unit (6).

제어부(P)는 제1물질을 도포하는 공정횟수가 소정횟수 이상 진행된 경우 도포이동부(22)의 작동을 정지하고, 도포분사부(23)와 피가공물을 어긋나게 배치한 상태로 제2물질공급부(33)를 작동시켜 제2물질을 통해 도포분사부(23)를 세척할 수 있다. 즉, 제어부(P)는 소정횟수 마다 세척을 진행하여 도포분사부(23)를 통해 제1물질이 원활히 분사되도록 할 수 있고, 도포불량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P) stops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moving unit 22 when the number of processes for applying the first material has progressed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d the second material supply unit ( 33) can be operated to clean the application spray section 23 with the second material. That is, the control unit (P) can perform cleaning every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o ensure that the first material is smoothly sprayed through the coating spray unit 23, and can prevent coating defects as much as possible.

또한, 제어부(P)는 불량판단부(6)를 통해 도포불량이 확인되는 경우 제1물질공급부(31)의 공급압력이 조절되도록 압력유지부(35)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P)는 도포량이 설정값보다 작게 도포되는 경우 압력유지부(35)를 통해 공급압력을 상향시킬 수 있고, 도포량이 설정값보다 크게 도포되는 경우 압력유지부(35)를 통해 공급압력을 하향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P) can control the pressure maintenance unit 35 to adjust the supply pressure of the first material supply unit 31 when a coating defect is confirmed through the defect determination unit 6. 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P) can increase the supply pressure through the pressure maintenance unit 35 when the application amount is applied less than the set value, and when the application amount is applied larger than the set value, the control unit P can increase the supply pressure through the pressure maintenance unit 35. The pressure can be lowered.

또한, 제어부(P)는 공급압력 조절 후에도 불량이 지속되는 경우 도포이동부(22)의 작동을 정지하고 제2물질을 공급하여 도포분사부(23)를 세척하고 다시 재가동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P)는 세척 후에도 지속적으로 불량이 발생되는 경우 작동을 정지하고 외부로 알람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defect persists even after adjusting the supply pressure, the control unit (P) can stop the operation of the coating moving unit 22, supply the second material to clean the coating spraying unit 23, and restart it.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P) can stop operation and issue an external alarm if defects continue to occur even after cleanin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S)는 물질분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포분사부(23)를 통해 제1물질 도포 후 제2물질로 세척한 경우 도포포집부(25)에 제1물질과 제2물질이 함께 포집될 수 있다. 물질분리부는 도포포집부(25)의 하측에 배치되어 제1물질과 제2물질이 혼합되 혼합물에서 제1물질과 제2물질을 분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tomatic coating device (S) for table tennis racket blade adhesion and co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aterial separation unit (not shown). When the first material is applied through the application spray unit 23 and then washed with the second material, the first material and the second material may be collected together in the application collection unit 25. The material separation unit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application collection unit 25 to separate the first material and the second material from the mixture.

구체적으로, 물질분리부는 열분리부와 회전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열분리부는 열을 가하여 제1물질과 제2물질을 1차적으로 분리할 수 있고, 회전분리부는 회전을 통하여 제1물질과 제2물질을 2차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aterial separation unit may include a thermal separation unit and a rotational separation unit. The thermal separator can primarily separate the first material and the second material by applying heat, and the rotational separator can secondarily separate the first material and the second material through rot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S)는 화학분석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학분석부는 물질분리부와 이격 구비되어 물질분리에 의해 분리된 제2물질의 조성비를 분석하여 제1물질이 완벽하게 분리되었는지 판단하여 외부로 화학성분이 배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tomatic coating device (S) for table tennis racket blade adhesion and co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hemical analysis unit (not shown). The chemical analysis unit is located separately from the material separation unit and analyzes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second material separated by material separ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first material has been completely separated, thereby preventing chemical components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described later.

S: 자동 도포장치 P: 제어부
1: 투입부 2: 도포부
3: 물질공급부 4: 배출부
5: 건조부 6: 불량판단부
S: Automatic applicator P: Control unit
1: Input section 2: Application section
3: Material supply section 4: Discharge section
5: Drying section 6: Defect judgment section

Claims (10)

피가공물이 투입되어 이동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에 의해 투입된 상기 피가공물에 물질을 도포하는 도포부;
상기 도포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포부로 상기 물질을 공급하는 물질공급부; 및
상기 도포부를 통과한 상기 피가공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투입부는
일단부에 상기 피가공물이 안착되어 이동되는 투입본체부;
상기 투입본체부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가공물을 감지하는 투입센서부; 및
상기 투입센서부의 감지에 따라 상기 피가공물을 상기 도포부로 이동시키는 투입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포부는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투입본체부와 이격 구비되는 도포본체부;
상기 도포본체부의 외측 전방에 배치되는 전단부에서 상기 도포본체부의 외측 후방에 배치되는 후단부까지 상기 도포본체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투입이동부를 통해 안착되는 상기 피가공물이 이동되는 도포이동부; 및
상기 도포본체부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도포이동부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상기 피가공물에 상기 물질을 분사하는 도포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피가공물이 외부로 안내되는 배출본체부;
상기 도포이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배출본체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물질이 도포된 상기 피가공물이 정지되는 배출정지부;
상기 배출정지부에 안착된 상기 피가공물을 감지하는 배출센서부; 및
상기 배출센서부의 감지에 따라 상기 피가공물을 배출본체부로 이동시키는 배출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포부는
상기 도포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도포이동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도포분사부에 의해 분사되는 상기 물질을 수집하는 도포포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물질공급부는
제1물질이 수용되어 상기 제1물질을 상기 도포부로 공급하는 제1물질공급부;
상기 제1물질공급부와 이격 배치되며, 제2물질이 수용되어 상기 제2물질을 상기 도포부로 공급하는 제2물질공급부; 및
상기 제1물질공급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물질의 공급압력을 측정하고 일정하게 유지하는 압력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물질은 접착제 및 코팅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물질은 물 및 세척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도포분사부는
상기 도포이동부에 고정되는 도포분사본체부;
상기 도포분사본체부에 배치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도포분사이동부;
상기 도포분사이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도포분사이동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도포분사승강부; 및
상기 도포분사승강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가공물을 향하여 상기 물질을 공급하는 도포분사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포분사노즐부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상기 물질 및 에어가 이동되는 도포노즐본체부;
상기 도포노즐본체부의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물질이 분사되는 도포노즐중앙부;
상기 도포노즐중앙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도포노즐본체부에서 하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도포노즐안내부; 및
상기 도포노즐안내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중앙으로 에어가 토출되는 도포에어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포본체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물질이 도포된 상기 피가공물의 건조가 진행되는 건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포부는
상기 도포본체부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열원을 제공하는 도포히터부; 및
상기 도포본체부의 타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도포개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건조부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건조본체부;
상기 도포이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물질이 도포된 상기 피가공물이 이동되는 건조이동부;
상기 건조본체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건조이동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열을 가하는 건조램프부;
상기 건조본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건조램프부를 고정하는 건조고정부; 및
상기 건조본체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건조이동부를 향하여 선택적으로 소화물질을 배출하는 건조소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피가공물의 도포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불량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불량판단부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불량판단본체부;
상기 건조이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물질이 도포된 상기 피가공물이 이동되는 불량판단이동부; 및
상기 불량판단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불량판단이동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피가공물의 도포불량을 판단하는 불량판단수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불량판단수행부는
광을 조사하여 상기 물질의 도포불량을 판단하는 광불량판단부; 및
상기 광불량판단부와 이격 배치되어 이미지를 촬영하여 상기 물질의 도포불량을 판단하는 비전불량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부는
상기 투입본체부의 타단부에 배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상기 피가공물의 위치를 조절하는 투입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입조절부는
상기 투입센서부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투입조절본체부;
상기 투입조절본체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투입조절본체부를 이동시키는 투입조절이동부; 및
상기 투입조절본체부를 관통하여 상기 투입센서부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투입센서부를 향하여 바람을 분사하는 투입조절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
An input unit where the workpiece is input and moved;
an applicator for applying a material to the workpiece inputted by the input unit;
a material supply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applicator to supply the material to the applicator; and
It includes a discharge part that discharges the workpiec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applicator to the outside,
The input part
An input main body on which the workpiece is seated and moved at one end;
An input sensor uni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input main body to detect the workpiece; and
It includes an input moving unit that moves the workpiece to the application unit according to detection by the input sensor unit,
The applicator is
An application body portion that forms an exterior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input body portion;
An application moving part that extends through the application body from the front end disposed on the outer front of the application main body to the rear end disposed on the outer rear of the application body, and moves the workpiece seated through the input moving part; and
It includes a coating spraying unit that is movably provided inside the coating body unit and sprays the material onto the workpiece that is seated and moved on the coating moving unit,
The discharge part
a discharge body portion through which the workpiece is guided to the outside;
a discharge stop portion connected to the application moving portion and disposed in front of the discharge main portion to stop the workpiece to which the material is applied;
A discharge sensor unit that detects the workpiece seated on the discharge stopper; and
It includes a discharge moving unit that moves the workpiece to the discharge body according to detection by the discharge sensor unit,
The applicator is
It is provided inside the application main unit, and is disposed below the application moving part to collect the substance sprayed by the application spray unit. It further includes;
The material supply department
a first material supply unit that receives the first material and supplies the first material to the application unit;
a second material supply unit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terial supply unit, receives a second material, and supplies the second material to the applicator; and
It includes a pressure maintenance unit connected to the first material supply unit to measure the supply pressure of the first material and keep it constant,
The first material includes one of an adhesive and a coating agent, and the second material includes one of water and a detergent,
The spraying unit is
a spray body portion fixed to the spray moving portion;
An application spray moving part disposed on the application spray main body and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spray eleva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spray moving portion, disposed in front of the spray moving portion and movable up and down; and
It includes; a spray nozzle unit provided at the spray lift unit to supply the material toward the workpiece;
The application spray nozzle part is
An application nozzle body portion that forms an exterior and moves the material and air inside;
a central portion of the application nozzl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application nozzle body through which the material is sprayed;
an application nozzle guide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application nozzle central portion and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application nozzle body portion; and
It includes; an application air discharge part formed inside the application nozzle guide and discharging air to the center;
It further includes a dry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application body and the discharge unit to dry the workpiece to which the material is applied,
The applicator is
An application heater unit attached to one side of the application main body and providing a heat source; and
It further includes; a coating opening and closing portion that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ating body portion and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The drying part
A dry body portion that forms an exterior and has a space inside;
A drying moving part connected to the coating moving part and moving the workpiece coated with the material;
a drying lamp unit disposed inside the drying main unit and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drying moving unit to apply heat;
A drying fixing part connected to the drying body part and fixing the drying lamp part; and
It includes a dry fire extinguishing unit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dry main unit and selectively discharging extinguishing substances toward the dry moving unit,
It further includes a defect determination unit disposed between the drying unit and the discharge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application of the workpiece is defective,
The defect judgment department
A defect determination main body that forms an exterior and has a space inside;
A defect determination moving part connected to the drying moving part and moving the workpiece coated with the material; and
It includes a defect determination performing unit disposed inside the defect determination main body and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defect determination moving part to determine defective application of the workpiece;
The defect judgment department
A light defect determination unit that irradiates light to determine application defects of the material; and
It includes a vision defect determination unit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light defect determination unit and takes an image to determine application defects of the material,
The input part
It further includes; an input control unit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input main unit and mov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workpiece,
The input control unit
An input control main body disposed to face the input sensor unit;
An input control moving unit disposed at the rear of the input control main body and moving the input control main body; and
An automatic application device for adhering and coating a table tennis racket blade, comprising: an input control spraying unit that penetrates the input control main body and faces the input sensor unit, and sprays wind toward the input sensor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 상기 도포부, 상기 물질공급부, 상기 배출부, 상기 건조부 및 상기 불량판단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물질을 도포하는 공정횟수가 소정횟수 이상 진행된 경우 상기 도포이동부의 작동을 정지하고, 상기 도포분사부와 상기 피가공물을 어긋나게 배치한 상태로 상기 제2물질공급부를 작동시켜 상기 제2물질을 통해 상기 도포분사부를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It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input unit, the application unit, the material supply unit, the discharge unit, the drying unit, and the defect determination unit,
The control unit
When the number of processes for applying the first material has progressed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moving part is stopped, and the second material supply part is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application spraying part and the workpiece are misaligned to supply the second material. An automatic applicator for table tennis racket blade adhesion and coa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application spray part is cleaned through.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불량판단부를 통해 도포불량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1물질공급부의 공급압력이 조절되도록 상기 압력유지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
According to clause 9,
The control unit
An automatic applicator for table tennis racket blade adhesion and coa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ure maintenance unit is controlled to adjust the supply pressure of the first material supply unit when an application defect is confirmed through the defect determination unit.
KR1020230109087A 2023-08-21 Automatic Applicator For Blade Bonding and Coating Table Tennis Racket KR102663299B1 (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3299B1 true KR102663299B1 (en) 2024-05-03

Family

I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34942A1 (en) * 2009-10-20 2012-09-20 Chevron U.S.A Inc. Spray gun
JP2015036127A (en) * 2013-08-12 2015-02-23 トヨタ自動車九州株式会社 Painting apparatus
KR102068044B1 (en) * 2019-09-23 2020-02-11 강배익 Powder coating system
CN215354152U (en) * 2021-05-13 2021-12-31 济南恒力特新机械有限公司 Automatic paint spraying device for table tennis bat
KR102396848B1 (en) * 2021-07-29 2022-05-10 최원석 Polyurea coating apparatus for reducing microplastics and eco-friendly product using the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34942A1 (en) * 2009-10-20 2012-09-20 Chevron U.S.A Inc. Spray gun
JP2015036127A (en) * 2013-08-12 2015-02-23 トヨタ自動車九州株式会社 Painting apparatus
KR102068044B1 (en) * 2019-09-23 2020-02-11 강배익 Powder coating system
CN215354152U (en) * 2021-05-13 2021-12-31 济南恒力特新机械有限公司 Automatic paint spraying device for table tennis bat
KR102396848B1 (en) * 2021-07-29 2022-05-10 최원석 Polyurea coating apparatus for reducing microplastics and eco-friendly product using the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1571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applying a coating solution
US20200346484A1 (en) Method and device for surface processing
CA1278737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veneer sheet into a plywood
JP3918401B2 (en) Substrate drying apparatus, drying method, and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US3713935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coating panels with resinous compositions
CN209348894U (en) A kind of multi-layer board surface paint spraying device
KR20210102332A (en) Cleaning device for applicator
KR102663299B1 (en) Automatic Applicator For Blade Bonding and Coating Table Tennis Racket
BR112015005296B1 (en) Method of decorating a panel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decorative panel
US20120200639A1 (en) Coating device and inkjet recording device
US3071106A (en) Plywood edge filler
KR101699415B1 (en) Automated apparatus for functional panel
KR101618810B1 (en) Apparatusfor coating both faces of panel
CA2586075C (en) Method and device to prevent contamination of a transport device by freshly glued fibers
JP2014181130A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948161B1 (en) Edge band forming apparatus for timber panel
US8087378B2 (en) Apparatus for coating lenses
KR200205968Y1 (en) An edge banding machine
KR0138683Y1 (en) A washing and drying machine for double glasses
KR20050093690A (en) Crops cuticle peeler
JP4077575B2 (en) Application method of adhesive to notch of plate
KR102220938B1 (en) Matt paint application device for vehicle instrument panel production
CN218699809U (en) Loss-reducing discharging mechanism of wood segment rotary cutter
CN219073401U (en) Plywood rubber coating device
KR102220939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vehicle instrument panel and Manufacturing device for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