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143B1 - Distance between objects, length distortion correction and drawing system through image analysis - Google Patents

Distance between objects, length distortion correction and drawing system through image analysi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143B1
KR102663143B1 KR1020230187906A KR20230187906A KR102663143B1 KR 102663143 B1 KR102663143 B1 KR 102663143B1 KR 1020230187906 A KR1020230187906 A KR 1020230187906A KR 20230187906 A KR20230187906 A KR 20230187906A KR 102663143 B1 KR102663143 B1 KR 102663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support
frame
distanc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879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윤미
한명윤
서광일
김진석
한계필
윤준식
한명진
노현호
이아영
한연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음건축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음건축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음건축디자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143B1/en

Links

Classifications

    • G06T5/8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89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7/89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0Determination of colour characteristics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촬영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가구 둥의 실제 사이즈의 측정 및 공간의 분석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이미지 분석을 통한 물체 간 거리, 길이 왜곡 보정 및 도면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개인용 단말기인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대상물과의 거리를 센싱하고 카메라를 이용하여 대상물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이미지 획득 단말기; 및 상기 이미지 획득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거리 센싱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물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두 개 이상의 대상물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대상물의 길이 왜곡을 보정하며, 대상물의 도면화를 수행하는 이미지 분석 서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correcting distance between objects, length distortion, and drawing through image analysis, which is implemented to measure the actual size of furniture and analyze space using images taken using a smartphone. , an image acquisition terminal that senses the distance to an object using a distance sensor provided in the user's personal terminal, a smartphone, and captures an image of the object using a camera; And measuring the distance to an object using the distance sensing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mage acquisition terminal,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wo or more objects, correcting length distortion of the object, and performing drawing of the object. Includes an image analysis server.

Description

이미지 분석을 통한 물체 간 거리, 길이 왜곡 보정 및 도면화 시스템{Distance between objects, length distortion correction and drawing system through image analysis}Distance between objects, length distortion correction and drawing system through image analysis}

본 발명은 이미지 분석을 통한 물체 간 거리, 길이 왜곡 보정 및 도면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촬영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가구 둥의 실제 사이즈의 측정 및 공간의 분석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이미지 분석을 통한 물체 간 거리, 길이 왜곡 보정 및 도면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correcting distance and length distortion between objects through image analysis, and more specifically, measuring the actual size of furniture and analyzing space using images taken using a smartphone. This is about a system for correcting distance between objects, length distortion, and drawing through image analysis.

카메라 왜곡은 렌즈의 색상별 굴절률 차이, 구면수차, 렌즈 마모에 의한 변형 또는 카메라와 렌즈 또는 집합렌즈군 내부의 개별 렌즈의 광축 틀어짐에 의해 발생한다.Camera distortion is caused by differences in the refractive index of each color of the lens, spherical aberration, deformation due to lens wear, or optical axis distortion of the camera and lens or individual lenses within the collective lens group.

이처럼 왜곡이 발생하는 경우, 도 2와 같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와 촬영 후 이미지가 픽셀 단위로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피사체에 대한 정확한 형상 정보를 획득하지 못해 3D 모델링 등에서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When distortion occurs in this wa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bject captured by the camera and the image after shooting are different at the pixel level, as shown in Figure 2. As a result, accurate shape information about the subject cannot be obtained, resulting in errors in 3D modeling, etc. .

종래의 왜곡 보정은 카메라 계수를 통해 수학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졌으나, 이는 각 렌즈의 굴곡이나 색수차, 구면수차 등에서 개별 픽셀의 왜곡도가 아닌 일반화하는 방법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 distortion correction has been done mathematically using camera coefficients, but this has the problem of low precision because it is processed in a generalized manner rather than the distortion of individual pixels due to the curvature of each lens, chromatic aberration, spherical aberration, etc.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Meanwhile,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technology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be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filing the application for the present invention. .

한국공개특허 제10-2023-0132737호 (2023.09.18.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3-0132737 (published on September 18, 2023)

본 발명의 일측면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촬영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가구 둥의 실제 사이즈의 측정 및 공간의 분석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이미지 분석을 통한 물체 간 거리, 길이 왜곡 보정 및 도면화 시스템을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correcting distance and length distortion between objects and drawing distortion through image analysis, which is implemented to measure the actual size of furniture and analyze space using images taken using a smartphone. provides.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분석을 통한 물체 간 거리, 길이 왜곡 보정 및 도면화 시스템은, 사용자의 개인용 단말기인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대상물과의 거리를 센싱하고 카메라를 이용하여 대상물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이미지 획득 단말기; 및 상기 이미지 획득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거리 센싱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물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두 개 이상의 대상물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대상물의 길이 왜곡을 보정하며, 대상물의 도면화를 수행하는 이미지 분석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objects, length distortion correction, and drawing system through image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the distance to the object using a distance sensor provided in the user's personal terminal, a smartphone, and uses a camera. an image acquisition terminal that captures an image of an object; And measuring the distance to an object using the distance sensing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mage acquisition terminal,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wo or more objects, correcting length distortion of the object, and performing drawing of the object. May include an image analysis serv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거리 센서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레이저 센서, 및 라이다(LiDAR) 센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istance sensor may be made of any one of an ultrasonic sensor, an infrared sensor, a laser sensor, and a LiDAR senso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미지 분석 서버는, 가상의 공간을 통해 대상물인 가구의 도면을 제작하고 가상 배치가 가능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이미지 획득 단말기로 다운로드 후 설치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mage analysis server may create a drawing of an object of furniture through a virtual space and provide a dedicated application capable of virtual arrangement so that it can be downloaded and installed to the image acquisition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미지 분석 서버는, 상기 이미지 획득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 정보의 이미지 분석을 통해 이미지 속 대상물 및 공간의 크기를 분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mage analysis server may analyze the size of objects and spaces in the image through image analysis of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mage acquisition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분석을 통한 물체 간 거리, 길이 왜곡 보정 및 도면화 시스템은, 상기 이미지 획득 단말기를 이용한 촬영 시 상기 이미지 획득 단말기를 거치하는 촬영 보조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ystem for correcting distance and length distortion between objects and drawing through image analysi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otographing assistance device that mounts the image acquisition terminal when photographing using the image acquisition terminal; More may be includ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촬영 보조 장치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상단에 설치되는 헤드; 상기 헤드에 전후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이미지 획득 단말기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체결하는 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hotographing assistance device includes a handle for a user to hold with his or her hand; A head installed on the top of the handle; a support frame interlocked with and connected to the head to enable sliding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orward and backward; and a clip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frame to attach and detach the image acquisition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헤드에 전후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며, 전단에 상기 클립이 설치되는 제3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는 회동 연결부;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가변시켜 주는 간격 조절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frame includes: a first frame that is connected to and engages the head to enable sliding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orward and backward; a second frame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frame; a third frame disposed in front of the second frame and having the clip installed at a front end; a rotational connection unit that connects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to be rotatable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and a spacing adjustment connector installed to connect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to vary the spacing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동 연결부는,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는 링형 연결 고리; 상기 제1 프레임의 전단에 형성되어 상기 링형 연결 고리가 연결 설치되는 제1 고리 연결부;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링형 연결 고리가 연결 설치되는 제2 고리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otational connection unit includes a ring-shaped connection ring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and connecting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to be rotatable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a first ring connection portion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frame to which the ring-shaped connection ring is connected and installed; and a second ring connection portion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frame to which the ring-shaped connection ring is connected and install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고리 연결부는, 상기 링형 연결 고리가 삽입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프레임의 전단의 상단 및 하측에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는 각 경사면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링형 연결 고리의 곡률에 대응하여 관통하고 형성되는 링 안착부; 상기 링 안착부의 후단으로부터 추가적으로 함몰 형성되는 블록 안착홈; 상기 블록 안착홈에 배치되며, 상기 링형 연결 고리의 외향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함몰 형성되는 고리 안착홈이 전단에 형성되어 상기 링 안착부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링형 연결 고리의 외향면을 지지하는 지지 블록; 상기 블록 안착홈의 내측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지지 블록이 상기 링 안착부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링형 연결 고리의 외향면에 밀착되도록 지지하는 블록 지지 스프링; 상기 고리 안착홈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링형 연결 고리의 외향면을 지지하는 두 개의 제1 지지 롤러; 상기 링형 연결 고리의 내향면이 안착되는 상기 링 안착부의 상단 및 하단 각 입구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링형 연결 고리의 내향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 롤러; 및 상기 고리 안착홈의 중단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링형 연결 고리의 외향면을 지지하는 링 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ring connector forms an opening with each inclined surface taper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front end of the first frame so that the ring-shaped connector can be inserted and seated, and the curvature of the ring-shaped connector is adjusted. A ring seating portion that penetrates and is formed in response to; a block seating groove additionally recessed from the rear end of the ring seating portion; A ring seating groove disposed in the block seating groove and recess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outward surface of the ring-shaped connecting ring is formed at the front end to support the outward surface of the ring-shaped connecting ring seated in the ring seating portion. block; block support springs installed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lock seating groove, respectively, to support the support block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ward surface of the ring-shaped connection ring seated on the ring seating portion; two first support rollers rotatably install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ing seating groove, respectively, to support the outward surface of the ring-shaped connecting ring; a second support roller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f the upper and lower entrances of the ring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inner surface of the ring-shaped connecting ring is seated to support the inner surface of the ring-shaped connecting ring; And it may include a ring contact portion connected to the middle of the ring seating groove and supporting the outward surface of the ring-shaped connecting ring.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링 밀착부는, 상기 고리 안착홈의 중단에 함몰 형성되는 지지대 안착홈; 상기 지지대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링형 연결 고리의 외향면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링형 연결 고리의 곡률의 가변됨에 따라 상기 지지대 안착홈으로 삽입 또는 노출되는 가변 지지대; 상기 지지대 안착홈으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가변 지지대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링형 연결 고리의 외향면을 지지하는 지지 휠; 및 상기 지지대 안착홈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변 지지대를 지지하는 밀착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ing close contact portion includes a support seat groove recessed in the middle of the ring seat groove; a variable support member that is seated in the support mounting groove to support an outward surface of the ring-shaped connecting ring and is inserted or exposed into the support mounting groove as the curvature of the ring-shaped connecting ring changes; a support wheel rotatably connected to a front end of the variable support exposed from the support seating groove and supporting an outward surface of the ring-shaped connection ring; and a close contact spring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seating groove to support the variable support.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링형 연결 고리는,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고리 연결부 및 상기 제2 고리 연결부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고리 몸체부; 상기 고리 몸체부의 내향면에 직각되도록 설치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반대편의 상기 고리 몸체부의 내향면에 직각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에 삽입되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로 삽입 또는 상기 실린더로부터 노출됨에 따라 상기 고리 몸체부의 곡률을 가변시켜 주는 곡률 가변 연결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ing-shaped connecting ring includes a ring body portion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and connected to the first ring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ring connecting portion, respectively; A cylinder install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ing body portion; And a curvature variable connecting rod install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ing body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ylinder,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cylinder, and changing the curvature of the ring body as it is inserted into the cylinder or exposed from the cylinder. may inclu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린더 및 상기 곡률 가변 연결대는, 상기 고리 몸체부의 내향면과 만나는 각 단부가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전단 및 후단의 경사면에 밀착 안착될 수 있도록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ylinder and the variable curvature connecting member may be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so that each end that meets the inner surface of the ring body can be closely seated on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there is.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촬영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가구 둥의 실제 사이즈의 측정 및 공간의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actual size of furniture and space analysis can be performed using images captured using a smartphone.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various effects may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분석을 통한 물체 간 거리, 길이 왜곡 보정 및 도면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분석을 통한 물체 간 거리, 길이 왜곡 보정 및 도면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지지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고리 연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correcting distance between objects, length distortion, and rendering through image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correcting distance between objects, length distortion, and drawing through image analysi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and 4 are views showing the support frame of Figure 2.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first ring connection part of Figure 4.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by way of exampl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but are not necessarily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ne embodi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dditional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that follows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together with all equivalents to what those claims assert, if properly described. Similar reference numbers in the drawings refer to identical or similar functions across various aspect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분석을 통한 물체 간 거리, 길이 왜곡 보정 및 도면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correcting distance between objects, length distortion, and rendering through image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분석을 통한 물체 간 거리, 길이 왜곡 보정 및 도면화 시스템(10)은, 이미지 획득 단말기(100) 및 이미지 분석 서버(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system 10 for correcting distance and length distortion between objects through image analysis and rendering diagrams through image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acquisition terminal 100 and an image analysis server 200. .

이미지 획득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개인용 단말기인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대상물과의 거리를 센싱하고 카메라를 이용하여 대상물의 이미지를 촬영한다.The image acquisition terminal 100 senses the distance to an object using a distance sensor provided in a smartphone, which is a user's personal terminal, and captures an image of the object using a camera.

여기서, 이미지 획득 단말기(100)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데스크탑 컴퓨터(PC)는 물론, 노트북(Notebook),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컴퓨터(Tablet PC) 등과 같이 일반인들에게 널리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 유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를 의미하는 광의의 개념이다.Here, the image acquisition terminal 100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and is widely used by the general public, such as desktop computers (PCs), laptops, smart phones, and tablet computers. It is a broad concept that refers to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and multimedia devices that support wired and wireless networks,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그리고, 네트워크(N)는, 예컨대 무선 통신, 유선 통신, 광 초음파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BAN(Body Area Network), 위성 통신, 셀룰러 통신,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WiFi(Wireless Fidelity), 및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는 통신 경로에 포함될 수 있는 무선 통신의 예이며, 이더넷, 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 to the Home), 및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는 통신망에 포함될 수 있는 유선 통신의 예이다. 또한, 통신망은 다수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거리를 횡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망은 직접 연결,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oRaWAN, NB-Fi, RPMA을 포함하는 저전력광대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를 통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다만, 네트워크(N)는, 통신망에 관한 설명은 상기한 통신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임의의 최신 데이터 통신망이 적용될 수 있다.And, the network N may include, for example, wireless communication, wired communication, optical ultrasonic waves, or a combination thereof. Body area network (BAN), satellite communication, cellular communication, Bluetooth,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IrDA), Wireless Fidelity (WiFi), and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are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path. Ethernet, Digital Subscriber Line (DSL), Fiber to the Home (FTTH), and Plain Old Telephone Service (POTS) are examples of wired communications that can be included in a communication network. Additionally, a communication network can traverse multiple network topologies and distances. For example, a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a direct connection, a personal area network (PAN), a local area network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wide area network (WAN), or any combination thereof. Additionally, it can be done through a low power wide area network including LoRaWAN, NB-Fi, and RPMA. However, the description of the network (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communication network, and any latest data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applied.

이미지 분석 서버(200)는, 이미지 획득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거리 센싱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물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두 개 이상의 대상물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대상물의 길이 왜곡을 보정하며, 대상물의 도면화를 수행한다.The image analysis server 200 measures the distance to an object using the distance sensing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mage acquisition terminal 100,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wo or more objects, and corrects length distortion of the objects. and perform drawing of the object.

일 실시예에서, 거리 센서는, 카메라 초점을 맞추는 용도로 필요한 센서 장치로서, 1) 물체의 형상 인식(근거리) / 공간의 거리를 감지(원거리) 2) 초음파, 적외선, 레이저 등으로 거리 감지(시간차 / 밀도 각도 등) 등을 수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istance sensor is a sensor device required for camera focusing, which 1) recognizes the shape of an object (near-range) / detects the distance in space (far-distance) 2) detects distance using ultrasonic waves, infrared, laser, etc. ( time difference / density angle, etc.) can be performed.

일 실시예에서, 거리 센서는, 1) TOF 센서, 라이다 센서, 근접 센서 등으로 스마트폰과 물체 거리 측정 2) 측정된 거리를 기준으로 해당 공간의 및 가구의 사이즈 자동 측정 3) 사진의 이미지 분석을 통해 사진 속 가구 및 공간의 크기 분석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istance sensor 1)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smartphone and the object using a TOF sensor, lidar sensor, proximity sensor, etc. 2) automatically measures the size of the space and furniture based on the measured distance 3) images of the photo Through analysis, functions such as analyzing the size of furniture and spaces in photos can be performed.

그러나, 서로 다른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거리 센서는, 스마트폰 제조사별 / 모델별 편차 존재함으로써, 부착형 거리센서 장치를 통한 연동이 필요하다.However, the distance sensors installed on different smartphones hav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smartphone manufacturer/model, so linking through an attached distance sensor device is necessary.

일 실시예에서, 거리 센서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레이저 센서, 및 라이다(LiDAR) 센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istance sensor may be made of any one of an ultrasonic sensor, an infrared sensor, a laser sensor, and a LiDAR sensor.

일 실시예에서, 이미지 분석 서버(200)는, 가상의 공간을 통해 대상물인 가구의 도면을 제작하고 가상 배치가 가능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미지 획득 단말기(100)로 다운로드 후 설치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mage analysis server 200 may create a drawing of an object of furniture through a virtual space and provide a dedicated application capable of virtual arrangement so that it can be downloaded and installed to the image acquisition terminal 100.

일 실시예에서, 이미지 분석 서버(200)는, 이미지 획득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 정보의 이미지 분석을 통해 이미지 속 대상물 및 공간의 크기를 분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mage analysis server 200 may analyze the size of objects and spaces in the image through image analysis of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mage acquisition terminal 100.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분석을 통한 물체 간 거리, 길이 왜곡 보정 및 도면화 시스템(10)은, 다음과 같은 가구 자동 배치 가상 도면 제작이 가능하다.The distance between objects, length distortion correction, and drawing system 10 through image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capable of producing a virtual drawing for automatic arrangement of furniture as follows.

본 발명을 통해 제공되는 어플 상에서 가상 공간을 띄어 바로 도면 제작 및 배치된 가상 공간 체크 가능, 구매하고자 하는 가구 선택, 선택된 가구의 선등록된 사이즈 및 이미지를 바탕으로 자동으로 도면 또는 카메라에 표현(라이다 스캐너 →_ AR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You can create a drawing and check the arranged virtual space by opening a virtual space on the application provide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select the furniture you want to purchase, and automatically display it on the drawing or camera based on the pre-registered size and image of the selected furniture (la. ida scanner →_ AR function) etc. can be provided.

또한, 라이다(LiDAR) 센서('Light Detection And Ranging (빛 탐지 및 범위 측정)' 또는 'Laser Imaging, Detection and Ranging (레이저 이미징, 탐지 및 범위 측정)'의 약자, 레이저를 목표물에 비춰 사물과의 거리 및 다양한 물성을 감지할 수 있어 자율 주행의 눈이 되어주는 기술)를 통해 주변 사물, 지형지물 등을 감지하고 이를 3D 영상으로 모델링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DAR sensor (abbreviation fo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or 'Laser Imaging, Detection and Ranging', shines a laser at the target to detect objects and (a technology that serves as the eyes of autonomous driving by being able to detect distances and various physical properties), it is possible to detect surrounding objects and geographical features and model them as 3D images.

또한, 이미지 분석을 통한 물체 간 거리 및 길이 왜곡 해결을 통해 사진을 찍으면 사진 내 공간을 분석하여 공간 및 가구의 사이즈를 알 수 있고, 카메라를 통해 어플 자체에서 바로 사이즈가 분석되어 바로 알 수 있어 자동 사이즈 계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by resolving the distance and length distortion between objects through image analysis, when you take a photo, you can analyze the space in the photo to know the size of the space and furniture. The size is analyzed directly in the app itself through the camera, so you can know it right away, automatically. A size calculation function can be provided.

또한, 구매하고자 하는 가구를 가상으로 배치(바로바로 가구 및 공간의 크기 및 배치를 체크할 수 있어 도면 제작 효율화), 가구 및 인테리어 제품의 장터 기능을 통한 추가 수익 기대 가능을 통해 자동 가구 배치 도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urniture you want to purchase can be virtually placed (the size and arrangement of the furniture and space can be checked immediately, making drawing production more efficient), and additional profits can be expected through the marketplace function for furniture and interior products, with an automatic furniture arrangement drawing function. can be provided.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분석을 통한 물체 간 거리, 길이 왜곡 보정 및 도면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correcting distance between objects, length distortion, and drawing through image analysi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분석을 통한 물체 간 거리, 길이 왜곡 보정 및 도면화 시스템(20)은, 이미지 획득 단말기(100), 이미지 분석 서버(200) 및 촬영 보조 장치(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system 20 for correcting distance and length distortion between objects through image analysis and rendering diagrams through image analysi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acquisition terminal 100, an image analysis server 200, and a shooting assistant. Includes device 300.

여기서, 이미지 획득 단말기(100) 및 이미지 분석 서버(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 since the image acquisition terminal 100 and the image analysis server 200 are the same as the components in FIG. 1, their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o avoid duplication of explanation.

촬영 보조 장치(300)는, 이미지 획득 단말기(100)를 이용한 촬영 시 이미지 획득 단말기(100)를 거치한다.The photographing assistance device 300 mounts the image acquisition terminal 100 when photographing using the image acquisition terminal 100.

일 실시예에서, 촬영 보조 장치(300)는, 손잡이(310), 헤드(320), 지지 프레임(400) 및 클립(330)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hotographing assistance device 300 may include a handle 310, a head 320, a support frame 400, and a clip 330.

손잡이(31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다.The handle 310 is held by the user's hand.

헤드(320)는, 손잡이(310)의 상단에 설치된다.The head 320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handle 310.

지지 프레임(400)은, 헤드(320)에 전후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The support frame 400 is installed and engaged with the head 320 to enable sliding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orward and backward.

클립(330)은, 지지 프레임(400)의 전단에 설치되어 이미지 획득 단말기(100)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체결한다.The clip 330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frame 400 and fastens the image acquisition terminal 100 to be attachable and detachabl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분석을 통한 물체 간 거리, 길이 왜곡 보정 및 도면화 시스템(20)은,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이미지 획득 단말기(100)를 파지하도록 함은 물론, 이미지 획득 단말기(100)를 통한 보다 다양한 위치에서의 영상 이미지 획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objects, length distortion correction, and drawing system 20 through image analysi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llows the user to more easily hold the image acquisition terminal 100. Of course, video images can be acquired from more diverse locations through the image acquisition terminal 100.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지지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Figures 3 and 4 are views showing the support frame of Figure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지지 프레임(400)은, 제1 프레임(410), 제2 프레임(420), 제3 프레임(430), 회동 연결부(440) 및 간격 조절 연결부(4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3 and 4, the support frame 400 includes a first frame 410, a second frame 420, a third frame 430, a rotational connection part 440, and a spacing adjustment connection part 450. Includes.

제1 프레임(410)은, 헤드(320)에 전후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The first frame 410 is installed and engaged with the head 320 to enable sliding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orward and backward.

제2 프레임(420)은, 제1 프레임(410)의 전방에 배치된다.The second frame 42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frame 410.

제3 프레임(430)은, 제2 프레임(420)의 전방에 배치되며, 전단에 클립(330)이 설치된다.The third frame 43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second frame 420, and a clip 330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회동 연결부(440)는, 제1 프레임(410)과 제2 프레임(420)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한다.The rotational connection portion 440 connects the first frame 410 and the second frame 420 so that they can be rotat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일 실시예에서, 회동 연결부(440)는, 링형 연결 고리(441), 제1 고리 연결부(442) 및 제2 고리 연결부(443)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otational connection portion 440 may include a ring-shaped connection ring 441, a first ring connection portion 442, and a second ring connection portion 443.

링형 연결 고리(441)는,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제1 프레임(410)과 제2 프레임(420)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한다.The ring-shaped connecting ring 441 is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and connects the first frame 410 and the second frame 420 to be rotatabl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일 실시예에서, 링형 연결 고리(441)는, 고리 몸체부(4411), 실린더(4412) 및 곡률 가변 연결대(4413)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ing-shaped connection ring 441 may include a ring body portion 4411, a cylinder 4412, and a variable curvature connection member 4413.

고리 몸체부(4411)는,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제1 고리 연결부(442) 및 제2 고리 연결부(443)에 각각 연결 설치된다.The ring body portion 4411 is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ring connecting portion 442 and the second ring connecting portion 443, respectively.

실린더(4412)는, 고리 몸체부(4411)의 내향면에 직각되도록 설치된다.The cylinder 4412 is install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ing body portion 4411.

곡률 가변 연결대(4413)는, 실린더(4412)의 반대편의 고리 몸체부(4411)의 내향면에 직각되도록 설치되어 실린더(4412)에 삽입되어 연결 설치되며, 실린더(4412)로 삽입 또는 실린더(4412)로부터 노출됨에 따라 고리 몸체부(4411)의 곡률을 가변시켜 준다.The variable curvature connection bar 4413 is installed at a right angl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ing body portion 4411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ylinder 4412 and is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cylinder 4412. It is inserted into the cylinder 4412 or connected to the cylinder 4412. ) The curvature of the ring body portion 4411 is varied as it is exposed from the.

일 실시예에서, 실린더(4412) 및 곡률 가변 연결대(4413)는, 고리 몸체부(4411)의 내향면과 만나는 각 단부가 제1 프레임(410) 및 제2 프레임(420)의 전단 및 후단의 경사면에 밀착 안착될 수 있도록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ylinder 4412 and the variable curvature connecting rod 4413 have each end that meets the inner surface of the ring body 4411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first frame 410 and the second frame 420. It may be made of an inclined surface so that it can be closely attached to the inclined surfac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링형 연결 고리(441)는, 곡률을 가변시킴에 따라 이미지 획득단말기(100)의 정밀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The ring-shaped connecting ring 441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be implemented to enable precise movement of the image acquisition terminal 100 by varying its curvature.

제1 고리 연결부(442)는, 제1 프레임(410)의 전단에 형성되어 링형 연결 고리(441)가 연결 설치된다.The first ring connecting portion 442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frame 410 and is connected to the ring-shaped connecting ring 441.

제2 고리 연결부(443)는, 제2 프레임(420)의 후단에 형성되어 링형 연결 고리(441)가 연결 설치된다.The second ring connecting portion 443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frame 420 and is connected to the ring-shaped connecting ring 441.

간격 조절 연결부(450)는, 신장 또는 수축 구동이 가능한 실린더 장치로서, 제1 프레임(410)과 제2 프레임(420)에 연결 설치되어 제1 프레임(410)과 제2 프레임(420) 사이의 간격을 가변시켜 준다.The gap adjustment connector 450 is a cylinder device that can be driven to expand or contract,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410 and the second frame 420 to provide a space between the first frame 410 and the second frame 420. Changes the spacing.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지지 프레임(400)은,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이미지 획득 단말기(100)를 파지하도록 함은 물론, 이미지 획득 단말기(100)를 통한 보다 다양한 위치에서의 영상 이미지 획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support frame 4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not only allows the user to more easily hold the image acquisition terminal 100, but also allows video images to be acquired from more diverse positions through the image acquisition terminal 100. can do.

도 5는 도 4의 제1 고리 연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first ring connection part of Figure 4.

도 5를 참조하면, 제1 고리 연결부(442)는, 링 안착부(4421), 블록 안착홈(4422), 지지 블록(4423), 블록 지지 스프링(4424), 두 개의 제1 지지 롤러(4425), 제2 지지 롤러(4426) 및 링 밀착부(5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first ring connection portion 442 includes a ring seating portion 4421, a block seating groove 4422, a support block 4423, a block support spring 4424, and two first support rollers 4425. ), a second support roller 4426, and a ring contact portion 500.

여기서, 제2 고리 연결부(443)는, 후술하는 제1 고리 연결부(442)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고리 연결부(442)의 안착부(4421), 블록 안착홈(4422), 지지 블록(4423), 블록 지지 스프링(4424), 두 개의 제1 지지 롤러(4425), 제2 지지 롤러(4426) 및 링 밀착부(500) 등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second ring connecting portion 443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ring connecting portion 442 described later, and includes a seating portion 4421, a block seating groove 4422, and a support block 4423 of the first ring connecting portion 442. ), the block support spring 4424, the two first support rollers 4425, the second support roller 4426, and the ring contact part 500 can be applied in the same way, so as to avoid duplication of explanation. Let's omit it.

링 안착부(4421)는, 링형 연결 고리(441)가 삽입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프레임(410)의 전단의 상단 및 하측에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는 각 경사면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링형 연결 고리(441)의 곡률에 대응하여 관통하고 형성된다.The ring seating portion 4421 forms an opening with each inclined surface formed to be taper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front end of the first frame 410 so that the ring-shaped connecting ring 441 can be inserted and seated, and the ring-shaped connecting ring 441 is connected to the ring-shaped connecting ring 441. It penetrates and is formed in response to the curvature of.

블록 안착홈(4422)은, 링 안착부(4421)의 후단으로부터 추가적으로 함몰 형성된다.The block seating groove 4422 is additionally recessed from the rear end of the ring seating portion 4421.

지지 블록(4423)은, 블록 안착홈(4422)에 배치되며, 링형 연결 고리(441)의 외향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함몰 형성되는 고리 안착홈이 전단에 형성되어 링 안착부(4421)에 안착되어 있는 링형 연결 고리(441)의 외향면을 지지한다.The support block 4423 is disposed in the block seating groove 4422, and a ring seating groove that is recess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utward surface of the ring-shaped connecting ring 441 is formed at the front end and is seated in the ring seating portion 4421. The outward surface of the ring-shaped connecting link 441 is supported.

블록 지지 스프링(4424)은, 블록 안착홈(4422)의 내측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설치되어 지지 블록(4423)이 링 안착부(4421)에 안착되어 있는 링형 연결 고리(441)의 외향면에 밀착되도록 지지한다.The block support spring 4424 is installed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lock seating groove 4422, respectively,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ward surface of the ring-shaped connection ring 441 on which the support block 4423 is seated on the ring seating portion 4421. Support as much as possible.

두 개의 제1 지지 롤러(4425)는, 고리 안착홈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링형 연결 고리(441)의 외향면을 지지한다.The two first support rollers 4425 are rotatably install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ing seating groove, respectively, and support the outward surface of the ring-shaped connecting ring 441.

제2 지지 롤러(4426)는, 링형 연결 고리(441)의 내향면이 안착되는 링 안착부(4421)의 상단 및 하단 각 입구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링형 연결 고리(441)의 내향면을 지지한다.The second support roller 4426 is rotatably installed at each of the upper and lower entrances of the ring seating portion 4421, where the inner surface of the ring-shaped connecting ring 441 is seated, and is installed to rotate the inner surface of the ring-shaped connecting ring 441. I support it.

링 밀착부(500)는, 고리 안착홈의 중단에 연결 설치되어 링형 연결 고리(441)의 외향면을 지지한다.The ring contact portion 500 is connected to the middle of the ring seating groove and supports the outward surface of the ring-shaped connecting ring 441.

일 실시예에서, 링 밀착부(500)는, 지지대 안착홈(501), 가변 지지대(502), 지지 휠(503) 및 밀착 스프링(504)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ing contact portion 500 may include a support seating groove 501, a variable support 502, a support wheel 503, and a contact spring 504.

지지대 안착홈(501)은, 고리 안착홈의 중단에 함몰 형성된다.The support mounting groove 501 is recessed at the middle of the ring seating groove.

가변 지지대(502)는, 지지대 안착홈(501)에 안착되어 링형 연결 고리(441)의 외향면을 지지하는 동시에 링형 연결 고리(441)의 곡률의 가변됨에 따라 지지대 안착홈(501)으로 삽입 또는 노출된다.The variable support 502 is seated in the support seating groove 501 and supports the outward surface of the ring-shaped connecting ring 441, and at the same time, as the curvature of the ring-shaped connecting ring 441 changes, it is inserted into the supporting receiving groove 501 or exposed.

지지 휠(503)은, 지지대 안착홈(501)으로부터 노출되는 가변 지지대(502)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링형 연결 고리(441)의 외향면을 지지한다.The support wheel 503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variable support 502 exposed from the support seating groove 501 and supports the outward surface of the ring-shaped connecting ring 441.

밀착 스프링(504)은, 지지대 안착홈(501)의 내측에 설치되어 가변 지지대(502)를 지지한다.The adhesion spring 504 is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mounting groove 501 and supports the variable support 502.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고리 연결부(442)는, 관절을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각도로 가변시켜 이미지 획득 단말기(100)를 통한 다양한 화각에서의 영상 획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ring connector 442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hanges the joint to various angles as shown in FIG. 3 or 4 to enable image acquisition at various angles of view through the image acquisition terminal 100. can do.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미지 분석을 통한 물체 간 거리, 길이 왜곡 보정 및 도면화 시스템은, 운영체제(Operation System; OS), 즉 시스템을 기반으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거나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운영체제는 소프트웨어가 장치의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프로그램으로서, 안드로이드 OS, iOS, 윈도우 모바일 OS, 바다 OS, 심비안 OS, 블랙베리 OS 등 모바일 컴퓨터 운영체제 및 윈도우 계열, 리눅스 계열, 유닉스 계열, MAC, AIX, HP-UX 등 컴퓨터 운영체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system for correcting distance and length distortion between objects and drawing through image analysis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execute or produce various software based on an operating system (OS), that is, the system. The operating system is a system program that allows software to use the hardware of the device, and includes mobile computer operating systems such as Android OS, iOS, Windows Mobile OS, Bada OS, Symbian OS, Blackberry OS, Windows series, Linux series, Unix series, etc. It can include all computer operating systems such as MAC, AIX, and HP-UX.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The term '~unit' used in the above embodiments refers to software or hardware components such as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or ASIC, and the '~uni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par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The '~ part' may be configured to resid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 one or more processors. Therefore, as an example, '~ part'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s,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e functions provided within the components and 'par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parts' or may be separated from additional components and 'parts'.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mponents and 'parts' may be implemented to regenerate one or more CPUs within the device or secure multimedia card.

이미지 분석을 통한 물체 간 거리, 길이 왜곡 보정 및 도면화 시스템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명령어 및 데이터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기록 매체일 수 있는데, 컴퓨터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는 HDD 및 SS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 매체, CD,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 등과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에 포함되는 메모리일 수 있다. The system for correcting distance and length distortion between objects through image analysis and drawing can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readable medium that stores commands and data executable by a computer. At this time, instructions and data can be stored in the form of program code, and when executed by a processor, they can generate a certain program module and perform a certain operation. Additionally,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Additionally, computer-readable media may be computer recording media, which are volatile and non-volatile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It can include both 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For example, computer recording media may be magnetic storage media such as HDDs and SSD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s, DVDs, and Blu-ray discs, or memory included in servers accessible through a network.

또한 이미지 분석을 통한 물체 간 거리, 길이 왜곡 보정 및 도면화 시스템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distance between objects through image analysis, the length distortion correction, and the drawing system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or computer program product) contain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A computer program includes programmable machine instructions processed by a processor and may be implemented in a 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assembly language, or machine language. . Additionally, the computer program may be recorded on a tangibl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g, memory, hard disk, magnetic/optical medium, or solid-state drive (SSD)).

따라서 이미지 분석을 통한 물체 간 거리, 길이 왜곡 보정 및 도면화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Therefore, a system for correcting distance between objects, length distortion, and drawing through image analysis can be implemented by executing the computer program as described above by a computing device. The computing device may include at least some of a processor, memory, a storage device, a high-speed interface connected to the memory and a high-speed expansion port, and a low-speed interface connected to a low-speed bus and a storage device. Each of these components is connected to one another using various buses and may be mounted on a common motherboard or in some other suitable manner.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Here, the processor can process instructions within the computing device, such as to display graphical information to provide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on an external input or output device, such as a display connected to a high-speed interface. These may include instructions stored in memory or a storage device. In other embodiments, multiple processors and/or multiple buses may be utilized along with multiple memories and memory types as appropriate. Additionally,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a chipset consisting of chips including multiple independent analog and/or digital processors.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Memory also stores information within a computing device. In one example, memory may be comprised of volatile memory units or sets thereof. As another example, memory may consist of non-volatile memory units or sets thereof. The memory may also be another type of computer-readable medium, such as a magnetic or optical disk.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And the storage device can provide a large amount of storage space to the computing device. A storage device may be a computer-readable medium or a configuration that includes such media, and may include, for example, devices or other components within a storage area network (SAN), such as a floppy disk device, a hard disk device, an optical disk device, Or it may be a tape device, flash memory, or other simila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or device array.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singl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sought to be protected through this specification is indicated by the patent claims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should be interpreted to include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

10, 20: 이미지 분석을 통한 물체 간 거리, 길이 왜곡 보정 및 도면화 시스템
100: 획득 단말기
200: 이미지 분석 서버
300: 촬영 보조 장치
10, 20: Distance between objects, length distortion correction and drawing system through image analysis
100: Acquisition terminal
200: Image analysis server
300: Shooting auxiliary device

Claims (5)

사용자의 개인용 단말기인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대상물과의 거리를 센싱하고 카메라를 이용하여 대상물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이미지 획득 단말기;
상기 이미지 획득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거리 센싱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물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두 개 이상의 대상물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대상물의 길이 왜곡을 보정하며, 대상물의 도면화를 수행하는 이미지 분석 서버; 및
상기 이미지 획득 단말기를 이용한 촬영 시 상기 이미지 획득 단말기를 거치하는 촬영 보조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촬영 보조 장치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상단에 설치되는 헤드;
상기 헤드에 전후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이미지 획득 단말기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체결하는 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헤드에 전후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며, 전단에 상기 클립이 설치되는 제3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는 회동 연결부;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가변시켜 주는 간격 조절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 연결부는,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는 링형 연결 고리;
상기 제1 프레임의 전단에 형성되어 상기 링형 연결 고리가 연결 설치되는 제1 고리 연결부;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링형 연결 고리가 연결 설치되는 제2 고리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리 연결부는,
상기 링형 연결 고리가 삽입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프레임의 전단의 상단 및 하측에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는 각 경사면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링형 연결 고리의 곡률에 대응하여 관통하고 형성되는 링 안착부;
상기 링 안착부의 후단으로부터 추가적으로 함몰 형성되는 블록 안착홈;
상기 블록 안착홈에 배치되며, 상기 링형 연결 고리의 외향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함몰 형성되는 고리 안착홈이 전단에 형성되어 상기 링 안착부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링형 연결 고리의 외향면을 지지하는 지지 블록;
상기 블록 안착홈의 내측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지지 블록이 상기 링 안착부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링형 연결 고리의 외향면에 밀착되도록 지지하는 블록 지지 스프링;
상기 고리 안착홈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링형 연결 고리의 외향면을 지지하는 두 개의 제1 지지 롤러;
상기 링형 연결 고리의 내향면이 안착되는 상기 링 안착부의 상단 및 하단 각 입구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링형 연결 고리의 내향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 롤러; 및
상기 고리 안착홈의 중단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링형 연결 고리의 외향면을 지지하는 링 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링 밀착부는,
상기 고리 안착홈의 중단에 함몰 형성되는 지지대 안착홈;
상기 지지대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링형 연결 고리의 외향면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링형 연결 고리의 곡률의 가변됨에 따라 상기 지지대 안착홈으로 삽입 또는 노출되는 가변 지지대;
상기 지지대 안착홈으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가변 지지대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링형 연결 고리의 외향면을 지지하는 지지 휠; 및
상기 지지대 안착홈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변 지지대를 지지하는 밀착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링형 연결 고리는,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고리 연결부 및 상기 제2 고리 연결부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고리 몸체부;
상기 고리 몸체부의 내향면에 직각되도록 설치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반대편의 상기 고리 몸체부의 내향면에 직각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에 삽입되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로 삽입 또는 상기 실린더로부터 노출됨에 따라 상기 고리 몸체부의 곡률을 가변시켜 주는 곡률 가변 연결대;를 포함하는, 이미지 분석을 통한 물체 간 거리, 길이 왜곡 보정 및 도면화 시스템.
An image acquisition terminal that senses the distance to an object using a distance sensor provided in the user's personal terminal, a smartphone, and captures an image of the object using a camera;
An image that measures the distance to an object using distance sensing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mage acquisition terminal,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wo or more objects, corrects length distortion of the object, and performs drawing of the object. analytics server; and
It includes a photographing assistance device that mounts the image acquisition terminal when photographing using the image acquisition terminal,
The filming auxiliary device is,
A handle for the user to hold by hand;
A head installed on the top of the handle;
a support frame interlocked with and connected to the head to enable sliding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orward and backward; and
It includes a clip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frame to attach and detach the image acquisition terminal,
The support frame is,
a first frame engaged and connected to the head to enable sliding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orward and backward;
a second frame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frame;
a third frame disposed in front of the second frame and having the clip installed at a front end;
a rotational connection unit that connects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to be rotatable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and
It includes a spacing adjustment connector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to change the spacing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The rotating connection part is,
a ring-shaped connecting ring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to connect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to be rotatable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a first ring connection portion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frame to which the ring-shaped connection ring is connected and installed; and
It includes a second ring connection portion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frame to which the ring-shaped connection ring is connected and installed,
The first ring connection part,
a ring seating portion that penetrates and forms a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ring-shaped connecting ring while forming an opening with each inclined surface tapered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ront end of the first frame so that the ring-shaped connecting ring can be inserted and seated;
a block seating groove additionally recessed from the rear end of the ring seating portion;
A ring seating groove disposed in the block seating groove and recess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outward surface of the ring-shaped connecting ring is formed at the front end to support the outward surface of the ring-shaped connecting ring seated in the ring seating portion. block;
block support springs installed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lock seating groove, respectively, to support the support block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ward surface of the ring-shaped connection ring seated on the ring seating portion;
two first support rollers rotatably install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ing seating groove, respectively, to support the outward surface of the ring-shaped connecting ring;
a second support roller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f the upper and lower entrances of the ring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inner surface of the ring-shaped connecting ring is seated to support the inner surface of the ring-shaped connecting ring; and
It includes a ring contact portion connected to the middle of the ring seating groove and supporting the outward surface of the ring-shaped connection ring,
The ring adhesion part,
a support seat groove recessed in the middle of the ring seat groove;
A variable support member is seated in the support mounting groove to support an outward surface of the ring-shaped connecting ring and is inserted or exposed into the support mounting groove as the curvature of the ring-shaped connecting ring changes.
a support wheel rotatably connected to a front end of the variable support exposed from the support seating groove and supporting an outward surface of the ring-shaped connection ring; and
It includes a close contact spring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seating groove to support the variable support,
The ring-shaped link is,
A ring body portion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and connected to the first ring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ring connection portion, respectively;
A cylinder install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ing body portion; and
A curvature variable connecting rod is install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ing body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ylinder, is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cylinder, and changes the curvature of the ring body as it is inserted into or exposed from the cylinder. Including, distance between objects through image analysis, length distortion correction and draw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센서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레이저 센서, 및 라이다(LiDAR) 센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이미지 분석을 통한 물체 간 거리, 길이 왜곡 보정 및 도면화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istance sensor is,
A system for correcting distance between objects, length distortion, and rendering through image analysis, consisting of one of an ultrasonic sensor, an infrared sensor, a laser sensor, and a LiDAR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분석 서버는,
가상의 공간을 통해 대상물인 가구의 도면을 제작하고 가상 배치가 가능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이미지 획득 단말기로 다운로드 후 설치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이미지 분석을 통한 물체 간 거리, 길이 왜곡 보정 및 도면화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image analysis server,
A system for correcting distance between objects, length distortion, and drawing through image analysis, which creates a drawing of an object, furniture, through a virtual space and provides a dedicated application capable of virtual arrangement that can be downloaded and installed to the image acquisi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분석 서버는,
상기 이미지 획득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 정보의 이미지 분석을 통해 이미지 속 대상물 및 공간의 크기를 분석하는, 이미지 분석을 통한 물체 간 거리, 길이 왜곡 보정 및 도면화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image analysis server,
A system for correcting distance between objects and length distortion and drawing through image analysis, which analyzes the size of objects and spaces in the image through image analysis of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mage acquisition terminal.
삭제delete
KR1020230187906A 2023-11-28 2023-12-21 Distance between objects, length distortion correction and drawing system through image analysis KR10266314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7789 2023-1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3143B1 true KR102663143B1 (en) 2024-05-03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427B1 (en) 2018-09-11 2019-09-2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Measurement System for concrete crack using smartpho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427B1 (en) 2018-09-11 2019-09-2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Measurement System for concrete crack using smartph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8684B2 (en) Light-field aberration correction
US10122997B1 (en) Automated matrix photo framing using range camera input
US10269141B1 (en) Multistage camera calibration
US9007490B1 (en) Approaches for creating high quality images
US20140137054A1 (en) Automatic adjustment of font on a visual display
CA2929945C (en) Method for determining at least one optical design parameter for a progressive ophthalmic lens
US108559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camera error in a multi-camera stereo camera system
US20180184077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0652474B2 (en) Method for adjusting an angle of an element of a photographing unit and a head mounted display
FR2961591A1 (en) METHOD OF ESTIMATING THE POSTURE OF A SUBJECT
US20220322555A1 (en) Display Positioning System
US20200404185A1 (en) Image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image sensor
US20140146999A1 (en) Device,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detecting object
US20170099427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viding improved autofocus using curve-fitting
KR102663143B1 (en) Distance between objects, length distortion correction and drawing system through image analysis
EP3145405B1 (en) Method of determining at least one behavioural parameter
US9317770B2 (en) Method, apparatus and terminal for detecting image stability
US9918015B2 (en) Exposure control using depth information
KR102493778B1 (en) Architectural Art Deliberation and Management System
TW201536050A (en) Image-capturing method for correcting deviation-viewing angle, its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image-capturing device for correcting deviation viewing angle
KR102021363B1 (en) Curved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0902265B2 (en) Imaging effect based on object depth information
WO2016008959A1 (en) Device for detecting movement
WO20191146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navigation guide diagram
TW201533513A (en) Spherical lighting device with backlighting coronal ring